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0653A -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존재 신호에 응답하여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와 연관된 기능 데이터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존재 신호에 응답하여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와 연관된 기능 데이터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0653A
KR20200130653A KR1020200053220A KR20200053220A KR20200130653A KR 20200130653 A KR20200130653 A KR 20200130653A KR 1020200053220 A KR1020200053220 A KR 1020200053220A KR 20200053220 A KR20200053220 A KR 20200053220A KR 20200130653 A KR20200130653 A KR 20200130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put
input device
user
main display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피 발린트
반 데르 빈 루시엔
페레이 크리스티안
벅튼 다니엘
Original Assignee
쥐이 프리시즌 헬스케어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쥐이 프리시즌 헬스케어 엘엘씨 filed Critical 쥐이 프리시즌 헬스케어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00130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6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6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8/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8/465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adapted to display user selection data, e.g. icon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6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8/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5User interfaces for surgica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6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8/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8/463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characterised by displaying multiple images or images and diagnostic data on one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6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8/467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4Control of the diagnostic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9Trackb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87Special user inputs o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9Touch strips, e.g. orthogonal touch strips to control cursor movement or scrolling; single touch strip to adjust parameter or to implement a row of soft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Robotics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존재 신호에 응답하여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와 연관된 기능 데이터를 제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초음파 시스템의 프로세서에서, 초음파 시스템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의 존재 센서로부터 존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존재 신호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에 대한 근접지에서의 사용자의 검출에 응답하여 존재 센서에 의해 제공된다. 존재 신호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의 사용자 작동에 응답하여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작동 신호와는 독립적이다. 본 방법은, 프로세서에 의해, 초음파 시스템의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의 기능부를 식별하는 기능 데이터를 제시하도록 존재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존재 신호에 응답하여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와 연관된 기능 데이터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FUNCTION DATA ASSOCIATED WITH A USER INPUT DEVICE AT A MAIN DISPLAY IN RESPONSE TO A PRESENCE SIGNAL PROVIDED VIA THE USER INPUT DEVICE}
소정 실시예들은 의료 이미징, 및 특히 초음파 이미징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소정 실시예들은, 의료 이미징 시스템의 물리적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존재 및/또는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그리고 물리적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존재 및/또는 위치와 연관된 기능부(functionality) 및/또는 값을 식별하는 시각적 피드백을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 이미징은 인체 내의 기관들 및 연조직들을 이미징하기 위한 의료 이미징 기술이다. 초음파 이미징은 실시간의 비침습성 고주파 음파(non-invasive high frequency sound wave)들을 사용하여 일련의 2차원(2D) 및/또는 3차원(3D) 이미지들을 생성한다.
초음파 시스템들은 전형적으로 초음파 스캐너, 제어 패널, 및 메인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제어 패널은, 그 중에서도, 키보드, 트랙볼, 버튼, 회전식 인코더, 및/또는 터치 패널과 같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조작자는, 초음파 검사 동안, 제어 패널 상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과 상호작용하고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초음파 이미지 데이터를 관찰하면서, 환자에 대해 초음파 스캐너를 수동으로 조종할 수 있다. 따라서, 초음파 조작자는, 검사 동안 초음파 시스템의 기능부를 조작 또는 조정하도록 제어 패널 상에 적절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을 위치설정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메인 디스플레이로부터 눈길을 돌려야 할 수 있는데, 이는 비효율적일 수 있다.
초음파 검사는 전형적으로, 낮은 광 조건들에서 수행되며, 이는 원하는 기능부를 수행하기 위해 적절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것이 어려워지게 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초음파 시스템들의 상이한 모델들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의 상이한 물리적 구성들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의 기능부는 수행되고 있는 초음파 검사의 타입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실제로, 일부 초음파 시스템들은, 이미지를 저장하는 것 및 이미지를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저장소로 송신하는 것과 같은 사용자 정의 기능에 대해 프로그래밍가능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초음파 조작자는 각각의 초음파 적용을 위한, 각각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와 연관된 기능부를 리콜(recall)하는 것이 어려움을 알게 될 수 있다.
다양한 응용예들에서, 상이한 회전식 인코더들이, X 축, Y 축 및/또는 Z 축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데이터를 회전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타입의 초음파 검사는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3개의 직교 평면들(예컨대, A 평면, B 평면, 및 C 평면)을 제시할 수 있다. 초음파 조작자는 X 축과 연관된 회전식 인코더를 돌려서 A 평면 및 C 평면을 수평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초음파 조작자는 Y 축과 연관된 회전식 인코더를 돌려서 A 평면 및 B 평면을 수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경험이 적은 초음파 조작자는 원하는 평면들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작하기 위해 적절한 회전식 인코더를 용이하게 리콜하지 못할 수 있다.
종래의 그리고 전통적인 접근법들의 추가 제한들 및 단점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나머지 부분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그러한 시스템들과 본 발명의 일부 태양들의 비교를 통해 당업자에게 자명해질 것이다.
청구범위에서 더 완벽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도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도시되고/되거나 그와 관련하여 기술되는 바와 같은, 물리적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에서의 사용자의 존재 및/또는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그리고 물리적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에서의 사용자의 존재 및/또는 위치와 연관된 기능부 및/또는 값을 식별하는 시각적 피드백을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또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이점들, 태양들 및 신규한 특징들뿐만 아니라, 그의 예시된 실시예의 상세 사항들이 하기의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더욱 완전히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된 존재 신호에 응답하여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와 연관된 기능 데이터를 제시하도록 동작가능한 예시적인 초음파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을 갖는 예시적인 메인 디스플레이 및 제어 패널의 디스플레이이며, 메인 디스플레이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된 존재 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와 연관된 기능 데이터를 제시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을 갖는 예시적인 메인 디스플레이 및 제어 패널의 디스플레이이며, 메인 디스플레이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된 존재 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와 연관된 기능 데이터를 제시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을 갖는 예시적인 메인 디스플레이 및 제어 패널의 디스플레이이며, 메인 디스플레이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된 존재 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와 연관된 기능 데이터를 제시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을 갖는 예시적인 메인 디스플레이 및 제어 패널의 디스플레이이며, 메인 디스플레이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된 존재 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와 연관된 기능 데이터를 제시하도록 구성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을 갖는 예시적인 메인 디스플레이 및 제어 패널의 디스플레이이며, 메인 디스플레이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된 존재 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와 연관된 기능 데이터를 제시하도록 구성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된 존재 신호에 응답하여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와 연관된 기능 데이터를 제시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단계들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소정 실시예들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된 존재 신호에 응답하여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와 연관된 기능 데이터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서 찾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조작자와 터치하고 있고/있거나 그에 대해 밀접한 근접지에 있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의 기능부에 관련된 시각적 피드백을 메인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하여 조작자가 메인 디스플레이로부터 눈길을 돌려야 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를 갖는다. 소정 실시예들은 조작자와 터치하고 있고/있거나 그에 대해 밀접한 근접지에 있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조정가능한 현재 값에 관련된 시각적 피드백을 메인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하는 기술적 효과를 갖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조작자가 터치 패널 상의 선택가능한 옵션을 터치하거나 그 위에서 호버링(hovering)하는 것에 응답하여 터치 패널 상의 선택가능한 옵션과 연관된 기능부 및/또는 값들을 메인 디스플레이 상에 오버레이하여, 조작자가 터치 패널을 내비게이팅(navigate)하기 위해 메인 디스플레이로부터 눈길을 돌릴 필요가 없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를 갖는다.
