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7343A - Putting assistance apparatus based on green information providing putting guid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utting assistance apparatus based on green information providing putting guid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7343A
KR20200127343A KR1020190051286A KR20190051286A KR20200127343A KR 20200127343 A KR20200127343 A KR 20200127343A KR 1020190051286 A KR1020190051286 A KR 1020190051286A KR 20190051286 A KR20190051286 A KR 20190051286A KR 20200127343 A KR20200127343 A KR 20200127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putting
unit
green
auxiliar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2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95126B1 (en
Inventor
정윤규
Original Assignee
(주) 이룸디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이룸디엔티 filed Critical (주) 이룸디엔티
Priority to KR1020190051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126B1/en
Priority to PCT/KR2020/005566 priority patent/WO2020222493A1/en
Publication of KR20200127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3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1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69/3685Putters or attachments on putter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05Golf club selection aids informing player of his average or expected shot distance for each club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01C9/0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2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01C9/0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 G01C2009/06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optical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tting auxiliary terminal capable of acquiring information on the green and providing a putting guide to a user based on the acquired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the putting auxiliary terminal comprises: a distance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a distance from a predetermined point on the green; and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the height or inclination of the green based on the measured distance, wherein the distance measurement unit measures a distance with respect to at least two points, and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height or inclination of the green based on the measured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two points.

Description

그린 정보를 기초로 퍼팅 가이드를 제공해 주는 퍼팅 보조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PUTTING ASSISTANCE APPARATUS BASED ON GREEN INFORMATION PROVIDING PUTTING GUIDE AND CONTROL METHOD THEREOF}Putting auxiliary terminal that provides putting guide based on green information and its control method {PUTTING ASSISTANCE APPARATUS BASED ON GREEN INFORMATION PROVIDING PUTTING GUID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그린 정보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퍼팅 가이드를 제공해 주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that provides a putting guide to a user through green information analysis.

일반적으로 골프에 있어서 골퍼는 지면의 경사도 등에 적절히 대응하여 자세를 잡고 샷을 해야만 원하는 거리와 방향으로 볼을 보낼 수 있다. 특히, 그린 위에서 볼을 홀컵에 넣기 위하여는 퍼터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 볼이 그린 위를 굴러 홀컵에 보내지게 되므로 그린의 경사를 어떻게 파악하고 볼을 어떤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힘으로 타격하느냐가 매우 중요하다.In general, in golf, a golfer can send a ball to a desired distance and direction only by taking a shot while properly responding to the slope of the ground. In particular, to put the ball into the hole cup on the green, a putter is used. At this time, the ball rolls on the green and is sent to the hole cup, so how to grasp the slope of the green and in which direction and how much force to hit the ball is very important. It is important.

그러나, 그린의 경사각을 골퍼 스스로 판별하는 것은 그리 쉽지 않아 퍼팅실수를 범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와 관련하여 골프공이 착지된 주변의 경사도를 지칭하는 라이(lie)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하는데, 경사도 측정과 관련된 기술로, "수준기가 결합된 퍼터"(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109319)가 공개된 바 있다. 상기 기술은 퍼터를 구성하고 있는 샤프트나 클럽헤드에 수준기를 결합함으로써 지면의 경사도 및 경사 방향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However, it is not so easy for the golfer to determin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green on his own, so it is often possible to make a putting mistake. In this regard, the term lie, which refers to the inclination of the periphery where the golf ball is landed, is also used. As a technique related to measuring the inclination, the "putter with a level"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10-2005-0109319) It has been released. The above technology allows the level of inclination and the direction of inclination of the ground to be determined by combining the level with the shaft or club head constituting the putter.

그런데, 상기와 같은 기술들은 퍼터에 수준기를 일체로 결합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골퍼가 그린 위에서 경사도를 측정할 때 수준기가 결합된 퍼터만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골퍼 개인마다 사용하는 퍼터가 다양한 점을 감안할 때 각각의 퍼터마다 수준기가 결합된 퍼터를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 techniques are used by integrally combining the level with the putter, which has a problem in that the golfer must use only the putter combined with the level when measuring the slope on the green. In the end, given the variety of putters used for each golf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each putter uses a putter combined with a level.

한국 특허 공개공보 제10-2016-0071618호(발명의 명칭: 골프 필드의 그린 경사도를 검출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그린 영역을 촬영하고, 촬영된 결과를 통하여 그린 높낮이 및 경사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 주는 장치와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In the case of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071618 (name of the invention: a method of detecting the green slope of a golf field), a green area is photographed using a camera, and the height and slope of the green are determined through the photographed result. We propose a device and a method to analyze and provide it to the user.

하지만, 카메라 영상을 분석하여 높낮이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영상 분석에 있어서 많은 연산량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많은 연산량에도 불구하고 그 정확도에 있어서 상당히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는 단점이 존재한다.However, in order to determine the height by analyzing the camera imag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not only a large amount of computation is required in the image analysis, but also the accuracy remains at a fairly low level despite a large amount of computation.

