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725A - 단말에서 구동되는 런처를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에서 구동되는 런처를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725A
KR20200134725A KR1020190060589A KR20190060589A KR20200134725A KR 20200134725 A KR20200134725 A KR 20200134725A KR 1020190060589 A KR1020190060589 A KR 1020190060589A KR 20190060589 A KR20190060589 A KR 20190060589A KR 20200134725 A KR20200134725 A KR 20200134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cher
information
basic
switching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4425B1 (ko
Inventor
박성준
김윤주
박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060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425B1/ko
Publication of KR20200134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1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libra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단말을 태블릿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1 런처를 실행하고, 제1 런처의 실행 중에 단말을 영상 시청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2 런처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제1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미리 정의된 저장 위치에 기록된 단말을 위한 기본 런처 정보를 제1 런처의 정보에서 제2 런처의 정보로 변경함으로써 기본 런처를 제1 런처에서 제2 런처로 전환하며, 제2 런처의 실행에 의해 영상 시청 모드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런처를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에서 구동되는 런처를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SWITCHING LAUNCHER DRIVEN BY TERMINAL}
실시예들은 단말에서 구동되는 런처를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을 통해 TV와 연결되고, 리모콘을 통해 조작하는 일반 셋탑 박스는 전원을 켜자마자 방송 시청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리모콘을 통해 명시적인 종료 의도를 입력한 경우에만 방송 시청이 종료된다. 이와 달리, 태블릿과 같은 일반 단말에서 TV 방송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OS)의 제약으로 인해 별도의 런처 화면에서 TV 시청을 위한 앱 실행을 통해서야 방송 시청이 가능하다. 이 밖에도, 단말에서 방송 시청 중이라도 TV 시청을 위한 앱 신호에 비해 단말의 기본 기능을 위한 홈(Home) 버튼과 백(Back) 버튼이 최우선으로 동작한다. 때문에, 명시적인 종료 의도가 없는 터치 실수에도 화면이 런처 화면이나 이전에 사용한 앱 화면으로 이동이 되어 방송 시청이 갑자기 중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본 런처 설정을 통해 런처 화면에서 영상 시청을 위한 별도의 앱 실행 없이도 즉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본 런처 설정을 통해 영상 시청 중 홈 버튼, 또는 백 버튼에 대한 의도하지 않은 선택이 발생하더라도 영상 시청이 종료되지 않고 지속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버튼 또는 앱 아이콘에 대한 선택 입력을 통해 기본 런처의 설정 전환 신호를 용이하게 전달함으로써 단말에서 태블릿 모드 또는 영상 시청 모드로의 전환 시에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런처를 전환하는 방법은 단말을 태블릿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1 런처(launcher)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제1 런처의 실행 중에, 상기 단말을 영상 시청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2 런처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제1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미리 정의된 저장 위치에 기록된 상기 단말을 위한 기본 런처 정보를 상기 제1 런처의 정보에서 상기 제2 런처의 정보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기본 런처를 상기 제1 런처에서 상기 제2 런처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런처의 실행에 의해 상기 영상 시청 모드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본 런처를 상기 제1 런처에서 상기 제2 런처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기본 런처 정보를 설정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를 통해 상기 미리 정의된 저장 위치에 기록된 상기 기본 런처 정보를 상기 제1 런처의 정보에서 상기 제2 런처의 정보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런처의 실행 중에 상기 태블릿 모드에 따라 단말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런처 전환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에 대한 선택 입력을 통해 상기 제1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런처 및 상기 제2 런처 중 어느 하나의 런처는 상기 어느 하나의 런처가 실행됨에 반응하여 상기 기본 런처를 상기 어느 하나의 런처로 설정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런처에서 나머지 런처로의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기본 런처를 상기 나머지 런처로 설정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런처를 전환하는 방법은 상기 제2 런처의 실행 중에, 상기 제1 런처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제2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제1 런처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런처의 실행 중에, 상기 영상 시청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앱 아이콘에 대한 선택 입력을 통해 상기 제2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런처를 실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기본 런처 정보를 상기 제1 런처의 정보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제1 런처를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런처를 전환하는 방법은 상기 제2 런처를 통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상기 단말의 백 버튼 또는 홈 버튼 중 어느 하나의 