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7825A -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7825A
KR20200137825A KR1020190064784A KR20190064784A KR20200137825A KR 20200137825 A KR20200137825 A KR 20200137825A KR 1020190064784 A KR1020190064784 A KR 1020190064784A KR 20190064784 A KR20190064784 A KR 20190064784A KR 20200137825 A KR20200137825 A KR 20200137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series
supply system
tim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8068B1 (ko
Inventor
정광일
서미로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4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068B1/ko
Publication of KR20200137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4Safety arrangements
    • G21D3/06Safety arrangements responsive to faults within the pla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은 교류 전원 상실 사고(Station Black Out, SBO)가 발생된 원자력 시설의 A, B, C,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 모두의 일부 부하들을 제1 시간으로부터 제2 시간 후에 차단하는 단계,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를 제3 시간 후에 차단하고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를 연결하는 단계,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를 제4 시간 후에 차단하고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LOADS OF DC POWER SUPPLY SYSTEMS OF NUCLEAR POWER FACILITIES}
본 기재는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에 이용되는 원자력 시설은 설계 기준을 초과한 재해 등에 의한 장기 교류 전원 상실 사고(Station Black Out, SBO) 대처를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systems)이 필요하다.
종래의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은 서로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독립된 4개 계열들로 구성되었고, 교류 전원 상실 사고가 발생된 원자력 시설의 감시 및 제어에 필요한 부하들에 2.2시간(hour) 동안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계되었다.
일 실시예는,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에 포함된 축전지의 용량 교체 없이, 교류 전원 상실 사고가 발생된 원자력 시설의 감시 및 제어에 필요한 부하들에 8시간(hour) 동안 전원을 공급하는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은 교류 전원 상실 사고(Station Black Out, SBO)가 발생된 원자력 시설에 전원을 공급하는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및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모두의 일부 부하들을 상기 교류 전원 상실 사고의 발생 시간인 제1 시간으로부터 제2 시간 후에 차단하는 단계, 상기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를 상기 제1 시간으로부터 제3 시간 후에 차단하고 상기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를 상기 제1 시간으로부터 제4 시간 후에 차단하고 상기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25kVA 인버터 부하를 상기 제1 시간으로부터 제5 시간 후에 차단하고 상기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25kVA 인버터 부하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2 시간은 40분이며, 상기 제3 시간은 131분이며, 상기 제4 시간은 150분이며, 상기 제5 시간은 300분일 수 있다.
상기 제1 시간으로부터 상기 제3 시간 후에 연결된 상기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 상기 제1 시간으로부터 상기 제4 시간 후에 연결된 상기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 및 상기 제1 시간으로부터 상기 제5 시간 후에 연결된 상기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25kVA 인버터 부하 각각을 상기 제1 시간으로부터 480분 후까지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상기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상기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및 상기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은 서로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독립될 수 있다.
상기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및 상기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각각은 125V의 안전 등급 직류 전원을 2415Ah 용량으로 공급하는 축전지를 포함하며, 상기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및 상기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각각은 125V의 안전 등급 직류 전원을 825Ah 용량으로 공급하는 축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상기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상기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및 상기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각각의 7.5kVA 인버터는 상기 원자력 시설의 원자로 계측 계통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및 상기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각각의 25kVA 인버터는 상기 원자력 시설의 원자로 보호 계통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및 상기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각각의 25kVA 인버터는 상기 원자력 시설의 잔열 제거 계통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에 포함된 축전지의 용량 교체 없이, 교류 전원 상실 사고가 발생된 원자력 시설의 감시 및 제어에 필요한 부하들에 8시간(hour) 동안 전원을 공급하는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원자력 시설에 연결된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에서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시간별 부하들을 나타낸 표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에서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시간별 전체부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에서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시간별 부하들을 나타낸 표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에서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시간별 전체부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에서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시간별 부하들을 나타낸 표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에서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시간별 전체부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에서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시간별 부하들을 나타낸 표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에서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시간별 전체부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A계열, B계열, C계열,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 모두의 일부 부하들을 제2 시간 후에 차단한다(S100).
도 2는 원자력 시설에 연결된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원자력 시설(10)에는 서로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독립된 4개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인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100),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200),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300), 및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400) 각각이 연결된다.
