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1598B1 -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1598B1
KR100861598B1 KR1020070026152A KR20070026152A KR100861598B1 KR 100861598 B1 KR100861598 B1 KR 100861598B1 KR 1020070026152 A KR1020070026152 A KR 1020070026152A KR 20070026152 A KR20070026152 A KR 20070026152A KR 100861598 B1 KR100861598 B1 KR 100861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group
indoor
pipe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4433A (ko
Inventor
권기백
황일남
최진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6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1598B1/ko
Priority to ES07833593.2T priority patent/ES2637162T3/es
Priority to EP07833593.2A priority patent/EP2137466B1/en
Priority to PCT/KR2007/005284 priority patent/WO2008114919A1/en
Publication of KR20080084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1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1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human errors during the installation, use or maintenance, e.g. goofy pro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분배기에 연결된 실내기들의 연결 상태를 탐색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에 따르면 각 분배기에 연결된 실내기 그룹을 탐색하고, 각 분배기마다 하나씩의 실내기를 동시에 탐색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 분배기, 배관탐색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method for searching pipes in the air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관탐색방법에서 각 분배기에 연결된 실내기 그룹을 탐색하는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배관탐색방법에서 각 분배기에 연결된 실내기들을 개별적으로 탐색하는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배관탐색방법에서 각 분배기에 연결된 실내기 그룹을 탐색하는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5의 배관탐색방법에서 각 분배기에 연결된 실내기들을 개별적으로 탐색하는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실외기 20,30: 분배기
50,60: 실내기 그룹 51,52,53,61,62,63: 실내기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 실내기가 어느 배관과 연결되었는지를 탐색하는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순환시켜 실내공간을 냉난방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의 연결 수에 따라 싱글형 공기조화기와 멀티 공기조화기로 구분된다. 상기 싱글형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에 하나의 실내기가 연결된다. 상기 멀티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에 다수의 실내기가 연결된다.
상기 멀티 공기조화기는 다수의 실내기에 냉매를 분배하는 분배기가 포함된다. 상기 멀티 공기조화기에는 실내기 대수가 많을 경우 다수의 분배기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분배기에는 다수의 밸브가 배치되고, 상기 각 밸브에는 배관이 연결되며, 상기 각 배관에는 실내기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멀티 공기조화기는 냉매 유동 방식에 따라 절환형 공기조화기와 동시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된다. 상기 절환형 공기조화기는 모든 실내기가 냉방모드에서 난방모드 또는 그 반대로 절환된다. 또한, 상기 동시형 공기조화기는 일부의 실내기는 냉방모드, 일부의 실내기는 난방모드로 동시에 운전된다.
상술한 공기조화기는 건물에 설치된 후 정상 운전되기 전에 먼저 시운전이 수행된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시운전시에는 각 배관이 어느 실내기에 연결되었는지를 탐색하는 배관탐색운전이 수행된다. 이러한 배관탐색운전에 의해 상기 각 실내 기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멀티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멀티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배관에 배치된 밸브만을 제어하여 실내기 한 대씩 순차적으로 배관탐색을 수행한다. 