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5608A - 방수시트 - Google Patents

방수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5608A
KR20200135608A KR1020190060256A KR20190060256A KR20200135608A KR 20200135608 A KR20200135608 A KR 20200135608A KR 1020190060256 A KR1020190060256 A KR 1020190060256A KR 20190060256 A KR20190060256 A KR 20190060256A KR 20200135608 A KR20200135608 A KR 20200135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heet
waterproof
coupled
waterproof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2881B1 (ko
Inventor
채동숙
Original Assignee
채동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동숙 filed Critical 채동숙
Priority to KR1020190060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881B1/ko
Publication of KR20200135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8Devices for preventing wetting or pollution of the bed
    • A61F5/485Absorbent protective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38Bed lin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4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with fastening str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the fibres or filaments of a layer being of different substances, e.g. conjugate fibres, mixture of different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35/00Medical equipment, e.g. bandage, prostheses, cathe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Nur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시트에 관한 것으로, 시트에 있어서, PVA 섬유를 흡수층에 포함시킴으로써, 시트를 용이하게 세탁 및 단시간에 건조될 수 있도록 하며, 스테인리스강 섬유를 흡수층에 포함시킴으로써, 스테인리스강에 의한 항균 및 악취가 감소될 수 있도록 하고, 다수개의 홀이 포함되는 부분 및 다수개의 홀이 포함되지 않는 부분의 방수층을 포함시킴으로써, 시트 사용 시 사용자가 접촉하는 방수층 부분은 쉽게 이물질에 오염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방수층에 흡수되지 않은 이물질이 다수개의 홀을 포함하는 방수층을 통해 흡수층에 흡수되도록 하여 베드 등에 결합된 시트 아래로 이물질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방수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트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에 접착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 상에 접착되는 흡수층; 상기 흡수층 상에 형성되는 방수층 및 상기 시트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방수층은 상기 흡수층 상에 압착공정으로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이다.

Description

방수시트{WATERPROOF SHEET}
본 발명은 방수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에 있어서, PVA 섬유를 흡수층에 포함시킴으로써, 시트를 용이하게 세탁 및 단시간에 건조될 수 있도록 하며, 스테인리스강 섬유를 흡수층에 포함시킴으로써, 스테인리스강에 의한 항균 및 악취가 감소될 수 있도록 하고, 다수개의 홀이 포함되는 부분 및 다수개의 홀이 포함되지 않는 부분의 방수층을 포함시킴으로써, 시트 사용 시 사용자가 접촉하는 방수층 부분은 쉽게 이물질에 오염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방수층에 흡수되지 않은 이물질이 다수개의 홀을 포함하는 방수층을 통해 흡수층에 흡수되도록 하여 베드 등에 결합된 시트 아래로 이물질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방수시트에 관한 것이다.
환자나 고령자 등과 같이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은 주로 베드, 의자 및 휠체어 등에 오랜 시간 생활하여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시트는 이러한 사람들이 장시간 접촉하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닿는 피부에 손상이 덜 발생할 수 있도록 면 소재의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면 소재의 시트는 빨리 교체해 주지 않으면 시트에 오염물질이 마르지 않고 오랫동안 피부에 닿아있게 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뿐만 아니라, 피부염 또는 욕창 등과 같은 피부질환이 발생될 수 있어 수시로 교체해 주거나 세탁을 해야 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3084호 '일회용 침대 시트'는 시트를 매트리스 등에서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따로 세탁하지 않아도 되므로, 2차 감염을 미연에 방지하고 쾌적하고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실용신안은 일회용 시트라는 점에서 사용 후 매번 시트를 갈아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 상에 이물질이 묻어나는 경우에 시트를 교체할 때까지 시트에 흡수되어 젖어 있는 상태로 사용자의 피부에 계속 이물질이 묻어날 수 있는 문제점 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트에 있어서, 흡수층에 PVA 섬유 및 스테인리스강 섬유를 포함시킴으로써, 시트를 용이하게 세탁 및 단시간에 건조될 수 있어 재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스테인리스강 