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664A - Air Circulation Type Complex Cooking Device - Google Patents

Air Circulation Type Complex Cook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664A
KR20200134664A KR1020190060429A KR20190060429A KR20200134664A KR 20200134664 A KR20200134664 A KR 20200134664A KR 1020190060429 A KR1020190060429 A KR 1020190060429A KR 20190060429 A KR20190060429 A KR 20190060429A KR 20200134664 A KR20200134664 A KR 20200134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plate
air
cooking plate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4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현호
Original Assignee
(주)디앤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앤더블유 filed Critical (주)디앤더블유
Priority to KR1020190060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4664A/en
Publication of KR20200134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66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47J37/0709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blowers providing forced air circul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As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circulation-type complex cooking apparatus comprises: a first cooking plate includ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a heater installed under the first cooking plate; a main body frame accommodating the first cooking plate and the heater, and comprising a suction port on one side of an upper part of the first cooking plate, and an outlet port on the other side thereof; an electric fan which sucks air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blows air into a lower space of the first cooking plate and the heater; and a cover for covering the first cooking plate to at least temporarily confine hot air heated by the heater and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cooking plate.

Description

공기순환식 복합 조리기기{Air Circulation Type Complex Cooking Device}Air Circulation Type Complex Cooking Device}

본 발명은 공기를 순환시켜 음식을 조리하는 복합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lex cooking appliance for cooking food by circulating air.

일반적으로 전기 로스터는 본체에 히터와 조리판을 구비하여, 전원을 인가해서 히터를 가열함으로써 조리판에서 육류, 어패류, 야채류 등의 식재료를 조리하기 위한 기기이다.In general, an electric roaster is a device for cooking food materials such as meat, fish and shellfish, and vegetables on the cooking plate by heating the heater by applying power to the main body having a heater and a cooking plate.

종래의 전기 로스터 중에는 예시적으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10-2018-0013754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공기순환식 전기 로스터가 있다.Among the conventional electric roasters, there is an air circulation type electric roaster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8-0013754 as an example.

이러한 전기 로스터는 히터로 조리판을 가열하여 그 위에 올려진 육류를 로스팅하는 방식으로 조리가 이루어진다.Such an electric roaster is cooked by heating a cooking plate with a heater and roasting meat placed thereon.

또한, 공기순환 구조를 채용하여 주변으로의 연기 방출을 최소화하고 있다. 즉, 조리판 위에서 로스팅되는 동안 전동팬의 작동으로 인해 조리판 상부 일측으로부터 공기가 흡입되어 다시 조리판 상부의 반대측으로 배출되는 공기순환이 진행되며, 그러한 공기순환 작용으로 인해 조리판 상부의 로스팅 연기가 휩쓸려 함께 순환됨으로서 주변으로는 연기가 방출되지 않고 로스팅이 달성된다.In addition, the air circulation structure is adopted to minimize smoke emission to the surroundings. That is, during roasting on the cooking plate, air is sucked from one side of the top of the cooking plat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fan, and air circulation is discharg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top of the cooking plate. Roasting is achieved without any smoke being emitted to the surroundings as the is swept and circulated together.

한편, 최근에는 기름을 사용하지 않고 열풍만을 공급하여 식재료를 기름에 튀긴 것과 동일한 맛이 나도록 하는 에어 프라이어라는 조리기기가 인기를 끌고 있다.On the other hand, recently, a cooking appliance called an air fryer that supplies only hot air without using oil to give food ingredients the same taste as fried in oil is gaining popularity.

에어 프라이어는 조리실 내에 가열 조리 목적의 대상물을 넣고 송풍팬 및 히터를 온도조절장치로 제어하여 열풍을 조리실로 공급함으로써 그 열풍이 조리 대상물에 접촉하여 조리가 이루어지는 구조이다.The air fryer is a structure in which an object for heating cooking is placed in a cooking chamber, and the hot air is supplied to the cooking chamber by controlling a blower fan and a heater with a temperature controller, so that the hot air contacts the cooking object and cooking is performed.