따라서, 실내기의 연결 대수가 많을 경우 배관탐색시간이 현저히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1 대의 실내기의 배관탐색이 완료된 후에는 그 실내기의 온도가 다른 실내기와 거의 같아지도록 일정한 시간동안 냉매사이클을 정지해야 하므로, 전체적인 배관탐색시간이 더욱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체적인 시운전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각 실내기에 어느 배관이 연결되었는지를 탐색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각 분배기에 연결된 실내기 그룹들 중에서 하나씩의 그룹이 순차적으로 운전되고, 운전되는 실내기 그룹을 감지하여 각 실내기 그룹이 어느 분배기에 연결되었는지를 탐색하는 그룹별탐색단계; 및 상기 각 실내기 그룹마다 하나씩의 실내기가 순차적으로 운전되고, 운전되는 실내기를 감지하여 각 실내기가 해당 분배기의 어느 배관에 연결되었는지 를 탐색하는 개별탐색단계가 포함되는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그룹별탐색단계와 개별탐색단계에서는 실내기의 온도변화 또는 압력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그룹별탐색단계와 개별탐색단계에서는 실내기가 난방모드 또는 냉방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상기 그룹별탐색단계에서는 운전되는 실내기 그룹의 탐색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운전되는 실내기 그룹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반대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상기 개별탐색단계에서는 운전되는 실내기의 탐색이 완료된 후에 상기 운전되는 실내기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반대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각 분배기에 연결된 실내기 그룹들이 모두 운전되는 운전단계; 상기 실내기 그룹들에서 하나씩의 실내기 그룹이 순차적으로 정지되고, 정지된 실내기 그룹을 감지하여 각 실내기 그룹이 어느 분배기에 연결되었는지를 탐색하는 그룹별탐색단계; 및 상기 각 실내기 그룹마다 하나씩의 실내기가 순차적으로 일정 시간 정지되고, 정지된 실내기를 감지하여 각 실내기가 해당 분배기의 어느 배관에 연결되었는지를 탐색하는 개별탐색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그룹별탐색단계와 개별탐색단계에서는 실내기의 온도변화 또는 압력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그룹별탐색단계에서는 정지된 실내기 그룹의 탐색이 완료된 후 상기 정지된 실내기 그룹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다른 실내기 그룹과 동일한 모드로 운전 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 등이 배치되는 실외기(10)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10)는 하나 또는 다수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기(10)의 압축기 또는/및 실외 열교환기는 실외기(10) 내에 하나 또는 다수가 배치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외기(10)에는 제어부(미도시)가 배치된다.
상기 실외기(10)에는 배관에 의해 다수의 분배기(20,30)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공기조화기가 절환형인 경우 상기 배관은 압축냉매가 유동하는 고압배관과, 팽창된 냉매가 유동하는 저압배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가 동시형인 경우 상기 배관은 압축냉매가 유동하는 고압배관, 응축된 냉매가 유동하는 액관 및 팽창된 냉매가 유동하는 저압배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분배기(20,30)는 다수의 밸브(21,22,23,31,32,33)가 배치된다. 상기 각 밸브(21,22,23,31,32,33)에는 배관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배관과 밸브의 구조는 공기조화기가 절환형 또는 동시형이냐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각 실내기(51,52,53,61,62,63)에 냉매가 유출입되도록 상기 밸브 및 배관 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각 분배기(20,30)마다 하나씩의 실내기 그룹(50,60)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실내기 그룹(50,60)은 다수의 실내기(51,52,53,61,62,63)로 구성된다.
상기 각 실내기(51,52,53,61,62,63)에는 감지수단(51a,52a,53a,61a,62a,63a)이 배치된다. 상기 감지수단(51a,52a,53a,61a,62a,63a)으로는 온도센서 또는 압력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감지수단(51a,52a,53a,61a,62a,63a)으로 온도센서가 배치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각 분배기(20,30)의 밸브들(21,22,23,31,32,33)과 각 실내기(51,52,53,61,62,63)의 온도센서(51a,52a,53a,61a,62a,63a)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실외기(10)의 제어부와 연결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분배기(20,30)에서 배관을 연장하여 각 실내 공간에 배치시킨 다음에 상기 각 배관에 실내기(51,52,53,61,62,63)를 각각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공기조화기를 정상 가동하기 전에 각 배관에 어느 실내기가 연결되었는지를 탐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배관탐색방법의 제1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각 분배기(20,30)에 배치된 밸브들(21,22,23,31,32,33)에 관한 정보가 통신을 통해 제어부에 저장된다. 즉, 상기 제어부에는 각 분배기(20,30)에 어느 밸브(21,22,23,31,32,33)들이 배치되었는지가 저장된다. 상기 제어부는 각 분배기(20,30)에 배치된 모든 밸브(21,22,23,31,32,33)를 폐쇄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탐색방법은 각 분배기(20,30)에 어느 실내기 그룹(50,60)이 연결되었는지를 탐색하는 그룹별탐색을 수행한다. 그 다음, 각 실내기 그룹(50,60)마다 하나씩의 실내기가 해당 분배기의 어느 배관에 연결되는지를 동시에 탐색하는 개별탐색을 수행한다.
