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8363A - 서비스 키오스크 디바이스 프로비저닝 - Google Patents

서비스 키오스크 디바이스 프로비저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8363A
KR20200138363A KR1020207031371A KR20207031371A KR20200138363A KR 20200138363 A KR20200138363 A KR 20200138363A KR 1020207031371 A KR1020207031371 A KR 1020207031371A KR 20207031371 A KR20207031371 A KR 20207031371A KR 20200138363 A KR20200138363 A KR 20200138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rvice kiosk
data
receptacle
selected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1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일 제이 노팅엄
매튜 프레데릭슨
제롤드 키스 셸턴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ublication of KR20200138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3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085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remote charge determination or related payment systems
    • G06Q20/0855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remote charge determination or related payment systems involving a third par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6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stored in compartments in fixed recepta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1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vending, access and use of specific services not covered anywhere else in G07F17/00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1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means for safe-keeping of property, left temporarily, e.g. by fastening the property
    • G07F17/1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means for safe-keeping of property, left temporarily, e.g. by fastening the property comprising lockable containers, e.g. for accepting clothes to be clean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서비스 키오스크 디바이스 프로비저닝과 연관된 예가 설명된다. 일례는 서비스 키오스크에서 사용자와 연관된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사용자에게 전달될 디바이스의 사양 및 사용자에게 전달될 디바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프로비저닝 데이터도 서비스 키오스크에서 수신된다. 선택된 디바이스는 서비스 키오스크의 격실에 저장된 디바이스 세트로부터 선택된다. 디바이스 세트는 또한 서비스 키오스크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다. 선택된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사양에 따라 선택된다. 선택된 디바이스는 프로비저닝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성된다.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자격증명이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키오스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다. 선택된 디바이스가 저장된 서비스 키오스크의 격실에 대한 물리적 액세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서비스 키오스크 디바이스 프로비저닝
오늘날 컴퓨팅 디바이스는 우리가 생활하고 일하는 방식의 근본적인 부분이 되었을 뿐만아니라, 더 작아지고 더 이동하기 쉬워졌다. 예를 들어, 개인은 엔터테인먼트, 통신, 쇼핑 등을 위해 컴퓨터와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한다. 또한, 기업은 흔히 직원이 광범위하게 다양한 기능에 걸쳐 직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직원에게 컴퓨터를 제공한다. 몇몇 기업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디바이스의 소유권 및 유지보수를 맡지만, 다른 회사는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여 소정의 정보 기술 비용을 절감하도록 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회사는 DAAS(device-as-a-service) 오퍼링에 의존할 수 있다. DAAS 오퍼링에는 사용자 디바이스 및 그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에 대한 서비스 보증을 대가로 디바이스 공급자에게 주기적으로 비용을 지불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첨부 도면과 함께 쓰인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관련하여 보다 충분히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서비스 키오스크 디바이스 프로비저닝과 연관된 예시적인 서비스 키오스크를 도시한다.
도 2는 서비스 키오스크 디바이스 프로비저닝과 연관된 예시적인 동작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서비스 키오스크 디바이스 프로비저닝과 연관된 예시적인 동작의 다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서비스 키오스크 디바이스 프로비저닝과 연관된 다른 예시적인 서비스 키오스크를 도시한다.
도 5는 예시적인 시스템, 방법 및 균등물이 동작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리셉터클 격리와 연관된 예가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더 충분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서비스 키오스크는 DAAS(device-as-a-service) 모델을 지원하는 디바이스 세트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이다. 서비스 키오스크는 격실 내에 저장된 디바이스와 서비스 키오스크에 내장된 다양한 제어 모듈 간의 연결을 제공하는 커넥터가 각각 장착된 격실 세트를 포함한다. 서비스 키오스크는 DAAS 모델에 의존하는 회사의 직원이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물리적으로 설치되어 직원에게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와 연관된 서비스 이벤트가 발생하면, 직원은 키오스크를 방문하여 디바이스가 키오스크에 의해 수리되게 하고/하거나 키오스크에 저장된 백업 디바이스로 교체되게 할 수 있다. 