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7682A - 방탄모 위장부재 - Google Patents

방탄모 위장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7682A
KR20200127682A KR1020190052282A KR20190052282A KR20200127682A KR 20200127682 A KR20200127682 A KR 20200127682A KR 1020190052282 A KR1020190052282 A KR 1020190052282A KR 20190052282 A KR20190052282 A KR 20190052282A KR 20200127682 A KR20200127682 A KR 20200127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ouflage
bulletproof
knot
gastrointestinal
gil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2776B1 (ko
Inventor
이정웅
Original Assignee
이정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웅 filed Critical 이정웅
Priority to KR1020190052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776B1/ko
Publication of KR20200127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3/00Camouflage, i.e. means or methods for concealment or disguise
    • F41H3/02Flexible, e.g. fabric covers, e.g. screens, net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00Personal protection gear
    • F41H1/02Armoured or projectile- or missile-resistant garments; Composite protection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길리 슈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방탄모 위장수단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길리 슈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방탄모 위장수단은, 방탄모; 방탄모의 외면을 감싸는 면적을 이루며, 신축성 있는 재질로 마련되는 외피; 외피의 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방탄모의 내면으로 접혀 신축성에 의해 외피를 방탄모에 고정시키는 내피; 방탄모 착용시 착용자의 얼굴을 가릴 수 있는 길이를 이루며, 일단이 매듭 처리된 위장실로 이루어지되, 매듭 처리된 부위가 상기 외피의 중앙부 측 외면과 상기 외피와 내피가 연결되는 연결부위의 외면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위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방탄모 위장부재{bulletproof helmet camouflage}
본 발명은 방탄모 위장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탄모 착용시 착용자의 얼굴을 가릴 수 있는 길이를 이루며, 일단이 매듭 처리된 위장실로 이루어지되, 매듭 처리된 부위가 외피의 중앙부 측 외면과 외피와 내피가 연결되는 연결부위의 외면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위장부를 제공하여 방탄모에 대한 위장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방탄모 위장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길리 슈트(ghillie suit)는 특수부대의 저격수 등이 산악이나, 산림지대에서 자신의 몸을 보호 또는 은신하기 위해 나뭇잎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의류에 붙이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길리 슈트는 처해 진 환경(예를 들어, 산악이나 산림지대)에 따라, 외부에서 보아 그 환경의 일부분처럼 느끼도록 나뭇잎을 붙이거나, 자신의 몸을 보호 또는 은신할 수 있는 여러 재료를 이용하여 탈부착하는 방식으로 만들어 착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길리 슈트는, 나뭇잎 외에, 대부분 그물을 이용하거나, 천을 이용하여 접착제로 부착하는 방식으로 제조하여 착용하게 되는 데, 제조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접착부위가 떨어져 위장효과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 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004052호의 "그물위장복"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선행 기술은 의복에 그물을 덧대어 제공하여 부착한 형태를 개시하며, 신체를 주위 환경과 어울리게 꾸미기 위해 그물에 나뭇가지나 풀, 천조각 등 위장 물품을 형성하여 위장을 하는 그물 위장복을 개시하고 있다.
특히, 선행 기술의 경우 위장은 할 수 있으나 주변 환경과 유사하게 하기 위한 위장을 하기 위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활동을 하는 경우 그물에서 탈착되어 위장 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저격수들이 사용하는 길리 슈트의 경우, 전투복 또는 전투복 외부에 수작업으로 한 땀 한 땀 위장 직물을 작업하여 특정 상황에 대비한 위장 슈트를 제작하여 사용하곤 하였다.
