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0955A - Qr 코드 기반의 모바일단말 상에서의 하이브리드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 Google Patents

Qr 코드 기반의 모바일단말 상에서의 하이브리드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0955A
KR20200130955A KR1020190055552A KR20190055552A KR20200130955A KR 20200130955 A KR20200130955 A KR 20200130955A KR 1020190055552 A KR1020190055552 A KR 1020190055552A KR 20190055552 A KR20190055552 A KR 20190055552A KR 20200130955 A KR20200130955 A KR 20200130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mobile terminal
mobile
cod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페이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페이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페이로
Priority to KR1020190055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0955A/ko
Publication of KR20200130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95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06Q20/325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using mobile network messaging services for payment, e.g. 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QR 코드 기반의 모바일단말 상에서의 하이브리드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신망을 통해 앱 마켓 서버에 액세스(Access)하여 스마트 페이 앱(Smart Pay Application)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한 뒤, 시스템 메모리 상으로 자동으로 실행하며, 구비된 촬상장치에 의해 나타내는 고유의 QR 코드에 대한 촬영에 의한 QR 코드 정보가 획득되며, 상기 스마트 페이 앱이 자동적으로
결제창을 구현하는 모바일단말; 및 상기 모바일단말에 구현된 결제창으로 모바일 결제 선택 입력 또는 직불 결제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모바일단말이 상기 획득한 QR 코드 정보를 포함하여 입력된 결제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며, QR 코드 정보를 이용해 신용카드에 의한 사용 없이 모바일 요금에 합산에 의하거나, 미리 등록된
상기 사용자의 계좌번호로부터 출금이  지급되도록 하는 결제서비스서버; 를 포함한다. 이에 의
해, 모바일단말로  QR(Quick Response) 코드의 인식과, 모바일단말에 대한 승인 절차를 거쳐 결제가 가
능하도록 함으로써,  각종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결제 금액의 충전이나 공
인인증서 등을 필요 없이 이동통신사의 통신 요금으로 합산되거나 미리 설정된 계좌번호로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QR 코드 기반의 모바일단말 상에서의 하이브리드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Hybrid Payment System and Payment Method in Mobile Terminal Based on qr code}
본 발명은 코드 기반의 모바일단말 상에서의 복합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바일단말로  QR( ) 코드위 인식과, 모바일단말에 대한 승인 절차를 거쳐 결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결제 금액의 충전이나 공인인증서
등을 필요 없이 이동통신사의 통신 요금으로 합산되거나 미리 설 계좌번호로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모바일단말 기반의  QR 코드를 이용한 복합의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용카드는 소비자의 신용을 기본으로 하여 회원에게 상품 및 서비스 대금 등의 회수를 일정기간 유
예하는 증명으로서 발행되는 카드이다. 카드발행사와 계약을 체결한 회원은 상품이
나 서비스를 구입할 경우에 카드발행사가 교부한 카드를 제시하고 전표에 서명을 하면 현금의 지출 없이 구매가
가능하다. 대금은 카드발행사의 거래은행을 통해서 판매의 일정기간 후에 회원의 예금계정에서 자동적으로 
 계좌로 대체되기 때문에 회원은 대금결제 때까지 입금을 하면 된다. 가맹점은 일반적으로 백화점, 전문점,
레스토랑, 호텔, 골프장, 여행사, 주유소 등 될 수 있다.
제휴 가맹점은 카드발행사와 상호 가맹 지정 또는 제휴를 통하여 가맹 체결이 이루어진다. 카드발행사의 회원이
사용한 신용카드로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면 제휴 가맹점은 전표를 발행한다. 발행된 전표는 제휴 가맹점에
서 카드발행사에 청구하면 대금의 지불이 이루어진다.
종래에 신용카드 제휴 가맹점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대가를 회원의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도록 함
으로써, 보다 많은 고객 유치와 부가적인 광고 효과 및 현금 취급에 따른 보안이나 안전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더욱이 제휴 가맹점은 해당 신용카드에 대한 상품이나 서비스의 할인이나 경품 등을 통하여 더 많은 신용카드회
원을 확보하고자 한다.
