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1019A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1019A
KR20200131019A KR1020190055693A KR20190055693A KR20200131019A KR 20200131019 A KR20200131019 A KR 20200131019A KR 1020190055693 A KR1020190055693 A KR 1020190055693A KR 20190055693 A KR20190055693 A KR 20190055693A KR 20200131019 A KR20200131019 A KR 20200131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ixing
disposed
plat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6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56127B1 (en
Inventor
문성국
김강영
배준석
최성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5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127B1/en
Publication of KR20200131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0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1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omprises: a cabinet assembly including an upper cabinet having a rear suction hole, and a base unit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upper cabinet to support the upper cabinet; a door panel disposed to b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a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assembly; fixing plates connected to the door panel through a guide rail, mounted in the base unit to support movement of the door panel, and having an electric wire hole penetrated by an electric wire extended from the base unit to the door panel; a support panel inserted into the door panel to support a structure of the door panel; and an electric wire fixing guider disposed in the electric wire hole of the fixing plate and fixating the electric wire penetrating the electric wire hole to be extended perpendicularly to a front side of the fixing plate. The support panel comprises: an electric wire fixing passage fixating the electric wire disposed inside the support panel; and an electric wire moving space having a space where the electric wire extended from the electric wire fixing guide to the electric wire fixing passage. According to the indoo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wire which is connected from the cabinet assembly to a door assembly movably disposed in the cabinet assembly can be stably arranged.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캐비닛 어셈블리의 전방에 배치되는 도어 어셈블리가 좌우로 이동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door assembly disposed in front of a cabinet assembly moves left and right.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실내기가 배치되고, 실외에 실외기가 배치되며, 실내기 및 실외기를 순환하는 냉매를 통해 실내공기를 냉방, 난방 또는 제습할 수 있다. In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an indoor unit is disposed indoors, an outdoor unit is disposed outdoors, and indoor air may be cooled, heated, or dehumidified through a refrigerant circulating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설치 형태에 따라 실내 바닥에 직립으로 설치하는 스탠드형 실내기, 실내 벽에 걸어서 설치하는 벽걸이형 실내기 및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실내기 등이 있다. The indoor unit of the detachable air conditioner includes a stand-type indoor unit installed upright on an indoor floor, a wall-mounted indoor unit hung on an indoor wall, and a ceiling type indoor unit installed on an indoor ceiling according to an installation type.

스탠드형 실내기의 경우, 캐비닛(본체)의 전방 또는 측방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며, 전방에 개폐가 가능하거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를 배치하여 전면을 커버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어에는,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거나, 실내공간의 상태를 감지하거나, 실내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전자장치와, 전자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배치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a stand-type indoor unit, heat-exchanged air is discharged to the front or side of the cabinet (body), and a door that can be opened or closed in the front or installed to be movable is disposed to cover the front surface. In addition, an electronic device electrically operated to receive a user's command, sense a state of an indoor space, or display an operating state of the indoor unit, and a wire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disposed on the door.

캐비닛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로 연결되는 전선은, 도어의 이동시 도어와 간섭되어 전자장치로 전원의 공급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Wires connected to a door movably mounted in the cabinet may interfere with the door when the door is moved, and thus a problem may occur in that power supply to the electronic device is not smoothly performed.

한국 등록특허번호 10-1174030(이하 선행기술1라 한다)에는 캐비닛(본체) 및 도어를 구비하고, 도어를 통해 캐비닛 내부를 개방하는 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7403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describes a structure including a cabinet (body) and a door, and opening the interior of the cabinet through the door.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05-0095978(이하 선행기술2라 한다)에는 슬라이드 방식을 통해 토출구를 개폐하는 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5-0095978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describes a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through a slide method.

다만, 상기의 선행기술1과 선행기술2에서는 캐비닛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로 연결되는 전선의 배치와, 도어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구조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However, the prior art 1 and the prior art 2 do not disclose an arrangement of wires connected to a door movably disposed in a cabinet and a structure for avoiding interference of the doo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과제는 캐비닛 어셈블리로부터, 캐비닛 어셈블리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어셈블리로 연결되는 전선이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 first task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electric wires connected from the cabinet assembly to the door assembly movably disposed in the cabinet assembly can be stably disposed.

도어어셈블리가 힌지가 아닌 가이드레일을 사용하여, 이동하는 구조에서는, 도어어셈블리의 이동으로 전선이 함께 이동하므로, 이동하는 전선이 다른 구조물과 간섭되지 않는 구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제2과제는, 도어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전선의 이동공간을 확보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 structure in which the door assembly moves using a guide rail rather than a hinge, since the wires move with the movement of the door assembly, a structure in which the moving wires do not interfere with other structures is required. A second t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at secures a moving space of an electric wire that mov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a door.

상기와 같이, 도어어셈블리의 이동으로 전선이 함께 이동하는 구조에서는, 전선의 이동범위가 최소화되고, 이동하지 않는 전선의 고정으로 전선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과제는, 도어로 연결되는 전선의 이동범위를 최소화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a structure in which the wires move together by the movement of the door assembly,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wires is minimized, and interference of the wires can be minimized by fixing the non-moving wires. A third t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at minimizes the range of movement of an electric wire connected to a door.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캐비닛 어셈블리와, 캐비닛 어셈블리의 전방에서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패널을 포함한다. 도어패널은, 캐비닛 어셈블리의 베이스부에 고정되어, 도어패널의 이동을 지지하는 고정플레이트와, 가이드레일에 의해 캐비닛 어셈블리의 전방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assembly and a door panel disposed to be movable left and right from the front of the cabinet assembly. The door panel is fixed to the base of the cabinet assembly and can be moved from the front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cabinet assembly by a fixing plate supporting movement of the door panel and a guide rail.

도어패널의 내측에는 도어패널의 구조를 지지하고, 내부에 전선이 배치되는 공간인 전선고정패시지를 형성하는 지지패널이 배치된다. 또한, 지지패널에는, 도어패널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전선이 배치되는 공간인 전선이동공간이 형성된다. A support panel is disposed inside the door panel to support the structure of the door panel and to form an electric wire fixing package, which is a space in which electric wires are arranged. In addition, the support panel is provided with an electric wire moving space, which is a space in which electric wires mov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oor panel are arranged.

또한, 고정플레이트에는, 전선이동공간으로 연장되는 전선을 전방에 수직하게 연장되도록 고정하는 전선고정가이더를 포함하여, 도어패널의 이동으로 이동하는 전선이 전선이동공간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plate includes a wire fixing guide that fixes the electric wire extending into the electric wire moving space so that it extends vertically in the front, so that the electric wire moving due to the movement of the door panel stably moves inside the electric wire moving space. I can.

상기 전선고정패시지에는, 상기 전선이동공간과 상기 전선고정패시지를 연통하도록, 상기 전선이동공간의 상측에서 상측방향으로 개구된 패시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고정가이더는, 상기 전선홀을 관통하는 상기 전선을 상기 패시지홀이 형성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고정시켜, 이동하는 전선의 이동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 In the wire fixing package, a passage hole opened up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wire transfer space is formed so as to communicate the wire transfer space and the wire fixing package, and the wire fixing guide is the wire passing through the wire hole. By fixing the electric wire so as to exten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ssage hole is formed, the moving range of the moving electric wire can be minimized.

상기 도어패널은, 상기 캐비닛 어셈블리의 전면을 폐쇄하는 제1위치와 상기 캐비닛 어셈블리의 전면일부를 개방하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며, 상기 패시지홀은, 상기 도어패널이 제1위치에 위치할 때의 전선고정가이더와, 상기 도어패널이 제2위치에 위치할 때의 전선고정가이더 사이에 배치되어, 전선의 이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door panel is moved between a first position closing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assembly and a second position opening a part of the front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and the passage hole is formed when the door panel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It is disposed between the wire fixing guide of the and the wire fixing guide when the door panel is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movement of the wire.

상기 전선고정가이더는, 내부에 전선이 관통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장착되는 플레이트장착부와, 상기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전선이동홈으로 연장되는 상기 전선이 상측을 향하도록 고정하는 전선가이드부를 포함한다. The wire fixing guider includes a guide hole through which an electric wire passes, and a plate mounting portion mounted on the fixing plate, and an electric wire that passes through the guide hole and fixes the electric wire extending into the electric wire moving groove upward. It includes a guide part.

상기 플레이트장착부는, 상기 고정플레이드의 후방면에 면접하게 배치되는 플레이트 고정면과, 상기 플레이트 고정면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전선홀을 관통하여 상기 전선고정가이더를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장착하는 후크부를 포함하여, 전선고정가이더가 고정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다. The plate mounting portion includes a plate fixing surface arranged in an interview with a rea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and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plate fixing surface, and passing through the wire hole of the fixing plate to attach the wire fixing guide to the fixing plate. Including a hook portion to be mounted, the wire fixing guide may be fixed to the fixing plate.

상기 전선가이드부는, 상기 플레이트 고정면에서 상기 후크부가 돌출되는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플레이트바디의 전선홀을 관통하여 상기 도어패널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전선의 좌우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가이더바디와, 상기 고정가이더바디의 전방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가이더바디에 배치되는 상기 전선의 전방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전선고정리브를 포함하여, 전선이동공간으로 연장되는 전선을 고정할 수 있다. The wire guide part includes a fixed guide body that extends in a direction opposite from which the hook part protrudes from the plate fixing surface, penetrates the wire hole of the plate body, and limits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wire extending in the door panel direction. , It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fixed guider body, including a wire fixing rib that limits the forward direction movement of the wire disposed on the fixed guider body, it is possible to fix the wire extending into the wire moving space.

상기 전선이동공간이 좌우로 형성하는 폭은, 상기 도어패널이 좌우로 이동하는 범위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도어패널이 좌우로 이동하는 범위는, 상기 전선고정가이더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패시지홀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어, 전선의 이동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 The width formed by the wire moving space to the left and right is greater than the range in which the door panel moves left and right, and the range in which the door panel moves left and right is from the wire fixing guide to the passage hole spaced upward. Since it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stanc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movement range of the electric wire.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캐비닛 어셈블리에 상대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전선홀이 형성되는 플레이트바디; 및 상기 플레이트바디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바디를 상기 캐비닛 어셈블리에 고정시키는 플레이트서포터를 포함한다. The fixing plate may include a plate body having a relative position fixed to the cabinet assembly and forming the wire hole; And a plate supporter disposed under the plate body and fixing the plate body to the cabinet assembly.

상기 플레이트바디는, 상기 플레이트바디의 좌우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전방면부; 상기 한 쌍의 전방면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전방면부보다 후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전방으로 플레이트홈을 형성하는 후방면부; 및 상기 후방면부의 양단과 상기 한 쌍의 전방면부 각각을 연결하는 한 쌍의 이격부를 포함하여, 도어패널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전선이 플레이트홈에서 이동될 수 있다. The plate body may include a pair of front surface portions disposed at left and right ends of the plate body; A rear face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ront face portions and spaced apart rearward than the pair of front face portions to form a plate groove forward; And a pair of spacers connecting both ends of the rear surface portion and each of the pair of front surface portions, and a wire that mov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oor panel may be moved in the plate groove.

상기 전선고정가이더는, 상기 후방면부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전선을 상기 플레이트홈이 형성되는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고정하고, 상기 전선고정가이더는, 상기 후방면부에서 상기 플레이트홈 내측에 배치되어, 전선이 플레이트홈에서 이동할 수 있다. The wire fixing guider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part and fixes the wire extending from the base part so as to extend in an upward direction in which the plate groove is formed, and the wire fixing guider comprises: an inside of the plate groove at the rear surface part. Is arranged in, the electric wire can move in the plate groove.

상기 베이스부는,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도어패널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단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돌출부의 상면에는, 하측방향으로 홈을 형성하며, 상기 플레이트서포터가 삽입되는 플레이트고정홈이 형성되어, 고정플레이트가 고정될 수 있다. The base portion protrudes forward from the lower portion and includes a lower protrusion disposed at a lower side of the door panel, and a groove is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protrusion, and a plate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plate supporter is inserted Is formed, the fixing plate can be fixed.

상기 전선고정패시지는, 상기 전선이동공간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선이동공간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전선이 고정배치되는 제1전선고정패시지와, 상기 제1전선패시지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패널 상측으로 연장되는 전선이 고정배치되는 제2전선고정패시지와, 상기 제1전선패시지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패널 상측으로 연장되는 전선이 고정배치되는 제3전선고정패시지를 포함하여, 도어패널의 복수의 위치에서 배치되는 전자장치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The wire fixing package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wire transfer space,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wire fixing package to which the wires extending from the wire transfer space are fixedly disposed, and connected to the first wire transfer space, and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anel. A plurality of positions of the door panel, including a second wire fixing package on which an extended electric wire is fixedly arranged, and a third electric wire fixing packag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ic wire passage and fixedly arranged on the electric wire extending above the support panel Power can be supplied to electronic devices arranged in.

상기 제1전선고정패시지는, 일단부에서 하측방향으로 밴딩되어, 상기 전선이동공간을 향하는 면에서 하측으로 개구된 패시지홀이 형성되고, 타단부에서 상기 제2전선고정패시지와, 상기 제3전선고정패시지로 분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선고정패시지에는, 내부에 배치되는 전선을 고정하는 전선고정홀더가 배치되어, 지지패널 내부에 배치되는 전선을 고정할 수 있다. The first wire fixing package is bent downward from one end to form a passage hole opened downward from a surface facing the wire moving space, and the second wire fixing package and the third wire at the other end It is formed to be branched into a fixed package, and a wire fixing holder for fixing an electric wire disposed therein is disposed in the electric wire fixing package, so that the electric wire disposed inside the support panel may be fixed.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are provided.

