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6674A - 보드게임 도구 및 이를 이용한 보드게임 방법 - Google Patents

보드게임 도구 및 이를 이용한 보드게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6674A
KR20200126674A KR1020190050602A KR20190050602A KR20200126674A KR 20200126674 A KR20200126674 A KR 20200126674A KR 1020190050602 A KR1020190050602 A KR 1020190050602A KR 20190050602 A KR20190050602 A KR 20190050602A KR 20200126674 A KR20200126674 A KR 20200126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operator
board
game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준혁
Original Assignee
송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준혁 filed Critical 송준혁
Priority to KR1020190050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6674A/ko
Publication of KR20200126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6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173Characteristics of game boards, alone or in relation to supporting structures or playing piece
    • A63F3/00176Boards having particular shapes, e.g. hexagonal, triangular, circular, irregula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697Playing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173Characteristics of game boards, alone or in relation to supporting structures or playing piece
    • A63F3/00176Boards having particular shapes, e.g. hexagonal, triangular, circular, irregular
    • A63F2003/00182Four-sided game boar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697Playing pieces
    • A63F2003/00832Playing pieces with groups of playing pieces, each group having its own characteristic
    • A63F2003/00835The characteristic being the col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드게임 도구 및 이를 이용한 보드게임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 도구는, 다각형 형상으로 구비되는 게임판; 상기 게임판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상기 게임판 위에 놓이며, 연산자가 인쇄된 연산자타일 및 숫자가 인쇄된 숫자타일을 포함하는 타일조각; 서로 다른 숫자가 각각 인쇄된 다수 개의 숫자카드; 및 복수의 그룹이 색상으로 구분되고, 각 그룹은 모양이 서로 다른 복수 개로 구분되는 모양조각을 포함하고, 상기 게임판 위에서 상기 연산자타일과 상기 숫자타일은 서로 교번 배열되고, 이용자가 상기 숫자카드에 인쇄된 숫자에 해당하는 상기 연산자타일 및 상기 숫자타일의 조합 위에 상기 모양조각이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드게임 도구 및 이를 이용한 보드게임 방법{Board game tool and board game method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드게임 도구 및 이를 이용한 보드게임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드게임(Board game)이라 함은, 판 위에서 말이나 카드 또는 칩을 놓고 일정한 규칙에 따라 진행하는 게임이다. 상세하게는, 부루마블과 같이 플레이어가 판 위에다 각각 자신의 말을 올려놓고 정해진 규칙에 따라 게임을 진행하는 보드게임과, 플레이어가 정해진 숫자의 카드를 가지고 일정한 규칙에 따라 게임을 진행하는 카드게임이 있다.
이러한 보드게임은 건전한 놀이문화를 통해서 플레이어 간의 사교성을 증진시키고, 나아가 일정한 규칙에 따라 전략을 세우고 게임을 진행하는 과정을 통하여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최근의 보드 게임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해지고 있고, 그 중에서 학생이나 어린이들의 사고력 발달 및 창의성 개발을 위한 교육용 보드게임들이 다양하게 개발,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중에 시판되고 있는 교육용 보드게임들은 그 구성이나 기능이 극히 단순하고 수준이 낮아서 단순한 놀이에만 이용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학습 효과 특히 수학적 사고력 향상의 학습 효과는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보드게임 도구는 일정 수준의 게임만이 가능하여, 학생의 학습수준이 높아지면 상기 보드게임 도구의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어, 추후 이용 빈도가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보드게임과 관련된 선행문헌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04387호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정 숫자가 답으로 산출되는 다양한 계산식을 발견하도록 하는, 보드게임 도구 및 이를 이용한 보드게임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플레이어가 다양한 난이도를 선택하여 게임을 이용할 수 있도록, 복수 단계의 게임 난이도를 포함하는, 보드게임 도구 및 이를 이용한 보드게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 도구는, 다각형 형상으로 구비되는 게임판; 상기 게임판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상기 게임판 위에 놓이며, 연산자가 인쇄된 연산자타일 및 숫자가 인쇄된 숫자타일을 포함하는 타일조각; 서로 다른 숫자가 각각 인쇄된 다수 개의 숫자카드; 및 복수의 그룹이 색상으로 구분되고, 각 그룹은 모양이 서로 다른 복수 개로 구분되는 모양조각을 포함하고, 상기 게임판 위에서 상기 연산자타일과 상기 숫자타일은 서로 교번 배열되고, 이용자가 상기 숫자카드에 인쇄된 숫자에 해당하는 상기 연산자타일 및 상기 숫자타일의 조합 위에 상기 모양조각이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 방법은, 상기 보드게임 도구를 이용하는 보드게임 방법으로서, 게임을 하고자 하는 복수의 이용자가 상기 연산자타일 및 숫자타일을 상기 게임판 위에 서로 교번되게 배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이용자가 상기 복수의 그룹의 모양카드를 나눠 가지는 단계; 상기 숫자카드를 섞은 후 한 장을 뒤집어서 문제를 