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1238A -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1238A
KR20200131238A KR1020207025877A KR20207025877A KR20200131238A KR 20200131238 A KR20200131238 A KR 20200131238A KR 1020207025877 A KR1020207025877 A KR 1020207025877A KR 20207025877 A KR20207025877 A KR 20207025877A KR 20200131238 A KR20200131238 A KR 20200131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alert
information
alert information
unit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5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 기타하라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31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04H20/4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04H20/4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for FM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04N21/23617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by inserting additional data into a data carousel, e.g. inserting software modules into a DVB carous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2Generation or processing of Service Information [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2Powering on the client, e.g. bootstrap loading using setup parameters being stored locally or received from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21/814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comprising emergency war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보다 적절히 긴급 경보 정보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된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수신부는,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긴급 경보 기동 정보에 기초하여, 대기 중인 처리부에 기동을 지시하고, 처리부는, 수신부로부터 기동을 지시받은 경우,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긴급 경보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및 유저에 의하여 설정된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에 관한 수신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긴급 경보 정보의 제시를 제어하는 수신 장치가 제공된다. 본 기술은, 예를 들어 텔레비전 수상기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
본 기술은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보다 적절히 긴급 경보 정보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한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 방식 중에는, 긴급 시에 긴급 경보 정보를 제시하기 위한 긴급 경보 서비스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는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는, 긴급 경보 서비스로서, 물리층 프레임에 포함되는 웨이크업 플래그에 기초하여, 긴급 시에 대기 상태(스탠바이 상태)의 수신기(예를 들어 텔레비전 수상기)를 강제적으로 기동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국제 공개 제2017/047397호
그런데, 긴급 시에 스탠바이 상태의 수신기를 강제적으로 기동하여 긴급 경보 정보를 제시하는 기능은, 보다 많은 수신기가 긴급 경보 정보를 제시할 수 있는 반면,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타이밍에 수신기를 기동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그 운용의 방식에 따라서는 유저의 편리성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보다 적절히 긴급 경보 정보를 제시하기 위한 제안이 요청되고 있었다.
본 기술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보다 적절히 긴급 경보 정보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수신 장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된 상기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부는, 수신된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긴급 경보 기동 정보에 기초하여, 대기 중인 상기 처리부에 기동을 지시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수신부로부터 기동을 지시받은 경우, 수신된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긴급 경보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및 유저에 의하여 설정된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에 관한 수신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제시를 제어하는 수신 장치이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수신 장치는, 독립된 장치여도 되고, 하나의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 블록이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수신 방법은, 상술한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수신 장치에 대응하는 수신 방법이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에 있어서는, 수신부에 의하여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긴급 경보 기동 정보에 기초하여, 대기 중인 처리부에 기동이 지시되고, 처리부에 의하여 수신부로부터 기동을 지시받은 경우,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긴급 경보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및 유저에 의하여 설정된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에 관한 수신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긴급 경보 정보의 제시가 제어된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신호 처리 장치는, 대기 중에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로부터 기동을 지시받은 경우, 수신된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긴급 경보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및 유저에 의하여 설정된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에 관한 수신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신호 처리 장치이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신호 처리 장치는, 독립된 장치여도 되고, 하나의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 블록이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신호 처리 방법은, 상술한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신호 처리 장치에 대응하는 신호 처리 방법이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대기 중에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로부터 기동을 지시받은 경우,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긴급 경보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및 유저에 의하여 설정된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에 관한 수신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긴급 경보 정보의 제시가 제어된다.
본 기술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에 따르면 보다 적절히 긴급 경보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효과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 중에 기재된 어느 효과여도 된다.
도 1은 본 기술을 적용한 전송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EA Wake up의 비트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EA Wake up의 비트의 값의 의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정 운용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상정 운용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상정 운용의 제3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상정 운용의 제3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상정 운용의 제4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부트스트랩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Bootstrap Symbol 1의 신택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Bootstrap Symbol 2의 신택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IP 전송 방식의 프로토콜 스택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LLS 테이블의 신택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AEAT 메타데이터의 신택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AEAT 메타데이터의 신택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기술을 적용한 수신 장치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기술을 적용한 방송 신호 처리부(SoC)의 상세한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방송 튜너부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방송 신호 처리부(SoC)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방송 신호 처리부(SoC)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1은 수신 시스템의 기동 판정 처리의 상세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2는 수신 시스템의 기동 판정 처리의 비교 항목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긴급 경보 정보의 식별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5는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컴퓨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기술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하기로 한다.
1. 본 기술의 실시 형태
2. 변형예
3. 컴퓨터의 구성
<1. 본 기술의 실시 형태>
(전송 시스템의 구성예)
도 1은, 본 기술을 적용한 전송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가 논리적으로 집합된 것을 말한다.
전송 시스템(1)에 있어서, 각 방송국은 송신 장치(10)(예를 들어 송신 장치(10-1)나 송신 장치(10-2))를 설치하고 있다. 송신 장치(10)는, 방송 프로그램이나 CM 등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을 디지털 방송 신호로서 송신한다.
송신 장치(10)로부터의 디지털 방송 신호는 전파탑(30) 등을 경유하여, 전송로(80)를 통하여 수신 장치(20)에 의하여 수신된다. 수신 장치(20)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수상기, 셋톱 박스(STB: Set Top Box), 또는 녹화기 등의 고정 수신기(예를 들어 수신 장치(20-1))나, 예를 들어 휴대 전화기,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기 등의 모바일 수신기(예를 들어 수신 장치(20-2)나 수신 장치(20-3))이다. 수신 장치(20)는,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방송 스트림을 처리하여 방송 프로그램이나 CM 등의 콘텐츠의 영상이나 음성을 재생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전송 시스템(1)은, 긴급 고지의 시스템에 대응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긴급 시에는 각 방송국 등이, 수신 장치(20)에 대하여 긴급히 고지할 필요가 있는 정보인 긴급 경보 정보를 제공(통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전송 시스템(1)에서는, 긴급 시에 긴급 정보원(50)으로부터 통지되는 긴급 정보원 정보(예를 들어 재해 시에 발행되는 긴급 경보 등)가, CAP 정보 등의 소정의 포맷으로 변환되어 각 방송국(의 송신 장치(10))에 제공된다. 또한 CAP 정보는, 구조화 정보 표준 촉진 협회(OASIS: Organiz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tructured Information Standards)에서 규정되어 있는 CAP(Common Alerting Protocol)에 준거한 것으로 된다.
방송국(의 송신 장치(10))은, 예를 들어 긴급 정보원(50)으로부터의 긴급 정보원 정보에 따른 CAP 정보를,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비압축된 영상 데이터)에 끼워넣어서 인코드하거나, 혹은 소정의 포맷으로 변환하거나 함으로써 긴급 경보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방송국(의 송신 장치(10))은, 생성된 긴급 경보 정보를 방송 에어리어 내의 다수의 수신 장치(20)(예를 들어 수신 장치(20-1) 내지 (20-3) 등)에 대하여 송신한다.
이것에 의하여 수신 장치(20)에서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에 긴급 경보 정보가 중첩되어 제시되게 된다. 그 결과, 유저는, 수신 장치(20)의 화면에 제시된 긴급 경보 정보(예를 들어 텍스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방송국(의 송신 장치(10))은, 긴급 정보원(50)으로부터의 긴급 정보원 정보에 따른 CAP 정보에 기초하여 긴급 정보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긴급 경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정보)을 생성하여 EA 서버(40)에 제공할 수 있다.
수신 장치(20)는, 통신 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 인터넷이나 휴대 전화망 등의 통신 회선(90)을 통하여 EA 서버(40)에 액세스하여 긴급 정보 애플리케이션을 요구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 장치(20)는, 통신 회선(90)을 통하여 EA 서버(40)로부터 배신되는 긴급 정보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수신 장치(20)의 화면에는, 예를 들어 긴급 경보 정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정보가 제시되게 된다.
또한 방송국(의 송신 장치(10))에 있어서, 긴급 경보 정보의 생성 방법으로서는 상술한 방법에 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CAP 정보를 그대로의 형식으로 사용하는 등 다른 생성 방법을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긴급 경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로서의 CAP 정보는 일례이며, 긴급 정보원 정보를 다른 방식에 준거한 형식으로 변환하여 얻어지는 정보 등을 사용하여 긴급 경보 정보가 생성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의 전송 시스템(1)에 있어서, 송신 장치(10)와 수신 장치(20)는 전송로(80)를 통하여, 미국의 차세대 방송 규격인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3.0에 준거한 데이터 전송이 행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미국에서는, EAS(Emergency Alerting System)라 칭해지는 긴급 고지의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으며, 긴급 시에 긴급 정보원(50)으로서의 미 연방 긴급 사태 관리청(FEMA: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이나 대통령 관저 등으로부터 통지되는 긴급 정보원 정보(예를 들어 재해 시에 발행되는 긴급 경보 등)가, CAP 정보로 변환되어 각 방송국에 제공된다.
즉, 미국에서는, EAS라 칭해지는 긴급 고지의 시스템이 정비되어 있으므로, 이 EAS를 이용하여 대통령으로부터의 최우선 사항으로부터 로컬적인 고지 사항까지 다양한 레벨의 긴급 정보(CAP 정보)가 다양한 미디어(예를 들어 방송 경유나 통신 경유 등)에 의하여 고지(통지)되게 된다.
그런데 ATSC3.0 등의 방송 방식 중에는, 긴급 경보 정보의 배신에 더해, 대기 상태(스탠바이 상태)의 수신 장치(20)를 강제적으로 기동하여 긴급 경보 정보를 제시하는 기능을 규정하고 있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ATSC3.0에서는, 물리층 프레임의 부트스트랩에 의하여 EA 웨이크업 정보(Emergency Alert Wakeup)를 전송한다. 이 EA 웨이크업 정보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ea_wake_up_1, ea_wake_up_2의 2비트로 구성되며, ATSC3.0에서는, 수신 장치(20)가 EA 웨이크업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의 동작을 규정하고 있다.
즉, ea_wake_up_1의 1비트를 최하위 비트(LSB: Least Significant Bit)로 하고, ea_wake_up_2의 1비트를 최상위 비트(MSB: Most Significant Bit)로 하여, EA 웨이크업 정보를 2비트로 함으로써,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00", "01", "10", "11"의 4가지의 의미를 갖게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EA Wakeup="00"인 경우에는 긴급 경보 정보의 전송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EA Wakeup="01", "10", "11"인 경우에는 긴급 경보 정보의 전송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EA Wakeup="00"은, 긴급 경보 정보가 비액티브인 것을 나타내고, EA Wakeup="01", "10", "11"은, 긴급 경보 정보가 액티브인 것을 나타내는데, 액티브("01", "10", "11")의 설정(설정 1, 2, 3)을 어떻게 사용할지는 방송 사업자의 운용 등에 따라 결정하게 된다.
여기서는, 송신 장치(10)가, 액티브를 나타내는 "01", "10", "11"의 3개의 상태를 변화시킴으로써, 긴급 경보 정보를 변경(갱신)한 것을 수신 장치(20)에 통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수신 장치(20)에서는, 스탠바이 상태로부터 강제적으로 기동함으로써 유저에 대하여 조기에 긴급 경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장치(20)의 구성으로서는 방송 튜너부와 방송 신호 처리부(예를 들어 후술하는 도 16의 방송 튜너부(201)와 방송 신호 처리부(2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방송 신호 처리부는, 방송 튜너부로부터 출력되는 패킷을 처리하여 영상이나 음성, 방송 애플리케이션 등을 렌더링하는 기능을 가지며, 예를 들어 시스템 온 칩(SoC: System on Chip)으로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에 있어서, EA 웨이크업 정보는 물리층 프레임의 부트스트랩에 의하여 전송되는 점에서, 방송 튜너부에 의하여 취득될 것이 상정된다. 즉,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방송 튜너부가 EA 웨이크업 정보에 기초하여, 후단의 방송 신호 처리부(SoC)를 스탠바이 상태로부터 기동 상태로 하기 위한 지시를 내림으로써, 방송 신호 처리부(SoC)가 긴급 경보 정보에 관한 처리를 행할 것이 상정된다. 즉, EA 웨이크업 정보는 긴급 경보 기동 정보라고도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수신 장치(20)에서는, 스탠바이 모드 시에 방송 신호 처리부(SoC)의 전원을 오프로 하여 소비 전력을 억제하면서, 긴급 경보 정보가 발해진 경우에는 방송 신호 처리부(SoC)를 기동하여 당해 긴급 경보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신속하고 또한 많은 세대에 긴급 경보 정보를 보내 주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수신 장치(20)에서는, EA 웨이크업 정보가 비액티브("00")로부터 액티브("01", "10", "11")로 바뀜으로써 방송 신호 처리부(SoC)가 기동되어 긴급 경보 정보를 제시하기 때문에, 유저가 방송 서비스를 시청하고 있지 않은 경우(수신 장치(20)가 스탠바이 모드인 경우)에 긴급 경보 정보가 방송 경유로 통지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전원이 켜져서 신속히 긴급 경보 정보를 알아차릴 수 있다.