먼저, 상기 배관탐색방법의 그룹별탐색단계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분배기(20)에 있는 밸브들(21,22,23)을 모두 개방하여 상기 제1분배기(20)에 연결된 제1실내기 그룹(50)에만 냉매를 공급한다. 그리고, 제1분배기(20) 이외의 분배기들(30)의 밸브(31,32,33)들은 모두 폐쇄된다.
상기 제1분배기(20)에 연결된 제1실내기 그룹(50)은 난방모드 또는 냉방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실내기 그룹(50)에 배치된 온도센서(51a,52a,53a)는 통신에 의해 상기 제1실내기 그룹(50)의 온도변화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에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는 제1분배기(20)에 어느 실내기 그룹이 연결되었는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와 같이 제1분배기(20)에 연결된 제1실내기 그룹(50)이 탐색된다.
이어, 상기 제1분배기(20)에 배치된 모든 밸브(21,22,23)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배관탐색 완료된 제1실내기 그룹(50)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배관탑색시와 반대모드로 운전된다. 따라서, 상기 제1실내기 그룹(50)이 배관탐색 되지 않은 실내기 그룹(60)과 비슷한 온도가 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실내기 그룹(50)이 난방모 드로 운전되었다면, 상기 제1실내기 그룹(50)은 배관탐색 완료 후에 냉방모드로 운전된다.
또한, 상기 제1실내기 그룹(50)의 탐색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제1분배기(20)의 모든 밸브(21,22,23)를 폐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실내기 그룹(50)이 배관탐색되지 않은 실내기 그룹(60)과 비슷한 온도가 되도록 일정한 휴지 기간을 갖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의 감지수단으로서 압력센서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분배기(20)에 배치된 모든 밸브(21,22,23)를 개방하면, 상기 제1실내기 그룹(50)에는 냉매가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1실내기 그룹(50)의 압력센서가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압력변화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통신으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가동되는 제1실내기 그룹(50)이 어느 분배기(20)에 연결되었는지를 탐색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배관탐색방법에서 각 분배기에 연결된 실내기 그룹을 탐색하는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제2분배기(30)에 있는 밸브들(31,32,33)을 모두 개방하여, 상기 제2분배기(30)에 연결된 제2실내기 그룹(60)에만 냉매를 공급한다. 그리고, 제2분배기(30) 이외의 분배기(20)들에 배치된 밸브들(21,22,23)은 모두 폐쇄된다.
상기 제2분배기(30)에 연결된 제2실내기 그룹(60)은 난방모드 또는 냉방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실내기 그룹(60)에 배치된 온도센 서(61a,62a,63a)는 통신에 의해 상기 제2실내기 그룹(60)의 온도변화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에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는 제2분배기(30)에 어느 실내기 그룹(60)이 연결되었는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와 같이 제2분배기(30)에 연결된 제2실내기 그룹(60)이 배관탐색된다.
이어, 상기 제어부는 제2분배기(30)의 모든 밸브(31,32,33)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실내기 그룹(60)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배관탐색시와는 반대모드로 운전되어 제1실내기 그룹(50) 등과 비슷한 온도가 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2실내기 그룹(60)이 난방모드로 운전되었다면, 상기 제2실내기 그룹(60)은 배관탐색이 완료된 후 냉방모드로 운전된다.