따라서, 단순히 카메라를 통한 촬영이 아니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그린 상의 정보를 분석하고, 퍼팅을 가이드해 줄 수 있는 장치나 방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a device or method capable of analyzing information on the green more accurately and quickly, and guiding putting, rather than simply shooting through a camera.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보다 낮은 연산량으로도 보다 정확한 그린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and other problems.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device capable of extracting more accurate green information even with a lower computational amount.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 will be able to.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그린 상의 소정 지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그린의 높낮이 또는 경사를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거리측정부는, 적어도 두 지점에 대한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두 지점에 대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그린의 높낮이 또는 경사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보조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objects, a distance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a distance to a predetermined point on the green; And a control unit that calculates the height or slope of the green based on the measured distance, wherein the distance measurement unit measures a distance to at least two points, and the control unit is based on the measured distance to the two points. Thus, it provides a putting auxiliary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alculating the height or slope of the green.

상기 거리측정부는, 레이저 발광부; 및 레이저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발광부를 통하여 조사된 레이저가 상기 레이저 수광부를 통하여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The distance measuring unit may include a laser light emitting unit; And a laser light receiving unit, and a distance may be calculated based on a result of the laser irradiated through the laser light receiving unit detected through the laser light receiving unit.

상기 거리측정부는, 지면으로 수직한 지점의 거리를 더 측정할 수 있다.The distance measuring unit may further measure a distance of a point perpendicular to the ground.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기울임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n inclination detector for detecting inclination.

상기 제어부는, 제 1 지점에 대한 제 1 거리, 상기 수직한 지점의 제 2 거리 및 상기 기울임 감지부를 통하여 감지된 기울어진 각도를 기초로 상기 제 1 지점의 높낮이를 계산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alculate the height of the first point based on the first distance to the first point, the second distance to the vertical point, and an inclined angle sensed through the tilt detection unit.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산된 결과에 기초하여 퍼팅 가이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an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putting guide screen to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calculated result.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그린 상의 소정 지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그린의 높낮이 또는 경사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는, 적어도 두 지점에 대한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두 지점에 대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그린의 높낮이 또는 경사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보조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object, measuring a distance to a predetermined point on the green; And calculating a height or slope of the green based on the measured distance, wherein the measuring of the distance comprises measuring a distance to at least two points, and the calculating comprises: the measured two points It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a putting auxiliary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r slope of the green is calculated based on the distance to.

본 발명에 따른 퍼팅 보조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putting auxiliary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그린 상의 정보를 정확히 분석하여, 가이드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nformation on a green can be accurately analyzed and a guide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그린 상의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과정이 단순하고 직관적이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process for analyzing information on a green is simple and intuitive.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being given by way of example only.

도 1은 퍼팅 보조 단말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퍼팅 보조 단말기(100)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1) 내부의 헤드(103)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짐벌부(110)에 의해서, 헤드(103)의 균형이 유지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103)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거리 측정부(142)의 거리 측정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영역 상의 복수 개의 지점(1001)의 거리를 측정하는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지점까지의 거리를 기초로 높이를 산출해 내는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두 지점 사이의 높이차를 산출해 내는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린 정보 획득 시나리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 위치 상에서의 측정 시나리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측정 과정에서의 표시 정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퍼팅 가이드의 출력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팅 가이드 정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utting auxiliary terminal 100, and FIGS. 2 and 3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utting auxiliary terminal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ead 103 inside the housing 1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lance of the head 103 is maintained by the gimbal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ead 10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ual diagram of distance measurement of the distance measurement unit 14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ual diagram of measuring distances of a plurality of points 1001 on an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ual diagram for calculating a height based on a distance to a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alculating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wo poi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green information acquisition scenari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asurement scenario at a measurement 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display information in a measurement proces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outputting a putting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putting guide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prepara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modification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도 1은 퍼팅 보조 단말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퍼팅 보조 단말기(100)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utting auxiliary terminal 100, and FIGS. 2 and 3 are conceptual diagrams of an example of a putting auxiliary terminal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상기 퍼팅 보조 단말기(100)는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퍼팅 보조 단말기(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퍼팅 보조 단말기(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The putting auxiliary terminal 100 may include an input unit 12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n interface unit 160, a memory 170, a control unit 18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I can.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for implementing the putting auxiliary terminal 100, so the putting auxiliary terminal 100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more or less components than the above-listed components. Can have.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서의 버튼(109)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camera 121 for inputting an image signal, and a user input unit 123 (eg, the button 109 in FIGS. 2 and 3 ). The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unit 120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as a user's control command.

센싱부(140)는 퍼팅 보조 단말기(100) 내 정보, 퍼팅 보조 단말기(1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기울어짐을 감지하기 위한 기울임 감지부(141), 거리 측정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퍼팅 보조 단말기(10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putting auxiliary terminal 100, information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rrounding the putting auxiliary terminal 100, and user information.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n inclination detecting unit 141 and a distance measuring unit 142 for detecting inclination. Meanwhile, the putting auxiliary terminal 100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combine and utilize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r more of these sensors.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부(140)는, 온도 및/또는 습도를 더 측정하도록 제안한다. Furthermore, the sensing unit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to further measure temperature and/or humidity.

일반적으로 그린 상에 습도가 높아지게되면 골프공과 잔디와의 마찰력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습도 측정 결과에 맞는 결과를 제공해 주기 위하여, 습도를 더 측정할 수 있다.In general, when the humidity on the green increases, the friction between the golf ball and the turf increases. According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ovide a result suitable for the humidity measurement result, the humidity may be further measured.