이와 같은 긴급 시에 스탠바이 상태의 수신 장치(20)를 강제적으로 기동하여 긴급 경보 정보를 제시하는 기능은, 보다 많은 수신 장치(20)가 긴급 경보 정보를 제시할 수 있는 반면,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타이밍에 수신 장치(20)를 기동하는(수신 장치(20)의 전원을 켜는) 것이 가능해져서, 그 운용의 방식에 따라서는 유저의 편리성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는다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래서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이하, 현 상황에서 상정되는 운용(이하, 상정 운용이라 함)에 있어서의 문제점과 그 해결 수단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정 운용의 제1 예)
도 4는, 상정 운용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는, 물리층 프레임에 포함되는 EA 웨이크업 정보(EA Wakeup)의 값("00", "01", "10", "11")의 변화를, 도면 중의 횡 방향의 시계열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EA 웨이크업 정보의 값의 변화에 따라, 스탠바이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수신 장치(20)가 강제적으로 기동(자동 기동)되어 긴급 경보 정보를 제시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시각 t11 내지 시각 t12에 있어서는 EA Wakeup="00"으로 되므로, 수신 장치(20)는 스탠바이 모드를 계속하여 그 화면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된다(화면 D11). 그 후, 시각 t12에 있어서, EA Wakeup의 값이 "00"로부터 "01"로 변화되어 신규의 긴급 경보가 배신되었을 때, 스탠바이 모드의 수신 장치(20)에서는, 강제적으로 기동되어(전원이 켜져), 수신한 긴급 경보 정보 A1이 표시된다(화면 D12).
예를 들어 이 긴급 경보 정보 A1은, 허리케인이 접근하고 있다는 정보이며, 유저(2)는 긴급 경보 정보 A1을 확인한 후에 리모트 컨트롤러(21)를 조작(전원 오프 조작)하여 수신 장치(20)를 다시 스탠바이 모드로 한다(화면 D13).
그 후, 시각 t13에 있어서, EA Wakeup의 값이 "10"으로 변화되어, 갱신된 긴급 경보가 배신되었을 때, 스탠바이 모드의 수신 장치(20)에서는, 다시 강제적으로 기동되어, 수신한 긴급 경보 정보 A2가 표시된다(화면 D14).
예를 들어 이 긴급 경보 정보 A2는, 아까의 허리케인이 통과하였다는 정보이며, 유저(2)는 긴급 경보 정보 A2를 확인한 후에 전원 오프 조작을 행하여 수신 장치(20)를 다시 스탠바이 모드로 한다(화면 D15). 이때, 긴급 경보 정보 A1과 긴급 경보 정보 A2는 모두 허리케인에 관한 정보이며, 유저(2)의 입장에서는, 아까 본 긴급 경보가 반복하여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긴급 경보 정보 A2를 표시하지 않기 바란다고 느낄 가능성이 있다.
그 후, 시각 t14에 있어서, EA Wakeup의 값이 "11"로 변화되어, 갱신된 긴급 경보가 배신되었을 때, 스탠바이 모드의 수신 장치(20)에서는, 다시 강제적으로 기동되어, 수신한 긴급 경보 정보 A3이 표시된다(화면 D16).
예를 들어 이 긴급 경보 정보 A3은, 아까의 허리케인이 저기압으로 되어서 경보가 해제되었다는 정보이며, 유저(2)는 긴급 경보 정보 A3을 확인한 후에 전원 오프 조작을 행하여 수신 장치(20)를 다시 스탠바이 모드로 한다(화면 D17). 이때, 긴급 경보 정보 A3은, 긴급 경보 정보 A1과 긴급 경보 정보 A2와 마찬가지로 허리케인에 관한 정보이며, 유저(2)의 입장에서는, 긴급 경보의 해제 통지이면 수신 장치(20)의 전원을 온으로 하지 않기 바란다고 느낄 가능성이 있다.
이상과 같이 상정 운용의 제1 예에서는, 긴급 경보 정보 A1, A2, A3과 같이 갱신될 때마다 EA Wakeup의 값도 "01", "10", "11"과 같이 갱신되어 스탠바이 모드의 수신 장치(20)가 강제적으로 기동되기 때문에, 유저의 의도에 관계없이 액티브 상태를 나타내는 EA Wakeup("01", "10", "11")이 수신되면 자동 기동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EA Wakeup의 갱신 시에 상시 자동 기동된다는(전원이 자동적으로 켜진다는) 수신 장치(20)의 동작은, 유저에 따라서는 불편하게 느껴져 버린다.
특히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어떤 긴급 경보 정보를 유저가 확인하여 전원을 오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긴급 경보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몇 번이고 자동 기동(전원이 온)되는 상태는, 유저의 편리성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상정 운용의 제1 예에 대하여, 예를 들어 새로운 긴급 경보 정보가 발령되었을 때만 수신 장치(20)의 전원이 켜져서 그것을 제시하기 바라는 것이나, 긴급 경보 정보가 발령되었을 때와 갱신되었을 때만 수신 장치(20)의 전원이 켜져서 그것을 제시하기 바라는 것(긴급 경보 정보의 해제는 통지 불필요), 나아가,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긴급 경보 정보의 업데이트를 제시할지 여부를 선택하려는 것과 같은 요청이 있다.
이와 같은 요청에 대하여, 본 기술을 적용한 수신 장치(20)에서는, 유저에 의하여 설정된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에 관한 정보(이하, 수신 설정 정보라 함)에 기초하여, 그 타입(예를 들어 신규, 갱신, 또는 해제 등)에 따라 긴급 경보 정보의 제시를 제어함으로써,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자동 기동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와 같은 제어가 행해짐으로써, 긴급 경보 정보의 발신자측의 입장에서도, 유저의 편리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자신이 의도하는 정보를 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4는, EA Wakeup의 값으로 변경이 있었을 때, 그 변경에 수신 장치(20)가 반응하여 기동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EA 웨이크업 정보는 주기적으로 전송되고 있기 때문에, 실장에 따라서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운용도 상정된다. 즉, EA 웨이크업 정보로서 EA Wakeup="01"이 수신되어 수신 장치(20)가 자동 기동된 후에 유저(2)가 전원을 오프한 경우, 그 후에, 캐러셀 전송되고 있는 EA 웨이크업 정보가 EA Wakeup="01"로 되었을 때, 그것을 수신한 수신 장치(20)가 다시 자동 기동되는 장면도 상정된다.
(상정 운용의 제2 예)
도 5는, 상정 운용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는, 도 4와 마찬가지로 스탠바이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수신 장치(20)가 EA 웨이크업 정보의 값의 변화에 따라 강제적으로 기동되어 긴급 경보 정보를 제시하는 모습을 예시하고 있다.
시각 t21 내지 시각 t22에 있어서는 EA Wakeup="00"으로 되므로, 수신 장치(20)는 스탠바이 모드를 계속하여 그 화면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된다(화면 D21). 그 후, 시각 t22에 있어서, EA Wakeup의 값이 "00"으로부터 "01"로 변화되어 신규의 긴급 경보가 배신되었을 때, 스탠바이 모드의 수신 장치(20)에서는, 강제적으로 기동되어(전원이 켜져), 수신한 긴급 경보 정보 B1이 표시된다(화면 D22).
예를 들어 이 긴급 경보 정보 B1은 허리케인에 관한 정보이지만, 유저(2)의 자택의 지역은 허리케인의 진로에는 들어가 있지 않으므로, 유저(2)는 긴급 경보 정보 B1을 확인한 후에 리모트 컨트롤러(21)를 조작하여 수신 장치(20)를 다시 스탠바이 모드로 한다(화면 D23).
이때, 유저(2)의 자택의 지역이 허리케인의 진로에 들어가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긴급 경보가 광역적으로 발령되어 있기 때문에, 진로 외의 지역에 설치된 수신 장치(20)에서도 긴급 경보 정보 B1이 표시되어 있는데, 유저(2)의 입장에서는, 자신에게는 관계가 없는 긴급 경보 정보 B1을 표시하지 않기 바란다고 느낄 가능성이 있다.
그 후, 시각 t23에 있어서, EA Wakeup의 값이 "10"으로 변화되어, 갱신된 긴급 경보가 배신되었을 때, 스탠바이 모드의 수신 장치(20)에서는, 다시 강제적으로 기동되어, 수신한 긴급 경보 정보 B2가 표시된다(화면 D24).
예를 들어 긴급 경보 정보 B2는, 그 후의 허리케인에 관한 정보이지만, 유저(2)의 입장에서는, 자신에게는 관계가 없는 정보이면 몇 번이고 수신 장치(20)의 전원을 온으로 하지 않기 바란다고 느낄 가능성이 있다.
이상과 같이 상정 운용의 제2 예에서는, 유저의 의도에 관계없이, 액티브 상태를 나타내는 EA Wakeup("01", "10", "11")이 수신되면 수신 장치(20)가 강제적으로 기동되게 된다. 그리고 긴급 경보 정보로서, 예를 들어 유저와는 관련성이 옅은 정보나 유저의 흥미가 없는 정보이더라도, EA Wakeup의 갱신 시에 상시 자동 기동되는 수신 장치(20)의 동작은, 유저의 편리성이 손상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어느 긴급 경보 정보를 유저가 확인하여 전원을 오프했음에도 불구하고, 긴급 경보 정보가 갱신되는 동안에는 스탠바이 상태로부터 기동 상태로 되는 동작이 반복하여 일어나 버린다.
이와 같은 요청에 대하여, 본 기술을 적용한 수신 장치(20)에서는, 수신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기의 타입이나, 긴급 경보 정보의 우선도나 해당 지역, 이벤트 종별 등에 따라 긴급 경보 정보의 제시를 제어함으로써,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자동 기동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정 운용의 제3 예)
도 6 및 도 7은, 상정 운용의 제3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있어서는, 도 4 등과 마찬가지로 스탠바이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수신 장치(20)의 동작의 모습을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 스탠바이 모드의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대기 중인 시스템 온 칩(SoC)은 다음의 2가지의 동작을 행할 것이 상정된다. 즉, 제1 동작으로서는, 유저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 조작이나 시청 예약의 타이머 설정 등에 의하여, 대기 중인 시스템 온 칩(SoC)이 기동되어(전원이 온되어) 방송 서비스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동작이 상정된다. 또한 제2 동작으로서는, EA Wakeup의 갱신 시에, 대기 중인 시스템 온 칩(SoC)이 기동되어(전원이 온되어) 긴급 경보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동작이 상정된다.
전자의 동작의 경우에는,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하여 수신 장치(20)에서는, 전회 전원을 오프하였을 때 수신하고 있던 채널(이른바 라스트 채널)에 대한 선국과, 그 선국된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을 제시하기 위한 처리가 필요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각 t31에 있어서, 유저(2)가 리모트 컨트롤러(21)를 조작(전원 온 조작)하여 스탠바이 모드의 수신 장치(20)의 전원을 온한 경우, 그 화면에는 라스트 채널의 통상 프로그램이 표시된다(화면 D32).
한편, 후자의 동작의 경우에는, 수신 장치(20)에서는, 긴급 경보 정보를 제시할 때, 긴급 경보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긴급 경보 서비스의 선국과, 그 선국된 긴급 경보 프로그램을 제시하기 위한 처리가 필요해지고, 긴급 경보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방송 서비스의 선국과, 그 선국된 방송 프로그램을 제시하기 위한 처리가 필요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각 t41 내지 시각 t42에 있어서는 EA Wakeup="00"으로 되므로, 수신 장치(20)는 스탠바이 모드를 계속하여 그 화면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된다(화면 D41). 그 후, 시각 t42에 있어서, EA Wakeup의 값이 "00"로부터 "01"로 변화되어 신규의 긴급 경보가 배신되었을 때, 스탠바이 모드의 수신 장치(20)에서는, 강제적으로 전원이 켜져서, 긴급 경보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예를 들어 AEAT 메타데이터)에, 긴급 경보 서비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가 확인된다(시각 t43). 또한 AEAT 메타데이터의 상세는 도 14 및 도 15 등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수신 장치(20)에서는, 긴급 경보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시각 t44 내지 시각 t45에 당해 긴급 경보 서비스의 채널이 선국되고, 그 화면에는, 긴급 경보 정보 C1에 대응한 긴급 경보 프로그램이 표시된다(화면 D42). 한편, 수신 장치(20)에서는, 긴급 경보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시각 t44 내지 시각 t45에 방송 서비스의 채널(라스트 채널)이 선국되고, 그 화면에는 긴급 경보 정보 C1과 함께 통상 프로그램이 표시된다(화면 D43).
