KR20200138813A - 정보 리포팅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 Google Patents

정보 리포팅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8813A
KR20200138813A KR1020207031605A KR20207031605A KR20200138813A KR 20200138813 A KR20200138813 A KR 20200138813A KR 1020207031605 A KR1020207031605 A KR 1020207031605A KR 20207031605 A KR20207031605 A KR 20207031605A KR 20200138813 A KR20200138813 A KR 20200138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csi
csi report
re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1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2288B1 (ko
Inventor
양 송
펭 선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38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04B17/327Received signal code power [RS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04L1/0675Space-tim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7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04W52/023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according to average transmission signal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7Block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에서는 정보 리포팅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고,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써,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DRX 모드에서 CSI 보고의 리포팅 규칙을 명확하게 하고자 한다. 해당 방법은: 상기 단말이 DRX 모드에 있을 경우, 제1 정보에 따라,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을 통해 리포팅한 반지속적 또는 비주기적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 것을 금지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정보 리포팅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4월 3일 중국에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No. 201810291348.9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참조로서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개시는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 리포팅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이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아이들(RRC IDLE) 상태 또는 RRC 접속(RRC CONNECTED) 상태에 있는지에 관계없이, UE는 항상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모니터링하여 서빙 셀로부터의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러나, 실제 응용에서, UE와 네트워크 기기는 대다수 시간내에 데이터 교환을 행하지 않으며, 이때 만약 UE가 여전히 지속적으로 PDCCH를 모니터링한다면, UE의 불필요한 전기 에너지 소모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UE의 전력 절약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DRX) 매커니즘이 나타나게 되었다.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모드에서, DRX 주기를 UE에 배치하며, DRX 주기는 활성기(ActiveTime)와 비활성기(즉, 활성기 이외)를 포함하며, 활성기 동안(즉 UE가 PDCCH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을 때), UE는 PDCCH를 모니터링하고 수신하며, 비활성기 동안 UE는 휴면 상태에 들어가고, UE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PDCCH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
그러나, 관련 기술 중의 프로토콜에서는 DRX 모드에 있는 UE에 대한 CSI 보고의 규정이 전면적이 되지 않으며,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에 대해 CSI 보고를 수행하는 규정은 없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정보 리포팅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여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DRX 모드에서 CSI 보고의 리포팅 규칙을 명확하게 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는 다음과 같이 실현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에 응용하기 위한 정보 리포팅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이 DRX 모드에 있을 경우, 제1 정보에 따라,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을 통해 리포팅한 반지속적 또는 비주기적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 것을 금지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정보 리포팅 방법을 제공하고,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이 DRX 모드에 있을 경우, 제1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정보에 따라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정보는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PUSCH를 통해 리포팅한 반지속적 또는 비주기적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 것을 금지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3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단말을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이 DRX 모드에 있는 경우, 제1 정보에 따라,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지 여부를 확정하기 위한 확정 모듈; 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PUSCH를 통해 리포팅한 반지속적 또는 비주기적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 것을 금지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4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이 DRX 모드에 있을 경우, 제1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 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정보에 따라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정보는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PUSCH를 통해 리포팅한 반지속적 또는 비주기적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 것을 금지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5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측면에 따른 상기 정보 리포팅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6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2 측면에 따른 상기 정보 리포팅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7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정보 리포팅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이 DRX 모드에 있을 경우, 단말은 제1 정보를 통해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지 여부를 확정함으로서,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DRX 모드에서의 CSI 보고의 리포팅 규칙을 명확히 하여, 따라서, 통신 효율과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되어야 할 도면들을 간단하게 소개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에서의 도면들은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인 것으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있어서,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이러한 도면들에 의해 기타 도면들을 더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관련된 통신 시스템의 가능한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정보 리포팅 방법의 플로우차트 1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정보 리포팅 방법의 플로우차트 2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정보 리포팅 방법의 플로우차트 3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정보 리포팅 방법의 플로우차트 4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의 구조도 1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기의 구조도 1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의 구조도 2이다.
도 9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기의 구조도 2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토대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얻어지는 모든 기타 실시예들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개시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영문 약어는 다음과 같이 주석 처리된다. 즉: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DRX);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PUCCH);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PDCCH);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PUSCH);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MAC Control Element, MAC CE);
참조 신호 수신 파워(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RSRP);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CSI);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 reference signals,CSI-RS);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 자원 인덱스(CSI-RS Resource Index, CRI);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sation signal block,SSB) (SSB는 SS block이라고도 함);
동기 신호 블록 자원 인덱스(SSB Resource Index, SSBRI)/(SSB-Index);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
채널 품질 지시(Channel Quality Indicator,CQI);
랭크 지시(Rank Indicator,RI);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dicator, DCI);
머신 투 머신(Machine to Machine,M2M);
강화형 모바일 인터넷(enhance Mobile Broadband,eMBB);
초고 신뢰성 및 저지연 통신(ultra Reliable & Low Latency Communication,uRLLC);
대규모 사물 인터넷 통신(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mMTC);
전송 노드(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TRP);
글로벌 이동 통신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SM);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CDMA);
기지국 송수신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 BTS);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WCDMA);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CRAN);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RAN);
개인 통신 서비스(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PCS);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WLL);
개인 디지털 보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Graphics Processing Unit,GPU);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OLED);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이다.
다음은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에 관련된 일부 용어를 설명한다.
1. CSI 보고(CSI reporting)
5G NR 시스템에서 CSI 보고는 주로 상위 계층(RRC)의 CSI 보고 구성 정보에 의해 구성된다. 해당 CSI 보고 구성 정보는 해당 CSI 보고에 대응하는 DL BWP 정보 및 해당 CSI 보고의 주기 특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CSI 보고의 주기 특성은, 주로 세가지 유형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주기적(periodic, P), 반지속적(semi-persistent,SP) 및 비주기적(aperiodic,AP)이다. 예를 들어, 단말은 CSI-RS에 따라 CSI를 측정하여 CSI 보고를 획득한다. 일반적으로 CSI 보고에는 CRI, RI, PMI 및 CQI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세가지 CSI 보고의 주기 특성에 기초하여, 현재의 CSI 보고가 가능한 CSI-RS에 의해 구성된 부분 트리거링(triggering)/활성화(activation) 방식은 하기의 테이블 1과 같다.
Figure pct00001
2. CSI 참조 자원
CSI는, CSI 참조 자원(CSI reference resource)에 따라 CQI, RI, PMI 등을 포함하는 CSI를 유도한다. CSI 참조 자원은 하나의 CSI 보고에 캐리된 CSI 유도에 사용된 시간 주파수 자원 및 CSI를 유도하는 일부 가설을 규정하였으며, 예를 들어, 다양한 오버 헤드를 어떻게 계산하는지 등을 규정하였다. 단말은 규정에 따라, CSI 보고 타임 슬롯에서 CSI 참조 자원이 소재하는 타임 슬롯을 확정하여야 한다.
