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3028A -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3028A
KR20090053028A KR1020070119644A KR20070119644A KR20090053028A KR 20090053028 A KR20090053028 A KR 20090053028A KR 1020070119644 A KR1020070119644 A KR 1020070119644A KR 20070119644 A KR20070119644 A KR 20070119644A KR 20090053028 A KR20090053028 A KR 20090053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way
environmental pollution
indoor air
indoor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9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봉춘근
이희관
Original Assignee
그린비환경기술연구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비환경기술연구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린비환경기술연구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9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3028A/ko
Publication of KR20090053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0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66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2Carbon mon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6Oxyg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uzzy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은 지하철 역사 또는 지하철 터널에 위치하여 실내공기오염물질을 감지 또는 측정하는 센서 노드로부터 측정된 실내공기오염물질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수신 모듈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실내 환경 오염 지표를 산출하는 데이터 처리 모듈 및 상기 산출된 실내 환경 오염 지표가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지하철 역사 또는 지하철 터널에 설치된 환기 장치 가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지하철, 모니터링

Description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Subway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철 역사 또는 터널의 실내공기오염물질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은 출퇴근용 또는 여행용으로 이용되는 대중교통수단으로서, 이용자에게 사용상 편의를 제공하여야 할 뿐 아니라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관계로 지하철 역사 기타 부대시설이 깨끗하고 쾌적하게 유지, 관리되어야 한다.
또한, 지하철은 지하에 철도와 역사 등을 개설하고 여객과 화물 등을 운송하여 도심지의 대중교통수단으로서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이러한 장점으로 인하여 점차 개통구간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지하철은 전술한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지하철의 운행과 관련하여 실내공기 오염 물질, 소음, 진동 등이 필연적으로 발생되어 지하철을 이용하는 시민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실내 공기 오염 물질의 경우에는 소음이나 진동에 따른 피해보다 그 문제점이 심각한데, 그 이유는 아황산가스(SO2), 일산화탄소(CO), 이산화질소(NO2), 먼지(PM2.5, PM10), 이산화탄소(CO2), 포롬알데히드(HCHO), 납(Pb) 등 인 체에 유해하거나 치명적인 대기 오염물질이 포함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실내 공기 오염물질은 단순히 호흡기 질환을 유발시키는 차원을 넘어서 다른 합병증이나 만성 호흡기질환 등을 발생시킨다.
더욱이 지하철을 이용하는 수많은 시민의 건강에 악영향을 제공한다는 점과, 이에 따른 엄청난 사회적 비용의 지출을 수반하는 점 때문에 지하철 역사 또는 터널에 실내 공기 오염물질을 정확하게 측정, 진단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실내 공기 오염 물질을 모니터링 하려는 노력이 진행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지하철 역사 또는 터널의 실내 공기 오염 물질을 센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확하게 측정 및 진단할 수 있는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확하게 측정된 실내 공기 오염 물질을 모니터링하는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니터링된 실내 공기 오염 물질을 정화하고 관리할 수 있는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은 지하철 역사 또는 지하철 터널에 위치하여 실내공기오염물질을 감지 또는 측정하는 센서 노드로부터 측 정된 실내공기오염물질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수신 모듈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실내 환경 오염 지표를 산출하는 데이터 처리 모듈 및 상기 산출된 실내 환경 오염 지표가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지하철역사에 설치된 환기 장치로 가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하철 모니터링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모니터링 방법은 지하철 역사 또는 지하철 터널에 위치하여 실내공기오염물질을 감지 또는 측정하는 센서 노드로부터 측정된 실내공기오염물질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모듈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실내 환경 오염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실내 환경 오염 지표가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지하철역사에 설치된 환기 장치로 가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은 지하철 역사 또는 터널의 실내 공기 오염 물질을 센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확하게 측정 및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확하게 측정된 실내 공기 오염 물질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니터링된 실내 공기 오염 물질을 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지하철 역사를 중심으로 실내환경오염물질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지하상가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 연하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은 센서 노드(100), 수신 모듈(110), 데이터 처리 모듈(120), 제어 모듈(130), 데이터 서버(140), 오염물질 처리 장치(152), 환기장치(154), 경보장치(156), 메시지전송장치(158), 관련기관 서버(160) 및 지하철 관제소 모니터링 장치(170)를 포함한다.
