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2111A -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2111A
KR20200132111A KR1020190057053A KR20190057053A KR20200132111A KR 20200132111 A KR20200132111 A KR 20200132111A KR 1020190057053 A KR1020190057053 A KR 1020190057053A KR 20190057053 A KR20190057053 A KR 20190057053A KR 20200132111 A KR20200132111 A KR 20200132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vehicle
fastening rod
fixing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2133B1 (ko
Inventor
우명남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7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133B1/ko
Publication of KR20200132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는 차량의 통합바디제어기(IBU; Integrated Body Unit)에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의 핀이 형성된 슬롯과, 슬롯 내에서 돌출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일부 구간에 고정홈을 갖는 체결로드를 구비하는 암 연결부와, 암 연결부의 슬롯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되, 체결로드를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고정하는 수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DOUBLE LOCK CONNECTOR FOR VEHICLE}
본 발명은 통합바디제어기(IBU; Integrated Body Unit)의 연결부에 이중 잠금 구조를 구현하여 체결력을 향상시킨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통합바디제어기(IBU)는 운전자의 편의 장치를 제어하는 메인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이다. 각 부분에서 핵심 기능을 담당하는 ECU와 차량 케이블과의 연결은 기구적으로 중요하다.
특히, 최근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안전 장치(Fail safety) 기능이 강화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맞춰 ECU와 차량 케이블과의 연결 구조를 강건화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커넥터는 통합바디제어기(IBU)와 각종 차량 케이블을 연결할 때, 암/수 커텍터가 상호 결합한 상태에서 수직 방향(y축)으로만 구속하는 형태였다. 즉, 종래의 커넥터는 수직 방향으로만 연결 부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했다.
하지만, 이렇게 한 방향으로만 연결 부위를 구속한 종래의 커넥터는 차량 진동이나 노후화 등의 요인으로 탈거되거나 변형으로 인한 부품파단 발생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통합바디제어기(IBU)의 연결부에 이중 잠금 구조를 구현하여 체결력을 향상시킨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는 차량의 통합바디제어기(IBU; Integrated Body Unit)에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의 핀이 형성된 슬롯과, 상기 슬롯 내에서 돌출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일부 구간에 고정홈을 갖는 체결로드를 구비하는 암 연결부; 및 상기 암 연결부의 슬롯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되, 상기 체결로드를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고정하는 수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 연결부는 상기 체결로드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체결홀더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홀더에는 상기 고정홈과 대응하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체결로드가 상기 체결홀더로 삽입되는 경로 상에 상기 체결로드를 사이에 두고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체결로드가 상기 체결홀더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될 시 좌우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경사진 구조를 갖는다.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체결로드가 상기 체결홀더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될 시 좌우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경사진 경사면; 상기 경사면에 연장 형성된 수평면; 및 상기 수평면에 연장 형성된 수직면;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면은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될 시 상기 체결로드를 수평 방향으로 고정한다.
상기 체결홀더는 상기 체결로드가 삽입되는 경로 상에 상기 체결로드를 사이에 두고 대칭되게 형성되는 U자형으로 이루어진 변형홈을 구비한다.
상기 변형홈은 상기 체결로드가 상기 체결홀더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될 시 상기 고정돌기가 좌우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상기 고정돌기의 전방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 연결부는 상기 체결홀더의 상부에 배치되는 고정대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대와 상기 체결홀더 사이에 삽입되는 상기 체결로드를 수직 방향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홀더는 상부가 개방되고 길이 방향 양단이 관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는 차량 케이블에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의 핀이 형성된 슬롯과, 상기 슬롯 내에서 돌출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일부 구간에 고정홈을 갖는 체결로드를 구비하는 암 연결부; 및 차량의 통합바디제어기(IBU; Integrated Body Unit)에 형성되며, 상기 암 연결부의 슬롯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되, 상기 체결로드를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고정하는 수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통합바디제어기(IBU)와 차량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위(연결부;)를 수평(x축) 및 수직(y축) 방향으로 이중 잠금함으로써, 연결부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한 번 체결된 연결부가 진동, 노후화 등의 직간접적인 영향으로 쉽게 분리되지 않아 부품 신뢰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의 구성 간 체결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에 있어서, 암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에 있어서, 수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병행 참조하면,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100)는 통합바디제어기(IBU)와 각종 차량 케이블을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다.
