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747A -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운영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운영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747A
KR20200134747A KR1020190060668A KR20190060668A KR20200134747A KR 20200134747 A KR20200134747 A KR 20200134747A KR 1020190060668 A KR1020190060668 A KR 1020190060668A KR 20190060668 A KR20190060668 A KR 20190060668A KR 20200134747 A KR20200134747 A KR 20200134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d
arrival
truck
time
yard tr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7188B1 (ko
Inventor
이상욱
Original Assignee
(주)토탈소프트뱅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탈소프트뱅크 filed Critical (주)토탈소프트뱅크
Priority to KR1020190060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188B1/ko
Publication of KR20200134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06Q10/08355Rout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야드트럭 풀에 대하여 서로 상이한 개별적인 배차 전략을 적용하여 작업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더욱 효율성을 기하기 위한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운영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A) 시스템 사용자로서의 야드 플래너(100)가, 터미널에 계획된 작업(양하, 적하 등)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1201); (B) 상기 야드 플래너(100)가, 야드트럭 운영계획에 따라 야드트럭 풀을 구성하고 시스템에 등록하는 단계(S1202); (C) 상기 야드 플래너(100)가,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다양한 배차전략을 수립 및 시스템에 등록하는 단계(S1203); (D) 상기 야드 플래너(100)가, 사용되는 작업 및 상황에 따라 각 야드트럭 풀에 적합한 배차전략을 매핑시키는 단계(S1204); (E) 야드트럭 배차모듈(290)이, 터미널 운영시스템의 야드트럭 배차모듈이 해당 야드트럭 풀에 설정된 배차전략 설정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하는 단계(S1205); (F) 상기 야드트럭 배차모듈(290)이, 데이터베이스(220)에서 조회된 배차전략 설정정보에 따라 해당 야드트럭 풀 내의 야드트럭들을 작업에 분배 및 배차하는 단계(S1206); 및 (G) 상기 야드 플래너(100)가, 사용자가 설정한 배차전략에 따라 시스템이 야드트럭을 배차한 결과를 조회 및 분석하여 이후 배차전략 설정 시 참고하는 단계(S120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운영 관리 방법{Controlling method for multiple dispatching strategies of a plurality of transportation equipments in container terminal}
본 발명은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운영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야드트럭 풀에 대하여 개별적인 배차 전략을 적용하여 작업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더욱 효율성을 기하기 위한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운영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만물류에 사용되는 컨테이너 터미널은 컨테이너에 대한 하역 및 적재, 컨테이너의 보관, 외부의 컨테이너 반출입 등의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컨테이너 터미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이 정박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안벽 크레인(Quay crane: QC)들이 배치되고, 양하 및 적하될 컨테이너들이 적재된 야드 블록(Yard block: yb)에 복수개의 야드 크레인(Yard Crand: YC)들이 배치되되, 선박에서의 컨테이너 양하 및 적하 작업은 안벽 크레인(QC)에 의해 수행되고, 야드 블록(yb)에서 컨테이너를 취급하는 작업은 야드 크레인(YC)에 의해 수행되어 야드트럭(Yard truck: YT)을 통해 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컨테이너 터미널에서는 컨테이너에 대한 관리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터미널 운영 시스템(Terminal Operating System: TOS)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컨테이너 터미널 내의 터미널 운영시스템은 터미널로 반입예정인 선박으로부터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를 받고, 모든 컨테이너가 정확한 시간에 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컨테이너 하역 장비와 운반 장비의 본선작업 계획을 수립하고 개별 하역 장비에 작업 지시를 전달하는 등의 컨테이너의 작업흐름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일예로서, 제1 종래기술에 따른 컨테이너의 양하 및 적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 시스템의 제어방법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91123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제1 종래기술에 따른 터미널 운영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역하여 HSS(High Stacking System) 내부 셀에 저장하는 경우(S100)에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당 컨테이너를 고단적재 시스템의 대차에 이송하고(S101), 대상 컨테이너를 고단적재 시스템의 승강기에 이송한 후(103), 셀 구조에 따른 작업규칙에 기초하여 대상 컨테이너를 저장(S105)하는 한편, HSS 내부 셀에 저장된 컨테이너를 회수하는 경우(S111)에는, HSS 내부 셀 구조에 따른 작업 규칙에 기초하여 대상 컨테이너를 회수하고(S112), HSS 내부의 셀 구조에 따라 재작업이 필요한 경우(S113)에는 해당 작업 규칙에 기초하여 특정 컨테이너를 재작업한 후(S115), 대상 컨테이너를 회수하여 HSS 외부로 이송하는 단계(S117)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1 종래기술은 컨테이너 터미널을 통해 반입/반출되는 컨테이너에 대한 취급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고단적재 시스템을 이용하여 지정된 구간에서 컨테이너를 하역, 적재 및 이송하기 위한 고단적재형 싱글 사이클링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즉, 상술한 제1 종래기술은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이용되는 복수개의 안벽 크레인(QC), 야드 크레인(YC) 및 야드트럭(YT)에 대하여 동시에 양적하 작업을 수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양적하 작업의 비율이 특정 크레인에 집중되지 않도록 하는 본선작업 계획을 최적으로 산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전혀 제시하고 있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의 제1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2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79826호 (컨테이너 터미널 내 복수 장비의 작업흐름 관리방법) 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제2 종래기술의 방법은, 본선작업 계획을 통하여, 컨테이너 터미널 내에 배치된 안벽 크레인(QC), 야드 크레인(YC) 및 야드트럭(YT)와 같은 복수개의 장비에 대하여 동시에 양적하 작업을 수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양적하 작업의 비율이 특정 장비에 집중되지 않도록 하여, 야드트럭의 공차 주행거리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사용률을 최대화할 수 있는 더블 사이클링 발생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의 모선에 대한 각각의 안벽 크레인의 양하 및 적하에 관한 본선작업 계획을 실행, 비교 및 평가할 수 있는 컨테이너 터미널 내 복수 장비의 작업흐름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2 종래기술은 복수의 선박에 대한 본선작업 계획의 비교 및 평가를 위해, 각 모선별 본선작업 계획 프로그램의 설계 담당자가 수립한 작업계획 정보를 한 화면에서, 모니터링 및 대상후보 조회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컨테이너 터미널 내의 복수 장비에 대하여 더블 사이클링의 발생 확률을 높일 수 있는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운영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2 종래기술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좀 더 상술한다.
