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8046A - 치과 용도를 위한 진동 디바이스 및 치열 교정 방법 - Google Patents

치과 용도를 위한 진동 디바이스 및 치열 교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8046A
KR20200138046A KR1020200063762A KR20200063762A KR20200138046A KR 20200138046 A KR20200138046 A KR 20200138046A KR 1020200063762 A KR1020200063762 A KR 1020200063762A KR 20200063762 A KR20200063762 A KR 20200063762A KR 20200138046 A KR20200138046 A KR 20200138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support member
vibration device
inner cavity
oral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7754B1 (ko
Inventor
청 시앙 훙
Original Assignee
청 시앙 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 시앙 훙 filed Critical 청 시앙 훙
Publication of KR20200138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8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using vibr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지지 부재 및 진동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치과 용도를 위한 진동 장치가 제공된다. 지지 부재는 구강의 한쪽의 윗니와 아랫니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고, 프레임 및 탄성층을 포함한다. 프레임은 지지 부재의 제1 측면 상에 형성되는 제1 개구 및 지지 부재의 제2 측면 상에 형성되는 제2 개구를 갖는 내부 공동을 획정하는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탄성층은 프레임의 표면을 덮는다. 진동 전달 부재는 진동 소스에 커플링되는 커넥터 단부와, 진동 소스에 의해 생성된 진동 에너지를 환자의 윗니와 아랫니에 전달하도록 지지 부재의 내부 공동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삽입 단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치과 용도를 위한 진동 디바이스 및 치열 교정 방법{VIBRATION DEVICE FOR DENTAL USE AND ORTHODONTIC CORRECTION METHOD}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5월 28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853,307호의 이점을 향유하며, 이 미국 특허의 전체 내용은 참조에 의해 여기에 포함된다.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치과 용도를 위한 진동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 부재 및 진동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진동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서 사용되는 디바이스는 진동 에너지를 구강외 소스로부터 환자의 구강 내의 치아로 전달한다. 예컨대, 진동 소스를 지닌 U자 형상 교합판(bite plate)은 환자의 구강 내에 배치될 수 있고, 환자는 교합판을 물고, 매일 20분 동안 손을 쓰지 않고 디바이스를 유지한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진동 디바이스는 변할 수 있는 주파수 및 진폭 범위로 작동하여, 치열 교정 치아의 이동을 향상시키고, 얼라이너 핏(aligner fit)을 증가시키며, 치아 주위의 골 재형성(bone remodeling)을 향상시킬 것이 요구된다. 이 사상은, 동적 하중 또는 주기적인 힘이 정적인 힘보다 큰 골 재형성을 유발하고, 치아 이동이 주위 치조골을 리모델링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는 것이다. 골 재형성에서의 골 형성 단계는 골 재형성에서의 제한 요인이며, 주기적인 힘이 골 형성을 가속화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스틱 형태의 진동 디바이스가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개재되는 것에 의해 제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진동 스틱은 원하는 치아와 접촉하도록 상이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집속된 에너지를 치아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진동 스틱을 특정 치아로 이동시킬 것을 지시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환자가 물 것을 요구하는 교합판에 의한 문제점은, 무는 힘이 불안정하고, 근육 피로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진동 스틱은 디바이스를 고정하기 위해 단지 중력만을 사용할 것을 요구한다. 양쪽 턱에 전달되는 힘은 스틱의 위치 및 치아 접촉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전달되는 실제 힘은 또한 환자가 스틱을 얼마나 악무는지에 좌우된다. 치과 용도를 위한 보다 양호한 진동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 쟁점이다.