또한, 온도가 올라가는 경우 역시 그린 상에서 골프공의 이동 거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그린 상에서 골프공의 이동 거리가 증가하기 때문에 온도 측정 결과에 따른 결과를 제공해 주기 위하여 온도를 더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emperature rises, the moving distance of the golf ball on the green may be affected. In general, when the temperature rises, the moving distance of the golf ball on the green increases, and thus the temperature may be further measured to provide a resul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measurement result.

기울임 감지부(141)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및 회전 센서 중 하나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이하에서 후술할 짐벌부(110)의 동작을 위한 결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The tilt detection unit 141 may be configured with one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of a gyroscope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rotation sensor, and may provide a result for the operation of the gimbal unit 110 to be described later.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향 출력부(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퍼팅 보조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퍼팅 보조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151 and an audio output unit 152. The display unit 151 may implement a touch screen by forming a layer structure or integrally with the touch sensor. Such a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123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putting auxiliary terminal 100 and the user, and may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putting auxiliary terminal 100 and the user.

또한, 메모리(170)는 퍼팅 보조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퍼팅 보조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퍼팅 보조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퍼팅 보조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퍼팅 보조 단말기(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17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putting auxiliary terminal 100. The memory 17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driven by the putting auxiliary terminal 100, data for the operation of the putting auxiliary terminal 100, and commands.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installed on the putting auxiliary terminal 100, and driven by the controller 180 to perform an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putting auxiliary terminal 100.

짐벌부(110)는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그린 정보를 취득하는 과정 상에서 헤드(103)의 균형을 잡아준다.The gimbal unit 1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balances the head 103 in the process of acquiring gree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퍼팅 보조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 unit 180 gener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utting auxiliary terminal 100. The controller 180 may provide or proces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a user by processing signals, data, information, etc.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r by driv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퍼팅 보조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n order to drive th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Furthermore, in order to drive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ler 180 may operate by combining at least two or mor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putting auxiliary terminal 100 with each other.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퍼팅 보조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to each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putting auxiliary terminal 100. The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battery, and the battery may be a built-in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퍼팅 보조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퍼팅 보조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퍼팅 보조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to implement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putting auxiliary terminal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lso,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putting auxiliary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on the putting auxiliary terminal 100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도 2 및 도 3의 개념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퍼팅 보조 단말기(100)의 몸체는 헤드(103)를 감싸는 하우징(101), 하우징(101)에 결합되어 있는 손잡이(102)를 포함할 수 있다.2 and 3, the body of the putting auxiliary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1 surrounding the head 103, and a handle 102 coupled to the housing 101. ) Can be included.

손잡이(102)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하나로, 버튼(109)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109)은, 그린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위한 입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The handle 102 may be provided with a button 109 as one of the user input units 123. The button 109 may receive an input for an operation of obtaining green information.

상기 하우징(101)의 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퍼팅 가이드 관련 정보를 출력해 제공해 줄 수 있다.A display unit 151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01 to output and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utting guide to the user.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1) 내부의 헤드(103)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ead 103 inside the housing 1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헤드(103)는 하우징(101)에 고정되어 있는 형태가 아니라, 몸체와 짐벌부(110)로 체결되어 있다.The head 103 is not fixed to the housing 101 but is fastened to the body and the gimbal part 110.

짐벌부(110)는, 헤드(103)가 특정 방향을 바라본 상태로 회전 균형을 유지시켜 주는 장치를 말한다. 회전 균형에 대해서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gimbal unit 110 refers to a device that maintains the rotational balance while the head 103 is facing a specific direction. The rotation balance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짐벌부(110)에 의해서, 헤드(103)의 균형이 유지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5 to 7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lance of the head 103 is maintained by the gimbal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헤드(103)는 소정 방향(510)을 바라본 채로 유지된다. 사용자가 손잡이(102)를 좌우 시계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짐벌부(110)는 헤드(103) 기울어짐을 감지할 경우 이를 보완하도록 반대방향으로 헤드(103)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소정 방향(510)을 바라보도록 회전 균형을 유지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head 103 is maintained facing a predetermined direction 510. Even if the user rotates the handle 102 left and right clockwise/counterclockwise, the gimbal unit 110 rotates the head 103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compensate for the inclination of the head 103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 You can maintain the balance of rotation to look at 510).

즉, 기울임 감지부(141)를 통하여 회전이 감지되면, 회전된 만큼을 보상하기 위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동작하는 것이다.That is, when rotation is sensed through the tilt detection unit 141, it operates to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compensate for the rotation.

도 5는 퍼팅 보조 단말기(100)를 위에서 바라본 상태의 제 1 축의 균형만을 설명한 것이나, 다른 축에서 역시 균형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5 illustrates only the balance of the first axis when the putting auxiliary terminal 100 is viewed from above, but the balance may also be maintained on the other axis.

도 6에서와 같이, 퍼팅 보조 단말기(100)의 전면도에서도 손잡이(102)가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회전하더라도, 헤드(103)의 기울어짐은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도 6에서는 제 2 축의 균형이 유지될 수 있다.6, even if the handle 102 rotates left or right in the front view of the putting auxiliary terminal 100, the inclination of the head 103 may be fixed. That is, in FIG. 6, the balance of the second axis may be maintained.

즉, 도 6에서와 같이, 손잡이(102)가 좌우로 회전한다고 하더라도 헤드(103)는 소정 각도(601)를 유지한 채 기울어짐이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6, even if the handle 102 rotates left and right, the head 103 may be inclined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angle 601.