전술한 발명의 내용뿐 아니라 소정 실시예들의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 도면과 함께 읽을 때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도면들이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능 블록들의 다이어그램들을 예시하는 한, 기능 블록들은 반드시 하드웨어 회로부 사이의 분할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기능 블록들(예컨대, 프로세서들 또는 메모리들) 중 하나 이상은 단일의 하드웨어(예컨대, 범용 신호 프로세서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의 블록, 하드 디스크 등) 또는 다수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유사하게, 프로그램들은 독립형 프로그램들일 수 있고, 운영 체제 내에 서브루틴들로서 통합될 수 있고, 설치된 소프트웨어 패키지 내의 기능들일 수 있고, 기타 등등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면에 도시된 배열들 및 수단(instrumentality)으로 제한되지 않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들이 조합될 수 있다는 것, 또는 다른 실시예들이 활용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구조적, 논리적 및 전기적 변화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 간주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범주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들에 의해 한정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형으로 인용되고 단어 "a" 또는 "an"으로 진행되는 요소 또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배제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의 상기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더욱이, "예시적인 실시예", "다양한 실시예들", "소정 실시예들", "대표적인 실시예" 등에 대한 언급들은, 인용된 특징부들을 또한 포함하는 추가 실시예들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더욱이, 명시적으로 반대로 언급되지 않는 한, 특정 속성을 갖는 요소 또는 복수의 요소들을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 또는 "갖는" 실시예들은, 그 속성을 갖지 않는 추가의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이미지"는 가시성 이미지들 및 가시성 이미지를 표현하는 데이터 둘 모두를 광범위하게 지칭한다. 그러나, 많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가시성 이미지를 생성한다(또는 그를 생성하도록 구성됨). 추가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어구 "이미지"는 초음파 모드, 예컨대 B-모드(2D 모드), M-모드, 3차원(3D) 모드, CF-모드, PW 도플러, CW 도플러, MGD, 및/또는 B-모드의 서브모드들 및/또는 CF, 예컨대 SWEI(Shear Wave Elasticity Imaging), TVI, Angio, B-플로우(B-flow), BMI, BMI_Angio, 및 일부 경우들에서, MM, CM, TVD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며, 여기서 "이미지" 및/또는 "평면"은 단일의 빔 또는 다수의 빔들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싱 유닛"은, 단일 또는 멀티-코어: CPU, APU(Accelerated Processing Unit), 그래픽 보드, DSP, FPGA, ASIC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필요한 요구된 계산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프로세싱 유닛을 지칭한다.
초음파 시스템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은 예시적인 초음파 시스템을 도시하고, 도 2 내지 도 6은 초음파 시스템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을 갖는 예시적인 메인 디스플레이 및 제어 패널을 도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태양들은 초음파 시스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대신에, 메인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을 갖는 임의의 의료 디바이스들이 고려된다.
이미지들을 생성하거나 형성하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빔형성(beamforming)을 포함하고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빔형성을 포함하지 않는 이미지들을 형성하기 위한 프로세싱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는, 예컨대 복조 데이터의 행렬을 계수들의 행렬과 곱하여 그 산물이 이미지가 되도록 빔형성 없이 형성될 수 있으며, 프로세스는 어떠한 "빔들"도 형성하지 않는다. 또한, 이미지들의 형성은 하나 초과의 송신 이벤트(예컨대, 합성 애퍼처 기법들)로부터 유래할 수 있는 채널 조합들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예를 들어, 수신 빔형성과 같은 초음파 빔형성을 포함하여, 이미지들을 형성하기 위한 초음파 프로세싱이 수행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형성된 소프트웨어 빔형성기(beamformer) 아키텍처를 갖는 초음파 시스템의 일 구현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를 통해 제공된 존재 신호에 응답하여 메인 디스플레이(134)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와 연관된 기능 데이터를 제시하도록 동작가능한 예시적인 초음파 시스템(100)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초음파 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초음파 시스템(100)은 송신기(102), 초음파 프로브(104), 송신 빔형성기(110), 수신기(118), 수신 빔형성기(120), A/D 변환기(122), RF 프로세서(124), RF/IQ 버퍼(126),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신호 프로세서(132), 이미지 버퍼(136), 디스플레이 시스템(메인 디스플레이로도 지칭됨)(134), 및 아카이브(138)를 포함한다.
송신기(102)는 초음파 프로브(104)를 구동시키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는 적합한 로직, 회로부, 인터페이스들 및/또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104)는 압전 요소들의 2차원(2D)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104)는 송신 트랜스듀서 요소들(106)의 그룹 및 수신 트랜스듀서 요소들(108)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통상적으로 동일한 요소들을 구성할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초음파 프로브(104)는 심장, 혈관, 또는 임의의 적합한 해부학적 구조물과 같은 해부학적 구조의 적어도 상당한 부분을 커버하는 초음파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송신 빔형성기(110)는, 송신 서브애퍼처(sub-aperture) 빔형성기(114)를 통해, 초음파 송신 신호들을 관심 영역(예컨대, 인간, 동물, 지하 공동, 물리적 구조물 등) 내로 방출하도록 송신 트랜스듀서 요소들(106)의 그룹을 구동하는 송신기(102)를 제어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는 적합한 로직, 회로부, 인터페이스들 및/또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된 초음파 신호들은 혈구들 또는 조직과 같은 관심 객체 내의 구조물들로부터 후방산란되어, 에코들을 생성할 수 있다. 에코들은 수신 트랜스듀서 요소들(108)에 의해 수신된다.
초음파 프로브(104) 내의 수신 트랜스듀서 요소들(108)의 그룹은 수신된 에코들을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고, 이는 수신 서브애퍼처 빔형성기(116)에 의해 서브애퍼처 빔형성을 겪고, 이어서 수신기(118)로 통신된다. 수신기(118)는, 수신 서브애퍼처 빔형성기(116)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는 적합한 로직, 회로부, 인터페이스들 및/또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아날로그 신호들은 복수의 A/D 변환기들(122) 중 하나 이상에 통신될 수 있다.