상기 제2 종래기술에서의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에 필요한 본선작업 계획 및 야드운용 계획 수립, 터미널 내 양하 및 적하와 관련된 안벽 크레인(QC), 야드 크레인(YC) 및 야드트럭(YT)에 대한 운영 계획을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작업흐름에 따라 수행되도록 하는 단말기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부(210), 데이터베이스(220, DB), 입력부(230), 본선작업 계획 프로그램(240), 신호전송부(250), 디스플레이부(260) 및 제어부(27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부(210)는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개의 선박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시 요구되는 다수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이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20, DB)는 복수개의 선박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양하 및 적하에 따른 접안 위치, 컨테이너의 종류와 속성, 작업 예정시간 정보 및 사용자를 통해 설계되는 본선작업 계획 프로그램을 저장할 뿐만 아니라 상기 터미널 운영서버(200)를 운영하기 위한 OS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입력부(230)는 사용자를 통해 수립되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본선작업 계획에 따른 소스코드 및 작업흐름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컨테이너의 양하 및 적하에 따른 정보를 조회 및 선택하기 위한 키보드, 마우스 및 터치패드와 같은 수단이다.
상기 본선작업 계획 프로그램(240)은 선박의 정박 시간 및 위치에 따라 양적하 작업에 투입할 안벽 크레인(QC), 야드 크레인(YC) 및 야드트럭(YT)의 대수를 결정하고, 각 크레인 및 야드트럭 별로 양적하 계획을 작성한 후, 작업할 컨테이너의 순서정보를 미리 결정하여, 야드트럭의 공차 주행거리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사용률을 최대화할 수 있는 더블 사이클링 발생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들로 구성된 프로그램이다.
상기 신호전송부(250)는 터미널 운영서버(200)의 본선작업 계획 프로그램(240)에 따라 컨테이너 터미널 내에 구비되는 안벽 크레인(QC), 야드 크레인(YC) 및 야드트럭(YT)과 같은 복수개의 장비들을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각각의 장비에 전송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60)는 본선작업 계획 프로그램(240)의 구동에 따라 제공되는 차트 및 그래프를 출력함과 동시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부(210)의 조작에 따른 작업흐름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CRT, PDP 및 LCD 모니터와 같은 수단이다.
상기 제어부(270)는 인터페이스부(210), 데이터베이스(220, DB), 입력부(230), 본선작업 계획 프로그램(240), 신호전송부(250) 및 디스플레이부(260)를 제어하여, 컨테이너 터미널 운용에 필요한 각종 장비들에 대한 본선작업 계획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CPU(Centrul processing unit)이다.
한편, 상술한 본선작업 계획 프로그램(2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선접안 계획 조회모듈(240a), 안벽 크레인(QC) 정보 수집모듈(240b), 정렬 모듈(240c), 스케쥴 박스 생성모듈(240d), 모선정보 검색 및 선택모듈(240e), 작업목록 생성모듈(240f), 작업시간 산정모듈(240g), 양적하 물량 계산모듈(240h), 안벽 크레인(QC) 스케쥴 화면 생성모듈(240i), 더블 사이클링 예상비율 계산모듈(240j)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선접안 계획 조회모듈(240a)은 복수개의 선박 단말기로부터 전달되어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양적하에 따른 접안 위치, 컨테이너 종류와 속성 및 작업 예정시간 정보 등을 포함하는 모선 접안계획을 사용자가 조회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기 안벽 크레인(QC) 정보 수집모듈(240b)은 모선 접안계획에 따라 각 선박에 할당된 안벽 크레인의 개수 정보 또는 유휴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기 정렬 모듈(240c)은 접안 선박의 예상 접안시간에 따라 안벽 크레인을 정렬하거나, 접안 선박에 따른 접안위치를 정렬하거나, 모선 별 양적하 작업시간에 따른 작업시작 시점을 정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기 스케쥴 박스 생성모듈(240d)은 상기 정렬 모듈(240)의 수행에 따라 모선 접안계획에 대응하는 시간 및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여 양적하 작업흐름에 대한 스케쥴 박스를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기 모선정보 검색 및 선택모듈(240e)은, 상기 스케쥴 박스 생성모듈(240d)의 구동에 따라 생성된 스케쥴 박스에 형성된 접안계획 조회화면을 통해서 복수개의 모선정보를 검색하고, 인접한 두 개 이상의 비교대상 모선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어서, 상기 작업목록 생성모듈(240f)은 상기 모선정보 검색 및 선택모듈(240e)의 구동에 따라 선택된 비교대상 모선정보에 따른 작업흐름 순서대로 작업 목록을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기 작업시간 산정모듈(240g)은 컨테이너의 속성 및 안벽 크레인의 생산성 등의 조합을 통해 각 컨테이너의 양하 및 적하에 따른 작업시간을 계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기 양적하 물량 계산모듈(240h)은 각 모선의 컨테이너에 대하여 안벽 크레인 및 야드트럭에 할당되는 양적하 물량을 시간 단위로 계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기 안벽 크레인(QC) 스케쥴 화면 생성모듈(240i)은 컨테이너에 대하여 할당된 안벽 크레인의 작업 스케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기 더블 사이클링 예상비율 계산모듈(240j)은 동일 시간대별로 컨테이너의 양적하 비율을 계산하고 더블 사이클링 발생비율을 그래프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본선작업 계획 프로그램(240)을 구동시켜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통하여, 각 크레인 및 야드트럭 별로의 양적하 계획을 작성한 후, 양적하 작업에 투입할 안벽 크레인(QC), 야드 크레인(YC) 및 야드트럭(YT)의 대수를 결정하고, 작업할 컨테이너의 순서 및 시간정보를 미리 결정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드트럭의 공차 주행거리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사용률을 최대화할 수 있는 더블 사이클링 발생 확률을 최대한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선박 중의 적어도 하나의 선박에는 두 개 이상의 안벽 크레인(QC)이 할당되어, 각 시간대의 총 3개 이상의 안벽 크레인(QC)의 작업과 그에 대응하는 더블 사이클링 발생비율이 하나의 스케쥴 박스에 시간대 별로 정렬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하, 상술한 제2 종래기술의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는 컨테이너 터미널 내 복수 장비의 작업흐름 관리방법을 상술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2 종래기술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 내 복수 장비의 작업흐름 관리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7은 제2 종래기술에 적용되는 본선작업 계획 프로그램의 설계를 위한 서브루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선박의 접안 위치, 컨테이너 종류와 속성 및 작업 예정시간 정보 등을 포함하는 컨테이너의 양적하 작업 정보를 선사측 및 복수개의 선박에 구비된 선박 단말기로부터 수신한다(S310).
다음에,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상기 S310 단계에서 수신된 복수개의 양적하 작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한다(S320).
그 다음,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상기 S310 단계 및 S320 단계를 통해 복수개의 선박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컨테이너의 양적하 작업 정보들을 기반으로 하여 본선작업 계획 프로그램(240)을 설계한 후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한다(S330).
이때, 상기 S330 단계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서브루틴에 따라 본선작업 계획 프로그램을 설계하되, 후술하는 각각의 S3301 단계 내지 S3310 단계는 순서에 상관없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우선, 상기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모선접안 계획 조회모듈(240a)을 통해 복수개의 선박 단말기로부터 전달되어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양적하 작업 정보에 따라 모선 접안위치, 컨테이너 종류와 속성 및 작업 예정시간 정보 등을 포함하는 모선 접안계획을 사용자가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S3301).