그러나 종래에 신용카드 제휴 가맹이 되어있지 않거나 특정의 신용카드에 대하여 제휴 가맹이 체결되지 않은 상
점이 있다. 이러한 상점은 해당 신용카드를 보유한 회원이 신용카드를 사용할 수가 없다. 그리고 신용카드 제휴
가맹되지 않은 상점 중에 인지도나 신뢰가 높은 경우도 있다. 따라서 신용카드에 대한 제휴 가맹이 되어 있지
않은 상점에 대해서 제휴 가맹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상점과 카드발행사 사이에 가맹 제휴를 위해서는 복
잡한 처리과정이 발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상점의 여건에 따라 복잡한 신용카드 제휴 가맹에 따른 처리과정을
기피하여 제휴 가맹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도 있으며, 신용카드 제휴 가맹에 대한 강제를 일률적으로 현
재는 요구하고 있는 문제점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제휴 가맹점이 신용카드 제휴 가맹을 자유롭게 체결하도록 하는 것을 기반
으로 이를 보완하기 위한 모바일 기반 또는 직불 결제 기반으로 제휴에 대한 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한 기
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바일단말로 의 QR(Quick Response) 코드의 인식과,
모바일단말에 대한 승인 절차를 거쳐 결제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가맹점의 각종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결제 금액의 충전이나 공인인증서 등을 필요 없이 이동통신사의 통신 요금으로 합산되거나
미리 설정된 계좌번호로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맹점 QR 코드 기반의 모바일단말 상에서의 하
이브리드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결제에 대한 부가 서비스로 위치 기반의 가맹점에 대한 정보 제공, 그리고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정보 교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가맹점 QR 코드 기반의 모바일단말 상에서의 하이
브리드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QR 코드 기반의 모바일단말 상에서의 하이브리드
결제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앱 마켓 서버에 액세스(Access)하여 스마트 페이 앱(Smart Pay Application)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 뒤, 시스템 메모리 상으로 자동으로 실행하며, 구비된 촬상장치에 의해 가맹점단말을 소유
한 가맹점을 나타내는 고유의 QR 코드에 대한 촬영에 의한 QR 코드 정보가 획득되며, 상기 스마트 페이 앱이 자
동적으로 결제창을 구현하는 모바일단말; 및 상기 모바일단말에 구현된 결제창으로 모바일 결제 선택 입력 또는
직불 결제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모바일단말이 상기 획득한 QR 코드 정보를 포함하여 입력된 결제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며, QR 코드 정보를 이용해 신용카드에 의한 사용 없이 모바일 요금에 합산에 의하거나,
미리 등록된 상기 사용자의 계좌번호로부터 출금이 상기 가맹점으로 지급되도록 하는 결제서비스서버; 를 포함
한다.
이때, 상기 결제서비스서버는, 상기 가맹점단말을 포함한 다수의 가맹점단말에 해당하는 고유의 QR 코드 정보를
포함하며, 각 가맹점과 관련된 정보인 가맹점의 업종, 업태 및 주요품목을 저장하는 가맹점 DB; 상기 모바일단
말의 상기 사용자를 포함한 하이브리드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각 가입자와 관련된 정보인 단말기번호, 주민등록
번호 및 가입한 통신사, 미리 설정된 계좌번호, 금융사서버와 관련된 각 가맹점에 대한 결제 처리 내역을 저장
하는 가입자 DB; 상기 모바일단말의 상기 사용자를 포함한 상기 하이브리드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각 가입자와
관련된 이동통신사서버와 관련된 정보와, 각 가맹점에 대한 결제 처리 내역을 저장하는 통신사 DB; 상기 모바일
결제 선택 입력에 따른 각 가입자의 이동통신서버로의 요청에 따른 QR 코드 정보를 이용해 신용카드에 의한 사
용 없이 모바일 요금에 합산에 의해 결제되도록 하는 모바일결제수단; 및 상기 직불 결제 선택 입력에 따른 각
가입자의 금융사로의 요청에 따른 QR 코드 정보를 이용해 신용카드에 의한 사용 없이 미리 등록된 계좌번호로부
터 출금이 상기 가맹점으로 지급되도록 하는 직불결제수단;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제서비스서버는, 상기 모바일 결제 선택 입력 또는 상기 직불 결제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획득한 QR 코드 정보를 포함하여 입력된 결제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결제서비스서버로 전송하
며, 상기 QR 코드 정보를 포함한 결제 정보에 따라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승인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승인번호
를 상기 통신망과 연결된 SMS 서버를 통해 상기 모바일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모바일단말로부터 상기 승인번호에
대한 반환시, 상기 가맹점에 대한 결제 처리를 수행한 뒤, 상기 가맹점단말로 결제 처리결과를 상기 SMS 서버를
통해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제서비스서버는, 상기 모바일 결제 선택 입력에 따른 결제 처리 내역과, 결제 처리가 된 상기 가
맹점에 대한 모바일 정산 결과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사서버로 전송하여 제 1 결제DB에 저장하도록 하
여, 모바일 요금에 합산하여 상기 모바일단말로 청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제서비스서버는, 상기 직불 결제 선택 입력에 따른 결제 처리 내역과, 결제 처리가 된 상기 가맹
점에 대한 직불 정산 결과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금융서버로 전송하여 제 2 결제 DB에 저장하도록 하며, 상기
