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8293A - 스위칭 방법 및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 Google Patents

스위칭 방법 및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8293A
KR20200138293A KR1020207030490A KR20207030490A KR20200138293A KR 20200138293 A KR20200138293 A KR 20200138293A KR 1020207030490 A KR1020207030490 A KR 1020207030490A KR 20207030490 A KR20207030490 A KR 20207030490A KR 20200138293 A KR20200138293 A KR 20200138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device
access network
core network
data channel
plan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0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엔화 리우
닝 양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38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2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6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radio link in the target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 H04W36/385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of the cor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6Hand-off preparation specially adapted for end-to-end data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가 제1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 스위칭할 때,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 설정한 데이터 채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와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를 상기 단말 기기에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위칭 방법 및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를 개시하였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법과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위칭 방법 및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스위칭 방법 및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관한 것이다.
뉴 라디오(New Radio, NR) 시스템에서는 NR 기지국과 LTE(Long Term Evolution, LTE) 기지국이 진화된 패킷 코어(Evolved Packet Core, EPC) 또는 5G 코어 네트워크에 각각 또는 동시에 액세스한다. 멀티 코어 네트워크 환경에 있어서, 현존의 스위칭 과정에서,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스위칭 과정에 존재할 수 있는데 만약 스위칭 시기가 적절하지 않으면, 일부 데이터의 전송은 보장받지 못하게 된다.
이를 감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스위칭 과정에서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설정된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달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는 스위칭 방법 및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서는, 단말 기기가 제1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 스위칭할 때,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 설정한 데이터 채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와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를 상기 단말 기기에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위칭 방법을 제공한다.
한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데이터 채널은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간의 채널이고,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의 ID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 및/또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한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데이터 채널 ID는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의 ID다.
한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발송된 상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상향 데이터를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발송된 하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하향 데이터를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데이터 채널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 간의 채널이고,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의 ID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 및/또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한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의 ID 및/또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향 데이터를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발송하기 위한 것이다.
한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스위칭을 완료하기 이전에,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를 통하여 상기 제1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하고, 상기 단말 기기가 스위칭을 완료한 이후,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를 통하여 상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한다.
한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1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상이한 통신 시스템 중의 코어 네트워크 기기이거나 또는 동일한 통신 시스템 중의 상이한 코어 네트워크 기기이다.
제2 양태에서, 단말 기기가 제1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 스위칭할 때,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발송된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를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위칭 방법을 제공한다.
한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데이터 채널은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간의 채널이고,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의 ID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 및/또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한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데이터 채널 ID는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의 ID이다.
한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발송된 상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상향 데이터를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발송된 하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하향 데이터를 상기 단말 기기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발송된 스위칭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데이터 채널을 해제하거나 및/또는 상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경로 스위칭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데이터 채널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 간의 채널이고,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의 ID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 및/또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한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의 ID 및/또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향 데이터를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발송하기 위한 것이다.
한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하향 데이터를 발송하기 위한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를 구비한 경로 스위칭 메시지를 상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스위칭을 완료하기 이전에,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를 통하여 상기 제1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하고, 상기 단말 기기가 스위칭을 완료한 이후,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를 통하여 상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한다.
한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1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상이한 통신 시스템 중의 코어 네트워크 기기이거나 또는 동일한 통신 시스템 중의 상이한 코어 네트워크 기기이다.
제3 양태에서는 상기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형태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형태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4 양태에서는 상기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형태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형태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5 양태에서는,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는 버스 시스템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상기 메모리는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의해 저장된 인스트럭션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형태 중의 방법을 수행한다.
제6양태에서는,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는 버스 시스템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상기 메모리는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의해 저장된 인스트럭션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형태 중의 방법을 수행한다.
제7양태에서는, 상기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형태 중의 방법, 또는 상기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형태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기록매체는 상기 양태를 수행하기 위해 설계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제8양태에서는,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가 상기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하나의 선택 가능한 구현 형태 중의 방법, 또는 상기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임의의 하나의 선택 가능한 구현 형태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양태 또는 기타 양태는 이하 실시예의 설명에서 더 간단 명료하고 이해하기 쉽다.
