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892B1 - Apparatus For Shaping Bulging Cheek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haping Bulging Chee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892B1
KR101731892B1 KR1020160060587A KR20160060587A KR101731892B1 KR 101731892 B1 KR101731892 B1 KR 101731892B1 KR 1020160060587 A KR1020160060587 A KR 1020160060587A KR 20160060587 A KR20160060587 A KR 20160060587A KR 101731892 B1 KR101731892 B1 KR 101731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ball
user
cheeks
den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5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석길
Original Assignee
김석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길 filed Critical 김석길
Priority to KR1020160060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89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8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 A63B23/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for face muscles
    • A63B23/03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for face muscles for insertion i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haping cheeks, which enables a user with hollow cheeks on the face to compensate the hollowness, make the cheeks look chubby, and soften facial features, thereby removing inconvenience in social activities. The composition of the apparatus includes: a tooth fixture fixed to teeth; and cheek support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tooth fixture and suppor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cheeks of a user, thereby pushing the cheeks of the user outwards and making the cheeks look chubbier.

Description

안면 보조기구{Apparatus For Shaping Bulging Cheek}{Apparatus For Shaping Bulging Cheek}

본 발명은 안면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안면중 뺨 내지 볼이 홀쭉한 사용자가 착용하였을 경우 홀쭉한 부분을 보상하여 불룩하게 보임으로써 인상을 좋게 하여 사회활동에 불편함이 없게 하는 안면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ial auxiliar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cial auxiliary device, which, when a slim cheek or a cheek of a user wears the face, compensates for a slimy portion and looks bulg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ial aiding device.

하관(下觀)이라 함은 광대뼈(3, 도 4 참조)를 중심으로 얼굴의 아래쪽 턱 부분을 일컫는 곳으로서, 사람의 인상을 판단하는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둥글고 살이 붙어 있는 하관은 인심이 후하고 너그러운 인상을 주며 관상학적으로는 노년의 운 또는 재물운을 일러준다고 알려져 있다. The lower view refers to the lower jaw portion of the face centered on the cheekbones (3, see Fig. 4), which is an important part in judging the impression of a person. It is generally known that a round, fleshy lowered hull gives a generous and generous impression, and it is known to tell the luck or old age of the old.

그러나 자체적으로 하관이 좁거나, 병약하거나, 노년기에 접어들어 있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볼(1)이 홀쭉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당사자는 인상이 좋지 않게 되어 사회활동을 하거나 사교생활을 하는데 지장을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래서 보톡스와 같은 성형외과적인 도움을 받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경제적인 부담이 되기도 하고 부작용의 우려가 있기도 하다. 또한 어설프게 하는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티가 나서 오히려 더 불편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inner tube itself is narrow, weak, or is folded into the old age, as shown in Fig. 4, the sheep 1 is often slimy. In such a case, the parties will not be impressed and will be affected by social activities and social life. Sometimes they receive plastic surgery such as Botox, but this can be an economic burden or a side effect. Also, if you try to cheat, you may become more uncomfortable as time goes by.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5-0032817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05-0032817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양볼이 지나치게 홀쭉하여 살이 없는 경우 이를 성형외과적 수술 없이 보상시켜 줌으로써 인상을 변화시키고 사회활동에 지장이 없도록 하는 안면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가발과 같이 사회활동을 할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착용할 수 있게 하고 평상시에는 몸에서 분리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최소한의 도움을 통해 자신의 단점을 커버할 수 있게 하는 안면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 and to provide a facial assisting apparatus which compensates for the lack of fat in the cheek without excessive plastic surgery, thereby changing the impression and preventing the social activity from being hindered. More specifically, it can be worn selectively only for social activities such as wigs, and is separated from the body in normal times, thereby providing facial aids that enable the wearer to cover his / her disadvantages through minimal help from the outside .

위와 같은 목적은, 치아에 고정되는 치아고정구; 상기 치아고정구의 외측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볼 내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볼이 불룩하게 솟아오르도록 하는 볼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보조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The above object is achieved by a tooth clamp fixed to a tooth; And a ball support fixed to the outside of the tooth retainer and suppor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ball of the user so that the ball bulges upward.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치아고정구는 틀니이며;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tooth retainer is a false tooth;

상기 볼지지대와 치아고정구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은;An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ball support and the tooth fixing member;

