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328B1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328B1
KR102239328B1 KR1020190024361A KR20190024361A KR102239328B1 KR 102239328 B1 KR102239328 B1 KR 102239328B1 KR 1020190024361 A KR1020190024361 A KR 1020190024361A KR 20190024361 A KR20190024361 A KR 20190024361A KR 102239328 B1 KR102239328 B1 KR 102239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ximity sensor
disposed
door panel
doo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3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05329A (en
Inventor
배준석
김강영
권민구
문성국
신규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4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328B1/en
Priority to US16/978,126 priority patent/US20210010706A1/en
Priority to CN202210811660.2A priority patent/CN114992717B/en
Priority to PCT/KR2019/002674 priority patent/WO2019172688A1/en
Priority to CN201980017550.5A priority patent/CN111836999B/en
Priority to CN202210811654.7A priority patent/CN114992716B/en
Publication of KR20200105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3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3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2Position of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40Damper positions, e.g. open or closed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후방으로 흡입구를 형성하는 상부캐비닛과 상기 상부캐비닛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캐비닛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캐비닛 어셈블리; 상기 상부캐비닛과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캐비닛 어셈블리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 어셈블리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패널; 상기 도어패널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패널로부터 제1설정거리범위(R1)에 위치한 대상체를 감지하는 제1근접센서; 상기 도어패널보다 하측에 위치한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패널로부터 제2설정거리범위에 위치한 대상체를 감지하는 제2근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설정거리범위는 상기 제2설정거리범위보다 원거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근접센서와 상기 제2근접센서에서 모두 대상체를 감지할 때, 상기 도어패널이 이동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assembly including an upper cabinet forming a suction port to the rear and a base portion disposed below the upper cabinet to support the upper cabinet; A door panel disposed in front of the cabinet assembly so as to cover a portion of a front surface of the upper cabinet and the base unit, and disposed to be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cabinet assembly; A first proximity sensor mounted on the door panel to detect an object located in a first set distance range R1 from the door panel; And a second proximity sensor disposed inside the base part located below the door panel and detecting an object located in a second set distance range from the door panel, and the first set distance range is the second set distance When the first proximity sensor and the second proximity sensor detect an object, the door panel is moved.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근접센서가 배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proximity sensor is disposed.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여, 요구되는 실내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흡입구로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냉매와 열교환하여, 토출구로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discharges air that has been heat-exchanged with the refrigerant into the room, thereby adjusting a required indoor temperature.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may suck indoor air through a suction port, heat exchange with a refrigerant, and discharge heat exchanged air through the discharge port.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천장형, 벽걸이형 및 스탠드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스탠드형 실내기는, 토출구가 캐비닛의 전방이나 측방으로 형성되고, 흡입구가 캐비닛의 후방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may be classified into a ceiling type, a wall-mounted type, and a stand typ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In the stand-type indoor unit, a discharge port may be formed to a front or a side of the cabinet, and a suction port may be formed to a rear of the cabinet.

스탠드형 실내기는, 실내공간의 일측에서 실내공간을 향해 배치되고, 전면이 실내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공기조화기가 도어(door) 등 하나 이상의 개폐 구조물을 포함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필요시 도어를 직접 개방하거나 폐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The stand-type indoor unit is disposed toward the indoor space from one side of the indoor space, and is disposed so that the front surface faces the indoor space. When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one or more opening/closing structures such as a door, the user has to open or close the door directly when necessary.

상기의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도어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도어의 개방이나 폐쇄가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도 도어가 구동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inconvenience, the door may be opened or closed by detecting the user's position, but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oor may be driven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door does not need to be opened or clos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과제는 실내기를 작동하는 데 있어서,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불필요한 노동을 제거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first task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by eliminating unnecessary labor required of a user in operating an indoor unit.

사용자의 움직임 동작에 의해 실내기의 동작이 제어되는 경우,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실내기가 동작하거나, 움직임의 감지대상이 아닌 대상체를 감지하여, 실내기가 동작하는 경우, 실내기의 오작동이나,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이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2과제는,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함에 있어 복수의 조건으로 감지하여, 실내기가 자동적으로 작동하는데 있어서, 정밀도를 높이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When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is controlled by the user's motion, the indoor unit operates contrary to the user's intention, or when the indoor unit operates by detecting an object that is not the object of motion detection, malfunction of the indoor unit or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may occur.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achieved. A second t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at improves precision in automatically operating the indoor unit by detecting a user's motion as a plurality of condition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제3과제는, 복수의 센서가 배치되는 실내기 내부의 공간활용을 극대화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 third task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at maximizes space utilization inside an indoor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sensors are disposed.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후방으로 흡입구를 형성하는 상부캐비닛과 상기 상부캐비닛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캐비닛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캐비닛 어셈블리; 상기 상부캐비닛과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캐비닛 어셈블리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 어셈블리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패널; 상기 도어패널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패널로부터 제1설정거리범위에 위치한 대상체를 감지하는 제1근접센서; 상기 도어패널보다 하측에 위치한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패널로부터 제2설정거리범위에 위치한 대상체를 감지하는 제2근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설정거리범위는 상기 제2설정거리범위보다 원거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근접센서와 상기 제2근접센서에서 모두 대상체를 감지할 때, 상기 도어패널이 이동하여, 사용자가 근접할 때, 도어를 작동시키고, 복수의 센서조건이 모두 만족할 때, 도어가 작동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assembly including an upper cabinet forming a suction port to the rear and a base portion disposed below the upper cabinet to support the upper cabinet; A door panel disposed in front of the cabinet assembly so as to cover a portion of a front surface of the upper cabinet and the base unit, and disposed to be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cabinet assembly; A first proximity sensor mounted on the door panel to detect an object located within a first set distance range from the door panel; And a second proximity sensor disposed inside the base part located below the door panel and detecting an object located in a second set distance range from the door panel, and the first set distance range is the second set distance It includes a far distance than a range, and when both the first proximity sensor and the second proximity sensor detect an object, the door panel moves, and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door is operated, and a plurality of sensor conditions are all When satisfied, the door can be activated.

상기 제2근접센서는 바닥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제1근접센서와 제2근접센서가 감지하는 영역을 달리할 수 있다. The second proximity sensor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toward the floor, so that an area sensed by the first proximity sensor and the second proximity sensor may be different.

상기 제2근접센서가 대상체를 감지하는 제2설정거리범위를 외부에 표시하도록 빛을 투사하는 프로젝션모듈을 더 포함하여, 제2근접센서가 감지하는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The second proximity sensor may further include a projection module for projecting light such that a second set distance range for sensing an object is displayed to the outside, and an area detected by the second proximity sensor may be displayed.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도어패널의 하측에서 상기 제2근접센서와 프로젝션모듈이 배치되도록 형성된 센서배치공간과, 상기 센서배치공간의 전면을 커버하는 베이스부 하단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 하단커버에는, 상기 제2근접센서가 감지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제2근접센서홀과 상기 프로젝션모듈이 빛을 투사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프로젝션홀이 형성되어, 베이스부 내측으로 배치되는 제2근접센서와 프로젝션모듈이 베이스부 외부로 작동할 수 있다. The base portion includes a sensor arrangement space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door panel so that the second proximity sensor and the projection module are arranged, and a base portion lower cover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sensor arrangement space, and the base portion lower cover has , A second proximity sensor hole opened in a direction detected by the second proximity sensor and a projection hole ope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rojection module projects light, and a second proximity sensor and a projection module disposed inside the base portion It can be operated outside of this base part.

상기 제2근접센서홀과 상기 프로젝션홀은, 상기 베이스부 하단커버에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베이스부 하측으로 좁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The second proximity sensor hole and the projection hole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in the lower cover of the base part, so that a narrow space under the base part can be utilized.

상기 센서배치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제2근접센서와 상기 프로젝션모듈이 장착되는 센서하우징이 배치되고, 상기 센서하우징은, 상기 제2근접센서와 상기 프로젝션모듈을 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시켜, 베이스부 내측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In the interior of the sensor arrangement space, a sensor housing in which the second proximity sensor and the projection module are mounted is disposed, and the sensor housing includes the second proximity sensor and the projection module in an inclined front and lower side, and the base portion You can use the inner space.

상기 도어패널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구동부와, 상기 제1근접센서와 상기 제2근접센서에서 모두 대상체가 감지될 때,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제1근접센서가 작동할 때, 제2근접센서를 작동시킬 수 있다. A door driving unit mov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door panel, and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driving unit when an object is detected by both the first proximity sensor and the second proximity sensor, wherein the first proximity sensor is operated. At this time, the second proximity sensor can be operat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근접센서에서 대상체를 감지할 때, 상기 프로젝션모듈을 작동시켜, 제1근접센서가 작동할 때, 제2근접센서의 감지영역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도어 작동을 유도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proximity sensor detects an object,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projection module to display a detection area of the second proximity sensor when the first proximity sensor is operated, thereby inducing door operation to the user. I can.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패널 후방에 배치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물을 공급받아 가열하는 히팅부; 및 상기 히팅부로 히팅된 가습공기를 토출하는 가습토출구가 형성된 가습토출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근접센서와 상기 제2근접센서에서 모두 대상체가 감지될 때, 상기 수조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도어구동부를 작동시켜, 도어의 작동으로 수조가 노출될 수 있다. A water tank forming a space for storing water and disposed behind the door panel; A heating unit receiving and heat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And a humidification discharge nozzle having a humidification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humidified air heated to the heat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move the water tank to the outside when an object is detected by both the first proximity sensor and the second proximity sensor. By operating the door driving unit so as to be exposed, the water tank may be exposed by the operation of the door.

상기 수조가 배치되는 경사각을 조절하는 틸팅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조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도어구동부가 상기 도어패널을 이동시킬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조를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틸팅부재가 작동하여, 수조가 노출될 때, 수조가 전방으로 기울여져,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Further comprising a tilting member for adjusting an inclination angle at which the water tank is disposed, and when the door driving unit moves the door panel so that the water tank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control unit includes the tilting member so that the water tank is inclined forward. By operating, when the water tank is exposed, the water tank is tilted forward,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상기 도어패널의 닫힘상태를 감지하는 제1위치센서; 및 상기 도어패널의 열림상태를 감지하는 제2위치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위치센서가 상기 도어패널의 열림상태를 감지할 때, 상기 수조를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틸팅부재를 작동시켜, 수조가 노출될 때, 수조가 전방으로 기울여져,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A first position sensor detecting a closed state of the door panel; And a second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an open state of the door panel,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the tilting member to incline the water tank forward when the second position sensor detects the open state of the door panel. By operating, when the water tank is exposed, the water tank is tilted forward,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상기 도어패널에는, 전후방향으로 개구된 디스플레이홀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홀에 배치되고, 실내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제1근접센서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더 포함하여, 제1근접센서는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상측에 배치되어, 일정간격 이상의 높이에서 설치될 수 있다. The door panel further includes a display module having a display hole open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disposed in the display hole, and display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indoor unit, and in which the first proximity sensor is disposed, a first proximity sensor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where the display is disposed, and may be installed at a height of a predetermined interval or more.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사용자에게 시각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가 장착되고, 상기 도어패널 후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고정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 상기 디스플레이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전방을 커버하는 전방글라스; 상기 전방글라스 후방 상단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1근접센서; 일단부에 상기 근접센서가 배치되는 근접센서홀을 형성하고, 상기 전방글라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근접센서가 배치되는 간격을 유지하여, 디스플레이모듈에 장착되는 제1근접센서가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may include a display for providing visual information to a user; A display case on which the display is mounted and for fixing a position of the display behind the door panel; A front glass disposed in front of the display and covering a front of the display module; The first proximity sensor disposed at a rear upper end of the front glass; A proximity sensor hole in which the proximity sensor is disposed is formed at one end,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glass and the display to maintain a distance at which the proximity sensor is disposed, so that the first proximity sensor mounted on the display module is stably Can be placed.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후방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는 터치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touch panel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and the rear cover and receiving a user's command.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제1근접센서로부터 인식되는 신호를 전달받는 근접센서회로기판; 상기 제1근접센서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전방글라스와 상기 근접센서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근접센서의 공간을 확보하는 리플렉터를 포함하여, 제1근접센서가 디스플레이모듈 내부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includes: a proximity sensor circuit board receiving a signal recognized from the first proximity sensor; A reflector is disposed around the first proximity sensor to secure a space of the proximity sensor disposed between the front glass and the proximity sensor circuit board, so that the first proximity sensor is stably disposed inside the display module. I ca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are provided.

첫째, 서로 다른 범위를 감지하는 제1근접센서와 제2근접센서를 포함하고, 좌우로 이동하는 도어패널 하측에 배치되는 제2근접센서는 제1근접센서에 비해 근접거리범위를 감지하며, 제1근접센서와 제2근접센서의 조건 만족시 도어패널이 이동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별도로 도어를 이동시키지 않아도 되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First, the second proximity sensor, which includes a first proximity sensor and a second proximity sensor for sensing different ranges, and is disposed under the door panel moving left and right, detects the proximity distance range compared to the first proximity sensor. Since the door panel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oor panel moves when the conditions of the first proximity sensor and the second proximity sensor are satisfi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move the door separately.

또한, 도어패널이 이동할 때, 수조가 전방으로 틸팅되어, 수조를 실내기로부터 탈착할 때, 사용자가 실내기 내측에 배치된 수조를 꺼내기 위한 불편함을 최소화하여, 수조의 장착이나 탈착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oor panel is moved, the tank is tilted forward, so that when the tank is removed from the indoor unit, the inconvenience for the user to take out the tank disposed inside the indoor unit is minimized,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when installing or removing the tank. Can provide.

둘째, 제1근접센서가 대상체를 감지하는 조건에서, 제2근접센서가 작동하여, 대상체를 감지할 때, 도어가 작동하는 구조로, 특정 대상의 특정 동작에서만 도어가 개폐되므로, 불필요한 상황에서 도어가 개폐되어 발생하는 전력소모가 방지되는 장점도 있다.Secon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first proximity sensor detects the object, the second proximity sensor operates and the door is operated when detecting the object. Since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only in a specific motion of a specific object, the door There is also an advantage of preventing power consumption caused by opening and closing.

