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6470A -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6470A
KR20200126470A KR1020190049941A KR20190049941A KR20200126470A KR 20200126470 A KR20200126470 A KR 20200126470A KR 1020190049941 A KR1020190049941 A KR 1020190049941A KR 20190049941 A KR20190049941 A KR 20190049941A KR 20200126470 A KR20200126470 A KR 20200126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ne dust
concentration
subway station
carbon di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5424B1 (ko
Inventor
권순박
이주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이피
주식회사 애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이피, 주식회사 애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이피
Priority to KR1020190049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424B1/ko
Publication of KR20200126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8Remote control using Internet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30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2Carbon mon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 역내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며,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에 기초하여 현재 및 미래 시간대별 미세먼지의 농도를 예측하고, 예측한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지하철 역내의 공조기 및 여과기를 제어하는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은, 지하철 역내로 지하철이 진입 또는 진출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지하철의 진입 또는 진출 여부에 기초하여 지하철 역내의 공기로부터 미세먼지 농도와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공기측정장치(100); 지하철 역내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를 포집 처리하는 공기정화장치(200); 및 공기측정장치(100)로부터 미세먼지의 농도와 공기정화장치(200)로부터 미세먼지의 포집결과를 수신하며, 수신한 농도 및 포집결과에 기초하여 공기측정장치(100) 및 공기정화장치(200)를 제어하는 제어부(340)가 구비되는 서버(300);를 포함하고, 제어부(340)는, 이산화탄소 농도에 기초하여 지하철 역내의 이용객 수를 추정하며, 미세먼지 농도에 기초하여 외부공기의 유입 여부를 판단한다.

Description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Fine dust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지하철 역내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며,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에 기초하여 현재 및 미래 시간대별 미세먼지의 농도를 예측하고, 예측한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지하철 역내의 공조기 및 여과기를 제어하는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역사(또는 승강장, 플랫폼, 대합실, 환기실, 역무실, 매표소, 지하상가 등 포함)에는 많은 유동인구와 빈번한 지하철 차량의 진입 및 진출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지하역사 내의 공기는 많은 오염원으로 인하여 쉽게 오염되며, 이를 억제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공기의 순환과 여과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하역사 내의 공기 질을 개선하기 위해 지하역사에는 외부 공기 유입장치, 미세먼지 측정장치, 냉난방을 위한 공조기, 공기 여과기 등의 공조기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지하역사의 특수성으로 인해, 지하철이 역사 내로 들어오는 순간 짧은 시간 내에 많은 공기의 유동이 발생되고, 지하철이 지하역사를 빠져 나가는 순간에도 많은 공기의 유동이 발생된다. 이 순간에는 가라앉은 먼지(미세먼지 포함)들이 다시 재비산하여 지하역사 내의 공기 질이 급속히 나빠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공기 질이 나빠진 오염된 공기는 이용객들에게 나쁜 영향을 끼치게 된다. 더 나아가, 외부 공기 유입장치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환경 악화에 의해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지하역사 내의 공기 질은 점차 나빠지고 있다.
또한, 미세먼지 측정장치는 설치시기가 오래되어 노후화됨에 따라, 공조기 제어에 활용하기 위한 환경기준(예: PM1, PM2.5, PM10 등 포함)에 대응되는 수준으로 미세먼지 및 환경정보(예: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온습도 등 포함)를 측정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지하역사 내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환경정보를 분석하여 지하역사 내의 미세먼지 농도 변화를 예측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 나아가, 공조기는 인력에 의존하여 운영 및 유지보수 되기 때문에 운영 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9761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142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환경기준에 대응되는 수준으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와 지하철 역내의 공기로부터 미세먼지를 포집 처리한 포집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및 미래 시간대별 미세먼지의 농도를 예측하고, 예측한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공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지하철 역내의 환경변화를 예측한 정보를 지하철 이용객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지하철 이용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력 투입 없이 공조기를 제어함으로써, 운영 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은, 지하철 역내로 지하철이 진입 또는 진출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지하철의 진입 또는 진출 여부에 기초하여 지하철 역내의 공기로부터 미세먼지 농도와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공기측정장치(100); 지하철 역내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를 포집 처리하는 공기정화장치(200); 및 공기측정장치(100)로부터 미세먼지의 농도와 공기정화장치(200)로부터 미세먼지의 포집결과를 수신하며, 수신한 농도 및 포집결과에 기초하여 공기측정장치(100) 및 공기정화장치(200)를 제어하는 제어부(340)가 구비되는 서버(300);를 포함하고, 제어부(340)는, 이산화탄소 농도에 기초하여 지하철 역내의 이용객 수를 추정하며, 미세먼지 농도에 기초하여 외부공기의 유입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공기측정장치(100)는, 지하철 역내로 지하철의 진입 또는 진출 여부를 판단하는 진입판단수단; 지하철 역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관(181); 공기유입관(181)과 연결되어 공기유입관(181) 내에 유입된 공기 일부를 배출하는 제1 공기배출관(182); 제1 공기배출관(182)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이송시키는 제1 공기이송관(183); 제1 공기이송관(183)과 연결되어 이송되는 공기로부터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센서(160); 일측이 상기 미세먼지 센서(160)와 연결되며, 미세먼지 센서(160)로부터 미세먼지 농도가 측정된 공기를 이송시키는 제2 공기이송관(184); 제2 공기이송관(184)의 타측에 연결되어 미세먼지 농도가 측정된 공기로부터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센서(120); 제2 공기이송관(184)의 타측에 연결되어 미세먼지 농도가 측정된 공기로부터 일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일산화탄소 센서(130); 제1 공기배출관(182)과 연결되어 이산화탄소 및 일산화탄소가 측정된 공기를 제1 공기배출관(182)으로 배출하는 제2 공기배출관(185); 공기유입관(181)의 전단에 위치되어 공기유입관(181)으로 유입될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계(150); 및 측정 데이터들을 제어부(340)로 송신하며, 제어부(34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미세먼지 센서(160)는, 진입판단수단이 지하철 역내로 지하철이 진입 또는 진출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한다.
