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2651A - Coupling assembly for pipe branching - Google Patents

Coupling assembly for pipe branch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2651A
KR20200132651A KR1020190173782A KR20190173782A KR20200132651A KR 20200132651 A KR20200132651 A KR 20200132651A KR 1020190173782 A KR1020190173782 A KR 1020190173782A KR 20190173782 A KR20190173782 A KR 20190173782A KR 20200132651 A KR20200132651 A KR 20200132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inlet pipe
expansion groove
coupling assembly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7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75178B9 (en
KR102275178B1 (en
Inventor
이상헌
한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아세아조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아세아조인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아세아조인트
Priority to JP2021568829A priority Critical patent/JP7296665B2/en
Priority to PCT/KR2020/006375 priority patent/WO2020235870A1/en
Priority to CN202080036488.7A priority patent/CN113840998B/en
Priority to US17/611,807 priority patent/US11898680B2/en
Publication of KR20200132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6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178B1/en
Publication of KR102275178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178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4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 F16L41/06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making use of attaching means embrac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01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the wall being a pipe plat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assembly for branching a pipe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upling assembly for branching a pipe, capable of reducing an assembly man-hour, reducing construction costs by simplifying a configuration, and effectively preventing a leakage of a fluid branched even when a diameter of a branching hole formed in an inlet pipe increases to increase a flow rate inside a branch pipe supplying the fluid to a sprinkler. To this 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assembly comprises: an inlet pipe having a branch hole for branching an inflow fluid; a branch pip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pipe so that the fluid branched through the branch hole flows; and a coupler interconnecting the inlet pipe and the branch pipe. The coupler includes: a body unit surrounding a circumference of the branch hole; a fixing unit disposed to face the body unit about the inlet pipe and fixing the body unit to the inlet pipe; and a gasket unit disposed between the body unit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to prevent leakage of the branched fluid while being pressed by the body unit. The coupl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degree of pressing the gasket unit by the body unit increases as a distance from the branch hole increases.

Description

파이프 분기용 커플링 어셈블리{Coupling assembly for pipe branching}Coupling assembly for pipe branching

본 발명은 파이프 분기용 커플링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공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구성이 단순화되어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스프링클러로 유체를 공급하는 분기 파이프 내부의 유량 증가를 위해 유입 파이프에 형성된 분기홀의 직경이 증가하는 경우에도 분기되는 유체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파이프 분기용 커플링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assembly for branching a pip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ssembly man-hour, simplify the construction, and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and increase the flow rate inside the branch pipe supplying the fluid to the sprinkl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assembly for branching a pipe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leakage of a branched fluid even when the diameter of the branching hole formed in the inlet pipe is increased.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공동주택 등의 건축물 각층에는 그 천정 주위에 화재 발생 시 화재를 감지하여 고압의 유체를 자동 살수함으로써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된 스프링클러가 설치된다.In general, a sprinkler equipped with a sensor for extinguishing a fire early is installed on each floor of a building such as a building or an apartment house by detecting a fire when a fire occurs around the ceiling and automatically spraying high-pressure fluid.

이를 위하여 외부로부터 유체를 공급하는 메인 파이프가 설치되고, 이러한 메인 파이프에 다수의 스프링클러가 설치되는 유입 파이프가 연통 설치되며, 유입 파이프에는 스프링클러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분기 파이프가 설치된다.To this end, a main pipe supplying fluid from the outside is installed, an inlet pipe in which a plurality of sprinklers are installed in communication is installed in the main pipe, and a branch pipe for supplying fluid to a sprinkler is installed in the inlet pipe.

다만, 종래의 경우 유입 파이프와 분기 파이프를 연통 설치하기 위해 유입 파이프에 형성된 분기홀에 분기 파이프를 용접하는 방식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분기가 형성된 T형 파이프에 유입 파이프와 분기 파이프를 각각 설치하는 방식으로 상호 유체 연통시켰으나, 이와 같은 방식은 조립 공수가 많이 소요되고, 부품수가 많아 시공 비용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ase, in order to connect the inlet pipe and the branch pipe, the branch pipe is welded to the branch hole formed in the inlet pipe, or the inlet pipe and the branch pipe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branched T-shaped pipe. Although fluid communication was performed with each other, this method required a lot of assembly man-hours and had a problem of wasting construction costs due to a large number of parts.

또한, 스프링클러로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 증가를 위해 유입 파이프에 형성된 분기홀의 직경을 증가시킬 경우 유체가 누설되는 문제도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diameter of the branch hole formed in the inlet pipe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flow rate of the fluid supplied to the sprinkl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luid leaks.

따라서 상기한 문제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조립 공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구성이 단순화되어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파이프 분기용 커플링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upling assembly for branching pipes that can reduce assembly man-hours, simplify construction, and reduce construction costs.

또한, 스프링클러로 유체를 공급하는 분기 파이프 내부의 유량 증가를 위해 유입 파이프에 형성된 분기홀의 직경이 증가하는 경우에도 분기되는 유체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파이프 분기용 커플링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coupling assembly for branching pipes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leakage of branched fluid even when the diameter of the branching hole formed in the inlet pipe increases in order to increase the flow rate inside the branch pipe supplying the fluid to the sprinkler. To do.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는 유입 유체의 분기를 위한 분기홀이 형성된 유입 파이프와, 상기 분기홀을 통해 분기된 유체가 흐르도록 상기 유입 파이프와 연통된 분기 파이프, 및 상기 유입 파이프와 상기 분기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는 커플러를 포함하는 커플링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분기홀의 둘레를 감싸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와 상기 유입 파이프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부에 의해 가압되면서 분기되는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가스켓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부에 의한 상기 가스켓부의 가압 정도는 상기 분기홀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증가하도록 구성된다.The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n inlet pipe having a branch hole for branching of the inflow fluid, and a branch pip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pipe so that the fluid branched through the branch hole flows, And a coupler interconnecting the inlet pipe and the branch pipe, wherein the coupler is disposed between a body portion surrounding the branch hol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and the A gasket portion for preventing leakage of a branched fluid while being pressurized by the body portion, wherein a degree of pressurization of the gasket portion by the body portion is configured to increase along a direction away from the branch hole.

