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2603A - 공기 조화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의 배관탐색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의 배관탐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2603A
KR20200132603A KR1020190058403A KR20190058403A KR20200132603A KR 20200132603 A KR20200132603 A KR 20200132603A KR 1020190058403 A KR1020190058403 A KR 1020190058403A KR 20190058403 A KR20190058403 A KR 20190058403A KR 20200132603 A KR20200132603 A KR 20200132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emperature
flow
ports
fl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2538B1 (ko
Inventor
정재화
사용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8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538B1/ko
Priority to PCT/KR2020/005116 priority patent/WO2020235811A1/en
Priority to US16/875,187 priority patent/US11614252B2/en
Priority to EP20174995.9A priority patent/EP3739278B1/en
Publication of KR20200132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a combination of modes of operation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F25B1/00 - F25B23/00
    • F25B25/005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a combination of modes of operation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F25B1/00 - F25B23/00 using primary and secondar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9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ensuring correct operation, e.g. by trial operation or configuration che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9Air conditioning, e.g. de-watering, in pneumatic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60Identification or mar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20Heat-exchange flui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03Indoor unit with water as a heat sink or hea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F25B2313/023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in paralle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7Water-cooled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5Flow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는, 냉매가 순환하는 실외기; 물이 순환하는 복수의 실내기; 상기 실외기와 상기 복수의 실내기를 연결하며, 상기 냉매와 물간에 열교환을 수행하며, 복수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복수의 포트를 포함하는 열교환 장치; 및 상기 열교환 장치와 상기 복수의 실내기 간의 물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포트 각각에 연결된 배관을 탐색하기 위하여,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실내기 중 일부로 제1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하고, 다른 일부로 상기 제1온도 보다 낮은 제2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물의 유동을 제어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의 배관탐색방법{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pipes of air condition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의 배관탐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 장치는 소정공간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를 포함하며,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어, 상기 소정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상기 소정공간은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제안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 조화 장치가 가정이나 사무실일 수 있다.
공기 조화 장치가 냉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실외기에 구비되는 실외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하며 실내기에 구비되는 실내 열교환기가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 반면에, 공기 조화 장치가 난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실내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실내기의 연결 수에 따라 싱글형 공기 조화 장치와, 멀티 공기 조화 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싱글형 공기 조화 장치는 실외기에 하나의 실내기가 연결된다. 상기 멀티 공기 조화 장치는, 실외기에 다수의 실내기가 연결된다.
상기 멀티 공기 조화 장치는, 다수의 실내기에 냉매를 분배하는 분배기를 포함한다. 상기 멀티 공기 조화 장치는, 실내기 대수가 많을 경우 다수의 분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분배기에는 다수의 밸브가 배치되고, 상기 각 밸브에는 배관이 연결되며, 상기 각 배관에는 실내기가 연결된다.
상술한 공기 조화 장치는 건물에 설치된 후 정상 운전되기 전에 먼저 시운전이 수행된다. 상기 공기 조화 장치의 시운전시에는 각 배관이 어느 실내기에 연결되었는지를 탐색하는 배관탐색운전이 수행된다.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61598호에는, 공기 조화기기의 배관탐색방법이 개시된다.
선행문헌의 배관탐색방법은, 각 분배기에 연결된 실내기 그룹들 중에서 하나씩의 그룹이 순차적으로 운전되고, 운전되는 실내기 그룹을 감지하여 각 실내기 그룹이 어느 분배기에 연결되었는지를 탐색하는 그룹별탐색단계와, 상기 각 실내기 그룹마다 하나씩의 실내기가 순차적으로 운전되고, 운전되는 실내기를 감지하여 각 실내기가 해당 분배기의 어느 배관에 연결되었는지를 탐색하는 개별탐색단계를 포함한다.
선행문헌의 경우, 일부 실내기를 냉방 운전시키고, 다른 일부 실내기를 난방 운전시켜, 실내기의 온도 변화에 기초하여 배관을 탐색하게 된다.
그런데, 선행문헌의 배관탐색방법의 경우, 실내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실내기가 냉방 운전되는 경우, 초기 냉방 운전시 실내기의 배관 온도가 실내 온도와 유사하여 탐색 에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선행문헌의 경우 항상 실내기를 난방 운전시킨 후에 냉방 운전시켜야 하므로, 배관탐색시간의 단축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실시 예는, 배관탐색 시간을 줄이면서도 배관탐색 정확성이 향상되는 공기 조화 장치 및 그의 배관탐색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실내 온도가 낮은 경우에도 배관탐색이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 및 그의 배관탐색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는, 냉매가 순환하는 실외기; 물이 순환하는 복수의 실내기; 상기 실외기와 상기 복수의 실내기를 연결하며, 상기 냉매와 물간에 열교환을 수행하며, 복수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복수의 포트를 포함하는 열교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장치의 복수의 포트 각각에 연결된 배관을 탐색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포트 중 일부 포트로 제1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하고, 다른 일부 포트로 상기 제1온도 보다 낮은 제2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일부 포트와 연결된 실내기 들로 제1온도의 물이 유동하고, 상기 다른 일부 포트와 연결된 실내기 들로 제2온도의 물이 유동할 수 있다.
물의 유동에 의해서 실내기의 배관 온도는 변화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실내기의 배관 온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포트 들이 그룹화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온도의 물이 유동되는 포트 들을 실내기와 함께 제1그룹으로 그룹화되고, 상기 제2온도의 물이 유동되는 포트 들을 실내기와 함께 제2그룹으로 그룹화될 수 있다.
포트 들이 그룹화된 이후에, 상기 제1그룹의 포트 중 일부로 상기 제1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하고 다른 일부로 상기 제2온도의 물이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1그룹에서 상기 제1온도의 물이 유동하는 실내기의 배관 온도 변화와, 상기 제2온도의 물이 유동하는 실내기의 배관 온도 변화에 기초하여 각 포트와 실내기 들이 매칭될 수 있다.