센서노드(100)는 지하철 역사 또는 지하철 터널에 위치하여 실내공기오염물질을 감지 또는 측정한다.
센서노드(100)는 온/습도,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휘발성 유기화합물, 포름알데히드 또는 먼지 등의 실내공기오염물질을 감지 또는 측정 할 수 있는 센서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센서 모듈은 IAQ(Indoor Air Quality) 측정 장비일 수 있다. IAQ(Indoor Air Quality) 측정 장비는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온/습도, 미세먼지(PM10), 휘발성유기화합물(VOC), 포름알데히드(HCHO) 등의 실내공기오염물질을 측정할 수 있으며, 지하철 역사 및 터널내 설치가 용이한 수준의 크기 예를 들면, 최대 20cm x 20cm 이내일 수 있다.
센서 모듈은 NDIR(Non-Dispersive InfraRed) 방식, 전기화학적 방식 및 기타 방식 등을 평가하여 최적의 성능을 나타낼 수 있는 감지방식일 수 있으며, 일산화탄소(CO), 휘발성유기화합물(VOC), 포름알데히드(HCHO) 등 가스상 물질 감지용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상 물질 감지용 센서 모듈은 안정성: ㅁ5% 이내, 응답시간은 최초 가동 시 3분 이내에 최대 농도의 90% 이상, 가동 중 1분 이내에 측정 농도수준의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 모듈은 먼지(PM10)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먼지 센서 모듈은 광학식(흡광도 측정 방식) 또는 카운터 임팩트 식의 감지 방식일 수 있으며, 최소 1㎛의 미세먼지 검출이 가능하고, ㅁ10% 이내의 안정성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 노드(100)는 지하철 역사 또는 터널에 설치되어 하나의 센서그룹이 형성될 수 있다.
수신 모듈(110)은 센서 노드(100)로부터 측정된 실내공기오염물질 측정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 모듈(110)은 복수 개의 센서 노드(100)로부터 측정된 실내공기오염물질 측정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센서 노드(100)에 대해 각각의 수신모듈(100)는 배치될 수 있다.
수신 모듈(110)은 대응되는 센서 노드(100)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은 무선 랜, 와이브로 등일 수 있으며, 블루투스, 지그비 등 근거리 무선 통신일 수 있으며, 이는 센서 노드(100) 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데이터 처리 모듈(120)는 수신 모듈(11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실내 환경 오염 지표를 산출한다.
여기서, 실내 환경 오염 지표는 미리 설정된 방식에 의해 산출된다.
예를 들면, 실내 환경 오염 지표는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온/습도, 미세먼지(PM10), 휘발성유기화합물(VOC), 포름알데히드(HCHO) 등 6개 항목에 대해 각각의 측정 데이터에 대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뺀 값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실내 환경 오염 지표는 각각의 측정 데이터에 대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뺀 값에 각각의 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곱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 모듈(120)은 각각의 수신 모듈(11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받아 취합하여 제어 모듈(130)로 전달한다.
제어 모듈(130)은 데이터 처리 모듈(12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데이터 서버(140)에 전달하고, 데이터 서버(140)는 전달받은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데이터 서버(140)는 전달되는 정보를 저장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외부와 송수신이 가능하여 제어 모듈(130)을 통해서 관련기관 서버(160) 및 모니터링 장치(170)과 정보를 공유하게 된다.
제어 모듈(130)는 데이터 처리 모듈(120)로부터 전달받은 실내 환경 오염 지표가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지하철 역사 또는 지하철 터널에 설치된 환기 장치 가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환기 장치(154)는 제어모듈(12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환기를 위하여 가동될 수 있다.