도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응용 환경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방법을 도시한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방법을 도시한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방법을 도시한 또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방법을 도시한 또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를 도시한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를 도시한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를 도시한 또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를 도시한 또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아래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글로벌 모바일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엑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엑세스(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LTE(Long Term Evolved,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범용 모바일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WiMAX) 통신 시스템, 뉴 라디오(New Radio, NR) 또는 미래 5G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스파스 코드 다중 엑세스(Sparse Code Multiple Access, SCMA) 시스템, 저밀도 서명(Low Density Signature, LDS)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비 직교 다중 엑세스 기술에 기반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물론 SCMA 시스템 및 LDS 시스템이 통신 분야에서 다른 명칭으로 지칭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비 직교 다중 엑세스 기술을 적용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필터 뱅크 다중 반송파(Filter Bank Multi-Carrier, FBMC), 일반 주파수 분할 다중화(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GFDM), 필터링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Filtered-OFDM, F-OFDM) 시스템 등과 같은 비 직교 다중 엑세스 기술을 이용한 다중 반송파 전송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 실시예 중의 단말 기기는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모바일 스테이션, 이동 플랫폼,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모바일 기기,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 통신 단말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를 가리킬 수 있다. 액세 단말기는 셀룰러 폰, 무선 전화기, 액세스 설정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폰, 무선 가입자 회선(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핸드 헬드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처리 기기,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미래 5G네트워크 중의 단말 기기 또는 미래 진화된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단말 기기 등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기기일 수 있으며,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GSM 또는 CDMA에서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고, W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LTE 시스템에서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고, 클라우드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시나리오에서의 무선 컨트롤러일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및 미래 5G 네트워크에서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다양한 통신 시스템 중의 코어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의 진화 패킷 코어 네트워크(Evolved Packet Core)일 수 있고, NR중에서 차세대 코어 네트워크(Next Generation Core, NGC) 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아래에서 도1을 결부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응용 환경에 대해 소개하기로 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기기(UE)는 LTE 중의 기지국을 통하여 LTE 중의 코어 네트워크(EPC)에 액세스할 수 있고, NR 중의 기지국을 통하여 NR 중의 코어 네트워크(NGC)에 액세스 할 수도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멀티 코어 네트워크는 NR 중의 코어 네트워크 NGC로부터 LTE 중의 코어 네트워크 EPC로의 스위칭과 같은 멀티 시스템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멀티 코어 네트워크는 동일한 통신 시스템 하의 상이한 코어 네트워크 기기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칭 전후의 두개의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전부 LTE 중의 코어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거나 또는 전부 NR 중의 코어 네트워크 기기일 수도 있다.
현존의 멀티 코어 네트워크 방안 중에서는,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가 문턱치를 측정하는 것에 따라 스위칭을 트리거하는 시기를 결정할 수 있는 바, 다시 말하면,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멀티 코어 네트워크 간의 스위칭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멀티 코어 네트워크 간의 스위칭이 맞다면, 소스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스위칭 요청을 발송해야 하고, 소스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타깃 코어 네트워크에 리소스를 준비하도록 통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단말 기기가 스위칭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다. 현재의 멀티 코어 네트워크의 스위칭 과정에서는 스위칭 단계가 너무 많고, 만약 단말 기기의 이동 속도가 너무 빠르고, 이 기간 동안 또 전송할 데이터가 있다면, 데이터 전송이 실패할 수 있다.
도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방법(100)을 도시한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100)은 도1 중의 응용 환경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방법(100)은 하기 단계의 일부 또는 전부 내용을 포함한다.
단계 S110에 있어서, 단말 기기가 제1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 스위칭할 때,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를 발송한다.
단계 S120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 설정한 데이터 채널의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130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와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를 상기 단말 기기에 발송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로 지칭할 수 있고,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로 지칭할 수 있다. 비슷하게, 제1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 지칭할 수 있고,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타깃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 지칭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단말 기기가 스위칭을 완료하기 이전에, 상기 단말기기는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를 통하여 상기 제1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하고, 상기 단말 기기가 스위칭을 완료한 이후,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를 통하여 상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상이한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대응되는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같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는 스위칭하기 이전에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각각 소스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와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측정 보고를 발송하고,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가 리포트한 측정 보고를 기반으로 하여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를 스위칭 할지 여부를 판정하며, 만약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예를 들어 시스템 간의 스위칭 또는 동일한 시스템 간의 상이한 코어 네트워크 기기 간의 스위칭일 수 있는 멀티 코어 네트워크 간의 스위칭으로 판정하면,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고,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와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 기기와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전달될 수 있거나, 또는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직접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와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채널을 설정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단말 기기와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는 직접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스위칭 방법은, 스위칭 과정에서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설정된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어,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채널은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간의 채널이고,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의 ID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 및/또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도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스위칭 방법(200)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200)은 하기 단계의 일부 또는 전부 내용을 포함한다.