이상과 같이 상정 운용의 제3 예에서는, 유저(2)에 의하여 리모트 컨트롤러(21)의 조작(전원 온 조작)이나 시청 예약의 타이머 설정이 행해진 경우와, EA 웨이크업 정보의 값이 변화된 경우에서는, 스탠바이 모드의 수신 장치(20)가 전원을 온한 후에 기대되는 동작이 다르다. 즉,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스탠바이 모드 시의 기동 요인에 따라, 기대되는 기동 후의 동작이 다르므로, 그와 같은 기대 동작의 상위에 대응하려 한다는 요청이 있다.
이와 같은 요청에 대하여, 본 기술을 적용한 수신 장치(20)에서는, 통상 기동 모드와 긴급 경보 우선 모드를 구별하여 동작함으로써, 스탠바이 모드 시의 기동 요인에 따라 기대되는 기동 후의 동작이 행해지도록 한다.
또한 여기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저(2)의 리모트 컨트롤러(21)의 조작이나 시청 예약의 타이머 설정 등에 의하여, 스탠바이 모드에서 동작하는 수신 장치(20)(의 방송 신호 처리부(SoC))를 기동하여(전원을 온하여)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동작을, 통상 기동 모드로 규정한다.
한편,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물리층 프레임의 부트스트랩으로부터 추출된 EA 웨이크업 정보에 의하여, 스탠바이 모드에서 동작하는 수신 장치(20)(의 방송 신호 처리부(SoC))를 기동하여(전원을 온하여) 긴급 경보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긴급 경보 우선 모드로 규정한다.
이와 같은 모드를 규정함으로써, 본 기술을 적용한 수신 장치(20)에서는, 스탠바이 모드 시에, 유저(2)의 리모트 컨트롤러(21)의 조작 등에 의하여 기동된 경우에는 통상 기동 모드에 의하여 동작하여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고, EA 웨이크업 정보에 의하여 기동된 경우에는 긴급 경보 우선 모드에 의하여 동작하여 긴급 경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기술을 적용한 수신 장치(20)는, 긴급 경보 우선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유저에 의하여 설정된 수신 설정 정보 외에, 과거에 수신한 긴급 경보 정보에 관한 정보(이하, 이력 정보라 함)에 기초하여 긴급 경보 정보의 제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정 운용의 제4 예)
도 8은, 상정 운용의 제4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있어서는, 도 4 등과 마찬가지로 스탠바이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수신 장치(20)가 EA 웨이크업 정보의 값의 변화에 따라 강제적으로 기동되어 긴급 경보 정보를 제시하는 모습을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정 운용의 제4 예에서는, 수신 장치(20)의 사전 설정으로서, 신규의 긴급 경보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만 전원을 온하는 설정이 이루어지며, 수신 설정 정보로서 기록되어 있다(화면 D51). 또한 수신 설정 정보의 사전 설정의 상세는 도 24 및 도 25 등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시각 t51 내지 시각 t52에 있어서는 EA Wakeup="00"으로 되므로, 수신 장치(20)는 스탠바이 모드를 계속하여 그 화면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된다(화면 D52). 그 후, 시각 t52에 있어서, EA Wakeup의 값이 "00"로부터 "01"로 변화되어 신규의 긴급 경보(긴급 경보 정보 D1)가 배신되었을 때, 스탠바이 모드의 수신 장치(20)에서는, 긴급 경보 정보 D1을 포함하는 메타데이터(예를 들어 AEAT 메타데이터)를 수신하고 긴급 경보 서비스의 유무가 확인된다.
그리고 수신 장치(20)에서는, 긴급 경보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시각 t53 내지 시각 t54에 당해 긴급 경보 서비스의 채널이 선국되고, 그 화면에는, 긴급 경보 정보 D1에 대응한 긴급 경보 프로그램이 표시된다(화면 D53). 유저(2)는 긴급 경보 프로그램을 확인한 후에 리모트 컨트롤러(21)를 조작하여 수신 장치(20)를 다시 스탠바이 모드로 한다(화면 D54).
그 후, 시각 t55에 있어서, EA Wakeup의 값이 "10"으로 변화되었을 때, 스탠바이 모드의 수신 장치(20)에서는, 수신한 메타데이터(예를 들어 AEAT 메타데이터)에 포함되는 긴급 경보 정보의 타입에 기초하여 다음의 2가지의 동작을 행할 것이 상정된다.
즉, 첫 번째, 수신한 긴급 경보 정보가 긴급 경보 정보 D1의 갱신이라고 판단하여, 사전 설정에 기초하여 스탠바이 모드의 수신 장치(20)를 기동하지 않고 스탠바이 모드를 유지하는 동작과, 두 번째, 수신한 긴급 경보 정보가 신규의 긴급 경보 정보 D2이라고 판단하여, 스탠바이 모드의 수신 장치(20)를 기동하여 긴급 경보 프로그램 등을 표시하는 동작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의 동작의 경우에는, 수신 장치(20)는 스탠바이 모드를 계속하여 그 화면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된다(화면 D55). 한편, 후자의 경우에는, 수신 장치(20)에서는, 신규의 긴급 경보 정보 D2를 수신하여, 긴급 경보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당해 긴급 경보 서비스의 채널이 선국되고, 그 화면에는, 긴급 경보 프로그램이 표시된다(화면 D56).
이상과 같이 상정 운용의 제4 예에서는, EA Wakeup의 값으로서, 비액티브 상태를 나타내는 "00"과 액티브 상태를 나타내는 "01", "10", "11"이 규정되어, 긴급 경보 정보의 갱신이 있던 경우에는 "01"로부터 "10"으로 변화되고, 또한 "10"으로부터 "11"로 변화됨으로써("11"로부터 "01"로 루프될 것도 상정), 시스템 온 칩에 대하여 갱신을 통지하게 된다.
이 경우에, 하나의 긴급 경보 정보이면, 신규의 긴급 경보 정보와 그 긴급 경보 정보에 갱신이 있는 것을 시스템 온 칩에 통지할 수 있지만, 복수의 긴급 경보 정보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에는, 어느 긴급 경보 정보에 관한 신규나 갱신인 것인지를 시스템 온 칩에 통지할 수 없기 때문에, 시스템 온 칩측에서 긴급 경보 정보를 식별하여 기동할지 여부를 판단할 것이 요청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청에 대하여, 본 기술을 적용한 수신 장치(20)에서는, 긴급 경보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예를 들어 AEAT 메타데이터)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aeaId, refAEAId)에 기초하여 긴급 경보 정보의 계열을 동정하고, 동 계열의 긴급 경보 정보에 대해서는, 그 긴급 경보 정보에 포함되는 신규, 갱신, 또는 해제를 나타내는 타입 정보(aeaType)와, 수신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 기동할지 혹은 스탠바이 모드를 유지할지(여부)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AEAT 메타데이터의 상세는 도 14 및 도 15 등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것에 의하여, 예를 들어 긴급 경보 정보의 내용에 따라 수신 장치(20)를 자동 기동하는 기능을 유효하게 할지 여부, 한번 확인한 긴급 경보 정보가 갱신되었을 때 확인할지 여부, 긴급 경보 정보가 해제되었을 때 자동 기동할지 여부 등의 수신 장치(20)의 동작을, 유저의 선택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상, 상정 운용에 있어서의 문제점과 그 해결 수단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리층 프레임의 구성)
본 기술을 적용한 물리층 프레임으로서는, 예를 들어 부트스트랩(Bootstrap)과, 프리앰블(Preamble)과, 1 이상의 서브 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물리층 프레임은, 밀리초 단위 등의 소정의 프레임 길이로 구성된다.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물리층 프레임을 처리할 때 부트스트랩과 프리앰블을 취득한 후에, 그 후의 서브 프레임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9는, 부트스트랩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있어서, 횡 방향은 시간을 나타내고, 종 방향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있어서, 부트스트랩은 Bootstrap Signal과 Post-Bootstrap Waveform으로 구성된다. Bootstrap Signal의 필드에는 복수의 Bootstrap Symbol이 배치된다. 예를 들어 Bootstrap Symbol로서는, 도 10의 Bootstrap Symbol 1이나, 도 11의 Bootstrap Symbol 2가 배치된다.
도 10은, Bootstrap Symbol 1의 신택스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Bootstrap Symbol 1은 1비트의 ea_wake_up_1의 필드를 포함한다. ea_wake_up_1은, 긴급 경보(Emergency Alert)에 따라 수신 장치(20)를 기동시키기 위한 비트이다.
도 11은, Bootstrap Symbol 2의 신택스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Bootstrap Symbol 2는 1비트의 ea_wake_up_2의 필드를 포함한다. ea_wake_up_2는, 긴급 경보에 따라 수신 장치(20)를 기동시키기 위한 비트이다.
이와 같이, 도 10의 Bootstrap Symbol 1의 ea_wake_up_1의 1비트와, 도 11의 Bootstrap Symbol 2의 ea_wake_up_2의 1비트는, 수신 장치(20)를 기동시키기 위한 비트이며, 그 비트들을 연결한 2비트에 의하여, 상술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EA 웨이크업 정보(의 비트)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 EA 웨이크업 정보의 비트 의미로서 "00", "01", "10", "11"의 4가지의 의미를 갖도록 할 수 있는 것은, 상술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또한 ATSC3.0으로 규정되어 있는 물리층 프레임에 있어서, 프리앰블에는, L1-Basic 시그널링이나 L1-Detail 시그널링 등의 L1 시그널링(물리층의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또한 서브 프레임에는 페이로드(데이터)가 배치된다. 물리층 프레임에 있어서, 2 이상의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서브 프레임마다 FFT 사이즈나 GI(Guard Interval) 길이 등의 변조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ATSC3.0으로 규정되어 있는 물리층 프레임에 있어서, 부트스트랩은, DVB-T2(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strial 2)로 규정되어 있는 T2 프레임을 구성하는 P1 심볼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프리앰블은, T2 프레임을 구성하는 P2 심볼에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부트스트랩은 프리앰블 신호라 할 수도 있다.
또한 Bootstrap Symbol 1이나 Bootstrap Symbol 2에 대해서는, 하기 비특허문헌 1의 「6. BOOTSTRAP SIGNAL STRUCTURE」에 그 상세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2비트의 Wake-up 비트의 값의 의미에 대해서는, 하기 비특허문헌 2의 「Annex G: Emergency Alert Signaling」에 그 상세가 기재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1: ATSC Standard: A/321, System Discovery and Signaling
비특허문헌 2: ATSC Candidate Standard: Signaling, Delivery, Synchronization, and Error Protection (A/331)
(프로토콜 스택의 예)
도 12는, 본 기술을 적용한 IP 전송 방식의 프로토콜 스택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있어서, 가장 하위의 계층은 물리층(Physical Layer)으로 한다. 예를 들어 ATSC3.0 등의 IP 전송 방식의 디지털 방송에서는, 일방향의 방송을 이용한 전송에 한하지 않고 일부의 데이터를 쌍방향의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경우가 있는데, 방송(Broadcast)을 이용하는 경우, 그 물리층은, 서비스(채널)를 위하여 할당된 방송파의 주파수 대역 등이 대응하게 된다.
물리층(Physical Layer)의 상위의 계층은 링크 레이어 프로토콜층(Link Layer Protocol)으로 한다. 또한 링크 레이어 프로토콜층의 상위의 계층은 IP(Internet Protocol)층과 UDP(User Datagram Protocol)층으로 한다. IP층과 UDP층은, 통신의 계층 모델에 있어서의 네트워크층과 트랜스포트층에 상당하는 층이며, IP 어드레스와 포트 번호에 의하여 IP 패킷과 UDP 패킷이 특정된다.
여기서, 상위층의 시그널링(제어 정보)으로서 LLS(Low Level Signaling)와 SLS(Service Layer Signaling)를 사용할 수 있다. LLS는, SLS보다도 하위의 층에서 전송되는 시그널링이다. SLS는 서비스 단위의 시그널링이다. 즉, 본 기술을 적용한 프로토콜 스택에서는, 상위층의 시그널링이 LLS와 SLS의 2계층에서 전송된다.
LLS에는 SLT(Service List Table)나 AEAT(Advanced Emergency Alert Table), RRT(Region Rating Table) 등의 메타데이터가 포함된다.
SLT 메타데이터는, 방송 서비스(채널)의 선국에 필요한 정보 등, 방송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스트림이나 방송 서비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본 정보를 포함한다. AEAT 메타데이터는, 긴급히 고지할 필요가 있는 정보인 긴급 경보 정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SLT 메타데이터나 AEAT 메타데이터는, UDP 패킷을 포함하는 IP 패킷인 UDP/IP 패킷에 포함시켜서 전송된다.
IP층과 UDP층에 인접하는 상위의 계층은 ROUTE(Real-time Object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로 한다. ROUTE는, 스트리밍 파일 전송용의 프로토콜이며, FLUTE(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를 확장한 것이다.