이는 직원에게 할당된 디바이스의 가동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백업 디바이스는 고장난 디바이스를 키오스크 내의 새로운 디바이스로 교체함으로써 결국 기술자가 한 번의 방문으로 키오스크에 저장된 많은 디바이스를 효율적으로 서비스하거나 교체하기 위해 파견될 수 있을 때까지 디바이스 고장이 적어도 일시적으로 완화될 수 있으므로 지원을 제공하는 기술자 파견과 관련된 지원 비용도 줄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서비스 키오스크가 사용자를 위한 디바이스를 프로비저닝하고 그 디바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서비스 키오스크는 디바이스에 설치할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프로비저닝 데이터, 다양한 세팅에 대한 구성, 사용자와 연관된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서비스 키오스크는 프로비저닝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용자 개입 없이 디바이스를 셋업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신입 직원이 소정의 초기 디바이스 셋업을 수행할 필요 없이 픽업하고 작동하기 시작하도록 준비된 디바이스를 구비하게 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 예시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이 제시된다는 것이 이해된다. 그러나, 예시는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에 제한되지 않고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다른 예에서, 방법 및 구조는 예시의 설명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예시는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은 기능(들)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고/하거나 다른 모듈, 방법 및/또는 시스템으로부터 기능 또는 동작을 발생시키도록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머신에서 실행되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각각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모듈은 소프트웨어로 제어된 마이크로프로세서, 별개의 모듈,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프로그래밍된 모듈 디바이스,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은 게이트, 게이트 조합 또는 기타 회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로직 모듈이 설명되는 경우, 복수의 로직 모듈을 하나의 물리적 모듈에 통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단일 로직 모듈이 설명된 경우, 복수의 물리적 모듈 사이에 그 단일 로직 모듈을 분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서비스 키오스크는 전자 디바이스가 서비스 키오스크에 저장되는 동안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전자 디바이스를 안전하게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의 범주를 광범위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서비스 키오스크는 데이터 및/또는 전력 커넥터를 가진 하나 이상의 격실을 구비할 수 있다. 데이터 커넥터에 부착된 디바이스는 서비스 키오스크에 의해 직접 또는 원격 서비스에 의해 원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가 수명 주기의 어디에 있는지에 따라, 구성은 새로운 사용자를 위한 디바이스 셋업, 현재 사용자 대신 디바이스 수정(예컨대, 디바이스 재구성, 디바이스 수리), 디바이스 프로비저닝 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키오스크는 사용자와 통신하고/하거나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도 포함할 수 있다. 인증되면, 서비스 키오스크는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에게 할당된 디바이스와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게 하도록 사용자에게 디바이스 및/또는 격실에 대한 액세스를 허가할 수 있다. 작업은 키오스크로부터 디바이스를 획득하는 것, 키오스크에 디바이스를 저장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예에서, 서비스 키오스크는 예를 들어, 자판기, 사물함 세트, 서랍장 등과 유사할 수 있다. 서비스 키오스크의 다양한 구조적 구성요소는 목재, 금속, 플라스틱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서비스 키오스크는 다리, 지지대, 벽 고정장치(wall fastener) 등과 같은 구조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서비스 키오스크는 DAAS(device-as-a-service) 오퍼링의 서비스 보증 이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DAAS 오퍼링에서, 사용자 또는 기업은 디바이스 공급자에게 디바이스에 대한 비용을 주기적으로 지불하고 디바이스가 고장날 경우 디바이스에 서비스 제공을 약속할 수 있다. 서비스 보증은 다양한 용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예에서 펌웨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디바이스 데이터, 사용자 데이터, 주기적 수명주기 업그레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디바이스의 소유권은 디바이스 공급자에게 남아있을 수 있다. 디바이스가 고장나거나 디바이스와 관련된 몇몇 다른 기술적 문제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가 액세스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 서비스 키오스크는 디바이스 공급자로 하여금 디바이스를 작동하는 디바이스로 교체하는 것까지 포함해서 디바이스에 대한 기술 지원을 보다 쉽게 제공하게 할 수 있다.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여러 디바이스에 의존하는 기업의 경우, 서비스 키오스크 자체에 의해 가능해질 수 있는 기술 지원 기능 외에도, 기업이 새로운 사용자를 위해 새로운 디바이스를 신속하게 프로비저닝할 수 있고, 그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기업을 나갈 때 디바이스를 프로비저닝 해제할 수 있는 온-사이트 서비스 키오스크(on-site service kiosk)를 구비하는 것이 비용 효율적일 수 있다. 결국, 서비스 키오스크 내의 디바이스의 상태로 인해 (예컨대, 서비스 키오스크가 가득 차거나, 비어 있거나, 수리가 필요한 다수의 디바이스를 가지거나, 요인들의 조합 때문에) 서비스 키오스크가 기업에 대한 서비스 보증을 이행하지 못하기 시작할 것 같다고 판단되면, 키오스크 및/또는 그 내부에 저장된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술자를 부를 수 있다. 이는 각각의 고장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술자를 부르거나 현장에 기술자를 두는 것보다 기업 및/또는 디바이스 공급자에게 비용이 적게들 수 있다.
도 1은 리셉터클 격리(receptacle isolation)와 연관된 예시적인 서비스 키오스크(100)를 도시한다. 서비스 키오스크(100)는 리셉터클 세트(110)를 포함한다. 18 개의 리셉터클이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예에서, 서비스 키오스크(100)는 더 많거나 더 적은 수의 리셉터클을 포함할 수 있다. 리셉터클(110)은 전자 디바이스(199)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이한 리셉터클들이 상이한 유형의 전자 디바이스(199)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리셉터클(112)은 예를 들어, 제1 유형의 디바이스(예를 들어, 랩톱)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리셉터클(114)은 제2 유형의 디바이스(예를 들어, 휴대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리셉터클은 랩톱, 전화, 태블릿 또는 기타 디바이스 유형의 상이한 유형, 모델 및/또는 브랜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110)은 다양한 속성에 기초하여 상이한 유형의 디바이스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를 저장하기 위한 리셉터클(110)은 랩톱을 저장하기 위한 리셉터클(110)보다 작을 수 있다.