포트 들이 그룹화된 이후에, 상기 제2그룹의 포트 중 일부로 상기 제1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하고, 다른 일부로 상기 제2온도의 물이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2그룹에서 상기 제1온도의 물이 유동하는 실내기의 배관 온도 변화와, 상기 제2온도의 물이 유동하는 실내기의 배관 온도 변화에 기초하여 각 포트와 실내기 들이 매칭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실내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포트 중 일부 포트로 제1온도의 물이 유동되고, 다른 일부 포트로 상기 제1온도 보다 낮은 제2온도의 물이 유동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 예에서, 실내 온도가 기준 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포트 중 일부 포트로 제1온도의 물이 유동되고, 다른 일부 포트로 상기 제1온도와 상기 제2온도 사이의 제3온도의 물이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장치는, 각 실내기로 물이 유동하기 위하여 병렬로 배치되는 제 1 물 유입관 및 제 2 물 유입관과, 상기 제 1 물 유입관에서의 물 유동을 제어하는 제 1 밸브와, 상기 제 2 물 유입관에서의 물 유동을 제어하는 제 2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내기로 상기 제1온도의 물이 유동되기 위하여, 상기 제 1 밸브가 개방되고, 상기 제 2 밸브는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로 상기 제2온도의 물이 유동되기 위하여, 상기 제 2 밸브가 개방되고, 상기 제 1 밸브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로 상기 제3온도의 물이 유동되기 위하여, 상기 제 1 밸브 및 제 2 밸브가 개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배관탐색방법은 복수의 포트 중 일부로 제1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하고, 다른 일부로 상기 제1온도 보다 낮은 제2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의 배관탐색방법은, 상기 제1온도의 물이 유동되는 포트 들을 제1그룹으로 그룹화하고, 상기 제2온도의 물이 유동되는 포트 들을 제2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 장치의 배관탐색방법은, 상기 제1그룹의 포트 중 일부로 상기 제1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하고 다른 일부로 상기 제2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하며, 상기 제2그룹의 포트 중 일부로 상기 제1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하고 다른 일부로 상기 제2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배관탐색방법은,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실내 온도에 기초하여 배관 탐색을 위한 물의 온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 장치의 배관탐색방법은, 상기 실내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복수의 포트 중 일부로 제1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하고, 다른 일부로 상기 제1온도 보다 낮은 제2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 장치의 배관탐색방법은, 상기 실내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복수의 포트 중 일부로 상기 제1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하고, 다른 일부로 상기 제1온도와 상기 제2온도의 사이 온도인 제3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최소한의 횟수로 배관탐색이 가능하므로, 배관탐색 시간을 줄이면서도 배관탐색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실내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저온수 대신에 중온수를 실내기로 유동시킴으로써, 배관탐색이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이클 선도.
도 3은 배관탐색 횟수 별로 각 실내기로 유동하는 물의 온도를 보여주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실내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의 물의 흐름을 보여주는 사이클 선도.
도 6 및 도 7은 실내 온도가 기준 온도 미만인 경우의 물의 흐름을 보여주는 사이클 선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이클 선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1)는, 실외기(10)와, 실내기(50) 및 상기 실외기(10)와 상기 실내기(50)에 연결되는 열교환 장치(100, 1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실외기(10)에 하나 또는 2 이상의 열교환 장치(100, 101)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열교환 장치(100, 101)에 복수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일 예로 2개의 열교환 장치(100, 101)가 상기 실외기(10)에 연결되고, 각 열교환 장치(100, 101)에 4개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것이 도시된다.
일 예로, 제 1 열교환 장치(100)에 4개의 실내기(61, 62, 63, 64)가 연결될 수 있고, 제 2 열교환 장치(101)에 4개의 실내기(65, 66, 67, 68)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10)와 상기 열교환 장치(100, 101)는 제 1 유체에 의하여 유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유체는 냉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매는 상기 열교환 장치(100, 101)에 구비되는 열교환기의 냉매측 유로 및 상기 실외기(10)를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실외기(10)는, 압축기(11) 및 실외 열교환기(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15)의 일측에는 실외 팬(16)이 구비되어 외기를 실외 열교환기(15) 측으로 불어주며, 상기 실외 팬(16)의 구동에 의하여 외기와 실외 열교환기(15)의 냉매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외기(10)는 메인 팽창밸브(18, EEV)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 장치(1)는, 상기 실외기(10)와 상기 열교환 장치(100, 101)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20, 25, 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배관(20, 25, 27)은, 고압의 기상 냉매가 유동하는 기관(고압 기관)으로서 제 1 실외기 연결관(20)과, 저압의 기상 냉매가 유동하는 기관(저압 기관)으로서 제 2 실외기 연결관(25)과, 액 냉매가 유동하는 액관으로서 제 3 실외기 연결관(27)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실외기(10)와 상기 열교환 장치(100, 101)는 "3배관 연결구조"를 가지며, 냉매는 3개의 연결관(20, 25, 27)에 의해서 상기 실외기(10)와 상기 각 열교환 장치(100, 101)를 순환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장치(100, 101)와 실내기(50)는 제 2 유체에 의하여 유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유체는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은 상기 열교환 장치(100, 101)에 구비되는 열교환기의 물측 유로 및 상기 실외기(10)를 유동할 수 있다.
상기 각 열교환 장치(100, 101)는 다수의 열교환기(140, 141, 142, 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는 일 예로 판형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 장치(1)는, 상기 각 열교환 장치(100)와 상기 실내기(50)를 연결하는 배관(30, 31, 32, 33, 30a, 30b, 30c, 30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관(30, 31, 32, 33, 30a, 30b, 30c, 30d)은, 상기 각 열교환 장치(100)와 각 실내기(61, 62, 63, 64, 65, 66, 67, 68)를 연결하는 제 1 실내기 연결관 내지 제 8 실내기 연결관(30, 31, 32, 33, 30a, 30b, 30c, 30d)을 포함할 수 있다.
