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255A - 분할지지부재 및 이를 채택한 전주 - Google Patents
분할지지부재 및 이를 채택한 전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29255A KR20200129255A KR1020190053393A KR20190053393A KR20200129255A KR 20200129255 A KR20200129255 A KR 20200129255A KR 1020190053393 A KR1020190053393 A KR 1020190053393A KR 20190053393 A KR20190053393 A KR 20190053393A KR 20200129255 A KR20200129255 A KR 202001292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dividual
- support member
- support
- flange
- attachment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를 송전/배전하는 지지물인 전주를 구성하는 지지부재, 변전소에 설치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GIS; Gas Insulated switchgear)의 일부가 중력에 의해 기우려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바닥과 가스절연개폐장치(GIS) 사이에 설치할 수 있는 지지부재, 신호등주 또는 가로등주에도 적용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대신할 분할지지부재(20) 및 이를 채택한 지지물인 전주에 관한 것이다.
출원번호 10-1999-0016783 [보강근을 구비한 프리텐션방식 원심력 PC전주]는 철근콘크리트 전주에 관한 것이고, 출원번호 20-2003-0012225[조립식 강관 전주]는 전주를 하나의 강관을 사용한 형태의 전주에 관한 것이나 통으로 된 하나의 강관을 사용하여 부피와 무게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분할지지부재(20)를 구성하는 개별지지대(21)를 금속재, 강화플라스틱, FRP, 폴리카보네이트 등으로 다양하게 만들에 강도를 높이고, 실현 가능성을 높혔다. 그리고 분할지지부재(20)를 채택할 경우, 필요 없는 공간을 제외한 곳에 개별지지대(21)가 배치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지지부재의 부피와 무게를 동시에 줄일 수 있어서 콤팩트한 지지물 형성이 가능하여, 지지부재를 쉽게 다루어 안정된 건설여건과 공사비용 감소를 달성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여건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지중선로용 및 이동통신용 인하선이 증가하는 장소의 전주에 여분의 개별지지대삽입예정구(81)를 미리 플랜지/부착판(10)에 형성하여 놓아서 필요시 파이프만을 설치하여 내부에 인하선을 깔끔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동일한 분할지지부재(20)를 만을 조립하여 전주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상부와 하부에 조립될 분할지지부재(20)를 상이하게 선택하여, 하부는 미적 장점을 택하여 둥근 형태로 하고 상부는 기능적 장점을 택하는 등 다각형 형태등 다양한 모양을 만들수 있도록 하였다.
출원번호 10-1999-0016783 [보강근을 구비한 프리텐션방식 원심력 PC전주]는 철근콘크리트 전주에 관한 것이고, 출원번호 20-2003-0012225[조립식 강관 전주]는 전주를 하나의 강관을 사용한 형태의 전주에 관한 것이나 통으로 된 하나의 강관을 사용하여 부피와 무게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분할지지부재(20)를 구성하는 개별지지대(21)를 금속재, 강화플라스틱, FRP, 폴리카보네이트 등으로 다양하게 만들에 강도를 높이고, 실현 가능성을 높혔다. 그리고 분할지지부재(20)를 채택할 경우, 필요 없는 공간을 제외한 곳에 개별지지대(21)가 배치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지지부재의 부피와 무게를 동시에 줄일 수 있어서 콤팩트한 지지물 형성이 가능하여, 지지부재를 쉽게 다루어 안정된 건설여건과 공사비용 감소를 달성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여건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지중선로용 및 이동통신용 인하선이 증가하는 장소의 전주에 여분의 개별지지대삽입예정구(81)를 미리 플랜지/부착판(10)에 형성하여 놓아서 필요시 파이프만을 설치하여 내부에 인하선을 깔끔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동일한 분할지지부재(20)를 만을 조립하여 전주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상부와 하부에 조립될 분할지지부재(20)를 상이하게 선택하여, 하부는 미적 장점을 택하여 둥근 형태로 하고 상부는 기능적 장점을 택하는 등 다각형 형태등 다양한 모양을 만들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전주 제조분야
