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831A -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 - Google Patents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831A
KR20200129831A KR1020190054817A KR20190054817A KR20200129831A KR 20200129831 A KR20200129831 A KR 20200129831A KR 1020190054817 A KR1020190054817 A KR 1020190054817A KR 20190054817 A KR20190054817 A KR 20190054817A KR 20200129831 A KR20200129831 A KR 20200129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packing
cap
container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진
Priority to KR1020190054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9831A/ko
Publication of KR20200129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8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 캡의 일차 사출 성형 후, 수직된 터널 구조의 패킹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환형(環形)의 제 1및 제 2 패킹부를 하부 캡의 원통형 본체의 내측 상단과 상측의 제 2 네크부 상단에 일체로 이차 사출 성형함으로써, 용기와의 밀봉 부위와 상부 캡과의 밀봉 부위를 동시에 차단할 수 있음으로 용기와 하부 및 상부 캡의 동시 결합시에 완전 밀봉되어 눌림으로 인한 누액이 두 개의 밀봉 부위에서 전혀 발생되지 않는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제 1 네
크부가 삽입되는 환형(環形)의 제 1 삽입홈부를 갖는 제 1 원통형 본체, 쇼올더, 및 제 2 네크부로 이루어지는하부 캡과; 상기 하부 캡의 제 2 네크부가 삽입체결되는 환형(環形)의 제 2 삽입홈부를 갖는 제 2 원통형 본체를갖는 상부 캡과; 상기 용기의 제 1 네크부 상단에서 밀착되어지되, 상기 환형(環形)의 제 1 삽입홈부의 상부 내측면에 일체로 이중 사출성형되는 환형(環形)의 제 1 패킹부와, 상기 하부 캡의 제 2 네크부 상단에 일체로 이중사출성형되어 상기 환형(環形)의 제 2 삽입홈부의 내측면에 밀착되어지는 환형(環形)의 제 2 패킹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패킹부를 수직으로 상호 연결하는 패킹 연결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VESSEL HAVING DOUBLE PACKING FOR DOUBLE CAP}
본 발명은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 캡의 일차 사출 성형 후, 수직된 터널 구조의 패킹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환형(環形)의 제 1 및 제 2 패킹부를 하부 캡의 원통형 본체의 내측 상단과 상측의 제 2 네크부 상단에 일체로 이차 사출 성형함으로써, 용기와의 밀봉 부위와 상부 캡과의 밀봉 부위를 동시에 차단할 수 있음으로 용기와 하부 및 상부 캡의 동시 결합시에 완전 밀봉되어 눌림으로 인한 누액이두 개의 밀봉 부위에서 전혀 발생되지 않는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용기 내의 화장품이나 욕실용 세정 화장품, 주방 세제 등과 같은 다양한 액상의 내용물의 차단하기 위한 용기로서 그 내부에 패킹재를 구비한 밀폐형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이러한, 종래의 밀폐형 용기의 구조는 용기 본체의 상단면과 패킹의 하단면이 맞닿아 플라스틱의 캡의 결합시 용기의 내용물이 상기 패킹에 의해 누액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즉, 종래의 밀폐형 용기의 플라스틱 캡내에 발포 패킹이 삽입되어 플라스틱용기와 캡이 결합함으로써, 패킹 및
캡이 압착되면서 누액이 방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하부 캡으로 이루어지는 이중 캡의 구조에 있어서는 상하부 캡사이에서 밀봉은 상호 억지끼움 구조에 의해 누액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그러나 종래의 밀폐형 용기의 구조는, 플라스틱 캡, 플라스틱 용기, 및 발포 패킹이 모두 별도로 각각 성형되어발포 패킹이 상기 플라스틱 캡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됨으로, 수동 조립시에 패킹이 캡내에 미삽입되는 문제가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부 캡사이의 상호 억지끼움 방식은 누액의 차단에 한계가 있었다.또한, 종래에는 발포 패킹이 별도 제작되어 수동 조립되는 형태임으로, 발포 패킹의 생산, 이동 및 조립 등의
