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8114A - 핫 멜트 동반 중합체를 기재에 분배하고 그것에 접착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핫 멜트 동반 중합체를 기재에 분배하고 그것에 접착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8114A
KR20200128114A KR1020207028145A KR20207028145A KR20200128114A KR 20200128114 A KR20200128114 A KR 20200128114A KR 1020207028145 A KR1020207028145 A KR 1020207028145A KR 20207028145 A KR20207028145 A KR 20207028145A KR 20200128114 A KR20200128114 A KR 20200128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onally
companion
polymer
polymer composition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8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3529B1 (ko
Inventor
피터 게리
알 프리드먼 조나단
리 루카스 주니어 프랭클린
Original Assignee
씨에스피 테크놀로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에스피 테크놀로지스, 인크. filed Critical 씨에스피 테크놀로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200128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8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29C48/154Coating solid articles, i.e. non-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with,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 B05D1/265Extrusion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joining, lining or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Small extruding apparatus, e.g. handheld, toy or laboratory extru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5Filamentary, e.g. str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4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articular extruding conditions, e.g. in a modified atmosphere or by using vibration
    • B29C48/147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articular extruding conditions, e.g. in a modified atmosphere or by using vibration after the die nozzle
    • B29C48/147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articular extruding conditions, e.g. in a modified atmosphere or by using vibration after the die nozzle at the die nozzle exit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4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articular extruding conditions, e.g. in a modified atmosphere or by using vibration
    • B29C48/147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articular extruding conditions, e.g. in a modified atmosphere or by using vibration after the die nozzle
    • B29C48/1476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articular extruding conditions, e.g. in a modified atmosphere or by using vibration after the die nozzle at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29C48/154Coating solid articles, i.e. non-hollow articles
    • B29C48/155Partial coa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1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55Flow control means, e.g. valves
    • B29C48/2556Flow control means, e.g. valves provided in or in the proximity of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66Means for allowing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apparatus parts, e.g. for twisting the extruded article or for moving the die along a surface to be co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78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 B29C48/86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at the nozzle zone
    • B29C48/865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Heating, e.g. for cross 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8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haracterised primarily by possessing specific properties, e.g. electrically conductive or locally reinfor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Carboxylic acid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52/00Sheets
    • B05D2252/04Sheets of 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401/00Form of the coating product, e.g. solution, water dispersion, powders or the like
    • B05D2401/30Form of the coating product, e.g. solution, water dispersion, powders or the like the coating being applied in other forms than involving eliminable solvent, diluent or dispers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29K20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023/0633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3/00Use of resin-bonded materials as moulding material
    • B29K2103/04Inorganic materials
    • B29K2103/08Mineral aggregates, e.g. sand, clay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97Glues or adhesives, e.g. hot melts or thermofusible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80Medical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동반 중합체(entrained polymer) 또는 동반 중합체 조성물, 및 동반 중합체 또는 동반 중합체 조성물을 사용하여 동반 중합체 구조물을 기재(substrate)에 형성하고 그것에 접착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용융된 동반 중합체의 적용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기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용융 형태의 미립자 동반 중합체를 사전결정된 형상으로 기재의 표면에 적용하여, 기재 상에 고화된 동반 중합체 구조물을 형성한다. 동반 중합체는 적어도 베이스 중합체 및 미립자 활성제로 형성된 일체형(monolithic) 물질을 포함한다. 기재의 표면은 용융된 동반 중합체와 열 접합되도록 그와 상용성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반 중합체는 기재에 접합되고, 동반 중합체의 충분한 냉각 시에 고화된다.

Description

핫 멜트 동반 중합체를 기재에 분배하고 그것에 접착하기 위한 방법
본 개시내용은 동반 중합체(entrained polymer), 및 용융 상태의 동반 중합체를, 선택적으로 인라인 생산 공정에서 압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용융된 활성 중합체를 표면을 갖는 기재(substrate)에 적용하고 그것에 접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표면은 열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용융된 활성 중합체와 상용성인 물질을 포함한다.
제어 및/또는 조절되어야만 하는 환경에서 저장, 수송, 그리고/또는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물품들이 많이 있다. 예를 들어, 수분 제어 현장에서는, 포획된 과량의 수분을 흡수하는 능력을 갖는 용기 및/또는 패키지가 요망되는 것으로 인식되어 있다. 수분, 산소, 에틸렌 및 기타 다른 가스상 물질의 제어는 의학적 응용, 전자기기 응용 및 식품 포장 응용에서 요망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건조제, 산소 흡수제 및 기타 다른 활성제는 패키지의 내부 환경을 제어하기 위하여 미가공 형태로, 예를 들어 패키징 내의 사셰 또는 용기 내에 수용된 성긴 미립자로서 사용되어 왔다. 많은 응용에 있어서, 그러한 성기게 저장된 활성 물질을 가질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양수인은 활성제를 포함하는 활성제 동반 중합체를 개발하였는데, 여기서 그러한 중합체는 원하는 형태, 예를 들어 용기 라이너, 플러그, 필름 시트, 펠릿 및 기타 다른 그러한 구조물로 압출 및/또는 성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그러한 활성제 동반 중합체는 채널링제(channeling agent),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PEG)을 포함할 수 있는데, 채널링제는 동반 중합체의 표면과 그의 내부 사이에 채널들을 형성하여 선택된 물질(예를 들어, 수분)을 동반된 활성제(예를 들어, 수분을 흡수하기 위한 건조제)로 전송한다. 동반 중합체는 2상 제형(two phase formulation)(즉, 채널링제 없이 베이스 중합체 및 활성제를 포함함) 또는 3상 제형(three phase formulation)(즉, 베이스 중합체, 활성제 및 채널링제를 포함함)일 수 있다. 동반 중합체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5,911,937, 6,080,350, 6,124,006, 6,130,263, 6,194,079, 6,214,255, 6,486,231, 7,005,459, 및 미국 특허 공개 2016/0039955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은 마치 완전히 기재된 것처럼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일부 패키지, 예를 들어 파우치 또는 블리스터 팩(blister pack)의 경우,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하여 동반 중합체 필름 또는 층을 기재(예를 들어, 또 다른 중합체 또는 포일)에 접착할 것이 요구된다. 그렇게 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은 생산 과정 중에 접착제를 필름 또는 층에 적용하여 그것을 기재에 접착함으로써 행해진다. 이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그것은 별도의 접착제를 적용하는 단계를 필요로 하고 접착제는 패키지 내용물에 해로울 수 있는 용매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안법은 열 스테이킹(heat staking) 방법을 통한 것인데, 이 방법은 동반 중합체 필름 또는 층을 기재에 접착하기 위하여 별도의 접착제를 적용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미국 특허 8,142,603(이는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됨)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열 스테이킹 방법은 포일 기재를 가열하는 단계; 동반 중합체 필름을 포일에 적용하는 단계; 및 필름 및 포일 결합체에는 충분한 압력을 그리고 포일에는 충분한 열을 적용하여 필름이 포일에 접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열 스테이킹은 동반 중합체 필름을 기재에 접착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개선된 방법이다. 그러나, 대규모 생산에서, 열 스테이킹은 통상적으로 벌크 상태로 형성된 필름을 제공할 것 및 절단 단계를 적용하거나 사전절단된 필름을 제공할 것을 필요로 한다. 이것은 패키지 제조업자, 라벨러 또는 필러에 의해 항상 요구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형성된 동반 중합체를 사전형성된 또는 사전절단된 형상으로 제공해야 하지 않고도, 형성된 동반 중합체를 기재에 적용하고 그것에 접착하기 위한 인라인 생산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이상적으로는, 상기 방법은 동반 중합체를 기재에 접착하기 위하여 별도의 접착제 물질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한 목적을 위하여, 그러한 인라인 생산 공정에 적합한 동반 중합체에 대한 요구가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동반 중합체는 인라인 생산 공정에서 형성되기 위한 제형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미국 특허 5,605,720은 연속 인라인 작업으로 핫 멜트 접착제를 제형화하고 적용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그 장치 및 그 방법은 1상, 저밀도 및 저점도의 접착성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그 장치 및 그 방법은 다상, 고밀도 및 고점도 물질에는 적용 불가능하다.
동반 중합체 또는 동반 중합체 조성물을 사용하여, 동반 중합체 구조물을 기재에 형성하고 기재에 접착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일 양태에서, 동반 중합체 조성물이 제공된다. 동반 중합체 조성물은 적어도 베이스 중합체 및 미립자 활성제로 형성된다.
따라서, 일 양태에서, 동반 중합체 조성물은 ASTM D1238 /ISO 1133 조건 하에서의 용융 유동 지수가 200 g/10분 내지 5000 g/10분, 선택적으로 500 g/10분 내지 4500 g/10분, 선택적으로 1000 g/10분 내지 4000 g/10분, 선택적으로 1200 g/10분 내지 2500 g/10분의 범위이다.
따라서, 일 양태에서, 동반 중합체 조성물은 점도가 1,000 cp 내지 50,000 cp, 선택적으로 3,000 cp 내지 40,000 cp, 선택적으로 3,000 cp 내지 20,000 cp, 선택적으로 3,000 cp 내지 15,000 cp, 선택적으로 3,000 cp 내지 10,000 cp의 범위이며, 이때 점도는 19도(섭씨)에서 2분 동안 5 Hz에서 전단시킨 후에 레오미터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따라서, 일 양태에서, 동반 중합체 조성물은 일체형(monolithic) 물질이다.
따라서, 일 양태에서, 동반 중합체 조성물은 베이스 중합체, 유동제, 미립자 활성제, 및 선택적인 채널링제로 형성된다.
따라서, 일 양태에서, 동반 중합체 조성물이 제공되며, 상기 동반 중합체 조성물은 용융 상태에 있을 때 동반 중합체 구조물을 형성하고 이것은 기재에 접착된다.