또한, 진입판단수단은, 대기압센서(170), 진동센서(197) 및 풍향풍속계(199);를 포함하고, 대기압센서(170), 진동센서(197) 및 풍향풍속계(199)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지하철의 진입 또는 진출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340)는, 이산화탄소 센서(120), 일산화탄소 센서(130), 온습도계(150), 진동센서(197) 및 풍향풍속계(199)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공기정화장치(200)의 가동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340)는, 일산화탄소 센서(130) 및 온습도계(150)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외부공기의 유입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공기정화장치(200)는, 지하철 역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하우징부(210); 하우징부(210) 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와 하우징부(220) 내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덕트부(220); 하우징부(210) 내에 구비되어 하우징부(210) 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포집 처리하는 미세먼지 처리부(230); 및 하우징부(210) 내에 구비되어 하우징부(210) 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포집 처리하는 이산화탄소 처리부(240);를 포함한다.
또한, 미세먼지 처리부(230)는, 지하철 역내의 공기가 하우징부(210) 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1 송풍 모듈(231); 하우징부(210) 내로 유입된 미세먼지를 포집 처리하는 제1 흡착필터 모듈(232); 및 제1 흡착필터 모듈(230)로부터 포집 처리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제1 내부경로 제공 모듈(233);을 포함하고, 제1 내부경로 제공 모듈(233)은, 미세먼지가 포집 처리된 공기를 상승시키되, 상단으로 상승된 공기의 유속이 하우징부(210)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보다 증가되도록, 측단면의 형상이 지면과 이격될수록 지면과 평행한 단면적의 크기가 축소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서버(300)는, 공기측정장치(100)로부터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농도와 공기정화장치(200)로부터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포집결과를 수신하는 통신부(320); 통신부(320)와 공기측정장치(100) 및 공기정화장치(2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310); 및 통신부(320)가 수신한 농도 및 포집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330);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340)는, 저장부(330)에 저장된 농도 및 포집결과를 머신러닝으로 분석하여 지하철의 지하철 역내 진입 또는 진출 여부에 따른 현재 및 미래 시간대별 미세먼지의 농도를 예측하고, 예측된 미세먼지의 농도에 따라 공기측정장치(100) 및 공기정화장치(200)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하철 역내의 환경변화를 측정 및 예측하여 지하철 역내의 공조기 및 여과기를 제어함으로써, 미세먼지로부터 안전한 지하공간(Dust free zone)을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먼지로부터 안전한 지하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지하철 이용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하철 역내의 환경변화를 예측한 정보를 지하철 이용객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지하철 이용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력 투입 없이 공조기를 제어함으로써, 운영 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측정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기측정장치의 평면 배치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공기측정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공기정화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공기정화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공기정화장치의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측정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공기측정장치의 평면 배치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공기측정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관리 방법의 단계 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
<일 실시예>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10)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측정장치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기측정장치의 평면 배치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공기측정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공기정화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공기정화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며, 도 8은 도 5에 도시된 공기정화장치의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10)은 공기측정장치(100), 공기정화장치(200) 및 서버(300)로 구성된다.
공기측정장치(100)는 지하철 역내의 공기 질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원부(110), 이산화탄소 센서(120), 일산화탄소 센서(130), 통신부(140), 온습도계(150), 미세먼지 센서(160), 대기압 센서(170), 관(180) 및 제어부(190)가 구비된다.
전원부(110)는 110V~220V 외부 전원을 5V, 12V, 24V 직류로 전환하여 공기측정장치(100)의 구성들에 공급한다.
이산화탄소 센서(120)는 관(180) 내로 유입되는 지하철 역내의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CO2)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한 이산화탄소 농도를 제어부(190)로 송신하는 센서이다. 이와 같은, 이산화탄소 센서(120)는 일례로, 비분산형 적외선 센서(Non-Dispersive Infrared absorption, NDIR)로 구비될 수 있다.
