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6148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6148A
KR20200136148A KR1020190061837A KR20190061837A KR20200136148A KR 20200136148 A KR20200136148 A KR 20200136148A KR 1020190061837 A KR1020190061837 A KR 1020190061837A KR 20190061837 A KR20190061837 A KR 20190061837A KR 20200136148 A KR20200136148 A KR 20200136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amera module
sensor
optical sig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성
박강열
김석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1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6148A/ko
Priority to PCT/KR2020/006799 priority patent/WO2020242177A1/ko
Priority to US17/595,890 priority patent/US11997383B2/en
Publication of KR20200136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1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2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the phase dif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71Image signal generators wherein the generated image signals comprise depth maps or disparity m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01S17/10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using transmission of interrupted, pulse-modulated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01S17/32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waves, whether amplitude-, frequency-, or phase-modulated, or unmodulated
    • G01S17/3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waves, whether amplitude-, frequency-, or phase-modulated, or unmodulated with phase comparison between the received signal and the contemporaneously transmit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39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wo 2D image sensors having a relative position equal to or related to the interocular dist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1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different waveleng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1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for transforming different wavelengths into image signals
    • H04N25/11Arrangement of colour filter arrays [CFA]; Filter mosa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 H04N25/75Circuitry for providing, modifying or processing image signals from the pixel array
    • H04N5/2253
    • H04N9/045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89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01S17/8943D imaging with simultaneous measurement of time-of-flight at a 2D array of receiver pixels, e.g. time-of-flight cameras or flash lid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91Details of non-pulse systems
    • G01S7/4912Receivers
    • G01S7/4913Circuits for detection, sampling, integration or read-out
    • G01S7/4914Circuits for detection, sampling, integration or read-out of detector arrays, e.g. charge-transfe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asurement Of Optical Distance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로 광 신호를 출력하는 광출력부; 상기 객체에서 반사된 광 신호를 수광하는 센서; 및 상기 수광된 광 신호의 위상 차이를 이용하여 객체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위상 차이가 추출되지 않는 비추출영역 및 상기 위상 차이가 추출되는 추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추출영역에서 상기 수광된 광 신호에 대한 타이밍 제어를 정지하는 카메라 모듈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거리 정보를 추출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3 차원 콘텐츠는 게임, 문화뿐만 아니라 교육, 제조, 자율주행 등 많은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3차원 콘텐츠를 획득하기 위하여 거리 정보(Depth Map)가 필요하다. 거리 정보는 공간 상의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2차원 영상의 한 지점에 대하여 다른 지점의 원근 정보를 나타낸다.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으로, IR(Infrared) 구조광을 객체에 투사하는 방식,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하는 방식, TOF(Time of Flight) 방식 등이 이용되고 있다. TOF 방식에 따르면, 빛을 쏘아서 반사되어 오는 빛의 정보를 이용하여 물체와의 거리를 계산한다. ToF 방식의 가장 큰 장점은 3차원 공간에 대한 거리정보를 실시간으로 빠르게 제공한다는 점에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별도의 알고리즘 적용이나 하드웨어적 보정을 하지 않고도 정확한 거리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매우 가까운 피사체를 측정하거나 움직이는 피사체를 측정하여도 정확한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거리 정보에 대한 처리 속도가 높고 전력 소모가 큰 한계 존재한다. 또한, 객체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질 때 정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3 차원 콘텐츠는 게임, 문화뿐만 아니라 교육, 제조, 자율주행 등 많은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3차원 콘텐츠를 획득하기 위하여 거리 정보(Depth Map)가 필요하다. 거리 정보는 공간 상의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2차원 영상의 한 지점에 대하여 다른 지점의 원근 정보를 나타낸다.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으로, IR(Infrared) 구조광을 객체에 투사하는 방식,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하는 방식, TOF(Time of Flight) 방식 등이 이용되고 있다. TOF 방식에 따르면, 빛을 쏘아서 반사되어 오는 빛의 정보를 이용하여 물체와의 거리를 계산한다. ToF 방식의 가장 큰 장점은 3차원 공간에 대한 거리정보를 실시간으로 빠르게 제공한다는 점에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별도의 알고리즘 적용이나 하드웨어적 보정을 하지 않고도 정확한 거리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매우 가까운 피사체를 측정하거나 움직이는 피사체를 측정하여도 정확한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거리 정보에 대한 처리 속도가 높고 전력 소모가 큰 한계 존재한다. 또한, 객체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질 때 정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객체로 광 신호를 출력하는 광출력부; 상기 객체에서 반사된 광 신호를 수광하는 센서; 및 상기 수광된 광 신호의 위상 차이를 이용하여 객체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위상 차이가 추출되지 않는 비추출영역 및 상기 위상 차이가 추출되는 추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추출영역에서 상기 수광된 광 신호에 대한 타이밍 제어를 정지한다.
상기 센서는 상기 수광된 광 신호를 위상이 상이한 복수 개의 참조 신호와 합성하여 복수 개의 전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비추출영역은 상기 복수 개의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 개의 전기 신호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참조 신호는 소정의 위상만큼 순차로 시프팅될 수 있다.
상기 비추출영역은 복수 개의 전기 신호 중 위상이 180도 상이한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의 합이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비추출영역은 복수 개의 전기 신호가 기 설정된 크기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센서는 복수 개의 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위상 차이는 상기 광 신호와 상기 반사된 광 신호의 위상차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픽셀의 수광 시간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제1 파장대역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제1 감지영역; 및 제2 파장대역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제2 감지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장대역은 상기 제1 파장대역과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영역은 상기 추출영역 및 상기 비추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객체와 상기 센서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제1 파장대역이 통과 대역인 제1 필터영역 및 상기 제1 파장대역과 상이한 상기 제2 파장대역이 통과 대역인 제2 필터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영역은 복수 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인접한 제2 감지영역은 행 방향 또는 열 방향으로 동일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영역 각각은 적어도 일부가 접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픽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출력부는 상기 광 신호를 복수 개의 어레이 형태로 출력하는 집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센서로부터 얻은 이미지의 일부 영역의 거리 정보를 통해 3차원 컨텐츠를 용이하게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거리가 멀어지더라도 거리 인식의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거리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소비 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다 정확도가 개선된 거리 정보가 반영된 3차원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객체에 일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부의 거리에 따른 광세기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광 신호의 주파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7a는 실시예에 따른 필터와 센서의 개념도이고,
도 7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와 센서의 개념도이고,
도 8은 도 7a에서 K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7a에서 M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0은 객체와의 거리에 따른 센서의 제2 감지영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변형예에 따른 센서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센서에서 전기 신호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센서에서 1 프레임을 생성하는 타이밍도이고,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에서 거리 영상을 생성하는 1 프레임 주기의 타이밍도이고
도 16은 도 15에서 프레임 주기 내의 노출 주기 별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도이고,
도 17은 도 15에서 노출 주기(P1)에서 타이밍도이고,
도 18은 도 15에서 노출 주기(P2)에서 타이밍도이고,
도 19는 도 15에서 노출 주기(P3)에서 타이밍도이고,
도 20은 도 15에서 노출 주기(P4)에서 타이밍도이고,
도 2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로부터 얻은 4개의 위상에 대한 로우(raw) 영상이고,
도 22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로부터 얻은 앰플리튜드 영상(amplitude image)이고,
도 23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로부터 얻은 거리 영상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광학기기 또는 광학기기의 일부 장치로서 이용될 수 있다. 먼저, 광학기기는 핸드폰,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용 스마트 기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네비게이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광학기기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어떠한 장치도 광학기기에 포함될 수 있다.