계좌번호로부터 출금에 따른 상기 획득된 QR 코드 정보에 해당하는 가맹점에 해당하는 계좌로의 입금이 수행되
도록 하는 직불결제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제서비스서버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모바일단말로부터의 위치 기반의 가맹점 정보 요청 서
비스 또는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지인에게 QR 결제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서비스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가서비스모듈은, 상기 가맹점 정보 요청 서비스 제공시, LBS 및 MIM 서버로 상기 모바일단말의 현
재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주변 가맹점에 대한 검색 기능에 대한 제공 요청을 전송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기반
으로 주변 가맹점에 대한 정보가 카테고리 별로 상기 모바일단말로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가서비스모듈은, 상기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지인에게 QR 결제 정보 제공 서비스 제공
시, 상기 획득된 QR 코드 정보를 상기 LBS 및 MIM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모바일단말의 지인으로 등록된 다른
모바일단말로의 통신망을 통해 상기 모바일 결제 정보 또는 직불 결제 정보, 그리고 상기 모바일단말의 위치정
보를 포함한 관심 유도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관심 유도 메시지를 수신한 지인으로 등록된 다른 모바
일단말에 의한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획득된 QR 코드 정보와 동일한 QR 코드 정보에 따른 결제가 처리시
상기 LBS 및 MIM 서버에 의해 상기 모바일단말에 대한 모바일 할인 및 쿠폰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맹점단말은, 복수의 가맹상품에 대한 인스턴트 QR 코드 생성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인스턴트 QR
코드 생성 모듈에 의한 상기 복수의 가맹상품 각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인스턴트 QR 코드를 생성시,
모바일 결제 또는 직불 결제 여부에 대한 정보도 포함시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QR 코드 기반의 모바일단말 상에서의 하이브리드
결제 방법은, 모바일단말이 통신망을 통해 앱 마켓 서버에 액세스(Access)하여 스마트 페이 앱(Smart Pay
Application)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 뒤, 시스템 메모리 상으로 자동으로 실행하는 제 1 단계; 상기 모바일단말
상에 구비된 촬상장치에 의해 가맹점단말을 소유한 가맹점을 나타내는 고유의 QR 코드에 대한 촬영에 의한 QR
코드 정보가 획득되며, 상기 스마트 페이 앱이 자동적으로 결제창을 구현하는 제 2 단계; 상기 모바일단말이 상
기 스마트 페이 앱 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모바일 결제 또는 직불 결제에 대한 선택 입력을 대기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모바일 결제 또는 직불 결제에 대한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모바일단말이 상기 획득한 QR 코드 정보를 포함하여 입력된 결제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결제서비스서버로 전송하여, 신용카드에 의한 사용 없이 바일 요금에 합산에 의하거나, 미리 등록된 상기 사용자의 계좌번호로부터 즉시 출금에 따라 상기 가맹점으로
지급되도록 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모바일 결제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모바일단말이 상기 획득한 QR 코드 정보를
포함하여 입력된 결제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결제서비스서버로 전송하는 제 4-1 단계; 상기 결제서비스서
버가 상기 QR 코드 정보를 포함한 결제 정보에 따라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승인번호를 생성한 뒤, 상기 승인번
호를 상기 통신망과 연결된 SMS 서버를 통해 상기 모바일단말로 전송하는 제 4-2 단계; 상기 결제서비스서버가
상기 모바일단말로부터 상기 승인번호에 대한 수신시, 상기 가맹점에 대한 결제 처리를 수행한 뒤, 상기 가맹점
단말로 결제 처리결과를 상기 SMS 서버를 통해 전송하는 제 4-3 단계; 및 상기 결제서비스서버가 결제 처리 내
역과, 결제 처리가 된 상기 가맹점에 대한 모바일 정산 결과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사서버로 전송하여
제 1 결제DB에 저장하도록 하여, 모바일 요금에 합산하여 상기 모바일단말로 청구하도록 하는 제 4-4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직불 결제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모바일단말이 상기 획득한 QR 코드 정보를 포
함하여 입력된 결제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결제서비스서버로 전송하는 제 4-1 단계; 상기 결제서비스서버
가 상기 QR 코드 정보를 포함한 결제 정보에 따라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승인번호를 생성한 뒤, 상기 승인번호
를 상기 통신망과 연결된 SMS 서버를 통해 상기 모바일단말로 전송하는 제 4-2 단계; 상기 결제서비스서버가 상
기 모바일단말로부터 상기 승인번호에 대한 수신시, 미리 등록된 계좌번호로부터 출금을 위한 결제 처리를 수행
한 뒤, 상기 가맹점단말로 결제 처리결과를 상기 SMS 서버를 통해 전송하는 제 4-3 단계; 및 상기 결제서비스서
버가 결제 처리 내역과, 결제 처리가 된 상기 가맹점에 대한 직불 정산 결과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금융서버로
전송하여 제 2 결제 DB에 저장하도록 하며, 상기 계좌번호로부터 출금에 따른 상기 획득된 QR 코드 정보에 해당
