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3480A -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3480A
KR20200133480A KR1020190058725A KR20190058725A KR20200133480A KR 20200133480 A KR20200133480 A KR 20200133480A KR 1020190058725 A KR1020190058725 A KR 1020190058725A KR 20190058725 A KR20190058725 A KR 20190058725A KR 20200133480 A KR20200133480 A KR 20200133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astening
connection
multifunctional portable
portable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수
김열매
Original Assignee
김기수
김열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수, 김열매 filed Critical 김기수
Priority to KR1020190058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3480A/ko
Publication of KR20200133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34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2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04D29/023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내장되고, 사용자의 목 둘레를 감싸면서 양끝단이 사용자의 앞 가슴을 향해 연장되며, 양끝단 각각에 접속포트가 구비된 본체부; 회전에 의해 바람을 발생시키는 날개가 구비된 복수의 송풍부; 및 상기 접속포트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접속단자가 일측 끝단에 형성되고, 타측 끝단에 상기 송풍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연질의 관체에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송풍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라인 및 외력에 의해 형상이 조절되는 스프링 형상의 철심이 내장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MULTIFUNCTIONAL PORTABLE FAN}
본 발명은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하여 사용해 사용할 수 있으며, 본체부와 송풍부를 분리시켜 각각 다른 전자장치와 호환하여 사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풍기는 거치형과 벽걸이형이 있으며, 거치형은 바닥에 세워 사용하고, 벽걸이형은 벽에 걸어 사용한다. 이러한 선풍기는 전동기의 축에 날개를 설치하여 날개가 회전하면서 바람을 일으켜 열을 식혀주는데 사용한다.
또한, 근래에 들어서는 휴대용 선풍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휴대용 선풍기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와, 손잡이의 상단에 망으로 이루어진 헤드와, 헤드 내부에 설치되는 날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휴대용 선풍기는 휴대할 수 있는 작은 사이즈로 제조되어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필히 손으로 파지해야 하므로 한쪽 손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목에 착용할 수 있으며 날개가 구비된 헤드부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와 송풍부를 분리시켜 각각 다른 전자장치와 호환하여 사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내장되고, 사용자의 목 둘레를 감싸면서 양끝단이 사용자의 앞 가슴을 향해 연장되며, 양끝단 각각에 접속포트가 구비된 본체부; 회전에 의해 바람을 발생시키는 날개가 구비된 복수의 송풍부; 및 상기 접속포트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접속단자가 일측 끝단에 형성되고, 타측 끝단에 상기 송풍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연질의 관체에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송풍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라인 및 외력에 의해 형상이 조절되는 스프링 형상의 철심이 내장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내부에 방향제 또는 방충제가 수납되고, 외측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방향커버를 포함하는 방향부; 및 상기 방향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방향제의 향기를 상기 방향커버의 외부로 확산시키는 확산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외측에 바람이 이동되게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날개 및 상기 날개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구비된 헤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상기 날개가 내부에 구비되는 헤드부재의 후면 내측에 부착되고, 바람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 및 바람의 이동 방향과 반대하는 방향으로 광을 발광시키는 조명부재; 및 상기 헤드부재의 후면 외측에 부착되는 흡착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관체의 일측에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접속단자가 형성된 접속부재; 및 상기 관체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송풍부를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양단 각각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포트에 결합된 상기 연결부의 일측을 체결하거나, 체결 해제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일측이 상기 접속포트와 인접한 상기 본체부의 양단 각각에 연결되고, 타측에 형성된 체결돌기가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홈에 걸어짐으로써 상기 본체부와 상기 연결부를 체결시키는 체결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몸체의 타측을 체결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체결돌기를 상기 체결홈으로부터 해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연질의 방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접속포트와 상기 접속단자의 결합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된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할 수 있으며 날개가 구비된 헤드부가 회전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바람의 방향을 조절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는 본체부와 연결된 송풍부가 USB 포트를 통해 연결되고 서로 분리되기 때문에, 본체부 또는 송풍부를 각각 다른 전자장치와 호환하여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를 설명하기 전면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의 송풍부 및 연결부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의 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의 