본 발명은 하나의 조리기기에서 로스팅 기능과 함께 에어프라이어 기능을 겸할 수 있는 새로운 복합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complex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serving as an air fryer as well as a roasting function in one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순환식 복합 조리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1 조리판; 상기 제1 조리판 밑에 설치된 히터; 상기 제1 조리판 및 히터를 수용하고, 상기 제1 조리판 상부 일측에 흡입구와 타측에 배출구를 포함하는 본체 프레임;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 조리판 및 히터의 하부 공간으로 송풍하는 전동팬; 및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고 상기 제1 조리판의 관통홀을 통과한 열풍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가두기 위해 상기 제1 조리판을 덮는 덮개를 포함한다.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air circulation type composit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oking plate includ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A heater installed under the first cooking plate; A main body frame accommodating the first cooking plate and the heater, and including a suction port on one side of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oking plate and an outlet on the other side; An electric fan that sucks air through the inlet and blows air to the lower space of the first cooking plate and the heater; And a cover covering the first cooking plate to at least temporarily confine hot air heated by the heater and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cooking plate.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는 상기 제1 조리판에 안착되며 덮는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is mounted on and covers the first cooking plate.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는 배기구를 포함한다.Further,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includes an exhaust port.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배기구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흡입구 또는 배출구보다 높게 위치한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haust port is located higher than the inlet or outlet of the body frame.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배기구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흡입구 또는 배출구와 45도 이상의 방위각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된다.Further,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haust port is formed at a position forming an azimuth angle of 45 degrees or more with the inlet or outlet of the body frame.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조리판과 교체 가능하며,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조리면을 통한 조리에 이용되고, 기름배출공이 형성된 제2 조리판을 포함한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cooking plate replaceable with the first cooking plate, used for cooking through a cooking surface heated by the heater, and having an oil discharge hole formed therein.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조리판은 에어프라이용 조리판이고, 상기 제2 조리판은 로스트용 조리판이다.In addition,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oking plate is a cooking plate for air frying, and the second cooking plate is a cooking plate for roasting.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제1 측면판과 상기 흡입구가 형성된 제2 측면판과 상기 히터 밑에 위치하며 상기 전동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관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된 밑판을 포함하는 제1 공기순환판을 포함한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frame includes at least a first side plate having the discharge port, a second side plate having the suction port, and at least located under the heater and passing the air blown through the electric fan. It includes a first air circulation plate including a bottom plate in which one through hole is formed.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공기순환판과 교체 가능하며,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제1 측면판과 상기 흡입구가 형성된 제2 측면판과 상기 히터 밑에 위치하며 기름배출공이 형성된 밑판을 포함하는 제2 공기순환판을 추가로 포함한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side plate with the discharge port and a second side plate with the suction port and a bottom plate with an oil discharge hole, which is interchangeable with the first air circulation plate, are provided.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air circulation plate comprising.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열풍을 이용한 조리 모드를 포함한 복수의 조리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모드 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되는 조리 모드에 따라 상기 히터 및 전동팬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제어하는 전원공급부를 추가로 포함한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ncludes a mode selector made to select one of a plurality of cooking modes including a cooking mode using the hot air, and at least one of the heater and the electric fan according to the selected cooking mode It further includes a power supply that controls differently.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조리 모드는 에어프라이 모드 및 로스트 모드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cooking modes include an air fry mode and a roast mode.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동팬은 상기 제1 조리판 하부 공간 중 상기 흡입구 측에 위치하며, 그 토출구가 공기를 상향으로 토출하도록 형성된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fan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suction port in the space under the first cooking plate, and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to discharge air upward.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조리기기에서 로스터 기능과 에어프라이어 기능을 같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hieve an effect of using a roaster function and an airfryer function together in one 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식 복합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식 복합 조리기기의 위쪽 대각선 방향의 분해조립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식 복합 조리기기의 로스트용 조리판의 분해조립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식 복합 조리기기의 에어프라이용 조리판의 분해조립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 및 조리판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식 복합 조리기기에 있어 공기 흐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 따른 덮개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조리기기에서 에어프라이 모드로 조리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irculation type complex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an air-circulating complex cooking apparatus in an upward diagonal direc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assembly view of a roast cooking plate of an air-circulating complex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assembly view of a cooking plate for air frying of an air-circulating complex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irculation plate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 cover and a cooking plate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ir flow in an air circulation type complex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a cover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being cooked in an air-fry mode in a composit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로스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electric roaster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조리기기는 본체 프레임, 전원공급부(250), 로스트용 조리판(320), 히터(420), 기름받이(510) 및 전동팬(52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composit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frame, a power supply unit 250, a roast cooking plate 320, a heater 420, and an oil tray 510. ) And an electric fan 520.

본체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10)으로 구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공기순환판(430)을 포함한다.The body frame includes a frame composed of an upper frame 100 and a lower frame 210 and an air circulation plate 430 installed in the frame.

상부 프레임(100)은 서로 대향하는 제1 장측벽(110) 및 제2 장측벽(120)과 이들 장측벽보다 짧게 형성된 제1 단측벽(130) 및 제2 단측벽(140)으로 구성된다.The upper frame 100 includes a first long side wall 110 and a second long side wall 120 facing each other, and a first short side wall 130 and a second short side wall 140 formed shorter than the long side walls.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부 프레임(100)은 세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되고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으로, 제1 장측벽(110) 및 제2 장측벽(120)과 제1 단측벽(130) 및 제2 단측벽(140)으로 둘러싸인 조리 공간을 제공한다. 상부 프레임(100)은 라운드 처리되지 않은 하나의 모서리 부분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전원공급부 수용부(150)를 포함한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frame 100 has three corners rounded and has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and the first long side wall 110 and the second long side wall 120 and the first short side wall 130 ) And a cooking space surrounded by the second short side wall 140. The upper frame 100 includes a power supply accommodating portion 150 in which an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at one corner portion that is not rounded.

제1 장측벽(110)과 제2 장측벽(120)에는 공기순환판(430)에 형성된 플랜지부가 안착되는 단턱부(190)가 형성되고, 제1 단측벽(130)과 제2 단측벽(140)에는 로스트용 조리판(320)의 양단에 형성된 손잡이(370)가 위치되는 손잡이홈(200)이 형성된다.The first long side wall 110 and the second long side wall 120 are provided with a stepped portion 190 on which a flange portion formed on the air circulation plate 430 is mounted, and the first short side wall 130 and the second short side wall ( In 140, a handle groove 200 in which handles 370 formed at both ends of the roast cooking plate 320 are located are formed.