또한, 환기 장치(154)는 자연력에 의해 가동되기 위하여 지하철이 지하철 승강장에 진입하는 경우, 진입하는 방향의 전반부에 위치한 환기 장치를 개방하여 배 기하고, 지하철이 진출하는 경우, 진출하는 방향의 후반부에 위치한 환기 장치를 개방하여 지하철 역사 외부의 공기를 흡기할 수 있다.
제어 모듈(130)은 산출된 실내 환경 오염 지표가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지하철역사의 관제소에 위치한 경보 장치를 가동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30)은 산출된 실내 환경 오염 지표가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지하철역사 또는 터널에 위치한 오염물질 처리 장치를 가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오염물질 처리 장치는 분진 제거 장치, 산소 발생 장치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 흡착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어 모듈(130)은 측정된 실내공기오염물질 데이터 및 상기 산출된 실내 환경 오염 지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모니터링 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링 장치(170)는 지하철 관제소에 위치하고, 근처 다른 지하철 관제소에 동시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지하철(A) 역사에서 측정된 실내오염물질 측정 데이터 및 실내 환경오염 지표 정보를 주변의 다른 지하철(A-1, A+1)역사로 실시간 전송될 수 있으며, 다른 지하철 역사와 공동으로 오염물질을 제어하기 위함이다.
모니터링 장치(170)는 측정 대상 환경 항목 예를 들면, CO, CO2, PM10, 온/습도, VOC, HCHO, Rn 등을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화면이 설계되어 있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170)는 프로그램의 GUI 기능이 포함되며, 프레젠테이션용 보고서 형식 지원, 수신된 정보를 차트, 도표, 지도정보의 활용, 이미지화하여 사용자 또는 방문객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 있다.
제어 모듈(130)은 산출된 실내 환경 오염 지표가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난 경우, 경보장치(156)에 관련 사항 경보를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30)은 산출된 실내 환경 오염 지표가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난 경우, 관련 담당자의 통신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메시지 전송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는 문자메시지, 멀티미디어메시지, 이메일(E-mail), 호출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노드(100)의 구성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며, 실내공기오염물질을 감지 또는 측정하는 센서부(210), 센서부(210)에서 감지 또는 측정된 실내공기오염물질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220), 센서부(210) 및 통신부(220)를 제어하는 제어부(230) 및 센서부(210), 통신부(220) 및 제어부(230)가 작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40)를 포함한다.
센서부(210)는 온/습도,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휘발성 유기화합물, 포름알데히드 또는 먼지 등의 실내공기오염물질을 감지 또는 측정 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된다.
통신부(220)는 안테나를 통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부(230)는 센서부(210) 및 통신부(220)를 제어한다. 제어부(230)는 이를 위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제어하는 역할을 하고 메모리에는 구동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전원부(240)는 센서부(210), 통신부(220) 및 제어부(230)가 작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240)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터리는 경량이고 사용 시간이 긴 것이 바람직하다.
도 3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 순서도이다.
우선, 단계 S310에서,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은 센서노드(100)에서 실내공기오염물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측정 데이터를 전송한다.
단계 S320에서,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은 수신모듈(110)에서 각각의 센서노드(100)에서 측정된 실내공기오염물질 측정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S330에서,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은 데이터 처리모듈(120)에서 수신된 측정 데이터를 처리하여 실내환경오염 지표를 산출한다.
여기서, 실내 환경 오염 지표는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온/습도, 미세먼지(PM10), 휘발성유기화합물(VOC), 포름알데히드(HCHO) 등에 대해 각각의 측정 데이터에 대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뺀 값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실내 환경 오염 지표는 각각의 측정 데이터에 대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뺀 값에 각각의 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곱하여 산출할 수 있다.
실내 환경 오염 지표는 그 임계값 및 가중치에 따라 건강 위해도 또는 일부 실내공기오염물질 농도의 오염도를 대표적으로 나타내는 지표이다.
단계 S340에서,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은 제어모듈(130)에서 산출된 실내환경오염 지표가 미리 설정된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지 판단한다.