따라서, 일 양태에서, 동반 중합체 구조물을 기재에 형성하고 그것에 접착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용융된 동반 중합체의 적용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기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용융 형태의 미립자 동반 중합체를 사전결정된 형상으로 기재의 표면에 적용하여, 기재 상에 고화된 동반 중합체 구조물을 형성한다. 동반 중합체는 적어도 베이스 중합체 및 미립자 활성제로 형성된 일체형 물질을 포함한다. 기재의 표면은 용융된 동반 중합체와 열 접합되도록 그와 상용성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반 중합체는 기재에 접합되고, 동반 중합체의 충분한 냉각 시에 고화된다. 바람직하게는, 고화된 동반 중합체 구조물은 별도의 접착성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서 기재에 접착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구현예에서, 동반 중합체는 적어도 2상 제형이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구현예에서, 동반 중합체는 적어도 3상 제형이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구현예에서, 동반 중합체는 채널링제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구현예에서, 동반 중합체는 첨가제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구현예에서, 첨가제는 유동제이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구현예에서, 기재는 포일이고; 기재의 표면은 포일 상의 중합체 밀봉 층이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핫 멜트 분배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상기 장치는 용융 형태의 미립자 동반 중합체의 유동을 제공하기 위한 공급기를 포함한다. 공급기는 선택적으로 압출기이다. 상기 장치는 하나 이상의 호스를 추가로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용융 형태의 미립자 동반 중합체의 유동을 수용하도록 공급기의 출구와 유체 연통 상태에 있는 내부 루멘을 갖는다. 루멘은 어플리케이터에서 종단되며, 어플리케이터에 용융 형태의 동반 중합체가 이송된다. 어플리케이터는 동반 중합체를 사전결정된 형상으로 기재의 표면에 적용하기 위한 분배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구현예에서, 루멘은 동반 중합체가 루멘을 통해 이송될 때 이것의 용융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열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구현예에서, 분배기는 동반 중합체의 용융 상태를 유지하도록, 그리고 사전결정된 형상으로의 동반 중합체의 정밀한 형성을 용이하게 하도록 가열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구현예에서, 분배기는 동반 중합체 구조물을 사전결정된 형상으로 정밀하게 형성하도록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 사이를 교체하는 밸브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구현예에서, 미립자 활성제는 베이스 중합체보다 더 마모성인 과립형 물질이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구현예에서, 활성제는 건조제, 선택적으로 분자체, 실리카 겔, 점토, 또는 베이스 중합체보다 더 마모성인 과립형 물질인 또 다른 건조제이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구현예에서, 동반 중합체는 500 g/10분 초과의 용융 유동 지수(MFI)를 나타낸다(190도(섭씨) 및 2.16 kg에서의 ASTM D1238 /ISO 1133 표준 방법).
선택적으로, 임의의 구현예에서, 동반 중합체는 40,000 cP 미만의 점도를 나타낸다(평행판 지오메트리를 갖는 레오미터(190도(섭씨) 2분 동안 5 Hz의 전단율)를 사용하여 분석됨).
선택적으로, 임의의 구현예에서, 기재 및 고화된 동반 중합체 구조물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가요성 물질이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구현예에서, 고체 동반 중합체 펠릿이 공급기 내로 제공되고 용융되어 용융 형태의 동반 중합체를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구현예에서, 고화된 동반 중합체 구조물은 시트, 필름, 비드, 도트, 스트립(strip) 또는 소용돌이 형태이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구현예에서, 고화된 동반 중합체 구조물은 두께가 0.1 mm 내지 1.5 mm, 선택적으로 0.2 mm 내지 1.2 mm, 선택적으로 0.3 mm 내지 0.8 mm인 필름 형태이다. 선택적으로, 기재가 포일인 경우, 기재의 표면은 포일 상의 중합체 밀봉 층이고, 기재는 수분-민감성 제품용 패키지의 일부분이며, 선택적으로 패키지는 가요성 패키지, 파우치 또는 블리스터 팩이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자동화 인라인 패키지 생산 공정의 일부로서 수행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구현예에서, 고화된 동반 중합체 구조물은 별도의 접착성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서 기재에 접착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구현예에서, 활성제는 중량 기준으로 동반 중합체의 30% 내지 80%, 선택적으로 30% 내지 75%, 선택적으로 30% 내지 70%, 선택적으로 35% 내지 70%, 선택적으로 40% 내지 65%, 선택적으로 45% 내지 55%이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구현예에서, 복합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복합체는 기재 및 이것에 접착된 고화된 동반 중합체 구조물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구현예에서, 복합체는 가요성 패키지, 파우치 또는 블리스터 팩의 일부분이다.
동반 중합체 또는 동반 중합체 조성물을 사용하여, 동반 중합체 구조물을 기재에 형성하고 기재에 접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도면과 함께 설명될 것이며, 이들 도면에서 유사 도면부호는 유사 요소를 지정한다.
도 1은 개시된 개념의 방법에 따라 기재 상에 침착될 수 있는 동반 중합체로 형성된 플러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2-2를 따라 취해진 단면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과 유사한 단면으로서, 이는 개시된 개념의 방법에 따라 기재 상에 침착될 수 있는 동반 중합체의 또 다른 구현예로 형성된 플러그를 나타낸다.
도 4는 개시된 개념의 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동반 중합체의 개략도로서, 여기서 활성제는 흡수성 또는 흡착성 물질이다.
도 5는 개시된 개념의 방법에 따라 장벽(barrier) 시트 기재에 접착된, 동반 중합체로 형성된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6은 개시된 개념의 방법에 따라 형성될 수 있는 패키지의 단면이다.
도 7은 용융 형태의 동반 중합체를 기재에 전달하는 핫 멜트 분배 장치의 선택적인 구현예의 개략도이다.
도 8은 핫 멜트 분배 장치의 선택적인 구현예를 사용하여 시트에 접착된 동반 중합체 필름을 예시하는 사진이다.
도 9는 핫 멜트 분배 장치의 선택적인 구현예를 사용하여 시트에 접착된 동반 중합체 스트립을 예시하는 사진이다.
정의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활성"은 개시된 개념에 따르면 선택된 물질(예를 들어, 수분 또는 산소)에 작용하거나, 그와 상호작용하거나, 그와 반응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정의된다. 그러한 작용 또는 상호작용의 예에는 선택된 물질의 흡수, 흡착 또는 방출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활성제"는 (1) 베이스 중합체와 불혼화성이고, 베이스 중합체 및 채널링제와 혼합되고 가열될 때 용융되지 않을, 즉 융점이 베이스 중합체 또는 채널링제 어느 것에 대한 융점보다도 더 높고, (2) 선택된 물질에 작용하거나, 그와 상호작용하거나, 그와 반응하는 물질로서 정의된다. 용어 "활성제"는 선택된 물질(들)을 흡수하거나, 흡착하거나, 방출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미립자 형태인 활성제는 본 명세서에서 "미립자 활성제"로 지칭된다. 광물 형태인 활성제는 본 명세서에서 "광물 활성제"로 지칭된다. 개시된 개념에 따른 활성제는 미립자 활성제일 수 있지만, (달리 요청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미립자 활성제로 제한되는 것으로 여겨져서는 안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은 광물 활성제, 예를 들어 분자체 또는 실리카 겔과 함께 형성된 동반 중합체에 특히 적합하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베이스 중합체"는, 선택적으로, 선택된 물질의 가스 투과율이 채널링제의 가스 투과율보다 실질적으로 더 낮거나, 그보다 더 낮거나, 그와 실질적으로 동등한 중합체이다. 예로서, 그러한 투과율은 선택된 물질이 수분이고 활성제가 수분 흡수성 건조제인 구현예에서 수증기 투과율일 것이다. 베이스 중합체의 주요 기능은 동반 중합체를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적합한 베이스 중합체는 열가소성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폴리이소프렌, 폴리부타디엔, 폴리부텐, 폴리실록산,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폴리무수물, 폴리아크릴리안니트릴, 폴리설폰, 폴리아크릴 에스테르, 아크릴, 폴리우레탄 및 폴리아세탈,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베이스 중합체와 채널링제의 수증기 투과율의 그러한 비교에 대해 언급하면, 채널링제는 수증기 투과율이 베이스 중합체의 수증기 투과율의 적어도 2배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채널링제는 수증기 투과율이 베이스 중합체의 수증기 투과율의 적어도 5배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채널링제는 수증기 투과율이 베이스 중합체의 수증기 투과율의 적어도 10배이다. 추가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채널링제는 수증기 투과율이 베이스 중합체의 수증기 투과율의 적어도 20배이다. 추가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채널링제는 수증기 투과율이 베이스 중합체의 수증기 투과율의 적어도 50배이다. 추가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채널링제는 수증기 투과율이 베이스 중합체의 수증기 투과율의 적어도 100배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베이스 중합체 물질"은 베이스 중합체 및 선택적으로 첨가제를 포함하는 물질로서 정의된다. 첨가제가 첨가되지 않을 때, 베이스 중합체 물질은 베이스 중합체로 제조된다. 선택적으로, 베이스 중합체와 첨가제는 혼화성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첨가제"는 소정의 특성을 변경시키기 위해 베이스 중합체에 첨가되는 물질로서 정의된다. 선택적으로, 첨가제는 베이스 중합체의 적어도 용융 유동 지수 또는 점도 및 이에 따른 동반 중합체의 상기 것들을 조절하기 위한 유동제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채널링제" 또는 "채널링제들"은, 베이스 중합체 또는 베이스 중합체 물질과 불혼화성이고 베이스 중합체 또는 베이스 중합체 물질보다 더 빠른 속도로 가스상 물질을 수송하도록 하는 친화성을 갖는 물질로서 정의된다. 선택적으로, 채널링제는, 채널링제를 베이스 중합체 또는 베이스 중합체 물질과 혼합함으로써 형성될 때, 동반 중합체를 통과하는 채널들을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그러한 채널들은 단독으로의 베이스 중합체 또는 베이스 중합체 물질에서보다 더 빠른 속도로 선택된 물질을 동반 중합체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채널들" 또는 "상호연결 채널들(interconnecting channels)"은, 베이스 중합체를 관통하고 서로 상호연결될 수 있는, 채널링제로 형성된 통로들로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동반 중합체"는 적어도 베이스 중합체 물질 및 이와 함께, 전체에 걸쳐 동반되거나 분포된 활성제 및 선택적으로 또한 채널링제로 형성된 일체형 물질로서 정의된다. 따라서, 동반 중합체는 적어도 2상 또는 적어도 3상을 갖는 중합체를 포함한다. 미립자 형태인 활성제를 갖는 동반 중합체는 본 명세서에서 "미립자 동반 중합체"로 지칭된다. 광물 형태인 활성제를 갖는 동반 중합체는 본 명세서에서 "광물 동반 중합체"로 지칭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동반 중합체 조성물"은 동반 중합체, 또는 동반 중합체를 발생시키는 제형으로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일체형", "일체형 구조" 또는 "일체형 조성물"은 2개 이상의 별개의 거시적인 층들 또는 일부분들로 이루어지지 않는 조성물 또는 물질로서 정의된다. 따라서, "일체형 조성물"은 다층 복합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상"은 일체형 구조 또는 조성물의 일부분 또는 성분으로서,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되어 그러한 구조 또는 조성물에 그의 일체형 특성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선택된 물질"은 활성제에 작용되거나, 그에 의해 작용되거나, 그와 상호작용하거나 그와 반응하고, 동반 중합체의 채널들을 통해 전달될 수 있는 물질로서 정의된다. 예를 들어, 건조제가 활성제로서 사용되는 구현예에서, 선택된 물질은 건조제에 의해 흡수될 수 있는 수분 또는 가스일 수 있다. 방출성 물질이 활성제로서 사용되는 구현예에서, 선택된 물질은 방출성 물질에 의해 방출되는 작용제, 예컨대 수분, 방향제, 또는 항미생물제일 수 있다. 흡착성 물질이 활성제로서 사용되는 구현예에서, 선택된 물질은 소정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일 수 있으며, 흡착성 물질은 활성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3상"은 3개 이상의 상을 포함하는 일체형 조성물 또는 구조로서 정의된다. 개시된 개념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3상 조성물의 예는 베이스 중합체, 활성제, 및 채널링제로 형성된 동반 중합체일 것이다. 선택적으로, 3상 조성물 또는 구조는 추가의 상, 예를 들어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적합한 동반 중합체
용융된 미립자 또는 광물 동반 중합체를 가공하는 데 있어서의 어려움 중 하나는 압출기를 통해 이송된 용융된 물질의 실질적으로 일관된 전단력을 제공하고, 이후에 분배 시점까지 물질의 용융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것은 통상적으로 단순 "1상" 중합체 또는 용융된 중합체들의 혼합물의 경우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제형 내에 과립형의 마모성 광물 성분, 예컨대 통상적인 건조제(예를 들어, 분자체 또는 실리카 겔)를 포함하는 것은 이 공정에 복잡성을 도입하게 된다. 그러한 과립형 광물 성분은 압출기를 통해 동반 중합체를 이송하고, 용융된 동반 중합체를 기재의 표면에 소정의 형상으로 적용하여 그 위에 고화된 동반 중합체 구조물(예를 들어, 필름)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분배될 때 그것을 용융 상태로 유지하는 데 필요한 일관된 전단력을 달성하는 것을 방해한다. 이러한 문제는 과립형 광물 성분이 높은 로딩 수준일 때 특히 심각하다.