첫째, 도어패널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패널에 전선이동공간을 형성하여, 도어패널이 이동할 때, 배치가 변경되는 전선이 외부구조물에 간섭되지 않아, 캐비닛 어셈블리의 전방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 어셈블리로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a wire transfer space is formed on the support panel disposed inside the door panel, so that when the door panel moves, the wires whose arrangement is changed do not interfere with the external structure, so that the door assembly is movable from the front of the cabinet assembly. It has the advantage of stably supplying power.

둘째, 전선고정가이더가 캐비닛 어셈블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선을 패시지홀이 형성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고정하여, 전선이동공간에서 이동하는 전선의 범위를 최소화하고, 전선이동공간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전선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도어 어셈블리로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Second, the wire fixing guider fixes the wires extending forward from the cabinet assembly so that they extend to the upper side where the passage hole is formed, thereby minimizing the range of the wires moving in the wire transfer space, and reducing the wires arranged in parts other than the wire transfer space. Since it can be stably fixed, there is also an advantage of stably supplying power to the door assembly.

셋째, 고정플레이트에 전선의 이동을 최소화하는 플레이트홈을 형성하여, 이동하는 전선이 도어어셈블리와 캐비닛 어셈블리 사이에서 끼임으로 발생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Third, by forming a plate groove to minimize the movement of the electric wire on the fixed plate, there is also an advantage of preventing the problem that the moving electric wire is caught between the door assembly and the cabinet assembly.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어어셈블리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수조가 틸팅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도어어셈블리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후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플레이트의 전방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플레이트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레일의 사시도이다.
도 10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고정가이더의 전방사시도이다.
도 10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고정가이더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10c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고정가이더를 수직하게 자른 단면사시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패널의 후면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패널의 전면사시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위치(P1)에서의 도어패널과 고정플레이트와의 관계를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위치(P2)에서의 도어패널과 고정플레이트와의 관계를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패널이 제1위치(P1)와 제2위치(P2)일 때, 로어패널의 전선이동공간을 이동하는 전선과 전선고정가이더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assembly in FIG. 1 in an open stat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tank in a tilted state i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assembly in FIG. 1 in a separated stat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rear view of a do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fixed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fixed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guide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wire fixing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wire fixing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C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wire fixing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is a rear view of a lower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B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lower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A is a rear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door panel and a fixed plate at a first position P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B is a rear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or panel and the fixing plate at a second position P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llustrates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n electric wire moving in the electric wire moving space of the lower panel and a wire fixing guide when the door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irst position P1 and the second position P2 It is a drawing to do.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are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 전체에 걸쳐 ‘제 1, 제 2, …’의 표현은 구성요소의 구분을 위한 것으로서, 구성요소간의 우선순위 또는 중요도 등과는 무관하다. 도면에 표시된 상(U), 하(D), 좌(Le), 우(Ri), 전(F) 및 후(R)의 방향표시는,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준이 변경되면, 상기의 방향도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first, second, ... The expression'' is for classification of components, and is irrelevant to the priority or importance of components. The direction indications of up (U), down (D), left (Le), right (Ri), front (F) and rear (R) shown in the drawings ar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 never do that. Accordingly, when the reference is changed, the above direction may be set differently.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for explaining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체구성><Overall composition>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외형을 형성하고, 전면이 개구된 캐비닛 어셈블리(Ⅰ),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개구된 전면을 커버하는 도어 어셈블리(Ⅱ), 캐비닛 어셈블리(Ⅰ) 내측에 배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팬 어셈블리(Ⅲ), 송풍팬 어셈블리(Ⅲ)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 어셈블리(미도시), 캐비닛 어셈블리(Ⅰ)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어셈블리(Ⅵ), 필터 어셈블리(Ⅵ)의 일측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청소 어셈블리(Ⅶ), 및 캐비닛 어셈블리(Ⅰ) 외부로 가습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가습 어셈블리(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rms an outer shape, and includes a cabinet assembly (I) with an open front, a door assembly (II) covering the opened front of the cabinet assembly (I), and an inside of the cabinet assembly (I). A blower fan assembly (III) arranged in the air to form a flow of air, a heat exchange assembly (not shown) for exchanging air flowing by the blower fan assembly (III) with a refrigerant, and air introduced into the cabinet assembly (I) Filter assembly (VI) for filtering the filter, filter cleaning assembly (VII)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present on one side of the filter assembly (VI), and humidifying assembly (V) for discharging humidified air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assembly (I) It may include.

캐비닛 어셈블리(Ⅰ)는 후방으로 흡입구를 형성하고, 내측에 열교환기(미도시)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캐비닛(11), 상부캐비닛(11) 하측에 배치되고, 가습 어셈블리(Ⅴ)의 일부 구성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부(12), 베이스부(12)의 후방 및 측방을 커버하는 하부캐비닛(13), 및 상부캐비닛(11)과 도어 어셈블리(Ⅱ) 사이에 배치되고, 공기가 토출되는 측면토출구(141)를 형성하는 측면토출부재(14a)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binet assembly (I) forms a suction port to the rear, and is disposed under the upper cabinet 11 and the upper cabinet 11 to form a space in which a heat exchanger (not shown) is disposed. It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portion 12 forming a space in which some components are arranged, the lower cabinet 13 covering the rear and sides of the base portion 12, and the upper cabinet 11 and the door assembly II, It may include a side discharge member (14a) forming a side discharge port 141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캐비닛 어셈블리(Ⅰ)는, 상부캐비닛(11)의 개방된 전면을 커버하는 내부커버(15)와, 베이스부(12)의 개방된 전면을 커버하는 베이스커버(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abinet assembly (I) may further include an inner cover 15 covering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upper cabinet 11 and a base cover 16 covering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2.

내부커버(15)는, 도어어셈블리(Ⅱ)가 일부 개방될 때, 상부캐비닛(11)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다. 내부커버(15)는, 가습어셈블리(Ⅴ)의 수조(51)가 노출되도록 도어어셈블리(Ⅱ)가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할 때, 노출되는 상부캐비닛(11)의 전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The inner cover 15 may c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cabinet 11 when the door assembly II is partially opened. The inner cover 15 covers a part of the front of the upper cabinet 11 exposed when the door assembly II moves in either direction of the left or the right so that the water tank 51 of the humidification assembly V is exposed. Is placed.

베이스부(12)는 전면이 개구된 박스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부(12)의 외둘레에는 하부캐비닛(13)과 측면토출부재(14a)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The base portion 12 may have a box shape with an open front surface. A portion of the lower cabinet 13 and the side discharge member 14a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ase portion 12.

상하로 배치되는 베이스부(12)와 상부캐비닛(11)이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부(12)와 상부캐비닛(11)의 전면에 도어 어셈블리(Ⅱ)가 배치된다. In a state in which the base portion 12 and the upper cabinet 11 arranged vertically are combined, the door assembly II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2 and the upper cabinet 11.

베이스부(12)는, 내측으로 가습 어셈블리(Ⅴ)의 일부 구성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베이스부(12)는,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도어 어셈블리(Ⅱ)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단돌출부(121)를 포함한다. 하단돌출부(121)는, 도어패널(21)의 하측에 배치되고, 고정플레이트(283)의 플레이트서포터(2832)가 삽입되는 플레이트 고정홈(1212)이 형성된다.The base portion 12 forms a space in which a part of the humidification assembly V is disposed. The base portion 12 includes a lower protrusion 121 protruding forward from the lower end and disposed under the door assembly II. The lower protrusion 121 is disposed under the door panel 21 and has a plate fixing groove 1212 into which the plate supporter 2832 of the fixing plate 283 is inserted.

하단돌출부(121)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근접위치를 감지하는 근접센서모듈(123)가 배치될 수 있다. 하단돌출부(121)의 전방면에는, 근접센서모듈(123)이 배치되는 전방으로 개구된 센서홀(1211)이 형성된다. A proximity sensor module 123 for sensing a user's proximity position may be disposed inside the lower protrusion 121.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protrusion 121, a sensor hole 1211 opened to the front in which the proximity sensor module 123 is disposed is formed.

하단돌출부(121)의 상부면에는, 하측방향으로 홈을 형성하는 플레이트 고정홈(1212)이 배치된다. 플레이트 고정홈(1212)은, 플레이트서포터(2832)에 대응하는 구조를 가진다. 플레이트 고정홈(1212)에 삽입된 플레이트서포터(2832)는, 고정플레이트(283)의 배치를 고정할 수 있다.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rotrusion 121, a plate fixing groove 1212 forming a groove in the downward direction is disposed. The plate fixing groove 1212 has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plate supporter 2832. The plate supporter 2832 inserted into the plate fixing groove 1212 may fix the arrangement of the fixing plate 283.

베이스커버(16)는, 베이스부(12)의 전면을 커버한다. 베이스커버(16)는, 수조가 수용되는 수조수용공간(164)을 형성한다. 베이스커버(16)에는, 제어박스(122)가 배치되는 부분에서, 제어박스홀(162)이 형성된다. 제어박스(122)는, 제어박스홀(162)을 관통하여, 베이스커버(16)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The base cover 16 covers the entire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2. The base cover 16 forms a water tank receiving space 164 in which a water tank is accommodated. In the base cover 16, a control box hole 162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control box 122 is disposed. The control box 122 is disposed to protrude forward of the base cover 16 through the control box hole 162.

베이스커버(16)에는, 베이스부(12) 내부에서 연장되어, 도어 어셈블리(Ⅱ)로 이어지는 전선(W, 도 13 참조)이 관통하는 베이스커버홀(161)이 형성된다. 베이스커버홀(161)은, 제어박스(122)의 상측에 배치된다. 베이스커버홀(161)은, 고정플레이트(283)에 형성되는 전선홀(28315)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된다. In the base cover 16, a base cover hole 161 is formed that extends from the inside of the base portion 12 and passes a wire (W, see FIG. 13) leading to the door assembly II. The base cover hole 161 is disposed above the control box 122. The base cover hole 161 is formed to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wire hole 28315 formed in the fixing plate 283.

베이스커버(16)에는, 플레이트서포터(2832)가 배치되는 부분에서, 후방으로 패인 홈을 형성하는 플레이트 지지홈(163)이 형성된다. 플레이트 지지홈(163)은, 베이스커버(16)의 하단부에서 후방으로 패인형상을 가지고, 플레이트서포터(2832)의 일부구성이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 지지홈(163)에는, 플레이트서포터(2832)의 일부구성이 삽입되어, 고정플레이트(283)의 고정된 배치를 지지할 수 있다. A plate support groove 163 is formed in the base cover 16 to form a groove that is recessed backward at a portion where the plate supporter 2832 is disposed. The plate support groove 163 has a shape that is recessed from the lower end of the base cover 16 to the rear, and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plate supporter 2832 may be disposed. In the plate support groove 163,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plate supporter 2832 is inserted, so that a fixed arrangement of the fixing plate 283 may be supported.

하부캐비닛(13)은 베이스부(12)의 측면과 후방을 커버할 수 있다. The lower cabinet 13 may cover the side and the rear of the base 12.

도어 어셈블리(Ⅱ)는 실내기의 전면을 커버하고, 일측에 전방토출구(211a)가 형성된 도어패널(21), 도어패널(21)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도어무빙모듈(28), 도어패널(21)에 형성되는 전방토출구(211a)를 개폐하는 토출구커버(25), 토출구커버(25)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 및 실내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거나, 사용자의 명력을 입력받는 하는 디스플레이모듈(29), 실내공간의 조건을 감지하는 카메라모듈(221), 및 캐비닛 어셈블리(Ⅰ)에 고정배치되어, 도어패널(21)의 이동을 지지하는 고정플레이트(283)를 포함한다. The door assembly (II) covers the front of the indoor unit and has a door panel 21 having a front discharge port 211a on one side thereof, a door moving module 28 for moving the door panel 21 left and right, and a door panel 21 The discharge port cover 25 that opens and closes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formed in the discharge port cover 25, the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 26 that moves the discharge port cover 25 up and down, and displays the operating state of the indoor unit or receives the user's name. The display module 29 includes a display module 29, a camera module 221 for sensing indoor space conditions, and a fixed plate 283 fixedly disposed on the cabinet assembly I to support movement of the door panel 21.

여기서, 실내공간의 조건이란, 실내공간의 크기, 실내공간에 존재하는 재실자의 수, 재실자의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어셈블리(Ⅱ)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Here, the indoor space condition may include the size of the indoor space, the number of occupants existing in the indoor space, and the location of occupants.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door assembly II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송풍팬 어셈블리(Ⅲ)는 실내기의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전방송풍모듈(31), 실내기의 양 측면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측방송풍모듈(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 어셈블리(Ⅲ)는 하나의 전방송풍모듈(31)과 3개의 측방송풍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송풍모듈(31)과 측방송풍모듈은 열교환 어셈블리(Ⅳ)의 전방에 배치된다. The blower fan assembly III includes a pre-broadcasting wind module 31 for discharging air to the front of the indoor unit, and a side-broadcasting wind module (not shown) for discharging air to both sides of the indoor unit. The blower fan assembly (III)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one pre-broadcast wind module 31 and three side-broadcast wind modules. The pre-broadcast wind module 31 and the side-broadcast wind module are disposed in front of the heat exchanger assembly (IV).

전방송풍모듈(31)은 측방송풍모듈의 상측에 배치된다. 전방송풍모듈(31)은 도어판(21)에 형성된 전방토출구(22)로 공기를 토출한다. The pre-broadcast wind module 31 is disposed above the side-broadcast wind module. The pre-broadcast wind module 31 discharges air through the front discharge port 22 formed on the door plate 21.

본 실시예에 따른 전방송풍모듈(31)은 전방토출구(22)가 개방될 때, 전방으로 이동하여, 토출구가 향하는 방향이 상, 하, 좌, 우 또는 대각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The pre-broadcast wind module 3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 configuration capable of moving forward when the front discharge port 22 is opened, so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charge port is directed is up, down, left, right, or diagonally. .