하는 가맹점에 해당하는 계좌로의 입금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 4-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기반의 모바일단말 상에서의 하이브리드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은,모바일단말로  QR(Quick Response) 코드의 인식과, 모바일단말에 대한 승인 절차를 거쳐 결제가 가능하
도록 함으로써, 각종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결제 금액의 충전이나 공인인
증서 등을 필요 없이 이동통신사의 통신 요금으로 합산되거나 미리 설정된 계좌번호로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도
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QR 코드 기반의 모바일단말 상에서의 하이브리드 결제 시스
템 및 결제 방법은, 하이브리드 결제에 대한 부가 서비스로 위치 기반에  대한 정보 제공, 그리고 모바
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정보 교류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
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
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모바일단말 기반의 가맹점 QR 코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의 결제 시스템은 모바일단말
(10), 통신망(20), 가맹점단말(30), 결제서비스서버(40), 보안서버(50), SMS 서버(60), 이동통신사서버(70),
금융사서버(80) 및 LBS 및 MIM 서버(Location Base Service and Mobile Instant Messenger server: 90), 그리
고 앱 마켓 서버(100)를 포함한다. 한편, 가맹점단말(30)이 설치된 가맹점에는 고유의 QR코드(31)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동통신사서버(70)는 제 1 결제DB(71)를 포함하며, 금융사서버(80)는 제 2 결제DB(81)를 포함한다. 또
한, 본 명세서에서 DB라 함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
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
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모바일단말(10)은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로,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으로 제공가능하며, 통신망
(20)을 통해 앱 마켓 서버(100)에 액세스(Access)하여 스마트 페이 앱(Smart Pay Application)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 뒤, 시스템 메모리 상으로 자동으로 실행한다. 여기서 스마트 페이 앱은 안드로이드 기반의 엡틱(M-Tic)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제공가능하다.
그리고, 모바일단말(10) 상에 구비된 촬상장치(11)에 의해 가맹점단말(30)을 소유한 가맹점을 나타내는 고유의
QR 코드(31)에 대한 촬영에 의한 QR 코드 정보가 획득되며, 단계(S11)에서 설치된 스마트 페이 앱은 자동적으로 결제창을 구현한다. 이후, 모바일단말(10)은 스마트 페이 앱 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모바일 결제 또는 직불 결제
에 대한 선택 입력을 대기한다.
통신망(2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
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통신망(20)
이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
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
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동통신망(700)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통
신망(20)은 모바일단말(10), 가맹점단말(30), 결제서비스서버(40), 보안서버(50), SMS 서버(60), 이동통신사서
버(70), 금융사서버(80) 및 LBS 및 MIM 서버(90), 그리고 앱 마켓 서버(10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가맹점단말(30)은 가맹점에서 소유하는 단말로, 고유의 QR 코드과 매칭되어 결제서비스서버(40)의 가맹점
DB(41)에 단말번호가 저장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가맹점단말(30)은 복수의 가맹상품에 대한 인스턴트 QR 코드 생성 기능을 구비
할 수 있다. 즉, 가맹점단말(30)은 각 가맹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스턴트 QR 코드를 생성시 모바일단말
(10) 사용자의 오프라인 상에서의 선택에 따른 모바일 결제 또는 직불 결제 여부에 대한 정보도 QR 코드에 포함
시켜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후술하는 모바일단말(10)에서는 별도의 모바일 결제
또는 직불 결제에 대한 선택 입력이 필요없는 장점이 있다.
보안서버(50)는 모바일단말(10), 가맹점단말기(30), 이동통신사서버(70) 및 금융사서버(80) 상호 간에 데이터
통신을 할 경우, 데이터를 암호화하며 외부에서 무단으로 접근할 수 없도록 방화벽 기능이나 해킹차단 기능을
포함하고, 각종 바이러스 프로그램이나 유해 프로그램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SMS 서버(60)는 결제서비스서버(40)에서 모바일단말(10)로 승인번호를 문자메시지로 전송하는 것이다. 즉,결제서비스서버(40)는 모바일단말(10)에서 결제정보 입력을 통해 입력된 단말기번호와 주민등록번호 등의 정보에
대응하여 인증을 위한 승인번호를 SMS서버(60)를 통해 문자메시지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사용자가 모
바일단말(10)의 소유 여부에 대한 확인과 승인번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결제 정보 입력창은
도 3과 같이 모바일단말(10)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결제 정보 입력창에서의 가맹점에서 제공하는 메뉴 및
메뉴에 대한 선택창은 도 4와 같이 모바일단말(10)로 구현될 수 있다.
