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6625A - 셀 동기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셀 동기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6625A
KR20200136625A KR1020190062382A KR20190062382A KR20200136625A KR 20200136625 A KR20200136625 A KR 20200136625A KR 1020190062382 A KR1020190062382 A KR 1020190062382A KR 20190062382 A KR20190062382 A KR 20190062382A KR 20200136625 A KR20200136625 A KR 20200136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signal
synchronization
block
signal strength
signa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7660B1 (ko
Inventor
김윤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062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660B1/ko
Publication of KR20200136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Abstract

실시예들은 셀 동기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셀 동기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동기화 신호 블록(SSB; Synchronization Signal block)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복수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 변화에 기초하여,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을 결정한 이후에는 동기화 신호 블록의 신호 세기 측정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셀 동기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ELL SYNCHRONIZATION}
아래 실시예들은 셀 동기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속 이동 상황에서 셀 동기를 빨리 맞추기 위한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의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5G 통신 시스템은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초고주파(mmWave) 대역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또한, 5G 통신 시스템은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및 첨단 의료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을 구현할 수 있다.
5G 통신 시스템의 초기 접속은 하향링크의 초기 동기 및 시스템 정보 획득과 랜덤 접속 절차를 통한 연결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은 다수의 빔을 사용하여 동기화 신호 및 시스템 정보를 반복 전송하며, 단말은 기지국에서 송신한 모든 동기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가장 신호 세기가 큰 동기화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랜덤 접속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하지만, 단말이 망 접속 절차를 진행하기 위해 적어도 5ms동안 각 동기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해야 할 수 있다. FR1(Frequency Range1, 7GHz 이하)에서 30kHz의 부반송파 간격(SCS; Sub-Carrier Spacing)을 사용할 때 스케쥴링의 단위인 슬롯의 길이가 0.5ms이고, FR2(Frequency Range2, 28GHz 이상)에서 120kHz의 부반송파 간격을 사용할 때 슬롯의 길이가 0.125ms임을 고려했을 때 5ms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움직이는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5ms 동안 무선채널 환경이 빠르게 바뀌어서 단말이 5G 셀 동기를 맞추기 어려울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이전에 측정한 값을 신뢰할 수 없을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할 실시예들은 단말이 5G 셀에 동기를 빨리 맞추어서 망 획득 시간을 줄이고자 한다.
실시예들은 단말이 움직이는 속도가 빠르더라도 5G 셀 동기를 맞춰야 하는 상황에서 셀 동기 성공 확률을 높이고자 한다.
실시예들은 단말이 모든 동기화 신호 블록을 측정하지 않아도, 신호세기가 가장 큰 동기화 신호 블록을 선택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셀 동기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동기화 신호 블록(SSB; Synchronization Signal block)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 변화에 기초하여,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을 결정한 이후에는 동기화 신호 블록의 신호 세기 측정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각각의 시점에 대응하여, 해당 시점에서 측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의 신호 세기와 상기 해당 시점 이후 미리 정해진 구간 이내에서 측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 시점에서 측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의 신호 세기가 상기 해당 시점 이후 미리 정해진 구간 내에서 측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해당 시점에서 측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을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셀 동기화 방법은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과 망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망 접속 절차를 통해 상기 기지국과 무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빔 스위핑(beam sweeping)을 통해 순차적으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을 결정하는 단계는 단말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기화 신호 블록들은 동기화 신호 버스트(SSBS: synchronization signal burst)에 포함되고, 상기 동기화 신호 블록들 각각은 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블록과 S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을 결정하는 단계는, 동기화 신호 버스트에 포함된 모든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지 않고,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셀 동기화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 변화에 기초하여,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을 결정하며,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을 결정한 이후에는 동기화 신호 블록의 신호 세기 측정을 중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각각의 시점에 대응하여, 해당 시점에서 측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의 신호 세기와 상기 해당 시점 이후 미리 정해진 구간 이내에서 측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를 비교하고, 상기 해당 시점에서 측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의 신호 세기가 상기 해당 시점 이후 미리 정해진 구간 내에서 측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해당 시점에서 측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을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과 망 접속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망 접속 절차를 통해 상기 기지국과 무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빔 스위핑(beam sweeping)을 통해 순차적으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동기화 신호 버스트에 포함된 모든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지 