버튼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본 런처가 상기 제2 런처로 설정됨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버튼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제2 런처에서 상기 제1 런처로 전환되지 않고 상기 제2 런처에서 상기 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런처를 전환하는 방법은 상기 제1 런처의 실행 시점에, 상기 기본 런처 정보를 설정하는 API를 통해 상기 제1 런처의 정보를 상기 기본 런처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컨텐츠는 방송 컨텐츠 및 영화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런처를 전환하는 장치는 단말을 태블릿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1 런처의 실행 중에, 상기 단말을 영상 시청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2 런처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제1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단말을 위한 기본 런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제1 런처를 실행하고, 상기 제1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메모리의 미리 정의된 저장 위치에 기록된 상기 단말을 위한 기본 런처 정보를 상기 제1 런처의 정보에서 상기 제2 런처의 정보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기본 런처를 상기 제1 런처에서 상기 제2 런처로 전환하며, 상기 제2 런처의 실행에 의해 상기 영상 시청 모드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본 런처 정보를 설정하는 API를 통해 상기 미리 정의된 저장 위치에 기록된 상기 기본 런처 정보를 상기 제1 런처의 정보에서 상기 제2 런처의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런처의 실행 중에 상기 태블릿 모드에 따라 단말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런처 전환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대한 선택 입력을 통해 상기 제1 전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런처 및 상기 제2 런처 중 어느 하나의 런처는 상기 어느 하나의 런처가 실행됨에 반응하여 상기 기본 런처를 상기 어느 하나의 런처로 설정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런처에서 나머지 런처로의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기본 런처를 상기 나머지 런처로 설정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런처의 실행 중에, 상기 제1 런처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제2 전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제1 런처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런처의 실행 중에, 상기 영상 시청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앱 아이콘에 대한 선택 입력을 통해 상기 제2 전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기본 런처 정보를 상기 제1 런처의 정보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제1 런처를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런처를 통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상기 단말의 백 버튼 또는 홈 버튼 중 어느 하나의 버튼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본 런처가 상기 제2 런처로 설정됨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버튼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제2 런처에서 상기 제1 런처로 전환되지 않고 상기 제2 런처에서 상기 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런처의 실행 시점에, 상기 기본 런처 정보를 설정하는 API를 통해 상기 제1 런처의 정보를 상기 기본 런처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기본 런처 설정을 통해 런처 화면에서 영상 시청을 위한 별도의 앱 실행 없이도 즉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기본 런처 설정을 통해 영상 시청 중 홈 버튼, 또는 백 버튼에 대한 의도하지 않은 선택이 발생하더라도 영상 시청이 종료되지 않고 지속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버튼 또는 앱 아이콘에 대한 선택 입력을 통해 기본 런처의 설정 전환 신호를 용이하게 전달함으로써 단말에서 태블릿 모드 또는 영상 시청 모드로의 전환 시에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런처를 전환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각 런처의 실행 중에 런처 전환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기본 런처를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본 런처를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기본 런처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각 런처에서 백 버튼 및 홈 버튼을 선택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백 버튼 또는 홈 버튼 입력 시의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런처를 전환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런처를 전환하는 장치의 블록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런처를 전환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런처를 전환하는 장치(이하, '전환 장치')는 단말을 태블릿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1 런처(launcher)를 실행한다(110).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환 장치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과 같이 프로세서, 통신 인터페이스 및 디스플레이 등을 구비하고 운영 체제가 내장되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 또는 사용자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런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응용 소프트웨어를 위한 기반 환경을 제공하는 특정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OS)를 기반으로 단말의 바탕 화면과 아이콘, 디자인 등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바꿀 수 있는 앱 형태의 프로그램 또는 미들웨어(middleware)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런처 및 제2 런처는 모두 전환 장치에 설치 또는 탑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전환 장치에 다수 개의 런처들이 탑재될 수 있고, 다수 개의 런처들 간의 전환 또한 가능하다.