이동통신사서버(70)는 통신사가 운영하는 서버로, 제 1 결제정보 DB(71)를 구비하며, 제 1 결제정보 DB(71)는
결제서비스서버(40)로부터 모바일단말(10)의 사용자, 가맹점단말(30)을 소유하는 가맹점, 그리고 통신사 사이의
결제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함으로써, 결제서비스서버(40)의 요청시 결제서비스서버(40)로 저장된
정보를 입출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금융사서버(80)는 금융사가 운영하는 서버로, 제 2 결제정보 DB(81)를 구비하며, 제 2 결제정보 DB(81)는 결제
서비스서버(40)로부터 모바일단말(10)의 사용자, 가맹점단말(30)의 가맹점, 그리고 금융사 사이의 결제와 관련
된 각종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함으로써, 결제서비스서버(40)의 요청시 결제서비스서버(40)로 저장된 정보를 입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제 1 결제정보 DB(71) 및 제 2 결제정보 DB(81)는 보안서버(50)로부터 보안 솔루션이 제공된 상태로 운
영되며, 결제서비스서버(40)로부터의 수신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방화벽, 해킹차단 및 안티바이러스를 제공한
다.
LBS 및 MIM 서버(90)는 결제서비스서버(40)에 의한 요청에 따라 모바일단말(10)에 대한 결제서비스를 위한 보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LBS 및 MIM 서버(90)는 모바일단말(10)의 현재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주변 가맹점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며, 모바일단말(10)의 시스템 메모리 상에 설치된 모바일 인스
턴트 메신저(예를 들면, 카카오톡)와의 가맹점 고유의 QR 코드 기반의 모바일단말 상에서의 하이브리드 결제 서
비스의 연동이 수행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LBS 및 MIM 서버(90)는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와의 가맹점 QR 코드 기반의 모바일단말 상에
서의 하이브리드 결제 서비스의 연동을 위해 결제서비스서버(40)로부터 모바일단말(10)의 촬상장치(11)에 의해
촬영된 QR 코드 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LBS 및 MIM 서버(90)는 모바일단말(10)의 지인으로 등록된 다른 모바일
단말로 모바일단말(10)에 의한 모바일 결제 정보 또는 직불 결제 정보, 그리고 모바일단말(10)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관심 유도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한다.
결제서비스서버(40)는 결제모듈(40a), 부가서비스모듈(40b), 가맹점 DB(41), 가입
자 DB(42) 및 통신사 DB(43)를 포함한다.
가맹점 DB(41)는 가맹점단말(10)을 포함한 다수의 가맹점단말에 해당하는 고유의 QR 코드 정보를 포함한 결제서
비스서버(40)의 제어로 가맹점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가맹점 DB(41)는 각 가맹점의 QR 코드 정
보를 포함한 가맹점의 업종이나 업태나 주요품목 등 가맹점의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가입자 DB(42)는 모바일단말(10) 사용자를 포함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가맹점 QR 코드 기반의 모바일단말 상
에서의 하이브리드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와 관련된 각종 정보에 해당하는 단말기번호, 주민등록번호 및
가입한 통신사, 미리 설정된 계좌번호, 그리고 금융사서버(80)와 관련된 각 가맹점에 대한 결제 처리 내역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통신사 DB(43)는 모바일단말(10) 사용자를 포함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가맹점 QR 코드 기반의 모바일단말 상
에서의 하이브리드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와 관련된 통신사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하며, 특히, 이동
통신사서버(70)와 관련된 각 가맹점에 대한 결제 처리 내역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결제서비스서버(40)에 대해 결제모듈(40a) 및 부가서비스모듈(40b)을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결제모듈(40a)은 모바일결제수단(40a-1) 및 직불결제수단(40a-2)을 포함한다. 모바일결제수단(40a-1)은
모바일단말(10)의 스마트 페이 앱에서의 모바일 결제 선택 입력, 그리고 모바일단말(10)의 스마트 페이 앱 상에
서 결제 정보 입력에 따라 모바일단말(10)로부터 촬상장치(11)에 의해 획득한 QR 코드 정보를 포함한 입력한 결
제 정보를 통신망(20)을 통해 수신한다.
모바일결제수단(40a-1)은 QR 코드 정보를 포함한 결제 정보에 따라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승인번호를 생성한
뒤, 승인번호를 통신망(20)과 연결된 SMS 서버(60)를 통해 모바일단말(10)로 전송한다. 이 경우, 모바일결제수
단(40a-1)은 수신된 QR 코드 정보를 이용해 가맹점 DB(41)로부터 가맹점단말(30)에 대한 단말번호를 추출하여,
QR 코드 정보에 해당하는 가맹점을 인식한다.
모바일결제수단(40a-1)은 모바일단말(10) 상에서 승인번호 입력에 따라 모바일단말(10)로부터 승인번호를 수신
시, 가맹점단말(30)을 소지한 가맹점에 대한 결제 처리를 수행한 뒤, 가맹점단말(30)로 결제 처리결과를 SMS 서
버(60)를 통해 문자 메시지로 전송한다.