제시하는 단계; 상기 제시된 문제의 숫자카드를 답으로 산출 가능한 연산자타일 및 숫자타일의 조합을 찾는 단계; 및 상기 조합을 찾은 이용자는 나눠 가진 상기 모양카드로 상기 조합에 포함되는 연산자타일 및 숫자타일을 덮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 도구에 의하면, 이용자는 특정 숫자가 답으로 산출되는 다양한 계산식을 발견하면서 수학적 사고력 및 창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세히, 상기 이용자는 상기 특정 숫자가 답으로 산출되기 위하여 다양한 연산자를 이용하게 되므로, 다양한 연산자에 대한 거부감이 감소되고 연산 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이용자는 학습 수준이 향상되면 상대적으로 어려운 난이도의 게임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의 학습 동기를 고취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이용자는 하나의 보드게임 도구를 이용하여 다양한 난이도의 게임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최대 4명까지 이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인원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 도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 도구를 구성하는 게임판 및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게임판에 올려놓는 타일조각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상기 타일조각을 덮는 모양조각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 도구를 이용하여 게임을 하는 일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 도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 도구를 구성하는 게임판 및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게임판에 올려놓는 타일조각의 평면도이고, 도 4는 상기 타일조각을 덮는 모양조각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 도구(10)는, 게임을 하기 위한 게임판(110), 상기 게임판(110) 위에 올려두는 타일조각(200), 상기 타일조각(200)을 덮는 모양조각(300) 및 숫자카드(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드게임 도구(10)는 상기 게임판(110), 상기 타일조각(200), 상기 모양조각(300) 및 상기 숫자카드(400)를 보관하기 위한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바닥케이스(130) 및 뚜껑케이스(150)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케이스(130)가 상기 뚜껑케이스(150)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바닥케이스(130) 및 상기 뚜껑케이스(150)를 결합시켜 상기 보드게임 도구(10)를 보관할 수 있다. 즉, 상기 게임판(110), 상기 타일조각(200), 상기 모양조각(300) 및 상기 숫자카드(400)는 결합된 상기 바닥케이스(130) 및 상기 뚜껑케이스(150)의 내부에 보관된다.
상기 게임판(110)은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는 일 예로 상기 게임판(110)이 정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게임판(110)은 상기 타일조각(200)을 올려두는 조각수용부(111) 및 상기 게임판(110)의 테두리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테두리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115)에 의해 상기 조각수용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115)는 상기 타일조각(200)이 상기 조각수용부(111)를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타일조각(20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일조각(200)의 높이는 상기 조각수용부(111)와 접촉되는 바닥면(기준점)으로의 높이이다.
상기 바닥케이스(130) 및 뚜껑케이스(150)는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는 일 예로 상기 바닥케이스(130) 및 뚜껑케이스(150)가 정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바닥케이스(130)는 상기 게임판(110)과 마찬가지로, 테두리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테두리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케이스(130)는 상기 테두리부(131)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측에 상기 게임판(110)을 둘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131)는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케이스(130)는 상기 테두리부(13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획벽(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벽(133)은 서로 교차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바닥케이스(130)는 상기 구획벽(133) 및 상기 테두리부(131)에 의해 구획되는 4개의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타일조각(200), 상기 모양조각(300) 또는 상기 숫자카드(400)를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131)와 상기 구획벽(133)의 높이는 상이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테두리부(131)의 높이가 상기 구획벽(133)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테두리부(131)와 상기 구획벽(133)의 높이 차는 상기 구획벽(133)의 상방에 상기 게임판(110)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드게임 도구(10)를 사용하지 아니할 경우,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타일조각(200), 상기 모양조각(300) 또는 상기 숫자카드(400)를 수용시키고, 상기 구획벽(133)의 상방에 상기 게임판(110)을 올려 보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보드게임 도구(10)의 수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바닥케이스(130)는, 상기 뚜껑케이스(150)의 후술할 제 2 자석(155)과 결합되는 제 1 자석(1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자석(135)은 상기 테두리부(131)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자석(135)은 다수 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제 