종래 제품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지 부재와 진동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치과 용도를 위한 진동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지지 부재는 구강의 일측부에서 윗니와 아랫니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으며, 프레임과 탄성층을 포함한다. 프레임은 내부 공동을 획정하는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내부 공동은 지지 부재의 제1 측부에 형성된 제1 개구와, 제1 측부 반대측의 지지 부재의 제2 측부에 형성된 제2 개구를 갖는다. 제1 개구가 제2 개구보다 크다. 탄성층은 프레임의 표면을 덮는다. 진동 전달 부재는 진동 소스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진동 소스에 커플링되도록 구성된 커넥터 단부와, 진동 소스에 의해 생성된 진동 에너지를 환자의 윗니와 아랫니로 전달하기 위해 지지 부재의 내부 공동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삽입 단부를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내부 공동은 사다리꼴 형상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진동 전달 부재의 삽입 단부는 내부 공동의 형상에 들어맞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삽입 단부는, 진동 전달 부재가 지지 부재 내에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 부재에 형성된 만입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 단부는 진동 소스의 진동기를 연결하기 위한 구멍을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의 프레임은 금속 재료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의 탄성층은 실리콘 재료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는 지지 부재가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힌지 기구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진동 전달 부재가 지지 부재의 내부 공동 내에 삽입되고 지지 부재는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전환될 때, 진동 전달 부재는 지지 부재와 맞물린다.
몇몇 실시예에서, 삽입 단부는 지지 부재의 내부 공동에 대하여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와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그 상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 접촉부를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삽입 단부는 삽입 단부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돌출 접촉부를 더 갖는다. 지지 부재는 이 지지 부재의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 모두에 형성된 복수 개의 리세스를 갖고, 리세스는 지지 부재의 내부 공동에 대하여 노출되며, 각각의 돌출 접촉부는 각각의 리세스에 대응하고, 리세스 내에 수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강의 2개 측부에서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한 쌍의 진동 디바이스를 장착하는 단계; 및 구강의 각 측부를 위한 진동 소스를 휴지 기간을 두고 차례로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열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각의 진동 디바이스는 구강의 일측부에서 상부 제1 어금니 및 제2 소구치와, 하부 제1 어금니 및 제2 소구치 사이에 장착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각의 진동 디바이스를 위한 진동 전달 부재의 커넥터 단부는 각각의 진동 소스에 연결되도록 구강 외부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지지 부재와 진동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치과 용도를 위한 진동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지지 부재는 구강의 일측부에서 윗니와 아랫니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으며, 근심 단부, 원심 단부, 윗니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상부면 및 아랫니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저부면을 포함하고, 상부면과 저부면은, 이들 상부면과 저부면 사이의 수직 거리가 지지 부재의 근심 단부에서 원심 단부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도록 각도를 이루게 형성된다. 진동 전달 부재는 구강외 단부와 구강내 단부를 갖고, 구강외 단부에서 진동 소스에 연결되고, 진동 소스에 의해 생성된 진동 에너지를 지지 부재에 그리고 지지 부재와 접촉하는 환자의 윗니와 아랫니에 전달하도록 구강내 단부에서 지지 부재에 연결되게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강내 단부는 지지 부재에 들어맞는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와 진동 전달 부재는 일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 및 예를 읽어봄으로써 보다 충분히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 용도를 위한 진동 디바이스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진동 디바이스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 용도를 위한 진동 디바이스의 개략도.
도 4는 치열궁(DA)에 장착된 2개의 진동 디바이스의 위치에 관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방 상태의 치과 용도를 위한 진동 디바이스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쇄 상태의 치과 용도를 위한 진동 디바이스의 개략도.
아래에서는, 진동 디바이스 및 교정 방법의 실시예의 형성 및 이용이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실시예는 매우 다양한 특정 상세로 구현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한 여러 진보적인 개념을 제공한다는 점을 이해해야만 한다. 설명되는 특정 실시예는 단지 실시예를 형성하고 이용하는 특별한 방식의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여기에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되는 각각의 용어는 본 개시의 상대적인 기술 및 배경 또는 내용에 따른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하며,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이상화되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방식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을 참고하면, 치과 용도를 위한 진동 디바이스를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진동 디바이스(100)는, 예컨대 환자의 구강의 2개 측부에서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치아와 치조골에 대한 진동 에너지는 진동 디바이스(100)로부터 제공될 수 있고, 규칙적인 저작 패턴에 후속하는, 저작 중에 생성되는 진동 효과를 시뮬레이트하도록 구성되고, 환자는 무는 활동이 전혀 없이 진동 디바이스(100)를 제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진동 디바이스(100)의 구조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 - 도 2는 도 1의 진동 디바이스(100)의 분해도임 - 를 참고하라. 진동 디바이스(100)는 진동 소스(10), 진동 부재(20) 및 진동 전달 부재(30)를 포함한다. 진동 전달 부재(30)는 진동 에너지를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진동 소스(10)와 지지 부재(20)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진동 소스(10)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 에너지가 진동 전달 부재(30)를 통해 지지 부재(20)로 전달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진동 디바이스(100)는 지지 부재(20)와 진동 전달 부재(30)를 포함하고, 진동 소스(10)는 진동 전달 부재에 연결되어 진동 에너지를 제공하는 외부 디바이스에 속한다.
