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0373A - 채널을 갖는 접을 수 있는 배플을 포함하는 단일 사용 용기 - Google Patents

채널을 갖는 접을 수 있는 배플을 포함하는 단일 사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0373A
KR20200130373A KR1020207028600A KR20207028600A KR20200130373A KR 20200130373 A KR20200130373 A KR 20200130373A KR 1020207028600 A KR1020207028600 A KR 1020207028600A KR 20207028600 A KR20207028600 A KR 20207028600A KR 20200130373 A KR20200130373 A KR 20200130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affle
fluid
channels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8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4162B1 (ko
Inventor
제프리 피어슨
에이미 우드
데이비드 크라우스
Original Assignee
이엠디 밀리포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엠디 밀리포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엠디 밀리포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00130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18Flow directing inserts
    • C12M27/20Baffles; Ribs; Ribbons; Auger v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14Bag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26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flexibl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28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disposable or single u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48Holding appliances; Racks; Suppor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52Mobile; Means for transporting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02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06Nozzles; Sprayers; Spargers;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14Pressurized flui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42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agitation spe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유체를 위한 접을 수 있는 용기이며, 내부 작동 체적부를 형성하는 가요성 물질; 상기 접을 수 있는 용기의 작동 체적부 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을 수 있는 배플로서, 하나 이상의 채널을 가지며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통해 작동 체적부로 하나 이상의 유체를 전달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플, 작동 체적부로부터 유체를 배출 또는 배기하기 위한 상기 용기 내의 하나 이상의 채널, 및 상기 용기의 작동 체적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임펠러 조립체를 포함하는, 접을 수 있는 용기.

Description

채널을 갖는 접을 수 있는 배플을 포함하는 단일 사용 용기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4월 10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특허 번호 62/655,277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개시내용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는 혼합기 또는 생물반응기로서 유용한 접을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부 실시예는 접을 수 있는 용기의 내부 체적 내에 액체 및/또는 기체의 전달을 위해 배플(들)의 내부에 형성된 채널 및 구멍을 갖는 접을 수 있는 배플(들)을 포함한다.
전통적으로, 유체는 스테인리스 강 용기를 이용하는 시스템에서 가공되었다. 이들 용기는 재사용될 수 있도록 사용 후에 멸균된다. 멸균 절차는 고가이고 번거롭고, 또한 때때로 효과가 없다.
더 큰 제조 유연성을 제공하고 장비를 멸균하고 재정비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조자들은 현재 제품 뱃치를 가공하는데 한번 사용되고 그 뒤에 폐기되는 백 등의 일회용 무균 용기를 사용한다. 이들 일회용 백은 성분들 중 적어도 하나는 액체이고 다른 것(들)은 액체 또는 고체인 둘 이상의 성분들을 혼합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며, 백은 내용물이 가능한 균일하게 혼합되게 하기 위한 혼합 요소 등을 갖는다.
예를 들어, 용기, 백, 생물반응기 또는 발효기는 현탁액 중에 또는 마이크로캐리어 상에 존재하는 세포를 가공하고, 상기 백은 백의 내부 체적 내의 액체, 기체, 및 경우에 따라서 세포를 순환 및/또는 혼합시키기 위한 임펠러 등의 순환 부재를 더 포함한다. 마이크로캐리어는, 예를 들어, 다양한 단백질, 세라믹, 및/또는 중합체, 예컨대 DEAE-덱스트란, 콜라겐, 알지네이트, 유리, 폴리스티렌 플라스틱 및 아크릴아미드를 비롯한 다양한 물질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비드이다. 적합한 상업적 마이크로캐리어는 지이 코포레이션(GE Corp.)으로부터 입수 가능한 사이토덱스(CYTODEX)® 마이크로캐리어; 폴 코포레이션(Pall Corp.)으로부터 입수 가능한 솔로힐(SOLOHILL)™ 마이크로캐리어, 및 코닝 인크.(Corning Inc.)로부터 입수 가능한 셀바인드(CELLBIND)® 마이크로캐리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몇몇 백, 생물반응기, 또는 발효기는 개선된 혼합을 위해 백의 내부 측벽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수직으로 형성되는 배플을 포함한다. 이들 배플은 전형적으로 슬리브이며, 슬리브의 내부에 끼워지게 성형된 목재, 플라스틱, 또는 금속과 같은 강성 부재를 갖는다. 강성 부재(들)는 배플을 지지하기 위해 및/또는 그 혼합 능력을 개선하기 위해 배플 내로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대안적으로, 슬리브는 강성을 획득하기 위해, 하나의 하부 측벽부 및 반대 위치에 있는 상부 측벽부와 같은, 용기의 두 개의 내측 수직 표면의 부분에 고정되고 그를 가로질러 신장될 수 있다.
큰 체적 백, 예를 들어, 1000L 내지 2000L 체적 백, 용기, 또는 생물반응기는 이들 시스템의 증가된 높이로 인해 강성의 인서트를 배플 슬리브 내로 도입하기 어렵게 하여 잠재적인 고장 모드, 찢어짐, 마모, 가공된 액체 내로의 오염물의 도입 등을 야기하기 때문에, 강성 배플을 포함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백의 전체적인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된 높이 대 너비 종횡비에도 불구하고 혼합 효율이 감소하기 때문에, 더 작은 규모의 백에서 명백한 하부에서 상부로의 부적합한 혼합이, 더 큰 백에서는 더욱 확연하다.
또한, 백신의 생산에서와 같이, 관련된 액체는 신체의 면역 반응을 향상시킴으로써 백신의 효능을 개선시키는 보조제로서 알루미늄 염을 종종 함유한다. 불행히도, 알루미늄 염은 0.2㎛보다 큰 입자 크기로 이루어지므로, 무균 여과는 일반적으로 고려대상이 아니다. 매회의 이송이 무균성의 잠재적인 파괴를 나타내고, 생성되는 오염물은 걸러낼 수 없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백신이 이송될 용기의 수를 최소화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따라서, 백신이 담겨 운반될 가요성의 일회용 백 등의 동일한 용기 내에서 백신을 혼합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우수한 혼합은 생물반응기 공정의 최적화에 중요하다. 잘 설계된 혼합 시스템은 3가지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한다: 균질한 분포로 일정한 조건 (영양소, pH, 온도 등)의 생성; 생물반응기에서와 같이 필요한 장소 및 시점에 예를 들어 산소 공급을 위한, 및 이산화탄소를 추출을 위한 기체의 분산; 및 열 전달의 최적화를 제공한다. 또한, 전단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허용 가능한 혼합을 제공하는 것은 생물반응기 용기의 크기 및/또는 종횡비가 증가함에 따라 더 어려워진다. 특정 상업적 혼합기 및 생물반응기 플랫폼은 단일 저부 장착 임펠러를 포함한다. 단일 저부 임펠러는 정체 구역을 갖는 와류를 생성하여 혼합이 감소된다. 다수의 임펠러 및/또는 더 높은 임펠러 속도는 혼합을 개선시킨다. 그러나, 몇몇 배플뿐만 아니라 다수의 임펠러 및/또는 높은 임펠러 속도와 관련된 더 높은 전단 속도는 용기 내의 세포를 손상시킬 수 있다. 배플은 와류를 붕괴시킴으로써 혼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용기, 생물반응기 또는 백 내에서의 세포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물질 및/또는 가공 조제, 액체 또는 기체 예컨대 소포제, 영양소, 및/또는 산소를 시스템에 공급하는 것이 종종 유리하다. 전형적으로, 이들 물질은 용기/백의 상부 및 저부 내의 복수의 포트를 통해 추가되고, 혼합 요소는 이들을 분포시킨다. 그러나, 이것은 포트가 전형적으로 용기의 내부 표면을 따라 위치하므로 물질이 요구되는 곳으로의 분포가 종종 불완전하다는 점에서 비효율적인 분포 방법이다.
마지막으로, 백 내의 액체 또는 세포의 상태 또는 조건을 결정하기 위해 전형적으로 이러한 백에서 다양한 센서가 사용된다. 이러한 센서는 전형적으로 pH, 용존 기체, 온도, 탁도, 전도성 등을 모니터링하는데, 이는 백 전체에 걸쳐 이러한 특성들의 균질성을 알아내기 위해서이다. 그렇게 하기 위해, 센서는 종종 딥 튜브 내에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백의 상부로부터 백의 내부 체적 내로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센서는 백의 내부 벽에 간단히 장착된다.