하부 프레임(210)은 바닥면(230)과 바닥면(230)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제1 장측벽(110), 제2 장측벽(120), 제1 단측벽(130), 및 제2 단측벽(140)의 하부와 결합하는 4개의 측벽(220)을 포함한다. 하부 프레임(210)에는 전동팬(520)이 설치되는 전동팬 수용부가 형성된다. 전동팬(520)은 하부 프레임(210)의 바닥면(230)에서 삽입되어 설치된다.The lower frame 210 protrudes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230 and the bottom surface 230 to form a first long side wall 110, a second long side wall 120, a first short side wall 130, and a second end. It includes four sidewalls 220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wall 140. In the lower frame 210, an electric fan accommodating part in which the electric fan 520 is installed is formed. The electric fan 520 is installed by being inserted from the bottom surface 230 of the lower frame 210.

전원공급부 수용부(150)는 제1 장측벽(110)과 제1 단측벽(130)이 만나는 곳에서 대각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부 프레임(100)의 제1 장측벽(110) 및 제1 단측벽(130)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일체 형성된다. 여기서 연속적으로 일체 형성되었다 함은 예시적으로 사출 성형에 의해 하나의 피스로 일체 형성됨을 의미한다.The power supply receiving part 150 is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at a place where the first long side wall 110 and the first short side wall 130 meet, and the first long side wall 110 and the first end of the upper frame 100 It is integrally formed continuously from the side wall 130. Here, "continuously formed integrally" means that it is integrally formed into one piece by exemplifying injection molding.

전원공급부 수용부(150)는 상부 프레임(100)에만 형성되어 하부 프레임(210)에서 상부 프레임(100)을 분리할 때 전원공급부(250)를 프레임에서 분리할 필요가 없이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ower supply accommodating part 150 is formed only in the upper frame 100 so that when separating the upper frame 100 from the lower frame 210, there is no need to separate the power supply unit 250 from the frame.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lower frame.

전원공급부 수용부(150)는 조리 공간과 수용 공간을 구분하는 격벽(160)을 포함하고, 격벽(160)에는 전원공급부(250)와 히터(420)의 연결을 위한 제1 연결홀(170)과 전원공급부(250)와 전동팬(520)의 연결을 위한 제2 연결홀(180)을 포함한다. 격벽(160)은 제1 장측벽(110)의 단부 및 제1 단측벽(130)의 단부를 연결하며 일체로 형성된다.The power supply receiving unit 150 includes a partition wall 160 that divides the cooking space and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first connection hole 170 for connecting the power supply unit 250 and the heater 420 to the partition wall 160 And a second connection hole 180 for connecting the power supply unit 250 and the electric fan 520. The partition wall 160 connects the end of the first long side wall 110 and the end of the first short side wall 130 and is integrally formed.

전원공급부(250)는 전원공급부 수용부(150)에 결합되며, 히터(420) 및 전동팬(520)과 연결된다. 전원공급부(250)는 전원공급부 수용부(150)에 위치되어 밀어 넣거나 빼냄으로써 장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power supply unit 250 is coupled to the power supply unit receiving unit 150 and is connected to the heater 420 and the electric fan 520. The power supply unit 250 is located in the power supply unit accommodating unit 150 and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so that it can be mounted or detached by pushing in or removing it.

전원공급부(250)는 사용자 조작부와 컨트롤러(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사용자 조작부는 사용자로부터 조리와 관련된 각종 선택, 예컨대 모드 변경, 온도 설정, 시간 설정 등등에 대한 선택을 받을 수 있도록 각종 노브(knob) 또는 버튼이나 스위치를 포함한다.The power supply unit 250 includes a user operation unit and a controller (microprocessor). The user control unit includes various knobs or buttons or switches to receive various selections related to cooking from the user, such as mode change, temperature setting, time setting, and the like.

컨트롤러는 그러한 사용자의 선택에 맞추어 미리 설정된 조리 프로그램에 따라 히터(420) 또는 전동팬(520)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controls the heater 420 or the electric fan 520 according to a cooking program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전원공급부(250)에는 제1 모드와 제2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부(255; 도 6 참조)를 사용자 조작부에 포함하며, 그 모드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맞추어 컨트롤러는 히터(420), 전동팬(520), 또는 둘 다를 모드에 따라 전기적으로 다르게 제어한다.The power supply unit 250 includes a mode selection unit 255 (see FIG. 6) for selecting one of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on the user operation unit, and according to the mode selected by the mode selection unit, the controller includes a heater ( 420), the electric fan 520, or both are electrically controll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mode.

여기서, 제1 모드는 열풍 조리 모드로서, 예컨대, 에어프라이 모드이고, 제2 모드는 조리판(320)의 조리면을 통한 가열 조리모드로서, 예컨대, 로스트 모드이다.Here, the first mode is a hot air cooking mode, for example, an air frying mode, and the second mode is a heating cooking mode through a cooking surface of the cooking plate 320, for example, a roast mode.

