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7363A - Mouthpiece For Tooth Whitening - Google Patents

Mouthpiece For Tooth White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7363A
KR20200137363A KR1020190063594A KR20190063594A KR20200137363A KR 20200137363 A KR20200137363 A KR 20200137363A KR 1020190063594 A KR1020190063594 A KR 1020190063594A KR 20190063594 A KR20190063594 A KR 20190063594A KR 20200137363 A KR20200137363 A KR 20200137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mouthpiece
whitening
teeth
tooth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5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52494B1 (en
Inventor
변태희
김숙현
Original Assignee
변태희
주식회사 동우전자
김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태희, 주식회사 동우전자, 김숙현 filed Critical 변태희
Priority to KR1020190063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494B1/en
Publication of KR20200137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3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4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61C19/066Bleaching devices; Whitening agent applicators for teeth, e.g. trays or str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06Mou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which minimizes the flow of an applied tooth whitening agent out of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when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is fitted to the tooth to which the tooth whitening agent is applied for teeth whitening, and minimizes a user′s fatigue and foreign body feeling by making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user′s teeth.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includes a tooth accommodating unit for accommodating a tooth, wherein the tooth accommodating unit includes a cover unit and an occlusion prevention unit.

Description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 {Mouthpiece For Tooth Whitening}Mouthpiece For Tooth Whitening {Mouthpiece For Tooth Whitening}

본 발명은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 미백을 위해, 치아 미백제가 도포된 치아에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끼웠을 때, 도포된 치아 미백제가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 밖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가 사용자의 치아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로감과 이물감을 최소화한,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and more particularly, for teeth whitening, when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is inserted into a tooth coated with a tooth whitening agent, the applied tooth whitening agent is outside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It relates to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that minimizes leakage and minimizes the user's fatigue and foreign body feeling by making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user's teeth.

치아는 위턱과 아래턱에 상하 짝을 이루어 좌우 대칭인 활 모양(치열궁)으로 배열되고, 입안 표면적의 20% 정도를 차지한다. 위턱 치아의 표면적은 아래턱 치아의 표면적보다 더 넓게 형성되며, 위턱의 치아가 아래턱의 치아를 살짝 덮는 형태로 맞물리게 된다.The teeth are arranged in a symmetrical bow shape (dental arch) in a pair of upper and lower jaws and occupy about 20% of the surface area of the mouth. The surface area of the upper jaw teeth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surface area of the lower jaw teeth, and the teeth of the upper jaw are engaged in a form that slightly covers the teeth of the lower jaw.

치아의 가장 바깥 부분은 법랑질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인체에서 가장 단단한 물질로 희고 투명하다. 반면에 치아의 안쪽에는 연노랑 빛의 상아질이 있으며, 보통의 뼈와 달리 강도가 약한 특징이 있다. The outermost part of the tooth is made of enamel, which is the hardest material in the human body and is white and transparent.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pale yellow dentin on the inside of the tooth, and unlike normal bones, it is characterized by weak strength.

치아의 색은 법랑질과 상아질의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노란빛의 상아질이 두꺼울수록 치아는 노랗게 되고, 하얀빛의 법랑질이 두꺼울수록 치아가 하얗게 보이게 된다. 유전적인 요인으로 태어날 때부터 누런 이를 갖는 경우는 상기 상아질이 두껍게 형성되기 때문이다.The color of the teeth can vary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enamel and dentin. The thicker the yellow dentin, the yellow the teeth, and the thicker the white enamel, the whiter the teeth look. In the case of having yellow teeth from birth due to genetic factors, this is because the dentin is formed thick.

후천적인 요인에 의해 치아의 색이 변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여드름이나 눈병, 귓병을 치료할 때 사용하는 테트라사이클린 계열의 항생제를 오랫동안 복용할 경우 치아의 색이 갈색으로 변하거나 검은줄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커피, 레드와인, 초콜릿, 녹차 등의 음식물을 자주 섭취해 왔을 때 치아의 색이 변할 수 있으며, 잦은 흡연 역시 치아를 누렇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나이가 들면서 희고 투명한 법랑질이 칫솔질 등에 의해 닳아 자연스럽게 누렇게 될 수도 있다.The color of the teeth may change due to acquired factors. For example, if you take a tetracycline-based antibiotic used to treat acne, eye disease, or ear disease for a long time, the color of your teeth may turn brown or black lines may appear. In addition, when foods such as coffee, red wine, chocolate, and green tea have been consumed frequently, the color of the teeth may change, and frequent smoking can also act as a factor that causes yellow teeth. In addition, as you age, the white and transparent enamel may become worn down by brushing and become naturally yellow.

다양한 원인에 의해 치아가 변색되면, 말을 하거나 웃을 때 누런 치아가 외부로 드러나게 되는바, 상대방으로 하여금 좋지 않은 인상을 갖게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우려 때문에 심리적인 위축까지 발생시킬 수 있다.When teeth are discolored due to various causes, yellow teeth ar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alking or laughing, which can make the other person feel bad, and this concern can lead to psychological atrophy.

따라서, 하얀 치아를 가지는 것에 대한 사람들의 욕구는 해마다 높아지고 있으며, 관련 시장에서는 이들을 겨냥한 다양한 치아 미백 제품, 치아 미백 클리닉 등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Therefore, people's desire for having white teeth is increasing year by year, and it is true that various teeth whitening products, tooth whitening clinics, etc. targeting them are provided in related markets.

하지만, 미백용 치약 등과 같은 치아 미백 제품의 경우는 그 효과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치과에 방문하여 치아 미백 클리닉을 받는 경우는 시간적으로나 비용적으로 과도한 지출을 요구한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eeth whitening products such as whitening toothpaste, the effect is not only insignifican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excessive expenditure is required in terms of time and cost when visiting a dentist and receiving a teeth whitening clinic.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정에서도 손 쉽게 치아 미백을 할 수 있는 치아 미백장치가 개발되었으며,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치아 미백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6685호(2006.01.13)에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tooth whitening device that can easily whiten teeth at home has been developed, and Fig. 1 shows such a conventional tooth whitening device, which is a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06685 (2006.01 13).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치아 미백장치(90)는 상기 치아 미백장치(90)는 광활성제를 함유한 미백제를 치아에 도포하고, 그 위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광활성제에 의해 미백성분을 활성화시켜 치아 미백이 촉진되도록 하였다.Referring to FIG. 1, in the conventional tooth whitening device 90, the tooth whitening device 90 applies a whitening agent containing a photoactive agent to the teeth and irradiates light thereon, thereby whitening components by the photoactive agent. Was activated to promote tooth whitening.

이러한 상기 치아 미백장치(90)는 발광부(91)와 마우스피스(93)를 포함한다.The tooth whitening device 90 includes a light emitting part 91 and a mouthpiece 93.

상기 발광부(91)는 광을 발생시키는 부분으로, 상기 마우스피스(93)가 결합되는 연결부(911)와, 광이 투과되는 투과창(913)을 포함한다.The light emitting part 91 is a part that generates light, and includes a connection part 911 to which the mouthpiece 93 is coupled, and a transmission window 913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상기 마우스피스(93)는 사용자의 상치와 하치에 의해 물리도록 원호형으로 이루어지며, 내측과 외측에 각각 수직으로 돌출된 격벽(931)이 형성되고, 격벽 사이의 지지부(933)에 치아가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발광부(91)와의 체결을 위해 상기 마우스피스(93)의 일측에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체결부(935)가 형성된다.The mouthpiece 93 is made in an arc shape so as to be bitten by the upper and lower teeth of the user, and the partition walls 931 protruding vertically are formed on the inside and the outside, respectively, and the teeth are located on the support part 933 between the partition walls. Is done. In addition, a fastening part 935 as shown in FIG. 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outhpiece 93 for fastening with the light emitting part 91.

따라서, 치아 미백장치(90)를 사용할 때, 먼저 마우스피스(93)의 상기 공간(933)에 적량의 미백제를 충진하거나, 미백제를 직접 치아에 도포하고, 마우스피스(93)를 물게 되면 미백제에 함유된 미백성분에 의해 치아에 침착된 착색성분에 대한 미백반응이 진행된다.Therefore, when using the tooth whitening device 90, first fill the space 933 of the mouthpiece 93 with an appropriate amount of whitening agent, or apply the whitening agent directly to the teeth, and when biting the mouthpiece 93, the whitening agent is The whitening reaction to the colored ingredients deposited on the teeth proceeds by the contained whitening ingredients.

이 상태에서 상기 발광부(91)에 전원을 인가해 미백제가 묻은 치아에 광을 조사하게 되면, 조사된 광에 의해 미백제에 함유된 광활성제가 활성화되면서 미백성분의 미백반응이 촉진됨으로써, 미백 치료시간을 단축시키며, 미백 효과를 극대화한다.In this state,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light-emitting unit 91 to irradiate light to the teeth covered with the whitening agent, the photoactive agent contained in the whitening agent is activated by the irradiated light, and the whitening reaction of the whitening component is promoted. Shortens and maximizes the whitening effect.

하지만, 종래의 치아 미백장치(90)는, 상기 마우스피스(93)의 격벽(931)을 수직으로 돌출시킴에 따라, 치아와 마우스피스(93) 간의 밀착이 제대로 이루어지 않는 문제와, 사용자가 상기 마우스피스(93)를 물게 되었을 때 큰 피로감과 이물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ooth whitening device 90, as the partition wall 931 of the mouthpiece 93 is protruded vertical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tact between the tooth and the mouthpiece 93 is not properly achieved, and the user When biting the mouthpiece 93, there was a problem of feeling great fatigue and feeling of foreign body.

