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5101A - 태양광 발전기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5101A
KR20200135101A KR1020190075269A KR20190075269A KR20200135101A KR 20200135101 A KR20200135101 A KR 20200135101A KR 1020190075269 A KR1020190075269 A KR 1020190075269A KR 20190075269 A KR20190075269 A KR 20190075269A KR 20200135101 A KR20200135101 A KR 20200135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panel
support cylinder
support
sola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철
Original Assignee
장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철 filed Critical 장영철
Publication of KR20200135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1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02S20/32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specially adapted for solar track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40Thermal components
    • H02S40/42Cooling means
    • H02S40/425Cooling means using a gaseous or a liquid coolant, e.g. air flow ventilation, water circ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며 운반과 설치가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태양광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기는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지지통체(10)와, 상면에 다수개의 솔라셀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통체(10)에 지지되는 솔라패널(20)로 구성됨으로,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이동과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지지통체(10)의 내부에 물이 저장됨으로, 지지통체(10)가 바람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기{solar power generator}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며 운반과 설치가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태양광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에 다수개의 솔라셀이 구비된 솔라패널(1)과, 상기 솔라패널(1)이 하측에 구비되어 솔라패널(1)을 지지하는 지지대(2)로 구성된다.
상기 솔라패널(1)은 넓은 직사각형으로 구성되어, 솔라셀에 태양광이 조사되면 발전을 하게 된다.
상기 지지대(2)는 강도가 높은 금속바를 결합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기를 설치할 위치에 상기 지지대(2)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2)의 상면에 상기 솔라패널(1)을 설치함으로써, 태양광 발전기의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태양광 발전기는 상기 지지대(2)를 이용하여 솔라패널(1)을 지지함으로, 구조가 목잡하고, 운반과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공개특허 10-2019-000424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며 운반과 설치가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태양광 발전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지지통체(10)와, 상면에 다수개의 솔라셀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통체(10)에 지지되는 솔라패널(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통체(10)는 측단면 형상이 상측으로 갈수록 내부의 폭이 넓어지는 마름모꼴로 구성되어, 복수개의 지지통체(10)를 상호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도록 결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통체(10)의 상측 둘레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통체(10)의 상단 내주면에는 상기 솔라패널(20)의 둘레면이 올려지는 걸림턱(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통체(10)의 내부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상기 지지통체(1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바(15)가 구비되어, 상기 솔라패널(20)을 상기 지지바(15)의 상면에 올려놓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통체(10)의 중간부에는 지게차의 아암이 삽입되는 결합공(14)이 양측면 또는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통체(10)의 둘레면부에는 지지통체(10)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수구(13)가 형성되어, 빗물이 상기 지지통체(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지지통체(1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상승될 경우, 물이 상기 배수구(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물의 수위가 상기 배수구(13)의 위치 이상으로 상승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급수원에 연결된 급수관(31)과, 상기 지지통체(10)의 내부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정되는 지지대(32)와, 상기 지지에 구비되며 상기 급수관(31)이 연결되는 급수밸브(33)와, 상기 솔라패널(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솔라패널(2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34)와, 상기 솔라패널(2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통체(10)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여 상기 솔라패널(20)의 하측면으로 분사하여 솔라패널(20)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단(35)과, 상기 온도측정센서(34)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솔라패널(2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냉각수단(35)을 작동시켜 상기 솔라패널(20)을 냉각시키도록 된 제어수단(36)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급수밸브(33)는 상기 지지통체(10)에 저장된 물의 상면으로 부상되는 플로터(33a)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통체(10)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급수관(3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정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솔라패널(20)의 하측면에 구비되며 전단부가 회동축(41a)에 의해 상기 솔라패널(20)의 전단부 하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하부지지판(41)과, 상기 솔라패널(20)과 하부지지판(41)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팽창 또는 축소에 따라 상기 솔라패널(20)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에어백(42)과, 상기 에어백(42)에 연결되어 에어백(42)에 공기를 공급하여 에어백(42)이 팽창되도록 하거나 에어백(42)에 공급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에어백(42)이 축소되도록 하는 팽창조절수단(43)과, 상기 회동축(41a)에 구비되어 상기 솔라패널(20)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측정센서(44)와, 상기 기울기측정센서(44)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팽창조절수단(4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45)은 계절의 변화에 따른 태양의 고도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상기 기울기측정센서(44)의 신호를 피드백하면서 상기 팽창조절수단(43)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에어백(42)을 팽창 또는 축소시킴으로써, 상기 솔라패널(20)이 