물은 상기 실내기 연결관 들(30, 31, 32, 33, 30a, 30b, 30c, 30d)을 통하여 상기 열교환 장치(100, 101)와 상기 실내기(50)를 순환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실내기의 대수가 증가하면, 상기 열교환 장치(100, 101)와 실내기를 연결하는 배관의 개수는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실외기(10)와 상기 열교환 장치(100, 101)를 순환하는 냉매와, 상기 열교환 장치(100, 101)와 상기 실내기(50)를 순환하는 물은 상기 열교환 장치(100, 101)에 구비되는 열교환기(140, 141, 142, 143)를 통하여 열교환 된다.
상기 열교환을 통하여 냉각 또는 가열된 물은 상기 실내기(50)에 구비되는 실내 열교환기(61a, 62a, 63a, 64a)와 열교환 하여 실내공간의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열교환 장치(100)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며, 제 2 열교환 장치(101)의 구조는 제 1 열교환 장치(101)와 동일하다.
상기 제 1 열교환 장치(100)는, 각 실내기(61, 62, 63, 64)와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열교환기 내지 제 4 열교환기(140, 141, 142, 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기 내지 제 4 열교환기(140, 141, 142, 143)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열교환기(140, 141, 142, 143)는 일 예로 판형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물 유로와 냉매 유로가 교번하여 적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열교환기(140, 141, 142, 143)는, 냉매 유로(140a)와 물 유로(14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매 유로(140a)는 상기 실외기(10)와 유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실외기(10)에서 배출된 냉매가 상기 냉매 유로(140a)에 유입되거나 상기 냉매 유로(140a)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실외기(10)로 유입될 수 있다.
각 물 유로(140b)는 각 실내기(61, 62, 63, 64)와 연결되며, 각 실내기(61, 62, 63, 64)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물 유로(140b)에 유입되고, 상기 물 유로(140b)를 통과한 물이 상기 각 실내기(61, 62, 63, 64)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장치(100)는, 상기 제 1 실외기 연결관(20)에서 분기되는 제 1 분기관(101a) 및 제 2 분기관(10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분기관(101a) 및 제 2 분기관(102a)에는 밸브(101, 102)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1 실외기 연결관(20)에서 분기되는 분기관의 갯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열교환 장치(100)는, 상기 제 2 실외기 연결관(25)에서 분기되는 제 3 분기관(103a) 및 제 4 분기관(104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분기관(103a) 및 제 4 분기관(104a)에는 밸브(103, 104)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2 실외기 연결관(25)에서 분기되는 분기관의 갯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제 1 열교환 장치(100)는, 상기 제 1 분기관(101a)과 상기 제 2 분기관(102a)이 연결되는 제 1 공통 기관(111)과, 상기 제 3 분기관(103a)과 상기 제 4 분기관(104a)이 연결되는 제 2 공통 기관(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통 기관(111) 및 상기 제 2 공통 기관(112)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각 열교환기(140, 141, 142, 143)는 상기 냉매 유로(140a)와 연통되는 제 1 냉매 배관(111a, 111b, 112a, 112b) 및 제 2 냉매 배관(121, 122, 123, 1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기(140)의 제 1 냉매 배관(111a)과 상기 제 2 열교환기(141)의 제 1 냉매 배관(111b)은 상기 제 1 공통 기관(111)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통 기관(111)에서 상기 제 1 열교환기(140)의 제 1 냉매 배관(111a)과 상기 제 2 열교환기(141)의 제 1 냉매 배관(111b)의 사이에 연결되는 부분에는 제 1 체크 밸브(1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체크 밸브(132)는 상기 제 2 열교환기(141)의 제 1 냉매 배관(111b)의 냉매가 제 1 열교환기(140)의 제 1 냉매 배관(111a)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반면, 상기 제 1 체크 밸브(132)는 제 1 열교환기(140)의 제 1 냉매 배관(111a)의 냉매가 상기 제 2 열교환기(141)의 제 1 냉매 배관(111b)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제 3 열교환기(142)의 제 1 냉매 배관(112a)과 상기 제 4 열교환기(143)의 제 1 냉매 배관(112b)은 상기 제 2 공통 기관(112)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통 기관(112)에서 상기 제 3 열교환기(142)의 제 1 냉매 배관(112a)과 상기 제 4 열교환기(143)의 제 1 냉매 배관(112b)의 사이에 연결되는 부분에는 제 2 체크 밸브(1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체크 밸브(137)는 상기 제 4 열교환기(143)의 제 1 냉매 배관(112b)의 냉매가 제 3 열교환기(142)의 제 1 냉매 배관(112a)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반면, 상기 제 2 체크 밸브(137)는 제 3 열교환기(140)의 제 1 냉매 배관(112a)의 냉매가 상기 제 4 열교환기(143)의 제 1 냉매 배관(112b)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제 2 냉매 배관(121, 122, 123, 124)은 상기 제 3 실외기 연결관(27)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각 열교환기(140, 141, 142, 143)의 제 2 냉매 배관(121, 122, 123, 124)에는 팽창밸브(125, 126, 127, 12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팽창밸브(125, 126, 127, 128)는 일 예로, 전자 팽창밸브(Electronic Expansion Valve, EEV)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팽창밸브는 개도 조절을 통하여 상기 팽창밸브를 지나는 냉매의 압력을 강하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팽창밸브가 완전히 개방되면(full-open 상태) 냉매는 감압없이 통과될 수 있고, 상기 팽창밸브의 개도가 작아지면 냉매는 감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냉매의 감압되는 정도는 상기 개도가 작아질수록 커진다.