않고,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단말이 5G 셀에 동기를 빨리 맞추어서 망 획득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실시예들은 단말이 움직이는 속도가 빠르더라도 5G 셀 동기를 맞춰야 하는 상황에서 셀 동기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들은 단말이 모든 동기화 신호 블록을 측정하지 않아도, 신호세기가 가장 큰 동기화 신호 블록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셀 동기를 맞추기 위한 동기화 신호 블록들을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수신하는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 변화 그래프들의 유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신호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셀 동기화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어 있는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기술적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은 다양한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간의에"와 "바로~간의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WCDMA(wideband C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C(single carrier)-F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110-1, 110-2, 110-3, 120-1, 120-2), 복수의 단말들(user equipment)(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매크로 셀(macro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 및 제5 기지국(120-2) 각각은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의 커버리지(coverage) 내에 제4 기지국(120-1), 제3 단말(130-3) 및 제4 단말(130-4)이 속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10-2)의 커버리지 내에 제2 단말(130-2),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이 속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10-3)의 커버리지 내에 제5 기지국(120-2), 제4 단말(130-4), 제5 단말(130-5) 및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의 커버리지 내에 제1 단말(130-1)이 속할 수 있다. 제5 기지국(120-2)의 커버리지 내에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이하에서, 셀은 매크로 셀 및 스몰 셀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지칭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node), 노변 장치(road side unit; RSU), DU(digital unit), CDU(cloud digital unit), RRH(radio remote head), RU(radio unit), TP(transmission point),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중계 노드(relay nod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터미널(terminal),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노드(node), 디바이스(devic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셀룰러(cellular)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은 4G 기지국 및/또는 5G 기지국일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은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과 통신하며 5G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LTE 기지국 및/또는 5G 기지국에 의한 5G 통신 서비스는 도 1 형태의 망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망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ideal backhaul) 또는 논(non)-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코어(core) 네트워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에 전송할 수 있고,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OFDMA 기반의 다운링크(downlink) 전송을 지원할 수 있고, SC-FDMA 기반의 업링크(uplink)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예를 들어, SU(single user)-MIMO, MU(multi user)-MIMO, 대규모(massive) MIMO 등), CoMP(coordinated multipoint) 전송,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전송,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에서 전송, 단말 간 직접(device to device, D2D) 통신(또는, ProSe(proximity services)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과 대응하는 동작,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지국(110-2)은 S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S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기지국(110-2)은 M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M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CoMP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CoMP 방식에 의해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자신의 커버리지 내에 속한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과 CA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제4 단말(130-4)과 제5 단말(130-5) 간의 D2D 통신을 코디네이션(coordination)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의 코디네이션에 의해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노드들 중에서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전송 또는 수신)이 설명되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노드는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과 상응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수신 또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기지국은 단말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기지국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단말은 기지국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아래에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5G의 무선 접속 기술인 NR(New Radio)기술에 있어서, 셀 동기를 빨리 맞추기 위한 동기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셀 동기를 맞추기 위한 동기화 신호 블록들을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220)의 셀 탐색 및 선택을 위해 기지국(210)에서는 동기화 신호 및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모든 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220)에 전원이 공급되면 주변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셀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220)은 탐색된 셀 중 하나의 셀을 선택하게 되며, 이 과정을 통해 단말(220)은 셀에 대한 주파수 및 심볼 동기를 획득하고, 셀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 동기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셀 동기를 맞추기 위하여 동기화 신호인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와 S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포함하는 동기화 신호 블록(SSB; Synchronization Signal block)들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PSS는 무선 프레임 동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PSS는 Zadoff-chu sequence(또는 m-sequence)를 바탕으로 생성하며, 62(또는 127)개의 부반송파 영역을 차지할 수 있다. SSS도 역시 무선 프레임 동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SSS는 Gold sequence를 바탕으로 생성할 수 있다. 