이 ROUTE 세션에 의하여, 방송 서비스마다 SLS의 파일(Signaling)이나 NRT(Non Real Time) 콘텐츠의 파일(NRT), DASH 세그먼트 파일(DASH) 등이 전송된다.
여기서, SLS는 서비스 레벨의 시그널링이며, 대상인 방송 서비스에 속하는 컴포넌트(예를 들어 영상, 음성, 또는 자막 등)의 탐색과 선택에 필요한 정보나 속성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SLS는, USBD(User Service Bundle Description), S-TSID(Service-based Transport Session Instance Description),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 등의 메타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NRT 콘텐츠는, 방송 경유로 취득되는 콘텐츠이며,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된다.
또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미디어 트랜스포트 방식으로서 ROUTE 프로토콜 대신 MMT(MPEG Media Transport)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쌍방향의 통신(Broadband)을 이용하는 경우, 그 물리층(Physical Layer)의 상위의 계층은 데이터 링크층(Data Link Layer)으로 한다. 또한 데이터 링크층의 상위의 계층은, 네트워크층에 상당하는 IP층으로 한다. IP층에 인접하는 상위 계층은, 트랜스포트층에 상당하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층으로 하고, 또한 TCP층에 인접하는 상위 계층은, 애플리케이션층에 상당하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층으로 한다.
즉,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이들 계층에 의하여, 인터넷 등의 통신 회선에서 가동할 TCP/IP 등의 프로토콜이 실장된다.
HTTP층에 인접하는 상위 계층 중, 일부의 계층은 시그널링(Signaling)과 NRT 콘텐츠(NRT)로 한다. 이 시그널링(제어 정보)으로서는, 상술한 ROUTE 세션에서 전송되는 시그널링 등 모든 시그널링(제어 정보)이 포함된다. 또한 NRT 콘텐츠는, 통신 경유로 취득되는 콘텐츠이며,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된다.
HTTP층에 인접하는 상위 계층 중, 상술한 계층 이외의 다른 계층은 DASH 세그먼트(DASH)로 한다. 즉, 쌍방향의 통신계의 스트리밍 배신에서는, VOD(Video On Demand) 프로그램 등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컴포넌트(예를 들어 영상, 음성, 또는 자막 등)의 스트림 데이터가, ISO BMFF의 규격에 준한 DASH 세그먼트 단위로 전송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기술을 적용한 IP 전송 방식의 프로토콜 스택에 있어서는, 일방향의 방송계의 계층과, 쌍방향의 통신계의 계층의 일부가 공통의 프로토콜로 되고, 일방향의 방송과 쌍방향의 통신에서, 콘텐츠를 구성하는 컴포넌트(예를 들어 영상, 음성, 또는 자막 등)의 스트림 데이터를, ISO BMFF의 규격에 준한 DASH 세그먼트 단위로 전송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일방향의 방송계의 스트리밍 배신과, 쌍방향의 통신계의 스트리밍 배신의 쌍방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위 계층의 프로토콜이 공통화되어 있기 때문에, 전송 시스템(1)을 구성하는 각 장치에서의 실장의 부담이나 처리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LLS 패킷의 구조)
도 13은, LLS 테이블의 신택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의 LLS 테이블에 있어서, LLS_table_id, LLS_group_id, group_count_minus1, LLS_table_version은, LLS를 포함하는 패킷(LLS 패킷)의 LLS 헤더에 포함된다.
8비트의 LLS_table_id는, LLS 테이블을 식별하는 ID를 나타내고 있다. 8비트의 LLS_group_id는, LLS가 속하는 그룹을 식별하는 ID를 나타내고 있다. 8비트의 LLS_table_version은 LLS 테이블의 버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switch문에 의하여 LLS 테이블 ID로서 "0x01"을 지정한 경우에 LLS의 데이터로서 SLT 메타데이터를 배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LLS 테이블 ID로서 "0x02"를 지정한 경우에는 LLS의 데이터로서 RRT 메타데이터를 배치하고, "0x03"을 지정한 경우에는 LLS의 데이터로서 시스템 시간(System Time)을 배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LLS 테이블 ID로서 "0x04"를 지정한 경우에는 LLS의 데이터로서 AEAT 메타데이터를 배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즉, 물리층 프레임(L1 Frame)은 L1 헤더와 L1 페이로드로 구성되는데, 이 L1 헤더(예를 들어 부트스트랩)에는, 긴급 시에 스탠바이 모드의 수신 장치(20)를 기동시키기 위한 EA 웨이크업 정보(EA Wakeup)가 포함된다. 또한 L1 페이로드에는 복수의 전송 패킷(예를 들어 ALP(ATSC Link-Layer Protocol) 패킷)을 배치하고 있다.
이 전송 패킷은 레이어(2)의 계층(L2)의 패킷이며, 그 페이로드에 LLS 테이블을 배치하고 있다. 즉, LLS 테이블은 UDP/IP 패킷에 포함시켜서 전송되기 때문에, 그 헤더로서 LLS 헤더 외에 IP 헤더와 UDP 헤더가 부가된다. 또한 LLS 테이블에는 LLS의 데이터, 즉, AEAT 메타데이터 등이 배치된다.
(AEAT 메타데이터의 구조)
도 14 및 도 15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식의 AEAT 메타데이터의 신택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4 및 도 15에 있어서, 요소와 속성 중, 속성에는 「@」이 붙여져 있다. 또한 인덴트된 요소와 속성은, 그 상위의 요소에 대하여 지정된 것으로 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트 요소로서의 AEAT 요소는 하나 또는 복수의 AEA 요소를 포함한다. 이 AEA 요소는, aeaId 속성, issuer 속성, audience 속성, aeaType 속성, refAEAId 속성, priority 속성, wakeup 속성, Header 요소, AEAText 요소, LiveMedia 요소 및 Media 요소의 상위 요소로 된다.
aeaId 속성은, AEA 메시지를 식별하는 ID를 지정한다. issuer 속성은 AEA 메시지의 발행자를 지정한다. audience 속성은 AEA 메시지의 시청자를 지정한다.
aeaType 속성은 AEA 메시지의 카테고리를 지정한다. refAEAId 속성은, aeaId 속성이 나타내는 ID에 의하여 참조되는 AEA 메시지를 식별하는 ID를 지정한다.
priority 속성은 AEA 메시지의 우선도를 지정한다. wakeup 속성은, AEA 메시지를 ea_wake_up 비트에 관련지을지 여부를 지정한다.
Header 요소는, effective 속성, expires 속성, EventCode 요소, EventDesc 요소 및 Location 요소의 상위 요소로 된다.
effective 속성은, AEA 메시지가 유효해지는 일시를 지정한다. expires 속성은, AEA 메시지가 실효하는 일시를 지정한다.
EventCode 요소는 AEA 메시지의 이벤트 종별을 지정한다. type 속성은, 나라마다 할당되는 이벤트 코드의 도메인을 지정한다.
EventDesc 요소는, 긴급 경보의 이벤트의 짧은 텍스트 정보의 설명을 지정한다. lang 속성은, EventDesc 요소에 의한 설명의 언어를 지정한다.
Location 요소는, AEA 메시지의 타깃으로 되는 지역의 지리적인 코드를 지정한다. type 속성은 당해 코드의 도메인을 지정한다.
AEAText 요소는 AEA 메시지의 텍스트 정보를 지정한다. AEAT 메타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 AEA 메시지가 긴급 경보 정보에 상당한다. lang 속성은 AEA 메시지의 텍스트 정보의 언어를 지정한다.
LiveMedia 요소는, 긴급 경보 정보의 관련 정보의 선택지로서, 유저에게 제시 가능한 방송 배신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AEAT 메타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 LiveMedia 요소의 기술 내용에 기초하여 긴급 경보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라이브 방송될 긴급 경보 프로그램을 선국할 수 있다.
bsid 속성과 serviceId 속성은, 라이브 방송될 긴급 경보 프로그램을 식별하기 위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와 서비스 ID를 지정한다. ServiceName 요소는, 라이브 방송될 긴급 경보 프로그램의 명칭을 지정한다. lang 속성은 서비스의 명칭의 언어를 지정한다.
Media 요소는 멀티미디어 리소스의 컴포넌트 부분을 포함한다. lang 속성은 미디어 리소스의 언어를 지정한다. mediaDesc 속성은 미디어 리소스의 콘텐츠 설명을 지정한다. mediaType 속성은, 관련되는 미디어의 사용 목적을 지정한다.
url 속성은 미디어의 파일 URL을 지정한다. alternateUrl 속성은, 미디어의 파일을 통신 경유로도 이용 가능한 경우에 그 URL을 지정한다. contentType 속성은, IANA(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에 의하여 할당된 미디어 타입을 지정한다.
contentLength 속성은, 미디어의 사이즈를 바이트 단위로 지정한다. mediaAssoc 속성은, 이 속성이 관련지어져 있는 다른 미디어 요소의 URI를 지정한다.
또한 도 14 및 도 15에 있어서, 출현 수(Use)에 대해서는, "1"이 지정된 경우에는, 그 요소 또는 속성은 반드시 하나만 지정되고, "0..1"이 지정된 경우에는, 그 요소 또는 속성을 지정할지 여부는 임의이다. 또한 "1..n"이 지정된 경우에는, 그 요소 또는 속성은 1 이상 지정되고, "0..n"이 지정된 경우에는, 그 요소 또는 속성을 1 이상 지정할지 여부는 임의이다.
또한 Data Type로서 "string"이 지정된 경우에는, 그 요소 또는 속성의 값이 문자열형인 것을 나타내고, "unsignedByte"가 지정된 경우에는, 그 요소 또는 속성의 값이 unsignedByte형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Data Type로서 "boolean"이 지정된 경우에는 boolean형인 것을 나타내고, "date Time"이 지정된 경우에는 일시형(日時型)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Data Type로서 "lang"이 지정된 경우에는 언어형인 것을 나타내고, "anyURI"이 지정된 경우 anyURI 데이터형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Data Type로서 "unsignedShort", "unsignedLong"이 지정된 경우에는, unsignedShort형, unsignedLong형인 것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AEAT 메타데이터의 신택스는 일례이며, 예를 들어 다른 요소나 속성을 추가하는 등 다른 신택스를 채용해도 된다. 또한 AEAT 메타데이터는 XML 형식에 한하지 않으며, 다른 마크업 언어에 의하여 기술해도 되고 혹은 섹션 형식이어도 된다.
또한 AEAT 메타데이터에 대해서는, 상기 비특허문헌 2의 「6.5 Advanced Emergency Alert Table」에 그 상세가 기재되어 있다.
(수신 장치의 구성)
도 16은, 본 기술을 적용한 수신 장치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에 있어서, 수신 장치(20)는 방송 튜너부(201), 방송 신호 처리부(202), 출력 화면부(203) 및 음성 출력부(2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방송 튜너부(201)는, 예를 들어 튜너 모듈이나 복조 LSI 등으로 구성되는 수신부이다. 방송 튜너부(201)는, 수신 안테나(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물리층 프레임에 관한 처리(예를 들어 복조 처리나 오류 정정 처리 등)을 행하고, 그 처리의 결과 얻어지는 방송 스트림(방송 데이터 패킷)을 방송 신호 처리부(202)에 공급한다. 또한 방송 데이터 패킷으로서는, 예를 들어 ALP 패킷 등의 전송 패킷이나, UDP/IP 패킷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방송 신호 처리부(202)는, 예를 들어 시스템 온 칩(SoC) 등으로서 구성되는 처리부이다. 방송 신호 처리부(202)는, 방송 튜너부(201)로부터 공급되는 방송 스트림(방송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여, 선국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스트림에 포함되는 영상이나 음성, 자막의 데이터 디코드 등을 행한다. 방송 신호 처리부(202)는, 처리의 결과 얻어지는 데이터 중, 영상이나 자막의 데이터를 출력 화면부(203)에 공급하고, 음성의 데이터를 음성 출력부(204)에 공급한다.
출력 화면부(203)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디바이스로서 구성된다. 출력 화면부(203)는, 방송 신호 처리부(202)로부터 공급되는 영상이나 자막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이나 자막을 표시한다.
음성 출력부(204)는, 예를 들어 스피커 등으로서 구성된다. 음성 출력부(204)는, 방송 신호 처리부(202)로부터 공급되는 음성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에 동기된 음성을 출력한다.
여기서, 방송 신호 처리부(202)는, 방송 튜너부(201)와는 다른 칩(Chip)으로서 구성되며,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스탠바이 모드에서 동작하는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방송 튜너부(201)는 기동되어 동작하고 있지만, 방송 신호 처리부(202), 출력 화면부(203) 및 음성 출력부(204)는 동작하고 있지 않게(전력이 공급되고 있지 않게) 된다. 또한 도 16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수신 장치(20)에는, 각 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 관리부가 마련되어, 동작 모드에 따라 방송 튜너부(201)나 방송 신호 처리부(202) 등에 전력이 공급되게 된다.