도 7을 참조하면, 마찬가지로 손잡이(102)가 앞뒤 방향으로 회전한다고 하더라도, 헤드(103)가 소정 기울어짐을 유지한 채로 기울어짐이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도 7에서 유지되는 균형은 제 3 축에 대한 균형이다.Referring to FIG. 7, likewise, even if the handle 102 rotates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the inclination may be fixed while the head 103 maintain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The balance maintained in Fig. 7 is the balance about the third axis.

상기 도 5 내지 7에서는 각각 제 1 내지 제 3 축에 대한 균형을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제 짐벌부(110)는 제 1 내지 제 3 축에 대한 균형을 동시에 유지하도록 동작할 수 있을 것이다.In FIGS. 5 to 7, the balance for each of the first to third axes has been individually described, but the actual gimbal unit 110 may be operated to simultaneously maintain the balance for the first to third axes.

한편,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후술할 스캔 동작에서는, 사용자가 헤드(103)를 들어 올리거나 내리면서 수동으로 스캔을 수행할 수도 있다(수동 스캔).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수동 스캔 동작 시에는, 사용자가 헤드(103)를 들어 올리거나 내릴 때 제 3 축에 대한 균형 유지 동작은 해제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축에 대한 균형 유지 동작은 유지된 채, 제 3 축에 대한 균형 유지 동작만이 해제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scanning operation to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below, the user may manually perform the scan while lifting or lowering the head 103 (manual scan). Therefore, in such a manual scan operation, when the user lifts or lowers the head 103, the balance maintaining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third axis may be released. That i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balance maintaining operation for the third axis can be released while the balance maintaining operation for the first and second axes is maintained.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스캔 시작 명령을 수신 받으면, 제어부(180)는 제 1 및 제 2 축에 대한 균형 유지는 유지하되, 제 3 축에 대한 균형 유지는 해제하도록 상기 짐벌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upon receiving a scan start command from a user,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gimbal unit 110 to maintain balance for the first and second axes, but release the balance for the third axis. can do.

즉 위와 같은 짐벌부(110)는 헤드(103)의 기울어짐을 고정시킴으로서, 본 발명에서의 그린 정보를 획득하는데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해준다.That is, the gimbal unit 110 as described above fixes the inclination of the head 103 so that more accurate results can be obtained in obtaining green in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103)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거리 측정부(142)의 거리 측정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ead 10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ual diagram for measuring a distance of the distance measuring unit 14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헤드(103)는 카메라(121), 레이저 포인팅부(122) 및 거리 측정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illustrated drawing, the head 103 may include a camera 121, a laser pointing unit 122, and a distance measuring unit 142.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따른 거리 측정부(142)는 레이저 발광부(501), 레이저 수광부(50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distance measuring unit 142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laser light emitting unit 501 and a laser light receiving unit 502.

즉, 레이저 발광부(501)를 통하여 조사된 레이저가 레이저 수광부(502)를 통하여 다시 수신되면, 수신된 결과를 기초로 목표지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laser irradiated through the laser light emitting unit 501 is received again through the laser light receiving unit 502, the distance to the target point is measured based on the received result.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레이저 발광부(502)의 발광 모듈이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어, 한 번 측정 시 복수 개의 지점을 동시에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8에서와 같이 레이저 발광부(502)가 6개의 발광 모듈을 구비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도 9에서와 같이 동일선상(901)의 6개의 지점(902)에 대하여 동시에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In particula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wo light emitting modules of the laser light emitting unit 502 may be provided, so that a plurality of points may be simultaneously measured during a single measurement. That is, as shown in FIG. 8, assuming that the laser light emitting unit 502 includes six light emitting modules, distances can be simultaneously measured for six points 902 on the same line 901 as in FIG. 9. There is.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헤드(103)의 각도가 변경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거리를 측정하여, 동일선상(901)의 지점들 뿐만 아니라 영역 전반에 걸쳐 분포하는 지점들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제안하는 것이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angle of the head 103 is changed, the distance is sequentially measured, so as to measure the distances of not only points on the same line 901 but also points distributed throughout the area.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영역 상의 복수 개의 지점(1001)의 거리를 측정하는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ual diagram of measuring distances of a plurality of points 1001 on an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서와 같이 동일선상(901)의 지점(902)들에 대해서 거리를 측정한 후, 헤드(103)의 각도를 변경하여(예를 들면, 헤드(103)의 각도를 올리거나 내린 후) 거리를 측정할 경우, 다른 동일선상(901')의 지점들(902')에 대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after measuring the distance to the points 902 on the same line 901, the angle of the head 103 is changed (for example, after raising or lowering the angle of the head 103) When measuring the distance,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distance to the points 902 ′ on the other collinear 901 ′.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할 경우, 영역 상에 분포하는 복수 개의 지점들(1001)에 대한 거리를 순차적으로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When such an operation is repeated, distances to the plurality of points 1001 distributed on the region may be sequentially obtained.

즉, 사용자에게 퍼팅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해 주기 위하여, 골프공과 홀 사이의 그린 정보를 얻어야 할 것이고, 그 그린 정보를 얻기 위하여 해당 영역에 대한 거리를 측정하고자 하는 것이다.That is, in order to provide a guide for putting to the user, green information between a golf ball and a hole must be obtained, and in order to obtain the green information, a distance to a corresponding area is measured.