광학기기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바(bar) 형태일 수 있다. 또는, 본체는 2개 이상의 서브 몸체(sub-body)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swing) 타입, 스위블(swirl) 타입 등 다양한 구조일 수 있다. 본체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체는 프론트(front) 케이스와 리어(rear)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광학기기의 각종 전자 부품이 내장될 수 있다.
광학기기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광학기기의 본체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광학기기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ToF(Time of Flight)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oF 카메라 모듈은 광학기기의 본체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ToF 카메라 모듈은 광학기기의 보안인증을 위한 사용자의 얼굴인식, 홍채인식, 정맥인식 등 다양한 방식의 생체인식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광출력부(110), 광학부(120), 센서(130), 제어부(140) 및 연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출력부(110)는 광을 생성하여 원하는 신호 형태로 객체(O)를 향해 조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 모듈, 발광 유닛, 발광 어셈블리 또는 발광 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출력부(110)는 광 신호를 생성한 후 객체에 조사할 수 있다. 이때, 광출력부(110)는 펄스파(pulse wave)의 형태나 지속파(continuous wave)의 형태로 광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지속파는 사인파(sinusoid wave)나 사각파(squared wave)의 형태일 수 있다. 광출력부(110)가 광 신호를 펄스파나 지속파 형태로 생성함으로써, 카메라 모듈(100)은 광출력부(110)로부터 출력된 광 신호와 객체로부터 반사된 후 카메라 모듈(100)로 입력된 입력광 신호 사이의 위상 차 또는 시간 차를 이용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출력광(LS1)은 광출력부(110)로부터 출력되어 객체에 입사되는 광을 의미하고, 입력광(LS2)은 광출력부(110)로부터 출력된 출력광이 객체에 도달하여 객체로부터 반사된 후 카메라 모듈(100)로 입력되는 광을 의미할 수 있다. 객체의 입장에서 출력광(LS1)은 입사광이 될 수 있고, 입력광(LS2)은 반사광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10)는 생성된 광 신호를 소정의 노출 주기(integration time) 동안 객체에 조사한다. 여기서, 노출 주기란 1개의 프레임 주기를 의미한다. 복수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경우, 설정된 노출 주기가 반복된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0)이 20 FPS로 객체를 촬영하는 경우, 노출 주기는 1/20[sec]가 된다. 그리고 100개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경우, 노출 주기는 100번 반복될 수 있다.
광출력부(110)는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출력 광 신호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광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광출력부(110)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광 신호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생성할 수 있다. 또는, 광출력부(110)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광 신호를 동시에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을 위하여, 실시예로 광출력부(110)는 광원(112), 광변경부(114), 집광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광원(112)은 빛을 생성할 수 있다. 광원(112)이 생성하는 빛은 파장이 770nm 내지 3000nm인 적외선 일 수 있으며, 파장이 380nm 내지 770 nm인 가시광선 일 수도 있다. 광원(112)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이용할 수 있으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일정한 패턴에 따라 배열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광원(112)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나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LD)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광원(112)은 VCSEL(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일 수도 있다. VCSEL은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바꾸어 주는 레이저 다이오드 중 하나이며, 약 800nm 내지 1000nm인 파장, 예를 들어 약 850nm 또는 약 940nm 파장을 사용할 수 있다.
광원(112)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점멸(on/off)을 반복하여 펄스파 형태나 지속파 형태의 광 신호를 생성한다. 일정 시간 간격은 광 신호의 주파수일 수 있다. 광원(112)의 점멸은 광변경부(11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광변경부(114)는 광원(112)의 점멸을 제어하여 광원(112)이 지속파나 펄스파 형태의 광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광변경부(114)는 주파수 변조(frequency modulation)나 펄스 변조(pulse modulation) 등을 통해 광원(112)이 지속파나 펄스파 형태의 광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집광부(116)는 광원(112)으로부터 생성된 광을 어레이 스팟을 가지도록 광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집광부(116)는 결상 렌즈와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또는 회절광학소자(Diffractive Optical Element, DOE)를 포함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100)에서 객체(O)를 향해 출사한 광이 복수 개의 어레이 스팟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카메라 모듈(100)과 객체(O) 간의 거리가 멀어지더라도 집광으로 인하여 카메라 모듈(100)에서 출사한 광이 객체(O)에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보다 정거리 광 전송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 때, 어레이 스팟의 개수는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상술한 집광부(116)의 구성 및 효과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광학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부(120)는 객체로부터 반사된 입력광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통해 집광하여 센서(13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광학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고체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가변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변 렌즈는 초점 가변 렌즈일 수 있다. 또한, 가변 렌즈는 초점이 조절되는 렌즈일 수 있다. 또한, 가변 렌즈는 액체 렌즈, 폴리머 렌즈, 액정 렌즈, VCM 타입, SMA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액체 렌즈는 하나의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 렌즈와 두 개의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 렌즈는 액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멤브레인을 조절하여 초점을 가변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마그넷과 코일의 전자기력에 의해 멤브레인을 가압하여 초점을 가변시킬 수 있다. 두 개의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 렌즈는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를 포함하여 액체 렌즈에 인가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가 형성하는 계면을 조절할 수 있다. 폴리머 렌즈는 고분자 물질을 피에조 등의 구동부를 통해 초점을 가변시킬 수 있다. 액정 렌즈는 전자기력에 의해 액정을 제어하여 초점을 가변시킬 수 있다. VCM 타입은 고체 렌즈 또는 고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를 마그넷과 코일간의 전자기력을 통해 조절하여 초점을 가변시킬 수 있다. SMA 타입은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고체 렌즈 또는 고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를 제어하여 초점을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광학부(120)는 광학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플레이트는 광 투과성 플레이트일 수 있다.