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의 송풍부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10)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목을 감싸는 형태의 본체부(100) 양끝단에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부(200)를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양 손의 제한 없이 선풍기를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10)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송풍부(200)와 본체부(100)의 분리가 가능하며, 본체부(100) 및 송풍부(200)를 다른 전자장치와 호환하여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10)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1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10)를 설명하기 전면 위한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10)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10)의 송풍부(200) 및 연결부(300)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10)의 본체부(1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10)의 본체부(1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10)의 송풍부(200)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 사시도 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10)는 본체부(100), 송풍부(200), 연결부(300) 및 체결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사용자의 목 뒤를 감싸면서 양끝단이 목의 전면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부(100)는 사용자 목의 하부로 내려오도록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B) 및 전선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00)는 착용의 편의성을 위해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00)의 일측에는 후술할 송풍부(200)의 날개(201)를 동작시키는 전원버튼(P) 및 날개(201)의 회전 세기를 조절하는 풍량버튼(S)이 마련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양끝단 각각에는 접속포트(101)가 형성될 수 있다. 접속포트(101)는 USB 포트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접속포트(101)는 USB 포트 외에도 다양한 형태 및 다양한 규격을 갖는 입출력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접속포트(101)는 PS/2포트, AUX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포트(101)는 후술하는 송풍부(200)가 접속될 수 있으며, 접속포트(101)를 통해 배터리(B)의 전원이 송풍부(200)로 공급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일측에는 접속포트(10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보조포트(102)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포트(102)는 사용자가 본체부(100)를 목에 착용하지 않고 책상 등의 바닥면에 위치시켰을 때 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포트(102)에는 접속포트(101)에서 분리된 송풍부(200)의 접속단자(321)가 접속되거나, 또는, 다른 전자장치와 연결되어 해당 전자장치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본체부(100)가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는 착용모드에서는 송풍부(200)를 접속포트(101)에 접속시켜 사용하고, 본체부(100)가 바닥면에 위치되는 거치모드에서는 송풍부(200)를 보조포트(102)에 접속시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10)는 사용자가 선풍기를 착용하지 않더라도 거치모드를 통해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10)의 본체부(100)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들이 포함될 수 있다.
첫 번째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후면에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B)를 충전시키기 위한 태양광패널(110)이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태양광패널(110)은 사용자가 본체부(100)를 착용했을 때 목과 접촉되지 않는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체부(100)를 착용한 상태로 야외에서 보행할 때에도 태양광을 통해 배터리(B)를 충전시킬 수 있다.
두 번째 일 예로, 본체부(100)의 일측에는 전자파 차폐필름(미도시)이 부착될 수 있다. 전자파 차폐필름은 사용자와 인접하게 위치된 전자장치로부터 발생된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다.
세 번째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내측에는 저주파패드(120)가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100)의 내측이라 함은 사용자의 목과 접촉되는 본체부(100)의 일측을 뜻 할 수 있다.
저주파패드(12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B)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저주파패드(120)는 사용자의 목에 접촉되어 저주파 전류를 방출시키고, 신경, 근에 전기를 자극시킴으로써 사용자 목의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부(100)의 일측에는 저주파패드(120) 대신 사용자 목을 마사지 하기 위해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 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네 번째 일 예로, 본체부(100)는 블루투스 모듈(미도시), 이어폰(미도시),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은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은 사용자의 휴대기기와 근거리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00)의 일측에는 이어폰 및 스피커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블루투스 모듈과 통신하는 휴대기기에서 재생되는 음원은 스피커 또는 이어폰 중 어느 하나로 출력될 수 있다.
다섯 번째 일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는 일측 내부에 방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부(130)는 본체의 내부에 위치되며, 일측이 본체부(100)의 외측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일 예로, 방향부(130)의 내부에는 방향제 또는 방충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방향부(130)의 개방된 일측에는 방향커버(131)가 구비될 수 있다. 방향커버(131)는 외측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방향커버(131)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은 방향부(130)의 내부에 수납된 방향제 또는 방충체가 외부로 확산될 수 있다.