이하에서, '제1 런처'는 단말을 태블릿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런처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태블릿 모드'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사용자 장치에서 밝기 조절/원터치 실행/뒤로 가기 버튼 등과 같이 통상적인 조작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아이콘들이 화면에 배치되어 동작 가능하도록 하는 모드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런처의 화면 구성은 아래의 도 2의 제1 런처의 화면(201)을 참조할 수 있다.
전환 장치는 제1 런처의 실행 중에, 단말을 영상 시청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2 런처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제1 전환 신호를 수신한다(120). 전환 장치가 제1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은 아래의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 '제2 런처'는 단말을 영상 시청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런처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시청 모드'는 예를 들어, TV 방송 컨텐츠, 영화 컨텐츠, VOD(Video On Demand) 컨텐츠 등과 같이 다양한 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통해 사용자가 곧바로 영상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드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런처의 화면 구성은 아래의 도 2의 제2 런처의 화면(203)을 참조할 수 있다.
전환 장치는 제1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미리 정의된 저장 위치에 기록된 단말을 위한 기본 런처 정보를 제1 런처의 정보에서 제2 런처의 정보로 변경함으로써 기본 런처를 제1 런처에서 제2 런처로 전환한다(130). 전환 장치가 기본 런처를 전환하는 방법은 아래의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환 장치는 제2 런처의 실행에 의해 영상 시청 모드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재생한다(140).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각 런처의 실행 중에 런처 전환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환 장치에 해당하는 단말에서 제공되는 제1 런처의 화면(201) 및 제2 런처의 화면(203)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단말에서 제1 런처의 실행 중에 사용자가 제2 런처로의 전환을 희망한다고 하자. 이 경우, 사용자는 예를 들어, 제1 런처의 실행 중에 태블릿 모드에 따라 단말의 화면(201) 상에 표시되는 런처 전환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210)를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10)는 예를 들어, 다양한 형태의 버튼 또는 아이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태블릿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210)의 선택을 통해 영상 시청 모드로 컨텍스트(context)를 변경할 수 있다.
단말은 사용자 인터페이스(210)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통해 제1 전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전환 신호'는 사용자가 전환 장치(예를 들어, 단말)에게 기본 런처의 설정을 제1 런처에서 제2 런처로 전환하도록 요청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이때, 제1 런처 및 제2 런처 중 어느 하나의 런처는 어느 하나의 런처가 실행됨에 반응하여 기본 런처를 어느 하나의 런처로 설정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런처는 어느 하나의 런처에서 나머지 런처로의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기본 런처를 나머지 런처로 설정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런처가 제1 런처이고, 나머지 런처가 제2 런처인 경우, 제1 런처는 제1 런처에서 제2 런처로의 제1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기본 런처를 제2 런처로 설정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런처는 제2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기본 런처를 제1 런처로 설정하도록 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어느 하나의 런처가 제2 런처이고, 나머지 런처가 제1 런처인 경우, 제2 런처는 제1 런처에서 제2 런처로의 제1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기본 런처를 제2 런처로 설정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런처는 제2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기본 런처를 제1 런처로 설정하도록 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제1 제어 신호는 예를 들어, 기본 런처 정보를 설정하는 API가 기본 런처를 제2 런처로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 신호는 예를 들어, 기본 런처 정보를 설정하는 API가 기본 런처를 제1 런처로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단말에서 제2 런처의 실행 중에 사용자가 제1 런처로의 전환을 희망한다고 하자. 이 경우, 사용자는 예를 들어, 제2 런처의 실행 중에 영상 시청 모드에 따라 단말의 화면(203) 상에 표시되는 앱 아이콘(230)을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영상 시청 모드에서 앱 아이콘(230)의 선택을 통해 태블릿 모드로 컨텍스트를 변경할 수 있다.