비용이 추가되어 포장재 용기의 원가를 절감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더구나, 종래의 밀폐형 용기의 구조에 있어서는 상하부 캡 사이의 밀봉 부위와 하부 캡과 용기 사이의 밀봉 부위를 동시에 차단할 수 있는 일체형 패킹재는 전혀 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 캡의 일차 사출 성형 후, 수직된 터널 구조의 패킹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환형(環形)의 제 1 및 제 2 패킹부를 하부 캡의 원통형 본체의 내측 상단과 상측의 제 2 네크부 상단에 일체로 이차 사출 성형함으로써, 용기와의 밀봉 부위와 상부 캡과의 밀봉 부위를 동시에 차단할 수 있음으로 용기와 하부 및 상부 캡의 동시 결합시에 완전 밀봉되어 눌림으로 인한 누액이 두 개의 밀봉 부위 영역에서 전혀 발생되지 않는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수직된 터널 구조의 패킹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환형(環形)의 제 1 및 제 2 패킹부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패킹부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분리형 패킹이 진동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이탈되는 패킹 이탈 형상을방지할 뿐만 아니라, 하부캡과 패킹의 일체형 제작에 따른 포장재의 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수 있는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는, 상방이 개구진 제 1 네크부를 가지며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제 1 네크부가 삽입되는 환형(環形)의 제 1 삽입홈부를 갖는 제 1 원통형 본체, 쇼올더, 및 상기 쇼올더 상단에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방이 개구지는 제 2 네크부로 이루어지는 하부캡과; 상기 하부 캡의 제 2 네크부가 삽입체결되는 환형(環形)의 제 2 삽입홈부를 갖는 제 2 원통형 본체를 가지며, 상면이 폐쇄되는 상부 캡과; 상기 용기의 상기 제 1 네크부 상단에서 일정 두께를 가지며 밀착되어지되,상기 환형(環形)의 제 1 삽입홈부의 상부 내측면에 일체로 이중 사출성형되는 환형(環形)의 제 1 패킹부와, 상기 하부 캡의 제 2 네크부 상단에 일정 두께를 가지며 일체로 이중 사출성형되어 상기 상부 캡의 상기 환형(環形)의 제 2 삽입홈부의 내측면에 밀착되어지는 환형(環形)의 제 2 패킹부와, 상기 하부 캡의 상기 쇼울더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패킹부를 상호 연결하는 패킹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패킹부로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캡의 상기 환형(環形)의 제 1 삽입홈부는, 외측으로는 하향으로 돌출되는 제 1 바깥쪽 내측면과, 내측으로는 하향으로 돌출되는 제 1 안쪽 내측면과, 상기 제 1 바깥쪽 내측면의 상측과 상기 제 1 안쪽내측면의 상측 사이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기 환형의 상기 제 1 패킹부의 상면과 그 일부가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상기 제 1 삽입홈부의 상기 상부 내측면으로서의 제 1 수평 내측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환형(環形)의 제 1삽입홈부의 상기 제 1 수평 내측면의 반대쪽의 상측부가 상기 쇼올더가 되며, 상기 제 1 수평 내측면과 상기 쇼올더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대향하는 두 개의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대향하는 두 개의 연결홀의 상측으로 수직으로 연장된 상기 제 2 네크부에도 수직된 대향하는 두 개의 연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환형의 제 1 및 제 2 패킹부를 상호 연결하는 대향하는 두 개의 막대 형상의 상기 패킹 연결부가 이차 사출성형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캡의 상기 환형(環形)의 제 2 삽입홈부는, 외측으로는 하향으로 돌출되어 그 내주연에 상기 하부 캡의 상기 제 2 네크부의 1 나사부와 나사체결하기 위해 형성된 제 2 나사부를 갖는 제 2 바깥쪽 내측면과, 내측으로는 하향으로 돌출되는 제 2 안쪽 내측면과, 상기 제 2 바깥쪽 내측면의 상측과 상기 제2 안쪽 내측면의 상측 사이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기 환형의 제 2 패킹부의 상면과 당접(當接)되어 결합시에 완전 밀착되는 제 2 수평 내측면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캡의 제 2 네크부 상단의 단면이 "ㄷ" 자(字) 형태의 돌기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이중 사출방식을 통해 이에 대응되는 상기 환형의 제 2 패킹부도 그 단면 형태를 "ㄷ" 자(字)로 하여 언더컷 결합 구조로서 사출성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체형 패킹부의 재질은 러버(rubber) 또는 엘라스토머(elastomer) 계열의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에 의하면, 하부 캡의 일차 사출 성형 후, 수직된 터널 구조의 패킹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환형(環形)의 제 1 및 제 2 패킹부를 하부 캡의 원통형 본체의내측 상단과 상측의 제 2 네크부 상단에 일체로 이차 사출 성형함으로써, 용기와의 밀봉 부위와 상부 캡과의 밀봉 부위를 동시에 차단할 수 있음으로 용기와 하부 및 상부 캡의 동시 결합시에 완전 밀봉되어 눌림으로 인한누액이 전혀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직된 터널 구조의 패킹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환형(環形)의 제 1및 제 2 패킹부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패킹부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분리형 