셋째, 제1근접센서는 디스플레이모듈이 배치되는 공간을 활용하여,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전방에 홈을 형성하여 배치하여, 실내기 내부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제2근접센서는 베이스부의 하측공간을 활용하며, 베이스부 내측에서 프로젝션모듈과 경사지게 배치하여, 실내기 내부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Third, the first proximity sensor may utilize the space in which the display module is disposed, and form a groove in front of the display to be disposed, thereby utiliz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indoor unit. In addition, the second proximity sensor utilizes a lower space of the base part, and ha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utilize the internal space of the indoor unit by arranging the projection module in an inclined direction inside the base par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도어어셈블리가 이동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도어어셈블리가 이동한 상태에서 수조가 틸팅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후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들레일과 도어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10는 도 9의 X2-X2’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의 전방글라스와 후방커버의 접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글라스와 후방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Y-Y’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의 센서배치공간과 센서배치공간에 배치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근접센서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근접센서가 사용자를 감지하는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모듈이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영역과, 제2근접센서의 감지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 및 그와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assembly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oved state.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tank is tilted while the door assembly of the air conditioner is mov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view of a do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ar view of a do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iddle rail and a door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2-X2' of FIG. 9;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act surface between a front glass and a rear cover of a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a front glass and a rear cover are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Y-Y' of FIG. 12.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arranged in the sensor arrangement space and the sensor arrangement space of the bas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of a second proximity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ange in which a first proximity sensor detects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gion in which a projection module displays a graphic object and a sensing range of a second proximity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unit and a configuration related there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are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 전체에 걸쳐 ‘제 1, 제 2, …’의 표현은 구성요소의 구분을 위한 것으로서, 구성요소간의 우선순위 또는 중요도 등과는 무관하다.도면에 표시된 상(U), 하(D), 좌(Le), 우(Ri), 전(F) 및 후(R)의 방향표시는,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준이 변경되면, 상기의 방향도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first, second, ... The expression'is for the classification of components, and is irrelevant to the priority or importance of the components. Top (U), bottom (D), left (Le), right (Ri), and front (F) indicated in the drawing ) And after (R) ar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when the reference is changed, the above direction may be set differently.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for explaining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체구성><Overall composition>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외형을 형성하고, 전면이 개구된 캐비닛 어셈블리(Ⅰ),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개구된 전면을 커버하는 도어 어셈블리(Ⅱ), 캐비닛 어셈블리(Ⅰ) 내측에 배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팬 어셈블리(Ⅲ), 송풍팬 어셈블리(미도시)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 어셈블리(미도시), 캐비닛 어셈블리(Ⅰ)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어셈블리(Ⅵ), 필터 어셈블리(Ⅵ)의 일측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청소 어셈블리(Ⅶ), 및 캐비닛 어셈블리(Ⅰ) 외부로 가습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가습 어셈블리(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rms an outer shape, the cabinet assembly (I) with an open front, a door assembly (II) covering the opened front of the cabinet assembly (I), and the inside of the cabinet assembly (I). It is disposed in the blower fan assembly (III) to form a flow of air, a heat exchange assembly (not shown) that heats the air flowing by the blower fan assembly (not shown) with a refrigerant, and the cabinet assembly (I) is introduced into A filter assembly (VI) that filters air, a filter cleaning assembly (VII) that removes foreign substances present on one side of the filter assembly (VI), and a humidification assembly (V) that discharges humidified air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assembly (I). ) Can be included.

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어셈블리(Ⅰ)는 후방으로 흡입구를 형성하고, 내측에 열교환기(미도시)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캐비닛(11), 상부캐비닛(11) 하측에 배치되고, 가습 어셈블리(Ⅴ)의 일부 구성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부(12), 베이스부(12)의 후방 및 측방을 커버하는 하부캐비닛(13), 및 상부캐비닛(11)과 도어 어셈블리(Ⅱ) 사이에 배치되고, 공기가 토출되는 측면토출구(141)를 형성하는 측면토출부재(14a)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binet assembly (I)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rms a suction port to the rear, and is disposed under the upper cabinet 11 and the upper cabinet 11 to form a space in which a heat exchanger (not shown) is disposed inside, and humidification The base portion 12 forming a space in which some components of the assembly V are arranged, the lower cabinet 13 covering the rear and sides of the base portion 12, and the upper cabinet 11 and the door assembly (II) It may include a side discharge member (14a) disposed between and forming a side discharge port 141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어셈블리(Ⅰ)는 도어어셈블리(Ⅱ)가 일부 개방될 때, 상부캐비닛(11)의 전면과 베이스부(12)의 전면 일부를 커버하는 내부커버(15)를 포함한다. 내부커버(15)는, 가습어셈블리(Ⅴ)의 수조(51)가 노출되도록 도어어셈블리(Ⅱ)가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할 때, 노출되는 상부캐비닛(11)의 전면과 베이스부(12)의 전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The cabinet assembly (I)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nner cover (15) covering a front portion of the upper cabinet (11) and a front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2) when the door assembly (II) is partially opened. The inner cover 15 includes the front and base portions of the upper cabinet 11 exposed when the door assembly II moves in either direction to the left or the right so that the water tank 51 of the humidification assembly V is exposed. 12) is arranged to cover a part of the front surface.

베이스부(12)는 전면이 개구된 박스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부(12)의 외둘레에는 하부캐비닛(13)과 측면토출부재(14a)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The base portion 12 may have a box shape with an open front surface. A portion of the lower cabinet 13 and the side discharge member 14a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ase portion 12.

상하로 배치되는 베이스부(12)와 상부캐비닛(11)이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부(12)와 상부캐비닛(11)의 전면에 도어 어셈블리(Ⅱ)가 배치된다. In a state in which the base portion 12 and the upper cabinet 11 disposed vertically are combined, the door assembly II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2 and the upper cabinet 11.

하부캐비닛(13)은 베이스부(12)의 측면과 후방을 커버할 수 있다. The lower cabinet 13 may cover the side and rear of the base 12.

도어 어셈블리(Ⅱ)는 실내기의 전면을 커버하고, 일측에 전방토출구(211a)가 형성된 도어패널(21), 도어패널(21)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도어무빙모듈(28), 도어패널(21)에 형성되는 전방토출구(211a)를 개폐하는 토출구커버(25), 토출구커버(25)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 및 실내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거나, 사용자의 명력을 입력받는 하는 디스플레이모듈(29), 실내공간의 조건을 감지하는 카메라모듈(22)를 포함한다. The door assembly (II) covers the front of the indoor unit and has a door panel 21 having a front discharge port 211a on one side thereof, a door moving module 28 for moving the door panel 21 left and right, and a door panel 21 The discharge port cover 25 that opens and closes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formed in the discharge port cover 25, the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 26 that moves the discharge port cover 25 up and down, and displays the operating state of the indoor unit or receives the user's name. It includes a display module 29 and a camera module 22 for detecting conditions of the indoor space.

여기서, 실내공간의 조건이란, 실내공간의 크기, 실내공간에 존재하는 재실자의 수, 재실자의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어셈블리(Ⅱ)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Here, the conditions of the indoor space may include the size of the indoor space, the number of occupants existing in the indoor space, and the location of occupants.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door assembly II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송풍팬 어셈블리(Ⅲ)는 실내기의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전방송풍모듈(31), 실내기의 양 측면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측방송풍모듈(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 어셈블리(Ⅲ)는 하나의 전방송풍모듈(31)과 3개의 측방송풍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송풍모듈(31)과 측방송풍모듈은 열교환 어셈블리(Ⅳ)의 전방에 배치된다. The blower fan assembly III includes a pre-broadcasting wind module 31 for discharging air to the front of the indoor unit, and a side-broadcasting wind module (not shown) for discharging air to both sides of the indoor unit. The blower fan assembly (III)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one pre-broadcast wind module 31 and three side-broadcast wind modules. The pre-broadcast wind module 31 and the side-broadcast wind module are disposed in front of the heat exchanger assembly (IV).

전방송풍모듈(31)은 측방송풍모듈의 상측에 배치된다. 전방송풍모듈(31)은 도어판(21)에 형성된 전방토출구(22)로 공기를 토출한다. The pre-broadcast wind module 31 is disposed above the side-broadcast wind module. The pre-broadcast wind module 31 discharges air through the front discharge port 22 formed on the door plate 21.

본 실시예에 따른 전방송풍모듈(31)은 전방토출구(22)가 개방될 때, 전방으로 이동하여, 토출구가 향하는 방향이 상, 하, 좌, 우 또는 대각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The pre-broadcast wind module 3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 configuration capable of moving forward when the front discharge port 22 is opened, so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charge port is directed is up, down, left, right, or diagonally. .

측방송풍모듈은 전방송풍모듈(31)의 하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측방송풍모듈은 복수개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측방송풍모듈 각각은 토출되는 공기를 측면토출구(14a)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The side broadcasting wind module is disposed under the pre-broadcast wind module 31. A plurality of side broadcasting wind mod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rranged vertically. Each of the side broadcasting wind modules may discharge the discharged air through the side discharge ports 14a.

열교환 어셈블리(미도시)는 상부캐비닛(11) 내부로 흡입된 실내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킨다. 열교환 어셈블리는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기(미도시)와, 열교환기로 냉매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도록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eat exchange assembly (not shown) heat exchanges the indoor air sucked into the upper cabinet 11 with the refrigerant. The heat exchange assembly may include a heat exchanger (not shown) through which a refrigerant exchanging heat with indoor air flows, and a refrigerant tube (not shown) forming a refrigerant flow path so that the refrigerant flows into or out of the heat exchanger.

열교환기는 송풍팬 어셈블리(Ⅲ)의 후방에 배치된다. 열교환기는 흡입구와 토출구(22, 141) 사이에 배치되어, 실내기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는 필터 어셈블리(Ⅵ)와 송풍팬 어셈블리(Ⅲ) 사이에 배치된다. 열교환기는 복수의 측방송풍모듈과, 전방송풍모듈(31)가 상하로 배치되는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The heat exchanger is disposed behind the blower fan assembly (III). The heat exchanger is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22 and 141 to exchange heat for air flowing inside the indoor unit. The heat exchanger is disposed between the filter assembly VI and the blower fan assembly III. The heat exchanger may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a height at which the plurality of side broadcasting wind modules and the pre-broadcast wind modules 31 are arranged vertically.

가습 어셈블리(Ⅴ)는 실내기 외부로 가습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가습 어셈블리(Ⅴ)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51), 수조(51)의 물을 공급받아 가열하는 히팅부(미도시), 히팅된 가습공기를 토출하는 가습토출구가 형성된 가습토출노즐(미도시), 히팅부에서 히팅된 가습공기를 가습토출노즐로 가이드하는 가습유로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습 어셈블리(Ⅴ)는 수조(51)가 배치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틸팅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51)는 틸팅부재에 의해 전방으로 틸팅될 수 있다. The humidification assembly V may discharge humidified air to the outside of the indoor unit. The humidification assembly V includes a water tank 51 for storing water, a heating unit (not shown) that receives and heats water from the water tank 51, and a humidification discharge nozzle (not shown) with a humidification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heated humidified air. ), a humidification passage pipe (not shown) for guiding the humidified air heated by the heating unit to the humidification discharge nozzle. The humidification assembly V may include a tilting member (not shown) that adjusts the angle at which the water tank 51 is disposed. The water tank 51 may be tilted forward by a tilting member.

수조(51)와, 히팅부는 베이스부(12)의 내측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가습유로관의 단부에 형성되는 가습토출노즐은, 측면토출구(14a)가 형성되는 부분에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습토출노즐로 토출되는 가습된 공기는 측방송풍모듈에 의해 측면토출구(14a)로 유동하는 공기와 함께 실내기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The water tank 51 and the heating part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ase part 12. The humidification discharge nozzle formed at the end of the humidification passage pipe may be disposed in a portion where the side discharge port 14a is formed. Accordingly, the humidifi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humidification discharge nozzl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indoor unit together with the air flowing through the side discharge port 14a by the side broadcasting wind module.

수조(51)는, 도어 어셈블리(Ⅱ)가 수조(51)의 전면이 모두 노출되는 수조노출개방시, 전방으로 일정각도 틸팅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할, 제1위치센서(127a)와 제2위치센서(127b)로 감지된 도어패널(21)의 위치를 바탕으로, 도어패널(21)이 수조(51)의 전면이 모두 노출되도록 이동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water tank 51 may be tilt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door assembly II is exposed to the water tank 51 in which all the front surfaces of the water tank 51 are expos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door panel 21 sensed by the first position sensor 127a and the second position sensor 127b,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e door panel 21 is exposed so that all the front surfaces of the water tank 51 are exposed.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it has moved.

필터 어셈블리(Ⅵ)는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필터 어셈블리(Ⅵ)는 상부캐비닛(11)의 후방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필터 어셈블리(Ⅵ)는 상부캐비닛(11)의 후방에 형성되는 흡입구에 배치되어, 흡입구(111)로 유입되는 실내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Ⅵ)는 상부캐비닛(11)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The filter assembly (VI) removes foreign matter from the air flowing into the inlet. The filter assembly VI is movably disposed behind the upper cabinet 11. The filter assembly VI is disposed at a suction port formed at the rear of the upper cabinet 11 to filter indoor air flowing into the suction port 111. The filter assembly VI is movably disposed in the upper cabinet 11.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Ⅵ)는 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모듈(61)를 포함한다. 필터 어셈블리(Ⅵ)는 필터모듈(61)을 흡입구에 배치시키거나, 상부캐비닛(11)의 측방면의 외측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필터모듈(61)은, 흡입구가 형성되는 상부캐비닛(11)의 후방에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The filter assembly (VI)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lter module 61 that removes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The filter assembly VI may arrange the filter module 61 at the suction port or may be disposed outside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cabinet 11. A plurality of filter modules 61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upper cabinet 11 in which the suction port is formed.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Ⅵ)는 유동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모듈(61), 필터모듈(61)이 장착되는 필터장착부재(미도시) 및 필터장착부재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이동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lter assembly (VI)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filter module 61 that removes foreign substances from flowing air, a filter mounting member (not shown) in which the filter module 61 is mounted, and a movement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filter mounting member. It may include a member (not shown).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61)은, 필터장착부재 및 이동부재에 의해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즉, 필터모듈(61)은, 필터장착부재 및 이동부재에 의해 상부캐비닛(11)의 후방에 형성된 흡입구에 배치되거나, 상부캐비닛(11)의 측면의 외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filter module 6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hanged in arrangement by a filter mounting member and a moving member. That is, the filter module 61 may be disposed at the suction port formed at the rear of the upper cabinet 11 by the filter mounting member and the moving member, or may be disposed outside the side of the upper cabinet 11.

필터청소 어셈블리(Ⅶ)는 필터 어셈블리(Ⅵ)의 후방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필터 어셈블리(Ⅵ) 외측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필터청소 어셈블리(Ⅶ)는 상부캐비닛(11)의 후방에 배치되는 가이드레일(미도시)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The filter cleaning assembly VII is movably disposed behind the filter assembly VI, so that foreign matter outside the filter assembly VI can be removed. The filter cleaning assembly VII may move up and down along a guide rail (not shown) disposed at the rear of the upper cabinet 11.

필터청소 어셈블리(Ⅶ)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필터 어셈블리(Ⅵ) 외측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털어내고, 흡입하여, 필터모듈(61)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The filter cleaning assembly VII moves up and down along the guide rail, and removes foreign matter existing in the filter module 61 by brushing off and inhaling foreign matter existing outside the filter assembly VI.

필터청소 어셈블리(Ⅶ)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필터모듈(61)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청소기(71)와, 필터청소기(71)로 전원선(미도시)로 연결되며, 필터청소기(7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cleaning assembly VII is connected to a filter cleaner 71 that moves along a guide rail and removes foreign substances present in the filter module 61, and a power line (not shown) to the filter cleaner 71, A power supply device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lter cleaner 71 may be included.

<도어 어셈블리><Door assembly>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3, 도 16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do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3 and 16.