통합바디제어기는 바디제어모듈(BCM; Body Control Module), 타이어 공기압 경보 장치(TPMS;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주차보조 시스템(PAS; Parking Assist System) 및 스마트키 등 4개의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를 통합한 것이다.
본 발명인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100)는 암 연결부(110, Female Connector)와, 수 연결부(120, Male Connector)를 수평 방향(x축)과 수직 방향(y축)으로 동시에 구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암 연결부(110)의 체결로드(112)는 수 연결부(120)의 고정대(124)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고정된다. 이때, 암 연결부(110)는 수 연결부(120)와 요철(凹凸)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암 연결부(110)와 수 연결부(120)가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는 형태는 후술되는 도면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의 구성 간 체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병행 참조하면,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100)는 크게 암 연결부(110)와, 수 연결부(120)를 포함한다.
암 연결부(110)는 통합바디제어기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암 연결부(110)는 상기 통합바디제어기의 접지부를 담당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암 연결부(110)는 상부가 개방된 단면도를 나타낸 형태로써, 본 발명의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암 연결부(110)는 슬롯(111)과 체결로드(112)를 구비한다.
슬롯(111)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진다. 이때, 상기 슬롯(111)에는 복수의 핀(111a)이 돌출 형성된다.
체결로드(112)는 상기 슬롯(111)의 수용 공간 내에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로드(112)는 길이 방향의 일부 구간에 고정홈(112a)을 갖는다. 상기 고정홈(112a)은 상기 체결로드(112)의 길이 방향의 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된다.
수 연결부(120)는 상기 암 연결부(110)의 슬롯(111)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수 연결부(120)의 주요 특징은, 상기 체결로드(112)를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고정한다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수 연결부(120)는 체결홀더(121), 고정돌기(122), 변형홈(123) 및 고정대(12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체결홀더(121)는 상기 체결로드(112)가 삽입되어 안착된다. 이때, 상기 체결홀더(121)는 상부가 개방되고 길이 방향 양단이 관통된 구조를 갖는다.
고정돌기(122)는 상기 체결로드(112)의 고정홈(112a)과 대응하는 크기로 상기 체결홀더(121)에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돌기(122)는 상기 체결로드(112)가 상기 체결홀더(121)로 삽입되는 경로 상에 상기 체결로드(112)를 사이에 두고 대칭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홀더(121)로 삽입되는 경로는 상기 체결홀더(121)의 길이 방향 구간을 의미한다.
상기 고정돌기(122)는 상기 체결홀더(121)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돌기(122)는 상기 체결로드(112)가 상기 체결홀더(12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될 시 좌우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122)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경사진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체결홀더(121)의 입측을 전방이라고 하고 상기 체결홀더(121)의 출측을 후방이라고 할 때, 상기 체결홀더(121)의 길이 방향의 측면은 좌, 우 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변형홈(123)은 상기 체결홀더(121)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변형홈(123)은 상기 체결로드(121)가 삽입되는 경로 상에 상기 체결로드(112)를 사이에 두고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 변형홈(123)은 상기 체결로드(112)가 상기 체결홀더(12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될 시, 상기 고정돌기(122)가 좌우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상기 고정돌기(122)의 전방에 형성된다.