복수의 A/D 변환기들(122)은, 수신기(118)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는 적합한 로직, 회로부, 인터페이스들 및/또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A/D 변환기들(122)은 수신기(118)와 RF 프로세서(124) 사이에 배치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은 이와 관련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A/D 변환기들(122)은 수신기(118) 내에 통합될 수 있다.
RF 프로세서(124)는, 복수의 A/D 변환기들(122)에 의해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들을 복조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는 적합한 로직, 회로부, 인터페이스들 및/또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RF 프로세서(124)는 대응하는 에코 신호들을 나타내는 I/Q 데이터 쌍들을 형성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들을 복조하도록 동작가능한 복합 복조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RF 또는 I/Q 신호 데이터는, 이어서, RF/IQ 버퍼(126)로 통신될 수 있다. RF/IQ 버퍼(126)는, RF 프로세서(124)에 의해 생성되는 RF 또는 I/Q 신호 데이터의 임시 저장을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는 적합한 로직, 회로부, 인터페이스들 및/또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빔형성기(120)는, 예를 들어, RF/IQ 버퍼(126)를 통해 RF 프로세서(124)로부터 수신되는 지연된 채널 신호들을 합산하기 위해 그리고 빔 합산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디지털 빔형성 프로세싱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는 적합한 로직, 회로부, 인터페이스들 및/또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생성된 프로세싱된 정보는, 수신 빔형성기(120)로부터 출력되고 신호 프로세서(132)로 통신되는 빔 합산 신호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신기(118), 복수의 A/D 변환기들(122), RF 프로세서(124), 및 빔형성기(120)는 디지털일 수 있는 단일 빔형성기에 통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초음파 시스템(100)은 복수의 수신 빔형성기들(120)을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는 환자 데이터, 스캔 파라미터들, 설정들, 선택 프로토콜들 및/또는 템플릿들 등을 입력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는 초음파 시스템(100) 내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의 동작을 구성하고/하거나 관리하고/하거나 제어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는 송신기(102), 초음파 프로브(104), 송신 빔형성기(110), 수신기(118), 수신 빔형성기(120), RF 프로세서(124), RF/IQ 버퍼(126),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신호 프로세서(132), 이미지 버퍼(136), 디스플레이 시스템(134), 및/또는 아카이브(138)의 동작을 구성하고/하거나 관리하고/하거나 제어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는 버튼(들), 회전식 인코더(들), 터치 패널, 모션 추적, 음성 인식, 마우징(mousing) 디바이스, 키보드, 카메라 및/또는 사용자 지시를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130) 중 하나 이상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시스템(134)과 같은 다른 컴포넌트들에 통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는 존재 센서(130a) 및 작동 센서(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 센서(130b)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의 작동을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는 적합한 로직, 회로부, 인터페이스들 및/또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센서(130b)는 키보드 버튼의 눌림, 트랙볼의 롤링, 버튼의 눌림, 회전식 인코더의 회전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존재 센서(130a)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의 존재 센서(130a)에 대한 사용자 손가락의 터치 또는 밀접한 근접과 같은 사용자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는 적합한 로직, 회로부, 인터페이스들 및/또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존재의 검출은 작동 센서(130b)에 의한 작동의 임의의 후속 또는 동시 검출과는 별개이다. 존재 센서(130a)는 용량성 센서, 적외선 센서, 또는 센서와 터치하고/하거나 그에 대해 밀접한 근접지에 있는 사용자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임의의 적합한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존재 센서(130a)는 집적 회로에 커플링된, 전도성 포일 등과 같은 원격 감지 플레이트를 갖는 용량성 터치/근접 스위치일 수 있다. 원격 감지 플레이트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의 외부 표면 상에 있거나 그 아래에 있거나 그와 통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원격 감지 플레이트는 키보드 키, 트랙볼, 버튼, 회전식 인코더 등의 표면 상에 있거나 그 아래에 있거나 그와 통합될 수 있다. 존재 센서(130a)의 집적 회로는 원격 감지 플레이트로부터 커패시턴스의 변화에 대응하는 검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집적 회로는, 검출 신호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에서의 사용자의 존재를 나타낸 것에 응답하여, 초음파 시스템(100)의 신호 프로세서(132)로 존재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존재 센서(130a)의 감도는 조정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존재 센서(130a)의 감도는, 사용자 맨손 손가락으로부터의 터치(낮은 감도), 장갑을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 손가락(중간 감도), 존재 센서(130a)의 밀접한 근접지에서의 사용자 손가락(높은 감도), 또는 임의의 적합한 감도를 검출하기 위해 조정될 수 있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는 존재 센서(130a) 및 작동 센서(130b) 및/또는 감지 기능부를 갖는 터치 패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존재 센서(130a) 및 작동 센서(130b)의 감지는 저항성 필름 터치 패널들, 표면 용량성 터치 패널들, 투영식 용량성 터치 패널들, 표면 탄성파(surface acoustic wave, SAW) 터치 패널들, 광학 터치 패널들(예컨대, 적외선 광학 이미징 터치 패널들), 전자기 유도 터치 패널들, 또는 임의의 적합한 터치 패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터치 패널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는 존재와 작동 사이를 구별하기 위한 다수의 방식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존재는 광 터치에 의해 또는 터치 패널의 일정 위치 위에서 호버링함으로써 검출될 수 있고, 작동은 터치 패널의 일정 위치에서의 확실한 터치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존재는 터치 패널의 일정 위치에서의 터치 입력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작동은 터치 패널의 일정 위치에서의 이중 터치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다른 예는 존재 검출에 대응하는 터치 패널의 일정 위치에서의 단일 손가락을 포함할 수 있고, 다중 터치 입력(예컨대, 2개의 손가락들)은 검출된 작동에 대응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존재는 사전결정된 양 미만의 시간 동안 터치 패널의 일정 위치에서의 터치 입력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작동은 사전결정된 양 초과의 시간 동안 터치 패널의 일정 위치에서의 터치 입력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터치 패널은 존재 감지 기능부 및 작동 감지 기능부를 정의하도록 구성가능할 수 있다.