도어 어셈블리(Ⅱ)는, 전방토출구(211a)가 형성된 도어패널(21), 전방토출구(211a)를 개폐시키는 토출구커버(25), 도어패널(21)이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좌우로 이동시키는 도어무빙모듈(28), 토출구커버(25)의 위치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 및 도어패널(21)에 실내기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모듈(29)을 포함한다. The door assembly (II) includes a door panel 21 having a front discharge port 211a formed thereon, a discharge port cover 2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and the door panel 21 moving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cabinet assembly I. It includes a door moving module 28, a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 26 for vertically moving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port cover 25, and a display module 29 for visuall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indoor unit to the door panel 21.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Ⅱ)는, 도어패널(21)의 배면에 결합되고, 도어패널(21)의 구조를 지지하며, 패널토출구(23a)가 형성된 어퍼패널(23), 도어패널(21)의 배면에 결합되고, 도어패널(21)의 구조를 지지하며, 어퍼패널(23) 하측에 배치되는 로어패널(24), 어퍼패널(23) 상측에 배치되고, 실내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1900), 및 상단이 상기 토출구커버(25)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하단이 상기 어퍼패널(23)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토출구커버(25)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수납되는 케이블가이드(27)를 더 포함한다. The door assembly (II)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panel 21, supports the structure of the door panel 21, and has an upper panel 23, a door panel ( 21),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panel 21, supports the structure of the door panel 21, is disposed on the upper panel 23, the lower panel 24 disposed below the upper panel 23, and photographs an image of the interior. The camera module 1900 and the upper end are assembl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relative to the discharge port cover 25, the lower end is assembl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relative to the upper panel 23, and a cabl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cover 25 is accommodated. It further includes a cable guide (27).

<도어 어셈블리-도어패널><Door Assembly-Door Panel>

도어패널(21)은 실내기의 전면에 배치된다. 도어패널(21)은, 전면부(211)와, 전면부(211)의 좌측에 배치되고, 어퍼패널(23) 과 로어패널(24)의 좌측면을 커버하는 제1측면부(212a)와, 전면부(211)의 우측에 배치되고, 전면부(211)의 우측에 배치되고, 어퍼패널(23) 과 로어패널(24)의 우측면을 커버하는 제2측면부(212b)를 포함한다.The door panel 21 is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indoor unit. The door panel 21 includes a front portion 211 and a first side portion 212a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front portion 211 and covering the left side of the upper panel 23 and the lower panel 24, It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front part 211,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front part 211, and includes a second side part 212b covering the right side of the upper panel 23 and the lower panel 24.

전면부(211)에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전방토출구(211a)와, 전면부(211)의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디스플레이홀(211b)이 형성된다. ,A front discharge port 211a ope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display hole 211b ope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front part 211 are formed in the front part 211. ,

전방토출구(211a) 및 디스플레이홀(211b)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다. 디스플레이홀(211b)은 전방토출구(211a)의 하측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디스플레이홀(211b)가 전방토출구(211a)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and the display hole 211b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isplay hole 211b is located under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play hole 211b may be located above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전방토출구(211a)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전방토출구(211a)의 형상은 토출그릴(311)의 정면형상에 대응된다. 전방토출구(211a)를 통해 캐비닛 어셈블리(Ⅰ) 내부에 은닉된 토출그릴(311)이 외부로 노출된다.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shape of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corresponds to the front shape of the discharge grill 311. The discharge grill 311 hidden inside the cabinet assembly I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전방토출구(211a)이 개방될 때, 전방송풍모듈(31)이 전방토출구(211a) 방향으로 이동하여, 토출그릴(311)이 전방토출구(211a)를 관통해 도어패널(21) 보다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When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is opened, the pre-broadcast wind module 31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and the discharge grill 311 passes through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and protrudes forward than the door panel 21 Can be.

제1측면부(212a)는 전면부(211)의 좌측 가장자리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고, 전면부(211)의 배면에 고정된 어퍼패널(23)과 로어패널(24)의 좌측면을 커버한다. The first side portion 212a protrudes rearward from the left edge of the front portion 211 and covers the left side of the upper panel 23 and the lower panel 24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211.

제2측면부(212b)는 전면부(211)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고, 전면부(211)의 배면에 고정된 어퍼패널(23)과 로어패널(24)의 우측면을 커버한다. 상기 제1측면부(212a) 및 제2측면부(212b)는 어퍼패널(23)과 로어패널(24)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The second side portion 212b protrudes rearward from the right edge of the front portion 211 and covers the upper panel 23 and the right side of the lower panel 24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211. The first side portion 212a and the second side portion 212b block side surfaces of the upper panel 23 and the lower panel 24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본 실시예에서 도어패널(21)을 구성하는 전면부(211), 제1측면부(212a) 및 제2측면부(212b)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패널(21) 전체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어패널(21)은 전체가 알루미늄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portion 211, the first side portion 212a, and the second side portion 212b constituting the door panel 21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In this embodiment, the entire door panel 21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In particular, the door panel 21 may be entirely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제1측면부(212a)와 제2측면부(212b) 각각의 단부에는, 도어패널의 중심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제1밴딩부(212a1)와, 제2밴딩부(212b1)가 형성된다. 제1밴딩부(212a1)와 제2밴딩부(212b1) 각각과 전면부(211) 내측에는 어퍼패널(23)과 로어패널(24)이 배치될 수 있다.At ends of each of the first side portion 212a and the second side portion 212b, a first bending portion 212a1 and a second bending portion 212b1 vertically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door panel are formed. The upper panel 23 and the lower panel 24 may be disposed insid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ending parts 212a1 and 212b1 and the front part 211.

따라서, 전면부(211), 제1측면부(212a), 제2측면부(212b), 제1밴딩부(212a1)및 제2밴딩부(212b1)는, 전면부(211) 후방으로 어퍼패널(23)과, 로어패널(24)이 삽이되는 삽입공간(213)을 형성한다. 어퍼패널(23)과, 로어패널(24)은, 전면부(211) 후방에 형성되는 삽입공간(213)으로 끼워져, 고정배치될 수 있다. Therefore, the front portion 211, the first side portion 212a, the second side portion 212b, the first bending portion 212a1 and the second bending portion 212b1, the front portion 211, the upper panel 23 ), and an insertion space 213 into which the lower panel 24 is inserted. The upper panel 23 and the lower panel 24 may be inserted into an insertion space 213 formed behind the front part 211 and fixedly disposed.

어퍼패널(23)과 로어패널(24)은, 각각 별개로 제작하고, 어퍼패널(23)은 도어패널(21)의 상측으로 도어패널(21) 내부로 삽입하고, 로어패널(24)은 도어패널(21)의 하측으로 도어패널(2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The upper panel 23 and the lower panel 24 ar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the upper panel 23 is inserted into the door panel 21 above the door panel 21, and the lower panel 24 is a door It may be inserted into the door panel 21 under the panel 21.

어퍼패널(23) 및 로어패널(24)은 도어패널(21)의 삽입공간(213)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도어패널(21)을 지지하며, 도어패널(21)의 변형 및 휨을 방지할 수 있다. The upper panel 23 and the lower panel 24 are inserted and fixed in the insertion space 213 of the door panel 21, support the door panel 21, and prevent deformation and bending of the door panel 21. have.

본 실시예에서 어퍼패널(23) 및 로어패널(24)은, 외부 충격이 빈번하게 가해지는 전면부(211), 제1측면부(212a) 및 제2측면부(212b)를 지지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panel 23 and the lower panel 24 may support the front part 211, the first side part 212a, and the second side part 212b to which external impacts are frequently applied.

어퍼패널(23)은 판형상을 가지고, 도어패널(21)의 배면에 배치된다. 어퍼패널(23)에는, 어퍼패널(23)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전방토출구(211a)와 연통되도록 전방토출구(211a)의 후방에 위치하는 패널토출구(23a)가 형성된다. The upper panel 23 has a plate shape and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panel 21. The upper panel 23 is formed with a panel discharge port 23a located behind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so as to penetr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upper panel 23 and communicate with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패널토출구(23a)는 전방토출구(211a)에 대응된다. 전방토출구(211a)가 패널토출구(23a)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패널토출구(23a) 및 전방토출구(211a)는 모두 원형으로 형성된다. 토출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패널토출구(23a) 및 전방토출구(211a) 사이에 개스킷(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The panel discharge port 23a corresponds to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is located in front of the panel discharge port 23a. In this embodiment, both the panel discharge port 23a and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are formed in a circular shape. In order to prevent discharge air from leaking, a gasket (not shown)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anel discharge port 23a and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패널토출구(23a)은 전방토출구(211a)의 면적과 같거나 상기 전방토출구(211a)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스킷의 설치를 감안하여 상기 전방토출구(211a)의 직경보다 좀 더 크게 상기 패널토출구(23a)가 형성될 수 있다. The panel discharge port 23a may be formed equal to or larger than the area of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In this embodiment, in consideration of the installation of the gasket, the panel discharge port 23a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전방송풍모듈(31)의 토출그릴(450)은 패널토출구(23a) 및 전방토출구(211a)를 순서대로 관통하고, 상기 도어패널(21)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된다. The discharge grill 450 of the pre-broadcast wind module 31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panel discharge port 23a and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and protrudes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door panel 21.

본 실시예에서 어퍼패널(23)에 토출구커버(25) 및 디스플레이모듈(29)이 설치된다. In this embodiment, a discharge port cover 25 and a display module 29 are installed on the upper panel 23.

토출구커버(25) 및 디스플레이모듈(29) 모두 어퍼패널(23)에 조립된 상태에서 도어패널(21)에 장착될 수 있다. Both the discharge port cover 25 and the display module 29 may be mounted on the door panel 21 while being assembled to the upper panel 23.

어퍼패널(23)에는, 디스플레이모듈(29)이 장착되는 디스플레이모듈 장착부(232)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모듈 장착부(232)는 이하에서 설명할 디스플레이모듈(29)의 디스플레이 케이스(291)이 장착된다. 어퍼패널(23)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모듈 장착부(232)는, 디스플레이모듈 케이스(291)에 대응되는 형상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 장착부(232)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91)와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로 체결되는 체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panel 23 includes a display module mounting portion 232 on which the display module 29 is mounted. The display module mounting unit 232 is mounted with the display case 291 of the display module 29 to be described below. The display module mounting portion 232 formed on the upper panel 23 may have a hol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module case 291. The display module mounting part 232 may include a fastening part (not shown) that is fastened to the display case 291 with a separate fastening member (not shown).

디스플레이모듈(29)은, 디스플레이모듈 케이스(291)에 의해 어퍼패널(23)의 디스플레이모듈 장착부(232)에 고정된다. 디스플레이 케이스(291)를 통해 디스플레이모듈(29)이 어퍼패널(23)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The display module 29 is fixed to the display module mounting portion 232 of the upper panel 23 by the display module case 291. It is minimized that the display module 29 protrudes forward from the upper panel 23 through the display case 291.

디스플레이 케이스(291)는 상기 어퍼패널(23)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display case 291 may be disposed to penetrate the upper panel 23 in the front-rear direction.

디스플레이모듈(29)은 어퍼패널(23)에 조립된 상태에서 도어패널(21)의 디스플레이홀(211b)를 통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디스플레이홀(211b)를 통해 디스플레이모듈(29)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모듈(29)는 도어패널(21)의 전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When the display module 29 is assembled to the upper panel 23, a part of the display module 29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play hole 211b of the door panel 21. 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module 29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play hole 211b, the display module 29 may form a surface continuous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panel 21.

즉, 디스플레이모듈(29)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글라스(292) 전면은 도어패널(21)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도어패널(21)의 전면과 연속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That is,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glass 292 disposed in front of the display module 29 may not protrude forward than the door panel 21 and may form a plane continuous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panel 21.

디스플레이모듈(29)은 어퍼패널(23)을 관통하는 케이블을 통해 전원 및 전기적인 신호를 송수신한다. The display module 29 transmits and receives power and electrical signals through a cable passing through the upper panel 23.

토출구커버(25)는 어퍼패널(23)의 배면에 배치되고, 어퍼패널(23)의 배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discharge port cover 25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panel 23 and can be moved vertically along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panel 23.

토출구커버(25)가 전방토출구(211a)를 개방시킨 후, 하측으로 이동되면, 토출구커버(25)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9)과 같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When the discharge port cover 25 is moved downward after opening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the discharge port cover 25 may b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display module 29.

토출구커버(25)는 어퍼패널(23)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The discharge port cover 25 is dispos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panel 23.

본 실시예에서 어퍼패널(23) 및 로어패널(24)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다. 특히, 어퍼패널(23) 및 로어패널(24)은 상기 도어패널(21) 내부에서 상호 조립되기 때문에, 도어 어셈블리(Ⅱ)의 슬라이드 이동 시, 흔들림 또는 작동소음을 최소화시킨다.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panel 23 and the lower panel 24 ar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particular, since the upper panel 23 and the lower panel 24 are mutually assembled inside the door panel 21, shaking or operating noise is minimized when the door assembly II slides.

이를 위해 어퍼패널(23) 및 로어패널(24)은 억지끼움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어퍼패널(23) 및 로어패널(24) 중 어느 하나는 상대측으로 돌출된 패널돌출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돌출끼움부가 수용되는 패널끼움부(241)가 형성된다. To this end, the upper panel 23 and the lower panel 24 may be assembled in a force-fitting form. One of the upper panel 23 and the lower panel 24 has a panel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opposite side, and the other is formed with a panel fitting portion 241 accommodating the protruding fitting portion.

본 실시예에서는 어퍼패널(23)에 패널돌출부(233)가 형성된다. 상기 패널돌출부(233)는 어퍼패널(23)의 하단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된다. In this embodiment, a panel protrusion 233 is formed on the upper panel 23. The panel protrusion 233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upper panel 23.

로어패널(24)은, 도어패널(21)의 배면에 설치된다. 로어패널(24)은 도어패널(21)의 삽입공간(213)에 설치된다. 로어패널(24)은 어퍼패널(23) 하측에 위치되고, 어퍼패널(23)을 지지하며, 어퍼패널(23)과 조립된다. The lower panel 24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panel 21. The lower panel 24 is installed in the insertion space 213 of the door panel 21. The lower panel 24 is located under the upper panel 23, supports the upper panel 23, and is assembled with the upper panel 23.

로어패널(24)은 도어패널(21) 안에 설치되어 도어패널(21)의 변형을 방지한다. 로어패널(24)은 어퍼패널(23)과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어퍼패널(23)을 하측에서 지지한다. The lower panel 24 is installed in the door panel 21 to prevent the door panel 21 from being deformed. The lower panel 24 is coupled to the upper panel 23 by a force-fitting method, and supports the upper panel 23 from the lower side.

로어패널(24) 상측에 어퍼패널(23)에 패널돌출부(233)와 상호 끼움결합되는 패널끼움부(241)가 형성된다. 패널끼움부(241)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A panel fitting portion 241 that is fitted with a panel protruding portion 233 is formed on the upper panel 23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anel 24. The panel fitting portion 241 is formed to be concave downward.

상기 로어패널(24)에 도어구동부(282)가 설치된다. A door driving part 282 is installed on the lower panel 24.

<도어 어셈블리-토출구커버><Door assembly-Discharge port cover>

토출구커버(25)는 도어 어셈블리(Ⅱ)에 배치된 전방토출구(211a)를 개폐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The discharge port cover 25 is a configura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disposed in the door assembly II.

토출구커버(25)는 전방토출구(211a)를 개방시켜 전방송풍모듈(31)의 이동경로를 확장시킨다. 전방송풍모듈(31)는 개방된 전방토출구(211a)를 통해 도어 어셈블리(Ⅱ)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The discharge port cover 25 opens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to expand the moving path of the pre-broadcast wind module 31. The pre-broadcast wind module 31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door assembly II through the open front discharge port 211a.

토출구커버(25)는 전방송풍모듈(31)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한다. 전방토출구(211a)를 개방될 때, 토출구커버(25)는 전방송풍모듈(31)의 이동 경로 밖으로 이동된다. The discharge port cover 25 is locat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pre-broadcast wind module 31. When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is opened, the discharge port cover 25 is moved out of the moving path of the pre-broadcast wind module 31.