단계 S210에 있어서, 단말 기기가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측정 보고를 발송하고,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측정 보고에 따라 멀티 코어 네트워크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220 있어서,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멀티 코어 네트워크를 판정하면,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를 발송한다.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는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의 ID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의 ID는 TEID(Tunnel Endpoint Identifier,TEID)이다.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와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데이터 채널에 리소스 또는 ID를 할당할 수 있고, 예컨대 상기 데이터 채널에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단계 S230에 있어서,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데이터 채널을 위해 배치된 일부 정보를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피드백할 수 있다. 예컨대,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 및/또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구성 파라미터를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발송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는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의 ID인 바, 이렇게 하면,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설정한 것이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와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채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단계 S240에 있어서,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발송된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 및/또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구성 파라미터를 수신한 후,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 및/또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구성 파라미터를 단말 기기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기기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발송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200)은, 단말 기기가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상향 데이터를 발송하는 단계 S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단계 S250는, 단말 기기가 이미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로 스위칭되어, 타깃 액세스 네트워트 기기에 상향 데이터를 발송할 수 있는 단계 S251;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설정된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와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에 상기 상향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단계 S252;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진일보로 상기 상향 데이터를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전달할 수 있는 단계 S253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200)은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에 하향 데이터를 발송하는 단계 S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단계 S260은, 단말 기기가 이미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로 스위칭되어,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하향 데이터를 발송할 수 있는 단계 S261;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설정된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와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하향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단계 S262;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진일보로 상기 하향 데이터를 단말 기기에 전달할 수 있는 단계 S263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200)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멀티 코어 네트워크 간의 스위칭이라고 결정하면,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스위칭 요청을 더 발송할 수 있고, 나아가 소스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패킷 데이터 유닛((packet data unit,PDU) 세션 컨텍스트를 획득할 수도 있다.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스위칭 명령을 발송할 수도 있고, 단말 기기는 상기 스위칭 명령을 수신한 후,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스위칭 완료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의해 발송된 스위칭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후, 타깃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스위칭 완료 통지를 발송할 수 있고, 그러면 타깃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경로 스위칭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으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와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간의 경로를 소스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타깃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 스위칭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의해 발송된 스위칭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후,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와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간에 설정된 데이터 채널을 해제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채널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와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 간의 채널이고,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의 ID를 구비하며,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의 ID는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발송된 상향 데이터를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발송하기 위한 것이다.
도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스위칭 방법(300)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300)은 하기 단계의 일부 또는 전부 내용을 포함한다.
단계 S310에 있어서, 단말 기기가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측정 보고를 발송하고,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측정 보고에 따라 멀티 코어 네트워크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320에 있어서,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멀티 코어 네트워크를 판정하면,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를 발송한다.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는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의 ID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의 ID는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의 주소 정보이다.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와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채널을 직접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데이터 채널에 리소스 또는 ID를 할당할 수 있고, 예컨대 상기 데이터 채널에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단계 S330에 있어서,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데이터 채널에 배치된 일부 정보를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피드백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 및/또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40에 있어서,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발송된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를 단말 기기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기기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발송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300)은 단말 기기가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상향 데이터를 발송하는 단계 S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단계 S350는, 단말 기기가 이미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로 스위칭되어, 타깃 액세스 네트워트 기기에 상향 데이터를 발송할 수 있는 단계 S351;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와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 간에 설정된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상향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단계 S2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이미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발송된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에서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의 ID를 획득함으로써,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의 ID에 따라 상기 상향 데이터를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발송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300)은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에 하향 데이터를 발송하는 단계 S3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단계 S360은, 단말 기기가 이미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로 스위칭되어,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와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간에 설정된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하향 데이터를 발송할 수 있는 단계 S361;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진일보로 상기 하향 데이터를 단말 기기에 전달할 수 있는 단계 S362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300)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와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채널을 설정한 후,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타깃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경로 스위칭 메시지를 발송하여, 타깃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 하여금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컨트롤 플레인 네트워크 기기와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 간의 경로를 소스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타깃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 스위칭하도록 통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경로 스위칭 메시지는 데이터 채널의 ID를 포함할 수 있고, 타깃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 하여금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단말 기기에 하향 데이터를 발송하도록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지시할 수 있다.