3. DRX
DRX 메커니즘은 전력 절감을 실현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배터리 사용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기본 메커니즘은: RRC 연결 상태의 UE를 위해 하나의 DRX 주기를 구성하고, 하나의 DRX 주기는 활성기(ActiveTime)와 비활성기(즉, 활성기 이외)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활성기 동안(즉 UE가 PDCCH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을 때), UE는 PDCCH를 모니터링하고 수신하며, 비활성기 동안, UE는 휴면 상태에 들어가고, UE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PDCCH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 그러나, 기타 물리 채널로부터 데이터 또는 신호(예를 들면, PDSCH, ACK/NACK, RS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SPS 스케줄링에서, 비활성기의 UE는 주기적으로 구성된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상에서 송신된 PDSCH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중 DRX 주기내의 활성기에는 이하의 타이머 작업 시간이 포함된다. 즉, drx-onDuration Timer(drx-지속적 기간 타이머), drx-Inactivity Timer(drx-정지 기간 타이머), drx-Retransmission Timer DL(drx-다운링크 재전송 타이머), drx-Retransmission Timer DL(drx-업링크 재전송 타이머), ra-Contention Resolution Timer(drx -충돌 해결 타이머)가 포함된다.
실예 1: UE가 "On Duration" 내에(즉, 타이머 drx-onDurationTimer가 작업되는 동안) 하나의 스케줄링 메시지(해당 스케줄링 메시지가 초기 전송된 PDCCH를 나타내는데 사용됨)를 수신하였을 때, UE는 "drx-InactivityTimer" 타이머를 부팅하고, 해당 타이머가 작업되는 동안 각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한다.
실예 2: UE가 "drx-InactivityTimer" 작업 간에 스케줄링 정보(해당 스케줄링 메시지가 초기 전송된 PDCCH를 나타내는데 사용됨)를 수신하였을 때, UE는 해당 타이머를 재부팅한다.
실예 3: UE가 "drx-InactivityTimer"에서 시간을 초과하거나 또는 DRX Command MAC CE를 수신하였을 경우, UE가 short DRX cycle을 구성하지 않았다면, 직접 long DRX cycle을 사용한다. 만약 UE가 short DRX cycle을 구성하였을 경우, UE는 short DRX cycle을 사용하여 "drx-ShortCycle Timer"를 부팅(또는 재부팅)하며, "drx-ShortCycle Timer"가 시간을 초과하였을 경우, UE는 long DRX cycle을 사용한다.
실예 4: 다운링크/업링크 HARQ 재전송을 수행할 때, UE는 해당 HARQ 프로세스(HARQ 프로세스)를 위한 하나의 drx-RetransmissionTimerDL/drx-RetransmissionTimerUL 타이머를 부팅한다. 해당 타이머가 작업할 때, UE는 HARQ 재전송에 사용되는 PDCCH를 모니터링한다.
4. DRX 모드에서 UE가 CSI 보고를 진행하기 위한 관련 기술의 규칙
구체적으로, 관련 기술 중의 프로토콜은 활성기에 있는 UE가 CSI 보고를 진행하는 과정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예 1: PUCCH에 기초한 CSI 보고(P-CSI 보고, PUCCH에 기초한 SP-CSI 보고를 포함함)에 대해, 기지국은 상위 레벨 파라미터 "cqi-Mask"에 의해 PUCCH에 기초한 CSI 보고를 허용하는지 여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cqi-Mask"가 구성되고, "drx-onDurationTimer"가 정지된 경우, PUCCH에 기초한 CSI 보고를 진행하지 않으며; "cqi-Mask"가 구성되지 않고 MAC 엔티티가 활성화되지 않았다면, PUCCH에 기초한 CSI 보고를 진행하지 않는다.
예 2: AP-CSI 보고는, DCI 스케줄링에 의한 트리거이고, 따라서 AP-CSI 보고는 "drx-InactivityTimer" 타이머가 작업하는 동안에, 활성기에 스케줄링 메시지의 상황에 따라 CSI 보고를 진행한다.
예 3: PUSCH를 기반으로 한 SP-CSI 보고는 DCI에 의해 활성화되며, 현재 업링크 반지속 스케줄링에 따라 CSI 보고를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비활성기에 있는 UE는 주기적으로 구성된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상에서 송신된 PDSCH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UE가 활성기에 PDCCH를 검출하여 획득한 DCI 스케줄링 정보에 PDSCH에서 MAC CE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때 UE는 PDSCH에서 MAC CE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MAC CE를 활성화하여, PUCCH 기반으로 SP-CSI 보고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비활성기 또는 관련 타이머("drx-onDurationTimer" 또는 HARQ 타이머 등) 정지가 된 후, SP-CSI 보고를 송신하고 관련 타이머를 부팅할 수 있다.
5. 기타용어
본 명세서에 "및/또는"은 연결 대상의 적어도 하나임을 나타내며, 예컨대 "A 및/또는 B"는 개별 A, 개별 B, 및 A와 B가 공존하는 세가지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 부호는 일반적으로 앞뒤의 관련 대상이 "또는" 관계에 있음을 나타낸다. 공식에 있어서, "/" 부호는 앞뒤에 연결된 대상이 "나누기" 관계에 있음을 나타낸다. 본 개시에 사용된 "복수 개"는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와 같은 단어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또는 동일한 효과를 갖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항목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제1"과 "제2"라는 단어가 수량과 실행 순서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또는 "예를 들어"와 같은 단어가 예시, 예증 또는 설명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라는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또는 "예를 들어"로 기술된 임의의 실시예 또는 설계방안은 다른 실시예 또는 설계방안보다 더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정확히 말하면, "예시적인" 또는 "예를 들어" 같은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관련 개념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본 개시에 제공된 기술방안에 대해 도면을 통해 소개한다.
본 개시에 제공되는 기술방안은 5G 통신 시스템, 미래 에볼루션 시스템 또는 다양한 통신 융합 시스템 등과 같은 각종 통신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2M, D2M, 마이크로 및 매크로 통신, eMBB, uRLLC 및 mMTC 등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시나리오는 단말과 단말 간의 통신, 또는 네트워크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간의 통신, 또는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 간의 통신 등 시나리오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5G 통신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 간의 통신, 또는 단말과 단말 간의 통신, 또는 네트워크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간의 통신, 또는 후속 버전의 통신 시스템과 관련된 기기와의 통신에 응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관련된 통신 시스템의 가능한 구조도의 하나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기기(100)(도 1에는 오직 하나만 도시됨) 및 각 네트워크 기기(100)에 연결된 하나 또는 복수 개 단말(200)을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100)는 기지국, 코어망 기기, TRP, 중계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 등일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100)는 GSM 또는 CDMA 네트워크 중의 BTS일 수 있고, WCDMA 중의 NB(NodeB)일 수도 있으며, LTE중의 eNB 또는 eNodeB(evolutional NodeB)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 기기(100)는 또한 CRAN 시나리오에서의 무선 컨트롤러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 기기(100)는 또한 5G 통신 시스템중의 네트워크 기기거나 또는 미래 에볼루션 네트워크중의 네트워크 기기일 수도 있다.