토출구커버(25)는, 전방토출구(211a)에 배치되고, 전방토출구(211a)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전방토출구(211a)를 개폐시키는 도어커버(251), 도어커버(251)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도어커버(251)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도어커버하우징(253), 및 도어커버하우징(253)와 도어커버(251) 사이에서 배치되고, 도어커버(251)를 도어커버하우징(253)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커버무빙모듈(미도시)을 포함한다. The discharge port cover 25 is disposed in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and is mov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to open and close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at least a part of the door cover 251 and the door cover 251 A door cover housing 253 that forms a space to be accommodated and adjusts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door cover 251, and is disposed between the door cover housing 253 and the door cover 251, and the door cover 251 is a door It includes a door cover moving module (not shown) that mov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from the cover housing 253.

도어커버(251)는, 전방토출구(211a)에 삽입되고, 도어패널(21)의 전면부(211)와 연속된 면을 제공한다. 도어커버무빙모듈(252)의 작동에 의해, 도어커버(251)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어커버(251)가 전방토출구(211a)에서 분리된 후,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의 작동시켜 토출구커버(25) 전체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door cover 251 is inserted into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and provides a surface continuous with the front portion 211 of the door panel 21. By the operation of the door cover moving module 252, the door cover 251 can be moved to the rear. After the door cover 251 is separated from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the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 26 is operated to move the entire discharge port cover 25 downward.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에 의해 도어커버(251)가 하측으로 이동되면, 전방토출구(211a)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다.When the door cover 251 is moved downward by the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 26,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is ope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도어 어셈블리-토출구커버무빙모듈><Door Assembly-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은 토출구커버(25)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도어패널(21)에 배치된 전방토출구(211a)를 개방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The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s 26a and 26b are configured to move the discharge port cover 25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et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disposed on the door panel 21 to an open state.

본 실시예에서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은 도어커버하우징(253)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은 1개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s 26a and 26b ar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oor cover housing 253, respectively.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only one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 26a, 26b may be disposed.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이 토출구커버(25)의 상하 위치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겸하기 때문에, 토출구커버(25)의 지지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을 좌우 2개 배치한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s 26a and 26b also function to fix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discharge port cover 25, the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 26a, in order to distribute the supporting load of the discharge port cover 25, 26b) are placed on the left and right.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은 토출구커버(25)를 도어패널(2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은 도어커버(251)가 결합된 도어커버하우징(253) 전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s 26a and 26b may move the discharge port cover 25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door panel 21. In particular, the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s 26a and 26b may move the entire door cover housing 253 to which the door cover 251 is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토출구커버(25)는 도어패널(21)의 삽입공간(213)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도어패널(21)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의 설치공간은 상기 삽입공간(213) 이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ischarge port cover 25 is moved along the insertion space 213 of the door panel 21. Since it is disposed inside the door panel 21,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s 26a and 26b be disposed below the insertion space 213.

본 실시예에서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는 도어패널(21)의 두께 이하로 설치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의 전후 방향 두께는 상기 도어패널(21)의 두께 이하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s 26a and 26b provide a structure to be installed to be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door panel 21. In this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s 26a and 26b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door panel 21.

전방토출구(211a)를 향하는 전방송풍모듈(31)의 이동경로에 배치된 도어커버(251)는,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의 작동에 의해 전방토출구(211a)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e door cover 251 dispos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pre-broadcast wind module 31 facing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may be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by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s 26a and 26b. .

도어커버(251)가 수직방향 하측으로 이동되면, 도어커버(251)의 어느 부분도 상기 전방토출구(211a)와 오버랩되지 않는다.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은 상기 전방송풍모듈(31)의 이동경로 밖으로 상기 도어커버하우징(253)을 이동시킨다. When the door cover 251 is moved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no part of the door cover 251 overlaps with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The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s 26a and 26b move the door cover housing 253 out of the moving path of the pre-broadcast wind module 31.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은 도어커버하우징(253)의 좌측에 배치된 제1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과, 도어커버하우징(253)의 우측에 배치된 제2토출구커버무빙모듈(26b)을 포함한다. The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s 26a and 26b include a first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 26a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door cover housing 253, and a second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 disposed at the right side of the door cover housing 253. 26b).

제1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및 제2토출구커버무빙모듈(26b)은 동일한 구성이고 좌우 대칭이다. The first outlet cover moving module 26a and the second outlet cover moving module 26b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are symmetrical left and right.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은, 도어패널(21) 또는 어퍼패널(23)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랙(234a, 234b)과, 토출구커버(25)에 배치되고, 랙(234a, 234b)과 치합되고, 회전 시 랙(234a, 234b)을 따라 이동되는 기어어셈블리(261a, 261b)와, 토출구커버(25)에 배치되고, 기어어셈블리(261a, 261b)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기어구동모터(262a, 262b)을 포함한다. The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s 26a and 26b are disposed on the door panel 21 or the upper panel 23, and are disposed on the racks 234a and 234b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discharge port cover 25, and the rack Gear assemblies 261a, 261b, which mesh with (234a, 234b) and move along the racks (234a, 234b) when rotated, and are disposed on the discharge port cover (25), and provide driving force to the gear assemblies (261a, 261b) It includes a gear drive motor (262a, 262b).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은, 기어어셈블리(261a, 261b) 및 기어구동모터(262a, 262b)이 설치되는 기어하우징(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립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어하우징에 기어어셈블리(261a, 261b) 및 기어구동모터(262a, 262b)를 조립한 후, 기어하우징을 도어커버하우징(253)에 조립할 수 있다. The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s 26a and 26b may further include a gear housing (not shown) in which the gear assemblies 261a and 261b and the gear drive motors 262a and 262b are installed. In order to facilitate assembly and repair, after assembling the gear assemblies 261a and 261b and the gear drive motors 262a and 262b to the gear housing, the gear housing may be assembled to the door cover housing 253.

기어어셈블리(261a, 261b)는, 토출구커버(25)에 배치되고, 랙(234a, 234b)과 맞물리는 제1기어(2611a, 2611b), 토출구커버(25)에 배치되고, 제1기어(2611a, 2611b)와 치합되는 제2기어(2612a, 2612b), 토출구커버(25)에 배치되고, 제2기어(2612a, 2612b)와 치합되는 제3기어(2613a, 2613b)와, 토출구커버(25)에 배치되고, 제3기어(2613a, 2613b)와 치합되고, 기어구동모터(262a, 262b)와 연결되어 회전되고,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웜기어(2614a, 2614b)를 포함한다. The gear assemblies 261a and 261b are disposed on the discharge port cover 25, the first gears 2611a and 2611b meshing with the racks 234a and 234b, and the discharge port cover 25 are disposed, and the first gear 2611a , The second gears 2612a and 2612b engaged with the 2611b, the third gears 2613a and 2613b disposed on the discharge port cover 25 and engaged with the second gears 2612a and 2612b, and the discharge port cover 25 The worm gears 2614a and 2614b are disposed on and engaged with the third gears 2613a and 2613b, are connected to and rotated with the gear drive motors 262a and 262b, and are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기어구동모터(262a, 262b)의 모터축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The motor shafts of the gear drive motors 262a and 262b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에 연결된 케이블도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밖에 없다.Since the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s 26a and 26b ar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able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s 26a and 26b are also inevitably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어 어셈블리(Ⅱ)의 전후 방향 두께가 폭에 비해 매우 작기 때문에,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이 상하로 이동될 때, 케이블의 꼬임이 발생될 수 있다. Since the thicknes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door assembly II is very small compared to the width, when the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s 26a and 26b are moved up and down, twisting of the cable may occur.

또한, 상하로 이동되는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 및 어퍼패널(23) 사이에 케이블이 끼워져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의 작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케이블가이드(27)가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cable is inserted between the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s 26a and 26b and the upper panel 23 moving up and down,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port cover moving modules 26a and 26b may be restricted. A cable guide 27 may be disposed to minimize such a problem.

케이블가이드(27)는 상측단이 토출구커버(25)에 조립되고, 하측단이 어퍼패널(23)에 조립된다. The upper end of the cable guide 27 is assembled to the discharge port cover 25, and the lower end of the cable guide 27 is assembled to the upper panel 23.

케이블가이드(27)는, 토출구커버(25)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케이블가이드(271)와, 어퍼패널(23)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케이블가이드(272)와, 제1케이블가이드(271) 및 제2케이블가이드(272) 각각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연결케이블가이드(273)를 포함한다. The cable guide 27 includes a first cable guide 271 assembled to the discharge port cover 25 to enable relative rotation, a second cable guide 272 assembled to the upper panel 23 to enable relative rotation, and 1 cable guide 271 and the second cable guide 272, respectively, and a connection cable guide 273 assembl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제1케이블가이드(271) 및 연결케이블가이드(273)는 180도 이내의 사이각을 형성하고, 토출구커버(25)가 하강될 때, 제1케이블가이드(271) 및 연결케이블가이드(273)의 사이각은 작아진다. The first cable guide 271 and the connection cable guide 273 form an angle within 180 degrees, and when the discharge port cover 25 is lowered, the first cable guide 271 and the connection cable guide 273 The angle between them becomes smaller.

제2케이블가이드(272) 및 연결케이블가이드(273)는 180도 이내의 사이각을 형성하고, 토출구커버(25)가 하강될 때, 제2케이블가이드(272) 및 연결케이블가이드(273)의 사이각은 작아진다.The second cable guide 272 and the connection cable guide 273 form an angle within 180 degrees, and when the discharge port cover 25 is lowered, the second cable guide 272 and the connection cable guide 273 The angle between them becomes smaller.

<도어 어셈블리-도어무빙모듈><Door Assembly-Door Moving Module>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는, 도어패널(21)을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무빙모듈(28)을 포함한다. The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oor moving module 28 that moves the door panel 2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cabinet assembly (I).

도어무빙모듈(28)은, 도어패널(21)에 장착되어 도어패널(21)의 좌우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281)과, 도어 어셈블리(Ⅱ)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구동부(282)를 포함한다. The door moving module 28 includes a guide rail 281 mounted on the door panel 21 to guide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door panel 21, and a door driving unit 282 that moves the door assembly II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cludes.

가이드레일(281)은, 도어 어셈블리(Ⅱ)의 상측에 배치된 탑레일(2811)과, 도어 어셈블리(Ⅱ)의 중간에 배치된 미들레일(2812)과, 도어 어셈블리(Ⅱ)의 하측에 배치된 바텀레일(2813)과, 도어 어셈블리(Ⅱ)에 조립되고, 도어 어셈블리(Ⅱ)의 상측에 배치되고,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상측에 걸쳐지는 탑서포터(2814)와, 캐비닛 어셈블리(Ⅰ)에 조립되고,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하측에 배치되고, 도어 어셈블리(Ⅱ)의 하단이 걸쳐지는 바텀서포터(2815)을 포함한다.The guide rail 281 is a top rail 2811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door assembly II, a middle rail 2812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door assembly II, and a lower side of the door assembly II. A bottom rail (2813), a top supporter (2814) assembled on the door assembly (II),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door assembly (II), and spanning the upper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I), and the cabinet assembly (I) And a bottom supporter 2815 which is assembled in the cabinet assembly, is disposed under the cabinet assembly I, and spans the lower end of the door assembly II.

탑레일(2811), 미들레일(2812) 및 바텀레일(2813)은 모두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탑레일(2811), 미들레일(2812) 및 바텀레일(2813)은 도어 어셈블리(Ⅱ) 및 캐비닛 어셈블리(Ⅰ) 사이에 배치된다. The top rail 2811, the middle rail 2812, and the bottom rail 2813 are all dispo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top rail 2811, the middle rail 2812, and the bottom rail 2813 are disposed between the door assembly II and the cabinet assembly I.

탑레일(2811)은, 도어 어셈블리(Ⅱ)의 배면에 배치되는 제1탑레일(28111) 및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전면에 조립되고, 제1탑레일(28111)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상대이동되는 제2탑레일(28112)를 포함한다. The top rail 2811 is assembled on the front of the first top rail 28111 and the cabinet assembly (I)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assembly (II), and moves relative to the first top rail (2811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includes a second top rail (28112).

본 실시예에서 제2탑레일(28112)은 탑서포터(2814)와 결합되고, 탑서포터(2814)가 캐비닛 어셈블리(Ⅰ)에 고정될 수 있다. 제1탑레일(28111) 및 제2탑레일(28112)은 상대이동 가능하게 조립된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top rail 28112 may be coupled to the top supporter 2814, and the top supporter 2814 may be fixed to the cabinet assembly (I). The first top rail 28111 and the second top rail 28112 are assembled to enable relative movement.

미들레일(2812)은, 도어 어셈블리(Ⅱ)의 배면에 배치되는 제1미들레일(28121) 및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전면에 조립되고, 제1미들레일(28121)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상대이동하는 제2미들레일(28122)를 포함한다. The middle rail 2812 is assembled on the front of the first middle rail 28121 and the cabinet assembly (I)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assembly (II), and moves relative to the first middle rail (2812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includes a second middle rail (28122).

바텀레일(2813)은, 도어 어셈블리(Ⅱ)의 배면에 배치되는 제1바텀레일(28131) 및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전면에 배치된 구조물에 조립되고, 제1바텀레일(28131)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상대이동하는 제2바텀레일(28132)를 포함한다. 제2바텀레일(28132)은, 바텀서포터(2815)와 결합되고, 바텀서포터(2815)가 캐비닛 어셈블리(Ⅰ)에 고정될 수 있다. The bottom rail 2813 is assembled on the first bottom rail 28131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assembly II and the structure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I, and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first bottom rail 28131 It includes a second bottom rail (28132) that moves relative to the direction. The second bottom rail 28132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supporter 2815, and the bottom supporter 2815 may be fixed to the cabinet assembly (I).

도어구동부(282)은 도어 어셈블리(Ⅱ) 또는 캐비닛 어셈블리(Ⅰ)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와 상호 간섭을 통해 슬라이드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The door driving unit 282 may be installed in either the door assembly II or the cabinet assembly I, and may implement slide movement through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other.

도어구동부(282)은, 도어 어셈블리(Ⅱ)에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랙(2821)과, 캐비닛 어셈블리(Ⅰ) 측 구조물에 배치되고, 랙(2821)과 치합되고, 회전 시 랙(2821)을 따라 이동되는 기어어셈블리(2822)와, 캐비닛 어셈블리(Ⅰ) 측 구조물에 배치되고, 기어어셈블리(2822)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기어구동모터(2823)와, 캐비닛 어셈블리(Ⅰ) 측 구조물에 배치되고, 기어어셈블리(2822)를 포함한다. The door drive unit 282 is disposed on the door assembly (II), and is disposed on a rack 2821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is disposed on a structure on the cabinet assembly (I) side, and is engaged with the rack (2821), and when rotated, the rack A gear assembly 2822 that is moved along the 2821, a gear drive motor 2823 disposed on a structure on the cabinet assembly (I) side and providing driving force to the gear assembly 2822, and a structure on the cabinet assembly (I) side It is disposed in, and includes a gear assembly (2822).