모바일결제수단(40a-1)은 결제 처리 내역과, 결제 처리가 된 가맹점에 대한 모바일 정산 결과를 통신망(20)을
통해 이동통신사서버(70)로 전송하여 제 1 결제DB(71)에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사서버(70)에 의해 모바
일단말(10)에 대한 모바일 요금에 합산하여 청구하도록 한다.
이 경우, 모바일결제수단(40a-1)은 통신사 DB(43)에 저장된 모바일단말(10)의 사용자의 이동통신사에 해당하는
이동통신사서버(70)로 결제 처리 내역과, 결제 처리가 된 가맹점에 대한 모바일 정산 결과를 전송한다.
직불결제수단(40a-2)은 모바일단말(10)의 스마트 페이 앱에서의 직불 결제 선택 입력, 그리고 모바일단말(10)의
스마트 페이 앱 상에서 결제 정보 입력에 따라 모바일단말(10)로부터 촬상장치(11)에 의해 획득한 QR 코드 정보
를 포함한 입력한 결제 정보를 통신망(20)을 통해 수신한다.
직불결제수단(40a-2)은 QR 코드 정보를 포함한 결제 정보에 따라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승인번호를 생성한 뒤,
승인번호를 통신망(20)과 연결된 SMS 서버(60)를 통해 모바일단말(10)로 전송한다.
직불결제수단(40a-2)은 모바일단말(10) 상에서 승인번호 입력에 따라 모바일단말(10)로부터 승인번호를 수신시,
가맹점단말(30)을 소지한 가맹점에 대한 모바일단말(10)으로 미리 등록된 계좌번호를 이용한 출금에 따란 결제
처리를 수행한 뒤, 가맹점단말(30)로 결제 처리결과를 SMS 서버(60)를 통해 문자 메시지로 전송한다. 여기서,
직불결제수단(40a-2)은 가입자 DB(42)에 저장된 모바일단말(10)의 사용자로 등록된 계좌번호로의 결제 처리 내
역과, 결제 처리가 된 가맹점에 대한 모바일 정산 결과를 전송함으로써, 실제 금융사서버(80)에 의한 결제가 수
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직불결제수단(40a-1)은 결제 처리 내역과, 결제 처리가 된 가맹점에 대한 계좌 정산 결과를 통신망
(20)을 통해 금융사서버(80)로 전송하여 제 2 결제DB(81)에 저장하도록 한다. 한편, 금융사서버(80)는 모바일단
말(10)에 대해 미리 등록된 계좌번호로부터 출금 후, 획득된 QR 코드 정보에 해당하는 가맹점에 해당하는 계좌
로의 입금을 즉시 수행한다.
부가서비스모듈(40b)은 통신망(20)을 통해 모바일단말(10)로부터의 위치 기반의 가맹점 정보 요청 서비스 또는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지인에게 QR 결제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가서비스모듈(40b)은 가맹점 정보 요청 서비스 제공시, LBS 및 MIM 서버(90)로 모바일단말
(10)의 현재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주변 가맹점에 대한 검색 기능에 대한 제공 요청을 전송하여, 위치 기반으
로 주변 가맹점에 대한 정보가 카테고리 별로 제공되도록 한다.
또한, 부가서비스모듈(40b)은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지인에게 QR 결제 정보 제공 서비스 제공시, 모
바일단말(10)의 촬상장치(11)에 의해 촬영된 QR 코드 정보를 LBS 및 MIM 서버(9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LBS
및 MIM 서버(90)는 모바일단말(10)의 지인으로 등록된 다른 모바일단말로의 통신망(20)을 통해 모바일 결제 정
보 또는 직불 결제 정보, 그리고 모바일단말(10)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관심 유도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관심 유도 메시지를 수신한 지인으로 등록된 다른 모바일단말에 의한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동일한 QR 코드 정보에 따른 결제가 처리시 LBS 및 MIM 서버(90)는 모바일단말(10)에 대한 모바일 할인 및 쿠폰
이 제공되도록 한다.
단계(S11) 이후, 모바일단말(10) 상에 구비된 촬상장치(11)에 의해 가맹점단말(30)을 소유한 가맹점을 나타내는
고유의 QR 코드(31)에 대한 촬영에 의한 QR 코드 정보가 획득되며, 단계(S11)에서 설치된 스마트 페이 앱은 자
동적으로 결제창을 구현한다(S12).
단계(S12) 이후, 모바일단말(10)은 스마트 페이 앱 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모바일 결제 또는 직불 결제에 대한
선택 입력을 대기한다(S13).
단계(S13) 이후, 모바일단말(10)의 스마트 페이 앱은 모바일 결제 선택 입력 또는 직불 결제 선택 입력인지 여
부를 판단한다(S14).