신호 프로세서(132)는, 디스플레이 시스템(메인 디스플레이로도 지칭됨)(134) 상에서의 제시를 위한 초음파 이미지들을 생성하기 위해 초음파 스캔 데이터(즉, 합산 IQ 신호)를 프로세싱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는 적합한 로직, 회로부, 인터페이스들 및/또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프로세서(132)는 획득된 초음파 스캔 데이터에 대해 복수의 선택가능한 초음파 양식들에 따라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신호 프로세서(132)는, 그 중에서도, 디스플레이 프로세싱 및/또는 제어 프로세싱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획득된 초음파 스캔 데이터는 에코 신호들이 수신됨에 따라 스캐닝 세션 동안 실시간으로 프로세싱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초음파 스캔 데이터는 스캐닝 세션 동안 RF/IQ 버퍼(126)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고, 라이브 또는 오프라인 동작에서 실시간 미만으로 프로세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된 이미지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34)에서 제시될 수 있고/있거나 아카이브(138)에서 저장될 수 있다. 아카이브(138)는 로컬 아카이브,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또는 이미지들 및 관련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신호 프로세서(132)는 하나 이상의 중앙 프로세싱 유닛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및/또는 기타 등등일 수 있다. 신호 프로세서(132)는, 예를 들어, 집적 컴포넌트일 수 있거나 또는 다양한 위치들에 걸쳐서 분포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신호 프로세서(132)는 존재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130) 및/또는 아카이브(138)로부터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시스템(134)에 의해 디스플레이가능한 출력을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로부터의 입력 정보에 응답하여 출력을 조작할 수 있다. 신호 프로세서(132) 및 존재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40)는,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방법(들) 및/또는 명령어들의 세트(들) 중 임의의 것을 실행할 수 있다.
초음파 시스템(100)은 당해 이미징 상황에 적합한 프레임 레이트로 초음파 스캔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획득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전형적인 프레임 레이트들은 20 내지 120의 범위에 있지만, 더 낮거나 더 높을 수 있다. 획득된 초음파 스캔 데이터는, 프레임 레이트와 동일하거나 더 느리거나 더 빠를 수 있는 디스플레이 레이트로 디스플레이 시스템(134)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시 디스플레이되도록 스케줄링되지 않은 획득된 초음파 스캔 데이터의 프로세싱된 프레임들을 저장하기 위한 이미지 버퍼(136)가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미지 버퍼(136)는 초음파 스캔 데이터의 적어도 수 분의 가치가 있는 프레임들을 저장하기 위한 충분한 용량을 갖는다. 초음파 스캔 데이터의 프레임들은 그의 순서 또는 획득 시간에 따라 그의 검색을 용이하게 하는 방식으로 저장된다. 이미지 버퍼(136)는 임의의 공지된 데이터 저장 매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신호 프로세서(132)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의 존재 센서(130a)로부터 존재 신호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수신된 존재 신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시스템(134)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의 기능부에 대응하는 기능 데이터를 제시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는 적합한 로직, 회로부, 인터페이스들 및/또는 코드를 포함하는 존재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 데이터는 하이라이팅(highlighting), 마킹, 오버레이된 텍스트 또는 값들, 또는 기능부 및/또는 기능부와 연관된 현재 설정 값에 주의를 돌리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메커니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데이터는 하이라이트 또는 마킹되는 디스플레이된 기능 텍스트, 값들 및/또는 아이콘들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기능 데이터는 기능부를 설명하는 텍스트 및/또는 값들, 및/또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34) 상에 중첩되는 기능부와 연관된 현재 값일 수 있다.
존재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4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130)을 기능부 및/또는 기능부의 현재 설정 값과 연관시키는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다. 연관 정보는 선택된 이미징 모드 및/또는 이미징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액세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래밍가능한 버튼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는, 이미지를 프린트하는 것, 이미지를 저장하는 것, 이미지를 DICOM 저장소로 전송하는 것과 같은 사용자 선택 기능부, 및/또는 하나 이상의 모드들 및/또는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임의의 적합한 기능부 또는 기능부들의 조합들과 연관될 수 있다. 다른 버튼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130)은, 특정 이미징 모드를 특정하는 것, 측정 모드에 진입하는 것과 같은 사전정의된 기능부, 또는 임의의 적합한 사전정의된 기능부를 가질 수 있다. 회전식 인코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130)은 이미지 설정 값 조정들(예컨대, 밝기, 콘트라스트 등), 이미지 회전 기능부(예컨대, X-축, Y-축, 또는 Z-축을 중심으로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을 회전시키는 것), 또는 하나 이상의 모드들 및/또는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임의의 적합한 기능부와 연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130) 중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기능부가 디스플레이 시스템(134)에서 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린트 아이콘, 저장 아이콘, 상이한 모드 텍스트 또는 아이콘들(예컨대, 측정 모드, 광원 변경 모드 등), 이미지 회전 방향들에 대응하는 화살표들 등이 디스플레이 시스템(134)에서 연속적으로 또는 적절한 시간에(예컨대, 기능부가 이용가능한 경우에) 가시적일 수 있다.