동기화 신호 블록은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PBC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은 다양한 OFDM 부반송파 간격의 사용과 더불어 수백 MHz에서 수십 GHz에 이르는 넓은 범위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이로 인한 셀 커버리지 축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주파 대역에서는 빔포밍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빔포밍을 통해서 셀 커버리지를 늘리는 경우 셀 내의 각 단말들에게 전송되는 전용 제어 채널 및 전용 데이터 뿐만 아니라 셀 내의 모든 단말들에게 공통적으로 전송되는 공통 제어 채널(common control channel) 및 공통 신호들 또한 빔포밍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한 번의 전송을 통해 전체 셀 영역에 공통 제어 채널 및 동기 신호를 포함한 공통 신호를 전송할 수 없고, 일정 시간 동안 복수 회에 걸쳐 다수의 빔(beam)을 통해 전송을 하게 되고, 이를 빔 스위핑(beam sweeping)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210)은 일정 시간 동안 복수 회에 걸쳐 동기화 신호 블록_1(SSB index1)(231), 동기화 신호 블록_2(SSB index2)(232) 내지 동기화 신호 블록_8(SSB index8)(238)을 포함하는 8개의 동기화 신호 블록을 빔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빔 스위핑을 통해 동기화 신호 블록을 수신한 단말(220)은 기지국(210)에서 송신한 모든 동기화 신호 블록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신호 세기가 가장 큰 동기화 신호 블록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주파수/시간 동기 획득 및 셀 아이디 정보 등을 획득한 후, 망 접속 절차를 통해 상하향 링크 동기 획득 및 기지국(210)과의 무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210)은 20ms 주기마다 5ms 동안 빔 스위핑을 통해 모든 동기화 신호 블록들을 전송하고, 단말(220)은 모든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해서 신호 세기가 가장 큰 동기화 신호 블록에 기초하여, 망 접속 절차를 통해 기지국(210)과의 무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FR1(Frequency Range1, 7GHz 이하)에서 30kHz의 부반송파 간격(SCS; Sub-Carrier Spacing)을 사용할 때 스케쥴링의 단위인 슬롯의 길이가 0.5ms이고, FR2(Frequency Range2, 28GHz 이상)에서 120kHz의 부반송파 간격을 사용할 때 슬롯의 길이가 0.125ms임을 고려했을 때 단말(220)이 망 접속 절차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인 5ms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일 수 있다. 단말(220)이 움직이는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5ms 동안 무선채널 환경이 빠르게 바뀌어서 단말(220)이 5G 셀 동기를 맞추기 어려울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이전에 측정한 값을 신뢰할 수 없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신호 블록 결정 방법에 따르면, 단말(220)이 모든 동기화 신호 블록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지 않아도, 신호 세기가 가장 큰 동기화 신호 블록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망 획득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신호 블록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단말(220)이 수신하는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 변화 케이스를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수신하는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 변화 그래프들의 유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220)의 위치에 따라 단말(220)이 수신하는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 변화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310)을 참조하는 경우, 단말(220)이 동기화 신호 블록_1(SSB index1)(231)에 제일 가까운 경우, 동기화 신호 블록 별 신호 세기는 동기화 신호 블록_8(SSB index8)(238)로 갈수록 신호 세기가 줄어드는 양상을 보일 수 있다.
도면(320)을 참조하는 경우, 단말(220)이 중간 인덱스의 동기화 신호 블록, 예를 들어 동기화 신호 블록_3(SSB index3)에 제일 가까운 경우, 동기화 신호 블록 별 신호 세기는 동기화 신호 블록_3(SSB index3)으로 갈수록 증가하다가, 동기화 신호 블록_3(SSB index3) 이후에는 신호 세기가 줄어드는 양상을 보일 수 있다.
도면(330)을 참조하는 경우, 단말(220)이 동기화 신호 블록_8(SSB index8)(238)에 제일 가까운 경우, 동기화 신호 블록 별 신호 세기는 동기화 신호 블록_8(SSB index8)(238)로 갈수록 신호 세기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일 수 있다.
도면(310) 내지 도면(33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220)의 위치와 단말(220)이 수신하는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단말은 모든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지 않고 일부만 측정하여 신호 세기가 가장 큰 동기화 신호 블록을 알아낼 수 있다. 다만, 도면(310) 내지 도면(330)은 예시적인 사항일 뿐,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 변화 케이스는 도면(310) 내지 도면(330)외에도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신호 블록 결정 방법에 따르면, 단말(220)은 기지국(210)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한다. 단말(220)은 수신한 복수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를 순차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복수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 변화에 기초하여, 신호 세기가 가장 큰 동기화 신호 블록이 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 신호 세기가 가장 큰 동기화 신호 블록은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단말(220)은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을 결정한 이후에는 동기화 신호 블록의 신호 세기 측정을 중단한다. 따라서, 단말(220)이 모든 동기화 신호 블록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지 않아도, 신호 세기가 가장 큰 동기화 신호 블록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망 획득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210)은 복수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화 신호 블록_1(SSB index1)(231), 동기화 신호 블록_2(SSB index2)(232) 내지 동기화 신호 블록_8(SSB index8)(238)을 포함하는 8개의 동기화 신호 블록을 빔을 통해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220)은 기지국에서 각각의 동기화 신호 블록을 수신할 때마다 해당 동기화 신호 블록의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단말(220)이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각각의 시점에 대응하여, 지금까지 측정한 동기화 신호 블록 중 신호 세기가 가장 큰 동기화 신호 블록과 이후 미리 정해진 구간 이내에서 측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금까지 측정한 동기화 신호 블록 중 신호 세기가 가장 큰 동기화 신호 블록과 현재 시점 이후 연속된 2 개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를 비교할 수 있다.