재료 과학 및 유체 역학의 관점에서, 동반 중합체의 점도는 변동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증가하는 전단율에 따라 감소한다. 이러한 비-뉴턴 유사가소성 물질은 그의 요변성 구조가 전단 시에 점진적으로 파괴되고 휴지 상태에서 서서히 재구축되기 때문에 혼합 및 취급에 있어서 어려움을 야기한다. 용어 "요변성 구조"는 "요변성"에 대한 하기 정의에 기초한다: 요변성은 레올로지에서 사용되는 용어로서, 물질의 점도가 전단 시간과 함께 상당히 감소하고, 이어서 그러한 유동을 도입시킨 그 힘이 제거될 때 상당히 증가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미국 특허 7,005,459에 따른 표준 미립자 또는 광물 동반 중합체는 표준 탱크 용융 시스템을 사용하여 가공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아내었는데, 그 이유는, 표준 탱크 용융 시스템에는 어떠한 전단력도 도입되지 않기 때문으로; 오히려 이것에는 단지 열만이 사용된다. 전단 박화(shear thinning)의 부재 하에서, 낮은 전단 응력에서의 높은 점도는 너무 크며, 이에 따라 물질의 요변성 거동은 어떠한 유동에도 저항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물질이 유동/분배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높은 점도는 미립자 또는 광물 동반 중합체의 높은 밀도에 의해 악화된다. 용융 형태의 미립자 또는 광물 동반 중합체 배합물은 유동이 일어나게 하기 위하여 압출기를 통한 일정한 압력 및 전단을 필요로 하며, 이것은 가압 탱크 용융 시스템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될 수 있다. 가압 탱크 용융 시스템은 공압식 실린더를 사용하여 동반 중합체에 대해 플레이트를 밀어낸다.
상기 기재된 어려운 과제에 더하여, 동반 중합체의 레올로지는 기재의 표면 상으로의 배출 시에 클린한 용융 필라멘트 형성을 가능하게 할 것을 필요로 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 결과 생성된 엔젤 헤어(angel hair) 및 테일(tail)과 같은 결함은 분배 공정을 비효율적이고 고비용이 되게 한다. 또한, 기재의 표면에 대한 효과적인 접합을 위하여, 동반 중합체와 기재의 표면은 화학적으로 상용성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혼합 없이 표준 탱크 용융 시스템을 이용하는 인라인 공정을 위한, 그리고 용융된 동반 중합체를 사전결정된 형상으로 기재의 표면에 효율적으로 분배하기 위해 어플리케이터를 위한 동반 중합체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일 구현예에서, 동반 중합체 조성물은 적어도 베이스 중합체 물질 및 활성제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동반 중합체 조성물은 적어도 베이스 중합체 물질, 활성제, 및 채널링제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베이스 중합체 물질은 베이스 중합체 및 선택적인 첨가제를 포함한다.
적합한 베이스 중합체는 열가소성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폴리이소프렌, 폴리부타디엔, 폴리부텐, 폴리실록산,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폴리무수물, 폴리아크릴리안니트릴, 폴리설폰, 폴리아크릴 에스테르, 아크릴, 폴리우레탄 및 폴리아세탈,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충전제, 유동제, 착색제, 가소제, 또는 안정제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첨가제는 유동제이다. 선택적인 구현예에서, 유동제는 저분자량 폴리올레핀, 저분자량 올리고머 올레핀, 폴리올레핀, 또는 개질된 폴리올레핀이다. 또 다른 선택적인 구현예에서, 유동제는 천연 왁스, 유도된 왁스 또는 합성 왁스이다. 천연 발생 왁스는 동물성, 식물성 및 광물성 유형을 포함하며, 가장 흔한 것은 미세결정질 및 파라핀 광물성 유형이다. 합성 왁스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피셔-트롭쉬(Fischer-Tropsch) 왁스이다. 이들 왁스는 중합체 사슬이 하나의 단량체 단위, 예컨대 에틸렌을 기반으로 하는 단일중합체일 수 있거나, 이들은 둘 이상의 단위, 예컨대 에틸렌 및 비닐 아세테이트를 기반으로 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합성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또한 개질 단계에서 작용화될 수 있다. 왁스의 유형은 화학 구조에 있어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인 구현예에서, 유동제는 파라핀,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유도체, 에틸렌 비스(스테아르아미드)(EBS), 또는 세틸 팔미테이트이다.
적합한 채널링제는 폴리글리콜,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에틸렌-비닐 알코올(EVOH), 폴리비닐 알코올(PVOH), 글리세린 폴리아민, 폴리우레탄 및 폴리카르복실산(폴리아크릴산 또는 폴리메타크릴산을 포함함)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채널링제(35)는, 예를 들어 수불용성 중합체, 예컨대 프로필렌 옥사이드 중합체-모노부틸 에테르, 예컨대 CLARIANT에 의해 제조된 Polyglykol B01/240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채널링제는 프로필렌 옥사이드 중합체 모노부틸 에테르, 예컨대 CLARIANT에 의해 제조된 Polyglykol B01/20, 프로필렌 옥사이드 중합체, 예컨대 CLARIANT에 의해 제조된 Polyglykol D01/240,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나일론 6, 나일론 66,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개시된 개념에 따른 적합한 활성제는 흡수성 물질, 예컨대 건조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활성제가 건조제인 경우, 주어진 응용을 위한 임의의 적합한 건조제가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물리적 흡수 건조제가 많은 응용에 바람직하다. 이들은 분자체, 실리카 겔, 점토 및 전분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건조제는 물을 함유하는 결정을 형성하는 화학적 화합물 또는 물과 반응하여 새로운 화합물을 형성하는 화합물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구현예에서, 활성제는 산소 포착제일 수 있다.
적합한 흡수성 물질은 또한 하기를 포함할 수 있다: (1) 금속 및 합금, 예컨대 제한 없이, 니켈, 구리, 알루미늄, 규소, 땜납, 은, 금; (2) 금속-도금 미립자, 예컨대 은-도금 구리, 은-도금 니켈, 은-도금 유리 미소구체; (3) 무기물, 예컨대 BaTiO3, SrTiO3, SiO2, Al2O3, ZnO, TiO2, MnO, CuO, Sb2O3, WC, 용융 실리카, 건식 실리카, 비정질 용융 실리카, 졸-겔 실리카, 졸-겔 티탄산염, 혼합 티탄산염, 이온 교환 수지, 리튬-함유 세라믹, 중공 유리 미소구체; (4) 탄소계 물질, 예컨대 탄소, 활성탄, 카본 블랙, 케첸 블랙(ketchen black), 다이아몬드 분말; (5) 탄성중합체, 예컨대 폴리부타디엔, 폴리실록산, 및 반금속, 세라믹; 및 (6) 기타 다른 충전제 및 안료.
또 다른 예에서, 흡수성 물질은 이산화탄소 포착제, 예컨대 산화칼슘일 수 있다. 수분 및 이산화탄소의 존재 하에서, 산화칼슘은 탄산칼슘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산화칼슘은 이산화탄소의 흡수가 필요한 응용에서 흡수성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응용은 이산화탄소를 발산하는 신선 식품(예를 들어, 과일 및 야채)을 보존하는 것을 포함한다.
개시된 개념에 따른 기타 다른 적합한 활성제는 방출성 물질을 포함한다. 그러한 물질은 방출성 물질로부터 선택된 물질을 방출할 임의의 적합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방출성 물질로부터 방출되는 선택된 물질은 고체, 겔, 액체 또는 가스 형태일 수 있다. 이들 물질은 하기를 포함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방향제, 향미제, 또는 향료 공급원으로서의 역할; 생물학적 활성 성분, 예컨대 살충제, 해충 기피제, 항미생물제, 유인제, 방향성 의약품 등의 공급; 가습성 또는 건조성 물질의 제공; 공기-매개 활성 화학물질, 예컨대 부식 억제제, 숙성 촉진제(ripening agent) 및 냄새 차폐제의 전달.
개시된 개념의 동반 중합체 내의 방출성 물질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살생물제는 살충제, 제초제, 살선충제, 살진균제, 살서제,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살생물제에 더하여, 개시된 개념은 또한 영양제, 식물 성장 조절제, 페로몬, 고엽제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방출을 포함할 수 있다.