1 자석(135)은 네 변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테두리부(131)의 상면 중앙에 위치되어 상기 뚜껑케이스(150)의 제 2 자석(155)과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바닥케이스(130)와 상기 뚜껑케이스(150)의 결합 방법은 상기 제 1 자석(135) 및 제 2 자석(155)을 이용한 방법 외에도 상기 바닥케이스(130) 및 상기 뚜껑케이스(15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한 다른 방법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뚜껑케이스(150)는 상기 바닥케이스(130)와 마찬가지로, 테두리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테두리부(151) 및 상기 테두리부(15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형성되는 구획벽(1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뚜껑케이스(150)의 테두리부(151)는 상기 바닥케이스(130)의 테두리부(131)와 동일한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구획벽(153)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테두리부(151)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뚜껑케이스(150)의 내부공간 중앙에 마름모 형태의 제 1 구획벽(153a)과, 상기 제 1 구획벽(153a)의 4개의 꼭지점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테두리부(151)의 내측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구획벽(15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벽(153)은 상기 테두리부(151)가 돌출되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바닥케이스(130)와 상기 뚜껑케이스(150)의 결합시 내부에 보관되는 게임판(110) 등이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보관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케이스(150)의 테두리부(151) 및 구획벽(153)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바닥케이스(130)와 상기 뚜껑케이스(150)의 결합시 상기 바닥케이스(130)에 올려진 상기 게임판(110)을 상기 구획벽(153)이 누르게 되어 상기 게임판(110)은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케이스(150)는, 상기 바닥케이스(130)의 제 1 자석(135)가 결합되는 제 2 자석(1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자석(135)은 상기 테두리부(151)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자석(155)은 다수 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제 2 자석(155)은 상기 제 1 자석(135)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네 변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테두리부(151)의 상면 중앙에 위치되어 상기 바닥케이스(130)의 제 1 자석(135)과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드게임 도구(10)는 상기 게임판(110)을 상기 바닥케이스(130) 및 상기 뚜껑케이스(150) 내부에 보관시 상기 게임판(110)을 덮을 판뚜껑(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뚜껑(170)은 상기 타일조각(200)이 올려진 상기 게임판(110)을 덮어 상기 타일조각(200)이 흐트러지지 않게 보관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먼지 등의 투입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판뚜껑(170)은 다각형의 얇은 판으로 구비될 수 있고,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는 일 예로 상기 판뚜껑(170)이 정사각형의 얇은 판으로 구비되는 것이 도시된다.
또한, 상기 판뚜껑(170)에는, 상기 게임판(110)을 덮고 있는 판뚜껑(170)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홈(17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171)에 이용자가 손가락을 넣어 상기 판뚜껑(170)을 용이하게 제거 가능하다.
상기 타일조각(200)은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는 일 예로 상기 타일조각(200)이 정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다수 개의 타일조각(200)은 상기 게임판(110)에 올리게 되면, 상기 게임판(110)의 조각수용부(111)를 모두 덮을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타일조각(200)은, 수학연산자가 인쇄된 연산자타일(210)과 숫자가 인쇄된 숫자타일(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산자타일(210)과 상기 숫자타일(220)은 각각 동일한 개수가 상기 게임판(110)에 올려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게임판(110)에 놓이는 상기 타일조각(200)은 100개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산자타일(210) 및 숫자타일(220)은 각각 50개가 상기 게임판(110) 위에 놓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판(110)에 올려지는 타일조각(200)을 100개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연산자타일(210) 및 숫자타일(220)은 이용자가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상이한 색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산자타일(210)은 검정색(제 1 색상)으로, 상기 숫자타일(220)은 흰색(제 2 색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산자타일(210) 및 숫자타일(220)은 상기 게임판(110) 위에서 교차로 배열되어 놓일 수 있다. 즉, 상기 연산자타일(210)의 네 변은 상기 숫자타일(220)과 접촉되고, 상기 숫자타일(220)의 네 변은 상기 연산자타일(210)과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연산자타일(210)은, 제1연산자타일(212), 제2연산자타일(214) 및 제3연산자타일(2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산자타일(212), 제2연산자타일(214) 및 제3연산자타일(216)에 인쇄된 연산자는 서로 다른 종류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연산자타일(212), 제2연산자타일(214) 및 제3연산자타일(216)은 이용자가 선택한 상기 보드게임 도구(10)의 난이도에 따라 이용되거나 이용되지 아니할 수 있다.