스탠바이 모드에서 동작하는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방송 튜너부(201)는, 물리층 프레임(의 부트스트랩)으로부터 얻어지는 EA 웨이크업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신호 처리부(202)에 기동을 지시한다. 한편, 방송 신호 처리부(202)는, 방송 튜너부(201)로부터 기동 지시가 이루어진 경우, AEAT 메타데이터 및 수신 설정 정보 등에 기초하여 긴급 경보 정보의 제시를 제어한다. 또한 방송 신호 처리부(202)는 방송 튜너부(201)에 대하여 주파수 설정 등의 튜너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신호 처리부(202)의 상세한 구성은 도 17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방송 신호 처리부의 구성)
도 17은, 본 기술을 적용한 방송 신호 처리부(SoC)의 상세한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에 있어서, 방송 신호 처리부(202)는, 복조기 I/F(221), 디멀티플렉서(222), 방송 미들웨어(223), 디스크램블러부(224), 영상·음성·자막 디코더부(225), 제시 처리부(226), 긴급 경보 제어부(227), 긴급 경보 정보 출력부(228), 통신 I/F(229), 통신 미들웨어(230), 방송 애플리케이션 처리부(231), 리모컨 I/F(232), 수신기 관리부(233) 및 수신기 애플리케이션 처리부(2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조기 I/F(221)는, 방송 튜너부(201)(의 복조기)와의 인터페이스이며, 입력 단자(211-1)를 통하여 입력되는 방송 스트림(방송 데이터 패킷)을 디멀티플렉서(222)에 공급한다.
디멀티플렉서(222)는, 복조기 I/F(221)로부터 공급되는 방송 스트림(방송 데이터 패킷)을 복수의 스트림으로 분리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스트림을 방송 미들웨어(223), 긴급 경보 제어부(227), 또는 수신기 관리부(233)에 공급한다.
방송 미들웨어(223)는, 디멀티플렉서(222)로부터 공급되는 스트림을 처리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데이터를 영상·음성·자막 디코더부(225), 긴급 경보 제어부(227), 방송 애플리케이션 처리부(231), 또는 수신기 애플리케이션 처리부(234)에 공급한다.
디스크램블러부(224)는, 방송 미들웨어(223)에 입력되는 스트림이 암호화(스크램블)되어 있는 경우에 당해 스트림을, 소정의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를 풀고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복호(디스크램블)를 행한다.
영상·음성·자막 디코더부(225)는, 방송 미들웨어(223)로부터 공급되는 부호화 스트림을 디코드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데이터를 제시 처리부(226)에 공급한다. 여기서는, 예를 들어 부호화 스트림은, 선국된 방송 프로그램의 컴포넌트(예를 들어 영상, 음성, 또는 자막 등)의 스트림을 포함하며, 당해 스트림이 디코드된다.
제시 처리부(226)는, 영상·음성·자막 디코더부(225)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출력 화면부(203) 또는 음성 출력부(204)에 제시하기 위한 제시 처리를 행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제시 데이터를 출력 단자(212)를 통하여 출력 화면부(203) 또는 음성 출력부(204)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시 처리부(226)는, 영상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에 대한 제시 처리를 행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제시 데이터를 영상 출력 단자(212-1) 및 자막 출력 단자(212-3)를 통하여 출력 화면부(203)에 출력한다. 또한, 예를 들어 제시 처리부(226)는 음성 데이터에 대한 제시 처리를 행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제시 데이터를 음성 출력 단자(212-2)를 통하여 음성 출력부(204)에 출력한다.
긴급 경보 제어부(227)는, 방송 미들웨어(223)로부터 공급되는 AEAT 메타데이터(긴급 경보 정보를 포함함), 및 유저에 의하여 설정된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에 관한 수신 설정 정보 등에 기초하여, 긴급 경보에 관한 제어를 행한다. 긴급 경보 제어부(227)는, 긴급 경보 정보를 출력한다고 판정한 경우, 긴급 경보 정보를 긴급 경보 정보 출력부(228)에 공급한다.
긴급 경보 제어부(227)는 불휘발성 메모리 등의 기록부(227A)를 포함한다. 기록부(227A)는, 수신기 관리부(233)로부터의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의 입력 결과에 따른 수신 설정 정보를 기록한다. 또한 긴급 경보 제어부(227)는 긴급 경보 정보 출력부(228) 등과 연계함으로써, 과거에 수신된 긴급 경보 정보의 상태나 표시 내용을 이력 정보로서 기록부(227A)에 기록한다.
긴급 경보 정보 출력부(228)는, 긴급 경보 제어부(227)로부터 공급되는 긴급 경보 정보를 처리하여 제시 처리부(226)에 공급한다.
제시 처리부(226)는, 긴급 경보 정보 출력부(228)로부터 공급되는 긴급 경보 정보를 출력 화면부(203)에 제시하기 위한 제시 처리를 행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제시 데이터를 영상 출력 단자(212-1) 또는 자막 출력 단자(212-3)를 통하여 출력 화면부(203)에 출력한다.
통신 I/F(229)는, 네트워크 카드나 무선 LAN 어댑터 등의 통신부(도시하지 않음)와의 인터페이스이며, 입력 단자(211-2)를 통하여 입력되는 통신 스트림을 통신 미들웨어(230)에 공급한다.
통신 미들웨어(230)는 통신 I/F(229)로부터 공급되는 통신 스트림을 처리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방송 애플리케이션을 방송 애플리케이션 처리부(231)에 공급한다. 여기서, 방송 애플리케이션은, 방송 프로그램 등의 콘텐츠에 부수된 애플리케이션이다.
방송 애플리케이션 처리부(231)는, 통신 미들웨어(230)로부터 공급되는 방송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이나 종료 등의 동작을 제어하여, 당해 방송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데이터를 제시 처리부(226)에 공급한다.
제시 처리부(226)는, 방송 애플리케이션 처리부(231)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되는 방송 애플리케이션을 출력 화면부(203)에 제시하기 위한 제시 처리를 행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제시 데이터를 방송 애플리케이션 출력 단자(212-5)를 통하여 출력 화면부(203)에 출력한다.
리모컨 I/F(232)는, 예를 들어 적외선 수광부 등의 수광부(도시하지 않음)와의 인터페이스이며, 입력 단자(211-3)를 통하여 입력되는, 리모트 컨트롤러(21)로부터의 적외선 신호를 수신기 관리부(233)에 공급한다.
수신기 관리부(233)는, 리모컨 I/F(232)으로부터 공급되는 적외선 신호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장치(20)에 의하여 실행되는 각 부의 동작을 관리한다. 예를 들어 수신기 관리부(233)는, 통상 기동 모드나 긴급 경보 우선 모드 등의 수신 장치(20)의 기동 모드의 관리를 행한다. 또한, 예를 들어 수신기 관리부(233)는, 유저의 리모트 컨트롤러 조작에 따라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의 입력을 접수하고, 그 입력의 결과를 긴급 경보 제어부(227)에 통지한다.
또한 수신기 관리부(233)는, 적외선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기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고 판정한 경우, 그 취지를 수신기 애플리케이션 처리부(234)에 통지한다. 여기서, 수신기 애플리케이션은, 수신 장치(20)에 미리 내장된 애플리케이션이다.
수신기 애플리케이션 처리부(234)는, 수신기 관리부(233)로부터 공급되는 통지에 기초하여 수신기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당해 수신기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데이터를 제시 처리부(226)에 공급한다.
제시 처리부(226)는, 수신기 애플리케이션 처리부(234)에 의하여 기동된 수신기 애플리케이션을 출력 화면부(203)에 제시하기 위한 제시 처리를 행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제시 데이터를 수신기 애플리케이션 출력 단자(212-4)를 통하여 출력 화면부(203)에 출력한다.
또한 도 17에 있어서는 방송 애플리케이션과 수신기 애플리케이션을 구별하고 있지만, 방송 애플리케이션은, 방송 프로그램 등의 콘텐츠에 부수된 애플리케이션인 반면, 수신기 애플리케이션은, 말하자면 레지던트 애플리케이션이며, 예를 들어 수신 설정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도 25)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방송 애플리케이션은, HTML5 등의 마크업 언어나, JavaScript(등록 상표) 등의 스크립트 언어에 의하여 개발되어, 대응하는 브라우저에 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방송 애플리케이션이 통신 스트림으로부터 취득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취득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컴포넌트의 일부나 VOD 콘텐츠가 통신 경유로 취득되어 제시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기록부(227A)가 긴급 경보 제어부(227)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시스템 온 칩(SoC)에 내장되어 각 부에 의하여 공통으로 사용되는 불휘발성 메모리나, 시스템 온 칩(SoC)의 외부에 마련된 불휘발성 메모리에, 수신 설정 정보 등의 정보를 기록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블록 사이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블록은, 필요에 따라 다른 블록과의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8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서 긴급 경보 수신 시의 수신 장치(20)의 동작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방송 튜너부의 처리의 흐름)
먼저, 도 1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방송 튜너부(201)에 의하여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단, 도 18에 나타낸 처리를 실행할 때, 수신 장치(2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고, 방송 튜너부(201)에는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되어서 기동되고 있지만, 그 후단에 마련된 방송 신호 처리부(202), 출력 화면부(203) 및 음성 출력부(204) 등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아서 정지 상태로 되어 있다.
스텝 S11에 있어서, 방송 튜너부(201)는 수신 주파수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이 수신 주파수로서는, 전회의 기동 시에 마지막으로 시청한 채널인 라스트 채널의 주파수 대역이 설정된다.
스텝 S12에 있어서, 방송 튜너부(201)는,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이 판정 처리를 행할 때는, 물리층 프레임 중, 부트스트랩에 대응한 부분만을 감시하면 된다.
스텝 S12에 있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2의 판정 처리가 반복된다. 한편, 스텝 S12에 있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3으로 진행된다.
스텝 S13에 있어서, 방송 튜너부(201)는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물리층 프레임의 부트스트랩을 수신한다.
스텝 S14에 있어서, 방송 튜너부(201)는, 수신한 부트스트랩에 대응하는 부분을 처리하여 EA 웨이크업 정보(EA Wakeup)의 값을 추출한다. 여기서는, EA Wake up 비트를 구성하는 ea_wake_up_1, ea_wake_up_2의 2비트가 추출된다.
스텝 S15에 있어서, 방송 튜너부(201)는, 추출한 EA 웨이크업 정보(EA Wakeup)의 값에 기초하여 EA Wakeup="00"으로부터 액티브("01", "10", "11")로 변경하였는지, 또는 액티브("01", "10", "11")의 상태에서 전회 수신한 EA Wakeup의 값으로부터 변경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5에 있어서, 2개의 판정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지 못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2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스텝 S15에 있어서, 2개의 판정 조건 중 어느 한쪽 판정 조건을 만족시켰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6으로 진행된다.
스텝 S16에 있어서, 방송 튜너부(201)는 방송 신호 처리부(202)에 기동을 지시한다. 즉, 스탠바이 모드에서 동작하는 수신 장치(20)에서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고 정지 상태의 방송 신호 처리부(202)의 전원이 온되어서 긴급 경보 우선 모드에 의하여 기동되게 된다.
스텝 S17에 있어서, 방송 튜너부(201)는, 전원을 완전히 오프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7에 있어서, 전원을 완전히 오프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2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가 실행된다. 즉, 이 경우, 수신 장치(2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의 동작을 계속하게 된다.
한편, 스텝 S17에 있어서, 전원을 완전히 오프한다고 판정된 경우, 방송 튜너부(201)에 대한 전원의 공급이 정지되어, 도 18에 나타낸 처리는 종료된다. 또한 「전원을 완전히 오프한다」는 것은, 수신 장치(20)가 스탠바이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조작에 의하여 전원을 완전히 끈 상태이며, 방송 튜너부(201)에도 전력이 공급되지 않아서 기동되고 있지 않은 상태로 한다.
이상, 방송 튜너부(201)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였다.
(방송 신호 처리부(SoC)의 처리의 흐름)
다음으로, 도 19 및 도 2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방송 신호 처리부(202)에 의하여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단,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처리를 실행할 때, 방송 튜너부(201)의 후단에 마련된 방송 신호 처리부(202), 출력 화면부(203) 및 음성 출력부(204) 등에는,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되지 않고 정지 상태로 되어 있다.
즉, 수신 장치(2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방송 신호 처리부(202)는 커맨드 대기의 상태로 된다(S31, S32의 「아니오」). 그리고 방송 신호 처리부(202)가 기동 지시를 수신하였다고 판정된 경우(S32의 「예」), 처리는 스텝 S33으로 진행된다.