4차 암모늄 화합물이 또한 개시된 개념에 따른 방출성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화합물은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뿐만 아니라, 동반 중합체 무균 특성을 표면에 부여하거나 미생물 유기체(이들 중 일부는 병원성일 수 있음)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조건을 확립한다. 다수의 기타 다른 항미생물제, 예컨대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및 관련 유형의 화합물, 예컨대 헥사클로로펜이 또한 개시된 개념에 따른 방출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기타 다른 잠재적인 방출성 물질은 방향제, 예컨대 천연 정유 및 합성 향료, 및 이들의 블렌드를 포함한다. 활성 성분의 일부, 또는 가능하게는 전체를 형성할 수 있는 통상적인 향료성 물질은 천연 정유, 예컨대 레몬 오일, 만다린 오일, 클로브 잎 오일, 페티그레인 오일, 시더 우드 오일, 패츌리 오일, 라반딘 오일, 네롤리 오일, 일랑 오일, 로즈 앱솔루트 또는 자스민 앱솔루트; 천연 수지, 예컨대 라다넘 수지 또는 유향 수지;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단리되거나, 예를 들어 알코올로서 합성으로 제조될 수 있는 단일 향료성 화학물질, 예컨대 제라니올, 네롤, 시트로넬롤, 리날롤, 테트라하이드로제라니올, 베타페닐에틸 알코올, 메틸 페닐 카르비놀, 디메틸 벤질 카르비놀, 멘톨 또는 세드롤; 그러한 알코올-알데하이드로부터 유도되는 아세테이트 및 기타 다른 에스테르, 예컨대 시트랄, 시트로넬랄, 하이드록시시트로넬랄, 라우르산 알데하이드, 운데실렌산 무수물, 신남알데하이드, 아밀 신남산 알데하이드, 바닐린 또는 헬리오트로핀; 그러한 알데하이드로부터 유도되는 아세탈; 케톤, 예컨대 메틸 헥실 케톤, 그 이오논 및 메틸이오논; 페놀성 화합물, 예컨대 유게놀 및 이소유게놀; 합성 머스크, 예컨대 머스크 자일렌, 머스크 케톤 및 에틸렌 브라실레이트를 포함한다.
혼합물 중의 활성제 농도가 높을수록 최종 조성물의 흡수, 흡착 또는 방출 용량(경우에 따라)이 더 커질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너무 높은 활성제 농도는 동반 중합체가 더 취성이 되게 할 수 있고, 활성제, 베이스 중합체 물질 및 채널링제의 용융된 혼합물이 열성형, 압출 또는 사출 성형 어느 것도 더 어려워지게 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활성제 로딩 수준은 동반 중합체의 총 중량에 대해 중량 기준으로 10% 내지 80%(그 안에 포함되는 임의의 하위범위 또는 값을 포함함)의 범위일 수 있다. 선택적인 구현예에서, 활성제 로딩률은 동반 중합체의 총 중량에 대해 중량 기준으로 20% 이상, 선택적으로 30% 이상, 선택적으로 40% 이상, 선택적으로 50% 이상이다. 또 다른 선택적인 구현예에서, 활성제 로딩률은 동반 중합체의 총 중량에 대해 중량 기준으로 70% 이하, 선택적으로 60% 이하, 선택적으로 50% 이하이다. 또 다른 선택적인 구현예에서, 활성제 로딩률은 20% 내지 80%, 선택적으로 20% 내지 60%, 선택적으로 20% 내지 50%, 선택적으로 20% 내지 40%, 선택적으로 30% 내지 80%, 선택적으로 30% 내지 60%, 선택적으로 30% 내지 50%, 선택적으로 30% 내지 40%, 선택적으로 40% 내지 80%, 선택적으로 40% 내지 60%, 선택적으로 40% 내지 50%이다.
선택적으로, 채널링제는 중량 기준으로 동반 중합체의 1% 내지 10%(그 안에 포함되는 임의의 하위범위 또는 값을 포함함)의 범위로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인 구현예에서, 채널링제는 1% 내지 8%, 선택적으로 1% 내지 6%, 선택적으로 1% 내지 5%, 선택적으로 1% 내지 4%, 선택적으로 1% 내지 3%, 선택적으로 2% 내지 8%, 선택적으로 2% 내지 6%, 선택적으로 2% 내지 5%, 선택적으로 2% 내지 4%, 선택적으로 2% 내지 3%, 선택적으로 3% 내지 8%, 선택적으로 3% 내지 6%, 선택적으로 3% 내지 5%, 선택적으로 3% 내지 4%, 선택적으로 4% 내지 8%, 선택적으로 4% 내지 6%, 선택적으로 4% 내지 5%의 범위로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선택적인 구현예에서, 채널링제는 1%, 2%, 3%, 4%, 5%, 6%, 7%, 8%, 9%, 또는 10%로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베이스 중합체는 중량 기준으로 동반 중합체의 10% 내지 50%(그 안에 포함되는 임의의 하위범위 또는 값을 포함함)의 범위일 수 있다. 선택적인 구현예에서, 베이스 중합체는 동반 중합체의 총 중량에 대해 중량 기준으로 20% 이상, 선택적으로 30% 이상, 선택적으로 40% 이상이다. 또 다른 선택적인 구현예에서, 베이스 중합체는 동반 중합체의 총 중량에 대해 중량 기준으로 40% 이하, 선택적으로 30% 이하이다. 또 다른 선택적인 구현예에서, 베이스 중합체는 중량 기준으로 동반 중합체의 15% 내지 40%, 선택적으로 20% 내지 35%, 선택적으로 25% 내지 30%의 범위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유동제는 중량 기준으로 동반 중합체의 5% 내지 50%(그 안에 포함되는 임의의 하위범위 또는 값)의 범위일 수 있다. 선택적인 구현예에서, 유동제는 동반 중합체의 총 중량에 대해 중량 기준으로 10% 이상, 선택적으로 20% 이상, 선택적으로 30% 이상이다. 또 다른 선택적인 구현예에서, 유동제는 동반 중합체의 총 중량에 대해 중량 기준으로 40% 이하, 선택적으로 30% 이하이다. 또 다른 선택적인 구현예에서, 유동제는 동반 중합체의 총 중량에 대해 중량 기준으로 10% 내지 40%, 선택적으로 10% 내지 35%, 선택적으로 20% 내지 40%, 선택적으로 20% 내지 30%, 선택적으로 20% 내지 30%의 범위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착색제가 첨가되는데, 예를 들어 중량 기준으로 동반 중합체의 총 중량의 약 2%로 첨가된다.
본 발명의 인라인 멜트 접착 공정에 적합한 동반 중합체는 또한 그의 용융 유동 지수(MFI)에 의해 특성화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베이스 중합체, 예컨대 폴리프로필렌은 MFI가 약 12 g/10분이다(ASTM D1238/ISO 1133 표준 조건, 이하에서는 MFI와 관련하여 생략됨). 미국 특허 7,005,459의 개시내용과 일치하는 샘플 건조제 동반 중합체는 MFI가 12 g/10분 미만이다. 본 발명의 동반 중합체는 MFI가 200 g/10분 내지 5000 g/10분의 범위이다. 선택적인 구현예에서, 동반 중합체의 MFI는 500 g/10분 이상, 선택적으로 1000 g/10분 이상, 선택적으로 1500 g/10분 이상, 선택적으로 2000 g/10분 이상이다. 또 다른 선택적인 구현예에서, 동반 중합체의 MFI는 4000 g/10분 이하, 선택적으로 3500 g/10분 이하, 선택적으로 3000 g/10분 이하, 선택적으로 2500 g/10분 이하이다. 또 다른 선택적인 구현예에서, 동반 중합체의 MFI는 500 g/10분 내지 4000 g/10분, 선택적으로 500 g/10분 내지 3500 g/10분, 선택적으로 500 g/10분 내지 3000 g/10분, 선택적으로 500 g/10분 내지 2500 g/10분, 선택적으로 500 g/10분 내지 2000 g/10분, 선택적으로 500 g/10분 내지 1500 g/10분, 선택적으로 1000 g/10분 내지 4000 g/10분, 선택적으로 1000 g/10분 내지 3500 g/10분, 선택적으로 1000 g/10분 내지 3000 g/10분, 선택적으로 1000 g/10분 내지 2500 g/10분, 선택적으로 1000 g/10분 내지 2000 g/10분, 선택적으로 1000 g/10분 내지 1500 g/10분, 선택적으로 1200 g/10분 내지 4000 g/10분, 선택적으로 1200 g/10분 내지 3500 g/10분, 선택적으로 1200 g/10분 내지 3000 g/10분, 선택적으로 1200 g/10분 내지 2500 g/10분, 선택적으로 1200 g/10분 내지 2000 g/10분, 선택적으로 1500 g/10분 내지 4000 g/10분, 선택적으로 1500 g/10분 내지 3500 g/10분, 선택적으로 1500 g/10분 내지 3000 g/10분, 선택적으로 1500 g/10분 내지 2500 g/10분의 범위이다. 상대적으로 높은 MFI는 인라인 분배 및 접착 공정에서 용융된 동반 중합체의 유동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인라인 멜트 접착 공정에 적합한 동반 중합체는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그의 점도에 의해 특성화될 수 있다. 미국 특허 7,005,459에서의 개시내용과 일치하는 샘플 건조제 동반 중합체는 약 100,000 cP 정도의 점도를 갖는다(평행판 지오메트리를 갖는 레오미터(190도(섭씨) 2분 동안 5 Hz의 전단율)를 사용하여 분석됨)(조건은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고, 이하에서는 점도와 관련하여 생략됨). 본 발명의 동반 중합체는 점도가 1,000 cP 내지 50,000 cP의 범위이다. 선택적인 구현예에서, 동반 중합체의 점도는 40,000 cp 이하, 선택적으로 20,000 cp 이하, 선택적으로 15,000 cp 이하, 선택적으로 12,000 cp 이하, 선택적으로 10,000 cp 이하, 선택적으로 8,000 cp 이하, 선택적으로 6,000 cp 이하, 선택적으로 4,000 cp 이하, 선택적으로 2,000 cp 이하이다. 