또한, 방향부(130)에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확산팬(140)이 구비될 수 있다. 확산팬(140)은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확산팬(140)은 수납공간에 구비된 방향제 또는 방충제를 외부로 더욱 멀리 확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향부(130)에 수납된 방향제는 아로마오일일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모기 기피제와 같은 해충 기피제와 같은 방충제가 선택적으로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방향부(130)에는 초음파 모기 퇴치장치가 수납될 수 있다. 참고로, 초음파 모기 퇴치장치는 본체부(100)에 형성된 스피커에 형성되어도 무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10)는 송풍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부(200) 한 쌍으로 이루어져 본체부(100)의 양끝단 각각에 연결될 수 있으며, 날개(201)의 회전에 의해 바람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송풍부(200)는 날개(201)를 보호하는 헤드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부(200)의 헤드부재(210)는 원통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중공된 내부에 날개(201) 및 날개(201)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헤드부재(210)의 외측에는 날개(201)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바람이 통풍 가능하게 다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헤드부재(210)의 후면(즉, 날개(201)에 의해 발생된 바람의 이동 방향과 반대하는 방향) 외측에는 흡착패드(212)가 부착될 수 있다. 흡착패드(212)는 유리 또는 거울과 같이 표면이 매끄러운 곳에 손쉽게 부착되거나 탈착됨으로써 송풍부(200)를 거치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재(210)의 후면 내측에는 조명부재(211)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명부재(211)는 LED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재(211)에서 발광된 광은 날개(201)에 의해 발생된 바람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 및 바람의 이동 방향과 반대하는 방향으로 발광될 수 있다.
예컨대, 조명부재(211)가 바람의 이동 방향과 반대하는 방향으로 발광할 때, 헤드부재(210)는 조명부재(211)와 대응하는 위치가 투광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명부재(211)는 별도의 스위치를 통해 광을 발광시키거나 날개(201)를 동작시키는 스위치와 맞물려 날개(201)가 동작될 때 광을 발광시킬 수 있다.
즉, 송풍부(200)는 날개(201)가 회전할 때 조명부재(211)에서 발광된 광으로 인해 날개(201)의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송풍부(200)의 동작 시 조명으로 인해 심미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송풍부(200)의 날개(201)는 본체부(101)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본체부(101)의 내부에 위치된 날개(201)가 회전하면, 날개(201)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바람이 관체(310)를 통과하여 헤드부재(210)를 통해 방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날개(201)가 본체부(101)의 내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머리카락이 날개(201)에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이 날개(201)에 의해 부상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송풍부(200)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필터삽입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헤드부재(210)의 전면 또는 측면에는 공기중의 미세먼지를 걸러내기 위한 필터가 삽입되는 필터삽입부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날개(201)가 본체부(100)의 내부에 위치될 경우 필터삽입부 역시 본체부(10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날개(201)를 회전시키는 모터의 회전 방향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제어함으로써 바람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10)는 필터삽입부에 필터를 장착함으로써 휴대용 공기청정기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송풍부(200)의 일측에는 연결부(300)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300)는 일측이 본체부(1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송풍부(200)를 향해 연장되어 송풍부(200)와 본체부(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관체(310), 접속부재(320) 및 회전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관체(310)는 일부가 절곡 또는 만곡의 형태를 유지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관체(310)의 내부에는 외력에 의해 형상이 조절되는 스프링 형상의 철심(311)이 내장될 수 있다. 관체(310)에 내장된 철심(311)은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화된 상태 즉, 절곡 또는 만곡된 상태에서 해당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관체(310)에 내장된 철심(311)은 절곡 또는 만곡되어 송풍부(200)의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관체(310)에는 본체부(100)로부터 송풍부(2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라인(312)이 내장될 수 있다.
연결부(300)의 관체(310)의 일측에는 접속부재(320)가 형성될 수 있다. 접속부재(320)는 본체부(100)에 형성된 접속포트(101)에 접속될 수 있다. 접속부재(320)에는 접속포트(101)에 접속되기 위한 접속단자(32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속단자(321)는 USB 단자일 수 있다. 접속부재(320)가 접속포트(101)에 접속되면 송풍부(200)는 배터리(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날개(201)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바람이 발생될 수 있다.