다음에, 상기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안벽 크레인(QC) 정보 수집모듈(240b)을 통해 상기 S3301 단계에서 조회된 모선 접안계획에 따라 각 선박에 할당된 안벽 크레인의 개수 정보 또는 유휴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S3302).
그 다음, 상기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정렬 모듈(240c)을 통해 접안 선박의 예상 접안시간에 따라 안벽 크레인을 정렬하고, 접안 선박에 따른 접안위치를 정렬하며, 각 모선 별 양적하 작업시간에 따른 작업시작 시점을 정렬할 수 있도록 한다(S3303).
이후, 상기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스케쥴 박스 생성모듈(240d)을 통해 상기 S3303 단계의 수행에 따라 모선 접안계획에 대응하는 시간 및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여 양적하 작업흐름에 대한 스케쥴 박스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S3304).
다음에, 상기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모선정보 검색 및 선택모듈(240e)을 통해 상기 S3304 단계에서 생성된 스케쥴 박스에 형성된 접안계획 조회화면을 통해서 복수개의 모선정보를 검색하고, 인접한 두 개 이상의 비교대상 모선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S3305).
그 다음, 상기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작업목록 생성모듈(240f)을 통해 상기 S3305 단계에서 선택된 비교대상 모선정보에 따른 작업흐름 순서대로 작업 목록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S3306).
이후, 상기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작업시간 산정모듈(240g)을 통해 컨테이너의 속성 및 안벽 크레인의 생산성 등의 조합을 통해 각 컨테이너의 양하 및 적하에 따른 작업시간을 계산할 수 있도록 한다(S3307).
다음에, 상기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양적하 물량 계산모듈(240h)을 통해 각 모선의 컨테이너에 대하여 안벽 크레인 및 야드트럭에 할당되는 양적하 물량을 시간 단위로 계산할 수 있도록 한다(S3308).
그 다음, 상기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안벽 크레인(QC) 스케쥴 화면 생성모듈(240i)을 통해 각 컨테이너에 대하여 할당된 안벽 크레인의 작업 스케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S3309).
그리고, 상기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더블 사이클링 예상비율 계산모듈(240j)을 통해 동일 시간대별로 컨테이너의 양적하 비율을 계산하고 더블 사이클링 발생비율을 그래프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S3310).
한편, 상기 S330 단계 이후,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상기 S330 단계를 통해 설계된 본선작업 계획 프로그램(240)을 통해 양적하 본선작업 계획 대상의 모선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모선의 양적하 작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조회한다(S340).
다음에,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본선작업 계획 프로그램(240)을 통해 복수개의 모선에 대한 양적하 작업 계획을 수립하고, 수립된 결과를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한다(S350).
그 다음,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양적하 작업 계획이 수립된 복수개의 선박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60)를 통해 표시하고, 관리자에 의한 입력부(210)의 조작에 따라 양적하 작업 계획을 수립할 복수개의 비교대상 선박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한다(S360).
이후,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상기 S360 단계를 통해 선택된 비교대상 선박에 대한 양적하 작업 계획을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조회한다(S370).
그 다음,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본선작업 계획 프로그램(240)을 통해 선택된 비교대상 선박에 대한 시간대별 본선작업 계획정보, 양하 및 적하 물량비율 및 더블 사이클링 발생가능 예상비율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6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S380).
이와 동시에,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상기 S380 단계에서 선택된 비교대상 선박에 대한 더블 사이클링 발생가능 예상비율 정보를 신호전송부(250)를 통해 양적하 작업 계획에 따라 양적하 작업에 투입될 안벽 크레인(QC), 야드 크레인(YC) 및 야드트럭(YT)에 각각 전송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할 컨테이너의 양적하 순서정보에 따라 야드트럭의 공차 주행거리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사용률을 최대화할 수 있는 더블 사이클링 발생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S390).
이러한 상기 제2 종래기술에 의하면, 본선작업 계획을 통하여, 컨테이너 터미널 내에 배치된 복수개의 안벽 크레인(QC), 야드 크레인(YC) 및 야드트럭(YT)에 대하여 동시에 양적하 작업을 수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양적하 작업의 비율이 특정 장비에 집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야드트럭의 공차 주행거리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사용률을 최대화할 수 있는 더블 사이클링 발생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아울러, 각 모선 별 계획담당자가 본선작업 계획을 수립하고, 타 모선의 본선계획과 비교한 후, 조정 가능한 대상을 쉽게 검색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모선 별 본선작업 계획 시점에 복수 모선에서 인접 안벽 크레인의 양하 및 적하 작업이 동일 시간대에 존재하도록 하여 더블 사이클링의 발생을 높일 수 있는 상황을 본선계획 시점에 고려하여 설계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모선에 대하여 양적하 작업이 동시에 수행되되, 각 모선에서도 다수개의 안벽크레인에 의해 양하작업과 적하작업이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 항만 구조로 인하여 야드트럭의 운용에는 더욱 복잡한 배차시스템에 필요한바, 이 경우에는 안벽크레인들과 야드트럭들을 조로 나누어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들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조(pool A)에 배정된 제1 안벽 크레인(QC1), 제2 안벽 크레인(QC2) 및 제3 안벽 크레인(QC3)에 대하여 제1 야드트럭(YT1) 내지 제6 야드트럭(YT6)을 배차하고, B조(pool B)에 배정된 제4 안벽 크레인(QC4) 및 제5 안벽 크레인(QC5)에 대하여 제7 야드트럭(YT7) 내지 제10 야드트럭(YT10)을 배차하여, 선박의 컨테이너에 대한 양적하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안벽 크레인(QC) 및 야드트럭(YT)에 대한 일반적인 조별 배정은, 안벽 크레인(QC)의 작업량 및 작업시간에 따른 야드트럭(YT)의 배차 지연 등으로 인하여, 각 안벽 크레인(QC)과 야드트럭(YT) 사이에서 작업 대기 또는 작업 지연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컨테이너의 양적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 터미널 내에서 이용되는 장비들 중에, 특히 안벽 크레인(QC) 및 야드트럭(YT)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양적하 계획에 대한 시스템 개발이 필수적인바, 이를,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제3 종래기술로서 설명한다.