진동 소스(10)는 전원을 지닌 진동기일 수도 있고, 전원은 별개의 제어기 내에 수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별개의 제어기는 유선식 또는 무선식으로 진동 소스(10)에 연결되어, 진동 소스에 제어 신호 및/또는 파워를 공급한다.
지지 부재(20)는 구강의 일측부에서 윗니와 아랫니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으며, 근심 단부(201)와 원심 단부(202)를 갖는다. 지지 부재(20)는 치아와 접촉하는 지지 부재(20)의 표면을 커버하는 탄성층(21)을 갖는다. 지지 부재(20)는 윗니와 아랫니에 각각 대응하는 상부 부분(211)과 하부 부분(212)을 포함한다. 각각의 부분(211, 212)은 U자 또는 C자 형상 구조를 갖고, 이에 따라 치아가 이들 부분 상에 안정하게 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부분(211, 212)은 2개의 대향 측벽(W1, W2)과 접촉벽(W3)을 갖는다. 접촉벽(W3)은 측벽(W1, W2)에 연결되고, 치아와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부 부분(211)의 접촉벽(W3)(상부면)은 윗니와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하부 부분(212)의 접촉벽(W3)(저부면)은 아랫니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측벽(W1, W2)은 치아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지지 부재를 통해 치아를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탄성층(21)은 연성이고 유연하며, 구강내 치과 용도에 적합한 실리콘 재료이다.
지지 부재(20)는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내부 공동(CV)을 획정하는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탄성층(21)으로 덮거나 둘러싸이는 프레임(22)을 포함한다. 상부면(W3) 및 저부면(W3)은, 상부면(W3)과 저부면(W3) 사이의 수직 거리가 지지 부재(20)의 근심 단부(201)에서 원심 단부(202)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도록 각을 이루게 형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프레임(22)은 구강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스테인리스강 또는 티탄 합금과 같은 금속 재료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레임(22)은 구강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한 강성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한다. 공동(CV)은 지지 부재(20)의 제1 측부(또는 근심 단부)(S1) 상에 형성된 넓은 제1 개구(OP1)와, 제1 측부(S1) 반대측에 있는 지지 부재(20)의 제2 측부(또는 원심 단부)(S2) 상에 형성된 좁은 제2 개구(OP2)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제1 개구(OP1)와 제2 개구(OP2)는 지지 부재(20)의 종축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제1 개구(OP1)의 크기는 제2 개구(OP2)의 크기보다 크다. 지지 부재(20)는 턱을 휴지 위치로 개방했을 때에 좁은 단부가 원심 위치를 향하도록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끼워지게 구성된다. 지지 부재(20)는 구강 내에 배치될 때에 턱을 개방 상태로 유지하는 받침대 역할을 하여, 환자가 그 상태를 유지하면서 턱 근육을 쉬게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진동 전달 부재(30)는 커넥터 단부(31)(또는 구강외 단부)와, 협소한 삽입 단부(또는 구강내 단부)(32)를 포함한다. 진동 전달 부재(30)의 커넥터 단부(31)는 진동 소스(10)를 연결하기 위한 구멍(H)을 지닌 라운드 형상을 갖는다. 커넥터 단부(31)는 구강 밖으로 연장되어, 진동 소스(10)와 연결된다. 진동 소스(10)는 커넥터 단부에서 구멍(H)에 끼워진다. 삽입 단부(32)는 진동 소스(10)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 에너지를 환자의 윗니와 아랫니로 전달하기 위해, 지지 부재(20)의 내부 공동(CV)의 형상에 들어맞는 형상(예컨대, 사다리꼴 형상)으로 설계되고, 내부 공동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삽입 단부(32)는 삽입 단부(32)의 상부면(321)과 하부면(322) 모두에 배치되는 돌출부(P)를 갖고, 돌출부(P)는 지지 부재(20)의 상부 부분(211)의 하측부와, 지지 부재(20)의 하부 부분(212)의 상측부에 형성되는 만입부(D)에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진동 전달 부재(30)가 지지 부재(20) 내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돌출부(P)는 