이때, 상기 가스켓부에는 상기 바디부에 형성된 가압면에 의해 가압되면서 유체 누설을 방지하는 베이스가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가압면에 의한 가압 정도가 상기 분기홀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증가하도록 보강면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asket portion has a base that prevents fluid leakage while being pressurized by a pressing surface formed in the body portion, and the base has a reinforcing surface so that the degree of pressing by the pressing surface increases along a direction away from the branch hole. Can be formed.

이때, 상기 보강면은 상기 분기홀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inforcing surface may be configured to increase in thickness along a direction away from the branch hole.

이때,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분기 파이프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보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보강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의 내주면에는 상기 보강 돌기를 가압하는 상기 가압면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se is formed with a reinforcing protrusion extend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branch pipe, and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reinforcing protrusion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body part, and the reinforcing protrusion is pres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A pressing surface may be formed.

이때, 상기 보강 돌기에는 상기 분기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팽창홈과, 상기 팽창홈의 내부에 유체가 유입되도록 유체를 안내하는 공급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inforcing protrusion may have an expansion groove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ranch hole, and a supply passage for guiding the fluid so that the fluid flows into the expansion groove.

이때, 상기 팽창홈은 상기 분기 파이프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개방되는 제1 팽창홈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 유로는 상기 제1 팽창홈의 내부에 유체가 유입되도록 유체를 안내하는 제1 공급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xpansion groove includes a first expansion groove that is open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ranch pipe, and the supply flow path includes a first supply flow path for guiding a fluid to flow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expansion groove. can do.

이때, 상기 팽창홈은 상기 분기 파이프의 축 방향을 따라 개방되는 제2 팽창홈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 유로는 상기 제2 팽창홈의 내부에 유체가 유입되도록 유체를 안내하는 제2 공급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xpansion groove includes a second expansion groove that is open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branch pipe, and the supply flow path includes a second supply flow path for guiding the fluid to flow into the inside of the second expansion groove. can do.

이때, 상기 팽창홈은 상기 분기 파이프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개방되는 제1 팽창홈과, 상기 분기 파이프의 축 방향을 따라 개방되는 제2 팽창홈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 유로는 상기 제1 팽창홈의 내부에 유체가 유입되도록 유체를 안내하는 제1 공급 유로와, 상기 제2 팽창홈의 내부에 유체가 유입되도록 유체를 안내하는 제2 공급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pansion groove includes a first expansion groove that is open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ranch pipe, and a second expansion groove that is opened along an axial direction of the branch pipe, and the supply flow path is of the first expansion groove. A first supply flow path for guiding the fluid so that the fluid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and a second supply flow path for guiding the fluid so that the fluid flows into the second expansion groove may be included.

이때,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유입 파이프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연장 리브가 삽입되는 보강대가 형성되되, 상기 보강대의 내주면에는 상기 연장 리브를 가압하는 상기 가압면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n extension rib extend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is formed on the base, a reinforcing bar into which the extension rib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body part, and the pressing surface for pressing the extension rib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bar. Can be.

이때, 상기 보강대에는 상기 유입 파이프의 반경 내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은 상기 유입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 지지될 수 있다.In this case, a support surface extending along a radially inward direction of the inlet pipe may be formed on the reinforcement bar, and the support surface may be closely suppor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파이프 분기용 커플링 어셈블리는 유입 파이프를 중심으로 분기홀을 감싸는 바디부와, 이에 대향되는 고정부, 및 유체 누설 방지를 위한 가스켓부로 구성되므로 조립 공수 감소 및 시공 비용이 절감된다.Since the pipe branch coupling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composed of a body part surrounding the branch hole around the inlet pipe, a fixing part opposite to it, and a gasket part for preventing fluid leakage, the assembly man-hours and construction cost are reduced. This is reduced.

또한, 바디부에 의한 가스켓부의 가압 정도가 분기홀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하므로 유입 파이프에 형성되는 분기홀의 직경이 증가하는 경우에도 분기되는 유체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degree of pressurization of the gasket portion by the body portion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branch hole increases, even when the diameter of the branch hole formed in the inlet pipe increases, leakage of branched fluid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또한, 플랜지의 하단이 유입 파이프의 중심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제1 절단면과 제2 절단면이 형성되므로 커플러 체결 시 고정부의 체결력에 의해 플랜지가 하향 이동함과 동시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가스켓부를 가압하여 분기되는 유체의 누설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cut surfaces are form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flange is positioned above the center of the inlet pipe, when the coupler is fastened, the flange moves downward by the fastening force of the fixing unit and simultaneously moves in the radial direction to pressurize the gasket part. Thus, leakage of the branched fluid can be prevented more effectively.

또한, 가스켓부에는 분기홀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두께가 증가하는 보강면이 형성되어 분기되는 유체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gasket portion is formed with a reinforcing surface whose thickness increases along a direction away from the branch hole, so that leakage of branched fluid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아울러 분기 파이프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보강 돌기가 형성되되, 이러한 보강 돌기에는 유체가 유입되면 팽창하게 되는 팽창홈이 형성되어 유체의 누설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reinforcing protrusion extend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branch pipe is formed, and an expansion groove that expands when a fluid is introduced is formed in the reinforcing protrusion, so that leakage of the fluid can be more effectively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가 체결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 체결 과정에서 가스켓부의 가압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체결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유입 파이프의 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가스켓부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7은 사시도이고, 도 8(a)는 정면도이고, 도 8(b)는 측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Ⅰ-Ⅰ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다양한 가스켓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유입 파이프의 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커플링 어셈블리와 파이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3.
5 is a view showing a pressurized state of the gasket portion in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fastening, (b) is a diagram showing a fastened state It is a drawin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a state cut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axial direction of an inlet pipe.
7 to 9 are views showing a gasket part provided in a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FIG. 8 (a) is a front view, and FIG. 8 (b) is a side view,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I-I of FIG. 7.
10 to 12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various gasket portions provided in a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a state cut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axial direction of an inlet pip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assembly of FIG. 13 and the pipe are coupl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presence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liminarily exclu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가 체결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 체결 과정에서 가스켓부의 가압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체결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유입 파이프의 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가스켓부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7은 사시도이고, 도 8(a)는 정면도이고, 도 8(b)는 측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Ⅰ-Ⅰ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다양한 가스켓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유입 파이프의 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커플링 어셈블리와 파이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and Figure 3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assembly is fast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3, and FIG. 5 is a process of fastening the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rawing showing the pressurized state of the gasket part, (a)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fastening, (b) is a view showing a fastened state, and FIG. 6 is a coup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ing assembly, a diagram showing a state cut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and FIGS. 7 to 9 are gasket portions provided in the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Figure 8 (a) is a front view, Figure 8 (b) is a side view,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I-I of Figure 7, Figures 10 to 12 are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various gasket portions provided in a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It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cut along the line, and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assembly of FIG. 13 and the pipe are coupled.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는 유입 유체의 분기를 위한 분기홀(11)이 형성된 유입 파이프(10)와, 분기홀(11)을 통해 분기된 유체가 흐르도록 유입 파이프(10)와 연통된 분기 파이프(20), 및 유입 파이프(10)와 분기 파이프(20)를 상호 연결하는 커플러(100)를 포함하는 커플링 어셈블리에 있어서, 이러한 커플러(100)는, 분기홀(11)의 둘레를 감싸는 바디부(110), 및 바디부(110)와 유입 파이프(10)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바디부(110)에 의해 가압되면서 분기되는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가스켓부(130)를 포함한다.1 to 3, the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let pipe 10 having a branch hole 11 for branching of the inflow fluid, and a fluid branched through the branch hole 11 In a coupling assembly comprising a branch pipe 20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pipe 10 so as to flow, and a coupler 100 interconnecting the inlet pipe 10 and the branch pipe 20, such a coupler 100 Is disposed between the body portion 110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branch hole 1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inlet pipe 10 to prevent leakage of the branched fluid while being pressed by the body portion 110. It includes a gasket portion 130 to prevent.