즉, 상기 제3 종래기술은, 컨테이너 터미널 내에서 컨테이너의 양적하 작업에 이용되는 소정의 안벽 크레인(QC) 및 야드트럭(YT)의 작업을 중복으로 배정하여, 컨테이너의 양적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의 중복 배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 컨테이너 터미널 내에 복수개 배정된 안벽 크레인(QC)에 대한 야드트럭(YT)의 배차를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소정의 안벽 크레인(QC)에 배차되는 야드트럭(YT)을 상호 지정하고, 개별 안벽 크레인(QC)의 양적하 작업 속도에 따라 소정의 야드트럭(YT)이 필요한 장소 및 시간에 배차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8은 상기 제3 종래기술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의 중복 배정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는 작업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A조(pool A)에 복수개의 안벽 크레인(QC) 및 복수개의 야드트럭(YT)이 배정되어 있고, B조(pool B)에 복수개의 안벽 크레인(QC) 및 복수개의 야드트럭(YT)이 배정되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A조(pool A)의 제3 안벽 크레인(QC3)이 작업 대기중이면, 사용자는 제3 안벽 크레인(QC3) 측 단말기를 통해 작업 대기 정보를 장비 운영서버(200)에 전송한다.
그러면, 장비 운영서버(200)는 제3 안벽 크레인(QC3) 측 단말기를 통해 수신한 작업 대기 정보에 따라 양적하 계획을 수정함과 동시에, 상기 제3 안벽 크레인(QC3) 측 단말기에 B조(pool B)에서 중복으로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제3 안벽 크레인(QC3)이 A조(pool A) 및 B조(pool B)에서 중복으로 배정되어 작업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A조(pool A) 및 B조(pool B)에 배차된 야드트럭(YT)도 상기 제3 안벽 크레인(QC3)에 대하여 중복으로 배차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A조(pool A) 및 B조(pool B)에 중복 배정된 제3 안벽 크레인(QC3)에 대한 양적하 계획 정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작업 대기 중인 제3 안벽 크레인(QC3)을 중복으로 배정함으로써, A조(pool A)에 배정된 제1 안벽 크레인(QC1) 및 제2 안벽 크레인(QC2)에 대해서는 제1 야드트럭(YT1) 내지 제6 야드트럭(YT6)이 배차되게 하고, B조(pool B)에 배정된 제4 안벽 크레인(QC4) 및 제5 안벽 크레인(QC5)에 대해서는 제7 야드트럭(YT7) 내지 제10 야드트럭(YT10)이 배차되게 하며, 중복 배정된 제3 안벽 크레인(QC3)에 대해서는 제1 야드트럭(YT1) 내지 제10 야드트럭(YT10)이 모두 배차되게 할 수 있다.
이상의 종래기술들은 나름대로 특징을 갖고 있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 종래기술 내지 제3 종래기술 공히, 배차 전략을 세울 때에, 모든 야드트럭 풀에 대하여 전역 설정의 배차 전략을 포괄적으로 적용하여 배차트럭 배차에 운용하므로 (도 10 참조), 어떤 야드트럭 풀에 대해서는 적합하지만, 다른 야드트럭 풀에 대해서는 적합하지 않는 경우가 생기며, 또한 일률적인 기준을 적용하여 배차기준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게 되는 경우, 현실적으로 맞지 않는 평가가 될 수 있어 효율적이지 못할 수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91123호(명칭 : 고단적재 시스템을 이용한 컨테이너터미널 시스템의 제어방법)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79826호(명칭 : 컨테이너 터미널 내 복수 장비의 작업흐름 관리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4-0184256호(명칭 :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의 중복 배정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각 야드트럭 풀에 대하여 서로 상이한 개별적인 배차 전략을 적용하여 작업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더욱 효율성을 기하기 위한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운영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은 그러한 운영 관리 방법에 의한 평가방법을 도입함으로써, 실제로 더욱 효율성을 기하는 작업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운영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의 목적 및 다른 추가적인 목적들이, 첨부되는 청구항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들에게 명백히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운영 관리 방법은, (A) 시스템 사용자로서의 야드 플래너(100)가, 터미널에 계획된 작업(양하, 적하 등)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1201); (B) 상기 야드 플래너(100)가, 야드트럭 운영계획에 따라 야드트럭 풀을 구성하고 시스템에 등록하는 단계(S1202); (C) 상기 야드 플래너(100)가,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다양한 배차전략을 수립 및 시스템에 등록하는 단계(S1203); (D) 상기 야드 플래너(100)가, 사용되는 작업 및 상황에 따라 각 야드트럭 풀에 적합한 배차전략을 매핑시키는 단계(S1204); (E) 야드트럭 배차모듈(290)이, 터미널 운영시스템의 야드트럭 배차모듈이 해당 야드트럭 풀에 설정된 배차전략 설정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하는 단계(S1205); (F) 상기 야드트럭 배차모듈(290)이, 데이터베이스(220)에서 조회된 배차전략 설정정보에 따라 해당 야드트럭 풀 내의 야드트럭들을 작업에 분배 및 배차하는 단계(S1206); 및 (G) 상기 야드 플래너(100)가, 사용자가 설정한 배차전략에 따라 시스템이 야드트럭을 배차한 결과를 조회 및 분석하여 이후 배차전략 설정 시 참고하는 단계(S120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G) 단계에서의 배차 결과 분석은, (G1) 도착요구시각(RTArrival)에서 예상 도착시각(ETArrival)을 감산한 예상도착지연시간 (ETL = RTArrival - ETArrival) 을 계산하는 단계(S1401)와, (G2) 상기 예상도착지연시간(ETL) 이 0 이하인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S1402)와, (G3) 상기 (G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0 이하이면 (야드트럭이 예상시각보다 늦게 도착하였다고 판단되면), 다시 도착지연 허용시간(ATL)이 양이고 예상 도착지연시간(ETL)이 상기 도착지연 허용시간(ATL) 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단계(S1403)와, (G4) 상기 (G3)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Yes'이면, 도착지연에 대한 평가벌점(PS)을 제로(=0)로 설정하는 단계와(S1404), (G5) 상기 (G3) 단계의 판단 결과, 'No'이면, 예상도착지연시간(ETL)이 기 설정된 긴급작업 판단 기준의 임계값(TTH)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5)와, (G6) 상기 (G5) 단계의 판단 결과, 예상도착지연시간(ETL)이 기 설정된 긴급작업 판단 기준의 임계값(TTH) 보다 크면, 도착지연에 대한 평가벌점(PS)을 예상도착지연시간(ETL)과 도착지연에 대한 긴급 중요도(WH)의 곱으로 설정하는 단계(S1406)와, (G7) 상기 (G5) 단계의 판단 결과, 예상도착지연시간(ETL)이 기 설정된 긴급작업 판단 기준의 임계값(TTH) 보다 크지 않으면, 도착지연에 대한 평가벌점(PS)을 예상도착지연시간(ETL)과 도착지연에 대한 일반 중요도(WN)의 곱으로 설정하는 단계(S1407)와, (G8) 상기 (G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0 초과이면 (야드트럭이 예상시각보다 일찍 도착하였다고 판단되면), 다시 도착대기 허용시간(ATE)이 양이고 예상 도착지연시간(ETL)이 상기 도착대기 허용시간(ATE) 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단계(S1408)와, (G9) 상기 (G8) 단계의 판단 결과, 'Yes'이면, 역시 도착지연에 대한 평가벌점(PS)을 제로(=0)로 설정하는 단계(S1409)를 포함하며, 상기 (G3) 단계의 판단 결과, 'No'이면, 상기 (G5) 단계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G) 단계에서의 배차 결과 분석은, (G11) 예상 공차이동시간(ETTravel)이 트럭이동 허용시간(ATTravel)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501)와, (G12) 상기 (G11) 단계의 판단 결과, 'Yes'이면, 공차이동거리에 대한 평가벌점(PD)을 제로(=0)로 설정하는 단계(S1502)와, (G13) 상기 (G11) 단계의 판단 결과, 'No'이면, 공차이동거리에 대한 평가벌점(PD)은 예상 공차이동시간(ETTravel)으로 설정하는 단계(S1503) 를 더 포함하며, 평가결과의 총 벌점(PT)은, 도착지연에 대한 평가벌점(PS)에 그에 대한 가중치(RS)를 곱한 값과 공차이동거리에 대한 평가벌점(PD)에 그에 대한 가중치(RD)를 곱한 값의 합으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운영 관리 방법에 따르면, 각 야드트럭 풀에 대하여 서로 상이한 개별적인 배차 전략을 적용하여 작업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더욱 효율성을 기하기 위한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운영 관리가 가능하다.