일산화탄소 센서(130)는 관(180) 내로 유입되는 지하철 역내의 공기에 포함된 일산화탄소(CO)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한 일산화탄소 농도를 제어부(190)로 송신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일산화탄소 센서(130)는 일례로, 비분산형 적외선 센서(Non-Dispersive Infrared absorption, NDIR)로 구비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제어부(190)와 서버(300) 사이에 연결되어, 제어부(190)의 판단이나 제어부(190)가 수신한 정보들을 서버(300)로 송신하고, 서버(300)로부터 제어명령을 제어부(190)로 송신한다. 이러한 통신부(140)는 일례로, 유선 통신부(예: 이더넷, 홈PNA, PLC 등 포함) 또는 무선 통신부(예: 블루투스, 무선랜, 와이파이 등 포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온습도계(150)는 지하철 역내의 공기가 관(180) 내로 유입되기 전에, 지하철 역내의 공기로부터 온습도를 측정하고, 측정한 온습도를 제어부(190)로 송신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온습도계(150)는 일례로, 전기저항식(예: 염화리튬, 고분자, 세라믹) 또는 정전용량식(예: 고분자)으로 구비될 수 있다.
미세먼지 센서(160)는 관(180) 내로 유입되는 지하철 역내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의 농도(예: PM1, PM2.5, PM10 등 포함)를 측정하고, 측정한 미세먼지를 제어부(190)로 송신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미세먼지 센서(160)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미세먼지를 측정하나, 일례로 미세먼지 농도의 변화를 등급(예: 0.3, 0.5, 1.0, 2.5, 5.0, 10㎍/m3)별로 측정할 수 있다.
대기압 센서(170)는 압력센서의 일종으로, 공기측정장치(100)가 놓여진 영역의 기압 변화를 측정하여 제어부(190)로 송신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대기압 센서(170)는 영역의 기압 변화 값에 기초하여 지하철 역내로 지하철이 진입 또는 진출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진입판단수단이기도 하다.
관(180)은 지하철 역내의 공기가 유입, 이송 및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부재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공기유입관(181), 제1 공기배출관(182), 제1 공기이송관(183), 제2 공기이송관(184) 및 제2 공기배출관(185)이 구비된다.
공기유입관(181)은 공기측정장치(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지하철 역내의 공기를 흡입한다. 이러한 공기유입관(181)은 일례로, 약 16.7 LPM의 공기를 흡입한다.
공기배출관(182)은 공기유입관(181)과 연결되며, 공기유입관(181)으로 유입된 공기 일부를 공기측정장치(100)의 측면으로 배출한다. 즉, 공기배출관(182)은 공기 일부는 그대로 배출시키되, 남은 공기 일부는 측면으로 배출하여 공기를 샘플링하는 것이다. 이러한 공기배출관(182)은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해 내부에 팬(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공기이송관(183)은 공기배출관(182)로부터 배출되는 샘플링 공기를 이송시킨다. 이러한 제1 공기이송관(183)은 타측이 미세먼지 센서(160)의 일측과 연결되어, 샘플링 공기가 미세먼지 센서(160)를 향해 이송되도록 한다.
제2 공기이송관(184)은 일측이 미세먼지 센서(160)의 타측과 연결되며, 타측이 이산화탄소 센서(120)의 일측 및 일산화탄소 센서(130)의 일측과 연결된다. 이를 통해, 미세먼지 농도가 측정된 공기가 이산화탄소 센서(120) 및 일산화탄소 센서(130)를 향해 이송되도록 한다. 더 나아가, 제2 공기이송관(184)은 각각 분지되어 별개로 구비되는 이산화탄소 센서(120) 및 일산화탄소 센서(130)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이산화탄소 센서(120)와 일산화탄소 센서(130)가 일체형 비분산형 적외선 센서인 경우, 바로 직결되도록 연결할 수도 있다.
제2 공기배출관(185)은 일측이 이산화탄소 센서(120) 및 일산화탄소 센서(130)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1 공기배출관(182)과 연결되어 측정이 끝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2 공기배출관(185)은 측정이 끝난 공기의 배출을 위해 공기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마이컴, CPU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공기측정장치(100)의 센서들로부터 출력신호(미세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온습도, 기압)를 수신하여 미리 프로그램된 연산을 통해 지하철 역내의 상황을 판단하고, 출력신호 및 판단 결과를 저장한다. 일례로, 제어부(190)는 출력신호 중 기압의 변화 값에 기초하여 지하철 역내에 지하철이 진입 또는 진출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지하철의 진입 또는 진출에 대한 판단 결과를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출력신호 및 판단 결과를 서버(300)로 송신한다. 또한, 서버(300)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공기측정장치(100)의 센서들을 제어한다.
공기정화장치(200)는 지하철 역내의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하우징부(210), 덕트부(220), 미세먼지 처리부(230), 이산화탄소 처리부(240), 동작 감지부(250), 통신부(260) 및 제어부(270)가 구비된다.