이때, 유입 파이프(10)를 중심으로 바디부(110)와 대향 배치되며, 바디부(110)를 유입 파이프(10)에 고정하는 고정부(120)가 구비되며, 이러한 고정부(120)를 이용해서 분기홀(11)의 둘레를 감싸는 바디부(110)를 간단하게 고정하는 방식으로 설치하게 되므로 조립 공수가 감소하여 시공 비용이 절감되며, 바디부(110)와 유입 파이프(10)의 외주면 사이에 가스켓부(130)가 구비되어 유체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inlet pipe 10 is disposed opposite to the body portion 110, and a fixing portion 120 for fixing the body portion 110 to the inlet pipe 10 is provided, and the fixing portion 120 Since the body part 110 surrounding the branch hole 11 is installed in a simple fixing method, the assembly man-hour is reduced and construction cost is reduced,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art 110 and the inlet pipe 10 The gasket portion 130 is provided therebetween, so that leakage of fluid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이때, 스프링클러로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유입 파이프(10)에 형성된 분기홀(11)의 직경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유체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바디부(110)에 의한 가스켓부(130)의 가압 정도가 분기홀(11)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in order to increase the flow rate of the fluid supplied to the sprinkler,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diameter of the branch hole 11 formed in the inlet pipe 10, and even in this case, the body portion 110 may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leaking fluid. ) Is configured to increase as the degree of pressure of the gasket portion 130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branch hole 11 increases.

이는 분기홀(11)의 직경이 증가하게 되면 유체의 누설 방지를 위한 가스켓부(130)의 크기도 함께 증가하게 되는데, 가스켓부(130)의 크기가 증가할 경우 가스켓부(130)를 고르게 가압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When the diameter of the branch hole 11 increases, the size of the gasket part 130 for preventing leakage of fluid also increases. When the size of the gasket part 130 increases, the gasket part 130 is evenly pressed. It can be difficult to do.

특히, 이러한 가스켓부(130)의 둘레가 유입 파이프(10)의 중심(c)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정도까지 그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가스켓부(130)를 고르게 가압하는 것이 더욱 어려울 수 있다. 이때, 가스켓부(130)의 둘레가 유입 파이프(10)의 중심(c)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라는 것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파이프(10)의 분기홀(11)에 인접한 부분부터 가스켓부(130)가 연장 형성되고, 유입 파이프(10)의 둘레를 따라 하향 연장된 가스켓부(130)의 둘레가 유입 파이프(10)의 중심(c)을 관통하는 선에 인접하게 배치될 때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In particular, when the size of the gasket portion 130 increases to the extent that the circumference of the gasket portion 13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enter c of the inlet pipe 10, it may be more difficult to evenly press the gasket portion 130. At this time, that the circumference of the gasket portion 13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enter c of the inlet pipe 10, as shown in FIG. 2, adjacent to the branch hole 11 of the inlet pipe 10. The gasket part 130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portion,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gasket part 130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let pipe 1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c of the inlet pipe 10 It means that it is formed extending until it becomes.

즉, 이와 같은 경우에 고정부(120)를 이용해서 바디부(110)를 유입 파이프(10)에 고정하게 되면 상하 방향으로 고정부(120)의 체결력이 인가되므로 분기홀(11)에 인접하게 배치된 가스켓부(130)는 상하 방향 체결력에 의해 분기홀(11) 둘레를 효과적으로 밀봉하게 되나, 유입 파이프(10)의 중심(c)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하향 연장 형성된 가스켓부(130)는 이러한 상하 방향 체결력이 인가되더라도 효과적으로 가압되지 않기 때문이다.That is, in this case, when the body part 110 is fixed to the inflow pipe 10 using the fixing part 120, the fastening force of the fixing part 120 is appli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it is adjacent to the branch hole 11 The disposed gasket part 130 effectively seals the periphery of the branch hole 11 by the fastening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the gasket part 130 extending downward so as to be disposed adjacent to the center c of the inlet pipe 10 is such This is because even if the vertical fastening force is applied, it is not effectively pressed.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부(110)에 의한 가스켓부(130)의 가압 정도가 분기홀(11)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하도록 구성하게 되면 가스켓부(130)의 둘레가 유입 파이프(10)의 중심(c)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정도까지 그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분기되는 유체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egree of pressurization of the gasket part 130 by the body part 110 is configured to increase as the distance from the branch hole 11 increases, the circumference of the gasket part 130 Even when the size increases to the extent that i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enter c, leakage of branched fluid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이때,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10)에는 고정부(120)가 관통 결합되는 플랜지(111)가 형성되되, 이러한 플랜지(111)에는 플랜지(111)의 하단이 유입 파이프(10)의 중심(c)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제1 절단면(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랜지(111)의 하단이 유입 파이프(10)의 중심(c)보다 상측에 위치한다는 것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11)의 하단이 유입 파이프(10)의 중심(c)을 관통하는 선보다 일정 거리(d1)만큼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body portion 110 is formed with a flange 111 through which the fixing portion 120 is coupled, the lower end of the flange 111 is introduced into the flange 111 A first cut surface 111a may be formed to be positioned above the center c of the pipe 10. In this way, that the lower end of the flange 111 is located above the center (c) of the inlet pipe 10, as shown in Figure 2, the lower end of the flange 111 is the center of the inlet pipe 10 ( It means that it is disposed above the line passing through c) by a certain distance d1.