또 다른 선택적인 구현예에서, 동반 중합체의 점도는 3,000 cp 내지 40,000 cp, 선택적으로 3,000 cp 내지 30,000 cp, 선택적으로 3,000 cp 내지 20,000 cp, 선택적으로 3,000 cp 내지 15,000 cp, 선택적으로 3,000 cp 내지 12,000 cp, 선택적으로 4,000 cp 내지 40,000 cp, 선택적으로 4,000 cp 내지 30,000 cp, 선택적으로 4,000 cp 내지 20,000 cp, 선택적으로 4,000 cp 내지 15,000 cp, 선택적으로 4,000 cp 내지 12,000 cp, 선택적으로 6,000 cp 내지 40,000 cp, 선택적으로 6,000 cp 내지 30,000 cp, 선택적으로 6,000 cp 내지 20,000 cp, 선택적으로 6,000 cp 내지 15,000 cp, 선택적으로 6,000 cp 내지 12,000 cp, 선택적으로 8,000 cp 내지 40,000 cp, 선택적으로 8,000 cp 내지 30,000 cp, 선택적으로 8,000 cp 내지 20,000 cp, 선택적으로 8,000 cp 내지 15,000 cp, 선택적으로 8,000 cp 내지 12,000 cp, 선택적으로 10,000 cp 내지 40,000 cp, 선택적으로 10,000 cp 내지 30,000 cp, 선택적으로 10,000 cp 내지 20,000 cp, 선택적으로 10,000 cp 내지 15,000 cp, 선택적으로 10,000 cp 내지 12,000 cp, 선택적으로 12,000 cp 내지 40,000 cp, 선택적으로 12,000 cp 내지 30,000 cp, 선택적으로 12,000 cp 내지 20,000 cp, 선택적으로 12,000 cp 내지 15,000 cp의 범위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점도는 인라인 분배 및 접착 공정에서 용융된 동반 중합체의 유동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은 고활성이고, 기재 상에의 대규모 고산출량 인라인 적용에 있어서 우수한 유동 특성을 갖고, 분배의 정밀한 제어가 매우 다양한 표면 또는 인클로저 상에 복잡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게 하는 동반 중합체를 제공한다. 인라인 공정은 사전형성된 일체형 동반 중합체를 출발 물질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필요 성분들, 예컨대 베이스 중합체, 특정 활성제, 첨가제, 및 채널링제가 또한 기재 상에 적용하기 직전에 동일한 공정에서 혼합되고 용융 형태로 가열될 수 있다. 유사하게, 필요 성분들의 하위세트를 함유하는 중간 물질이 다른 필요 성분(들)과 혼합되어 인라인 적용 공정에 사용되는 동반 중합체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예로서 일체형 동반 중합체를 사용하는 상기 기재된 조성적 구성은 동반 중합체 조성물에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도 1 내지 도 6은 동반 중합체(10), 및 개시된 개념에 따른 동반 중합체로 형성된 다양한 패키징 조립체를 예시한다. 동반 중합체(10) 각각은 베이스 중합체 물질(25), 채널링제(35) 및 활성제(30)를 포함한다. 나타낸 바와 같이, 채널링제(35)는 동반 중합체(10)를 통과하는 상호연결 채널(45)들을 형성한다. 활성제(30)의 적어도 일부는 이들 채널(45)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이로써 채널(45)들은 동반 중합체(10)의 외측 표면에 형성된 채널 개구(48)들을 통해 동반 중합체(10)의 외부와 활성제(30) 사이에서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활성제(30)는, 예를 들어, 하기에 더 상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다양한 흡수성, 흡착성, 또는 방출성 물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채널링제(예를 들어, 35)가 바람직하지만, 개시된 개념은, 선택적으로 채널링제를 포함하지 않는 동반 중합체도 폭넓게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선택적인 구현예에 따른 동반 중합체로부터 구성된 삽입체(20)가 예시되어 있다. 삽입체(20)는 플러그(55) 형태이며, 이것은 용기 또는 다른 인클로저(enclosure) 내로 침착될 수 있거나, 기재(예를 들어, 포일) 상에 침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활성제(30) 및 친수제 또는 채널링제(35)와 균일하게 블렌딩된 베이스 중합체(25)를 포함하는 동반 중합체(10)로부터 구성된 플러그(55)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예시에서, 동반 중합체는 상호연결 채널(45)들이 동반 중합체(10) 전체에 걸쳐 형성되도록 고화되어, 고화된 플러그(55) 전체에 걸쳐 통로를 확립하였다. 도 1 및 도 2 둘 모두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통로는 플러그(55)의 외부 표면에 있는 채널 개구(48)에서 종단된다.
도 3은 구조 및 구성에 있어서 도 2의 플러그(55)와 유사한 플러그(55)의 구현예를 예시하는데, 여기서는 상호연결 채널(45)들이 도 2의 것들에 비하여 매우 미세하다. 이것은 채널링제(35)와 함께 이량체 작용제(dimer agent)(즉, 가소제)의 사용으로부터 기인할 수 있다. 이량체 작용제는 베이스 중합체(25)와 채널링제(35) 사이의 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향상된 상용성은 블렌드의 저하된 점도에 의해 용이해지는데, 이는, 표준 조건 하에서는 균일한 용액으로의 배합에 저항할 수 있는, 베이스 중합체 물질(25)과 채널링제(35)의 더 확실한 블렌딩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량체 작용제가 첨가된 동반 중합체(10)의 고화 시에, 그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상호연결 채널(45)들은 더 큰 분산 및 더 작은 다공도를 가지며, 그럼으로써 플러그(55) 전체에 걸쳐 더 큰 밀도의 상호연결 채널들을 확립한다.
상호연결 채널(45)들, 예컨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것들은 베이스 중합체 물질(25)를 통해 원하는 물질, 예컨대 수분, 가스 또는 냄새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며, 이때 베이스 중합체 물질은 일반적으로 이들 물질의 투과에 저항하며, 그럼으로써 그에 대한 장벽으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이유로, 베이스 중합체 물질(25) 그 자체는 활성제(30)가 내부에 동반될 수 있는 장벽 물질로서 작용한다. 채널링제(35)로 형성된 상호연결 채널(45)들은 원하는 물질이 동반 중합체(10)를 통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이들 상호연결 채널(45)의 부재 하에서는, 비교적 작은 양의 원하는 물질이 베이스 중합체 물질(25)를 통해 활성제(30)로 또는 활성제(30)로부터 전달될 것으로 여겨진다. 원하는 물질이 활성제(30)에 전달되는 경우에, 그것은, 예를 들어 활성제(30)가 건조제 또는 산소 흡수제와 같은 활성제인 구현예에서, 활성제(30)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원하는 물질이 활성제(30)로부터 전달되는 경우에, 그것은, 예를 들어 활성제(30)가 방향제 또는 가스 방출성 물질과 같은 방출성 물질인 구현예에서, 활성제(30)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도 4는 개시된 개념에 따른 동반 중합체(10)의 구현예를 예시하며, 여기서 활성제(30)는 흡수성 또는 흡착성 물질이다. 화살표는 동반 중합체(10)의 외부로부터의 채널(45)들을 통한 선택된 물질, 예를 들어 수분 또는 가스의 활성제(30)의 입자로의 경로를 나타내며, 이러한 입자는 선택된 물질을 흡수하거나 흡착한다.
도 5는 개시된 개념에 따른 방법의 최종 생성물의 구현예를 예시한다. 본 발명의 동반 중합체(10)로 형성된 동반 중합체 구조물(75)은 장벽 시트(80)와 조합하여 사용되어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복합체를 형성한다. 동반 중합체 구조물(75)의 특성은 플러그(55)에 대해 기재된 것들과 유사하다. 장벽 시트(80)는 낮은 수분 또는 산소 투과율을 갖는 기재, 예컨대 포일 및/또는 중합체일 수 있다. 기재(80)는 동반 중합체 구조물(75)과 상용성이며, 이에 따라 하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동반 중합체 구조물(75)이 분배 후에 고화될 때 동반 중합체 구조물(75)에 열 접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6은 동반 중합체 구조물(75)과 기재(80)가 조합되어 패키징 랩을 형성하는 구현예를 예시하는데, 여기서 패키징 랩은 동반 중합체 구조물(75)에서의 동반 중합체(10)에 의해 형성된 내부 표면에서는 활성 특성을 그리고 장벽 시트 또는 기재(80)에 의해 형성된 외부 표면에서는 증기 저항 특성을 갖는다. 이 구현예에서, 동반 중합체 구조물(75)은 장벽 시트 또는 기재(80)의 일부분을 점유한다. 동반 중합체 구조물(75)을 제조하고 그것을 기재(80)에 접착하기 위하여 개시된 개념에 따른 방법이 하기에 기재되어 있다.
일 구현예에서, 도 5의 시트들은 함께 결합되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활성 패키지(85)를 형성한다.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라미네이트 또는 복합체가 제공되며, 이들 각각은 장벽 시트 또는 기재(80)와 결합된 동반 중합체 구조물(75)로 형성되어 있다. 시트 라미네이트들은 동반 중합체 구조물(75)들이 패키지의 내부 상에 배치되도록 서로 대향하게 하여 적층되고, 밀봉 영역(90)에서 결합되는데, 이때 밀봉 영역은 패키지 내부의 밀봉된 영역의 주연부 주위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동반 중합체의 주요 목적은 미립자 또는 광물 동반 중합체를 상용성 기재에 적용하고 (초기에 용융되고 후속으로 고화되는) 동반 중합체를 열 접합을 통해 기재에 접착하기 위하여 인라인 생산 공정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동반 중합체의 사용은 그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고처리량 인라인 생산 공정에 적합한 고밀도, 고 용융 유동 지수, 및 저점도 활성 중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방법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동반 중합체 구조물을 적합한 기재에 적용하고 그것에 접착하기 위한 방법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에 논의된 동반 중합체 또는 동반 중합체 조성물을 사용하여, 동반 중합체 구조물을 기재에 형성하고 그것에 접착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출발 물질로서 예시적인 사전형성된 일체형 동반 중합체를 사용하여 하기에 예시된다.
첫 번째, 동반 중합체를 공급기에 도입한다. 열을 적용하여 동반 중합체를 용융된 상태로 변환시킨다.
두 번째, 용융된 상태의 동반 중합체의 유동을 어플리케이터에 이송한다. 용융된 동반 중합체의 유량 및 가소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열이 유동 경로를 따라 필요할 수 있다.