상기 제 1 열교환기(140)의 제 2 냉매 배관(121)과 상기 제 2 열교환기(141)의 제 1 냉매 배관(111b)은 제 1 바이패스 배관(130)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이패스 배관(130)은 상기 제 2 냉매 배관(121)에서 제 1 팽창 밸브(121)와 상기 제 1 열교환기(140)의 냉매 유로(140a) 사이 배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이패스 배관(130)에는 제 1 바이패스 밸브(1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 열교환기(142)의 제 2 냉매 배관(123)과 상기 제 4 열교환기(143)의 제 1 냉매 배관(112b)은 제 2 바이패스 배관(135)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이패스 배관(135)은 상기 제 2 냉매 배관(123)에서 제 3 팽창 밸브(127)와 상기 제 3 열교환기(142)의 냉매 유로(140a) 사이 배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이패스 배관(135)에는 제 2 바이패스 밸브(136)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교환 장치(100)는, 상기 각 열교환기(140, 141, 142, 143)의 물 유로(140b)에 연결되는 열교환기 유입관(161a, 161b, 163a, 163b)과, 열교환기 배출관(162a, 162b, 164a, 164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기(140)의 제 1 열교환기 유입관(161a)과 제 2 열교환기(141)의 제 2 열교환기 유입관(161b)은 제 1 공통 유입관(161)에서 분기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통 유입관(161)에는 제 1 펌프(15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 열교환기(142)의 제 3 열교환기 유입관(163a)과 제 4 열교환기(143)의 제 4 열교환기 유입관(163b)은 제 2 공통 유입관(163)에서 분기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통 유입관(163)에는 제 2 펌프(1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기(140)의 제 1 열교환기 배출관(162a)과 제 2 열교환기(141)의 제 2 열교환기 배출관(162b)은 제 1 공통 배출관(162)에서 분기될 수 있다.
상기 제 3 열교환기(142)의 제 3 열교환기 배출관(164a)과 제 4 열교환기(143)의 제 4 열교환기 배출관(164b)은 제 2 공통 배출관(164)에서 분기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통 유입관(161)에는 제 1 합지관(181)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통 유입관(163)에는 제 2 합지관(182)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통 배출관(162)에는 제 3 합지관(183)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통 배출관(164)에는 제 4 합지관(184)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합지관(181)에는 상기 각 실내 열교환기(61a, 62a, 63a, 64a)에서 배출된 물이 유동하는 제 1 물 배출관(171)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합지관(182)에는 상기 각 실내 열교환기(61a, 62a, 63a, 64a)에서 배출된 물이 유동하는 제 2 물 배출관(172)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물 배출관(171) 및 상기 제 2 물 배출관(172)은 병렬로 배치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61a, 62a, 63a, 64a)와 연통되는 공통 물 배출관(621, 622, 623, 62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물 배출관(171), 제 2 물 배출관(172) 및 상기 각 공통 물 배출관(621, 622, 623, 624)은 일 예로 삼방 밸브(173)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삼방 밸브(173)에 의해서 상기 공통 물 배출관(621, 622, 623, 624)의 물은 상기 제 1 물 배출관(171)과 상기 제 2 물 배출관(172) 중 어느 하나를 유동할 수 있다.
상기 공통 물 배출관(621, 622, 623, 624)은 상기 각 실내 열교환기(61a, 62a, 63a, 64a)의 배출 배관(621)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 합지관(183)에는 상기 각 실내 열교환기(61a, 62a, 63a, 64a)로 유입될 물이 유동하는 제 1 물 유입관(165a, 165b, 165c, 165d)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4 합지관(184)에는 상기 각 실내 열교환기(61a, 62a, 63a, 64a)로 유입될 물이 유동하는 제 2 물 유입관(167d)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물 유입관(165a, 165b, 165c, 165d)과 상기 제 2 물 유입관(167d)은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실내 열교환기(61a, 62a, 63a, 64a)와 연통되는 공통 유입관(611, 621, 631, 641)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각 제 1 물 유입관(165a, 165b, 165c, 165d)에는 제 1 밸브(166)가 구비되고, 상기 각 제 2 물 유입관(167d)에는 제 2 밸브(167)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실내기(61 내지 68)에는 실내기의 배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61b, 62b, 63b, 64b)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공기 조화 장치의 냉방 운전 시의 열교환 장치에서의 냉매와 물의 유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공기 조화 장치(1)가 냉방 운전되면(다수의 실내기가 냉방 운전되면), 실외기(10)의 실외 열교환기(15)에서 응축된 고압의 액 냉매는 제 3 실외기 연결관(27)을 유동한 후에 상기 제 2 냉매 배관(121, 122, 123, 124)으로 분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냉매 배관(121, 122, 123, 124)에 구비되는 팽창 밸브(125, 126, 127, 128)가 소정 개도로 개방되므로, 냉매는 상기 팽창 밸브(125, 126, 127, 128)를 통과하면서 저압의 냉매로 감압될 수 있다.
감압된 냉매는 상기 열교환기(140, 141, 142, 143)의 냉매 유로를 따라 유동하면서 물과의 열교환을 통하여 증발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 장치(1)가 냉방 운전되는 중에는 상기 바이패스 밸브(131, 136)는 닫힌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열교환기(141)의 냉매 유로를 지나면서 열교환된 냉매가 상기 제 1 바이패스 배관(130)을 통해 상기 제 1 열교환기(141)의 제 2 냉매 배관(121)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열교환기(143)의 냉매 유로를 지나면서 열교환된 냉매가 상기 제 2 바이패스 배관(135)을 통해 상기 제 3 열교환기(142)의 제 2 냉매 배관(123)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기(140, 141)의 냉매 유로를 유동한 냉매는 상기 제 1 및 제 2 냉매 배관(111a, 111b)을 지난 후에 상기 제 1 공통 기관(111)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통 기관(111)으로 유동된 냉매는 상기 제 3 분기관(103a)에 의해서 상기 제 2 실외기 연결관(25)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제 3 및 제 4 열교환기(142, 143)의 냉매 유로를 유동한 냉매는 상기 제 1 및 제 2 냉매 배관(112a, 112b)을 지난 후에 상기 제 2 공통 기관(112)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공통 기관(112)으로 유동된 냉매는 상기 제 4 분기관(104a)에 의해서 상기 제 2 실외기 연결관(25)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공기 조화 장치(1)가 냉방 운전되는 중에는 상기 제 1 분기관(101a) 및 제 2 분기관(102a)의 밸브(101, 102)는 닫히고, 상기 제 3 분기관(103a) 및 제 4 분기관(104a)의 밸브(103, 104)는 열린다.
상기 제 2 실외기 연결관(25)으로 배출된 냉매는 실외기(10)로 유입되며, 상기 압축기(11)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1)에서 압축된 고압의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15)에서 응축되고, 응축된 액 냉매는 다시 제 3 실외기 연결관(27)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공기 조화 장치(1)의 냉방 운전 시, 상기 각 열교환기(140, 141, 142, 143)는 저압의 이상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로서 작용한다.