딥 튜브는 백 내의 유체 유동을 일관성이 없게 만들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혼합을 복잡하게 한다. 게다가, 딥 튜브는 효율적으로 포장될 수 없는 강성 플라스틱 슬리브이기 때문에 사용 전에 백 내의 딥 튜브 내에 센서를 배치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고, 그로인해 백의 수송 및 보관이 최적은 아니다. 뿐만 아니라, 내부 벽을 따라 있는 센서의 사용은 또한 수집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제한하고, 종종 백의 내부 벽으로부터 떨어져서 발생하는 것은 직접 측정과는 반대로 센서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로부터 추론되어야 하며, 이는 데이터 모니터링 및 수집을 위한 바람직하지 않은 방법이다.
용이하게 운반되고, 균질한 혼합을 촉진하고, 더 정확한 센서 위치 설정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개선된 접을 수 있는 배플 및/또는 배플 시스템을 갖는, 유체를 위한 일회용 또는 단일 사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은 본 기술 분야의 진보이다. 효과적인, 예를 들어, 원하는 위치, 예를 들면 유체 표면 높이에 근접한 곳에, 유체 높이의 다양한 깊이 내에, 및/또는 백 내의 임펠러 근처에, 액체 및 기체를 전달하는 보다 효율적인 방법 또한 본 기술 분야의 진보를 나타낸다.
유체를 위한 접을 수 있는 용기이며, 내부 작동 체적부를 형성하는 가요성 물질; 상기 접을 수 있는 용기의 작동 체적부 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을 수 있는 배플로서, 하나 이상의 채널을 가지며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통해 작동 체적부로 하나 이상의 유체를 전달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플, 작동 체적부로부터 유체를 배출 또는 배기하기 위한 상기 용기 내의 하나 이상의 채널, 및 상기 용기의 작동 체적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임펠러 조립체를 포함하고, 대체로 도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하여 도시되고/거나 기재되며, 청구항에 보다 완전히 기재된 바와 같은, 접을 수 있는 용기. 본 개시 내용의 다양한 이점, 측면, 신규하고 독창적인 특징, 뿐만 아니라 그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내용은 이하의 기재 및 도면으로부터 더욱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개시 내용의 실시예는 유체를 위한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가요성 물질로 형성된 체적부, 상기 용기 내의 하나 이상의 유입구, 선택적으로, 상기 용기 내의 하나 이상의 배출구, 상기 용기의 상기 체적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되는 임펠러 조립체, 및 상기 용기의 상기 체적부 내의 배플을 포함하고, 상기 배플은 상기 용기에서 수직 요소 및/또는 수평 요소 및 수직 요소 둘 다를 가지도록 상기 용기 내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에 수용되거나 추가된 하나 이상의 성분의 혼합, 균질화, 분산, 및/또는 순환을 촉진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유입구 및 하나 이상의 배출구 및 용기와 관련된 혼합기를 갖는, 일회용 또는 단일 사용 용기 등의 용기, 생물반응기 또는 백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는 가공을 개선시키기 위해 용기의 내부 체적부 내에 배치된 접을 수 있는 배플, 예를 들어, 가요성 중합 필름 배플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배플은 혼합기에 의해 형성된 와류를 파괴하기 위해, 및/또는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와류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 내에 배치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배플(들)은 축방향 및/또는 반경방향 유동 둘 다를 포함하는 더 바람직한 유동 패턴으로 유체를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배플은 전단 효과를 제한하기 위해 단일 임펠러와 함께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배플은 백의 내부 벽에 대해 혼합을 증진시키기 위한 수직 요소로 성형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배플은 통의 높이를 가로지르는 와류의 붕괴를 증진시키고 작동 체적부 및 그와 관련된 임의의 구배 또는 높이 전체에 걸쳐 균질한 혼합을 제공하기 위해 수평 및 수직 요소 둘 다로 성형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배플은 X-형상 또는 사다리-형상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배플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플을 통해, 액체 또는 기체 보충제, 물질, 및/또는 가공 조제를 원하는 적용 위치 또는 그 부근에 전달하기 위한 및/또는 백의 내부 체적 내의 원하는 위치에서 센서를 사용하기 위한 채널 또는 도관 등의 통로를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에 따른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또는 도관 내에 배관이 삽입될 수 있다. 내부 체적부를 갖는 용기 내에서 유체를 혼합하기 위한 시스템이 또한 개시되며, 상기 시스템은 용기, 임펠러 조립체, 임펠러 조립체를 위한 구동부, 및 액체 또는 기체 보충제를 원하는 적용 위치 또는 그 부근에 전달하기 위한 배플 내의 통로를 제공하면서 혼합 중에 유체의 혼합 및/또는 균질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내부 체적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배플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는 백의 내부 체적부 내의 원하는 위치에 및/또는 하나 이상의 배플(들) 내에 배치된다.
용기 내에 배치된 임펠러 조립체 및 배플을 갖는 용기 내에서 유체 또는 액체를 혼합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이 또한 개시되며, 상기 배플은 용기 내에 도입될 물질을 위한, 및/또는 용기 내에 센서를 위치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채널/도관을 포함하는 배플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몇몇 방법은 용기 내로의 유체의 전달을 포함하고, 여기서 임펠러 조립체는 용기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임펠러 조립체의 블레이드 또는 베인을 구동하여 용기 또는 백 내의 유체를 교반한다. 일부 방법에서, 임펠러 조립체를 위한 구동기는 백의 외부에 있으며, 임펠러 조립체를 자기적으로 구동한다. 용기 내의 배플은 혼합을 개선한다. 일부 방법에서, 액체 및/또는 기체가 배플의 채널(들)/도관(들)을 통해서 용기의 외부로부터 용기 내의 설정점으로 전달될 수 있고/거나 센서가 용기 내의 희망 지점에 위치할 수 있고, 용기의 체적 내의 복수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 내에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배플 및 배플을 사용하는 가공 방법의 임의의 및 모든 실시예는 백 내에서 접을 수 있고 팽창될 수 있는 것이다. 배플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될 때, 배플(들)은 본원에 기재된 모든 기능적 특징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 내용은 다양한 액체 및 기체를 용기의 작동 체적부로 전달하기 위한 채널/도관을 배플(들)에 통합한 통합된 조립체를 제공한다. 배플(들)의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생물반응기의 상부 상에서 전형적으로 요구되는 관 또는 배관을 제거하고/거나 배플(들)은 반응기 하부로의 반응기에 대한 연결부를 감소시킨다.
또한, 본원에 기재된 배플의 임의의 및 모든 실시예는 다양한 가공 조제, 예를 들어 소포제의 첨가를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배플(들)의 도관/채널은 배플(들) 내의 구멍 또는 복수의 구멍들을 통해 예를 들어, 세포 배양액의 액체 표면 상으로 소포제를 전달할 수 있다. 구멍(들)은 가공되는 액체의 표면 상에 존재하는 거품 층 전체에 걸쳐 다수의 장소에서 전형적으로 액체인 소포제의 최적의 배치 및 분포를 가능하게 하고, 이에 소포제 첨가의 효과가 증가한다. 구멍(들)은 또한 거품이 축적되는 액체 표면 상의 다수의 위치에서 소포제 액체의 더 넓은 분포를 허용함으로써 소포 작용의 더 뛰어난 효율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소포제가 단일 배플을 통해 다수의 위치에 분포됨에 따라, 즉, 외부 배관이 덜 필요하고, 제조 비용 및/또는 설치 시간을 절감하고, 배관을 단순화하고, 즉, 호스, 커넥터의 수, 호스 및 커넥터의 배치 등이 감소하고 설치 및 작동이 더 용이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배플의 임의의 및 모든 실시예는 기체(들), 공급물, 및/또는 가공제를 전달하기 위한 별개의 배관 및 커넥터의 개수를 감소시킨다. 액체/기체 첨가 및/또는 배기를 위한 호스 및/또는 배관은 통상적으로 생물반응기/백/용기의 상부로부터 외부로 이어지고, 종종 지면 높이의 사용자에게까지 연장된다. 일부 백은 또한 유동을 유도하기 위한 내부 경질 관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전형적으로 사용자가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타이 랩 또는 몇몇 다른 수단에 의해 함께 묶여진 단일 관 또는 배관 라인이다. 전형적인 생물반응기 적용에서, 시스템에 대한 많은 연결부가 생물반응기의 상부에 연결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배플(들)의 실시예는 백의 하부 부분에 이루어진 연결부를 포함한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호스/배관 연결부는 백의 상부 내로 이어지고, 배플과 일체이고, 따라서, 대부분의 외부 호스/배관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백 및 배관의 통합된 조립체는 배플의 기능과 함께, 배관을 관리 및 조직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외부 배관이 백의 상부로부터 아래로 도달하지 않고 더 낮은 또는 지면 높이에서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모든 기능을 제공한다.