단말(200)은 무선 단말 또는 유선 단말일 수 있으며, 무선 단말은 사용자에게 음성 및/또는 기타 서비스 데이터 연통성을 제공하는 기기, 무선 통신 기능이 있는 휴대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기기, 차량용 기기, 웨어러블 기기, 미래 5G 네트워크에서의 단말 또는 미래 에볼루션의 PLMN 네트워크에서의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무선 단말은 RAN을 통해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코어망과 통신할 수 있으며, 무선 단말은 이동 단말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휴대폰(또는 셀룰러폰이라고 함)과 이동 단말을 구비한 컴퓨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휴대용, 포켓형, 핸들링, 컴퓨터에 내장된 혹은 차량에 탑재된 이동 장치일 수 있으며, 무선 접속망, PCS폰, 무선폰, SIP 폰, WLL 스테이션, PDA 등 기기와 언어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한다. 무선 단말은 이동 기기, UE, UE 단말, 액세스 단말, 무선 통신 기기, 단말 유닛, 단말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모바일(Mobile), 원격 스테이션(Remote Station), 먼 거리 스테이션, 원격 터미널(Remote Terminal),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단말 장치 등 이동 단말일 수 있다. 하나의 실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1은 휴대폰을 단말로서 도시한다.
실시예 1: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정보 리포팅 방법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하고 있으며, 해당 정보 리포팅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S201: 단말이 DRX 모드에 있을 경우, 단말은 제1 정보에 따라,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지 여부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제1 정보는 사전 정의, 즉, 프로토콜로 정의된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정보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구성한 것이다.
예시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201 전에, 본 개시의 실시예는 하기 단계 A를 더 포함한다.
단계 A: 단말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한다.
상응하게, 피어 네트워크 기기는 제1 정보를 송신한다.
진일보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중에서 제1 정보는 RRC 시그널링 또는 MAC CE 또는 DCI에 베어러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도 1에 도시하는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지국일 수 있고;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단말은 도 1에 도시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 기기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정보가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함을 지시할 때, DRX 모드에서, 단말이 활성기이거나 또는 비활성기이거나에 관계없이, CSI 보고 시각에 CSI 보고를 리포팅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정보가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 것을 금지함을 지시할 때, DRX 모드에서, 단말이 비활성기에 있기만 하면, 해당 단말은 CSI 보고 시각에 CSI 보고를 리포팅하지 않는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DRX 모드에 있는 단말이 진일보 전기 절약이 필요할 때, 단말은 자체적으로 제1 정보를 구성할 수 있어,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정보는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PUCCH를 통해 리포팅한 주기성 CSI 보고, PUCCH를 통해 리포팅한 반지속적 CSI 보고, PUSCH를 통해 리포팅한 반지속적 CSI 보고, PUSCH를 통해 리포팅한 비주기적 CSI 보고; 중 적어도 하나를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정보는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PUCCH를 통해 리포팅한 주기성 CSI 보고, PUCCH를 통해 리포팅한 반지속적 CSI 보고, PUSCH를 통해 리포팅한 반지속적 CSI 보고, PUSCH를 통해 리포팅한 비주기적 CSI 보고; 중 적어도 하나를 리포팅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DRX 모드에서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은 당회의 CSI 보고와 앞서 1회의 CSI 보고를 비교함으로써, 단말이 당회의 CSI 보고에 대한 리포팅이 필요한지 여부를 진일보 판단하여, 나아가 전기 절약을 실현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당회의 CSI 보고를 리포팅하든지 여부 또는 단말이 활성기에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네트워크 기기는 제시간에 검측을 진행해야 한다.
예시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계 S201 이전에 단계 B1을 더 포함한다.
단계 B1: 단말은 제1 CSI 보고 및 제2 CSI 보고를 획득한다.
여기서, 상기 제2 CSI 보고는 제1 CSI 보고의 앞서 1회의 CSI 보고이다.
단계 B1의 기초상에서, S201는 구체적으로 하기 단계 B2를 포함한다.
단계 B2: 제1 정보가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함을 지시하면, 단말은 제1 CSI 보고 및 제2 CSI 보고에 따라,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상기 제1 CSI 보고의 부분 또는 전부를 리포팅하는지 여부를 확정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CSI 보고와 제2 CSI 보고가 동일하면, 단말은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상기 제1 CSI 보고를 리포팅하지 않음을 확정하며, 제1 CSI 보고와 제2 CSI 보고가 상이하면, 단말은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상기 제1 CSI 보고를 리포팅함 또는 상기 제1 CSI 보고중의 제2 CSI 보고와 상이한 내용을 리포팅함을 확정한다.
다음은 CSI 보고의 내용이 빔 정보(예: L1-RSRP 보고)인 시나리오에 대해, 상기 방안(즉, 단계 B1과 단계 B2를 결합하여 형성된 방안)을 진일보 확장할 것이다.
진일보 선택적으로, 상기 제1 CSI 보고와 제2 CSI 보고의 내용이 모두 빔 정보일 때, 상기 제1 CSI 보고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원 인덱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원 인덱스 및 각 제1 자원 인덱스에 대응하는 제1 RSRP, 하나의 제1 자원 인덱스에 대응하는 하나의 제1 RSRP를 포함하고; 상기 제2 CSI 보고는 적어도: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원 인덱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원 인덱스 및 각 제2 자원 인덱스에 대응하는 제2 RSRP, 하나의 제2 자원 인덱스에 대응하는 하나의 제2 RSRP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자원 인덱스 및 상기 제2 자원 인덱스는 CRI 또는 SSB RI 또는 SSB-Index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계 B2는 구체적으로 하기 단계 B21 또는 B22를 포함한다.
단계 B21: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원 인덱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원 인덱스와 상이한 경우,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제1 CSI 보고의 부분 또는 전부를 리포팅함을 확정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CSI 보고중의 제1 자원 인덱스가 제2 CSI 보고중의 제2 자원 인덱스와 상이하면,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은 적어도 상기 제1 CSI 보고의 제1 자원 인덱스를 보고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낸다. 즉,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해당 제1 CSI 보고, 또는 해당 제1 CSI 보고의 제1 자원 인덱스, 또는 해당 제1 CSI 보고의 제1 자원 인덱스 및 각 제1 자원 인덱스에 대응하는 제1 RSRP를 선택하여 리포팅함을 단말에서 확정한다.