대응하는 만입부(D)에 끼워지도록 적어도 하나의 표면[상부면(321) 또는 하부면(32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진동 디바이스(100)에 의해, 기계적인 힘 패턴이 규칙적인 저작 패턴에 후속하는, 저작 동안에 생성되는 진동 효과와 유사하게 치아와 치조골에 전달되고, 이것은 골 재형성을 자극하고 치열 교정 중에 치아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보다 양호한 진동 효과를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20)와 진동 전달 부재(30)는 일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V100)를 보여준다. 진동 장치(V100)는 진동기 조립체로서 기능하는 한 쌍의 진동 디바이스(100)를 포함한다. 진동 디바이스(100)는 각각 구강의 2개 측부에서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진동 소스(10)는 2개의 별개의 진동 소스(10A, 10B)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별개의 진동 소스(10A, 10B)는 독립적이고, 진동 전달 부재(30)에 연결되어, 진동력을 각각의 지지 부재(20)에 제공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별개의 진동 소스(10A, 10B)는, 진동 소스(10)가 소스 구성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각각의 별개의 진동 소스(10A 또는 10B)는 독립된 제어 회로를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2개의 진동 디바이스(100)가 번갈아 진동한다. 예컨대, 별개의 진동 소스(10A, 10B)를 위한 주기가 7초로 설정된다. 먼저, 하나의 진동 소스(10A 또는 10B)가 4초 동안 진동 전달 부재(30)를 통해 구강의 일측부의 지지 부재(20)에 대한 진동력을 생성하도록 활성화되고, 그 후 3초의 휴지 기간이 이어진다. 그 후, 나머지 진동 소스가 4초 동안 진동 전달 부재(30)를 통해 구강의 다른 측부의 지지 부재(20)에 대한 진동력을 생성하도록 활성화되고, 그 후 3초의 휴지 기간이 이어진다. 이러한 작업 구성에 의해, 구강의 각각의 측부를 위한 별개의 진동 소스가 작동 세션들 사이에 휴지 기간을 두고 차례로 활성화된다. 번갈아 작동하는 진동 디바이스(100)를 위한 상기 예정된 설정 시간은 5초나 9초와 같은 다른 기간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치열궁(DA)에 장착되는 진동 디바이스(100)의 위치를 보여준다. 진동 디바이스(100)를 사용할 때, 지지 부재(20)는 구강의 일측부[(하부 제1 어금니와 제2 소구치를 포함하는) 하부 치열궁은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서 상부 제1 어금니(MF) 및 제2 소구치(PS)와, 하부 제1 어금니(MF) 및 제2 소구치(PS) 사이에 장착된다. 구강(또는 치아)의 일측부(제1 측부) 상의 진동 디바이스(100)를 활성화시킬 때, 진동력은 제1 측부에 가해지고, 방향 D1을 따라 치열궁의 타측부(제2 측부)로 전달된다. 예정된 시간 후, 구강의 제1 측부에서의 진동은 중단되고, 다른 진동 디바이스(100)가 활성화되어 구강의 제2 측부에서 진동한다. 제2 측부에 가해지는 진동력은 방향 D2를 따라 치열궁을 따라 구강의 제1 측부로 전달된다.
번갈아 일어나는 진동에 의해, 모든 치아는 입 양 측부의 2개의 진동 소스(10)로부터 진동력을 받아들이며, 이것은 치아에 대한 진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브레이스 또는 다른 후속 치아 교정 디바이스를 착용하는 것과 같은 치열 교정 중에 골 재형성을 촉진하고 치아 운동을 가속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디바이스(200)를 보여준다. 진동 디바이스(200)와 진동 디바이스(100)(도 1 내지 도 2)의 주된 차이는, 진동 디바이스(200)가 진동 전달 부재(30)의 삽입 단부(32)에 배치된 복수 개의 돌출 접촉부(MC)와 금속 프레임(22)으로 형성된 힌지 기구(G)를 더 포함한다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20)의 상부 부분(211)과 하부 부분(212)은 힌지 기구(G)를 통해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에 따라 지지 부재(20)는 (도 5에서 이중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간에 전환될 수 있다. 지지 부재가 개방 상태인 동안에 조립을 위한 더 많은 공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지지 부재(20)가 개방 상태일 때에 진동 전달 부재(30)가 지지 부재의 내부 공동(CV)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지지 부재(20)는 폐쇄될 때(도 6, 폐쇄 상태)에, 지지 부재(20)는 진동 전달 부재(30)와 맞물리도록 스냅식으로 폐쇄되며, 이에 따라 지지 부재(20)와 진동 전달 부재(30)는 견고하게 조립된다.
