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1481A - 낚싯대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낚싯대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1481A
KR20200131481A KR1020190056160A KR20190056160A KR20200131481A KR 20200131481 A KR20200131481 A KR 20200131481A KR 1020190056160 A KR1020190056160 A KR 1020190056160A KR 20190056160 A KR20190056160 A KR 20190056160A KR 20200131481 A KR20200131481 A KR 20200131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fixed
claw
support plat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8176B1 (ko
Inventor
양재두
Original Assignee
양재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두 filed Critical 양재두
Priority to KR1020190056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176B1/ko
Publication of KR20200131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난간파이프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낚싯대 거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선박의 난간파이프에 고정되는 낚싯대 거치장치에 있어서, 낚싯대를 탈착가능하게 지지하는 낚싯대거치부와, 상면에 상기 낚싯대거치부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클램프본체부와,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난간파이프에 접촉하는 고정클로와, 상기 클램프본체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가이드슬롯을 가지고 승강이동하여 상기 난간파이프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한 가동클로와, 상기 클램프본체부의 하단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가동클로를 승강이동시키는 나사조작부를 포함하는 클램핑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싯대 거치장치{FISHING ROD SUPPORTER}
본 발명은 낚싯대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서 낚시를 할 때 낚싯대를 선박의 난간파이프에 고정하기 위한 낚싯대 거치장치가 있다. 이러한 낚싯대 거치장치는 통상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난간파이프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10-0022656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20-2010-0008338호를 통해 선박의 난간파이프에 고정될 수 있는 낚싯대 거치장치에 관해 출원을 한 바 있다.
그러나, 기존의 낚싯대 거치장치는 난간파이프에 충분히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거나, 거치장치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고정을 위한 부재가 적절한 가압위치를 자리잡지 못하여 난간파이프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선박의 난간파이프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낚싯대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선박의 난간파이프에 고정되는 낚싯대 거치장치에 있어서, 낚싯대를 탈착가능하게 지지하는 낚싯대거치부와, 상면에 상기 낚싯대거치부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클램프본체부와,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난간파이프에 접촉하는 고정클로와, 상기 클램프본체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가이드슬롯을 가지고 승강이동하여 상기 난간파이프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한 가동클로와, 상기 클램프본체부의 하단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가동클로를 승강이동시키는 나사조작부를 포함하는 클램핑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거치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나사조작부는 암나사부를 가지는 고정단부와, 상단에 상기 가동클로가 결합되며 상기 암나사부와 맞물리는 수나사부를 가지는 가동볼트와, 상기 가동볼트의 하단에 마련되며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손잡이거치홈을 가지는 회전조작노브와, 상기 가동볼트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손잡이거치홈에 탈착가능한 손잡이를 포함하여 회전조작노브와 손잡이를 통해 가동볼트를 회전시켜 가동클로를 난간파이프에 접근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클로는 상기 가동볼트의 말단의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범위 내에서 요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가동클로가 난간파이프에 접근하는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가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자리잡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클로는 상기 난간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적어도 한 쌍의 고정물림치형부를 가지며, 상기 가동클로는 상기 고정물림치형보다 더 큰 간격으로 이격된 적어도 한 쌍의 가동물림치형부을 가지며, 상기 고정물림치형부와 상기 가동물림치형부는 상기 난간파이프의 축선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의 물림치형을 가지고 있어 복수의 물림치형이 난간파이프를 찍어누르듯이 가압하여 고정클로와 가동클로가 난간파이프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낚싯대거치부를 상기 지지판의 판면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나사축과, 상기 회동나사축을 체결 및 해제 조작하는 조작노브와 상기 조작노브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 조작레버와, 상기 낚싯대거치부와 상기 지지판들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멈춤돌기와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멈춤돌기에 맞물리는 복수의 멈춤공을 더 포함하여 낚싯대거치부를 간단한 조작으로 지지판의 판면 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 거치장치는 선박의 난간파이프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 거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의 (a)와 (b)는 낚싯대 거치장치의 측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3의 (a)는 낚싯대거치부를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낚싯대거치부를 지지판에 대해 소정간격 이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 거치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20) 거치장치는 선박 에 설치된 난간파이프(10)에 낚싯대(20)를 간편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낚싯대거치부(100), 클램핑부, 가압클램핑부(700)로 이루어진다.