패킹이 진동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이탈되는 패킹 이탈 형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하부캡과 패킹의 일체형 제작에 따른 포장재의 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의 개략적인 분리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의 개략적인 결합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의 하부 캡의 일차 성형후의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의 하부 캡의 이차 성형후의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의 개략적인 분리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캡누액 방지용 용기의 개략적인 결합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의 하부 캡의
일차 성형후의 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의 하부 캡의 이차 성형후의 단면도 및 정면도로서,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100)는, 상방이 개구지고 외주연에 제 1 네크부(11)를 가지며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제 1 네크부(11)가 삽입되는 환형(環形)의 제 1삽입홈부(22)를 갖는 제 1 원통형 본체(21), 쇼올더(23), 및 제 2 네크부(24)로 이루어지는 하부 캡(20)과; 상기 하부 캡(20)의 제 2 네크부(24)가 삽입체결되는 환형(環形)의 제 2 삽입홈부(32)를 갖는 제 2 원통형 본체(31)를 갖는 상부 캡(30)과; 상기 용기(10)의 제 1 네크부(11) 상단에서 일정 두께를 가지며 당접되어 밀착되어지되, 상기 환형(環形)의 제 1 삽입홈부(22)의 상부 내측면에 일체로 이중(二重) 사출성형되는 환형(環形)의 제1 패킹부(41)와, 상기 하부 캡(20)의 제 2 네크부(24) 상단에 일정 두께를 가지며 일체로 이중 사출성형되는 환형(環形)의 제 2 패킹부(43)와, 상기 하부 캡(20)의 쇼울더(23)를 수직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패킹부
(41)(43)를 상호 연결하는 패킹 연결부(42)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패킹부(40)로 크게 이루어진다.여기서, 상기 용기(10)는 화장품이나 욕실용 세정 화장품, 주방 세제 등과 같은 다양한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된다. 상기 용기의 재질은 플라스틱 범용수지인 PP, PE, ABS, AS, PVC, POM 등을 사용하거나, 또는 스틸(STEEL),SUS 등으로도 제작할 수 있다.
상기한 용기(10)는 상방이 개구(開口)진 개구부(도면 번호 미부여)를 가지고, 돌출된 상측 외주연에는 후술하는하부 캡(20)의 환형(環形)의 삽입홈부(22)의걸림돌기(22d)가 걸려 언더컷(undercut) 결합하기 위한 환형의 걸
림턱(11a)이 형성되는 네크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시된 예에서는 용기(10)와 하부 캡(20)과 언더컷 결합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상기 네크부(11)에상기 걸림턱 대시엔 나사부를 형성하여 하부 캡(20)과 네크부(11)를 나사체결하는 방식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한 용기(10)를 덮는 캡(cap)은, 상호 분리가능한 하부캡(20)과 상부캡(30)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한 하부캡(20)은 중앙이 개구(開口)지는 형태이며, 하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그 내주연에 상기 용기(10)의 제 1 네크부(11)가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한 환형의 제 1 패킹부(41)가 개재되어 누액이 발생되지 않는공간을 형성하는 환형(環形)의 제 1 삽입홈부(22)를 갖는 제 1 원통형 본체(21)와, 쇼올드(23)와, 상기 쇼올드(23)의 상단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부 캡(30)의 제 2 원통형 본체(31)의 환형(環形)의 제 2 삽입홈부(32)의 내주연과 결합하기 위한 제 2 네크부(24)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환형(環形)의 제 1 삽입홈부(22)는, 외측으로는 하향으로 돌출되어 하측에 걸림돌기(22d)를 갖는 제 1바깥쪽 내측면(22a)과, 내측으로는 하향으로 돌출되는 제 1 안쪽 내측면(22c)과, 상기 제 1 바깥쪽 내측면(22a)의 상측과 상기 제 1 안쪽 내측면(22c)의 상측 사이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기 환형의 제 1 패킹부(41)의 상
면과 그 일부가 일체로 이중 사출 성형되는 제 1 수평 내측면(22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환형(環形)의 제 1 삽입홈부(22)의 제 1 수평 내측면(22b)의 반대쪽의 상측부가 쇼올더(23)가 되며, 상기 제 1 수평 내측면(22b)과 쇼올더(23)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대향하는 두 개의 연결홀(22e)이 형성되어상기 환형의 제 1 및 제 2 패킹부(41)(43)를 상호 연결하는 패킹 연결부(42)가 이차(이중) 사출성형될 수 있는공간(도 4a 및 도 4b 참조)을 형성한다.