존재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40)는, 적절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를 위치설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시스템(134)으로부터 눈길을 돌릴 필요가 없도록 그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의 존재 센서(130a)로부터 존재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시스템(134)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에 대응하는 아이콘, 텍스트, 값, 화살표 등을 식별하는 시각적 표시자(즉, 기능 데이터)를 하이라이트하도록, 마킹하도록, 또는 달리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초음파 시스템(100)의 제어 패널 상의 상이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130) 위에서 손가락을 이동시킬 수 있고, 대응하는 기능부는, 사용자가,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하고 있거나 그 위에서 호버링하고 있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에 대응하는 기능부를 인식하도록 기능 데이터에 의해 식별될 것이다. 사용자는, 일단 위치되면, 적절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를 작동시킬 수 있고,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의 작동 센서(130b)는 연관된 기능부를 선택 또는 조정하기 위해 신호 프로세서(132)에 작동 신호를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존재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40)는 수신된 존재 신호에 응답하여 기능부와 연관된 텍스트 및/또는 현재 설정 값을 오버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는 사용자 손가락이 터치하고 있거나 위에서 호버링하고 있는 터치 패널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상의 위치에 대응하는 존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존재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40)는 터치 패널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를 살펴볼 필요 없이 사용자가 터치 패널 상에서 식별되고 디스플레이 시스템(134) 상에서 오버레이된 기능부를 선택 또는 조정할 수 있도록 터치 패널 상의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34) 상에서 텍스트 및/또는 현재 설정 값을 중첩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210 내지 250)을 갖는 예시적인 메인 디스플레이(400) 및 제어 패널(200)의 디스플레이들이며, 메인 디스플레이(400)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된 존재 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와 연관된 기능 데이터(430)를 제시하도록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6의 메인 디스플레이(400)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시스템(134)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210 내지 250)은 도 1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어 패널(200) 및 메인 디스플레이(400)가 도시되어 있다. 제어 패널(200)은 키보드(210), 트랙볼(220), 트랙볼(220)을 둘러싸는 버튼들(230), 다른 독립형 버튼들(240), 회전식 인코더들(250), 및 터치 패널(300)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210 내지 250, 300)은 존재 센서 및 작동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터치 패널(300)은 선택가능한 기능부(310) 및 조정가능한 설정 값 기능부(320)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6의 메인 디스플레이(400)는 초음파 이미지들(410), 선택가능한 그리고/또는 조정가능한 기능부(420), 및 기능 데이터(43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린트 기능부(420)를 하이라이트하는 기능 데이터(430)는, 사용자가 하이라이트된 프린트 기능부(420)에 대응하는 버튼(240) 위에서 호버링하거나 그를 터치한 것에 응답하여, 메인 디스플레이(400)에서 제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측정 모드 기능부(420)를 하이라이트하는 기능 데이터(430)는, 사용자가 하이라이트된 측정 모드 기능부(420)에 대응하는 버튼(240) 위에서 호버링하거나 그를 터치한 것에 응답하여, 메인 디스플레이(400)에서 제시된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광원 변경 모드 기능부(420)를 하이라이트하는 기능 데이터(430)는, 사용자가 하이라이트된 광원 변경 모드 기능부(420)에 대응하는 트랙볼(220)에 인접한 버튼(230) 위에서 호버링하거나 그를 터치한 것에 응답하여, 메인 디스플레이(400)에서 제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A-평면 초음파 이미지(410) 및 C-평면 초음파 이미지(410)에 인접한 수평방향 화살표들(420)을 하이라이트하는 기능 데이터(430)는, 사용자가 X-축을 중심으로 초음파 이미지 데이터(4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식 인코더(250)를 파지한 것에 응답하여, 메인 디스플레이(400)에서 제시된다. 하이라이트된 수평방향 화살표들(420)은 초음파 이미지들(410), 및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회전식 인코더(250)에 대응하는 회전 방향 둘 모두를 식별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터치 패널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300)가 다른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210 내지 250)과 함께 제어 패널(200) 상에 제공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가 터치 패널(300) 상의 선택가능한 기능부(310)를 터치하거나 또는 그 위에서 호버링하는 것에 응답하여, 텍스트 설명이 메인 디스플레이(400) 상에서 중첩된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텍스트 설명 및/또는 현재 설정 값은, 사용자가 선택가능한 그리고/또는 조정가능한 기능부(320)를 터치하거나 그 위에서 호버링하는 것에 응답하여, 또는 사용자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접 회전식 인코더(250)와 같은 선택가능한 그리고/또는 조정가능한 기능부(320)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터치하거나 그에 대해 밀접한 근접지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메인 디스플레이 상에서 중첩된다. 메인 디스플레이(400) 상에서 중첩되는 설정 값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의 작동에 응답하여, 예컨대 터치 패널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300)에서 제시된 이미지 밝기 또는 이미지 콘트라스트 조정가능 기능부(320)에 대응하는 회전식 인코더(250)를 회전시킴으로써, 동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34)은 사용자에게 시각적 정보를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시스템(134)은 액정 디스플레이,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및/또는 임의의 적합한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134)은 메인 디스플레이(400)에 신호 프로세서(132) 및/또는 아카이브(138)로부터의 정보, 예컨대 초음파 이미지 데이터(410), 텍스트, 아이콘, 화살표들 등에 의해 표현되는 기능부(420), 하이라이트하는 것, 마킹하는 것, 중첩된 텍스트, 중첩된 설정 값들 등과 같은 기능 데이터(430), 및/또는 임의의 적합한 정보를 제시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아카이브(138)는 초음파 시스템(100)에 통합되고/되거나 (예컨대, 네트워크를 통해) 초음파 시스템(100)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들, 예컨대 PACS, 서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CD, CD-ROM, DVD, 소형 저장소, 플래시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전기적 소거가능 및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및/또는 임의의 적합한 메모리일 수 있다. 아카이브(138)는,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라이브러리, 정보 세트, 또는 신호 프로세서(132)에 의해 액세스되고/되거나 그와 통합되는 다른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아카이브(138)는, 예를 들어,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아카이브(138)는, 그 중에서도, 의료 이미지 데이터, 신호 프로세서(132)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및/또는 신호 프로세서(132)에 의해 판독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아카이브(138)는, 예를 들어, 이미지 획득, 프로세싱, 디스플레이, 저장, 송신, 및/또는 프린팅 기능부와, 연관된 기능부를 실행시키기 위한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130) 사이의 연관들을 저장한다.
초음파 시스템(100)의 컴포넌트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및/또는 기타 등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초음파 시스템(100)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통신가능하게 링크될 수 있다. 초음파 시스템(100)의 컴포넌트들은 개별적으로 구현되고/되거나 다양한 형태들로 통합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210 내지 250)를 통해 제공된 존재 신호에 응답하여 메인 디스플레이(134, 400)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210 내지 250)와 연관된 기능 데이터(430)를 제시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단계들(502 내지 510)을 도시한 흐름도(500)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단계들(502 내지 510)을 포함하는 흐름도(500)가 도시되어 있다. 소정 실시예들은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을 생략할 수 있고/있거나, 열거된 순서와는 상이한 순서로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고/있거나, 하기에 논의된 단계들 중 일부를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단계들은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추가의 예로서, 소정의 단계들이 하기에 열거된 것 외에,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비롯하여, 상이한 시간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502)에서, 초음파 시스템(100)의 신호 프로세서(132)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의 존재 센서(130a)로부터 존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는 버튼(230, 240), 회전식 인코더(250), 터치 패널(300), 트랙볼(220), 키보드(210) 등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는 존재 센서(130a) 및 작동 센서(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존재 센서(130a)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를 터치하고/하거나 그 위에서 호버링하는 사용자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존재 센서(130a)는 용량성 센서, 적외선 센서, 또는 임의의 적합한 센서일 수 있다. 존재 센서(130a)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를 터치하고/하거나 그 위에서 호버링하는 것의 검출에 응답하여 존재 신호를 존재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40)로 전송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작동 센서(130b)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의 작동을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센서(130b)는 신호 프로세서(132)에 버튼의 눌림, 회전식 인코더의 회전, 트랙볼의 롤링, 터치 패널 옵션의 선택, 또는 임의의 적합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의 작동에 대응하는 작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504)에서, 초음파 시스템(100)의 신호 프로세서(132)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34)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에 대응하는 기능 데이터(430)를 제시하도록 존재 신호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프로세서(132)의 존재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40)는 단계(502)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의 존재 센서(130a)로부터 수신된 존재 신호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존재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40)는, 존재 신호를 제공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를 식별할 수 있고, 그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와 연관된 기능부를 식별할 수 있다. 존재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34)의 메인 디스플레이(400)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의 기능부(420)를 식별하기 위해 기능 데이터(4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기능 데이터(430)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의 디스플레이된 기능부(420)의 하이라이팅 또는 마킹,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의 기능부(420)의 텍스트 또는 설정 값, 또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의 기능부(420)를 식별하는 임의의 적합한 정보일 수 있다. 존재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40)에 의해 제시된 기능 데이터(430)는, 사용자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메인 디스플레이(400)로부터 눈길을 돌릴 필요가 없도록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부(420)와 연관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를 터치하고 있거나 그 위에서 호버링하고 있는지를 결정하게 할 수 있다.