또한, 광학부(120)는 특정 파장 영역을 투과시키는 필터(F)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광학부(120)의 필터(F)는 기설정된 파장 영역의 광만을 투과하고, 상기 기설정된 파장 영역 이외의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필터(F)는 적외선(IR) 영역의 광을 부분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예컨대, 필터(F)는 780nm 내지 1000nm 의 광을 부분적으로 통과시키는 적외선 통과 대역 필터(IR band pass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센서(130)는 광학부(120)를 통해 집광된 입력광 신호를 이용하여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로, 센서(130)는 광출력부(110)의 점멸 주기와 동기화되어 입력광 신호를 흡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130)는 광출력부(110)로부터 출력된 광 신호와 동상(in phase) 및 이상(out phase)에서 각각 빛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센서(130)는 서로 다른 위상차를 가지는 복수의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를 이용하여 각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전기 신호는 각 참조 신호와 입력광 간의 믹싱(mixing)된 신호로 볼 수 있으며, 믹싱은 합성곱(convolution), 곱(multipl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참조 신호의 주파수는 광출력부(110)로부터 출력된 광 신호의 주파수에 대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로, 참조 신호의 주파수는 광출력부(110)의 광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출력부(110)가 복수의 주파수로 광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센서(130)는 각 주파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 신호는 각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전하량이나 전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신호는 각 픽셀 별로 산출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입력광 신호의 광경로를 시프팅 시키도록 광학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해상의 거리 이미지를 추출하기 위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연산부(150)는 센서(130)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이용하고 제어부(140)에서 추출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조합하여 이미지 데이터의 해상도보다 높은 고해상의 거리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연산부(150)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광학 기기 내에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00) 내에 배치되어 연산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연산부(150)가 카메라 모듈(100) 내에 배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연산부(150)는 센서(130)에 센싱된 정보를 카메라 모듈(100)로부터 전달 받아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연산부(150)는 센서(130)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저해상 정보를 수신하고 복수의 저해상 정보를 이용하여 고해상 거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저해상 정보를 재배열 하여 고해상 거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연산부(150)는 객체와 카메라 모듈(100) 사이의 거리를 광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광 신호와 상기 센서에 수신된 광 신호 간의 시간 차를 이용하거나, 서로 다른 위상에 센서의 유효 영역을 노출시키는 센서의 복수의 노출 시간동안 획득한 복수의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객체에 일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부의 거리에 따른 광세기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광원(112)으로부터 방출된 광은 집광부(116)를 통과하여 객체(O)로 조사될 수 있다. 그리고 객체(O)로 조사되는 광은 어레이 스팟(array spot) 형태일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에 대응하여 집광부(116)도 어레이 형태 배열된 결상 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집광부(116)에서 각 단일 렌즈로 조사되는 광의 간격(d1)은 각 단일 렌즈를 통과한 광의 간격(d2)과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광의 간격은 집광부(116)에서 동일한 간격을 갖는 집광부(116)의 전단 및 후단 영역에서 측정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단일 렌즈로 조사되는 광의 간격(d1)은 각 단일 렌즈를 통과한 광의 간격(d2)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광원(112)에서 객체(O)까지의 거리가 증가하더라도 카메라 모듈이 입력광을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객체와의 거리가 멀더라도 거리 측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객체(O)에는 집광부(160)를 통과한 광이 어레이 스팟(array spot) 형태로 집중될 수 있다. 실시예로, 단일 스팟(spot, K)은 집광부(160)의 결상 렌즈 등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어레이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실시예로, 각각의 단일 스팟(K)은 인접한 스팟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객체(O)와의 거리가 멀어지더라도 거리 정보를 거리 별 거리 정보를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거리 정보에 대한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어레이 스팟에서 스팟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도 4(a)는 집광부가 존재 하지 않는 경우에 광 세기를 나타내고, 도 4(b)는 집광부가 존재하는 경우 광 세기를 나타낸다. 이 때, 집광부가 존재하는 경우 및 집광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광 세기는 단일 스팟의 중심(0)에서 가장 클 수 있다. 그러나, 객체와의 거리가 동일하더라도 단일 스팟의 중심(0)에서 광 세기는 집광부의 존재 유무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집광부에 의해 단일 스팟의 중심에서 광 세기가 증가하므로, 광 세기에 따라 센서에서 변환되는 전기 신호의 크기도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에서 전기 신호의 폭이 커짐에 따라 거리도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거리에 따른 거리 정보에 대한 정확도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객체와의 거리가 증가하더라도 스팟의 중심에서의 광 세기가 집광부에 증가하므로 객체와의 거리에 따라 광 세기가 감소하는 것을 보상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광 신호의 주파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광출력부(110)는 도 5에서와 같이 노출 주기의 첫 절반은 주파수 f1인 광 신호가 생성되도록 제어하고, 나머지 절반의 노출 주기는 주파수 f2인 광 신호가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출력부(110)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중 일부 발광 다이오드는 주파수 f1인 광 신호가 생성되도록 제어하고, 나머지 발광 다이오드는 주파수 f2인 광 신호가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광출력부(110)는 노출 주기 별 상이한 주파수의 출력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f1과 f2로 광 신호가 생성되고, 복수의 참조 신호는 90도의 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입사광 신호 역시 주파수 f1과 f2를 가지므로, 후술하는 센서는 주파수가 f1인 입력광 신호와 이에 대응하는 4개의 참조 신호를 통해 4개의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는 주파수가 f2인 입력광 신호와 이에 대응하는 4개의 참조 신호를 통해 4개의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는 총 8개의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광 신호는 하나의 주파수(예컨대, f1)를 가지고 생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어셈블리(310), 센서(320) 및 인쇄회로기판(3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렌즈 어셈블리(310)는 도 1의 광학부(120)에 대응하고, 센서(320)는 도 1의 센서(130)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의 제어부(140)는 인쇄회로기판(330) 또는 센서(320)에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1의 광출력부(110)는 인쇄회로기판(330) 상에서 배치되거나, 별도의 구성으로 배치될 수 있다. 광출력부(110)는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310)는 렌즈(312), 렌즈 배럴(314), 렌즈 홀더(316) 및 IR 필터(318)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312)는 복수 매로 구성될 수 있으며, 1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렌즈(312)가 복수 매로 구성될 경우 각 렌즈들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정렬하여 광학계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중심축은 광학계의 광축(Optical axis)과 동일할 수 있다. 렌즈(312)는 상술한 가변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배럴(314)은 렌즈 홀더(316)와 결합되며, 내부에 렌즈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렌즈 배럴(314)은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와 회전 결합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접착제(예를 들어, 에폭시(epoxy) 등의 접착용 수지)를 이용한 방식 등 다른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렌즈 홀더(316)는 렌즈 배럴(314)과 결합되어 렌즈 배럴(314)을 지지하고, 센서(320)가 탑재된 인쇄회로기판(3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 홀더(316)에 의하여 렌즈 배럴(314)에 IR 필터(318)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렌즈 배럴(314)에는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되어 IR 배럴(314)을 틸트 시키거나 시프팅 시킬 수 있는 구동부가 배치될 수 있다. 렌즈 홀더(316)외 내주면에는 나선형 패턴이 형성될 수 있고, 이와 마찬가지로 외주면에 나선형 패턴이 형성된 렌즈 배럴(314)과 회전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렌즈 홀더(316)와 렌즈 배럴(314)은 접착제를 통해 결합되거나, 렌즈 홀더(316)와 렌즈 배럴(314)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렌즈 홀더(316)는 렌즈 배럴(314)과 결합되는 상부 홀더(316-1) 및 센서(320)가 탑재된 인쇄회로기판(330) 상에 배치되는 하부 홀더(316-2)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부 홀더(316-1) 및 하부 홀더(316-2)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서로 분리된 구조로 형성된 후 체결 또는 결합되거나, 서로 분리되어 이격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때, 상부 홀더(316-1)의 직경은 하부 홀더(316-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광학부(120)는 ToF 카메라 모듈(100)로 입사되는 입력광 신호를 집광하여 센서(130)에 전달할 수 있는 다른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a은 실시예에 따른 필터와 센서의 개념도이고, 도 7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와 센서의 개념도이고, 도 8은 도 7a에서 K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7a에서 M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0은 객체와의 거리에 따른 센서의 제2 감지영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변형예에 따른 센서의 평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반사광(LS2)은 필터(F)를 통과하고 최종적으로 센서(130)에서 수광될 수 있다. 이 때, 반사광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파장대역의 광일 수 있으며, 필터(F)에서 일부 광이 차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F)는 제1 파장 대역이 통과 대역인 제1 필터영역(FA1) 및 제1 파장 대역과 상이한 대역인 제2 파장 대역이 통과 대역인 제2 필터영역(FA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필터(F)는 제1 필터영역(FA1)과 제2 필터영역(FA2)으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로 제2 파장 대역은 적외선 광(IR)을 통과하는 파장 대역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필터영역(F2)은 적외선 광의 파장 영역을 필터링하므로, 적외선 광(IR)에 대한 통과 대역 필터(band pass filter)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파장 대역은 제2 파장 대역을 포함하거나 제2 파장 대역을 제외한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제1 파장 대역은 제2 파장 대역을 제외한 파장 대역이 통과 대역이며 이를 기준으로 이하 설명한다.