단말은 앱 아이콘(230)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통해 제2 전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전환 신호'는 사용자가 전환 장치(예를 들어, 단말)에게 기본 런처의 설정을 제2 런처에서 제1 런처로 전환하도록 요청하는 신호일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기본 런처를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런처(310), 제2 런처(320), API(330), 및 메모리(340)가 도시된다. API(330)는 예를 들어, 기본 런처 정보를 설정하는 API일 수 있다. 여기서, API는 라이브러리가 제공하는 여러 함수를 이용하여 해당 함수의 내부 구조는 알 필요없이 단순히 API에 정의된 입력 값을 줌으로써 결과 값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API(330)는 예를 들어,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API로서 이를 통해 운영 체제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기본 런처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기본 런처의 정보는 메모리(340)의 미리 정의된 저장 위치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런처(310)는 예를 들어, 제1 런처(310)가 실행되는 시점에 API(330)를 통해 메모리(340)의 미리 정의된 저장 위치에 스스로(제1 런처(310))를 기본 런처로 기록(또는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제1 런처(310)는 예를 들어, 제1 런처(310)의 화면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301)에 대한 선택 입력을 통해 전술한 제1 전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런처(310)는 제1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기본 런처를 제2 런처로 설정하도록 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런처(310)는 제1 제어 신호를 통해 API(330)가 메모리(340)의 미리 정의된 저장 위치에 기록된 기본 런처 정보를 제1 런처의 정보에서 제2 런처의 정보로 변경(또는 기록)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2 런처(320)는 예를 들어, 제2 런처(320)의 화면에 표시된 앱 아이콘(303)에 대한 선택 입력을 통해 전술한 제2 전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런처(320)는 제2 전환 신호를 제1 런처(31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제1 런처(310)는 제2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기본 런처를 제1 런처로 설정하도록 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런처(310)는 제2 제어 신호를 통해 API(330)가 메모리(340)의 미리 정의된 저장 위치에 기록된 기본 런처 정보를 제2 런처의 정보에서 제1 런처의 정보로 변경(또는 기록)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전환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기본 런처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지 않고도 기본 런처가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단말의 태블릿 모드와 영상 시청 모드 전환 시에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전술한 기본 런처의 전환 과정은 아래의 도 4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제2 런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본 런처를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런처(401)의 태블릿 모드에서 제2 런처(403)의 영상 시청 모드로의 전환 시에 제2 런처(403)가 API(405)를 통해 기본 런처 정보를 변경하는 과정이 도시된다. API(405)는 기본 런처 정보를 설정 및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런처(401)의 화면에 표시된 앱 아이콘을 선택하여 제2 런처(403)로의 전환을 요청했다고 하자. 전환 장치는 제1 런처(401)의 화면에 표시된 앱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입력됨에 따라 제2 런처(403)를 실행할 수 있다(410). 제2 런처(403)는 기본 런처를 제2 런처(403)로 변경하도록 API(405)에게 제2 런처(403)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420). API(405)는 미리 정의된 기본 런처 정보 저장 위치(예를 들어, 메모리(407))에 기록된 기본 런처 정보를 제2 런처(403)의 정보로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다(430). 이때, 제2 런처(403)는 제1 제어 신호를 통해 API(405)가 메모리(407)의 미리 정의된 저장 위치에 기록된 기본 런처 정보를 제1 런처(401)의 정보에서 제2 런처(403)의 정보로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2 런처(403)의 영상 시청 모드에서 제1 런처(401)의 태블릿 모드로의 전환 시에 제2 런처(403)가 API(405)를 통해 기본 런처 정보를 변경하는 과정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 런처(403)의 화면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선택하여 제1 런처(401)로의 전환을 요청했다고 하자. 이 경우, 전환 장치는 제2 런처(403)의 화면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입력됨에 따라 제1 런처(401)를 실행하고, 이와 동시에 기본 런처 정보를 제1 런처(401)로 변경하도록 API(405)에게 제1 런처(401)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450). 