리셉터클(110)의 특징을 더 예시하기 위해 하나의 리셉터클(140)이 추가적으로 상세하게 예시된다. 이 예에서, 리셉터클(140)은 휴대폰(199)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리셉터클(140), 리셉터클(140)에 설치된 커넥터(160) 등의 사이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여기서, 리셉터클(140)은 범용 직렬 버스(USB) 커넥터(160)를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USB 커넥터(160)는 디바이스(199)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바이스(199)와 서비스 키오스크(100)의 다른 구성요소 사이의 데이터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랩톱의 경우, 리셉터클(110)은 디바이스(199)에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커넥터(160)의 상이한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부적 전력 어댑터가 디바이스에 전력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랩톱에 대한 데이터 연결은, 예를 들어 이더넷 포트, 범용 직렬 버스 포트 또는 기타 유형의 포트를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에서는, 커넥터(160)가 상이한 물리적 형태를 취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여기서, 커넥터(160)는 리셉터클(140)의 후방 벽에 USB 포트로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디바이스(199)를 커넥터(160)에 연결하기 위해 적절한 케이블이 또한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커넥터(160)는, 리셉터클(140)이 구성된 디바이스 유형에 연결하기에 적합한 유형의 케이블이나 인입식(retractable) 케이블, 리셉터클(140)이 구성된 디바이스 유형에 연결하기에 적합한 유형의 도킹 포트, 무선 통신 송신기(예, WIFI, Bluetooth) 등일 수 있다. 커넥터 유형에 따라 상이한 상충점(tradeoff)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USB 포트는 리셉터클(140)로부터 디바이스를 획득한 사용자에게 디바이스 적합 케이블이 제공되도록 보장할 수 있지만, 디바이스(199)를 삽입하는 사용자가 그러한 케이블을 가져 오거나 제공받아야 함을 의미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설치된 케이블 또는 도킹 포트를 포함하는 커넥터는 디바이스를 리셉터클(140)에 삽입하는 사람이 추가 케이블의 제공 없이 디바이스를 삽입할 수 있음을 보장할 수 있지만, 리셉터클(140)에서 디바이스를 회수하는 사용자는 대체 방법을 통해 적절한 케이블을 제공받아야만 함을 의미할 것이다.
리셉터클(140)은 잠금 메커니즘(155)을 또한 포함한다. 이 예에서, 잠금 메커니즘(155)은 리셉터클(140)의 도어(150)에 부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잠금 메커니즘(155)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고, 그 형태는 도어(150)가 사용자에게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설계되는 형태에 의존한다. 여기서, 도어(150)는 예를 들어 외부로 개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예에서는 도어를 슬라이딩, 회전 또는 후퇴시키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잠금 메커니즘(155)은 리셉터클(140)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고 제한하기 위해 서비스 키오스크(100)의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구성요소 및 리셉터클(140)에 대한 액세스가 제어될 수 있는 상황은 이하에서 더 충분히 논의된다. 일부 예에서는, 잠금 메커니즘(155)이 물리적 메커니즘(예를 들어, 서비스 키)을 통해 제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것은 서비스 키오스크(10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리셉터클(140)이 기술자에 의해, 예를 들어 리셉터클(140)의 내용물을 수정하고, 리셉터클(140)의 구성요소를 수리하는 등의 서비스를 받게 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리셉터클(140)은 디지털 격리기(17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여기서, 디지털 격리기(170)는 리셉터클(140)의 구조에 내장된 패러데이 케이지(faraday cage)(170)로 예시된다. 패러데이 케이지(170)는 무선 전자 신호가 디바이스(199)에 의해 리셉터클(140) 외부의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디바이스(199)가 무선 전자 신호를 리셉터클(140) 외부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이 예에서, 패러데이 케이지(140)는 접지된 것(175)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예에서는 접지가 제외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디지털 격리 기술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99) 및 서비스 키오스크(100)의 다른 구성요소 사이의 데이터 연결을 제공하는 포트(160)를 통해 디지털 격리가 달성될 수도 있다. 예로서, 서비스 키오스크(100)는 리셉터클 세트(110)의 멤버 내의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유선 신호의 직접 전송을 방지하기 위해 개별화된 네트워크를 구현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디바이스(199)가 다른 디바이스가 서비스 키오스크(100)에 연결되는지를 검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격리는 리셉터클(110) 내의 디바이스와 서비스 키오스크(100)의 다른 구성요소 사이의 보안화된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신호 격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디지털 격리는 또한 전력 격리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키오스크(100)는 또한 인터페이스(12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120)는 여러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120)는 디스플레이(122), 키보드(128), 키패드(126) 및 무선 주파수 식별(RFID) 스캐너(124)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120)는 이들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서비스 키오스크(100)와 상호 작용하는 사용자와의 통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120)는 예를 들어, 카메라, 터치 입력 디바이스, (예컨대, 리셉터클(110)에 없는 디바이스에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외부 디바이스 커넥터 등을 포함하는 추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20)는 또한 개별 리셉터클(110)과 연관된 조명(180)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180)은 인터페이스가 사용자를 서비스 키오스크(100)의 특정 리셉터클(110)로 유도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키오스크(100)가 사용자를 특정 리셉터클(110)로 유도하려고 하는 경우에, 서비스 키오스크(100)는 그 리셉터클 상의 조명을 제어하여 예를 들면, 조명이 켜지거나, 깜빡이게 할 수 있다.