한편, 상기 각 열교환기(140, 141, 142, 143)의 물 유로(140b)를 유동하는 물은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냉각되고, 냉각된 물("저온수"라 함)은 상기 각 실내 열교환기(61a, 62a, 63a, 64a)로 공급되어 냉방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공통 배출관(162)으로 배출된 물은 상기 제 1 실내 열교환기(61a) 및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62a)로 유동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 2 공통 배출관(164)으로 배출된 물은 상기 제 3 실내 열교환기(63a) 및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64a)로 유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공통 배출관(162)으로 배출된 물은 상기 제 1 물 유입관(165a, 165b)을 통해 상기 제 1 실내 열교환기(61a) 및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62a)로 유동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 2 공통 배출관(164)으로 배출된 물은 상기 제 2 물 유입관(167d)을 통해 상기 제 3 실내 열교환기(63a) 및 상기 제 4 실내 열교환기(64a)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각 실내 열교환기(61a, 62a, 63a, 64a)를 유동하는 물은 실내 열교환기로 송풍되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다.
상기 각 열교환기(140, 141, 142, 143)에서 냉매와 열교환 물은 저온 상태이므로, 상기 실내 열교환기(61a, 62a, 63a, 64a)를 유동하면서 실내 공기와 물이 열교환되면, 실내 공기가 냉각되어 실내 냉방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실내 열교환기(61a, 62a)를 유동한 물은 상기 제 1 공통 유입관(161)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및 제 2 실내 열교환기(61a, 62a)를 유동한 물은 상기 제 1 물 배출관(171)을 따라 유동한 후에 상기 제 1 공통 유입관(161)으로 유동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 3 및 제 4 실내 열교환기(63a, 64a)를 유동한 물은 상기 제 2 공통 유입관(163)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3 및 제 4 실내 열교환기(63a, 64a)를 유동한 물은 상기 제 2 물 배출관(172)을 따라 유동한 후에 상기 제 2 공통 유입관(163)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조화 장치(1)가 난방 운전되면(다수의 실내기가 난방 운전되면), 실외기(10)의 압축기(11)에서 압축된 고압의 기상 냉매는 제 1 실외기 연결관(20)을 유동한 후에 상기 제 1 분기관(101a) 및 제 2 분기관(101b)으로 분기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 장치(1)의 난방 운전 시, 상기 제 1 및 제 2 분기관(101a, 101b)의 밸브(101, 102)는 개방되고, 상기 제 3 및 제 4 분기관(103a, 104a)의 밸브(103, 104)는 닫힌다.
상기 제 1 분기관(101a)으로 분기된 냉매는 상기 제 1 공통 기관(111)을 따라 유동한 후에, 상기 제 1 열교환기(140)의 제 1 냉매 배관(111a)으로 유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 분기관(101b)으로 분기된 냉매는 상기 제 2 공통 기관(112)을 따라 유동한 후에, 상기 제 3 열교환기(142)의 제 1 냉매 배관(112a)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공기 조화 장치(1)의 난방 운전 시, 상기 제 1 팽창 밸브(121) 및 제 3 팽창 밸브(123)는 닫히고, 제 2 팽창 밸브(122) 및 제 4 팽창 밸브(124)가 소정 개도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 장치(1)의 난방 운전 시, 상기 각 바이패스 밸브(131, 132)는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열교환기(140)의 제 1 냉매 배관(111a)으로 유동한 냉매는 제 1 열교환기(140)를 지나면서 물과 열교환된 후에 상기 제 2 냉매 배관(121)으로 배출된다.
상기 제 1 팽창 밸브(121)가 닫혀 있고, 상기 제 1 바이패스 밸브(131)는 개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2 냉매 배관(121)으로 배출된 냉매는 상기 제 1 바이패스 배관(130)에 의해서 상기 제 2 열교환기(141)의 제 1 냉매 배관(111b)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 2 열교환기(141)의 제 1 냉매 배관(111b)으로 유동한 냉매는 제 1 열교환기(140)를 지나면서 물과 열교환된 후에 상기 제 2 냉매 배관(122)으로 배출된다.
상기 제 2 냉매 배관(122)으로 배출된 냉매는 상기 제 2 팽창 밸브(122)를 지난 후에 상기 제 3 실외기 연결관(27)으로 유동한다.
또한, 상기 제 3 열교환기(142)의 제 1 냉매 배관(112a)으로 유동한 냉매는 제 3 열교환기(142)를 지나면서 물과 열교환된 후에 상기 제 2 냉매 배관(123)으로 배출된다.
상기 제 3 팽창 밸브(127)가 닫혀 있고, 상기 제 2 바이패스 밸브(136)는 개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2 냉매 배관(123)으로 배출된 냉매는 상기 제 2 바이패스 배관(135)에 의해서 상기 제 4 열교환기(143)의 제 1 냉매 배관(112b)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 4 열교환기(143)의 제 1 냉매 배관(112b)으로 유동한 냉매는 제 4 열교환기(143)를 지나면서 물과 열교환된 후에 상기 제 2 냉매 배관(124)으로 배출된다.
상기 제 2 냉매 배관(124)으로 배출된 냉매는 상기 제 4 팽창 밸브(128)를 지난 후에 상기 제 3 실외기 열교환(27)으로 유동한다.
한편, 공기 조화 장치(1)의 난방 운전 시의 각 열교환기(140, 141, 142, 143)의 물 유로(140b)를 유동하는 물은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가열되고, 가열된 물("고온수"라 함)은 상기 각 실내 열교환기(61a, 62a, 63a, 64a)로 공급되어 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정리하면, 공기 조화 장치(1)의 난방 운전 시, 상기 각 열교환기(140, 141, 142, 143)는 고압의 기상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로서 작용한다.
이하에서는 공기 조화 장치의 배관탐색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배관탐색은, 열교환 장치의 복수의 포트에 어느 실내기가 연결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배관탐색 횟수 별로 각 실내기로 유동하는 물의 온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실내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의 각 실내기로 유동하는 물의 온도를 보여주고, 도 3의 (b)는 실내 온도가 기준 온도 미만인 경우의 각 실내기로 유동하는 물의 온도를 보여준다.