전기를 송전/배전하는 지지물인 전주를 구성하는 지지부재는 금속재 또는 철근콘크리트로 만들어 사용하고 있는 중이다. 전기를 송전/배전하는 전주는 철근콘크리트로 만드는 것이 보통이나 최근 들어 예상치 않은 이동통신선등이 추가로 한 전주에 가선되는 전선의 량이 많아지고 경년변화로 전주의 파괴로 전주의 하중에 대한 검토를 다시 하게 요구된다. 이런 문제의 대안으로 강관주가 개발되어 있으나 값이 비싸고 부피가 커서 시공하기나 유지보수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어 일반화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출원번호 10-1999-0016783 [보강근을 구비한 프리텐션방식 원심력 PC전주]는 철근콘크리트 전주에 관한 것이고, 출원번호 20-2003-0012225[조립식 강관 전주]는 전주를 하나의 강관을 사용한 조립식 형태의 전주에 관한 것이나 통으로 된 하나의 강관을 그대로 사용하여 관의 가운데 부분은 빈 공간으로 이루어져서 부피와 무게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지금까지 사용 중인 콘크리트 전주는 늘어나는 가선에 의해 늘어나는 하중에 견디기 어려우며, 강관주의 지지부재는 부피가 크고 무게가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값이 싸고 부피가 작으며 시공하기나 유지보수하기에 쉬운 지지부재를 사용하는 지지물이 필요하나 개발되지 않고 있다. 또한 도심의 지중선화 확대와 이동통신의 보편화에 따라 전주에서 지중의 선로 또는 망을 연결하는 전선 또는 통신선의 인하선 처리방법에 대한 기술 개발이 절실하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철근콘크리트 전주 대신에 지지물 부재를 금속재, 강화플라스틱, FRP, 폴리카보네이트 등으로 다양하게 강관주의 지지부재처럼 플랜지를 볼트로 조이는 조립식으로 만든다. 그러나 이미 금속재로 만들고 있는 강관주의 경우처럼 지지부재를 통으로 된 하나의 속이 빈 강관을 사용하여 부재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개별지지재(21)를 사용하여 분할지지부재(20)를 만들어, 통으로 된 하나의 강관을 사용함으로써 강관속의 빈 공간으로 인해 유발되는 부피와 무게가 지나치게 커지는 현상을 막는다. 특히 H형강과 같이 토목공사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둥재를 지지부재를 구성하는 개별지지재(21)로 사용하여 강도를 높이도록 할 수 있다. 강관전주가 둥근형태의 통형 강관을 사용하여 지지부재를 만들어 원형 강관전주 위에 부착되는 평면형태의 완철 등을 시공할 경우 잘 부착되도록 어뎁터를 추가로 시공하는 일이 없도록 사각형태나 육각형태가 되도록 지지부재를 구성하는 것을 고려한다. 이러한 분할지지부재(20)를 전주를 구성하는 지지물 제작에 채택하도록 한다.
금속재, 강화플라스틱, FRP, 폴리카보네이트 등으로 다양하게 만든 개별지지재(21)를 사용하고, 두 개 이상의 이들 개별지지재(21)의 상부와 하부에 재질에 맞는 부착재로 함께 고정시킬 상하부에 플랜지/부착판(10)을 형성하여 분할지지부재(20)를 완성한다. 또한 이러한 분할지지부재(20)의 플랜지/부착판(10)을 볼트로 결합시켜 전주를 완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부피를 적게 차지하면서 동일 이상의 강도를 나타내는 분할지지부재(20)를 제시한다. 지지부재의 재질도 금속재, 강화플라스틱, FRP, 폴리카보네이트 등으로 다양화 하였다. 특히 H형강과 같이 토목공사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둥재를 지지부재를 구성하는 개별지지재(21)의 하나로 사용하여 강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내부에 공간이 없거나 작은 개별지지재(21)를 결합하여 분할지지부재(20)를 만들어 부피와 무게를 최대한 줄이도록 하여 이를 시공함에 있어서 작업이 쉽고 안전하게 하였으며 유지보수의 불편함을 없도록 하였으며 분할지지부재(20)에 부착될 부착물과 분할지지부재(20)를 결합시킬 고정장치의 크기를 줄여서 시공을 간단하게 하고 안전하게 하며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이도록 하였다. 기존의 강관전주가 둥근형태의 통으로 된 하나의 강관을 사용하여 지지부재를 만들어 원형 강관전주 위에 부착되는 평면형태의 완철 등을 시공할 경우 잘 부착되도록 어뎁터를 추가로 시공하는 일이 발생하였으나 분할지지부재(20)를 사각형태나 육각형태 등 다각형태가 되도록 구성하면 이러한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지중선로용 및 이동통신용 인하선이 증가하는 장소의 전주에 여분의 개별지지대삽입예정구(81)를 미리 플랜지/부착판(10)에 형성하여 놓아서 필요시 파이프만을 설치하여 내부에 인하선을 깔끔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동일한 분할지지부재(20)를 만을 조립하여 전주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상부와 하부에 조립될 분할지지부재(20)를 상이하게 선택하여 하부는 미적 장점을 택하여 둥근 형태로 하고 상부는 기능적 장점을 택하는 등 다각형 형태등 다양한 모양을 만들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분할지지부재(20)를 사용하는 기둥을 필요로 하는 전주를 비롯한 신호등이나 가로등이 채택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 하였다.