이러한 변형홈(123)은 U자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로드(112)가 상기 체결홀더(121)에 삽입되면, 고정돌기(122)가 돌출되는 크기 만큼 변위가 발생하기 때문에, 변형에 의한 수 연결부(120)의 파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변형홈(123)은 U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U자형인 변형홈(123)으로 인해 변형되는 부위의 응력을 분포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고정대(124)는 상기 체결홀더(121)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고정대(124)와 상기 체결홀더(121) 사이에 상기 체결로드(112)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로드(112)는 상기 체결홀더(121)와 고정대(124)로 인해 수직 방향으로 고정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에 있어서, 암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수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의 설명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소개된 구성의 중복되는 내용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암 연결부(110)의 슬롯(111)에는 복수의 핀(111a)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로는 하나의 체결로드(112)에만 고정홈(112a)이 있지만, 상기 고정홈(112a)이 복수의 체결로드(112)에 구비되거나 하나의 체결로드(112)에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될 수도 있다.
하지만, 고정홈(112a)이 상기 체결로드(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면, 상기 체결로드(112)가 삽입되는 체결홀더(도 3의 121)의 파단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상기 체결로드(112)의 길이와 강도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일환으로 상기 암 연결부(110)는 상기 체결로드(112)의 강도를 보완할 수 있는 보강부(113)를 구비한다. 상기 보강부(113)는 상기 체결로드(112)의 상부에 플랜지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수 연결부(120)는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수 연결부(120)는 체결로드(도 4의 112)가 체결홀더(121)로 삽입되면, 고정돌기(122)는 상기 체결로드(도 4의 112)가 삽입되는 경로의 일부를 제약한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122)는 상기 체결로드(도 4의 112)가 삽입될 때, 탄성 변형되며 좌우 방향으로 폭(w)만큼 변위가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122)는 경사면(122a), 수평면(122b) 및 수직면(122c)을 포함한다.
경사면(122a)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경사진 구간을 의미한다.
수평면(122b)은 상기 경사면(122a)에 연상 형성된 수평 구간을 의미한다.
수직면(122c)은 상기 수평면(122b)에 연장 형성된 수직 구간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수직면(122c)은 상기 고정돌기(122)가 고정홈(도 4의 112a)에 삽입될 시 상기 체결로드(도 4의 112)를 수평 방향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의 암 연결부는 차량 케이블에 형성되고, 수 연결부는 통합바디제어기(IBU)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암/수 연결부는 도 1 내지 도 5에 설명된 구성과 동일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합바디제어기(IBU)와 차량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위(연결부;)를 수평(x축) 및 수직(y축) 방향으로 이중 잠금함으로써, 연결부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한 번 체결된 연결부가 진동, 노후화 등의 직간접적인 영향으로 쉽게 분리되지 않아 부품 신뢰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
110 : 암 연결부 111 : 슬롯
111a : 핀 112 : 체결로드
112a : 고정홈 113 : 보강부
120 : 수 연결부 121 : 체결홀더
122 : 고정돌기 122a : 경사면
122b : 수평면 122c : 수직면
123 : 변형홈 124 : 고정대

Claims (12)

  1. 차량의 통합바디제어기(IBU; Integrated Body Unit)에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의 핀이 형성된 슬롯과, 상기 슬롯 내에서 돌출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일부 구간에 고정홈을 갖는 체결로드를 구비하는 암 연결부; 및
    상기 암 연결부의 슬롯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되, 상기 체결로드를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고정하는 수 연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 연결부는
    상기 체결로드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체결홀더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홀더에는 상기 고정홈과 대응하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인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체결로드가 상기 체결홀더로 삽입되는 경로 상에 상기 체결로드를 사이에 두고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인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체결로드가 상기 체결홀더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될 시 좌우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경사진 구조를 갖는 것인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체결로드가 상기 체결홀더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될 시 좌우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경사진 경사면;
    상기 경사면에 연장 형성된 수평면; 및
    상기 수평면에 연장 형성된 수직면;을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면은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될 시 상기 체결로드를 수평 방향으로 고정하는 것인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더는
    상기 체결로드가 삽입되는 경로 상에 상기 체결로드를 사이에 두고 대칭되게 형성되는 U자형으로 이루어진 변형홈을 구비하는 것인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홈은
