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8980B1 - 건축구조물 계단식 부착물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건축구조물 계단식 부착물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8980B1
KR100538980B1 KR1020050087465A KR20050087465A KR100538980B1 KR 100538980 B1 KR100538980 B1 KR 100538980B1 KR 1020050087465 A KR1020050087465 A KR 1020050087465A KR 20050087465 A KR20050087465 A KR 20050087465A KR 100538980 B1 KR100538980 B1 KR 100538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wall fixing
fixing block
tilt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7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성
Original Assignee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087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89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9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 E04F11/06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 E04F11/062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fo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11/1041Treads having means to adjust the height, the depth and/or the slope of the stair ste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04F2011/005Ramps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도조절이 가능한 틸팅발판을 이용 경사로의 경사각도에 적응하여 시공할 수 있고, 경사로의 곡선구간에 설치가능하도록 수직벽체에 고정하는 벽면고정블록을 클레비스(clevis) 이음 구조로 하며, 휠체어나 카트와 같이 굴러서 이동하는 물체가 통과하는 경우 틸팅발판을 수직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한 건축구조물 계단식 부착물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회동관절(30)을 사이에 두고 일직선으로 연결되고 양측 단부에 각각 암·수의 클레비스결합부(42)(52)가 형성되어 경사로(20) 좌우측의 수직벽체(22)를 따라 일정한 높이로 설치되는 벽면고정블록(40)(50)과, 회동관절(30)에 축의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슬리브(32)에 삽입되는 샤프트(62)(64)가 좌우측 양단에 설치된 틸팅발판(60)과, 벽면고정블록(50)의 측면에 형성된 역(逆) L형의 단면모양을 갖는 가이드장공(54)에 끼워지는 발판받침꺾쇠(70)와, 틸팅발판(60)의 저면에 형성된 T홈(66)에 결합되어 발판받침꺾쇠(70)에 걸리는 슬라이드받침구(68)와, 발판받침꺾쇠(70)에 연결되어 모든 발판받침꺾쇠(70)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나사구멍(82)을 갖는 각도조정바(80)와, 각도조정바(80)에 형성된 나사구멍(82)에 결합되는 고정볼트(84)에 의해 벽면고정블록(40)에 결합되어 벽면고정블록(40)를 지지하는 부싱(86)과, 벽면고정블록(50)에 설치되어 회동관절(30)의 단면에 형성된 위치결정홈(31a)(31b)에 걸리는 볼플런저(90)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구조물 계단식 부착물 설치구조{Stairs Facilities Structure for Building Structure}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 계단식 부착물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틸팅발판을 이용 경사로의 경사각도에 적응하여 시공할 수 있고, 경사로의 곡선구간에 설치가능하도록 수직벽체에 고정하는 벽면고정블록을 클레비스(clevis) 이음 구조로 하며, 휠체어나 카트와 같이 굴러서 이동하는 물체가 통과하는 경우 틸팅발판을 수직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한 건축구조물 계단식 부착물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입구에는 계단 옆에 장애인이나 카트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경사로를 두고 있으며, 이곳은 장애인만 아니라 일반인의 이용도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 