물론, 상기 대향하는 두 개의 연결홀(22e)의 상측으로 수직으로 연장된 제 2 네크부(24)에도 수직된 두 개의 연결홈(24b)이 형성되어 패킹 연결부(42)가 상기 두 개의 연결홀(22e)과 함께 이차 사출 성형될 수 있는 공간(도4a 및 도 4b 참조)을 형성한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한 제 1 삽입홈부(22)의 걸림돌기(22d) 는 용기(10)의 제 1 네크부(11)의 걸림턱(11a)에 언더컷 결합되어지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제 2 네크부(24)의 외주연에는 제 1 나사부(24a)가 형성되어 상부 캡(30)의 제 2 원통형 본체(31)의 환형(環形)의 제 2 삽입홈부(32)의 제 2 바깥쪽 내측면(32a)의 내주연에 형성된 제 2 나사부(32d)와 나사체결되도록 함으로써 하부 캡(20)과 상부 캡(30)이 나사체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상부 캡(30)은 상면이 폐쇄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그 내주연에 상기 하부 캡(20)의 제 2 네크부(24)가 나사체결됨과 동시에, 상기한 환형의 제 2 패킹부(43)가 개재되어 누액이 발생되지 않는 공간을 형성하는 환형(環形)의 제 2 삽입홈부(32)를 갖는 제 2 원통형 본체(31)를 갖는다
상기한 환형(環形)의 제 2 삽입홈부(32)는, 외측으로는 하향으로 돌출되어 그 내주연에 하부 캡(20)의 제 2 네크부(24)의 제 1 나사부(24a)와 나사체결하기 위해 형성된 제 2 나사부(32d)를 갖는 제 2 바깥쪽내측면(32a)과, 내측으로는 하향으로 돌출되는 제 2 안쪽 내측면(32c)과, 상기 제 2 바깥쪽 내측면(32a)의 상측
과 상기 제 2 안쪽 내측면(32c)의 상측 사이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기 환형의 제 2 패킹부(43)의 상면과 당접(當接)되어 결합시에 완전 밀착되는 제 2 수평 내측면(32b)으로 이루어진다.한편,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의 하부 캡(20)에는, 일차(一次) 사출 성형시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수평 내측면(22b)과 쇼올더(23)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대향하는두 개의 연결홀(22e)과, 상기 두 개의 연결홀(22e)로 상측으로 수직으로 연장된 제 2 네크부(24)에 수직된 두개의 연결홈(24b)이 각각 형성되어 후술하는 이차 사출 성형시에 대향하는 두 개의 막대형상의 패킹 연결부(42)가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물론,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의 하부 캡(20)의 이차(二次) 성형시에는 상기 대향하는 두 개의 패킹 연결부(42)와, 상기 환형(環形)의 제 1 삽입홈부(22)의 상부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환형(環形)의 제 1 패킹부(41)와, 상기 하부 캡(20)의 제 2 네크부(24) 상단에 일정 두께를 가지며 일체로 형성되는 환형(環形)의 제 2 패
킹부(43)가 동시에 이중 사출 성형되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패킹부(40)가 완성되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의 하부 캡(20)은 일차 성형후에 환형(環形)의 제 1 및 제 2 패킹부(41)(43)와, 제 1 및 제 2 패킹부(41)(43)를 상하로 연결하는 대향하는 두 개의 막대형상의 패킹 연결부(42)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패킹부(40)를 이중 사출 방식에 의해 일체형으로 사출형성된다.