측방송풍모듈은 전방송풍모듈(31)의 하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측방송풍모듈은 복수개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측방송풍모듈 각각은 토출되는 공기를 측면토출구(14a)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The side broadcasting wind module is disposed under the pre-broadcast wind module 31. A plurality of side broadcasting wind mod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rranged vertically. Each of the side broadcasting wind modules may discharge the discharged air through the side discharge port 14a.

열교환 어셈블리(미도시)는 상부캐비닛(11) 내부로 흡입된 실내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킨다. 열교환 어셈블리는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기(미도시)와, 열교환기로 냉매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도록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eat exchange assembly (not shown) heat exchanges the indoor air sucked into the upper cabinet 11 with the refrigerant. The heat exchange assembly may include a heat exchanger (not shown) through which a refrigerant exchanging heat with indoor air flows, and a refrigerant tube (not shown) forming a refrigerant flow path so that refrigerant flows into or out of the heat exchanger.

열교환기는 송풍팬 어셈블리(Ⅲ)의 후방에 배치된다. 열교환기는 흡입구와 토출구(22, 141) 사이에 배치되어, 실내기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는 필터 어셈블리(Ⅵ)와 송풍팬 어셈블리(Ⅲ) 사이에 배치된다. 열교환기는 복수의 측방송풍모듈과, 전방송풍모듈(31)가 상하로 배치되는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The heat exchanger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blower fan assembly (III). The heat exchanger is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22 and 141 to exchange heat for air flowing inside the indoor unit. The heat exchanger is disposed between the filter assembly VI and the blower fan assembly III. The heat exchanger may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a height at which the plurality of side broadcasting wind modules and the pre-broadcast wind modules 31 are arranged vertically.

가습 어셈블리(Ⅴ)는 실내기 외부로 가습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가습 어셈블리(Ⅴ)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51), 수조(51)의 물을 공급받아 가열하는 히팅부(미도시), 히팅된 가습공기를 토출하는 가습토출구가 형성된 가습토출노즐(미도시), 히팅부에서 히팅된 가습공기를 가습토출노즐로 가이드하는 가습유로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습 어셈블리(Ⅴ)는 수조(51)가 배치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틸팅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51)는 틸팅부재에 의해 전방으로 틸팅될 수 있다. The humidification assembly V may discharge humidified air to the outside of the indoor unit. The humidification assembly V includes a water tank 51 for storing water, a heating unit (not shown) that receives and heats water from the water tank 51, and a humidification discharge nozzle (not shown) with a humidification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heated humidified air. ), a humidification passage pipe (not shown) that guides the humidified air heated by the heating unit to the humidification discharge nozzle. The humidification assembly V may include a tilting member (not shown) that adjusts the angle at which the water tank 51 is disposed. The water tank 51 may be tilted forward by a tilting member.

수조(51)와, 히팅부는 베이스부(12)의 내측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가습유로관의 단부에 형성되는 가습토출노즐은, 측면토출구(14a)가 형성되는 부분에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습토출노즐로 토출되는 가습된 공기는 측방송풍모듈에 의해 측면토출구(14a)로 유동하는 공기와 함께 실내기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The water tank 51 and the heating part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ase part 12. The humidification discharge nozzle formed at the end of the humidification passage pipe may be disposed in a portion where the side discharge port 14a is formed. Accordingly, the humidified air discharged by the humidification discharge nozzl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indoor unit together with the air flowing through the side discharge port 14a by the side broadcasting wind module.

수조(51)는, 도어 어셈블리(Ⅱ)가 수조(51)의 전면이 모두 노출되는 수조노출개방시, 전방으로 일정각도 틸팅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할, 위치감지센서(2410a, 2410b)와, 베이스부(12) 내측에 배치된 자석으로 감지된 도어패널(21)의 위치를 바탕으로, 도어패널(21)이 수조(51)의 전면이 모두 노출되도록 이동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water tank 51 may be tilted forward by a certain angle when the door assembly II is exposed to the water tank 51 in which all the front surfaces of the water tank 51 are expos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door panel 21 sensed by the position sensors 2410a and 2410b and the magnet disposed inside the base 12,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e door panel 21 is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entire surface has been moved to be exposed.

필터 어셈블리(Ⅵ)는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필터 어셈블리(Ⅵ)는 상부캐비닛(11)의 후방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필터 어셈블리(Ⅵ)는 상부캐비닛(11)의 후방에 형성되는 흡입구에 배치되어, 흡입구(111)로 유입되는 실내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Ⅵ)는 상부캐비닛(11)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The filter assembly (VI) removes foreign matter from the air flowing into the inlet. The filter assembly VI is movably disposed behind the upper cabinet 11. The filter assembly VI is disposed at a suction port formed at the rear of the upper cabinet 11 to filter indoor air flowing into the suction port 111. The filter assembly VI is movably disposed in the upper cabinet 11.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Ⅵ)는 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모듈(61)를 포함한다. 필터 어셈블리(Ⅵ)는 필터모듈(61)을 흡입구에 배치시키거나, 상부캐비닛(11)의 측방면의 외측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필터모듈(61)은, 흡입구가 형성되는 상부캐비닛(11)의 후방에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The filter assembly VI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lter module 61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The filter assembly VI may arrange the filter module 61 at the suction port or may be disposed outside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cabinet 11. A plurality of filter modules 61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upper cabinet 11 in which the suction port is formed.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Ⅵ)는 유동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모듈(61), 필터모듈(61)이 장착되는 필터장착부재(미도시) 및 필터장착부재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이동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lter assembly (VI)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filter module 61 that removes foreign substances from flowing air, a filter mounting member (not shown) in which the filter module 61 is mounted, and a movement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filter mounting member. It may include a member (not shown).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61)은, 필터장착부재 및 이동부재에 의해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즉, 필터모듈(61)은, 필터장착부재 및 이동부재에 의해 상부캐비닛(11)의 후방에 형성된 흡입구에 배치되거나, 상부캐비닛(11)의 측면의 외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filter module 6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hanged in arrangement by a filter mounting member and a moving member. That is, the filter module 61 may be disposed at the suction port formed at the rear of the upper cabinet 11 by the filter mounting member and the moving member, or may be disposed outside the side of the upper cabinet 11.

필터청소 어셈블리(Ⅶ)는 필터 어셈블리(Ⅵ)의 후방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필터 어셈블리(Ⅵ) 외측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필터청소 어셈블리(Ⅶ)는 상부캐비닛(11)의 후방에 배치되는 가이드레일(미도시)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The filter cleaning assembly VII is movably disposed behind the filter assembly VI, so that foreign matter outside the filter assembly VI can be removed. The filter cleaning assembly VII may move up and down along a guide rail (not shown) disposed at the rear of the upper cabinet 11.

필터청소 어셈블리(Ⅶ)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필터 어셈블리(Ⅵ) 외측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털어내고, 흡입하여, 필터모듈(61)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The filter cleaning assembly VII moves up and down along the guide rail, and removes foreign matter existing outside the filter assembly VI and sucks it, thereby removing the foreign matter present in the filter module 61.

필터청소 어셈블리(Ⅶ)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필터모듈(61)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청소기(71)와, 필터청소기(71)로 전원선(미도시)로 연결되며, 필터청소기(7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cleaning assembly VII is connected to a filter cleaner 71 that moves along a guide rail and removes foreign substances present in the filter module 61, and a power line (not shown) to the filter cleaner 71, A power supply device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lter cleaner 71 may be included.

<도어 어셈블리><Door assembly>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3, 도 16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do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3 and 16.

도어 어셈블리(Ⅱ)는,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전면을 폐쇄하거나,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전면일부를 개방하도록 이동한다. 도어 어셈블리(Ⅱ)는, 캐비닛 어셈블리(Ⅰ) 전방에서 좌우로 이동한다. The door assembly (II) is moved to close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assembly (I) or to open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assembly (I). The door assembly II moves left and right in front of the cabinet assembly I.

도 1을 참조하면, 도어 어셈블리(Ⅱ)는, 제1위치(P1)에서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전면을 폐쇄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어 어셈블리(Ⅱ)는, 제2위치(P2)에서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전면 일부를 개방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어 어셈블리(Ⅱ)가 제2위치(P2)에 위치할 때, 수조(51)가 전방으로 틸팅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door assembly II closes the front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I at the first position P1. 2 to 3, the door assembly II opens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assembly I in the second position P2. Referring to FIG. 3, when the door assembly II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P2, the water tank 51 may be tilted forward.

도어 어셈블리(Ⅱ)는, 전방토출구(211a)가 형성된 도어패널(21), 전방토출구(211a)를 개폐시키는 토출구커버(25), 도어패널(21)을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좌우로 이동시키는 도어무빙모듈(28), 캐비닛 어셈블리(Ⅰ)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도어패널(21)의 이동을 지지하는 고정플레이트(283), 토출구커버(25)의 위치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 및 도어패널(21)에 실내기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모듈(29)을 포함한다. The door assembly (II) includes a door panel 21 having a front discharge port 211a formed thereon, a discharge port cover 2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and moving the door panel 21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cabinet assembly I. Door moving module 28, a fixed plate 283 fixedly mounted to the cabinet assembly (I) and supporting the movement of the door panel 21, a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 that moves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port cover 25 up and down (26) and a display module (29) for visuall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indoor unit to the door panel (21).

도어 어셈블리(Ⅱ)는, 도어패널(21)의 배면에 결합되고, 도어패널(21)의 구조를 지지하도록, 도어패널(21)에 형성되는 삽입공간(213)으로 끼워지는 지지패널(22, 23, 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패널(22, 23, 24)은, 패널토출구(23a)가 형성된 어퍼패널(23), 도어패널(21)의 배면에 결합되고, 도어패널(21)의 구조를 지지하며, 어퍼패널(23) 하측에 배치되는 로어패널(24), 내부에 카메라모듈(221)이 배치되고, 어퍼패널(23)의 상측에 배치되는 탑패널(22)을 포함한다. The door assembly (II)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panel (21), the support panel (22) fitted into the insertion space (213) formed in the door panel (21) to support the structure of the door panel (21), 23, 24) may be further included. The support panels 22, 23, 24 are coupled to the upper panel 23 having the panel discharge port 23a formed there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panel 21, and support the structure of the door panel 21, and the upper panel 23 ) A lower panel 24 disposed on the lower side, a camera module 221 disposed therein, and a top panel 22 disposed above the upper panel 23.

도어 어셈블리(Ⅱ)는, 상단이 상기 토출구커버(25)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하단이 상기 어퍼패널(23)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토출구커버(25)에 연결되는 전선이 수납되는 토출구커버 전선가이드(27)를 더 포함한다. The door assembly (II) is assembled so that the upper end can rotate relative to the discharge port cover 25, the lower end is assembl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relative to the upper panel 23, and the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cover 25 is accommodated. It further includes a discharge port cover wire guide (27).

<도어 어셈블리-도어패널><Door Assembly-Door Panel>

도어패널(21)은 실내기의 전면에 배치된다. 도어패널(21)은, 전면부(211)와, 전면부(211)의 좌측에 배치되고, 어퍼패널(23) 과 로어패널(24)의 좌측면을 커버하는 제1측면부(212a)와, 전면부(211)의 우측에 배치되고, 전면부(211)의 우측에 배치되고, 어퍼패널(23) 과 로어패널(24)의 우측면을 커버하는 제2측면부(212b)를 포함한다.The door panel 21 is disposed in front of the indoor unit. The door panel 21 includes a front portion 211, a first side portion 212a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front portion 211 and covering the left side of the upper panel 23 and the lower panel 24, It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front part 211,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front part 211, and includes a second side surface part 212b covering the right side of the upper panel 23 and the lower panel 24.

전면부(211)에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전방토출구(211a)와, 전면부(211)의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디스플레이홀(211b)이 형성된다. A front discharge port 211a ope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display hole 211b ope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front part 211 are formed in the front part 211.

전방토출구(211a) 및 디스플레이홀(211b)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다. 디스플레이홀(211b)은 전방토출구(211a)의 하측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디스플레이홀(211b)가 전방토출구(211a)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and the display hole 211b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isplay hole 211b is located under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play hole 211b may be located above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전방토출구(211a)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전방토출구(211a)의 형상은 토출그릴(311)의 정면형상에 대응된다. 전방토출구(211a)를 통해 캐비닛 어셈블리(Ⅰ) 내부에 은닉된 토출그릴(311)이 외부로 노출된다.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shape of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corresponds to the front shape of the discharge grill 311. The discharge grill 311 hidden inside the cabinet assembly I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전방토출구(211a)이 개방될 때, 전방송풍모듈(31)이 전방토출구(211a) 방향으로 이동하여, 토출그릴(311)이 전방토출구(211a)를 관통해 도어패널(21) 보다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When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is opened, the pre-broadcast wind module 31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so that the discharge grill 311 passes through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and protrudes forward than the door panel 21 Can be.

제1측면부(212a)는 전면부(211)의 좌측 가장자리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고, 전면부(211)의 배면에 고정된 어퍼패널(23)과 로어패널(24)의 좌측면을 커버한다. The first side portion 212a protrudes from the left edge of the front portion 211 to the rear and covers the upper panel 23 and the left side of the lower panel 24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211.