더욱이, 배플 내의 채널/도관은 액체 공급물이 백 벽을 통해, 위로 및/또는 배플을 통해, 그리고 반응기/백의 상부로 전달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액체 공급물은 공급물이 세포 배양액에 높은 유동 영역 (예를 들면, 임펠러(들) 근처)에서 도입되도록 배플(들)을 가로지를 수 있다. 세포 배양액의 액체 표면 아래에 액체 공급물(들)을 전달하면 혼합 효율이 향상된다. 예를 들어, 소포제를 액체 표면보다 위에 전달하는 것은 소포제 효율을 향상시킨다. 구멍(들)을 갖는 배플(들)은 공급물이 반드시 단일 스트림으로 액체 표면에 적하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달 시 더 빠른 혼합을 가능하게 한다.
유사하게, 배플(들) 내의 제1 도관 또는, 선택적으로, 제2 도관은 기체(들)가 백 벽을 통해 도입되고, 배플을 따라 상승하여 백 또는 생물반응기의 상부의 헤드 공간에 즉, 백 내의 유체 또는 액체 높이보다 위에 도입될 수 있게 한다. 그런 다음 기체는 배기 여과 장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포트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헤드 스페이스로부터 생물반응기/백 용기 벽을 통한 이들 유출 경로를 통합하는 것은 지면 높이에서 배기구와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배기구가 전형적으로 위치하는 헤드 스페이스 영역에 도달하기 위해 사다리 또는 계단식 걸상이 요구되는 것과는 대조적). 또한, 살포 기체가 백의 벽 내로 도입되어 배플(들)로 보내질 수 있다. 기체(들)가 배플(들) 내의 구멍 또는 복수의 구멍을 통해서 도입되어 개방 관 살포기 또는, 대안적으로, 고리형 살포기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유동 경로는 액체 표면 위를 따라 라우팅되고, 기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액체가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공기 제동이 생성되어, 체크 밸브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구멍을 갖는 배플은 가장 낮은 수평 배플의 일 측부 또는 양 측부를 따라서 일련의 구멍을 배치함으로써 살포기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살포기는 추가 비용이 거의 또는 전혀 없이 제조할 수 있다. 기체는 무균성을 보증하기 위해 유동경로를 통해 유입될 때 필터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접을 수 있는 배플의 이러한 형상 및/또는 장착 지점은 생물반응기 또는 백 또는 혼합기가 사용되는 동안은 강성을 제공하면서 운송 및 보관을 위해 접힐 수 있게 한다. 선택적으로,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강성 부재가 배플(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배플을 갖는 용기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 내용에 기재된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배플의 3개의 실시예의 2-2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개시 내용에 기재된 일부 실시예에 따른, 용기 내에 배치된 X-형상의 배플이다;
도 3b는 본 내용에 기재된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3a의 X-형상 배플의 일부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4는 개시 내용에 기재된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1 다중-부재 배플을 포함한다; 및
도 5는 개시 내용에 기재된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2 다중-부재 배플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징들이 상세히 이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다른 동등하게 효과적인 실시예를 인정할 수 있기 때문에, 첨부된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를 도시할 뿐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실시예의 요소 및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 추가적인 설명 없이 발견될 수 있으며, 가능한 경우에, 동일한 참조 부호가 도면에 공통인 동등한 요소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백, 용기, 및 생물반응기에 대한 설명은 생물학적 유체 가공, 세포 성장, 발효 등을 할 수 있는 임의의 가요성 용기를 의미하고, 문맥이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전체적으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됨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수평이라는 용어는, 수평선의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수직이라는 용어는 수평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인 축을 갖는 특징을 내포한다. 수직 및 수평 특징 둘 다를 갖는 것으로 기재된 특징은, 예를 들어, +-형상 및/또는 대각선 형상, 예를 들어, X-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일회용 용기는 액체 또는 유체를 수용하고 유지하도록 설계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일회용 용기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극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또는 중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비닐 알코올(EVOH);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폴리비닐 아세테이트(PVA);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공중합체);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 및/또는 상기 물질들 중 임의의 물질의 혼합물 또는 합금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 공지된 다른 다양한 열가소성 물질 및 첨가제 등의 중합체 조성물로 형성된 단층 벽 또는 다층 가요성 벽을 포함한다. 일회용 용기는, 그것이 제조되는 물질로 인해, 접을 수 있고 팽창 가능하다. 일회용 용기는 유사한 또는 상이한 열가소성 물질; 상이한 열가소성 물질의 다층 적층체의 공동-압출; 용접 및/또는 열 처리, 열 적층, 캘린더링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공정 중 임의의 것은 인접한 층들 사이의 접착을 촉진하기 위한 직조 또는 부직 기재의 층, 접착제, 타이 층, 프라이머, 표면 처리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이라는 것은, 하나 이상의 EVOH 층을 갖는 폴리에틸렌 층과 같은 상이한 중합체 유형뿐만 아니라 분자량, 선형 또는 분지형 중합체, 충전재 등의 특징이 상이한 동일한 중합체 유형이 본원에서 고려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형적으로, 의료 등급 중합체 및, 일부 실시예에서, 동물질이 사용되지 않은 플라스틱이 용기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의료 등급 중합체는, 예를 들어, 증기, 에틸렌 옥시드, 또는 베타 및/또는 감마 방사선을 포함하는 방사선에 의해 멸균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의료 등급 중합체는 뛰어난 인장 강도 및 적은 기체 전달에 대해 지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중합체 물질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하여 내용물의 시각적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며, 전형적으로는 용접 및 지지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용기는 세포 배양과 관련하여 세포를 성장시킬 수 있는 것과 같은, 생물학적 활성 환경을 지지할 수 있는 생물반응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용기는 2차원 또는 "필로우" 백이거나, 대안적으로, 용기는 3차원 백일 수 있다. 용기의 특정 기하학적 형상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용기는 포트 또는 배기부 등의 접근 지점을 제공할 수 있는, 강성 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용기는 하나 이상의 유입구, 하나 이상의 배출구, 및 선택적으로, 관련된 기술 분야에 공지된, 무균 기체 배기구, 살포기, 및 전도도, 탁도, pH, 온도, 용존 기체, 예를 들어, 산소 및 이산화탄소 등의 파라미터에 대해 용기 내의 액체의 감지를 위한 포트 등의 다른 특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용기는 세포 및 배양 배지 등의 유체를 수용하여, 벤치-탑 규모로부터 3000L 생물반응기까지 혼합되기에 충분한 크기로 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용기는 폐쇄 체적부를 형성하는 일회용 변형 가능한 접히는 백일 수 있고, 이는 단일 사용을 위해 멸균될 수 있고, 생물제약 유체 등의 내용물을 유체 상태로 수용할 수 있고, 용기의 폐쇄 체적부 내, 예를 들어, 내부 작동 체적부 내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혼합 장치를 수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폐쇄 체적부는 체적부로 유체를 도입하기 위해서, 및 예를 들어 혼합이 완료된 후에 체적부로부터 유체를 방출시키기 위해서, 적합한 밸브 등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는 적어도 하나의 접을 수 있는 배플을 포함하고, 상기 배플은 용기 내에 배치되며 용기가 유체를 수용하고 임펠러 조립체가 작동할 때,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배플의 실시예가 존재하지 않을 때와는 대조적으로) 유체의 증진된 혼합이 발생한다. 