경사로는 겨울철 눈이 쌓일 경우 얼어붙어 미끄럽게 되는 단점을 지니고 있어 경사로에 모래주머니를 계단형태로 설치하여 이용하도록 하고 있었으나 경사로의 경사각도에 따라 모래주머니가 수평을 이루지 못해 통행에 불편함이 있었고, 모래주머니를 설치하고 철거하는 작업이 매우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건축물에 설치된 경사로에 계단을 형성하거나 철거하는 작업이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경사로의 경사각도에 따라 발판의 각도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건축구조물 계단식 부착물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회동관절을 사이에 두고 일직선으로 연결되고 양측 단부에 각각 암·수의 클레비스결합부가 형성되어 경사로 좌우측의 수직벽체를 따라 일정한 높이로 설치되는 벽면고정블록과, 회동관절에 축의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슬리브에 삽입되는 샤프트가 좌우측 양단에 설치된 틸팅발판과, 벽면고정블록의 측면에 형성된 역L형의 단면모양을 갖는 가이드장공에 끼워지는 발판받침꺾쇠와, 틸팅발판의 저면에 형성된 T홈에 결합되어 발판받침꺾쇠에 걸리는 슬라이드받침구와, 발판받침꺾쇠에 연결되어 모든 발판받침꺾쇠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나사구멍을 갖는 각도조정바와, 각도조정바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결합되는 고정볼트에 의해 벽면고정블록에 결합되어 벽면고정블록를 지지하는 부싱과, 벽면고정블록에 설치되어 회동관절의 단면에 형성된 위치결정홈에 걸리는 볼플런저로 구성하여 건축구조물 계단식 부착물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구조물 계단식 부착물 설치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구조물 계단식 부착물 설치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구조물 계단식 부착물 설치구조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발판을 보인 저면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관절(30)을 사이에 두고 일직선으로 연결되고 양측 단부에 각각 암·수의 클레비스결합부(42)(52)가 형성되어 경사로(20) 좌우측의 수직벽체(22)를 따라 일정한 높이로 설치되는 벽면고정블록(40)(50)과, 회동관절(30)에 축의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슬리브(32)에 삽입되는 샤프트(62)(64)가 좌우측 양단에 설치된 틸팅발판(60)과, 벽면고정블록(50)의 측면에 형성된 역(逆) L형의 단면모양을 갖는 가이드장공(54)에 끼워지는 발판받침꺾쇠(70)와, 틸팅발판(60)의 저면에 형성된 T홈(66)에 결합되어 발판받침꺾쇠(70)에 걸리는 슬라이드받침구(68)와, 발판받침꺾쇠(70)에 연결되어 모든 발판받침꺾쇠(70)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나사구멍(82)을 갖는 각도조정바(80)와, 각도조정바(80)에 형성된 나사구멍(82)에 결합되는 고정볼트(84)에 의해 벽면고정블록(40)에 결합되어 벽면고정블록(40)를 지지하는 부싱(86)과, 벽면고정블록(50)에 설치되어 회동관절(30)의 단면에 형성된 위치결정홈(31a)(31b)에 걸리는 볼플런저(90)로 구성한다.
상기 회동관절(30)은 양단의 관절축(34)(36) 외주면에 사다리꼴형태의 환형홈(34g)(36g)을 형성하고, 환형홈(34g)(36g)을 향해 관통된 나사홀(41)(51)을 벽면고정블록(40)(50)에 형성하며, 이 나사홀(41)(51)에 결합되는 세트스크류(43)(53)와 환형홈(34g)(36g) 사이에 강구(47)(57)를 개재하여 구성한다.
또한, 틸팅발판(60)은 장방형의 얇은 판재이며, 그 상면에 고무판(69)을 설치하여 미끄럼을 방지하고, 저면에 형성하는 T홈(66)은 예컨대 좌우 양측에 두 개 형성한다.
그리고, 벽면고정블록(40)(50)에는 수직벽체(22)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체결공(48)(58)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볼플런저(90)는 실린더 형태로 된 원통형 몸체의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선단으로 돌출된 볼이 내장된 압축스프링에 의해 항상 바깥쪽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된 통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한다.
상기 발판받침꺾쇠(70)는 환봉을 역(逆) "L"자 모양으로 절곡한 것이며, 이 발판받침꺾쇠(70)의 하단에는 나사부(72)가 형성되어 너트(74)와 결합되며, 각도조정바(80)와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원통형의 스페이서(76)를 벽면고정블록(40)(50)과 각도조정바(80) 사이에 두고 결합한다.