하우징부(210)는 공기정화장치(200)의 외형을 구성하는 부재로서, 지하철 역내의 장소(예: 지하철 승강장 바닥 또는 벽면 등 포함)에 설치되며, 지하철 역내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미세먼지 및 이산화탄소가 포집 처리된 후에 배출되는 외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하우징부(210)는 하단의 제1 하우징(211), 제1 하우징(211)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2 하우징(212) 및 제1 하우징(211)과 제2 하우징(212)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3 하우징(21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하우징(211)은 지하철 역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11a, 211b)가 형성된다. 또한, 제1 하우징(211)은 미세먼지 처리부(230)와 이산화탄소 처리부(240)가 내부에 구비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미세먼지 처리부(230)의 흡착필터(미도시)와 이산화탄소 처리부(240)의 흡착필터(미도시)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개폐 가능한 서랍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12)은 미세먼지 및 이산화탄소가 포집 처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212a)가 형성된다.
제3 하우징(213)은 상품 등을 홍보하는 광고판(213a)이 구비된다. 이러한 광고판(213a)은 상품의 홍보성을 위해 서로 다른 광도의 빛을 출력하는 복수의 LED(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덕트부(220)는 지하철 역내의 공기가 하우징부(210) 내로 유입되는 경로와 하우징부(210) 내로 유입되어 포집 처리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면서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을 제어하는 부재로서, 배출덕트(221), 유입덕트(222), 배출밸브(223) 및 유입밸브(224)가 구비된다.
배출덕트(221)는 제2 하우징(212)의 후면에 연결되어, 미세먼지 처리부(230) 또는 이산화탄소 처리부(240)를 통해 포집 처리된 공기 중 기설정된 양의 공기가 하우징부(2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의 배출 경로를 제공한다.
유입덕트(222)는 제1 하우징(211)의 후면에 연결되어, 배출덕트(221)에 의해 배출되는 기설정된 양의 공기만큼 지하철 역내의 공기가 하우징부(210) 내로 유입되도록 공기의 유입 경로를 제공한다.
배출밸브(223)는 배출덕트(221)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구비되며, 제어부(190)에 의해 배출덕트(221)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유입밸브(224)는 유입덕트(222)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구비되며, 제어부(190)에 의해 유입덕트(222)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미세먼지 처리부(230)는 제1 하우징(211) 내로 유입된 지하철 역내의 공기로부터 미세먼지를 포집 처리하는 부재로서, 제1 송풍 모듈(231), 제1 흡착필터 모듈(232) 및 제1 내부경로 제공 모듈(233)이 구비된다.
제1 송풍 모듈(231)은 제1 하우징(211)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1 하우징(211) 내로 지하철 역내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송풍팬(미도시)이 구비된다.
제1 흡착필터 모듈(232)은 유입구(211a, 211b) 전면에 배치되며, 제1 송풍 모듈(231)에 의해 제1 하우징(211) 내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미세먼지를 포집 처리하기 위한 제1 흡착필터(미도시)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1 흡착필터(미도시)는 세척 가능하며 반영구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정전필터(eletric filter), 에어필터(air filter), 헤파필터(hepa filter)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흡착필터 모듈(232)은 제1 흡착필터(미도시)가 수용되는 수용함이 추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내부경로 제공 모듈(233)은 제1 흡착필터 모듈(232)로부터 미세먼지가 포집 처리된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제1 내부경로를 제공한다. 일례로, 제1 내부경로 제공 모듈(233)은 측단면의 형상이 지면과 멀어질수록 지면과 평행한 단면적의 크기가 축소되게 형성된다. 이는, 제1 송풍 모듈(231)에 의해 유입되어 제1 흡착필터 모듈(232)에 의해 미세먼지가 포집 처리되는 공기를 상승시키되, 상단으로 상승되는 공기의 유속이 제1 하우징(211) 내로 유입될 때보다 유속이 증가되도록 하여, 제1 하우징(211) 내로 유입된 공기가 제1 송풍 모듈(232)의 상단으로부터 제3 하우징(213)의 배출구(213a)까지 별도의 송풍수단 없이도 이송되도록 하는 무풍 토출 방식을 구비하기 위함이다.
이산화탄소 처리부(240)는 제1 하우징(211) 내로 유입된 지하철 역내의 공기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포집 처리하는 부재로서, 제2 송풍 모듈(241), 제2 흡착필터 모듈(242) 및 제2 내부경로 제공 모듈(243)이 구비된다.
제2 송풍 모듈(241)은 제1 하우징(211)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1 하우징(211) 내로 지하철 역내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송풍팬(미도시)이 구비된다.