혼합하는 동안, 와류가 형성된다. 이론에 구속되도록 의도되지 않고, 와류는 적절한 혼합을 막거나, 적어도 느리게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배플에 의해 야기되는 와류의 붕괴는, 더 효율적이고 더 빠른 혼합을 촉진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적절하게 설계된 배플은 부적합한 수준의 전단을 도입하지 않으면서 와류를 붕괴시킬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가공되는 세포 및/또는 생물학적 유체를 손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자는 놀랍게도 배플이 와류를 붕괴시키면서, 상이한 유체 표면 높이 (거품이 전형적으로 형성되는 장소)에서, 소포제와 같은 가공 조제를 전달하는데 적합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는 또한 놀랍게도 별도의 살포기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하면서, 배플이 유체의 체적 내에서 다양한 깊이로 기체를 전달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배플은 더 나아가 용기 내의 다양한 깊이에서 유체 내의 세포 배양을 위한 공급 첨가물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은 유동 영역, 예를 들면 임펠러 근처에 근접하여 공급 첨가물을 전달하는 것. 배플은 또한 가공 중에 배플을 강화하기 위해서 지지 부재를 수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플은 적어도, 용기의 유체 내에 잠긴 수직인 요소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플은 용기의 유체 내에 잠긴 수평 및 수직 요소 둘 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배플은 수직 요소를 갖고, 용기의 내부 측벽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배플은 하나 이상의 수평 요소를 갖고, 용기의 내부 측벽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배플은 배플의 일 단부가 용기의 저부 표면 또는 측벽에 부착되고 배플의 반대 위치의 단부가 제1 단부보다 측벽의 상부 표면 또는 상이한 부분에 부착되도록 수직 요소 및 수평 요소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생물학적 유체의 사용/가공 중에 전체 배플보다 적은 부분이 유체 내에 잠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배플은 용기의 내부 반경방향 치수까지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배플은 X-형상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배플은 사다리-형상,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수평 부재와 연결된 둘 이상의 수직 부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배플(들)은 위쪽이 위로 혹은 위쪽이 아래로 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배플은 용기 내외로 물질의 전달을 위해 배플의 내부 체적을 통하는 하나 이상의 채널/도관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배플은 용기 내의 원하는 위치 내에 센서의 배치를 위해 배플의 내부 체적을 통하는 하나 이상의 채널/도관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센서는 단일 사용 센서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배플은 외부 밀봉 표면 및 내부 체적부를 갖는 가요성 플라스틱 슬리브의 형태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배플은 외부 표면 및 내부 체적부를 형성하기 위해 2개의 부분으로 접힌 단일 피스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배플은 외부 표면 및 내부 체적부를 형성하기 위해 둘 이상의 플라스틱 피스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체적부 자체가 채널/도관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내부 체적부의 내부 표면이 서로 밀봉되어 별개의 경로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배플은 필름의 2개의 유사한 형상의 부분을 스탬핑하는 다이 커팅 작업에 의해 형성되고, 완성된 배플을 형성하기 위해 열 스테이킹한다. 추가 실시예에서, 배관의 피스는 채널/도관을 형성한다. 추가 실시예에서, 배관의 피스는 채널/도관 내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용기는, 용기 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액체, 기체 및/또는 고체를 혼합하고, 분산시키고, 균질화하고/거나 순환시키기 위한 임펠러 조립체를 용기의 내부 작동 체적부 내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포함한다. 임펠러 조립체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또는 진동 등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 조립체는 회전 운동을 유체와 임펠러 조립체와 접해있는 유체를 혼합하는 힘으로 변환한다. 임펠러 조립체는 용기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샤프트를 통해 용기 체적 내로 하향 연장될 수 있다. 샤프트는 용기의 외부의 모터에 연결되고, 그 위에 하나 이상의 임펠러 블레이드를 갖는다. 이러한 조립체는 종종 "낙뢰-스타일" 조립체로 지칭된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임펠러 조립체는 용기의 저부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직접 샤프트에 의해 용기 외부의 모터에 연결되거나, 대안적으로, 모터에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샤프트가 용기 벽을 통해 뚫고 들어갈 필요가 없다.
임펠러/배플 조합의 이러한 적절한 설계 및 구현은 물질의 용기로의 더 뛰어난 전달 및/또는 용기의 체적 내에 센서의 더 뛰어난 배치를 제공하는 능력과 함께 넓은 범위의 체적 및 종횡비에 걸쳐 혼합 솔루션을 제공하여, 우수한 확장성 및 명확한 성능을 갖는 생물반응기 또는 혼합 시스템의 제품군의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원에서 고려되는 각각의 용기 및 배플은 얇은 유연성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되고, 그에 따라 용이한 포장, 포장 풀기, 운송 및 폐기를 위해 접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생물반응기, 백 및/또는 용기는 접을 수 있는 딥 튜브를 포함한다. 접을 수 있는 딥 튜브는 백으로부터 유체를 제거하기 위해 백으로부터 돌출된 도관일 수 있다. 접을 수 있는 딥 튜브는 가요성의 유연성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을 수 있는 딥 튜브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중합체 또는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접을 수 있는 딥 튜브는 백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접을 수 있는 딥 튜브는 백의 일체형 부분이다. 이와 관련하여, 일체형은 접을 수 있는 딥 튜브가 백 또는 접을 수 있는 딥 튜브를 파괴하지 않고 백으로부터 제거될 수 없음을 나타낸다. 또한, 접을 수 있는 딥 튜브는, 예를 들어, 관류 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관류는 생물반응기 내에서 세포 배양을 유지하기 위한 공정이다. 관류 공정은 실질적으로 동등한 부피의 배지가 생물 반응기에 첨가되고 제거되는 동안 세포가 반응기에서 현탁액 중에 또는 마이크로캐리어 상에 존재하여 유지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관류를 사용하여 신선한 영양소의 꾸준한 공급 및 세포 폐기물의 일정한 제거가 달성된다.
도 1은 본 개시 내용에 기재된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배플(18)을 갖는 용기(10)의 상부 사시도이다. 용기(10)는 기부(14) 및 하나 이상의 이동 가능한 블레이드 또는 베인(16)을 추가로 포함하는 임펠러 조립체(28)를 갖고, 용기(19)는 쉘(5) 내에 배치된다. 용기(10)는 2차원 또는 "필로우" 백 스타일 용기 또는, 대안적으로, 3차원 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용기(10)는 200L의 최소 내부 작동 체적부, 및 3000L의 최대 내부 작동 체적부를 갖는다. 크기에 관계없이, 용기(10)는 작동하기 위해 최대 액체 용량일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200L이든 또는 3000L이든 임의의 용기(10)는 최대 내부 작동 체적부(H) 또는, 대안적으로, 임펠러 조립체(28) 바로 위의 액체 높이인 최소 내부 작동 체적부(L)에서 작동할 수 있다. 용기(10)는 또한 최대 작동 체적부(H)와 최소 작동 체적부(L) 사이의 임의의 작동 내부 체적에서 작동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임펠러 조립체(28)의 적어도 일부는 용기(10)의 내부 작동 체적부(32) 내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임펠러 조립체(28)를 위한 모터 (미도시) 등의 구동기는 용기(10)의 외부에 있다.