제2측면부(212b)는 전면부(211)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고, 전면부(211)의 배면에 고정된 어퍼패널(23)과 로어패널(24)의 우측면을 커버한다. 상기 제1측면부(212a) 및 제2측면부(212b)는 어퍼패널(23)과 로어패널(24)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The second side portion 212b protrudes from the right edge of the front portion 211 to the rear side and covers the upper panel 23 and the right side of the lower panel 24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211. The first side portion 212a and the second side portion 212b block side surfaces of the upper panel 23 and the lower panel 24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본 실시예에서 도어패널(21)을 구성하는 전면부(211), 제1측면부(212a) 및 제2측면부(212b)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패널(21) 전체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어패널(21)은 전체가 알루미늄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portion 211, the first side portion 212a, and the second side portion 212b constituting the door panel 21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In this embodiment, the entire door panel 21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In particular, the door panel 21 may be entirely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제1측면부(212a)와 제2측면부(212b) 각각의 단부에는, 도어패널의 중심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제1밴딩부(212a1)와, 제2밴딩부(212b1)가 형성된다. 제1밴딩부(212a1)와 제2밴딩부(212b1) 각각과 전면부(211) 내측에는 어퍼패널(23)과 로어패널(24)이 배치될 수 있다.At ends of each of the first side portion 212a and the second side portion 212b, a first bending portion 212a1 and a second bending portion 212b1 vertically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door panel are formed. The upper panel 23 and the lower panel 24 may be disposed insid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ending parts 212a1 and 212b1 and the front part 211.

따라서, 전면부(211), 제1측면부(212a), 제2측면부(212b), 제1밴딩부(212a1)및 제2밴딩부(212b1)는, 전면부(211) 후방으로 어퍼패널(23)과, 로어패널(24)이 삽이되는 삽입공간(213)을 형성한다. 어퍼패널(23)과, 로어패널(24)과, 탑패널(22)은, 전면부(211) 후방에 형성되는 삽입공간(213)으로 끼워져, 고정배치될 수 있다. Therefore, the front portion 211, the first side portion 212a, the second side portion 212b, the first bending portion 212a1 and the second bending portion 212b1, the front portion 211, the upper panel 23 ), and the lower panel 24 to form an insertion space 213 into which it is inserted. The upper panel 23, the lower panel 24, and the top panel 22 may be inserted into an insertion space 213 formed behind the front part 211 and fixedly disposed.

<도어 어셈블리-카메라모듈><Door Assembly-Camera Module>

탑패널(22)은, 어퍼패널(23)의 상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카메라모듈(221)이 배치된다. 카메라모듈(221)은 도어 어셈블리(Ⅱ)의 상부에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작동된다. 카메라모듈(221)은 작동시에만 도어 어셈블리(Ⅱ) 밖으로 노출되고, 작동되지 않을 때에는 도어 어셈블리(Ⅱ) 내부에 숨겨진다. 카메라모듈(221)은, 작동시 탑패널(22)의 상측으로 노출되게 배치되고, 작동되지 않을 때, 탑패널(22)의 내측으로 배치된다. The top panel 22 is disposed above the upper panel 23 and a camera module 221 is disposed therein. The camera module 221 is disposed above the door assembly II and is selectively operated. The camera module 221 is exposed outside the door assembly (II) only during operation, and is hidden inside the door assembly (II) when it is not operated. The camera module 221 is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top panel 22 during operation, and is disposed inside the top panel 22 when not operated.

카메라모듈(221)은, 탑패널(22)에 배치되고, 탑패널(22)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카메라개구부(22a)를 통해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카메라(222)와, 카메라(2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카메라(222)를 제어하는 카메라제어부(미도시)와, 카메라모듈 하우징(221)에 배치되고, 카메라(222)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카메라이동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amera module 221 is disposed on the top panel 22, is mov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top panel 22, and is selectively exposed through the camera opening 22a, a camera 222, and a camera 222 And a camera control unit (not shown)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controls the camera 222, and a camera movement module (not shown) disposed in the camera module housing 221 and moving the camera 222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include.

탑패널(22)은, 어퍼패널(23)과 별도로 제작되고, 어퍼패널(2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탑패널(22)은 도어패널(21)의 후방향으로 형성된 삽입공간(213) 상측을 커버한다.The top panel 22 is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upper panel 23 and may be disposed above the upper panel 23. The top panel 22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insertion space 213 formed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door panel 21.

탑패널(22)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탑레일(2811)과, 탑레일(2811)의 제2레일(2811b)을 상부캐비닛(11)에 고정하는 탑서포터(284)가 배치될 수 있다. On the top panel 22, a top rail 2811 to be described below and a top supporter 284 fixing the second rail 2811b of the top rail 2811 to the upper cabinet 11 may be disposed.

<도어 어셈블리-어퍼패널, 디스플레이모듈><Door assembly-upper panel, display module>

어퍼패널(23)과 로어패널(24)은, 각각 별개로 제작하고, 어퍼패널(23)은 도어패널(21)의 상측으로 도어패널(21) 내부로 삽입하고, 로어패널(24)은 도어패널(21)의 하측으로 도어패널(2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The upper panel 23 and the lower panel 24 ar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the upper panel 23 is inserted into the door panel 21 above the door panel 21, and the lower panel 24 is a door It may be inserted into the door panel 21 under the panel 21.

어퍼패널(23) 및 로어패널(24)은 도어패널(21)의 삽입공간(213)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도어패널(21)을 지지하며, 도어패널(21)의 변형 및 휨을 방지할 수 있다. The upper panel 23 and the lower panel 24 are inserted and fixed in the insertion space 213 of the door panel 21, support the door panel 21, and prevent deformation and bending of the door panel 21. have.

본 실시예에서 어퍼패널(23) 및 로어패널(24)은, 외부 충격이 빈번하게 가해지는 전면부(211), 제1측면부(212a) 및 제2측면부(212b)를 지지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panel 23 and the lower panel 24 may support the front part 211, the first side part 212a, and the second side part 212b to which external impacts are frequently applied.

어퍼패널(23)은 판형상을 가지고, 도어패널(21)의 배면에 배치된다. 어퍼패널(23)에는, 어퍼패널(23)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전방토출구(211a)와 연통되도록 전방토출구(211a)의 후방에 위치하는 패널토출구(23a)가 형성된다. The upper panel 23 has a plate shape and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panel 21. The upper panel 23 is formed with a panel discharge port 23a located behind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so as to penetr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upper panel 23 and communicate with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패널토출구(23a)는 전방토출구(211a)에 대응된다. 전방토출구(211a)가 패널토출구(23a)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패널토출구(23a) 및 전방토출구(211a)는 모두 원형으로 형성된다. 토출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패널토출구(23a) 및 전방토출구(211a) 사이에 개스킷(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The panel discharge port 23a corresponds to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is located in front of the panel discharge port 23a. In this embodiment, both the panel discharge port 23a and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ar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 gasket (not shown)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anel discharge port 23a and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to prevent discharge air from leaking.

패널토출구(23a)은 전방토출구(211a)의 면적과 같거나 상기 전방토출구(211a)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스킷의 설치를 감안하여 상기 전방토출구(211a)의 직경보다 좀 더 크게 상기 패널토출구(23a)가 형성될 수 있다. The panel discharge port 23a may be formed equal to or larger than the area of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In this embodiment, in consideration of the installation of the gasket, the panel discharge port 23a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전방송풍모듈(31)의 토출그릴(311)은 패널토출구(23a) 및 전방토출구(211a)를 순서대로 관통하고, 상기 도어패널(21)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된다. The discharge grill 311 of the pre-broadcast wind module 31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panel discharge port 23a and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and protrudes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door panel 21.

본 실시예에서 어퍼패널(23)에 토출구커버(25) 및 디스플레이모듈(29)이 설치된다. In this embodiment, a discharge port cover 25 and a display module 29 are installed on the upper panel 23.

토출구커버(25) 및 디스플레이모듈(29) 모두 어퍼패널(23)에 조립된 상태에서 도어패널(21)에 장착될 수 있다. Both the discharge port cover 25 and the display module 29 may be mounted on the door panel 21 while being assembled to the upper panel 23.

어퍼패널(23)에는, 디스플레이모듈(29)이 장착되는 디스플레이모듈 장착부(232)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모듈 장착부(232)는 디스플레이모듈(29)의 디스플레이 케이스(291)이 장착된다. 어퍼패널(23)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모듈 장착부(232)는, 디스플레이모듈 케이스(291)에 대응되는 형상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 장착부(232)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91)와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로 체결되는 체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panel 23 includes a display module mounting portion 232 on which the display module 29 is mounted. In the display module mounting unit 232, the display case 291 of the display module 29 is mounted. The display module mounting portion 232 formed in the upper panel 23 may have a hol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module case 291. The display module mounting part 232 may include a fastening part (not shown) that is fastened to the display case 291 with a separate fastening member (not shown).

디스플레이모듈(29)은 상기 도어패널(21)에 배치되고, 도어패널(21)을 투과하여 시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29 is disposed on the door panel 21 and penetrates the door panel 21 to provide visual information to the user.

디스플레이모듈(29)은 도어패널(21)을 관통하여 일부가 노출되고, 노출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패널(21)에 형성된 디스플레이홀(211b)을 통해 디스플레이모듈(29)의 정보가 사용자에게 전달된다.The display module 29 is partially exposed through the door panel 21, and visual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exposed display. In this embodiment, information on the display module 29 is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hole 211b formed in the door panel 21.

디스플레이모듈(29)는, 터치패널(294)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실내기의 작동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29 may include a touch panel 294 to receive a user's command and provid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indoor unit to the user.

디스플레이모듈(29)은, 디스플레이모듈 케이스(291)에 의해 어퍼패널(23)의 디스플레이모듈 장착부(232)에 고정된다. 디스플레이 케이스(291)를 통해 디스플레이모듈(29)이 어퍼패널(23)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The display module 29 is fixed to the display module mounting portion 232 of the upper panel 23 by the display module case 291. It is minimized that the display module 29 protrudes forward from the upper panel 23 through the display case 291.

디스플레이 케이스(291)는 상기 어퍼패널(23)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display case 291 may be disposed to penetrate the upper panel 23 in the front-rear direction.

디스플레이모듈(29)은 어퍼패널(23)에 조립된 상태에서 도어패널(21)의 디스플레이홀(211b)를 통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디스플레이홀(211b)를 통해 디스플레이모듈(29)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모듈(29)는 도어패널(21)의 전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When the display module 29 is assembled to the upper panel 23, a part of the display module 29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play hole 211b of the door panel 21. When the display module 29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play hole 211b, the display module 29 may form a surface continuous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panel 21.

즉, 디스플레이모듈(29)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글라스(292) 전면은 도어패널(21)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도어패널(21)의 전면과 연속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That is,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glass 292 disposed in front of the display module 29 may not protrude forward than the door panel 21 and may form a plane continuous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panel 21.

디스플레이모듈(29)은 어퍼패널(23)을 관통하는 케이블을 통해 전원 및 전기적인 신호를 송수신한다. The display module 29 transmits and receives power and electrical signals through a cable passing through the upper panel 23.

토출구커버(25)는 어퍼패널(23)의 배면에 배치되고, 어퍼패널(23)의 배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discharge port cover 25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panel 23 and may be moved vertically along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panel 23.

토출구커버(25)가 전방토출구(211a)를 개방시킨 후, 하측으로 이동되면, 토출구커버(25)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9)과 같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When the discharge port cover 25 is moved downward after opening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the discharge port cover 25 may be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display module 29.

토출구커버(25)는 어퍼패널(23)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The discharge port cover 25 is dispos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panel 23.

어퍼패널(23) 및 로어패널(24)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다. 특히, 어퍼패널(23) 및 로어패널(24)은 상기 도어패널(21) 내부에서 상호 조립되기 때문에, 도어 어셈블리(Ⅱ)의 슬라이드 이동 시, 흔들림 또는 작동소음을 최소화시킨다. The upper panel 23 and the lower panel 24 ar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particular, since the upper panel 23 and the lower panel 24 are mutually assembled inside the door panel 21, shaking or operating noise is minimized when the door assembly II slides.

이를 위해 어퍼패널(23) 및 로어패널(24)은 억지끼움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어퍼패널(23) 및 로어패널(24) 중 어느 하나는 상대측으로 돌출된 패널돌출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돌출끼움부가 수용되는 패널끼움부(241)가 형성된다. To this end, the upper panel 23 and the lower panel 24 may be assembled in a force-fitting form. One of the upper panel 23 and the lower panel 24 has a panel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opposite side, and the other is formed with a panel fitting portion 241 receiving the protruding fitting portion.

어퍼패널(23)에 패널돌출부(233)가 형성된다. 상기 패널돌출부(233)는 어퍼패널(23)의 하단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된다. A panel protrusion 233 is formed on the upper panel 23. The panel protrusion 233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upper panel 23.

<도어 어셈블리-토출구커버, 토출구커버무빙모듈><Door assembly-discharge port cover,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

토출구커버(25)는 도어 어셈블리(Ⅱ)에 배치된 전방토출구(211a)를 개폐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The discharge port cover 25 is a configura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disposed in the door assembly II.

토출구커버(25)는 전방토출구(211a)를 개방시켜 전방송풍모듈(31)의 이동경로를 확장시킨다. 전방송풍모듈(31)는 개방된 전방토출구(211a)를 통해 도어 어셈블리(Ⅱ)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The discharge port cover 25 opens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to expand the moving path of the pre-broadcast wind module 31. The pre-broadcast wind module 31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door assembly II through the open front discharge port 211a.