섬유에 의해 항균 및 악취가 감소될 수 있도록 하고, 방수층에 다수개의 홀이 포함되는 부분 및 다수개의 홀이 포함되지 않는 부분을 포함시킴으로써, 시트 사용 시 사용자가 접촉하는 방수층 부분은 쉽게 이물질에 오염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이물질이 시트에 흡수되지 않고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으며, 방수층에 흡수되지 않은 이물질이 다수개의 홀을 포함하는 방수층을 통해 흡수층에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베드 등에 결합된 시트 아래로는 이물질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방수시트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트에 있어서, PVA 섬유를 흡수층에 포함시킴으로써, 시트를 용이하게 세탁 및 단시간에 건조될 수 있도록 하며, 스테인리스강 섬유를 흡수층에 포함시킴으로써, 스테인리스강에 의한 항균 및 악취가 감소될 수 있도록 하고, 다수개의 홀이 포함되는 부분 및 다수개의 홀이 포함되지 않는 부분의 방수층을 포함시킴으로써, 시트 사용 시 사용자가 접촉하는 방수층 부분은 쉽게 이물질에 오염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방수층에 흡수되지 않은 이물질이 다수개의 홀을 포함하는 방수층을 통해 흡수층에 흡수되도록 하여 베드 등에 결합된 시트 아래로 이물질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방수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다만, 앞서 기술할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기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아래 기술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시트에 있어서,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에 접착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 상에 접착되는 흡수층; 상기 흡수층 상에 형성되는 방수층 및 상기 시트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방수층은 상기 흡수층 상에 압착공정으로 압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수층은, 상기 방수층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제 1방수부 및 상기 방수층의 양 측 부분에 형성된 제 2방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방수부는 가로 50 내지 90cm, 세로 100 내지 150cm, 높이 0.1 내지 0.7mm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방수부는 다수개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층은, PVA(Polyvinyl alcohol) 섬유 및 스테인리스강 섬유를 포함하여 직조되며, 상기 PVA(Polyvinyl alcohol) 섬유 및 스테인리스강 섬유 상에 은나노 입자가 도포되며, 상기 은나노 입자는 흡수층 1m2 당 100 내지 150g이 도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수층은 실리콘,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 PP(Polypropylene) 및 PPSU(Poly phenylsulfon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시트의 양 끝 부분의 길이에 대응되게 결합되는 자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시트의 양 끝 부분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시트의 양 끝 부분에 결합되는 밴딩부재 및 상기 밴딩부재의 끝에 결합되는 결합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시트의 양 끝 부분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시트의 양 끝 부분에 결합되는 삽입유닛 및 상기 삽입유닛이 결합되는 체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시트에 PVA섬유 및 스테인리스강 섬유가 포함된 흡수층을 포함시킴으로써, 땀이나 수분과 같은 물질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으며, 단시간에 빠르게 건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 사용 후에 발생되는 세균 및 악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PVA섬유 및 스테인리스강 섬유 상에 은나노 입자를 도포시킴으로써, 흡수층에 흡수되는 물질에 의한 냄새 및 세균 등의 억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방수층을 포함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사용 시에 피부가 접촉되는 부분은 이물질이 스며들지 않고, 닦아 낼 수 있어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불쾌감을 저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방수층을 제 1방수부 및 제 2방수부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가 접촉되는 제 1방수부 부분은 이물질이 전혀 흡수되지 않도록 하고, 사용되는 베드에 이물질이 흘러 묻지 않도록 제 2방수부는 다수개의 홀을 포함하고 있어 흡수층에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연결부재를 다양한 형상으로 만듦으로써, 플라스틱, 나무 및 천 등과 같이 어떠한 소재로 이루어진 베드 및 쇼파 등의 가구 상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이점 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방수시트(10)는 기재층(100), 접착층(200), 흡수층(300), 방수층(400) 및 연결부재(500)를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기재층(100)은 베드, 의자 및 휠체어 등에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면과 같은 소재인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면(cotton) 70 내지 85중량% 및 폴리에스터 섬유(poly ester) 25 내지 30중량%가 혼합된 TC지인 것이 좋다.