또한, 상기 제2실내기 그룹(60)의 탐색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제2분배기(30)의 모든 밸브(31,32,33)를 폐쇄시킴으로써, 상기 제2실내기 그룹(60)이 상온에 가깝게 되도록 일정한 휴지 기간을 갖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에 감지수단으로 압력센서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2실내기 그룹(60)의 압력센서가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압력변화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통신으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가동되는 제2실내기 그룹(60)이 어느 분배기(30)에 연결되었는지를 탐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분배기(20,30)의 개수만큼 배관탐색함으로써, 각 분배기(20,30)에 어느 실내기 그룹(50,60)이 연결되었는지를 탐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는 각 분배기(20,30)에 어느 실내기 그룹(50,60)이 연결되었는지에 관한 정 보가 저장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배관탐색방법의 개별탐색단계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배관탐색방법에서 각 분배기에 연결된 실내기들을 개별적으로 탐색하는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마다 하나씩의 실내기(51,52,53,61,62,63)가 순차적으로 운전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각 분배기(20,30)에 배치된 한 쌍의 밸브(21,31)만을 각각 개방시킨다. 그러면,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의 제1실내기(51,61)에 냉매가 각각 공급되고,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의 나머지 실내기들(52,53,62,63)에는 냉매가 공급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의 제1실내기(51,61)는 난방모드 또는 냉방모드로 운전된다. 이때,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의 제1실내기(51,61)에 배치된 온도센서(51a,61a)에서는 온도변화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에 각각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는 각 실내기 그룹(50,60)의 제1실내기(51,61)가 해당 분배기(20,30)의 어느 배관에 연결되었는지를 탐색하여 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에 압력센서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각 분배기(20,30)에 배치된 한 쌍의 밸브(21,31)를 각각 개방하면,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의 제1실내기(51,61)에는 냉매가 유입된다. 이때,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의 제1실내기(51,61)에 배치된 압력센서가 압력변화를 각각 감지한다. 상기 압력센서는 감지된 압력변화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통신으로 각각 전달 한다. 상기 제어부에는 제1실내기(51,61)가 어느 분배기(20,30)의 배관에 연결되었는지가 저장된다.
다음으로, 상기 각 분배기(20,30)에 배치된 한 쌍의 밸브(21,31)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배관탐색 완료된 각 실내기 그룹(50,60)의 제1실내기(51,61)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배관탐색시와는 반대모드로 운전된다. 따라서,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의 제1실내기(51,61)가 배관탐색 되지 않은 실내기들(52,53,62,63)과 비슷한 온도가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에서 제1실내기(51,52)의 배관 탐색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각 분배기(20,30)의 모든 밸브(21,22,23,31,32,33)를 폐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실내기(51,61)가 배관탐색되지 않은 실내기들(52,53,62,63)과 비슷한 온도가 되도록 일정한 휴지 기간을 갖게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각 분배기(20,30)에 배치된 다른 한 쌍의 밸브(22,32)만을 각각 개방시킨다. 그러면,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의 제2실내기(52,62)에 냉매가 각각 공급되고,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의 나머지 실내기들(51,53,61,63)에는 냉매가 공급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의 제2실내기(52,62)는 난방모드 또는 냉방모드로 운전된다. 이때,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의 제2실내기(52,62)에 배치된 온도센서(52a,62a)에서는 온도변화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에 각각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는 각 실내기 그룹(50,60)의 제2실내기(52,62)가 해당 분배기(20,30)의 어느 배관에 연결되었는지를 탐색하여 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에 압력센서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각 분배기(20,30)에 배치된 다른 한 쌍의 밸브(22,32)를 각각 개방하면,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의 제2실내기(52,62)에는 냉매가 유입된다. 이때,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의 제2실내기(52,62)에 배치된 압력센서가 압력변화를 각각 감지한다. 상기 압력센서는 감지된 압력변화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통신으로 각각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에는 제2실내기(52,62)가 어느 분배기(20,30)의 배관에 연결되었는지가 저장된다.