단계(506)에서, 초음파 시스템(100)의 신호 프로세서(132)는 작동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프로세서(132)는 작동 신호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의 작동 센서(130b)로부터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작동 신호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34)의 메인 디스플레이(400)에서 제시되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의 기능부(420)를 식별하는 기능 데이터(430)에 대응할 수 있다. 신호 프로세서(132)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의 작동 센서(130b)로부터 작동 신호를 수신했다면, 프로세스는 단계(510)로 진행한다. 신호 프로세서(132)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의 작동 센서(130b)로부터 작동 신호를 수신하지 않았다면, 프로세스는 단계(508)로 진행한다.
단계(508)에서, 초음파 시스템(100)의 신호 프로세서(132)는 존재 신호가 변화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존재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의 존재 센서(130a)로부터 수신된 존재 신호를 능동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사용자가 여전히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위에서 호버링하고 있고/있거나 그를 터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존재 신호가 변화하지 않아서, 존재 센서(130a)가 여전히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의 한정된 근접지에 있음을 검출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었다면, 단계들(506, 508)은, 단계(506)에서 신호 프로세서가 작동 신호를 수신하거나 단계(508)에서 존재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40)가 존재 신호의 변화를 검출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존재 신호가 변화했다면(예컨대, 존재 센서(130a)가 사용자 존재를 더 이상 검출하고 있지 않고/않거나 존재 신호가 상이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의 상이한 존재 센서(130a)로부터 수신됨), 프로세스는 상이한 존재 신호가 수신될 때 단계(502)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510)에서, 초음파 시스템(100)의 신호 프로세서(132)는 기능부(310, 420)를 선택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34)의 메인 디스플레이(400)에서 제시되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에 대응하는 기능 데이터(430)와 연관된 값(320)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프로세서(132)는 단계(506)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의 작동 센서(130b)로부터 작동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기능 데이터(430)에 의해 하이라이트되거나 마킹되거나 달리 식별된 기능부(310, 420)를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서, 사용자가 측정 모드와 연관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를 터치하고 있었거나 그 위에서 호버링하고 있었다면, 측정 모드 기능부(420)는 단계(504)에서 디스플레이 시스템(134)의 메인 디스플레이(400) 상에 하이라이트되거나 달리 제시될 수 있다(430). 사용자가 단계(506)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를 작동시키는 경우, 신호 프로세서(132)는 단계(510)에서 측정 모드에 진입하기 위해 측정 모드 기능부(420)를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스는, 존재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40)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의 존재 센서(130a)로부터 새로운 존재 신호를 수신할 때 단계(502)로 복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들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를 통해 제공된 존재 신호에 응답하여 메인 디스플레이(134, 400)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와 연관된 기능 데이터(430)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500) 및 시스템(100)을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방법(500)은, 초음파 시스템(100)의 프로세서(132, 140)에서, 초음파 시스템(100)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의 존재 센서(130a)로부터 존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502)를 포함할 수 있다. 존재 신호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에 대한 근접지에서의 사용자의 검출에 응답하여 존재 센서(130a)에 의해 제공된다. 존재 신호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의 사용자 작동에 응답하여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에 의해 제공되는 작동 신호와는 독립적이다. 방법(500)은, 프로세서(132, 140)에 의해, 초음파 시스템(100)의 메인 디스플레이(134, 400)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의 기능부(420)를 식별하는 기능 데이터(430)를 제시하도록 존재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단계(504)를 포함할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방법(500)은, 프로세서(132, 140)에 의해,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의 사용자 작동에 응답하여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로부터 작동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506)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500)은, 프로세서(132, 140)에 의해, 메인 디스플레이(134, 400)에서 제시되는 기능 데이터(430)에 의해 식별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의 기능부(420)를 선택하는 단계(510), 또는 프로세서(132, 140)에 의해, 메인 디스플레이(134, 400)에서 제시되는 기능 데이터(430)에 의해 식별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의 기능부(420)와 연관된 설정 값을 조정하는 단계(510)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에 대한 사용자의 근접은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 위에서 호버링하는 것 또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를 터치하는 것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는 버튼(230, 240), 회전식 인코더(250), 또는 터치 패널(300) 중 하나이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존재 센서(130a)는 용량성 센서이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용량성 센서는 검출을 위해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에 대한 사용자의 근접을 정의하도록 조정가능하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기능 데이터(430)는 디스플레이된 기능부(420)의 아이콘, 적어도 하나의 화살표, 텍스트, 및 설정 값 중 하나 이상을 식별하는 하이라이팅 또는 마킹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능 데이터(430)는 메인 디스플레이(134, 400) 상에서 중첩되며, 기능 데이터(430)는 텍스트 및 설정 값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를 통해 제공된 존재 신호에 응답하여 메인 디스플레이(134, 400)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와 연관된 기능 데이터(430)를 제시하기 위한 초음파 시스템(100)을 제공한다. 초음파 시스템(100)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2, 140), 및 메인 디스플레이(134, 4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는 존재 센서(130a)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는 존재 센서(130a)에 의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에 대한 근접지에서의 사용자의 검출에 응답하여 존재 신호를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의 사용자 작동에 응답하여, 존재 신호와는 독립적인 작동 신호를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2, 140)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의 존재 센서(130a)로부터 존재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2, 140)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의 기능부(420)를 식별하는 기능 데이터(430)를 제시하기 위해 존재 신호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134, 400)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의 기능부(420)를 식별하는 기능 데이터(430)를 제시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2, 140)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의 사용자 작동에 응답하여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로부터 작동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2, 140)는 메인 디스플레이(134, 400)에서 제시되는 기능 데이터(430)에 의해 식별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의 기능부(420)를 선택하는 것, 또는 메인 디스플레이(134, 400)에서 제시되는 기능 데이터(430)에 의해 식별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의 기능부(420)와 연관된 설정 값을 조정하는 것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에 대한 사용자의 근접은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 위에서 호버링하는 것 또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를 터치하는 것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는 버튼(230, 240), 회전식 인코더(250), 또는 터치 패널(300) 중 하나일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존재 센서(130a)는 용량성 센서일 수 있다. 용량성 센서는 검출을 위해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에 대한 사용자의 근접을 정의하도록 조정가능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기능 데이터(430)는 디스플레이된 기능부(420)의 아이콘, 적어도 하나의 화살표, 텍스트, 및 설정 값 중 하나 이상을 식별하는 하이라이팅 또는 마킹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2, 140)는 메인 디스플레이(134, 400) 상에서 기능 데이터(430)를 중첩시키도록 구성된다. 기능 데이터(430)는 텍스트 및 설정 값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일 수 있다.