제2 흡착필터 모듈(242)은 유입구(211a, 211b) 전면에 배치되며, 제2 송풍 모듈(241)에 의해 제1 하우징(211) 내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포집 처리하기 위한 제2 흡착필터(미도시)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2 흡착필터(미도시)는 탄소필터(carbon filter)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흡착필터 모듈(242)은 제2 흡착필터(미도시)가 수용되는 수용함이 추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내부경로 제공 모듈(243)은 제2 흡착필터 모듈(242)로부터 이산화탄소가 포집 처리된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제2 내부경로를 제공한다. 일례로, 제2 내부경로 제공 모듈(243)은 측단면의 형상이 지면과 멀어질수록 지면과 평행한 단면적의 크기가 축소되게 형성된다. 이는, 제2 송풍 모듈(241)에 의해 유입되어 제2 흡착필터 모듈(242)에 의해 이산화탄소가 포집 처리되는 공기를 상승시키되, 상단으로 상승되는 공기의 유속이 제1 하우징(211) 내로 유입될 때보다 유속이 증가되도록 하여, 제1 하우징(211) 내로 유입된 공기가 제2 송풍 모듈(242)의 상단으로부터 제3 하우징(213)의 배출구(213a)까지 별도의 송풍수단 없이도 이송되도록 하는 무풍 토출 방식을 구비하기 위함이다.
한편, 미세먼지 처리부(230)과 이산화탄소 처리부(240)는 제1 하우징(211) 내로 유입되는 지하철 역내의 공기로부터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를 포집 처리하기 위해, 각각 분지되어 별개로 구비되는 것보다는 바로 직결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동작 감지부(250)는 제3 하우징(213)의 배출구(213a) 주변에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센서(251)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동작 감지부(250)가 구비되는 것은 배출구(231a)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공기정화장치(200) 주변의 이용객들에게 분사되어 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통신부(260)는 제어부(270)와 서버(300) 사이에 연결되어, 제어부(270)의 판단이나 제어부(270)가 수신한 정보들을 서버(300)로 송신하고, 서버(300)로부터 제어명령을 제어부(270)로 송신한다. 이러한 통신부(260)는 일례로, 유선 통신부(예: 이더넷, 홈PNA, PLC 등 포함) 또는 무선 통신부(예: 블루투스, 무선랜, 와이파이 등 포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270)는 마이컴, CPU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미세먼지 처리부(230)와 이산화탄소 처리부(240)의 포집 결과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제어부(270)에 저장된 포집 결과는 통신부(260)를 통해 서버(300)로 송신된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서버(300)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공기정화장치(200)의 구성들을 제어한다.
서버(300)는 네트워크(310), 통신부(320), 저장부(330) 및 제어부(340)가 구축된다.
네트워크(310)는 서버(300)와 공기측정장치(100) 및 공기정화장치(200)를 연결하기 위해 구축된다. 이러한 네트워크(310)는 일례로, LAN과 같은 유선 통신망, 3G, 4G와 같은 무선통신망, 무선 LAN, 인트라넷, 와이파이, 케이블TV 네트워크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통신부(320)는 공기측정장치(100)의 통신부(140) 및 공기정화장치(200)의 통신부(260)와 각각 연결되어, 공기측정장치(100)의 제어부(190) 및 공기정화장치(200)의 제어부(270)로부터 출력신호, 판단 결과 및 포집 결과를 수신하며, 제어부(340)의 제어명령을 공기측정장치(100)의 통신부(140) 및 공기정화장치(200)의 통신부(260)에 각각 송신한다. 이러한 통신부(320)는 일례로, 유선 통신부(예: 이더넷, 홈PNA, PLC 등 포함) 또는 무선 통신부(예: 블루투스, 무선랜, 와이파이 등 포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저장부(330)는 통신부(320)가 수신한 출력신호, 판단 결과 및 포집 결과를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330)는 일례로, 통상적인 저장수단인 RAM, 플래쉬 메모리, SSD, HDD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340)는 저장부(330)에 저장된 출력신호, 판단 결과 및 포집 결과에 기초하여 공기측정장치(100)와 공기정화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340)는 저장부(330)에 저장된 출력신호 중 이산화탄소 농도에 기초하여 지하철 역내의 이용객 수를 추정한다.
또한, 제어부(340)는 출력신호 중 미세먼지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및 온습도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공기의 유입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340)는 출력신호 중 미세먼지 농도 및 기압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기초하여 지하철 역내로 지하철이 진입 또는 진출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지하철이 지하철 역내로 진입 또는 진출할 때 미세먼지 센서(160)가 지하철 역내의 공기로부터 미세먼지를 측정하도록 제어명령을 공기측정장치(100)의 제어부(190)로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340)는 출력신호 중 이산화탄소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온습도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기초하여 지하철 역내의 공조기인 공기측정장치(100) 및 공기정화장치(200)의 가동 여부를 판단한다.