접속부재(320)의 일측에는 홈 형태의 체결홈(322)이 형성될 수 있다. 접속부재(320)에 형성된 체결홈(322)은 연결부(300)와 본체부(100)를 체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체결부(400)를 설명할 때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연결부(300)의 타측에는 회전부재(330)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재(330)는 송풍부(200)가 연결부(300)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재(210)는 연결부(300)의 회전부재(330)에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부(30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부(200)는 회전을 통해 바람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100)의 양끝단 각각에는 체결부(400)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400)는 본체부(100)와 연결부(300)를 체결시키거나, 또는 체결을 해제 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체결부(400)는 체결돌기(411)가 형성된 체결몸체(41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몸체(410)는 일측이 본체부(100)의 양끝단 각각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이 연결부(300)의 접속부재(32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체결몸체(410)의 타측에는 체결 방향으로 체결돌기(4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체결돌기(411)는 송풍부(200)의 접속부재(320)가 접속포트(101)에 접속됐을 때 체결몸체(410)와 접속부재(320)가 접촉하는 체결몸체(410)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연결부(300)의 접속부재(320)에는 체결돌기(411)와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돌기(411)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홈(322)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411)는 연결부(300)의 접속부재(320)가 본체부(100)의 접속포트(101)에 접속될 때, 체결홈(322)에 걸어짐으로써 본체부(100)와 연결부(300)를 체결시킬 수 있다.
체결몸체(410)에 형성된 체결돌기(411)를 접속부재(320)의 체결홈(322)으로부터 해제할 때에는 체결몸체(410)의 타측을 체결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체결돌기(411)를 체결홈(322)으로부터 체결 해제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체결몸체(410)의 타측은 체결방향과 반대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 절곡되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체결몸체(410)의 타측에 손가락을 파지하여 쉽게 체결몸체(410)를 잡아 당길 수 있다.
체결부(400)는 본체부(100)와 연결부(300)의 결합 부위를 감사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커버부재는 본체부(100)의 접속포트(101)와 접속부재(320)의 접속단자(321)의 결합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는 연질의 방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속포트(101)와 접속단자(321)의 결합 부위에 물 또는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는 접속포트(101)와 접속단자(321)를 감싸기 때문에 접속포트(101)와 접속단자(32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1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풍부(200)는 연결부(300)를 통해 본체부(100)로부터 체결 및 체결 해제됨으로써 분리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본체부(100)로부터 분리된 송풍부(200)는 본체부(100)의 보조포트(102)에 접속됨으로써 선풍기를 거치모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10)는 송풍부(200)와 접속포트(101)로 접속되고, 해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본체부(100)의 접속포트(101)에 다른 전자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본체부(100)의 접속포트(101)에는 휴대전화기기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고, 본체부(100)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B)의 전원을 휴대전화기기로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부(200)의 체결이 해제된 본체부(100)의 접속포트(101)에는 온열 또는 발열장치(M)가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온열 또는 발열장치는 전원이 공급되면 발열하는 온열 손장갑 또는 온열 목도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10)는 여름과 같이 기온이 높을 때에 본체부(100)와 송풍부(200)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겨울과 같이 기온이 낮을 때에 본체부(100)와 온열 또는 발열 장치를 연결함으로써 기온에 따라 필요로 하는 제품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체부(100)로부터 분리된 송풍부(200)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데스크탑의 본체 또는 노트북(N)의 본체에 연결되어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10)는 본체부(100)와 송풍부(200)가 분리되기 때문에, 본체부(100) 및 송풍부(200)를 다른 전자장치와 호환하여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
100: 본체부
200: 송풍부
201: 날개
210: 헤드부
300: 연결부
310: 관체
320: 접속부재
330: 회전부재
400: 체결부

Claims (11)

  1.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내장되고, 사용자의 목 둘레를 감싸면서 양끝단이 사용자의 앞 가슴을 향해 연장되며, 양끝단 각각에 접속포트가 구비된 본체부;
    회전에 의해 바람을 발생시키는 날개가 구비된 복수의 송풍부; 및
    상기 접속포트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접속단자가 일측 끝단에 형성되고, 타측 끝단에 상기 송풍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연질의 관체에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송풍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라인 및 외력에 의해 형상이 조절되는 스프링 형상의 철심이 내장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내부에 방향제 또는 방충제가 수납되고, 외측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방향커버를 포함하는 방향부; 및