더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여러 실시예에서, 상기 각각의 과정의 번호의 크기는 수행 순서의 선, 후를 의미하지 않는 바, 각각의 과정의 수행 순서는 응당 그 기능과 내적논리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실시 과정을 제한하지 말하야 한다.
도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방법(400)을 도시한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400)은 도1의 응용 환경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방법(200)은 하기 단계의 일부 또는 전부 내용을 포함한다.
단계 S410에 있어서, 단말 기기가 제1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 스위칭할 때,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발송된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계 S420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채널을 설정한다.
단계 S430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를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발송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스위칭 방법은, 스위칭 과정에서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설정된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어,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채널은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간의 채널이고,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의 ID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 및/또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채널 ID는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의 ID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발송된 상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상향 데이터를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발송된 하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하향 데이터를 상기 단말 기기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발송된 스위칭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데이터 채널을 해제하거나 및/또는 상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경로 스위칭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채널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 간의 채널이고,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의 ID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 및/또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의 ID 및/또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향 데이터를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발송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하향 데이터를 발송하기 위한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를 구비한 경로 스위칭 메시지를 상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스위칭을 완료하기 이전에,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를 통하여 상기 제1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하고, 상기 단말 기기가 스위칭을 완료한 이후,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를 통하여 상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상이한 통신 시스템 중의 코어 네트워크 기기이거나 또는 동일한 통신 시스템 중의 상이한 코어 네트워크 기기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서 설명한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와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간의 인터랙션 및 관련 특성, 기능 등은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의 관련 특성, 기능과 서로 대응된다. 다시 말하면,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어떤 메시지를 발송하면,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위에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였고, 아래에서는 도6 내지 도9를 결부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를 설명하기로 하며, 방법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특징은 하기 장치 실시예에 적용된다.
도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500)를 도시한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인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500)는, 단말 기기가 제1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 스위칭할 때,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제1 발송 유닛(510);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 설정한 데이터 채널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유닛(520); 및 상기 단말 기기와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발송하기 위한 제2 발송 유닛(530)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스위칭 과정에서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설정된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어,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채널은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간의 채널이고,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의 ID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 및/또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채널 ID는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의 ID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발송된 상향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 유닛; 및 상기 상향 데이터를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전달하기 위한 제3 발송 유닛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발송된 하향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3 수신 유닛;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하향 데이터를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전달하기 위한 제4 발송 유닛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채널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 간의 채널이고,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의 ID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 및/또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의 ID 및/또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향 데이터를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발송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스위칭을 완료하기 이전에, 상기 단말 기기는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를 통하여 상기 제1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하고, 상기 단말 기기가 스위칭을 완료한 이후,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를 통하여 상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상이한 통신 시스템 중의 코어 네트워크 기기이거나 또는 동일한 통신 시스템 중의 상이한 코어 네트워크 기기이다.