더 나아가, 제어부(340)는 신호에 기초하여 추정한 추정 값 또는 판단 결과를 머신러닝(예: 신경회로망 학습 등)으로 분석하여 빅데이터를 생성한 후, 지하철 역내에 지하철의 진입 또는 진출 여부에 따른 현재 및 미래 시간대별 미세먼지 농도를 예측하고, 예측한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공기측정장치(100)와 공기정화장치(200)를 제어할 제어명령을 공기측정장치(100)의 제어부(190)와 공기정화장치(200)의 제어부(270)로 송신한다. 그리고 제어부(340)는 지하철 역내에 지하철의 진입 또는 진출 여부에 따른 현재 및 미래 시간대별 미세먼지 농도 뿐만 아니라, 현재 및 미래 시간대별 이산화탄소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온습도, 기압 등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40)가 예측한 정보들은 지하철 역내의 이용객들에게 제공되어 이용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10)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측정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공기측정장치의 평면 배치도이고,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공기측정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다른 실시예의 공기측정장치(100')는 진동센서(197) 및 풍향풍속계(199)가 더 구비된다.
진동센서(197)는 지하철 역내로 지하철이 진입 또는 진출할 때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하여 제어부(190)로 송신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진동센서(197)는 공기측정장치(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진동센서(197)는 진동의 변화 값에 기초하여 지하철 역내로 지하철이 진입 또는 진출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진입판단수단이기도 하다.
풍향풍속계(199)는 지하철 역내로 지하철이 진입 또는 진출할 때 발생되는 바람의 세기 및 바람의 방향을 측정하여 제어부(190)로 송신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풍향풍속계(199)는 바람의 세기 및 방향 측정을 위해 공기측정장치(100)의 외부에 노출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풍향풍속계(199)는 바람의 세기 및 바람의 방향 변화 값에 기초하여 지하철 역내로 지하철이 진입 또는 진출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진입판단수단이기도 하다.
제어부(190)는 진동센서(197) 및 풍향풍속계(199)로부터 출력신호(진동, 바람의 세기, 바람의 방향)를 수신하여 미리 프로그램된 연산을 통해 지하철 역내의 상황을 판단하고, 출력신호 및 판단 결과를 저장한다. 일례로, 제어부(190)는 풍향풍속계(199)의 바람의 세기 및 바람의 방향 변화 값에 기초하여 지하철 역내에 지하철이 진입 또는 진출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지하철의 진입 또는 진출에 대한 판단 결과를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출력신호 및 판단 결과를 서버(300)로 송신한다. 또한, 서버(300)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공기측정장치(100)의 센서들을 제어한다.
제어부(340)는 출력신호 중 진동, 바람의 세기, 바람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기초하여 지하철 역내의 공조기인 공기측정장치(100) 및 공기정화장치(200)의 가동 여부를 판단한다.
미세먼지 관리 방법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관리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10)을 기준으로 미세먼지 관리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관리 방법의 단계 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먼저, 공기측정장치(100) 및 공기정화장치(200)는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S100).
S100 단계 후, 공기측정장치(100)의 제어부(190)는 공기측정장치(100)의 진입판단수단인 대기압센서(170), 진동센서(197), 풍향풍속계(199)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신호(기압, 진동, 바람의 세기, 바람의 방향)에 기초하여 지하철 역내로 지하철이 진입 또는 진출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0).
이때 만약, 제어부(190)가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지하철 역내로 지하철이 진입 또는 진출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S200-NO), 공기측정장치(100)는 측정 대기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공기정화장치(200)도 대기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달리 만약, 제어부(190)가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지하철 역내로 지하철이 진입 또는 진출한다고 판단하면(S200-YES), 공기측정장치(100)는 지하철 역내의 공기 질을 측정한다. 이때, 공기정화장치(200)는 계속 지하철 역내의 공기로부터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를 포집 처리한다.
S200 단계 후, 서버(300)는 공기측정장치(100) 및 공기정화장치(200)로부터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출력신호를 저장한다(S300).
S300 단계 후, 서버(300)의 제어부(340)는 저장된 출력신호를 머신러닝으로 분석하여 지하철 역내의 이용객 수를 추정하며, 외부공기의 유입 여부를 판단하고, 공기측정장치(100) 및 공기정화장치(200)(도 13의 '공조기')의 가동 여부를 판단하며, 지하철 역내로 지하철의 진입 또는 진출 여부에 따른 현재 및 미래 시간대별 미세먼지 농도를 예측한다(S400).