랙(2821)은, 미들레일(2812)의 하측에서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기어구동모터(2823)와 연결되는 기어어셈블리(2822)가 랙(2821)과 맞물리도록 랙(282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구동부(282)이 작동될 때, 가이드레일(281)이 도어 어셈블리(Ⅱ)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한다. 도어구동부(282)의 랙(2821) 및 기어어셈블리(2822)의 작동만으로도 도어 어셈블리(Ⅱ)의 슬라이드 이동이 구현될 수 있지만, 자연스러운 슬라이드 이동을 구현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가이드레일(281)이 도어 어셈블리(Ⅱ)의 자연스러운 이동을 구현한다.The rack 2821 is disposed elong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of the middle rail 2812, and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rack 2821 so that the gear assembly 2822 connected to the gear drive motor 2823 meshes with the rack 281. Can be placed. When the door drive unit 282 is operated, the guide rail 281 guides the sliding movement of the door assembly II. The sliding movement of the door assembly II can be implemented only by the operation of the rack 2821 and the gear assembly 2822 of the door drive unit 282, but there is a limit to implementing the natural sliding movement, so the guide rail 281 is not suitable for the door. It realizes the natural movement of the assembly (II).

<도어 어셈블리-카메라모듈><Door Assembly-Camera Module>

카메라모듈(22)은 도어 어셈블리(Ⅱ)의 상부에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작동된다. 카메라모듈(22)은 작동시에만 도어 어셈블리(Ⅱ) 밖으로 노출되고, 작동되지 않을 때에는 도어 어셈블리(Ⅱ) 내부에 숨겨진다. The camera module 22 is disposed above the door assembly II and is selectively operated. The camera module 22 is exposed outside the door assembly (II) only during operation, and is hidden inside the door assembly (II) when it is not operated.

카메라모듈(22)은, 도어 어셈블리(Ⅱ)에 배치되고, 상측을 향해 개구된 카메라개구부(221a)가 형성된 카메라모듈 하우징(221)과, 카메라모듈 하우징(221)에 배치되고, 카메라모듈 하우징(221)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카메라개구부(221a)를 통해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카메라(222)를 포함한다. The camera module 22 is disposed in the door assembly II, the camera module housing 221 having a camera opening 221a opened toward the upper side, and the camera module housing 221, the camera module housing ( It includes a camera 222 that is mov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221 and is selectively exposed through the camera opening 221a.

카메라모듈(22)은, 카메라(2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카메라(222)를 제어하는 카메라제어부(미도시)와, 카메라모듈 하우징(221)에 배치되고, 카메라(222)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카메라이동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The camera module 2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mera 222 and is disposed in a camera control unit (not shown) that controls the camera 222 and the camera module housing 221, and moves the camera 222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further includes a camera moving module (not shown) to move.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모듈 하우징(221)은 어퍼패널모듈(1110)과 별도로 제작되고, 어퍼패널(2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모듈 하우징(221)은 도어패널(21)의 후방향으로 형성된 삽입공간(213) 상측을 커버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amera module housing 221 is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upper panel module 1110 and may be disposed above the upper panel 23. The camera module housing 221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insertion space 213 formed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door panel 21.

<도어 어셈블리-디스플레이모듈><Door assembly-display module>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3.

디스플레이모듈(29)은 상기 도어패널(21)에 배치되고, 도어패널(21)을 투과하여 시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29 is disposed on the door panel 21 and passes through the door panel 21 to provide visual information to the user.

디스플레이모듈(29)은 도어패널(21)을 관통하여 일부가 노출되고, 노출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패널(21)에 형성된 디스플레이홀(211b)을 통해 디스플레이모듈(29)의 정보가 사용자에게 전달된다.The display module 29 is partially exposed through the door panel 21, and visual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exposed display. In this embodiment, information on the display module 29 is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hole 211b formed in the door panel 21.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29)는, 터치패널(294)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실내기의 작동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29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touch panel 294 to receive a user's command and provid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indoor unit to the user.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29)는, 시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295), 디스플레이(295)가 장착되고, 도어패널(21)의 후방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295)의 위치를 고정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91), 디스플레이(295) 전방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접촉에 의한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패널(294), 디스플레이(295) 전방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모듈(29)의 전방을 커버하는 전방글라스(292), 전방글라스(292)의 후방에 배치되고,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근접센서모듈(296), 전방글라스(292)와 디스플레이(295) 사이에서 제1근접센서(2961)가 배치되는 간격을 유지하는 후방커버(293)를 포함한다. In the display module 29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display 295 for providing visual information to a user and a display 295 are mounted, and the position of the display 295 disposed at the rear of the door panel 21 is located. A display case 291 to be fixed, a touch panel 294 disposed in front of the display 295, sensing an input due to a user's contact, and disposed in front of the display 295, covering the front of the display module 29 A proximity sensor module 296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ront glass 292 and the front glass 292 to measure the distance to the user, and a first proximity sensor 2961 between the front glass 292 and the display 295 ) Includes a rear cover 293 that maintains the interval at which it is arranged.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29)은, 외부에 위치하는 리모컨 송신기(미도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리모콘 수신모듈(29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29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remote control receiving module 297 receiving a signal from an externally located remote control transmitter (not shown).

디스플레이(295)는, 화면이 출력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295)는 사각형의 판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전방글라스(292)가 형성하는 크기만큼의 원형의 표시부를 가질 수 있다. The display 295 may be configur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odule on which a screen is output. The display 295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have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may have a circular display portion having a size formed by the front glass 292 therein.

디스플레이(295)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91)의 일측에 장착된다. 디스플레이(295)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91)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착부(2911)에 장착된다. 디스플레이(295)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91)에 별도의 접착부재를 통해 접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착부(2911)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91)의 일면에서 후방으로 오목한 홈부를 형성한다. 디스플레이 장착부(2911)가 형성하는 홈부는 디스플레이(295)가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295)의 외둘레가 끼워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display 295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case 291. The display 295 is mounted on the display mounting portion 2911 formed in the display case 291. The display 295 may be adhered to the display case 291 through a separate adhesive member. The display mounting portion 2911 forms a recessed rearward from one surface of the display case 291. The groove formed by the display mounting portion 2911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isplay 295 can be fitted so that the display 295 can be mounted and fixed.

디스플레이 케이스(291)는, 디스플레이(295) 및 터치패널(294)의 구성을 고정시키고, 도어패널(21)에 고정배치된다. 디스플레이 케이스(291)는, 어퍼패널(23)의 일측에 장착된다. 디스플레이 케이스(291)는, 어퍼패널(23)의 디스플레이모듈 장착부(2911)에 장착 및 체결된다. 디스플레이 케이스(291)는 어퍼패널(23)과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부(2915)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케이스(291)는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어퍼패널(23)에 체결된다. The display case 291 fixes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295 and the touch panel 294 and is fixedly disposed on the door panel 21. The display case 291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nel 23. The display case 291 is mounted and fastened to the display module mounting portion 2911 of the upper panel 23. The display case 291 includes a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2915 that are fastened to the upper panel 23. The display case 291 is fastened to the upper panel 23 through a separate fastening member (not shown).

디스플레이 케이스(291)는 사각형의 판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케이스(291)는 좌우방향보다 상하방향이 긴 직사각형의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케이스(291)는, 디스플레이(295)가 장착되는 케이스 상부(291a)와, 이하에서 설명할 터치패널회로기판(2941)이 장착되는 케이스 하부(291b)와, 케이스 상부(291a)와 케이스 하부(291b)를 연결하고, 터치패널(294)와 터치패널회로기판(2941)을 연결하는 터치 케이블(2942)이 장착되는 연결케이스(291c)로 구분될 수 있다. The display case 291 may have a rectangular plate shape. The display case 291 may have a rectangular plate shape whose vertical direction is longer than that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display case 291 includes an upper case 291a on which the display 295 is mounted, a lower case 291b on which a touch panel circuit board 291 described below is mounted, and an upper case 291a and a lower case. The connection case 291b may be divided into a connection case 291c in which a touch cable 294 connecting the touch panel 294 and the touch panel circuit board 2941 is mounted.

케이스 상부(291a)에는, 디스플레이(295), 제1근접센서(2961), 터치패널(294), 전방글라스(292) 및 후방커버(293)가 장착된다. A display 295, a first proximity sensor 2916, a touch panel 294, a front glass 292, and a rear cover 293 are mounted on the upper case 291a.

디스플레이 케이스(291)에는, 디스플레이(295)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착부(2911)를 형성한다. 케이스 상부(291a)에, 디스플레이 장착부(2911)가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장착부(2911)는, 판형상의 디스플레이 케이스(291)의 후방으로 디스플레이(295)가 삽입될 수 있는 사각형의 오목한 홈을 형성한다. 디스플레이 장착부(2911)가 형성하는 홈은, 사각형의 판형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295)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In the display case 291, a display mounting portion 2911 on which the display 295 is mounted is formed. In the case upper portion 291a, a display mounting portion 2911 is formed. The display mounting portion 2911 forms a rectangular concave groove into which the display 295 can be inserted into the rear of the plate-shaped display case 291. The groove formed by the display mounting portion 2911 forms a space in which the display 295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can be inserted.

또한, 디스플레이 케이스(291)에는, 터치패널(294)의 일부가 삽입되는 터치패널장착부(2912)를 형성한다. 터치패널장착부(2912)는, 디스플레이 장착부(2911)의 전방에 형성되고, 터치패널(294)의 크기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장착부(2911)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Further, in the display case 291, a touch panel mounting portion 2912 into which a part of the touch panel 294 is inserted is formed. The touch panel mounting part 2912 is formed in front of the display mounting part 2911 and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display mounting part 2911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touch panel 294.

터치패널 장착부(2912)의 상측에는,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터치패널 고정부(2913)가 형성된다. 터치패널 고정부(2913)는, 터치패널(294)이 터치패널 장착부(2912)에 장착될 때, 터치패널(294)에 형성된 제1홀(2943)이 형성된 부분에 삽입될 수 있다. 터치패널 고정부(2913)는, 제1홀(2943)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면과 맞닿을 수 있다. On the upper side of the touch panel mounting part 2912, a touch panel fixing part 2913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When the touch panel 294 is mounted on the touch panel mounting part 2912, the touch panel fixing part 2913 may be inserted into a portion in which the first hole 294 formed in the touch panel 294 is formed. The touch panel fixing part 2913 may contact surface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hole 2943.

디스플레이 케이스(291)에는, 터치패널 장착부(2912)의 하측으로 터치 케이블(2942)이 장착되는 터치케이블 장착부(2916)와, 터치패널회로기판(2941)이 장착되는 터치패널회로기판 장착부(2914)가 형성될 수 있다. In the display case 291, a touch cable mounting portion 2916 on which a touch cable 2924 is mounted under the touch panel mounting portion 2912, and a touch panel circuit board mounting portion 2914 on which the touch panel circuit board 291 is mounted. Can be formed.

터치케이블 장착부(2916)는, 연결케이스(291c)에 배치되고, 터치패널회로기판 장착부(2914)는 케이스 하부(291b)에 배치된다. The touch cable mounting part 2916 is disposed in the connection case 291c, and the touch panel circuit board mounting part 2914 is disposed in the case lower part 291b.

디스플레이(295) 전방에는, 터치패널(294)이 배치된다. 터치패널(294)은, 디스플레이(295)와 접착제 또는 테이프를 이용하여 접착될 수 있다. 터치패널(294)은, 사용자의 전방글라스(292)의 터치조작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패널(294)은, 인쇄방식이나, 필름 접착방식 등 전방글라스(292)를 터치하여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In front of the display 295, a touch panel 294 is disposed. The touch panel 294 may be adhered to the display 295 using an adhesive or tape. The touch panel 294 may be configured to sense a user's touch operation of the front glass 292. The touch panel 294 can be applied in a variety of ways that can be input by touching the front glass 292, such as a printing method or a film adhesive method.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294)은, 사각형의 판형상을 형성하고, 상측에 제1근접센서(2961)가 배치되도록 제1홀(2943)이 형성되고, 하측에 리모콘수신센서(2971)가 배치되도록 제2홀(2944)이 형성된다. The touch panel 29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a first hole 2943 is formed so that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a remote control receiving sensor 2971 is formed at the lower side. A second hole 2944 is formed so as to be disposed.

제1홀(2943)에는, 제1근접센서(2961)의 후방으로 배치되는 터치패널 고정부(2913)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터치패널(294)은, 전방글라스(292)로 노출되는 영역만이 터치기능이 활성화되도록 사용할 수 있다. In the first hole 2943, a part of the touch panel fixing part 2913 disposed behind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may be disposed. The touch panel 294 can be used to activate a touch function only in an area exposed to the front glass 292.

제2홀(2944)에는, 리모콘수신센서(2971)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In the second hole 2944, a part of the remote control receiving sensor 2971 may be inserted.

터치패널(294)은, 터치 케이블(2942)을 통해 터치패널회로기판(2941)과 연결된다. 따라서, 터치패널(294)로 수신된 입력신화 터치 케이블(2942)을 통해 터치패널회로기판(2941)으로 전송될 수 있다. The touch panel 294 is connected to the touch panel circuit board 2941 through a touch cable 2942. Accordingly,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touch panel circuit board 2941 through the input myth touch cable 2942 received through the touch panel 294.

터치패널(294)의 전방으로 하부커버(293)와 전방글라스(292)가 배치된다. A lower cover 293 and a front glass 292 are disposed in front of the touch panel 294.

전방글라스(292)는, 도어패널(21)에 형성된 디스플레이홀(211b)을 커버한다. 전방글라스(292)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모듈(29)을 보는 전방에 배치된다. 사용자가 터치패널(294)의 기능을 이용할 때, 사용자는 전방글라스(292)를 접촉하여, 터치패널(294)을 조작할 수 있다. The front glass 292 covers the display hole 211b formed in the door panel 21. The front glass 292 is disposed in front of the user looking at the display module 29. When the user uses the function of the touch panel 294, the user can manipulate the touch panel 294 by touching the front glass 292.

전방글라스(292)는, 유리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방글라스(292)는, 원형의 판형상을 가진다. 전방글라스(292)는, 도어패널(21)의 전면부(211)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로써, 전면부(211)와 연속한 면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front glass 292 may be formed of a glass material. The front glass 292 has a circular plate shape. The front glass 292 may be dispos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front portion 211 of the door panel 21. However, as another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continuous surface with the front portion 211.

전방글라스(292)는, 실내기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2921)과, 후방커버(293)에 대향하는 후면(292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ront glass 292 may include a front surface 2921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ndoor unit and a rear surface 2922 facing the rear cover 293.

전방글라스(292)는, 전방글라스(292)의 후면(2922)에 형성되고, 전방글라스(292)의 테두리부분을 따라 인쇄된 제1인쇄부(2923)와, 전방글라스(292)의 후면(2922)에 형성되고, 제1인쇄부(2923)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인쇄된 제2인쇄부(2924)와, 제1인쇄부(2923)와 제2인쇄부(2924)사이에서 인쇄되지 않은 센서노출부(2925)를 포함한다. 제1인쇄부(2923)와 제2인쇄부(2924) 사이에 이격된 간격(D1)은, 제1근접센서(2961)의 상하방향 길이(L1)를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인쇄부(2923)와 제2인쇄부(2924) 사이에 이격된 간격(D1)은, 제1근접센서(2961)의 상하방향 길이(L1)보다 크게 형성된다. The front glass 292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2922 of the front glass 292, and has a first printing unit 2923 printed along the edge of the front glass 292,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glass 292 ( Between the second printing unit 2924 and the first printing unit 2923 and the second printing unit 2924, which are formed in 2922 and are print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first printing unit 2923. It includes a sensor exposed portion 2925 that is not printed. The spaced distance D1 between the first printing unit 2923 and the second printing unit 2924 may be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vertical length L1 of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That is, the distance D1 spaced apart between the first printing unit 2923 and the second printing unit 2924 is formed larger than the vertical length L1 of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전방글라스(292)가 후방커버(293) 및 제1근접센서(2961)와 리모콘수신센서(2971)가 디스플레이 케이스(291)에 장착될 때, 제1근접센서(2961)와 리모콘수신센서(2971)는, 센서노출부(2925)의 후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When the front glass 292 is mounted on the rear cover 293 and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16 and the remote control receiving sensor 2971 are mounted on the display case 291,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1 and the remote control receiving sensor 2971 ) May be disposed behind the sensor exposure unit 2925.