다음으로, 상기 각 분배기(20,30)에 배치된 다른 한 쌍의 밸브(22,32)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배관탐색 완료된 각 실내기 그룹(50,60)의 제2실내기(52,62)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배관탐색시와는 반대모드로 운전된다. 따라서,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의 제2실내기(52,62)가 배관탐색 되지 않은 실내기(51,53,61,63)들과 비슷한 온도가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에서 제2실내기(52,62)의 배관 탐색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각 분배기(20,30)의 모든 밸브(21,22,23,31,32,33)를 폐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실내기(52,62)가 나머지 실내기들(51,53,61,63)과 비슷한 온도가 되도록 일정한 휴지 기간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 분배기(20,30)에 연결된 실내기 그룹(50,60)을 순차적으로 배관탐색하고, 각 실내기 그룹(50,60)마다 하나씩의 실내기(51,52,53,61,62,63)를 동시에 분배기(20,30)의 수만큼 배관탐색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1대씩의 실내기를 순차적으로 배관탐색하는 것에 비해 배관탐색시간이 현저히 단축된다. 특히, 상기 실내기 대수가 많을수록 종래에 비해 배관탐색시간이 더욱 단축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관탐색방법의 제2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배관탐색방법은 그룹별탐색단계를 수행한 후 개별탐색단계가 진행되는 점에서는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상기 그룹별탐색단계에서 하나씩의 실내기 그룹(50,60)을 순차적으로 정지시키면서 배관탐색을 수행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먼저, 상기 배관탐색방법의 그룹별탐색단계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배관탐색방법에서 각 분배기에 연결된 실내기 그룹을 탐색하는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각 분배기(20,30)에 연결된 실내기 그룹들(50,60)이 모두 운전된다. 이때, 모든 분배기(20,30)에 배치된 밸브들(21,22,23,31,32,33)이 모두 개방되어, 상기 모든 실내기 그룹(50,60)이 난방운전 또는 냉방운전된다. 또한, 상기 모든 실내기 그룹(50,60)에 배치된 온도센서(51a,52a,53a,61a,62a,63a)에서는 각 실내기 그룹(50,60)의 온도를 감지하여 통신에 의해 제어부에 전달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실내기 그룹들(50,60) 중에서 하나씩의 실내기 그룹(50,60)이 순차적으로 정지된다. 이때, 상기 제1분배기(20)에 있는 밸브들(21,22,23)은 모두 폐쇄된다. 또한, 상기 제2분배기(30)에 있는 밸브 들(31,32,33)은 모두 개방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 제1실내기 그룹(50)에 배치된 온도센서(51a,52a,53a)는 통신에 의해 상기 제1실내기 그룹(50)의 온도변화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에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는 제1분배기(20)에 어느 실내기 그룹(50)이 연결되었는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와 같이 제1실내기 그룹(50)이 제1분배기(20)에 연결된 것이 탐색된다.
이어, 상기 제1분배기(20)에 배치된 모든 밸브(21,22,23)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배관탐색 완료된 제1실내기 그룹(50)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배관탐색되지 않은 실내기 그룹들(60)과 동일모드로 운전된다. 따라서, 상기 제1실내기 그룹(50)이 배관탐색 되지 않은 실내기 그룹(60)과 비슷한 온도가 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실내기 그룹(50)이 난방모드로 운전되었다면, 상기 제1실내기 그룹(50)은 배관탐색 완료 후에 난방모드로 운전된다.
한편,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에 압력센서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실내기 그룹(50)의 압력센서가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압력변화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통신으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가동되는 제1실내기 그룹(50)이 어느 분배기(20)에 연결되었는지를 탐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분배기(30)에 있는 밸브들(31,32,33)이 모두 폐쇄되어 상기 제2분배기(30)에 연결된 제2실내기 그룹(60)에만 냉매가 차단한다. 그리고, 제2분배기(30) 이외의 분배기들(20)의 밸브들(21,22,23)은 모두 개방된다.
상기 제2실내기 그룹(60)에 배치된 온도센서(61a,62a,63a)는 통신에 의해 상 기 제2실내기 그룹(60)의 온도변화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에 전달한다.