도 2는 치아의 정상 교합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간의 해부학적 구조에 의하면, 정상적인 치아의 교합(Normal Occlusion)은 상치가 하치를 덮는 구조로 형성된다. FIG. 2 is a view showing normal occlusion of teeth. As shown in FIG. 2, according to the anatomy of a human, normal occlusion of teeth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teeth cover the lower teeth.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치아 미백장치의 마우스피스(9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의 해부학적 형상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바, 사용자가 마우스피스(93)를 물게 되었을 때, 상치(U)의 경우는 외측격벽(9311) 측에 편향되어 위치하게 되고, 하치(L)의 경우는 내측격벽(9313) 측에 평향되어 위치하게 될 수 밖에 없다.Nevertheless, the mouthpiece 93 of the conventional tooth whitening device does not properly reflect the anatomical shape of the tooth, as shown in FIG. 3, when the user bites the mouthpiece 93, the upper teeth ( In the case of U), it is positioned to be deflected on the side of the outer partition wall 9311, and in the case of the bowl L, it is inevitable to be positioned to be flat on the side of the inner partition wall 9313.

특히나 하치(L)의 외측면과 상기 마우스피스(93)의 외측격벽(9311) 사이에 발생한 공간(S)을 통해서는, 중력의 작용으로, 치아 미백제가 밑으로 흘러내려 소실될 수 있는바, 상치에 비해 하치의 미백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유발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rough the space (S) generat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bowl (L) and the outer partition wall (9311) of the mouthpiece (93), due to the action of gravity, the tooth whitening agent may flow downward and disappear, It may cause a problem that the whitening effect of the bowl is less than that of the table.

더욱이, 사람의 구강 내에는 구강 바닥에서 입안으로 돌출된 근육성 기관인 혀(T)가 존재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마우스피스(93)를 물게 되면, 마우스피스(93)의 내측격벽(9313)에 혀(T)가 닿을 수 있다. 종래의 마우스피스(93)는 혀(T)의 움직임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단순히 내측격벽(9313)을 수직하게 돌출시켜 구성했는 바, 치아 미백을 위해 사용자가 마우스피스(93)를 물게 되면, 혀(T)가 끝부분이 수직한 내측격벽(9313)에 닿게 되어 혀(T)를 통해 느껴지는 이물감이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In addition, the tongue (T), which is a muscular organ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oral cavity into the mouth, exists in the mouth of a person. When the user bites the mouthpiece 93, the tongue is placed on the inner partition wall 9313 of the mouthpiece 93. (T) can reach. The conventional mouthpiece 93 is constructed by simply protruding the inner partition wall 9313 vertically without taking into account the movement of the tongue T. When the user bites the mouthpiece 93 for teeth whitening , As the tongue (T) comes in contact with the inner partition wall (9313) with a vertical end por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eeling of a foreign body felt through the tongue (T) increases.

치아 미백 과정은 충분한 미백 반응이 진행될 수 있도록 상당한 시간동안 진행되는데, 처음에는 혀(T) 끝에 내측격벽(9313)이 걸리는 문제가 대수롭지 않게 여겨질지 모르지만,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혀(T)를 통해 느껴지는 이물감이 상당히 크게 작용하게 되고, 마우스피스(93)를 하지 않았을 때보다 혀(T)의 위치가 다소 뒤로 밀리게 되면서 혀 경련, 통증 등이 발생하거나, 극심한 이물감에 의한 구역질을 일으킬 수도 있다.The tooth whitening process proceeds for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to allow a sufficient whitening reaction to proceed.At first, the problem of getting the inner partition wall (9313) at the tip of the tongue (T) may seem insignificant, but as time passes through the tongue (T). The sense of foreign body that is felt becomes quite large, and the position of the tongue (T) is slightly pushed back compared to when the mouthpiece 93 is not used, resulting in tongue cramps, pain, etc., or it may cause nausea due to extreme foreign body sensation.

따라서 관련 업계에서는 치아의 해부학적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면서,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이물감, 피로감 등을 최소화하는 새로운 형식의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개발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related industries are demanding the development of a new type of tooth whitening mouthpiece that minimizes the feeling of foreign body and fatigue that users can feel while having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anatomical shape of the tooth.