아울러, 그러한 운영 관리 방법에 의한 평가방법을 도입함으로써, 실제로 더욱 현실성을 반영한 평가도 가능하여지고, 역시 더욱 현실적으로 효율성을 기하는 작업 계획을 수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들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히 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컨테이너 터미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제1 종래기술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제2 종래기술에 적용되는 터미널 운영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제2 종래기술에 적용되는 본선작업 계획 프로그램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제2 종래기술에 적용되는 본선작업 계획 프로그램의 결과에 따라 수행되는 더블 사이클링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제2 종래기술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 내 복수 장비의 작업흐름 관리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제2 종래기술에 적용되는 본선작업 계획 프로그램의 설계를 위한 서브루틴 순서도.
도 8은 제3 종래기술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의 중복 배정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는 작업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제3 종래기술에 따라 중복 배정된 안벽 크레인(QC)에 대한 야드트럭(YT)의 배차 조정 결과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종래의 모든 야드트럭 풀에 대하여 일률적인 배차 전략을 적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각 야드트럭 풀에 대하여 개별적인 배차 전략을 적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운영 관리 방법의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배차 전략 매칭화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배차 전략 템플릿 등록화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다원화된 배차 전략에 따라 설정된 조합의 평가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다원화된 배차 전략에 따라 설정된 조합의 가중치를 고려한 평가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7은 평가 결과 조회 화면의 일 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운영 관리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도면들 중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며,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후술하는 실시예 및 실시 형태들은 예시로서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여기에 주어진 상세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및 동등물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로 변경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컨테이너 터미널에서의 각종 장비의 기본 개념 및 용어에 대하여 약술한다.
터미널 운영 시스템 (Terminal Operation System)은,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에 필요한 본선작업 및 야드운용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고, 터미널 내 하역장비 및 이송장비의 단말기 입력을 통한 작업처리결과를 관리하며, 작업스케줄링 및 장비 배정(배차)과 작업진행상황 실시간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안벽크레인(Quay Crane)은, 선박에 컨테이너를 싣고 내리는 하역장비이다.
야드트럭(Yard Truck)은, 터미널 내부에서 하역장비와의 상/하차 작업을 통해 컨테이너 이송을 담당하는 운송장비로서, 공차상태에서 이동 후 컨테이너를 상차한 후 이동 및 하차하여 다시 공차상태로 되는데 까지가 하나의 작업 사이클이다.
야드트럭 풀(Yard Truck Pool)은, Resource Pool과 유사한 의미로서, N대의 야드트럭으로 구성된 장비 그룹이다.
공차이동거리는, 현재 위치(또는 마지막 이송작업의 완료위치)에서 상차작업을 위해 대상 컨테이너의 위치까지 야드트럭이 이동해야 하는 거리이다.
도착요구시각은, 지시된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야드트럭의 도착(상차위치)이 요구되는 기준 시각이다.
양하(Discharging)란, 선박에 실려있는 컨테이너를 내려서 야드에 장치하는 작업이고, 적하(Loading)한, 야드에 장치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선박에 싣는 작업을 일컫는다.
리마샬링(Remarshalling)이란, 공간확보 및 선박작업 사전준비를 위해 야드에 장치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야드내 다른 위치로 옮기는 작업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의 야드트럭 배차 최적화를 위한 평가 기준으로는, 공차이동거리 최소화 또는 도착지연(또는 대기)시각 최소화가 있는데, 이 2가지 기준 인자를 사용자 설정에 따라 혼합하여 동시에 고려하고자 한다.
아울러, 위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평가기준에 의해, 시스템이 야드트럭을 배차한 결과를 사용자가 조회 및 분석할 수 있도록 하여 이후 평가기준 설정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 내 복수 장비의 작업흐름 관리방법의 기본 개념 및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을,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종래의 모든 야드트럭 풀에 대하여 일률적인 배차 전략을 적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각 야드트럭 풀에 대하여 개별적인 배차 전략을 적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운영 관리 방법을 위한 시스템이 간략히 도시되어 있다.
먼저, 기존에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야드트럭 배차를 위한 평가 전략이 전역설정으로 관리되고 있어, '야드트럭 풀1' 및 '야드트럭 풀2'와 같은 모든 야드트럭 풀에 전역설정의 배차전략이 포괄적으로 적용됨으로써, 각 야드트럭 풀의 상황에 맞게 다양한 배차전략을 수립하여 개별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 11 좌측의 '야드트럭 풀1'의 경우에는 공차이동거리를 최소화하는 '배차전략 설정1'을 채택하고, 도 11 우측의 '야드트럭 풀2'의 경우에는 서비스지연을 최소화하는 '배차전략 설정2'를 채택하는 것과 같이, 각 야드트럭 풀의 작업계획 및 상황에 맞게 다른 배차전략을 개별적으로 적용하여 야드트럭 배차 운용을 함으로서, 효율적인 배차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다양한 배차전략을 설정할 수 있고, 복수개의 야드트럭 풀을 대상으로 각각 개별적인 배차전략을 적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터미널 운영을 위한 야드트럭 풀이 구성 및 등록되어 있어야 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배차 전략을 수립하고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을 시스템이 제공하여야 하는바,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전에 등록된 배차 전략 중 하나를 선택하여 각 야드트럭 풀에 매핑할 수 있어야 하며,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설정된 배차 전략에 의해 시스템이 야드트럭을 배차한 결과를 조회 및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이제,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 터미널 내에는 컨테이너 또는 화물 취급에 대한 생산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TOS(Terminal Operating System)(200)가 있고, TOS의 서브 시스템 중 야드트럭 배차시스템(290)은, 데이터베이스(220)를 참조하여, 야드 플래너(100)와 같은 시스템 사용자로부터의 작업 지시에 따라, 실시간 상황 및 계획, 예측정보를 기반으로 한 작업 스케줄링을 통해 배차 프로세스를 최적화하는바, 각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자의 요구사항이나 컨테이너 터미널의 작업 계획 및 실시간 작업 상황에 따라 야드트럭의 배차 전략을 다양하게 고려하여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운영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운영 관리 방법을 상술한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시, 도 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운영 관리 방법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배차 전략 매칭화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배차 전략 템플릿 등록화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다원화된 배차 전략에 따라 설정된 조합의 평가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다원화된 배차 전략에 따라 설정된 조합의 가중치를 고려한 평가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며, 도 17은 평가 결과 조회 화면의 일 예이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A) 시스템 사용자로서의 야드 플래너(100)가, 터미널에 계획된 작업(양하, 적하 등) 정보를 확인하고(S1201), (B) 야드트럭 운영계획에 따라 야드트럭 풀을 구성하고 시스템에 등록하며(S1202), (C)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다양한 배차전략을 수립 및 시스템에 등록하게 된다(S1203).