이어, 상기 제2분배기(30)에 배치된 모든 밸브(31,32,33)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배관탐색 완료된 제2실내기 그룹(60)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나머지 실내기 그룹들(50)과 동일모드로 운전된다. 따라서, 상기 제2실내기 그룹(60)이 나머지 실내기 그룹(50)들과 비슷한 온도가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에 압력센서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2실내기 그룹(60)의 압력센서가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압력변화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통신으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분배기(20,30)의 개수만큼 배관탐색함으로써, 각 분배기(20,30)에 어느 실내기 그룹(50,60)이 연결되었는지를 탐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는 각 분배기(20,30)에 어느 실내기 그룹(50,60)이 연결되었는지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배관탐색방법의 개별탐색단계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은 도 5의 배관탐색방법에서 각 분배기에 연결된 실내기들을 개별적으로 탐색하는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마다 하나씩의 실내기(51,52,53)가 순차적으로 정지 또는 가동된다.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마다 하나씩의 실내기(51,52,53,61,62,63)가 순차적으로 가동되면서 배관탐색하는 것에 관해서는 제1실시예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마다 하나씩의 실내기(51,52,53)가 순차적으로 정지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각 분배기(20,30)에 배치된 한 쌍의 밸브(21,31)만을 각각 폐쇄시킨다. 그러면,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의 제1실내기(51,61)에 냉매가 각각 차단되고,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의 나머지 실내기들(52,53,62,63)에는 냉매가 공급된다. 또한,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의 제2,3실내기(51,61)는 난방모드 또는 냉방모드로 운전된다. 이때,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의 제1실내기(51,61)에 배치된 온도센서(51a,61a)에서는 온도변화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에 각각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는 각 실내기 그룹(50,60)의 제1실내기(51,61)가 해당 분배기(20,30)의 어느 배관에 연결되었는지를 탐색하여 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에 압력센서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의 제1실내기(51,61)에 배치된 압력센서가 압력변화를 각각 감지한다. 상기 압력센서는 감지된 압력변화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통신으로 각각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에는 제1실내기(51,61)가 어느 분배기(20,30)의 배관에 연결되었는지가 저장된다.
다음으로, 상기 각 분배기(20,30)에 배치된 한 쌍의 밸브(21,31)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배관탐색 완료된 각 실내기 그룹(50,60)의 제1실내기(51,61)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다른 실내기(52,53,62,63)들과 동일모드로 운전된다. 따라서,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의 제1실내기(51,61)가 배관탐색 되지 않은 실내기들(52,53,62,63)과 비슷한 온도가 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각 분배기(20,30)에 배치된 다른 한 쌍의 밸브(22,32)만을 각각 폐쇄시킨다. 그러면,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의 제2실내기(52,62)에 냉매가 차단되고,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의 나머지 실내기들(51,53,61,63)에는 냉매가 공급된다.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의 제2실내기(52,62)에 배치된 온도센서(52a,62a)에서는 온도변화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에 각각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는 각 실내기 그룹(50,60)의 제2실내기(52,62)가 해당 분배기(20,30)의 어느 배관에 연결되었는지를 탐색하여 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에 압력센서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의 제2실내기(52,62)에 배치된 압력센서가 압력변화를 각각 감지한다. 상기 압력센서는 감지된 압력변화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통신으로 각각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에는 제2실내기(52,62)가 어느 분배기(20,30)의 배관에 연결되었는지가 저장된다.