단계 S350에서,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은 제어모듈(130)에서 판단 결과, 산출된 실내환경오염 지표가 미리 설정된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환기장치(152) 가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제어 모듈(130)은 산출된 실내 환경 오염 지표가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지하철역사의 관제소에 위치한 경보 장치를 가동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30)은 산출된 실내 환경 오염 지표가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지하철역사 또는 터널에 위치한 오염물질 처리 장치를 가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30)은 산출된 실내 환경 오염 지표가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난 경우, 관련 담당자에게 이를 알리기 위하여 메시지 전송장치(158)로 메시지 전송을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360에서,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은 제어모듈(130)에서 측정된 실내공기오염물질 데이터 및 상기 산출된 실내 환경 오염 지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모니터링 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30)은 데이터 처리 모듈(12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데이터 서버(140)에 전달하고, 데이터 서버(140)는 전달받은 정보를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 순서도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지하철 운행 정보를 이용하여 환기장치(154)를 제어하는 순서도이다.
지하철 내에서의 실내공기오염물질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 되어진 기술은 지하철 역사내의 공기환기를 위해 설치되는 환기시설이 대부분이다. 상기 환기시설은 역사의 공기를 지상으로 배출시키거나, 지상의 공기를 지하역사로 송출시키고, 또한 지하역사의 공기를 희석, 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10에서,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은 제어모듈(130)에서 판단 결과, 산출된 실내환경오염 지표가 미리 설정된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환기장치(152) 가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단계 S420 및 단계 S430에서,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은 환기장치(152)는 제어모듈(130)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지하철 승강장에 지하철이 진입 또는 진출하는지 판단한다.
단계 S440 및 단계 S450에서,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은 지하철 승강장에 지하철이 진입 또는 진출하는 경우, 환기 장치(152)를 개방하여 지하철 역사 내의 실내공기오염물질은 배기하거나, 외부의 청정공기를 흡기한다.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은 지하철 승강장에 지하철이 진입하는 경우, 지하철 진입방향의 전반부에 위치한 환기 장치(152)를 개방하여 지하철 역사 내의 실내공기오염물질은 배기한다. 이는 지하철이 진입되는 순간, 지하철이 피스톤의 역할을 하여 강제로 실내공기오염물질을 배기하는 것이다.
또한,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은 지하철 승강장에 지하철이 진출하는 경우, 지하철 진출방향의 후반부에 위치한 환기 장치(152)를 개방하여 지하철 역사 내의 실외공기를 흡기한다. 이는 지하철이 진출되는 순간, 지하철이 피스톤의 역할을 하여 강제로 외부공기를 흡기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노드(100)의 구성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센서노드 110: 수신모듈
120: 데이터 처리 모듈 130: 제어모듈
140: 데이터 서버 170: 모니터링 장치

Claims (21)

  1.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지하철 역사 또는 지하철 터널에 위치하여 실내공기오염물질을 감지 또는 측정하는 센서 노드로부터 측정된 실내공기오염물질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수신 모듈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실내 환경 오염 지표를 산출하는 데이터 처리 모듈;
    상기 산출된 실내 환경 오염 지표가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지하철 역사 또는 지하철 터널에 설치된 환기 장치 가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장치는
    지하철 승강장에 지하철이 진입하는 경우 진입방향의 전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지하철 승강장에 지하철이 진입하는 경우 개방되어 상기 실내공기오염물질을 자연 배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장치는
    지하철 승강장에 지하철이 진출하는 경우 진출방향의 후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지하철 승강장에 지하철이 진출하는 경우 개방되어 상기 실내공기오염물질을 자연 흡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기오염물질은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휘발성 유기화합물, 포름알데히드 및 먼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환경 오염 지표는 상기 실내공기오염물질의 측정 데이터에 대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뺀 값과 측정 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산출된 실내 환경 오염 지표가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지하철역사의 관제소에 위치한 경보 장치를 가동하는 제어신호를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산출된 실내 환경 오염 지표가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지하철역사 또는 터널에 위치한 오염물질 처리 장치를 가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물질 처리 장치는
    분진 제거 장치, 산소 발생 장치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 흡착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측정된 실내공기오염물질 데이터 및 상기 산출된 실내 환경 오염 지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모니터링 장치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지하철 승강장을 관할하는 관제소 및 근접 지하철 관제소에 설치되어 복수의 지하철 관제소에서 상기 실내공기오염물질을 공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측정된 실내공기오염물질 데이터 및 상기 산출된 실내 환경 오염 지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산출된 실내 환경 오염 지표가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난 경우, 관련 담당자의 통신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메시지 전송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모니터링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문자메시지, 멀티미디어메시지, 이메일(E-mail), 호출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모니터링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는,