스텝 S33에 있어서, 방송 신호 처리부(202)는, 수신한 기동 지시가, 긴급 경보 우선 모드에 의한 기동 지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33에 있어서, 긴급 경보 우선 모드에 의한 기동 지시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34로 진행된다.
스텝 S34에 있어서, 방송 신호 처리부(202)는, 통상 기동 모드에 의한 수신 시스템의 기동과 방송 서비스를 표시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즉, 여기서는, 유저의 리모트 컨트롤러 조작이나 시청 예약의 타이머 설정 등에 의하여, 스탠바이 모드에서 동작하는 수신 장치(20)의 전원 온이 지시됨으로써 방송 신호 처리부(202)의 기동이 지시되었기 때문에, 통상 기동 모드에 의하여 동작하여 방송 서비스를 표시하게 된다. 또한 여기서는, 수신 장치(20)의 각 부(의 기능)를 총칭하여 수신 시스템이라 칭하기로 한다.
이 스텝 S34의 처리는, 수신 장치(20)의 전원 오프가 지시되기까지 계속된다(S34, S35의 「아니오」). 그리고 수신 장치(20)의 전원 오프가 지시된 경우(S35의 「예」), 처리는 스텝 S36으로 진행되고, 수신 장치(20)는 통상 기동 모드로부터 스탠바이 모드로 천이한다(S36). 또한 스텝 S36의 처리가 종료되면,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처리는 종료된다.
한편, 스텝 S33에 있어서, 긴급 경보 우선 모드에 의한 기동 지시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37로 진행된다. 또한 이 긴급 경보 우선 모드에 의한 기동 지시는, 상술한 도 18의 스텝 S16의 처리에서, 방송 튜너부(201)가 방송 신호 처리부(202)에 대하여 행하는 기동 지시에 상당하는 것이다.
스텝 S37에 있어서, 긴급 경보 제어부(227)는 수신 시스템의 기동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 이 수신 시스템의 기동 판정 처리에서는, 긴급 경보 정보를 포함하는 AEAT 메타데이터, 수신 설정 정보 및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긴급 경보 우선 모드에 의하여 수신 시스템을 기동할지 여부가 판정된다. 또한 수신 시스템의 기동 판정 처리의 상세는 도 2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스텝 S38에 있어서, 긴급 경보 제어부(227)는, 수신 시스템의 기동 판정 처리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긴급 경보 우선 모드에 의하여 수신 시스템을 기동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38에 있어서, 긴급 경보 우선 모드에 의하여 수신 시스템을 기동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36으로 진행된다. 이 경우, 수신 장치(2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의 동작을 계속하게 된다(S36).
한편, 스텝 S38에 있어서, 긴급 경보 우선 모드에 의하여 수신 시스템을 기동한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39로 진행되어, 긴급 경보 우선 모드에 의하여 수신 시스템이 기동된다(S39).
스텝 S40에 있어서, 긴급 경보 제어부(227)는, 방송 미들웨어(223)에 의하여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AEAT 메타데이터를 취득한다.
스텝 S41에 있어서, 긴급 경보 제어부(227)는, 취득한 AEAT 메타데이터(예를 들어 도 15의 LiveMedia 요소의 정보)에 기초하여, 긴급 경보 서비스의 지정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41에 있어서, 긴급 경보 서비스의 지정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42로 진행된다. 스텝 S42에 있어서는, 기동한 수신 시스템에 의하여 긴급 경보 서비스를 선국하여 긴급 경보 프로그램(예를 들어 도 7의 화면 D42 등)을 표시한다.
또한 스텝 S41에 있어서, 긴급 경보 서비스의 지정이 없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43으로 진행된다. 스텝 S43에 있어서는, 기동한 수신 시스템에 의하여, 선국 중인 채널(라스트 채널)의 방송 서비스를 선국하여 통상 프로그램(예를 들어 도 7의 화면 D43 등)을 표시한다.
스텝 S42 또는 S43의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는 스텝 S44로 진행된다. 스텝 S44에 있어서, 제시 처리부(226)는, 취득한 AEAT 메타데이터에 포함되는 긴급 경보 정보(예를 들어 도 15의 AEAText 요소의 AEA 메시지의 텍스트 정보)를 출력 화면부(203)에 표시한다(예를 들어 도 7의 화면 D42 또는 화면 D43 등).
스텝 S45에 있어서, 긴급 경보 제어부(227)는 AEAT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긴급 경보 서비스의 갱신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45에 있어서, 긴급 경보 서비스의 갱신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46으로 진행된다. 스텝 S46에 있어서, 긴급 경보 제어부(227)는 긴급 경보 정보의 갱신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스텝 S45에 있어서, 긴급 경보 서비스의 갱신이 없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46의 처리는 스킵되고 처리는 스텝 S47로 진행된다. 스텝 S47에 있어서, 유저의 리모트 컨트롤러 조작 등에 의하여 수신 장치(20)의 전원 오프가 지시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스텝 S47에 있어서, 수신 장치(20)의 전원 오프가 지시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45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즉,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예를 들어 긴급 경보 정보 A1을 표시 중이면서 전원 오프가 지시되기 전에 긴급 경보 서비스의 갱신이 있었을 때는, 긴급 경보 정보 A1로부터 긴급 경보 정보 A2로의 갱신 처리가 행해진다. 한편, 스텝 S47에 있어서, 수신 장치(20)의 전원 오프가 지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48로 진행된다.
스텝 S48에 있어서, 긴급 경보 제어부(227)는 긴급 경보 정보의 상태나 표시 내용을, 전회(과거)에 수신된 긴급 경보 정보에 관한 이력 정보로서 기록부(227A)에 기록한다. 이와 같은 이력 정보를 기록해 둠으로써, 차회 이후의 수신 시스템의 기동 판정 처리에 과거의 이력을 반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텝 S48의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는 스텝 S49로 진행되고, 수신 장치(20)는 긴급 경보 모드로부터 스탠바이 모드에서의 동작으로 천이한다(S49). 또한 스텝 S49의 처리가 종료되면,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처리는 종료된다.
이상, 방송 신호 처리부(202)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였다.
(수신 시스템의 기동 판정 처리의 흐름)
다음으로, 도 2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9의 스텝 S37의 처리에 대응하는 수신 시스템의 기동 판정 처리의 상세를 설명한다.
스텝 S71에 있어서, 긴급 경보 제어부(227)는,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AEAT 메타데이터를 취득한다. 또한 스텝 S72에 있어서, 긴급 경보 제어부(227)는 기록부(227A)에 기록된 수신 설정 정보를 판독하여 취득한다.
스텝 S73에 있어서, 긴급 경보 제어부(227)는, 전회(또는 과거)의 기동 시에 이력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73에 있어서, 전회(또는 과거)의 기동 시에 이력 정보를 기록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74로 진행된다. 스텝 S74에 있어서, 긴급 경보 제어부(227)는, 기록부(227A)에 기록된 전회(또는 과거)의 이력 정보(전회(또는 과거)의 긴급 경보 정보의 상태나 표시 내용)를 판독하여 취득한다. 이 이력 정보에는, 예를 들어 과거의 긴급 경보 정보의 표시 내용이나, 어디까지(말하자면 어느 버전까지) 표시하고 있었는지 등의 정보를 포함하며, 이들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동일한 내용의 긴급 경보 정보를 다시 제시하지 않는 등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스텝 S74의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는 스텝 S75로 진행된다. 또한 스텝 S73에 있어서, 전회(또는 과거)의 긴급 경보 정보의 상태나 표시 내용을 기록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74의 처리는 스킵되고 처리는 스텝 S75로 진행된다.
스텝 S75에 있어서, 긴급 경보 제어부(227)는, 스텝 S71의 처리에서 취득한 AEAT 메타데이터(에 포함되는 긴급 경보 정보에 관한 정보)와, 스텝 S72의 처리에서 취득한 수신 설정 정보, 및 스텝 S74의 처리에서 취득한 전회(또는 과거)의 이력 정보(전회(또는 과거)의 긴급 경보 정보의 상태나 표시 내용)를 비교하여, 긴급 경보 우선 모드에 의한 수신 시스템의 기동의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 상술한 스텝 S73의 판정 처리에서, 전회의 이력 정보를 기록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S73의 「아니오」), 스텝 S75의 판정 처리에서는, AEAT 메타데이터와 수신 설정 정보를 비교하여, 긴급 경보 우선 모드에 의한 수신 시스템의 기동의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스텝 S75에 있어서, 긴급 경보 우선 모드에 의한 수신 시스템의 기동의 조건이 일치한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76으로 진행된다. 스텝 S76에 있어서, 긴급 경보 제어부(227)는 긴급 경보 정보 출력부(228) 등에 대하여, 긴급 경보 우선 모드에 의한 수신 시스템의 기동 지시를 설정한다. 이 기동 지시의 설정에서는 방송 신호 처리부(202), 출력 화면부(203) 및 음성 출력부(204) 등의 기동이 지시된다.
한편, 스텝 S75에 있어서, 긴급 경보 우선 모드에 의한 수신 시스템의 기동의 조건이 일치하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77로 진행된다. 스텝 S77에 있어서, 긴급 경보 제어부(227)는, 긴급 경보 우선 모드에 의한 수신 시스템의 기동 지시를 미설정으로 한다.
스텝 S76 또는 S77의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는 도 19의 스텝 S37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가 실행된다.
즉, 스텝 S75의 판정 처리에 의하여 기동의 조건이 일치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76의 처리가 실행되므로, 도 19의 스텝 S38의 판정 처리에서는, 긴급 경보 우선 모드에 의하여 수신 시스템을 기동한다고 판정된다. 한편, 스텝 S75의 판정 처리에 의하여 기동의 조건이 불일치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77의 처리가 실행되므로, 도 19의 스텝 S38의 판정 처리에서는, 긴급 경보 우선 모드에 의하여 수신 시스템을 기동하지 않는다고 판정된다.
이상, 수신 시스템의 기동 판정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였다.
여기서, 수신 시스템의 기동 판정 처리(도 19의 스텝 S37의 처리)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도 22는, 도 21의 스텝 S75에 있어서, 긴급 경보 우선 모드에 의한 수신 시스템의 기동의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의 판정 처리를 행할 때 비교되는 항목을 나타내고 있다.
이 비교 항목으로서는, 상술한 도 14 및 도 15의 AEAT 메타데이터에 대응하는 항목을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AEAT 요소의 AEA 요소의 자 요소로 되는, audience 속성, aeaType 속성, priority 속성, Header 요소의 EventCode 요소, Header 요소의 Location 요소, 및 aeaId 속성과 refAEAId 속성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audience 속성은 긴급 경보 정보의 대상 수신기로서 "public", "restricted", 또는 "private"를 지정할 수 있다. "public"은, 일반 수신기에 적합한 긴급 경보 정보를 나타낸다. "restricted"는, 제한된 수신기에 적합한 긴급 경보 정보를 나타낸다. "private"는, 지정된 수신기에 적합한 긴급 경보 정보를 나타낸다.
aeaType 속성은 긴급 경보 정보의 타입으로서 "alert", "update", 또는 "cancel"을 지정할 수 있다. "alert"은 신규의 긴급 경보 정보를 나타낸다. "update"는, 이미 배신된 긴급 경보 정보의 갱신 정보인 것을 나타낸다. "cancel"은, 이미 배신된 긴급 경보 정보가 캔슬된 것을 나타낸다.
priority 속성은 긴급 경보 정보의 우선도로서 0 내지 4의 값을 지정할 수 있다. 4가 가장 우선도가 높은 것을 나타내며, 숫자가 작아질수록 우선도가 낮아져서 0이 가장 우선도가 낮은 것을 나타낸다.
Header 요소의 EventCode 요소는, 긴급 경보 정보의 이벤트 종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이벤트 종별로서 "EVI"가 지정된 경우, 피난 훈련(Evacuation Warning)을 나타낸다.
Header 요소의 Location 요소는 긴급 경보 정보의 해당 지역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해당 지역은, 미국의 경우, 연방 정보 처리 표준(FIPS: Federal Information Processing Standard)이라 칭해지는 숫자 7자리의 코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aeaId 속성과 refAEAId 속성의 조합에 의하여, 긴급 경보 정보를 식별하는 ID를 나타낸다.
여기서, aeaId 속성은, aeaType 속성="alert"으로 되는 AEAT 메타데이터에 대하여 설정된다. 또한 aeaType 속성="update", "cancel"로 되는 AEAT 메타데이터에 대해서는, 대상인 AEAT 메타데이터의 aeaId 속성의 값을 refAEAId 속성의 값으로서 기술한다.
예를 들어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허리케인 발생 시의 시각 t62에 있어서, 부트스트랩의 EA Wakeup의 값이 "00"로부터 "01"로 변화되어 신규의 긴급 경보가 배신되었을 때, AEAT 메타데이터에는 aeaId 속성=0001, priority 속성=3이 각각 기술된다.