단말(220)이 지금까지 측정한 동기화 신호 블록 중 신호 세기가 해당 시점 이후 미리 정해진 구간 내에서 측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보다 큰 경우, 신호 세기가 가장 큰 동기화 신호 블록을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220)이 지금까지 측정한 동기화 신호 블록들 중 신호세기가 가장 큰 동기화 신호 블록 이후 2번 연속 신호세기가 지금까지 측정한 동기화 신호 블록 중 신호 세기가 가장 큰 동기화 신호 블록보다 작은 경우 더 이상 동기화 신호 블록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지 않고 신호 세기가 가장 큰 동기화 신호 블록을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말은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에 기초하여, 기지국과 망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고, 망 접속 절차를 통해 기지국과 무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310)을 참조하면, 동기화 신호 블록_1(SSB index 1)의 신호 세기가 동기화 신호 블록_2(SSB index 2) 및 동기화 신호 블록_3(SSB index 3)의 신호 세기 보다 크기 때문에, 동기화 신호 블록_4(SSB index 4) 내지 동기화 신호 블록_8(SSB index 8)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지 않고도 동기화 신호 블록_1(SSB index 1)을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면(320)을 참조하면, 동기화 신호 블록_3(SSB index 3)의 신호 세기가 동기화 신호 블록_4(SSB index 4) 및 동기화 신호 블록_5(SSB index 5)의 신호 세기 보다 크기 때문에, 동기화 신호 블록_6(SSB index 6) 내지 동기화 신호 블록_8(SSB index 8)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지 않고도 동기화 신호 블록_3(SSB index 3)을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도면(330)을 참조하면, 지금까지 측정한 동기화 신호 블록 중 신호 세기가 해당 시점 이후 미리 정해진 구간 내에서 측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보다 큰 경우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는 모든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신호 세기가 가장 큰 동기화 신호 블록(이 경우, 동기화 신호 블록_8(SSB index 8))을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으로 결정할 수 밖에 없을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N은 동기화 신호 블록의 총 개수, n은 단말이 현재 측정할 동기화 신호 블록의 인덱스(index), nmax는 지금까지 측정한 동기화 신호 블록 중 신호세기가 가장 큰 동기화 신호 블록의 인덱스, Pmax는 지금까지 측정한 동기화 신호 블록 중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신호 세기(단위: mW), Pn은 동기화 신호 블록_n(SSB index n)의 신호 세기, k는 nmax이후 Pn이 Pmax보다 적은 연속된 인덱스의 수이다.
단계(410)에서, n, nmax, Pmax의 초기값은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415)에서, n과 N의 대소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420)에서, n이 N보다 작은 경우 Pn을 측정할 수 있다. 단계(425)에서, Pn과 Pmax 대소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430)에서, Pmax-보다 Pn이 더 클 경우, Pmax-를 Pn으로, nmax를 n으로 갱신하고, k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단계(435)에서, n값을 1 증가시킬 수 있다. Pmax-가 Pn보다 커질 때까지 단계(415) 내지 단계(425)를 반복할 수 있다. 단계(440)에서, Pmax-가 Pn보다 더 클 경우, k가 1인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445)에서, k가 1이 아닌 경우, k값을 1 증가시킬 수 있다. 단계(450)에서, 지금까지 측정한 동기화 신호 블록들 중 신호세기가 가장 큰 동기화 신호 블록 이후 2번 연속 신호세기가 지금까지 측정한 동기화 신호 블록 중 신호 세기가 가장 큰 동기화 신호 블록보다 작은 경우 더 이상 동기화 신호 블록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지 않고 신호 세기가 가장 큰 동기화 신호 블록을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455)에서,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에 기초하여 망 접속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신호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신호 버스트 집합(SSBS: synchronization signal burst set)(510)은 동기화 신호 블록(SSBk: synchronization signal block)(550)으로 이루어진 동기화 신호 버스트(SSB: synchronization signal burst)(520,530,540)의 집합일 수 있다.