소정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코드 섹션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코드 섹션은 기계가 단계들(500)을 수행하게 하기 위해 기계에 의해 실행가능하다. 단계들(500)은 초음파 시스템(100)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의 존재 센서(130a)로부터 존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502)를 포함할 수 있다. 존재 신호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에 대한 근접지에서의 사용자의 검출에 응답하여 존재 센서(130a)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존재 신호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의 사용자 작동에 응답하여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에 의해 제공되는 작동 신호와는 독립적일 수 있다. 단계들(500)은 초음파 시스템(100)의 메인 디스플레이(134, 400)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의 기능부(420)를 식별하는 기능 데이터(430)를 제시하도록 존재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단계(504)를 포함할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단계들(500)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의 사용자 작동에 응답하여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로부터 작동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506)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들(500)은 메인 디스플레이(134, 400)에서 제시되는 기능 데이터(430)에 의해 식별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의 기능부(420)를 선택하는 단계(510), 또는 메인 디스플레이(134, 400)에서 제시되는 기능 데이터(430)에 의해 식별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의 기능부(420)와 연관된 설정 값을 조정하는 단계(510)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에 대한 사용자의 근접은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 위에서 호버링하는 것 또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 210 내지 250, 300)를 터치하는 것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기능 데이터(430)는 디스플레이된 기능부(420)의 아이콘, 적어도 하나의 화살표, 텍스트, 및 설정 값 중 하나 이상을 식별하는 하이라이팅 또는 마킹일 수 있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기능 데이터(430)는 메인 디스플레이(134, 400) 상에서 중첩될 수 있다. 기능 데이터(430)는 텍스트 및 설정 값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활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회로부"는, 하드웨어를 구성할 수 있고/있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있거나 하드웨어와 달리 연관될 수 있는 물리적 전자 컴포넌트들(즉, 하드웨어) 및 임의의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코드")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특정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제1 하나 이상의 코드 라인들을 실행시킬 때 제1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하나 이상의 코드 라인들을 실행시킬 때 제2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활용되는 바와 같이, "및/또는"은 "및/또는"에 의해 결합되는, 리스트 내의 아이템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일례로서, "x 및/또는 y"는 3-요소 세트{(x), (y), (x, y)}의 임의의 요소를 의미한다. 다른 예로서, "x, y, 및/또는 z"는 7-요소 세트{(x), (y), (z), (x, y), (x, z), (y, z), (x, y, z)}의 임의의 요소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활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예시적인"은 비제한적인 예, 사례, 또는 예시로서의 역할을 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활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들 "예컨대" 및 "예를 들어"는 하나 이상의 비제한적인 예들, 사례들, 또는 예시들의 리스트들을 제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활용되는 바와 같이, 회로부는, 일부 사용자-구성가능 설정에 의해 기능의 수행이 디스에이블되거나 인에이블되지 않는지의 여부와는 무관하게, 회로부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수 하드웨어 및 코드(어떤 것이든 필요한 경우)를 포함할 때마다,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하고/하거나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들은, 기계 및/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코드 섹션을 갖고, 그에 의해, 기계 및/또는 컴퓨터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된 존재 신호에 응답하여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와 연관된 기능 데이터를 제시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은 단계들을 수행하게 하는 기계 코드 및/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디바이스 및/또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또는 기계 판독가능 디바이스 및/또는 비일시적 기계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중앙집중 방식으로, 또는 몇몇 상호접속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걸쳐서 상이한 요소들이 확산되는 분산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종류의 컴퓨터 시스템 또는 다른 장치가 적합하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내장될 수 있는데,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들의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모든 특징부들을 포함하고, 컴퓨터 시스템에서 로딩될 때, 이러한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맥락에서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정보 프로세싱 능력을 갖는 시스템이 하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 즉시 또는 그 후에 특정 기능을 수행하게 하도록 의도된 명령어들의 세트의, 임의의 언어, 코드 또는 표기의, 임의의 표현을 의미한다: a) 다른 언어, 코드 또는 표기로의 변환; b) 상이한 자료 형태의 복원(reproduction).
본 발명이 소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화들이 이루어질 수 있고 등가물들이 대체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특정 상황 또는 재료를 본 발명의 교시 내용에 적응시키도록 많은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시된 특정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속하는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할 것임이 의도된다.

Claims (10)

  1. 초음파 시스템으로서,
    존재 센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 -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상기 존재 센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에 대한 근접지에서의 사용자의 검출에 응답하여 존재 신호를 제공하도록, 그리고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의 사용자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존재 신호와는 독립적인 작동 신호를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함 -;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의 존재 센서로부터 상기 존재 신호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의 기능부를 식별하는 기능 데이터를 제시하기 위해 상기 존재 신호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됨 -; 및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의 기능부를 식별하는 상기 기능 데이터를 제시하도록 동작가능한 메인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의 사용자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작동 신호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제시되는 상기 기능 데이터에 의해 식별된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의 기능부를 선택하는 것, 또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제시되는 상기 기능 데이터에 의해 식별된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의 기능부와 연관된 설정 값을 조정하는 것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이행하도록 구성된, 초음파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근접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 위에서 호버링(hovering)하는 것, 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터치하는 것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인, 초음파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버튼,
    회전식 인코더, 또는
    터치 패널 중 하나인, 초음파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존재 센서는 용량성 센서이고, 상기 용량성 센서는 검출을 위해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근접을 정의하도록 조정가능한, 초음파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데이터는 하기의 디스플레이된 기능부 중 하나 이상을 식별하는 하이라이팅(highlighting) 또는 마킹인, 초음파 시스템:
    아이콘,
    적어도 하나의 화살표,
    텍스트, 및
    설정 값.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기능 데이터를 중첩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능 데이터는 텍스트 및 설정 값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인, 초음파 시스템.