단계 B22: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원 인덱스가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원 인덱스와 동일하고, 임의의 제1 자원 인덱스에 대응하는 제1 RSRP와 해당 임의의 제1 자원 인덱스와 동일한 제2 자원 인덱스에 대응하는 제2 RSRP 간의 차이가 기설정 도어 임계값보다 크거나 동일하면,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CSI 보고의 부분 또는 전부를 리포팅함을 단말에서 확정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CSI 보고의 제1 자원 인덱스가 제2 CSI 보고의 제2 자원 인덱스와 동일한 경우, 임의의 자원 인덱스는 각각 제1 CSI 보고와 제2 CSI 보고중에서 하나의 제1 RSRP와 제2 RSRP에 대응하고, 임의의 자원 인덱스에 대응하는 제1 RSRP와 제2 RSRP가 상이하거나 또는 임의의 자원 인덱스에 대응하는 제1 RSRP와 제2 RSRP의 차이 값이 일정한 오차 임계값(즉, 기설정 도어 임계값)보다 크다면,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은 적어도 해당 임의의 자원 인덱스에 대응하는 제1 RSRP 또는 해당 임의의 자원 인덱스에 대응하는 제1 RSRP와 제2 RSRP의 차이 값을 리포팅해야 함을 나타낸다. 즉,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해당 제1 CSI 보고, 또는 상기 임의의 자원 인덱스에 대응하는 제1 RSRP, 또는 해당 임의의 자원 인덱스에 대응하는 제1 RSRP와 제2 RSRP 간의 차이 값, 또는 해당 임의의 자원 인덱스 및 해당 임의의 자원 인덱스에 대응하는 제1 RSRP, 또는 해당 임의의 자원 인덱스와 해당 임의의 자원 인덱스에 대응하는 제1 RSRP와 제2 RSRP간의 차이 값을 리포팅함을 단말에서 확정한다.
진일보 선택적으로, 상기 제1 CSI 보고 및 제2 CSI 보고가 모두 하나의 빔에 대응하는 CSI 보고인 경우, 즉, 제1 CSI 보고와 제2 CSI 보고는 모두 단말이 하나의 빔에 대해 빔 측정을 수행한 후 획득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계 B2는 구체적으로 하기 단계 B23을 포함한다.
단계 B23: 제1 CSI 보고의 제1 RSRP와 제2 CSI 보고의 제2 RSRP 간의 차이 값이 기설정 도어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제1 RSRP를 리포팅함을 단말에서 확정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정보 리포팅 방법에 따르면, 단말이 DRX 모드에 있는 경우, 단말은 제1 정보를 통해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지 여부를 확정하고,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DRX 모드에서의 CSI 보고의 리포팅 규칙을 명확히 함으로써 통신 효율과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정보 리포팅 방법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안은 단말이 오로지 활성기 동안에만 빔 측정 및/또는 CSI 측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것을 통해, DRX 모드의 단말이 진일보 전기 절약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예시적으로, 해당 정보 리포팅 방법은 S301 및/또는 S302를 포함하고, 도 4는 S301 및 S302를 예로서 도시한다.
S301: 단말은 제2 정보에 따라, 오로지 활성기에 있는 단말만이 제1 이벤트를 진행함을 확정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정보는 오로지 활성기에 있는 단말만이 제1 이벤트를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이벤트는 빔 측정 및/또는 CSI 측정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이 전기 절약 모드에 있는 경우, 단말은 제2 정보에 따라 오로지 활성기에 있는 단말만이 제1 이벤트를 진행함을 확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언제 전기 절약 모드로 진입할지를 스스로 확정할 수 있고(예, 단말이 배터리 부족시, 단말은 자동으로 전기 절약 모드로 진입), 네트워크 기기의 지시에 따라 전기 절약 모드로 진입할 수 있으며(예, 기지국은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이 전기 절약 모드로 진입하도록 지시함),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제2 정보는 사전 정의한 것이며, 즉, 프로토콜로 규정된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정보는 네트워크 기기에 대해 구성되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301 전에 하기 단계 C를 더 포함한다.
단계 C: 단말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2 정보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피어 네트워크 기기는 제2 정보를 송신한다.
진일보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2 정보는 RRC 시그널링 또는 MAC CE 또는 DCI에 베어러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정보는:
단말이 제1 이벤트를 진행할 때 사용한 CSI 참조 자원이 활성기에 있거나, 또는, 해당 CSI 참조 자원의 유효한 다운링크 타임 슬롯(valid downlink slot)이 활성기에 있는 조건 1;
상기 단말은 늦어도 해당 CSI 참조 자원 전에, 적어도 1회의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상응하게, 네트워크 기기는 늦어도 해당 CSI 참조 자원 전에, 적어도 1회의 제1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조건 2;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의해 지시된다.
그 중,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채널 측정을 위한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 간섭 측정을 위한 CSI-RS, 간섭 측정을 위한 CSI-IM, 참조 신호 수신 파워(RSRP) 측정을 위한 CSI-RS 또는 동기화 신호 블록(SS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활성기에 있고, 조건 2의 CSI 참조 자원은 활성기 또는 비활성기에 있을 수 있으며, 여기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것은, 조건 1과 조건 2가 동시에 만족되는 경우, CSI 참조 자원과 제1 참조 신호는 동일한 활성기에 있을 수 있고, 상이한 활성기에 있을 수도 있으며, 또한 제1 참조 신호는 CSI 참조 자원보다 늦지 말아야 된다.
S302: 단말은 제3 정보에 따라, 오로지 활성기에 있는 단말만이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함을 확정한다.
상응하게, 피어 네트워크 기기는 제1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정보는 오로지 활성기에 있는 단말만이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오로지 활성기 동안에만 제1 참조 신호를 단말로 송신한다. 예시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로 하여금 오로지 활성기 동안에만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1 참조 신호의 송신 시간을 한정함으로써, 나아가 전기 절약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이 전기 절약 모드에 있는 경우, 해당 단말은 제 3 정보에 따라, 오로지 활성기에 있는 단말만이 제1 이벤트를 진행함을 확정한다.
예시적으로, 단말은 언제 전기 절약 모드로 진입할지를 스스로 확정할 수 있고(예, 단말이 배터리 부족시, 자동으로 전기 절약 모드로 진입), 네트워크 기기의 지시에 따라 전기 절약 모드로 진입할 수 있으며(예, 기지국은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이 전기 절약 모드로 진입하도록 지시),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제3 정보는 사전 정의한 것이며, 즉, 프로토콜로 규정한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정보는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을 위해 구성한 것이다.
예시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302 전에 하기 단계 D를 더 포함한다.
단계 D: 단말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3 정보를 수신한다.
상응하게, 피어 네트워크 기기는 제3 정보를 송신한다.
진일보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3 정보는 RRC 시그널링 또는 MAC CE 또는 DCI에 베어러된다.
주의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S301 및 S302는 선후 단계 구분이 없으며, S302는 S301 이전 또는 S301 이후에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S301과 S302는 동시에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제한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S301 및 S302의 번호는 단계에 대한 구별일 뿐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실시예 2에서 제공하는 방안은 독립적인 방안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실시예 1에서 제공하는 방안과 결합될 수도 있으므로, 본 개시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정보 리포팅 방법은, 단말더러 오로지 활성기 동안에만 빔 측정 및/또는 CSI 측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정하는 것을 통해, 및/또는 오로지 활성기 동안에만 참조 신호를 수신하도록 한정하는 것을 통해, DRX 모드의 단말로 하여금 진일보 전기 절약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 3:
본 개시의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기기(400)를 제공하고, 해당 단말 기기(400)는 확정 모듈(401)을 포함한다.