세 번째, 용융된 동반 중합체를 분배기를 통해 원하는 패턴 또는 형상으로 기재의 표면 상에 분배한다. 로딩률은,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터에 적용되는 공기압, 기재의 전진 속도, 및 분배기의 배출 시간을 통해 정밀한 방식으로 제어된다. 표면 상용성은 동반 중합체와 기재의 접합을 가능하게 한다. 충분한 냉각 시에, 침착된 동반 중합체는 고화되어 기재의 표면 상에 동반 중합체 구조물을 형성한다. 침착물의 패턴 또는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동반 중합체 구조물은 시트, 필름, 비드, 도트, 스트립 또는 소용돌이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출발 물질로서 사전형성된 동반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동반 중합체의 성분들은 또한 혼합되고 가열되어, 사전형성된 동반 중합체와 동일한 조성적 특징을 공유하는 용융된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일축 압출기 장비에 적합한, 그리고 상기에 논의된 공정상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그것을 사용하기 위한 공정에 적합한 소정의 개조를 알아내었다. 통상적인 압출기와 마찬가지로 본 압출기는 공급물의 수송 및 용융, 그리고 분배를 위한 용융된 중합체의 압력 축적을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압출기는 가열 구역을 갖는 중공 챔버, 및 중심축을 따라 회전되는 나사형성된 샤프트 또는 스크류를 포함한다. 본 압출기는 통상적으로 한쪽 단부에 호퍼를 포함하는데, 호퍼는 통상적으로 2 내지 10 mm 크기의 고체 펠릿 형태의 중합체 물질을 압출기 내로 공급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동반 중합체 구조물을 기재에 형성하고 그것에 접착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핫 멜트 분배 장치(100)의 선택적인 구현예가 도시되어 있다. 핫 멜트 분배 장치(100)는 용융 형태의 미립자 또는 광물 동반 중합체의 유동을 제공하기 위한 공급기(102)(선택적으로, 압출기 또는 로더)를 포함한다. 공급기(102)는 출구(106)를 포함하며, 출구에는 호스(104)(선택적으로 1개 초과의 호스)가 결합되어 있다. 호스(104)는 내부 루멘(108)을 포함하며, 내부 루멘은 용융 형태의 미립자 또는 광물 동반 중합체의 유동을 수용하기 위해 출구(106)와 유체 연통 상태에 있다. 루멘(108)은 어플리케이터(110)에서 종단되며, 어플리케이터에 용융 형태의 동반 중합체가 이송된다. 어플리케이터(110)는 용융 형태의 동반 중합체를 정밀한 양 및 배치로(즉, 사전결정된 형상으로) 표면 또는 인클로저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분배기(112)를 포함한다.
나타낸 구현예에서, 분배기(112)는 용융 형태의 미립자 또는 광물 동반 중합체를 기재(114)의 표면(116)에 침착시켜, 동반 중합체 구조물(118)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접착하였다. 선택적으로, 기재(114)는 포일이고, 표면(116)은 구조물(118)과 표면(116) 사이의 열 접합의 달성을 돕기 위하여 중합체 밀봉 층(이는 미립자 또는 광물 동반 중합체의 베이스 중합체 물질과 상용성임)이다. 루멘(108) 및/또는 분배기(112)(바람직하게는 둘 모두)는 공급기(102)로부터 루멘(108)을 통해 분배기(112) 밖으로 이송될 때 동반 중합체의 용용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배기(112)를 가열하는 것은 또한 동반 중합체를 사전결정된 형상으로 정밀하게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도울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장치(100)를 사용하는 방법은 자동화 인라인 생산 공정의 일부로서 수행된다. 이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가 용융된 동반 중합체의 기재(114) 상에의 자동화 침착을 위하여 기재를 불연속적 또는 연속적 방식으로 수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는 인라인 공정의 일부로서 기재(114)의 단위들 또는 한 장의 시트를 수송하기 위해 방향(D)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인라인 공정은, 예를 들어 패키지 생산 공정일 수 있다. 동반 중합체 구조물(118)과 기재(114)는 함께 복합체를 형성하며, 이는, 예를 들어 가요성 패키지, 파우치 또는 블리스터 팩의 일부분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분배기(118)는 동반 중합체 구조물(118)을 사전결정된 형상으로 정밀하게 형성하도록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 사이를 교체하는 밸브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분배기(118)는 핫 멜트 정밀성 슬롯-다이 압출 코팅 헤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분배기 구성은 정확한 열 분포 및 안전성을 보장하고 정밀한 재현성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동반 중합체는 분배기의 침착 노즐을 통해 유동할 것인데, 그 이유는, 적용된 전단 박화 및 압력이 결합을 전단시키고 물질 탄성의 파괴를 유도하고, 이에 따라 물질 유동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탄성은 노즐을 떠난 직후에 회복되고 동반 중합체는 고화되어 그의 형상 및 강도를 유지한다. 결과물은 상용성 기재에 열 접합되도록 구성된 고화된 동반 중합체의 스트립 또는 기타 다른 구조이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구현예에서, 저장 또는 물질 공급 탱크는 유사가소성 고점도 물질을 저장하고 그 물질(예를 들어, 고체 동반 중합체 펠릿)를 펌프에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펌프는 유사가소성 고점도 물질을 전단 박화하여 물질에 힘을 인가하여 물질 점도를 감소시키고, 그럼으로써 물질 유동을 야기하도록 구성된다.
핫 멜트 동반 중합체를 공급하는 데 압출기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물질을 기재 상에 위치시키고 분배시킬 수단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이것은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압출기 출구에 연결되고 그와 유체 연통 상태에 있는 가요성 또는 강성 호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가요성 호스는 루멘을 포함하여 루멘을 통해 용융된 동반 중합체가 이송되며, 이때 루멘은 바람직하게는 압출기를 빠져나가는 중합체의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다. 그러한 높은 온도는 유동을 억제할 수 있는 열 손실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동반 중합체는 침착 노즐을 통해 유동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적용된 전단 박화 및 압력이 결합을 전단시키고 물질 탄성의 파괴를 유도하고, 이에 따라 물질 유동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탄성은 노즐을 떠난 직후에 회복되고 동반 중합체는 고화되어 그의 형상 및 강도를 유지한다. 결과물은 상용성 기재에 열 접합되도록 구성된 고화된 동반 중합체의 스트립 또는 원하는 형상의 기타 다른 구조이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구현예에서, 용융된 동반 중합체와 접촉 상태에 있는 호스(104)의 루멘(108)은 압출기를 빠져나가는 물질의 온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구현예에서, 분배기(112)는 동반 중합체의 용융 상태를 유지하도록, 그리고 분배 단계에서 사전결정된 형상으로의 동반 중합체의 정밀한 형성을 용이하게 하도록 가열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구현예에서, 분배된 용융된 동반 중합체가, 기재(114) 상에의 제어되고 변동가능한 분배를 용이하게 하도록 분배 단계에서 가열된 그리고 유연한 상태(고유 접착 특성을 갖는 핫 멜트의 형태)가 되도록 장치(100)는 증분적으로 가열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호스 및/또는 분배기의 가열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구현예에서, 분배기(112)는 필요에 따라 단일 물질 공급원으로부터의 다양한 동반 중합체 형상 및 물질 부피를 분배하도록 개조가능하도록(예를 들어, 대체 헤드를 갖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구현예에서, 개시된 개념의 방법을 가공 라인 내로 통합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용융된 동반 중합체 조성물은 계량 펌프 내로 이송될 수 있는데, 이때 계량 펌프는 분배를 무한히 제어하기 위하여 공압식으로 제어되는 분배기의 사용 및 가열된 호스를 공급한다. 선택적으로, 압출기로부터 계량 펌프로의 그리고 계량 펌프로부터 분배기로의 물질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하여 프로세싱 피드백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량 펌프(들)로의 용융된 물질의 공급을 유지하도록 공급기(예를 들어, 압출기)의 온/오프 및 속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컨트롤러가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계량 펌프는 다수의 가열된 호스 및 분배기를 공급할 매니폴드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주요 의도된 용도는 미립자 또는 광물 동반 중합체를 상용성 기재에 적용하여 (초기에 용융되고 후속으로 고화되는) 동반 중합체를 열 접합을 통해 기재에 접착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대안적인 양태는 동반 중합체를, 열 접합이 생성되지 않고 동반 중합체 및 기재를 고정시킬 대안적인 수단이 요구되는 기재에 또는 구획 내로 분배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물질을 압출기를 통해 이동시키는 것과 압출기 장비에 대한 개조의 관점에서 공정의 다수가 동일할 것이다. 그러나, (열 접합의 대안으로서) 기계적 인터록, 동반 중합체와 기재 사이의 타이 층, 중합체 내로 혼합되는 접착성 첨가제 또는 일부 다른 수단이 동반 중합체를 기재 또는 구획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 산업에서, 기재 또는 구획은 전자 구성요소, 및 활성 물질, 예를 들어 동반 중합체를 제공할 것이 요구되는, 전자 구성요소를 둘러싸는 빈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동반 중합체를 포함하는 별도의 부품을 사출 성형하고, 이어서 그러한 부품을 기재 또는 구획에 조립하기보다는, 개시된 개념의 양태에 따른 방법은 기재 또는 구획 상의 원하는 공간에 미립자 또는 광물 동반 중합체를 분배하고 그로 충전할 수 있게 할 것이다. 그러한 인라인 공정은 별도의 조립 단계에 대한 필요성을 없앨 것이다. 기재 또는 구획 표면이 열 접합이 형성될 수 없을 정도로 동반 중합체와 불상용성인 경우에, 고화된 동반 중합체를 정위치에 고정시키도록 기계적 인터록 또는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 또는 구획 위에 커버를 배치하여 조립체를 형성하고, 그럼으로써 동반 중합체를 정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제품
동반 중합체 구조물 및 그에 접착된 기재로 형성된 복합체는 가요성 패키지, 파우치 또는 블리스터 팩의 일부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동반 중합체 및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품의 한 예이다. 활성제를 함유하는 이들 제품은 직접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예시되겠지만, 본 발명은 그로 제한되는 것으로 여겨지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 1
하기 표 1에 따른 건조제 동반 중합체 샘플을 압출된 펠릿 형태로 제조하였다.
샘플 성분 중량 % 용융 유동 지수1
(g/10분)
추정된 점도2
(cP)
분배 결과
1 분자체 4A
Carbowax 4000
폴리프로필렌
40
2
58
307.8
2 분자체 4A
Carbowax 4000
폴리프로필렌
60
2
38
197.5
3 분자체 4A
Carbowax 4000
LDPE
PE 143 왁스
50
2
24
24
1563.9 < 10,000 탁월
4 분자체 4A
Carbowax 4000
LDPE
PE 143 왁스
50
2
2
46
튐(splatter)으로 인한 적용 불가능
5 분자체 4A
Carbowax 4000
LDPE
PE 143 왁스
40
2
30
28
2310 < 10,000 탁월
6 분자체 4A
Carbowax 4000
LDPE
PE 143 왁스
40
2
8
50
548
7 분자체 4A
Carbowax 4000
LDPE
PE 105 왁스
50
2
24
24
152 54,000
8 분자체 4A
Carbowax 4000
LDPE
PE 105 왁스
50
2
2
46
186.1
9 분자체 4A
Carbowax 4000
LDPE
PE 105 왁스
40
2
30
28
273.2 37,000
10 분자체 4ACarbowax 4000
LDPE
PE 105 왁스
40
2
8
50
605.7
1 용융 유동 지수는 ASTM D1238 /ISO 1133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2 점도는 190도(섭씨온도)에서, 2분 동안 5 Hz의 속도로 전단시키면서, 평행판 지오메트리를 갖는 레오미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2
MFI 측정에서의 MFI 및 물질의 성능에 기초하여, 실시예 1에서의 샘플 3 및 샘플 4를 본 발명의 방법의 일 양태에 따른 핫-멜트 인라인 공정을 위해 선택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압출기를 재구성하여 압출기 조립체를 만들어내고, 건조제 동반 중합체 조성물을 생성하여 본 발명의 선택적인 양태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였다. 압출기 조립체는 펠릿 형태로부터 광물 동반 중합체를 성공적으로 압출하고, 용융된 물질을 가열된 호스를 통해 이송하고, 그것을 가열된 핫 멜트 건 또는 분배기 밖으로 분배하여 포일 기재에 접착된 동반 중합체 구조물을 형성하였다.