도 1은 기존의 강관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삼각배치 개별지지대로 구성된 지지부재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육각배치 개별지지대로 구성된 지지부재 설명도이다.
도 4는 H형강 설명 사진이다.
도 5는 H형강을 개별지지대로 사용한 지지부재 설명도이다.
도 6은 개별지지대 전체를 감싸는 개별지지대 설명도이다.
도 7은 분할지지부재에 발판볼트/너트 설치 사례 설명도이다.
도 8은 개별지지대삽입예정구가 설치된 사례 설명도이다.
도 9는 강관지지부재와 분할지지부재가 설치된 전주 비교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삼각배치 개별지지대로 구성된 지지부재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육각배치 개별지지대로 구성된 지지부재 설명도이다.
도 4는 H형강 설명 사진이다.
도 5는 H형강을 개별지지대로 사용한 지지부재 설명도이다.
도 6은 개별지지대 전체를 감싸는 개별지지대 설명도이다.
도 7은 분할지지부재에 발판볼트/너트 설치 사례 설명도이다.
도 8은 개별지지대삽입예정구가 설치된 사례 설명도이다.
도 9는 강관지지부재와 분할지지부재가 설치된 전주 비교 설명도이다.
도 1은 기존의 강관부재의 설명도이다. 기존의 강관주 지지부재는 상하부에 각각 플랜지/부착판(10)이 붙어 있고 플랜지/부착판(10)과 강관의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지지편(13)을 플랜지/부착판(10)과 강관 사이에 직각으로 붙인다. 볼트조임의 방식으로 하부지지부재(11)와 상부지지부재(12)를 결합이 가능하도록 플랜지/부착판(10)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도록 다수의 볼트구멍(14)을 뚫어 둔다. 이렇게 구성하면 통형 강관을 사용한 관계로 지지부재의 통형 강관의 넓은 내부 부위는 빈 공간으로 남게 되어 지지부재의 부피가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강관전주가 둥근형태의 통형 강관을 사용하여 지지부재를 만들어 원형 강관전주 위에 부착되는 평면형태의 완철 등을 시공할 경우 편장력에 의하여 평면형태의 완철 등이 회전할 우려가 있어 이를 막고자 어뎁터를 추가로 시공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고 시공비용이 늘어나는 단점이 추가된다.