토출구커버(25)는, 전방토출구(211a)에 배치되고, 전방토출구(211a)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전방토출구(211a)를 개폐시키는 도어커버(251), 도어커버(251)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도어커버(251)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도어커버하우징(253), 및 도어커버하우징(253)와 도어커버(251) 사이에서 배치되고, 도어커버(251)를 도어커버하우징(253)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커버무빙모듈(미도시)을 포함한다. The discharge port cover 25 is disposed in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is mov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to open and close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at least a part of the door cover 251 and the door cover 251 A door cover housing 253 that forms a space to be accommodated and controls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door cover 251, and is disposed between the door cover housing 253 and the door cover 251, and the door cover 251 is a door It includes a door cover moving module (not shown) that mov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from the cover housing 253.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은 토출구커버(25)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도어패널(21)에 배치된 전방토출구(211a)를 개방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The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s 26a and 26b are configured to move the discharge port cover 25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et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disposed on the door panel 21 to an open state.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은 도어커버하우징(253)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은 1개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The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s 26a and 26b ar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oor cover housing 253, respectively.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only one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 26a, 26b may be disposed.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은 도어커버하우징(253)의 좌측에 배치된 제1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과, 도어커버하우징(253)의 우측에 배치된 제2토출구커버무빙모듈(26b)을 포함한다. The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s 26a and 26b include a first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 26a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door cover housing 253, and a second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 disposed at the right side of the door cover housing 253. 26b).

제1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및 제2토출구커버무빙모듈(26b)은 동일한 구성이고 좌우 대칭이다. The first outlet cover moving module 26a and the second outlet cover moving module 26b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are symmetrical left and right.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은, 도어패널(21) 또는 어퍼패널(23)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랙(234a, 234b)과, 토출구커버(25)에 배치되고, 랙(234a, 234b)과 치합되고, 회전 시 랙(234a, 234b)을 따라 이동되는 기어어셈블리(261a, 261b)와, 토출구커버(25)에 배치되고, 기어어셈블리(261a, 261b)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기어구동모터(262a, 262b)을 포함한다. The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s 26a, 26b are disposed on the door panel 21 or the upper panel 23, and are disposed on the racks 234a and 234b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discharge port cover 25, and the rack Gear assemblies 261a, 261b, which mesh with (234a, 234b) and move along the racks (234a, 234b) when rotated, and are disposed on the discharge port cover 25, and provide driving force to the gear assemblies (261a, 261b) It includes a gear drive motor (262a, 262b).

상하로 이동되는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 및 어퍼패널(23) 사이에 케이블이 끼워져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의 작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토출커버 전선가이드(27)가 배치될 수 있다. A cable is interposed between the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s 26a and 26b moving up and down and the upper panel 23 to limit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s 26a and 26b. A discharge cover wire guide 27 may be disposed to minimize such a problem.

토출구커버 전선가이드(27)는 상측단이 토출구커버(25)에 조립되고, 하측단이 어퍼패널(23)에 조립된다. The discharge port cover wire guide 27 has an upper end assembled to the discharge port cover 25, and a lower end assembled to the upper panel 23.

토출구커버 전선가이드(27)는, 토출구커버(25)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토출구커버 전선가이드(271)와, 어퍼패널(23)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토출구커버 전선가이드(272)와, 제1토출구커버 전선가이드(271) 및 제2토출구커버 전선가이드(272) 각각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3토출구커버 전선가이드(273)를 포함한다. The discharge port cover wire guide 27 includes a first discharge port cover wire guide 271 assembled to the discharge port cover 25 to enable relative rotation, and a second discharge port cover wire guide assembled to the upper panel 23 to enable relative rotation. 272 and a third discharge port cover wire guide 273 assembled to be relatively rotatable with each of the first discharge port cover wire guide 271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cover wire guide 272.

제1토출구커버 전선가이드(271) 및 제3토출구커버 전선가이드(273)는 180도 이내의 사이각을 형성하고, 토출구커버(25)가 하강될 때, 제1토출구커버 전선가이드(271) 및 제3토출구커버 전선가이드(273)의 사이각은 작아진다. The first discharge port cover wire guide 271 and the third discharge port cover wire guide 273 form an angle within 180 degrees, and when the discharge port cover 25 is lowered, the first discharge port cover wire guide 271 and The angle between the third discharge port cover electric wire guide 273 is reduced.

제2토출구커버 전선가이드(272) 및 제3토출구커버 전선가이드(273)는 180도 이내의 사이각을 형성하고, 토출구커버(25)가 하강될 때, 제2토출구커버 전선가이드(272) 및 제3토출구커버 전선가이드(273)의 사이각은 작아진다.The second discharge port cover wire guide 272 and the third discharge port cover wire guide 273 form an angle within 180 degrees, and when the discharge port cover 25 is lowered, the second discharge port cover wire guide 272 and The angle between the third discharge port cover electric wire guide 273 is reduced.

<도어 어셈블리-도어무빙모듈><Door Assembly-Door Moving Module>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는, 도어패널(21)을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무빙모듈(28)을 포함한다. The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oor moving module 28 for moving the door panel 2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cabinet assembly I.

도어무빙모듈(28)은, 도어 어셈블리(Ⅱ)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구동부(282), 도어구동부(282)가 작동할 때,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전방에 배치된 도어패널(21)의 좌우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2811, 2812, 2813), 캐비닛 어셈블리(Ⅰ)에 고정배치되고, 가이드레일(2812, 2813)의 일측을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283)를 포함한다. The door moving module 28 includes a door driving unit 282 for moving the door assembly II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door panel 21 disposed in front of the cabinet assembly I when the door driving unit 282 is operated. Guide rails (2811, 2812, 2813) for guiding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is fixedly disposed on the cabinet assembly (I), and includes a fixing plate (283) for fixing one side of the guide rails (2812, 2813).

도어무빙모듈(28)은, 상부캐비닛(11)에 고정배치되고, 가이드레일(2811)의 일측을 고정하는 탑서포터(2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moving module 28 may further include a top supporter 284 fixedly disposed in the upper cabinet 11 and fixing one side of the guide rail 2811.

탑서포터(284)는, 도어 어셈블리(Ⅱ)에 조립되고, 도어 어셈블리(Ⅱ)의 상측에 배치되며,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상측에 체결된다. 탑서포터(284)는, 이하에서 설명할 탑레일(2811)일 일부구성을 상부캐비닛(11)의 일측에 고정시킨다. 탑서포터(284)는, 일측이 탑레일(2811)의 제2레일(2811a)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부캐비닛(11)의 상측에 체결된다. The top supporter 284 is assembled to the door assembly II,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door assembly II, and fastened to the upper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I. The top supporter 284 fixes a part of the top rail 2811,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o one side of the upper cabinet 11. The top supporter 284 has one side coupled to the second rail 2811a of the top rail 2811 and the other side fastened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cabinet 11.

탑서포터(284)는, 상부캐비닛(11)의 일측에 체결되는 상부캐비닛 체결부(2841)와, 탑레일(2811)의 일측에 체결되는 탑레일체결부(2842)를 포함한다. 상부캐비닛 체결부(2841)와, 탑레일체결부(2842)는, 서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The top supporter 284 includes an upper cabinet fastening portion 2841 fastened to one side of the upper cabinet 11 and a top rail fastening portion 2842 fastened to one side of the top rail 2811. The upper cabinet fastening portion 2841 and the top rail fastening portion 2842 are form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가이드레일(2811, 2812, 2813)은, 도어 어셈블리(Ⅱ)의 상측에 배치된 탑레일(2811)과, 도어 어셈블리(Ⅱ)의 중간에 배치된 미들레일(2812)과, 도어 어셈블리(Ⅱ)의 하측에 배치된 바텀레일(2813)을 포함한다. Guide rails 2811, 2812, 2813 include a top rail 2811 disposed above the door assembly II, a middle rail 2812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door assembly II, and a door assembly II. It includes a bottom rail (2813)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탑레일(2811), 미들레일(2812), 바텀레일(2813) 각각은, 도어패널(21)과 캐비닛 어셈블리(Ⅰ) 사이에 상하로 배치된다. 탑레일(2811), 미들레일(2812), 바텀레일(2813) 각각은, 도어패널(21)과 캐비닛 어셈블리(Ⅰ) 사이에서 배치되는 영역이 상이하나, 동일한 기능을 가진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top rail 2811, the middle rail 2812, and the bottom rail 2813 is disposed vertically between the door panel 21 and the cabinet assembly (I). Each of the top rail 2811, the middle rail 2812, and the bottom rail 2813 has a different area disposed between the door panel 21 and the cabinet assembly (I), but may include a configuration having the same function. .

즉, 도 6과 도 9를 참조하면, 탑레일(2811), 미들레일(2812), 바텀레일(2813) 각각은, 도어 어셈블리(Ⅱ)에 상대적으로 고정되는 제1레일(2811a, 2812a, 2813a), 캐비닛 어셈블리(Ⅰ)에 상대적으로 고정되는 제2레일(2811b, 2812b, 2813b), 제1레일(2811a, 2812a, 2813a)과 제2레일(2811b, 2812b, 2813b) 사이에 배치되고, 제1레일(2811a, 2812a, 2813a)과 제2레일(2811b, 2812b, 2813b) 각각과 상대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베어링하우징(2811c, 2812c, 2813c)을 포함한다. That is, referring to FIGS. 6 and 9, each of the top rail 2811, the middle rail 2812, and the bottom rail 2813 is the first rails 2811a, 2812a, and 2813a which are relatively fixed to the door assembly II. ), the second rail (2811b, 2812b, 2813b) relatively fixed to the cabinet assembly (I), the first rail (2811a, 2812a, 2813a) and the second rail (2811b, 2812b, 2813b) is disposed between, It includes bearing housings 2811c, 2812c, and 2813c that are assembled to be relatively movable with one rail (2811a, 2812a, 2813a) and second rails (2811b, 2812b, 2813b) respectively.

탑레일(2811)은, 일측이 탑서포터(284)에 고정배치되고, 타측이 탑패널(22)에 고정배치된다. 미들레일(2812)과 바텀레일(2813) 각각은, 일측이 로어패널(24)에 고정배치되고, 타측이 고정플레이트(283)에 고정배치된다. One side of the top rail 2811 is fixedly disposed on the top supporter 284 and the other side is fixedly disposed on the top panel 22. Each of the middle rail 2812 and the bottom rail 2813 is fixedl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ower panel 24 and fixedly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xed plate 283.

베어링하우징(2811c, 2812c, 2813c)은 제1레일(2811a, 2812a, 2813a)에 조립되고, 제1레일(2811a, 2812a, 2813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2레일(2811b, 2812b, 2813b)는 베어링하우징(2811c, 2812c, 2813c)에 조립되고, 베어링하우징(2811c, 2812c, 2813c)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즉, 제2레일(2811b, 2812b, 2813b)이 베어링하우징(2811c, 2812c, 2813c)과 상대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베어링하우징(2811c, 2812c, 2813c)은 제1레일(2811a, 2812a, 2813a)와 상대 이동가능하게 조립된다. 베어링하우징(2811c, 2812c, 2813c)은 제1레일(2811a, 2812a, 2813a) 보다 짧고, 제2레일(2811b, 2812b, 2813b) 보다 길게 형성된다. 베어링하우징(2811c, 2812c, 2813c)과, 제2레일(2811b, 2812b, 2813b)은 제1레일(2811a, 2812a, 2813a)의 길이 내에서만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The bearing housings 2811c, 2812c, and 2813c are assembled to the first rails 2811a, 2812a, and 2813a, and may be mov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rails 2811a, 2812a, and 2813a. The second rails 2811b, 2812b, 2813b are assembled to the bearing housings 2811c, 2812c, and 2813c, and can be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ring housings 2811c, 2812c, and 2813c. That is, the second rail (2811b, 2812b, 2813b) is assembled to be relatively movable with the bearing housings (2811c, 2812c, 2813c), and the bearing housings (2811c, 2812c, 2813c) are the first rails (2811a, 2812a, 2813a) It is assembled to be able to move relative to The bearing housings 2811c, 2812c, and 2813c are shorter than the first rails 2811a, 2812a, and 2813a, and are formed longer than the second rails 2811b, 2812b, and 2813b. The bearing housings 2811c, 2812c, and 2813c and the second rails 2811b, 2812b, and 2813b may slide only within the length of the first rails 2811a, 2812a, and 2813a.

탑레일(2811)은, 도어패널(21)의 상단부와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상단부 사이에 배치된다. 즉, 탑레일(2811)은, 탑패널(22)에 탑레일(2811)의 제1레일(2811a)이 고정되고, 상부캐비닛(11)의 상측에 배치되는 탑서포터(284)에 탑레일(2811)의 제2레일(2811b)이 고정된다. The top rail 2811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door panel 21 and the upper end of the cabinet assembly I. That is, in the top rail 2811, the first rail 2811a of the top rail 2811 is fixed to the top panel 22, and the top rail 2811 is mounted on the top supporter 284 disposed above the upper cabinet 11. The second rail 2811b of 2811) is fixed.

바텀레일(2813)은, 도어패널(21)의 하단부와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된다. 즉, 바텀레일(2813)은, 로어패널(24)의 하단부에 바텀레일(2813)의 제1레일(2813a)이 고정되고, 베이스부(12)에 고정배치되는 고정플레이트(283)의 하단부에 바텀레일(2813)의 제2레일(2813b)이 고정된다. The bottom rail 2813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door panel 21 and the lower end of the cabinet assembly I. That is, the bottom rail 2813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panel 24 and the first rail 2813a of the bottom rail 2813 is fixed, and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late 283 fixedly disposed on the base 12 The second rail 2813b of the bottom rail 2813 is fixed.

미들레일(2812)은, 탑레일(2811)과 바텀레일(2813) 사이에서, 도어패널(21)과 캐비닛 어셈블리(Ⅰ) 사이에 배치된다. 즉, 미들레일(2812)은, 로어패널(24)의 상단부에 미들레일(2812)의 제1레일(2812a)이 고정되고, 베이스부(12)에 고정배치되는 고정플레이트(283)의 상단부에 미들레일(2812)의 제2레일(2812b)이 고정된다. The middle rail 2812 is disposed between the top rail 2811 and the bottom rail 2813, and between the door panel 21 and the cabinet assembly (I). That is, the middle rail 2812 is the first rail 2812a of the middle rail 2812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panel 24, and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late 283 fixedly disposed on the base part 12 The second rail 2812b of the middle rail 2812 is fixed.