상기 보드게임 도구(10)의 난이도는 복수 단계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난이도는 제1단계, 제2단계 및 제3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단계에서 제3단계로 갈수록 난이도는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이 때, 상기 제1연산자타일(212)은 제1단계, 제2단계 및 제3단계에서 모두 이용되고, 상기 제2연산자타일(214)은 제2단계 및 제3단계에서 이용되며, 상기 제3연산자타일(216)은 제3단계에서 이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연산자타일(212)에 인쇄된 연산자보다 상기 제2연산자타일(214)에 인쇄된 연산자가 상대적으로 이용자게에게 어려울 수 있고, 상기 제2연산자타일(214)에 인쇄된 연산자보다 상기 제3연산자타일(216)에 인쇄된 연산자가 상대적으로 더 어려울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연산자타일(212)에 인쇄된 연산자는 '+(더하기)', '-(빼기)', 'x(곱하기)', '÷(나누기)' 및 조커(extra card or wild card)일 수 있다.
상기 '+(더하기)', '-(빼기)', 'x(곱하기)' 및 '÷(나누기)'는 수학교육과정 상 상대적으로 쉬운 연산자이므로, 제1단계, 제2단계 및 제3단계에서 모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조커는, 'ㅁ'의 문양으로 인쇄될 수 있고, 상기 연산자타일(210)에 쓰여질 수 있는 모든 연산자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산자타일(214)에 인쇄된 연산자는 'G(최대공약수)', 'L(최소공배수)' 및 '
Figure pat00001
(거듭제곱)'일 수 있다. 상기 'G(최대공약수)'는 인접한 두 개의 숫자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연산자이고, 상기 'L(최소공배수)'는 인접한 두 개의 숫자의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연산자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
Figure pat00002
(거듭제곱)'은 인접한 한 개의 숫자를 인접한 다른 한 개의 숫자만큼 제곱하는 연산자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연산자타일(216)에 인쇄된 연산자는 'mod(나머지)' 및 '
Figure pat00003
(거듭제곱근)'일 수 있다. 'mod(나머지)'는 인접한 한 개의 숫자를 인접한 다른 한 개의 숫자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자이고, 상기 '
Figure pat00004
(거듭제곱근)'는 인접한 두 개를 이용하여 거듭제곱근을 구하는 연산자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산자타일(212)은 '+(더하기)', '-(빼기)', 'x(곱하기)' 및 '÷(나누기)'가 각각 12개씩 인쇄되고, '조커'는 2개 인쇄되어 총 50개일 수 있다. 즉, 제1단계에서 이용되는 상기 제1연산자타일(212)은 50개일 수 있다. 그리고, 제2단계에서는 조커가 인쇄된 제1연산자타일(212) 1개와, '+(더하기)', '-(빼기)', 'x(곱하기)' 및 '÷(나누기)'의 연산자가 10개씩 인쇄된 제1연산자타일(212) 40개가 이용되어 제1연산자타일(212) 총 41개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3단계에서는 조커가 인쇄된 제1연산자타일(212) 2개와, '+(더하기)', '-(빼기)', 'x(곱하기)' 및 '÷(나누기)'의 연산자가 7개씩 인쇄된 제1연산자타일(212) 28개가 이용되어 제1연산자타일(212) 총 30개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산자타일(214)은 'G(최대공약수)', 'L(최소공배수)' 및 '
Figure pat00005
(거듭제곱)'가 각각 4개씩 인쇄되어 총 12개일 수 있다. 이 때, 제1단계에서는 상기 제2연산자타일(214)이 이용되지 아니하고, 제2단계에서는 'G(최대공약수)', 'L(최소공배수)' 및 '
Figure pat00006
(거듭제곱)'가 인쇄된 상기 제2연산자타일(214)이 3개씩 총 9개 이용될 수 있으며, 제3단계에서는 'G(최대공약수)', 'L(최소공배수)' 및 '
Figure pat00007
(거듭제곱)'가 인쇄된 상기 제2연산자타일(214)이 4개씩 총 12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연산자타일(216)은 'mod(나머지)' 및 '
Figure pat00008
(거듭제곱근)'가 각각 4개씩 인쇄되어 총 8개일 수 있다. 이 때, 제1단계 및 제2단계에서는 상기 제3연산자타일(216)이 이용되지 아니하고, 제3단계에서는 상기 제3연산자타일(216)이 모두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단계, 제2단계 및 제3단계에서 이용되는 연산자타일(210)은 항상 50개이다.