따라서, 선행 기술의 경우 수작업으로 인한 제작 시간 및 비용이 과다하게 되고, 사용되는 상황이 변하는 경우 거기에 맞는 슈트를 여러 종류 구비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길리 슈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메쉬 원단에 다수의 실을 재봉함으로써 사용시 외부의 마찰이나 실을 잡아당기는 인위적인 힘에 의해 다수의 실이 원단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고, 따라서, 길리 슈트의 위장 효과가 현저히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방탄모를 위장하여 착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을 필요로 하고 있으나, 현재, 이와 같은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90178호(2014.07.16)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61673호(2011.01.13)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탄모 착용시 착용자의 얼굴을 가릴 수 있는 길이를 이루며, 일단이 매듭 처리된 위장실로 이루어지되, 매듭 처리된 부위가 외피의 중앙부 측 외면과 외피와 내피가 연결되는 연결부위의 외면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위장부를 제공하여 방탄모에 대한 위장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방탄모 위장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탄모 위장부재는, 방탄모; 방탄모의 외면을 감싸는 면적을 이루며, 신축성 있는 재질로 마련되는 외피; 상기 외피의 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방탄모의 내면으로 접혀 신축성에 의해 외피를 상기 방탄모에 고정시키는 내피; 방탄모 착용시 착용자의 얼굴을 가릴 수 있는 길이를 이루며, 일단이 매듭 처리된 위장실로 이루어지되, 매듭 처리된 부위가 상기 외피의 중앙부 측 외면과 상기 외피와 내피가 연결되는 연결부위의 외면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위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피의 중앙부 측 외면에 위치되는 매듭 처리 부위는 위장실이 방사상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원형으로 매듭 처리되고, 위장실이 착용자의 얼굴을 가릴 수 있는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외피와 내피가 연결되는 연결부위의 외면에 위치되는 매듭 처리 부위는 상기 외피와 내피가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따라 연속되게 연장형성되고, 위장실이 착용자의 얼굴을 가릴 수 있는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내피의 단부는 내부에 고무줄로 이루어진 신축부재가 내재되어 마감처리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방탄모 위장부재에 의하면, 방탄모 착용시 착용자의 얼굴을 가릴 수 있는 길이를 이루며, 일단이 매듭 처리된 위장실로 이루어지되, 매듭 처리된 부위가 외피의 중앙부 측 외면과 외피와 내피가 연결되는 연결부위의 외면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위장부를 제공하여 방탄모에 대한 위장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장수단이 방탄모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장수단이 방탄모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장수단이 결합된 방탄모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탄모 위장수단을 제조하기 위한 길리 슈트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탄모 위장수단을 제조하기 위한 길리 슈트 제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길리 슈트 제조장치에서 매듭부를 형성하기 위한 매듭바늘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길리 슈트 제조장치에서 위장실을 좌우로 안내하는 가이더 및 매듭바늘을 위에서 보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길리 슈트 제조장치에서 커팅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길리 슈트 제조장치에서 커팅유닛의 구성을 보인 사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길리 슈트 제조장치에서 커팅유닛에 의해 위장실이 커팅되는 일 예를 보인 사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길리 슈트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배출롤러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길리 슈트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배출롤러에 의해 위장부잭가 배출되는 예를 보인 사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길리 슈트 제조장치에 의해 위장실의 일부만이 커팅된 예를 보인 사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명세서에 게재되는 '방탄모 위장부재'는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장수단이 방탄모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장수단이 방탄모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장수단이 결합된 방탄모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탄모 위장수단을 제조하기 위한 길리 슈트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탄모 위장수단을 제조하기 위한 길리 슈트 제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길리 슈트 제조장치에서 매듭부를 형성하기 위한 매듭바늘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길리 슈트 제조장치에서 위장실을 좌우로 안내하는 가이더 및 매듭바늘을 위에서 보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길리 슈트 제조장치에서 커팅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길리 슈트 제조장치에서 커팅유닛의 