통상적인 압출기는 다이를 통해 직접 분배하여 특정 형상의 물질, 예를 들어 중실 또는 중공 스트랜드 또는 튜브를 생성할 것이다. 특유하게, 개시된 개념에 따른 압출기 조립체는 압출기의 출구에 결합되는 가열된 호스 및 호스의 분배 단부에 결합되는 가열된 분배기를 포함한다. 동반 중합체를 압출기로부터 호스를 통해 압력 하에서 이송함에 따라 동반 중합체를 용융 상태로 유지하도록, 호스의 루멘을 압출기를 빠져나가는 물질의 온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였다. 분배기의 폐쇄는 압력이 시스템 내에 축적될 수 있게 하였다. 분배기의 개방 및 폐쇄는 물질이 매우 제어되고 정밀한 방식으로 유동될 수 있게 하였다. 제형에 사용되는 베이스 중합체는 포일 기재 상의 중합체 코팅(중합체 밀봉 층)과 상용성이었다. 이것은 용융 상태의 광물 동반 중합체(이것은 가열된 분배기를 통해 추가로 유지되었음)가 혼합되고, 코팅된 기재에 접착될 수 있게 하였는데, 이는, 접촉하는 물질들의 특성이 유사하기 때문이다. 결과물은, 포일 기재 상에 형성되고 그에 접착되는 고화된 동반 중합체 구조물이었다.
도 8 및 도 9는 핫 멜트 분배 장치의 선택적인 구현예를 사용하여 시트에 접착된 동반 중합체 필름 및 스트립을 각각 예시하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이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그것에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30)

  1. 동반 중합체 조성물(entrained polymer composition)로서,
    a. 베이스 중합체 물질; 및
    b. 미립자 활성제
    를 포함하며,
    베이스 중합체 물질은 베이스 중합체, 및 선택적으로 유동제를 포함하며, 하기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시키는, 동반 중합체 조성물: 1) 동반 중합체 조성물은 ASTM D1238 /ISO 1133 조건 하에서의 용융 유동 지수가 200 g/10분 내지 5000 g/10분, 선택적으로 1000 g/10분 내지 4000 g/10분, 선택적으로 1200 g/10분 내지 2500 g/10분의 범위임; 및 2) 동반 중합체 조성물은 점도가 1,000 cp 내지 50,000 cp, 선택적으로 3,000 cp 내지 40,000 cp, 선택적으로 3,000 cp 내지 20,000 cp, 선택적으로 3,000 cp 내지 15,000 cp, 선택적으로 3,000 cp 내지 10,000 cp의 범위이며, 이때 점도는 190도(섭씨)에서 2분 동안 5 Hz에서 전단시킨 후에 레오미터를 사용하여 측정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반 중합체 조성물은 일체형(monolithic) 물질이고 적어도 2상(two-phase) 또는 적어도 3상(three-phase)인, 동반 중합체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제는 폴리올레핀, 폴리올레핀 유도체, 천연 왁스, 또는 합성 왁스인, 동반 중합체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제는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유도체, 에틸렌 비스(스테아르아미드), 또는 세틸 팔미테이트인, 동반 중합체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채널링제(channeling agent)를 추가로 포함하는, 동반 중합체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중합체는 동반 중합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중량 기준으로 10% 내지 50%, 선택적으로 15% 내지 40%, 선택적으로 20% 내지 35%, 선택적으로 25% 내지 30%의 범위로 존재하는 것인, 동반 중합체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제는 동반 중합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중량 기준으로 5% 내지 50%, 선택적으로 10% 내지 35%, 선택적으로 20% 내지 30%의 범위로 존재하는 것인, 동반 중합체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활성제는 동반 중합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중량 기준으로 10% 내지 80%, 선택적으로 30% 내지 60%, 선택적으로 40% 내지 50%의 범위로 존재하는 것인, 동반 중합체 조성물.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링제는 동반 중합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10%, 선택적으로 1% 내지 8%, 선택적으로 1% 내지 6%, 선택적으로 2% 내지 8%, 선택적으로 2% 내지 6%, 선택적으로 2% 내지 5%, 선택적으로 2% 내지 4%의 범위로 존재하는 것인, 동반 중합체 조성물.
  10. 동반 중합체 구조물을 기재(substrate)에 형성하고 그것에 접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용융 형태의 동반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b. 용융 형태의 동반 중합체 조성물의 적용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기재를 제공하는 단계; 및
    c. 용융 형태의 동반 중합체 조성물을 사전결정된 형상으로 기재의 표면에 적용하여, 냉각 및 고화 시에 그 위에 동반 중합체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용융 형태의 동반 중합체 조성물은 베이스 중합체, 미립자 활성제, 및 선택적으로 유동제를 포함하고;
    하기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시키고: 1) 동반 중합체 조성물은 ASTM D1238 /ISO 1133 조건 하에서의 용융 유동 지수가 200 g/10분 내지 5000 g/10분, 선택적으로 1000 g/10분 내지 4000 g/10분, 선택적으로 1200 g/10분 내지 2500 g/10분의 범위임; 및 2) 동반 중합체 조성물은 점도가 1,000 cp 내지 50,000 cp, 선택적으로 3,000 cp 내지 40,000 cp, 선택적으로 3,000 cp 내지 20,000 cp, 선택적으로 3,000 cp 내지 15,000 cp, 선택적으로 3,000 cp 내지 12,000 cp의 범위이며, 이때 점도는 190도(섭씨)에서 2분 동안 5 Hz에서 전단시킨 후에 레오미터를 사용하여 측정됨; 및 기재의 표면은 용융 형태의 동반 중합체 조성물과 상용성이며, 이에 따라 용융 형태의 동반 중합체 조성물은 이들 사이에 열 접합을 형성하고, 그것에 접착되고, 충분한 냉각 시에 고화되어 그 위에 동반 중합체 구조물을 형성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반 중합체 조성물은 채널링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반 중합체 조성물은 일체형 물질이고 적어도 2상 또는 적어도 3상인, 방법.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포일이고, 기재의 표면은 포일 상의 중합체 밀봉 층인,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핫 멜트 분배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되며, 핫 멜트 분배 장치는
    i. 용융 형태의 동반 중합체 조성물의 유동을 제공하기 위한 공급기로서, 선택적으로 압출기인, 공급기;
    ii. 각각이 용융 형태의 동반 중합체 조성물의 유동을 수용하도록 공급기의 출구와 유체 연통 상태에 있는 내부 루멘을 갖는, 하나 이상의 호스; 및
    iii. 분배기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
    를 포함하며,
    상기 루멘은 어플리케이터에서 종단되며, 어플리케이터에 용융 형태의 동반 중합체 조성물이 이송되고, 분배기는 용융 형태의 동반 중합체 조성물을 사전결정된 형상으로 기재의 표면에 적용하는 것인,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형태의 동반 중합체 조성물은 단계 (c) 전에 루멘을 통해 이송되고, 상기 루멘은 동반 중합체 조성물이 루멘을 통해 이송될 때 이것의 용융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열되는 것인, 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단계 (a)에서의 동반 중합체 조성물의 용융 상태를 유지하도록 그리고 단계 (c)에서의 용융 상태의 동반 중합체 조성물의 사전결정된 형상으로의 정밀한 형성을 용이하게 하도록 가열되는 것인, 방법.
  17.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동반 중합체 구조물을 사전결정된 형상으로 정밀하게 형성하도록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 사이를 교체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활성제는 베이스 중합체보다 더 마모성인 과립형 물질인, 방법.
  19. 제10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제는 건조제, 선택적으로 분자체, 실리카 겔, 점토, 또는 베이스 중합체보다 더 마모성인 과립형 물질인 또 다른 건조제인, 방법.
  20. 제10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및 동반 중합체 구조물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가요성 물질인, 방법.
  21. 제10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c) 전에, 펠릿 형태의 상기 동반 중합체 조성물이 공급기 내로 제공되고 용융되어 용융 형태의 동반 중합체 조성물을 형성하는 것인, 방법.
  22. 제10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반 중합체 구조물은 시트, 필름, 비드, 도트, 스트립(strip) 또는 소용돌이 형태인, 방법.
  23. 제1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반 중합체 구조물은 두께가 0.1 mm 내지 1.5 mm, 선택적으로 0.2 mm 내지 1.2 mm, 선택적으로 0.3 mm 내지 0.8 mm인 필름 형태인, 방법.
  24. 제1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포일이고, 기재의 표면은 포일 상의 중합체 밀봉 층이고, 기재는 수분-민감성 제품용 패키지의 일부분이며, 선택적으로 상기 패키지는 가요성 패키지, 파우치 또는 블리스터 팩(blister pack)인, 방법.
  25. 제1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자동화 인라인 패키지 생산 공정의 일부로서 수행되는 것인, 방법.
  26. 제10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반 중합체 구조물은 별도의 접착성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서 기재에 접착되는 것인, 방법.
  27. 제10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제는 중량 기준으로 조성물의 30% 내지 80%, 선택적으로 30% 내지 75%, 선택적으로 30% 내지 70%, 선택적으로 35% 내지 70%, 선택적으로 40% 내지 65%, 선택적으로 45% 내지 55%인, 방법.