제2 런처(403)로부터 제1 런처(401)의 정보를 수신한 API(405)는 미리 정의된 기본 런처 정보 저장 위치(예를 들어, 메모리(407))에 기록된 기본 런처 정보를 제1 런처(401)의 정보로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다(460). 이때, 제2 런처(403)는 제2 제어 신호를 통해 API(405)가 메모리(407)의 미리 정의된 저장 위치에 기록된 기본 런처 정보를 제2 런처(403)의 정보에서 제1 런처(401)의 정보로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4를 통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2 런처(403)에 의하여 기본 런처 정보의 변경이 수행된 것과 달리, 제1 런처(401)에서 기본 런처 정보의 변경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런처(401)에서 제2 런처(403)로 전환하는 경우, 제1 런처(401)에서 제2 런처(403)로의 전환 요청과 동시에 기본 런처 정보를 제2 런처(403)로 변경하는 요청이 제1 런처(401)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2 런처(403)에서 제1 런처(401)로 전환하는 경우, 제2 런처(403)에서 제1 런처(401)로의 전환 요청이 제2 런처(403)에 의하여 발생하고, 해당 전환 요청에 따라 제1 런처(401)로의 전환이 완료될 수 있다. 제1 런처(401)로의 전환이 완료된 이후, 기본 런처 정보를 제1 런처(401)로 변경하는 요청이 제1 런처(401)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어느 하나의 런처가 기본 런처의 변경을 수행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런처는 다른 런처로의 전환 요청에 따라 기본 런처를 다른 런처로 변경하는 요청을 발생시키고, 자기 자신으로의 전환이 완료됨에 따라 기본 런처를 자기 자신으로 변경하는 요청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기본 런처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환 장치에서 기본 런처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화면(510)이 도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환 장치는 예를 들어, 전환 장치의 개통 초기에 화면(510)을 통해서 태블릿 모드 또는 영상 시청 모드 중 어느 모드에 대응하는 런처를 해당 전환 장치의 기본 런처로 설정할지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서, 전환 장치는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지 않고도, 예를 들어, 제1 런처의 실행 시점에, 기본 런처 정보를 설정하는 API를 통해 제1 런처의 정보를 기본 런처 정보로 설정하는 것과 같이 현재 실행 중인 런처를 기본 런처로 설정하거나, 또는 현재 실행 중인 런처로부터 전환되는 런처를 기본 런처로 설정할 수도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각 런처에서 백 버튼 및 홈 버튼을 선택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기본 런처로 설정된 제1 런처에서 백 버튼 및 홈 버튼이 선택된 경우에 제공되는 화면들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제1 런처의 메인 화면(610)으로부터 사용자가 순차적으로 계산기 어플 및 인터넷 검색을 수행했다고 하자. 이 경우, 사용자가 화면(614)에서 인터넷 검색 수행 중 또는 수행 후에 백 버튼이 선택되면, 단말은 이전 수행된 계산기 어플로 전환되어 계산기 어플의 화면(612)을 표시할 수 있다. 계산기 어플의 화면(612)에서 다시 백 버튼이 선택되면, 단말은 계산기 어플에 앞서 수행되던 제1 런처의 메인 화면(610)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화면(614)에서 인터넷 검색을 수행 중에 홈 버튼이 선택되면, 단말에는 제1 런처의 메인 화면(610)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런처에서 홈 버튼이 선택된 경우, 단말은 기본 런처로 설정된 제1 런처의 메인 화면(61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기본 런처로 설정된 제2 런처에서 백 버튼 및 홈 버튼이 선택된 경우에 제공되는 화면들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제2 런처의 메인 화면(630)으로부터 사용자가 순차적으로 VOD 어플, 및 아이들OO 어플을 수행했다고 하자. 이 경우, 화면(634)에서 아이들OO 어플 수행 중 또는 수행 후에 백 버튼이 선택되면, 단말은 이전 수행된 VOD 어플로 전환되어 VOD 어플의 화면(632)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VOD 어플의 화면(632)을 통해 VOD 서비스의 제공 중에 다시 백 버튼이 선택되면, 단말은 VOD 어플에 앞서 수행되던 제2 런처의 메인 화면(630)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화면(634)에서 아이들OO 어플을 수행 중에 홈 버튼이 선택되면, 단말에는 제2 런처의 메인 화면(630)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2 런처가 기본 런처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2 런처의 메인 화면(630)에서 명시적인 종료 의도가 없는 터치 실수로 백 버튼 또는 홈 버튼이 선택되더라도 제1 런처의 화면 또는 이전에 사용한 앱 화면으로 이동하지 않고, 제2 런처의 메인 화면(630)이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영상 시청 중 홈 버튼, 또는 백 버튼에 대한 의도하지 않은 선택이 발생하더라도 영상을 중단없이 지속적으로 시청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백 버튼 또는 홈 버튼 입력 시의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영상 시청 모드로 동작하는 제2 런처의 화면(예를 들어, 화면 #1)이 도시된다.