구성을 보인 사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길리 슈트 제조장치에서 커팅유닛에 의해 위장실이 커팅되는 일 예를 보인 사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길리 슈트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배출롤러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길리 슈트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배출롤러에 의해 위장부잭가 배출되는 예를 보인 사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길리 슈트 제조장치에 의해 위장실의 일부만이 커팅된 예를 보인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탄모 위장부재(300)는, 방탄모(200)와, 방탄모(200)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외피(310)와, 외피(310)를 방탄모(200)에 고정시키는 내피(320)와, 방탄모(200) 착용시 착용자의 머리 및 얼굴을 위장시키는 위장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피(310)는 방탄모(200)의 외면을 감싸는 면적을 이루며, 신축성 있는 재질, 즉, 스판 재질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내피(320)는, 외피(310)의 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방탄모(200)의 내면으로 접혀 신축성에 의해 외피(310)를 방탄모(20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내피(320)의 단부는 내부에 고무줄로 이루어진 신축부재(340)가 내재되어 마감 처리됨으로써, 방탄모(200)와의 결합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위장부(330)는 방탄모(200) 착용시 착용자의 얼굴을 가릴 수 있는 길이를 이루며, 일단이 매듭 처리된 위장실(33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위장실(332)이 매듭 처리된 부위는, 외피(310)의 중앙부 측 외면과, 외피(310)와 내피(320)가 연결되는 연결부위의 외면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외피(310)의 중앙부 측 외면에 위치되는 매듭 처리 부위는, 위장실(332)이 방사상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원형으로 매듭 처리되고, 위장실(332)이 착용자의 얼굴을 가릴 수 있는 길이로 마련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외피(310)와 내피(320)가 연결되는 연결부위의 외면에 위치되는 매듭 처리 부위는, 외피(310)와 내피(320)가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따라 연속되게 연장형성되고, 위장실(332)이 착용자의 얼굴을 가릴 수 있는 길이로 마련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방탄모 위장부재'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KR 등록특허공보 제10-1888128호(2018.08.07.등록)에 게재된 '길리 슈트 제조장치, 길리 슈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길리 슈트'를 참고하여 제조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KR 등록특허공보 제10-1888128호에 게재된 '길리 슈트 제조장치, 길리 슈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길리 슈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상기 길리 슈트 제조장치에는 위장실 공급유닛(110)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위장실 공급유닛(110)은, 위장에 필요한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위장실(12)을 좌측에서 우측, 우측에서 좌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연속해서 공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장실 공급유닛(110)은 위장에 필요한 서로 다른 색상의 위장실(12)이 각각 감겨 있는 복수개의 롤(112)이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롤(112)에 감겨진 서로 다른 색상의 위장실(12)이 하부로 공급되면, 공급되는 복수 개의 위장실(12)을 모아서 좌측에서 우측, 우측에서 좌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연속해서 안내하도록 하는 가이더(114)가 설치된다.
이러한 가이더(114)에는, 복수 개의 위장실(12)을 모아서 좌측에서 우측, 우측에서 좌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연속해서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위장실(12)이 통과되는 안내공(114a)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위장실 공급유닛(110)은 총상의 경편기, 편직기 등에서 실을 공급하여 편직하기 위한 구성임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위장실(12)은 적이 인식하기 어려운 음영과 실루엣을 갖는 색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위장실의 색상을 특정하는 것이 아니며 주변 환경에 유사하게 할 수 있는 모든 색상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길리 슈트 제조장치에는 매듭형성유닛(12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듭형성유닛(120)은 위장실 공급유닛(110)에 의해 공급되는 위장실(12)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양쪽 단부에서 엮어서 좌우 양쪽에 매듭부(14)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매듭형성유닛(120)은, 가이더(114)에 의해 안내되는 위장실(12)을 좌우 양쪽에서 매듭부(14)를 형성하도록 기 설정된 방식에 따라 위장실(12)을 엮어 매듭을 형성하도록 매듭바늘(122)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매듭바늘(122)은 좌우 양쪽에 배치되어 승강 작동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매듭바늘(122)이 승강작동되면서 수평으로 공급되는 위장실을 엮어 매듭을 형성하게 된다.