전방글라스(292)의 후방에는, 후방커버(293)가 배치된다. 후방커버(293)는, 원판형상을 가지고, 전방글라스(292)의 후방에 배치된다. 후방커버(293)는, 전방글라스(292)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원판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후방커버(293)와 전방글라스(292)의 직경이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A rear cover 293 is disposed behind the front glass 292. The rear cover 293 has a disk shape and is disposed behind the front glass 292. The rear cover 293 may have a disk shape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front glass 292. However, this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diameters of the rear cover 293 and the front glass 292 are formed differently.

후방커버(293)는 전방글라스(292)와 동일한 유리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후방커버(293)는, 아크릴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rear cover 293 may be formed of the same glass material as the front glass 292. The rear cover 293 may be formed of an acrylic material.

후방커버(293)의 상측에는, 제1근접센서(2961)의 일부가 배치되는 근접센서홀(2934)이 형성된다. 후방커버(293)의 하측에는, 리모콘수신센서(2971)의 일부가 배치되는 리모콘수신센서홀(2935)이 형성된다.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cover 293, a proximity sensor hole 2934 in which a part of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is disposed is formed. Under the rear cover 293, a remote control receiving sensor hole 2935 is formed in which a part of the remote control receiving sensor 2971 is disposed.

후방커버(293)와 전방글라스(292)는,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있다. 후방커버(293)는, 터치패널(294) 전방에 배치된다. The rear cover 293 and the front glass 292 may be bonded with an adhesive. The rear cover 293 is disposed in front of the touch panel 294.

후방커버(293)는, 전방글라스(292)와 대향하는 전면(2931)과 터치패널(294)과 대향하는 후면(2932)을 포함한다. 후방커버(293)의 전면(2931)에는, 후방커버(293)의 테두리를 따라 인쇄된 후방커버인쇄부(2933)를 포함한다. 후방커버인쇄부(2933)는, 후방커버(293)의 외주에서 근접센서홀(2934)이 형성되는 부분까지 인쇄된다. 후방커버인쇄부(2933)의 내측단부(29331)는, 전방글라스(292)의 제2인쇄부(2924)의 내측단부(29241)와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The rear cover 293 includes a front surface 2931 facing the front glass 292 and a rear surface 2932 facing the touch panel 294. The front surface 2931 of the rear cover 293 includes a rear cover printing unit 2933 printed along the edge of the rear cover 293. The rear cover printing unit 2933 is printe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ar cover 293 to a portion where the proximity sensor hole 2934 is formed. The inner end portion 29331 of the rear cover printing portion 2933 may have the same diameter as the inner end portion 29241 of the second printing portion 2924 of the front glass 292. therefore,

후방커버(293)와 전방글라스(292)는, 후방커버인쇄부(2933)의 내측단부(29331)와, 전방글라스(292)의 제2인쇄부(2924)의 내측단부(29241)가 동일한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접착될 수 있다. The rear cover 293 and the front glass 292 are concentric with the inner end 29331 of the rear cover printing unit 2933 and the inner end 29241 of the second printing unit 2924 of the front glass 292 Can be bonded to form.

후방커버(293)와 전방글라스(292)가 접착될 때, 후방커버(293)에 형성되는 근접센서홀(2934)의 전방은, 센서노출부(2925)를 통해 외부로 시야가 확보될 수 있다. 후방커버(293)와 전방글라스(292)가 접착될 때, 후방커버(293)에 형성되는 리모콘수신센서홀(2935)의 전방은, 센서노출부(2925)를 통해 외부로 시야가 확보될 수 있다.When the rear cover 293 and the front glass 292 are adhered, the front of the proximity sensor hole 2934 formed in the rear cover 293 can be secur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nsor exposed portion 2925. . When the rear cover 293 and the front glass 292 are bonded, the front of the remote control receiving sensor hole 2935 formed in the rear cover 293 can secure a view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nsor exposure unit 2925. have.

근접센서모듈(296)은, 대상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근접센서(2961), 제1근접센서(2961)로부터 인식되는 신호를 전달받는 근접센서회로기판(2962), 제1근접센서(2961)의 둘레에 배치되고, 전방글라스(292)와, 근접센서회로기판(2962) 사이에 배치되는 제1근접센서(2961)의 공간을 확보하는 리플렉터(2963)를 포함한다. The proximity sensor module 296 includes a first proximity sensor 2961 for measuring a distance to an object, a proximity sensor circuit board 2962 receiving a signal recognized from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and a first proximity sensor ( It includes a reflector (2963) disposed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2961 and securing a space of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disposed between the front glass (292) and the proximity sensor circuit board (2962).

제1근접센서(2961)는 대상체의 위치, 즉 대상체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의미한다. 제1근접센서(2961)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refers to a sensor capable of measuring a location of an object, that is, a distance to the object.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may b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methods.

예를 들어, 제1근접센서(2961)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may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etc. It can be implemented in a form.

이외에도, 제1근접센서(2961)는 당업자에게 기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전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may b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method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제1근접센서(2961)는 적외선 근접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제1근접센서(2961)는 실내기의 전면과 사용자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제1근접센서(2961)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사용자가 위치할 때, 근접센서회로기판(2962)으로 신호를 보낼 수 있다.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use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may measure a distance between the front of the indoor unit and the user.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proximity sensor circuit board 2962 when the user is located within a preset distance.

도 15를 참조하면, 제1근접센서(2961)는 도어패널(21)로부터 제1설정거리범위(R1)에 위치한 대상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설정거리범위(R1)는, 도어패널(21)부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의 구역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제1설정거리범위(R1)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2근접센서(124)가 감지하는 영역인 제2설정거리범위(R2)보다 원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may detect an object located in a first set distance range R1 from the door panel 21. Here, the first set distance range R1 may mean including all areas within a set distance range from the door panel 21. The first set distance range R1 may include a longer distance than the second set distance range R2, which is an area detected by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다만, 제1근접센서(2961)는 디스플레이모듈(29)에 배치되므로, 사용자의 시선이나 조작이 용이한 상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일정 높이 이상의 범위에서 제1설정거리범위(R1)에 위치한 대상체를 감지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is disposed on the display module 29, it is disposed above the user's gaze and easy manipulation. Accordingly, an object located in the first set distance range R1 in a range of a certain height or higher may be detected.

제1근접센서(2961)는 근접센서회로기판(2962)의 전방면에 배치된다. 제1근접센서(2961)는 근접센서회로기판(2962)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1근접센서(2961)는, 전방글라스(292) 후방에 배치된다. 제1근접센서(2961)는, 전방글라스(292)의 제1인쇄부(2923)와 제2인쇄부(2924) 사이에 형성되는 센서노출부(2925) 후방에 배치된다. 제1근접센서(2961)는, 후방커버(293)의 근접센서홀(2934)에 배치된다.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roximity sensor circuit board 2962.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is disposed under the proximity sensor circuit board 2962.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is disposed behind the front glass 292.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is disposed behind the sensor exposed portion 2925 formed between the first printing portion 2923 and the second printing portion 2924 of the front glass 292.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is disposed in the proximity sensor hole 2934 of the rear cover 293.

근접센서회로기판(2962)은, 전방면에 제1근접센서(2961)가 장착되고, 제1근접센서(2961)에서 송신한 신호를 전달받는다. 근접센서회로기판(2962)은, 터치패널 고정부(2913)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근접센서회로기판(2962)은, 별도의 체결수단(2964)으로, 디스플레이 케이스(291)에 체결되어, 제1근접센서(2961)의 배치를 고정한다. The proximity sensor circuit board 2962 is equipped with a first proximity sensor 2961 on a front surface thereof, and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The proximity sensor circuit board 2962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touch panel fixing part 2913. The proximity sensor circuit board 2962 is fastened to the display case 291 by a separate fastening means 2864 to fix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근접센서회로기판(2962)에는, 제1근접센서(2961)둘레로 리플렉터(2963)가 배치된다. 리플렉터(2963)는, 전방글라스(292) 후방에 배치되는 제1근접센서(2961)의 배치공간을 확보한다. 리플렉터(2963)는 사각형의 링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제1근접센서(2961)가 배치된다. 리플렉터(2963)의 두께는, 제1근접센서(2961)의 전후방향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On the proximity sensor circuit board 2962, a reflector 2963 is disposed around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The reflector 2963 secures an arrangement space of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disposed behind the front glass 292. The reflector 2963 has a rectangular ring shape, and a first proximity sensor 2961 is disposed therein. The thickness of the reflector 2963 is formed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in the front-rear direction.

리모콘 수신모듈(297)은, 실내기의 외부에 위치하는 리모컨(미도시)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리모콘수신센서(2971)와, 리모컨에서 송신되어, 리모콘수신센서(2971)로 전달된 신호를 전달받는 리모콘수신센서 회로기판(2972)을 포함한다. The remote control receiving module 297 includes a remote control receiving sensor 2971 that receives a signal from a remote control (not shown) located outside the indoor unit, and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and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receiving sensor 2971. It includes a remote control receiving sensor circuit board 2972.

토출구커버(25)가 전방토출구(211a)를 모두 개방할 때, 디스플레이모듈(29)의 후방으로 토출구커버(25)가 배치된다. 토출구커버(25)가 전방토출구(211a)를 모두 개방할 때, 토출구커버(25)는, 디스플레이모듈(29)과 내부패널(15) 사이에 배치된다. When the discharge port cover 25 opens all of the front discharge ports 211a, the discharge port cover 25 is disposed behind the display module 29. When the discharge port cover 25 opens all of the front discharge ports 211a, the discharge port cover 25 is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module 29 and the inner panel 15.

<베이스부 하단><Bottom of the base>

이하에서는, 도 2, 도 14 내지 도 15, 도 17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 하단의 센서배치공간에 배치되는 구성을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2, 14 to 15, and 17, a configuration arranged in the sensor arrangement space below the bas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베이스부(12)는, 하단부에 전방으로 개구되고, 내측으로 각종 센서가 배치되는 센서배치공간(12a)을 형성한다. 베이스부(12)의 센서배치공간(12a)은, 내측에 센서배치공간(12a)이 형성되고, 전면이 개구된다. 베이스부(12)는, 센서배치공간(12a)의 개구된 전면을 커버하는 베이스부 하단커버(121)를 포함한다. The base portion 12 is opened to the front at the lower end and forms a sensor arrangement space 12a in which various sensors are disposed. In the sensor arrangement space 12a of the base portion 12, a sensor arrangement space 12a is formed inside, and the front surface is opened. The base portion 12 includes a base portion lower cover 121 that covers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sensor arrangement space 12a.

센서배치공간(12a)에는, 실내기에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접근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2근접센서(124)와 실내기 전방으로 제2근접센서(124)가 감지하는 영역을 표시하는 프로젝션모듈(123) 및 제2근접센서(124)와 프로젝션모듈(123)이 장착되는 센서하우징(122)이 설치될 수 있다. In the sensor arrangement space 12a, a second proximity sensor 124 that senses the user's approach to the indoor unit and generates and outpu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s access, and a second proximity sensor 124 in front of the indoor unit are detected. The projection module 123 and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that displays the area to be displayed, and the sensor housing 122 in which the projection module 123 is mounted may be installed.

베이스부 하단커버(121)에는, 제2근접센서(124)가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제2근접센서홀(121a)과, 프로젝션모듈(123)이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프로젝션홀(121b)이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부 하단커버(121)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스피커(125)가 장착되는 부분에서 전방으로 개구된 스피커홀(121d)과, 마이크(126a, 126b)가 장착되는 부분에서 전방으로 개구된 마이크홀(121c)이 형성된다. In the base lower cover 121, a second proximity sensor hole 121a opened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and a projection hole 121b opened in a direction toward the projection module 123 are formed. do. In addition, in the lower cover 121 of the base, a speaker hole 121d that is opened forward from the part where the speaker 125 is mounted,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nd the speaker hole 121d that is opened forward from the part where the microphones 126a and 126b are mounted. A microphone hole 121c is formed.

베이스부 하단커버(121)의 후방에는, 제2근접센서(124)와 프로젝션모듈(123)이 장착된다. 베이스부 하단커버(121)의 후방에는, 스피커(125)와 마이크(126a, 126b)가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부 하단커버(121)는, 도어 어셈블리(Ⅱ)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부(12)의 개구된 하단에 장착된다. At the rear of the base lower cover 121, a second proximity sensor 124 and a projection module 123 are mounted. A speaker 125 and microphones 126a and 126b may be mounted at the rear of the base lower cover 121. The base portion lower cover 121 is mounted on the opened lower end of the base portion 12 disposed under the door assembly II.

제2근접센서(124)는 도어 어셈블리(Ⅱ)의 하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2근접센서(124)는 좌우로 이동하는 도어 어셈블리(Ⅱ)에 의해 작동이 방해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근접센서(124)는, 도어 어셈블리(Ⅱ) 전방의 특정영역을 감지할 수 있다. 제2근접센서(124)는, 프로젝션모듈(123)이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영역으로 사용자의 신체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is disposed under the door assembly II. Therefore, the operation of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is not disturbed by the door assembly II moving left and right.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detect a specific area in front of the door assembly II.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may detect that the user's body approaches the area in which the projection module 123 displays a graphic object.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근접센서(124)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H1)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근접센서(124)는, 센서배치공간(12a)이 형성하는 높이(H2)보다 낮은 위치에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근접센서(124)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높이(H1)는, 센서배치공간(12a)이 형성하는 높이의 0.4배 내지 0.6배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근접센서(124)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높이(H1)는, 사용자의 발등높이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loor by a predetermined height H1.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height H2 formed by the sensor arrangement space 12a. The height H1 of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may be formed at 0.4 to 0.6 times the height formed by the sensor arrangement space 12a. The height H1 of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paced apart from the floor surface may be formed as the height of the user's instep.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근접센서(124)는, 지면에 나란한 방향을 감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근접센서(124)는 프로젝션모듈(123)이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바닥부분의 상측을 감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disposed to sense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That is,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may detect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portion where the projection module 123 displays the graphic object.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제2근접센서(124)가 프로젝션모듈(123)이 표시하는 영역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근접센서(124)가, 프로젝션모듈(123)이 표시하는 바닥부분을 향하도록 전방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However, this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may be disposed to face the area displayed by the projection module 123. That is,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may be disposed inclined forward and downward toward the bottom portion displayed by the projection module 123.

제2근접센서(124)는 제1근접센서(2961)가 감지할 수 있는 영역보다 짧은 영역에 배치된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제2근접센서(124)는 제2설정거리범위(R2)에 위치한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2설정거리범위(R2)는 프로젝션모듈(123)이 그래픽 오브젝트를 투사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설정거리범위(R2)는 제1근접센서(2961)가 감지하는 영역보다 낮고, 좁은 범위를 감지할 수 있다.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may detect a user disposed in an area shorter than an area that can be detected by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may detect a user located in the second set distance range R2. Referring to FIG. 16, the second set distance range R2 may include an area in which the projection module 123 projects a graphic object. The second set distance range R2 is lower than the area sensed by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and may detect a narrow range.