낚싯대거치부(100)는 난간파이프(10)의 길이방향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멈춤돌기(830)와 중심영역에 회동관통공을 가지는 본체브라켓(110)과, 본체브라켓(110)의 후단영역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낚싯대(20)의 말단을 탈착가능하게 파지하는 낚싯대파지부(120)와, 본체브라켓(110)의 선단영역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낚싯대(20)의 말단으로부터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낚싯대(20)의 하부를 지지하는 거치부재(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낚싯대거치부(100)로 인해 낚싯대(20)는 낚싯대파지부(120)에 파지된 상태로 본체브라켓(110)에 대해 상하방향 회동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낚싯대(20)를 필요에 따라 낚싯대파지부(120)에 고정한 후 거치부재(130)에 거치하여 낚시를 즐기거나, 이들로부터 분리하여 낚시를 위한 행위를 실시할 수 있다.
클램핑부는 낚싯대거치부(100)를 선박의 난간파이프(10)에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판(200), 클램프본체부(300), 고정클로(400), 가동클로(500) 및 나사조작부로 구성된다.
지지판(200)은 판상의 부재로 난간파이프(10)의 길이방향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된다. 지지판(200)의 선단영역은 부채꼴의 형상을 가지며 외주영역에는 복수의 멈춤공(840)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지지판(200)의 중심영역에는 내측면에 암나사부을 가지고 본체브라켓(110)의 회동관통공과 축선정렬되는 회동암나사공이 형성된다.
클램프본체부(300)는 판상의 플레이트로 지지판(200)의 하면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연장된다. 클램프본체부(300)는 내측에 난간파이프(1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도록 "C"형의 형상을 가진다. 클램프본체부(300)의 하단에는 후술하게 될 나사조작부의 고정단부(610)가 형성된다.
고정클로(400)는 지지판(200)의 하면에 고정되며, 클램핑부가 난간파이프(10)에 고정되었을 때 난간파이프(10)에 상면과 접촉한다. 고정클로(400)는 난간파이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적어도 한 쌍의 고정물림치형부(410)를 가진다.
고정물림치형부(410)는 난간파이프(10)의 축선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의 물림치형(411)을 갖는다. 물림치형(411)은 난간파이프(10)와 접촉했을 때 난간파이프(10)의 표면을 파고드는 뾰족한 부분이 난간파이프(10)의 중심을 향하는 형상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클로(400)는 한 쌍의 고정물림치형부(410)와 한 쌍의 물림치형(411)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고정클로(400)는 전체적으로 4개의 물림치형(411)을 가지며 물림치형(411)은 난간파이프(10)의 상면의 4 포인트를 파고들며 접촉하게 된다.
가동클로(500)는 승강이동하여 난간파이프(10)에 접근 및 이격가능하며 클램핑부가 난간파이프(10)에 고정되었을 때 난간파이프(10)의 하면과 접촉한다. 가동클로(500)는 사각형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가동클로본체(501)와 가동클로본체(501)의 양 측면에서 난간파이프(10)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가동물림치형부(510)를 갖는다. 이때 한 쌍의 가동물림치형부(510)들 사이의 거리는 한 쌍의 고정물림치형부(410)들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어 낚싯대 거치장치의 자중 또는 낚싯대(2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부에서 하부로 향하는 힘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가동물림치형부(510)는 난간파이프(10)의 축선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의 물림치형(511)을 갖는다. 물림치형(511)의 형상은 고정클로(400)에 형성된 물림치형(411)의 형상과 동일하다. 또한, 가동클로(500)는 가동클로본체(501)에서 클램프본체부(300)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클램프본체부(300)의 양측 판면으로부터 각각 소정의 이격거리를 가지는 한 쌍의 돌출부재를 가지며, 이러한 돌출부재는 클램프본체부(300)의 일부가 삽입되는 가이드슬롯(520)을 형성한다.
