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8820A -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수소 생산용 개질 반응 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수소 생산용 개질 반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8820A
KR20200128820A KR1020190052805A KR20190052805A KR20200128820A KR 20200128820 A KR20200128820 A KR 20200128820A KR 1020190052805 A KR1020190052805 A KR 1020190052805A KR 20190052805 A KR20190052805 A KR 20190052805A KR 20200128820 A KR20200128820 A KR 20200128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space
methane gas
water vapor
reforming reaction
hydrogen 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1298B1 (ko
Inventor
서민호
채홍준
서석준
허성규
이다윗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아이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아이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아이에프
Priority to KR1020190052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298B1/ko
Publication of KR20200128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8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3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 C01B3/34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 C01B3/34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with the aid of electrical means, electromagnetic or mechanical vibrations, or particle radi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3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 C01B3/34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 C01B3/38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using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05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reforming step
    • C01B2203/0227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reforming step containing a catalytic reforming step
    • C01B2203/0233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reforming step containing a catalytic reforming step the reforming step being a steam reforming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8Methods of heating or cooling
    • C01B2203/0805Methods of heating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855Methods of heating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by electromagnetic he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수소 생산용 개질 반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수소 생산용 개질 반응 장치의 일 양태는, 수소 생산을 위한 개질 반응 장치로서: 메탄가스(CH4) 및 수증기(H2O)의 개질 반응을 활성화하는 촉매(C)가 충진되는 반응 공간을 정의하는 반응기; 상기 반응기의 외면에 권선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반응기를 유도 가열하는 코일을 포함하는 가열부; 및 상기 반응 공간으로 공급되는 메탄가스 및 수증기가 유동되는 공급 유로를 정의하는 공급 파이프; 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 파이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반응 공간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공급 유로를 유동한 메탄가스 및 수증기가 상기 반응 공간에서 예열된 후 상기 반응 공간으로 공급된다.

Description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수소 생산용 개질 반응 장치{REFORMING REACTION APPARATUS WITH HIGH-FREQUENCY INDUCTION HEATING FOR HYDROGEN PRODUCTION}
본 발명은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수소 생산용 개질 반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소 생산용 개질 반응기는, 메탄(CH4)과 같은 탄화수소(CXHX)를 개질하여 수소(H2)를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 개질 반응의 활성화를 위한 촉매가 충진된 반응기 및 반응기 내부에서의 흡열 개질 반응을 지원하기 위한 가열부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소정의 직경 및 길이의 파이프 형상으로 성형되는 반응기를 가스버너와 같은 가열부가 열을 제공한다.
종래에는, 가스를 연소시켜서 열을 제공하는 가스버너가 가열부로 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가스버너의 경우에는, 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배기가스가 발생되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되는 화염과 접촉되는 부분에 대한 매우 국부적인 가열이 이루어지므로, 전체적인 온도 제어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종국적으로 수소의 생산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03699호(명칭: 열교환 장치를 내장한 일산화탄소 선택적 산화반응기 및 연료 개질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53917호(명칭: 원료의 혼합과 분배가 개선된 연료 개질기)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효율적인 수소의 생산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수소 생산용 개질 