빔포밍을 사용해서 동기화 신호 블록(550)을 전송할 경우에는 복수 개의 빔(beam)을 전환하면서 전송하는 빔 스위핑 동작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동기 신호와 PBCH의 전송 주기 내에 복수 개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520,530,540)(다중 SSB라고도 칭할 수 있음)를 할당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할당된 복수 개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520,530,540)들이 모여 동기화 신호 버스트 집합(510)을 구성할 수 있다.
하나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 집합(510)을 구성하는 동기화 신호 블록의 최대 개수와 이 중 실제 전송에 사용되는 동기화 신호 블록의 개수 및 동기화 신호 블록의 위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동기화 신호 버스트 집합 내의 동기화 신호 블록 최대 개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일례로 3GHz 이하의 대역에서는 최대 4개, 3~6GHz의 대역에서는 최대 8개, 6GHz 이상의 대역에서는 최대 64개의 동기화 신호 블록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기화 신호 블록은 동기 신호 및 PBCH를 포함하며, 단말은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에 포함된 PBCH를 통해 동기화 신호 블록의 인덱스(index), OFDM 심볼 인덱스 또는 슬롯(slot) 인덱스 정보 등을 명시적 혹은 묵시적으로 알아낼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셀 동기화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셀 동기화 장치(601)는 프로세서(602) 및 메모리(603)를 포함한다. 프로세서(602)는 도 1 내지 도 5를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5를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603)는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603)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602)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셀 동기화 장치(60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602)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603)에 저장될 수 있다. 셀 동기화 장치(601)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602)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복수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 변화에 기초하여,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을 결정하며,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을 결정한 이후에는 동기화 신호 블록의 신호 세기 측정을 중단한다.
프로세서(602)는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각각의 시점에 대응하여, 해당 시점까지 측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 중 신호 세기가 가장 큰 동기화 신호 블록의 신호 세기와 해당 시점 이후 미리 정해진 구간 이내에서 측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를 비교하고, 신호 세기가 가장 큰 동기화 신호 블록의 신호 세기가 해당 시점 이후 미리 정해진 구간 내에서 측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보다 큰 경우, 동기화 신호 블록을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602)는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각각의 시점에 대응하여, 해당 시점에서 측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의 신호 세기와 해당 시점 이후 미리 정해진 구간 이내에서 측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를 비교하고, 해당 시점에서 측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의 신호 세기가 해당 시점 이후 미리 정해진 구간 내에서 측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보다 큰 경우, 동기화 신호 블록을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602)는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에 기초하여 기지국과 망 접속 절차를 수행하고, 망 접속 절차를 통해 상기 기지국과 무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602)는 기지국으로부터 빔 스위핑(beam sweeping)을 통해 순차적으로 복수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을 수신하고, 수신한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602)는 단말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602)는 동기화 신호 버스트에 포함된 모든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지 않고,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을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4)

  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동기화 신호 블록(SSB; Synchronization Signal block)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 변화에 기초하여,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을 결정한 이후에는 동기화 신호 블록의 신호 세기 측정을 중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셀 동기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각각의 시점에 대응하여, 해당 시점에서 측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의 신호 세기와 상기 해당 시점 이후 미리 정해진 구간 이내에서 측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 시점에서 측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의 신호 세기가 상기 해당 시점 이후 미리 정해진 구간 내에서 측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해당 시점에서 측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을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셀 동기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과 망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망 접속 절차를 통해 상기 기지국과 무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셀 동기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빔 스위핑(beam sweeping)을 통해 순차적으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셀 동기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을 결정하는 단계는
    단말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셀 동기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신호 블록들은
    동기화 신호 버스트(SSBS: synchronization signal burst)에 포함되고,
    상기 동기화 신호 블록들 각각은 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블록과 S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블록을 포함하는, 셀 동기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을 결정하는 단계는,
    동기화 신호 버스트 집합에 포함된 모든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지 않고,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셀 동기화 방법.