서비스 키오스크(100)는 또한 서비스 키오스크(100)와 연관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하거나 서비스 키오스크(100)의 격실(110)에 저장된 디바이스(199)를 구성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130)은 예를 들어, 서비스 키오스크(100)에 내장된 컴퓨터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모듈(130)은 원격 정보 기술 모듈(예를 들어, DAAS(device-as-a-service) 동작)과 서비스 키오스크(100)의 격실(110)에 저장된 디바이스(199) 간의 통신을 위해 통과하는 통신 패스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양한 예에서, 모듈(130)은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격실(110) 내의 디바이스(199), 다른 모듈(130) 및 원격 서버 및/또는 디바이스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130)은 인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자격증명(credential)을 수신하고 사용자와 연관된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격증명을 인증할 수 있다. 인증 데이터는 원격 정보 기술 모듈로부터 수신되었을 수 있다. 사용자가 성공적으로 인증되면, 서비스 키오스크(100)의 인증 모듈 또는 다른 모듈(130)은 사용자에게 서비스 키오스크(100)의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110)에 대한 액세스를 허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자격증명을 제공할 수 있다. 자격증명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키보드(128)를 통해 입력한,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이름 및 암호 쌍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자격증명은 사용자가 RFID 스캐너(124)를 통해 제공하는 RFID 신호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99)를 서비스 키오스크(100)의 데이터 커넥터에 연결함으로써, 스스로를 인증할 수 있다. 다단계 인증은 또한 전술한 및/또는 다른 인증 기술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 적합할 수 있다.
다양한 예에서, 서비스 키오스크(100)는 사용자에게 리셉터클(110)에 대한 액세스를 허가하는 것에 대해 선택적일 수 있다. 서비스 키오스크(100)가 사용자에게 액세스가 허용되는 리셉터클(110)이 어느 것인지를 결정하는 방법은 서비스 키오스크(100)가 사용자에 대해 수행하는 기능이 무엇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예에서, 사용자는 서비스 키오스크(100)에서 디바이스를 픽업하는 것, 서비스 키오스크(100)에 디바이스를 저장하는 것, 디바이스가 서비스 키오스크(100)에 의해 수리되거나 구성되게 하는 것, 서비스 키오스크(100)의 도움으로 디바이스의 기술적 문제를 진단하는 것 등을 하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서비스 키오스크(100)는 서비스 키오스크(100)에 의해 수행되는 작업과 연관된 리셉터클에만 그러한 사용자 액세스를 허가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각의 리셉터클(110) 상의 잠금 메커니즘(155)을 제어하는 서비스 키오스크(100)에 의해 이러한 리셉터클(110)에 대한 액세스를 허가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서비스 키오스크(100)의 서비스를 담당하는 기술자인 경우, 사용자에게는 특정 리셉터클에 대한 액세스가 허가될 수 있으며, 일부 경우에는 모든 리셉터클(110)에 대한 포괄적인 액세스가 허가될 수 있다. 이는 기술자로 하여금 리셉터클의 내용물을 조정하게 하고/하거나 서비스 키오스크(100) 내에 또는 서비스 키오스크(100) 자체에 저장된 디바이스에 대한 물리적 유지보수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서비스 키오스크(100)는 또한 다양한 다른 구성요소(19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195)는 서비스 키오스크(100)의 목적을 지원하는 추가 공급품을 저장하는 격실일 수 있다. 예로서, 구성요소(195)는 서비스 키오스크(100)와 상호 작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예비 부품, 여분의 데이터 및/또는 전력 케이블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구성요소(195)는 또한 예를 들어, 서비스를 위해 배송 디바이스(199)를 위한 포장 및 운송 물품(supply)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잠재적 구성요소(195)도 고려될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방법(200)을 도시한다. 방법(200)은 프로세서 실행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는 비일시적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상에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명령어는 프로세서로 하여금 방법(200)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방법(200)은 주문형 집적 회로(ASIC)의 로직 게이트 및/또는 RAM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방법(200)은 서비스 키오스크 디바이스 프로비저닝과 연관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방법(200)은 210에서 인증 데이터, 디바이스 사양 및 프로비저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인증 데이터, 디바이스 사양 및 프로비저닝 데이터는 서비스 키오스크에서 수신될 수 있다. 인증 데이터는 사용자와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데이터는 사용자를 인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사용자와 연관된 자격증명을 지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 사양은 사용자에게 전달되어야 하는 디바이스의 속성을 설명할 수 있다. 디바이스 사양은 특정 디바이스(예컨대, 서비스 키오스크에 저장된 특정 디바이스), 디바이스의 특정 모델, 사용자에게 전달해야 하는 디바이스의 속성(예컨대, 하드 디스크 크기, 이용 가능한 RAM, 접근가능성 특징) 등을 설명할 수 있다. 프로비저닝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전달될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예로서, 프로비저닝 데이터는 디바이스에 설치할 데이터, 디바이스에 설치할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에서 조정할 특정 세팅 등을 식별할 수 있다. 프로비저닝 데이터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에서 변경할 세팅, 디바이스에 설치할 업데이트 등을 식별할 수도 있다.