즉, 이와 같이 플랜지(111)에 제1 절단면(111a)이 형성되어 플랜지(111)의 하단이 유입 파이프(10)의 중심(c)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되면 고정부(120)를 통한 체결력 인가 시 이러한 플랜지(111)는 하향 이동하는 동시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체결력이 인가되며, 이를 통해 분기홀(11)에 인접 배치된 가스켓부(130)는 상하 방향으로만 체결력이 인가되고, 유입 파이프(10)의 중심(c)에 인접 배치되는 가스켓부(130)는 상하 방향 체결력과 반경 방향 내측으로 체결력이 동시에 인가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first cut surface 111a is formed on the flange 111 and the lower end of the flange 111 is positioned above the center c of the inlet pipe 10, the fastening force is applied through the fixing part 120 When the flange 111 moves downward and at the same time, a fastening force is applied so as to move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through which the gasket portion 130 disposed adjacent to the branch hole 11 is applied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inlet pipe The gasket portion 130 disposed adjacent to the center (c) of (10) is to simultaneously apply a fastening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fastening force in the radial direction.

이러한 반경 내측 방향 체결력은 분기홀(11)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하게 되므로 바디부(110)에 의한 가스켓부(130)의 가압 정도는 분기홀(11)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하게 되어 가스켓부(130)의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유체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Since the fastening force in the radially inward direction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branch hole 11 increases, the degree of pressing of the gasket part 130 by the body part 110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branch hole 11 increases, so that the gasket part 130 Even when the size of) increase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fluid leakage.

이때, 플랜지(111)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단면(111a)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단차가 형성된 제2 절단면(11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절단면(111b)이 제1 절단면(111a)보다 상측에 위치한다는 것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단면(111a)을 연결하는 선보다 일정 거리(d2)만큼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1 to 3, the flange 111 may have a second cut surface 111b with a step formed to be positioned above the first cut surface 111a. In this way, that the second cutting surface 111b is positioned above the first cutting surface 111a is disposed above the line connecting the first cutting surface 111a by a certain distance d2, as shown in FIG. Means being.

이와 같이 제2 절단면(111b)을 형성하게 되면 플랜지(111)의 두께가 일부 감소하게 되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11)에 변형이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플랜지(111)는 고정부(120)를 통해 체결력 인가 전에는 최초 위치(ℓ1)에 배치되나,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부(120)를 통해 체결력을 인가하게 되면 일정 거리(△ℓ)만큼 플랜지(111)가 변형되면서 가스켓부(130)를 하향 가압함과 동시에 일정 거리(△ℓ)만큼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함으로써 가스켓부(130)의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유체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second cut surface 111b is formed in this way, the thickness of the flange 111 is partially reduced, and as shown in FIGS. 3 and 4, deformation is likely to occur in the flange 111. These flanges 111 are disposed at the initial position (ℓ1) before the fastening force is applied through the fixing part 120, but when the fastening force is applied through the fixing part 120 in this state, the flange 111 ) Is deformed and pressurizes the gasket portion 130 downward and at the same time presses the gasket portion 130 radially in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Δℓ), so that even when the size of the gasket portion 130 increases, leakage of fluid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

특히, 제2 절단면(111b)이 제1 절단면(111a)보다 상측에 위치함으로써 고정부(120)의 체결력 인가 시 플랜지(111)를 통해 가스켓부(130)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second cut surface 111b is positioned above the first cut surface 111a, it is easier to press the gasket part 130 radially inward through the flange 111 when the fastening force of the fixing part 120 is applied. Is done.

이때, 바디부(110)에는 가스켓부(130)를 가압하도록 유입 파이프(1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가압면(112)이 형성되되, 가스켓부(130)와 가압면(112)은 플랜지(111)의 하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ody portion 110 is formed with a pressing surface 112 extend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10 to pressurize the gasket portion 130, the gasket portion 130 and the pressing surface 112 is a flange ( 111) can be formed to extend to the bottom.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120)의 체결력에 의해 플랜지(111)가 일부 변형되면서 가스켓부(130)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즉, 바디부(110)에는 가스켓부(130)를 가압하는 가압면(112)을 형성하고, 가스켓부(130)와 이러한 가압면(112)을 플랜지(111)의 하단까지 연장 형성하게 되면 플랜지(111)의 변형을 통한 가압력이 극대화 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체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lange 111 is partially deformed by the fastening force of the fixing portion 120 to press the gasket portion 130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That is, when the body portion 110 is formed with a pressing surface 112 for pressing the gasket portion 130, and the gasket portion 130 and the pressing surface 112 are formed to extend to the lower end of the flange 111, the flange The pressing force through the deformation of (111) can be maximized, through which fluid leakag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이때, 바디부(110)에는 분기홀(11)의 내주면으로 삽입되는 가이드 리브(1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바디부(110) 설치 시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즉, 바디부(110)에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바디부(110)가 유입 파이프(1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case, a guide rib 113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anch hole 11 may be formed in the body part 110, and through this, the position of the body part 110 can be stably fixed when the body part 110 is installed. That is,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body portion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ody portion 110 from rotat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let pipe 10.

또한, 가이드 리브(113)가 형성됨으로써 고정부(120)를 통한 체결 이후에는 분기되는 유체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안내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guide rib 113 is formed, the flow of the branched fluid is effectively guided after fastening through the fixing part 120.

이때, 고정부(120)는 유입 파이프(10)의 외주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체결력을 인가하는 고정 부재(121)를 포함하고, 이러한 고정 부재(121)는 유입 파이프(1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방식으로 지지되는 U 볼트를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xing part 120 includes a fixing member 121 that applies a fastening force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10, and this fixing member 121 surrounds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10 U-bolts supported in a manner can be used.