원자력 시설(10)은 웨스팅하우스형 가압 경수로형(PWR) 원자력 발전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지 않고 비등 경수로형(BWR) 원자력 발전소일 수 있다. 가압 경수로형 원자력 발전소는 냉각재와 감속재로 경수를 사용하고 핵연료는 우라늄 235를 약 2% 내지 4%로 농축하여 사용한다. 가압 경수로형 원자력 발전소는 원자로 내에서 핵분열로 발생되는 열을 증기 발생기로 보내 열 교환시키는 원자로 계통에 관련되는 시설과, 증기 발생기에서 발생된 증기로 터빈을 돌린 후 복수기를 거쳐 물로 환원시킨 다음, 다시 증기 발생기로 순환되는 터빈 및 발전기 계통에 관련되는 시설로 구분될 수 있다.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100),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200),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300), 및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400) 각각은 교류 전원 상실 사고(Station Black Out, SBO)가 발생된 원자력 시설(10)에 전원을 공급한다.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100),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200),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300), 및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400)은 원자력 시설(10)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100),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200),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300), 및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400)의 부하 제어 방법은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100),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200),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300), 및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400) 각각에 연결된 제어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100) 및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200) 각각은 125V의 안전 등급 직류 전원을 2415Ah 용량으로 공급하는 축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300) 및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400) 각각은 125V의 안전 등급 직류 전원을 825Ah 용량으로 공급하는 축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에서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시간별 부하들을 나타낸 표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에서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시간별 전체부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은 7.5kVA 인버터, 25kVA 인버터, 비상 디젤 발전기 기동 시스템, 4.16kV 차단기 제어, 480V 부하 제어, 원자로 정지 스위치 기어, 반도체식 논리 보호 계통, RCP(원자로 냉각재 펌프) 정지 차단기 제어, 가압기 압력 방출 밸브 제어를 포함하는 부하들에 시간별로 전원을 공급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에서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시간별 부하들을 나타낸 표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에서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시간별 전체부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은 7.5kVA 인버터, 25kVA 인버터, 비상 디젤 발전기 기동 시스템, 4.16kV 차단기 제어, 480V 부하 제어, 원자로 정지 스위치 기어, 반도체식 논리 보호 계통, RCP(원자로 냉각재 펌프) 정지 차단기 제어, 가압기 압력 방출 밸브 제어를 포함하는 부하들에 시간별로 전원을 공급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에서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시간별 부하들을 나타낸 표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에서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시간별 전체부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은 7.5kVA 인버터, 25kVA 인버터, 터빈 구동 보조 급수 펌프 밸브 제어 및 속도 제어, RCP(원자로 냉각재 펌프) 정지 차단기 제어, 발전소 격리 릴레이 판넬을 포함하는 부하들에 시간별로 전원을 공급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에서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시간별 부하들을 나타낸 표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에서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시간별 전체부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은 7.5kVA 인버터, 25kVA 인버터, 발전소 격리 릴레이 판넬을 포함하는 부하들에 시간별로 전원을 공급한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및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각각의 7.5kVA 인버터는 원자력 시설의 원자로 계측 계통에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원자로 계측 계통은 핵 계장 계통(원자로 출력, 방사선량 등 계측), 원자로 보호 계통(원자로 냉각재 계통의 온도, 압력 및 유량, 증기 발생기의 수위 및 압력의 계측 제어 전원 공급), 반도체식 논리 보호 계통의 판넬 전원 공급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및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각각의 25kVA 인버터는 원자력 시설의 원자로 보호 계통에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원자로 보호 계통은 반도체식 논리 보호 계통의 캐비넷 전원, 주제어실(MCR) 캐비넷 전원, 주제어실(MCR) 보드 전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및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각각의 25kVA 인버터는 원자력 시설의 잔열 제거 계통에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잔열 제거 계통은 잔열 제거 계통(RHRS) 입구 밸브 구동기 동작 전원 공급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교류 전원 상실 사고(Station Black Out, SBO)가 발생된 원자력 시설에 전원을 공급하는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및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모두의 일부 부하들을 교류 전원 상실 사고의 발생 시간인 제1 시간(0분)으로부터 제2 시간(40분) 후에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25kVA 인버터, 및 반도체식 논리 보호 계통 부하를 제외한 나머지 부하들을 제2 시간(40분) 후에 차단하고,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및 반도체식 논리 보호 계통 부하를 제외한 나머지 부하들을 제2 시간(40분) 후에 차단하고,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터빈 구동 보조 급수 펌프 밸브 제어 및 속도 제어와 발전소 격리 릴레이 판넬 부하를 제외한 나머지 부하들을 제2 시간(40분) 후에 차단하고,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발전소 격리 릴레이 판넬 부하를 제외한 나머지 부하들을 제2 시간(40분) 후에 차단한다. 여기서, 제2 시간(40분)후의 차단은 교류 전원 상실 사고(SBO)의 발생 시간인 제1 시간(0분)으로부터 30분 후 장기 교류 전원 상실 사고 선언 후 부하 차단이 착수되어 소요 시간 10분 후 수행될 수 있다.