로스트용 조리판(320)은 조리 공간에 위치하며, 제1 장측벽(1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되 일측에서 전원공급부(250)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 형상을 갖는 회피부(340)를 포함한다. 회피부(340)는 공기순환판(430)의 밑판(460)에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roast cooking plate 320 is located in the cooking space, and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long side wall 110, but has an avoiding shape for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power supply 250 at one side. ). The avoiding part 340 may b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bottom plate 460 of the air circulation plate 430.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회피부(340)는 로스트용 조리판(320)의 해당 모서리를 대각으로 절단하여 모따기 한 것과 같은 형태이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voiding part 340 has a shape such as chamfered by cutting a corresponding corner of the roast cooking plate 320 diagonally.

로스트용 조리판(320)은 장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장측모서리(350)와 단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단측모서리(360)를 포함하고, 한 쌍의 단측모서리(360) 각각에는 일체로 상방으로 연장되되 로스트용 조리판(320) 바깥 방향으로 절곡되어 더욱 연장 형성된 손잡이(370)를 포함한다.The roast cooking plate 320 includes a pair of long-side edges 350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 side walls and a pair of short-side edges 360 extending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hort side walls, and a pair of Each of the short-side corners 360 includes a handle 370 which is integrally extended upward and is bent in an outer direction of the roast cooking plate 320 to further extend.

로스트용 조리판(320)에는 중심부에 기름 배출공(33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로스트용 조리판(320)의 조리면은 가장자리부터 중심부의 기름 배출공(330)까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이 조리면을 따라 기름 배출공(330)으로 흐르기 쉽게 형성될 수 있다.An oil discharge hole 33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oast cooking plate 320. At this time, the cooking surface of the roast cooking plate 320 is formed in an inclined shape from the edge to the oil discharge hole 330 in the center, so that the oil generated in the cooking process flows into the oil discharge hole 330 along the cooking surface. Can be formed easily.

또한, 로스트용 조리판(320)의 하면에는 히터(420)가 장착되는 히터 장착부(380)가 형성되며, 히터(420)의 열이 히터(420)의 상부에 형성된 로스트용 조리판(320)에 전달되고 하부로는 전달되지 않도록 히터(420)의 하부를 덮으면서 설치되는 방열판(390)이 포함될 수 있다. 방열판(390)에 있어서 전원공급부(250)에 대응되는 모서리부에는 전원공급부(250)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체결홈을 가지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히터 전원연결단자(421)는 체결홈 내에 배치된다.In addition, a heater mounting portion 380 to which the heater 420 is mounted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oast cooking plate 320, and the roast cooking plate 320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eater 420 A heat sink 390 installed while covering the lower portion of the heater 420 may be included so as to be transmitted to and not transmitted to the lower portion. In the heat dissipation plate 390, a fastening part having a fastening groove is formed protruding toward the power supply part 250 at a corner corresponding to the power supply part 250. And the heater power connection terminal 421 is disposed in the fastening groove.

방열판(390)에는 기름 배출공(330)과 동일한 위치에 관통홀(410)이 형성된다.A through hole 410 is formed in the heat sink 390 at the same position as the oil discharge hole 330.

히터(420)는 로스트용 조리판(320)의 하부에 설치되고 히터 전원공급단자(27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음에 따라 로스트용 조리판(320)을 가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heater 420 is installed below the roast cooking plate 320 and serves to heat the roast cooking plate 320 as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heater power supply terminal 270.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공기순환판(430)은 제1 측면판(440), 제2 측면판(450) 및 밑판(460)을 포함한다. 밑판(460)은 하부를 형성하며, 양측에 제1 측면판(440) 및 제2 측면판(450)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air circulation plate 430 includes a first side plate 440, a second side plate 450, and a bottom plate 460. The base plate 460 forms a lower portion, and a first side plate 440 and a second side plate 450 are formed on both sides.

제1 측면판(440) 및 제2 측면판(450)은 판형으로 형성되며, 각각 배출구(470) 및 흡입구(470)로서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side plate 440 and the second side plate 450 ar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as an outlet 470 and a suction port 470,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서 제1 측면판(440) 및 제2 측면판(450)은 공기순환판(430)의 밑판(46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분리되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ide plate 440 and the second side plate 450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ttom plate 460 of the air circulation plate 430,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de in a separate structure. have.

제1 측면판(440) 및 제2 측면판(450)의 상단부에는 플랜지부(480)가 형성되어, 플랜지부(480)가 상부 프레임(110)의 단턱부(190)에 안착될 수 있다.A flange portion 480 is formed at upper ends of the first side plate 440 and the second side plate 450 so that the flange portion 480 may be seated on the stepped portion 190 of the upper frame 110.

밑판(460)에는 기름 배출공(490) 및 안착홀(500)이 형성되어 있다. 밑판(460)은 가장자리부터 중심부에 형성된 기름 배출공(490)까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base plate 460 has an oil discharge hole 490 and a seating hole 500 formed therein. The base plate 460 may be formed in an inclined shape from the edge to the oil discharge hole 490 formed in the center.