이 때, 제1 필터영역(FA1)은 제2 필터영역(FA2)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필터영역(FA2)은 복수 개일 수 있으며, 필터(F) 상에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2 필터영역(FA2)은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한 제2 필터영역(FA2) 간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폭(W1)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인접한 제2 필터영역(FA2) 간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높이(h1)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X축 방향)은 센서에서 어레이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픽셀이 나란히 배열되는 일 방향이며, 제2 방향(Y축 방향)은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의 픽셀이 나란히 배열되는 방향이다. 그리고 제3 방향(Z축 방향)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모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X축 방향)은 행 방향이고, 제2 방향(Y축 방향)은 열 방향인 것을 기준으로 이하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행 방향은 제1 방향과 혼용되고, 열 방향은 제2 방향과 혼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영상 데이터에서 거리 정보와 색상 정보가 모두 검출될 수 있다.
또한, 반사광은 제1 필터영역(FA1) 및 제2 필터영역(FA2)을 통과하여 하부의 센서(130)에서 수광될 수 있다. 이 때, 제1 필터영역(FA1)을 통과한 광 신호(반사광)를 제1 신호로, 제2 필터영역을 통과한 광 신호(반사광)를 제2 신호로 설명한다.
그리고 센서(130)는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제1 감지영역(SA1) 및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제2 감지영역(SA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센서(130)는 필터(F)를 통과한 반사광의 파장 대역에 따라 제1 감지영역(SA1) 및 제2 감지영역(SA2)으로 구획될 수 있다.
먼저, 제1 감지영역(SA1)은 상술한 제1 필터영역(FA1)에 대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감지영역(SA1)은 제1 필터영역(FA1)을 통과한 광 신호가 센서(130)로 도달하는 영역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감지영역(SA2)은 상술한 제2 필터영역(FA2)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감지영역(SA1)은 제2 필터영역(FA2)을 통과한 광 신호가 센서(130)로 도달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제1 감지영역(SA1) 및 제2 감지영역(SA2)은 각각이 제1 필터영역(FA1) 및 제2 필터영역(FA2)에 대응하므로, 제1 감지영역(SA1)이 제2 감지영역(SA2)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센서(130)는 상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픽셀로 이루어지며, 복수 개의 픽셀은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감지영역(SA2)은 복수 개로,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격 배치된 각 제2 감지영역(SA2)은 적어도 하나의 픽셀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2 감지영역(SA2) 각각은 적어도 일부가 접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픽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카메라 모듈과 객체와의 거리가 다양한 경우(예를 들어, 거리가 상이한 다양한 객체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는 경우)에도 객체 각각에 대해 복수 개의 픽셀을 통해 거리 정보를 추출하여 객체와의 거리에 대한 거리 정보의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F)는 모두 제2 필터 영역(FA2)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대응하여 센서(130)는 제2 감지 영역(SA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b 참조)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감지 영역(SA2)은 추출영역 및 비추출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필터(F)가 제1 필터 영역(FA1) 및 제2 필터 영역(FA2)을 모두 포함하고, 센서(130)가 제1 감지 영역(SA1) 및 제2 감지 영역(SA2)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센서(130)에서 복수의 픽셀(PX1-1 내지 PX9-9)은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센서(130)에서 픽셀은 9개의 행 및 9개의 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는 제1-1 픽셀은 1행 및 1열에 위치하는 픽셀을 의미한다. 이 때, 제2-2 픽셀, 제4-2 픽셀, 제6-2 픽셀, 제8-2 픽셀, 제2-4 픽셀, 제4-4 픽셀, 제6-4 픽셀, 제8-4 픽셀, 제2-6 픽셀, 제4-6 픽셀, 제6-6 픽셀, 제8-6 픽셀, 제2-8 픽셀, 제4-8 픽셀, 제6-8 픽셀, 제8-8 픽셀이 제2 감지영역(SA2)일 수 있다.
이 때, 제2 감지영역(SA2)에 대응하는 각 픽셀은 제1 감지영역(SA1)의 각 픽셀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예컨대, 제2-2 픽셀은 제1-1 픽셀 내지 제1-3 픽셀, 제2-1 픽셀, 제2-3 픽셀 및 제3-1 픽셀 내지 제3-3 픽셀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객체와의 거리가 변경되더라도 복수 개의 제2 감지영역(SA2)이 중첩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거리 정보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2 감지영역(SA2)은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로, 인접한 제2 감지영역(SA2) 간의 제1 방향(X축 방향) 폭(W2)이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제2 감지영역(SA2) 간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높이(h2)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필터영역(FA1)의 넓이는 제1 감지영역(SA1)의 넓이와 상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필터영역(FA2)과 제2 감지영역(SA2)은 넓이가 상이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1 필터영역(FA1)의 넓이는 제1 감지영역(SA1)의 넓이보다 클 수 있으며, 제2 필터영역(FA2)의 넓이는 제2 감지영역(SA2)의 넓이보다 클 수 있다.
나아가, 인접한 제2 필터영역(FA2) 간의 제1 방향으로 폭(W1)은 인접한 제2 감지영역(SA2) 간의 제1 방향으로 폭(W2)과 상이할 수 있다. 실시예로, 인접한 제2 필터영역(FA2) 간의 제1 방향으로 폭(W1)은 인접한 제2 감지영역(SA2) 간의 제1 방향으로 폭(W2)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인접한 제2 필터영역(FA2) 간의 제2 방향으로 높이(h1)눈 인접한 제2 감지영역(SA2) 간의 제2 방향으로 높이(h2)와 상이할 수 있다. 실시예로, 인접한 제2 필터영역(FA2) 간의 제2 방향으로 높이(h1)는 인접한 제2 감지영역(SA2) 간의 제2 방향으로 높이(h2)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은 센서의 복수의 픽셀을 통해 보다 넓은 시야각의 영상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감지 영역(SA2)은 복수 개의 픽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추출영역 및 비추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추출영역은 위상 차이가 추출되는 영역이며, 비추출영역은 위상 차이가 추출되지 않는 영역이다. 이러한 위상 차이는 광출력부에서 출력된 광 신호(입사광)와 센서로 반사된 광 신호(반사광)의 위상차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비추출영역은 복수 개의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가 적어도 2개 이상 생성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추출영역은 복수 개의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가 3개 이상 생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추출영역은 복수 개의 전기 신호 중 위상이 180도 상이한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의 합이 상이한 영역이고, 추출영역은 복수 개의 전기 신호 중 위상이 180도 상이한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의 합이 동일한 영역일 수 있다. 제어부는 상술한 센서의 비추출영역에 위치하는 픽셀로 수광 시간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센서가 참조 신호에 따른 노출 시간으로 수광을 수행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즉, 비추출영역에서 픽셀의 타이밍 제어를 정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추출영역은 복수 개의 전기 신호가 기 설정된 크기 이하일 수 있다. 추출영역은 복수 개의 전기 신호가 기설정된 크기보다 크고 수광부에서 최대로 측정할 수 있는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이 때, 전기 신호가 수광부에서 최대로 측정할 수 있는 크기보다 큰 경우에, 픽셀은 커패시터의 축적 용량을 넘어서는 경우로 상술한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게 비추출영역에 속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객체(O)와의 거리에 따라 제2 감지영역의 넓이가 변할 수 있다. 일 예로, 객체(O)는 카메라 모듈과의 거리가 상이한 제1 지점(PO1), 제2 지점(PO2) 및 제3 지점(PO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점(PO1)은 제2 지점(PO2) 및 제3 지점(PO3)보다 카메라 모듈로부터 거리가 클 수 있다. 그리고 제3 지점(PO3)은 제1 지점(PO1) 및 제2 지점(PO2)보다 카메라 모듈로부터 거리가 작을 수 있다.