삽입 단부(32)의 상부면(321)과 하부면(322) 모두에는 돌출 접촉부(MC)가 배치되고, 돌출 접촉부는, 지지 부재(20)의 상부 부분(211)과 하부 부분(212) 모두에 형성되고 지지 부재(20)의 내부 공동(CV)에 대하여 노출되는, 대응하는 리세스(R)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주목해야만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진동 전달 부재(30)는 돌출 접촉부(MC) 및 리세스(R)를 통해 진동 부재(20)와 맞물리도록 보다 양호하게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돌출 접촉부(MC)는 진동 전달 부재(30)가 진동할 때에 노출된 리세스(R)를 가격한다. 각각의 가격은 진동 부재(20)와 접촉하는 치아(및 치조골)에 전달되는 진동력을 생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치아에 전달되는 진동력은 저작 또는 씹기 중에 생성되는 접촉력을 보다 양호하게 시뮬레이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돌출 접촉부(MC)와 리세스(R) 모두는 금속 재료를 갖거나 금속으로 형성된다. 진동 전달 부재(30)가 진동할 때, 금속 돌출 접촉부(MC)는 금속 리세스(R)와 접촉 또는 충돌하고, 이는 진동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돌출 접촉부(MC)는 리세스(R) 내에 수용되고 금속 프레임(22)과 접촉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삽입 단부의 양 측부 상에 배치된 [진동 전달 부재(30)의 종축을 따른] 2개 열의 돌출 접촉부(MC)가 2개 열의 독립된 리세스(R)에 각각 대응한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1개, 2개 이상의 MC 및 리세스(R) 접촉 쌍과 같은] 상이한 구성의 돌출 접촉부(MC) 및 리세스(R)가 또한 향상된 배치 및 에너지 전달 효과를 갖는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의 각 측부에 하나씩,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진동 디바이스 쌍을 장착하는 단계; 및 구강의 각 측부를 위한 진동 소스를 휴지 기간을 두고 차례로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열 교정 방법이 제공된다. 진동 디바이스 쌍의 각각의 지지 부재는 구강의 일측부에서 상부 제1 어금니 및 제2 소구치와, 하부 제1 어금니 및 제2 소구치 사이의 영역에 장착된다. 각각의 진동 디바이스를 위한 진동 전달 부재의 커넥터 단부는 구강 외부로 연장되어 각각의 진동 소스에 연결된다.
본 개시의 범위에 위배되거나 상충되지 않는 한, 다양한 실시예의 피쳐들이 조합될 수 있고,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만 한다.