도2 내지 도5를 함께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삼각배치 개별지지대로 구성된 지지부재 설명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육각배치 개별지지대로 구성된 지지부재 설명도이고, 도 4는 H형강 설명 사진이며, 도 5는 H형강을 개별지지대로 사용한 지지부재 설명도인데 좌측 그림은 원형파이프 개별지지대(21)로 H형강의 외형을 보완한 사례이며 우측 그림은 사각파이프 개별지지대(21)로 H형강의 외형을 보완한 사례이다. 위는 상부에서 본 평면도이고, 아래는 정면도이다. 전주에는 다양한 부착물이 붙고 지중선로 증가와 이동통신사업 활성화에 따른 통신선 증가 등이 겹치면서 전주에 가해지는 하중이 날로 불어나서 콘크리트전주가 더 이상 견딜 수 없는 한계에 달하는 등 하중이 크면서 콤펙트한 지지부재를 갖는 새로운 전주의 필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강관주와 같이 내부에 넓은 공간을 갖는 단일 대형파이프형상의 지지물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내부에 공간이 거의 없는 다수의 소형지지대형상의 새로운 지지물을 제시한다. 개별지지대(21)들의 모음이 삼각배치 또는 사각배치(미도시) 또는 육각배치와 같이 다각배치를 한 다음 개별지지대(21)들을 끝단이 플랜지/부착판(10)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하부에 각각 하나씩의 플랜지/부착판(10)을 용접하여 설치하고, 개별지지대(21)들을 하나로 묶기 위하여 상하부 플랜지/부착판(10) 부근의 개별지지대(21)들의 외곽을 개별지지대통합띠(22)로 감싸도록 용접하여 설치하고, 개별지지대통합띠(22)와 플랜지/부착판(10)의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지지편(13)을 개별지지대통합띠(22)와 플랜지/부착판(10) 사이에 용접하여 붙여서 분할지지부재(2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랜지/부착판(10)이 볼트조임을 할 플랜지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도록 다수의 볼트구멍(14)을 뚫어 둔다. 개별지지대(21)를 금속재, 강화플라스틱, FRP, 폴리카보네이트 중의 하나로 만들 수 있다. 도2, 도3에서 사용하는 개별지지대(21)는 속이 빈 원형파이프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개별지지대(21)를 원형파이프 형상이 뿐 만 아니라 다각파이프 형상이나 속이 꽉 찬 원형막대 형상 또는 다각막대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H형강(41)과 같이 토목공사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둥재를 분할지지부재(20)를 구성하는 개별지지대(21)로 사용하여 강도를 높이도록 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H형강(41) 등을 개별지지대(21)로 사용할 경우 도5와 같이 H형강(41)의 H자 내부에 일부 개별지지대(21)가 들어가서 전체적으로 다각배치에 가까운 배치를 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5의 좌측 그림은 H형강(41)에 원형파이프를 H자 빈공간에 보완한 것이고 우측 그림은 H형강(41)에 사각파이프를 H자 빈공간에 보완한 것이다. 그림에서는 개별지지대(21)들을 끝단 모두가 플랜지/부착판(10)을 관통하도록 하였으나 작업이 어려운 경우 일부는 관통하지 않고 용접하여 붙일 수도 있다. 분할지지부재(20)를 전주 제작에 채택할 경우 개별지지대(21)가 빈 공간 없이 적절히 배치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지지부재의 부피와 무게를 동시에 줄일 수 있어서 콤팩트한 지지물 형성이 가능하여, 지지부재를 쉽게 다루어 안정된 건설여건과 공사비용 감소를 달성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여건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분할지지부재(20)는 변전소에 설치되는 가스절연개폐장치(GIS; Gas Insulated switchgear)의 일부가 중력에 의해 기우려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바닥과 가스절연개폐장치(GIS) 사이에 설치할 수도 있고, 신호등주 또는 가로등주에도 적용할 수 있다. 가스절연개폐장치(GIS)와 분할지지부재(20)의 플랜지/부착판(10)을 용접하여 구현할 수 있듯이 플랜지/부착판(10)은 접촉하는 대상에 따라 용접 또는 볼트조임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구현하면 된다. 결국 플랜지/부착판(10)은 분할지지부재(20)가 접할 대상이 볼트조임이 가능하면 플랜지가 되고 용접만이 가능하면 부착판이 된다. 개별지지대(21)가 철 재질일 경우 부식을 막기 위하여 부식방지페인트를 칠하거나 도금할 수 있다.