면은 흡수성, 통기성 및 보온성이 우수하나, 세탁 시에 수축되는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강도 변화가 거의 없는 폴리에스터 섬유를 포함시키는 것이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므로, 면 및 폴리에스터가 혼합된 섬유가 아니더라도 베드, 의자 및 휠체어 등과 같은 물품에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소재의 섬유로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당연할 것이다.
접착층(200)은 기재층(100) 및 흡수층(300)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기재층(100)과 흡수층(300) 사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접착층(200)은 가교성 접착제 및 핫멜트 접착제(HMPSA: hotmel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가교성 접착제는 어느 온도 이상이 되기 전까지는 액체로 존재하며, 상온이 되면 굳어지는 성질을 가진 접착제이므로, 열을 이용해 원하는 기재층(100)상에 흡수층(300)을 접착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및 편의에 따라 온도를 달리하여, 흡수층(300)을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핫멜트 접착제는 감압성 접착제의 특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가교성 접착제와 마찬가지로, 실온에서는 고체로 존재하고 고온에서는 용융될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에 의해 고온에서 용융시킨 후, 이를 기재층(100) 상면에 포함시킴으로써, 흡수층(300)이 용이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으며, 실온에서는 영구적으로 점착성을 가지는 이점으로 접착층(200) 상에 결합되는 흡수층(300)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층(200)은 흡수층(300)이 기재층(100)상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기재층(100) 상면에 전체적으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사용자의 이용 및 편의에 따라 기재층(100) 상면 일부에 도포되어 흡수층(300)을 접착시킬 수 있다.
흡수층(300)은 접착층(200) 상에 접착될 수 있으며, PVA(Polyvinyl alcohol) 섬유 및 스테인리스강 섬유를 포함하여 직조될 수 있다.
PVA(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PVA)) 섬유는 흡수성 및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방수시트(10)를 사용하는 경우 땀, 소변 또는 수분 등과 같은 액상의 물질이 빠르게 흡수될 수 있으며, 단시간에 건조가 가능하므로 빠르게 재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스테인리스강 섬유를 포함시킴으로써, 스테인리스강의 항균 및 악취제거의 특성을 활용하여 방수시트(10)를 사용한 후, 흡수층(300)에 흡수된 물질의 악취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세균의 번식을 억제 시킬 수 있는 이점 등이 있다.
또한, PVA 섬유 및 스테인리스강 섬유 상에 은나노 입자를 도포시킴으로써, 흡수층(300)의 항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은나노 입자는 흡수층 1m2 당 100 내지 150g이 도포되는 것이 좋다.
100g 미만으로 은나노 입자가 흡수층에 도포되면 은나노 입자의 향균 효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150g을 초과하여 도포되면 흡수층에 포함되는 섬유의 재질의 촉감이 너무 거칠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방수층(400)은 흡수층(300) 상에 압착(Press)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방수층(400)은 상기 방수층은 실리콘,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 PP(Polypropylene) 및 PPSU(Poly phenylsulfon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리콘은 물질이 흡수되지 않으므로, 환자나 고령자 등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방수시트(10)를 사용하는 경우, 땀, 소변 또는 수분 등과 같은 액상의 물질이 방수시트(10)에 묻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이점 등이 있다.
또한, 연질의 물질이기 때문에 베드 및 의자 등의 물품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그 형상에 따라 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
TPU(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 Urethane))는 내유성 및 내마모성이 있는 고무재질의 물질이며, 열로 녹여 제작될 수 있으므로, 흡수층(300) 상에 열을 가해 압착공정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충격 및 마찰 등에 월등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방수시트(10) 사용 시에 사용자의 피부가 잦은 마찰이나 충격에 의하더라도 피부 손상 및 상해가 발생되지 않으며, 유연성 및 형상기억 특성이 있어 세탁 시에도 방수층(400)이 절단되거나 찢어지지 않아 용이하게 세탁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PP(PolyPropylene)은 플라스틱과 섬유의 형태 모두에 사용될 수 있는 고분자 중 하나이며, 염료의 착색성이 좋고, 인체해 무해할 뿐만 아니라, 물을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현관 이나 야외에서 사용되는 카펫의 재료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흡수층(300) 상에 방수층(400)으로 압착 공정시킴으로써 상기 실리콘 및 TPU와 같이 방수층(400)에 이용될 수 있다.