(실용신안문헌 1)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6685호(2006.01.13)(Utility Model Document 1)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06685 (2006.01.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아 미백을 위해, 치아 미백제가 도포된 치아에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끼웠을 때, 도포된 치아 미백제가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 밖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가 사용자의 치아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로감과 이물감을 최소화한,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inimize the flow of the applied tooth whitening agent out of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when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is fitted to a tooth to which a tooth whitening agent is applied for teeth whitening, while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It is to provide a mouthpiece for teeth whitening that minimizes the user's fatigue and foreign body feeling by making it as close as possible to the user's teeth.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착용감과 편의성 및 치아 미백의 효과를 높이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that enhances the fit and convenience of a user who wears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and the effect of whitening teeth.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치아 미백제의 충분한 미백반응에 필요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사용자가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장시간 물고 있어도 피로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that prevents a user from feeling fatigue even when a user bites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for a long time until a predetermined time required for a sufficient whitening reaction of the tooth whitening agent has elapsed.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가 사용자의 치아에 밀착하도록 하여, 이물감에 따른 불편함, 구역질, 혀 경련 및 통증 등의 문제 발생을 차단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that blocks the occurrence of problems such as discomfort, nausea, tongue cramps and pain due to foreign body feeling by allowing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to adhere to the user's teeth. will b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에 발광부가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광 조사에 의해 미백제의 치아 미백반응을 더욱 촉진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that further promotes a tooth whitening reaction of a whitening agent by light irradiation by configuring a light emitting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발광부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별로 각기 다른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사용해 치아 미백시 위생 및 청결이 유지되도록 하고, 발광부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반복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다수의 발광부 구비에 따른 비용의 낭비를 방지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to be detachable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so that hygiene and cleanliness can be maintained when teeth whitening using different tooth whitening mouthpieces for each user, and It is to provide a mouthpiece for tooth whitening, which prevents wasted cost due to the provision of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by allowing the user to be used repeated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의 교합방지부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치가 하치를 덮는 구조를 가지는 정상교합 치아의 해부학적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having a structure similar to the anatomical structure of a normal occlusal tooth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tooth covers the lower tooth by forming an inclined anti-occlusion part of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will b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치아의 외측을 덮는 커버부를 구성하여, 치아 외측에 묻은 치아 미백제가 사용자의 입술 등에 묻어 소실되지 않도록 하면서, 발광부로부터 조사된 광은 상기 커버부를 통과하도록 하여 미백반응을 촉진시키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a cover that covers the outside of the teeth, so that the tooth whitening agent on the outside of the teeth does not get lost due to smearing on the user's lips, and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passes through the cover to cause a whitening reaction. It is to provide a mouthpiece for teeth whitening that promot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교합방지부에 상치접촉면을 구성하여, 상치의 외측면 이외의 부분이 상기 상치접촉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치아에 도포된 미백제가 구강내 다른 부분에 묻거나 입안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충분한 미백반응이 이루어질 때까지 오랜시간동안 마우스피스를 착용하더라도 사용자의 불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the upper tooth contact surface to the occlusal preventing part, so that parts other tha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toot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tooth contact surface, so that the whitening agent applied to the teeth is applied to other parts of the oral cavity or flows into the mouth. It is to provide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that prevents entry and prevents user discomfort even if the mouthpiece is worn for a long time until a sufficient whitening reaction is ma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교합방지부의 대칭중심으로부터 좌우측 일정범위 내에 형성되며, 교합방지부의 대칭중심에서 좌우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정도가 작아지고, 상측으로 갈수록 경사각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진 상치경사면을 구성하여, 정상교합치의 해부학적 구조에 유사한 교합방지부를 구성함에 따라, 상기 교합방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치와 하치로 상기 교합방지부를 물었을 때, 사용자가 느끼는 이물감을 최소화한,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pper inclined surface having a shape that is formed within a certain rang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from the center of symmetry of the anti-occlusion part, and the degree of inclination decreases toward the left and right from the center of symmetry of the anti-occlusion part, and the angle of inclination decreases toward the upper side. By configuring, as the occlusion prevention part is configured similar to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normal occlusal tooth, the mouthpiece for tooth whitening minimizes the foreign body sensation felt by the user when biting the occlusion prevention par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eth with the occlusion prevention part between To prov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버부의 내측면과 상치경사면을 연결하는 상치지지면을 구성하여, 상치와 하치 사이에 교합방지부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상하치로 교합방지부를 물었을 때, 상치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struct an upper tooth support surface conne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art and the upper inclined surface, and when biting the anti-occlusion part with the upper and lower teeth in a state where the anti-occlusion part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eth, it is applied by the upper tooth. It is to provide a mouthpiece for whitening teeth, so that the losing force can be stably support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교합방지부에 하치접촉면을 구성하여, 하치의 외측면 이외의 부분이 상기 하치접촉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치아에 도포된 미백제가 구강내 다른 부분에 묻거나 입안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충분한 미백반응이 이루어질 때까지 오랜시간동안 마우스피스를 착용하더라도 사용자의 불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the inferior contact surface to the occlusal preventing part, so that parts other than the outer surface of the inferior teet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ferior contact surface, so that the whitening agent applied to the teeth is applied to other parts of the oral cavity or flows into the mouth It is to provide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that prevents entry and prevents user discomfort even if the mouthpiece is worn for a long time until a sufficient whitening reaction is ma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교합방지부의 대칭중심으로부터 좌우측 일정범위 내에 형성되며, 교합방지부의 대칭중심에서 좌우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정도가 작아지고, 상측으로 갈수록 경사각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진 하치경사면을 구성하여, 정상교합치의 해부학적 구조에 유사한 교합방지부를 구성함에 따라, 상기 교합방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치와 하치로 상기 교합방지부를 물었을 때, 사용자가 느끼는 이물감을 최소화한,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wer inclined surface having a shape that is formed within a certain rang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from the center of symmetry of the occlusal prevention part, and the degree of inclination decreases toward the left and right from the symmetry center of the occlusion prevention part, and the inclination angle decreases toward the upper side. By configuring, as the occlusion prevention part is configured similar to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normal occlusal tooth, the mouthpiece for tooth whitening minimizes the foreign body sensation felt by the user when biting the occlusion prevention par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eth with the occlusion prevention part between To prov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버부의 내측면과 하치경사면을 연결하는 하치지지면을 구성하여, 상치와 하치 사이에 교합방지부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상하치로 교합방지부를 물었을 때, 하치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struct a lower tooth support surface conne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art and the lower tooth inclined surface, and when the bite prevention part is bitten by the upper and lower teeth while the upper and lower teeth are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eth, it is applied by the lower tooth. It is to provide a mouthpiece for whitening teeth, so that the losing force can be stably support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치지지면과 상치경사면의 경계는, 하치지지면과 하치경사면의 경계보다 전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정상교합하는 치아의 해부학적 구조에 유사한 치아수용부를 형성함으로써, 치아수용부가 만드는 치아수용공간 상에 삽입된 사용자의 치아가 치아수용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tooth receiving portion similar to the anatomical structure of a tooth to be normally occluded by configuring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tooth support surface and the upper inclined surface to be positioned anteriorly than the boundary between the lower tooth support surface and the lower tooth inclined surface, It is to provide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that allows the user's teeth inserted in the tooth receiving space made by the tooth receiving uni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ooth receiving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버부의 내측면 형상을 외측방향으로 오목하게 구성하여, 치아수용공간 상에 수용된 사용자의 치아가 커버부의 내측면과 밀착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that allows the user's teeth accommodated in the tooth receiving space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by configuring the inner side of the cover to be concave outward. To prov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치커버면과 상치지지면의 경계는, 하치커버면과 하치지지면의 경계보다 전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정상교합하는 치아의 해부학적 구조에 유사한 치아수용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tooth cover surface and the upper tooth support surface is configured to be located anteriorly than the boundary between the lower tooth cover surface and the lower tooth support surface, so that a tooth receiving part is formed similar to the anatomical structure of a tooth that is normally occluding. That is, to provide a mouthpiece for whitening teeth.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치경사면의 단부와 하치경사면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면을 구성하면서, 상기 연결면을 외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해, 사용자가 마우스피스를 착용했을 때, 혀에 걸리는 부분이 없도록 함에 따라 혀가 느끼게 되는 이물감을 최소화하고, 마우스피스에 의해 혀가 뒤로 과도하게 밀리거나, 과도하게 밀린 혀에 의해 호흡곤란, 구토 등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connection surface that connects the end of the upper inclined surface and the end of the lower inclined surface, while forming the connection surface to be concave in the outward direction, so that when the user wears the mouthpiece, the portion caught on the tongue Provides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that minimizes the foreign body sensation felt by the tongue by eliminating the teeth and prevents breathing difficulties and vomiting from being excessively pushed back by the mouthpiece or excessively pushed tongue. Is to do.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버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전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광원수용부를 구성하여, 상기 광원수용부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수용함으로써 미백제의 활성을 더욱 촉진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rther promote the activity of a whitening agent by configuring a light source receiving unit exten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unit in an anterior direction, and receiving a light emitting unit that irradiates light to the light source receiving unit.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한 통형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부를 전측방향으로 연장형성한 연장부를 포함한 광원수용부를 구성하여, 상기 연장부에 의해 발광부가 안정적으로 파지될 수 있도록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a light source receiving portion including a cylindrical body portion having an empty space inside, and an extension portion formed by extending a part of the body portion in an anterior direction, so that the light emitting portion is stably It is to provide a mouthpiece for whitening teeth that can be gripp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장부 상에 돌출형성된 돌기를 구성하여,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에 발광부를 결합할 때나 분해할 때, 상기 돌기에 의해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와 발광부의 용이한 탈부착을 도모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a protruding protrusion on the extension part, and prevent slipping by the protrusion when the light emitting part is combined or disassembled with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thereby preventing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and It is to provide a mouthpiece for whitening teeth, which promotes easy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an embodiment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치아를 수용하는 치아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수용부는, 치아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커버부와, 일측은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과 연결되고 타측은 자유단을 형성하면서 상치와 하치의 교합을 방지하는 교합방지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피로감과 이물감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oth receiv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a tooth, the tooth receiving portion, a cover portion form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tooth,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The other 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inimizes the user's fatigue and foreign body feeling by including a bite prevention part that prevents the occlusion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while forming a free en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치아수용부는, 상기 커버부와 상기 교합방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치아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치아수용공간은, 상치를 수용하는 상치수용공간과, 하치를 수용하는 하치수용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th receiving unit includes a tooth receiving space formed by the cover unit and the occlusal preventing unit, and the tooth receiving space is an upper tooth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upper teeth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owl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bow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상치수용공간은, 상기 하치수용공간보다 전측에 위치하여 해부학적 상치와 하치 간의 교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tooth receiving space is located anteriorly than the lower tooth receiving space to enable occlusion between the anatomical upper and lower teeth.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교합방지부는, 치아가 상기 치아수용부에 밀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ite prevention part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teet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tooth receiving par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교합방지부는, 상치와 접하는 상치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치접촉면은, 상측방향으로 경사진 상치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cclusal prevention part includes an upper tooth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upper tooth, and the upper tooth contact surface includes an upper tooth inclined surface inclined upwar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상치경사면은, 상기 교합방지부의 대칭중심으로부터 좌우측 일정범위 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inclined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from the center of symmetry of the occlusal preventing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상치경사면은, 상기 교합방지부의 대칭중심에서 좌우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정도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inclined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gree of inclination decreases toward the left and right from the center of symmetry of the occlusal preventing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상치경사면은, 상측으로 갈수록 후측을 향해 경사각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inclined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hape in which the inclination angle becomes smaller toward the rear side toward the upper 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상치접촉면은,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과 상기 상치경사면을 연결하는 상치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tooth contact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upper tooth support surface connecting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over part and the upper slop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교합방지부는, 하치와 접하는 하치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치접촉면은, 하측방향으로 경사진 하치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cclusal prevention part includes a lower tooth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lower tooth, and the lower tooth contact surface includes a lower tooth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하치경사면은, 상기 교합방지부의 대칭중심으로부터 좌우측 일정범위 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ower tooth is form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from the center of symmetry of the occlusal preventing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하치경사면은, 상기 교합방지부의 대칭중심에서 좌우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정도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ower toot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gree of inclination decreases toward the left and right from the center of symmetry of the occlusal preventing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하치경사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후측을 향해 경사각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inclined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hape in which the angle of inclination toward the rear side decreases toward the lower 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하치접촉면은,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과 상기 하치경사면을 연결하는 하치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wl contact surface comprises a bowl support surface connecting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over part and the bowl slope surfa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상치지지면과 상기 상치경사면의 경계는, 상기 하치지지면과 상기 하치경사면의 경계보다 전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support surface and the upper slope is located in front of the boundary between the lower support surface and the lower slope slop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은, 외측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art has a concave shape in an outward dir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은, 상치의 외측면과 접하는 상치커버면과, 하측의 외측면과 접하는 하치커버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art includes a top cov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teeth and a lower cov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상치커버면과 상기 상치지지면의 경계는, 상기 하치커버면과 상기 하치지지면의 경계보다 전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cover surface and the upper support surface is located in front of the boundary between the lower cover surface and the lower support surfa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교합방지부는, 상기 상치경사면의 단부와 상기 하치경사면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cclusal preventing part comprises a connection surface connecting an end of the upper inclined surface and an end of the lower inclined surfa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연결면은, 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surface forms a curved surfa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연결면은, 혀가 느끼게 되는 이물감을 최소화하도록 외측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cave shape in an outward direction to minimize a foreign body sensation felt by the tongu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는, 상기 커버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전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수용하는 광원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includes a light source receiving portion exten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in an anterior direction to receive a light emitting portion for irradiating light. do.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광원수용부는,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한 통형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부를 전측방향으로 연장형성한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sourc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cylindrical body portion having an empty space inside,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n an anterior direction. do.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연장부는, 연장부 상에 돌출형성된 돌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nsion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otrusion formed on the extension portion.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configuration, combination, and use relationship tha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은, 치아 미백을 위해, 치아 미백제가 도포된 치아에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끼웠을 때, 도포된 치아 미백제가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 밖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가 사용자의 치아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로감과 이물감을 최소화한,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teeth whitening, when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is inserted on a tooth to which a tooth whitening agent is applied, the applied tooth whitening agent minimizes flowing out of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while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is a user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mouthpiece for teeth whitening that minimizes the user's fatigue and foreign body feeling by making it as close to the teeth as possible.

본 발명은,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착용감과 편의성 및 치아 미백의 효과를 높이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rives an effect of providing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that enhances the fit and convenience of a user who wears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and the effect of whitening teeth.

본 발명은, 치아 미백제의 충분한 미백반응에 필요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사용자가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장시간 물고 있어도 피로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that prevents a user from feeling fatigue even when a user bites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for a long time until a predetermined time required for a sufficient whitening reaction of the tooth whitening agent has elapsed.