상기 벽면고정블록(40)(50)의 양단에 형성된 암수의 클레비스결합부(42)(52)는 핀(100)에 의해 분리결합이 자유롭게 결합되며, 경사로(20)의 곡선구간에 맞추어 벽면고정블록(40)(50)을 수직벽체(22)의 곡면에 따라 자유롭게 밀착시키면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40a는 벽면고정블록(40)(50)에 형성되어 회동관절(30)을 설치하기 위한 구멍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과정은 틸팅발판(60)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는 샤프트(62)(64)를 회동관절(30)에 형성된 슬리브(32)에 각각 삽입한 다음 그 회동관절(30)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관절축(34)(36)을 벽면고정블록(40)(50)에 형성된 구멍(40a)으로 삽입한 후 벽면고정블록(40)(50)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나사홀(41)(51)에 강구(47)(57)를 집어넣게 되면, 강구(47)(57)가 관절축(34)(36)에 형성된 환형홈(34g)(36g)과 벽면고정블록(40)(50)에 각각 걸려 있게 된다.
이후 나사홀(41)(51)에 세트스크류(43)(53)를 나사결합하여 적당한 예압으로 조이게 되면, 강구(47)(57)가 사다리꼴 형상의 환형홈(34g)(36g)을 가압하게 되며, 슬리브(32)는 벽면고정블록(40)(50)에 절반 걸려 있는 강구(47)(57)에 의해 벽면고정블록(40)(50)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탈할 수 없게 되는 동시에 회전운동은 자유롭게 된다.
그 다음 벽면고정블록(40)(50)을 경사로(20)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수직벽체(22)에 밀착시킨 후 벽면고정블록(40)(50)에 형성되어 있는 앵커체결공(48)(58)을 통해 수직벽체(22)에 앵커구멍을 천공한 다음 앵커볼트에 의해 수직벽체(22)에 고정하게 되면, 벽면고정블록(40)(50)이 수직벽체(22)에 고정된다.
위와 같이 벽면고정블록(40)(50)의 단부에 형성된 암수의 클레비스결합부(42)(52)를 핀(100)으로 연결하게 되면, 벽면고정블록(40)(50)을 수직벽체(22)를 따라 길게 연결할 수 있으며, 곡선구간에 위치한 수직벽체(22)에서는 벽면고정블록(40)(50)의 클레비스결합부(42)(52)가 곡률반경에 따라 꺾어지기 때문에 유연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벽면고정블록(40)(50)의 가이드장공(54)에 미끄럼결합되어 있는 발판받침꺾쇠(70)의 하단에 스페이서(76)를 끼운 다음 발판받침꺾쇠(70)의 하단을 각도조정바(80)에 형성된 관통구멍(89)으로 삽입한 후 너트(74)로 조이게 되면, 모든 발판받침꺾쇠(70)가 각도조정바(80)에 결합된다.
이때 각도조정바(80)와 벽면고정블록(40)(50)의 클레비스결합부(42) 사이에 부싱(86)을 위치시킨 다음 고정볼트(84)를 각도조정바(80)에 형성된 나사구멍(82)에 나사결합하여 연결하게 되면, 각도조정바(80)가 벽면고정블록(40)에 고정되는 동시에 발판받침꺾쇠(7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다음 틸팅발판(60)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드받침구(68)를 T홈(66)을 따라 움직이면서 슬라이드받침구(68)에 형성되어 있는 반원홈을 발판받침꺾쇠(70)에 일치시켜 걸게 되면, 틸팅발판(60)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경사로(20)의 경사도에 따라 틸팅발판(60)의 각도를 조정하는 경우 고정볼트(84)를 풀어서 각도조정바(8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각도조정바(80)를 전후로 움직이게 되면, 이 각도조정바(80)에 연결되어 있던 모든 발판받침꺾쇠(70)가 각도조정바(80)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동시에 벽면고정블록(40)(50)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장공(54)의 직선안내를 받게 된다.