기름 배출공(490)은 공기순환판(430)의 밑판(460)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로스트용 조리판(320)의 기름 배출공(330)으로 배출된 기름이 공기순환판(430)의 기름 배출공(49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기름 배출공(490)은 원형이며 중앙에 하나 형성되어 있다. 기름 배출공(490)의 수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 사각형이나 그 이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oil discharge hole 49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460 of the air circulation plate 430. Oil discharged through the oil discharge hole 330 of the roast cooking plate 320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oil discharge hole 490 of the air circulation plate 430. At this time, the oil discharge hole 490 is circular and has one formed in the center. The number and shape of the oil discharge holes 490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plural, or may be formed in a square or other shape.

안착홀(500)은 밑판(460)의 가장자리에 복수개 위치되며, 로스트용 조리판(320)의 하측에 위치된 방열판(390)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돌출부(400)가 안착 또는 삽입된다. 복수의 고정돌출부(400)가 안착홀들(500)에 안착 또는 삽입되며 로스트용 조리판(320)과 히터(420) 및 방열판(390) 조립체의 위치가 결정되며, 그와 같이 결정된 위치에서 전원공급부(250)과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만약 일부의 고정돌출부(400)가 안착홀(500)에 안착 또는 삽입되지 못하면 방열판(390)의 체결부 위치가 전원공급부(250)의 히터 전원공급부(260)의 위치와 어긋나게 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지 못한다. 따라서, 복수의 고정돌출부(400)와 안착홀들(500)은 그러한 측면에서 안전 장치 역할을 하게 된다. 고정돌출부(400)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내열성이 우수한 고무 소재일 수 있다.A plurality of seating holes 500 are positioned at the edge of the bottom plate 460, and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400 formed on the heat sink 390 positioned below the roast cooking plate 320 are seated or inserted. A plurality of fixed protrusions 400 are seated or inserted in the mounting holes 500, and the positions of the roast cooking plate 320, the heater 420, and the heat sink 390 are determined, and the power source at the position determined as such is It can be combined with the supply unit 250. If some of the fixed protrusions 400 are not seated or inserted in the mounting hole 500,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part of the heat sink 390 is shifted from the position of the heater power supply 260 of the power supply unit 250, and electrical connection is made. I can't lose.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400 and the seating holes 500 serve as a safety device in that aspect. The fixed protrusion 400 may be a rubber material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방열판(390)에 안착홀(500)이 형성되고 밑판(460)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고정돌출부(400)가 형성될 수도 있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unting hole 500 may be formed in the heat sink 390 and a fixing protrusion 400 protruding upward may be formed in the base plate 460.

기름받이(510)는 하부 프레임(210) 바닥면(230)의 상면에 설치되어 로스트용 조리판(320)로부터 배출된 기름을 받아 저장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기름받이(510)는 쟁반 모양이며 바닥면(230)의 상면에 탈부착 되어 폐유의 수거 및 세척 시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기름받이(510)는 하부프레임에 서랍식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The oil tray 51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230 of the lower frame 210 to receive and store the oil discharged from the roast cooking plate 320.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il tray 510 has a tray shape and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230 to provide ease of collection and washing of waste oil.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il tray 510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to be able to withdraw in and out of a drawer type.

전동팬(520)은 제2 장측벽(120)보다 제1 장측벽(110)에 더 가까이 위치되어 형성된 전동팬 수용부에 설치된다. The electric fan 520 is installed in the electric fan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to be positioned closer to the first long side wall 110 than the second long side wall 120.

전동팬(520)은 조리판(320)의 하부 공간에 있어서 공기순환판(430)의 흡입구 및 배출구 중 흡입구 측에 더 가까이 설치되어,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조리판(320)의 하부 공간으로 토출한다.The electric fan 520 is installed closer to the inlet side of the inlet and outlet of the air circulation plate 430 in the lower space of the cooking plate 320, and sucks air through the inlet to the lower space of the cooking plate 320. To discharge.

한편, 에어프라이를 위해 로스트용 조리판(320)과 교체 사용될 수 있는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은 에어프라이용 조리판(320')이 포함된다. 로스트용 조리판(320)과 에어프라이용 조리판(320')이 반드시 함께 포함되도록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에어프라이용 조리판(320')이 로스트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에어프라이용 조리판(320')만 포함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oking plate 320 ′ for air frying as shown in FIG. 4 that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he cooking plate 320 for roasting for air frying is included. The cooking plate for roast 320 and the cooking plate 320 ′ for air frying are not necessarily included together, and the cooking plate 320 ′ for air frying may also be used for roasting. Only the used cooking plate 320 ′ may be included.

에어프라이용 조리판(320')의 조리면에는 복수의 조리판 관통홀(321)이 형성된다. 조리판 관통홀(3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판(320') 하부에 설치되는 히터 장착부(380')가 없는 부분에 복수개가 형성된다.A plurality of cooking plate through holes 321 are formed on the cooking surface of the air frying cooking plate 320 ′. As shown in FIG. 4, a plurality of through-holes 321 of the cooking plate are formed in a portion without the heater mounting part 380 ′ installed under the cooking plate 320 ′.