반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수소 생산용 개질 반응 장치의 일 양태는, 수소 생산을 위한 개질 반응 장치로서: 메탄가스(CH4) 및 수증기(H2O)의 개질 반응을 활성화하는 촉매(C)가 충진되는 반응 공간을 정의하는 반응기; 상기 반응기의 외면에 권선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반응기를 유도 가열하는 코일을 포함하는 가열부; 및 상기 반응 공간으로 공급되는 메탄가스 및 수증기가 유동되는 공급 유로를 정의하는 공급 파이프; 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 파이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반응 공간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공급 유로를 유동한 메탄가스 및 수증기가 상기 반응 공간에서 예열된 후 상기 반응 공간으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공급 파이프는, 상기 반응 공간의 내부에 상기 반응 공간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공급 유로에서의 메탄가스 및 수증기의 유동과 상기 반응 공간에서의 메탄가스 및 수증기 또는 메탄가스 및 수증기의 개질 반응에 의하여 생산된 수소가스의 유동은, 서로 반대 방향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상기 공급 파이프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기 공급 유로를 유동한 메탄가스 및 수증기를 상기 반응 공간으로 분사하는 분사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공급 파이프의 선단에 그 저면이 연결되고, 메탄가스 및 수증기가 상기 공급 유로를 유동하는 방향으로 단면적이 감소되는 분사 하우징; 및 상기 분사 하우징의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공급 유로를 유동한 메탄가스 및 수증기를 상기 반응 공간의 내부로 분사하는 적어도 1개의 분사 노즐;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분사 하우징의 저면은, 상기 공급 파이프의 선단 비하여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공급 유로를 유동한 메탄가스 및 수증기를 상기 반응 공간의 내면을 향하여 분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상기 반응 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공급 파이프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반응 공간 및 공급 유로 사이를 단열하는 단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수소 생산용 개질 반응 장치에서는, 수소의 생산을 위한 메탄가스 및 수증기가 상대적으로 고온인 반응기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예열된 후 개질 반응이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고온인 반응기의 내면을 향하여 메탄가스 및 수증기를 분사함으로써, 흡열 반응이 개질 반응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예열기를 사용하지 않고, 메탄가스 및 수증기를 예열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수소의 생산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수소 생산용 개질 반응 장치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수소 생산용 개질 반응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수소 생산용 개질 반응 장치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수소 생산용 개질 반응 장치(1)는, 반응기(100), 가열부(200), 공급 파이프(300), 분사부(400) 및 단열부(500)를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반응기(100)의 내부를 유동하는 메탄가스 및 수증기의 개질 반응에 의하여 수소가 생산된다. 이때 상기 반응기(100)의 내부에는 개질 반응의 활성화를 위한 촉매(C)가 충진되고, 상기 가열부(200)가, 흡열 개질 반응을 위한 열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반응기(100)는, 메탄가스 및 수증기의 개질 반응을 활성화하는 상기 촉매(C)가 충진되는 반응 공간(100S)을 정의한다. 예를 들면, 상기 반응기(100)는, 수증기 및 메탄가스가 그 내부를 유동하는 중공의 원형 또는 사각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200)는, 메탄가스 및 수증기의 흡열 개질 반응을 위하여 상기 반응기(100)를 유도 가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열부(200)가, 상기 반응기(100)의 외면에 권선되는 코일(21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코일(21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반응기(100)가 유도 가열될 것이다.
상기 공급 파이프(300)는, 상기 반응 공간(100S)으로 공급되는 메탄가스 및 수증기가 유동되는 공급 유로(310)를 정의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급 파이프(30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반응 공간(100S)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공급 유로(310)를 유동한 메탄가스 및 수증기가 상기 반응 공간(100S)에서 예열된 후 상기 반응 공간(100S)으로 공급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공급 파이프(300)는, 상기 반응 공간(100S)의 내부에 상기 반응 공간(100S)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공급 파이프(300)는, 그 외면이 상기 반응기(10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응기(100)의 폭 방향의 중앙에 배치될 것이다. 실질적으로, 상기 공급 파이프(300)는, 상기 반응기(10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 즉 중공의 원형 또는 사각형 파이프로 형성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가열부(200)에 의하여 유도가열된 상기 반응기(100)의 내부, 즉 상기 반응 공간(100S)에서 상기 공급 유로(310)를 유동하는 메탄가스 및 수증기가 가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급 유로(310)에서의 메탄가스 및 수증기의 유동과 상기 반응 공간(100S)에서의 메탄가스 및 수증기 또는 메탄가스 및 수증기의 개질 반응에 의하여 생산된 수소가스의 유동은, 서로 반대 방향이다. 다시 말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 유로(310)에서는, 도면상 하방에서 상방으로 메탄가스 및 수증기가 유동되고, 상기 반응 공간(100S)에서는, 도면상 상방에서 하방으로 메탄가스 및 수증기 또는 수소가스가 유동된다.