도 4 및 도 5는 실내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의 물의 흐름을 보여주는 사이클 선도이고, 도 6 및 도 7은 실내 온도가 기준 온도 미만인 경우의 물의 흐름을 보여주는 사이클 선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열교환 장치(100, 100) 중, 제 1 열교환 장치(100)의 배관탐색이 수행될 수 있다.
실내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 1 열교환 장치(100)의 배관탐색을 위하여, 상기 제 1 열교환 장치(100)에 연결된 일부의 실내기로 고온수(제1온도의 물)가 유동하고, 다른 일부의 실내기로 저온수(제2온도의 물)가 유동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열교환 장치(100)의 제1포트 내지 제4포트 각각에 순차적으로 제1실내기 내지 제4실내기(61 내지 64)의 배관(30 내지 34)이 연결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일 예로, 컨트롤러(70)는 밸브(166, 167)를 제어하여 제1포트 및 제2포트로 고온수가 유동되도록 하고, 제3포트 및 제4포트로 저온수가 유동되도록 한다.
상기 컨트롤러(70)는 상기 열교환 장치(100, 101)와 상기 실내기 들 간의 물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1포트 및 제2포트에 연결된 실내기로 고온수가 유동하고, 제3포트 및 제4포트로 연결된 실내기로 저온수가 유동한다.
이때, 고온수가 실내기로 유동되기 위하여, 제 1 밸브(166)가 개방되고, 제 2 밸브(167)는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고온수는 제 1 물 유입관(165a, 165b, 165c, 165d)을 통해서 실내기로 유동할 수 있다.
저온수가 실내기로 유동되기 위하여, 제 2 밸브(167)가 개방되고, 제 1 밸브(166)는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저온수는, 제 2 물 유입관(167d)을 통해서 실내기로 유동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포트 및 제2포트에 연결된 상기 제 1 실내기(61) 및 제 2 실내기(62)로 고온수가 유동하고, 상기 제3포트 및 제4포트에 연결된 제 3 실내기(63) 및 제 4 실내기(64)로 저온수가 유동할 수 있다(1회차 탐색).
일부 실내기로 고온수가 유동되기 위하여, 상기 제 1 열교환기(140) 및 제 2 열교환기(141)는 응축기로 작용할 수 있다.
다른 일부의 실내기로 저온수가 유동되기 위하여, 상기 제 3 열교환기(142) 및 제 4 열교환기(143)는 증발기로 작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부 실내기로 고온수가 유동하고, 다른 일부 실내기로 저온수가 유동하면, 2개의 그룹으로 포트 들이 구분될 수 있다.
고온수가 유동하는 실내기의 경우 배관의 온도가 증가되고, 저온수가 유동하는 실내기의 경우 배관의 온도가 감소된다.
따라서, 배관의 온도가 증가되는 실내기와 배관의 온도가 감소되는 실내기가 구분되어 포트와 함께 그룹화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실내기(61) 및 제2실내기(62)와 이와 연결된 포트들이 제1그룹으로 그룹화되고, 제3실내기(63) 및 제4실내기(64)와 이와 연결된 포트들이 제2그룹으로 그룹화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컨트롤러(70)는 밸브(166, 167)를 제어하여, 상기 제1포트 및 제2포트 중 어느 하나로 저온수가 유동하도록 하고, 상기 제3포트 및 제4포트 중 어느 하나로 고온수가 유동하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제1포트로 저온수가 유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2포트로 고온수가 유동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3포트로 고온수가 유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4포트로 저온수가 유동되도록 한다.
그러면, 도 5와 같이 상기 제1포트와 연결된 제1실내기(61)로 저온수가 유동되고, 상기 제3포트와 연결된 제3실내기(63)로 고온수가 유동된다(2회차 탐색).
상기 컨트롤러(70)는 상기 제1그룹에서 저온수가 유동되는 실내기(제1실내기 임)를 탐색하여 제1포트에 매칭시킨다.
그러면, 자동적으로 상기 제1그룹에서 고온수가 유동되는 실내기(제2실내기 임)는 제2포트에 매칭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70)는 상기 제2그룹에서 고온수가 유동되는 실내기(제3실내기 임)를 탐색하여 제3포트에 매칭시킨다. 그러면, 자동적으로 상기 제2그룹에서 저온수가 유동되는 실내기(제4실내기 임)는 제4포트에 매칭될 수 있다.
각 포트에 매칭되는 배관 정보는 도시되지 않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최소한의 탐색 횟수로 정확하게 열교환 장치의 각 포트에 연결되는 배관을 탐색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 장치(100)의 배관탐색이 완료되면 다음으로 제 2 열교환 장치(101)의 배관탐색이 동일한 방법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만약, 실내 온도가 기준 온도 미만인 경우에 저온수를 실내기로 유동시키는 경우, 배관의 온도와 실내 온도가 유사하게 되어 배관의 온도 변화가 감지되지 않아 실내기의 그룹화가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실내 온도가 기준 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제 1 열교환 장치(100)의 배관탐색을 위하여, 상기 제 1 열교환 장치(100)에 연결된 일부의 실내기로 고온수가 유동하고, 다른 일부의 실내기로 중온수(제1온도와 제2온도 사이의 제3온도의 물)가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기준 온도는 대략 10도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중온수는 고온수의 온도와 저온수의 온도의 중간 온도에 해당한다. 일 예로 고온수와 저온수가 혼합되어 중온수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컨트롤러(70)는 밸브(166, 167)를 제어하여 상기 제1포트 및 제2포트로 고온수가 유동되도록 하고, 제3포트 및 제4포트로 중온수가 유동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제1포트 및 제2포트에 연결된 실내기로 고온수가 유동하고, 제3포트 및 제4포트로 연결된 실내기로 중온수가 유동한다.