이 때, 반사광은 객체와의 거리에 따라 위상 지연이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반사광은 제1 지점(PO1)에서 반사된 광신호인 제1 반사광(LS2-1), 제2 지점(PO2)에서 반사된 광신호인 제2 반사광(LS2-2), 제3 지점(PO3)에서 반사된 광신호인 제3 반사광(LS2-3)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반사광(LS2-1) 내지 제3 반사광(LS2-3)은 제2 필터영역(FA2)을 통과하여 센서(130)의 제2 감지영역(SA2)에서 수광될 수 있다.
이 때, 제2 감지영역(SA2)은 제1 반사광(LS2-1)을 수광하는 제2-1 감지영역(SA2a), 제2 반사광(LS2-2)을 수광하는 제2-2 감지영역(SA2b), 제3 반사광(Ls2-3)을 수광하는 제2-3 감지영역(SA2c)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1 감지영역(SA2a)은 넓이가 제2-2 감지영역(SA2b)의 넓이 및 제2-3 감지영역(SA2c)의 넓이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제2-2 감지영역(SA2b)의 넓이는 제2-1 감지영역(SA2a)의 넓이보다 크고 제2-3 감지영역(SA2c)의 넓이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제2-3 감지영역(SA2c)의 넓이는 제2-1 감지영역(SA2a)의 넓이 및 제2-2 감지영역(SA2b)의 넓이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2-1 감지영역(SA2a)이 하나의 픽셀에 대응되는 경우, 제2-2 감지영역(SA2b) 및 제2-3 감지영역(SA2c)은 복수 개의 픽셀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필터영역(FA2)이 복수 개로 이격 배치됨으로써 제2 감지영역(SA2)이 서로 이격 배치되며 행 방향 또는 열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모듈과 객체 간의 상이한 거리를 모두 반영한 거리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필터는 제1 필터영역이 제2 필터영역을 둘러싸고, 하나의 제2 필터영역을 둘러싸는 제1 필터영역은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필터는 제2 필터영역 및 제2 필터영역을 둘러싸는 제1 필터영역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집합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집합필터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필터에 대응하여, 센서도 제1 감지영역(SA1)이 제2 감지영역(SA2)을 둘러싸고, 하나의 제1 감지영역(SA1)을 둘러싸는 제1 감지영역은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센서는 제2 감지영역(SA2) 및 제2 감지영역(SA2)을 둘러싸는 제1 감지영역(SA1)을 포함하는 집합픽셀(BDX)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집합픽셀(BDX)은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서로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객체로부터의 거리가 변경되더라도 정확한 거리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센서에서 전기 신호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반사광(입력광, LS2)은 입사광(출력광, LS1)이 객체에 입사된 후 반사되어 돌아오는 거리만큼 위상이 지연될 수 있다.
또한, 참조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는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참조 신호는 4개(C1 내지 C4)일 수 있다. 그리고 각 참조 신호(C1 내지 C4)는 광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되, 서로 90도 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 4개의 참조 신호 중 하나(예컨대, C1)는 광 신호와 동일한 위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참조 신호(C1 내지 C4)는 센서로 인가되어, 센서는 참조 신호에 따라 반사광(LS2)으로부터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로, 센서는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충전 소자와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위칭 소자는 참조 신호에 따라 On/Off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센서는 각 참조 신호에 대응하여 센서의 유효 영역을 노출시키며, 노출시키는 시간(노출 시간) 동안에 광 신호를 수광할 수 있다. 즉, 센서는 참조 신호가 on(양)인 경우에 반사광(LS2)으로부터 전하를 충전하여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는 도 12의 음영 부분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충전 소자는 커패시터(capacitor) 등을 포함하며, 스위칭 소자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등 다양한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 노출 시간 동안 복수의 주파수로 광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센서는 복수의 주파수에 따른 입력광 신호를 흡수한다. 예를 들어, 주파수 f1과 f2로 광 신호가 생성되고, 복수의 참조 신호는 90도의 위상차를 가진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입사광 신호 역시 주파수 f1과 f2를 가지므로, 주파수가 f1인 입력광 신호와 이에 대응하는 4개의 참조 신호를 통해 4개의 전기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주파수가 f2인 입력광 신호와 이에 대응하는 4개의 참조 신호를 통해 4개의 전기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신호는 총 8개가 생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주파수로 광 신호가 생성된 경우로 설명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광 신호는 복수 개의 주파수를 가지고 생성될 수 있다.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센서에서 1 프레임을 생성하는 타이밍도이다.
먼저, 도 13을 참조하면 센서(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픽셀을 가지고 어레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센서(130)는 능동 픽셀 센서(Active pixel sensor, APS)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센서(13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일 수도 있다. 이러한 센서(130)는 피사체에 반사되는 적외선 광을 받아들여 시간 또는 위상 차를 이용해 거리를 측정하는 ToF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130)에서 복수 개의 픽셀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복수 개의 픽셀은 매트릭스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로 제1 픽셀 및 제2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픽셀 및 제2 픽셀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제1 픽셀에서 복수의 제2 픽셀이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센서(130)에서 제1 픽셀 및 제2 픽셀은 체커보드 패턴(checkerboard pattern)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3과 같이 320x240 해상도의 센서(130)의 경우 76,800개의 픽셀이 그리드(grid)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1 픽셀과 제2 픽셀은 서로 다른 파장 대역을 피크 파장으로 수광하는 픽셀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픽셀은 적외선 대역을 피크 파장으로 갖는 광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2 픽셀은 적외선 대역 이외의 파장을 피크 파장으로 갖는 광을 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픽셀 및 제2 픽셀 중 어느 하나는 광을 받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로, 복수의 픽셀은 수광 소자가 배치되는 유효 영역 및 유효 영역 이외의 영역인 비유효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유효 영역은 수광하여 소정의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비유효 영역은 수광하여 전기신호를 생성하지 않거나 수광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즉, 비유효 영역은 내부에 수광 소자가 위치하더라도, 광에 의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지 못하는 경우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제1 픽셀은 유효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제2 픽셀은 유효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비유효 영역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포토 다이오드 등의 수광 소자가 제1 픽셀에만 위치하고, 제2 픽셀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센서(130)는 행 방향으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유효 영역과 비유효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행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센서(130)는 열 방향으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유효 영역과 비유효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픽셀은 사각형, 삼각형, 다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픽셀 내의 유효 영역도 사각형, 삼각형, 다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복수의 픽셀은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된 거리는 픽셀의 크기 대비 매우 작을 수 있고, 와이어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에는 이러한 이격 거리를 무시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로, 각 픽셀(132, 예컨대 제1 픽셀)은 제1 포토 다이오드 및 제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제1 수광부(132-1)와 제2 포토 다이오드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제2 수광부(1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광부(132-1)는 출력광의 파형과 동일 위상에서 입력광 신호를 수신한다. 