  8. 적어도 하나의 코드 섹션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드 섹션은, 기계에 의해, 상기 기계로 하여금,
    초음파 시스템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의 존재 센서로부터 존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존재 신호는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에 대한 근접지에서의 사용자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존재 센서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존재 신호는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의 사용자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작동 신호와는 독립적임 -; 및
    상기 초음파 시스템의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의 기능부를 식별하는 기능 데이터를 제시하도록 상기 존재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하기 위해 실행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의 사용자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작동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제시되는 상기 기능 데이터에 의해 식별된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의 기능부를 선택하는 단계, 또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제시되는 상기 기능 데이터에 의해 식별된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의 기능부와 연관된 설정 값을 조정하는 단계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근접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 위에서 호버링하는 것, 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터치하는 것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200053220A 2019-05-10 2020-05-04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존재 신호에 응답하여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와 연관된 기능 데이터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306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409,533 US10788964B1 (en) 2019-05-10 2019-05-10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function data associated with a user input device at a main display in response to a presence signal provided via the user input device
US16/409,533 2019-05-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653A true KR20200130653A (ko) 2020-11-19

Family

ID=72615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220A KR20200130653A (ko) 2019-05-10 2020-05-04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존재 신호에 응답하여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와 연관된 기능 데이터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88964B1 (ko)
KR (1) KR20200130653A (ko)
CN (1) CN11190446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718A (ko) * 2018-11-16 2021-06-11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멀티 게이트 도플러 신호의 펄스파 도플러 신호들에 기초하여 시간에 걸쳐 해부학적 구조물을 추적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1133A (en) 1991-05-09 1994-08-23 The Rowland Institute For Science, Inc. Keyboard having touch sensor keys for conveying information electronically
US6436040B1 (en) * 2000-11-09 2002-08-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tuitive user interface and control circuitry including linear distance measurement and user localization in a portable ultrasound diagnostic device
US20030025676A1 (en) * 2001-08-02 2003-02-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ensor-based menu for a touch screen panel
US7115093B2 (en) * 2001-11-21 2006-10-03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mpany, Llc Method and system for PDA-based ultrasound system
WO2003050671A2 (de) 2001-12-11 2003-06-19 Wolfgang Fallot-Burghardt Kombination von computertastatur und maussteuerungsvorrichtung
WO2006040697A1 (en) * 2004-10-12 2006-04-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Ultrasound touchscreen user interface and display
US9848849B2 (en) * 2008-08-21 2017-12-26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touch screen control of an ultrasound system
US20100265204A1 (en) * 2009-04-21 2010-10-2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Finger recognition for authentication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input
US20120157843A1 (en) * 2010-12-16 2012-06-21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to select system settings and parameters in performing an ultrasound imaging procedure
JP2012143356A (ja) * 2011-01-11 2012-08-02 Toshiba Corp 超音波診断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285950B2 (en) * 2011-03-30 2016-03-15 Google Inc. Hover-over gesturing on mobile devices
US9116598B1 (en) * 2012-01-10 2015-08-25 Koji Yoden User interface for use in computing device with sensitive display
US9877699B2 (en) * 2012-03-26 2018-01-30 Teratech Corporation Tablet ultrasound system
JP5721662B2 (ja) * 2012-04-26 2015-05-20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入力受付方法、入力受付プログラム、及び入力装置
KR20150102589A (ko) * 2014-02-28 2015-09-07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의료 영상 처리 장치, 의료 영상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EP3117352A1 (en) * 2014-03-14 2017-01-18 B-K Medical ApS Graphical virtual controls of an ultrasound imaging system
JP6278889B2 (ja) * 2014-12-22 2018-02-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520601B2 (en) * 2015-04-15 2019-12-31 Audio Pixels Ltd.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at least the position of an object in space
WO2016180636A1 (en) * 2015-05-11 2016-11-17 Koninklijke Philips N.V. Deformable ultrasound array and system
EP3478181B1 (en) * 2016-06-30 2020-08-05 Koninklijke Philips N.V. Sealed control panel for medical equipment
US10318034B1 (en) * 2016-09-23 2019-06-11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user interface objects via proximity-based and contact-based inputs
CN110167449A (zh) * 2016-11-16 2019-08-23 德拉工业公司 便携式超声系统
US20190114812A1 (en) * 2017-10-17 2019-04-18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ultrasound imaging system for emphasizing an ultrasound image on a display scre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718A (ko) * 2018-11-16 2021-06-11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멀티 게이트 도플러 신호의 펄스파 도플러 신호들에 기초하여 시간에 걸쳐 해부학적 구조물을 추적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904462B (zh) 2024-04-09
CN111904462A (zh) 2020-11-10
US10788964B1 (en) 202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1371B1 (ko) 초음파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758206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d visualization of lung sliding by automatically detecting and highlighting lung sliding in images of an ultrasound scan
KR20170006200A (ko) 의료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220071595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ng user interface elements based on real-time anatomical structure recognition in acquired ultrasound image views
JP2023503818A (ja) 医用超音波画像を取得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00130653A (ko)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존재 신호에 응답하여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와 연관된 기능 데이터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15213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otation previews for three-dimensional and four-dimensional ultrasound images
CN111345845B (zh) 增加体积复合超声图像的有效线密度的方法和系统
US99994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d visualization of a curved structure by automatically displaying a rendered view of a curved image slice
US201100551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ultrasound information storage requirements
US11314398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d visualization of ultrasound images by performing predictive image depth selection
KR20150012142A (ko) 사용자 제어 장치, 사용자 제어 장치용 하드웨어 장치, 이를 포함한 의료 기기 및 의료 기기의 동작 방법
EP3673815B1 (en) Acoustic wave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coustic wave measurement apparatus
US11259777B2 (en)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and medical image processing method
US101469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d visualization and navigation of three dimensional and four dimensional medical images
US11974883B2 (en) Ultrasound imag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 program
KR20160064895A (ko) 볼륨 렌더링 장치 및 볼륨 렌더링 방법
US1197488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anatomic orientation indicator with a patient-specific model of an anatomical structure of interest extracted from a three-dimensional ultrasound volume
US2022033471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dynamically updated visual feedback at a main display based on touch panel control interaction
KR20180087698A (ko) 대상체에 관한 횡파 탄성 데이터를 표시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 그 동작 방법
JP2021090724A (ja) パルス波ドップラー撮像においてアーチファクト警告を自動的に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12955076A (zh) 用于基于多栅极多普勒信号的脉冲波多普勒信号随时间跟踪解剖结构的方法和系统
CN112690826B (zh) 用于在脉冲波多普勒成像中自动提供伪影警告的方法和系统
US11810224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posing markers added to a first ultrasound imaging mode dataset to a second ultrasound imaging mode dataset
EP3851051B1 (en)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