방법(200)은 또한 220에서 선택된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된 디바이스는 서비스 키오스크의 격실에 저장된 디바이스 세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디바이스 세트의 멤버는 서비스 키오스크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키오스크는 서비스 키오스크가 디바이스 세트의 멤버와 통신하게 하고/하거나 소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디바이스 세트의 멤버를 제어하게 하는 데이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된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사양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예로서, 디바이스 사양이 사용자에게 전달되어야 하는 디바이스를 설명하는 속성 세트를 포함하는 경우, 매칭 정책에 따라 디바이스 사양에 가장 근접하게 일치하는 서비스 키오스크 내의 디바이스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칭 정책은 어떤 시나리오에서 디바이스 사양을 초과하고, 디바이스 사양에 미달되는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것이 적절한지, 그리고 혼합된 결과가 있는 경우, 디바이스 사양의 어느 부분을 우선순위를 정할지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디바이스가 사용자가 수행할 작업에 적합하다는 것을 보장하려고 할 때 데이터 저장 레벨보다 지정된 처리 레벨을 충족하는 우선순위를 정하도록 매칭 정책이 구성될 수 있다.
방법(200)은 230에서 선택된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한다. 선택된 디바이스는 프로비저닝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비저닝 데이터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될 디바이스에 설치될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경우, 선택된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것은 프로비저닝 데이터에서 식별된 다른 프로비저닝 작업을 위해 선택된 디바이스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선택된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것은 디바이스를 사용자와 연관된 것으로 식별하는 추적 데이터로 선택된 디바이스를 인코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이것은 추적 데이터를 선택된 디바이스에 내장된 무선 주파수 식별(RFID) 칩 상으로 인코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다단계 식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방법(200)은 또한 240에서 사용자로부터 자격증명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자격증명은 서비스 키오스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 키패드, 키보드, RFID 스캐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인증 데이터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고용주에 의해 사용자에게 할당된 RFID 배지(badge)로부터 회수될 RFID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자격증명은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알려진 암호, 사용자에게 속한 생체인식, 다단계 자격증명 등일 수 있다.
자격증명이 210에서 수신된 인증 데이터와 일치할 때, 방법(200)은 250에서 사용자에게 서비스 키오스크의 격실에 대한 물리적 액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서비스 키오스크의 격실은 선택된 디바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된 디바이스가 할당되는 당사자가 아니라 제3자에게 전달될 디바이스의 허가된 회수자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제3자의 관리자, 제3자의 보조원 등일 수 있다.
도 3은 서비스 키오스크 디바이스 프로비저닝과 연관된 방법(300)을 도시한다. 방법(300)은 방법(200)과 관련하여 전술된 것과 유사한 여러 동작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방법(300)은 310에서 인증 데이터, 디바이스 사양 및 프로비저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320에서 선택된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 330에서 선택된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단계, 340에서 사용자로부터 자격증명을 수신하는 단계, 및 350에서 사용자에게 선택된 디바이스에 대한 물리적 액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300)은 또한 360에서 사용자가 선택된 디바이스가 저장된 격실로부터 선택된 디바이스에 액세스하도록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서비스 키오스크 상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안내받을 수 있다.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선택된 디바이스가 저장된 격실의 위치 및/또는 수를 표시하는 키오스크 상의 디스플레이, 선택된 디바이스가 저장된 격실을 식별하기 위해 켜지거나 깜빡이는 키오스크의 개별 격실 상의 조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예를 들어, 수신된 디바이스를 선택된 디바이스가 저장된 격실 또는 서비스 키오스크의 다른 격실에 저장하도록 안내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된 디바이스에 대해 소정의 초기 셋업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통해 안내받을 수도 있다.