확정 모듈(401)은, 단말이 불연속 수신(DRX) 모드에 있는 경우, 제1 정보에 따라,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채널 상태 정보(CSI) 보고를 리포팅하는지 여부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상기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을 통해 리포팅한 반지속적 또는 비주기적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 것을 금지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는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PUCCH를 통해 리포팅되는 주기적 CSI 보고, PUCCH를 통해 리포팅되는 반지속적 CSI 보고, PUSCH를 통해 리포팅되는 반지속적 CSI 보고, PUSCH를 통해 리포팅되는 비주기적 CSI 보고 중 적어도 하나를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400)은 획득 모듈(402)를 포함한다.
획득 모듈(402)은, 제1 CSI 보고와 제2 CSI 보고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제2 CSI 보고는 제1 CSI 보고의 앞서 1회의 CSI 보고이며; 확정 모듈(401)은, 구체적으로: 제1 정보가 오로지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함을 지시하면, 획득 모듈(402)에 의해 획득한 제1 CSI 보고 및 제2 CSI 보고에 따라,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제1 CSI 보고의 부분 또는 전부를 리포팅함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진일보 선택적으로, 상기 제1 CSI 보고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원 인덱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CSI 보고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원 인덱스를 포함하며, 제1 자원 인덱스 및 제2 자원 인덱스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 자원 인덱스 또는 동기화 신호 블록 인덱스를 포함한다. 확정 모듈(401)은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원 인덱스가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원 인덱스와 상이한 경우,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제1 CSI 보고의 부분 또는 전부를 리포팅함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진일보 선택적으로, 상기 제1 CSI 보고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원 인덱스 및 각 제1 자원 인덱스에 대응하는 제1 RSRP를 포함하고, 상기 제2 CSI 보고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원 인덱스와 각 제2 자원 인덱스에 대응하는 제2 RSRP를 포함하며, 제1 자원 인덱스 및 제2 자원 인덱스에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 자원 인덱스 또는 동기화 신호 블록 인덱스가 포함된다. 확정 모듈(401)은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원 인덱스가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원 인덱스와 동일하고, 임의의 제1 자원 인덱스에 대응하는 제1 RSRP와 임의의 제1 자원 인덱스와 동일한 제2 자원 인덱스에 대응하는 제2 RSRP 간의 차이 값이 기설정 도어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제1 CSI 보고의 부분 또는 전부를 리포팅함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1 정보는 사전 정의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400)은 수신 모듈(403)을 더 포함한다.
수신 모듈(403)은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제1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확정 모듈(401)은 또한 제2 정보에 따라, 오로지 활성기에 있는 단말만이 제1 이벤트를 진행함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제2 정보는 오로지 활성기에 있는 단말만이 제1 이벤트를 진행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제1 이벤트는 빔 측정 및/또는 CSI 측정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2 정보는 사전 정의된 것이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수신 모듈(403)은,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제2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확정 모듈(401)은 제3 정보에 따라, 오로지 활성기에 있는 단말만이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함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제3 정보는 오로지 활성기에 있는 단말만이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제1 참조 신호는 채널 측정을 위한 CSI-RS, 간섭 측정을 위한 CSI-RS, 간섭 측정을 위한 CSI-IM, RSRP 측정을 위한 CSI-RS 또는 SS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3 정보는 사전 정의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수신 모듈(403)은,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제3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단말이 제1 이벤트를 진행할 때 사용한 CSI 참조 자원이 활성기에 있는 조건 1;
상기 단말은 늦어도 상기 CSI 참조 자원 전에, 적어도 1회의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조건 2 -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채널 측정을 위한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 간섭 측정을 위한 CSI-RS, 간섭 측정을 위한 CSI-IM, 참조 신호 수신 파워(RSRP) 측정을 위한 CSI-RS 또는 동기화 신호 블록(SS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활성기에 있음 -;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의해 지시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이 DRX 모드에 있는 경우, 단말은 제1 정보를 통해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지 여부를 확정함으로서,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DRX 모드에서의 CSI 보고의 리포팅 규칙을 명확히 하여, 통신 효율과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기기는,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 도 2 내지 도 5 중 임의의 하나에 도시된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실시예 4: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네트워크 기기의 하드웨어 구조도를 도시하며. 해당 네트워크 기기(500)는 송신 모듈(501)을 포함한다.
송신 모듈 501은, 상기 단말이 DRX 모드에 있을 경우, 제1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정보에 따라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정보는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상기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을 통해 리포팅한 반지속적 또는 비주기적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 것을 금지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송신 모듈(501)은, 제2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제2 정보는 단말이 제2 정보에 따라, 오로지 활성기에 있는 단말만이 제1 이벤트를 진행하는 것을 확정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제1 정보는 오로지 활성기에 있는 단말만이 제1 이벤트를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제1 이벤트는 빔 측정 및/또는 CSI 측정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송신 모듈(501)은, 단말에 제3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3 정보에 따라, 오로지 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만이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함을 확정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정보는 오로지 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만이 상기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채널 측정을 위한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 간섭 측정을 위한 CSI-RS, 간섭 측정을 위한 CSI-IM, 참조 신호 수신 파워(RSRP) 측정을 위한 CSI-RS 또는 동기화 신호 블록(SS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송신 모듈(501)은 또한, 오로지 활성기에만 제1 참조 신호를 단말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단말이 제1 이벤트를 진행할 때 사용한 CSI 참조 자원이 활성기에 있는 조건 1;
상기 단말은 늦어도 상기 CSI 참조 자원 전에, 적어도 1회의 제1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조건 2 -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채널 측정을 위한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 간섭 측정을 위한 CSI-RS, 간섭 측정을 위한 CSI-IM, 참조 신호 수신 파워(RSRP) 측정을 위한 CSI-RS 또는 동기화 신호 블록(SS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활성기에 있음 -;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의해 지시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크워크 기기는, 단말이 DRX 모드에 있는 경우, 제1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통해, 단말이 제1 정보에 따라,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지시하여,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DRX 모드에서의 CSI 보고의 리포팅 규칙을 명확히 함으로써 통신 효율과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 도 2 내지 도 5 중 임의의 하나에 도시된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실시예 5:
도 8은 본 개시의 각 실시예를 구현하는 단말의 하드웨어 구조도를 도시하며, 해당 단말(100)은 무선 주파수 유닛(101), 네트워크 모듈(102), 오디오 출력 유닛(103), 입력 유닛(104), 센서(105), 표시 유닛(106), 사용자 입력 유닛(107), 인터페이스 유닛(108), 메모리(109), 프로세서(110) 및 전원(111) 등 컴포넌트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도 8에 나타내는 단말(100)의 구조는 단말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으며, 단말(100)은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 컴포넌트들을 조합하거나, 또는 상이한 컴포넌트를 배치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100)은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팜톱 컴퓨터, 차량 탑재 단말, 웨어러블 기기, 및 보수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10)은 단말이 DRX 모드에 있는 경우, 제1 정보에 따라,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지 여부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제1 정보는,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PUSCH를 통해 리포팅되는 반지속적 또는 비주기적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은, 단말이 DRX 모드에 있는 경우, 단말은 제1 정보를 통해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지 여부를 확정하여,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DRX 모드에서의 CSI 보고의 리포팅 규칙을 명확히 함으로써 통신 효율과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101)은 정보 송수신 또는 통화 과정에서,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110)에 의해 처리되도록 하고; 그리고,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통상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10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무선 주파수 유닛(101)은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기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100)은 네트워크 모듈(102)을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하는바, 예컨대, 사용자를 도와 이메일 송수신, 웹 페이지 브라우징, 스트리밍 미디어 액세스 등을 수행한다.