방열판(390')에는 복수의 방열판 관통홀(391)이 형성되어 전동팬(52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조리판 관통홀(321)로 향하는 것을 허용한다.A plurality of heat sink through holes 391 are formed in the heat sink 390 ′ to allow air introduced through the electric fan 520 to be directed to the cooking plate through holes 321.

방열판 관통홀(391) 및 조리판 관통홀(321)에 의해 조리판(320') 하부에서 상부로의 공기 흐름이 가능하게 된다.The heat sink through hole 391 and the cooking plate through hole 321 allow air to flow from the bottom of the cooking plate 320 ′ to the top.

또한, 에어프라이 조리를 위해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순환판 관통홀(431')이 형성된 에어프라이용 공기순환판(430')이 추가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ir circulation plate 430 ′ for air frying in which a circulation plate through hole 431 ′ is formed as shown in FIG. 5 may be added for air fry cooking.

에어프라이 모드에서는, 전동팬(52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순환판 관통홀(431'), 방열판 관통홀(391) 및 조리판 관통홀(321)을 관통하는 제1 유로로 흐르면서 히터(420) 및 조리판(320')에 의해 가열되어 조리판(320')의 상부로 빠져나가 조리대상물에 접촉하여 열풍에 의한 조리를 달성하게 된다.In the air-frying mode, the air sucked by the electric fan 520 flows through the circulation plate through hole 431 ′, the heat sink through hole 391 and the cooking plate through hole 321 to the first flow path, while the heater 420 ) And the cooking plate 320 ′, and exits to the top of the cooking plate 320 ′, and contacts the object to be cooked to achieve cooking by hot air.

한편, 조리판(320') 상부로 토출된 가열된 공기를 가둘 수 있도록 덮개(700)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a cover 700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to trap the heated air discharged to the top of the cooking plate 320 ′.

덮개(7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배기구(710)가 형성될 수 있다. 배기구를 통해 음식 재료가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수분이 배출될 수 있다.The cover 700 may have a plurality of exhaust ports 710 as shown in FIG. 7. Moisture generated when food ingredients are heated through the exhaust port may be discharged.

에어프라이 조리에서, 조리 대상물로부터 발생한 수분이 공기에 지속적으로 포함되면 열풍의 온도 상승을 제한하기 때문에 고온 및 건조 열풍 조리를 방해할 수 있다. 고기를 에어프라이 조리할 때 열풍의 온도에 따라서 맛이 크게 달라질 수 있는데, 수분이 많이 함유된 열풍은 그 수분이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열풍의 온도 상승을 방해하게 된다. 또한, 수분의 존재는 건조 열풍에 의한 조리를 방해하여 식감 또는 맛을 저하시킬 수 있다.In air fryer cooking, if moisture generated from an object to be cooked is continuously included in the air, it limits the temperature rise of the hot air, and thus it may hinder high temperature and dry hot air cooking. When meat is cooked in air fryer, the taste can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f the hot air, and the hot air containing a lot of moisture absorbs the heat energy and hinders the temperature increase of the hot air. In addition, the presence of moisture may interfere with cooking due to dry hot air, thereby reducing texture or taste.

배기구(710)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다시 흡입구(470)을 통해 흡입되면 공기 순환이 이루어져 수분 배출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8에 보이는 바와 같이 흡입구(470) 측에 형성되는 배기구(710)의 위치는 적어도 흡입구(470)보다 더 높은 위치(h2)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When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710 is again sucked through the inlet port 470, air is circulated and the moisture discharge effect may be reduced. In order to prevent this, as shown in FIG. 8,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ation of the exhaust port 710 formed on the side of the inlet port 470 is formed at a higher position h2 than the inlet port 470.

또한, 배출구(470)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배기구(710)을 통해 덮개(700)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출구(470) 측에 배기구(710)가 형성된다면 마찬가지로 배기구(710)의 위치는 배출구(470)보다 더 높은 위치(h1)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f the exhaust port 710 is formed on the outlet 470 side to preven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470 from flowing into the cover 700 through the exhaust port 710, the location of the exhaust port 710 is It is preferably formed at a higher position h1 than 470.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 9에 보이는 바와 같이, 배기구(710)의 위치는 흡입구(470) 또는 배기구(470)에 대해 방위각이 적어도 45도 이상이 되는 위치에 형성된다.In addition, preferably, as shown in FIG. 9, the position of the exhaust port 710 is formed at a position such that the azimuth angle with respect to the inlet port 470 or the exhaust port 470 is at least 45 degrees or more.

또한, 덮개(700)는 조리판(320')에 안착되며 설치 가능하여 조리판 상부만을 덮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ver 700 is mounted on the cooking plate 320 ′ and can be installed, so that it is preferable to cover only the top of the cooking plate.

바람직하게는, 덮개(700)는 외측테두리가 조리판(320')의 조리면을 벗어나지 않는 크기를 갖는다. 즉, 도 7에서 D1, D2의 길이가 D3, D4의 길이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cover 700 has a size such that the outer edge does not deviate from the cooking surface of the cooking plate 320 ′.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s of D 1 and D 2 do not exceed the lengths of D 3 and D 4 in FIG. 7.