본 발명은,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가 사용자의 치아에 밀착하도록 하여, 이물감에 따른 불편함, 구역질, 혀 경련 및 통증 등의 문제 발생을 차단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that blocks the occurrence of problems such as discomfort, nausea, tongue cramps and pain due to foreign body feeling by allowing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to adhere to the user's teeth.

본 발명은,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에 발광부가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광 조사에 의해 미백제의 치아 미백반응을 더욱 촉진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leads to an effect of providing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that further promotes a tooth whitening reaction of a whitening agent by light irradiation by configuring the light emitting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본 발명은,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발광부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별로 각기 다른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사용해 치아 미백시 위생 및 청결이 유지되도록 하고, 발광부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반복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다수의 발광부 구비에 따른 비용의 낭비를 방지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so that hygiene and cleanliness are maintained when teeth whitening using different tooth whitening mouthpieces for each user, and the light emitting portion is repeatedly used by a plurality of users.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that prevents wasted costs due to the provision of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본 발명은,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의 교합방지부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치가 하치를 덮는 구조를 가지는 정상교합 치아의 해부학적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having a structure similar to the anatomical structure of a normal occlusal tooth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tooth covers the lower tooth by forming the occlusal prevention part of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inclined.

본 발명은, 치아의 외측을 덮는 커버부를 구성하여, 치아 외측에 묻은 치아 미백제가 사용자의 입술 등에 묻어 소실되지 않도록 하면서, 발광부로부터 조사된 광은 상기 커버부를 통과하도록 하여 미백반응을 촉진시키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ver portion covering the outside of the tooth, so that the tooth whitening agent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tooth is not stained by the user's lips, etc., while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passes through the cover portion to promote the whitening reaction, It derives the effect of providing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본 발명은, 교합방지부에 상치접촉면을 구성하여, 상치의 외측면 이외의 부분이 상기 상치접촉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치아에 도포된 미백제가 구강내 다른 부분에 묻거나 입안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충분한 미백반응이 이루어질 때까지 오랜시간동안 마우스피스를 착용하더라도 사용자의 불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tooth contact surface is formed in the occlusal prevention part, so that portions other tha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toot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tooth contact surface, thereby preventing the whitening agent applied to the teeth from getting on other parts of the oral cavity or flowing into the mouth. ,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that prevents user discomfort even when wearing the mouthpiece for a long time until a sufficient whitening reaction is made.

본 발명은, 교합방지부의 중심으로부터 좌우측 일정범위 내에 형성되며, 교합방지부의 중심에서 좌우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정도가 작아지고, 상측으로 갈수록 경사각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진 상치경사면을 구성하여, 정상교합치의 해부학적 구조에 유사한 교합방지부를 구성함에 따라, 상기 교합방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치와 하치로 상기 교합방지부를 물었을 때, 사용자가 느끼는 이물감을 최소화한,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in a certain rang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from the center of the occlusal prevention unit, the degree of inclination decreases from the center of the occlusion prevention unit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upper tooth slope has a shape that decreases the angle of inclination toward the upper side. By configuring the occlusion prevention part similar to the anatomical structure,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that minimizes the foreign body sensation felt by the user when the occlusion prevention part is bitten by the upper and lower teeth with the occlusion prevention part between.

본 발명은, 커버부의 내측면과 상치경사면을 연결하는 상치지지면을 구성하여, 상치와 하치 사이에 교합방지부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상하치로 교합방지부를 물었을 때, 상치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n upper tooth support surface that connects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art and the upper inclined surface, and when the bite prevention part is bitten by the upper and lower teeth while the bite prevention part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eth, the force applied by the upper tooth is stable. It derives the effect of providing a mouthpiece for whitening teeth, which can be supported by.

본 발명은, 교합방지부에 하치접촉면을 구성하여, 하치의 외측면 이외의 부분이 상기 하치접촉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치아에 도포된 미백제가 구강내 다른 부분에 묻거나 입안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충분한 미백반응이 이루어질 때까지 오랜시간동안 마우스피스를 착용하더라도 사용자의 불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lower tooth contact surface is formed in the occlusal preventing part, so that a portion other tha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toot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tooth contact surface, thereby preventing the whitening agent applied to the teeth from getting on other parts of the oral cavity or flowing into the mouth. ,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that prevents user discomfort even when wearing the mouthpiece for a long time until a sufficient whitening reaction is made.

본 발명은, 교합방지부의 중심으로부터 좌우측 일정범위 내에 형성되며, 교합방지부의 중심에서 좌우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정도가 작아지고, 상측으로 갈수록 경사각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진 하치경사면을 구성하여, 정상교합치의 해부학적 구조에 유사한 교합방지부를 구성함에 따라, 상기 교합방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치와 하치로 상기 교합방지부를 물었을 때, 사용자가 느끼는 이물감을 최소화한,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in a certain rang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from the center of the occlusal prevention unit, the degree of inclination decreases toward the left and right from the center of the occlusion prevention unit, and the inclination angle decreases toward the upper side. By configuring the occlusion prevention part similar to the anatomical structure,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that minimizes the foreign body sensation felt by the user when the occlusion prevention part is bitten by the upper and lower teeth with the occlusion prevention part between.

본 발명은, 커버부의 내측면과 하치경사면을 연결하는 하치지지면을 구성하여, 상치와 하치 사이에 교합방지부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상하치로 교합방지부를 물었을 때, 하치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lower tooth support surface connecting the inner side of the cover part and the lower tooth inclined surface, and when the bite prevention part is bitten by the upper and lower teeth while the bite prevention part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eth, the force applied by the lower tooth is stable. It derives the effect of providing a mouthpiece for whitening teeth, which can be supported by.

본 발명은, 상치지지면과 상치경사면의 경계는, 하치지지면과 하치경사면의 경계보다 전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정상교합하는 치아의 해부학적 구조에 유사한 치아수용부를 형성함으로써, 치아수용부가 만드는 치아수용공간 상에 삽입된 사용자의 치아가 치아수용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tooth support surface and the upper inclined surface is configured to be located anteriorly than the boundary between the lower tooth support surface and the lower tooth inclined surface, and by forming a tooth receiving portion similar to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normal occlusal tooth, the tooth receiving portion is created.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that allows the user's teeth inserted in the tooth receiving spac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ooth receiving portion.

본 발명은, 커버부의 내측면 형상을 외측방향으로 오목하게 구성하여, 치아수용공간 상에 수용된 사용자의 치아가 커버부의 내측면과 밀착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that allows the user's teeth accommodated in the tooth accommodating space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by configuring the inner side of the cover part to be concave outward. Have.

본 발명은, 상치커버면과 상치지지면의 경계는, 하치커버면과 하치지지면의 경계보다 전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정상교합하는 치아의 해부학적 구조에 유사한 치아수용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tooth cover surface and the upper tooth support surface is configured to be positioned anteriorly than the boundary between the lower tooth cover surface and the lower tooth support surface, so that a tooth receiving portion similar to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tooth in normal occlusion is formed. It derives the effect of providing a whitening mouthpiece.

본 발명은, 상치경사면의 단부와 하치경사면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면을 구성하면서, 상기 연결면을 외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해, 사용자가 마우스피스를 착용했을 때, 혀에 걸리는 부분이 없도록 함에 따라 혀가 느끼게 되는 이물감을 최소화하고, 마우스피스에 의해 혀가 뒤로 과도하게 밀리거나, 과도하게 밀린 혀에 의해 호흡곤란, 구토 등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configuring a connection surface connecting the end of the upper inclined surface and the end of the lower inclined surface, the connection surface is formed concave in the outward direction, so that when the user wears the mouthpiece, there is no part caught on the tongue.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that minimizes the foreign body sensation felt by the tongue and prevents the tongue from being excessively pushed back by the mouthpiece or from causing breathing difficulties and vomiting by the excessively pushed tongue. .

본 발명은, 커버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전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광원수용부를 구성하여, 상기 광원수용부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수용함으로써 미백제의 활성을 더욱 촉진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providing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that further promotes the activity of a whitening agent by configuring a light source receiving portion extending for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and accommodating a light emitting portion that irradiates light to the light source receiving portion. Have.

본 발명은,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한 통형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부를 전측방향으로 연장형성한 연장부를 포함한 광원수용부를 구성하여, 상기 연장부에 의해 발광부가 안정적으로 파지될 수 있도록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ight source receiving portion including a cylindrical body portion having an empty space inside,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a part of the body portion in the front direction, so that the light emitting portion can be stably held by the extension portion. To derive the effect of providing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본 발명은, 연장부 상에 돌출형성된 돌기를 구성하여,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에 발광부를 결합할 때나 분해할 때, 상기 돌기에 의해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와 발광부의 용이한 탈부착을 도모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a protruding protrusion on the extension part, when the light emitting part is coupled to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or when disassembled, slipping is prevented by the protrusion, so that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and the light emitting part are easy.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mouthpiece for whitening teeth that promotes detachment and detachment.