다음으로, 상기 각 분배기(20,30)에 배치된 다른 한 쌍의 밸브(22,32)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배관탐색 완료된 각 실내기 그룹(50,60)의 제2실내기(52,62)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다른 실내기들(51,53,61,63)과 동일모드로 운전된다. 따라서, 상기 각 실내기 그룹(50,60)의 제2실내기(52,62)가 나머지 실내기들(51,53,61,63)과 비슷한 온도가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각 분배기(20,30)에 연결된 실내기 그룹(50,60)을 순차적으로 그룹별배관탐색하고, 각 실내기 그룹(50,60)마다 하나씩의 실내기를 동시에 실내기 그룹의(50,60)에 배치된 실내기의 수만큼 개별배관탐색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실내기 1대씩 순차적으로 배관탐색하는 것에 비해 배관탐색시간이 현저히 단축된다. 특히, 상기 실내기 대수가 많을수록 종래에 비해 배관탐색시간이 더욱 단축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기 그룹별로 순차적으로 배관탐색을 수행한 후 각 실내기 그룹마다 하나씩의 실내기를 동시에 배관탐색하므로, 배관탐색시간이 현저히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실내기의 연결 대수가 많아질 수로 상기 배관탐색시간은 종래에 비해 현저히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각 분배기에 연결된 실내기 그룹들 중에서 하나씩의 그룹이 순차적으로 운전되고, 운전되는 실내기 그룹을 감지하여 각 실내기 그룹이 어느 분배기에 연결되었는지를 탐색하는 그룹별탐색단계; 및
    상기 각 실내기 그룹마다 하나씩의 실내기가 순차적으로 운전되고, 운전되는 실내기를 감지하여 각 실내기가 해당 분배기의 어느 배관에 연결되었는지를 탐색하는 개별탐색단계가 포함되는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별탐색단계와 개별탐색단계에서는 각각 실내기의 온도변화를 감지하여, 각 실내기 그룹이 어느 분배기에 연결되었는지 여부와 각 실내기가 해당 분배기의 어느 배관에 연결되었는지를 탐색하는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별탐색단계와 개별탐색단계에서는 각각 실내기의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각 실내기 그룹이 어느 분배기에 연결되었는지 여부와 각 실내기가 해당 분배기의 어느 배관에 연결되었는지를 탐색하는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별탐색단계와 개별탐색단계에서는 실내기가 난방모드 또는 냉방모드로 운전되는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별탐색단계에서는 냉방 또는 난방 운전되는 실내기 그룹의 탐색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운전되는 실내기 그룹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이전의 모드와 반대모드로 운전되는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탐색단계에서는 냉방 또는 난방 운전되는 실내기의 탐색이 완료된 후에 상기 운전되는 실내기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이전의 모드와 반대모드로 운전되는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
  7. 각 분배기에 연결된 실내기 그룹들이 모두 운전되는 운전단계;
    상기 실내기 그룹들에서 하나씩의 실내기 그룹이 순차적으로 정지되고, 정지된 실내기 그룹을 감지하여 각 실내기 그룹이 어느 분배기에 연결되었는지를 탐색하는 그룹별탐색단계; 및
    상기 각 실내기 그룹마다 하나씩의 실내기가 순차적으로 일정 시간 정지되고, 정지된 실내기를 감지하여 각 실내기가 해당 분배기의 어느 배관에 연결되었는지를 탐색하는 개별탐색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별탐색단계와 개별탐색단계에서는 각각 실내기의 온도변화를 감지하여, 각 실내기 그룹이 어느 분배기에 연결되었는지 여부와 각 실내기가 해당 분배기의 어느 배관에 연결되었는지를 탐색하는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별탐색단계와 개별탐색단계에서는 각각 실내기의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각 실내기 그룹이 어느 분배기에 연결되었는지 여부와 각 실내기가 해당 분배기의 어느 배관에 연결되었는지를 탐색하는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별탐색단계에서는 정지된 실내기 그룹의 탐색이 완료된 후 상기 정지된 실내기 그룹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다른 실내기 그룹과 동일한 모드로 운전되는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
KR1020070026152A 2007-03-16 2007-03-16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 KR100861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152A KR100861598B1 (ko) 2007-03-16 2007-03-16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
ES07833593.2T ES2637162T3 (es) 2007-03-16 2007-10-25 Método de sondeo de tuberías para acondicionador de aire
EP07833593.2A EP2137466B1 (en) 2007-03-16 2007-10-25 Pipe probing method for air conditioner
PCT/KR2007/005284 WO2008114919A1 (en) 2007-03-16 2007-10-25 Pipe probing method for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152A KR100861598B1 (ko) 2007-03-16 2007-03-16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433A KR20080084433A (ko) 2008-09-19
KR100861598B1 true KR100861598B1 (ko) 2008-10-07

Family

ID=39766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152A KR100861598B1 (ko) 2007-03-16 2007-03-16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137466B1 (ko)
KR (1) KR100861598B1 (ko)
ES (1) ES2637162T3 (ko)
WO (1) WO20081149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39278A1 (en) 2019-05-17 2020-11-18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and pipe search method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280B1 (ko) * 2016-01-28 2018-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9480A (ja) * 2000-04-03 2001-10-19 Sharp Corp 多室型空気調和機