도어구동부(282)은 도어 어셈블리(Ⅱ) 또는 캐비닛 어셈블리(Ⅰ)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와 상호 간섭을 통해 슬라이드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The door driving unit 282 may be installed in either the door assembly II or the cabinet assembly I, and may implement slide movement through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other.

도어구동부(282)은, 로어패널(24)에 배치되는 랙(247)과 치합되고, 회전 시 랙(247)을 따라 이동되는 기어어셈블리(2822)와, 기어어셈블리(2822)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기어구동모터(2823)와, 고정플레이트(283)에 고정되게 배치되고, 기어어셈블리(2822)와 기어구동모터(2823)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도어구동부 하우징(2821)를 포함한다. The door drive unit 282 is engaged with the rack 247 disposed on the lower panel 24, and provides a driving force to the gear assembly 2822 and the gear assembly 2822, which are moved along the rack 247 when rotated. It includes a gear drive motor (2823), a door drive housing (2821) that is fixedly disposed on the fixing plate (283), and forms a space in which the gear assembly (2822) and the gear drive motor (2823) are disposed.

기어어셈블리(2822)는, 랙(247)의 하측에서, 랙(247)과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기어어셈블리(2822)는, 기어구동모터(2823)와 연결된다. 기어어셈블리(2822)는, 복수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ear assembly 2822 is disposed below the rack 247 so as to mesh with the rack 247. The gear assembly 2822 is connected to the gear drive motor 2822. The gear assembly 2822 may include a plurality of gears.

도어구동부(282)이 작동될 때, 가이드레일(2811, 2812, 2813)이 도어 어셈블리(Ⅱ)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한다. 도어구동부(282)의 랙(247) 및 기어어셈블리(2822)의 작동만으로도 도어 어셈블리(Ⅱ)의 슬라이드 이동이 구현될 수 있지만, 자연스러운 슬라이드 이동을 구현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가이드레일(2811, 2812, 2813)이 도어 어셈블리(Ⅱ)의 자연스러운 이동을 구현한다.When the door drive unit 282 is operated, the guide rails 2811, 2812, 2813 guid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door assembly II. Although the sliding movement of the door assembly II can be implemented only by the operation of the rack 247 and the gear assembly 2822 of the door driving part 282, there is a limit to implementing the natural slide movement, so the guide rails 2811, 2812, 2813) realizes the natural movement of the door assembly (II).

도어구동부 하우징(2821)은, 고정플레이트(283)에 장착된다. 도어구동부 하우징(2821)은, 직육면체의 사각박스형태를 가지고, 고정플레이트(283)의 플레이트홈(28312a)에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도어구동부 하우징(2821)은, 상측으로 기어홈(2821a)이 형성된다. 기어홈(2821a)으로, 랙(247)과 치합되는 기어어셈블리(2822)의 일부구성의 외부로 노출된다. The door drive housing 2821 is mounted on the fixed plate 283. The door drive housing 2831 has a rectangular box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is disposed to be inserted into the plate groove 28312a of the fixing plate 283. The door drive housing 2821 has a gear groove 2821a formed upward. With the gear groove (2821a),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gear assembly (2822) engaged with the rack (247).

고정플레이트(283)는, 베이스부(12)에 고정배치되고, 가이드레일(2811, 2812)의 일부구성의 배치를 지지한다. The fixing plate 283 is fixedly disposed on the base portion 12 and supports the arrangement of some configurations of the guide rails 2811 and 2812.

고정플레이트(283)는, 도어구동부(282)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플레이트바디(2831)와, 플레이트바디(2831)의 하측에 배치되고, 플레이트바디(2831)를 캐비닛 어셈블리(Ⅰ)에 고정시키는 플레이트서포터(2832), 베이스부(12)로부터 도어 어셈블리(Ⅱ)로 연장되는 전선(W)의 배치를 고정하는 전선고정가이더(2833)를 포함한다. 전선고정가이더(2833)는, 베이스부(12)로부터 도어 어셈블리(Ⅱ)로 연장되는 전선(W)이 연장되는 방향이 상측을 향하도록 고정한다. The fixing plate 283 includes a plate body 2831 that fixes the position of the door driving part 282, and a plate that is disposed under the plate body 2831 and fixes the plate body 2831 to the cabinet assembly (I). It includes a supporter (2832) and a wire fixing guide (2833) for fixing the arrangement of the wire (W) extending from the base portion (12) to the door assembly (II). The wire fixing guide 283 is fixed so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ic wire W extending from the base portion 12 to the door assembly II is extended is facing upward.

플레이트바디(2831)는, 미들레일(2812) 및 바텀레일(2813)과 체결되어, 미들레일(2812)과 바텀레일(2813)의 제2레일(2813b)의 배치를 고정시킨다. 플레이트바디(2831)에는, 도어구동부(282)가 장착된다. The plate body 2831 is fastened to the middle rail 2812 and the bottom rail 2813 to fix the arrangement of the middle rail 2812 and the second rail 2813b of the bottom rail 2813. A door driving part 282 is attached to the plate body 2831.

플레이트바디(2831)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바디(2831)는, 미들레일(2812) 및 바텀레일(2813)과 체결되도록 좌우 양단에서 전방으로 돌출 배치되는 한 쌍의 전방면부(28311a, 28311b), 한 쌍의 전방면부(28311a, 28311b) 사이에 배치되고, 한 쌍의 전방면부(28311a, 28311b)보다 후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전방으로 플레이트홈(28312a)을 형성하는 후방면부(28312)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전방면부(28311a, 28311b)와 후방면부(28312)를 연결하고, 후방면부(28312)를 한 쌍의 전방면부(28311a, 28311b)보다 후방으로 이격배치시키는 한 쌍의 이격부(28313a, 28313b)를 포함한다. The plate body 2831 may have a plate shape that is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late body 2831 includes a pair of front face portions 28311a and 28311b, a pair of front face portions 28311a and 28311b that are protruding forward from both left and right ends so as to be fastened to the middle rail 2812 and the bottom rail 2813. It is disposed between,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than the pair of front (28311a, 28311b), and includes a rear surface portion (28312) forming a plate groove (28312a) in the front. A pair of spaced portions 28313a, which connect the pair of front face portions 28311a, 28311b and the rear face portion 28312, and place the rear face portion 28312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air of front face portions 28311a and 28311b. 28313b).

한 쌍의 이격부(28313a, 28313b)는, 도어패널(21)이 이동함에 따라 배치가 변경되는 전선(W)이, 플레이트홈(28312a) 내측에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The pair of spaced parts 28313a and 28313b may guide the electric wire W whose arrangement is changed as the door panel 21 moves from the inside of the plate groove 28312a.

플레이트바디(2831)의 상단부에 미들레일(2812)이 체결되고, 하단부에 바텀레일(2813)이 체결된다. 전방면부(28311a, 28311b)의 상단부에 미들레일(2812)의 제2레일(2812b)이 체결된다. 전방면부(28311a, 28311b)의 하단부에 바텀레일(2813)의 제2레일(2813b)이 체결된다. The middle rail 2812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plate body 2831, and the bottom rail 2813 is fastened to the lower end. The second rail 2812b of the middle rail 2812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front surfaces 28311a and 28311b. The second rail 2813b of the bottom rail 2813 is fastened to the lower ends of the front surfaces 28311a and 28311b.

미들레일(2812)의 하측에 도어구동부(282)가 장착된다. 도어구동부(282)는, 플레이트홈(28312a)으로 삽입되어, 플레이트바디(2831)의 후방면부(28312)에 체결된다. The door driving part 282 is mounted under the middle rail 2812. The door drive unit 282 is inserted into the plate groove 28312a and is fastened to the rear surface portion 28312 of the plate body 2831.

바텀레일(2813)의 상측에 제어박스홈(28314)이 형성된다. 제어박스홈(28314)은, 베이스커버(16)의 제어박스홀(162)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어박스(122)와 고정플레이트(283)의 배치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어박스홈(28314)은, 후방면부(28312)의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플레이트바디(2831)의 후방에 베이스커버(16) 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어박스(122)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A control box groove 28314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rail 2813. The control box groove 28314 prevents interference with the arrangement of the control box 122 and the fixing plate 283 disposed to protrude forward through the control box hole 162 of the base cover 16. The control box groove 28314 is disposed so that a part of the rear surface portion 28312 protrudes forward, so that the space of the control box 122 is disposed to protrude forward of the base cover 16 at the rear of the plate body 2831. Can be secured.

플레이트서포터(2832)는, 플레이트바디(2831)에 체결되는 플레이트바디체결부(28321)와, 베이스부(12)의 플레이트 고정홈(1212)에 삽입되는 고정홈 삽입부(28322)와, 도어패널(21)의 하측에 배치되어, 도어패널(21)의 좌우 이동을 보조하는 서포터휠(28323)을 포함한다. The plate supporter 2832 includes a plate body fastening part 28321 fastened to the plate body 2831, a fixing groove inserting part 28322 inserted into the plate fixing groove 1212 of the base part 12, and a door panel. It is disposed under the (21), and includes a supporter wheel (28323) for assisting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door panel (21).

전선고정가이더(2833)는, 미들레일(2812)과 바텀레일(2813) 사이에서 플레이트바디(2831)의 후방면부(28312)에 배치된다. 플레이트바디(2831)에는, 전선고정가이더(2833)가 장착되는 전선홀(28315)이 형성된다. The wire fixing guide 283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portion 28312 of the plate body 2831 between the middle rail 2812 and the bottom rail 2813. In the plate body 2831, a wire hole 28315 to which the wire fixing guide 283 is mounted is formed.

전선고정가이더(2833)는, 로어패널(24)의 패시지홀(2431a) 하측에 배치된다. 전선고정가이더(2833)는, 로어패널(24)의 패시지홀(2431a) 하측에 배치되어, 로어패널(24)의 제1전선고정패시지(2431)로 연장되는 전선(W)을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전선(W)의 배치를 고정한다. 전선고정가이더(2833)는, 베이스부(12)에서 로어패널(24)의 패시지홀(2431a)로 연장되는 전선(W)이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전선을 고정한다. The wire fixing guide 283 is disposed below the passage hole 2431a of the lower panel 24. The wire fixing guider 2831 is disposed under the passage hole 2431a of the lower panel 24 and extends the wire W extending to the first wire fixing passage 2431 of the lower panel 24 in the upward direction. Fix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ic wire (W) as possible. The wire fixing guide 2833 fixes the wire so that the wire W extending from the base portion 12 to the passage hole 2431a of the lower panel 24 extends upward.

전선고정가이더(2833)는, 내부에 가이드홀(2833a)이 형성되고, 플레이트바디(2831)에 장착되는 플레이트장착부(28331)와, 가이드홀(2833a)을 관통하여 패시지홀(2431a)으로 연장되는 전선(W)이 상측을 향하도록 고정하는 전선가이드부(28332)를 포함한다. The wire fixing guide 283 is formed with a guide hole 2833a therein, a plate mounting portion 28331 mounted on the plate body 2831, and extending through the guide hole 2833a to the passage hole 2431a. It includes an electric wire guide part 28332 for fixing the electric wire W to face upward.

플레이트장착부(28331)는, 플레이트바디(2831)의 후방면부(28312)에 면접하게 배치되는 플레이트 고정면(28331a), 플레이트 고정면(28331a)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플레이트바디(2831)의 전선홀(28315)을 관통하여, 전선고정가이더(2833)를 고정플레이트(283)에 장착하는 후크부(28331b)를 포함한다. The plate mounting portion 28331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plate fixing surface 28331a and the plate fixing surface 28331a disposed in an interview with the rear surface portion 28312 of the plate body 2831, and the wire hole of the plate body 2831 It penetrates through (28315), and includes a hook portion (28331b) for mounting the wire fixing guide (2833) to the fixing plate (283).

플레이트 고정면(28331a)은 중심으로 전선(W)이 관통하는 가이드홀(2833a)이 형성된다. 후크부(28331b)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고정가이더바디(28332a)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후크부(28331b)의 양단에는, 후크부(28331b)가 고정가이더바디(28332a)로부터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이격홀(28331c)이 형성된다. The plate fixing surface 28331a is formed with a guide hole 2833a through which the electric wire W passes. The hook portion 28331b may have a structure extending rearward from the fixed guider body 28332a described below, and at both ends of the hook portion 28331b, hook portions 28331b are provided from the fixed guider body 28332a. Separation holes 28331c are formed to facilitate movement.

전선가이드부(28332)는, 플레이트 고정면(28331a)에서 후크부(28331b)가 돌출되는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플레이트바디(2831)의 전선홀(28315)을 관통하여, 도어 어셈블리(Ⅱ)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선의 좌우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가이더바디(28332a), 고정가이더바디(28332a)의 전방단부에 형성되고, 고정가이더바디(28332a)에 배치되는 전선의 전방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전선고정리브(28332b)를 포함한다. The wire guide part 28332 extends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which the hook part 28331b protrudes from the plate fixing surface 28331a, penetrates the wire hole 28315 of the plate body 2831, and passes through the door assembly (II) direction. Fixed guide body (28332a) that restricts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wire that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fixed guide body (28332a), the wire fixed to limit the forward movement of the wire disposed on the fixed guide body (28332a) It includes a rib 28332b.

고정가이더바디(28332a)는, 양측면(28332a1, 28332a2)을 포함하여, 내부에 배치되는 전선(W)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고정가이더바디(28332a)는, 양측면(28332a1, 28332a2)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바닥면(28332a3)을 포함하여, 내부에 배치되는 전선(W)이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The fixed guider body 28332a, including both side surfaces 28332a1 and 28332a2, limits the movement of the electric wire W disposed therei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fixed guide body 28332a includes a bottom surface 28332a3 formed at lower ends of both side surfaces 28332a1 and 28332a2, and the electric wire W disposed therein may be limited from moving downward.