태양을 향하도록 솔라패널(20)의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기는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지지통체(10)와, 상면에 다수개의 솔라셀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통체(10)에 지지되는 솔라패널(20)로 구성됨으로,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이동과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지지통체(10)의 내부에 물이 저장됨으로, 지지통체(10)가 바람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태양광 발전기를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기의 지지통체를 적층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기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기의 제3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기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기의 제4 실시예의 팽창조절수단을 도시한 참고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기의 제4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기의 제4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기를 도시한 것으로,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지지통체(10)와, 상면에 다수개의 솔라셀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통체(10)에 지지되는 솔라패널(2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통체(10)는 강도가 높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측단면 형상이 상측으로 갈수록 내부의 폭이 넓어지는 마름모꼴로 구성되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지지통체(10)를 상호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도록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단 내주면, 특히, 상단 전후측의 내측면에는 상기 솔라패널(20)의 둘레면이 올려지는 걸림턱(11)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11)에 상기 솔라패널(20)을 안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통체(10)의 상측 둘레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2)가 형성된되어, 지게차의 아암이 상기 플랜지부(12)의 하측면에 밀착되돌고 한 상태에서, 지게차를 이용하여 지지통체(10)를 들어올려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통체(10)의 둘레면부에는 지지통체(10)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수구(13)가 형성되어, 빗물이 상기 지지통체(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지지통체(1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상승될 경우, 물이 상기 배수구(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물의 수위가 상기 배수구(13)의 위치 이상으로 상승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솔라패널(20)은 전후방향의 길이가 상기 걸림턱(11)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전후양단이 상기 걸림턱(11)에 올려지도록 상기 지지통체(1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태양광 발전기는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지지통체(10)와, 상면에 다수개의 솔라셀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통체(10)에 지지되는 솔라패널(20)로 구성됨으로,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이동과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지지통체(10)의 내부에 물이 저장됨으로, 지지통체(10)가 바람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통체(10)는 측단면 형상이 상측으로 갈수록 내부의 폭이 넓어지는 마름모꼴로 구성되어, 복수개의 지지통체(10)를 상호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도록 결합할 수 있음으로, 지지통체(10)의 보관과 이동이 더욱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통체(10)의 상측 둘레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2)가 형성되어, 지게차의 아암을 상기 플랜지부(12)의 하측면에 밀착시켜 지지통체(10)를 들어올릴 수 있음으로, 지지통체(10)의 이동이 더욱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통체(10)의 상단 내주면에는 상기 솔라패널(20)의 둘레면이 올려지는 걸림턱(11)이 형성됨으로, 상기 솔라패널(20)을 지지통체(10)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통체(10)의 둘레면부에는 지지통체(10)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수구(13)가 형성되어, 빗물이 상기 지지통체(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지지통체(1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상승될 경우, 물이 상기 배수구(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물의 수위가 상기 배수구(13)의 위치 이상으로 상승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빗물이 상기 지지통체(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지지통체(1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이 수위가 과도하게 상승되어, 상기 솔라패널(20)이 지지통체(10)에 저장된 물에 잠기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지지통체(10)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통체(10)는 하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지지통체(10)의 중간부에는 지게차의 아암이 삽입되는 결합공(14)이 양측면과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통체(10)의 내부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상기 지지통체(1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바(15)가 구비되어, 상기 솔라패널(20)을 상기 지지바(15)의 상면에 올려놓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바(15)는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며, 전후방에 위치된 지지바(15)는 상면이 일정한 높이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통체(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에의 경우, 상기 지지바(15)는 상면이 일정한 높이를 이루도록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으로 하향되는 직선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지지통체(10)의 내부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상기 지지통체(1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바(15)가 구비되는 것은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급수원에 연결된 급수관(31)과, 상기 지지통체(10)의 내부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정되는 지지대(32)와, 상기 지지에 구비되며 상기 급수관(31)이 연결되는 급수밸브(33)와, 상기 솔라패널(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솔라패널(2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34)와, 상기 솔라패널(2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통체(10)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여 상기 솔라패널(20)의 하측면으로 분사하여 솔라패널(20)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단(35)과, 상기 온도측정센서(34)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솔라패널(2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냉각수단(35)을 작동시켜 상기 솔라패널(20)을 냉각시키도록 된 제어수단(36)이 더 구비된다.