한편, 상기 분사부(400)는, 상기 공급 파이프(300)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기 공급 유로(310)를 유동한 메탄가스 및 수증기를 상기 반응 공간(100S)으로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사부(400)가, 분사 하우징(410) 및 적어도 1개의 분사 노즐(42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분사 하우징(410)은, 상기 공급 파이프(300)의 선단에 그 저면이 연결되고, 메탄가스 및 수증기가 상기 공급 유로(310)를 유동하는 방향으로 단면적이 감소된다. 예를 들면, 상기 분사 하우징(410)은, 상기 반응기(100) 및 공급 파이프(3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뿔 또는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분사 하우징(410)의 저면은, 상기 공급 파이프(300)의 선단 비하여 큰 단면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 하우징(410)의 저면이 상기 공급 파이프(300)의 선단에 외측으로 연장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사 노즐(420)은, 상기 분사 하우징(410)의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공급 유로(310)를 유동한 메탄가스 및 수증기를 상기 반응 공간(100S)의 내부로 분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사 노즐(420)이, 상기 공급 파이프(30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공급 유로(310)를 유동한 메탄가스 및 수증기를 분사한다. 이는, 실질적으로 흡열 반응인 개질 반응이, 상기 가열부(200)에 의하여 유도 가열됨으로써, 상기 공급 파이프(30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상기 반응기(100), 즉 상기 반응 공간(100S)의 내부에서 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단열부(500)는, 상기 반응 공간(100S) 및 공급 유로(310) 사이를 단열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열부(500)는, 상기 반응 공간(100S)에 배치되는 상기 공급 파이프(300)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단열부(500)는, 소정의 단열재로 형성되거나, 그 내부에 불활성 기체 등이 충진되는 단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부(500)는, 실질적으로 상기 반응 공간(100S)을 유동하는 메탄가스 및 수증기가 예열 이상의 수준으로 과열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상기 공급 유로(310)에는 대략 150℃ 내외의 메탄가스 및 수증기가 공급되고, 약 300~400℃ 정도의 온도로 예열되는 것이 개질 반응에 효율적이다. 그런데, 실질적으로 상기 반응 공간(100S)은, 상기 가열부(200)에 의하여 가열되어 700~800℃의 온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열부(500)에 의하여 상기 공급 유로(310)를 유동하는 메탄가스 및 수증기가 과도하게 가열되는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종국적으로 개질 반응의 효율을 증진시킨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수소 생산용 개질 반응 장치의 효율을 그 실험값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실험에 사용된 반응기(100)로는, 80mm의 내경, 20mm의 두께 및 2,000mm의 길이를 갖는 인코넬(inconel) 재질의 원형 파이프가 사용되었고, 가열부(200)로, 피복층을 포함하여 15mm*10mm의 장방형 단면을 갖는 구리 재질의 코일(210)이 상기 반응기(100)의 외주면에 10mm 간격으로 권선되었다. 공급 파이프(300)로는, 20mm의 내경, 5mm의 두께 및 1,500mm 길이를 갖는 인코넬 재질의 원형 파이프가 사용되었다. 또한, 촉매(C)로는, 총량 8L의 니켈-알루미늄 촉매(Ni/Al2O3)가 상기 반응기(100)의 내부에 충진되었다. 상기 반응기(100)의 내부로는, 3:1비의 수증기(H2O)와 메탄가스(CH4)가 6,000h-1의 공간속도로 공급되었다.
<제조예 1>에서는, 상기 공급 파이프(300)가 상기 반응기(100)의 내부, 즉 상기 반응 공간(100S)의 내부에 배치되었다. 그리고 <제조예 1>에서는, 50mm의 직경 및 20mm의 높이를 갖는 원뿔 형상의 분사 하우징(410) 및 상기 반응 공간(100S)의 내면을 향하여 메탄가스 및 수증기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420)을 포함하는 분사부(400)가 사용되었다.