제2 런처는 제2 런처가 실행되는 즉시 영상 목록에 포함된 기본 영상을 바로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제2 런처의 화면에는 영상 시청 모드에서 재생되는 다수의 영상 컨텐츠들에 대한 영상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영상 목록은 예를 들어, 기본 영상, 영상 #1, 및 영상 #2 등의 다양한 영상 컨텐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목록은 제2 런처의 화면에서 재생 중인 영상 컨텐츠에 오버레이(overlay)되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런처가 제2 런처로 설정되어 있고, 제2 런처를 통해 영상 #1의 재생 중에 백 버튼 또는 홈 버튼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었다고 하자. 이 경우, 제2 런처는 백 버튼 또는 홈 버튼의 입력에 반응하여 제2 런처에서 제1 런처로 전환되지 않고 제2 런처에서 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홈 버튼이 선택된 경우, 제2 런처는 영상 목록에 포함된 기본 영상을 재생하고, 백 버튼이 선택된 경우, 영상 목록에 포함된 영상 컨텐츠들을 재생된 역순으로 재생함으로써 화면 이동 또는 화면 전환없이 영상 컨테츠를 재생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런처를 전환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환 장치는 단말을 태블릿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1 런처를 실행한다(810).
전환 장치는 제1 런처의 실행 시점에, 기본 런처 정보를 설정하는 API를 통해 제1 런처의 정보를 기본 런처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820).
전환 장치는 제1 런처의 실행 중에, 단말을 영상 시청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2 런처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제1 전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830).
전환 장치는 제1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미리 정의된 저장 위치에 기록된 단말을 위한 기본 런처 정보를 제1 런처의 정보에서 제2 런처의 정보로 변경함으로써 기본 런처를 제1 런처에서 제2 런처로 전환할 수 있다(840). 이때, 제1 런처는 제1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기본 런처를 제2 런처로 설정하도록 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환 장치는 제2 런처의 실행에 의해 영상 시청 모드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850).
전환 장치는 제2 런처의 실행 중에, 제1 런처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제2 전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860).
전환 장치는 제2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제1 런처를 실행할 수 있다(870). 전환 장치는 예를 들어, 제2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기본 런처 정보를 제1 런처의 정보로 설정함으로써 제1 런처를 실행시킬 수 있다. 제2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제1 런처를 실행하는 경우, 전환 장치는 기본 런처 정보를 설정하는 API를 통해 제1 런처의 정보를 기본 런처 정보로 설정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제1 런처를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런처는 제2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기본 런처를 제1 런처로 설정하도록 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런처를 전환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런처를 전환하는 장치('전환 장치')(900)는 프로세서(910), 통신 인터페이스(930) 및 메모리(950)를 포함한다. 전환 장치(900)는 디스플레이(9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 통신 인터페이스(930), 메모리(950) 및 디스플레이(970)는 통신 버스(905)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단말을 태블릿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1 런처를 실행한다. 프로세서(910)는 제1 런처의 실행 시점에, 기본 런처 정보를 설정하는 API를 통해 제1 런처의 정보를 기본 런처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910)는 제1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메모리(950)의 미리 정의된 저장 위치에 기록된 단말을 위한 기본 런처 정보를 제1 런처의 정보에서 제2 런처의 정보로 변경함으로써 기본 런처를 제1 런처에서 제2 런처로 전환한다. 프로세서(910)는 제2 런처의 실행에 의해 영상 시청 모드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970)를 통해 재생한다.