이와 같이 거리를 순차적으로 측정하게 되면, 사용자의 손떨림이라던지 조작 상의 실수로 인하여 측정할 때마다 측정 상황이 조금씩 변하게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술한 짐벌부(110)를 통하여 이러한 측정 상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제안하는 것이다.If the distance is sequentially measured as described above, the measurement situation may change little by little each time the measurement is made due to a user's hand shake or an operation error. Therefore, it is proposed to keep such a measurement situation constant through the gimbal unit 110 described above.

즉 사용자의 조작 실수로 인하여 헤드(103)가 기울어지는 등의 측정 상황이 바뀌는 경우를 보완하기 위하여, 짐벌부(110)가 헤드(103)의 기울기를 고정적으로 유지시키도록 제안하는 것이다.That is, in order to compensate for a case in which the measurement situation such as the head 103 is tilted due to a user's manipulation error, the gimbal unit 110 is proposed to maintain the tilt of the head 103 fixedly.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지점까지의 거리를 기초로 높이를 산출해 내는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 conceptual diagram for calculating a height based on a distance to a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퍼팅 보조 단말기(100)는 제 1 각도(θ1)로 제 1 지점(1101)까지의 제 1 거리(d1)을 측정할 수 있다. 이렇게 측정된 제 1 거리(d1) 및 제 1 각도(θ1)를 이용하면, 해당 지점의 높이와 퍼팅 보조 단말기(100)의 제 1 높이차(h1)를 다음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putting auxiliary terminal 100 may measure a first distance d 1 to the first point 1101 at a first angle θ 1 . Using the first distance (d 1 ) and the first angle (θ 1 ) measured in this way, the height of the corresponding point and the first height difference (h 1 ) of the putting auxiliary terminal 100 are calculated using Equation 1 below. You can get it.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즉, 제 1 높이차(h1)를 통하여 현재의 높이(href)와 제 1 지점(1101)과의 높이차(g1)를 수학식 2에서와 같이 구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rough the first height difference h 1 , the height difference g 1 between the current height h ref and the first point 1101 can be obtained as in Equation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이 뿐만이 아니라, 현재의 높이(href)와는 무관하게 두 지점 간의 높이차 역시 구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o this,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two points can be obtained regardless of the current height (h ref ).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두 지점 사이의 높이차를 산출해 내는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alculating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wo poi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서 상술한 방식으로 제 1 높이(h1)와 제 2 높이(h2)를 산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The first height h 1 and the second height h 2 may be calculated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in FIG. 11.

산출해 낸 제 1 및 제 2 높이 차이를 뺄 경우, 제 1 지점(1101)과 제 2 지점(1201) 사이의 높이차(Δh)를 수학식 3에서와 같이 얻을 수 있다.When the calculated first and second height differences are subtracted, the height difference Δh between the first point 1101 and the second point 1201 can be obtained as in Equation 3 below.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경우, 도 10에서와 같이 영역 상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지점들(1001)에 대한 높이 정보가 얻어질 수 있을 것이다.When the above process is repeatedly performed, height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points 1001 positioned on an area may be obtained as shown in FIG. 10.

이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토대로,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은 순서로 동작하도록 제안한다.Based on these technical feature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to operate in the following order.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린 정보 획득 시나리오이다.13 is a green information acquisition scenari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 위치 상에서의 측정 시나리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asurement scenario at a measurement 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1301 단계에서, 사용자는 측정 위치로 이동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골프공(1402)과 홀(1403), 그리고 퍼팅 보조 단말기(100)를 일직선상(1401)에 위치시키고, 골프공(1402)에서 약 2m 정도 뒤를 측정 위치로 한다. 하지만, 반드시 이러한 측정 위치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In step S1301, the user moves to the measurement position. 14,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olf ball 1402, the hole 1403, and the putting auxiliary terminal 100 are located in a straight line 1401, and the golf ball 1402 is approximately The measurement position is about 2m behin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such a measurement location.

이러한 일직선상(1401) 위치를 위해서 본 발명에의 레이저 포인터부(122)는 일직선을 표시하는 레이저를 조사하여 사용자에게 안내 가이드를 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버튼(109)를 누를 경우, 이러한 레이저가 조사될 수 있다.For such a straight line 1401 position, the laser pointer unit 12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guide guide to a user by irradiating a laser indicating a straight line.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109, such a laser may be irradiated.

사용자는 골프공(1402)을 포인팅한 상태에서 퍼팅 보조 단말기(100)가 측정을 시작하도록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은, 예를 들어, 버튼(109)를 꾹 누르는 방식일 수 있다.The user may input the golf ball 1402 to start the measurement while pointing at the golf ball 1402. Such an input may be, for example, a method of pressing the button 109 firmly.

상기 포인팅한 상태란, 골프공(1402)을 기준으로 측정을 시작할 수 있도록 헤드(103)가 골프공(1402)를 가리킨 상태를 의미한다. 이를 위하여 레이저 포인터부(122)가 가리키는 일지점이 골프공(1402)를 향하도록 포인팅할 수도 있으며,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소정 인디케이터(1405)가 골프공과 일치되도록 방향을 조정하는 방식일 수도 있을 것이다.The pointing state means a state in which the head 103 points to the golf ball 1402 so that measurement can be started based on the golf ball 1402. To this end, a point indicated by the laser pointer unit 122 may be pointed toward the golf ball 1402, or a method of adjusting the direction so that a predetermined indicator 1405 of the display unit 151 matches the golf ball. will be.