본 실시예에 따른 제2근접센서(124)는, 제1근접센서(2961)와 연계되어 작동할 수 있다. 즉, 제1근접센서(2961)가 도어 어셈블리(Ⅱ) 전방으로 일정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를 감지할 때, 제2근접센서(124)가 작동할 수 있다.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operate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That is, when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detects a user located in a predetermined area in front of the door assembly II,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may operate.

본 실시예에 따른 제2근접센서(124)는, 디스플레이모듈(29)의 터치패널(294)과 연계되어 작동할 수 있다. 즉, 터치패널(294)이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때, 제2근접센서(124)가 작동할 수 있다.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operate in connection with the touch panel 294 of the display module 29. That is, when the touch panel 294 recognizes a user's touch,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may operate.

프로젝션모듈(123)은, 제2근접센서(124)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근접센서(124)가 감지하는 영역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제2근접센서(124)가 감지하는 영역으로 위치하도록 유도한다. 프로젝션모듈(123)은, 제2근접센서(124)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projection module 123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and displays an area detected by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so that a part of the user's body is detected by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Induce it to be located in the area. The projection module 123 may be dispos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프로젝션모듈(123)은, 빛을 조사하는 램프(1231), 바닥에 표시되는 모양이 인쇄된 필름(1232), 램프(1231)에서 발생하여 필름(1232)을 통과한 빛을 확대하는 렌즈(1233)를 포함한다. The projection module 123 includes a lamp 1231 for irradiating light, a film 1232 on which a shape displayed on the floor is printed, and a lens 1233 for enlarging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amp 1231 and passing through the film 1232 ).

램프(1231)는 강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LED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필름(1232)에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모양 또는 문자 등이 인쇄될 수 있다. The lamp 1231 may use an LED lamp capable of irradiating strong light. The film 1232 may be printed with a user-recognizable shape or character.

프로젝션모듈(123)은, 도어 어셈블리(Ⅱ)의 전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의 바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프로젝션모듈(123)은, 도어패널(21)과 멀리 떨어지지 않은 부분의 바닥면으로 그래픽 오브젝션을 투사하도록, 바닥면과 20도 내지 30도의 경사각(θ)을 형성할 수 있다. 프로젝션모듈(123)은, 제2근접센서(124)가 사용자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영역으로 빛이 반사되도록 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The projection module 123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toward the floor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assembly (II). The projection module 123 may form an inclination angle θ of 20° to 30° with the bottom surface so as to project a graphic object onto a bottom surface of a portion not far away from the door panel 21. The projection module 123 may be disposed inclined forward and downward so that light is reflected to an area in which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can detect a user's distance.

센서하우징(122)은, 내측에 제2근접센서(124)와 프로젝션모듈(123)이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센서하우징(122)은, 내측에 제2근접센서(124)가 배치되는 제2근접센서장착부(1221)와, 프로젝션모듈(123)이 배치되는 프로젝션 장착부(1222)가 형성된다. 제2근접센서장착부(1221)는, 제2근접센서(124)가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프로젝션 장착부(1222)는 프로젝션모듈(123)이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센서하우징(122)은, 베이스부(12)의 하측에 형성되는 센서배치공간(12a)에 고정 배치된다. 센서하우징(122)은, 제2근접센서(124)와 프로젝션모듈(123)이 센서배치공간(12a) 내부에 고정배치시킨다. The sensor housing 122 forms a space in which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and the projection module 123 are mounted. The sensor housing 122 includes a second proximity sensor mounting part 1221 in which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is disposed, and a projection mounting part 1222 in which the projection module 123 is disposed. The second proximity sensor mounting portion 1221 is formed so that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is obliquely disposed. The projection mounting portion 1222 is formed such that the projection module 123 is disposed in an inclined manner. The sensor housing 122 is fixedly disposed in the sensor arrangement space 12a formed under the base portion 12. In the sensor housing 122,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and the projection module 123 are fixedly disposed in the sensor arrangement space 12a.

제2근접센서(124)와 프로젝션모듈(123)이 센서하우징(122)에 장착될 때, 제2근접센서(124)와 프로젝션모듈(123)은 전방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근접센서(124)와 프로젝션모듈(123)이 장착되는 센서하우징(122)의 내부는, 제2근접센서(124)와 프로젝션모듈(123)이 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When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and the projection module 123 are mounted on the sensor housing 122,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and the projection module 123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forward and downward. That is, the interior of the sensor housing 122 in which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and the projection module 123 are mounte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and the projection module 123 are disposed in an inclined front and lower side. .

센서하우징(122)은, 제2근접센서(124)와 프로젝션모듈(123)의 상측을 커버하는 하우징 상부커버(122a)와, 제2근접센서(124)와 프로젝션모듈(123)의 하측을 커버하는 하우징 하부커버(122b)와, 제2근접센서(124)와 프로젝션모듈(123)의 전방을 커버하는 하우징 전방커버(122c)를 포함한다. The sensor housing 122 covers the upper housing cover 122a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and the projection module 123, and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and the projection module 123 It includes a housing lower cover (122b),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and a housing front cover (122c) covering the front of the projection module (123).

하우징 상부커버(122a)와 하우징 하부커버(122b)는 결합으로, 제2근접센서(124)와 프로젝션모듈(123)이 경사지게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 전방커버(122c)는, 투명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근접센서(124)는, 전방커버(122c)를 투과하여, 도어 어셈블리(Ⅱ) 전방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션모듈(123)은, 전방커버(122c)를 투과하여, 그패픽 오브젝트를 전방으로 투사할 수 있다. The housing upper cover 122a and the housing lower cover 122b are combined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and the projection module 123 are arranged to be inclined. The housing front cover 122c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ccordingly,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may pass through the front cover 122c and detect the front of the door assembly II. In addition, the projection module 123 may pass through the front cover 122c and project the graphic object forward.

전방커버(122c)는, 베이스부 하단커버(121)에 형성되는 제2근접센서홀(121a)에 삽입되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제1돌기(122c1)와, 프로젝션홀(121b)에 삽입되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제2돌기(122c2)를 포함한다. The front cover 122c has a first protrusion 122c1 protruding forwar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proximity sensor hole 121a formed in the lower cover 121 of the base part, and the first protrusion 122c1 protruding forwar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hole 121b. It includes a protruding second protrusion 122c2.

센서배치공간(12a)에는, 베이스부 하단커버(121)의 후방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126a, 126b)와, 실내기의 동작상태나 처리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음성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25)가 배치될 수 있다. In the sensor arrangement space 12a, microphones 126a and 126b that are disposed behind the lower cover 121 of the base and receive the user's voice, and the operation state or processing information of the indoor unit are notified to the user, or voice recognition A speaker 125 for outputting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result may be disposed.

마이크(126a, 126b)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더 정확히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마이크(126a, 126b)를 구비할 수 있고, 복수의 마이크(126a, 126b)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The microphones 126a and 126b may include a plurality of microphones 126a and 126b to more accurately receive a user's voice command, and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126a and 126b may b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126a, 126b)는 음성인식 성능 확보를 위해 2개의 마이크(126a, 126b)를 포함한다. 2개의 마이크(126a, 126b) 각각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다. 일정간격 이격배치된 2개의 마이크(126a, 126b)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비교하여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The microphones 126a and 126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 two microphones 126a and 126b to secure voice recognition performance. Each of the two microphones 126a and 126b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noise can be removed by comparing voices input from the two microphones 126a and 126b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126a, 126b)는 이하에서 베이스부 하단커버(121)의 후방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 하단커버(121)에는, 마이크(126a, 126b)가 배치되는 부분에서 마이크홀(121c)이 이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 하단커버(121)에는, 2개의 마이크(126a, 126b)가 배치되는 부분에서 2개의 마이크홀(121c)이 형성된다. The microphones 126a and 126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base cover 121 below. In the lower cover 121 of the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microphone hole 121c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microphones 126a and 126b are disposed. That is, in the base lower cover 12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wo microphone holes 121c are formed at a portion where two microphones 126a and 126b are disposed.

마이크(126a, 126b)는 별도의 접착부재(미도시)를 통해 베이스부 하단커버(121)에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126a, 126b)는, 마이크장착부재(1261)에 장착되어, 베이스부 하단커버(121)에 장착될 수 있다. 마이크장착부재(1261)에는 마이크(126a, 126b)가 장착되는 마이크장착부(1261a, 1261b)와, 마이크장착부재(1261)를 베이스부 하단커버(121)에 체결하는 체결부(1261c)를 포함한다. The microphones 126a and 126b may be mounted on the base lower cover 121 through a separate adhesive member (not shown). The microphones 126a and 126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mounted on the microphone mounting member 1261 and mounted on the lower cover 121 of the base portion. The microphone mounting member 1261 includes microphone mounting portions 1261a and 1261b on which the microphones 126a and 126b are mounted, and a fastening portion 1261c for fastening the microphone mounting member 1261 to the lower cover 121 of the base portion. .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125)는 베이스부 하단커버(121)의 후방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스피커(125)가 배치되는 베이스부 하단커버(121)에는 스피커(125)에서 발생된 소리가 베이스부(12)의 외측으로 전달되도록 스피커홀(121d)이 형성된다. The speaker 12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base cover 121. Accordingly, a speaker hole 121d is formed in the lower cover 121 of the base portion on which the speaker 125 is disposed so that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speaker 125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portion 12.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125)는 외형을 형성하고, 일측방향에 소리가 출력되도록 개구된 스피커개구부(125a)가 형성된 스피커바디(1251), 스피커바디(1251)의 일측에 형성된 스피커개구부(125a)로, 소리를 출력하는 출력부(미도시), 스피커바디(1251)를 베이스부 하단커버(121)에 체결하도록 형성된 스피커체결부(1252)를 포함한다.The speaker 12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external shape, a speaker body 1251 having a speaker opening 125a opened to output sound in one direction, and a speaker opening 125a formed on one side of the speaker body 1251 ), and an output unit (not shown) for outputting sound, and a speaker fastening unit 1252 formed to fasten the speaker body 1251 to the lower cover 121 of the base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어패널(21)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위치센서(127a)와 제2위치센서(127b)를 포함하는 도어위치센서(127a, 127b)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oor position sensors 127a and 127b including a first position sensor 127a and a second position sensor 127b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door panel 21. ) May be further included.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위치센서(127a, 127b)는, 베이스부(12)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어위치센서(127a, 127b)는, 내부패널(15)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위치센서(127a, 127b)의 배치 위치는 센싱 방식, 공기조화기의 모델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door position sensors 127a and 127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disposed on the base 12. Alternatively, the door position sensors 127a and 127b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panel 15. The position of the door position sensors 127a and 127b may vary depending on the sensing method and the model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도어위치센서(127a, 127b)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위치센서(127a, 127b)는, 제1위치센서(127a)와 제2위치센서(127b)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position sensors 127a and 127b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s. For example, the door position sensors 127a and 127b may include a first position sensor 127a and a second position sensor 127b.

바람직하게는 제1위치센서(127a)와 제2위치센서(127b)는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제1위치센서(127a)와 제2위치센서(127b)의 이격 간격은 도어패널(21)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position sensor 127a and the second position sensor 127b may be spaced apart,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sition sensor 127a and the second position sensor 127b is the door panel 21 It may be set to correspond to the moving distance of.

또한, 제1위치센서(127a)는 도어패널(21)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고, 제2위치센서(127b)는 도어패널(21)의 열림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위치센서(127a)는 도어패널(21)의 이동 시작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닫힘 상태를 감지하고, 제2위치센서(127b)는 도어패널(21)의 이동 끝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도어패널(21)의 열림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제2위치센서(127b)는 도어패널(21)이 이동하여, 수조(51)의 전면이 모두 노출될 때, 도어패널(21)이 열림 상태임을 감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position sensor 127a may detect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panel 21, and the second position sensor 127b may detect the open state of the door panel 21. To this end, the first position sensor 127a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ving start point of the door panel 21 to detect the closed state, and the second position sensor 127b corresponds to the moving end point of the door panel 21 It is disposed at a position to detect the open state of the door panel 21. The second position sensor 127b may detect that the door panel 21 is in an open state when the door panel 21 moves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tank 51 is all exposed.

본 명세서에서, 도어패널(21)의 이동 시작점은, 도어패널(21)가 열림 동작을 시작하기 전, 닫힘 상태의 도어패널(21) 최우측 지점(정면에서 바라볼 때)을 의미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oving start point of the door panel 21 may mean the rightmost point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door panel 21 in a closed state before the door panel 21 starts an open operation. .

또한, 본 명세서에서, 도어패널(21)의 이동 끝점은, 도어패널(21)가 열림 동작을 완료한 후, 열림 상태의 도어패널(21) 최우측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oving end point of the door panel 21 may mean the rightmost point of the door panel 21 in the open state after the door panel 21 completes the opening operation.

실시예에 따라서, 도어패널(21)의 이동 끝점은, 도어패널(21)가 열림 동작을 시작하기 전, 닫힘 상태의 도어패널(21) 최좌측 지점(정면에서 바라볼 때)을 의미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moving end point of the door panel 21 may mean the leftmost point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door panel 21 in a closed state before the door panel 21 starts to open. have.

한편, 본 발명은 도어위치센서(127a, 127b)의 센싱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의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ensing method of the door position sensors 127a and 127b, and various types of sensors may be used.

예를 들어, 제1위치센서(127a)와 제2위치센서(127b)는, 적외선(IR) 센서일 수 있다. 제1위치센서(127a)와 제2위치센서(127b)는, 각각 슬라이딩 도어(13)의 이동 시작점, 이동 끝점에 위치하여, 도어패널(21)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0)는 감지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구동부(282)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position sensor 127a and the second position sensor 127b may be infrared (IR) sensors. The first position sensor 127a and the second position sensor 127b are positioned at a moving start point and a moving end point of the sliding door 13, respectively, and may detect the position of the door panel 21. Also, the controller 800 may control the door driving unit 282 based on the sensed location information.

또는, 도어위치센서(127a, 127b)는 홀(Hall) IC, 트리거 스위치, 로터리 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도어패널(21)의 개폐 여부 및/또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oor position sensors 127a and 127b may detect whether or not the door panel 21 is opened or closed using a Hall IC, a trigger switch, a rotary switch, or the like.

<제1근접센서와 제2근접센서의 관계><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proximity sensor and the second proximity sensor>

제1근접센서(2961)는 제2근접센서(124)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1근접센서(2961)는, 디스플레이모듈(29)의 상단에 배치되고, 제2근접센서(124)는 도어 어셈블리(Ⅱ)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1근접센서(2961)는 설정높이보다 높게 배치된다. 따라서, 유아나, 어린이 또는 반려동물이 감지될 때, 도어패널(21)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is disposed above the display module 29, and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is disposed below the door assembly II.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is disposed higher than the set heigh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oor panel 21 from moving when an infant, child, or companion animal is detected.

제1근접센서(2961)는, 제2근접센서(124)보다 도어패널(21)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는 대상체를 인식할 수 있다. 제1근접센서(2961)가 대상체를 인식하는 제1설정거리범위(R1)는, 제2근접센서(124)가 대상체를 인식하는 제2설정거리범위(R2)보다 원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may recognize an object located farther away from the door panel 21 than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A first set distance range R1 in which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16 recognizes an object may detect a longer distance than a second set distance range R2 in which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recognizes an object.