이와 같은 고정 부재(121)를 바디부(110)의 플랜지(111)에 관통 설치하여 체결력을 인가하게 되면 이러한 체결력에 의해 플랜지(111)는 하향 이동함과 동시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When such a fixing member 121 is installed through the flange 111 of the body portion 110 and a fastening force is applied, the flange 111 moves downward by this fastening force and at the same time, deformation occurs in the radial direction. .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력이 인가되기 전에는 가스켓부(130)의 전체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되는데, 체결력이 인가된 이후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켓부(130)의 상단은 하향 가압되나, 가스켓부(130)의 하단으로 갈수록 하향 가압됨과 동시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도 가압되어 유체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5(a), before the fastening force is applied, the entire thickness of the gasket part 130 is formed uniformly. After the fastening force is applied, as shown in Fig. 5(b), the gasket Although the upper end of the part 130 is pressed downward, it is pressed downward toward the lower end of the gasket part 130 and at the same time, it is also pressurized radially inward,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fluid leakage.

이때, 유입 파이프(10)와 분기 파이프(20)의 외경은 상호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분기되는 유체의 유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유입 파이프(10)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분기 파이프(20)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분기홀(11)의 직경도 함께 증가하게 되나,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120)의 체결력을 통한 플랜지(111)의 변형을 이용해서 가스켓부(130)를 하향 가압함과 동시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도 가압함으로써 유체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outer diameters of the inlet pipe 10 and the branch pipe 20 may be the same. That is, if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flow rate of the branched fluid, the branch pipe 20 having the same outer diameter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inlet pipe 10 may be used, and in this case, the diameter of the branch hole 11 also increases. ,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deformation of the flange 111 through the fastening force of the fixing part 120, the gasket part 130 is pressed downward and at the same time, it is also pressed radially inward to effectively prevent fluid leakage. do.

이때,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100)는 분기홀(11)의 둘레를 감싸는 바디부(110)와, 이러한 바디부(110)에 의해 가압되면서 분기되는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가스켓부(130)를 포함하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켓부(130)에는 바디부(110)에 형성된 가압면(112)에 의해 가압되면서 유체 누설을 방지하는 베이스(131)가 형성되되, 베이스(131)에는 가압면(112)에 의한 가압 정도가 분기홀(1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증가하도록 보강면(133)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coupler 100 prevents leakage of the body part 110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branch hole 11 and the fluid branching while being pressed by the body part 110. Including a gasket portion 130 to prevent, as shown in FIG. 8, the gasket portion 130 is a base 131 that prevents fluid leakage while being pressed by the pressing surface 112 formed on the body portion 110 Is formed, the reinforcing surface 133 may be formed on the base 131 so that the degree of pressing by the pressing surface 112 increases along a direction away from the branch hole 11.

즉, 기본적으로는 베이스(131)가 바디부(110)의 가압면(112)에 의해 가압되면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게 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분기홀(11)의 직경이 증가하게 되면 유체의 누설 방지를 위한 가스켓부(130)의 크기도 함께 증가함으로 인해 가스켓부(130)를 고르게 가압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베이스(131)에 보강면(133)을 형성해서 가압면(112)에 의한 가압 정도가 분기홀(1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증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That is, basically, the base 131 is pressed by the pressing surface 112 of the body portion 110 to prevent leakage of flui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ameter of the branch hole 11 increases, the fluid Because the size of the gasket part 130 for preventing leakage of the gasket part 130 may also be increased, it may be difficult to pressurize the gasket part 130 evenly, so a reinforcing surface 133 is formed on the base 131 and It is configured to increase the degree of pressing along the direction away from the branch hole (11).

이때, 이러한 보강면(133)은 분기홀(1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두께(b)가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inforcing surface 133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thickness b increases along a direction away from the branch hole 11.

즉,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31)의 두께(a)는 일정하게 형성되는 반면, 보강면(133)의 두께(b)는 분기홀(1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증가하도록 구성하면 가압면(112)에 의한 가압 정도가 분기홀(1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증가함으로써 가스켓부(130)의 크기가 증가해도 가스켓부(130)를 고르게 가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체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8 (a), the thickness (a) of the base 131 is formed constant, while the thickness (b) of the reinforcing surface 133 is along the direction away from the branch hole (11). When configured to increase, the degree of pressurization by the pressing surface 112 increases along the direction away from the branch hole 11, so that even if the size of the gasket part 130 increases, the gasket part 130 can be evenly pressed, through which Fluid leakag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이때,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31)에는 분기 파이프(20)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보강 돌기(132)가 형성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10)에는 이러한 보강 돌기(132)가 삽입되는 삽입홈(110a)이 형성되되, 삽입홈(110a)의 내주면에는 보강 돌기(132)를 가압하는 가압면(112)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8 (b), the base 131 is formed with a reinforcing protrusion 132 extend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branch pipe 20, as shown in Figure 6, the body ( The insertion groove 110a into which the reinforcing protrusion 132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110, and a pressing surface 112 for pressing the reinforcing protrusion 132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110a.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31)는 유입 파이프(10)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고, 이러한 베이스(131)로부터 분기 파이프(20)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보강 돌기(132)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바디부(110)에는 이러한 보강 돌기(132)가 삽입되는 삽입홈(110a)을 형성하고, 이러한 삽입홈(110a)의 내주면에 가압면(112)을 형성해서 보강 돌기(132)를 가압하도록 구성하면 분기홀(11) 주변의 유체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9, the base 131 is formed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let pipe 10, the reinforcing protrusion 132 extend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branch pipe 20 from the base 131 ) Is formed. In addition, an insertion groove (110a) into which the reinforcing protrusion 132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110, and a pressing surface 112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110a) to press the reinforcing protrusion 132 If configured so tha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leakage of fluid around the branch hole 11.