도 6은 개별지지대 전체를 감싸는 개별지지대 설명도이다. 좌측 그림은 원형파이프의 개별지지대(21)들을 삼각배치한 다음 큰 원형파이프로 전체를 감싸도록 하여 외관을 하나의 큰 원형파이프의 외관으로 만든 것이며, 우측 그림은 H형강을 개별지지대(21)로 배치한 다음 큰 원형파이프로 전체를 감싸도록 하여 외관을 하나의 큰 원형파이프의 외관으로 만든 것이다. 이렇게 구조를 형성하면 기존 강관전주에서 활용하지 못하던 파이프 내부의 빈 공간에 개별지지대(21)를 배치하여 강도를 높일 수 있고 또 전주의 굵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기존 강관전주에서 활용하지 못하던 파이프 내부의 빈 공간이 내부에 배치된 개별지지대(21)들에 의해 여러 조각의 구획된 작은 공간으로 변신하는데 이 공간에 도8에서 설명하는 날로 증가하는 지중선로용 인하선 및 이동통신용 인하선을 수용하면 전주의 인하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최외곽을 감싸는 원형 또는 각형 파이프는 개별지지대통합띠(22) 역할과 개별지지대(21) 역할을 겸하게 된다. 그래서 개별지지대통합띠(22)가 상부의 플랜지/부착판(10)부터 하부의 플랜지/부착판(10)까지 연장된 것으로도 생각할 수 있다. 이때 최외곽을 감싸는 원형 또는 각형 파이프는 개별지지대통합띠(22)와 달리 상부 및 하부의 플랜지/부착판(10)을 관통하여 개별지지대(21)처럼 설치될 수 있다. 이를 감안하여 배치된 개별지지대(21)들을 내부공간에 품고, 즉 최외곽을 감싸며, 개별지지대통합띠(22) 역할과 개별지지대(21) 역할을 겸하는 원형 또는 각형 파이프를 개별지지대(21)처럼 구성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최외곽을 감싸는 개별지지대(21)와 내부에 포함된 개별지지대(21)가 형성하는 공간을 인하선 통과 공간으로 사용하려면 외부와 관통되는 인하선유입구(미도시)와 인하선유출구(92)를 형성해주면 된다. 그림에는 없지만 내부에 배치하는 개별지지대(21)의 모양이 중심에서 일정한 각도로 면이 배치된 회전문 형상의 지지대로 방사상 모양으로 결합하여 강도를 더욱더 강화할 수도 있다.
도 7은 분할지지부재에 발판볼트/너트 설치 사례 설명도이다. 분할지지부재(20)를 연속으로 조립하여 전주로 사용될 경우에는 전주에 사람이 올라갈 수 있도록 개별지지대(21)의 일측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용접너트(72)를 용접하여 붙이고 여기에 발판볼트(71)를 삽입하여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인이 전주에 올라가는 일을 막기 위하여 성인 키 높이 아래쪽에는 발판볼트(71), 용접너트(72)를 설치하지 않고, 성인 키 높이부터 용접너트(72)를 설치하되 발판볼트(71)는 설치하지 않은 상태로 둔다. 전주에 올라갈 필요가 있을 경우에만 전주에 승탑자가 발판볼트(71)를 소지하고 설치하면서 올라가도록 하고 내려오면서 제거하면서 내려오도록 한다.
도 8은 개별지지대삽입예정구가 설치된 사례 설명도이다. 전주에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새롭게 부착되는 지중선로용 인하선 및 이동통신용 인하선을 추가하여야 할 필요성이 생겨난다. 따라서 이러한 인하선의 설치 필요성이 있을 경우마다 인하선을 지하로 안전하게 유도하도록 전주 표면에 강관/철관을 덧붙여 설치해서 미관을 해치고 있는 현실이다. 지중선로용 및 이동통신용 인하선이 증가하는 장소의 전주에 여분의 개별지지대삽입예정구(81)를 미리 플랜지/부착판(10)에 형성하여 놓으면 필요시 파이프만을 설치하여 내부에 인하선을 깔끔하게 설치할 수 있다. 플랜지/부착판(10)에 지중선로용 및 이동통신용 인하선이 내부로 인하될 수 있도록 개별지지대(21)를 설치할 여분의 개별지지대삽입예정구(81)를 플랜지/부착판(10)에 형성시켜 구성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9는 강관지지부재와 분할지지부재가 설치된 전주 비교 설명도이다. 좌측 그림이 강관지지부재를 설치한 사례이며, 우측 그림이 분할지지부재를 설치한 사례이다.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기초(91) 위에 지지부재를 연속으로 위로 결합함으로써 전주가 완성됨을 알 수 있다. 그림에는 없지만 분할지지부재(20)를 결합시킨 조립식 전주는 모두 기초(91)위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기초(91) 없이 근가(미도시)를 이용하여 땅속에 전주 아랫부분을 묻어 설치하기도 한다. 