고정가이더바디(28332a)의 전방은 개구되어, 전선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만, 고정가이더바디(28332a)의 상측에는, 전방으로 전선고정리브(28332b)가 형성되어, 내부에 배치되는 전선(W)이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The front of the fixed guide body 28332a is open, so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electric wire can be facilitated. However, on the upper side of the fixed guide body 28332a, a wire fixing rib 28332b is formed forward, so that the electric wire W disposed therein may be fixed to extend upward.

고정가이더바디(28332a)는, 상측으로 전선(W)이 관통하는 상측전선홀(28315)이 형성된다. The fixed guider body 28332a has an upper wire hole 28315 through which the wire W passes upward.

전선고정리브(28332b)는, 양측면(28332a1, 28332a2) 중 일면(28332a1)에서 타면(28332a2)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전선고정리브(28332b)의 단부는, 전선(W)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타면(28332a2)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The wire fixing rib 28332b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28332a1 to the other side 28332a2 of both side surfaces 28332a1 and 28332a2. The ends of the wire fixing ribs 28332b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urface 28332a2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acilitate installation of the wires W.

전선고정리브(28332b)는, 고정가이더바디(28332a)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상측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전선을 고정할 수 있다. 전선고정리브(28332b)는, 플레이트 고정면(28331a)으로부터 이격배치된다. 전선고정리브(28332b)와 플레이트 고정면(28331a)의 이격거리(L2)는, 전선(W)의 두께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The wire fixing rib 28332b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fixing guider body 28332a, and can fix the electric wire extending upward. The electric wire fixing ribs 28332b are spaced apart from the plate fixing surface 28331a. The separation distance L2 between the wire fixing rib 28332b and the plate fixing surface 28331a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wire W.

고정가이더바디(28332a)가 플레이트 고정면(28331a)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길이(L2)는, 고정플레이트(283)의 후방면부(28312)로부터 전방면부(28311a, 28311b)로 이격된 길이(L1)보다 길게 형성된다. The length L2 of the fixed guider body 28332a extending forward from the plate fixing surface 28331a is a length L1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portion 28312 of the fixed plate 283 to the front surface portions 28311a, 28311b. Is formed longer.

<도어 어셈블리-로어패널><Door Assembly-Lower Panel>

로어패널(24)은, 도어패널(21)의 배면에 설치된다. 로어패널(24)은 도어패널(21)의 삽입공간(213)에 설치된다. 로어패널(24)은 어퍼패널(23) 하측에 위치되고, 어퍼패널(23)을 지지하며, 어퍼패널(23)과 조립된다. The lower panel 24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panel 21. The lower panel 24 is installed in the insertion space 213 of the door panel 21. The lower panel 24 is located under the upper panel 23, supports the upper panel 23, and is assembled with the upper panel 23.

로어패널(24)은 도어패널(21) 안에 설치되어 도어패널(21)의 변형을 방지한다. 로어패널(24)은 어퍼패널(23)과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어퍼패널(23)을 하측에서 지지한다. The lower panel 24 is installed in the door panel 21 to prevent the door panel 21 from being deformed. The lower panel 24 is coupled to the upper panel 23 by a force-fitting method, and supports the upper panel 23 from the lower side.

로어패널(24)은, 도어패널(21)의 삽입공간(213)으로 삽입되는 로어패널바디(242), 로어패널바디(242)의 상측에 형성되고, 어퍼패널(23)의 패널돌출부(233)와 상호 끼움결합되는 패널끼움부(241), 도어패널(21)이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전방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때, 배치가 변경되는 전선(W)의 이동공간을 형성하도록 로어패널바디(242)의 후방에 형성되는 전선이동공간(244), 로어패널바디(242)의 내측으로 전선이 고정배치되도록 형성된 전선고정패시지(243)를 포함한다. The lower panel 24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anel body 242 and the lower panel body 242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213 of the door panel 21, and the panel protrusion 233 of the upper panel 23 ) And the lower panel body to form a moving space of the wires W whose arrangement is changed when the panel fitting part 241 and the door panel 21 are moved from the front of the cabinet assembly (I)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includes an electric wire moving space 244 formed at the rear of the 242, and a wire fixing package 243 formed so that electric wires are fixedly disposed inside the lower panel body 242.

로어패널(24)의 하부에는, 도어패널(21)이 개방되거나 폐쇄된 상태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2410a, 2410b)를 포함한다. 위치감지센서(2410a, 2410b)는 홀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위치감지센서(2410a, 2410b)는, 바텀레일장착부(2461)의 하측에 배치된다. 위치감지센서(2410a, 2410b)는,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배치된 2개의 홀센서(2410a, 2410b)를 구비하고, 베이스부(12)에는, 자석(미도시) 배치되어, 2개의 홀센서(2410a, 2410b) 중 자석을 감지하는 홀센서를 파악하여, 도어패널(21)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panel 24 includes position sensors 2410a and 2410b for detecting an open or closed state of the door panel 21. The position sensor (2410a, 2410b) may use a Hall sensor.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s 2410a and 2410b are disposed under the bottom rail mounting portion 2461. The position sensor (2410a, 2410b) is provided with two Hall sensors (2410a, 2410b)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base portion 12, magnet (not shown) is arranged, two Hall sensors Among the (2410a, 2410b),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door panel 21 by identifying a hall sensor that detects a magnet.

로어패널바디(242)는, 도어패널(21)의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사각형의 판형상을 가지고, 상측에 패널끼움부(241)가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The lower panel body 242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of the door panel 21, and the panel fitting portion 241 is formed to be concave downward.

로어패널바디(242)에는, 미들레일장착부(2461)와 바텀레일장착부(2462) 사이에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전선이동공간(244)이 형성된다. 로어패널바디(242)에는, 전선이동공간(244)의 상하로, 강도보강을 위해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복수의 강도보강홈(245)이 형성된다. In the lower panel body 242, a wire moving space 244 is formed concave to the rear between the middle rail mounting portion 2461 and the bottom rail mounting portion 2462. In the lower panel body 242, a plurality of strength reinforcing grooves 245 are formed to be concave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electric wire moving space 244 and rearward to reinforce strength.

복수의 강도보강홈(245)은, 전선이동공간(244)의 상하로 배치되고, 전방으로 오목한 홈을 형성한다. The plurality of strength reinforcing grooves 245 are disposed vertically in the electric wire moving space 244, and form a concave groove forward.

전선이동공간(244)은,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진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전선이동공간(244)은, 고정플레이트(283)의 전선고정가이더(2833)가 배치되는 상측으로 전선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The wire moving space 244 may form a groove having a rectangular shape. The electric wire moving space 244 forms a space in which electric wires are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xed plate 283 on which the electric wire fixing guide 2833 is disposed.

전선이동공간(244)의 상측에는, 전선고정패시지(243)와 관통하는 패시지홀(2431a)이 형성된다. 전선이동공간(244)은, 도어패널(21)이 고정플레이트(283)를 기준으로 좌우로 이동하는 간격(D1)보다 넓은 폭(D3)으로 형성된다. On the upper side of the electric wire moving space 244, a passage hole 2431a penetrating the electric wire fixing package 243 is formed. The wire moving space 244 is formed with a width D3 that is wider than the distance D1 in which the door panel 21 moves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fixed plate 283.

전선고정패시지(243)는, 로어패널바디(242) 내측에, 도어 어셈블리(Ⅱ)의 각 구성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고정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전선고정패시지(243)는 내부에 배치되는 전선(W)을 전선고정홀더(2434)로 고정한다. The wire fixing package 243 forms a space inside the lower panel body 242 in which electric wires for supplying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door assembly II are fixedly arranged. The wire fixing package 243 fixes the wire W disposed therein with the wire fixing holder 2434.

전선고정패시지(243)에는, 배치되는 전선(W)을 고정시키는 전선고정홀더(2434)가 배치된다. 또한, 전선고정패시지(243)에는, 전선고정홀더(2434)의 후방으로 대응홀(2434a)이 형성될 수 있다. In the electric wire fixing package 243, an electric wire fixing holder 2434 for fixing the arranged electric wire W is disposed. In addition, a corresponding hole 2434a may be formed in the wire fixing package 243 to the rear of the wire fixing holder 2434.

전선고정패시지(243)는, 전선이동공간(244)으로부터 연장되는 전선이 고정배치되는 제1전선고정패시지(2431), 제1전선고정패시지(2431)와 연결되고,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전선고정패시지(2432), 및 제1전선고정패시지(2431)와 연결되고,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3전선고정패시지(2433)를 포함한다. The wire fixing package 243 is a second wire connected to the first wire fixing package 2431 and the first wire fixing package 2431 to which the wires extending from the wire transfer space 244 are fixedly arranged, and extending upward. It includes a fixed package (2432), and a third wire-fixed package (2433)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wire (2431) and extending downward.

제1전선고정패시지(2431)는, 전선이동공간(244)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1전선고정패시지(2431)에는, 전선이동공간(244)을 향하는 면에서, 하측으로 개구된 패시지홀(2431a)이 형성된다. The first electric wire fixing package 2431 is disposed above the electric wire moving space 244. A passage hole 2431a opened downward from a surface facing the wire moving space 244 is formed in the first electric wire fixing passage 2431.

패시지홀(2431a)은, 전선이동공간(244)의 상측에서 상측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패시지홀(2431a)은, 전선고정가이더(2833)가 이동하는 좌우측 단부 사이에 배치된다. The passage hole 2431a is formed to be open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electric wire moving space 244 in the upward direction. The passage hole 2431a is dispos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ends to which the wire fixing guide 283 moves.

제1전선고정패시지(2431)는, 전선이동공간(244)의 상측에서 수평하게 배치된다. 제1전선고정패시지(2431)는, 우측단부에서 밴딩되어, 하측으로 개방된 패시지홀(2431a)을 형성하고, 좌측단부에서는, 제2전선고정패시지(2432)와 제3전선고정패시지(2433)로 분기된다. 제1전선고정패시지(2431)는 좌측단부에서, 제2전선고정패시지(2432)와, 제3전선고정패시지(2433)로 분기된다.The first electric wire fixing package 2431 is disposed horizontally above the electric wire moving space 244. The first wire fixing package 2431 is bent at the right end to form a passage hole 2431a open to the lower side, and at the left end, the second wire fixing package 2432 and the third wire fixing pass 2433 Branches to At the left end of the first wire fixing package 2431, it is branched into a second wire fixing package 2432 and a third wire fixing package 2433.

제1전선고정패시지(2431)의 일단부에는, 패시지홀(2431a)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제2전선고정패시지(2432)와, 제3전선고정패시지(2433)로 분기된다. A passage hole 2431a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wire fixing package 2431, and a second wire fixing passage 2432 and a third wire fixing passage 2433 are branched at the other end.

제2전선고정패시지(2432)와 제3전선고정패시지(2433)는, 로어패널바디(242)의 좌측에서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전선고정패시지(2432)는,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측단부에, 어퍼패널(23)의 내측과 연통하는 전선연결홀(2432a)이 형성된다. 따라서, 어퍼패널(23)에도 전선연결홀(2432a)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전선(W)이 관통하는 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제3전선고정패시지(2433)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위치감지센서(2410a, 2410b)에 연결된다. The second wire fixing package 2432 and the third wire fixing package 2433 ar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left side of the lower panel body 242. The second wire fixing package 2432 extends upward, and a wire connection hole 2432a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ide of the upper panel 23 is formed at an upper end. Accordingly, a hole (not shown) through which the wire W passes is formed in the upper panel 23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ire connection hole 2432a. The third wire fixing package 2433 extends downward and is connected to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s 2410a and 2410b.

로어패널(24)에는, 로어패널바디(242)의 양측 단부에 배치되고, 도어패널(21)의 제1밴딩부(212a1) 및 제2밴딩부(212b1)와 전면부(211) 사이에 배치되는 삽입부(242a, 242b), 도어패널(21)의 도어구동부(282)의 작동에 따라 도어패널(21)이 이동하도록, 기어어셈블리(2822)와 맞물리는 치합부를 형성하는 랙(247)과, 미들레일(2812)이 장착되는 미들레일장착부(2461)와, 바텀레일(2813)이 장착되는 바텀레일장착부(2462)와, 로어패널바디(242)의 후방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끼임방지부(248), 끼임방지부(248)의 일측에 배치되어, 고정플레이트(283)와 접촉되게 배치되어, 도어 어셈블리(Ⅱ)의 일측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249)를 포함한다. In the lower panel 24, it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lower panel body 242, and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bending portion 212a1 and the second bending portion 212b1 and the front portion 211 of the door panel 21 A rack 247 that forms a meshing portion engaged with the gear assembly 2822 so that the door panel 21 mov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sertion portions 242a and 242b and the door driving portion 282 of the door panel 21 And, the middle rail mounting portion 2461 on which the middle rail 2812 is mounted, the bottom rail mounting portion 2462 on which the bottom rail 2813 is mounted, and a fitting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rear side of the lower panel body 242 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mpingement prevention part 248 and the pinching prevention part 248, and is disposed to contact the fixing plate 283, and includes a stopper 249 that limits the movement of the door assembly (II) in one direction.

끼임방지부(248)는, 도어 어셈블리(Ⅱ)가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전방으로 개방하도록 이동할 때, 도어패널(21)이 이동하는 방향에 배치되는 도어패널(21)의 후방과, 캐비닛 어셈블리(Ⅰ) 사이에서 형성되는 틈을 가린다. When the door assembly (II) is moved to open to the front of the cabinet assembly (I), the pinching prevention unit 248 includes the rear of the door panel 21 dispo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panel 21 moves, and the cabinet assembly. (I) Covers the gap formed between them.