도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600)를 도시한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인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600)는, 단말 기기가 제1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 스위칭할 때,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발송된 채널 설정 요청 메시시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유닛(610);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데이터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유닛(620);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를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발송하기 위한 제1 발송 유닛(630)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스위칭 과정에서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설정된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어,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채널은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간의 채널이고,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의 ID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 및/또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채널 ID는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의 ID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발송된 상향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 유닛;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상향 데이터를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전달하기 위한 제2 발송 유닛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발송된 햐향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3 수신 유닛; 및 상기 하향 데이터를 상기 단말 기기에 전달하기 위한 제3 발송 유닛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발송된 스위칭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데이터 채널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유닛; 및/또는 상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경로 스위칭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제4 발송 유닛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채널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 간의 채널이고,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의 ID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 및/또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의 ID 및/또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향 데이터를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발송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하향 데이터를 발송하기 위한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를 구비한 경로 스위칭 메시지를 상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발송하기 위한 제5 발송 유닛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스위칭을 완료하기 이전에, 상기 단말 기기는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를 통하여 상기 제1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하고, 상기 단말 기기가 스위칭을 완료한 이후,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를 통하여 상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상이한 통신 시스템 중의 코어 네트워크 기기이거나 또는 동일한 통신 시스템 중의 상이한 코어 네트워크 기기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700)를 더 제공하며,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700)는 도6에서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300)일 수 있고, 도2의 방법(100)에 대응되는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의 내용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700)는 입력 인터페이스(710), 출력 인터페이스(720), 프로세서(730) 및 메모리(740)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710), 출력 인터페이스(720), 프로세서(730) 및 메모리(740)는 버스 시스템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740)는 프로그램, 인스트럭션 또는 코드를 포함하여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프로세스(730)는, 상기 메모리(740) 중의 프로그램, 인스트럭션 또는 코드를 실행하여, 입력 인터페이스(710)가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제어하고, 출력 인터페이스(720)가 신호를 발송하는 것을 제어하며 전술한 방법 실시예 중의 조작을 완성하도록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스위칭 과정에서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설정된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어,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73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730)는 기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ble Gate Array,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어셈블리 등일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통상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740)는 판독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730)에 인스트럭션 및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740)의 일부분은 비 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740)는 장치 타입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구현 과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각 내용은 프로세서(730)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인스트럭션을 통해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개시된 방법의 내용을 참조하면 직접적으로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실행되어 완성하거나, 또는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되어 완성된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밍 가능한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소거 가능 프로그래밍 가능한 메모리, 레지스터 등 본 분야에서 공지된 저장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740)에 위치하며, 프로세서(730)는 메모리(740) 중의 정보를 판독하고, 하드웨어를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내용을 완성한다. 중복을 피면하기 위해, 여기서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한 구체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500) 중의 각 수신 유닛은 도8 중의 입력 인터페이스(7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500) 중의 각 발송 유닛은 도8 중의 출력 인터페이스(7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코어 네트워크 기기(800)를 더 제공하며, 상기 코어 네트워크 기기(800)는 도7에서의 코어 네트워크 기기(600)일 수 있고, 도5의 방법(400)에 대응되는 코어 네트워크 기기의 내용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코어 네트워크 기기(800)는 입력 인터페이스(810), 출력 인터페이스(820), 프로세서(830) 및 메모리(840)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810), 출력 인터페이스(820), 프로세서(830) 및 메모리(840)는 버스 시스템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840)는 프로그램, 인스트럭션 또는 코드를 포함하여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프로세스(830)는, 상기 메모리(840) 중의 프로그램, 인스트럭션 또는 코드를 실행하여, 입력 인터페이스(810)가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제어하고, 출력 인터페이스(820)가 신호를 발송하는 것을 제어하며 전술한 방법 실시예 중의 조작을 완성하도록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스위칭 과정에서 타깃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설정된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어,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83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830)는 기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ble Gate Array,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어셈블리 등일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통상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840)는 판독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830)에 인스트럭션 및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840)의 일부분은 비 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840)는 장치 타입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구현 과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각 내용은 프로세서(83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인스트럭션을 통해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개시된 방법의 내용을 참조하면 직접적으로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되고 실행되어 완성하거나, 또는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되어 완성된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밍 가능한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소거 가능 프로그래밍 가능한 메모리, 레지스터 등 본 분야에서 공지된 저장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840)에 위치하며, 프로세서(830)는 메모리(840) 중의 정보를 판독하고, 하드웨어를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내용을 완성한다. 