요악하자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지 부재와 진동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치과 용도를 위한 진동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지지 부재는 구강의 일측부에서 윗니와 아랫니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으며, 탄성층을 지닌 프레임을 포함한다. 프레임은 내부 공동을 획정하는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내부 공동은 지지 부재의 제1 측부에 형성된 제1 개구와, 제1 측부 반대측의 지지 부재의 제2 측부에 형성된 제2 개구를 갖는다. 제1 개구가 제2 개구보다 크다. 탄성층은 치아를 보호하도록 프레임의 표면을 덮고 접촉을 억제한다. 진동 전달 부재는 커넥터 단부에서 진동 소스와 연결되고, 디바이스를 계속해서 물고 있을 필요 없이 환자의 윗니와 아랫니에 진동 소스에 의해 생성된 진동 에너지를 전달하도록 삽입 단부에서 지지 부재의 내부 공동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강의 2개 측부에서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한 쌍의 진동 디바이스를 장착하는 단계; 및 구강의 각 측부를 위한 진동 소스를 휴지 기간을 두고 차례로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열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지 부재와 진동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치과 용도를 위한 진동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지지 부재는 구강의 일측부에서 윗니와 아랫니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으며, 근심 단부, 원심 단부, 상부면 및 저부면을 포함한다. 상부면은 윗니와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저부면은 아랫니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상부면과 저부면은, 이들 상부면과 저부면 사이의 수직 거리가 지지 부재의 근심 단부에서 원심 단부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도록 각도를 이루게 형성된다. 진동 전달 부재는 구강외 단부와 구강내 단부를 갖고, 구강외 단부에서 진동 소스에 연결되고, 진동 소스에 의해 생성된 진동 에너지를 지지 부재에 그리고 지지 부재와 접촉하는 환자의 윗니와 아랫니에 전달하도록 구강내 단부에서 지지 부재에 연결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래의 장점 또는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다. 진동 디바이스를 통해, 진동 에너지가 환자의 치아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환자가 디바이스를 계속해서 물고 있을 필요 없이 치열 교정 중에 치아 이동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진동이 번갈아 일어나는 방법을 이용하여, 구강의 양 측부에 대한 2개의 진동 소스로부터의 기계적 자극이 치아에 가해지고, 이러한 방식으로 치열 교정을 용이하게 하는 저작 또는 씹기의 자연적인 힘 패턴을 시뮬레이트할 수 있다.
청구범위에서의 청구 요소를 수식하는 “제1”, “제2”, “제3” 등과 같은 서수 용어의 사용은, 그 자체로 다른 청구 요소에 대한 한 청구 요소의 임의의 우선 순위, 우위 또는 순서 또는 방법의 동작이 수행되는 시간적인 순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청구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해, 단지 특정 이름을 갖는 하나의 청구 요소를 동일한 이름을 갖는 다른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라벨로서만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표준 및 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만 간주되고, 개시된 실시예의 실제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에 의해서만 제시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5)

  1. 치과 용도를 위한 진동 디바이스로서,
    구강의 일측부에서 윗니와 아랫니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도록 된 지지 부재로서,
    내부 공동을 획정하는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프레임으로서, 내부 공동은 지지 부재의 제1 측부에 형성된 제1 개구와, 제1 측부 반대측의 지지 부재의 제2 측부에 형성된 제2 개구를 갖고, 제1 개구의 크기는 제2 개구의 크기보다 큰 것인 프레임; 및
    프레임의 표면을 덮는 탄성층을 포함하는 것인 지지 부재; 및
    진동 소스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진동 전달 부재로서, 진동 소스에 커플링되는 커넥터 단부와, 진동 소스에 의해 생성된 진동 에너지를 환자의 윗니와 아랫니로 전달하기 위해 지지 부재의 내부 공동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삽입 단부를 갖는 진동 전달 부재
    를 포함하는 치과 용도를 위한 진동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내부 공동은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것인 치과 용도를 위한 진동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진동 전달 부재의 삽입 단부는 내부 공동의 형상에 들어맞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인 치과 용도를 위한 진동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삽입 단부는, 진동 전달 부재가 지지 부재 내에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 부재에 형성된 만입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갖는 것인 치과 용도를 위한 진동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커넥터 단부는 진동 소스의 진동기를 연결하기 위한 구멍을 갖는 것인 치과 용도를 위한 진동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는 이 지지 부재가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힌지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치과 용도를 위한 진동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진동 전달 부재가 지지 부재의 내부 공동 내에 삽입되고 지지 부재가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전환될 때, 진동 전달 부재는 지지 부재와 맞물리는 것인 치과 용도를 위한 진동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삽입 단부는, 지지 부재의 내부 공동에 대하여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와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그 상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 접촉부를 갖는 것인 치과 용도를 위한 진동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삽입 단부는 삽입 단부의 상부면과 하부면 모두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돌출 접촉부를 더 갖고,
    지지 부재는 탄성층의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 모두에 형성된 복수 개의 리세스를 갖고, 리세스는 지지 부재의 내부 공동에 대하여 노출되며,
    각각의 돌출 접촉부는 각각의 리세스에 대응하고, 리세스 내에 수용되는 것인 치과 용도를 위한 진동 디바이스.