또한, 상기 숫자타일(220)은 0-10까지의 숫자 중 0을 포함한 짝수가 인쇄된 제1숫자타일(222), 0-10까지의 숫자 중 홀수가 인쇄된 제2숫자타일(224) 및 조커(extra card or wild card)를 표시하는 문양이 인쇄된 제3숫자타일(226)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숫자타일(222)에 인쇄된 숫자'6'의 아래에는 밑줄을 인쇄하여, 상기 제2숫자타일(224)의 숫자'9'와의 혼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숫자타일(220)에는 조커를 표시하는 문양이 인쇄될 수 있다. 상기 조커를 표시하는 문양은 'N'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숫자타일(222)은 0,2,4,6,8,10 중 하나의 숫자가 각각 4개씩 인쇄될 수 있고, 상기 제2숫자타일(224)은 1,3,5,7,9 중 하나의 숫자가 각각 5개씩 인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숫자타일(222)은 총 24개이고, 상기 제2숫자타일(224)은 총 25개일 수 있다. 상기 제3숫자타일(226)은 1개일 수 있다. 따라서, 제1단계, 제2단계 및 제3단계에서 이용되는 상기 숫자타일(220)은 항상 50개이다.
상기 모양조각(300)은 다수 개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도 4에는 상기 모양조각(300)이 서로 다른 6개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도시된다.
상세히, 상기 모양조각(300)은 상기 타일조각(200)과 동일한 크기의 제1모양조각(310), 상기 타일조각(200) 두 개를 이어붙인 크기의 제2모양조각(320),상기 타일조각(200) 세 개를 이어붙인 크기의 제3모양조각(330) 및 상기 타일조각(200) 네 개를 이어붙인 제4모양조각(3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양조각(300)은 상기 타일조각(200) 세 개를 'ㄴ자 형태로 이어붙인 제5모양조각(350) 및 상기 타일조각(200) 네 개를 'ㄴ'자 형태로 이어붙인 제6모양조각(3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양조각(300)은 상기 실시예 외에도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모양조각(300)은 복수 개의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모양조각(300)은 총 4개의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모양조각(300)은 제1색상군(312,322,332,342,352,362), 제2색상군(314,324,334,344,354,364), 제3색상군(316,326,336,346,356,366) 및 제4색상군(318,328,338,348,358,368)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색상군, 제2색상군, 제3색상군 및 제4색상군은 색상만 상이하고, 조각의 형태 및 개수는 동일한 모양조각(300)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보드게임 도구(10)의 이용자가 4명인 경우, 4명의 이용자는 제1색상군, 제2색상군, 제3색상군 및 제4색상군을 나눠 가질 수 있다.
상기 숫자카드(400)는 서로 다른 숫자가 인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숫자카드(400)는 1-100까지의 숫자가 인쇄될 수 있다. 즉, 상기 보드게임 도구(10)에 포함되는 상기 숫자카드(400)는 모두 100장일 수 있다.
이 때, 제1단계에서 이용되는 상기 숫자카드(400)는 1-40까지의 숫자가 1개씩 인쇄된 총 40장의 카드이고, 제2단계 및 제3단계에서 이용되는 상기 숫자카드(400)는 1-100까지의 숫자 중 임의의 숫자가 1개씩 인쇄된 총 40장의 카드일 수 있다. 따라서, 제2단계 및 제3단계에서 이용되는 숫자카드(400)에 인쇄된 숫자는 매 게임마다 상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드게임 도구(10)를 이용한 보드게임 방법을 예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게임방법은 이용자들의 수준이나 게임 인원, 장소 등에 따라 적절하게 합의,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가능한 이용자의 인원은 최대 4명까지 가능하다.
조합의 세부규칙을 설명한다. 상기 세부규칙은 제1단계, 제2단계 및 제3단계에서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조합"은 연산자타일(210)과 숫자타일(220)의 조합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상기 조합이 3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연산자타일(210)은 1개이고, 숫자타일(220)은 2개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2개의 숫자타일(220)은 상기 1개의 연산자타일(210)과 접촉되어야 한다.
다른 예로, 상기 조합이 5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연산자타일(210)은 2개이고, 숫자타일(220)은 3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3개의 숫자타일(220) 중 2개의 숫자타일(220)은 상기 2개의 연산자타일(210)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되어야 하고, 상기 3개의 숫자타일(220) 중 다른 1개의 숫자타일(222)은 상기 2개의 연산자타일(210) 모두와 접촉되어야 한다.