<제조예 2>에서는, <제조예 1>과 동일하되, 50mm의 직경 및 20mm의 높이를 갖는 원통 형상의 분사 하우징 및 상기 공급 파이프(300)의 길이 방향으로 메탄가스 및 수증기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분사부가 사용되었다.
<비교예 1>에서는, 상기 공급 파이프가 상기 반응기의 외부에 배치되었다.
이와 같은, <제조예 1>, <제조예 2> 및 <비교예 1>에 대한 실험 결과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제조예 1 제조예 2 비교예 1
CH4전환율(%) 96 94 90
H2분율(%) 75 73 70
수소생산량g(Nm3/h) 41 39 34
<제조예 1>, <제조예 2> 및 <비교예 1>의 실험 결과를 대비하면, <제조예 1> 및 <제조예 2>가 <비교예 1>에 비하여 수소 생산 효율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분사부(400)가 상대적으로 상기 반응 공간(100S)의 내면을 향하여 메탄가스 및 수증기를 분사하는 <제조예 1>의 경우가 <제조예 2에 비하여 수소 생산 효율이 더욱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반응기 200: 가열부
300: 공급 파이프 400: 분사부
500: 단열부 C: 촉매

Claims (7)

  1. 수소 생산을 위한 개질 반응 장치로서:
    메탄가스(CH4) 및 수증기(H2O)의 개질 반응을 활성화하는 촉매(C)가 충진되는 반응 공간(100S)을 정의하는 반응기(100);
    상기 반응기(100)의 외면에 권선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반응기(100)를 유도 가열하는 코일(210)을 포함하는 가열부(200); 및
    상기 반응 공간(100S)으로 공급되는 메탄가스 및 수증기가 유동되는 공급 유로(310)를 정의하는 공급 파이프(300); 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 파이프(30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반응 공간(100S)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공급 유로(310)를 유동한 메탄가스 및 수증기가 상기 반응 공간(100S)에서 예열된 후 상기 반응 공간(100S)으로 공급되는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수소 생산용 개질 반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파이프(300)는, 상기 반응 공간(100S)의 내부에 상기 반응 공간(100S)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수소 생산용 개질 반응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유로(310)에서의 메탄가스 및 수증기의 유동과 상기 반응 공간(100S)에서의 메탄가스 및 수증기 또는 메탄가스 및 수증기의 개질 반응에 의하여 생산된 수소가스의 유동은, 서로 반대 방향인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수소 생산용 개질 반응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파이프(300)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기 공급 유로(310)를 유동한 메탄가스 및 수증기를 상기 반응 공간(100S)으로 분사하는 분사부(400)를 더 포함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수소 생산용 개질 반응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400)는,
    상기 공급 파이프(300)의 선단에 그 저면이 연결되고, 메탄가스 및 수증기가 상기 공급 유로(310)를 유동하는 방향으로 단면적이 감소되는 분사 하우징(410); 및
    상기 분사 하우징(410)의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공급 유로(310)를 유동한 메탄가스 및 수증기를 상기 반응 공간(100S)의 내부로 분사하는 적어도 1개의 분사 노즐(420); 를 포함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수소 생산용 개질 반응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하우징(410)의 저면은, 상기 공급 파이프(300)의 선단 비하여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사 노즐(420)은, 상기 공급 유로(310)를 유동한 메탄가스 및 수증기를 상기 반응 공간(100S)의 내면을 향하여 분사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수소 생산용 개질 반응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공간(100S)에 배치되는 상기 공급 파이프(300)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반응 공간(100S) 및 공급 유로(310) 사이를 단열하는 단열부(500)를 더 포함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수소 생산용 개질 반응 장치.