즉, 교류 전원 상실 사고(SBO)의 발생 시간인 제1 시간(0분)으로부터 30분 후 장기 교류 전원 상실 사고로 선언하고 10분 후인 제2 시간(40분) 후에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및 25kVA 인버터 부하 외의 부하들,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 외의 부하들,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부하들, 및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부하들을 차단한다.
다음, 도 1을 참조하면,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를 제3 시간 후에 차단하고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를 연결한다(S200).
구체적으로, 도 3, 도 4,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를 제1 시간(0분)으로부터 제3 시간(131분) 후에 차단하고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를 연결한다.
즉, 제1 시간(0분)으로부터 제3 시간(131분) 후에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를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로 교체한다.
다음, 도 1을 참조하면,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를 제4 시간 후에 차단하고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를 연결한다(S300).
구체적으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를 제1 시간(0분)으로부터 제4 시간(150분) 후에 차단하고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를 연결한다.
즉, 제1 시간(0분)으로부터 제4 시간(150분) 후에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를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로 교체한다.
다음, 도 1을 참조하면,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25kVA 인버터 부하를 제5 시간 후에 차단하고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25kVA 인버터 부하를 연결한다(S400).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25kVA 인버터 부하를 제1 시간(0분)으로부터 제5 시간(300분) 후에 차단하고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25kVA 인버터 부하를 연결한다.
즉, 제1 시간(0분)으로부터 제5 시간(300분) 후에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25kVA 인버터 부하를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25kVA 인버터 부하로 교체한다.
다음, 도 1을 참조하면, D계열 및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 및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25kVA 인버터 부하를 480분 후까지 유지한다(S500).
구체적으로,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시간(0분)으로부터 제3 시간(131분) 후에 연결된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 제1 시간(0분)으로부터 제4 시간(150분) 후에 연결된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 및 제1 시간(0분)으로부터 제5 시간(300분) 후에 연결된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25kVA 인버터 부하 각각을 제1 시간(0분)으로부터 480분 후까지 유지한다.
즉, 제3 시간(131분) 후에 교체된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 제4 시간(150분) 후에 교체된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 제5 시간(300분) 후에 교체된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25kVA 인버터 부하를 480분 후까지 유지한다.
이상과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은,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에 포함된 축전지의 용량 교체 없이,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및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각각의 인버터 부하들을 연계하여 장기 교류 전원 상실 사고(SBO)가 발생된 원자력 시설의 감시 및 제어에 필요한 부하들에 기존의 2.2시간이 아닌 480분인 8시간(hour) 동안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은 국내 원자력 발전소의 규제 지침(KINS/RG-N09.19 장기 교류 전원 상실 사고)의 발전소 상태 연속 감시, 필수 기기 및 계측 제어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의 가용 용량을 최소 8시간 이상 확보하고, 교류 전원 상실 사고(SBO) 30분 이후 운전원 조치에 착수해야 한다는 요건을 만족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은 기존의 안전 등급 축전지를 공급 능력과 성능이 뛰어난 축전지로 교체 또는 안전 등급으로 품질이 확보된 기존의 축전지 용량을 4배로 확대하기 위해서 소요되는 막대한 설비 개선 비용을 절감한다.