프로세서(910)는 기본 런처 정보를 설정하는 API를 통해 메모리(950)의 미리 정의된 저장 위치에 기록된 기본 런처 정보를 제1 런처의 정보에서 제2 런처의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930)는 제1 런처의 실행 중에, 단말을 영상 시청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2 런처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제1 전환 신호를 수신한다. 통신 인터페이스(930)는 제1 런처의 실행 중에 태블릿 모드에 따라 단말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런처 전환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대한 선택 입력을 통해 제1 전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런처는 제1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기본 런처를 제2 런처로 설정하도록 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930)는 제2 런처의 실행 중에, 제1 런처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제2 전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930)는 예를 들어, 제2 런처의 실행 중에, 영상 시청 모드에 따라 단말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앱 아이콘에 대한 선택 입력을 통해 제2 전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910)는 제2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제1 런처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제2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기본 런처 정보를 제1 런처의 정보로 설정함으로써 제1 런처를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런처는 제2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기본 런처를 제1 런처로 설정하도록 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메모리(950)는 단말을 위한 기본 런처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950)는 통신 인터페이스(930)를 통해 수신한 영상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910)는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대응되는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목적하는 동작들(desired operations)을 실행시키기 위한 물리적인 구조를 갖는 회로를 가지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데이터 처리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적하는 동작들은 프로그램에 포함된 코드(code) 또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로 구현된 데이터 처리 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전환 장치(9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950)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950)는 상술한 프로세서(910)에서의 처리 과정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메모리(950)는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95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950)는 하드 디스크 등과 같은 대용량 저장 매체를 구비하여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900: 런처를 전환하는 장치('전환 장치')
905: 통신 버스
910: 프로세서
930: 통신 인터페이스
950: 메모리
970: 디스플레이

Claims (20)

  1. 단말을 태블릿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1 런처(launcher)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제1 런처의 실행 중에, 상기 단말을 영상 시청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2 런처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제1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미리 정의된 저장 위치에 기록된 상기 단말을 위한 기본 런처 정보를 상기 제1 런처의 정보에서 상기 제2 런처의 정보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기본 런처를 상기 제1 런처에서 상기 제2 런처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런처의 실행에 의해 상기 영상 시청 모드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런처를 전환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런처를 상기 제1 런처에서 상기 제2 런처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기본 런처 정보를 설정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상기 미리 정의된 저장 위치에 기록된 상기 기본 런처 정보를 상기 제1 런처의 정보에서 상기 제2 런처의 정보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런처를 전환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런처의 실행 중에 상기 태블릿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런처 전환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에 대한 선택 입력을 통해 상기 제1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런처를 전환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런처 및 상기 제2 런처 중 어느 하나의 런처는
    상기 어느 하나의 런처가 실행됨에 반응하여 상기 기본 런처를 상기 어느 하나의 런처로 설정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런처에서 나머지 런처로의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기본 런처를 상기 나머지 런처로 설정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런처를 전환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런처의 실행 중에, 상기 제1 런처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제2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제1 런처를 실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런처를 전환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런처의 실행 중에, 상기 영상 시청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앱 아이콘에 대한 선택 입력을 통해 상기 제2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런처를 전환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런처를 실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기본 런처 정보를 상기 제1 런처의 정보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제1 런처를 실행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런처를 전환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런처를 통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상기 단말의 백 버튼 또는 홈 버튼 중 어느 하나의 버튼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본 런처가 상기 제2 런처로 설정됨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버튼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제2 런처에서 상기 제1 런처로 전환되지 않고 상기 제2 런처에서 상기 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유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런처를 전환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런처의 실행 시점에, 상기 기본 런처 정보를 설정하는 API를 통해 상기 제1 런처의 정보를 상기 기본 런처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런처를 전환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컨텐츠는
    방송 컨텐츠 및 영화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런처를 전환하는 방법.