이때,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돌기(132)에는 분기홀(1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팽창홈(132a)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10 to 12, an expansion groove 132a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ranch hole 11 may be formed in the reinforcing protrusion 132.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보강 돌기(132)가 삽입홈(110a)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압면(112)에 의해 가압되면서 유체 누설이 방지되나, 이러한 보강 돌기(132)에 유체가 유입되는 팽창홈(132a)이 형성되면 추후 사용 과정에서 유체가 공급될 때 팽창홈(132a)에 유체가 유입되면서 보강 돌기(132)가 탄성 변형하게 되고, 이로 인해 가압면(112)을 통한 가압력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유체 누설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보강 돌기(132)에는 이러한 팽창홈(132a)에 유체가 유입되도록 유체를 안내하는 공급 유로(132b)가 형성된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reinforcing protrusion 132 is pressed by the pressing surface 112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110a, fluid leakage is prevented, but the expansion groove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into the reinforcing protrusion 132 When (132a) is formed, when fluid is supplied in the later use process, the reinforcing protrusion 132 is elastically deformed as the fluid flows into the expansion groove 132a, and thus the pressing force through the pressing surface 112 is relatively increas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fluid leakage. In addition, the reinforcing protrusion 132 is formed with a supply flow path 132b for guiding the fluid to flow into the expansion groove 132a.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팽창홈(132a)은 분기 파이프(20)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개방되는 제1 팽창홈(132a1)을 포함한다. 즉, 이와 같이 형성된 제1 팽창홈(132a1)에 유체가 유입되면 보강 돌기(132)가 분기 파이프(20)의 축 방향을 따라 탄성 변형하면서 삽입홈(110a)의 내주면에 의한 가압력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0, the expansion groove 132a includes a first expansion groove 132a1 that is open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ranch pipe 20. That is, when the fluid flows into the first expansion groove 132a1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reinforcing protrusion 132 elastically deforms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branch pipe 20 so that the pressing force by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110a is further increased. do.

이때, 공급 유로(132b)는 제1 팽창홈(132a1)의 내부에 유체가 유입되도록 유체를 안내하는 제1 공급 유로(132b1)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1 팽창홈(132a1)이 보강 돌기(132)의 측면에 형성되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급 유로(132b1)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며, 제1 공급 유로(132b1)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므로 제1 팽창홈(132a1)에 빠르게 유체가 유입되어 유체 누설을 빠르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supply passage 132b may include a first supply passage 132b1 for guiding the fluid so that the fluid flows into the first expansion groove 132a1, and the first expansion groove 132a1 is a reinforcing protrusion ( Since it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132, as shown in FIG. 10, the length of the first supply passage 132b1 is formed short, and the length of the first supply passage 132b1 is formed to be short, so that the first expansion groove 132a1 Fluid flows in quickly and fluid leakage can be quickly prevented.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팽창홈(132a)은 분기 파이프(20)의 축 방향을 따라 개방되는 제2 팽창홈(132a2)을 포함한다. 즉, 이와 같이 형성된 제2 팽창홈(132a2)에 유체가 유입되면 보강 돌기(132)가 분기 파이프(2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탄성 변형하면서 삽입홈(110a)의 내주면에 의한 가압력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특히, 삽입홈(110a)에는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내주면이 형성되므로 보강 돌기(132)가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 변형하게 되면 이러한 한 쌍의 내주면에 의한 가압력으로 인해 유체 누설 방지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1, this expansion groove 132a includes a second expansion groove 132a2 that is open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branch pipe 20. That is, when the fluid flows into the second expansion groove 132a2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reinforcing protrusion 132 elastically deform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ranch pipe 20 so that the pressing force b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110a is further increased. do. In particular, since a pair of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pposite to each other are formed in the insertion groove 110a, when the reinforcing protrusion 132 is elastically de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effect of preventing fluid leakage is further improved due to the pressing force by the pair of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do.

이때, 공급 유로(132b)는 제2 팽창홈(132a2)의 내부에 유체가 유입되도록 유체를 안내하는 제2 공급 유로(132b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팽창홈(132a2)이 보강 돌기(132)의 상면에 형성되므로 제2 공급 유로(132b2)는 이러한 제2 팽창홈(132a2)에 유체를 안내하도록 연장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supply passage 132b may include a second supply passage 132b2 for guiding the fluid so that the fluid flows into the second expansion groove 132a2, and the second expansion groove 132a2 is a reinforcing protrusion ( Since i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132, the second supply passage 132b2 is extended to guide the fluid to the second expansion groove 132a2.

즉, 제1 팽창홈(132a1)의 경우 보강 돌기(132)의 측면에 형성되므로 빠르게 유체가 유입될 수 있어서 유체 누설을 빠르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제2 팽창홈(132a2)의 경우 보강 돌기(132)의 상면에 형성되어 유체 유입 시 삽입홈(110a)에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내주면을 동시에 가압함으로써 유체 누설 방지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first expansion groove (132a1), since it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reinforcing protrusion (132), fluid can flow in quickly, so that fluid leakage can be quickly prevented, 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expansion groove (132a2), reinforcement The fluid leakage prevention effect is further improved by simultaneously pressing a pair of inner peripheral surface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32 and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insertion groove 110a when fluid is introduced.

아울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홈(132a)은 분기 파이프(20)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개방되는 제1 팽창홈(132a1)과, 분기 파이프(20)의 축 방향을 따라 개방되는 제2 팽창홈(132a2)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2, the expansion groove (132a) is a first expansion groove (132a1) open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ranch pipe 20, and a second expansion groove (132a1) open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branch pipe (20). It may include an expansion groove (132a2).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팽창홈(132a1)은 유체 누설을 빠르게 방지할 수 있고, 제2 팽창홈(132a2)은 유체 누설 방지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1 팽창홈(132a1)과 제2 팽창홈(132a2)이 동시에 형성되면 전술한 효과 이외에도 이러한 팽창홈(132a)에 유입되는 유체의 양이 증가하게 되어 보강 돌기(132)가 탄성 변형량이 증가하게 되고, 이를 통해 삽입홈(110a)의 내주면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증가하게 되어 유체 누설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expansion groove (132a1) can quickly prevent fluid leakage, the second expansion groove (132a2) can be further improved the fluid leakage prevention effect,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expansion groove ( When 132a1) and the second expansion groove 132a2 are formed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 the amount of fluid flowing into the expansion groove 132a increases, so that the reinforcing protrusion 132 increases the amount of elastic deformation, and is inserted through it. The pressing force that presse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ove 110a increases, so that fluid leakage can be more effectively prevented.