상기 제1연산자타일(212) 중 '÷(나누기)'의 연산자가 인쇄된 제1연산자타일(212)을 포함한 조합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조합의 숫자타일(220)에 '0'이 인쇄된 숫자타일(220)은 포함될 수 없다. 즉, '0'으로 나누는 연산은 허용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연산자타일(212) 중 '÷(나누기)'의 연산자가 인쇄된 제1연산자타일(212)을 포함한 조합을 선택하더라도, 상기 조합의 1개의 숫자타일(220)에 인쇄된 숫자를 다른 1개의 숫자타일(220)에 인쇄된 숫자로 나눈 나머지가 답이 될 수는 없다. 즉, 나눈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은 제3연산자타일(216)의 'mod(나머지)'외에는 허용될 수 없다.
또한, 상기 조합의 계산 과정에서 나오는 모든 소수 및 분수는 계산 중간에서 버림으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2 ÷ 3 + 1 ÷ 3 의 답은 2 / 3 + 1 / 3 = 1이 아닌, 0 + 0 = 0 으로 계산된다.
또한, 제3연산자타일(216)에 인쇄된 '
Figure pat00009
(거듭제곱근)'는 양의 제곱근을 구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숫자나 연산의 순서는 게임판(110)의 조각수용부(111)에 놓여진 타일조각(200)의 배열과 무관하게 이용자가 임의로 정하고, 연산의 우선순위는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이용자가 괄호를 임의의 위치에 사용 가능하다.
우선, 상기 보드게임 도구(10)를 이용하고자 하는 다수의 이용자는 각자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모양조각(300)의 색상을 결정하여 나누어 갖는다. 그리고, 다수의 이용자는 게임의 난이도를 선택한다. 제1단계, 제2단계 및 제3단계 중에서 선택 가능하다.
먼저, 제1단계의 난이도를 선택하는 경우 보드게임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다수의 이용자는 상기 제1연산자타일(212) 50개와, 상기 숫자타일(220) 50개를 상기 게임판(110)의 조각수용부(111) 위에 교번하여 배열되도록 놓는다. 이 때, 상기 제1연산자타일(212)의 네 변에는 숫자타일(220)이 접촉되고, 상기 숫자타일(220)의 네 변에는 제1연산자타일(212)이 접촉되도록 배치한다.
상기 숫자카드(400) 중 1-40개의 숫자가 인쇄된 40장의 숫자카드(400)를 섞어서 숫자가 인쇄되지 않은 면이 이용자에게 보이도록 쌓아둔다.
상기 쌓아둔 숫자카드(400) 중 가장 위에 위치하는 숫자카드(400)를 뒤집어 문제를 제시한다. 이용자는 상기 게임판(110)의 조각수용부(111) 위에 올려진 타일조각(200) 중 상기 뒤집어진 숫자카드(400)가 답으로 산출될 제1연산자타일(212)과 숫자타일(220)의 조합을 찾는다. 이 때, 상기 조합의 세부규칙을 적용한다.
상기 뒤집어진 숫자카드(400)가 답으로 산출될 제1연산자타일(212)과 숫자타일(220)의 조합을 가장 먼저 찾은 이용자는, 상기 조합을 다른 이용자에게 보여주고, 상기 조합에 해당하는 타일조각(200)을 모양카드(300)로 덮는다. 이 때, 자신의 모양카드(300)로 덮은 타일조각(200)은 상기 조합을 찾은 이용자의 영역이 된다.
다만, 상기 모양조각(300)은 한 번에 최대 3개까지 이어서 덮을 수 있다. 즉, 상기 조합을 찾았으나, 상기 이용자가 가지고 있는 모양조각(300)으로 상기 조합을 구성하는 타일조각(200)만 덮지 못하는 경우 상기 조합은 무효가 된다.
또한, 상기 뒤집어진 숫자카드(400)가 답으로 산출된 조합이 없다고 판단되거나 상기 조합을 찾은 이용자가 있는 경우, 다시 새로운 숫자카드(400)를 뒤집어 게임을 반복한다.
상술한 과정에 의하여 상기 게임판(110)은 모양카드(300)로 덮인 영역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게임판(110)에 모양카드(300)로 덮이지 않은 타일조각(200) 중 숫자카드(400)를 답으로 산출할 조합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 게임은 종료된다. 상기 게임판(110)을 덮은 모양카드(300)에 의해 가장 많은 영역을 차지하는 이용자가 우승자가 된다.