덮개(700)에도 조리판(320')의 회피부와 대응되도록 모서리의 일측이 절개된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리판(320')의 회피부(340')처럼 해당 모서리를 대각으로 절단하여 모따기 한 것과 같은 형태이다.The cover 700 may also have a shape in which one side of the corner is cut to correspond to the avoiding portion of the cooking plate 320 ′. Specifically, like the avoiding portion 340 ′ of the cooking plate 320 ′, the corresponding edge is cut diagonally to be chamfered.

도 8 및 도 10을 통해 에어프라이 모드에서 조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A process of cooking in the air fry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10.

먼저, 전동팬(520)이 작동되면 흡입구(470)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어 공기순환판(430') 하부로 토출된다.First, when the electric fan 520 is operated, air is sucked through the inlet 470 and discharg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circulation plate 430'.

토출된 공기는 적어도 일부가 공기순환판(430'), 방열판(390') 및 조리판(320')에 형성된 각 관통홀들(431', 391, 321)을 거쳐 조리판(320') 상부로 유입된다.At least a portion of the discharged air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s 431 ′, 391 and 321 formed in the air circulation plate 430 ′, the heat dissipation plate 390 ′, and the cooking plate 320 ′ to the top of the cooking plate 320 ′. Flows into.

이때, 도 8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전동팬(520)의 토출구는 상향 경사져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는 소정의 각도(θ)로 상향 토출된다. 토출 방향이 상향되어 있기 때문에 조리판(320') 상부로의 열풍 흐름이 원활해지고 적당량의 풍량이 확보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8, since the discharge port of the electric fan 520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air is discharged up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θ. Since the discharge direction is upward, the flow of hot air to the top of the cooking plate 320 ′ is smooth and an appropriate amount of air can be secured.

조리판(320')의 관통홀(321)을 거쳐 상부로 흐르는 열풍은 도10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음식물에 직접 접촉되며, 이를 통해 음식물은 열풍에 의해 에어프라이 조리 방식으로 조리된다.The hot air flowing upward through the through hole 321 of the cooking plate 320' directly contacts the food as shown in FIG. 10, and through this, the food is cooked in an air fry cooking method by the hot air.

조리판(320') 상부로 유입된 열풍은 덮개(700)에 의해 적어도 일시적으로 갇혀, 음식물과 충분한 시간으로 접촉된다. 시간이 경과하면서 음식물의 수분이 증발하여 열풍의 수분 함량이 증가한다. 덮개(700) 내부의 열풍은 배기구(7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흡입구(470)를 통한 새로운 건조 공기가 가열되어 계속 공급되며 에어프라이어 조리가 계속 진행된다.The hot air flowing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oking plate 320 ′ is at least temporarily trapped by the cover 700 and is in contact with food for a sufficient time. Over time, the moisture of the food evaporates an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hot air increases. The hot air inside the cover 70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ort 710, and new dry air through the inlet 470 is heated and supplied continuously, and cooking of the air fryer continues.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it is obvious that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us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Modified example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have to be interpreted.

100: 상부 프레임 110: 제1 장측벽
120: 제2 장측벽 130: 제1 단측벽
140: 제2 단측벽 150: 전원공급부 수용부
210: 하부 프레임 220: 측벽
250: 전원공급부 253: 온도감지핀
260: 히터 전원공급부 270: 히터 전원공급단자
280: 전동팬 전원공급부 320: 조리판
340: 회피부 420: 히터
421: 히터 전원연결단자 430: 공기순환판
440: 제1 측면판 450: 제2 측면판
460: 밑판 470: 흡기구, 배출구
480: 플랜지부 490: 기름 배출공
500: 안착홀 510: 기름받이
520: 전동팬 700: 덮개
710: 배기구
100: upper frame 110: first long side wall
120: second long side wall 130: first short side wall
140: second short side wall 150: power supply receiving portion
210: lower frame 220: side wall
250: power supply 253: temperature detection pin
260: heater power supply unit 270: heater power supply terminal
280: electric fan power supply 320: cooking plate
340: avoidance unit 420: heater
421: heater power connection terminal 430: air circulation plate
440: first side plate 450: second side plate
460: bottom plate 470: inlet, outlet
480: flange portion 490: oil discharge hole
500: seating hole 510: oil tray
520: electric fan 700: cover
710: exhaust port