삽입부(242a, 242b)는 로어패널바디(242)의 좌우단부에서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도어패널(21)에 삽입되어, 로어패널(24)을 고정한다. The insertion portions 242a and 242b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lower panel body 242 and are inserted into the door panel 21 to fix the lower panel 24.

스토퍼(249)는, 끼임방지부(248)의 일측에 배치되어, 고정플레이트(283)와 접촉하여, 도어 어셈블리(Ⅱ)의 일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스토퍼(249)에는, 고정플레이트(283)와의 접촉시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2491)가 배치될 수 있다. The stopper 249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inching prevention part 248 and contacts the fixing plate 283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door assembly II in one direction. The stopper 249 may be provided with a buffer member 2491 that mitigates an impact upon contact with the fixing plate 283.

<작동><Operation>

도 12a를 참조하면, 도어패널(21)은,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전방을 폐쇄하는 제1위치(P1)에서, 전선고정가이더(2833)와 패시지홀(2431a)이 가장 원거리에 위치한다. 도어패널(21)이 제1위치일 때, 전선고정가이더(2833)는 패시지홀(2431a)의 우측에 배치된다. 도어패널(21)이 제1위치일 때, 고정플레이트(283)는, 패시지홀(2431a)의 우측에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12A, in the door panel 21, in a first position P1 closing the front of the cabinet assembly I, the wire fixing guide 2833 and the passage hole 2431a are located at the farthest distance. When the door panel 21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wire fixing guide 2833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passage hole 2431a. When the door panel 21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fixing plate 283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passage hole 2431a.

도 12b를 참조하면, 도어패널(21)은,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전방 일부를 개방하는 제2위치(P2)일 때, 전선고정가이더(2833)는 패시지홀(2431a)의 좌측에 배치된다. 도어패널(21)이 제2위치일 때, 고정플레이트(283)는, 패시지홀(2431a)의 일부와 간섭되며, 패시지홀(2431a)의 좌측에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12B, when the door panel 21 is at a second position P2 to open a part of the front of the cabinet assembly I, the wire fixing guide 2833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passage hole 2431a. . When the door panel 21 is in the second position, the fixing plate 283 interferes with a part of the passage hole 2431a, and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passage hole 2431a.

도 13을 참조하면, 도어패널(21)이 제1위치(P1)에서 제2위치(P2)로 이동할 때, 전선고정가이더(2833)가 도어패널(21)에 상대적으로 이동한 간격(D1)은, 전선고정가이더(2833)가 패시지홀(2431a)에 하측방향으로 이격된 거리(D2)보다 짧게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13, when the door panel 21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P1 to the second position P2, the distance D1 where the wire fixing guide 283 moves relative to the door panel 21 Silver, the wire fixing guide (2833) is formed shorter than the distance (D2) spaced downward in the passage hole (2431a).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Ⅰ : 캐비닛 어셈블리 Ⅱ : 도어 어셈블리
Ⅲ : 송풍팬 어셈블리 Ⅴ : 가습 어셈블리
11 : 상부캐비닛 12 : 베이스부
121 : 하단돌출부 1212 : 플레이트 고정홈
13 : 하부캐비닛 15 : 내부커버
21 : 도어패널 22 : 탑패널
23 : 어퍼패널 24 : 로어패널
242 : 로어패널바디 2431 : 제1전선고정패시지
2432 : 제2전선고정패시지 2433 : 제3전선고정패시지
2434 : 전선고정홀더 244 : 전선이동공간
2811 : 탑레일 2812 : 미들레일
2813 : 바텀레일 282 : 도어구동부
283 : 고정플레이트 2831 : 플레이트바디
28312a : 플레이트홈 2832 : 플레이트서포터
2833 : 전선고정가디어 28331 : 플레이트장착부
28332 : 전선가이드부 284 : 탑서포터
Ⅰ: Cabinet assembly Ⅱ: Door assembly
Ⅲ: Blower fan assembly Ⅴ: Humidification assembly
11: upper cabinet 12: base
121: lower protrusion 1212: plate fixing groove
13: lower cabinet 15: inner cover
21: door panel 22: top panel
23: upper panel 24: lower panel
242: lower panel body 2431: first electric wire fixed pass
2432: 2nd wire fixed pass 2433: 3rd fixed wire
2434: wire fixing holder 244: wire moving space
2811: top rail 2812: middle rail
2813: bottom rail 282: door driving part
283: fixed plate 2831: plate body
28312a: plate groove 2832: plate supporter
2833: wire fixing guard 28331: plate mounting part
28332: wire guide part 284: top supporter

Claims (17)

상부캐비닛과, 상기 상부캐비닛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캐비닛을 지지하는 베이스부를 구비한 캐비닛 어셈블리;
상기 캐비닛 어셈블리의 전면에서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패널;
상기 도어패널과 가이드레일로 연결되며, 상기 도어패널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도어패널로 연장되는 전선이 관통하는 전선홀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
상기 도어패널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패널의 구조를 지지하는 지지패널;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전선홀에 배치되고, 상기 전선홀을 관통하는 상기 전선이 상기 고정플레이트 전방에 수직하게 연장되도록 고정하는 전선고정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패널은,
상기 지지패널 내측에 배치되는 전선을 고정하는 전선고정패시지와,
상기 전선고정가이더로부터 상기 전선고정패시지로 연장되는 상기 전선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전선이동공간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 cabinet assembly including an upper cabinet and a base portion disposed below the upper cabinet to support the upper cabinet;
A door panel disposed to be movable left and right from the front of the cabinet assembly;
A fixing plate connected to the door panel by a guide rail, mounted on the base to support movement of the door panel, and having a wire hole through which an electric wire extending from the base to the door panel passes;
A support panel inserted inside the door panel to support the structure of the door panel;
A wire fixing guider disposed in the wire hole of the fixing plate and fixing the wire passing through the wire hole so that it extends vertically in front of the fixing plate,
The support panel,
A wire fixing package for fixing the wires disposed inside the support panel,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wire moving space defining a space in which the wires extending from the wire fixing guider to the wire fixing package are arrang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고정패시지에는, 상기 전선이동공간과 상기 전선고정패시지를 연통하도록, 상기 전선이동공간의 상측에서 상측방향으로 개구된 패시지홀이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having a passage hole opened up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wire moving space so as to communicate the wire moving space with the wire fixing packag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고정가이더는,
상기 전선홀을 관통하는 상기 전선을 상기 패시지홀이 형성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고정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wire fixing guider,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for fixing the electric wire passing through the electric wire hole to exten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assage hole is form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은, 상기 캐비닛 어셈블리의 전면을 폐쇄하는 제1위치와 상기 캐비닛 어셈블리의 전면일부를 개방하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며,
상기 패시지홀은, 상기 도어패널이 제1위치에 위치할 때의 전선고정가이더와, 상기 도어패널이 제2위치에 위치할 때의 전선고정가이더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door panel moves between a first position for closing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assembly and a second position for opening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assembly,
The passage hole is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at is disposed between a wire fixing guide when the door panel is positioned at a first position and a wire fixing guide when the door panel is located at a second 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고정가이더는,
내부에 전선이 관통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장착되는 플레이트장착부와, 상기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전선이동홈으로 연장되는 상기 전선이 상측을 향하도록 고정하는 전선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 fixing guider,
Air conditioning including a guide hole through which an electric wire passes, a plate mounting part mounted on the fixed plate, and a wire guide part for fixing the electric wire extending through the guide hole to the electric wire moving groove toward the upper side The indoor unit of the uni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장착부는,
상기 고정플레이드의 후방면에 면접하게 배치되는 플레이트 고정면과, 상기 플레이트 고정면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전선홀을 관통하여 상기 전선고정가이더를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장착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plate mounting part,
A plate fixing surface arranged to be interview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and a hook part formed perpendicular to the plate fixing surface and penetrating the wire hole of the fixing plate to mount the wire fixing guide to the fixing plate.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to do.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가이드부는,
상기 플레이트 고정면에서 상기 후크부가 돌출되는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플레이트바디의 전선홀을 관통하여 상기 도어패널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전선의 좌우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가이더바디와, 상기 고정가이더바디의 전방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가이더바디에 배치되는 상기 전선의 전방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전선고정리브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wire guide part,
A fixed guide body that extends in a direction opposite from which the hook portion protrudes from the plate fixing surface and restricts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wire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door panel through the wire hole of the plate body; and the fixed guide body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wire fixing rib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fixing guider body and restricting a forward movement of the wire disposed on the fixing guider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이동공간이 좌우로 형성하는 폭은, 상기 도어패널이 좌우로 이동하는 범위보다 크게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1,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width formed by the wire moving space to the left and right is greater than a range in which the door panel moves to the left and righ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이 좌우로 이동하는 범위는, 상기 전선고정가이더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패시지홀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2,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range in which the door panel moves left and right is smaller than a distance from the wire fixing guide to a passage hole spaced upw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캐비닛 어셈블리에 상대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전선홀이 형성되는 플레이트바디; 및
상기 플레이트바디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바디를 상기 캐비닛 어셈블리에 고정시키는 플레이트서포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ed plate,
A plate body having a relative position fixed to the cabinet assembly and forming the wire hole; And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plate supporter disposed below the plate body and fixing the plate body to the cabinet assembly.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바디는,
상기 플레이트바디의 좌우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전방면부;
상기 한 쌍의 전방면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전방면부보다 후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전방으로 플레이트홈을 형성하는 후방면부; 및
상기 후방면부의 양단과 상기 한 쌍의 전방면부 각각을 연결하는 한 쌍의 이격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10,
The plate body,
A pair of front surface portions disposed at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plate body;
A rear face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ront face portions and spaced apart rearward than the pair of front face portions to form a plate groove forward; And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pair of spacers connecting both ends of the rear surface portion and each of the pair of front surface portion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고정가이더는, 상기 후방면부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전선을 상기 플레이트홈이 형성되는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고정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11,
The wire fixing guide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portion and fixes the wire extending from the base portion so as to extend upwardly in which the plate groove is forme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고정가이더는, 상기 후방면부에서 상기 플레이트홈 내측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11,
The wire fixing guide is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disposed inside the plate groove at the rear surface por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도어패널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단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돌출부의 상면에는, 하측방향으로 홈을 형성하며, 상기 플레이트서포터가 삽입되는 플레이트고정홈이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10,
The base unit includes a lower protrusion protruding forward from the lower end and disposed under the door panel,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groove is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protrusion, and a plate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plate supporter is inserted is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고정패시지는,
상기 전선이동공간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선이동공간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전선이 고정배치되는 제1전선고정패시지와,
상기 제1전선패시지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패널 상측으로 연장되는 전선이 고정배치되는 제2전선고정패시지와,
상기 제1전선패시지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패널 상측으로 연장되는 전선이 고정배치되는 제3전선고정패시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 fixing package,
A first wire fixing packag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wire transfer space, wherein the wire extending from the wire transfer space is fixedly disposed,
A second wire fixing packag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ic wire package and fixedly disposed with an electric wire extending above the support panel,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third wire fixing packag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ic wire package and fixedly disposed with an electric wire extending upward of the support panel.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선고정패시지는, 일단부에서 하측방향으로 밴딩되어, 상기 전선이동공간을 향하는 면에서 하측으로 개구된 패시지홀이 형성되고, 타단부에서 상기 제2전선고정패시지와, 상기 제3전선고정패시지로 분기되도록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15,
The first wire fixing package is bent downward from one end to form a passage hole opened downward from a surface facing the wire moving space, and the second wire fixing package and the third wire at the other end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formed to be branched into a fixed pass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고정패시지에는, 내부에 배치되는 전선을 고정하는 전선고정홀더가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1,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wire fixing holder for fixing an electric wire disposed therein is disposed in the electric wire fixing package.
KR1020190055693A 2019-05-13 2019-05-13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2561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693A KR102256127B1 (en) 2019-05-13 2019-05-13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693A KR102256127B1 (en) 2019-05-13 2019-05-13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019A true KR20200131019A (en) 2020-11-23
KR102256127B1 KR102256127B1 (en) 2021-05-25

Family

ID=73680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693A KR102256127B1 (en) 2019-05-13 2019-05-13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127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484A (en) * 1999-08-19 2001-03-05 구자홍 establishig apparatus of wire for heater in airconditioner
KR20070119898A (en) * 2006-06-16 2007-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Indoor unit for air-conditioner
KR20080056515A (en) * 2006-12-18 2008-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20090000506U (en) * 2007-07-13 2009-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20090061943A (en) * 2007-12-12 2009-06-1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Cable leading device and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therewith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484A (en) * 1999-08-19 2001-03-05 구자홍 establishig apparatus of wire for heater in airconditioner
KR20070119898A (en) * 2006-06-16 2007-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Indoor unit for air-conditioner
KR20080056515A (en) * 2006-12-18 2008-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20090000506U (en) * 2007-07-13 2009-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20090061943A (en) * 2007-12-12 2009-06-1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Cable leading device and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therewi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6127B1 (en) 202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1137A (en) Vertical air conditioner
EP1816406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11868444B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equipment
KR20090043232A (en) Air conditioner
EP2206974B1 (e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with movable intake panel
CN112639371A (en) Ceiling embedded air conditioner
EP1816407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259806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611327B1 (en) Stand type air conditioner
KR102256127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12601915B (en) Air conditioner
KR101345265B1 (en) air conditioner
JP5368223B2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KR20200099443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100051957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EP1686327B1 (en) Indoor unit of air-conditioning system
KR101250131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2220561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WO2011030610A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100086312A (en) Air conditioner
KR20200106431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200111569A (en) Air conditioner
KR102587028B1 (en) Air Processing Apparatus
KR102239328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1450564B1 (en)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