    상기 체결로드가 상기 체결홀더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될 시 상기 고정돌기가 좌우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상기 고정돌기의 전방에 형성되는 것인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 연결부는
    상기 체결홀더의 상부에 배치되는 고정대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대와 상기 체결홀더 사이에 삽입되는 상기 체결로드를 수직 방향으로 고정하는 것인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더는
    상부가 개방되고 길이 방향 양단이 관통된 구조인 것인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
  11. 차량의 통합바디제어기(IBU; Integrated Body Unit)에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의 핀이 형성된 슬롯과, 상기 슬롯 내에서 돌출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일부 구간에 고정홈을 갖는 체결로드를 구비하는 암 연결부; 및
    상기 암 연결부의 슬롯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되, 상기 고정홈 내로 삽입되어 상기 체결로드를 수평 방향으로 고정하는 고정돌기와, 상기 체결로드를 상하로 감싸 수직 방향으로 고정하는 고정대를 구비하는 수 연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
  12. 차량 케이블에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의 핀이 형성된 슬롯과, 상기 슬롯 내에서 돌출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일부 구간에 고정홈을 갖는 체결로드를 구비하는 암 연결부; 및
    차량의 통합바디제어기(IBU; Integrated Body Unit)에 형성되며, 상기 암 연결부의 슬롯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되, 상기 체결로드를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고정하는 수 연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
KR1020190057053A 2019-05-15 2019-05-15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 KR102622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053A KR102622133B1 (ko) 2019-05-15 2019-05-15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053A KR102622133B1 (ko) 2019-05-15 2019-05-15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111A true KR20200132111A (ko) 2020-11-25
KR102622133B1 KR102622133B1 (ko) 2024-01-08

Family

ID=73645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053A KR102622133B1 (ko) 2019-05-15 2019-05-15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1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3483A (ja) * 2001-05-11 2002-11-29 Yazaki Corp ホルダ付きコネクタ
KR20030013253A (ko) * 2001-07-31 2003-02-14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2개의 워크피스의 잠금 구조
KR20110051102A (ko) * 2009-11-09 2011-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노이즈 제거용 커넥터
JP2013122319A (ja) * 2011-12-08 2013-06-20 Bal Seal Engineering Inc マルチラッチ掛け機構及びこれに関連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3483A (ja) * 2001-05-11 2002-11-29 Yazaki Corp ホルダ付きコネクタ
KR20030013253A (ko) * 2001-07-31 2003-02-14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2개의 워크피스의 잠금 구조
KR20110051102A (ko) * 2009-11-09 2011-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노이즈 제거용 커넥터
JP2013122319A (ja) * 2011-12-08 2013-06-20 Bal Seal Engineering Inc マルチラッチ掛け機構及びこれに関連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2133B1 (ko) 202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6914B2 (en) Checkable plug-in connection and method for checking the connection state of a plug-in connection
US9156419B2 (en) Bumper attachment structure
US9843132B2 (en) Cable strain relief
CN105789976B (zh) 连接器
MX2013008797A (es) Conector electrico para un sistema de retencion de seguridad que tiene un contacto a tierra.
US9853391B2 (en) Wire connector with integrated coaxial connection and front loade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structures
KR20200132111A (ko)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
US9692148B2 (en) Connection terminal
CN110932035B (zh) 连接器和包括该连接器的连接器组件
US4929182A (en) Mounting construction for on-vehicle electrical connection apparatus
US20070059962A1 (en) Locking element
US7581981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fitting device
KR100838786B1 (ko) 커넥터하우징
US7622671B2 (en) Attachment structure for electric junction box
US9979130B2 (en) Charging inlet
US20070066097A1 (en) Fuse connnection box
CN109565162B (zh) 车载部件
US11121510B2 (en) Connector
JP5082244B2 (ja) 電気部品
US7044766B2 (en) Automotive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method of assembling thereof
KR20090004119U (ko) 커넥터
US20230268703A1 (en) Single Pass-Through Connector
KR20090022961A (ko) 커넥터하우징
JP2005190860A (ja) 電気コネクタ
JP7472810B2 (ja) コネクタ固定構造及び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