방법(300)은 또한 370에서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것으로 선택된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된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것은 사용자의 고용주를 대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 기술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로의 디바이스의 할당을 기록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정보 기술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의 고용주가 운영하는 DAAS 에코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키오스크는 사용자의 고용주가 운영하는 시설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서비스 키오스크 디바이스 프로비저닝과 연관된 예시적인 서비스 키오스크(400)를 도시한다. 서비스 키오스크(400)는 리셉터클 세트(410)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리셉터클(440)이 추가적으로 상세하게 도시된다. 리셉터클 세트(410)의 각각의 멤버는 어댑터(46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460)는 전자 디바이스(499)에 전력을 제공하고, 전자 디바이스(499)와 서비스 키오스크(400)의 구성요소 사이에 데이터 연결을 제공하는 것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어댑터(460)는 디바이스(499)에 전력 및 데이터 연결을 모두 제공하는 USB 포트로 도시된다. 그러나, 다른 예에서, 서비스 키오스크(400)에 다른 유형의 디바이스를 연결하기 위해 다른 커넥터가 적절할 수 있다. 리셉터클 세트(410)의 멤버는 리셉터클(410)의 내용물(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499))을 보호하기 위한 잠금 메커니즘(455)도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잠금 메커니즘(455)은 예시적인 리셉터클(440)의 도어(450)에 부착된다. 여기서 잠금 메커니즘은 도어(455)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잠금 메커니즘(455)은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리셉터클(410)은 다른 리셉터클에 저장된 디바이스로부터 전자 디바이스를 전기적으로 격리하기 위한 디지털 아이솔레이터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전자 디바이스가 서로 통신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리셉터클(410)에 저장된 디바이스 사이에 멀웨어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서비스 키오스크(400)는 또한 데이터 수신 모듈(430)을 포함한다. 데이터 수신 모듈(430)은 사용자와 연관된 데이터 세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와 연관된 데이터는 사용자와 연관된 인증 정보, 사용자에게 전달될 디바이스의 사양, 사용자에게 전달될 디바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프로비저닝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키오스크(400)는 또한 프로비저닝 모듈(432)을 포함한다. 프로비저닝 모듈(432)은 리셉터클 세트(410)의 선택된 멤버로부터 선택된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리셉터클(499)에 저장된 디바이스(499)가 선택되었다. 프로비저닝 모듈(432)은 디바이스 사양에 기초하여 선택된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디바이스 사양은 예를 들어, 디바이스 유형, 디바이스 번호, 디바이스의 속성 등으로 디바이스를 지정할 수 있다. 프로비저닝 모듈(432)은 또한 프로비저닝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택된 디바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프로비저닝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택된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것은 예를 들어, 프로비저닝 데이터에서 식별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된 디바이스에 설치하는 것, 프로비저닝 데이터에서 식별된 데이터를 선택된 디바이스에 저장하는 것, 프로비저닝 데이터에 따라 선택된 디바이스에서 세팅을 구성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키오스크(400)는 또한 인증 모듈(434)을 포함한다. 인증 모듈(434)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자격증명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인증 모듈(434)은 또한 사용자와 연관된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인증 모듈(434)이 사용자를 인증할 때, 인증 모듈(434)은 사용자에게 물리적 액세스를 허가하기 위해 리셉터클 세트(410) 중 선택된 멤버(440)의 선택된 잠금 메커니즘(예를 들어, 잠금 메커니즘(455))을 제어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선택된 디바이스(499)를 획득하게 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서비스 키오스크(400)는 또한 인터페이스 모듈(도시 생략)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를 리셉터클(410)에 저장하고, 선택된 리셉터클(440)로부터 선택된 디바이스(499)를 획득하며, 선택된 디바이스(499)의 초기 셋업을 수행하는 등의 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은 이러한 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데에 서비스 키오스크(400)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액세스해야 하는 리셉터클(410)을 식별하기 위한 리셉터클(410) 상의 조명, 사용자에게 지시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사용자로부터 피드백을 수신하는 다양한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한다.
도 5는 예시적인 시스템 및 방법, 및 균등물이 동작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컴퓨팅 디바이스는 버스(530)에 의해 연결된 프로세서(510) 및 메모리(520)를 포함하는 컴퓨터(500)일 수 있다. 컴퓨터(500)는 서비스 키오스크 디바이스 프로비저닝 모듈(540)을 포함한다. 서비스 키오스크 디바이스 프로비저닝 모듈(540)은 예시적인 시스템, 방법 등과 관련하여 전술된 다양한 기능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이한 예에서, 서비스 키오스크 디바이스 프로비저닝 모듈(540)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주문형 집적 회로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프로세서 실행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또한 메모리(520)에 일시적으로 저장되고 그 다음에 프로세서(510)에 의해 실행되는 데이터(550) 및/또는 프로세스(560)로서 컴퓨터(500)에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듀얼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다른 멀티-프로세서 아키텍처를 포함하는 다양한 프로세서일 수 있다. 메모리(520)는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판독 전용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멤리스터) 및/또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20)는 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고체 상태 디스크 드라이브,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테이프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카드, 광학 디스크 등일 수도 있다. 따라서, 메모리(520)는 프로세스(560) 및/또는 데이터(550)를 저장할 수 있다. 컴퓨터(500)는 또한 다수의 구성(도시되지 않음)으로 다른 컴퓨터, 디바이스, 주변기기 등을 포함하는 다른 디바이스와 연관될 수 있다.