도 1은 종래의 치아 미백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치아의 정상 교합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마우스피스 상에 안착된 상치와 하치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다른 시점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의 평면도.
도 7은 도 4의 A-A' 단면도.
도 8은 도 4의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또 다른 시점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와 발광부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ooth whitening device.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normal occlusion of teeth.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s of the upper teeth and lower teeth seated on a conventional mouthpiece.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of Figure 4 from a different viewpoint.
Figure 6 is a plan view of Figure 4;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A′ of FIG. 4.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of Figure 4 from another viewpoint.
9 is a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and a light emitting unit.
Figure 10 is a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 this specification are the same as the general meanings of the terms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in case of conflict with the meanings of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sent disclosure According to the definitions used in the specific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사시도로,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1)는, 치아 미백을 수행하기 위해, 일측은 사용자의 입에 물리고, 타측은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3)가 결합되는 구성으로, 치아 미백을 위해, 치아 미백제가 도포된 치아에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끼웠을 때, 도포된 치아 미백제가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 밖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가 사용자의 치아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로감과 이물감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 4, the present invention tooth whitening mouthpiece 1, in order to perform tooth whitening, one side It is a configuration in which a light emitting unit 3 that is bitten by the user's mouth and irradiates light on the other side is coupled.When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is inserted into the tooth to which the tooth whitening agent has been applied, the applied tooth whitening agent It is characterized by minimizing flow out of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and minimizing the user's fatigue and foreign body feeling by making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user's teeth.

상기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1)를 구성하는 재료에 관해 이를 어느 특정 개념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실리콘(Silicon), 라텍스(Latex), 고무 등 미백제가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치아에 최대한 밀착이 되고, 입안에 들어갔을 때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1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concept, but preferably, while minimizing the outflow of whitening agents such as silicon, latex, rubber, etc. , It can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as close as possible to the teeth and minimizes the feeling of foreign body when it enters the mouth.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1)는, 치아수용부(10)와, 광원수용부(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1 includes a tooth receiving unit 10 and a light source receiving unit 30.

상기 치아수용부(10)는, 치아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미백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상치와 하치가 삽입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1)의 사용자란, 인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봄이 바람직하지만, 그렇다 하더라고, 본 발명이 인간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도 6은 도 4의 평면도로, 도 6을 참고하면, 바람직하게는 치아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위턱과 아래턱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는 바, 상기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1) 중 상기 치아수용부(10)의 평면 형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가 대칭인 원호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tooth receiving unit 10 is configured to receive teeth, and provides a space in which upper teeth and lower teeth of a user to be whitened are inserted and se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of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1 means a human, and it is preferable to see it, but even so, it does not mean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ly applied only to humans. 6 is a plan view of FIG. 4, and referring to FIG. 6, preferably, a plurality of teeth are formed and ar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upper and lower jaws, and the tooth receiving portion 10 of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1 The planar shape of) may be configured in an arc shap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symmetrical as shown in FIG. 6.

치아 미백을 위해서는 치아에 미백제가 도포되어야 하는데, 미백제를 도포하는 방식은, 크게 상기 치아수용부(10) 상의 치아수용공간에 치아 미백제를 충진하고 치아 미백제가 충진된 마우스피스(1)를 사용자의 치아에 끼우는 방식과, 치아에 직접 미백제를 바르고 상기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1)를 사용자의 치아에 끼우는 방식 등이 있을 수 있다. 다만, 어떠한 방식에 의하든, 치아 미백 효과가 발현되기 위해서는 미백제가 치아의 표면 붙어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될 수 있어야 하는바, 상기 치아수용부(10)는, 치아에 묻은 미백제를 소실시키지 않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whiten teeth, a whitening agent must be applied to the teeth, and the method of applying the whitening agent is largely filled with a tooth whitening agent in the tooth receiving space on the tooth receiving part 10, and the mouthpiece 1 filled with the tooth whitening agent is used by the user. There may be a method of fitting the teeth, a method of directly applying a whitening agent to the teeth and a method of fitting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1 to the user's teeth. However, regardless of the method, in order for the tooth whitening effect to be expressed, the whitening agent must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and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tooth receiving part 10 does not lose the whitening agent on the tooth.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nfigured to have the shape shown in 4 to 6.

이러한 상기 치아수용부(10)는, 커버부(11), 교합방지부(13)를 포함한다.The tooth receiving part 10 includes a cover part 11 and a bite prevention part 13.

상기 커버부(11)는, 치아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구성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외측이란, 신체에서 멀어지는 측을 말하며, 반대로 내측이란, 신체에 가까워지는 측을 말하는바, 상기 커버부(11)는 치아의 바깥면을 덮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치아 미백을 위해서는 미백제가 치아에 일정 시간동안 머물러 있어야 하므로, 상기 커버부(11)를 구성해 치아의 외측을 덮음으로써 치아 외측에 묻은 치아 미백제가 사용자의 입술 등에 묻어 소실되지 않도록 한다.The cover 11 refers to a configuration form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tooth.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ide refers to the side away from the body, and the inner side refers to the side closer to the body, and the cover 11 may be viewed as a configuration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the tooth.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hitening agent must remain in the teeth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order to whiten teeth, the cover 11 is configured to cover the outside of the teeth so that the tooth whitening agent on the outside of the teeth is not stained and disappeared. do.

또한, 상기 커버부(11)는 후술할 광원수용부(30)에 결합된 발광부(3)로부터 광이 조사되면, 조사된 광을 투과시켜 광에 의한 미백제의 활성을 촉진시켜야 하므로, 상기 커버부(11)는 발광부(3)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투과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light is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3 coupled to the light source receiving unit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over 11 must transmit the irradiated light to promote the activation of the whitening agent by the light. The part 11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3 can be transmitted.

도 7은 도 4의 A-A' 단면도로,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커버부(11)는, 내측면(111)과, 외측면(113)을 포함한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 and referring to FIG. 7, the cover 11 includes an inner side surface 111 and an outer side surface 113.

상기 내측면(111)은, 상기 커버부(11) 중 사용자의 치아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으로, 바람직하게는 치아의 외측면에 접하는 부분을 말한다. 상기 내측면(11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방향으로 오목하고 후측방향으로 굽어 있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치아의 외측면과 밀착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커버부(11)의 내측면(111)은, 후술할 교합방지부(13)에 의해 상치커버면(1111), 하치커버면(1113)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상치커버면(1111)은, 상치의 외측면과 접하는 부분이고, 상기 하치커버면(1113)은, 하치의 외측면과 접하는 부분을 가리킨다. 상기 상치커버면(1111)은 상측으로 그리고 후측으로 굽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하치커버면(1113)은 하측으로 그리고 후측으로 굽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surface 111 is a portion of the cover 11 that directly contacts the user's teeth, and preferably refers to a portion that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tooth. The inner surface 111 is configured to have a shape that is concave in an outward direction and bent in a rearward direction, as shown in FIG. 7, and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ooth. The inner side surface 111 of the cover part 11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tooth cover surface 1111 and a lower tooth cover surface 1113 by a bite prevention part 13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upper tooth cover surface 1111 ) Denote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tooth, and the bowl cover surface 1113 denote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tooth. The upper cover surface 1111 may be formed to be bent upward and to the rear, and the lower cover surface 1113 may be formed to be bent downward and to the rear.

정상교합치는 해부학적으로, 상치가 하치를 덮는 형상을 가지는데, 이러한 해부학적 형상에 대략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1)를 구성하여 상기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1)와 치아가 밀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상치커버면(1111)과 후술할 상치지지면(1313)의 경계(B1)가, 상기 하치커버면(1113)과 상기 하치지지면(1333)의 경계(B2)보다 전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하겠다.The normal occlusal tooth is anatomically, the upper tooth has a shape that covers the lower tooth, and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1) having a shape that is approximately complementary to this anatomical shape is constituted so that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1) and the tooth In order to be able to be in close contact, the boundary B1 between the upper cover surface 1111 and the upper support surface 1313 to be described later is a boundary B2 between the lower cover surface 1113 and the lower support surface 1333. ) It may be desirable to be configured to be located on the front sid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provided later.

상기 외측면(113)은, 상기 커버부(11) 중 사용자의 치아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은 아니지만, 발광부(3)로부터 광을 조사받아 조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구성이라는 점과, 상기 외측면(113)의 형상에 따라 상기 커버부(11)의 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 상기 커버부(11)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지면 광 투과율이 떨어질뿐만 아니라 상기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1)가 비대해질 수 있다는 점 등에 의거, 상기 커버부(11)의 두께를 줄여 광 투과율을 높이면서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상기 외측면(113)의 형상 역시 외측방향으로 오목한 상기 내측면(111)의 형상과 유사하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113 is not a portion of the cover 11 that directly contacts the user's teeth, but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irradiated light by receiving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3, and The thickness of the cover part 11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side surface 113, and if the thickness of the cover part 11 is too thick, the light transmittance decreases and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1 Based on the fact that it may become enlarged, in order to improve the light transmittance while increasing the light transmittance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cover part 11,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113 is also the inner surface 111 concave outwardly. Similar to the shape of, as shown in FIG. 7, i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convex shape in the outward direction.

상기 교합방지부(13)는, 일측은 상기 커버부(11)의 내측면(111)과 연결되고 타측은 자유단을 형성하면서 상치(U)와 하치(L)의 접촉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치가 하치를 덮는 구조를 가지는 정상교합 치아의 해부학적 구조와 유사한 치아수용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1) 내 치아의 밀착을 도모함으로써,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1)를 착용한 사용자의 피로감과 이물감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합방지부(13)의 두께에 대해 이를 어느 특정 수치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2~4mm가 될 수 있다.The bite prevention part 13 is configured to prevent contact between the upper teeth (U) and the lower teeth (L) whil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inner side 111 of the cover part 11 and the other side forms a free end, By form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eeth similar to the anatomical structure of a normal occlusal tooth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tooth covers the lower tooth, the upper tooth is formed to be inclined, thereby promoting the close contact of the tooth within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1,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1) It is characterized by minimizing the feeling of fatigue and foreign body feeling of the user wearing it. The thickness of the occlusal preventing part 13 is not limited to any specific value, but it may be preferably 2 to 4 mm.