다음, 제2단계의 난이도를 선택하는 경우 보드게임 방법을 설명한다. 제2단계의 보드게임 방법은 제1단계의 보드게임 방법과 다른 방법에 있어서는 동일하고, 상기 게임판(110)의 조각수용부(111)에 배열되는 연산자타일(210)의 종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2단계의 보드게임 방법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다수의 이용자는 상기 제1단계와 마찬가지로 연산자타일(210) 50개와 숫자타일(220) 50개를 상기 게임판(110)의 조각수용부(111) 위에 교차로 배열하여 놓는다. 제2단계에서의 상기 연산자타일(210)은 상기 제1연산자타일(212) 중 '+(더하기)', '-(빼기)', 'x(곱하기)' 및 '÷(나누기)'가 인쇄된 제1연산자타일(212) 각각 10개와, 조커를 표시하는 문양이 인쇄된 제1연산자타일(212) 1개와, 상기 제2연산자타일(214) 중 'G(최대공약수)', 'L(최소공배수)' 및 '
Figure pat00010
(거듭제곱)'이 인쇄된 타일 각각 3개씩으로 총 50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숫자타일(220)은 상기 제1단계에서와 동일하다. 이 때, 상기 연산자타일(210)의 네 변에는 숫자타일(220)이 접촉되고, 상기 숫자타일(220)의 네 변에는 연산자타일(210)이 접촉되도록 배치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5(a)와 같이 숫자 '24'가 인쇄된 숫자카드(400)가 뒤집어진 경우, 이용자는 도 5(b)와 같이 '4 x 6'의 조합을 찾을 수 있다. 즉, 숫자타일(220) 중 '4' 및 '6'이 인쇄된 숫자타일(220)과, 연산자타일(210) 중 'x(곱하기)'가 인쇄된 연산자타일(210)의 조합으로 숫자 '24'가 산출 가능하다.
상기 '4 x 6'의 조합을 찾은 이용자는 도 5(c)와 같이 자신의 모양조각(300) 중 제3모양조각(330)을 이용하여 '4'가 인쇄된 숫자타일(220), 'x(곱하기)'가 인쇄된 연산자타일(210) 및 '6'이 인쇄된 숫자타일(220)을 덮을 수 있다. 즉, 상기 '4 x 6'의 조합을 찾은 이용자는 상기 제3모양조각(330)으로 덮인 영역을 자신의 영역으로 만들 수 있다.
다음, 제3단계의 난이도를 선택하는 경우 보드게임 방법을 설명한다. 제3단계의 보드게임 방법은 제1단계의 보드게임 방법과 다른 방법에 있어서는 동일하고, 상기 게임판(110)의 조각수용부(111)에 배열되는 연산자타일(210)의 종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3단계의 보드게임 방법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다수의 이용자는 상기 제1단계와 마찬가지로 연산자타일(210) 50개와 숫자타일(220) 50개를 상기 게임판(110)의 조각수용부(111) 위에 교차로 배열하여 놓는다. 제3단계에서의 상기 연산자타일(210)은 상기 제1연산자타일(212) 중 '+(더하기)', '-(빼기)', 'x(곱하기)' 및 '÷(나누기)'가 인쇄된 제1연산자타일(212) 각각 7개와, 조커를 표시하는 문양이 인쇄된 제1연산자타일(212) 2개와, 상기 제2연산자타일(214) 중 'G(최대공약수)', 'L(최소공배수)' 및 '
Figure pat00011
(거듭제곱)'이 인쇄된 타일 각각 4개씩과, 상기 제3연산자타일(216) 8개로 총 50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숫자타일(220)은 상기 제1단계에서와 동일하다. 이 때, 상기 연산자타일(210)의 네 변에는 숫자타일(220)이 접촉되고, 상기 숫자타일(220)의 네 변에는 연산자타일(210)이 접촉되도록 배치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 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보드게임 도구 110 : 게임판
130 : 바닥케이스 150 : 뚜껑케이스
200 : 타일조각 300 : 모양조각
400 : 숫자카드

Claims (12)

  1. 다각형 형상으로 구비되는 게임판;
    상기 게임판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상기 게임판 위에 놓이며, 연산자가 인쇄된 연산자타일 및 숫자가 인쇄된 숫자타일을 포함하는 타일조각;
    서로 다른 숫자가 각각 인쇄된 다수 개의 숫자카드; 및
    복수의 그룹이 색상으로 구분되고, 각 그룹은 모양이 서로 다른 복수 개로 구분되는 모양조각을 포함하고,
    상기 게임판 위에서 상기 연산자타일과 상기 숫자타일은 서로 교번 배열되고,
    이용자가 상기 숫자카드에 인쇄된 숫자에 해당하는 상기 연산자타일 및 상기 숫자타일의 조합 위에 상기 모양조각이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게임 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판, 타일조각, 모양조각 및 숫자카드를 보관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보드게임 도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게임판을 수용하는 바닥케이스; 및
    상기 바닥케이스를 상방에서 덮는 뚜껑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케이스 및 상기 뚜껑케이스는 자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게임 도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룹은 동일한 개수의 모양 조각으로 구성되는 보드게임 도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룹은 서로 다른 모양을 가지는 복수의 모양 조각으로 구성되는 보드게임 도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자타일과 상기 숫자타일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비되는 보드게임 도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자타일은, 인쇄된 상기 연산자가 모두 상이한 제1,2,3연산자타일을 포함하고,