개시된 예들의 이전 설명이 당업자가 본 개시내용을 작성하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는 것이 이해된다. 이러한 예에 대한 다양한 수정은 당업자에게 쉽게 자명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는 본 개시내용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예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제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명세서에 개시된 원리 및 신규 특징과 일치하는 가장 넓은 범위와 부합해야 한다.

Claims (15)

  1. 서비스 키오스크(service kiosk)에서, 사용자와 연관된 인증 데이터,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될 디바이스의 사양 및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될 상기 디바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프로비저닝 데이터(provisioning data)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키오스크의 격실(compartment)에 저장되고, 상기 서비스 키오스크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디바이스 세트 중에서 선택된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 -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 사양에 따라 선택됨 - 와,
    상기 프로비저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키오스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자격증명(credential)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자격증명이 상기 인증 데이터와 일치할 때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가 저장된 상기 서비스 키오스크의 격실에 대한 물리적 액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비저닝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상기 디바이스에 설치될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고,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것으로 식별하는 추적 데이터로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 데이터는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에 내장된 무선 주파수 식별(RFID) 칩 상에 인코딩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고용주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된 RFID 배지(badge)로부터 회수될 RFID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제3자를 대신하여 획득될 디바이스의 허가된 회수자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고용주를 대신하여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디바이스의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정보 기술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된 것으로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 상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격실로부터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회수하는 것, 상기 격실에 수신된 디바이스를 저장하는 것, 다른 격실에 수신된 디바이스를 저장하는 것 및,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의 초기 셋업을 수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서비스 키오스크로서,
    전자 디바이스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 세트(a set of receptacles) - 각각의 리셉터클은,
    전자 디바이스에 전력을 제공하는 것과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상기 서비스 키오스크의 구성요소 사이에 데이터 연결을 제공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어댑터와,
    상기 리셉터클의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한 잠금 메커니즘
    을 포함함 - 와,
    사용자와 연관된 데이터 세트,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될 디바이스의 사양 및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될 상기 디바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프로비저닝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모듈과,
    상기 디바이스 사양에 기초하여, 상기 리셉터클 세트 중 선택된 멤버로부터 선택된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상기 프로비저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프로비저닝 모듈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자격증명 및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상기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획득하게 하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물리적 액세스를 허가하기 위해 상기 리셉터클 세트 중 상기 선택된 멤버의 선택된 잠금 메커니즘을 제어하는 인증 모듈을 포함하는
    서비스 키오스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다른 리셉터클에 저장된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자 디바이스를 전기적으로 격리하기 위한 디지털 아이솔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키오스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를 리셉터클에 저장하는 것, 상기 선택된 리셉터클로부터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획득하는 것, 및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의 초기 셋업을 수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는
    서비스 키오스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비저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것은, 상기 프로비저닝 데이터에서 식별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에 설치하는 것, 상기 프로비저닝 데이터에서 식별된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에 저장하는 것 및 상기 프로비저닝 데이터에 따라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에서 세팅을 구성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키오스크.
  13. 프로세서 실행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프로세서 실행가능 명령어는, 실행될 때, 프로세서가,
    서비스 키오스크에서, 사용자와 연관된 인증 데이터,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될 디바이스의 사양 및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될 상기 디바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프로비저닝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디바이스 사양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키오스크의 격실에 저장된 디바이스 세트로부터 선택된 디바이스를 선택 - 상기 디바이스 세트의 멤버는 상기 격실 내에 저장되어 상기 서비스 키오스크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디지털적으로 격리됨 - 하며,
    상기 프로비저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구성하고,
    사용자들에게 제공된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인프라구조와 연관된 정보 기술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된 것으로 상기 디바이스를 등록하며,
    상기 서비스 키오스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자격증명을 수신하고,
    상기 격실 상의 잠금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가 저장된 상기 서비스 키오스크의 격실에 대한 물리적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기술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고용주에 의해 운영되는 DAAS(device-as-a-service) 에코시스템의 일부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키오스크는 상기 사용자의 고용주에 의해 운영되는 시설에 설치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207031371A 2018-04-30 2018-04-30 서비스 키오스크 디바이스 프로비저닝 KR202001383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8/030280 WO2019212509A1 (en) 2018-04-30 2018-04-30 Service kiosk device provision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363A true KR20200138363A (ko) 2020-12-09