Claims (12)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1 조리판;
상기 제1 조리판 밑에 설치된 히터;
상기 제1 조리판 및 히터를 수용하고, 상기 제1 조리판 상부 일측에 흡입구와 타측에 배출구를 포함하는 본체 프레임;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 조리판 및 히터의 하부 공간으로 송풍하는 전동팬; 및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고 상기 제1 조리판의 관통홀을 통과한 열풍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가두기 위해 상기 제1 조리판을 덮는 덮개
를 포함하는,
공기 순환식 복합 조리기기.
A first cooking plate includ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A heater installed under the first cooking plate;
A main body frame accommodating the first cooking plate and the heater, and including a suction port on one side of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oking plate and an outlet on the other side;
An electric fan that sucks air through the inlet and blows air to the lower space of the first cooking plate and the heater; And
A cover for covering the first cooking plate to at least temporarily confine hot air heated by the heater and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cooking plate
Containing,
Combined air-circulating cook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제1 조리판에 안착되며 덮는 ,
공기 순환식 복합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ver is seated on and covered by the first cooking plate,
Combined air-circulating cook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배기구를 포함하는,
공기 순환식 복합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ver includes an exhaust port,
Combined air-circulating cook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흡입구 또는 배출구보다 높게 위치하는,
공기 순환식 복합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exhaust port is located higher than the inlet or outlet of the body frame,
Combined air-circulating cook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흡입구 또는 배출구와 45도 이상의 방위각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된,
공기 순환식 복합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exhaust port is formed at a position forming an azimuth angle of 45 degrees or more with the inlet or outlet of the body frame,
Combined air-circulating cook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리판과 교체 가능하며,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조리면을 통한 조리에 이용되고, 기름배출공이 형성된 제2 조리판을 포함하는,
공기 순환식 복합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
Including a second cooking plate replaceable with the first cooking plate, used for cooking through a cooking surface heated by the heater, and formed with an oil discharge hole,
Combined air-circulating cook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리판은 에어프라이용 조리판이고, 상기 제2 조리판은 로스트용 조리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식 복합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cooking plate is a cooking plate for air frying, and the second cooking plate is a cooking plate for roasting,
Combined air-circulating cook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제1 측면판과 상기 흡입구가 형성된 제2 측면판과 상기 히터 밑에 위치하며 상기 전동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관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된 밑판을 포함하는 제1 공기순환판을 포함하는,
공기 순환식 복합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frame,
A first air circulation plate including a first side plate having the discharge port, a second side plate having the inlet port, and a bottom plate located under the heater and having at least one through-hole penetrating the air blown by the electric fan. Containing,
Combined air-circulating cook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순환판과 교체 가능하며,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제1 측면판과 상기 흡입구가 형성된 제2 측면판과 상기 히터 밑에 위치하며 기름배출공이 형성된 밑판을 포함하는 제2 공기순환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공기 순환식 복합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8,
A second air circulation plate that is replaceable with the first air circulation plate and includes a first side plate having the discharge port, a second side plate having the inlet port, and a bottom plate having an oil discharge hole formed under the heater. Included,
Combined air-circulating cook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을 이용한 조리 모드를 포함한 복수의 조리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모드 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되는 조리 모드에 따라 상기 히터 및 전동팬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제어하는,
전원공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공기 순환식 복합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
Including a mode selector made to select one of a plurality of cooking modes including a cooking mode using the hot air, and differently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heater and the electric fan according to the selected cooking mode,
Further comprising a power supply,
Combined air-circulating cook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리 모드는 에어프라이 모드 및 로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식 복합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0,
The plurality of cooking modes include an air fry mode and a roast mode,
Combined air-circulating cook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팬은 상기 제1 조리판 하부 공간 중 상기 흡입구 측에 위치하며, 그 토출구가 공기를 상향으로 토출하도록 형성된,
공기 순환식 복합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ic fan is located at the suction port side of the space under the first cooking plate, and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to discharge air upward,
Combined air-circulating cooker.
KR1020190060429A 2019-05-23 2019-05-23 Air Circulation Type Complex Cooking Device KR2020013466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429A KR20200134664A (en) 2019-05-23 2019-05-23 Air Circulation Type Complex Cook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429A KR20200134664A (en) 2019-05-23 2019-05-23 Air Circulation Type Complex Cook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664A true KR20200134664A (en) 2020-12-02

Family

ID=73791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429A KR20200134664A (en) 2019-05-23 2019-05-23 Air Circulation Type Complex Cook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466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5147B1 (en) Heating appliance for cooking
KR101680521B1 (en) Air rotation type roaster
EP0023827A1 (en) Cooking appliance of hot air circulating type
JP6203981B1 (en) Air circulation type electric roaster
US20090250452A1 (en) Steam Convection Oven
US6362459B1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roaster oven with digital control assembly
JPS6313091B2 (en)
CN110613366A (en) Air fryer with frying and baking functions
US7005616B2 (en) Cook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cooking sets to cook foods in different cooking modes
US6953920B2 (en) Combination microwave oven and steamer
CN110916485A (en) Steaming and baking device
KR20090015217A (en) Air circulation type electric frying pan
KR20200116647A (en) Air Circulation Type Complex Cooking Device
KR20200134664A (en) Air Circulation Type Complex Cooking Device
CN211911274U (en) Cooking utensil
US20240049910A1 (en) Cooking expansion module
JP3731285B2 (en) Hot plate
JPS5918322A (en) Heat-cooking utensil
KR101708435B1 (en) Oven-tray oven to combine
CN218279353U (en) Multipurpose air fryer
CN214548828U (en) Pot cover subassembly and machine of cooking
JP2015072094A (en) Heating cooker
CN216534973U (en) Cooking device with air frying function
CN114073421B (en) Cooking utensil
US20230130495A1 (en) Apparatus For Cooking With Ventilated Hot Air And/Or For Grilling F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