이때, 공급 유로(132b)는 제1 팽창홈(132a1)의 내부에 유체가 유입되도록 유체를 안내하는 제1 공급 유로(132b1)와, 제2 팽창홈(132a2)의 내부에 유체가 유입되도록 유체를 안내하는 제2 공급 유로(132b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공급 유로(132b1)를 통해 유체가 제1 팽창홈(132a1)에 먼저 공급되면서 유체 누설을 빠르게 방지할 수 있고, 제1 팽창홈(132a1)에 유체가 모두 유입된 후에 제2 공급 유로(132b2)를 통해 유체가 제2 팽창홈(132a2)에 공급되면서 삽입홈(110a)에 형성된 한 쌍의 내주면을 가압함으로써 유체 누설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supply passage 132b includes a first supply passage 132b1 guiding the fluid so that the fluid flows into the first expansion groove 132a1 and a fluid so that the fluid flows into the second expansion groove 132a2. It may include a second supply passage (132b2) to guide the. That is, the fluid is first supplied to the first expansion groove 132a1 through the first supply flow path 132b1, thereby preventing fluid leakage quickly, and the second supply after all the fluid has flowed into the first expansion groove 132a1. As the fluid is supplied to the second expansion groove 132a2 through the flow path 132b2,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fluid leakage by pressing the pair of inner peripheral surfaces formed in the insertion groove 110a.

즉, 이와 같이 구성하면 빠르게 유체 누설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체 누설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this configuration enables not only to quickly prevent fluid leakage, but also to more effectively prevent fluid leakage.

이때, 베이스(131)에는 도 8(b)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파이프(10)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 리브(134)가 형성되고, 바디부(110)에는 연장 리브(134)가 삽입되는 보강대(114)가 형성되되, 보강대(114)의 내주면에는 연장 리브(134)를 가압하는 가압면(112)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se 131 is formed with an extension rib 134 extend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10, as shown in FIGS. 8(b) and 9, and the body part 110 has an extension rib The reinforcing bar 114 into which the 134 is inserted may be formed, and a pressing surface 112 for pressing the extension rib 134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114.

즉, 연장 리브(134)가 유입 파이프(10)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보강대(114)의 내주면에 가압면(112)을 형성해서 이러한 연장 리브(134)를 가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분기홀(11)을 통한 유체 누설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extension rib 134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10, and by forming a pressing surface 112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114 to press the extension rib 134, the branch hole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fluid leakage through (11).

이때,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대(114)에는 유입 파이프(10)의 반경 내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지지면(114a)이 형성되고, 이러한 지지면(114a)은 유입 파이프(10)의 외주면에 밀착 지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13 and 14, the reinforcing bar 114 has a support surface 114a extending along the radially inner direction of the inlet pipe 10, and this support surface 114a is an inlet pipe ( It can be closely suppor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10).

전술한 분기 파이프(20)의 후단에는 스프링클러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스프링클러와 관련된 대표적인 기준으로는 미국의 UL(Underwriters Laboratories) 기준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UL 기준에 따르면 스프링클러가 설치된 상태에서 분기 파이프(20)의 후단에 유입 파이프(10)의 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외력을 인가했을 때 유체 누설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야 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즉, 분기 파이프(20)에 수직한 방향으로 힘으로 인가했을 때에도 유체 누설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보강대(114)에는 유입 파이프(10)의 반경 내측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유입 파이프(10)의 외주면에 밀착 지지되는 지지면(114a)이 형성되면 UL 기준에 따른 외력 인가 시에도 유체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A sprinkler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branch pipe 20 described above, and a representative standard related to this sprinkler is UL (Underwriters Laboratories) standard of the United States, and according to this UL standard, the branch pipe 2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rear end of the inlet pipe 1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it is stipulated that fluid leakage should be effectively prevented. That is, even when a force is appli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ranch pipe 20, leakage of fluid should be effectively prevented. For thi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inforcing bar 114 has a support surface 114a that extends along the radially inward direction of the inlet pipe 10 and is closely suppor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10, an external force according to the UL standard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fluid leakage even during the time.

또한, 이와 같이 지지면(114a)이 형성되면 베이스(131)에 형성된 연장 리브(134)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가스켓부(130)의 내구성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support surface 114a is formed in this way, the extension rib 134 formed on the base 131 is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a decrease in durability of the gasket part 1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dd or change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Other embodiments may be easily proposed by deletion, addition, and the like, but it will be said that this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유입 파이프 11 : 분기홀
20 : 분기 파이프 100 : 커플러
110 : 바디부 110a : 삽입홈
111 : 플랜지 111a : 제1 절단면
111b : 제2 절단면 112 : 가압면
113 : 가이드 리브 114 : 보강대
114a : 지지면 120 : 고정부
121 : 고정 부재 130 : 가스켓부
131 : 베이스 132 : 보강 돌기
132a : 팽창홈 132a1 : 제1 팽창홈
132a2 : 제2 팽창홈 132b : 공급 유로
132b1 : 제1 공급 유로 132b2 : 제2 공급 유로
133 : 보강면 134 : 연장 리브
10: inlet pipe 11: branch hole
20: branch pipe 100: coupler
110: body portion 110a: insertion groove
111: flange 111a: first cut surface
111b: second cutting surface 112: pressing surface
113: guide rib 114: reinforcement
114a: support surface 120: fixed portion
121: fixing member 130: gasket portion
131: base 132: reinforcing protrusion
132a: expansion groove 132a1: first expansion groove
132a2: second expansion groove 132b: supply flow path
132b1: first supply passage 132b2: second supply passage
133: reinforcement surface 134: extension rib

Claims (10)