  10. 치열 교정 방법으로서,
    구강의 2개 측부에서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제1항에 따른 한 쌍의 진동 디바이스를 장착하는 단계; 및
    구강의 각각의 측부를 위한 진동 소스를 휴지 기간을 두고 차례로 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치열 교정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진동 디바이스는 구강의 일측부에서 상부 제1 어금니 및 제2 소구치와, 하부 제1 어금니 및 제2 소구치 사이에 장착되는 것인 치열 교정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진동 디바이스를 위한 진동 전달 부재의 커넥터 단부는 각각의 진동 소스에 연결되도록 구강 외부로 연장되는 것인 치열 교정 방법.
  13. 치과 용도를 위한 진동 디바이스로서,
    구강의 일측부에서 윗니와 아랫니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도록 된 지지 부재로서,
    근심 단부;
    원심 단부;
    윗니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상부면; 및
    아랫니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저부면을 포함하고, 상부면과 저부면은, 상부면과 저부면 사이의 수직 거리가 지지 부재의 근심 단부에서 원심 단부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도록 각도를 이루게 형성되는 것인 지지 부재; 및
    구강외 단부와 구강내 단부를 갖고, 구강외 단부에서 진동 소스에 연결되며, 진동 소스에 의해 생성된 진동 에너지를 지지 부재에 그리고 지지 부재와 접촉하는 환자의 윗니와 아랫니에 전달하도록 구강내 단부에서 지지 부재에 연결되게 구성되는 진동 전달 부재
    를 포함하는 치과 용도를 위한 진동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구강내 단부는 지지 부재에 들어맞는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것인 치과 용도를 위한 진동 디바이스.
  15. 제13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와 진동 전달 부재는 일체 형성되는 것인 치과 용도를 위한 진동 디바이스.
KR1020200063762A 2019-05-28 2020-05-27 치과 용도를 위한 진동 디바이스 및 치열 교정 방법 KR1023877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53307P 2019-05-28 2019-05-28
US62/853,307 2019-05-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046A true KR20200138046A (ko) 2020-12-09
KR102387754B1 KR102387754B1 (ko) 2022-04-19

Family

ID=73507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762A KR102387754B1 (ko) 2019-05-28 2020-05-27 치과 용도를 위한 진동 디바이스 및 치열 교정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12325B2 (ko)
JP (1) JP6993467B2 (ko)
KR (1) KR102387754B1 (ko)
CN (1) CN112006790B (ko)
CA (1) CA3081601C (ko)
TW (2) TWI7577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78350A1 (en) 2021-05-25 2022-12-01 Cheng-Hsiang Hung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occlusal loading based on simulated human ingestion actions
WO2024065034A1 (en) * 2022-09-30 2024-04-04 Smilesonica Inc. Vibratory devices for dental applications and related method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8535A (en) * 1988-04-11 1990-02-06 Bergersen Earl Olaf Self-opening preformed activator and positioner
WO2007116656A1 (ja) * 2006-03-28 2007-10-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歯列矯正装置
US20130252193A1 (en) * 2012-03-26 2013-09-26 Orthoaccel Technologies, Inc. Tooth positioner and vibrator combination
US20150182305A1 (en) * 2012-09-24 2015-07-02 Orthoaccel Technologies Inc. Vibrating orthodontic strip
JP2016171960A (ja) 2015-03-18 2016-09-29 株式会社ピット 歯列矯正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3844A (en) * 1976-12-20 1978-11-07 Kurz Craven H Vibrational mouth pad orthodontic appliance
US4348178A (en) * 1977-01-03 1982-09-07 Kurz Craven H Vibrational orthodontic appliance
US5030098A (en) * 1989-08-29 1991-07-09 Branford William G Vibratory dental mouthpiece
US5967784A (en) * 1998-01-13 1999-10-19 Powers; Michael J. Hand held device for reducing the discomfort associated with the adjusting of orthodontic appliances
US6648639B2 (en) 2000-09-22 2003-11-18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Device and method for treatment of malocclusion utilizing cyclical forces