PPSU(폴리페닐설폰)는 환경호르몬 비스페놀A(BPA(Bisphenol A))로부터 안전하며, 섭씨 180도까지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이 강한 특수 플라스틱 재질로 방수층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폴리프로필렌과 마찬가지로 인체에 무해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직접 피부에 닿는 방수층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고하면, 방수층(400)은 제 1방수부(410) 및 제 2방수부(420)를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 1방수부(410)는 방수층(400)의 중앙부분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피부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방수부(410)는 가로 50 내지 90cm, 세로 100 내지 150cm, 높이 0.1 내지 0.7mm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는 사용자가 방수시트(10)를 사용하는 경우에 접촉되는 면적을 고려한 것이며, 0.1mm 미만으로 제 1방수부(410)를 형성할 경우, 잦은 접촉으로 방수층(400)이 찢어질 수 있어 장기간 사용이 어려울 수 있으며, 0.7mm을 초과하여 제 1방수부(410)를 형성할 경우, 방수층(400)이 단단해져 사용에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제 2방수부(420)는 방수층(400)의 양 측 부분에 형성되며, 제 1방수부(410)와 달리 다수개의 홀(42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개의 홀(421)은 제 1방수부(410)에서 흡수되지 않은 이물질이 제 2방수부(420) 상에 흐르게 되면 홀(421)을 통해 흡수층(300)에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시트(10)를 베드, 의자 또는 휠체어 등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사용하고자 하는 곳에 결합시키게 되면 직접적으로 피부와 맞닿게 되는 부분인 제 1방수부(410)는 땀, 소변 및 물 등과 같은 액상의 이물질이 흡수되지 않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사용자가 쾌적하게 방수시트(10)를 사용할 수 있으나, 흡수되지 않은 이물질이 베드, 의자 또는 휠체어 등에서 흘러내릴 수 있으므로, 방수층(400) 양 측에 형성된 제 2방수부(420)의 홀(421)을 통해 흡수층(300)에 흡수됨으로써, 나중에 방수시트(10)를 분리하여 세탁할 수 있다.
연결부재(500)는 방수시트(10)의 양 끝단에 포함될 수 있으며, 방수시트(10)를 고정하기 위해 와이어 또는 실 등 이를 연결할 수 있는 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방수시트(10)는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기재층(100), 접착층(200), 흡수층(300) 및 방수층(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500)의 다른 실시예는 자성부재(5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성부재(510)는 방수시트(10)의 양 끝 단의 길이에 대응되게 결합되는 것이 좋으며, 사용자는 용이하게 탈·부착 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500)의 다른 실시예는 방수시트(10) 양 끝 부분에 결합되는 밴딩부재(520) 및 결합유닛(521)을 포함할 수 있다.
밴딩부재(520)는 수축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결합유닛(521)은 한 쌍의 체결 가능한 걸림 형상 및 끼움 형상 등 밴딩부재(520)가 고정될 수 있는 어떠한 형태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당연할 것이다.