오디오 출력 유닛(103)은 무선 주파수 유닛(1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02)이 수신한 또는 메모리(1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켜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 유닛(103)은 또한, 단말(100)이 수행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컨대, 콜 신호 수신 소리, 메시지 수신 소리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103)은 스피커, 버저 및 수화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104)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입력 유닛(104)은 GPU(1041) 및 마이크(10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1041)는 비디오 캡쳐 모드 또는 이미지 캡쳐 모드에서 이미지 캡쳐 장치(예컨대,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스틸 사진 또는 비디오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표시 유닛(106) 상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1041)에 의한 처리를 거친 후의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109)(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또는 무선 주파수 유닛(1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02)를 경유하여 송신된다. 마이크(1042)는 소리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리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의 경우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유닛(101)을 경유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가능한 포맷으로 전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단말(100)은, 예컨대 광 센서, 운동 센서 및 기타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한 가지 센서(105)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환경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한다. 환경광 센서는 환경 광선의 명도에 따라 표시 패널(1061)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고, 근접 센서는 단말(100)이 귓가로 이동했을 때, 표시 패널(1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턴 오프할 수 있다. 운동 센서의 일종으로서, 가속도계 센서는 각각의 방향에서의(통상적으로, 3 축) 가속도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고, 정지 시, 중력의 크기 및 방향을 검출할 수 있으며, 단말 자태(예컨대, 가로 및 세로 스크린 스위칭, 관련 게임, 자기력계 자세 교정), 진동 식별 관련 기능(예컨대, 보수계, 태핑) 등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센서(105)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더 포함하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표시 유닛(106)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 유닛(106)은 표시 패널(10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LCD, OLED등의 형태로 표시 패널(10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107)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부호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100)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산생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유닛(107)은 터치 패널(1071) 및 기타 입력 기기(1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1071)은, 터치 스크린으로 칭하기도 하며, 사용자가 터치 패널(1071) 상 또는 부근에서의 터치 조작(예컨대,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 등 임의의 적합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로 터치 패널(1071) 상 또는 터치 패널(1071) 부근에서의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1071)은 터치 검출 장치 및 터치 제어기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검출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위를 검출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고, 신호를 터치 제어기로 송신하며; 터치 제어기는 터치 검출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접점 좌표로 전환시킨 후에 프로세서(110)로 보내고, 프로세서(110)가 보낸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한다. 또한, 저항식, 정전용량식, 적외선 및 표면탄성파 등 다양한 유형으로 터치 패널(1071)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1071)외에, 사용자 입력 유닛(107)은 기타 입력 기기(10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기기(1072)는 물리 키보드, 기능키(예컨대, 음량 제어 키버튼, 전원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진일보하여, 터치 패널(1071)은 표시 패널(1061)을 커버할 수 있으며, 터치 패널(1071)은 터치 패널(1071) 상 또는 부근의 터치 조작을 검출한 후, 프로세서(110)에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확정하도록 하고, 그 후, 프로세서(110)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표시 패널(1061) 상에 상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8에서 터치 패널(1071)과 표시 패널(1061)이 독립된 두 컴포넌트로서 단말(100)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고 있으나, 몇몇 실시예들에서, 터치 패널(1071)과 표시 패널(1061)을 집적하여 단말(100)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바,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인터페이스 유닛(108)은 외부 장치가 단말(100)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컨대,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을 갖는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헤드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108)은 외부 장치로부터의 입력(예컨대,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단말(100)내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소자에 전송하기 위한 것 또는 단말(100)과 외부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1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109)는 주로 저장 프로그램 영역 및 저장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저장 프로그램 영역은 작업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 데이터 영역은 휴대폰의 사용에 따라 작성된 데이터(예컨대,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고,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단말(100)의 제어 중심이고, 각종 인터페이스 및 회선을 이용하여 전체 단말(100)의 각 부분을 연결시킨다. 메모리(109)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 또는 수행하고, 그리고 메모리(109)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단말(100)의 각종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단말(100)에 대해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한다. 프로세서(11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세서(11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모뎀 프로세서를 집적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작업 시스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술한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110)에 집적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단말(100)은 각각의 컴포넌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111)(예컨대,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원(1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110)와 로직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관리 및 전력 소비 관리 등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00)은 도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실시예 6: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네트워크 기기의 하드웨어 구조도이며, 네트워크 기기(800)는 프로세서(801), 송수신기(802), 메모리(803), 사용자 인터페이스(804)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그 중, 송수신기(802)는, 단말이 DRX 모드에 있는 경우, 제1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제1 정보는 단말이 제1 정보에 따라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해당 제1 정보는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CSI 보고를 리포팅함을 허용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PUSCH를 통해 리포팅된 반지속적 또는 비주기적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이 DRX 모드에 있는 경우, 제1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통해, 단말이 제1 정보에 따라,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지시하여, 비활성기에 있는 단말이 DRX 모드에서의 CSI 보고의 리포팅 규칙을 명확히 함으로써 통신 효율과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스는 프로세서(801)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803)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함께 연결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문에서는 더이상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802)는 하나의 소자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상이한 사용자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804)는 기기에 외접 또는 내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접속된 기기들은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조이스틱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프로세서(801)는 버스 아키텍처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803)는 프로세서(801)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기기(800)은 또한 도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실시예 7: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또한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단말 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실시예 1의 정보 리포팅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또한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실시예 1의 정보 리포팅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바, 반복을 피면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실시예의 정보 리포팅 방법의 복수 개 단계를 구현하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바, 반복을 피면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상술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OM,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의 각종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랜덤 액세스 방법 실시예의 복수 개 단계를 구현하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상술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OM,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의 각종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 ‘내포’ 또는 기타 임의의 변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며, 예컨대,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과정, 방법, 시스템, 물품 또는 기기는, 명시적으로 열거한 그런 단계 및 유닛에만 한정될 것이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고유한 기타 단계 또는 유닛을 더 포함하도록 할 것을 의도한다. 더 이상 제한 없이, 용어 "하나의 ……을 포함"은, 이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또다른 요소가 더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방식의 설명으로부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에 필수적인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의 방식을 결합으로 실현 가능한 것은 명확히 이해되어야 하며, 하드웨어를 통하여서도 실현 가능하지만, 많은 상황에서, 전자가 더욱 양호한 실시 방식임은 자명한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토대로, 본 개시에 따른 기술방안의 본질적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컨대,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되고, 복수 개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단말(핸드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더러 본 개시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기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구체적인 실시방식은 단지 의도적인 것일 뿐,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개시의 계시하에 본 개시의 정신 및 특허청구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개변 및 변형을 진행할 수 있고,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 내에 있다.