용기(10)는 비교적 편평한 저부(B) 또는, 대안적으로, 원추형 저부 (미도시) 또는 다른 테이퍼형 저부를 가질 수 있다. 용기(10)는, 대안적으로, 2차원의 테이퍼형 저부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16)가 작동될 때 용기(10) 내의 유체를 충분히 교반할 수 있다면, 임펠러 조립체(28)의 블레이드(16)의 수 및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블레이드는 폴리에틸렌 등의 플라스틱 물질, 또는 멸균 목적을 위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감마선 조사에 저항력 있는 임의의 중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쉘(5)은 폴리에틸렌 등의 플라스틱 물질, 또는 멸균 목적을 위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감마선 조사에 저항력 있는 임의의 중합체로 구성될 수 있는 기부(14)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부(14)는 축방향 연장 부재(22)를 포함한다. 축방향 연장 부재(22)는 혼합 임펠러 오버몰드 자석 (미도시) 등의 임펠러 조립체(28)의 자기 기부를 수용하고, 블레이드(16)는 축방향으로 부재(22) 위로 연장되고 자기 임펠러가 구동 자석에 의해 구동될 때 자유롭게 회전한다. 임펠러 조립체(28)가 용기(10) 내에 설치되는 일부 실시예에서, 연장 부재(22)는 용기(10) 외부로 돌출하고, 기부(14)는 용기(10)에 밀봉된다. 임펠러 조립체(28)의 잔여부는 용기(10) 내부에 수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임펠러 조립체(28)는 용기(10)가 혼합 위치 (예를 들어, 현수 위치)에 있는 용기(10)의 저부(B)에 또는 그 근처에 배치되고, 용기(10)의 배출구(30)에 적어도 하나의 포트(46)에 근접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폴리에틸렌 또는 다른 중합체 등의 유연하고, 용접 가능한 플라스틱 또는 중합체(들)의 층상 구조로 제조되고, 밀봉되어, 내부 작동 체적부(32)를 갖는 폐쇄된 통을 형성한다. 내부 작동 체적부(32) 내로의 유체 접근은 복수의 포트(46) 중 하나 이상을 경유한다. 복수의 포트(46)는, 선택적으로, 용기(10)에 직접적으로 접착되거나, 밀봉되거나, 또는 달리 용접된다. 각각의 또는 임의의 복수의 포트(46)는 플러그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부착되거나 또는 그와 일체로 형성된 도관 또는 배관(44)을 가질 수 있다. 일부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배관(들)(44)은 방사선을 통한 멸균에 적합한, 실리콘 물질로 형성된다. 하나 이상의 포트(46)가 또한 배플(18)의 내부 체적부(26)에 대한 접근을 제공할 수 있다. 액체 또는 기체가 포트(46)를 통해서 배플(18) 내로, 그 후 용기(10) 내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플(18)은 하나 이상의 구멍(들) 또는 오리피스(38)를 포함하며, 액체 또는 기체가 그를 통해 작동 체적부(32) 내로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구멍(들)(38)은 0.1mm 내지 3.0mm의 범위의 직경을 갖는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구멍(들)(38)은 0.5mm 내지 1.0mm의 직경을 포함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구멍(들)(38)은 구배를 형성하는 직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구멍은 배플(들)을 따라 근접 단부로부터 말단 단부까지 점점 더 커지거나 작아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포트(30,40,50)는 액체 (선택적으로, 밸브와 함께) 또는 기체 (선택적으로, 밸브 또는 소수성 막과 함께)가 원하는 바에 따라 포트(30,40,50)를 통해 선별적으로만 유입 또는 배출될 수 있도록 일-방향 밸브 (미도시) 또는 소수성 막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체는 포트(30)를 통해 용기를 빠져나갈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용기(10)는 용기(10)의 저부(B)에 근접한 복수의 출구 포트(30)를 포함한다. 용기(10)는 용기(10)의 상부에 인접한 복수의 상부 유입구 포트(50)를 더 포함한다. 용기(10)는 배플(들)(18)과 유체 소통하는 복수의 배플 유입구(40)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출구 포트(30), 상부 유입구 포트(50) 및/또는 복수의 유입구 배플 입구(40)는 일-방향 밸브 (미도시) 또는 소수성 막 (미도시)을 포함하여 액체 (밸브와 함께) 또는 기체 (밸브 또는 소수성 막과 함께)가 원하는 바에 따라 그를 통해 선별적으로만 유입 또는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하나 이상의 배플(들)(18)이 용기(10)의 측벽(들)(12)의 내측 표면을 따라서 형성된다. 배플(들)(18)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밀봉 표면 (아래에 도시됨) 및 용기(10)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격리된 내부 체적부를 갖는 가요성 플라스틱 슬리브 (아래에 도시됨)의 형태이다. 하나 이상의 배플(들)(18)은 밸브(3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36)는 제어기와 통신하는 볼 밸브 또는 니들 밸브일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밸브(36)는 체크 밸브이다. 체크 밸브는 압력이 낮을 때, 예를 들어, 대략 이십(20)psi 또는 140kPa 이하일 때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지정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체크 밸브는 오(5)psi 또는 35kPa 이하에 대해 지정된다.
도 2는 본 개시 내용에 기재된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배플(18)의 3개의 실시예의 2-2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플(들)(18)은 중공 구조물(들)이고, 경로(26)를 형성하는 내부 체적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플(들)(18)의 슬리브(20)는 슬리브가 위치하는 측벽(12)의 이음매에 결합 또는 밀봉된다. 또한, 슬리브(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피스로서 열 결합 또는 접착제에 의해 측벽(12)에 밀봉될 수 있다. 배플(18)의 적어도 3개의 실시예가 본원에서 고려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도 2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배플(18)의 제1 실시예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플(18)의 제1 실시예는 배플 포켓(31)을 포함한다. 배플 포켓(31)은 강성화 수단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성화 수단은 배플 포켓(31) 내에 강성 막대 (미도시)를 제거 가능하게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배플 포켓(들)(31)은 배플(18)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포켓(들)(31)은 저부 벽에 인접한 가장 좁은 지점으로부터 상부 벽에 인접한 가장 넓은 지점까지 테이퍼링된다. 강성 막대는 플라스틱 물질, 강철, 목재 또는 임의의 적합한 강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강성화 수단은 포켓(들)(31)의 적어도 일부 내에 형성되는 배플 포켓(들) 내 및 백(10)의 내부 작동 체적부의 일부를 가로질러 형성되는 배플(들)(18) 내에 배치되는 강성 인서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배플(들)(18)은 측벽(12)의 제1 부분에 부착되는 제1 부분을 갖고, 배플(들)(18)은 제1 측벽 부분으로부터 적어도 접선 방향으로 가로질러 측벽(12)의 제2 부분에 부착되는 제2 부분을 갖고, 배플(들)(18)은 백(10)의 충전 시에 팽팽하게 견인될 수 있다. 배플(18)의 제1 실시예는 또한 도관(26)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배플 포켓(31)은 하나 이상의 측벽(12) 상의 저부 벽에 인접한 제1 위치로부터, 제1 위치와 적어도 접선방향으로 반대 위치에 있는 상부 벽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측벽(12) 상의 제2 위치로 연장한다.
도관(26)은 구멍 또는 복수의 구멍(38)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 또는 생물반응기의 작동 체적부 내로 기체 또는 유체를 전달할 수 있다. 구멍(들)(38)은 배플(18)의 종축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구멍(들)(38)은 임의의 위치의 조합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멍(들)(38)은 제1 축방향 표면(H1), 제2 축방향 표면(H2) 및/또는 제3 축방향 표면(H3)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관(26)과 배플 포켓(31)과의 사이에 밀봉부(29)가 배치된다. 밀봉부(29)는, 예를 들어, 배플(18)을 2개의 액밀 부분으로 압착하는 열 밀봉 또는 열 스테이킹 또는 다른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배플(18)의 제2 실시예를 포함한다. 배플(18)의 제2 실시예는 배플 포켓(31)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플 포켓(31)은 강성화 수단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성화 수단은 배플 포켓(31) 내에 강성 막대 (미도시)를 제거 가능하게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강성 막대는 플라스틱 물질, 강철, 목재 또는 임의의 적합한 강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배플(18)의 제1 실시예는 또한 도관(26)을 포함한다. 도관(26)은 구멍 또는 복수의 구멍 (전술된 바와 같이)을 통해, 용기 또는 생물반응기의 내부 작동 체적부 내로 기체 또는 유체를 전달할 수 있다. 도관(26)과 배플 포켓(31)의 사이에 밀봉부(29)가 배치된다. 밀봉부(29)는, 예를 들어, 배플(18)을 두 부분으로 압착하는 열 밀봉 또는 열 스테이킹 또는 다른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c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배플(18)의 제3 실시예를 포함한다. 배플(들)(18)은 2개의 유사한 중합체 피스를 다이 커팅하고 2개의 피스를 다양한 표면을 따라 열-스테이킹하고, 중합체를 용융시키고, 융합 영역을 생성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3a는 본 개시 내용에 기재된 일부 실시예에 따른, 용기(10) 내에 배치된 X-형상의 배플(70)이다. 도 3a는 도 1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용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플(70)은 측벽(12)의 일부로부터 연장하고 용기(10)의 체적부(32) 내로 내향 연장하고 밀봉되어 배플(70)을 형성하는, 두 부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플(70)은, 관련된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용접 가능한 플라스틱,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다른 적합한 등급의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필름이다. 배플(70)은 제1 다리부(51) 및 제2 다리부(52)를 포함한다. 제1 다리부(51) 및 제2 다리부(52)는 교차하고, 선택적으로, 제1 다리부(51)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다리부(51)와 제2 다리부(52)의 부착 위치는, 대략 제1 다리부(51)와 제2 다리부(52)의 종방향 중간점(53)에 있다. 그러나, 제1 다리부(51) 및 제2 다리부(52)는 서로 접촉하거나 부착될 필요는 없다. 제1 다리부(51) 및 제2 다리부(52) 각각의 종단부(T)는 각각의 다리부의 본체에 대해 대략 30°에서 60° 각도로 굽혀진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다리부(51) 및 제2 다리부(52)의 각각의 종단부(T)는 각각의 다리부의 본체에 대해 45° 각도로 굽혀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들 종단부(T) 각각은 용접 또는 열 스테이킹 등에 의해 용기(10)의 내부 벽(12)에 부착되어 배플(70)을 용기(10) 내의 제 위치에 부착할 수 있고, 제1 다리부(51) 및 제2 다리부(52)는 서로 부착되지 않고 백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용기(10)가 백인 경우, 종단부(T)는 백의 이음매에 가열 밀봉되거나 용접된다.