단계(S14)의 판단결과 모바일 결제 선택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모바일단말(10)은 사용자의 스마트 페이 앱 상
에서 결제 정보 입력에 따라 모바일단말(10)은 단계(S12)에서 획득한 QR 코드 정보를 포함하여 결제 정보를 통
신망(20)을 통해 결제서비스서버(40)로 전송한다(S15).
이에 따라, 결제서비스서버(40)는 QR 코드 정보를 포함한 결제 정보에 따라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승인번호를
생성한 뒤, 승인번호를 통신망(20)과 연결된 SMS 서버(60)를 통해 모바일단말(10)로 전송한다(S16).
단계(S16) 이후, 결제서비스서버(40)는 모바일단말(10)로부터 단계(S16)에서 전송한 승인번호에 대한 입력에 따
른 수신시, 가맹점에 대한 결제 처리를 수행한 뒤, 가맹점단말(30)로 결제 처리결과를 SMS 서버(60)를 통해 전
송한다(S17).
단계(S17) 이후, 결제서비스서버(40)는 단계(S17)에 따른 결제 처리 내역과, 결제 처리가 된 가맹점에 대한 모
바일 정산 결과를 통신망(20)을 통해 이동통신사서버(70)로 전송하여 제 1 결제DB(71)에 저장하도록 한다(S18).
이에 따라, 이동통신사서버(70)는 모바일단말(10)에 해당하는 모바일 요금에 합산하여 모바일단말(10)로 청구할
수 있다.
한편, 단계(S14)의 판단결과 직불 결제 선택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스마트 페이 앱 상에서 결제 정보 입력에
따라 모바일단말(10)은 단계(S12)에서 획득한 QR 코드 정보를 포함하여 결제 정보를 통신망(20)을 통해 결제서
비스서버(40)로 전송한다(S19).
이에 따라, 결제서비스서버(40)는 QR 코드 정보를 포함한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승인번호를
생성한 뒤, 승인번호를 통신망(20)과 연결된 SMS 서버(60)를 통해 모바일단말(10)로 전송한다(S20)
단계(S21) 이후, 결제서비스서버(40)는 모바일단말(10)로부터 단계(S20)에서 전송한 승입번호에 대한 입력에 따
른 수신시, 모바일단말(10)로 미리 등록된 계좌번호로부터 입출에 따른 결제 처리를 수행한 뒤, 가맹점단말(3
0)로 결제 처리결과를 SMS 서버(60)를 통해 전송한다(S21).

Claims (4)

  1. 통신망을 통해 앱 마켓 서버에 액세스(Access)하여 스마트 페이 앱(Smart Pay Application)을 다운로드하여 설
    치한 뒤, 시스템 메모리 상으로 자동으로 실행하며, 구비된 촬상장치에 의해 가맹점단말을 소유한 가맹점을 나
    타내는 고유의 QR 코드에 대한 촬영에 의한 QR 코드 정보가 획득되며, 상기 스마트 페이 앱이 자동적으로 결제
    창을 구현하는 모바일단말; 및
    상기 모바일단말에 구현된 결제창으로 모바일 결제 선택 입력 또는 직불 결제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모바일단
    말이 상기 획득한 QR 코드 정보를 포함하여 입력된 결제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며, QR 코드 정보를
    이용해 신용카드에 의한 사용 없이 모바일 요금에 합산에 의하거나, 미리 등록된 상기 사용자의 계좌번호로부터
    출금이 상기 가맹점으로 지급되도록 하는 결제서비스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 QR 코드 기
    반의 모바일단말 상에서의 하이브리드 결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제서비스서버는,
    상기 가맹점단말을 포함한 다수의 가맹점단말에 해당하는 고유의 QR 코드 정보를 포함하며, 각 가맹점과 관련된
    정보인 가맹점의 업종, 업태 및 주요품목을 저장하는 가맹점 DB;
    상기 모바일단말의 상기 사용자를 포함한 하이브리드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각 가입자와 관련된 정보인 단말기
    번호, 주민등록번호 및 가입한 통신사, 미리 설정된 계좌번호, 금융사서버와 관련된 각 가맹점에 대한 결제 처
    리 내역을 저장하는 가입자 DB;
    상기 모바일단말의 상기 사용자를 포함한 상기 하이브리드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각 가입자와 관련된 이동통신
    사서버와 관련된 정보와, 각 가맹점에 대한 결제 처리 내역을 저장하는 통신사 DB;
    상기 모바일 결제 선택 입력에 따른 각 가입자의 이동통신서버로의 요청에 따른 QR 코드 정보를 이용해 신용카
    드에 의한 사용 없이 모바일 요금에 합산에 의해 결제되도록 하는 모바일결제수단; 및
    상기 직불 결제 선택 입력에 따른 각 가입자의 금융사로의 요청에 따른 QR 코드 정보를 이용해 신용카드에 의한
    사용 없이 미리 등록된 계좌번호로부터 출금이 상기 가맹점으로 지급되도록 하는 직불결제수단; 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 QR 코드 기반의 모바일단말 상에서의 하이브리드 결제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제서비스서버는,
    상기 모바일 결제 선택 입력 또는 상기 직불 결제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모바일단말이 상기 획득한 QR 코드 정
    보를 포함하여 입력된 결제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결제서비스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QR 코드 정보를 포함한 결제 정보에 따라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승인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승인번호를 상
    기 통신망과 연결된 SMS 서버를 통해 상기 모바일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모바일단말로부터 상기 승인번호에 대한
    반환시, 상기 가맹점에 대한 결제 처리를 수행한 뒤, 상기 가맹점단말로 결제 처리결과를 상기 SMS 서버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 QR 코드 기반의 모바일단말 상에서의 하이브리드 결제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제서비스서버는,
    상기 모바일 결제 선택 입력에 따른 결제 처리 내역과, 결제 처리가 된 상기 가맹점에 대한 모바일 정산 결과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사서버로 전송하여 제 1 결제DB에 저장하도록 하여, 모바일 요금에 합산하여 상기
    모바일단말로 청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 QR 코드 기반의 모바일단말 상에서의 하이브리드 결
    제 시스템.