KR20040090331A (ko) * 2003-04-17 2004-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시형 냉난방 멀티공기조화기의 자동배관 탐색장치 및 방법
KR20060055223A (ko) * 2004-11-18 2006-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에어컨 시스템 및 멀티 에어컨 시스템의 배관연결탐색방법
KR20060108026A (ko) * 2005-04-11 2006-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에어컨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6553A (ja) 1990-02-14 1991-10-22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JPH03236554A (ja) * 1990-02-14 1991-10-22 Toshiba Audio Video Eng Corp 空気調和機
JP2823497B2 (ja) 1993-11-12 1998-11-11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H07305879A (ja) * 1994-05-10 1995-11-21 Daikin Ind Ltd マルチ形空気調和機の誤配線検出方法
JPH08210739A (ja) 1995-02-06 1996-08-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電動膨張弁制御装置
KR100238656B1 (ko) * 1997-11-29 2000-01-15 윤종용 설치 점검 기능을 가진 멀티 인버터 공조 기기 및 테스트 방법
KR100432224B1 (ko) * 2002-05-01 2004-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냉매 누설 검출 방법
KR101116679B1 (ko) * 2004-08-16 201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에어컨 시스템 및 멀티 에어컨 시스템의 배관연결점검방법
KR101152936B1 (ko) * 2004-10-02 2012-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에어컨 시스템 및 멀티 에어컨 시스템의 배관연결탐색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9480A (ja) * 2000-04-03 2001-10-19 Sharp Corp 多室型空気調和機
KR20040090331A (ko) * 2003-04-17 2004-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시형 냉난방 멀티공기조화기의 자동배관 탐색장치 및 방법
KR20060055223A (ko) * 2004-11-18 2006-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에어컨 시스템 및 멀티 에어컨 시스템의 배관연결탐색방법
KR20060108026A (ko) * 2005-04-11 2006-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에어컨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39278A1 (en) 2019-05-17 2020-11-18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and pipe search method therefor
US11614252B2 (en) 2019-05-17 2023-03-28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and pipe search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37466A4 (en) 2012-01-25
EP2137466A1 (en) 2009-12-30
KR20080084433A (ko) 2008-09-19
ES2637162T3 (es) 2017-10-11
EP2137466B1 (en) 2017-06-07
WO2008114919A1 (en) 200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9745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US6772600B2 (en) Multi-unit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755591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compressors according to a matrix
WO2014020907A2 (en) Multi air-conditioning apparatus
CN102889639A (zh) 空调装置
KR100861598B1 (ko)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
KR20110073707A (ko) 공기 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
KR20080060757A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 공기조화기 및 그 배관설정방법
GB2273763A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having a supercooling unit provided between an outdoor unit and a plurality of indoor units
KR101116679B1 (ko) 멀티 에어컨 시스템 및 멀티 에어컨 시스템의 배관연결점검방법
CN106839312A (zh) 不停机化霜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和空调器
KR20080060762A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 공기조화기 및 그 배관탐색방법
US20060032929A1 (en) Unitary air conditioning system
KR20120114997A (ko) 공기 조화기
KR20030095615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KR100504888B1 (ko) 동시형 냉난방 멀티공기조화기의 자동배관 탐색장치 및 방법
KR101864280B1 (ko)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
KR101844861B1 (ko)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
EP3739278B1 (en) Air conditioner and pipe search method therefor
KR102080844B1 (ko) 멀티형 공기 조화기 및 그의 배관탐색방법
KR100680618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기동방법
KR20080060760A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 공기조화기의 배관탐색방법
JP2009236342A (ja) ショーケースの集中管理装置
KR20200073469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0614224B1 (ko) 냉난방 사이클을 이용한 자동배관 탐색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