상기 틀니의 외측면에 타공된 결합공과, 상기 볼지지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결합공에 끼워지는 결합핀을 포함할 수 있다. A coupling hol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enture, and a coupling pin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all support, the coupling pin being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정수단은 접착제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means may be an adhesiv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볼지지대의 성형블럭 외측면에 결합됨으로써 사용자의 볼이 더욱 불룩하게 보이도록 하는 보조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ll support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support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olding block of the ball support to make the ball of the user appear bulkier.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틀니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틀니에 볼지지대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끼워 결합시킴으로써, 홀쭉해진 양볼이 불룩하게 솟아오를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자신의 인상을 개선함으로써 사회활동시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필요없을 경우에는 틀니로부터 분리하고 틀니만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상의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상 부작용이 없으며, 좀 더 경제적으로 자신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게 하는 안면 보조기구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user who uses the denture can selectively bulge the ball on the dent by selectively fitting the ball support to the denture as need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olve difficulties in social activities by improving their impressions. If it is not necessary,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inconvenience of use by separating it from the denture and using only the denture. Therefore, there is provided a facial auxiliary device which has no side effects in use, and can overcome its drawbacks more economical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안면 보조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안면 보조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안면 보조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안면 보조기구의 착용전 사용자의 안면 형상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안면 보조기구의 착용후 사용자의 안면 형상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안면 보조기구의 볼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안면 보조기구의 볼지지대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안면 보조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 의한 안면 보조기구의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acial auxilia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facial auxilia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acial auxiliar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al shape of a user before wearing the facial auxiliar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5 is a face view of a user after wearing the facial assisting instr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ll support of a facial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ball support of a facial auxiliar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facial auxiliar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of a facial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기본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겠으며, 이후 필요한 곳에서 다른 도면을 인용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ttached hereto. First, a basic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and other drawings will be referred to where necessary.

본 발명의 안면 보조기구는 치아에 고정되는 치아고정구(10)와, 사용자의 볼 내측면을 지지하는 볼지지대(20)와, 치아고정구(10)와 볼지지대(20)를 연결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The facial assi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ooth fixture 10 fixed to a tooth, a ball support 20 supporting the inner side of the ball of the user, fixing means for connecting the tooth fixture 10 and the ball support 20 .

치아고정구(10)는 그 자체적으로 독립적 기능을 하는 틀니가 될 수도 있고, 순전히 볼지지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이 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전자의 경우로서 틀니(11)가 치아고정구로 기능하고 있다. 치아고정구는 특히 아랫니 내지 하악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틀니(11)는 통상적인 틀니와 같이 의치(15)를 가지고 있다. The tooth fixture 10 may be a denture that performs its own independent function or may be a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ball support. In this embodiment, the denture 11 functions as a tooth fastener as the former case. The tooth fastener is preferably fixedly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ndible or mandible. The denture 11 has a denture 15 like a conventional denture.

볼지지대(20)가 치아고정구(10)의 어금니 외측에 고정된다. 볼지지대(20)는 성형블럭(21)을 포함하는데, 이 성형블럭(21)이 사용자의 볼 내측면에 접하여 지지함으로써 볼(1)이 외측으로 불룩하게 솟아오르도록 하는 것이다. The ball support 20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molar teeth of the tooth retainer 10. [ The ball support 20 includes a forming block 21 which is hel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all of the user so that the ball 1 bulges outward.

고정수단은 볼지지대(20)의 성형블럭(21)과 치아고정구(10)를 서로 고정시킨다. 고정수단은 치아고정구(10)의 외측면에 타공된 결합공(13)과, 상기 성형블럭(2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결합공(13)에 끼워지는 결합핀(2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xing means fixes the molding block 21 of the ball support 20 and the tooth holder 10 to each other. The fastening means includes a fastening hole 13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ooth fastener 10 and an engaging pin 22 project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orming block 20 and fitted to the fastening hole 13 .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치아고정구는 틀니(11)가 될 수 있다. 도 1에는 완전틀니가 예시되고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부분틀니가 예시되고 있다. 어느 경우나 결합공(13)은 어금니 주변에 설치하는 것이 지지력을 공고히 하는데 유리하다. 결합공(13)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틀니(11)의 내측면까지 연장되도록 타공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부분틀니의 경우 다른 치아에 고정시키기 위한 걸이구(16)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th fastener may be the denture 11. In Fig. 1, a complete denture is illustrated, and a partial denture is illustrated in Fig. In any case, it is advantageous for the coupling hole 13 to be provided around the molar to secure the supporting force. The engaging holes 13 may be formed to exten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enture 11 as shown in Fig. In the case of the partial denture shown in Fig. 3, a hook 16 for fixing the denture to other teeth should be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고정수단은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결합핀(22)과 접착제가 함께 이용될 수도 있다.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분리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고정식으로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means may include an adhesive. An adhesive may be used together with the bonding pin 22 described above. If an adhesive is used, it should be used as a fixed type because it is difficult to separate.