    상기 방향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방향제의 향기를 상기 방향커버의 외부로 확산시키는 확산팬을 포함하는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외측에 바람이 이동되게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날개 및 상기 날개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구비된 헤드부재를 포함하는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상기 날개가 내부에 구비되는 헤드부재의 후면 내측에 부착되고, 바람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 및 바람의 이동 방향과 반대하는 방향으로 광을 발광시키는 조명부재; 및
    상기 헤드부재의 후면 외측에 부착되는 흡착패드를 포함하는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관체의 일측에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접속단자가 형성된 접속부재; 및
    상기 관체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송풍부를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양단 각각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포트에 결합된 상기 연결부의 일측을 체결하거나, 체결 해제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일측이 상기 접속포트와 인접한 상기 본체부의 양단 각각에 연결되고, 타측에 형성된 체결돌기가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홈에 걸어짐으로써 상기 본체부와 상기 연결부를 체결시키는 체결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몸체의 타측을 체결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체결돌기를 상기 체결홈으로부터 해제시키는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연질의 방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접속포트와 상기 접속단자의 결합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된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사용자의 목에 접촉되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저주파 전류를 방출하는 저주파패드 또는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부착되는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태양광패널이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
  11.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내장되고, 사용자의 목 둘레를 감싸면서 양끝단이 사용자의 앞 가슴을 향해 연장되며, 양끝단 각각에 접속포트가 구비된 본체부;
    회전에 의해 바람을 발생시키는 날개가 구비된 복수의 송풍부; 및
    상기 접속포트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접속단자가 일측 끝단에 형성되고, 타측 끝단에 상기 송풍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연질의 관체에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송풍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라인 및 외력에 의해 형상이 조절되는 스프링 형상의 철심이 내장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내부에 방향제 또는 방충제가 수납되고, 외측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방향커버를 포함하는 방향부;
    상기 방향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방향제의 향기를 상기 방향커버의 외부로 확산시키는 확산팬;
    사용자의 목에 접촉되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저주파 전류를 방출하는 저주파패드;
    사용자의 목에 접촉되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패드; 및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태양광패널을 포함하는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

KR1020190058725A 2019-05-20 2019-05-20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 KR202001334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725A KR20200133480A (ko) 2019-05-20 2019-05-20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725A KR20200133480A (ko) 2019-05-20 2019-05-20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480A true KR20200133480A (ko) 2020-11-30

Family

ID=73641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725A KR20200133480A (ko) 2019-05-20 2019-05-20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34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0441B1 (ko) * 2021-03-23 2022-08-09 (주)블루베리 다기능 넥밴드
KR102632915B1 (ko) * 2023-09-11 2024-02-01 정원석 목걸이형 선풍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0441B1 (ko) * 2021-03-23 2022-08-09 (주)블루베리 다기능 넥밴드
KR102632915B1 (ko) * 2023-09-11 2024-02-01 정원석 목걸이형 선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5295B2 (en) Outdoor umbrella with built-in electro control panel
KR101353833B1 (ko) 헬멧, 후드, 및 후드를 헬멧에 유지하여 후드 안면 보호대의 곡률 반경이 안면 보호대를 따라 변하도록 하기 위한 고정 시스템을 포함하는 의료/수술용 개인용 보호 시스템
US20100064542A1 (en) Hair drying apparatus
KR20200133480A (ko)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
US7481547B2 (en) Functional umbrella hub
US10980193B2 (en) Piggyback working appliance, piggyback blower, and control handle assembly
KR200488413Y1 (ko) 다기능 블루투스 이어폰
KR102020302B1 (ko) 기능성 휴대용 손 선풍기
JP2003323803A (ja) 改良型耳装着ライト
CN109579200B (zh) 运动挂载装置
JP2011515114A (ja) 送風機付きビデオゲーム制御装置
JP3173011U (ja) 携帯型扇風機及び携帯型扇風機を装着可能な上着
CN212106302U (zh) 一种挂脖式风扇
CN211874774U (zh) 挂脖风扇
CN112781231A (zh) 热风机
CN214742192U (zh) 挂脖风扇
CN215860859U (zh) 便携风扇
CN214791918U (zh) 热风机
KR200492754Y1 (ko) 목걸이형 선풍기
KR20110000279U (ko) 모기퇴치기능이 부가된 선풍기
JP2009112740A (ja) 周辺防音個人集中マスク
KR102095903B1 (ko) 휴대용 선풍기
CN209897249U (zh) 一种头戴式风扇音响
KR20190036902A (ko) 다기능 간이 선풍기
KR20200059629A (ko) 복수 개의 팬을 구비한 휴대용 선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