즉, 광원이 켜진 시간에, 제1 포토 다이오드는 턴온(turn-on)되어 입력광 신호를 흡수한다. 그리고 광원이 꺼진 시간에, 제1 포토 다이오드는 턴오프(turn-off)되어 입력광 흡수를 중단한다. 제1 포토 다이오드는 흡수한 입력광 신호를 전류로 변환하여 제1 트랜지스터에 전달한다. 제1 트랜지스터는 전달받은 전류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2 수광부(132-2)는 출력광의 파형과 반대 위상에서 입력광 신호를 수신한다. 즉, 광원이 켜진 시간에, 제2 포토 다이오드는 턴오프되어 입력광 신호를 흡수한다. 그리고 광원이 꺼진 시간에, 제2 포토 다이오드는 턴온되어 입력광 흡수를 중단한다. 제2 포토 다이오드는 흡수한 입력광 신호를 전류로 변환하여 제2 트랜지스터에 전달한다. 제2 트랜지스터는 전달받은 전류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제1 수광부(132-1)는 In Phase 수신 유닛이라 할 수 있고, 제2 수광부(132-2)는 Out Phase 수신 유닛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수광부(132-1) 및 제2 수광부(132-2)가 시간 차를 두고 활성화되면, 객체와의 거리에 따라 수신되는 광량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객체가 카메라 모듈(100) 바로 앞에 있는 경우(즉, 거리=0인 경우)에는 광출력부(110)로부터 광이 출력된 후 객체에서 반사되어 오는데 걸리는 시간이 0이므로, 광원의 점멸 주기는 그대로 광의 수신 주기가 된다. 이에 따라, 제1 수광부(132-1)만이 빛을 수신하게 되고, 제2 수광부(132-2)는 빛을 수신하지 못하게 된다. 다른 예로, 객체가 카메라 모듈(100)과 소정 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경우, 광출력부(110)로부터 광이 출력된 후 객체에서 반사되어 오는데 시간이 걸리므로, 광원의 점멸 주기는 광의 수신 주기와 차이가 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수광부(132-1)와 제2 수광부(132-2)가 수신하는 빛의 양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즉, 제1 수광부(132-1)와 제2 수광부(132-2)에 입력된 광량의 차를 이용하여 객체의 거리가 연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40)는 이러한 센서(130)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출력광과 입력광 사이의 위상차를 계산하고, 위상차를 이용하여 객체와 카메라 모듈(100) 사이의 거리를 계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노출 주기(P1) 동안 제1 수광부(132-1)에 제1 참조 신호(C1)가 제공되고, 제2 수광부(132-2)에 제2 참조 신호(C2)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노출 주기(P2) 동안 제1 수광부(132-1)에 제3 참조 신호(C3)가 제공되고 제2 수광부(132-2)에 제4 참조 신호(C4)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노출 주기(P1)와 제2 노출 주기(P2)는 하나의 프레임 주기를 이룰 수 있으며, 제1 노출 주기(P1)와 제2 노출 주기(P2) 사이에는 리드아웃(read out)이 존재할 수 있다. 이 때, 리드아웃(read out)은 픽셀 내 각 수광부에 충전된 전하량을 방전하는 구간이다. 이 때, 제1 참조 신호(C1) 내지 제4 참조 신호(C4)는 픽셀 내에서 충전 소자의 충전을 조절하는 신호로 스위칭 소자에서 게이트 신호일 수 있으며, 이는 도 12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센서(130)는 복수 개의 픽셀 각각에서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각각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참조 신호를 통해 입사광과 반사광 차이의 위상차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 신호에 대해 하나의 프레임 주기 마다 전기 신호는 4개가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광 신호와 입력광 신호 사이의 위상차(td)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Q1 내지 Q4는 4개의 전기 신호 각각의 전하충전량(이하 전하량)이다. Q1은 광 신호와 동일한 위상의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의 전하량이다. Q2는 광 신호보다 위상이 180도 느린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의 전하량이다. Q3는 광 신호보다 위상이 90도 느린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의 전하량이다. Q4는 광 신호보다 위상이 270도 느린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의 전하량이다.
다만, 하나의 프레임 주기에서 광 신호와 입력광 신호 사이의 위상차(td)를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노출 주기는 센서(130) 내의 충전 소자의 개수, 스위칭 소자의 개수 및 수광부의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각 수광부에 2개의 충전 소자가 연결될 수도 있다(즉, 2개의 수광부는 4개의 충전 소자를 가짐). 이 때, 하나의 노출 주기에서 각 수광부마다 2개의 참조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노출 주기에서 제1 참조 신호 및 제2 참조 신호가 제1 수광부에 제공되고, 제3 참조 신호 및 제4 참조 신호가 제2 수광부에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가 생성되고, 제어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전기 신호의 전차 충전량을 이용하여 광 신호와 입력광 신호 사이의 위상차(td)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하나의 프레임 주기에 4개의 노출 주기가 존재하고, 각 노출 주기마다 90도 위상차이를 갖는 4개의 참조 신호가 수광부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각 노출 주기 동안 생성된 전기 신호의 전하량을 이용하여 상술한 광 신호와 입력광 신호 사이의 위상차(td)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하나의 프레임 주기는 순차로 제1 노출 주기와 제2 노출 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30)는 제1 노출 주기 동안 제1 참조 신호(C1)와 제2 참조 신호(C2)를 각각 제1 수광부(132-1)와 제2 수광부(132-2)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노출 주기 동안 제3 참조 신호(C3)와 제4 참조 신호(C4)를 각각 제1 수광부(132-1)와 제2 수광부(132-2)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노출 주기에서 Q1, Q2를 생성하고, 제2 노출 주기에서 Q3, Q4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하나의 프레임에서 Q1 내지 Q4를 모두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4개의 전기 신호의 전하량을 이용하여 광 신호와 입력광 신호 사이의 위상차(td)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광 신호와 입력광 신호의 위상차(td)를 이용하여 객체와 카메라 모듈(100)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아래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객체와 카메라 모듈(100) 사이의 거리(d, 수학식 2 참조)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c는 빛의 속도이고, f는 출력광의 주파수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00)로부터 ToF IR 영상 및 거리(depth)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ToF 카메라 모듈 또는 ToF 카메라 모듈이라 지칭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4개의 위상에 대한 로우(raw)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4개의 위상은 0°, 90°, 180°, 270°일 수 있으며, 각 위상에 대한 로우 영상은 위상 별로 디지털화된 픽셀 값 또는 아날로그 픽셀 값으로 이루어진 영상일 수 있고, 위상 영상, 위상 IR 영상 등과 혼용될 수 있다. 이 때, 4개의 위상에 대한 로우(raw) 영상은 복수 개의 픽셀에서 생성된 전기 신호에 의해 얻어질 수 있으며, 도 21 내지 도 23은 센서의 전 영역이 추출영역인 경우 위상 별로 얻어진 영상이거나, 상기 영상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앰플리튜드 영상(amplitude image) 또는 거리 영상이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른 센서(130)는 위상 차이가 추출되는 비추출영역 및 위상 차이가 추출되는 추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위상 차이는 광 신호와 입력광 신호의 위상차(td)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출영역은 상술한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의 전하량이 모두 산출된 픽셀이 이루는 영역이다. 이와 달리, 실시예에 따르면 비추출영역은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생성되지 않은 픽셀이 이루는 영역일 수 있다.
즉, 비추출영역은 제1 참조 신호, 제2 참조 신호, 제3 참조 신호 및 제4 참조 신호 중 적어도 두 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가 생성되지 않은 픽셀로 이루어진 영역일 수 있다.