배플(70)은 구멍(들)(38)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플(70)은 너비가 대략 12.0cm 내지 75.0cm이고, 두께는 대략적으로 0.125mm 내지 0.400mm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구멍(들)(38)은 0.10mm 내지 3.0mm의 범위의 직경을 갖는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구멍(들)(38)은 0.50mm 내지 1.0mm의 직경을 포함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구멍(들)(38)은 구배를 형성하는 직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구멍은 배플(들)(70)을 따라 근접 단부로부터 말단 단부까지 점점 더 커지거나 작아진다. 구멍(들)(38)은 배플(70)의 축방향 길이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구멍(들)(38)은 임의의 위치의 조합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멍(들)(38)은 제1 축방향 표면(H1), 제2 축방향 표면(H2), 제3 축방향 표면(H3) 및/또는 제2 축방향 표면(H2)과 반대 위치에 있는 제4 축방향 표면(H4)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명백한 바와 같이, 구멍(들)(38)은 배플(100)의 종축 및 배플(70)의 횡축 둘 다를 따라 동축일 필요는 없다.
도 3b는 본 개시 내용 내에서 기재된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3a의 배플(70)의 일부의 확대도(39)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멍(들)(38)은 배플(70)의 축방향 길이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멍(들)(38)은 임의의 위치의 조합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멍(들)(38)은 제1 축방향 표면(H1), 제2 축방향 표면(H2), 제3 축방향 표면(H3), 및/또는 제2 축방향 표면(H2)과 반대 위치에 있는 제4 축방향 표면(H4)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다리(51,52)는 접합부(41)에서, 예를 들어, 열 스테이킹, 용접 등에 의해 서로 부착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상부 다리(51,52)는 2개의 상이한 배플의 별개의 부분일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이들 이음매는 임펠러(28)(12시) 뒤에 그리고 백을 가로질러 6시 방향에 정렬된다. 저부는 백의 가장 낮은 높이에 부착되고 상부는 백의 최대 내부 작동 체적부(32) 위의 높이에서 부착된다. 배플(70)을 측부 대신에 용기(10)를 지지하는 시스템의 기부에 및/또는 용기(10)의 상부에 직접 부착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른 부착 위치가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랙"이 용인될 수 있는 배플(들)(18,70) 내에 도입된다. 제한이 아닌 설명으로서, 백에 부착된 배플(들)(18,70)의 다리는 팽팽할 필요가 없다. 부착 위치와 무관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다리(51,52)는 가공되는 유체 밖으로, 즉, 백의 최대 내부 작동 체적부(32) 위로 연장된다 (유체 내에 완전히 침지되는 것과는 반대로). 배플(18)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배플 X-형상(70)은 기체, 유체 및/또는 가공 조제가 작동 체적부(32) 내로 횡단하도록 전달하기 위한 오리피스(들) 또는 구멍(들)(38)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용기(10)는 용기(10)의 저부(B)에 근접한 복수의 배출 포트(30)를 포함한다. 용기(10)는 상부 다리(51)를 통해 배플(100)과 유체 소통할 수 있는, 용기(10)의 상부에 근접한 복수의 상부 유입구 포트(50)를 더 포함한다. 용기(10)는 상부 다리(52)를 통해 배플(70)(들)과 유체 소통하는 복수의 배플 유입구(40)를 더 포함한다. 다양한 종횡비를 갖는 다양한 용기와 함께 배플(들)(18,70)의 실시예에 따르면, 혼합 시간은 적어도 대략 50%만큼 감소한다.
도 4는 개시 내용에 기재된 일부 실시예에 따른, 복수-부재 배플(90)이다. 도 4에서, 배플(90)은 사다리형 배플이고, 기체, 액체, 공급물 등을 전달하기 위한 하나 초과의 채널을 동일한 배플(90) 내에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은 배플(90)의 열 밀봉 또는 접착 부분에 의해 함께 형성되어, 용기(10)의 상이한 위치로 가는 개별적인 별개의 경로를 형성하거나 상이한 물질 또는 상이한 센서 (미도시)를 운반한다. 또한, 하나 초과의 채널을 포함하는 하나의 배플(90)을 갖는 것은 배관 및 커넥터의 양을 감소시킨다.
배플(90)은 백, 용기 또는 생물반응기 (미도시) 내에서 접을 수 있다. 배플(90)은 백(10)에 대해 전술된 바와 같이, 중합체로 제조되고 백, 용기, 또는 생물반응기 (또한 접을 수 있음)의 측벽에 부착된다. 배플(90)은 측면 레일(94)을 포함한다. 측면 레일(94)은 백, 용기 또는 생물반응기에 부착, 열 스테이킹, 용접될 수 있다. 배플(90)은 윈도우(92) 및 중간 부분(96)을 더 포함하며, 이는 가공 중에 와류를 붕괴시킬 수 있고, 혼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플(90)은 구멍(들)(38)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전달 부재(88) 및 적어도 하나의 비유체 전달 부재(98)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유체는 기체(들), 액체(들), 및/또는 세포를 위한 액체 공급물인 것으로 이해된다. 적어도 하나의 유체 전달 부재(88)는 유체 전달을 위한 포트 (미도시)를 통해 유체 소통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멍(들)(38)은 백, 용기, 또는 생물반응기의 작동 체적부 내로의 유체의 진입을 가능케 한다. 예를 들어, 비유체 전달 부재(98) 위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 전달 부재(88)는 백의 작동 체적부에 소포제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체 전달 부재(88)는 백 내의 액체 높이 위로 배향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비유체 전달 부재(98) 아래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 전달 부재(88)는, 예를 들어, 산소 및/또는 이산화탄소 등의 기체를 백의 작동 체적부에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임의의 유체 전달 부재(88) 및/또는 비유체 전달 부재(98)는 접을 수 있고 백 내에서 와류를 붕괴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배플(90)의 임의의 유체 전달 부재(88) 및/또는 비유체 전달 부재(98)는 2개 이상의 채널을 제공하기 위해서 도 2a 내지 도 2c에 형성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그 중 적어도 하나는 작동 중에 배플(90)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서 내부에 배치된 강성 부재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배플(90)은 전형적으로 백의 저부에 근접한, 배출 유체의 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플(90)은 전형적으로 백의 상부에 근접한 배기구로 기체를 배출하기 위한 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플(90) 내의 구멍(들)(38)은 0.10mm 내지 3.0mm의 범위의 직경을 갖는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구멍(들)(38)은 0.5mm 내지 1.0mm의 직경을 포함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구멍(들)(38)은 구배를 형성하는 직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구멍은 배플(들)(90)의 종축을 따라 근접 단부로부터 말단 단부까지 점점 더 커지거나 작아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플(들)(18,70,90)은 주어진 유체 높이에서 와류 (또는 배플(들)(18,70,90)의 부재 시에 와류가 형성되는 영역)를 통해 연장되도록 용기 내에 배치된다. 와류의 위치는 용기(10)의 종횡비에 따라 변한다. 배플(들)(18,70,90)의 부재 시에 와류가 형성되는 영역은 경험칙으로 결정될 수 있거나, 작동에 사용되는 유사한 혼합 조건, 그러나 배플(들)(18, 70, 90)은 없는 조건 하에 용기 내에서 유체를 혼합하고 와류가 발생하는 장소를 확인하여 결정될 수 있다. 주어진 용기 종횡비, 용기 체적, 임펠러 위치 및 임펠러 크기에 대한 와류의 위치를 문서화하는 "와류 지도"가 작성될 수 있다. 1000L 용기에서 1:1의 종횡비에 대해, 와류는 대체로 6시 위치에 위치된다. 2000L 용기에서 2:1의 종횡비에 대해, 그리고 200L 용기에서 1.6:1의 종횡비에 대해, 와류는 일반적으로 9시 위치에 위치된다. 임의의 배플(들)(18,70,90)의 임의의 실시예는 유체를 전달하기 위해, 전술한 내부 체적 예컨대 내부 체적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 내용에 기재된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2 다중-부재 배플(100)을 포함한다. 배플(100)은 사다리형 배플이고 1종 이상의 중합체 물질로 제조되고 백(10)에 대해 전술된 바와 같이 백, 용기, 또는 생물반응기 (또한 접을 수 있음)의 측벽에 부착된다. 배플(100)은 측면 레일(94)을 포함한다. 측면 레일(94)은 백, 용기, 또는 생물반응기에 부착, 열 스테이킹, 용접 등이 될 수 있다. 배플(100)은 또한, 예를 들어 상부 지점(110) 및 하부 지점(112) 또는 그 사이의 임의의 지점에서 백에 대해 스테이킹되거나 용접될 수 있다.