나아가, 연결부재(500)의 다른 실시예는 방수시트(10)의 양 끝 부분에 결합되는 삽입유닛(531) 및 체결유닛(53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삽입유닛(531)이 체결유닛(532)에 삽입됨으로써, 방수시트(10)가 사용되는 물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 : 방수시트
100 : 기재층
200 : 접착층
300 : 흡수층
400 : 방수층
410 : 제 1방수부
420 : 제 2방수부
421 : 홀
500 : 연결부재
510 : 자성부재
520 : 밴딩부재
521 : 결합유닛
531 : 삽입유닛
532 : 체결유닛

Claims (7)

  1. 시트에 있어서,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에 접착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 상에 접착되는 흡수층;
    상기 흡수층 상에 형성되는 방수층 및
    상기 시트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방수층은 상기 흡수층 상에 압착공정으로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은,
    상기 방수층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제 1방수부 및
    상기 방수층의 양 측 부분에 형성된 제 2방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방수부는 가로 50 내지 90cm, 세로 100 내지 150cm, 높이 0.1 내지 0.7mm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방수부는 다수개의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은,
    PVA(Polyvinyl alcohol) 섬유 및
    스테인리스강 섬유를 포함하여 직조되며,
    상기 PVA(Polyvinyl alcohol) 섬유 및 스테인리스강 섬유 상에 은나노 입자가 도포되며, 상기 은나노 입자는 흡수층 1m2 당 100 내지 150g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은 실리콘,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 PP(Polypropylene) 및 PPSU(Poly phenylsulfon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시트의 양 끝 부분의 길이에 대응되게 결합되는 자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시트의 양 끝 부분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시트의 양 끝 부분에 결합되는 밴딩부재 및
    상기 밴딩부재의 끝에 결합되는 결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시트의 양 끝 부분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시트의 양 끝 부분에 결합되는 삽입유닛 및
    상기 삽입유닛이 결합되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KR1020190060256A 2019-05-22 2019-05-22 방수시트 KR102262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256A KR102262881B1 (ko) 2019-05-22 2019-05-22 방수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256A KR102262881B1 (ko) 2019-05-22 2019-05-22 방수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608A true KR20200135608A (ko) 2020-12-03
KR102262881B1 KR102262881B1 (ko) 2021-06-09

Family

ID=73779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256A KR102262881B1 (ko) 2019-05-22 2019-05-22 방수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8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122A (ja) * 1997-06-30 1999-01-26 Michiko Fujisawa 浸出防止生理用パット
JPH11129405A (ja) * 1997-11-04 1999-05-18 Azutec Kk 病院用床シート
JP2001271204A (ja) * 2000-03-24 2001-10-02 Ikko:Kk 開閉式失禁用パンツ
KR20010101439A (ko) * 1999-12-01 2001-11-14 우다 마사시 일회용 기저귀
KR20090003084U (ko) * 2007-09-27 2009-04-01 박상현 일회용 침대 시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122A (ja) * 1997-06-30 1999-01-26 Michiko Fujisawa 浸出防止生理用パット
JPH11129405A (ja) * 1997-11-04 1999-05-18 Azutec Kk 病院用床シート
KR20010101439A (ko) * 1999-12-01 2001-11-14 우다 마사시 일회용 기저귀
JP2001271204A (ja) * 2000-03-24 2001-10-02 Ikko:Kk 開閉式失禁用パンツ
KR20090003084U (ko) * 2007-09-27 2009-04-01 박상현 일회용 침대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2881B1 (ko) 202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67206A (zh) 带有最佳形状之袋状件的粪便收集器
JP3850629B2 (ja) シリコーン系化合物の層を有する吸収性物品
JP7012963B2 (ja) 吸収性物品
CN206566092U (zh) 一种石墨烯无纺布面料的卫生巾
JP5941278B2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6025209B2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4815183B2 (ja) 褥瘡用シート
KR102262881B1 (ko) 방수시트
CN101011308A (zh) 卫生吸湿制品
CN106309053A (zh) 一种医用护理垫
CN210644418U (zh) 一种预防湿疹及褥疮的床垫
CN206381287U (zh) 一种可重复使用的医用护理垫
CN103445930A (zh) 一次性无菌手术床垫
JP6550310B2 (ja) 吸収性物品
JP2008523884A (ja) 吸収パッド
TWM552819U (zh) 兒童點滴固定套
KR101760515B1 (ko) 흡수제품
CN201361186Y (zh) 一种一次性吸收用品
CN101773433A (zh) 一种一次性吸收用品
CN219743076U (zh) 一种用于固定护理垫的固定装置
KR200415260Y1 (ko) 침대 시이트
KR100500762B1 (ko) 생리 팬티
JP2013013427A (ja) 鼻汁吸収用ナプキン
US20230310230A1 (en) Individually-wrapped absorbent article
JP3220575U (ja) 使い捨て吸水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