분할지지부재(20)를 사용한 우측이 좀 더 콤팩트한 형상을 보여줌을 알 수 있다. 기초(91)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심지에 설치되는 전주에는 전선의 지중화 확대와 이동통신의 대중화로 지중의 망과 연결되고자 인하선들이 매우 많이 내려옴을 쉽게 볼 수 있다. 그리하여 전주에 가해지는 하중이 갈수록 늘어나는 추세이다. 인하선이 기초(91)를 피해 목적한 장소로 유출되도록 개별지지대(21)의 끝부분이 닿는 플랜지/부착판(10) 하부에서 기초(91)의 일부분을 거쳐 빠져나가는 인하선유출구(92) 설치방법과 개별지지대(21)의 밑둥 부근의 일측에서 관통되도록 T분기하여 기초(91)의 비켜서 인하선유출구(92)를 설치하는 방법 등 2가지 방법을 그림에서 제시한다. 분할지지부재(20)를 채택하여 전주와 같은 지지물을 구성하려면, 분할지지부재(20)의 플랜지/부착판(10)에 형성된 볼트구멍(14)에 볼트(미도시)를 끼워 너트(미도시)를 조여 분할지지부재(20)를 연속하여 상방향으로 필요한 길이 만큼 조립하고, 전주에 사람이 올라갈 수 있도록 개별지지대(21)의 일측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용접너트(72)를 용접하여 붙이고 여기에 발판볼트(71)를 삽입하여 설치하고, 분할지지부재(20)의 일측에 접지선인입구(미도시)와 다른 일측에 접지선인출구(미도시)를 형성하며, 전주번호찰 설치용 너트홈을 설치하고, 제일 상부에 설치되는 분할지지부재(20)에는 하부 플랜지/부착판(10)만 설치하고 상부에는 설치하지 않고 개별지지대통합띠(22)만 있는 상태에서 가공지선지지대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부에 조립될 분할지지부재(20)는 도6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개별지지대(21)들을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하여 하나의 관으로 된 미적 장점을 택하고, 상부에 조립될 분할지지부재(20)는 평면형 완철을 잘 고정시킬 수 있도록 도2를 변형한 개별지지대(21)들을 사각배치한 분할지지부재(20)를 택한다면 기능측면의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동일한 분할지지부재(20)를 만을 조립하여 전주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상부와 하부에 조립될 분할지지부재(20)를 상이하게 선택하여 다양한 모양을 만들 수 있다.
10 : 플랜지/부착판 11 : 하부지지부재
12 : 상부지지부재 13 : 지지편
14 : 볼트구멍 20 : 분할지지부재
21 : 개별지지대 22 : 개별지지대통합띠
41 : H형강 71 : 발판볼트
72 : 용접너트 81 : 개별지지대삽입예정구
91 : 기초 92 : 인하선유출구
12 : 상부지지부재 13 : 지지편
14 : 볼트구멍 20 : 분할지지부재
21 : 개별지지대 22 : 개별지지대통합띠
41 : H형강 71 : 발판볼트
72 : 용접너트 81 : 개별지지대삽입예정구
91 : 기초 92 : 인하선유출구
Claims (7)
- 개별지지대(21)들의 모음이 삼각배치 또는 사각배치(미도시) 또는 육각배치와 같이 다각배치를 한 다음 개별지지대(21)들을 끝단이 플랜지/부착판(10)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하부에 각각 하나씩의 플랜지/부착판(10)을 용접하여 설치하고, 개별지지대(21)들을 하나로 묶기 위하여 상하부 플랜지/부착판(10) 부근의 개별지지대(21)들의 외곽을 개별지지대통합띠(22)로 감싸도록 용접하여 설치하고, 개별지지대통합띠(22)와 플랜지/부착판(10)의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지지편(13)을 개별지지대통합띠(22)와 플랜지/부착판(10) 사이에 용접하여 붙여서 분할지지부재(2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지지부재.
- 제1항에 있어서, 개별지지대(21)를 금속재, 강화플라스틱, FRP, 폴리카보네이트 중의 하나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지지부재.
- 제1항에 있어서, 개별지지대(21)를 원형파이프 형상이 뿐 만 아니라 다각파이프 형상이나 속이 꽉 찬 원형막대 형상 또는 다각막대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지지부재.