나사조작부는 가동클로(500)를 승강이동시키며, 클램프본체부(300)의 하단에 결합되며 암나사부를 가지는 고정단부(610)와, 상단에 가동클로(500)가 결합되며 고정단부(610)의 암나사부와 맞물리는 수나사부를 가지는 가동볼트(620)와, 가동볼트(620)의 하단에 마련되며 내측으로 함몰된 손잡이거치홈(631)을 가지는 회전조작노브(630)와, 가동볼트(620)의 하단에 마련되어 손잡이거치홈(631)에 탈착가능하고 가동볼트(62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형성된 손잡이(640)로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회전조작노브(630)를 돌려 가동볼트(62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가동클로(500)를 상승시키며 고정클로(400)와 가동클로(500) 사이에 난간파이프(10)가 개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가동클로(500)가 어느 정도 난간파이프(10)에 접촉하게 되면 손잡이거치홈(631)으로부터 손잡이(640)를 인출한 후 가동볼트(620)의 축선과 수직이 되도록 회전시켜 손잡이(640)와 가동볼트(620)가 수직이 되도록 한 다음 가동볼트(620)를 회전시켜 더욱 큰 회전모멘트를 이용하여 가동클로(500)가 난간파이프(10)의 하면을 더욱 강하게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640)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손잡이거치홈(631)에 삽입시켜 손잡이(640)가 분실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2의 (b)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볼트(620)의 상단은 가동클로(500)와 결합된다. 가동클로본체(501)의 중심영역에는 가동볼트관통공이 형성되고, 가동볼트(620)의 상단에는 가동볼트관통공의 내측면과 소정의 이격거리를 가지면서 통과 가능한 가동볼트돌기(621)가 형성된다. 가동볼트돌기(621)의 상단에는 가동클로본체(501)와의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고정와셔부재(622) 설치된다.
이러한 가동볼트(620)와 가동클로(500)의 결합구조로 인해 가동클로(500)는 가동볼트(620)의 말단의 수평면에 대해 소정 범위 내에서 요동가능하다. 즉, 가동볼트관통공와 가동볼트돌기(621) 간의 이격거리와, 고정와셔부재(622)와 가동클로본체(501)와의 이격거리로 인해 가동클로(500)는 가동볼트(620)의 말단에서 요동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요동은 적어도 가이드슬롯(520)이 클램프본체부(300)를 소정의 이격거리를 가지고 수용하고 있는 부분에서는 크지 않다. 즉, 가동클로(500)는 가동볼트(620)의 말단에서 자유롭게 요동가능하나, 가동볼트(620)의 축선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회전은 클램프본체부(300)가 가이드슬롯(520)에 의해 구속되는 것에 소정의 범위 내에서 제한된다.
이러한 요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클로(500)로 인해 가동클로(500)와 고정클로(400)의 사이에 난간파이프(10)가 지지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가동클로(500)가 상승하며 물림치형(511)이 난간파이프(10)를 적절하게 가압하는 최적의 자리를 찾도록 할 수 있다. 즉, 난간파이프(10)가 정확한 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지 않거나, 표면에 이물질이 있거나, 물림치형(411, 511)이 어느 정도 마모된 상태에서도 가동클로(500)는 가동볼트(620)의 말단에서 요동가능하게 상승하므로 요동에 의한 움직임을 통해 물림치형(511)이 적절한 위치를 잡도록 할 수 있다.
가압클램핑부(700)는 지지판(200)의 하부에 결합되며 난간파이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가압클램프본체부(710)와, 가압클램프본체부(710)의 양단에 마련되며 암사사산을 가지는 가압볼트고정단부(730)와, 난간파이프(10)의 측면에 가압접촉하며 난간파이프(10)의 표면을 파고들 수 있는 복수의 가압치형을 가지는 한 쌍의 가압클로(720)와, 가압볼트고정단부(730)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산을 가지고 선단에는 가압클로(720)와 결합하고 후단에는 가압손잡이(750)를 가지는 한 쌍의 가압볼트(740)로 구성된다.