배플(100)은 윈도우(92)를 더 포함한다. 또한, 배플(100)은 구멍(들)(38)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전달 부재(88) 및 적어도 하나의 비유체 전달 부재(98)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플(100)은 상부 유체 전달 부재(88), 하부 유체 전달 부재(88), 및 그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비유체 전달 부재(98)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체는 기체(들), 액체(들), 및/또는 세포를 위한 액체 공급물인 것으로 이해된다. 적어도 하나의 유체 전달 부재(88)는 유체 전달을 위한 포트 (미도시)를 통해 유체 소통한다. 배플(100)은 전형적으로 백 내의 액체 표면 위에 있을 수 있는 구멍(들)(38)으로의 유체의 전달을 위한 채널(102)을 포함하는 상부 유체 전달 부재(88)를 포함한다. 배플(100)은 구멍(들)(38)으로의 유체의 전달을 위한 채널(104)을 포함하는 하부 유체 전달 부재(88)를 포함한다. 채널(104)은 배플(100)의 하부(114)를 횡단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전달 부재(88) 위에 있는 상부 부분(116)까지 연장하고, 하부 유체 전달 부재(88)에서 종결한다. 하부 유체 전달 부재(88)는 백의 작동 체적부 내로 임의의 유체, 기체 또는 액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채널(104)은 상부 유체 전달 부재(88) 위로 연장될 필요는 없다. 채널(104)이 적어도 백 내의 유체 높이 (상부 유체 전달 부재(88)보다 낮을 수 있음)만큼 높게 연장되는 한, 내부에 배치된 체크 밸브 (또는 임의의 다른 밸브)를 구비하지 않고도 기체가 작동 체적부로 전달될 수 있고, 즉, 유체가 후진하거나 채널(104)을 나갈 수 없다. 배플(100)은 추가적인 채널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채널(106,108)이 본원에서 고려된다. 채널(106,108)은 하부 부분(114)으로부터 배플(100)의 상부 부분(116)까지 가로지른다. 채널(106,108) 중 어느 하나는 백의 작동 체적부 내의 액체의 표면 위의 공간으로 기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채널(106,108) 중 어느 하나가 액체 표면 위로부터 기체를 배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채널(102,104)은 백 내의 액체 표면 위에서 종결하기 때문에, 체크 밸브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채널(102,104,106,108)과 함께 사용될 모든 공급 포트 (미도시)가 모두 지면 높이 또는 그에 근접해 있기 때문에, 설정, 기능정지 등이 조작자에게 더 용이하고, 즉, 대형 백을 위한 발판 사다리가 요구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배플(100)이 하부 부분(114)에서 모든 포트를 가지는 것이 고려된다. 2개 초과의 유체 전달 부재(88)가 배플(100) 내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이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의 범주 내에 있다. 유사하게, 2개 초과의 비유체 전달 부재(98)가 배플(100) 내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이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또한,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의 범주 내에서 유체 전달 부재(88) 및 비유체 전달 부재(98)가 엇갈린 배향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배플(100)은 유체 전달 부재(들)(88) 뒤에 비유체 전달 부재(들)(98), 이어서 유체 전달 부재(들)(88) 및 후속하여 다른 비유체 전달 부재(들)(98)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예는, 배플(100)이 백 내에서 뒤집혀서 배향되고 용접될 수 있고, 즉, 모든 포트가 백의 상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고려한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배플(100)의 임의의 유체 전달 부재(88) 및/또는 비유체 전달 부재(98)가, 2개 이상의 채널을 제공하기 위해서, 도 2a 내지 도 2c에 형성된 바와 같은 임의의 실시예를 더 포함하고, 그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 중에 배플(100)에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서 내부에 배치된 강성 부재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멍(들)(38)은 백, 용기, 또는 생물반응기의 작동 체적부 내로의 유체의 진입을 가능케 한다. 예를 들어, 비유체 전달 부재(98) 위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 전달 부재(88)는 백의 작동 체적부에 소포제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체 전달 부재(88)는 백 내의 액체 높이 위로 배향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비유체 전달 부재(98) 아래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 전달 부재(88)는, 예를 들어 산소 및/또는 이산화탄소 등의 기체를 백의 작동 체적부에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별도의 살포기의 필요성을 대체하고 제거한다. 임의의 유체 전달 부재(88) 및/또는 비유체 전달 부재(98)는 접을 수 있고 백 내에서 와류를 붕괴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임의의 채널(102,104,106,108) 및 추가적인 채널은 적절히, 견고한 부재,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포켓을, 사용 중에 배플(100)을 지지하기 위해 수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포켓이 용기의 저부 벽에 인접한 가장 좁은 지점으로부터 용기의 상부 벽에 인접한 가장 넓은 지점까지 테이퍼링될 수 있다는 것을 더 이해해야 한다.
배플(100)은 전형적으로 백의 저부에 근접한, 유체의 배출을 위한 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플(100)은 전형적으로 백의 상부에 근접한, 배기구로 기체를 배출하기 위한 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플(100) 내의 구멍(들)(38)은 0.10mm 내지 3.0mm의 범위의 직경을 갖는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구멍(들)(38)은 0.5 mm 내지 1.0 mm의 직경을 포함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구멍(들)(38)은 구배를 형성하는 직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구멍은 배플(들)(100)의 종축을 따라 근접 단부로부터 말단 단부까지 점점 더 커지거나 더 작아진다.
배플(100)의 유체 전달 부재(88) 및/또는 비유체 전달 부재(98) 중 하나 이상은 거품이 형성되는 액체 높이 바로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배플을 따라 배치되는 더 작은 구멍(38)은 복수의 구멍으로부터의 가벼운 적하가 더 적은 양의 소포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향상된 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제제에 대한 모든 범위는 그 사이의 범위를 포함하며, 종점을 포함하거나 배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포함된 범위는 언급된 크기의 순서 또는 다음으로 작은 크기의 순서대로, 그들 사이의 정수 값 (또는 하나의 원래 종점을 포함함)으로부터의 범위이다. 예를 들어, 하한값이 0.2인 경우, 선택적으로 포함된 종점은 0.3, 0.4,. . . 1.1, 1.2 등뿐만 아니라, 1, 2, 3 등일 수 있으며; 상한값이 8인 경우, 선택적으로 포함된 종점은 7, 6 등뿐만 아니라, 7.9, 7.8 등일 수 있다. 3개 이상과 같은 일측 경계는, 마찬가지로 언급된 크기 또는 더 낮은 크기의 순서에서 정수 값에서 시작하는 일정한 경계 (또는 범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3 이상은 4, 또는 3.1 이상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일 실시예 ", "특정 실시예", "하나 이상의 실시예", "일부 실시예" 또는 "실시예"에 대한 언급은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재된 특징, 구조, 물질 또는 특성이 본 개시 내용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특정 실시예에서", "일 실시예에서", "일부 실시예에서", 또는 "실시예에서"와 같은 문구의 출현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비록 일부 실시예가 전술되었지만, 다른 구현예 및 적용예 또한 이하의 청구항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명세서는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재되었지만,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개시 내용의 원리 및 적용을 예시하는 것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많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본 개시 내용에 따른 실시예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배열 및 패턴이 고안될 수 있다는 것을 더 이해해야 한다. 또한, 특정한 특징, 구조, 물질 또는 특성은 임의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된 특허 출원 및 특허 및 다른 비-특허 참조 문헌의 공보는, 각각의 개별 공보 또는 참조 문헌이 구체적이고 개별적으로 완전하게 기재되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 것처럼 인용된 전체 부분에서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출원이 우선권을 주장하는 임의의 특허 출원은 또한 공보 및 참조 문헌에 대해 전술된 방식으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되어 있다.