그 후, 허리케인이 이동하여 대형화됨으로써, 시각 t63에 있어서, 긴급 경보가 갱신되어 EA Wakeup의 값은 "01"로부터 "10"으로 변화된다. 이때 배신되는 AEAT 메타데이터에는, aeaId 속성=1001, refAEAId 속성=0001, priority 속성=4가 각각 기술된다.
또한 그 후, 허리케인이 이동하여 소멸함으로써, 시각 t64에 있어서, 긴급 경보가 다시 갱신되어 EA Wakeup의 값은 "10"으로부터 "11"로 변화된다. 이때 배신되는 AEAT 메타데이터에는, aeaId 속성=1002, refAEAId 속성=0001, priority 속성=2가 각각 기술된다.
이와 같이 긴급 경보가 갱신될 때마다 refAEAId 속성의 값을, 신규(갱신 전)의 AEAT 메타데이터의 aeaId 속성의 값과 동일한 값으로 함과 함께, aeaId 속성의 값을 1씩 인크리먼트함으로써, 수신 장치(20)에서는, aeaId 속성과 refAEAId 속성의 조합에 의하여 긴급 경보 정보의 계열을 일의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예를 들어 상술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AEAT 메타데이터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aeaId 속성, refAEAId 속성이 나타내는 ID)에 기초하여 긴급 경보 정보의 계열을 동정하여, 동 계열의 긴급 경보 정보마다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은 수신 시스템의 기동 판정 처리가 행해지기 때문에, 유저는 수신 설정 정보를 설정(필터 설정)함으로써, 예를 들어 자신이 사는 지역 주변에서, 또한 우선도가 높은 긴급 경보 정보(우선도가 "2"이상인 긴급 경보 정보)만을 수신하는 등, 자신이 수신하려는 정보(원하는 긴급 경보 정보)만을 얻을 수 있다.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 처리의 흐름)
또한 수신 시스템의 기동 판정 처리(도 19의 스텝 S37의 처리, 즉, 도 21의 스텝 S75의 처리)에서 사용되는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 정보는, 수신 장치(20)에서 미리 설정해 두는 것이다. 그래서, 다음으로, 도 2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수신 장치(20)는, 유저로부터의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의 지시를 기다린다(S91, S92의 「아니오」). 그리고 예를 들어 유저에 의하여 리모트 컨트롤러(21)가 조작되어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의 화면 표시 지시가 이루어진 경우(S92의 「예」), 처리는 스텝 S93으로 진행된다.
스텝 S93에 있어서, 제시 처리부(226)는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 화면을 출력 화면부(203)에 표시한다.
스텝 S94에 있어서, 수신기 관리부(233)는, 예를 들어 유저의 조작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21)로부터의 적외선 신호에 기초하여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의 입력을 접수한다.
스텝 S95에 있어서, 긴급 경보 제어부(227)는, 접수한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의 입력에 기초하여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 정보를 기록부(227A)에 기록한다.
스텝 S95의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는 스텝 S96으로 진행된다. 스텝 S96에 있어서는,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의 입력이 종료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스텝 S96에 있어서,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의 입력이 계속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94로 되돌아가 스텝 S94 내지 S95의 처리가 반복된다. 이것에 의하여 각종 수신 설정 정보가 순차 입력되어 기록부(227A)에 기록되게 된다.
또한 스텝 S96에 있어서,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의 입력이 종료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도 24에 나타낸 처리는 종료된다.
이상,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였다.
여기서, 도 25는, 출력 화면부(203)에 표시되는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 화면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5에 나타낸 수신 설정 화면의 천이에서는,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시에 있어서의 긴급 경보 우선 모드에 의한 수신 시스템의 기동의 조건의 설정예를 나타내고 있다.
유저에 의하여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의 화면 표시 지시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경우, 출력 화면부(203)에는 통상의 방송 프로그램이 표시된다(화면 D61). 그 후, 유저가 리모트 컨트롤러(21)를 조작하여 「Settings」를 선택한 경우(도면 중의 S1), 그 표시 영역의 일부(우측의 표시 영역)에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화면 D62).
이 설정 화면(화면 D62)에서는,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EAS wakeup」) 외에, 예를 들어 음성(「Audio」)이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설정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이 설정 화면(화면 D62)의 항목 중에서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EAS wakeup」)을 선택한 경우(도면 중의 S2), 우측의 표시 영역에 표시된 설정 화면이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 화면으로 전환된다(화면 D63).
이 수신 설정 화면(화면 D63)에서는, 긴급 경보 정보의 대상을 설정하는 「audience」나, 긴급 경보 정보의 타입을 설정하는 「type」, 긴급 경보 정보의 우선도를 설정하는 「priority」 등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이 수신 설정 화면(화면 D63)의 항목 중에서 「type」을 선택한 경우(도면 중의 S3), 우측의 표시 영역에 표시된 수신 설정 화면이 type 설정 화면으로 전환된다(화면 D64). 이 type 설정 화면(화면 D64)에서는, 신규의 긴급 경보 정보를 나타내는 「new」(상술한 aeaType 속성의 "alert"에 상당함), 이미 배신된 긴급 경보 정보의 갱신 정보를 나타내는 「update」, 및 이미 배신된 긴급 경보 정보가 캔슬된 것을 나타내는 「cancel」의 설정 항목마다 수신의 가부를 설정할 수 있다.
이 type 설정 화면(화면 D64)의 예에서는, 「new」인 설정 항목에 대하여 「Y」인 수신 가능이 설정되고, 「update」인 설정 항목에 대하여 「Y」인 수신 가능이 설정되고, 「cancel」인 설정 항목에 대하여 「N」인 수신 불능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신규의 긴급 경보 정보 및 갱신된 긴급 경보 정보만이 제시되게 된다. 달리 말하면, 이 설정의 경우에는 캔슬의 긴급 경보 정보가 제시되는 일은 없다.
또한 이 수신 설정 화면(화면 D63)의 항목 중에서 「priority」를 선택한 경우(도면 중의 S4), 우측의 표시 영역에 표시된 수신 설정 화면이 priority 설정 화면으로 전환된다(화면 D65). 이 priority 설정 화면(화면 D65)에서는, 0 내지 4인 우선도에 대응한 「0」, 「1」, 「2」, 「3」 및 「4」의 설정 항목마다 수신의 가부를 설정할 수 있다.
이 priority 설정 화면(화면 D65)의 예에서는, 「0」 및 「1」인 설정 항목에 대하여 「N」인 수신 불능이 설정되고, 「2」 내지 「4」인 설정 항목에 대하여 「Y」인 수신 가능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2 내지 4인 우선도, 즉, 보다 우선도가 높은 긴급 경보 정보만이 제시되게 된다. 달리 말하면, 이 설정의 경우, 0 내지 1인 우선도, 즉, 보다 우선도가 낮은 긴급 경보 정보가 제시되는 일은 없다.
또한 여기서는, type 설정 화면과 priority 설정 화면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audience 설정 화면 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유저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제시하고, 유저의 리모트 컨트롤러 조작 등에 의하여, 원하는 수신 설정 정보를 등록시킬 수 있다.
또한 유저가 리모트 컨트롤러(21)를 조작하여 「back」을 선택한 경우에는, 하나 전에 표시된 화면이 재표시된다. 예를 들어 type 설정 화면(화면 D64) 또는 priority 설정 화면(화면 D65)의 표시 중에 「back」을 선택한 경우(도면 중의 S5, S6), 수신 설정 화면(화면 D63)이 표시된다.
또한, 예를 들어 수신 설정 화면(화면 D63)의 표시 중에 「back」을 선택한 경우(도면 중의 S7), 설정 화면(화면 D62)이 표시되고, 설정 화면(화면 D62)의 표시 중에 「back」을 선택한 경우(도면 중의 S8), 통상의 방송 프로그램(화면 D61)이 표시된다.
<2. 변형예>
상술한 설명으로서는, 디지털 방송의 규격으로서, 미국 등에서 채용되고 있는 방식인 ATSC(특히 ATSC3.0)를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은, 일본 등이 채용하는 방식인 ISDB(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나, 유럽의 각국 등이 채용하는 방식인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등에 적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송 시스템(1)에 있어서, 전송로(80)는 지상파 방송에 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방송 위성(BS: Broadcasting Satellite)이나 통신 위성(CS: Communications Satellite)을 이용한 위성 방송, 혹은 케이블을 사용한 유선 방송(CATV) 등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미국의 긴급 고지의 시스템(EAS)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각국에서 구축되어 있는 마찬가지의 시스템에 적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긴급 경보 정보가 텍스트 정보인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텍스트 정보에 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화상이나 영상 등, 텍스트 정보 이외의 정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본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긴급 경보 정보의 텍스트 정보를, 방송 프로그램 등의 콘텐츠의 영상(비압축된 영상 데이터)에 끼워넣거나(이른바 번드 텍스트), 혹은 긴급 경보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을, 음성 데이터에 끼워넣거나 한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본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LLS나 SLS 등의 시그널링의 명칭은 일례이며, 다른 명칭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지만, 이들 명칭의 상위는 형식적인 상위이며, 각 시그널링의 실질적인 내용이 다른 것은 아니다. 또한 시그널링이 XML 등의 마크업 언어에 의하여 기술되는 경우에 있어서, 그것들의 요소나 속성의 명칭은 일례이며, 다른 명칭이 채용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방송 애플리케이션은, 브라우저에 의하여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한하지 않으며, 이른바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으로서 OS(Operating System) 환경 등에서 실행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콘텐츠로서는 방송 프로그램이나 CM 외에, 예를 들어 동화상이나 음악, 전자 서적이나 게임, 광고 등 모든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수신 장치(20)의 동작 모드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스탠바이 모드(스탠바이 상태)에 있어서는, 방송 튜너부(201)가 기동되고 있는 한편, 방송 신호 처리부(202), 출력 화면부(203) 및 음성 출력부(204) 등의 수신 시스템은 기동되고 있지 않은 상태로 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 「전원을 온」한다는 것은, 스탠바이 모드에서 동작하는 수신 장치(20)의 전원을 켜는 것을 의미하고(달리 말하면, 전력이 공급되지 않고 정지 상태의 방송 신호 처리부(202) 등을 기동한다고도 할 수 있음), 「전원을 오프」한다는 것은, 전원이 온되어서 동작 중인 수신 장치(20)를 스탠바이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방송 튜너부(201)도 기동되고 있지 않은 상태를 「전원을 완전히 오프한다」고 표현하여, 상기 「전원을 오프」와 구별하고 있다.
<3. 컴퓨터의 구성>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하여 실행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실행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실행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인스톨된다. 도 26은,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컴퓨터(1000)에 있어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1001), ROM(Read Only Memory)(1002), RAM(Random Access Memory)(1003)은 버스(1004)에 의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버스(100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가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에는 입력부(1006), 출력부(1007), 기록부(1008), 통신부(1009) 및 드라이브(1010)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부(1006)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등으로 이루어진다. 출력부(1007)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진다. 기록부(1008)는 하드 디스크나 불휘발성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통신부(1009)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으로 이루어진다. 드라이브(1010)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1011)를 구동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컴퓨터(1000)에서는, CPU(1001)가, ROM(1002)이나 기록부(1008)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 및 버스(1004)를 통하여 RAM(1003)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일련의 처리가 행해진다.
컴퓨터(1000)(CPU(10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패키지 미디어 등으로서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1011)에 기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인터넷, 디지털 위성 방송과 같은 유선 또는 무선 전송 매체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1000)에서는, 프로그램은, 리무버블 기록 매체(1011)를 드라이브(1010)에 장착함으로써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를 통하여 기록부(1008)에 인스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전송 매체를 통하여 통신부(1009)에서 수신하여 기록부(1008)에 인스톨할 수 있다. 그 외에, 프로그램은 ROM(1002)이나 기록부(1008)에 미리 인스톨해 둘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컴퓨터가 프로그램에 따라 행하는 처리는, 반드시 흐름도로서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로 행해질 필요는 없다. 즉, 컴퓨터가 프로그램에 따라 행하는 처리는, 병렬적 혹은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예를 들어 병렬 처리 혹은 오브젝트에 의한 처리)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그램은, 하나의 컴퓨터(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것이어도 되고, 복수의 컴퓨터에 의하여 분산 처리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1)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된 상기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부
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부는, 수신된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긴급 경보 기동 정보에 기초하여, 대기 중인 상기 처리부에 기동을 지시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수신부로부터 기동을 지시받은 경우, 수신된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긴급 경보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및 유저에 의하여 설정된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에 관한 수신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제시를 제어하는,
수신 장치.
(2)
상기 처리부는,
과거에 수신된 상기 긴급 경보 정보에 관한 이력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시그널링, 상기 수신 설정 정보 및 상기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제시를 제어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수신 장치.