이로써, 실시예에 따른 센서(130)에서 추출영역은 객체와의 거리가 매우 가까운 영역에 대응하는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객체와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 제1 참조 신호, 제2 참조 신호, 제3 참조 신호 및 제4 참조 신호 중 하나(예컨대, 제2 참조 신호)에 전기 신호가 생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130)에서 비추출영역은 객체와의 거리가 측정 가능한 거리를 벗어나는 영역에 대응하는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객체와의 거리가 측정 가능한 거리를 벗어나는 경우 제1 참조 신호, 제2 참조 신호, 제3 참조 신호 및 제4 참조 신호 중 적어도 2개 이상에서 전기 신호가 생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로써, 비추출영역에 대하여 제어부는 수광된 광 신호에 대한 타이밍 제어를 정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객체와의 거리가 매우 먼 영역에 대응하는 픽셀에 대해서는 거리 측정이 어려우므로 제1 참조 신호 내지 제4 참조 신호에 따라 수광부의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제어가 수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로써, 거리 측정이 불요한 픽셀에 대해 스위칭을 비구동하여 전력 소모를 저감하여 센서의 전력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130)에서 비추출영역은 복수 개의 전기 신호 중 위상이 180도 상이한 참조 신호에 대응한 전기 신호(전기 신호의 전하량)의 합이 상이한 픽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130)에서 반사광(LS2)의 전체 광량은 제1 참조 신호(C1) 및 제2 참조 신호(C2)에 대응한 전기 신호(전기 신호의 전하량)에 대응하고, 제3 참조 신호(C3) 및 제4 참조 신호(C4)에 대응한 전기 신호(전기 신호의 전하량)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제1 참조 신호(C1) 및 제2 참조 신호(C2)에 대응한 전기 신호의 합과 제3 참조 신호(C3) 및 제4 참조 신호(C4)에 대응한 전기 신호의 합은 동일해야 하나, 외부 광 또는 반사율이 높은 객체에 의해 픽셀의 수광부에서 충전 가능한 전하량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술한 합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 때, 해당 픽셀에서 광 신호와 입력광 신호 사이의 위상차 및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로써,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130)는 복수 개의 전기 신호 중 위상이 180도 상이한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의 합이 상이한 픽셀로 이루어진 비추출영역에서 제1 참조 신호 내지 제4 참조 신호에 따라 수광부의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제어가 수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로써, 거리 측정이 불요한 픽셀에 대해 스위칭을 비구동하여 전력 소모를 저감하여 센서의 전력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 따른 센서(130)에서 비추출영역은 복수 개의 전기 신호가 기 설정된 크기 이하인 픽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픽셀의 수광부에 상이한 참조 신호가 동일한 노출 주기에 제공될 수 있고, 이로부터 전기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복수의 노출 주기 동안 참조 신호가 각각 픽셀의 수광부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 주기 동안에 수광부에서 생성된 전기 신호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 이하인 경우에 반사광의 광량이 적고 외부광 등에 의한 노이즈가 존재하는 점을 고려하여 해당 픽셀을 비추출영역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전기 신호가 기 설정된 크기 이하인 픽셀로 이루어진 비추출영역에서 제1 참조 신호 내지 제4 참조 신호에 따라 수광부의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제어가 수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로써, 거리 측정이 정확하지 않은 픽셀에 대해 스위칭을 비구동하여 전력 소모를 저감하여 센서의 전력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에서 거리 영상을 생성하는 1 프레임 주기의 타이밍도이고, 도 16은 도 15에서 프레임 주기 내의 노출 주기 별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도이고, 도 17은 도 15에서 노출 주기(P1)에서 타이밍도이고, 도 18은 도 15에서 노출 주기(P2)에서 타이밍도이고, 도 19는 도 15에서 노출 주기(P3)에서 타이밍도이고, 도 20은 도 15에서 노출 주기(P4)에서 타이밍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에서 거리 영상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는 1 프레임 주기 동안 4개의 노출 주기(integration time) 및 4개의 리드아웃이 존재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노출 주기의 개수 및 리드아웃의 개수는 수광부의 개수, 충전 소자 및 스위칭의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15 내지 도 20에서는 입사광(LS1)의 듀티비(duty ratio)를 25%로 설정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입사광의 듀티비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1 프레임 주기는 순차로 수행되는 제1 노출 주기(P1), 제2 노출 주기(P2), 제3 노출 주기(P3) 및 제4 노출 주기(P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노출 주기 사이에는 리드아웃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각 노출 주기는 입사광(LS1)의 주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각 노출 주기마다 각 픽셀에서는 상이한 위상에 대한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이한 참조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픽셀은 제1 수광부(132-1) 및 제2 수광부(132-2)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하 설명한다. 제1 노출 주기(P1)에서 제1 수광부(132-1)는 입사광(LS1)과 동일한 위상을 갖는 제1 참조 신호(상술한 C1에 대응)가 인가되고, 제2 수광부(132-2)는 제1 참조 신호와 180도 위상이 늦은 제2 참조 신호(상술한 C2에 대응)가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노출 주기(P2)에서 제1 수광부(132-1)는 제1 참조 신호(C1)에 90도 늦은 제3 참조 신호(상술한 C3에 대응)가 인가되고, 제2 수광부(132-2)는 제2 참조 신호와 180도 위상이 늦은 제4 참조 신호(상술한 C4에 대응)가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제3 노출 주기(P3)에서 제1 수광부(132-1)는 제2 참조 신호(C2)가 인가되고 제2 수광부(132-2)는 제1 참조 신호(C1)가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노출 주기(P4)에서 제1 수광부(132-1)는 제4 참조 신호(C4)가 인가되고, 제2 수광부(132-2)는 제3 참조 신호(C3)가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노출 주기(P1)에서 제1 수광부(132-1)는 상술한 전하량(Q1)에 대응하는 전하량(Q)을 생성하고, 제2 수광부(132-2)는 상술한 전하량(Q2)에 대응하는 전하량(Q180°)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노출 주기(P2)에서 제1 수광부(132-1)는 상술한 전하량(Q3)에 대응하는 전하량(Q90°)을 생성하고, 제2 수광부(132-2)는 상술한 전하량(Q4)에 대응한 전하량(Q270°)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3 노출 주기(P3)에서 제1 수광부(132-1)는 전하량(Q180°)을 생성하고, 제2 수광부(132-2)는 전하량(Q)을 생성하며, 제4 노출 주기(P4)에서 제1 수광부(132-1)는 전하량(Q270°)을 생성하고, 제2 수광부(132-2)는 전하량(Q90°)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르면 픽셀은 각 노출 주기에서 제1 수광부와 제2 수광부에서 생성한 전기 신호의 차를 출력할 수 있다. 즉, 픽셀은 제1 노출 주기에서 전하량(Q)- 전하량(Q180°)을 출력하고, 제2 노출 주기에서 전하량(Q90°)- 전하량(Q270°)을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센서에서 반전된 위상 구동이 일어난 노출 주기의 출력의 크기가 동일하지 않은 픽셀을 비추출영역으로 처리하여 해당 픽셀에 스위칭 제어가 수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노출 주기(P1)의 출력값과 제3 노출 주기(P3)에서 출력값이 서로 크기가 상이한 픽셀 또는 제2 노출 주기(P2)의 출력값과 제4 노출 주기(P4)의 출력값이 서로 크기가 상이한 픽셀이 비추출영역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노출 주기(P1)에서 출력값과 제3 노출 주기(P3)의 합이 제2 노출 주기(P2)에서 출력값과 제4 노출 주기(P4)의 합이 상이한 픽셀에 대해서도 비추출영역으로 판단하여, 제어부는 해당 픽셀에 스위칭 제어가 수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비추출영역은 복수 개의 전기 신호 중 위상이 180도 상이한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의 합이 상이한 픽셀을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는 비추출영역의 픽셀에 대해 스위칭 제어가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는 해당 픽셀에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정확한 거리 측정이 불요한 픽셀에 대해 스위칭을 비구동하여 전력 소모를 저감하여 센서의 전력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듀티비를 25%로 설정하여 소비전력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노출 주기(P1 내지 P4)는 복수 개의 서브 노출 주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노출 주기(P1)는 복수 개의 서브 노출 주기(P11 내지 P13)을 포함하고, 제2 노출 주기(P2)는 복수 개의 서브 노출 주기(P21 내지 P23)을 포함하고, 제3 노출 주기(P3)는 복수 개의 서브 노출 주기(P31 내지 P33)을 포함하고, 제4 노출 주기(P4)는 복수 개의 서브 노출 주기(P41 내지 P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서브 노출 주기가 입사광(LS1)의 주기와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노출주기에서 제1 수광부(132-1)와 제2 수광부(132-2)에서 생성되는 전기 신호는 도 15에서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다.