성형블럭(21)은 실리콘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핀(22)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성형블럭(21) 내부에 끼워져 결합된다. 성형블럭(21)는 몇종류의 표준 사이즈로 제공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에 맞게끔 맞춤식으로 성형될 수 있다. The molding block 21 is preferably made of silicon. The engaging pins 22 are inserted into the molding block 21 by insert molding. The molding block 21 may be provided in several standard sizes, but may be tailored to sui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성형블럭(21)에는 다수의 작은 구멍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입안에 생긴 침이 소통될 수 있으며 착용시 답답함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서, 구멍의 직경은 1 ~2mm 정도가 바람직할 것이다. Although not shown, a plurality of small holes may be formed in the molding block 21. [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of the hole is 1 to 2 mm or so.

성형블럭(21)은 아래부분(21a)이 폭이 넓고 두꺼우며, 위부분(21b)이 폭이 좁고 얇게 되어 있다. 이는 신체의 특성을 고려한 형상이다. 결합핀(22)은 이 아래부분에 고정 설치된다. In the molding block 21, the lower portion 21a is wide and thick, and the upper portion 21b is narrow and thin. This is a shap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dy. And the engaging pin 22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고정수단은 결합핀(22) 이외에도 치아고정구(10)와 볼지지대(20)의 결합부위에 도브테일(또는 요철(凹凸))과 같은 단면 형태를 갖게 함으로써 암수결합 방식으로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결합핀(22)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바람직할 것이다. The fixing means may be formed so as to have a cross-sectional shape such as dovetail (or concavo-convex) at the joining portion of the tooth retainer 10 and the ball support 20 in addition to the joining pin 22, This may be preferable in the case where the engagement pin 22 can not be used.

어금니를 포함한 주변 치아가 유지되고 있는 경우에는 틀니를 사용할 수 없다. 이런 경우에는 치열교정기구와 같은 기구를 치아고정구로 이용할 수 있다. Dentures can not be used if the surrounding teeth, including molars, are retained. In this case, an instrument such as an orthodontic appliance can be used as a tooth fixture.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성형블럭(21)의 외측면에 보조지지대(3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보조지지대(30)는 성형블럭(21)만으로 부족함이 생길 경우 이를 보충하기 위하여 덧대는 방식으로 성형블럭(21)의 외표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성형블럭(21)와 같은 재질이 사용될 수도 있으나 신체에 더 친화적인 소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보조지지대(30)는 성형블럭(21)의 외표면에 형성된 끼움공(23)과, 이 끼움공(23)에 암수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으로서 보조지지대(30)의 내측면(31)에 돌출 형성되는 쐐기형 고정핀(32)을 이용하여 성형블럭(21)에 결합될 수 있다. 6, the auxiliary support 30 may be further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olding block 21. [ The auxiliary support 30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olding block 21 in a padding manner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the molding block 21 alone. A material such as the molding block 21 may be used, but materials which are more friendly to the body may be used. The auxiliary support 30 includes a fitting hole 23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lding block 21 and a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side 31 of the auxiliary support 30 by male- Shaped fixing pin 32. The wedge-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시된 바에 의하면 성형블럭(21)이 도 7(a)와 같이 중공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 빈 공간(24)에 도 7(b)와 같이 액상 또는 겔상의 충전재(25)가 충정되고 있다. 이는 유동성 충전재(25)를 충전하고 밀봉함으로써 보다 신체의 피부와 같은 느낌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충전재(25)는 유동성을 가지면 인체에 무해한 소재로 되어 있다. 물, 식물성 오일, 실리콘 또는 에틸알코올 등이 충전재로 사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molding block 21 has a hollow shape as shown in FIG. 7 (a). A liquid or gel filler 25 is filled in the hollow space 24 as shown in FIG. 7 (b). This is to fill the fluid filler 25 and seal it so that it has the same feel as the skin of the body. The filler 25 is made of a material harmless to the human body if it has fluidity. Water, vegetable oil, silicone or ethyl alcohol, etc. may be used as the filler.

이하,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치아에 고정되는 치아고정구(10)는 실리콘 소재의 마우스피스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치아고정구의 외측판(17)에 고정되는 볼지지대(20)는 접착에 의해 마련된다. 여기서 볼지지대(20)는 치아고정구(10)와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특정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에 맞게끔 컴퓨터 설계에 의해 마우스피스와 볼지지대가 일체로 설계되어 3-D 프린터 등을 이용하여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다.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9. Fig. According to the figure, the tooth fastener 10 secured to the tooth has the form of a mouthpiece made of silicone. The ball support 20 fixed to the outer plate 17 of the tooth fastener is provided by adhesion. Here, the ball support 20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tooth retainer 10. The mouthpiece and the ball support are integrally designed according to the computer design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pecific user, and are integrally manufactured using a 3-D printer or the like.