상기 급수관(31)은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도관에 연결되어, 상기 급수밸브(33)에 수돗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32)는 상기 지지통체(10)에 구비된 지지바(15)에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급수밸브(33)는 상기 지지통체(10)에 저장된 물의 상면으로 부상되는 플로터(33a)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통체(10)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높이 이하로 하강되면 개방되어 상기 급수관(31)을 통해 공급된 물이 상기 지지통체(10)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고, 지지통체(10)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높이 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밀폐되어, 급수관(3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저지시킴으로써, 더 이상 지지통체(10)의 내부로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자동으로 상기 지지통체(10)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온도측정센서(34)는 상기 솔라패널(20)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어, 햇빛에 의해 가열되는 솔라패널(20)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각수단(35)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단이 상기 지지바(15)에 고정된 보조지지바(35a)와, 상기 보조지지바(35a)에 상기 솔라패널(20)의 하측면 중앙부를 향하도록 구비된 분사노즐(35b)과, 상기 지지통체(10)의 내부에 지지통체(10)에 저장된 물에 잠기도록 구비된 수중펌프(35c)와, 상기 수중펌프(35c)와 분사노즐(35b)을 연결하는 연결관(35d)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중펌프(35c)를 작동시키면, 상기 지지통체(10)에 저장된 물이 상기 분사노즐(35b)로 공급되어 분사노즐(35b)을 통해 솔라패널(20)의 하측면으로 분사됨으로써, 솔라패널(20)을 냉각시킨다.
상기 제어수단(36)은 상기 온도측정센서(34)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솔라패널(2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50℃)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냉각수단(35)을 작동시켜 상기 솔라패널(20)의 하측면으로 물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솔라패널(20)이 냉각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태양광 발전기는 급수원에 연결된 급수관(31)과, 상기 지지통체(10)의 내부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정되는 지지대(32)와, 상기 지지에 구비되며 상기 급수관(31)이 연결되는 급수밸브(33)가 구비되어, 자동으로 상기 지지통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통체(10)에 저장된 물이 증발되어 지지통체(10)가 가벼워지고, 이에 따라, 바람 등에 의해 지지통체(10)와 솔라패널(2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솔라패널(2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자동으로 냉각수단(35)이 작동되어 솔라패널(20)을 냉각시킴으로, 솔라패널(20)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되어, 솔라패널(20)의 발전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지지통체(10)의 내부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상기 지지통체(1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바(15)가 구비되는 것은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솔라패널(20)의 하측면에 구비되며 전단부가 회동축(41a)에 의해 상기 솔라패널(20)의 전단부 하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하부지지판(41)과, 상기 솔라패널(20)과 하부지지판(41)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팽창 또는 축소에 따라 상기 솔라패널(20)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에어백(42)과, 상기 에어백(42)에 연결되어 에어백(42)에 공기를 공급하여 에어백(42)이 팽창되도록 하거나 에어백(42)에 공급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에어백(42)이 축소되도록 하는 팽창조절수단(43)과, 상기 회동축(41a)에 구비되어 상기 솔라패널(20)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측정센서(44)와, 상기 기울기측정센서(44)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팽창조절수단(4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5)이 더 구비된다.