Family

ID=68386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1371A KR20200138363A (ko) 2018-04-30 2018-04-30 서비스 키오스크 디바이스 프로비저닝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36568B2 (ko)
EP (1) EP3788566A4 (ko)
KR (1) KR20200138363A (ko)
CN (1) CN111868761A (ko)
WO (1) WO20192125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2652B1 (en) * 2015-09-29 2024-04-30 Tech Friends, Inc. Secure charging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JP6842678B2 (ja) * 2018-05-14 2021-03-17 株式会社シー・オー・コンヴ 端末貸出システム
WO2020159488A1 (en) * 2019-01-30 2020-08-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ice component distribution
US11749040B2 (en) * 2019-04-30 2023-09-05 Digilock Asia Ltd Locker system for storage and delivery of packages
US11957278B2 (en) * 2021-05-06 2024-04-16 Kitchen Robotics Ltd RFID tagged and identified cookware in robotic or automated cook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99510A3 (en) 1998-11-02 2003-10-22 Ncr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ed item return processing
US10127518B2 (en) * 2000-05-25 2018-11-13 Redbox Automated Retail, Llc System and kiosk for commerce of optical media through multiple locations
US8146072B2 (en) 2004-07-30 2012-03-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software on a computer
JP5306812B2 (ja) 2005-05-31 2013-10-02 ビジ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キオスクから製品を送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US7788352B2 (en) 2005-07-14 2010-08-31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servicing a user device
US8307288B1 (en) 2006-12-05 2012-11-06 David Gene Smaltz Active forms content delivery service for entites and mobile networked device users (active forms)
KR20090079114A (ko) 2008-01-16 2009-07-21 무인택배시스템 주식회사 무인 택배 관리 장치 및 방법
US10853873B2 (en) * 2008-10-02 2020-12-01 Ecoatm, Llc Kiosks for evaluating and purchasing used electronic devices and related technology
US9177272B2 (en) 2008-12-23 2015-11-03 Ncr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obtaining diagnostic data from a device at a remote location
US8015455B1 (en) 2009-04-30 2011-09-06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elf-service terminal for making deposits and for permitting withdrawals
US8161330B1 (en) 2009-04-30 2012-04-17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elf-service terminal remote diagnostics
CN102549561B (zh) 2009-07-30 2015-01-21 弗莱克斯电子有限责任公司 远程装置诊断和修复设备和方法
US20110060945A1 (en) 2009-09-08 2011-03-10 Softthinks Sas Smart repair of computer systems
US8204622B2 (en) 2009-12-18 2012-06-19 Ncr Corporation Entertainment media rental and return system and a removable storage bin therefor
US20110161227A1 (en) 2009-12-30 2011-06-30 IM Marketing Concept LLC Automated drop-off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US20120079100A1 (en) 2010-05-28 2012-03-29 Motorola Mobility, Inc. Electronic device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US9472042B2 (en) * 2010-11-23 2016-10-18 Ncr Corporation Controllable kiosk return gate
US20120248183A1 (en) * 2011-03-31 2012-10-04 James Allen Cook Vending Machine For Rental Services
US20120265696A1 (en) 2011-04-12 2012-10-18 Teletech Holdings, Inc. Methods for providing dynamic and proactive support services
US9478091B2 (en) * 2011-07-29 2016-10-25 Ncr Corporation Digital media rental and return kiosk having a three-position lockable gate mechanism and methods of operating a digital media rental and return kiosk
US20130335027A1 (en) * 2012-06-14 2013-12-19 Jiang Xin Secure Mobile Electronic Device Servicing Kiosk
US20140128023A1 (en) * 2012-11-08 2014-05-08 Benjamin Guerra Apparatus for dispensing rented wireless devices for internet access via a local area network (lan)
KR101531443B1 (ko) 2013-09-02 2015-06-24 김미희 세탁 서비스 시스템
US9392103B2 (en) 2013-09-13 2016-07-12 Facebook, Inc. Techniques for mobile device personalization
US9508212B2 (en) 2013-09-18 2016-11-29 Renovo Software, Inc. Apparatus for controlling access to and us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10600095B2 (en) 2013-09-26 2020-03-24 Amazon Technologies, Inc. Kiosk management system
US9256997B2 (en) 2013-11-25 2016-02-09 Foxpaw Secure repair kiosk system and method
US10140654B2 (en) 2014-03-20 2018-11-27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Concepts for repair and service of a consumer device using a network connection and diagnostic test
US20160275518A1 (en) * 2015-03-19 2016-09-22 ecoATM, Inc. Device recycling systems with facial recognition
KR101628976B1 (ko) 2015-03-24 2016-06-13 박효미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
US10325440B2 (en) * 2016-03-02 2019-06-18 Vital Sales Force, Llc Interactive kiosk for mobile electronics
KR101678816B1 (ko) 2016-06-17 2016-11-23 주식회사 앱코 스마트 디바이스의 스토리지 장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US20190172291A1 (en) * 2017-12-04 2019-06-06 Black Hills Solutions Automated stockroom for service management, dispensing & asset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868761A (zh) 2020-10-30
EP3788566A1 (en) 2021-03-10
US11436568B2 (en) 2022-09-06
WO2019212509A1 (en) 2019-11-07
EP3788566A4 (en) 2021-12-08
US20220004999A1 (en)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39207A (ko) 서비스 키오스크 디바이스 구성
KR20200139205A (ko) 서비스 키오스크 디바이스 프로비저닝
KR20200138363A (ko) 서비스 키오스크 디바이스 프로비저닝
KR102402152B1 (ko) 서비스 키오스크 디바이스 유지보수
KR20200139208A (ko) 디바이스 저장소 격리
US20210358258A1 (en) Device component distribution
KR102402154B1 (ko) 서비스 키오스크 액세스
US11763614B2 (en) Receptacle iso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