상기 교합방지부(13)는, 상기 커버부(11)와 치아수용공간(S)을 형성하며, 상기 치아수용공간(S)은 상치를 수용하는 상치수용공간(S1)과, 하치를 수용하는 하치수용공간(S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상치수용공간(S1)은 상기 하치수용공간(S2) 보다 전측에 위치하여, 상기 상치수용공간(S1)이 상기 하치수용공간(S2)을 덮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상교합치의 해부학적 구조에 유사한 치아수용공간(S)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The occlusal prevention part 13 forms the cover part 11 and the tooth receiving space S, and the tooth receiving space S is an upper tooth receiving space S1 for accommodating an upper tooth, and a lower tooth It can be divided into a bowl accommodation space (S2). The upper tooth receiving space (S1) is located in front of the lower tooth receiving space (S2), and the upper tooth receiving space (S1)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hape covering the lower tooth receiving space (S2). It is possible to form a tooth receiving space (S) similar to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congruence.

도 7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교합방지부(13)는, 상치접촉면(131)과, 하치접촉면(133)과, 연결면(13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bite prevention part 13 includes an upper tooth contact surface 131, a lower tooth contact surface 133, and a connection surface 135.

상기 상치접촉면(131)은, 상치와 접하는 구성으로, 전술한 바에 의하면, 상치의 외측면은 상기 상치커버면(1111)과 접할 수 있는바, 상기 상치접촉면(131)은 상치의 외측면 이외의 부분과 접하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치접촉면(131)과 상기 상치커버면(1111)의 경계(B1)는 경사각이 '0'이 되는 부분을 연결함으로써 정해질 수 있다. 상기 교합방지부(13)에 상기 상치접촉면(131)을 구성하여, 상치의 외측면 이외의 부분이 상기 상치접촉면(131)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치아에 도포된 미백제가 구강내 다른 부분에 묻거나 입안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충분한 미백반응이 이루어질 때까지 오랜시간동안 마우스피스를 착용하더라도 사용자의 불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upper tooth contact surface 131 has a configuration in contact with the upper tooth, and according to the foregoing,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tooth may contact the upper tooth cover surface 1111, and the upper tooth contact surface 131 is a non-external surface of the upper tooth. It can be viewed as a configuratio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part. Accordingly, the boundary B1 between the upper tooth contact surface 131 and the upper tooth cover surface 1111 may be determined by connecting a portion having an inclination angle of “0”. By configuring the upper tooth contact surface 131 on the occlusal prevention part 13 so that parts other tha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toot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tooth contact surface 131, the whitening agent applied to the tooth may be applied to other parts of the oral cavity. It is possible to prevent it from flowing into the mouth, and to prevent discomfort from the user even if the mouthpiece is worn for a long time until a sufficient whitening reaction is achieved.

이러한 상기 상치접촉면(131)은, 상치경사면(1311)과, 상치지지면(1313)을 포함한다.The top contact surface 131 includes a top inclined surface 1311 and a top support surface 1313.

상기 상치경사면(1311)은, 상기 상치접촉면(131) 중 상측방향으로 경사진 부분으로, 바람직하게는,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좌우측이 대칭인 상기 교합방지부(13)의 대칭중심으로부터 좌우측 일정범위 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교합방지부(13)의 대칭중심에서 좌우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정도가 작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치경사면(1311)은, 상측으로 갈수록 후측을 향해 연장되어 경사각이 작아지는 형상을 할 수 있다. 이는 결국 정상교합치의 해부학적 구조에 유사한 교합방지부(13)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통해, 상기 교합방지부(13)를 사이에 두고 상치와 하치로 상기 교합방지부(13)를 물었을 때, 사용자가 느끼는 이물감은 최소화될 수 있다.The upper tooth inclined surface 1311 is a portion of the upper tooth contact surface 131 that is inclined in the upward direction, and is preferably formed in an arc shape, so that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a certain range from the center of symmetry of the occlusal prevention part 13 It may be formed in, and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degree of inclination decreases toward the left and right from the center of symmetry of the occlusion prevention part 13. More preferably, the upper inclined surface 1311 may have a shape that extends toward the rear side toward the upper side so that the angle of inclination decreases. This is to configure the anti-occlusion part 13 similar to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normal occlusal tooth, through which, when biting the anti-occlusion part 13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eth with the anti-occlusion part 13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sense of foreign body felt by the user can be minimized.

상기 상치지지면(1313)은, 상기 커버부(11)의 내측면(111) 중 상기 상치커버면(1111)과 상기 상치경사면(1311)을 연결하는 부분을 말한다. 상기 상치지지면(1313)이 수평하게 형성되는 실시예를 제외하는 것은 아니지만, 자연발생적인 치아의 형상이 음식물 등을 잘게 부수는데 용이하도록 구강 중심을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바, 이러한 치아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치지지면(1313)은 볼록한 치아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상기 상치지지면(1313)은 상기 경계(B1)에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후측을 향해 경사각이 커지는 형상을 하는 부분을 가리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치경사면(1311)과 상기 상치지지면(1313)의 경계(B3)는 상측으로 갈수록 후측을 향해 경사각이 작아지는 곡면을 형성하는 상기 상치경사면(1311)과, 상측으로 갈수록 후측을 향해 경사각이 커지는 곡면을 형성하는 상기 상치지지면(1313) 사이에 굴곡의 방향이 바뀌는 이들의 변곡점 부분을 연결함으로써 정해질 수 있다.The upper support surface 1313 refers to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111 of the cover part 11 connecting the upper cover surface 1111 and the upper slope 1311. Although it does not exclude the embodiment in which the upper tooth support surface 1313 is formed horizontally, the shape of the naturally occurring tooth has a convex shape toward the center of the oral cavity so that it is easy to crush food, etc. In order to support it, the upper tooth support surface 1313 may preferably have a concave shap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end of the convex tooth, and the upper tooth support surface 1313 is rearward from the boundary B1 toward the upper side. It can be seen that it refers to a part that has a shape that increases the inclination angle toward. Therefore, the boundary B3 between the upper inclined surface 1311 and the upper support surface 1313 has the upper inclined surface 1311 forming a curved surface with a smaller inclination angle toward the rear side toward the upper side, and toward the rear side toward the upper side. It may be determined by connecting the inflection point portions of the upper support surfaces 1313, which form a curved surface with a large inclination angle, whose direction of curvature is changed.

상기 하치접촉면(133)은, 하치와 접하는 구성으로, 전술한 바에 의하면, 하치의 외측면은 상기 하치커버면(1113)과 접할 수 있는바, 상기 하치접촉면(133)은 하치의 외측면 이외의 부분과 접하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치커버면(1113)과 상기 하치접촉면(133)의 경계(B2)는 경사각이 '0'이 되는 부분을 연결함으로써 정해질 수 있다. 상기 교합방지부(13)에 상기 하치접촉면(133)을 구성하여, 하치의 외측면 이외의 부분이 상기 하치접촉면(133)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치아에 도포된 미백제가 구강내 다른 부분에 묻거나, 중력에 의해 치아에서 이탈되어 소실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The bowl contact surface 133 is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bowl, and according to the above, the outer surface of the bowl can be in contact with the bowl cover surface 1113, and the bowl contact surface 133 is other than the outer surface of the bowl. It can be viewed as a configuratio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part. Preferably, the boundary B2 between the bowl cover surface 1113 and the bowl contact surface 133 may be determined by connecting a portion having an inclination angle of “0”. By configuring the lower tooth contact surface 133 on the bite prevention part 13 so that a portion other tha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toot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tooth contact surface 133, the whitening agent applied to the teeth is applied to other parts of the oral cavity, ,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roblem of being removed from the tooth by gravity and lost.

이러한 상기 하치접촉면(133)은, 하치경사면(1331)과, 하치지지면(1333)을 포함한다.The bowl contact surface 133 includes a bowl inclined surface 1331 and a bowl support surface 1333.

상기 하치경사면(1331)은, 상기 하치접촉면(133) 중 하측방향으로 경사진 부분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합방지부(13)의 대칭중심으로부터 좌우측 일정범위 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교합방지부(13)의 대칭중심에서 좌우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정도가 작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치경사면(1331)은, 하측으로 갈수록 후측을 향해 경사각이 작아지는 형상을 할 수 있다. 이는 결국 정상교합치의 해부학적 구조에 유사한 교합방지부(13)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통해, 상기 교합방지부(13)를 사이에 두고 상치와 하치로 상기 교합방지부(13)를 물었을 때, 사용자가 느끼는 이물감은 최소화될 수 있다.The lower inclined surface 1331 is a portion inclined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lower contacting surface 133, and preferably, may be form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from the symmetrical center of the occlusal preventing part 13, and the occlusal prevention 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degree of inclination decreases toward the left and right from the center of symmetry of the part 13. More preferably, the lower inclined surface 1331 may have a shape in which an angle of inclination toward the rear side decreases toward the lower side. This is to configure the anti-occlusion part 13 similar to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normal occlusal tooth, through which, when biting the anti-occlusion part 13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eth with the anti-occlusion part 13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sense of foreign body felt by the user can be minimized.