중복을 피면하기 위해, 여기서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한 구체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코어 네트워크 기기(600) 중의 각 발송 유닛은 도9 중의 출력 인터페이스(8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코어 네트워크 기기(600) 중의 각 수신 유닛은 도9 중의 입력 인터페이스(8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기기(600) 중의 설정 유닛과 해제 유닛은 도9 중의 프로세서(8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 각 예시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는,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실행될지 여부는 기술적 해결수단의 특정 응용 및 디자인 제약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당업자는 각각의 특정 응용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당업자는 설명의 편의 및 간결성을 위해,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의해 제공된 몇가지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장치 실시예는 다만 예시적인 것 뿐이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획은 다만 논리 기능 구획일 뿐이고, 실제 구현 시, 다른 구획 방식이 존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어셈블리는 다른 하나의 시스템에 결합 또는 통합되거나, 또는 일부 특징이 무시되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한 것이고,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분리 부재로서 설명된 상기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것일 수 있으며, 유닛으로서 표시된 부재는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즉 하나의 장소에 위치되거나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유닛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방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서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으며, 각 유닛이 물리적으로 개별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2개 또는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어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될 경우,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수단의 본질 또는 선행 기술에 대해 기여한 부분 또는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음)로 하여금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하는 일부 명령어를 포함하는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플래시 디스크, 이동식 하드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내용은 다만 본 출원의 구체적 실시 형태일 뿐이며,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는 본 출원이 개시한 기술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대체를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으며,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40)

  1. 단말 기기가 제1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 스위칭할 때,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 설정한 데이터 채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와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를 상기 단말 기기에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채널은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간의 채널이고,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의 ID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의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채널 ID는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의 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발송된 상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상향 데이터를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발송된 하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하향 데이터를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채널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 간의 채널이고,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의 ID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의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의 ID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향 데이터를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발송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스위칭을 완료하기 이전에,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를 통하여 상기 제1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하고, 상기 단말 기기가 스위칭을 완료한 이후,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를 통하여 상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상이한 통신 시스템 중의 코어 네트워크 기기이거나 또는 동일한 통신 시스템 중의 상이한 코어 네트워크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법.
  10. 단말 기기가 제1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 스위칭할 때,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발송된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를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채널은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간의 채널이고,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의 ID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의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채널 ID는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의 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발송된 상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상향 데이터를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법.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발송된 하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하향 데이터를 상기 단말 기기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발송된 스위칭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데이터 채널을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경로 스위칭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채널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 간의 채널이고,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의 ID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의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의 ID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향 데이터를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발송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하향 데이터를 발송하기 위한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를 구비한 경로 스위칭 메시지를 상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법.
  19. 제10항 내지 제1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스위칭을 완료하기 이전에,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를 통하여 상기 제1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하고, 상기 단말 기기가 스위칭을 완료한 이후,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를 통하여 상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법.
  20. 제10항 내지 제1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상이한 통신 시스템 중의 코어 네트워크 기기이거나 또는 동일한 통신 시스템 중의 상이한 코어 네트워크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법.
  21.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인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로서,
    단말 기기가 제1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 스위칭할 때,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제1 발송 유닛;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 설정한 데이터 채널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유닛; 및
    상기 단말 기기와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를 상기 단말 기기에 발송하기 위한 제2 발송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채널은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간의 채널이고,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의 ID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의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채널 ID는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의 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발송된 상향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 유닛; 및
    상기 상향 데이터를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전달하기 위한 제3 발송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발송된 하향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3 수신 유닛;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하향 데이터를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전달하기 위한 제4 발송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채널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 간의 채널이고,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의 ID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의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의 ID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향 데이터를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발송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28. 제21항 내지 제2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스위칭을 완료하기 이전에,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를 통하여 상기 제1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하고, 상기 단말 기기가 스위칭을 완료한 이후,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를 통하여 상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29. 제21항 내지 제2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상이한 통신 시스템 중의 코어 네트워크 기기이거나 또는 동일한 통신 시스템 중의 상이한 코어 네트워크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30.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인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로서,