계속해서, 상기 야드 플래너(100)가, 사용되는 작업 및 상황에 따라 각 야드트럭 풀에 적합한 배차전략을 매핑시키게 되면(S1204), (E) 야드트럭 배차모듈(290)이, 터미널 운영시스템의 야드트럭 배차모듈이 해당 야드트럭 풀에 설정된 배차전략 설정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하여(S1205), (F) 데이터베이스(220)에서 조회된 배차전략 설정정보에 따라 해당 야드트럭 풀 내의 야드트럭들을 작업에 분배 및 배차하게 된다(S1206).
마지막으로, (G) 상기 야드 플래너(100)가, 사용자가 설정한 배차전략에 따라 시스템이 야드트럭을 배차한 결과를 조회 및 분석하여, 피드백 및 후속조치를 취하게 되는바, 이후 배차전략 설정 시 참고하게 된다(S1207).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배차 전략 매칭화면인바, 야드트럭 풀 리스트를 조회한 화면(1310)에서, 배차전략을 위해 등록된 배차전략 템플릿 리스트에서 특정 풀을 선택하여 개별적으로 설정하는 하는 매핑화면(1320)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 13의 매핑화면에서는, 야드트럭 풀 구성 및 배차전략 관리를 위해, 등록된 배차전략 템플릿 리스트 중에서 각 야드트럭 풀에 적용할 배차전략을 선택하여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한편,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배차 전략 템플릿 등록화면인바, 사용자가 각 인자의 설정값을 조정하여 원하는 배차전략을 등록하고, 배차전략 항목을 템플릿 형태로 등록 및 관리하는바, 복수개의 배차 전략 등록 및 관리를 위해 야드트럭 배차 알고리즘에서 고려되는 각 항목들을 원하는 배차전략에 맞게 설정하여 등록 및 관리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이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정된 배차전략에 따라 조합의 평가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배차전략 설정값과 관련된 각종 파라미터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RS : 도착 지연(또는 대기)에 대한 가중치 (0.0~1.0)
RD : 공차이동거리에 대한 가중치 (0.0~1.0)
이때, RS + RD = 1.0 이다.
WN : 도착지연(또는 대기)에 대한 일반 중요도 (1~5)
WH : 도착지연(또는 대기)에 대한 긴급 중요도 (1~5)
TTH : 긴급작업 판단 기준의 임계값 (초)
ATL : 도착지연 허용시간 (초)
ATE : 도착대기 허용시간 (초)
ATTravel : 트럭이동 허용시간 (초)
RTArrival : 도착(서비스)요구시각
ETTravel : 예상 공차이동시간
ETArrival : 예상 도착시각
ETL : 예상 도착지연 시간
PS : 도착지연에 대한 평가결과(벌점)
PD : 공차이동거리에 대한 평가결과(벌점)
PT : 평가결과(벌점) 총합
먼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다원화된 배차 전략에 따라 설정된 조합의 평가방법을 설명한다.
도착요구시각(RTArrival)에서 예상 도착시각(ETArrival)을 감산한 예상도착지연시간 ETL (= RTArrival - ETArrival) 을 계산하여(S1401), ETL 이 0 이하인가 여부를 체크하고(S1402), 0 이하이면 (야드트럭이 예상시각보다 늦게 도착하였다고 판단되면), 다시 도착지연 허용시간(ATL)이 양이고 예상 도착지연시간(ETL)이 상기 도착지연 허용시간(ATL) 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403). S1403 단계의 판단 결과, 'Yes'이면, 도착지연에 대한 평가벌점(PS)은 제로(=0)이다(S1404).
반면, S1403 단계의 판단 결과, 'No'이면, 예상도착지연시간(ETL)이 기 설정된 긴급작업 판단 기준의 임계값(TTH)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여(S1405), 크면 도착지연에 대한 평가벌점(PS)을 예상도착지연시간(ETL)과 도착지연에 대한 긴급 중요도(WH)의 곱으로 설정하고(S1406), 그렇지 않으면 도착지연에 대한 평가벌점(PS)을 예상도착지연시간(ETL)과 도착지연에 대한 일반 중요도(WN)의 곱으로 설정한다(S1407).
다른 한편, S1402 단계의 판단 결과, 'No'이면 (야드트럭이 예상시각보다 일찍 도착하였다고 판단되면), 다시 도착대기 허용시간(ATE)이 양이고 예상 도착지연시간(ETL)이 상기 도착대기 허용시간(ATE) 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408). S1408 단계의 판단 결과, 'Yes'이면, 역시 도착지연에 대한 평가벌점(PS)은 제로(=0)이다(S1409).
반면, S1408 단계의 판단 결과, 'No'이면, 상술한 S1405 내지 S1407 단계와 마찬가지로, 예상도착지연시간(ETL)이 기 설정된 긴급작업 판단 기준의 임계값(TTH)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여(S1405), 크면 도착지연에 대한 평가벌점(PS)을 예상도착지연시간(ETL)과 도착지연에 대한 긴급 중요도(WH)의 곱으로 설정하고(S1406), 그렇지 않으면 도착지연에 대한 평가벌점(PS)을 예상도착지연시간(ETL)과 도착지연에 대한 일반 중요도(WN)의 곱으로 설정한다(S1407).
이에 따른 프로그램 코딩은 다음 <표 1>과 같다.
Step 1. 도착지연(또는 대기) 평가식
ETL = RTArrival - ETArrival
if (ETL <= 0) // 트럭이 늦게 도착
if (ATL > 0 and ETL < ATL)
PS = 0
else
if (ETL > TTH)
PS = ETL * WH
else
PS = ETL * WN
end if
end if
else // 트럭이 일찍 도착
if (ATE > 0 and ETL < ATE)
PS = 0
else
if (ETL > TTH)
PS = ETL * WH
else
PS = ETL * WN
end if
end if
end if
다음,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다원화된 배차 전략에 따라 설정된 조합의 평가방법 중, 가중치를 고려한 평가방법을 설명한다.