퍼팅 보조 단말기(100)가 측정을 시작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동일선상의 여러 지점에 대한 거리를 측정하면서, 영역에 대한 복수 개의 지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헤드(103)의 위치를 서서히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등 각도를 변경해 가면서 순차적으로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겠지만, 헤드(103) 자체에 구비되는 동력부에 의해서 헤드(103)의 각도가 자동으로 바뀌면서 스캔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When the putting auxiliary terminal 100 starts measuring, as described above, while sequentially measuring distances to several points on the same line,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area may be obtained. At this time, the user may gradually measure the distance while changing the angle, such as gradually raising or lowering the position of the head 103, but the angle of the head 103 is automatically adjusted by the power unit provided in the head 103 itself. As it changes, the scan may be made.

이와 같은 스캔은, 순차적으로 동작하여 홀(1403)에 도달할 때까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수동 스캔의 경우 사용자가 헤드(103)의 위치를 천천히 들어올려가며 골프공(1402)에 포인팅 되었던 상태에서 홀(1403)로 포인팅이 변경될 때까지 스캔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Such a scan may be performed sequentially until it reaches the hole 1403.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manual scan, the user may slowly lift the position of the head 103 and scan until the point is changed to the hole 1403 while pointing at the golf ball 1402.

또한, 자동 스캔의 경우, 헤드(103)의 동력부가 헤드(103)의 각도를 변경하여 홀(1403)을 포인팅하는 것으로 감지될 때까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utomatic scanning, the power unit of the head 103 may change the angle of the head 103 and may be performed until it is detected as pointing to the hole 1403.

일예시로, 스캔 동작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스캔이 된 후에 홀(1403)이 포인팅되는 경우, 사용자는 버튼(109)을 한 번 더 조작하여 스캔 동작을 마무리할 수 있을 것이다.As an example, if the hole 1403 is pointed after sequentially being scanned by the scan operation, the user may manipulate the button 109 once more to complete the scan operation.

이와 같은 일련의 스캔 동작 시, 사용자의 손떨림이라던지 조작상 실수로 인하여 손잡이(102)가 흔들리거나 회전되더라도, 상술한 짐벌부(110)의 동작에 의해서 헤드(103)의 기울어짐은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측정 상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높은 정확도로 그린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During such a series of scan operations, even if the handle 102 is shaken or rotated due to a user's hand shake or an operational error, the inclination of the head 103 can be effectively fixed by the operation of the gimbal unit 110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measurement situation will be kept constant, and gree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with high accuracy.

한편, 도 14에서와 같이 카메라(121)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도 있지만, 카메라(121)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에는 간단한 인디케이터를 포함한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표시되는 정보의 예시에 대해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4, an image captured through the camera 121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but when the camera 121 is not provided, information including a simple indicator may be displayed. An example of information displayed in this wa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5.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측정 과정에서의 표시 정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5 is a diagram illustrating display information in a measurement proces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도면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측정 과정을 전달하기 위하여, 홀(hole)을 나타내기 위한 홀 인디케이터(1501)와 골프공을 나타내기 위한 공 인디케이터(1502)가 표시되고 있다. 그리고, 골프공을 포인팅 한 상태에서 촬영이 시작될 경우, 골프공의 위치값을 나타내기 위한 수치들(1504, 1505)을 표시해준다.According to the drawing, a hole indicator 1501 for indicating a hole and a ball indicator 1502 for indicating a golf ball are displayed in order to convey an intuitive measurement process to the user. In addition, when the shooting is started while the golf ball is pointing, values 1504 and 1505 for indicating the position value of the golf ball are displayed.

예를 들어, 제 1 수치(1504)는 퍼팅 보조 단말기(100)와 골프공 사이의 측정된 거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234라교 표시된 제 1 수치(1504)는, 측정된 거리가 234cm이라는 것을 나타낸다.For example, the first numerical value 1504 means the measured distance between the putting auxiliary terminal 100 and the golf ball. For example, a first number 1504, marked 234, indicates that the measured distance is 234 cm.

제 2 수치(1505)는 현재 위치와의 높이 차이가 얼마인지를 표시해 줄 수 있다. +3이라는 것은 현재 나의 위치 보다 골프공이 +3cm 위로 높게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e second value 1505 may indicate what is the difference in height from the current location. +3 can mean that the golf ball is positioned +3cm higher than my current position.

순차적으로 스캔이 이루어질 경우, 해당 값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도 15 (b) 참조)해 줄 수 있다.When scanning is performed sequentially, corresponding values may be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refer to FIG. 15(b)).

마지막으로 홀까지 스캔이 이루어진 경우, 퍼팅 보조 단말기(100)는 홀의 위치값(1510)을 표시해 줄 수 있다. 이 홀의 위치값(1510)을 해석해 보면, 홀까지의 거리가 987cm이고, 홀의 높이가 내 발의 높이 보다 +10cm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Finally, when the scan is made to the hole, the putting auxiliary terminal 100 may display the position value 1510 of the hole. If you analyze the location value of this hole (1510), you can see that the distance to the hole is 987 cm, and the height of the hole is +10 cm higher than the height of my feet.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퍼팅 가이드의 출력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outputting a putting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퍼팅 영역에 대한 그린 정보가 획득될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해당 그린 정보를 분석 하고 어떠한 위치로 퍼팅해야 할 지 여부를 계산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green information on the putting area is obtained, the controller 1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green information and calculates the location to which the putting area should be put. Can provide.