상기 하부지지판(41)은 상기 지지바(15)의 상면에 올려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솔라패널(20)의 후단부가 상기 회동축(41a)을 중심으로 상하측으로 회동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에어백(42)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기구(42a)와 배기구(42b)가 형성된다.
상기 팽창조절수단(43)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기구(42a)와 배기구(42b)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45)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급기구(42a)와 배기구(42b)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 및 제2 개폐제어밸브(43a,43b)와, 상기 급기구(42a)에 연결되며 작동에 따라 상기 급기구(42a)를 통해 에어백(42)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펌프(43c)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 개폐제어밸브(43b)가 밀폐된 상태에서 제1 개폐제어밸브(43a)를 개방하고 상기 급기펌프(43c)를 작동시키면 상기 에어백(42)의 내부에 고압의 공기가 공급되어, 도 10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42)이 팽창되도록 한다.
반대로, 상기 제2 개폐제어밸브(43b)가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개폐제어밸브(43a)를 개방하면, 상기 에어백(42) 내부의 공기가 상기 배기구(42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에어백(42)이 축소된다.
상기 제어수단(45)은 계절의 변화에 따른 태양의 고도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즉, 태양은 여름철이 되면 고도가 높아지고, 겨울철이 되면 고도가 낮아지게 되는데, 이러한 계절에 따른, 태양의 고도데이터가 저장됨으로써, 제어수단(45)이 현재 태양의 고도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45)은 계절의 변화에 따라, 상기 기울기측정센서(44)의 신호를 피드백하면서 상기 팽창조절수단(43)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에어백(42)을 팽창 또는 축소시킴으로써, 도 9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솔라패널(20)이 태양을 향하도록 솔라패널(20)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수단(45)은 상기 솔라패널(20)의 상면이 상기 태양과 90°각도를 이루도록 솔라패널(20)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태양광발전기는 계절에 따라 솔라패널(20)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솔라패널(20)이 태양을 향하도록 조절함으로써, 솔라패널(20)의 발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솔라패널(20)은 에어백(42)의 팽창 또는 축소에 따라 기울기가 조절됨으로, 솔라패널(20)을 이동시킬 때는 상기 에어백(42)을 축소시킴으로써 솔라패널(20)이 상기 하부지지판(41)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음으로, 솔라패널(20)의 이동이 더욱 용이한 장점이 있다.
10. 지지통체 20. 솔라패널

Claims (9)

  1.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지지통체(10)와,
    상면에 다수개의 솔라셀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통체(10)에 지지되는 솔라패널(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체(10)는 측단면 형상이 상측으로 갈수록 내부의 폭이 넓어지는 마름모꼴로 구성되어,
    복수개의 지지통체(10)를 상호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도록 결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체(10)의 상단 내주면에는 상기 솔라패널(20)의 둘레면이 올려지는 걸림턱(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체(10)의 내부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상기 지지통체(1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바(15)가 구비되어,
    상기 솔라패널(20)을 상기 지지바(15)의 상면에 올려놓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체(10)의 상측 둘레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체(10)의 중간부에는 지게차의 아암이 삽입되는 결합공(14)이 양측면 또는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체(10)의 둘레면부에는 지지통체(10)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수구(13)가 형성되어,
    빗물이 상기 지지통체(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지지통체(1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상승될 경우, 물이 상기 배수구(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물의 수위가 상기 배수구(13)의 위치 이상으로 상승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기.