    단말 기기가 제1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로 스위칭할 때,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발송된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유닛;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데이터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유닛;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를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발송하기 위한 제1 발송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채널은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간의 채널이고,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의 ID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의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채널 ID는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의 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발송된 상향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 유닛;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상향 데이터를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전달하기 위한 제2 발송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34. 제31항 내지 제33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발송된 하향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3 수신 유닛; 및
    상기 하향 데이터를 상기 단말 기기에 전달하기 위한 제3 발송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35. 제31항 내지 제3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발송된 스위칭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데이터 채널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유닛; 및
    상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경로 스위칭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제4 발송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채널은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 간의 채널이고, 상기 채널 설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의 ID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정보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의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의 ID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상향 데이터를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발송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38. 제36항 또는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유저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하향 데이터를 발송하기 위한 상기 데이터 채널의 ID를 구비한 경로 스위칭 메시지를 상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발송하기 위한 제5 발송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39. 제30항 내지 제3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스위칭을 완료하기 이전에,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를 통하여 상기 제1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하고, 상기 단말 기기가 스위칭을 완료한 이후,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를 통하여 상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에 액세스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40. 제30항 내지 제3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제2 컨트롤 플레인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상이한 통신 시스템 중의 코어 네트워크 기기이거나 또는 동일한 통신 시스템 중의 상이한 코어 네트워크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KR1020207030490A 2018-03-30 2018-03-30 스위칭 방법 및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KR202001382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081467 WO2019183971A1 (zh) 2018-03-30 2018-03-30 切换方法和接入网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293A true KR20200138293A (ko) 2020-12-09

Family

ID=68062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0490A KR20200138293A (ko) 2018-03-30 2018-03-30 스위칭 방법 및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97545B2 (ko)
EP (1) EP3780727B1 (ko)
KR (1) KR20200138293A (ko)
CN (1) CN111543081A (ko)
AU (1) AU2018416730A1 (ko)
WO (1) WO20191839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99942A (zh) * 2021-06-18 2022-12-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的方法、装置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72604B (zh) * 2007-03-19 2011-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信令跟踪方法及设备
CN101557609A (zh) * 2008-04-07 2009-10-14 华为技术有限公司 用户负载转移的方法、通信系统及核心网控制节点
CN101938802B (zh) * 2009-07-02 2015-05-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从第一无线网络到第二无线网络切换的方法及装置
EP2296403A1 (en) 2009-09-11 2011-03-16 Panasonic Corporation Improved data forwarding during handovers involving a relay node
CN101765218B (zh) * 2009-12-23 2012-10-03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相关设备和系统
US9813494B2 (en) * 2012-05-11 2017-11-0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Context-aware peer-to-peer communication
CN104969653B (zh) 2013-04-07 2019-07-26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回程链路的建立方法和设备
KR102446326B1 (ko) * 2015-04-10 2022-09-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Laa 시스템의 동적 캐리어 선택 방법 및 장치
US10295363B1 (en) * 2016-01-22 2019-05-21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Autonomous operation suitability assessment and mapping
US20210297406A1 (en) * 2016-10-04 2021-09-23 Wells Fargo Bank, N.A. Peer-to-peer pre-check network
EP3677088A4 (en) * 2017-09-29 2020-10-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PROCESS AND EQUIPMENT FOR MANAGING A DUAL CONNECTIVITY USER PLA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172422B2 (en) * 2020-03-18 2021-11-09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nchor selection in a non-standalone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80727B1 (en) 2022-07-20
US20210022050A1 (en) 2021-01-21
EP3780727A4 (en) 2021-04-07
CN111543081A (zh) 2020-08-14
US11297545B2 (en) 2022-04-05
AU2018416730A1 (en) 2020-11-12
EP3780727A1 (en) 2021-02-17
WO2019183971A1 (zh) 2019-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6993B2 (en) Random access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JP7374082B2 (ja) データ伝送方法、端末デバイス及び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
US11051215B2 (en) Switch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10779209B2 (en) Handoff method
KR102127734B1 (ko) 상향링크 검출 신호들 트리거링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JP2022091881A (ja) データ伝送方法、端末デバイス及び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
KR102488273B1 (ko) 무선 통신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JP6880205B2 (ja) 通信方法、端末機器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US20210377832A1 (en) Mobility enhancement in a connected state
KR102343455B1 (ko) 페이징 방법 및 페이징 장치
KR102356205B1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관련 장치
KR102425777B1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단말 기기
US11617213B2 (en) Method for random access, an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KR20200053513A (ko) 정보 전송 방법 및 기기
JP2021512518A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端末装置
JP6992169B2 (ja) 無線通信方法及び装置
RU2737171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окон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20519080A (ja) 無線通信方法、端末装置及び送受信ノード
KR20200138293A (ko) 스위칭 방법 및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KR102316348B1 (ko) 통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KR102288304B1 (ko) 통신 방법, 단말 장치, 및 접속 네트워크 장치
US11310704B2 (en) Secondary communication node change
KR102321699B1 (ko) 페이징 실패의 처리 방법,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및 코어 네트워크 기기
US20240097858A1 (en) Resource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