본 실시예에 의하면 치아고정구(10)인 마우스피스의 바닥판(18)에 치아구멍(19)이 마련될 수 있다. 이것은 어금니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가 안면 보조기구를 착용하였을 때 치아구멍(19)을 통해 어금니가 돌출되므로 안면 보조기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음삭물을 씹을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안면 보조기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식사를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ooth hole 19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plate 18 of the mouthpiece, which is the tooth fastener 10. This allows the user who has molars to chew up the dough while wearing the facial aids because the molar teeth protrude through the tooth hole 19 when the facial aids are worn. Thus, it is possible to eat while wearing a facial aid.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an example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For example, all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freely combined and practi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ny combination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치아고정구 11 : 틀니
13 : 결합공 15 : 의치
19 : 치아구멍 20 : 볼지지대
21 : 성형블럭 22 : 성형핀
25 : 충전재 30 : 보조지지대
10: Tooth fastener 11: False tooth
13: joint ball 15: denture
19: tooth hole 20: ball support
21: forming block 22: forming pin
25: Filler 30: Secondary support

Claims (4)

치아에 고정되는 치아고정구;
상기 치아고정구의 외측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볼 내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볼이 불룩하게 솟아오르도록 하는 볼지지대;
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고정구는 틀니이며;
상기 볼지지대와 치아고정구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은;
상기 틀니의 외측면에 타공된 결합공과, 상기 볼지지대의 성형블럭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결합공에 끼워지는 결합핀 및 접착제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공은 어금니 주변에 설치하고, 틀니의 내측면까지 연장되도록 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보조기구.
A tooth retainer fixed to the tooth;
A ball support fixed to the outside of the tooth retainer and supporting the inner side of the ball of the user so that the ball bulges upward;
Lt; / RTI >
The tooth retainer is a false tooth;
An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ball support and the tooth fixing member;
An engaging hol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enture; an engaging pin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of the molding block of the ball supporter and fitted to the engaging hole;
Wherein the engaging hole is provided around the molar and punctured to exten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en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지지대의 성형블럭 외측면에 결합됨으로써 사용자의 볼이 더욱 불룩하게 보이도록 하는 보조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보조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support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forming block of the ball support to make the ball of the user appear bulkier.
KR1020160060587A 2016-05-18 2016-05-18 Apparatus For Shaping Bulging Cheek KR1017318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587A KR101731892B1 (en) 2016-05-18 2016-05-18 Apparatus For Shaping Bulging Chee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587A KR101731892B1 (en) 2016-05-18 2016-05-18 Apparatus For Shaping Bulging Chee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1892B1 true KR101731892B1 (en) 2017-05-08

Family

ID=60164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587A KR101731892B1 (en) 2016-05-18 2016-05-18 Apparatus For Shaping Bulging Chee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89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087B1 (en) * 2019-10-25 2020-03-10 손진희 Face wrinkle improvement utensil
KR102202227B1 (en) * 2020-03-04 2021-01-13 손진희 Face wrinkle improvement utensi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6121A (en) 2001-10-25 2003-05-07 Advance Ticonium:Kk Sandwiched plate denture
JP2014104330A (en) 2012-11-30 2014-06-09 Yuichiro Irie Mouth piece for facial treat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6121A (en) 2001-10-25 2003-05-07 Advance Ticonium:Kk Sandwiched plate denture
JP2014104330A (en) 2012-11-30 2014-06-09 Yuichiro Irie Mouth piece for facial treat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087B1 (en) * 2019-10-25 2020-03-10 손진희 Face wrinkle improvement utensil
KR102202227B1 (en) * 2020-03-04 2021-01-13 손진희 Face wrinkle improvement utensi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2903B2 (en) Oral appliance for improving strength and balance
US11179232B2 (en) Dual use exercise whitener appliance
EP1806064A1 (en) Mouthpiece for flattening wrinkles
US8839795B2 (en) Face and mouth muscle stimulator
ES2694225T3 (en) Teether
TW200624060A (en) Oral care implement
NZ552484A (en) Custom mouthguard
KR20070105330A (en) Lip closing tool
KR101811577B1 (en) Oral mounting fixture
KR101731892B1 (en) Apparatus For Shaping Bulging Cheek
KR101844663B1 (en) Mouse piece for correcting a temporomandibular joint
EP3139857A1 (en) Removable denture with metal denture tooth or teeth
US20140100498A1 (en) Unknown
KR20120033385A (en) Adjustable orthopedic pad for temporomandibularjoint
CN210056289U (en) False tooth support
KR20140072719A (en) face-lifting assist device
EP2189131A1 (en) Face and mouth muscle stimulator
JP3183344U (en) Foil wire removal tool
ES2937987T3 (en) Breast prostheses
KR102252494B1 (en) Mouthpiece For Tooth Whitening
KR101469176B1 (en) Smile correction apparatus
JP2015139558A (en) Gum massage tool
CN215425230U (en) Soft lining type full-zirconium false tooth
CN2353323Y (en) Tooth Protective cover
CN211156359U (en) Tooth forceps for childr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