  8. 제 4항에 있어서,
    급수원에 연결된 급수관(31)과,
    상기 지지통체(10)의 내부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정되는 지지대(32)와,
    상기 지지에 구비되며 상기 급수관(31)이 연결되는 급수밸브(33)와,
    상기 솔라패널(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솔라패널(2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34)와,
    상기 솔라패널(2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통체(10)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여 상기 솔라패널(20)의 하측면으로 분사하여 솔라패널(20)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단(35)과,
    상기 온도측정센서(34)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솔라패널(2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냉각수단(35)을 작동시켜 상기 솔라패널(20)을 냉각시키도록 된 제어수단(36)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급수밸브(33)는 상기 지지통체(10)에 저장된 물의 상면으로 부상되는 플로터(33a)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통체(10)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급수관(3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정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기.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솔라패널(20)의 하측면에 구비되며 전단부가 회동축(41a)에 의해 상기 솔라패널(20)의 전단부 하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하부지지판(41)과,
    상기 솔라패널(20)과 하부지지판(41)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팽창 또는 축소에 따라 상기 솔라패널(20)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에어백(42)과,
    상기 에어백(42)에 연결되어 에어백(42)에 공기를 공급하여 에어백(42)이 팽창되도록 하거나 에어백(42)에 공급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에어백(42)이 축소되도록 하는 팽창조절수단(43)과,
    상기 회동축(41a)에 구비되어 상기 솔라패널(20)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측정센서(44)와,
    상기 기울기측정센서(44)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팽창조절수단(4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45)은 계절의 변화에 따른 태양의 고도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상기 기울기측정센서(44)의 신호를 피드백하면서 상기 팽창조절수단(43)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에어백(42)을 팽창 또는 축소시킴으로써, 상기 솔라패널(20)이 태양을 향하도록 솔라패널(20)의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기.
KR1020190075269A 2019-05-22 2019-06-24 태양광 발전기 KR202001351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60272 2019-05-22
KR1020190060272 2019-05-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101A true KR20200135101A (ko) 2020-12-02

Family

ID=73791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269A KR20200135101A (ko) 2019-05-22 2019-06-24 태양광 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510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243A (ko) 2018-12-24 2019-01-11 용 준 권 햇빛전구와 반사판을 이용하는 양면태양광모듈 발전기와 그 발전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243A (ko) 2018-12-24 2019-01-11 용 준 권 햇빛전구와 반사판을 이용하는 양면태양광모듈 발전기와 그 발전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1316B1 (ko)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KR101125589B1 (ko) 발전기능을 갖는 물탱크
US20110265873A1 (en) Photovoltaic power-generating apparatus
CN112202398A (zh) 一种自动清洁降温联动光伏跟踪装置及系统
CN102792102A (zh) 用于太阳能电池板的漂浮设备
KR102095782B1 (ko) 계절에 따라 자동으로 각도가 조절되는 태양광발전 장치
KR101974919B1 (ko) 원격제어 가능한 물순환장치
CN111030584A (zh) 一种用于光伏组件调节朝向的阵列支架
US20160201948A1 (en) Energy system
KR20200135101A (ko) 태양광 발전기
KR101531942B1 (ko) 요동방지체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발전소
JP6125048B2 (ja) 原子力発電所を冷却するための取水設備及びこのような設備を備える原子力発電所
KR102281578B1 (ko) 수상 태양광 패널 발전장치
KR101347914B1 (ko) 응축수 포집되는 수면 구조물
KR200286781Y1 (ko) 디퓨져의 위치 및 분사속도가 무동력으로 조절되는유동형 디퓨져를 갖는 온도 성층축열조
KR20140035592A (ko) 부유식 해상풍력발전기
KR101580600B1 (ko) 태양광 발전장치
CN209881705U (zh) 倾角可调节的光伏支架及泵式浮力缸
CN204100617U (zh) 太阳能集热器联动系统
KR101064748B1 (ko) 부양식 분수대
US20220231633A1 (en) Dynamic support structure for solar panels
KR20130087129A (ko) 부양식 풍력발전시설
KR101259694B1 (ko) 부양형 수력발전장치
KR102669430B1 (ko) 태양광패널 시공방법
CN214380780U (zh) 一种自动清洁降温联动光伏跟踪装置及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