  8.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9.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 변화에 기초하여,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을 결정하며,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을 결정한 이후에는 동기화 신호 블록의 신호 세기 측정을 중단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셀 동기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각각의 시점에 대응하여, 해당 시점에서 측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의 신호 세기와 상기 해당 시점 이후 미리 정해진 구간 이내에서 측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를 비교하고, 상기 해당 시점에서 측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의 신호 세기가 상기 해당 시점 이후 미리 정해진 구간 내에서 측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해당 시점에서 측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을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으로 결정하는, 셀 동기화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과 망 접속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망 접속 절차를 통해 상기 기지국과 무선 링크를 형성하는, 셀 동기화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빔 스위핑(beam sweeping)을 통해 순차적으로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셀 동기화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을 결정하는, 셀 동기화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동기화 신호 버스트 집합에 포함된 모든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지 않고, 상기 제1 동기화 신호 블록을 결정하는, 셀 동기화 장치.
KR1020190062382A 2019-05-28 2019-05-28 셀 동기화 방법 및 장치 KR102237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382A KR102237660B1 (ko) 2019-05-28 2019-05-28 셀 동기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382A KR102237660B1 (ko) 2019-05-28 2019-05-28 셀 동기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625A true KR20200136625A (ko) 2020-12-08
KR102237660B1 KR102237660B1 (ko) 2021-04-07

Family

ID=73779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382A KR102237660B1 (ko) 2019-05-28 2019-05-28 셀 동기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6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5580A (ko) * 2019-11-07 2021-05-17 한국과학기술원 동기화 수행 방법 및 장치
WO2022086175A1 (ko) 2020-10-21 2022-04-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황 전지의 잔여용량을 판별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전지 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4865A (ko) * 2006-12-13 2008-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불연속 송/수신 사이클을 가지며무선자원제어 연결 모드에 있는 단말기의 매저먼트 방법 및장치
KR20150128426A (ko) * 2014-05-09 2015-11-18 주식회사 아이티엘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신호 선택 방법 및 장치
KR20190022181A (ko) * 2017-08-25 2019-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선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4865A (ko) * 2006-12-13 2008-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불연속 송/수신 사이클을 가지며무선자원제어 연결 모드에 있는 단말기의 매저먼트 방법 및장치
KR20150128426A (ko) * 2014-05-09 2015-11-18 주식회사 아이티엘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신호 선택 방법 및 장치
KR20190022181A (ko) * 2017-08-25 2019-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선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elecommunication Engineering Centre, 5G EMF Considerations, 2018.*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5580A (ko) * 2019-11-07 2021-05-17 한국과학기술원 동기화 수행 방법 및 장치
WO2022086175A1 (ko) 2020-10-21 2022-04-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황 전지의 잔여용량을 판별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전지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660B1 (ko) 202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4758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физического произвольного доступа на основе лепестка диаграммы направленности
CN113455049B (zh) 主小区改变
US201801248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in millimeter wave systems
US10887922B2 (en) Method for effectively transmitting control message for random access
JP7215502B2 (ja) 端末装置において実装される方法、及び端末装置
US20200092768A1 (en) User equipment (ue) and method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for beamforming-based connected mode handover
US201603732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973563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beamforming direction
JP6924819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でシステム情報を送信する通信ノードの動作方法
WO2022046303A9 (en) Layer 1 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l1-sinr) measurements with network configured measurement gaps
KR102237660B1 (ko) 셀 동기화 방법 및 장치
KR20190117301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동기화 수행 방법 및 장치
US11374671B2 (en) Physical cell identifier (PCI) selection based on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waveform
KR20180018303A (ko)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의 송수신 방법
KR20220070686A (ko) 릴레이 신호의 동기 획득 방법 및 장치
KR20210030171A (ko)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24099185A1 (zh) 随机接入方法、装置、终端、网络侧设备及介质
WO2024020895A1 (en) Resource selection for sidelink communication
US20230337223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22151289A1 (en) Method, device, and medium for communication
JP6813668B2 (ja) 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ユーザ装置
KR20230100598A (ko) 조건부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9200617A1 (zh) 通信方法、装置、设备及系统
KR20210095567A (ko) 랜덤 빔 기반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EP4128937A1 (en) Super-slot format for half duplex (hd) frequency-division duplex (fdd) (hd-fdd) in wireless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