- 제1항에 있어서, H형강(41)과 같이 토목공사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둥재를 분할지지부재(20)를 구성하는 개별지지대(21)로 사용하여 강도를 높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지지부재.
- 제1항에 있어서, 배치된 개별지지대(21)들을 내부공간에 품고, 즉 최외곽을 감싸며, 개별지지대통합띠(22) 역할과 개별지지대(21) 역할을 겸하는 원형 또는 각형 파이프를 개별지지대(21)처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지지부재.
- 제1항에 있어서, 플랜지/부착판(10)에 지중선로용 및 이동통신용 인하선이 내부로 인하될 수 있도록 개별지지대(21)를 설치할 여분의 개별지지대삽입예정구(81)를 플랜지/부착판(10)에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지지부재.
- 분할지지부재(20)의 플랜지/부착판(10)에 형성된 볼트구멍(14)에 볼트(미도시)를 끼워 너트(미도시)를 조여 분할지지부재(20)를 연속하여 상방향으로 필요한 길이 만큼 조립하고, 전주에 사람이 올라갈 수 있도록 개별지지대(21)의 일측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용접너트(72)를 용접하여 붙이고 여기에 발판볼트(71)를 삽입하여 설치하고, 분할지지부재(20)의 일측에 접지선인입구(미도시)와 다른 일측에 접지선인출구(미도시)를 형성하며, 전주번호찰 설치용 너트홈을 설치하고, 제일 상부에 설치되는 분할지지부재(20)에는 하부 플랜지/부착판(10)만 설치하고 상부에는 설치하지 않고 개별지지대통합띠(22)만 있는 상태에서 가공지선지지대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지지부재(20)를 채택한 전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3393A KR20200129255A (ko) | 2019-05-08 | 2019-05-08 | 분할지지부재 및 이를 채택한 전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3393A KR20200129255A (ko) | 2019-05-08 | 2019-05-08 | 분할지지부재 및 이를 채택한 전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9255A true KR20200129255A (ko) | 2020-11-18 |
Family
ID=73697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53393A KR20200129255A (ko) | 2019-05-08 | 2019-05-08 | 분할지지부재 및 이를 채택한 전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29255A (ko) |
-
2019
- 2019-05-08 KR KR1020190053393A patent/KR20200129255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86417A (en) | Tensionless pier foundation | |
KR20180083022A (ko) | 강관주 | |
JP2004011210A (ja) | 風力発電施設用主塔 | |
RU107247U1 (ru) | Радиомачта сотовой связи,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с осветительной опорой | |
KR20200129255A (ko) | 분할지지부재 및 이를 채택한 전주 | |
CN106451271B (zh) | 一种电缆过道桥架结构及其安装方法 | |
CN112753539A (zh) | 一种市政工程用环保型洒水装置 | |
CN206283215U (zh) | 一种电缆过道桥架结构 | |
CN203113871U (zh) | 内法兰组装混凝土电杆 | |
CN213234477U (zh) | 一体化环保型通信基站 | |
KR100523556B1 (ko) | 전광판 지지구조물 | |
KR101661207B1 (ko) | 가설 트러스 구조물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 |
CN210105440U (zh) | 一种电杆加高装置 | |
CN210263402U (zh) | 一种大型钢结构建筑用弧形单层网壳结构 | |
CN209779668U (zh) | 一种定日镜立柱和基础二合一桩基 | |
CN212927252U (zh) | 一种通信塔 | |
CN218406792U (zh) | 一种集成监测设备及辅助配件的多功能立杆设备 | |
CN220434391U (zh) | 一种预制混凝土基座 | |
CN217759871U (zh) | 建筑施工用钢管立柱平台结构 | |
CN216809683U (zh) | 一种用于市政多合一杆件的支杆 | |
CN217400504U (zh) | 一种通信共享式钢管杆 | |
CN220889537U (zh) | 核电厂带肋半球壳体拼装的施工胎架 | |
CN220705332U (zh) | 内插模块式圆管通信塔 | |
CN216588022U (zh) | 一种市政园林施工用防护栏 | |
KR101234357B1 (ko) | 파이프를 이용한 조립식 전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