KR1020190055552A 2019-05-13 2019-05-13 Qr 코드 기반의 모바일단말 상에서의 하이브리드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KR20200130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552A KR20200130955A (ko) 2019-05-13 2019-05-13 Qr 코드 기반의 모바일단말 상에서의 하이브리드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552A KR20200130955A (ko) 2019-05-13 2019-05-13 Qr 코드 기반의 모바일단말 상에서의 하이브리드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955A true KR20200130955A (ko) 2020-11-23

Family

ID=73680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552A KR20200130955A (ko) 2019-05-13 2019-05-13 Qr 코드 기반의 모바일단말 상에서의 하이브리드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09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627B1 (ko) 2021-08-18 2022-07-18 주식회사 헥토파이낸셜 결제 성공률을 높이기 위하여 자동으로 결제 수단을 선택 및 변경하는 ai 결제를 제공하는 서버 및 시스템
KR20230010316A (ko) 2021-07-12 2023-01-19 유호진 통합 qr 결제 체크인 인증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0316A (ko) 2021-07-12 2023-01-19 유호진 통합 qr 결제 체크인 인증 시스템
KR102421627B1 (ko) 2021-08-18 2022-07-18 주식회사 헥토파이낸셜 결제 성공률을 높이기 위하여 자동으로 결제 수단을 선택 및 변경하는 ai 결제를 제공하는 서버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48582A1 (en) System to enable a telecom operator provide financial transactions service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such transactions
KR20070057668A (ko) 고객의 계좌식별자를 이용해 pos에서 고객계좌에입금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60328701A1 (en) Mobile point of sale system for reverse settlement, and method thereof
KR20060111200A (ko) 휴대 단말기 번호를 가상 계좌로 이용한 결제 방법 및시스템
KR101024810B1 (ko) 에이알에스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방법 및 시스템
KR20050026950A (ko) 휴대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101136509B1 (ko) 결제자의 사전 승인을 이용하는 무선 단말 결제 시스템 및 무선 단말 결제 방법
US20160132853A1 (en) Remote authentication for point of sale machine using a mobile number through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KR20140095260A (ko) 가맹점 qr 코드 기반의 모바일단말 상에서의 하이브리드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KR20200130955A (ko) Qr 코드 기반의 모바일단말 상에서의 하이브리드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KR20060060521A (ko) 전자 지불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82090A (ko) 전자 지불 결제 방법 및 시스템
WO2015002489A1 (ko) 배달전문 안심결제대행 시스템과 그 방법
JP5693551B2 (ja) 移動端末機を用いた代金決済システム及び代金決済方法
US20140358779A1 (en) Method Of Conducting Financial Transactions Using A Phone Node In Communication With A Transactional Server
KR20150145460A (ko) 상품 배달 현장에서 후불 결제 시 마일리지 포인트 사용을 가능하게 해주는 배달주문 중계서비스 방법
WO2019127149A1 (zh) 一种停车管理系统
JP2006040249A (ja) プリペイドカードサービス運用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7090966A1 (ko) 송금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150008721A (ko)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이용 가능한 모바일 단말 결제 방법
KR20130005251A (ko) 위치 기반 가맹점 서비스 정보 제공 시스템
KR20010073981A (ko) 단말기의 요금고지서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결제서비스 방법
US109638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a cashless transaction
KR20080087187A (ko) 결제 서비스 시스템
KR101548200B1 (ko) 모바일 Push를 이용한 충전식 전자상거래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