이를 위한, 상기 매듭바늘(122)의 구성은 끝단에 형성되는 훅크(hook) 형상의 고리(122a)가 형성되고, 상기 훅크 형상의 고리(122a)를 개폐시키도록 래치(122b)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매듭바늘(122)이 승강 작동하면서 상기 래치(122b)가 상기 훅크 형상의 고리(122a)를 개폐시키면서 위장실(12)이 상기 훅크 형상의 고리(122a) 안쪽으로 들어갔다 나오면서 매듭이 형성된다. 이러한 매듭 형성되는 과정은 통상의 경편기, 편직기 등에서 원사를 편직하기 위해 작동하는 구성임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좌측에서 우측, 우측에서 좌측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공급되는 위장실을 일정 거리를 두고 양쪽에서 매듭바늘(122)이 승강되면서 묶어 매듭을 형성한다. 즉, 매듭바늘(122)이 상승되면서 래치(122b)가 열리면서 훅크 형상의 고리(122a)에 위장실이 들어가고, 매듭바늘(122)이 내려오면서 래치(122b)가 닫히면서 매듭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상기 매듭바늘(122)의 설치 위치에 따라 양쪽 단부에 형성되는 매듭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양쪽의 매듭바늘(122)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면 매듭부의 간격이 넓어지고, 이와 반대로 매듭바늘(122)의 간격이 좁아지면 매듭부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상기 매듭바늘(122)에서 복수 개의 위장실(12)을 모아서 한 번에 매듭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가이더(114)에 의해 다양한 색상의 위장실이 모아져 공급되면 이를 한 번에 매듭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매듭바늘(122)은 위장실(12)이 안내되는 이송방향을 따라 양쪽에 각각 다수 개(통상 4~6개 정도)가 설치되어 안내되는 위장실(12)을 순차적으로 걸어 복수의 매듭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다수 개의 매듭바늘(122)에 의해 양단부에 매듭부(14)를 형성하게 되면, 그 매듭부(14)가 쉽게 풀리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매듭바늘(122)을 너무 많이 설치하여 매듭을 너무 많게 형성하게 되면, 그 매듭부가 너무 넓어지기 때문에 적당한 개수의 매듭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4개의 매듭바늘(122)을 설치하여 4개의 매듭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또한, 상기 매듭바늘(122)에 의해 좌우 양쪽에 매듭부(14)가 형성되는 위장부재(10)를 배출시키도록 좌우 양쪽의 매듭부(14)를 상하부에서 눌러주면서 배출시키는 한 쌍의 배출롤러(124a,124b)거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한 쌍의 배출롤러(124a,124b)는 모터와 축, 동력전달 장치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성은 통상의 동력전달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길리 슈트 제조장치에는 커팅유닛(13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팅유닛(130)은 매듭형성유닛(120)에 의해 형성되는 좌우 양쪽의 매듭부(14) 사이에 위치하는 위장실(12)의 일정 부위를 커팅하도록 상기 매듭형성유닛(120)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매듭형성유닛(120)에 의해 양쪽 단부에 매듭부가 형성되어 배출되는 위장부재(10)의 중앙부위를 절단하여 좌우 양측으로 분리하도록 함으로써 길리 슈트를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팅유닛(130)은, 상기 매듭바늘(122)에 의해 형성되는 좌우 양쪽의 매듭부(14) 사이에 위치하는 위장실(12)의 일정 부위를 커팅하여 위장부재(10)를 좌우 양측 두 개로 분리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배출롤러(124a,124b)에 의해 배출되는 위장부재의 위장실을 커팅할 수 있도록 커팅날(132)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커팅날(132)은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는 원판 형상의 커팅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커팅날(132)의 회전을 위해 커팅날은 회전축에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커팅날(132)의 위치에 따라 좌우측으로 분리되는 위장실의 길이를 달리할 수 있으며, 즉, 좌측과 우측의 위장실 길이를 달리하도록 커팅할 수 있으며, 이는 회전축에 설치되는 커팅날의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서 가능하다.