이때 발판받침꺾쇠(70)에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드받침구(68)가 발판받침꺾쇠(70)를 따라 움직이게 되며, 틸팅발판(60)은 회동관절(30)에 형성되어 있는 슬리브(32)의 회전중심을 기점으로 회동하여 각도가 변화된다.
즉, 발판받침꺾쇠(70)가 슬리브(32)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면, 틸팅발판(60)의 각도가 낮아지게 되며, 반대로 발판받침꺾쇠(70)가 슬리브(32)의 중심과 가까워지게 되면, 틸팅발판(60)의 각도가 커지게 된다.
이후 각도조정바(80)에 형성된 나사구멍(82)과 고정볼트(84)의 중심이 일치된 상태에서 고정볼트(84)를 나사구멍(82)에 결합하게 되면, 각도조정바(80)가 벽면고정블록(40)(50)에 고정되면서 조정된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은 상태에서 경사로(20)에 형성된 계단을 일시적으로 없애야 하는 경우 수직벽체(22)에 고정되어 있는 한쪽 벽면고정블록(40)(50)을 수직벽체(22)로부터 떼낸 다음 틸팅발판(60)을 수직벽체(22)를 향해 수직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틸팅발판(60)과 함께 회동관절(30)이 회전되면서 수직벽체(22)에 밀착되어 수직으로 접히게 된다.
이때 벽면고정블록(40)(50)에 설치되어 있던 볼플런저(90)가 회동관절(30)에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위치결정홈(31a)(31b) 중 수평위치에 위치되어 있던 위치결정홈(31a)(31b)으로부터 빠져나와 수직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결정홈(31a)(31b)에 걸리면서 틸팅발판(60)이 수직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벽면고정블록(40)(50)의 나사홀(41)(51)에 삽입되어 세트스크류(43)(53)에 의해 예압이 부여 되어 있는 강구(47)(57)는 회동관절(30)이 부드럽게 회전하도록 하는 구름안내작용을 하게 되며, 회동관절(30)의 관절축(34)(36)에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의 환형홈(34g)(36g)은 세트스크류(43)(53)에 의해 강구(47)(57)에 압력이 가해질 때 강구(47)(57)가 환형홈(34g)(36g)에 밀착하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경사로에 간단히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필요에 따라 틸팅발판을 수직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휠체어 및 카트 등의 통과가 가능하게 되고, 경사로의 경사각도에 맞게 틸팅발판의 각도를 임의로 설정하여 틸팅발판의 수평을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벽면고정블록에 회동자재케 결합되어 있는 회동관절이 강구에 의해 부드럽게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틸팅발판을 수직으로 세우거나 수평상태로 눕히는 것을 보다 쉽게 할 수 있으며,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 보수가 간편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구조물 계단식 부착물 설치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구조물 계단식 부착물 설치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구조물 계단식 부착물 설치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발판을 보인 저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 : 경사로 22 : 수직벽체
30 : 회동관절 32 : 슬리브
54 : 가이드장공 60 : 틸팅발판
66 : T홈 68 : 슬라이드받침구
70 : 발판받침꺾쇠 80 : 각도조정바
82 : 나사구멍 84 : 고정볼트
86 : 부싱 90 : 볼플런저
34,36 : 관절축 40,50 : 벽면고정블록
41,51 : 나사홀 42,52 : 클레비스결합부
43,53 : 세트스크류 47,57 : 강구
62,64 : 샤프트 31a,31b : 위치결정홈
34g,36g : 환형홈

Claims (2)

  1. 회동관절(30)을 사이에 두고 일직선으로 연결되고 양측 단부에 각각 암·수의 클레비스결합부(42)(52)가 형성되어 경사로(20) 좌우측의 수직벽체(22)를 따라 일정한 높이로 설치되는 벽면고정블록(40)(50)과;
    상기 회동관절(30)에 축의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슬리브(32)에 삽입되는 샤프트(62)(64)가 좌우측 양단에 설치된 틸팅발판(60)과;
    상기 벽면고정블록(50)의 측면에 형성된 역(逆) L형의 단면모양을 갖는 가이드장공(54)에 끼워지는 발판받침꺾쇠(70)와;
    상기 틸팅발판(60)의 저면에 형성된 T홈(66)에 결합되어 상기 발판받침꺾쇠(70)에 걸리는 슬라이드받침구(68)와;