  28. 복합체로서,
    a. 동반 중합체를 포함하는 동반 중합체 구조물로서, 동반 중합체는
    i. 베이스 중합체 물질; 및
    ii. 미립자 활성제
    를 포함하며,
    베이스 중합체 물질은 베이스 중합체, 및 선택적으로 유동제를 포함하고,
    하기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시키는, 동반 중합체 구조물: 1) 동반 중합체는 ASTM D1238 /ISO 1133 조건 하에서의 용융 유동 지수가 200 g/10분 내지 5000 g/10분, 선택적으로 1000 g/10분 내지 4000 g/10분, 선택적으로 1200 g/10분 내지 2500 g/10분의 범위임; 및 2) 동반 중합체는 점도가 1,000 cp 내지 50,000 cp, 선택적으로 3,000 cp 내지 40,000 cp, 선택적으로 3,000 cp 내지 20,000 cp, 선택적으로 3,000 cp 내지 10,000 cp의 범위이며, 이때 점도는 190도(섭씨)에서 2분 동안 5 Hz에서 전단시킨 후에 레오미터를 사용하여 측정됨; 및
    b. 동반 중합체 구조물이 상부에 접착되는 기재
    를 포함하는, 복합체.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중합체 물질은 채널링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복합체.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는 가요성 패키지, 파우치 또는 블리스터 팩의 일부분인, 복합체.
KR1020207028145A 2017-03-03 2018-09-05 동반 중합체를 기재에 분배하고 그것에 접착하기 위한 방법 KR1024935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66435P 2017-03-03 2017-03-03
USPCT/US2018/020978 2018-03-05
PCT/US2018/020978 WO2018161091A1 (en) 2017-03-03 2018-03-05 Methods for dispensing and adhering hot melt entrained polymers to substrates
PCT/US2018/049578 WO2019172953A1 (en) 2017-03-03 2018-09-05 Methods for dispensing and adhering hot melt entrained polymers to substra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114A true KR20200128114A (ko) 2020-11-11
KR102493529B1 KR102493529B1 (ko) 2023-01-31

Family

ID=61906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145A KR102493529B1 (ko) 2017-03-03 2018-09-05 동반 중합체를 기재에 분배하고 그것에 접착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3) US11426916B2 (ko)
EP (3) EP3589474B1 (ko)
JP (2) JP7100145B2 (ko)
KR (1) KR102493529B1 (ko)
CN (1) CN111936290B (ko)
AU (1) AU2018412582B2 (ko)
BR (1) BR112020018078B1 (ko)
CA (1) CA3093059A1 (ko)
CL (1) CL2020002272A1 (ko)
CO (1) CO2020011016A2 (ko)
DK (1) DK3589474T3 (ko)
EA (1) EA202091939A1 (ko)
ES (1) ES2903371T3 (ko)
IL (1) IL277133A (ko)
MX (1) MX2020009145A (ko)
PE (1) PE20210164A1 (ko)
PH (1) PH12020551482A1 (ko)
PT (1) PT3589474T (ko)
SG (1) SG11202007939YA (ko)
WO (2) WO2018161091A1 (ko)
ZA (1) ZA2020060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14751A2 (en) 2020-03-06 2023-01-11 CSP Technologies, Inc. Tea-based compositions for oxygen modified packaging
BR112022017743A2 (pt) 2020-03-06 2022-10-18 Csp Technologies Inc Composições à base de daucus para embalagem modificada por oxigênio
EP4188673A1 (en) 2020-08-03 2023-06-07 CSP Technologies, Inc. Methods for dispensing and forming 3a molecular sieve hot melt entrained polymers onto substrates
BR112023023442A2 (pt) 2021-05-19 2024-01-30 Csp Technologies Inc Forro de polímero ativo para vedação por indução e método de fabricação e uso do mesm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09718A1 (en) * 2000-01-24 2001-07-26 Sinsel John A. Polymeric coated metal strip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03033237A1 (en) * 2001-10-16 2003-04-24 International Paper Company Method for extrusion coating multiple webs
KR20040111595A (ko) * 2002-05-09 2004-12-31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통기성 용품
WO2005049750A2 (en) * 2003-11-24 2005-06-02 Central Products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adhesive using planetary extruder
JP2010274662A (ja) * 2010-08-11 2010-12-09 Dainippon Printing Co Ltd 炭酸カルシウムを含む発泡壁紙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82876A (en) * 1968-10-14 1972-07-26 Guthrie Ind Ltd Process and apparatus for forming layers of setting plastics materials
US3826602A (en) * 1972-09-29 1974-07-30 Beloit Corp Flexible adapter for conveying material from extruder to die
US5407702A (en) * 1993-05-05 1995-04-18 Aluminum Company Of America Method for coating a metal strip
US6183091B1 (en) 1995-04-07 2001-02-06 Colorlink, Inc. Color imaging systems and methods
US6214255B1 (en) 1995-04-19 2001-04-10 Capitol Specialty Plastics, Inc. Desiccant entrained polymer
US5911937A (en) 1995-04-19 1999-06-15 Capitol Specialty Plastics, Inc. Desiccant entrained polymer
US6194079B1 (en) 1995-04-19 2001-02-27 Capitol Specialty Plastics, Inc. Monolithic polymer composition having an absorbing material
US6486231B1 (en) 1995-04-19 2002-11-26 Csp Technologies, Inc. Co-continuous interconnecting channel morphology composition
US6130263A (en) 1995-04-19 2000-10-10 Capitol Specialty Plastics, Inc. Desiccant entrained polymer
US6080350A (en) 1995-04-19 2000-06-27 Capitol Specialty Plastics, Inc. Dessicant entrained polymer
US6124006A (en) 1995-04-19 2000-09-26 Capitol Specialty Plastics, Inc. Modified polymers having controlled transmission rates
US6177183B1 (en) 1995-04-19 2001-01-23 Capitol Specialty Plastics, Inc. Monolithic composition having an activation material
JPH0985830A (ja) 1995-09-28 1997-03-31 Tekken Constr Co Ltd 樹脂板の融着接合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967740B2 (ja) 1995-12-28 1999-10-25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酸素吸収多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6063503A (en) 1995-12-28 2000-05-16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Oxygen-absorbing multi-layer film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US5605720A (en) 1996-04-04 1997-02-25 J & M Laboratories Inc. Method of continuously formulating and applying a hot melt adhesive
US6212756B1 (en) 1998-08-14 2001-04-10 Truseal Technologies, Inc. Dispensable non-adhesive desiccated matrix system for insulating glass units
JP3919503B2 (ja) 2000-11-13 2007-05-30 共同印刷株式会社 乾燥剤混入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5095216A1 (en) 2004-03-26 2005-10-13 Csp Technologies, Inc. Active film adhered to flexible packages and method thereof
JP4659523B2 (ja) 2005-04-26 2011-03-30 共同印刷株式会社 ブリスター用フィルム及びブリスター用包装容器
US9289795B2 (en) 2008-07-01 2016-03-22 Precision Coating Innovations, Llc Pressurization coating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US20120135191A1 (en) * 2010-11-30 2012-05-31 Lora Lee Spangler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irect Embossment of a Polymer Melt Sheet
JP6089511B2 (ja) 2012-09-05 2017-03-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機能性物質層積層フィルム、及び該積層フィルムを適用した包装体
JP6573597B2 (ja) 2013-03-14 2019-09-11 シーエスピー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混入ポリマー中にチャネルを形成する物質、このような物質を含有する混入ポリマー、このような混入ポリマー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含む製品
EP3149073B1 (en) * 2014-05-29 2020-12-02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ethylene films and production of such films
US10350871B2 (en) * 2014-10-17 2019-07-16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Method for a laminated packaging material
JP6794636B2 (ja) 2016-02-26 2020-12-02 凸版印刷株式会社 抗菌消臭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抗菌消臭シート
EP3741693B1 (en) 2016-11-13 2024-01-03 CSP Technologies, Inc. Antimicrobial gas releasing agent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PE20200680A1 (es) 2017-04-28 2020-06-11 Derrick Corp Composiciones termoplasticas, metodos, aparato y uso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09718A1 (en) * 2000-01-24 2001-07-26 Sinsel John A. Polymeric coated metal strip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03033237A1 (en) * 2001-10-16 2003-04-24 International Paper Company Method for extrusion coating multiple webs
KR20040111595A (ko) * 2002-05-09 2004-12-31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통기성 용품
WO2005049750A2 (en) * 2003-11-24 2005-06-02 Central Products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adhesive using planetary extruder
JP2010274662A (ja) * 2010-08-11 2010-12-09 Dainippon Printing Co Ltd 炭酸カルシウムを含む発泡壁紙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89474B1 (en) 2021-10-27
PH12020551482A1 (en) 2021-09-06
WO2018161091A1 (en) 2018-09-07
US11518078B2 (en) 2022-12-06
AU2018412582B2 (en) 2022-09-29
EA202091939A1 (ru) 2021-01-19
US20230082357A1 (en) 2023-03-16
PE20210164A1 (es) 2021-01-26
BR112020018078A2 (pt) 2020-12-22
MX2020009145A (es) 2020-09-28
CN111936290A (zh) 2020-11-13
KR102493529B1 (ko) 2023-01-31
US20200398547A1 (en) 2020-12-24
JP2022132308A (ja) 2022-09-08
ZA202006091B (en) 2023-03-29
EP3981573B1 (en) 2024-02-14
DK3589474T3 (da) 2022-01-17
AU2018412582A1 (en) 2020-09-10
IL277133A (en) 2020-10-29
EP3762206A1 (en) 2021-01-13
JP7275362B2 (ja) 2023-05-17
JP2021515716A (ja) 2021-06-24
EP3762206B1 (en) 2023-08-23
CN111936290B (zh) 2022-12-09
EP3981573A2 (en) 2022-04-13
SG11202007939YA (en) 2020-09-29
CA3093059A1 (en) 2019-09-12
BR112020018078B1 (pt) 2024-03-12
US20200001512A1 (en) 2020-01-02
CO2020011016A2 (es) 2021-01-29
EP3589474A1 (en) 2020-01-08
EP3981573A3 (en) 2022-06-29
JP7100145B2 (ja) 2022-07-12
ES2903371T3 (es) 2022-04-01
WO2019172953A1 (en) 2019-09-12
PT3589474T (pt) 2022-01-13
CL2020002272A1 (es) 2020-11-20
US11426916B2 (en)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3529B1 (ko) 동반 중합체를 기재에 분배하고 그것에 접착하기 위한 방법
JP2019218555A (ja) 混入ポリマー中にチャネルを形成する物質、このような物質を含有する混入ポリマー、このような混入ポリマー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含む製品
US20230166440A1 (en) Methods for dispensing and forming 3a molecular sieve hot melt entrained polymers onto substrates
JP4914064B2 (ja) 熱接着用多層テープ及び包装体
US20210339937A1 (en) Mineral entrained plastic formulations as puncturing elements
CN109952201B (zh) 膜涂覆的夹带矿物的聚合物及其制造方法
JPH11321932A (ja) 軽包装用乾燥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