또한, 상기 커팅날(132)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원판 형상의 좌우측 가이드 회전날(134,136)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가이드 회전날(134,136)은 상기 커팅날(132)의 양측으로 인접하도록 좌우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커팅날(132)의 후방에 일부위가 겹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 회전날(134,136)과 상기 커팅날(132)의 사이 간격은 1~3cm 정도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가이드 회전날(134,136)의 회전을 위해 가이드 회전날은 회전축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회전날(134,136)은 커팅날(132)과는 반대 방향으로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회전날(134,136)의 외주면에는 위장실(12)을 안내할 수 있도록 톱날부(134a,136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상기 톱날부(134a,136a)에 의해 안내되는 위장실(12)이 좌우 양쪽 매듭부 측으로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상기 톱날부(134a,136a)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경사각(a)을 이루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배출되는 위장부재(10)의 위장실은 상기 가이드 회전날(134,136)에 구비되는 경사각(a)을 갖는 톱날부(134a,136a)부에 의해 양쪽 매듭부 쪽으로 당겨지면서 배출됨으로, 상기 커팅날(132)의 회전에 의해 위장실을 쉽게 커팅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회전날(134,136)에 의해 위장실이 좌우 매듭부 측으로 팽팽하게 당겨졌을 때, 상기 커팅날(132)에 의해 커팅이 됨으로, 커팅 불량이 방지된다.
여기에서, 상기 커팅날(132)은 고속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길리 슈트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위장실 공급단계(102)와 매듭형성단계(104) 및 커팅단계(10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위장에 필요한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위장실을 좌측에서 우측, 우측에서 좌측으로 일정거리만큼 연속해서 공급하는 위장실 공급단계(102)와, 상기 위장실 공급단계(102)에 의해 공급되는 위장실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양쪽 단부에서 엮어서 좌우 양쪽에 매듭부를 형성하는 매듭형성단계(104) 및 상기 매듭형성단계(104)에 의해 형성되는 좌우 양쪽의 매듭부 사이에 위치하는 위장실의 일정 부위를 커팅하여 좌우 2개로 분리하는 커팅단계(10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위장실의 단부에 매듭부가 형성되어 위장실이 고정됨에 의해 위장실이 전혀 안빠지게 되어 기존 제품보다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물세탁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특히, 가볍고 튼튼하며, 장기 사용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위장실 공급유닛(110)은 위장에 필요한 다양한 색상의 위장실을 권취하여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매듭형성유닛(120)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매듭바늘(122)이 구비되어, 상기 매듭바늘(122)이 공급되는 위장실을 기 설정된 방식에 따라 매듭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매듭바늘(122)은 좌,우로 이동하면서 좁거나 넓게 간격 조절이 가능하며, 위장실의 양을 많거나 적게 하는 등 원하는 타입으로 조절이 가능하다.
이러한, 위장실의 매듭 형성, 가격 조절, 양의 조절 등은 제어부인 컨트롤박스에서 소비자가 원하는 대로 조정이 가능하게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매듭바늘을 이용하여 위장실의 좌우 양쪽을 각각 엮어서 매듭부를 형성하고 상기 매듭부를 방탄모용 위장부재의 메쉬원단에 재봉함으로써, 방탄모용 위장부재의 메쉬원단에서 위장실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10 : 위장실 공급유닛, 112 : 롤,
114 : 가이더, 120 : 매듭형성유닛,
122 : 매듭바늘, 124 : 배출롤러,
130 : 커팅유닛, 132 : 커팅날,
134,136 : 가이드 회전날, 134a,135a : 톱날부,
200 : 방탄모, 310 : 외피,
320 : 내피, 330 : 위장부.

Claims (4)

  1. 방탄모;
    방탄모의 외면을 감싸는 면적을 이루며, 신축성 있는 재질로 마련되는 외피;
    상기 외피의 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방탄모의 내면으로 접혀 신축성에 의해 외피를 상기 방탄모에 고정시키는 내피;
    방탄모 착용시 착용자의 얼굴을 가릴 수 있는 길이를 이루며, 일단이 매듭 처리된 위장실로 이루어지되, 매듭 처리된 부위가 상기 외피의 중앙부 측 외면과 상기 외피와 내피가 연결되는 연결부위의 외면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위장부;
    를 포함하는 길리 슈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방탄모 위장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의 중앙부 측 외면에 위치되는 매듭 처리 부위는 위장실이 방사상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원형으로 매듭 처리되고, 위장실이 착용자의 얼굴을 가릴 수 있는 길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리 슈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방탄모 위장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와 내피가 연결되는 연결부위의 외면에 위치되는 매듭 처리 부위는 상기 외피와 내피가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따라 연속되게 연장형성되고, 위장실이 착용자의 얼굴을 가릴 수 있는 길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리 슈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방탄모 위장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의 단부는 내부에 고무줄로 이루어진 신축부재가 내재되어 마감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리 슈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방탄모 위장부재.