가압클램핑부(700)는 클램핑부의 가동클로(500)와 고정클로(400)가 난간파이프(10)의 상부와 하부를 가압고정한 상태에서 난간파이프(10)의 측방을 가압고정하게 된다. 이때, 가압클램핑부(700)는 난간파이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한 쌍의 가압클로(720)를 가지고, 가압클로(720)는 한 쌍의 가동물림치형부(510)들보다 각각 외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낚싯대 거치장치의 잦은 설치와 해제로 인해 고정클로(400)와 가동클로(500)의 물림치형(411, 511)이 어느 정도 마모되어도 가압클로(720)를 통해 난간파이프(10)를 고정클로(400)와 가동클로(500)의 물림치형(411, 511) 중 외측에 마련된 물림치형(411, 511)과 가압클로(720) 사이에 개재되도록 난간파이프(10)를 밀며 가압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된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고정물림치형부(410)와 가동물림치형부(510)들 중 마모가 심한 방향에 위치한 가압볼트(740)를 마모가 덜한 쪽보다 많이 회전시켜 전체적으로 안정된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클로(720)는 난간파이프(10)의 외면을 소정영역 감싸는 형태를 가지고, 난간파이프(10)를 향해 돌출된 복수의 가압치형을 가지므로 가압치형이 난간파이프(10)를 파고들어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고, 낚싯대(20) 거치장치가 난간파이프(10)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3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200)과 낚싯대거치부(100)에는 낚싯대거치부(100)를 지지판(200)의 판면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나사축(810)과, 회동나사축(810)의 말단에 형성되어 회동사나축을 체결 및 해제하는 조작노브(820)와, 조작노브(820)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 조작레버(821)를 가진다. 회동나사축(810)은 수나사부를 가지며, 낚싯대거치부(100)의 회동관통공을 통과하여 지지판(200)의 회동암나사공의 암나사산과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조작노브(820)를 한 쪽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수나사부가 암나사산과 맞물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노브(820)의 하면이 본체브라켓(110)의 상면을 하부의 지지판(200) 방향으로 가압하여 본체브라켓(110)과 지지판(200)이 밀착되고, 반대로 조작노브(820)를 다른 쪽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브라켓(110)과 지지판(200) 사이에 여유공간이 발생하여 본체브라켓(110)이 지지판(200)에 대해 어느정도 이격거리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본체브라켓(110)과 지지판(200)의 밀착과 이격거리를 이용하여 본체브라켓(110)을 지지판(200)의 판면 내에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지지판(200)의 선단에 형성된 복수의 멈춤공(840)들 중 어느 하나에 본체브라켓(11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멈춤돌기(830)가 끼워지게 하는 것으로 본체브라켓(110)과 지지판(200)이 밀착된 상태에서 본체브라켓(110)이 지지판(200)에 대해 각도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멈춤공(840)은 지지판(200)의 선단에 부채꼴 형상으로 복수 개 형성되므로 조작노브(820)를 돌려 본체브라켓(110)과 지지판(200) 사이에 소정의 이격거리를 만든 후 본체브라켓(110)을 회전시켜 멈춤돌기(830)가 원하는 각도위치에 있는 멈춤공(840)에 들어가게 하는 것으로 낚싯대거치부(100)를 지지판(200)에 대해 각도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멈춤돌기(830)와 멈춤공(840)은 멈춤돌기(830)가 지지판(200)에 형성되고 멈춤공(840)이 본체브라켓(1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조작노브(820)에는 측방으로 연장된 조작레버(821)가 형성되며 조작레버(821)는 낚싯대거치부(100)에 낚싯대(20)를 거치하였을 때 낚싯대(20)와의 길이방향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낚싯대(20)를 거치한 상황에서도 조작레버(821)를 이용하여 조작노브(820)를 손쉽게 조작하여 낚싯대거치부(100)를 지지판(200)에 대해 각도변경 할 수 있다. 만약, 조작레버(821)가 없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노브(820)의 상부에 낚싯대(20)가 거치되므로 조작노브(820)를 조작하기가 불편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20) 거치장치는 고정클로(400)와 가동클로(500)사이에 난간파이프(10)가 개재되도록 하여 낚싯대 거치장치가 난간파이프(1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고정클로(400)와 가동클로(500)는 물림치형(411, 511)을 가져 물림치형(411, 511)이 난간파이프(10)를 파고드는 것으로 인해 안정적인 지지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고정클로(400)가 가지는 한 쌍의 고정물림치형부(410)의 거리보다 가동클로(500)가 가지는 한 쌍의 가동물림치형부(510)들 사이의 거리가 더 크므로 상부에서 하부로 향하는 힘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동클로(500)를 보다 강하게 상승시켜 한 쌍의 가동물림치형부(510)가 난간파이프(10)를 상방으로 미는 힘을 증가시키면 난간파이프(10)는 고정물림치형부(410)들의 위치를 기준으로 양측방이 상향경사지도록 벤딩된다. 