도 16을 참조하면, 제 1 가이드값(1601)은 사용자와 홀 사이의 거리, 제 2 가이드값(1602)은 추가로 주어야 할 힘(또는 덜 줘야할 힘)을 나타내는 수치, 제 3 가이드값(1603)은 홀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얼마만큼 떨어진 지점을 노리고 쳐야 하는지를 나타낸다. 특히, 제 3 가이드값(1603)은, 홀의 좌측을 노릴 때에는 좌측으로 출력되고, 홀의 우측을 노릴 때에는 우측에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Referring to FIG. 16, a first guide value 1601 is a distance between a user and a hole, a second guide value 1602 is a value representing an additional force (or less force), and a third guide value ( 1603) indicates how far to the left or right of the hole to hit. In particular, the third guide value 1603 may be output to the left when targeting the left side of the hole, and may be output to the right side when targeting the right side of the hole.

도 16 (a)의 예시에서는, 사용자와 홀의 거리가 9.87m이고, 홀의 위치가 살짝 높으니 +8cm 정도 더 굴러갈 수 있도록 힘을 더하여 칠 것이며, 홀의 우측으로 45cm를 노리고 치라는 가이드를 의미한다.In the example of FIG. 16 (a),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hole is 9.87m, and the position of the hole is slightly high, so the force will be applied to roll more about +8cm, and it means a guide to hit 45cm to the right of the hole .

도 16 (b)의 예시에서는, 사용자와 홀의 거리가 4.22m이고, 홀의 위치가 살짝 낮으니 -19cm 정도 덜 굴러갈 수 있도록 힘을 빼고 칠 것이며, 홀의 좌측으로 30cm를 노리고 치라는 가이드를 의미한다.In the example of FIG. 16(b),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hole is 4.22m, and the location of the hole is slightly lower, it means a guide to hit with a target of 30cm to the left of the hole so that it can roll less by -19cm. .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팅 가이드 정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7 is a diagram illustrating putting guide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도면에 따르면, 도 16에서와 마찬가지로 제 1 내지 제 3 가이드값(1601 ~ 1603)이 출력된다. 이 가이드값은 도 1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을 것이다.According to the illustrated drawing, as in FIG. 16, first to third guide values 1601 to 1603 are output. This guide value will be as described above in FIG. 16.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퍼팅 예상 곡선(1701)을 더 출력하여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dicted putting curve 1701 may be further output and provided.

이러한 퍼팅 예상 곡선(1701)은 실질적으로 사용자에게 골프공이 움직이는 경로를 제공해 주어, 보다 효과적이고 직관적인 퍼팅 보조가 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dicted putting curve 1701 substantially provides a path for the golf ball to move to the user, and thus, may be a more effective and intuitive putting ai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쳐야 하는 힘의 세기를 가이드해 주는데 있어서(즉, 상기 제 2 가이드값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온도 및/또는 습도를 반영하도록 제안한다.The control unit 1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to reflect the temperature and/or humidity in guiding the strength of the force to be struck (that is, in determining the second guide value).

상술한 바와 같이 센싱부(140)는 온도 또는 습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있으며, 온도와 습도는 그린과 골프공의 마찰력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이기 때문에, 이를 반영한 퍼팅 가이드를 제공해 주도록 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ensing unit 140 is provided to measure temperature or humidity, and since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factors that affect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green and the golf ball, a putting guide reflecting this is provided.

그렇기 때문에, 제어부(180)는 측정된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록 제 2 가이드값을 낮추도록 제어하며, 측정된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록 제 2 가이드값을 높이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o lower the second guide value as the measured temperature increases relatively, and may control to increase the second guide value as the measured temperature decreases.

반대로, 습도가 높을 경우에는 골프공과 그린 사이에 마찰력이 올라가게 되므로, 제어부(180)는 측정된 습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록 제 2 가이드값을 높이도록 제어하며,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록 제 2 가이드값을 낮추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Conversely, when the humidity is high,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golf ball and the green increases, so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second guide value to increase as the measured humidity is relatively high, and the second guide value is increased as the humidity is relatively low. You will be able to control it to lower it.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퍼팅 보조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를 설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utting auxiliary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is is described as at least one embodiment,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limited by the drawings or the descrip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concepts an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s a basis for modifying or designing other structures in order to perform the sam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 Modified or changed equivalent structure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s bound b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Various changes, substitu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limit.

Claims (7)