Claims (24)

  1. 유체를 위한 접을 수 있는 용기이며,
    내부 작동 체적부를 형성하는 가요성 물질;
    상기 접을 수 있는 용기의 작동 체적부 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을 수 있는 배플로서, 하나 이상의 채널을 가지며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통해 작동 체적부로 하나 이상의 유체를 전달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플;
    작동 체적부로부터 유체를 배출 또는 배기하기 위한 상기 용기 내의 하나 이상의 채널; 및
    상기 용기의 상기 작동 체적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임펠러 조립체
    를 포함하는, 접을 수 있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사다리형 배플 또는 X-형상 배플 중 하나를 포함하는,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체적부는 폐쇄 체적부인,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2차원 백, 3차원 백, 또는 생물반응기인, 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플은 강성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접을 수 있는 포켓을 포함하는, 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플은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유체의 표면 높이보다 위, 상기 유체의 표면 높이, 또는 상기 유체의 표면 높이보다 아래에서 상기 작동 체적부로 기체 또는 액체를 전달할 수 있는, 용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플은 공급물을 포함하는 액체, 영양소, 완충 용액, 및/또는 다른 가공 조제를 전달할 수 있는, 용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저부 벽에 인접한 가장 좁은 지점으로부터 상부 벽에 인접한 가장 넓은 지점까지 테이퍼링되는, 용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은 백의 저부 부분을 횡단하고, 액체 표면 상으로 소포제를 전달하기 위해 액체 표면 높이 위의 상부 위치까지 연장되는, 용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은 백의 저부를 횡단하여 기체를 용기로 전달하기 위해 액체 표면 높이 위의 상부 위치까지 이르는, 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은 가압 기체 또는 액체의 전달을 위한 가요성 플라스틱 배관으로 형성되는, 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은 하나 이상의 측벽 상의 저부 벽에 인접한 제1 위치로부터, 제1 위치와 적어도 접선방향으로 반대 위치에 있는 상부 벽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측벽 상의 제2 위치까지 연장되는, 용기.
  13. 제1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채널을 포함하는, 용기.
  14. 제1항에 있어서, 3개 이상의 채널을 포함하는, 용기.
  15. 제1항에 있어서, 4개 이상의 채널을 포함하는, 용기.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을 수 있는 딥 튜브를 더 포함하는, 용기.
  17. 접을 수 있는 용기 내의 유체를 혼합하는 방법이며,
    작동 체적부를 형성하는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용기의 상기 작동 체적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되는 임펠러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용기의 상기 작동 체적부 내에, 구멍을 갖는 하나 이상의 채널을 갖는 접을 수 있는 배플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용기에, 혼합될 유체를 상기 배플이 부분적으로만 잠길 수준으로 도입하는 단계; 및
    상기 임펠러 조립체를 구동하여 상기 유체를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배플은 상기 혼합 중에 임의의 와류의 형성을 최소화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생물반응기인,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X-형상 배플 또는 사다리-형상 배플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세포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상기 세포를 위한 마이크로캐리어를 더 포함하는, 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은 용기의 하나 이상의 측벽 상의 저부 벽에 인접한 제1 위치로부터, 제1 위치와 적어도 접선방향으로 반대 위치에 있는 용기의 상부 벽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측벽 상의 제2 위치까지 연장되는, 방법.
  23. 제17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접을 수 있는 딥 튜브를 더 포함하는, 방법.
  24. 제17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 및/또는 기체는 상기 용기 내의 하나 이상의 채널로부터 작동 체적부에서 배출되는, 방법.
KR1020207028600A 2018-04-10 2019-03-13 채널을 갖는 접을 수 있는 배플을 포함하는 단일 사용 용기 KR1024441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55277P 2018-04-10 2018-04-10
US62/655,277 2018-04-10
PCT/US2019/022026 WO2019199406A1 (en) 2018-04-10 2019-03-13 Single use container including a collapsible baffle having channe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373A true KR20200130373A (ko) 2020-11-18
KR102444162B1 KR102444162B1 (ko) 2022-09-19

Family

ID=65952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600A KR102444162B1 (ko) 2018-04-10 2019-03-13 채널을 갖는 접을 수 있는 배플을 포함하는 단일 사용 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10054327A1 (ko)
EP (1) EP3775148A1 (ko)
JP (1) JP7232259B2 (ko)
KR (1) KR102444162B1 (ko)
CN (1) CN111801411B (ko)
CA (1) CA3090847C (ko)
SG (1) SG11202006950RA (ko)
WO (1) WO20191994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84767A1 (en) 2018-04-25 2021-03-03 Global Life Sciences Solutions USA LLC Inflatable bioreactor and method of use
CN114051529A (zh) * 2019-06-30 2022-02-15 美国圣戈班性能塑料公司 细胞培养系统
CN114761109A (zh) 2020-01-21 2022-07-15 Emd密理博公司 用于生物容器的原位过滤
GB202003403D0 (en) * 2020-03-09 2020-04-22 Oribiotech Ltd A system for cell processing
EP4161671A1 (en) 2020-06-04 2023-04-12 Merck Patent GmbH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regulating the level of the contents in a biocontainer
EP4208290A1 (en) * 2020-09-01 2023-07-12 Stoic Bio, Inc. Cell culture solution container and dispenser
CN116457450A (zh) * 2020-11-06 2023-07-18 环球生命科技咨询美国有限责任公司 具有一体式流体导管的生物处理器皿
EP4202030A1 (en) * 2021-12-21 2023-06-28 ESTR Biosystems GmbH A tank for a bio-pharma proces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15696A1 (en) * 2006-05-13 2010-01-21 Tom Claes Disposable bioreactor
JP2014507959A (ja) * 2011-03-18 2014-04-03 ジーイー・ヘルスケア・バイオサイエンス・アクチボラグ 細胞培養用可撓性バッグ
KR20150127694A (ko) * 2013-04-19 2015-11-17 이엠디 밀리포어 코포레이션 일회용 바이오리액터 내의 신축성 필름 배플
US20170349874A1 (en) * 2016-06-03 2017-12-07 Lonza Ltd Single Use Bioreacto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9962A (en) * 1975-08-11 1977-04-26 Standard Oil Company (Indiana) Apparatus for aerobic fermentation
CH677496A5 (ko) * 1988-04-05 1991-05-31 Gerd Kloss
DE102006020706B4 (de) * 2006-05-03 2008-08-21 Sartorius Stedim Biotech Gmbh Schikanenanordnung für Bioreaktoren
US10767154B2 (en) * 2008-03-25 2020-09-08 Global Life Sciences Solutions Usa Llc Temperature controlling surfaces and support structures
EP2216395A1 (en) * 2009-02-09 2010-08-11 Lonza Biologics plc. Bioreactor for the cultivation of mammalian cells
FR2943355B1 (fr) * 2009-03-18 2011-04-08 Sartorius Stedim Biotech Sa Recipient-melangeur avec palier d'arbre en partie superie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15696A1 (en) * 2006-05-13 2010-01-21 Tom Claes Disposable bioreactor
JP2014507959A (ja) * 2011-03-18 2014-04-03 ジーイー・ヘルスケア・バイオサイエンス・アクチボラグ 細胞培養用可撓性バッグ
KR20150127694A (ko) * 2013-04-19 2015-11-17 이엠디 밀리포어 코포레이션 일회용 바이오리액터 내의 신축성 필름 배플
US20170349874A1 (en) * 2016-06-03 2017-12-07 Lonza Ltd Single Use Biore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801411B (zh) 2023-07-18
US20210054327A1 (en) 2021-02-25
JP2021517817A (ja) 2021-07-29
WO2019199406A1 (en) 2019-10-17
EP3775148A1 (en) 2021-02-17
SG11202006950RA (en) 2020-08-28
CA3090847C (en) 2023-03-21
CN111801411A (zh) 2020-10-20
CA3090847A1 (en) 2019-10-17
JP7232259B2 (ja) 2023-03-02
KR102444162B1 (ko) 202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4162B1 (ko) 채널을 갖는 접을 수 있는 배플을 포함하는 단일 사용 용기
US10328404B2 (en) Gas spargers and related container systems
US10632433B2 (en) Disposable bioreactor
KR102381460B1 (ko) 유체 처리 시스템을 위한 가스 필터 시스템
JP6503299B2 (ja) 保存及び輸送用の2d低レベル混合バッグ
KR102379781B1 (ko) 유체 처리 시스템을 위한 냉각 시스템
US9993785B2 (en) 2D low level mixing bag for storage and shipping
US20240018453A1 (en) Bioprocessing vessel having integral fluid cond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