유입 유체의 분기를 위한 분기홀이 형성된 유입 파이프와, 상기 분기홀을 통해 분기된 유체가 흐르도록 상기 유입 파이프와 연통된 분기 파이프, 및 상기 유입 파이프와 상기 분기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는 커플러를 포함하는 커플링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분기홀의 둘레를 감싸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와 상기 유입 파이프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부에 의해 가압되면서 분기되는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가스켓부;
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부에 의한 상기 가스켓부의 가압 정도는 상기 분기홀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증가하는 커플링 어셈블리.
An inlet pipe having a branch hole for branching of the inlet fluid, a branch pip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pipe so that the branched fluid flows through the branch hole, and a coupler for interconnecting the inlet pipe and the branch pipe. In the coupling assembly,
The coupler,
A body part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branch hole; And
A gasket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to prevent leakage of a branched fluid while being pressed by the body portion;
Including,
A coupling assembly in which a degree of pressing of the gasket part by the body part increases along a direction away from the branch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부에는 상기 바디부에 형성된 가압면에 의해 가압되면서 유체 누설을 방지하는 베이스가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가압면에 의한 가압 정도가 상기 분기홀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증가하도록 보강면이 형성되는 커플링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gasket portion is formed with a base that prevents fluid leakage while being pressed by a pressing surface formed in the body portion,
A coupling assembly in which a reinforcing surface is formed on the base so that the degree of pressing by the pressing surface increas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ranch ho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면은 상기 분기홀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두께가 증가하는 커플링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2,
The reinforcing surface is a coupling assembly whose thickness increases along a direction away from the branch ho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분기 파이프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보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보강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의 내주면에는 상기 보강 돌기를 가압하는 상기 가압면이 형성되는 커플링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2,
The base is formed with a reinforcing protrusion extend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branch pipe,
A coupling assembly in which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reinforcing protrusion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and the pressing surface for pressing the reinforcing protrusion is formed o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돌기에는 상기 분기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팽창홈과, 상기 팽창홈의 내부에 유체가 유입되도록 유체를 안내하는 공급 유로가 형성되는 커플링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4,
The reinforcing protrusion has an expansion groove extending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ranch hole, and a supply flow path for guiding a fluid to flow into the expansion groov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홈은 상기 분기 파이프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개방되는 제1 팽창홈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 유로는 상기 제1 팽창홈의 내부에 유체가 유입되도록 유체를 안내하는 제1 공급 유로를 포함하는 커플링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5,
The expansion groove includes a first expansion groove that is open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ranch pipe,
The supply flow path is a coupling assembly including a first supply flow path for guiding the fluid to flow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expansion groov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홈은 상기 분기 파이프의 축 방향을 따라 개방되는 제2 팽창홈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 유로는 상기 제2 팽창홈의 내부에 유체가 유입되도록 유체를 안내하는 제2 공급 유로를 포함하는 커플링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5,
The expansion groove includes a second expansion groove that is open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branch pipe,
The supply flow path is a coupling assembly including a second supply flow path for guiding the fluid to flow into the inside of the second expansion groov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홈은 상기 분기 파이프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개방되는 제1 팽창홈과, 상기 분기 파이프의 축 방향을 따라 개방되는 제2 팽창홈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 유로는 상기 제1 팽창홈의 내부에 유체가 유입되도록 유체를 안내하는 제1 공급 유로와, 상기 제2 팽창홈의 내부에 유체가 유입되도록 유체를 안내하는 제2 공급 유로를 포함하는 커플링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5,
The expansion groove includes a first expansion groove that is open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ranch pipe, and a second expansion groove that is opened along an axial direction of the branch pipe,
The supply passage is a couple including a first supply passage for guiding a fluid to flow into the first expansion groove, and a second supply passage for guiding the fluid to flow into the second expansion groove Ring assemb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유입 파이프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연장 리브가 삽입되는 보강대가 형성되되, 상기 보강대의 내주면에는 상기 연장 리브를 가압하는 상기 가압면이 형성되는 커플링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2,
The base is formed with an extended rib extend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A coupling assembly in which a reinforcing bar into which the extension rib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and the pressing surface for pressing the extension rib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ba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에는 상기 유입 파이프의 반경 내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은 상기 유입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 지지되는 커플링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9,
The reinforcing bar is formed with a support surface extending along the radially inward direction of the inlet pipe,
The support surface is a coupling assembly that is closely suppor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pipe.
KR1020190173782A 2019-05-17 2019-12-24 Coupling assembly for pipe branching KR1022751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568829A JP7296665B2 (en) 2019-05-17 2020-05-14 Coupling assembly for pipe branch
PCT/KR2020/006375 WO2020235870A1 (en) 2019-05-17 2020-05-14 Coupling assembly for pipe branching
CN202080036488.7A CN113840998B (en) 2019-05-17 2020-05-14 Joint assembly for branching pipeline
US17/611,807 US11898680B2 (en) 2019-05-17 2020-05-14 Coupling assembly for pipe branc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57933 2019-05-17
KR1020190057933 2019-05-17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651A true KR20200132651A (en) 2020-11-25
KR102275178B1 KR102275178B1 (en) 2021-07-08
KR102275178B9 KR102275178B9 (en) 2023-07-13

Family

ID=73645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782A KR102275178B1 (en) 2019-05-17 2019-12-24 Coupling assembly for pipe branc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17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1872A (en) * 1999-04-09 2000-10-20 Higashio Mech Co Ltd Branch joint free from suspension of water supply
US20020000719A1 (en) * 1999-01-22 2002-01-03 Donald R. Kunsman Pipe branch fitt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00719A1 (en) * 1999-01-22 2002-01-03 Donald R. Kunsman Pipe branch fitting
JP2000291872A (en) * 1999-04-09 2000-10-20 Higashio Mech Co Ltd Branch joint free from suspension of water supp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5178B9 (en) 2023-07-13
KR102275178B1 (en)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6665B2 (en) Coupling assembly for pipe branch
RU2622341C2 (en) Clamping pipe joint
KR102177888B1 (en) Coupling assembly for pipe branching
KR101816062B1 (en) Adopter unit for pipe of spring cooler having u-packing
KR102275178B1 (en) Coupling assembly for pipe branching
KR970001692B1 (en) Method for cutting off water in pipe line and structure of connection portion in pipe line
KR102155643B1 (en) Coupling assembly for pipe branching
KR101997671B1 (en) Pipe coupling structure
US20220305312A1 (en) Sprinkler system
KR102117915B1 (en) Multi-pipe structure for easy connection with flecxible branch joint pipe
CN210291080U (en) Fire hose
CN108825910B (en) Capillary tube water diversion joint
KR20110103775A (en) Coupling packing for pipe and copuler thereby
KR20090004654U (en) A pipe coupling of pre-action valve for fire fighing
KR101224634B1 (en) Breaking prevention apparatus of hose
CN210920396U (en) Hydraulic system rubber pipe structure reinforced by flat steel wire
JP7433678B2 (en) Coupling assembly for pipe branching
KR20090129701A (en) Adapter for airtight verification
KR100818607B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valve
JP2017129196A (en) Pipe part connection structure
CN220337691U (en) Pipeline connecting joint with good sealing effect
CN219828028U (en) Rust-resistant stainless steel hose
KR102276336B1 (en) Chemical material sealing module for pipe connecting portion of semiconductor equipment
KR101917607B1 (en) A firefighting pipe
KR200151475Y1 (en) Joint of ho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