그린 상의 소정 지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그린의 높낮이 또는 경사를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거리측정부는, 적어도 두 지점에 대한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두 지점에 대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그린의 높낮이 또는 경사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보조 단말기.
A distanc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distance to a predetermined point on the green; And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the height or slope of the green based on the measured distance,
The distance measuring unit measures the distance to at least two points,
The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to calculate the height or slope of the green based on the measured distance to the two points,
Putting auxiliary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측정부는,
레이저 발광부; 및
레이저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발광부를 통하여 조사된 레이저가 상기 레이저 수광부를 통하여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거리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보조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tance measuring unit,
Laser light emitting unit; And
Including a laser light receiv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laser irradiated through the laser light emitting unit calculates a distance based on a result detected through the laser light receiving unit,
Putting auxiliary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측정부는,
지면으로 수직한 지점의 거리를 더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보조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tance measur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measuring the distance of the point perpendicular to the ground,
Putting auxiliary terminal.
제 3 항에 있어서,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기울임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보조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nclination detector for detecting inclination,
Putting auxiliary termina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지점에 대한 제 1 거리, 상기 수직한 지점의 제 2 거리 및 상기 기울임 감지부를 통하여 감지된 기울어진 각도를 기초로 상기 제 1 지점의 높낮이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보조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The height of the first point is calculated based on a first distance to a first point, a second distance to the vertical point, and an inclined angle sensed through the tilt detection unit,
Putting auxiliary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산된 결과에 기초하여 퍼팅 가이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보조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The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o output a putting guide screen to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calculated result,
Putting auxiliary terminal.
그린 상의 소정 지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그린의 높낮이 또는 경사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는, 적어도 두 지점에 대한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두 지점에 대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그린의 높낮이 또는 경사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보조 단말기의 제어 방법.
Measuring a distance to a predetermined point on the green; And
Including the step of calculating the height or slope of the green based on the measured distance,
The step of measuring the distance, measuring the distance to at least two points,
In the calculating, the height or slope of the green is calculated based on the measured distance to the two points,
Putting auxiliary terminal control method.
KR1020190051286A 2019-05-02 2019-05-02 Putting assistance apparatus based on green information providing putting guid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951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286A KR102295126B1 (en) 2019-05-02 2019-05-02 Putting assistance apparatus based on green information providing putting guid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20/005566 WO2020222493A1 (en) 2019-05-02 2020-04-28 Putting assistance terminal for providing putting guide on basis of green inform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286A KR102295126B1 (en) 2019-05-02 2019-05-02 Putting assistance apparatus based on green information providing putting guid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343A true KR20200127343A (en) 2020-11-11
KR102295126B1 KR102295126B1 (en) 2021-08-31

Family

ID=73028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286A KR102295126B1 (en) 2019-05-02 2019-05-02 Putting assistance apparatus based on green information providing putting guid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95126B1 (en)
WO (1) WO2020222493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0343A1 (en) * 2021-06-08 2022-12-15 주식회사 브이씨 Green slope calculation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of green slope calculation apparatus
WO2023224399A1 (en) * 2022-05-18 2023-11-23 김영국 Smart putting device calculating putting distance on basis of image captured by camera, and method of measuring putting distance us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8844A (en) * 2010-01-29 2011-08-04 김영훈 Measurement method for golf distance considering vertical drop
KR20120091510A (en) * 2011-02-09 2012-08-2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utting distance indicator
KR20180099443A (en) *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유컴테크놀러지 Distance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945B1 (en) * 2011-01-13 2013-03-25 티케이에스코리아 주식회사 Disital cuide golf terminal
KR101596626B1 (en) * 2015-02-16 2016-02-23 조찬동 Measuring device for putting distance and measuring method for putting distance
KR101813243B1 (en) * 2016-05-24 2017-12-29 주식회사 골프존유통 Device and method for recommending distance at golf field
KR101889758B1 (en) * 2017-01-11 2018-08-20 오진우 Non-contacting clinometer for a golf gre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8844A (en) * 2010-01-29 2011-08-04 김영훈 Measurement method for golf distance considering vertical drop
KR20120091510A (en) * 2011-02-09 2012-08-2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utting distance indicator
KR20180099443A (en) *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유컴테크놀러지 Distance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0343A1 (en) * 2021-06-08 2022-12-15 주식회사 브이씨 Green slope calculation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of green slope calculation apparatus
WO2023224399A1 (en) * 2022-05-18 2023-11-23 김영국 Smart putting device calculating putting distance on basis of image captured by camera, and method of measuring putting distance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22493A1 (en) 2020-11-05
KR102295126B1 (en) 202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18864B (en) Measuring device
EP3080550B1 (en) Laser receiver using a smart device
US7536033B2 (en) Portable swing analyzer
US10469754B2 (en) Position guiding device, position guiding method, and position guiding program
US20150343293A1 (en) Measuring device for detecting a hitting movement of a hitting implement, training device, and method for training a hitting movement
JP6739122B2 (en) Golf ball launch monitor target position adjusting method and system
US20110159976A2 (en) A Golf Diagnosis Apparatus And A Method Of Performing Golf Diagnosis
JP2006506654A (en) Level, angle and distance measuring device
KR102295126B1 (en) Putting assistance apparatus based on green information providing putting guid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60076936A1 (en) Method of attaching camera or imaging sensor to test and measurement tools
KR101874757B1 (en) Gradient measuring apparatus for structure
US8852016B2 (en) Golf swing analysis apparatus
EP3933669A1 (en) Posture comparison and correction method using application configured to check two golf images and result data in overlapping state
US10898156B2 (en) Radiation image capturing system and method
US20210033394A1 (en) Surveying apparatus, surveying method, and surveying program
CN103175616A (en) Thermal imaging camera with compass calibration
US20200047026A1 (en) Sensor device-equipped golf shoes
KR20180036004A (en) Digital Ball Marker With Providing Function of Putting Informations
KR200456597Y1 (en) A portable height measuring device using tilt sensors
KR20180082920A (en) Non-contacting clinometer for a golf green
JP2024020490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698007B1 (en) Non-contacting clinometer for a golf green
KR102268954B1 (en) Method for detecting golf ball hitting and golf swing motion analysis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50049823A (en) Ball-marker having function of providing golf inform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golf information using the same
JP6438899B2 (en) Golf practic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