KR1020190052282A 2019-05-03 2019-05-03 방탄모 위장부재 KR102192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282A KR102192776B1 (ko) 2019-05-03 2019-05-03 방탄모 위장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282A KR102192776B1 (ko) 2019-05-03 2019-05-03 방탄모 위장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682A true KR20200127682A (ko) 2020-11-11
KR102192776B1 KR102192776B1 (ko) 2020-12-18

Family

ID=73451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282A KR102192776B1 (ko) 2019-05-03 2019-05-03 방탄모 위장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77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6124A (en) * 1977-03-09 1978-08-15 Brunswick Corporation Snagproof helmut camouflage cover
US7143452B1 (en) * 2004-08-02 2006-12-05 Rossini Michael J Multipurpose helmet camouflage system
KR20090061673A (ko) 2006-10-06 2009-06-16 다카사고 고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풍미 개선제 및 그것을 함유하는 음식품
KR20140090178A (ko) 2011-10-11 2014-07-16 아메트린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멀티스펙트럼 위장 재료
KR20160001093U (ko) * 2014-09-25 2016-04-04 이동훈 방탄헬맷용 3d 위장외피
KR101888128B1 (ko) * 2017-08-14 2018-08-14 이정웅 길리 슈트 제조장치, 길리 슈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길리 슈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6124A (en) * 1977-03-09 1978-08-15 Brunswick Corporation Snagproof helmut camouflage cover
US7143452B1 (en) * 2004-08-02 2006-12-05 Rossini Michael J Multipurpose helmet camouflage system
KR20090061673A (ko) 2006-10-06 2009-06-16 다카사고 고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풍미 개선제 및 그것을 함유하는 음식품
KR20140090178A (ko) 2011-10-11 2014-07-16 아메트린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멀티스펙트럼 위장 재료
KR20160001093U (ko) * 2014-09-25 2016-04-04 이동훈 방탄헬맷용 3d 위장외피
KR101888128B1 (ko) * 2017-08-14 2018-08-14 이정웅 길리 슈트 제조장치, 길리 슈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길리 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776B1 (ko) 2020-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84031B (zh) 假发用透湿性材料及具有该透湿性材料的假发或假发用基底帽
US6711749B2 (en) Article of headwear with integrated hairband
US20040168696A1 (en) Wig having stretchable foundation covered by hair wefts
US20170188644A1 (en) Knit hat having integrated sweatband
CN206360623U (zh) 一种梯带以及具有该梯带的百叶窗帘
CA1107487A (en) Fabric of fur and method of production
US8813761B2 (en) Hair piece provided with a wave-form weaving band
WO2017058268A1 (en) Hair extension foundation cap system
KR102192776B1 (ko) 방탄모 위장부재
US20190208845A1 (en) Neck gaiter
KR100691901B1 (ko) 크라운 형태를 유지해주는 모자
US8850617B2 (en) Sweatband for headwear
US11846051B2 (en) Ghillie suit manufacturing apparatus, ghillie suit manufacturing method, and ghillie suit manufactured by using same
JP5368327B2 (ja) 通気性細幅編織物
US20080235852A1 (en) Headwear having flexible headband
US20050268927A1 (en) Headwear with ponytail pull through
KR101616270B1 (ko) 아라미드 융복합 난연 항공피복류 제조방법
CA1111247A (en) Camouflage netting having a stiched base net
JP2518562B2 (ja) 衣 料
CN214103395U (zh) 新型贝雷帽
KR102481725B1 (ko) 모자
SU675106A1 (ru) Тесьма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головных уборов
Linscheid Late antique to early islamic textiles from Egypt
US2370442A (en) Lady's hat
KR200254201Y1 (ko) 모피니트원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