다시 말해, 종래의 하부 캡(20)의 구조를 동일하게 활용하면서도 러버(rubber) 또는 엘라스토머(elastomer) 계열의 수지를 이용하여 하부 캡(20)의 일차 성형 후, 바로 공지의 이중 사출 방식을 통해 하부 캡(20)과 일체화된 일체형 패킹부(40)를 하부 캡(20)의 환형(環形)의 제 1 삽입홈부(22)의 내측 상단(수평 내측면(22b)의 하측)과 제 2 네크부(24) 상단에 수직된 터널 구조의 패킹 연결부(42)를 통해 제 1 및 제 2 패킹부(41)(43)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네크부(24)의 상단의 단면이 대략 "ㄷ" 자(字) 형태의 돌기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사출방식을 통해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 2 패킹부(43)도 그 단면상 형태를 대략 "ㄷ" 자(字)로 하여 언더컷 결합 구조로서 사출성형함으로써, 상기 하부 캡(20)의 제 2 네크부(24) 상단에 더욱 견고하게 일체화된 제 2 패킹부
(43)를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부 캡(20)의 일차 사출 성형 후, 수직된 터널 구조의 패킹 연결부(42)를 통해 연결되는 제 1 및제 2 패킹부(41)(43)를 하부 캡(20)의 환형(環形)의 제 1 삽입홈부(22)의 내측 상단과 제 2 네크부(24) 상단에일체로 이차 사출 성형함으로써, 용기(10)와의 밀봉 부위와 상부 캡(30)과의 밀봉 부위를 동시에 차단할 수 있음으로 용기(10)와 하부 및 상부 캡(20)(30)의 완전 결합시에 눌림으로 인한 누액은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요지 및 스코프를 일탈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변화 및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100: 본 발명에 따른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
10: 용기(容器) 11: 제 1 네크부
11a: 걸림턱 20, 30: 하부 및 상부 캡
21, 31: 제 1 및 제 2 원통형 본체
22, 32: 환형(環形)의 제 1 및 제 2 삽입홈부
22a, 32a: 제 1 및 제 2 바깥쪽 내측면
22b, 32b: 제 1 및 제 2 수평 내측면
22c, 32c: 제 1 및 제 2 안쪽 내측면
22d: 걸림돌기 22e: 대향하는 두 개의 연결홀
23: 쇼올더 24: 제 2 네크부
24a: 제 1 나사부 24b: 대향하는 두 개의 연결홈
32d: 제 2 나사부 40: 일체형 패킹부
41, 43: 환형(環形)의 제 1 및 제 2 패킹부
42: 대향하는 두 개의 막대형상의 패킹 연결부

Claims (5)

  1. 상방이 개구진 제 1 네크부를 가지며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제 1 네크부가 삽입되는 환형(環形)의 제 1 삽입홈부를 갖는 제 1 원통형 본체, 쇼올더, 및 상기쇼올더 상단에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방이 개구지는 제 2 네크부로 이루어지는 하부 캡과,상기 하부 캡의 제 2 네크부가 삽입체결되는 환형(環形)의 제 2 삽입홈부를 갖는 제 2 원통형 본체를 가지며,상면이 폐쇄되는 상부 캡과,상기 용기의 상기 제 1 네크부 상단에서 일정 두께를 가지며 밀착되어지되, 상기 환형(環形)의 제 1 삽입홈부의상부 내측면에 일체로 이중 사출성형되는 환형(環形)의 제 1 패킹부와, 상기 하부 캡의 제 2 네크부 상단에 일정 두께를 가지며 일체로 이중 사출성형되어 상기 상부 캡의 상기 환형(環形)의 제 2 삽입홈부의 내측면에 밀착되어지는 환형(環形)의 제 2 패킹부와, 상기 하부 캡의 상기 쇼울더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패킹부를 상호 연결하는 패킹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패킹부로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하부 캡의 상기 환형(環形)의 제 1 삽입홈부는, 외측으로는 하향으로 돌출되는 제 1 바깥쪽 내측면과, 내측으로는 하향으로 돌출되는 제 1 안쪽 내측면과, 상기 제 1 바깥쪽 내측면의 상측과 상기 제 1 안쪽 내측면의
    상측 사이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기 환형의 상기 제 1 패킹부의 상면과 그 일부가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상기제 1 삽입홈부의 상기 상부 내측면으로서의 제 1 수평 내측면으로 이루어지며,상기 환형(環形)의 제 1 삽입홈부의 상기 제 1 수평 내측면의 반대쪽의 상측부가 상기 쇼올더가 되며, 상기 제1 수평 내측면과 상기 쇼올더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대향하는 두 개의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대향하는 두 개의 연결홀의 상측으로 수직으로 연장된 상기 제 2 네크부에도 수직된 대향하는 두 개의 연결홈이 형성되어 상기환형의 제 1 및 제 2 패킹부를 상호 연결하는 대향하는 두 개의 막대 형상의 상기 패킹 연결부가 이차 사출성형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상부 캡의 상기 환형(環形)의 제 2 삽입홈부는, 외측으로는 하향으로 돌출되어 그 내주연에 상기 하부 캡의 상기 제 2 네크부의 제 1 나사부와 나사체결하기 위해 형성된 제 2 나사부를 갖는 제 2 바깥쪽 내측면과, 내