US8500446B2 (en) * 2007-03-14 2013-08-06 Orthoaccel Technologies Inc. Vibrating orthodontic remodelling device
US9028250B2 (en) * 2007-03-14 2015-05-12 Orthoaccel Technologies, Inc. Vibrating dental devices
AU2013246421B2 (en) * 2012-04-13 2017-09-28 Advanced Orthodontics And Education Association, Llc Method and device for increasing bone density in the mouth
US20200093575A1 (en) * 2018-09-26 2020-03-26 Advanced Orthodontics And Education Association, Llc Mouthpiece for application of vibration to dentition
US9662183B2 (en) * 2012-07-18 2017-05-30 Orthoaccel Technologies, Inc. Electro-orthodontic device
US20150125801A1 (en) * 2013-11-07 2015-05-07 Orthoaccel Technologies Inc. Dual head connector
US10463464B2 (en) * 2015-10-12 2019-11-05 Neluva, Inc. Smart teethbrush
WO2017083880A1 (en) * 2015-11-15 2017-05-18 Smile Lab Inc Micro vibrating devices for dental use
CN105748164B (zh) 2016-02-05 2019-04-02 浙江中医药大学 分段式差动振动咬合板及分段式差动牙颌整形装置
CN105534614B (zh) 2016-02-05 2018-05-04 浙江中医药大学 分体式咬合板及分体式差动牙颌整形装置
CN109152621A (zh) 2016-02-26 2019-01-04 高等正畸和教育协会有限责任公司 用于牙科振动的方法以及装置
TWI617292B (zh) * 2016-09-02 2018-03-11 國立中央大學 Implant osseointegration detection device
CN109481044A (zh) * 2017-09-11 2019-03-19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牙齿矫正辅助装置
CN208511214U (zh) 2017-09-11 2019-02-19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牙齿矫正辅助装置
US20200093574A1 (en) * 2018-09-24 2020-03-26 Advanced Orthodontics And Education Association, Ll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e-Conditioning Dentition Extraction Site for Implant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8535A (en) * 1988-04-11 1990-02-06 Bergersen Earl Olaf Self-opening preformed activator and positioner
WO2007116656A1 (ja) * 2006-03-28 2007-10-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歯列矯正装置
US20130252193A1 (en) * 2012-03-26 2013-09-26 Orthoaccel Technologies, Inc. Tooth positioner and vibrator combination
US20150182305A1 (en) * 2012-09-24 2015-07-02 Orthoaccel Technologies Inc. Vibrating orthodontic strip
JP2016171960A (ja) 2015-03-18 2016-09-29 株式会社ピット 歯列矯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57752B (zh) 2022-03-11
TW202110407A (zh) 2021-03-16
KR102387754B1 (ko) 2022-04-19
JP2020199251A (ja) 2020-12-17
CN112006790A (zh) 2020-12-01
CA3081601C (en) 2022-07-12
CA3081601A1 (en) 2020-11-28
CN112006790B (zh) 2022-04-05
TWI806389B (zh) 2023-06-21
JP6993467B2 (ja) 2022-01-13
TW202222273A (zh) 2022-06-16
US11712325B2 (en) 2023-08-01
US20200375697A1 (en) 202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2184B2 (en) Vibrating dental devices
US9968421B2 (en) Tooth positioner and vibrator combination
US9662183B2 (en) Electro-orthodontic device
US8636506B2 (en) Differential vibration of dental plate
US20150173856A1 (en) Intra-oral vibrating othodontic devices
US8500446B2 (en) Vibrating orthodontic remodelling device
US20120322018A1 (en) Vibrating orthodontic remodelling device
US20110136070A1 (en) Vibrating compressible dental plate for correcting malocclusion
KR102387754B1 (ko) 치과 용도를 위한 진동 디바이스 및 치열 교정 방법
US20140342300A1 (en) Class ii/iii corrector accomodating bite plates
JP2019034146A (ja) 歯列矯正装置
JP2013505756A (ja) 歯科矯正機能ワイヤアーチおよび該機能ワイヤアーチを含む歯科矯正治療システム
JP7454603B2 (ja) シミュレーションした人類摂取動作に基づく咬合荷重生成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230165661A1 (en) Dental Orthodontic Accelerator
KR101282332B1 (ko) 치아 이동 가속기
CN117918971A (zh) 一种分体式咬合板装置及正畸加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