이때, 고온수가 실내기로 유동되기 위하여, 상기 제 1 밸브(166)가 개방되고, 제 2 밸브(167)는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고온수는 제 1 물 유입관(165a, 165b, 165c, 165d)을 통해서 실내기로 유동할 수 있다.
중온수가 실내기로 유동되기 위하여, 상기 제 1 밸브(166) 및 상기 제 2 밸브(167)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온수가 제 1 물 유입관(165a, 165b, 165c, 165d)을 유동하고, 저온수가 제 2 물 유입관(167d)을 유동하여, 최종적으로 고온수와 저온수가 혼합된 중온수가 실내기로 유동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포트 및 제2포트에 연결된 상기 제 1 실내기(61) 및 제 2 실내기(62)로 고온수가 유동하고, 상기 제3포트 및 제4포트에 연결된 제 3 실내기(63) 및 제 4 실내기(64)로 중온수가 유동할 수 있다(1회차 탐색).
일부 실내기로 고온수가 유동되기 위하여, 상기 제 1 열교환기(140) 및 제 2 열교환기(141)는 응축기로 작용할 수 있다.
다른 일부의 실내기로 중온수가 유동되기 위하여, 상기 제 3 열교환기(142) 및 제 4 열교환기(143)는 증발기로 작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부 실내기로 고온수가 유동하고, 다른 일부 실내기로 중온수가 유동하면, 2개의 그룹으로 포트 들이 구분될 수 있다.
고온수가 유동하는 실내기의 온도 센서에서 감지되는 배관의 온도가 저온수가 유동하는 실내기의 온도 센서에서 감지되는 배관의 온도 보다 높으므로, 온도 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 차이에 기초하여 실내기가 그룹화될 수 있다.
고온수가 유동하는 실내기의 경우 배관의 온도는 제1기준값 이상으로 증가되고, 저온수가 유동하는 실내기의 경우 배관의 온도는 제1기준값 보다 작은 제2기준값 이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70)는 배관의 온도 변화 폭을 기준으로 포트 들을 그룹화할 수 있다.
일 예로 고온수가 유동하는 제1실내기(61) 및 제2실내기(62)와 이와 연결된 포트들이 제1그룹으로 그룹화되고, 중온수가 유동하는 제3실내기(63) 및 제4실내기(64)와 이와 연결된 포트들이 제2그룹으로 그룹화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컨트롤러(70)는 밸브(166, 167)를 제어하여, 상기 제1포트 및 제2포트 중 어느 하나로 중온수가 유동하도록 하고, 상기 제3포트 및 제4포트 중 어느 하나로 고온수가 유동하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제1포트로 중온수가 유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2포트로 고온수가 유동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3포트로 고온수가 유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4포트로 중온수가 유동되도록 한다.
그러면, 도 7과 같이 상기 제1포트와 연결된 제1실내기(61)로 중온수가 유동되고, 상기 제3포트와 연결된 제3실내기(63)로 고온수가 유동된다(2회차 탐색).
상기 컨트롤러(70)는 상기 제1그룹에서 중온수가 유동되는 실내기(제1실내기 임)를 탐색하여 제1포트에 매칭시킨다.
그러면, 자동적으로 상기 제1그룹에서 고온수가 유동되는 실내기(제2실내기 임)는 제2포트에 매칭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70)는 상기 제2그룹에서 고온수가 유동되는 실내기(제3실내기 임)를 탐색하여 제3포트에 매칭시킨다. 그러면, 자동적으로 상기 제2그룹에서 중온수가 유동되는 실내기(제4실내기 임)는 제4포트에 매칭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중온수가 유동하는 실내기에서 감지되는 배관의 온도는 실내 온도 보다 높으므로, 실내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실내기로 중온수가 유동하면 배관의 온도 폭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되어 실내기의 그룹화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최소한의 탐색 횟수로 정확하게 열교환 장치의 각 포트에 연결되는 배관을 탐색할 수 있다.
특히, 실내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탐색 에러 없이 정확하게 배관탐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 장치(100)의 배관탐색이 완료되면 다음으로 제 2 열교환 장치(101)의 배관탐색이 동일한 방법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1: 공기 조화 장치 10: 실외기
50: 실내기 70: 컨트롤러
100, 101: 열교환 장치

Claims (15)

  1. 냉매가 순환하는 실외기;
    물이 순환하는 복수의 실내기;
    상기 실외기와 상기 복수의 실내기를 연결하며, 상기 냉매와 물간에 열교환을 수행하며, 복수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복수의 포트를 포함하는 열교환 장치; 및
    상기 열교환 장치와 상기 복수의 실내기 간의 물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포트 각각에 연결된 배관을 탐색하기 위하여,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포트 중 일부로 제1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하고, 다른 일부로 상기 제1온도 보다 낮은 제2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공기 조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온도의 물이 유동되는 포트를 제1그룹으로 그룹화하고,
    상기 제2온도의 물이 유동되는 포트를 제2그룹으로 그룹화하는 공기 조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그룹의 포트 중 일부로 상기 제1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하고, 다른 일부로 상기 제2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공기 조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그룹에서 상기 제1온도의 물이 유동하는 포트와 상기 제2온도의 물이 유동하는 포트를 구분하여 각 실내기와 매칭시키는 공기 조화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그룹의 포트 중 일부로 상기 제1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하고, 다른 일부로 상기 제2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공기 조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그룹에서 상기 제1온도의 물이 유동하는 포트와 상기 제2온도의 물이 유동하는 포트를 구분하여 각 실내기와 매칭시키는 공기 조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트 각각에 연결된 배관을 탐색하기 위하여,
    실내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포트 중 일부로 제1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하고, 다른 일부로 상기 제1온도 보다 낮은 제2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물의 유동을 제어하고,
    상기 실내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포트 중 일부로 제1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하고, 다른 일부로 상기 제1온도와 상기 제2온도 사이의 온도인 제3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공기 조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온도의 물이 유동되는 포트 들을 제1그룹으로 그룹화하고,
    상기 제3온도의 물이 유동되는 포트 들을 제2그룹으로 그룹화하는 공기 조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그룹의 포트 중 일부로 상기 제1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하고, 다른 일부로 상기 제3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공기 조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그룹에서 상기 제1온도의 물이 유동하는 포트와 상기 제3온도의 물이 유동하는 포트를 구분하여 각 실내기에 매칭시키는 공기 조화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그룹의 포트 중 일부로 상기 제1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하고, 다른 일부로 상기 제3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공기 조화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그룹에서 상기 제1온도의 물이 유동하는 포트와 상기 제3온도의 물이 유동하는 포트를 구분하여 각 실내기와 매칭시키는 공기 조화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장치는, 각 실내기로 물이 유동하기 위하여 병렬로 배치되는 제 1 물 유입관 및 제 2 물 유입관과,
    상기 제 1 물 유입관에서의 물 유동을 제어하는 제 1 밸브와,
    상기 제 2 물 유입관에서의 물 유동을 제어하는 제 2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실내기로 상기 제1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상기 제 1 밸브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 2 밸브를 폐쇄시키며,
    상기 실내기로 상기 제2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상기 제 2 밸브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 1 밸브를 폐쇄시키며,
    상기 실내기로 상기 제3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상기 제 1 밸브 및 제 2 밸브를 개방시키는 공기 조화 장치.