    측으로는 하향으로 돌출되는 제 2 안쪽 내측면과, 상기 제 2 바깥쪽 내측면의 상측과 상기 제2 안쪽 내측면의상측 사이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기 환형의 제 2 패킹부의 상면과 당접(當接)되어 결합시에 완전 밀착되는 제2 수평 내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
  4.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하부 캡의 제 2 네크부 상단의 단면이 "ㄷ" 자(字) 형태의 돌기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이중 사출 방식을 통해 이에 대응되는 상기 환형의 제 2 패킹부도 그 단면 형태를 "ㄷ" 자(字)로 하여 언더컷 결합 구조로서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일체형 패킹부의 재질은 러버(rubber) 또는 엘라스토머(elastomer) 계열의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
    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
KR1020190054817A 2019-05-10 2019-05-10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 KR202001298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817A KR20200129831A (ko) 2019-05-10 2019-05-10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817A KR20200129831A (ko) 2019-05-10 2019-05-10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831A true KR20200129831A (ko) 2020-11-18

Family

ID=73697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817A KR20200129831A (ko) 2019-05-10 2019-05-10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98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0370B1 (ko) 밀폐용기의 뚜껑
KR101268157B1 (ko) 밀폐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용 캡
CN104334464B (zh) 分配封盖
KR20190000204U (ko) 비타민 앰플용 마개일체형 캡
KR200479685Y1 (ko) 플립형 스포츠 병뚜껑 및 해당 병뚜껑을 포함하는 물저장 용기
KR101194525B1 (ko) 보틀 용기
BRPI0617365A (pt) fechamento plástico com múltiplas partes
KR101161317B1 (ko)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
KR20200129831A (ko)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
US2991902A (en) Sealing devices
KR101277820B1 (ko) 밀폐뚜껑이 구비된 용기
US10710772B2 (en) Soft core bottle
KR20170083218A (ko) 화장품 용기
KR101169553B1 (ko)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
KR200424083Y1 (ko) 수액팩용 밀봉 캡 및 그것을 제조하는 금형
KR200403309Y1 (ko) 내부 세척이 용이한 병
KR101251325B1 (ko) 밀폐 보존용기의 캡
KR101863707B1 (ko) 밀폐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0456981Y1 (ko) 패킹 일체형 용기
CN103786942A (zh) 一种液体瓶
TWM585759U (zh) 改良型密封蓋
CN213567427U (zh)
KR20140082536A (ko) 연질의 접철부가 있는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0397726Y1 (ko) 내부 세척이 용이한 병
CN203767269U (zh) 一种储液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