예상 공차이동시간(ETTravel)이 트럭이동 허용시간(ATTravel)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1501), S1501 단계의 판단 결과, 'Yes'이면, 공차이동거리에 대한 평가벌점(PD)은 제로(=0)이고(S1502), 그렇지 않으면 공차이동거리에 대한 평가벌점(PD)은 예상 공차이동시간(ETTravel)으로 정한다(S1503).
이에 따른 프로그램 코딩은 다음 <표 2>와 같다.
Step 2. 평가항목 가중치를 고려한 평가식
If (ETTravel <= ATTravel)
PD = 0
else
PD = ETTravel
end
결국, 평가결과의 총 벌점(PT)은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도착지연에 대한 평가벌점(PS)에 그에 대한 가중치(RS)를 곱한 값과 공차이동거리에 대한 평가벌점(PD)에 그에 대한 가중치(RD)를 곱한 값의 합으로 정의한다.
[수학식 1]
PT = (PS * RS) + (PD * RD)
단, 도착 지연(또는 대기)에 대한 가중치(RS) 와 공차이동거리에 대한 가중치(RD)의 합은 1.0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다원화된 배차 전략에 따라 설정된 조합의 가중치를 고려한 평가방법을 설명한다.
도 16의 평가결과 조회 화면은, 사용자가 설정한 배차전략(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 및 각종 설정값)에 따라 야드트럭과 후보작업 간의 조합을 평가한 결과에 대해 조회할 수 있는 화면으로서, 배차전략 조정을 위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바,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가결과 조회 화면은, 야드트럭 리스트(1710), 후보 작업 리스트(1720) 및 사용자가 설정한 배차전략에 따라 평가된 결과 화면(1730)으로 이루어진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운영 관리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야드트럭 배차 최적화를 위한 2가지 인자(공차이동거리 및 도착지연 또는 대기)에 대한 중요도를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실시간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둘째, 사용자가 복수개의 배차전략을 등록 관리하여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배차전략을 종래의 방식보다 쉽게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각 야드트럭 풀의 작업계획에 적합한 배차전략을 별도로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보다 유연성 있는 터미널 운영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100 : 야드트럭 플래너 200 : 터미널 운영 시스템
220 : 데이터베이스 290 : 야드트럭 배치모듈

Claims (3)

  1.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운영 관리 방법으로서,
    (A) 시스템 사용자로서의 야드 플래너(100)가, 터미널에 계획된 작업(양하, 적하 등)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1201);
    (B) 상기 야드 플래너(100)가, 야드트럭 운영계획에 따라 야드트럭 풀을 구성하고 시스템에 등록하는 단계(S1202);
    (C) 상기 야드 플래너(100)가,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다양한 배차전략을 수립 및 시스템에 등록하는 단계(S1203);
    (D) 상기 야드 플래너(100)가, 사용되는 작업 및 상황에 따라 각 야드트럭 풀에 적합한 배차전략을 매핑시키는 단계(S1204);
    (E) 야드트럭 배차모듈(290)이, 터미널 운영시스템의 야드트럭 배차모듈이 해당 야드트럭 풀에 설정된 배차전략 설정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하는 단계(S1205);
    (F) 상기 야드트럭 배차모듈(290)이, 데이터베이스(220)에서 조회된 배차전략 설정정보에 따라 해당 야드트럭 풀 내의 야드트럭들을 작업에 분배 및 배차하는 단계(S1206); 및
    (G) 상기 야드 플래너(100)가, 사용자가 설정한 배차전략에 따라 시스템이 야드트럭을 배차한 결과를 조회 및 분석하여 이후 배차전략 설정 시 참고하는 단계(S120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운영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에서의 배차 결과 분석은,
    (G1) 도착요구시각(RTArrival)에서 예상 도착시각(ETArrival)을 감산한 예상도착지연시간 ETL (= RTArrival - ETArrival) 을 계산하는 단계(S1401)와,
    (G2) 상기 ETL 이 0 이하인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S1402)와,
    (G3) 상기 (G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0 이하이면 (야드트럭이 예상시각보다 늦게 도착하였다고 판단되면), 다시 도착지연 허용시간(ATL)이 양이고 예상 도착지연시간(ETL)이 상기 도착지연 허용시간(ATL) 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단계(S1403)와,
    (G4) 상기 (G3)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Yes'이면, 도착지연에 대한 평가벌점(PS)을 제로(=0)로 설정하는 단계와(S1404),
    (G5) 상기 (G3) 단계의 판단 결과, 'No'이면, 예상도착지연시간(ETL)이 기 설정된 긴급작업 판단 기준의 임계값(TTH)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5)와,
    (G6) 상기 (G5) 단계의 판단 결과, 예상도착지연시간(ETL)이 기 설정된 긴급작업 판단 기준의 임계값(TTH) 보다 크면, 도착지연에 대한 평가벌점(PS)을 예상도착지연시간(ETL)과 도착지연에 대한 긴급 중요도(WH)의 곱으로 설정하는 단계(S1406)와,
    (G7) 상기 (G5) 단계의 판단 결과, 예상도착지연시간(ETL)이 기 설정된 긴급작업 판단 기준의 임계값(TTH) 보다 크지 않으면, 도착지연에 대한 평가벌점(PS)을 예상도착지연시간(ETL)과 도착지연에 대한 일반 중요도(WN)의 곱으로 설정하는 단계(S1407)와,
    (G8) 상기 (G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0 초과이면 (야드트럭이 예상시각보다 일찍 도착하였다고 판단되면), 다시 도착대기 허용시간(ATE)이 양이고 예상 도착지연시간(ETL)이 상기 도착대기 허용시간(ATE) 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단계(S1408)와,
    (G9) 상기 (G8) 단계의 판단 결과, 'Yes'이면, 역시 도착지연에 대한 평가벌점(PS)을 제로(=0)로 설정하는 단계(S1409)를 포함하며,
    상기 (G3) 단계의 판단 결과, 'No'이면, 상기 (G5) 단계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운영 관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에서의 배차 결과 분석은,
    (G11) 예상 공차이동시간(ETTravel)이 트럭이동 허용시간(ATTravel)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501)와,
    (G12) 상기 (G11) 단계의 판단 결과, 'Yes'이면, 공차이동거리에 대한 평가벌점(PD)을 제로(=0)로 설정하는 단계(S1502)와,
    (G13) 상기 (G11) 단계의 판단 결과, 'No'이면, 공차이동거리에 대한 평가벌점(PD)은 예상 공차이동시간(ETTravel)으로 설정하는 단계(S1503) 를 더 포함하며,
    평가결과의 총 벌점(PT)은, 도착지연에 대한 평가벌점(PS)에 그에 대한 가중치(RS)를 곱한 값과 공차이동거리에 대한 평가벌점(PD)에 그에 대한 가중치(RD)를 곱한 값의 합으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운영 관리 방법.