KR1020190052805A 2019-05-07 2019-05-07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수소 생산용 개질 반응 장치 KR102241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805A KR102241298B1 (ko) 2019-05-07 2019-05-07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수소 생산용 개질 반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805A KR102241298B1 (ko) 2019-05-07 2019-05-07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수소 생산용 개질 반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820A true KR20200128820A (ko) 2020-11-17
KR102241298B1 KR102241298B1 (ko) 2021-04-16

Family

ID=73642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805A KR102241298B1 (ko) 2019-05-07 2019-05-07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수소 생산용 개질 반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29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6620B1 (ko) * 1998-11-30 2001-04-16 전성범 수증기개질형 수소생산방법 및 수소생산장치
KR100314829B1 (ko) * 1995-03-28 2002-06-26 유승렬 고순도수소제조를위한메탄올개질장치
KR101326670B1 (ko) * 2013-06-07 2013-11-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마이크로웨이브 플라즈마 토치가 장착된 순환 유동층 플라즈마 가스화장치
KR101353917B1 (ko) 2012-04-05 2014-01-2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원료의 혼합과 분배가 개선된 연료 개질기
KR101403699B1 (ko) 2012-07-10 2014-06-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열교환 장치를 내장한 일산화탄소 선택적 산화반응기 및 연료 개질 시스템
KR101941626B1 (ko) * 2017-08-31 2019-03-05 주식회사 동양유도로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수소 생산용 개질 반응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4829B1 (ko) * 1995-03-28 2002-06-26 유승렬 고순도수소제조를위한메탄올개질장치
KR100286620B1 (ko) * 1998-11-30 2001-04-16 전성범 수증기개질형 수소생산방법 및 수소생산장치
KR101353917B1 (ko) 2012-04-05 2014-01-2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원료의 혼합과 분배가 개선된 연료 개질기
KR101403699B1 (ko) 2012-07-10 2014-06-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열교환 장치를 내장한 일산화탄소 선택적 산화반응기 및 연료 개질 시스템
KR101326670B1 (ko) * 2013-06-07 2013-11-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마이크로웨이브 플라즈마 토치가 장착된 순환 유동층 플라즈마 가스화장치
KR101941626B1 (ko) * 2017-08-31 2019-03-05 주식회사 동양유도로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수소 생산용 개질 반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298B1 (ko) 202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09608B (zh) 再生冷却方法和设备
US2343866A (en) Process for the pyrolysis of hydrocarbons
US10323191B2 (en) Pressure-controlled reactor
CN102132380A (zh) 多晶硅沉积装置
CN103408013B (zh) 一种氧电结合电石炉
KR101941626B1 (ko)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수소 생산용 개질 반응 장치
US8617266B2 (en) Hydrogen generating apparatus using steam reforming reaction
RU2640305C1 (ru) Радиационная газовая горелка
KR20200001907A (ko)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수소 생산용 개질 반응 장치
KR102204580B1 (ko)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수소 생산용 개질 반응 장치
KR102241298B1 (ko)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수소 생산용 개질 반응 장치
KR102315289B1 (ko) 다중 개질 반응기 구성이 가능한 수증기 개질장치
KR20170131458A (ko) 복사식 버너
JP5556802B2 (ja) 滑動電気アーク用セラミック電極
KR20200001917A (ko)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수소 생산용 개질 반응 장치
KR100888400B1 (ko) 고압 기체순환계통용 고온가열기
TWI626784B (zh) 氣體燃料重組裝置及其發電整合系統
CN103805759B (zh) 用于小型热处理炉的炉气产生装置
CN105733685B (zh) 生物质气化炉
US4562778A (en) High temperature reaction apparatus
CN109798508B (zh) 原料预热部一体型水蒸气改质器及含其的氢制备系统
CN216426770U (zh) 电极以及包括该电极的多晶硅还原气相沉积炉
US4778376A (en) Gas ignition
KR100834173B1 (ko) 천연가스의 청정에너지 변환 장치의 버너
KR20200070881A (ko) 다중 튜브 반응기용 분배기를 포함한 수증기 개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료 개질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