Claims (21)

  1. 단말에 적용되는 정보 리포팅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이 DRX 모드에 있을 경우, 제1 정보에 따라,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을 통해 리포팅한 반지속적 또는 비주기적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 것을 금지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리포팅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을 통해 리포팅되는 주기적 CSI 보고, PUCCH를 통해 리포팅되는 반지속적 CSI 보고, PUSCH를 통해 리포팅되는 반지속적 CSI 보고, PUSCH를 통해 리포팅되는 비주기적 CSI 보고 중 적어도 하나를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리포팅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에 따라,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제1 CSI 보고 및 제2 CSI 보고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2 CSI 보고는 상기 제1 CSI 보고의 앞서 1회의 CSI 보고임 -;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이 DRX 모드에 있을 경우, 제1 정보에 따라,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정보는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CSI 보고 및 제2 CSI 보고에 따라,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CSI 보고의 부분 또는 전부를 리포팅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리포팅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CSI 보고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원 인덱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CSI 보고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원 인덱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원 인덱스 및 상기 제2 자원 인덱스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 자원 인덱스 또는 동기화 신호 블록 인덱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CSI 보고 및 제2 CSI 보고에 따라,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CSI 보고의 부분 또는 전부를 리포팅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원 인덱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원 인덱스와 상이한 경우,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제1 CSI 보고의 부분 또는 전부를 리포팅함을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리포팅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CSI 보고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원 인덱스 및 각 제1 자원 인덱스에 대응하는 제1 참조 신호 수신 파워(RSRP)를 포함하고, 상기 제2 CSI 보고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원 인덱스 및 각 제2 자원 인덱스에 대응하는 제2 RSRP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원 인덱스 및 상기 제2 자원 인덱스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 자원 인덱스 또는 동기화 신호 블록 인덱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CSI 보고 및 제2 CSI 보고에 따라,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CSI 보고의 부분 또는 전부를 리포팅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원 인덱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원 인덱스와 동일하고, 임의의 제1 자원 인덱스에 대응하는 제1 RSRP 와 임의의 제1 자원 인덱스와 동일한 제2 자원 인덱스에 대응하는 제2 RSRP 간의 차이 값이 기설정 도어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CSI 보고의 부분 또는 전부를 리포팅함을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리포팅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사전 정의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정보에 따라,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리포팅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2 정보에 따라, 오로지 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만이 제1 이벤트를 진행함을 확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2 정보는 오로지 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만이 상기 제1 이벤트를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이벤트는 빔 측정 및/또는 CSI 측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리포팅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사전 정의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제2 정보에 따라, 오로지 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만이 제1 이벤트를 진행함을 확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리포팅 방법.
  9.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3 정보에 따라, 오로지 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만이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함을 확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3 정보는 오로지 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만이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채널 측정을 위한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 간섭 측정을 위한 CSI-RS, 간섭 측정을 위한 CSI-IM, 참조 신호 수신 파워(RSRP) 측정을 위한 CSI-RS 또는 동기화 신호 블록(SS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리포팅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보는 사전 정의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제3 정보에 따라, 오로지 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만이 제1 이벤트를 진행함을 확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제3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리포팅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단말이 제1 이벤트를 진행할 때 사용한 CSI 참조 자원이 활성기에 있는 조건 1;
    상기 단말은 늦어도 CSI 참조 자원 전에, 적어도 1회의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조건 2 -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채널 측정을 위한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 간섭 측정을 위한 CSI-RS, 간섭 측정을 위한 CSI-IM, 참조 신호 수신 파워(RSRP) 측정을 위한 CSI-RS 또는 동기화 신호 블록(SS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활성기에 있음 -;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의해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리포팅 방법.
  12.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는 정보 리포팅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이 DRX 모드에 있을 경우, 제1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정보에 따라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채널 상태 정보(CSI) 보고를 리포팅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정보는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을 통해 리포팅한 반지속적 또는 비주기적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 것을 금지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리포팅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제2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정보에 따라 오로지 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만이 제1 이벤트를 진행함을 확정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정보는 오로지 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만이 상기 제1 이벤트를 진행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이벤트는 빔 측정 및/또는 CSI 측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리포팅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제3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3 정보에 따라, 오로지 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만이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함을 확정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정보는 오로지 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만이 상기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채널 측정을 위한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 간섭 측정을 위한 CSI-RS, 간섭 측정을 위한 CSI-IM, 참조 신호 수신 파워(RSRP) 측정을 위한 CSI-RS 또는 동기화 신호 블록(SS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리포팅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오로지 활성기에 상기 단말에 제1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리포팅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단말이 제1 이벤트를 진행할 때 사용한 CSI 참조 자원이 활성기에 있는 조건 1;
    상기 단말은 늦어도 상기 CSI 참조 자원 전에, 적어도 1회의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조건 2 -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채널 측정을 위한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 간섭 측정을 위한 CSI-RS, 간섭 측정을 위한 CSI-IM, 참조 신호 수신 파워(RSRP) 측정을 위한 CSI-RS 또는 동기화 신호 블록(SS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활성기에 있음 -;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의해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리포팅 방법.