즉,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에 포함된 축전지의 용량 교체 없이, 교류 전원 상실 사고가 발생된 원자력 시설의 감시 및 제어에 필요한 부하들에 8시간(hour) 동안 전원을 공급하는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원자력 시설(10),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100),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200),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300),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400)

Claims (7)

  1. 교류 전원 상실 사고(Station Black Out, SBO)가 발생된 원자력 시설에 전원을 공급하는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및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모두의 일부 부하들을 상기 교류 전원 상실 사고의 발생 시간인 제1 시간으로부터 제2 시간 후에 차단하는 단계;
    상기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를 상기 제1 시간으로부터 제3 시간 후에 차단하고 상기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를 상기 제1 시간으로부터 제4 시간 후에 차단하고 상기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25kVA 인버터 부하를 상기 제1 시간으로부터 제5 시간 후에 차단하고 상기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25kVA 인버터 부하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제2 시간은 40분이며,
    상기 제3 시간은 131분이며,
    상기 제4 시간은 150분이며,
    상기 제5 시간은 300분인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제1 시간으로부터 상기 제3 시간 후에 연결된 상기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 상기 제1 시간으로부터 상기 제4 시간 후에 연결된 상기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7.5kVA 인버터 부하, 및 상기 제1 시간으로부터 상기 제5 시간 후에 연결된 상기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의 25kVA 인버터 부하 각각을 상기 제1 시간으로부터 480분 후까지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상기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상기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및 상기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은 서로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독립된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및 상기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각각은 125V의 안전 등급 직류 전원을 2415Ah 용량으로 공급하는 축전지를 포함하며,
    상기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및 상기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각각은 125V의 안전 등급 직류 전원을 825Ah 용량으로 공급하는 축전지를 포함하는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상기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상기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및 상기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각각의 7.5kVA 인버터는 상기 원자력 시설의 원자로 계측 계통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A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및 상기 B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각각의 25kVA 인버터는 상기 원자력 시설의 원자로 보호 계통에 전원을 공급하는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
  7. 제1항에서,
    상기 C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및 상기 D계열 직류 전원 공급 계통 각각의 25kVA 인버터는 상기 원자력 시설의 잔열 제거 계통에 전원을 공급하는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
KR1020190064784A 2019-05-31 2019-05-31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 KR102238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784A KR102238068B1 (ko) 2019-05-31 2019-05-31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784A KR102238068B1 (ko) 2019-05-31 2019-05-31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825A true KR20200137825A (ko) 2020-12-09
KR102238068B1 KR102238068B1 (ko) 2021-04-07

Family

ID=73786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784A KR102238068B1 (ko) 2019-05-31 2019-05-31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0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57013A (zh) * 2021-10-28 2022-03-08 中广核研究院有限公司 核电厂半自动卸加载系统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1985A (ja) * 1999-03-08 2000-09-22 Hitachi Ltd 直流電源システム
JP4832600B1 (ja) * 2011-01-25 2011-12-07 中国電力株式会社 遮断制御装置、遮断制御プログラム、遮断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1985A (ja) * 1999-03-08 2000-09-22 Hitachi Ltd 直流電源システム
JP4832600B1 (ja) * 2011-01-25 2011-12-07 中国電力株式会社 遮断制御装置、遮断制御プログラム、遮断制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57013A (zh) * 2021-10-28 2022-03-08 中广核研究院有限公司 核电厂半自动卸加载系统及方法
CN114157013B (zh) * 2021-10-28 2024-01-30 中广核研究院有限公司 核电厂半自动卸加载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068B1 (ko) 202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38095B (zh) 一种核电厂冷态功能试验的供电方法
KR101940193B1 (ko) 원자로 시스템의 전력 관리
KR102660913B1 (ko) 전용 전력망을 포함하는 다중-모듈 전력 플랜트
US10008295B2 (en) Emergency core cooling system and boiling water nuclear plant
CN106160202B (zh) 一种核电厂一回路水压试验的供电方法和系统
KR102590043B1 (ko) 오프그리드 전력원을 구비한 멀티-모듈형 발전소
CN109004738B (zh) 一种核动力船舶一回路应急供电系统及方法
US9620252B2 (en) Island mode for nuclear power plant
KR102238068B1 (ko) 원자력 시설의 직류 전원 공급 계통들의 부하 제어 방법
Hao et al. Modeling and simulation of loss of power in nuclear power plant
WO2014113611A1 (en) Solar nuclear fusion development
Borysiewicz et al. Loss of offsite power caused by tornado in Surry NPP: a case study
Kamei et al. Safety feature of EU-ABWR for Fukushima accident
Tianqi et al. THE ANALYSIS ON THE MINIMUM COPING DURATION FOR A STATION BLACKOUT EVENT FOR THE PWR NUCLEAR POWER PLANTS
Jung et al. The Evaluation of Battery Capacity Availability by Applying DC Load Shedding and Management for WH1000 NPP
Kuznetsov et al. Assessment of the Level of Natural Circulation of VVER-1000 Coolant on the Basis of Experimental Data from the Balakovo NPP
Ishikawa et al. Reinforcement of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for next generation SFR
Paska et al. Analysis of electric systems' structures in nuclear power plants with emphasis on ensuring operational reliability
Popov et al. Research and Ensuring the Stability of Autonomous Auxiliary Power Supply Systems of Nuclear Power Plants
CN116613871A (zh) 一种电源系统及延伸运行方法
Foster et al. EC6 Instrumentation, Control, and Electrical Design for Station Blackouts
Feigel et al. IMPLEMENTATION OF BLEED AND FEE D PROCEDURES IN SIEMENS PWR s
Moraru et al. Design extension condition on PHWR accident scenario
de Carvalho et al. Advanced Technology Application Station Blackout Core Damage Frequency Reduction-The Contribution of an AC Independent Core Residual Heat Removal System
Bindon Essential and emergency power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