상기 하치지지면(1333)은, 상기 커버부(11)의 내측면(111) 중 상기 하치커버면(113)과 상기 하치경사면(1331)을 연결하는 부분을 말한다. 상기 하치지지면(1333)이 수평하게 형성되는 실시예를 제외하는 것은 아니지만, 자연발생적인 치아의 형상이 음식물 등을 잘게 부수는데 용이하도록 구강 중심을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바, 이러한 치아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치지지면(1333)은 볼록한 치아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상기 하치지지면(1333)은 상기 경계(B2)에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후측을 향해 경사각이 커지는 형상을 하는 부분을 가리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치경사면(1331)과 상기 하치지지면(1333)의 경계(B4)는 하측으로 갈수록 후측을 향해 경사각이 작아지는 곡면을 형성하는 상기 하치경사면(1331)과, 하측으로 갈수록 후측을 향해 경사각이 커지는 곡면을 형성하는 상기 하치지지면(1333) 사이에 굴곡의 방향이 바뀌는 이들의 변곡점 부분을 연결함으로써 정해질 수 있다.The bowl support surface 1333 refers to a portion of the inner side surface 111 of the cover part 11 that connects the bowl cover surface 113 and the bowl slope surface 1331. Although the embodiment in which the lower support surface 1333 is formed horizontally is not excluded, the shape of the naturally occurring tooth has a convex shape toward the center of the oral cavity to facilitate breaking down food, etc. In order to support it, the lower support surface 1333 may preferably have a concave shap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end of the convex tooth, and the lower support surface 1333 is rearward as it moves downward from the boundary B2. It can be seen that it refers to a part that has a shape that increases the inclination angle toward. Therefore, the boundary B4 between the lower inclined surface 1331 and the lower support surface 1333 has the lower inclined surface 1331 forming a curved surface with a smaller inclination angle toward the rear side toward the lower side, and toward the rear side toward the lower side. It may be determined by connecting the inflection point portions of the lower support surfaces 1333 forming a curved surface with a large inclination angle, whose direction of the bend is changed.

정상교합하는 치아의 해부학적 구조에 유사한 치아수용부(10)를 형성함으로써, 치아수용부(10)가 만드는 치아수용공간 상에 삽입된 사용자의 치아가 치아수용부(10)에 밀착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치접촉면(131)과 상기 상치커버면(1111)의 경계(B1)는 상기 하치커버면(1113)과 상기 하치접촉면(133)의 경계(B2)보다 전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치지지면(1313)과 상기 상치경사면(1311)의 경계(B3)는, 상기 하치지지면(1333)과 상기 하치경사면(1331)의 경계(B4)보다 전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By forming the tooth receiving unit 10 similar to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tooth that is normally occluding, the user's teeth inserted in the tooth receiving space made by the tooth receiving unit 10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ooth receiving unit 10. , Preferably, the boundary (B1) between the upper contact surface 131 and the upper cover surface 1111 is configured to be located in front of the boundary (B2) of the lower cover surface 1113 and the lower contact surface 133 And, the boundary (B3) between the upper support surface (1313) and the upper inclined surface (1311) may be configured to be located in front of the boundary (B4) between the lower support surface (1333) and the lower inclined surface (1331). have.

상기 연결면(135)은, 상기 상치경사면(1311)의 단부와 상기 하치경사면(1331)의 단부를 연결하는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연결면(135)은 상기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1)를 착용한 사용자의 혀와 맞닿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면(135)의 형상이 어떠한지에 따라 혀에 걸리는 부분이 많아 지거나 적어질 수 있고, 이는 결국 마우스피스(1)를 착용한 사용자의 이물감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물감, 불편함을 최소화하고자, 연결면(135)은 곡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혀가 느끼게 되는 이물감을 최소화하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surface 135 refers to a configuration connecting an end of the upper inclined surface 1311 and an end of the lower inclined surface 1331. The connecting surface 13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ongue of the user wearing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1. Therefor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connection surface 135, the portion that is caught on the tongue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and this may eventually be connected to the sense of foreign body of the user wearing the mouthpiece 1.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the user's foreign body sensation and discomfort, the connection surface 135 may be configured to form a curved surface, and preferably, as shown in FIG. 7 to minimize the foreign body sensation felt by the tongue, It can be configured to have a concave shape.

상기 광원수용부(30)는, 상기 커버부(11)의 외측면(113)으로부터 전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3)를 수용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광부(3)는 LED 발생기일 수 있다. 도 8은 도 4의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를 또 다른 시점에서 도시한 사시도로,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광원수용부(30)의 내측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빈 공간이 형성되는바, 상기 발광부(3)는 상기 광원수용부(30) 내에 용이하게 안착되거나 상기 광원수용부(3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accommodating part 30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outer surface 113 of the cover part 11 in a forward direction to accommodate the light emitting part 3 for irradiating light. Preferably, the light emitting unit 3 may be an LED generator.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of FIG. 4 from another viewpoint, and referring to FIG. 8, an empty space as shown in FIG. 8 is formed inside the light source receiving part 30 As such, the light emitting unit 3 can be easily seated in the light source receiving unit 30 or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light source receiving unit 30.

이러한 상기 광원수용부(30)는, 바디부(31)와 연장부(33)를 포함한다.The light source receiving part 30 includes a body part 31 and an extension part 33.

상기 바디부(31)는,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한 통형의 구성으로, 내측에 마련된 빈 공간 상에 상기 발광부(3)를 수용하게 된다. 상기 바디부(31)의 형상을 어느 특정 개념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면의 형상이 사각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body part 31 has a cylindrical structure in which an empty space is formed inside, and accommodates the light emitting part 3 on the empty space provided inside. Although the shape of the body portion 31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concept, preferably, as shown in FIG. 8, the shape of the longitudinal section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quare shape.

상기 연장부(33)는, 상기 바디부(31)의 일부를 전측방향으로 연장형성한 부분을 말한다. 상기 연장부(33)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1)와 상기 발광부(3)가 접촉하게 되는 부위가 넓어지게 됨에 따라, 양자 간의 보다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해 질 수 있다. 상기 연장부(33)는 상기 바디부(31)의 상측단을 연장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디부(31)의 상측단 및 하측단을 연장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는 등 얼마든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연장부(33)는, 돌기(331)를 포함한다.The extension part 33 refers to a part formed by extending a part of the body part 31 in the forward direction. By configuring the extension part 33, as the region where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1 and the light emitting part 3 come into contact becomes wider, a more stable coupling between the two may be possible. The extension part 33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8 by extending the upper end of the body part 31, and extending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body part 31 are shown in FIG. 9. It can be configured in any number of different forms, such as may b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extension part 33 includes a protrusion 331.

상기 돌기(331)는, 상기 연장부(33) 상에 돌출형성된 구성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1)를 상기 발광부(3)와 결합할 때나 분해할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양자의 용이한 탈부착을 도모하는 구성을 말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돌기(331)가 상기 연장부(33)의 평면 외주 형상과 유사한 원호형으로 돌출 형성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전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얼마든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 331 has a configuration protruding on the extension part 33, and can be disassembled when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1 is combined with the light emitting part 3,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it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prevents slipping and promotes easy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both. As shown in Fig. 9, the protrusion 331 is formed to protrude in an arc shape similar to the planar outer circumference shape of the extension part 33,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f the above-described function can be performed, how much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로,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치아 미백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치아에 미백제를 도포한 후, 도포된 미백제가 주위의 다른 곳으로 흘러들거나 묻지 않도록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1)를 착용하게 된다. 본 발명인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1)는 정상 교합하는 치아의 해부학적 구조에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바, 사용자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1)를 오랜 시간동안 착용하더라도 불편하지 않으며, 이물감이 없어 피로감을 덜 느끼게 된다. 10 and 11 are state diagrams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10 and 11, a user who wants to whiten teeth may apply a whitening agent to the teeth, and then prevent the applied whitening agent from flowing or smearing into other places around it. A tooth whitening mouthpiece (1) is worn. The present inventors tooth whitening mouthpiece (1) has a shape similar to the anatomical structure of normal occlusal teeth, the user is not inconvenient even if wearing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1) for a long time, there is no foreign body feeling fatigue You will feel less.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합방지부(13)의 연결면(135)이 치아의 내측면에 밀착이 되는바, 혀에 걸리는 부분이 최소화되어, 이물감에 따른 불편함, 구역질, 혀 경련 및 통증 등의 문제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1, the connection surface 135 of the anti-occlusion part 1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ooth, so that the part caught on the tongue is minimized, and discomfort due to the feeling of foreign body, nausea, and tongue It can block the occurrence of problems such as cramps and pain.

뿐만 아니라,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1)에는 분리가능하게 발광부(3)가 결합되어 광을 발생시키는바, 조사된 광이 미백제의 활성을 촉진시켜 미백효과는 더욱 높아진다. 무엇보다도 발광부(3)의 탈부착이 가능해지면서, 상기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1)만 사용자별로 구비되면 되므로, 사용자별로 각기 다른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1)를 사용해 치아 미백시 위생 및 청결이 유지되도록 하고, 발광부(3)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반복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다수의 발광부(3) 구비에 따른 비용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light emitting unit 3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1 to generate light, the irradiated light promotes the activity of the whitening agent, thereby increasing the whitening effect. Above all, since the light emitting unit 3 can be detached and attached, only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1 needs to be provided for each user, so hygiene and cleanliness when teeth whitening is achieved by using different tooth whitening mouthpieces 1 for each user. It is maintained, and the light emitting unit 3 can be repeatedly used by a plurality of users, so that the waste of cost due to the provision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3 can be prevented.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is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above description shows and describe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other combinations, modifications and environments. That is,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cope equivalent to the disclosed contents, and/or the skill or knowledge of the ar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describe the best state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required in the specific application fields and u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disclosed embodiment. In addition,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mbodiments.