  17.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이 불연속 수신(DRX) 모드에 있는 경우, 제1 정보에 따라,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채널 상태 정보(CSI) 보고를 리포팅하는지 여부를 확정하기 위한 확정 모듈; 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상기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을 통해 리포팅한 반지속적 또는 비주기적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 것을 금지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8. 네트워크 기기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이 DRX 모드에 있을 경우, 제1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 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정보에 따라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정보는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상기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비활성기에 있는 상기 단말이 CSI 보고 시각에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을 통해 리포팅한 반지속적 또는 비주기적 CSI 보고를 리포팅하는 것을 금지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9.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임의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정보 리포팅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0. 네트워크 기기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임의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정보 리포팅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1.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임의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정보 리포팅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07031605A 2018-04-03 2019-04-03 정보 리포팅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KR1025422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291348.9 2018-04-03
CN201810291348.9A CN110351813B (zh) 2018-04-03 2018-04-03 一种信息上报方法、终端及网络设备
PCT/CN2019/081233 WO2019192512A1 (zh) 2018-04-03 2019-04-03 信息上报方法、终端及网络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813A true KR20200138813A (ko) 2020-12-10
KR102542288B1 KR102542288B1 (ko) 2023-06-12

Family

ID=68099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1605A KR102542288B1 (ko) 2018-04-03 2019-04-03 정보 리포팅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50257B2 (ko)
EP (1) EP3780832A4 (ko)
JP (1) JP7430642B2 (ko)
KR (1) KR102542288B1 (ko)
CN (2) CN110351813B (ko)
WO (1) WO20191925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15150B2 (en) * 2018-05-09 2021-09-07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Methods and devices for reporting CSI during DRX operations
US11178618B2 (en) * 2019-01-10 2021-11-16 Qualcomm Incorporated Adaptation of power parameter values in discontinuous reception
WO2020230221A1 (ja) * 2019-05-10 2020-11-19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通信方法
CN112702763A (zh) * 2019-10-22 2021-04-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上行传输方法、上行指示方法和设备
US11792671B2 (en) * 2019-11-18 2023-10-17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ing over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s
CN112994852B (zh) * 2019-12-13 2023-06-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上行控制信息上报方法及装置、通信设备
CN112968755B (zh) * 2019-12-14 2023-01-13 华为技术有限公司 资源配置方法、网络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3141659B (zh) * 2020-01-20 2023-01-13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波束管理的方法及设备
CN113163438B (zh) * 2020-01-23 2023-12-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上报方法、终端设备和网络侧设备
CN113596904B (zh) * 2020-04-30 2024-01-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非周期定位报告的传输方法及设备
WO2021258344A1 (en) * 2020-06-24 2021-12-30 Nokia Shanghai Bell Co., Lt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ing
CN113950096A (zh) * 2020-07-17 2022-01-18 北京紫光展锐通信技术有限公司 触发非周期csi触发状态的方法及装置
WO2022015234A1 (en) * 2020-07-17 2022-01-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si on pre-configured pusch in inactive state
JP2023537720A (ja) * 2020-08-05 2023-09-05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古いcsiレポートを含むチャネル状態情報(csi)レポート
CN114071699B (zh) * 2020-08-05 2023-06-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定位方法、装置及相关设备
CN114071765B (zh) * 2020-08-05 2023-09-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4340002A (zh) * 2020-10-10 2022-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道状态测量的方法及相关设备
CN112714468B (zh) * 2020-12-29 2022-10-14 浪潮通信技术有限公司 信道质量上报方法及装置
WO2022204894A1 (zh) * 2021-03-29 2022-10-06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装置
WO2024031443A1 (zh) * 2022-08-10 2024-02-15 富士通株式会社 信息指示、信息接收装置以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1107A1 (zh) * 2012-12-28 2014-07-03 富士通株式会社 信道信息传输方法、装置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014B1 (ko) 2009-11-05 2017-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슬립 모드에서 채널 품질 지시자 채널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S2566974T3 (es) 2010-02-23 2016-04-18 Alcatel Lucent Realimentación de información de estado de canal
KR20140022711A (ko) * 2012-08-14 2014-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47394A (ko) * 2012-10-12 2014-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채널의 채널 상태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WO2014113954A1 (zh) * 2013-01-24 2014-07-3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设备及系统
EP2782409A1 (en) * 2013-03-20 2014-09-2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Deterministic UE behaviour for CSI/SRS Reporting during DRX
US9929839B2 (en) * 2014-08-08 2018-03-27 Futurewei Technologies, Inc. Device, network, and method for communications with fast adaptiv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N107210801B (zh) * 2015-02-05 2021-07-02 Lg 电子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中执行干扰测量的方法及其装置
DE102015009779B4 (de) * 2015-07-27 2021-08-12 Apple Inc. Leistungsoptimierung für Kanalzustandsmeldungen in einem drahtlosen Kommunikationsnetz
CA3017741C (en) * 2016-03-27 2020-01-28 Ofinno Technologies, Llc Channel state information transmission in a wireless network
WO2017197642A1 (en) * 2016-05-20 2017-11-23 Nokia Technologies Oy Dynamic csi-rs sharing scheme
CN107734705A (zh) * 2016-08-12 2018-02-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动态调度的方法及装置
US10432378B2 (en) * 2016-09-30 2019-10-01 Qualcomm Incorporated Use of reference signals to improve user equipment (UE) warm-up before transitioning from an OFF duration of the UE to an on duration of the UE with respect to a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WO2019120520A1 (en) * 2017-12-20 2019-06-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chnique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US10834777B2 (en) * 2018-01-11 2020-11-10 Ofinnon, LLC Discontinuous reception and CSI
US11297674B2 (en) * 2018-02-14 2022-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s at a user equipment
US10743208B2 (en) * 2018-03-12 2020-08-11 Apple Inc. Power saving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reception
KR102450978B1 (ko) * 2018-03-28 2022-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비연속수신모드가 적용시 채널상태보고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11115150B2 (en) * 2018-05-09 2021-09-07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Methods and devices for reporting CSI during DRX opera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1107A1 (zh) * 2012-12-28 2014-07-03 富士通株式会社 信道信息传输方法、装置和系统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21451* *
3GPP R1-1800178* *
3GPP TSG-RAN WG1 Meeting #91, R1-1721451, 2017.11.29. *
3GPP TSG-RAN WG1 Meeting #AH, R1-1800178, 2018.1.1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50257B2 (en) 2023-09-05
EP3780832A1 (en) 2021-02-17
JP2021517434A (ja) 2021-07-15
JP7430642B2 (ja) 2024-02-13
US20210028844A1 (en) 2021-01-28
CN110351813B (zh) 2020-10-27
CN112398633A (zh) 2021-02-23
CN110351813A (zh) 2019-10-18
KR102542288B1 (ko) 2023-06-12
CN112398633B (zh) 2024-01-09
WO2019192512A1 (zh) 2019-10-10
EP3780832A4 (en) 202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2288B1 (ko) 정보 리포팅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US20210360736A1 (en) Discontinuous reception drx configuration method and terminal
EP3965454A1 (en) Measurement method, configurat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US11445418B2 (en) Resource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20210028725A (ko) 채널 검측 지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CN111050423B (zh) 一种非连续接收的处理方法及终端
CN115209548A (zh) 信道传输方法、终端及网络设备
KR102554898B1 (ko) 측정 지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20110552A (ko) 인접 셀 csi 리포트 송신 방법, 수신 방법 및 관련 장치
US20220255617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CN110858999B (zh) 探测参考信号srs功率控制方法、终端及网络设备
CN112994852B (zh) 上行控制信息上报方法及装置、通信设备
CN110139390B (zh) 资源调度指示方法、终端及网络设备
US20220167306A1 (en) Data receiving method, data sending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CN110740024B (zh) 一种csi上报方法、终端及网络设备
KR20220084151A (ko)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의 설정 방법 및 장치
CN113676991A (zh) 功率余量的上报、功率余量报告的获取方法及相关设备
EP4057690A1 (en) Handover method, configurat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EP3944718A1 (en) Information sending and receiving methods, terminal and network device
KR20220087450A (ko) 기준 신호 전송 방법 및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