이러한 강제적인 벤딩을 이용한 고정은 상대적으로 더욱 강한 지지력을 가지게 되고 또한 낚싯대 거치장치가 난간파이프(10)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려 하는 현상을 보다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동클로(500)는 가이드슬롯(520)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는 상태로 가동볼트(620)의 말단에 요동 가능하게 상승할 수 있으므로, 상승과정에서 가동클로(500)의 물림치형(511)이 난간파이프(10)의 적절한 위치에 자리잡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가압클램핑부(700)를 통해 고정클로(400)와 가동클로(500)의 사이에 개재된 난간파이프(10)의 측면을 가압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가지며, 난간파이프(10)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 가압클로(720)와 가압치형으로 인해 낚싯대(20) 거치장치가 난간파이프(10)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클로(720)는 한 쌍으로 준비되어 난간파이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으로 배치되는 고정물림치형부(410)들과 가동물림치형부(510)들 중 마모가 심한 쪽의 외측에 배치되는 가압클로(720)를 이용하여 난간파이프(10)를 강하게 가압하는 것으로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얻을 수 있다.
10 : 난간파이프 20 : 낚싯대
100 : 낚싯대거치부 110 : 본체브라켓
120 : 낚싯대파지부 130 : 거치부재
200 : 지지판 300 : 클램프본체부
400 : 고정클로 410 : 고정물림치형부
500 : 가동클로 501 가동클로본체
510 : 가동물림치형부 411, 511 물림치형
520 : 가이드슬롯 610 : 고정단부
620 : 가동볼트 621 : 가동볼트돌기
622 : 고정와셔부재 630 : 회전조작노브
631 : 손잡이거치홈 640 : 손잡이
700 : 가압클램핑부 710 : 가압클램프본체부
720 : 가압클로 730 : 가압볼트고정단부
740 : 가압볼트 750 : 가압손잡이
810 : 회동나사축 820 : 조작노브
821 : 조작레버 830 : 멈춤돌기
840 : 멈춤공

Claims (5)

  1. 선박의 난간파이프에 고정되는 낚싯대 거치장치에 있어서,
    낚싯대를 탈착가능하게 지지하는 낚싯대거치부와,
    상면에 상기 낚싯대거치부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클램프본체부와,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난간파이프에 접촉하는 고정클로와, 상기 클램프본체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가이드슬롯을 가지고 승강이동하여 상기 난간파이프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한 가동클로와, 상기 클램프본체부의 하단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가동클로를 승강이동시키는 나사조작부를 포함하는 클램핑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거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조작부는 암나사부를 가지는 고정단부와, 상단에 상기 가동클로가 결합되며 상기 암나사부와 맞물리는 수나사부를 가지는 가동볼트와, 상기 가동볼트의 하단에 마련되며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손잡이거치홈을 가지는 회전조작노브와, 상기 가동볼트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손잡이거치홈에 탈착가능한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거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클로는 상기 가동볼트의 말단의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범위 내에서 요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거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로는 상기 난간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적어도 한 쌍의 고정물림치형부를 가지며, 상기 가동클로는 상기 고정물림치형보다 더 큰 간격으로 이격된 적어도 한 쌍의 가동물림치형부을 가지며,
    상기 고정물림치형부와 상기 가동물림치형부는 상기 난간파이프의 축선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의 물림치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거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대거치부를 상기 지지판의 판면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나사축과,
    상기 회동나사축을 체결 및 해제 조작하는 조작노브와 상기 조작노브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 조작레버와,
    상기 낚싯대거치부와 상기 지지판들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멈춤돌기와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멈춤돌기에 맞물리는 복수의 멈춤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거치장치.