1: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
10: 치아수용부
11: 커버부
111: 내측면
1111: 상치커버면
1113: 하치커버면
113: 외측면
13: 교합방지부
131: 상치접촉면
1311: 상치경사면
1313: 상치지지면
133: 하치접촉면
1331: 하치경사면
1333: 하치지지면
135: 연결면
30: 광원수용부
31: 바디부
33: 연장부
331: 돌기
3: 발광부
U: 상치
L: 하치
T: 혀
1: tooth whitening mouthpiece
10: tooth receiving part
11: Cover part
111: inner side
1111: top cover surface
1113: bowl cover surface
113: outer surface
13: Occlusal prevention part
131: top contact surface
1311: upper slope
1313: Sangchi Ground
133: bowl contact surface
1331: Bottom slope
1333: Hachiji ground
135: connecting surface
30: light source receiving unit
31: body part
33: extension
331: protrusion
3: light emitting unit
U: Sangchi
L: bowl
T: tongue

Claims (24)

치아를 수용하는 치아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수용부는, 치아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커버부와, 일측은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과 연결되고 타측은 자유단을 형성하면서 상치와 하치의 교합을 방지하는 교합방지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피로감과 이물감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
Including a tooth receiv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a tooth,
The tooth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cover portion form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tooth,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cover portion and the other side forms a free end, and an occlusion preventing portion for preventing occlus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eth
A mouthpiece for whitening teeth, characterized in that to minimize the user's feeling of fatigue and foreig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수용부는, 상기 커버부와 상기 교합방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치아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치아수용공간은, 상치를 수용하는 상치수용공간과, 하치를 수용하는 하치수용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tooth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tooth receiving space formed by the cover portion and the occlusal preventing portion,
The tooth receiving sp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upper tooth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an upper tooth and a lower tooth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a lower tooth.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치수용공간은, 상기 하치수용공간보다 전측에 위치하여 해부학적 상치와 하치 간의 교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
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tooth receiving space,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anterior to the lower tooth receiving space to enable occlusion between the anatomical upper and lower teeth, tooth whitening mouthpie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합방지부는, 치아가 상기 치아수용부에 밀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bite prevention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eeth are formed inclin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ooth receiving portion, tooth whitening mouthpie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합방지부는, 상치와 접하는 상치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치접촉면은, 상측방향으로 경사진 상치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
The method of claim 4,
The occlusal prevention part includes an upper tooth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upper tooth,
The upper tooth contact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upper tooth inclined surface inclined in the upward direction, tooth whitening mouthpie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치경사면은, 상기 교합방지부의 대칭중심으로부터 좌우측 일정범위 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
The method of claim 5,
The upper inclined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left and right from the center of symmetry of the occlusal preventing portion, tooth whitening mouthpie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치경사면은, 상기 교합방지부의 대칭중심에서 좌우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정도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
The method of claim 6,
The upper tooth inclined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gree of inclination decreases toward the left and right from the center of symmetry of the occlusal preventing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치경사면은, 상측으로 갈수록 후측을 향해 경사각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
The method of claim 7,
The upper inclined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shape having a smaller inclination angle toward the rear side toward the upper side, tooth whitening mouthpie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치접촉면은,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과 상기 상치경사면을 연결하는 상치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
The method of claim 5,
The upper tooth contact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upper tooth support surface conne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and the upper tooth inclined surface, tooth whitening mouthpie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교합방지부는, 하치와 접하는 하치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치접촉면은, 하측방향으로 경사진 하치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
The method of claim 9,
The occlusal prevention part includes a lower tooth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lower tooth,
The lower tooth contact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wer tooth inclined surface inclined in a downward direction, tooth whitening mouthpie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치경사면은, 상기 교합방지부의 대칭중심으로부터 좌우측 일정범위 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
The method of claim 10,
The lower tooth inclined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left and right from the center of symmetry of the occlusal preventing portion, tooth whitening mouthpie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치경사면은, 상기 교합방지부의 대칭중심에서 좌우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정도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
The method of claim 11,
The lower tooth inclined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gree of inclination decreases toward the left and right from the center of symmetry of the occlusal preventing por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치경사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후측을 향해 경사각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
The method of claim 12,
The lower tooth inclined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hape having a smaller inclination angle toward the rear side toward the lower side, tooth whitening mouthpie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치접촉면은,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과 상기 하치경사면을 연결하는 하치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
The method of claim 10,
The lower tooth contact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wer tooth support surface conne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and the lower tooth inclined surface, tooth whitening mouthpie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치지지면과 상기 상치경사면의 경계는, 상기 하치지지면과 상기 하치경사면의 경계보다 전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
The method of claim 14,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tooth support surface and the upper inclined surface is located in front of the boundary between the lower tooth support surface and the lower tooth inclined surfa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은, 외측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
The method of claim 14,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concave shape in the outward direction, tooth whitening mouthpiec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은, 상치의 외측면과 접하는 상치커버면과, 하측의 외측면과 접하는 하치커버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
The method of claim 16,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op cov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teeth and a lower tooth cov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side, tooth whitening mouthpiec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치커버면과 상기 상치지지면의 경계는, 상기 하치커버면과 상기 하치지지면의 경계보다 전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
The method of claim 17,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tooth cover surface and the upper tooth support surface is located in front of the boundary between the lower tooth cover surface and the lower tooth support surfa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교합방지부는, 상기 상치경사면의 단부와 상기 하치경사면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
The method of claim 14,
The bite prevention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on surface connecting the end of the upper inclined surface and the lower inclined surface, tooth whitening mouthpiec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면은, 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
The method of claim 19,
The connection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curved surface, tooth whitening mouthpiece.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면은, 혀가 느끼게 되는 이물감을 최소화하도록 외측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
The method of claim 20,
The connection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cave shape in the outward direction to minimize the sense of foreign body felt by the tongue, tooth whitening mouthpiece.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는, 상기 커버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전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수용하는 광원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1,
The tooth whitening mouthpiece comprises a light source receiving portion exten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in an anterior direction to receive a light emitting portion for irradiating light.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수용부는,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한 통형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부를 전측방향으로 연장형성한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
The method of claim 22,
The light source receiv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ylindrical body portion formed with an empty space inside, and an extension portion formed by extending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n an anterior direction.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연장부 상에 돌출형성된 돌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
The method of claim 23,
The extension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otrusion formed on the extension portion, tooth whitening mouthpiece.
KR1020190063594A 2019-05-30 2019-05-30 Mouthpiece For Tooth Whitening KR1022524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594A KR102252494B1 (en) 2019-05-30 2019-05-30 Mouthpiece For Tooth White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594A KR102252494B1 (en) 2019-05-30 2019-05-30 Mouthpiece For Tooth Whiten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363A true KR20200137363A (en) 2020-12-09
KR102252494B1 KR102252494B1 (en) 2021-05-21

Family

ID=73786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594A KR102252494B1 (en) 2019-05-30 2019-05-30 Mouthpiece For Tooth White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49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5747A (en) 2021-09-06 2023-03-14 주식회사 라브 Mouthpiece for whitening teeth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2189A (en) * 2002-10-29 2004-07-22 Yuichiro Irie Lighting system, treatment apparatus, and bleaching method for teeth
KR200406685Y1 (en) 2005-10-20 2006-01-24 (주)젠텍인터내셔날 Luminescent tooth whitening device with removable mouthpiece
JP2011217983A (en) * 2010-04-12 2011-11-04 Nano Optec Kk Light irradiation device for tooth bleaching
US20130052613A1 (en) * 2011-05-25 2013-02-28 Magicsmile Usa, Inc. Mouth Tray for Teeth Whiten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2189A (en) * 2002-10-29 2004-07-22 Yuichiro Irie Lighting system, treatment apparatus, and bleaching method for teeth
KR200406685Y1 (en) 2005-10-20 2006-01-24 (주)젠텍인터내셔날 Luminescent tooth whitening device with removable mouthpiece
JP2011217983A (en) * 2010-04-12 2011-11-04 Nano Optec Kk Light irradiation device for tooth bleaching
US20130052613A1 (en) * 2011-05-25 2013-02-28 Magicsmile Usa, Inc. Mouth Tray for Teeth Whiten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5747A (en) 2021-09-06 2023-03-14 주식회사 라브 Mouthpiece for whitening tee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2494B1 (en) 2021-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422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ntal treatment
US11179232B2 (en) Dual use exercise whitener appliance
EP2328538B1 (en) Biologic response teether
WO2012172149A1 (en) Chewing-based oral self-cleaning device
KR101554721B1 (en) Light irradiating device for mouth
KR101811577B1 (en) Oral mounting fixture
US20120037168A1 (en) Dental device for weight control
US20200360124A1 (en) Teeth whitening device
CN110025388A (en) Multifunction invisible appliance
US6126678A (en) Intraoral administration device
KR102252494B1 (en) Mouthpiece For Tooth Whitening
KR20120033385A (en) Adjustable orthopedic pad for temporomandibularjoint
CN211213599U (en) Invisible orthodontic device without occlusal surface
JP5784251B1 (en) Saliva secretion promoting mouthpiece
KR101731892B1 (en) Apparatus For Shaping Bulging Cheek
KR101594926B1 (en) Mouth gag
CN107149506A (en) It is a kind of to prevent painting fluorine device of children cari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139071B1 (en) Apparatus for tooth orthodontic and whitening
WO2019062215A1 (en) Teeth whitening tray
JP3202890U (en) Soft tube for dentifrice and its lid
CN217066680U (en) Take beautiful tooth appearance of adaptation structure
KR100728885B1 (en) Device for tooth whitening and tooth whitener vessel
JP3668744B2 (en) (Bite block using thermoplastic material)
CN213310451U (en) Tooth appliance
CN215228742U (en) Beautiful tooth appearance with gel containmen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