    상기 발판받침꺾쇠(70)에 연결되어 모든 발판받침꺾쇠(70)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나사구멍(82)을 갖는 각도조정바(80)와;
    상기 각도조정바(80)에 형성된 나사구멍(82)에 결합되는 고정볼트(84)에 의해 벽면고정블록(40)에 결합되어 벽면고정블록(40)를 지지하는 부싱(86)과;
    상기 벽면고정블록(50)에 설치되어 회동관절(30)의 단면에 형성된 위치결정홈(31a)(31b)에 걸리는 볼플런저(9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 계단식 부착물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관절(30)은 양단의 관절축(34)(36) 외주면에 사다리꼴형태의 환형홈(34g)(36g)을 형성하고, 환형홈(34g)(36g)을 향해 관통된 나사홀(41)(51)을 벽면고정블록(40)(50)에 형성하며, 이 나사홀(41)(51)에 결합되는 세트스크류(43)(53)와 환형홈(34g)(36g) 사이에 강구(47)(57)를 개재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 계단식 부착물 설치구조.
KR1020050087465A 2005-09-20 2005-09-20 건축구조물 계단식 부착물 설치구조 KR100538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465A KR100538980B1 (ko) 2005-09-20 2005-09-20 건축구조물 계단식 부착물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465A KR100538980B1 (ko) 2005-09-20 2005-09-20 건축구조물 계단식 부착물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8980B1 true KR100538980B1 (ko) 2005-12-26

Family

ID=37306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7465A KR100538980B1 (ko) 2005-09-20 2005-09-20 건축구조물 계단식 부착물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89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942B1 (ko) 2010-08-27 2010-11-11 주식회사 화인종합건축사사무소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CN111706109A (zh) * 2020-06-27 2020-09-25 徐仁贵 商贸楼用拓宽式楼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942B1 (ko) 2010-08-27 2010-11-11 주식회사 화인종합건축사사무소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CN111706109A (zh) * 2020-06-27 2020-09-25 徐仁贵 商贸楼用拓宽式楼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6536A (en) Concrete form supporting bracket
US5056753A (en) Safety support structure
US5943830A (en) Knee brace bracket for tilt-up construction
KR100538980B1 (ko) 건축구조물 계단식 부착물 설치구조
CN86100511A (zh) 倾斜式修井钻机
US48937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jacking basement walls
CN115126286A (zh) 一种用于装配式建筑施工独立支撑架
EP0100333A1 (en) Adjustable brace or prop
US46697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jacking basement walls
CN111608049B (zh) 一种道路施工用混凝土振荡养护辅助装置
KR102044503B1 (ko)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
KR200145555Y1 (ko) 발코니 난간 거푸집 고정 지지대 구조
CN111070452B (zh) 一种房建用水泥预制板卡槽加工设备
JP3019139U (ja) 脚立用転倒防止治具
JP3224946U (ja) 介護用手摺り装置
CN116856688A (zh) 一种可调式易拆装模板支架
AU726220B2 (en) Balustrade support assembly
JPH0310196Y2 (ko)
CA2110012C (en) Flying form table truss and screw jack leg therefor
KR102550443B1 (ko) 벨트 컨베이어 장치의 장력조절구조
KR910002233B1 (ko) 관체 매설용 추진장치
KR200403154Y1 (ko) 도로비탈면 점검로 설치구조
EP1212967A2 (de) Wannenträger und Wannenanker
CN215800838U (zh) 一种混凝土刮平尺
CN217266959U (zh) 一种拱桥预埋拱脚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