KR1020190056160A 2019-05-14 2019-05-14 낚싯대 거치장치 KR102228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160A KR102228176B1 (ko) 2019-05-14 2019-05-14 낚싯대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160A KR102228176B1 (ko) 2019-05-14 2019-05-14 낚싯대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481A true KR20200131481A (ko) 2020-11-24
KR102228176B1 KR102228176B1 (ko) 2021-03-17

Family

ID=73679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160A KR102228176B1 (ko) 2019-05-14 2019-05-14 낚싯대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17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1154A (ja) * 1996-01-25 1997-08-05 Daiichi Seiko Kk 釣竿受け
KR200328787Y1 (ko) * 2003-07-10 2003-10-01 한상조 낚싯대 받침 고정장치
KR20120001160U (ko) * 2010-08-11 2012-02-21 양재두 가변식 설치 구조를 가진 낚시대 고정 장치
KR101699411B1 (ko) * 2015-08-27 2017-01-25 박종엽 낚시대용 받침장치
KR101839928B1 (ko) * 2015-12-31 2018-03-19 최종대 낚시대 거치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1154A (ja) * 1996-01-25 1997-08-05 Daiichi Seiko Kk 釣竿受け
KR200328787Y1 (ko) * 2003-07-10 2003-10-01 한상조 낚싯대 받침 고정장치
KR20120001160U (ko) * 2010-08-11 2012-02-21 양재두 가변식 설치 구조를 가진 낚시대 고정 장치
KR101699411B1 (ko) * 2015-08-27 2017-01-25 박종엽 낚시대용 받침장치
KR101839928B1 (ko) * 2015-12-31 2018-03-19 최종대 낚시대 거치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8176B1 (ko) 202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4703B2 (en) Christmas tree stand with elastic element that engages power transmission element
JP2006518643A5 (ko)
US6637146B2 (en) Fishing rod holder
CA2108482C (en) Christmas-tree stand
KR102228176B1 (ko) 낚싯대 거치장치
KR102113115B1 (ko) 낚시대 거치 장치
KR100971033B1 (ko) 퀵 조정형 파이프렌치
US757166A (en) Bone-holding device.
US2986721A (en) Clamp holding tool
EP0889248A1 (en) Coupling for connecting two perpendicular rods
KR102291724B1 (ko) 농작물 결속용 집게
KR20220131777A (ko) 낚시대 지지대의 방수 방진용 클램프 레버 장치
US1055406A (en) Plasterer's trowel.
JP3198420U (ja) 除雪用具
US2452120A (en) Hanger
KR200458636Y1 (ko) 낚싯대용 수직받침대
US1468659A (en) Adjustable lock joint
KR200408339Y1 (ko) 낚시대용 팔걸이대
KR100538980B1 (ko) 건축구조물 계단식 부착물 설치구조
KR102112196B1 (ko) 낚싯대 거치장치
KR102140839B1 (ko) 낚시받침대
US588209A (en) Holder and adjuster for casket-handles
KR20090035306A (ko) 낚싯대용 받침대
JPS6220599Y2 (ko)
KR0134772Y1 (ko) 청소용 조립식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