  11.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단말을 태블릿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1 런처의 실행 중에, 상기 단말을 영상 시청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2 런처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제1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단말을 위한 기본 런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제1 런처를 실행하고, 상기 제1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메모리의 미리 정의된 저장 위치에 기록된 상기 단말을 위한 기본 런처 정보를 상기 제1 런처의 정보에서 상기 제2 런처의 정보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기본 런처를 상기 제1 런처에서 상기 제2 런처로 전환하며, 상기 제2 런처의 실행에 의해 상기 영상 시청 모드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런처를 전환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본 런처 정보를 설정하는 API를 통해 상기 미리 정의된 저장 위치에 기록된 상기 기본 런처 정보를 상기 제1 런처의 정보에서 상기 제2 런처의 정보로 변경하는,
    런처를 전환하는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런처의 실행 중에 상기 태블릿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런처 전환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대한 선택 입력을 통해 상기 제1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런처를 전환하는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런처 및 상기 제2 런처 중 어느 하나의 런처는
    상기 어느 하나의 런처가 실행됨에 반응하여 상기 기본 런처를 상기 어느 하나의 런처로 설정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런처에서 나머지 런처로의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기본 런처를 상기 나머지 런처로 설정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런처를 전환하는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런처의 실행 중에, 상기 제1 런처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제2 전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제1 런처를 실행하는,
    런처를 전환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런처의 실행 중에, 상기 영상 시청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앱 아이콘에 대한 선택 입력을 통해 상기 제2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런처를 전환하는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전환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기본 런처 정보를 상기 제1 런처의 정보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제1 런처를 실행시키는,
    런처를 전환하는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런처를 통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상기 단말의 백 버튼 또는 홈 버튼 중 어느 하나의 버튼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본 런처가 상기 제2 런처로 설정됨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버튼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제2 런처에서 상기 제1 런처로 전환되지 않고 상기 제2 런처에서 상기 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유지하는,
    런처를 전환하는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런처의 실행 시점에, 상기 기본 런처 정보를 설정하는 API를 통해 상기 제1 런처의 정보를 상기 기본 런처 정보로 설정하는,
    런처를 전환하는 장치.
KR1020190060589A 2019-05-23 2019-05-23 단말에서 구동되는 런처를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94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589A KR102194425B1 (ko) 2019-05-23 2019-05-23 단말에서 구동되는 런처를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589A KR102194425B1 (ko) 2019-05-23 2019-05-23 단말에서 구동되는 런처를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725A true KR20200134725A (ko) 2020-12-02
KR102194425B1 KR102194425B1 (ko) 2020-12-23

Family

ID=73791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589A KR102194425B1 (ko) 2019-05-23 2019-05-23 단말에서 구동되는 런처를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4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9348A (ja) * 2008-09-24 2010-04-08 Kyocera Mita Corp プログラムインストール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80028851A (ko) * 2016-09-09 2018-03-19 주식회사 엑츠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기반 컨텐츠 재생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9348A (ja) * 2008-09-24 2010-04-08 Kyocera Mita Corp プログラムインストール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80028851A (ko) * 2016-09-09 2018-03-19 주식회사 엑츠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기반 컨텐츠 재생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4425B1 (ko)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2246B2 (en) Voice-command suggestions based on computer context
JP5337257B2 (ja) Tv個別指導ウィジェット
US9066150B2 (en) User interface for entertainment systems
US9031848B2 (en) User interface for searching a bundled service content data source
KR102488975B1 (ko) 콘텐츠 시청 장치 및 그 콘텐츠 시청 옵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JP5710657B2 (ja) 仮想チャンネル管理方法、デジタルコンテンツ検索方法および仮想チャンネルを有するネットワークベースマルチメディア再生システム
US9026448B2 (en) User interface for entertainment systems
US20140053210A1 (en) User interface for entertainment systems
US91069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data sources for entertainment systems
US200701862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ontent in home network using TV channels
US201303265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laying video streams
US8245255B2 (en) Program guide navigation
WO2021189697A1 (zh) 视频展示方法、终端及服务器
WO2021031623A1 (zh) 显示设备、分享文件的方法和服务器
US20140052450A1 (en) User interface for entertainment systems
KR102552286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200280756A1 (en) Remote control and integration of electronic devices in a media system
CN103686273A (zh) 电视场景切换的方法及电视
CN112492374A (zh) 一种悬浮窗口的显示方法、装置、电视及存储介质
WO2022179033A1 (zh) 音乐播放方法及设备
US10536662B2 (en) Method for zapping contents and display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US9247183B2 (en) Program guide with past history display and program selection
KR102194425B1 (ko) 단말에서 구동되는 런처를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80205998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broadcasting schedule thereof
US110326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ontent from plurality of external content sour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