S400 단계 후, 제어부(340)는 머신러닝으로 분석한 결과 값들을 저장하고(S500), 공기측정장치(100) 및 공기정화장치(200)를 제어 여부를 판단하여 제어명령을 공기측정장치(100) 및 공기정화장치(200)(도 13의 '공조기')에 송신한다(S600). 바람직하게는, 제어부(340)가 공기측정장치(100)의 제어부(190), 공기정화장치(200)의 제어부(270)로 제어명령을 송신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
100: 공기측정장치,
110: 전원부,
120: 이산화탄소 센서,
130: 일산화탄소 센서,
140: 통신부,
150: 온습도계,
160: 미세먼지 센서,
170: 대기압 센서,
180: 관,
181: 공기유입관,
182: 제1 공기배출관,
183: 제1 공기이송관,
184: 제2 공기이송관,
185: 제2 공기배출관,
190: 제어부,
197: 진동 센서,
199: 풍향풍속계,
200: 공기정화장치,
210: 하우징부,
211: 제1 하우징,
211a, 211b: 유입구,
212: 제2 하우징,
212a: 배출구,
213: 제3 하우징,
213a: 광고판,
220: 덕트부,
221: 배출덕트,
222: 유입덕트,
223: 배출밸브,
224: 유입밸브,
230: 미세먼지 처리부,
231: 제1 송풍 모듈,
232: 제1 흡착필터 모듈,
233: 제1 내부경로 제공 모듈,
240: 이산화탄소 처리부,
241: 제2 송풍 모듈,
242: 제2 흡착필터 모듈,
243: 제2 내부경로 제공 모듈,
250: 동작 감지부,
251: 동작감지 센서,
260: 통신부,
270: 제어부,
300: 서버,
310: 네트워크,
320: 통신부,
330: 저장부,
340: 제어부.

Claims (10)

  1. 지하철 역내로 지하철이 진입 또는 진출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지하철의 진입 또는 진출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지하철 역내의 공기로부터 미세먼지 농도와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공기측정장치(100);
    상기 지하철 역내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를 포집 처리하는 공기정화장치(200); 및
    상기 공기측정장치(100)로부터 상기 미세먼지의 농도와 상기 공기정화장치(200)로부터 상기 미세먼지의 포집결과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농도 및 포집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측정장치(100) 및 상기 공기정화장치(200)를 제어하는 제어부(340)가 구비되는 서버(30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40)는,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지하철 역내의 이용객 수를 추정하며, 상기 미세먼지 농도에 기초하여 외부공기의 유입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측정장치(100)는,
    상기 지하철 역내로 상기 지하철의 진입 또는 진출 여부를 판단하는 진입판단수단;
    상기 지하철 역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관(181);
    상기 공기유입관(181)과 연결되어 상기 공기유입관(181) 내에 유입된 공기 일부를 배출하는 제1 공기배출관(182);
    상기 제1 공기배출관(182)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이송시키는 제1 공기이송관(183);
    상기 제1 공기이송관(183)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되는 공기로부터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센서(160);
    일측이 상기 미세먼지 센서(160)와 연결되며, 상기 미세먼지 센서(160)로부터 미세먼지 농도가 측정된 공기를 이송시키는 제2 공기이송관(184);
    상기 제2 공기이송관(184)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미세먼지 농도가 측정된 공기로부터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센서(120);
    상기 제2 공기이송관(184)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미세먼지 농도가 측정된 공기로부터 일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일산화탄소 센서(130);
    상기 제1 공기배출관(182)과 연결되어 상기 이산화탄소 및 일산화탄소가 측정된 공기를 상기 제1 공기배출관(182)으로 배출하는 제2 공기배출관(185);
    상기 공기유입관(181)의 전단에 위치되어 상기 공기유입관(181)으로 유입될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계(150); 및
    상기 측정 데이터들을 상기 제어부(340)로 송신하며, 상기 제어부(34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센서(160)는,
    상기 진입판단수단이 상기 지하철 역내로 지하철이 진입 또는 진출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판단수단은,
    대기압센서(170), 진동센서(197) 및 풍향풍속계(199);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압센서(170), 상기 진동센서(197) 및 상기 풍향풍속계(199)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지하철의 진입 또는 진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40)는,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120), 상기 일산화탄소 센서(130), 상기 온습도계(150), 상기 진동센서(197) 및 상기 풍향풍속계(199)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정화장치(200)의 가동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40)는,
    상기 일산화탄소 센서(130) 및 상기 온습도계(150)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외부공기의 유입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장치(200)는,
    상기 지하철 역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하우징부(210);
    상기 하우징부(210) 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와 상기 하우징부(220) 내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덕트부(220);
    상기 하우징부(210) 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부(210) 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포집 처리하는 미세먼지 처리부(230); 및
    상기 하우징부(210) 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부(210) 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포집 처리하는 이산화탄소 처리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처리부(230)는,
    상기 지하철 역내의 공기가 상기 하우징부(210) 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1 송풍 모듈(231);
    상기 하우징부(210) 내로 유입된 미세먼지를 포집 처리하는 제1 흡착필터 모듈(232); 및
    상기 제1 흡착필터 모듈(230)로부터 포집 처리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제1 내부경로 제공 모듈(23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부경로 제공 모듈(233)은,
    상기 미세먼지가 포집 처리된 공기를 상승시키되, 상기 상단으로 상승된 공기의 유속이 상기 하우징부(210)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보다 증가되도록, 측단면의 형상이 지면과 이격될수록 상기 지면과 평행한 단면적의 크기가 축소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300)는,
    상기 공기측정장치(100)로부터 상기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농도와 상기 공기정화장치(200)로부터 상기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포집결과를 수신하는 통신부(320);