  14. 냉매가 순환하는 실외기; 물이 순환하는 복수의 실내기; 상기 실외기와 상기 복수의 실내기를 연결하며, 상기 냉매와 물간에 열교환을 수행하며, 복수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복수의 포트를 포함하는 열교환 장치; 및 상기 열교한 장치와 상기 복수의 실내기 간의 물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배관탐색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트 중 일부로 제1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하고, 다른 일부로 상기 제1온도 보다 낮은 제2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1온도의 물이 유동되는 포트 들을 제1그룹으로 그룹화하고, 상기 제2온도의 물이 유동되는 포트 들을 제2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단계;
    상기 제1그룹의 포트 중 일부로 상기 제1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하고 다른 일부로 상기 제2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하며, 상기 제2그룹의 포트 중 일부로 상기 제1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하고 다른 일부로 상기 제2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배관탐색방법.
  15. 냉매가 순환하는 실외기; 물이 순환하는 복수의 실내기; 상기 실외기와 상기 복수의 실내기를 연결하며, 상기 냉매와 물간에 열교환을 수행하며, 복수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복수의 포트를 포함하는 열교환 장치; 및 상기 열교한 장치와 상기 복수의 실내기 간의 물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배관탐색방법에 있어서,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실내 온도에 기초하여 배관 탐색을 위한 물의 온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실내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복수의 포트 중 일부로 제1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하고, 다른 일부로 상기 제1온도 보다 낮은 제2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실내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복수의 포트 중 일부로 상기 제1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하고, 다른 일부로 상기 제1온도와 상기 제2온도의 사이 온도인 제3온도의 물이 유동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배관탐색방법.
KR1020190058403A 2019-05-17 2019-05-17 공기 조화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의 배관탐색방법 KR102582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403A KR102582538B1 (ko) 2019-05-17 2019-05-17 공기 조화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의 배관탐색방법
PCT/KR2020/005116 WO2020235811A1 (en) 2019-05-17 2020-04-16 Air conditioner and pipe search method therefor
US16/875,187 US11614252B2 (en) 2019-05-17 2020-05-15 Air conditioner and pipe search method therefor
EP20174995.9A EP3739278B1 (en) 2019-05-17 2020-05-15 Air conditioner and pipe search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403A KR102582538B1 (ko) 2019-05-17 2019-05-17 공기 조화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의 배관탐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603A true KR20200132603A (ko) 2020-11-25
KR102582538B1 KR102582538B1 (ko) 2023-09-26

Family

ID=70738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403A KR102582538B1 (ko) 2019-05-17 2019-05-17 공기 조화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의 배관탐색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14252B2 (ko)
EP (1) EP3739278B1 (ko)
KR (1) KR102582538B1 (ko)
WO (1) WO20202358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2736A (ko) * 2020-02-12 2021-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7441A1 (ja) * 2011-03-01 2012-09-07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空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936B1 (ko) * 2004-10-02 2012-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에어컨 시스템 및 멀티 에어컨 시스템의 배관연결탐색방법
KR20080060760A (ko) * 2006-12-27 2008-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난방 동시형 멀티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
KR100861598B1 (ko) 2007-03-16 2008-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
KR101403829B1 (ko) * 2007-08-20 2014-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공기조화기의 배관 탐색 장치
CN102016442B (zh) 2008-04-30 2013-06-26 三菱电机株式会社 空气调节装置
US9062787B2 (en) 2009-04-17 2015-06-2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Valve block, and valve block unit
WO2010128553A1 (ja) * 2009-05-08 2010-11-1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20110073707A (ko) * 2009-12-24 2011-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
KR101819745B1 (ko) * 2011-05-11 2018-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7441A1 (ja) * 2011-03-01 2012-09-07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35811A1 (en) 2020-11-26
US11614252B2 (en) 2023-03-28
KR102582538B1 (ko) 2023-09-26
US20200363090A1 (en) 2020-11-19
EP3739278A1 (en) 2020-11-18
EP3739278B1 (en) 202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2600B2 (en) Multi-unit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712055B2 (en) Air conditioner
US10317113B2 (en) Air conditioner
EP3842711A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EP3715736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2023503192A (ja) 空気調和装置
US11499727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20120285675A1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KR20210096522A (ko) 공기 조화 장치
KR102582538B1 (ko) 공기 조화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의 배관탐색방법
JP2019196851A5 (ko)
WO2018189826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100677267B1 (ko) 냉난 동시형 멀티 공기조화기의 분배유닛
US11668482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pipe search
GB2526486A (en) Air conditioner
KR102498549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CN216924512U (zh) 空气调节装置
US11397015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2466760B1 (ko) 멀티형 공기조화 시스템
KR20200039305A (ko) 공기조화 시스템
JPH046371A (ja) 多室式空気調和機
KR20240068242A (ko) 공기조화기
KR20190132081A (ko) 공기조화 시스템 및 공기조화 시스템의 배관 탐색 방법
KR20180138369A (ko) 공기조화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