<제어부 관련><Related to the control unit>

이하에서는 도 1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와 관련구성을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8, a controller and related configur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제1근접센서(2961)와 제2근접센서(124)에서 모두 대상체가 감지될 때, 도어패널(21)을 이동시키는 도어구동부(282)를 작동시키는 제어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perates the door driving unit 282 that moves the door panel 21 when an object is detected by both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and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800 to allow.

제어부(800)는, 제1근접센서(2961)에서 대상체가 감지될 때, 제2근접센서(124)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제1근접센서(2961)에서 대상체가 감지될 때, 프로젝션모듈(123)을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800)는, 제1근접센서(2961)에서 대상체가 감지될 때, 프로젝션모듈(123)이 제2근접센서(124)가 감지하는 제2설정거리범위(R2)로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800 may cause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to operate when an object is detected by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The control unit 800 may operate the projection module 123 when an object is detected by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When an object is detected by the first proximity sensor 2961, the controller 800 displays the graphic object in a second set distance range R2 detected by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I can.

제어부(800)는, 프로젝션모듈(123)이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영역을 감지하는 제2근접센서(124)가 대상체를 감지할 때, 도어구동부(282)를 작동시킨다. 제어부(800)는, 작동되는 제2근접센서(124)가 대상체를 감지할 때, 수조(51)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도어패널(21)을 이동시킨다. The control unit 800 operates the door driving unit 282 when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24, which detects an area in which the projection module 123 displays a graphic object, detects an object. When the operated second proximity sensor 124 detects an object, the controller 800 moves the door panel 21 so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tank 51 is exposed.

제어부(800)는, 실내기의 사용상태나 사용자에게 알림을 위해 스피커(125)를 작동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도어패널(21)에 형성된 전방토출구(211a)를 개폐하도록 토출구커버 무빙코듈(26)을 작동시켜, 토출구커버(25)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디스플레이모듈(29)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거나, 실내기의 작동상태나, 제품상태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800 may operate the speaker 125 to notify the user or the state of use of the indoor unit. The control unit 800 may adjust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port cover 25 by operating the discharge port cover moving codel 26 to open and close the front discharge port 211a formed on the door panel 21. The controller 800 may receive a user's command through the display module 29 or visually display an operating state of the indoor unit or a product state to the user.

제어부(800)는, 도어위치센서(127a, 127b)로 감지되는 도어패널(21)이 수조(51)의 전면을 개방할 때, 틸팅부재를 작동시켜, 수조(51)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할 수 있다. When the door panel 21 sensed by the door position sensors 127a and 127b opens the front of the water tank 51, the controller 800 operates the tilting member so that the water tank 51 is arranged to be inclined forward. I can.

제어부(800)는, 도어위치센서(127a, 127b)의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도어패널(21)의 열림 동작 중에, 제2위치센서(127b)가 제1 거리에서 도어패널(21)를 감지하면, 도어구동부(282)의 회전 속도가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0)는, 제2위치센서(127b)가 제1 거리보다 짧은 제2 거리에서 도어패널(21)를 감지하면, 도어구동부(282)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800 may control the air conditioner based on sensing data of the door position sensors 127a and 127b. The control unit 800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f the door driving unit 282 to decrease when the second position sensor 127b detects the door panel 21 at the first distance dur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panel 21. I can. In addition, when the second position sensor 127b detects the door panel 21 at a second distance shorter than the first distance, the control unit 800 may control the door driving unit 282 to stop rotating.

즉, 도어패널(21)가 이동 끝점에 도달하기 제1 거리 전에, 도어패널(21)의 속도를 낮추고, 이동 끝점에 도달하기 직전인 제2 거리에서 도어구동부(282)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at is, before the first distance the door panel 21 reaches the moving end point, the speed of the door panel 21 is lowered, and the rotation of the door driving unit 282 is stopped at the second distance just before reaching the moving end point. can do.

또한, 도어패널(21)의 열림 동작 중 발생할 수 있는 수조(51)에 대한 간섭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terference with the water tank 51 that may occur dur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panel 21 may be prevented.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부(800)는, 도어패널(21)의 닫힘 동작 중에, 제1위치센서(127a)가 제3 거리에서 도어패널(21)를 감지하면, 슬라이딩 도어 모터(810)의 회전 속도가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e same way, when the first position sensor 127a detects the door panel 21 at a third distance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panel 21, the control unit 800 determines the rotation speed of the sliding door motor 810 Can be controlled to decrease.

또한, 제어부(800)는, 제1위치센서(127a)가 제3 거리보다 짧은 제4 거리에서 도어패널(21)를 감지하면, 슬라이딩 도어 모터(810)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position sensor 127a detects the door panel 21 at a fourth distance shorter than the third distance, the controller 800 may control the sliding door motor 810 to stop rotating.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Ⅰ : 캐비닛 어셈블리 Ⅱ : 도어 어셈블리
Ⅲ : 송풍팬 어셈블리 Ⅴ : 가습 어셈블리
11 : 상부캐비닛 12 : 베이스부
12a : 센서배치공간 121 : 베이스부하단커버
122 : 센서하우징 123 : 프로젝션모듈
124 : 제2근접센서 127a, 127b : 도어위치센서
13 : 하부캐비닛 21 : 도어패널
211a : 전방토출구 211b : 디스플레이홀
22 : 카메라모듈 25 : 토출구커버
28 : 도어무빙모듈 29 : 디스플레이모듈
291 : 디스플레이케이스 292 : 전방글라스
293 : 후방커버 294 : 터치패널
295 : 디스플레이 296 : 근접센서모듈
2961 : 제1근접센서 2963 : 리플렉터
Ⅰ: Cabinet assembly Ⅱ: Door assembly
Ⅲ: Blower fan assembly Ⅴ: Humidification assembly
11: upper cabinet 12: base
12a: sensor arrangement space 121: base load end cover
122: sensor housing 123: projection module
124: second proximity sensor 127a, 127b: door position sensor
13: lower cabinet 21: door panel
211a: front discharge port 211b: display hole
22: camera module 25: discharge port cover
28: door moving module 29: display module
291: display case 292: front glass
293: rear cover 294: touch panel
295: display 296: proximity sensor module
2961: first proximity sensor 2963: reflector

Claims (15)

삭제delete 후방으로 흡입구를 형성하는 상부캐비닛과 상기 상부캐비닛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캐비닛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캐비닛 어셈블리;
상기 상부캐비닛과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캐비닛 어셈블리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 어셈블리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패널;
상기 도어패널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패널로부터 제1설정거리범위에 위치한 대상체를 감지하는 제1근접센서; 및
상기 도어패널보다 하측에 위치한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패널로부터 제2설정거리범위에 위치한 대상체를 감지하는 제2근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근접센서는 바닥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 cabinet assembly including an upper cabinet forming a rear suction port and a base portion disposed below the upper cabinet to support the upper cabinet;
A door panel disposed in front of the cabinet assembly so as to cover a portion of a front surface of the upper cabinet and the base unit, and disposed to be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cabinet assembly;
A first proximity sensor mounted on the door panel to detect an object located within a first set distance range from the door panel; And
And a second proximity sensor disposed inside the base part located below the door panel and detecting an object located within a second set distance range from the door panel,
The second proximity sensor is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at is disposed inclined toward the flo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근접센서가 대상체를 감지하는 제2설정거리범위를 외부에 표시하도록 빛을 투사하는 프로젝션모듈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ing a projection module for projecting light so that the second proximity sensor displays a second set distance range for sensing an objec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도어패널의 하측에서 상기 제2근접센서와 프로젝션모듈이 배치되도록 형성된 센서배치공간과, 상기 센서배치공간의 전면을 커버하는 베이스부 하단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 하단커버에는, 상기 제2근접센서가 감지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제2근접센서홀과 상기 프로젝션모듈이 빛을 투사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프로젝션홀이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base portion includes a sensor arrangement space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door panel so that the second proximity sensor and the projection module are arranged, and a lower cover of the base portion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sensor arrangement spac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second proximity sensor hole opened in a direction sensed by the second proximity sensor and a projection hole ope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rojection module projects light are formed on the lower cover of the base par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근접센서홀과 상기 프로젝션홀은, 상기 베이스부 하단커버에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proximity sensor hole and the projection hole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in the lower cover of the base par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배치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제2근접센서와 상기 프로젝션모듈이 장착되는 센서하우징이 배치되고,
상기 센서하우징은, 상기 제2근접센서와 상기 프로젝션모듈을 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4,
Inside the sensor arrangement space, a sensor housing in which the second proximity sensor and the projection module are mounted is disposed,
The sensor housing is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for arranging the second proximity sensor and the projection module to be inclined forward and downwar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구동부와,
상기 제1근접센서와 상기 제2근접센서에서 모두 대상체가 감지될 때, 상기 도어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3,
A door driving part that mov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door panel,
The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door driving unit when an object is detected by both the first proximity sensor and the second proximity senso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근접센서에서 대상체를 감지할 때, 상기 프로젝션모듈을 작동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unit,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at operates the projection module when the first proximity sensor detects an object.
제 7 항에 있어서,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패널 후방에 배치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물을 공급받아 가열하는 히팅부; 및
상기 히팅부로 히팅된 가습공기를 토출하는 가습토출구가 형성된 가습토출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근접센서와 상기 제2근접센서에서 모두 대상체가 감지될 때, 상기 수조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도어구동부를 작동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7,
A water tank forming a space for storing water and disposed behind the door panel;
A heating unit receiving and heat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And
It includes a humidification discharge nozzle formed with a humidification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humidified air heated to the heating unit,
The control unit is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at operates the door driving unit so that the water tank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an object is detected by both the first proximity sensor and the second proximity senso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가 배치되는 경사각을 조절하는 틸팅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조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도어구동부가 상기 도어패널을 이동시킬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조를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틸팅부재가 작동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tilting member for adjusting an inclination angle at which the water tank is disposed,
When the door driving unit moves the door panel so that the water tank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control unit is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tilting member operates so that the water tank is inclined forwar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의 닫힘상태를 감지하는 제1위치센서; 및
상기 도어패널의 열림상태를 감지하는 제2위치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위치센서가 상기 도어패널의 열림상태를 감지할 때, 상기 수조를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틸팅부재를 작동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10,
A first position sensor detecting a closed state of the door panel;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open state of the door panel,
The control unit, when the second position sensor detects the open state of the door panel,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to operate the tilting member to incline the water tank forward.
후방으로 흡입구를 형성하는 상부캐비닛과 상기 상부캐비닛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캐비닛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캐비닛 어셈블리;
상기 상부캐비닛과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캐비닛 어셈블리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 어셈블리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패널;
상기 도어패널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패널로부터 제1설정거리범위에 위치한 대상체를 감지하는 제1근접센서; 및
상기 도어패널보다 하측에 위치한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패널로부터 제2설정거리범위에 위치한 대상체를 감지하는 제2근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패널에는, 전후방향으로 개구된 디스플레이홀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홀에 배치되고, 실내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제1근접센서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 cabinet assembly including an upper cabinet forming a rear suction port and a base portion disposed below the upper cabinet to support the upper cabinet;
A door panel disposed in front of the cabinet assembly so as to cover a portion of a front surface of the upper cabinet and the base unit, and disposed to be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cabinet assembly;
A first proximity sensor mounted on the door panel to detect an object located within a first set distance range from the door panel; And
And a second proximity sensor disposed inside the base part located below the door panel and detecting an object located within a second set distance range from the door panel,
In the door panel, a display hole ope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formed,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module disposed in the display hall, display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indoor unit, and having the first proximity sensor disposed.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사용자에게 시각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가 장착되고, 상기 도어패널 후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고정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
상기 디스플레이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전방을 커버하는 전방글라스;
상기 전방글라스 후방 상단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1근접센서;
일단부에 상기 제1근접센서가 배치되는 근접센서홀을 형성하고, 상기 전방글라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근접센서가 배치되는 간격을 유지하는 후방커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12,
The display module,
A display for providing visual information to a user;
A display case on which the display is mounted and for fixing a position of the display behind the door panel;
A front glass disposed in front of the display and covering a front of the display module;
The first proximity sensor disposed at a rear upper end of the front glass;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proximity sensor hole at one end in which the first proximity sensor is disposed, and a rear cover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glass and the display to maintain a distance at which the first proximity sensor is disposed. Indoor uni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후방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는 터치패널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13,
The display module,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ing a touch panel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and the rear cover and receiving a command from a use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제1근접센서로부터 인식되는 신호를 전달받는 근접센서회로기판;
상기 제1근접센서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전방글라스와 상기 근접센서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1근접센서의 공간을 확보하는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13,
The display module,
A proximity sensor circuit board receiving a signal recognized from the first proximity sensor;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reflector disposed around the first proximity sensor to secure a space of the first proximity sensor disposed between the front glass and the proximity sensor circuit board.
KR1020190024361A 2018-03-07 2019-02-28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22393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361A KR102239328B1 (en) 2019-02-28 2019-02-28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US16/978,126 US20210010706A1 (en) 2018-03-07 2019-03-07 Air conditioner
CN202210811660.2A CN114992717B (en) 2018-03-07 2019-03-07 Air conditioning equipment
PCT/KR2019/002674 WO2019172688A1 (en) 2018-03-07 2019-03-07 Air conditioner
CN201980017550.5A CN111836999B (en) 2018-03-07 2019-03-07 Air conditioning equipment
CN202210811654.7A CN114992716B (en) 2018-03-07 2019-03-07 Air conditioning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361A KR102239328B1 (en) 2019-02-28 2019-02-28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329A KR20200105329A (en) 2020-09-07
KR102239328B1 true KR102239328B1 (en) 2021-04-12

Family

ID=72472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361A KR102239328B1 (en) 2018-03-07 2019-02-28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32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634B1 (en) 2014-10-08 2016-03-04 유제빈 The air cleaner of pottery type to equip a humidifing function
JP2018138865A (en) * 2016-11-29 2018-09-06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821A (en) * 1999-10-20 2001-05-15 전주범 Opening and shutting module and the method for inlet and outlet of air conditioner
KR20160071141A (en) * 2014-12-11 2016-06-21 박준국 Smart baby care complex fa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634B1 (en) 2014-10-08 2016-03-04 유제빈 The air cleaner of pottery type to equip a humidifing function
JP2018138865A (en) * 2016-11-29 2018-09-06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329A (en) 2020-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08645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1727915B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door control of the air conditioner
EP1816406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239327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EP2199695B1 (en) Ceiling mounting type air conditioner
US7810739B2 (en) Air conditioner
KR102586985B1 (en) Air Conditioner
KR20140092952A (en) Air conditioner
CN112639371A (en) Ceiling embedded air conditioner
KR102239328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EP2184554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EP1816407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20220404054A1 (en) Powered room air purifier with air-quality visual indicator
KR100936496B1 (en) Air conditioner
CN112601915B (en) Air conditioner
KR101533315B1 (en) Air conditioner
US20220373220A1 (en) Air processing apparatus
JP2016200348A (en) Air conditioner
KR102256127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01482296B (en) Air conditioner
KR102550361B1 (en) Air Processing Apparatus
KR20240046476A (en) Humidifier
KR100964367B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0471455B1 (en) A remote controller box of air-conditioner and remote controller custody discerning apparatus of the same
KR20100033501A (en)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