(3)
통상의 기동 시의 동작에 대응한 제1 모드와,
긴급 경보 시의 동작에 대응한 제2 모드
를 갖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의 기동을 지시받은 경우, 상기 시그널링, 상기 수신 설정 정보 및 상기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제시를 제어하는,
상기 (2)에 기재된 수신 장치.
(4)
상기 처리부는,
상기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계열을 동정하고,
동정한 계열마다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제시를 제어하는,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수신 장치.
(5)
상기 수신 설정 정보는,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대상 수신기,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타입,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우선도,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이벤트 종별, 및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해당 지역에 관한 수신 설정을 적어도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신 장치.
(6)
상기 이력 정보는, 과거에 수신된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상태 및 표시 내용을 적어도 포함하는,
상기 (2)에 기재된 수신 장치.
(7)
상기 긴급 경보 기동 정보는 물리층의 프레임에 포함되고,
상기 긴급 경보 정보는 상위층의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신 장치.
(8)
상기 수신 설정 정보 및 상기 이력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처리부는, 수신된 상기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상기 긴급 경보 정보에 관한 정보와, 기록된 상기 수신 설정 정보 및 상기 이력 정보를 비교하여, 그 비교의 결과가 제시의 조건에 적합한 경우에만 상기 긴급 경보 정보를 제시하는,
상기 (2)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신 장치.
(9)
튜너부로서의 상기 수신부와, 시스템 온 칩으로서의 상기 처리부를 구비하는 텔레비전 수상기로서 구성되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신 장치.
(10)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된 상기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부
를 구비하는 수신 장치의 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가, 수신된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긴급 경보 기동 정보에 기초하여, 대기 중인 상기 처리부에 기동을 지시하고,
상기 처리부가 상기 수신부로부터 기동을 지시받은 경우, 수신된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긴급 경보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및 유저에 의하여 설정된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에 관한 수신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제시를 제어하는,
수신 방법.
(11)
대기 중에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로부터 기동을 지시받은 경우, 수신된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긴급 경보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및 유저에 의하여 설정된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에 관한 수신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신호 처리 장치.
(12)
상기 제어부는,
과거에 수신된 상기 긴급 경보 정보에 관한 이력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시그널링, 상기 수신 설정 정보 및 상기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제시를 제어하는,
상기 (11)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13)
통상의 기동 시의 동작에 대응한 제1 모드와,
긴급 경보 시의 동작에 대응한 제2 모드
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의 기동을 지시받은 경우, 상기 시그널링, 상기 수신 설정 정보 및 상기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제시를 제어하는,
상기 (12)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14)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계열을 동정하고,
동정한 계열마다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제시를 제어하는,
상기 (12) 또는 (13)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15)
상기 수신 설정 정보는,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대상 수신기,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타입,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우선도,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이벤트 종별, 및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해당 지역에 관한 수신 설정을 적어도 포함하는,
상기 (11) 내지 (1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16)
상기 이력 정보는, 과거에 수신된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상태 및 표시 내용을 적어도 포함하는,
상기 (12)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17)
상기 긴급 경보 정보는 상위층의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상기 (11) 내지 (1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18)
상기 수신 설정 정보 및 상기 이력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상기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상기 긴급 경보 정보에 관한 정보와, 기록된 상기 수신 설정 정보 및 상기 이력 정보를 비교하여, 그 비교의 결과가 제시의 조건에 적합한 경우에만 상기 긴급 경보 정보를 제시하는,
상기 (12) 내지 (1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19)
시스템 온 칩으로서 구성되는,
상기 (11) 내지 (1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20)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가,
대기 중에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로부터 기동을 지시받은 경우, 수신된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긴급 경보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및 유저에 의하여 설정된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에 관한 수신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제시를 제어하는,
신호 처리 방법.
1: 전송 시스템
10, 10-1, 10-2: 송신 장치
20, 20-1, 20-2, 20-3: 수신 장치
21: 리모트 컨트롤러
30: 전파탑
40: EA 서버
80: 전송로
90: 통신 회선
201: 방송 튜너부
202: 방송 신호 처리부(SoC)
203: 출력 화면부
204: 음성 출력부
211-1 내지 211-3: 입력 단자
212-1 내지 212-5: 출력 단자
221: 복조기 I/F
222: 디멀티플렉서
223: 방송 미들웨어
224: 디스크램블러부
225: 영상·음성·자막 디코더부
226: 제시 처리부
227: 긴급 경보 제어부
228: 긴급 경보 정보 출력부
229: 통신 I/F
230: 통신 미들웨어
231: 방송 애플리케이션 처리부
232: 리모컨 I/F
233: 수신기 관리부
234: 수신기 애플리케이션 처리부
1000: 컴퓨터
1001: CPU

Claims (20)

  1.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된 상기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부
    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부는, 수신된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긴급 경보 기동 정보에 기초하여, 대기 중인 상기 처리부에 기동을 지시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수신부로부터 기동을 지시받은 경우, 수신된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긴급 경보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및 유저에 의하여 설정된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에 관한 수신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제시를 제어하는,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과거에 수신된 상기 긴급 경보 정보에 관한 이력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시그널링, 상기 수신 설정 정보 및 상기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제시를 제어하는,
    수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통상의 기동 시의 동작에 대응한 제1 모드와,
    긴급 경보 시의 동작에 대응한 제2 모드
    를 갖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의 기동을 지시받은 경우, 상기 시그널링, 상기 수신 설정 정보 및 상기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제시를 제어하는,
    수신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계열을 동정하고,
    동정한 계열마다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제시를 제어하는,
    수신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설정 정보는,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대상 수신기,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타입,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우선도,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이벤트 종별, 및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해당 지역에 관한 수신 설정을 적어도 포함하는,
    수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 정보는, 과거에 수신된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상태 및 표시 내용을 적어도 포함하는,
    수신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경보 기동 정보는 물리층의 프레임에 포함되고,
    상기 긴급 경보 정보는 상위층의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수신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설정 정보 및 상기 이력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처리부는, 수신된 상기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상기 긴급 경보 정보에 관한 정보와, 기록된 상기 수신 설정 정보 및 상기 이력 정보를 비교하여, 그 비교의 결과가 제시의 조건에 적합한 경우에만 상기 긴급 경보 정보를 제시하는,
    수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튜너부로서의 상기 수신부와, 시스템 온 칩으로서의 상기 처리부를 구비하는 텔레비전 수상기로서 구성되는,
    수신 장치.
  10.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된 상기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부
    를 구비하는 수신 장치의 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가, 수신된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긴급 경보 기동 정보에 기초하여, 대기 중인 상기 처리부에 기동을 지시하고,
    상기 처리부가 상기 수신부로부터 기동을 지시받은 경우, 수신된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긴급 경보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및 유저에 의하여 설정된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에 관한 수신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제시를 제어하는,
    수신 방법.
  11. 대기 중에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로부터 기동을 지시받은 경우, 수신된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긴급 경보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및 유저에 의하여 설정된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에 관한 수신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신호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과거에 수신된 상기 긴급 경보 정보에 관한 이력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시그널링, 상기 수신 설정 정보 및 상기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제시를 제어하는,
    신호 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통상의 기동 시의 동작에 대응한 제1 모드와,
    긴급 경보 시의 동작에 대응한 제2 모드
    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의 기동을 지시받은 경우, 상기 시그널링, 상기 수신 설정 정보 및 상기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제시를 제어하는,
    신호 처리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계열을 동정하고,
    동정한 계열마다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제시를 제어하는,
    신호 처리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설정 정보는,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대상 수신기,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타입,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우선도,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이벤트 종별, 및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해당 지역에 관한 수신 설정을 적어도 포함하는,
    신호 처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 정보는, 과거에 수신된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상태 및 표시 내용을 적어도 포함하는,
    신호 처리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경보 정보는 상위층의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신호 처리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설정 정보 및 상기 이력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상기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상기 긴급 경보 정보에 관한 정보와, 기록된 상기 수신 설정 정보 및 상기 이력 정보를 비교하여, 그 비교의 결과가 제시의 조건에 적합한 경우에만 상기 긴급 경보 정보를 제시하는,
    신호 처리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시스템 온 칩으로서 구성되는,
    신호 처리 장치.
  20.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가,
    대기 중에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로부터 기동을 지시받은 경우, 수신된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긴급 경보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및 유저에 의하여 설정된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수신 설정에 관한 수신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긴급 경보 정보의 제시를 제어하는,
    신호 처리 방법.
KR1020207025877A 2018-03-22 2019-03-08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 KR202001312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54227 2018-03-22
JPJP-P-2018-054227 2018-03-22
PCT/JP2019/009266 WO2019181552A1 (ja) 2018-03-22 2019-03-08 受信装置、受信方法、信号処理装置、及び信号処理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238A true KR20200131238A (ko) 2020-11-23

Family

ID=67987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877A KR20200131238A (ko) 2018-03-22 2019-03-08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1889161B2 (ko)
JP (1) JP7264872B2 (ko)
KR (1) KR20200131238A (ko)
CN (1) CN111869227B (ko)
BR (1) BR112020018802A2 (ko)
CA (1) CA3094045A1 (ko)
MX (1) MX2020009565A (ko)
WO (1) WO20191815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0194A1 (ja) * 2022-10-24 2024-05-02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7397A1 (ja) 2015-09-14 2017-03-23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送信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524B1 (ko) * 2003-07-18 2005-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오픈 케이블에서 아웃-오브-밴드 채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KR101108053B1 (ko) * 2005-10-21 2012-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상파 방송의 비상 사태 채널 설정 방법, 데이터 구조 및이를 위한 방송 수신기
KR101227484B1 (ko) * 2005-11-16 2013-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방향 케이블 디지털 방송의 비상 사태 경보 메시지 처리방법, 데이터 구조 및 이를 위한 방송 수신기
KR20080066423A (ko) 2007-01-12 2008-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시스템 및 긴급 경고 처리 방법
US8832731B1 (en) * 2007-04-03 2014-09-09 At&T Mobility Ii Llc Multiple language emergency alert system message
KR20090039060A (ko) * 2007-10-17 2009-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시스템 및 긴급 경고 메시지 처리 방법
JP5605615B2 (ja) 2010-05-12 2014-10-15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報知制御方法
JP5801561B2 (ja) * 2011-01-24 2015-10-28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送信装置およびデジタル放送送信方法
JP5790184B2 (ja) 2011-06-13 2015-10-0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9137563B2 (en) 2012-08-24 2015-09-15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Processing emergency alert system messages
US9485110B2 (en) * 2013-07-15 2016-11-01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alerting an emergency via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and method for alerting an emergency via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US9602888B2 (en) * 2013-08-12 2017-03-21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iving method,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JP2015061195A (ja) 2013-09-18 2015-03-30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CN106537822B (zh) 2014-07-17 2019-07-05 Lg 电子株式会社 广播发送设备及其处理数据的方法、广播接收设备及其处理数据的方法
US10498792B2 (en) * 2015-05-17 2019-12-03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EP3432618A1 (en) * 2017-07-18 2019-01-23 Thomson Licensing Emergency alert relaying using short range access communication devi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7397A1 (ja) 2015-09-14 2017-03-23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送信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869227A (zh) 2020-10-30
CA3094045A1 (en) 2019-09-26
JPWO2019181552A1 (ja) 2021-04-15
US20210377621A1 (en) 2021-12-02
WO2019181552A1 (ja) 2019-09-26
US20240171828A1 (en) 2024-05-23
BR112020018802A2 (pt) 2020-10-20
CN111869227B (zh) 2024-01-02
MX2020009565A (es) 2020-10-05
US11889161B2 (en) 2024-01-30
JP7264872B2 (ja) 202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3827B2 (en) Receiving device, receiving method, transmitting device, and transmitting method
JP5586770B2 (ja) 受信機
CN103081507B (zh) 集成并处理到视频流中相关视频内容的嵌入式链接以提供广告信息
US11496810B2 (en) Receiver, reception method, transmitter, and transmission method
KR20200006977A (ko)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
US20240171828A1 (en) Receiving device, receiving method,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KR102479001B1 (ko)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JP6068721B2 (ja) 受信機
JP2017118460A (ja) 受信装置、送信装置、放送システム、及び送受信方法
US11552720B2 (en) Reception apparatus, transmission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11444885B2 (e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device, and reception method
JPWO2017047397A1 (ja) 受信装置、送信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KR102482207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전환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6630570B2 (ja)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US9628743B2 (en) Method and device for data processing, and system comprising the device
JP6500956B2 (ja) 受信装置、テレビジョン装置、プログラム、記憶媒体、及び制御方法
JP2016111466A (ja) 受信装置、放送システム、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257225A (ja) 受信機
KR20120082324A (ko)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영상 표시 기기
JP5548726B2 (ja) 受信機
US20240179100A1 (e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device, and reception method
JP2012257222A (ja) 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