    이용자가 선택하는 게임의 난이도에 따라 제2연산자타일 및 제3연산자타일은 상기 게임판에 선택적으로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게임 도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타일은,
    0-10의 숫자 중 0을 포함하는 짝수가 인쇄된 제1숫자타일; 및
    0-10의 숫자 중 홀수가 인쇄된 제2숫자타일을 포함하는 보드게임 도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산자타일 및 제1숫자타일에는 조커를 표시하는 문양이 인쇄되고,
    상기 조커는 각 난이도에서 이용되는 연산자 및 숫자 중 임의의 어떤 연산자 및 숫자로 대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게임 도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보드게임 도구를 이용하는 보드게임 방법으로서,
    게임을 하고자 하는 복수의 이용자가 상기 연산자타일 및 숫자타일을 상기 게임판 위에 서로 교번되게 배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이용자가 상기 복수의 그룹의 모양카드를 나눠 가지는 단계;
    상기 숫자카드를 섞은 후 한 장을 뒤집어서 문제를 제시하는 단계;
    상기 제시된 문제의 숫자카드를 답으로 산출 가능한 연산자타일 및 숫자타일의 조합을 찾는 단계; 및
    상기 조합을 찾은 이용자는 나눠 가진 상기 모양카드로 상기 조합에 포함되는 연산자타일 및 숫자타일을 덮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드게임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에 포함되는 연산자타일 및 숫자타일은 복수 개일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연산자타일 및 숫자타일은 서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게임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을 찾은 이용자가 가진 모양카드 중 상기 연산자타일 및 숫자타일의 조합과 형태가 동일한 모양카드가 없는 경우 상기 조합은 무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게임 방법.
KR1020190050602A 2019-04-30 2019-04-30 보드게임 도구 및 이를 이용한 보드게임 방법 KR202001266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602A KR20200126674A (ko) 2019-04-30 2019-04-30 보드게임 도구 및 이를 이용한 보드게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602A KR20200126674A (ko) 2019-04-30 2019-04-30 보드게임 도구 및 이를 이용한 보드게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674A true KR20200126674A (ko) 2020-11-09

Family

ID=73429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602A KR20200126674A (ko) 2019-04-30 2019-04-30 보드게임 도구 및 이를 이용한 보드게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667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1996A (en) Game board method
KR100401292B1 (ko) 수학퍼즐형게임
JP6204273B2 (ja) 幾何学的形状装置
US5524897A (en) Stargazer game, and methods of constructing and utilizing same
JP2009508572A (ja) 二重の数字特徴を備えたトランプカード
US20050017447A1 (en) Methods, tiles and boards for playing games that schematize competitive yet non-combative ecological processes, including multi-generation games of strategy and territory occupation played with progressively sized tiles on geometric grids
US5927718A (en) Game apparatus
GB2356153A (en) Crossword puzzle game
US5839729A (en) Board game and playing process
US6412778B1 (en) Multi-level chessboard
US3606335A (en) Board game apparatus
KR20200126674A (ko) 보드게임 도구 및 이를 이용한 보드게임 방법
US2007010870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number puzzles
US4244581A (en) Game with pieces preventing adjacent placement
US4258922A (en) Computer math game
US3402934A (en) Puzzle game
JP6802538B1 (ja) マジックスクエア
GB2161084A (en) Board game apparatus
KR200336949Y1 (ko) 다양한 게임이 내장된 보드게임용 테이블
US7125255B2 (en) Puzzle
KR20040046782A (ko) 수학을 이용한 피라미드 형태의 건설게임
KR200388194Y1 (ko) 19단 학습용 빙고게임도구
US20200289916A1 (en) Board game apparatus and a method of placing tokens on the same
KR20220019441A (ko) 소마큐브
WO2005058437A2 (en) Multiple design creation puzzle game and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