KR1020190060668A 2019-05-23 2019-05-23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운영 관리 방법 KR102327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668A KR102327188B1 (ko) 2019-05-23 2019-05-23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운영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668A KR102327188B1 (ko) 2019-05-23 2019-05-23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운영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747A true KR20200134747A (ko) 2020-12-02
KR102327188B1 KR102327188B1 (ko) 2021-11-17

Family

ID=73791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668A KR102327188B1 (ko) 2019-05-23 2019-05-23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운영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18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36974A (zh) * 2021-02-05 2021-05-25 上海海事大学 一种基于dqn和mcts的箱区间多场桥动态调度方法
CN113011792A (zh) * 2021-04-29 2021-06-22 上海华兴数字科技有限公司 矿山车辆调度方法及系统
CN113743739A (zh) * 2021-08-11 2021-12-03 青岛港国际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混合整数规划、组合优化算法的agv调度方法
CN115359656A (zh) * 2022-08-12 2022-11-18 青岛港国际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化集装箱码头堆场端交互区车道分配方法
CN115953089A (zh) * 2022-12-26 2023-04-11 东南大学 一种保障施工区平衡态的转运货车数确定方法
CN116402309A (zh) * 2023-05-10 2023-07-07 上海文景信息科技有限公司 港口集疏运车辆调度匹配方法及系统
CN116596288A (zh) * 2023-07-18 2023-08-15 广州港数据科技有限公司 基于移动边缘计算的集装箱码头内部拖车调度方法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9674B1 (ko) 2023-01-11 2023-07-26 (주)에이치에스엘엔씨 수출 수입 물류를 위한 창고 입출고, 컨테이너 운송 및 주문 처리 자동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123B1 (ko) 2006-03-29 2008-01-02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고단적재시스템을 이용한 컨테이너터미널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150065607A (ko) * 2013-12-05 2015-06-15 (주)토탈소프트뱅크 컨테이너 터미널 내 복수 장비의 작업흐름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123B1 (ko) 2006-03-29 2008-01-02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고단적재시스템을 이용한 컨테이너터미널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150065607A (ko) * 2013-12-05 2015-06-15 (주)토탈소프트뱅크 컨테이너 터미널 내 복수 장비의 작업흐름 관리방법
KR101679826B1 (ko) 2013-12-05 2016-11-25 (주)토탈소프트뱅크 컨테이너 터미널 내 복수 장비의 작업흐름 관리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안은영 외 4명, "터미널의 장치장 운영",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2006년 9월, pp.47-65* *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36974A (zh) * 2021-02-05 2021-05-25 上海海事大学 一种基于dqn和mcts的箱区间多场桥动态调度方法
CN112836974B (zh) * 2021-02-05 2024-01-23 上海海事大学 一种基于dqn和mcts的箱区间多场桥动态调度方法
CN113011792A (zh) * 2021-04-29 2021-06-22 上海华兴数字科技有限公司 矿山车辆调度方法及系统
CN113011792B (zh) * 2021-04-29 2024-03-26 上海华兴数字科技有限公司 矿山车辆调度方法及系统
CN113743739A (zh) * 2021-08-11 2021-12-03 青岛港国际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混合整数规划、组合优化算法的agv调度方法
CN113743739B (zh) * 2021-08-11 2024-02-13 青岛港国际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混合整数规划、组合优化算法的agv调度方法
CN115359656A (zh) * 2022-08-12 2022-11-18 青岛港国际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化集装箱码头堆场端交互区车道分配方法
CN115359656B (zh) * 2022-08-12 2024-04-02 青岛港国际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化集装箱码头堆场端交互区车道分配方法
CN115953089B (zh) * 2022-12-26 2023-12-29 东南大学 一种保障施工区平衡态的转运货车数确定方法
CN115953089A (zh) * 2022-12-26 2023-04-11 东南大学 一种保障施工区平衡态的转运货车数确定方法
CN116402309B (zh) * 2023-05-10 2023-08-29 上海文景信息科技有限公司 港口集疏运车辆调度匹配方法及系统
CN116402309A (zh) * 2023-05-10 2023-07-07 上海文景信息科技有限公司 港口集疏运车辆调度匹配方法及系统
CN116596288B (zh) * 2023-07-18 2023-12-19 广州港数据科技有限公司 基于移动边缘计算的集装箱码头内部拖车调度方法及系统
CN116596288A (zh) * 2023-07-18 2023-08-15 广州港数据科技有限公司 基于移动边缘计算的集装箱码头内部拖车调度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7188B1 (ko)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7188B1 (ko)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운영 관리 방법
US11640176B2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ransporting devices
CN109878959B (zh) 拣选调度方法、装置、仓储系统及可读存储介质
KR20210009386A (ko) GTP(Goods to Person) 시스템에 적용되는 관리 방법 및 장치, 시스템, 서버와 컴퓨터 저장 매체
Confessore et al. A network flow based heuristic approach for optimising AGV movements
Li et al. Tasks assigning and sequencing of multiple AGVs based on an improved harmony search algorithm
CN110348613A (zh) 分拨中心智能物流管理方法及系统
US20180349850A1 (en) Transport Plan Generating Method and Transport Plan Generating System
CN109377084A (zh) 调度服务器及基于该调度服务器的智能物流调度服务系统
CN109902975A (zh) 调度方法、系统、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8180743A1 (ja) 作業管理装置、作業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
Bonfill et al. Decision support framework for coordinated production and transport scheduling in SCM
Zheng et al. RFID-based material delivery method for mixed-model automobile assembly
KR20220145104A (ko)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시뮬레이션 기반의 알고리즘을 활용한 야드 크레인 작업 스케줄링 방법
CN109300335B (zh) 航班时刻调换系统及调换方法
CN113033971B (zh) 一种服务器及递送机器人的运单调度方法、介质和装置
Klerides et al. Modelling and solution approaches to the multi-load AGV dispatching problem in container terminals
KR101679826B1 (ko) 컨테이너 터미널 내 복수 장비의 작업흐름 관리방법
Hammad et al. Integrated mathematical optimisation approach for the tower crane hook routing problem to satisfy material demand requests on-site
JP2022091599A (ja) ボトルネック可視化装置及びボトルネック可視化方法
CN112085308A (zh) 用于多层仓库的运输车的调度方法及装置
WO2021104524A1 (zh) 一种agv调度方法和装置
CN112884261B (zh) 一种agv调度方法和装置
Yi et al. Collaborative Transfer Operations between Drayage Companies and a Container Terminal
Wang et al. Optimization of AGV Sorting Systems in Pharmaceutical Distribution: A Two-Stage Package Assignment and Simulation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