    상기 통신부(320)와 상기 공기측정장치(100) 및 상기 공기정화장치(2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310); 및
    상기 통신부(320)가 수신한 농도 및 포집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40)는,
    상기 저장부(330)에 저장된 농도 및 포집결과를 머신러닝으로 분석하여 상기 지하철의 상기 지하철 역내 진입 또는 진출 여부에 따른 현재 및 미래 시간대별 미세먼지의 농도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미세먼지의 농도에 따라 상기 공기측정장치(100) 및 상기 공기정화장치(20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
KR1020190049941A 2019-04-29 2019-04-29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 KR102275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941A KR102275424B1 (ko) 2019-04-29 2019-04-29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941A KR102275424B1 (ko) 2019-04-29 2019-04-29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470A true KR20200126470A (ko) 2020-11-09
KR102275424B1 KR102275424B1 (ko) 2021-07-13

Family

ID=73429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941A KR102275424B1 (ko) 2019-04-29 2019-04-29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42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317B1 (ko) * 2021-10-01 2022-05-23 주식회사 애니텍 빅데이터 기반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 제어모듈
KR102400318B1 (ko) * 2021-10-08 2022-05-23 주식회사 애니텍 빅데이터 기반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 제어모듈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160188A (ko) 2021-05-27 2022-12-06 재단법인 서울특별시 서울기술연구원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2538236B1 (ko) * 2022-08-04 2023-06-05 주식회사 애니텍 지하철역 전용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2144A (ko) * 2007-10-24 2009-04-2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 및 공기정화시스템제어방법
KR20090053028A (ko) * 2007-11-22 2009-05-27 그린비환경기술연구소 주식회사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
KR101117496B1 (ko) * 2009-08-21 2012-03-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이산화탄소 농도를 이용한 지하철 객실 냉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69761B1 (ko) 2010-06-16 2012-07-3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철 역사 공조실 공기여과장치
KR200481427Y1 (ko) 2016-04-11 2016-10-10 주식회사 애니텍 내부공기순환방식 지하철 공기정화기
KR20190026135A (ko) * 2017-09-04 2019-03-13 이주열 벽면설치형 공기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2144A (ko) * 2007-10-24 2009-04-2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 및 공기정화시스템제어방법
KR20090053028A (ko) * 2007-11-22 2009-05-27 그린비환경기술연구소 주식회사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
KR101117496B1 (ko) * 2009-08-21 2012-03-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이산화탄소 농도를 이용한 지하철 객실 냉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69761B1 (ko) 2010-06-16 2012-07-3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철 역사 공조실 공기여과장치
KR200481427Y1 (ko) 2016-04-11 2016-10-10 주식회사 애니텍 내부공기순환방식 지하철 공기정화기
KR20190026135A (ko) * 2017-09-04 2019-03-13 이주열 벽면설치형 공기정화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0188A (ko) 2021-05-27 2022-12-06 재단법인 서울특별시 서울기술연구원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2400317B1 (ko) * 2021-10-01 2022-05-23 주식회사 애니텍 빅데이터 기반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 제어모듈
KR102400318B1 (ko) * 2021-10-08 2022-05-23 주식회사 애니텍 빅데이터 기반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 제어모듈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38236B1 (ko) * 2022-08-04 2023-06-05 주식회사 애니텍 지하철역 전용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5424B1 (ko) 202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5424B1 (ko)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
KR101797204B1 (ko) 실시간 환경 감응형 공동주택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
EP1856453B1 (en) Dynamic control of dilution ventilation in one-pass, critical environments
CN206468252U (zh) 具有热交换和空气净化功能的窗户通风系统
CN104235957B (zh) 一种室内空气净化系统及方法
KR101967547B1 (ko) 벽면설치형 공기정화장치
US20150140919A1 (en) Techniques for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KR102000707B1 (ko) 교실용 공기정화장치
JP5302223B2 (ja) 塗装設備
CN107429928A (zh) 室内通风控制系统和方法
CN105066337A (zh) 多功能室内空气净化检测系统
US201001014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leaning atmospheric pollution
CN105498866B (zh) Ccn生物安全实验室
CN106406398A (zh) 户外环网箱环境智能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05980785A (zh) 空气清洁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350583B1 (ko) 바이러스 살균 및 미세먼지 유입 차단 기능을 갖춘 스마트 쉘터
KR102111268B1 (ko) 환기용 공기청정기와 자율주행용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 시스템
KR101931912B1 (ko) 공기의 유동경로를 변화시키는 환기시스템
KR102182147B1 (ko) 지하철 승강장용 공기정화장치
SE515895C2 (sv) Anordning, förfarande och system för luftfiltrering
KR20150096845A (ko) 차량용 실내 미세 먼지 측정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2031650B1 (ko) 전열교환기 무선 연동으로 오염표시 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
KR101988292B1 (ko) 지하철 역내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102290375B1 (ko) 지하철 승강장의 슬림형 공기정화장치
KR102364961B1 (ko)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