이 때, 제어부는 복수 개의 서브 노출 주기를 통해 얻은 전기 신호의 평균을 1 노출 주기의 전기 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리에 대한 전기 신호의 정확도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도 2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로부터 얻은 4개의 위상에 대한 로우(raw) 영상이고, 도 22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로부터 얻은 앰플리튜드 영상(amplitude image)이고, 도 23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로부터 얻은 거리 영상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4개의 위상 영상(Raw(x0), Raw(x90), Raw(x180), Raw(x270), 도 21)을 이용하여 수학식 3과 같이 연산하면, ToF IR 영상인 앰플리튜드 영상(amplitude image, 도 22)을 얻을 수 있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Raw(x0)은 phase 0°에서 센서가 받아들이는 픽셀 별 데이터 값이고, Raw(x90)은 phase 90°에서 센서가 받아들이는 픽셀 별 데이터 값이며, Raw(x180)은 phase 180°에서 센서가 받아들이는 픽셀 별 데이터 값이고, Raw(x270)은 phase 270°에서 센서가 받아들이는 픽셀 별 데이터 값일 수 있다.
또는, 도 21의 4개의 위상 영상을 이용하여 수학식 4와 같이 연산하면, 다른 ToF IR 영상인 인텐시티 영상(intensity image)을 얻을 수도 있다.
Figure pat00004
여기서, Raw(x0)은 phase 0°에서 센서가 받아들이는 픽셀 별 데이터 값이고, Raw(x90)은 phase 90°에서 센서가 받아들이는 픽셀 별 데이터 값이며, Raw(x180)은 phase 180°에서 센서가 받아들이는 픽셀 별 데이터 값이고, Raw(x270)은 phase 270°에서 센서가 받아들이는 픽셀 별 데이터 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ToF IR 영상은 4개의 위상 영상 중 2개씩 서로 빼주는 과정을 통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서로 빼주는 2개의 위상 영상은 phase가 상호간에 180°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위성 영상 2개를 서로 빼주는 과정에서 외부 광(background light)이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ToF IR 영상에는 광원이 출력한 파장대의 신호만 남게 되어, 객체에 대한 IR 감도가 높아지고, 노이즈가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ToF IR 영상은 앰플리튜드(amplitude) 영상 또는 인텐시티(intensity) 영상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인텐시티 영상은 컨피던스(confidence) 영상과 혼용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oF IR 영상은 그레이 영상일 수 있다.
한편, 도 21의 4 개의 위상 영상을 이용하여 수학식 5 및 수학식 6과 같이 연산하면, 도 23의 거리 영상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수학식 5 및 수학식 6은 상술한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객체로 광 신호를 출력하는 광출력부;
    상기 객체에서 반사된 광 신호를 수광하는 센서; 및
    상기 수광된 광 신호의 위상 차이를 이용하여 객체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위상 차이가 추출되지 않는 비추출영역 및 상기 위상 차이가 추출되는 추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추출영역의 제어를 정지시키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수광된 광 신호를 위상이 상이한 복수 개의 참조 신호와 합성하여 복수 개의 전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비추출영역은 상기 복수 개의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 개의 전기 신호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생성되지 않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참조 신호는 소정의 위상만큼 순차로 시프팅된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추출영역은 복수 개의 전기 신호 중 위상이 180도 상이한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의 합이 상이한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추출영역은 복수 개의 전기 신호가 기 설정된 크기 이하인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복수 개의 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위상 차이는 상기 광 신호와 상기 반사된 광 신호의 위상차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픽셀의 수광 시간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를 차단하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제1 파장대역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제1 감지영역; 및 제2 파장대역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제2 감지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장대역은 상기 제1 파장대역과 상이한 카메라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영역은 상기 추출영역 및 상기 비추출영역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와 상기 센서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제1 파장대역이 통과 대역인 제1 필터영역 및 상기 제1 파장대역과 상이한 상기 제2 파장대역이 통과 대역인 제2 필터영역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영역은 복수 개로 이격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1. 제7항에 있어서,
    인접한 제2 감지영역은 행 방향 또는 열 방향으로 동일 거리를 갖는 카메라 모듈.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영역 각각은 적어도 일부가 접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픽셀로 이루어진 카메라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력부는 상기 광 신호를 복수 개의 어레이 형태로 출력하는 집광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90061837A 2019-05-27 2019-05-27 카메라 모듈 KR2020013614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837A KR20200136148A (ko) 2019-05-27 2019-05-27 카메라 모듈
PCT/KR2020/006799 WO2020242177A1 (ko) 2019-05-27 2020-05-26 카메라 모듈
US17/595,890 US11997383B2 (en) 2019-05-27 2020-05-26 Camera module extracting distance information based on a time-of-flight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837A KR20200136148A (ko) 2019-05-27 2019-05-27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148A true KR20200136148A (ko) 2020-12-07

Family

ID=73554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837A KR20200136148A (ko) 2019-05-27 2019-05-27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97383B2 (ko)
KR (1) KR20200136148A (ko)
WO (1) WO20202421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22648B2 (en) 2021-05-13 2024-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imag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1350A (zh) * 2021-01-27 2021-04-30 复旦大学 一种激光雷达的扫描驱动电路及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797B1 (ko) * 2010-12-21 201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이미지 센서의 구동 방법
KR101861765B1 (ko) 2011-03-03 2018-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하는 깊이 픽셀 및 상기 깊이 픽셀을 포함하는 깊이 센서
KR101925028B1 (ko) 2012-08-29 2018-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깊이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US10063757B2 (en) 2012-11-21 2018-08-28 Infineon Technologies Ag Dynamic conservation of imaging power
CN112180397B (zh) * 2014-01-29 2023-07-25 Lg伊诺特有限公司 用于提取深度信息的装置及方法
US10754015B2 (en) 2016-02-18 2020-08-25 Aeye, Inc. Adaptive ladar receiv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22648B2 (en) 2021-05-13 2024-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imag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97383B2 (en) 2024-05-28
WO2020242177A1 (ko) 2020-12-03
US20220321789A1 (en)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14429A1 (en) Image sensor modules including primary high-resolution imagers and secondary imagers
US10877238B2 (en) Bokeh control utilizing time-of-flight sensor to estimate distances to an object
KR20200136148A (ko) 카메라 모듈
US9407845B1 (en) Self powering camera
KR20200036614A (ko) 카메라 장치 및 그의 깊이 정보 추출 방법
KR102571864B1 (ko) 카메라 장치
EP4117268A1 (en) Distance measuring camera apparatus
KR20210034301A (ko) 카메라 모듈
KR20200126129A (ko) 카메라 모듈
KR102561533B1 (ko) 카메라 장치
KR20210034300A (ko) 카메라 모듈
KR20200108736A (ko) 카메라 모듈
KR20200131029A (ko) 카메라 모듈
TWI725578B (zh) 搭配電感器之閘調變
TW202117385A (zh) 飛行時間相機
US20220244390A1 (en) Camera module
KR20200129388A (ko) 카메라 모듈
US20220128803A1 (en) Imaging device
US20230076838A1 (en) Camera module
KR20200113437A (ko) 카메라 모듈
US20220357635A1 (en) Camera module
KR20200108735A (ko) 카메라 장치
KR20200125215A (ko) 카메라 모듈
Yamada et al. Development of ultra thin three-dimensional image capturing system
KR20210090007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