    상기 실내공기오염물질을 감지 또는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 또는 측정된 실내공기오염물질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센서부가 작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
  15.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지하철 역사 또는 지하철 터널에 위치하여 실내공기오염물질을 감지 또는 측정하는 센서노드로부터 측정된 실내공기오염물질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모듈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실내 환경 오염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실내 환경 오염 지표가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지하철 역사 또는 지하철 터널에 설치된 환기 장치 가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하철 모니터링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환기 장치는 지하철 승강장에 지하철이 진입하는 경우 진입방향의 전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지하철 승강장에 지하철이 진입하는 경우 개방되어 상기 실내공기오염물질을 자연 배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모니터링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환기 장치는 지하철 승강장에 지하철이 진출하는 경우 진출방향의 후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지하철 승강장에 지하철이 진출하는 경우 개방되어 상기 실내공기오염물질을 자연 흡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모니터링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환경 오염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산출된 실내 환경 오염 지표가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지하철역사의 관제소에 위치한 경보 장치를 가동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모니터링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환경 오염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산출된 실내 환경 오염 지표가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지하철역사 또는 터널에 위치한 오염물질 처리 장치를 가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모니터링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환경 오염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측정된 실내공기오염물질 데이터 및 상기 산출된 실내 환경 오염 지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모니터링 장치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모니터링 방법.
  21.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모니터링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전자기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지하철 역사 또는 지하철 터널에 위치하여 실내공기오염물질을 감지 또는 측정하는 센서노드로부터 측정된 실내공기오염물질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모듈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실내 환경 오염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실내 환경 오염 지표가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지하철 역사 또는 지하철 터널에 설치된 환기 장치 가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전자기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70119644A 2007-11-22 2007-11-22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 KR200900530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644A KR20090053028A (ko) 2007-11-22 2007-11-22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644A KR20090053028A (ko) 2007-11-22 2007-11-22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028A true KR20090053028A (ko) 2009-05-27

Family

ID=40860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9644A KR20090053028A (ko) 2007-11-22 2007-11-22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3028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8241A (ko) * 2014-10-23 2016-05-04 (주) 이레아이에스 스마트 에어 케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62739B1 (ko) 2018-08-27 2019-03-28 서울교통공사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기계장비의 고장예측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656753A (zh) * 2018-12-03 2019-04-19 上海电科智能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轨道交通综合监控系统的冗余热备系统
KR20190082553A (ko) 2018-01-02 2019-07-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지하역사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1076334A (zh) * 2019-11-26 2020-04-28 广东珠江建筑工程设计有限公司 一种地下室空气检测控制系统及其方法
KR20200126470A (ko) * 2019-04-29 2020-11-09 주식회사 디에이피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
CN112346351A (zh) * 2020-11-19 2021-02-09 四川九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bim的物联网设备一体化智能集控系统
KR20210083432A (ko) * 2019-12-26 2021-07-0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철 공기질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287538B1 (ko) * 2020-12-24 2021-08-09 주식회사 에스엠엔테크 미세먼지 유입차단 기능이 구비된 스크린도어
US20220153236A1 (en) * 2019-08-02 2022-05-19 Central South University Method and System for Protecting Operation of Train Under Air Pollution Environment
KR102538236B1 (ko) 2022-08-04 2023-06-05 주식회사 애니텍 지하철역 전용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8241A (ko) * 2014-10-23 2016-05-04 (주) 이레아이에스 스마트 에어 케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82553A (ko) 2018-01-02 2019-07-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지하역사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62739B1 (ko) 2018-08-27 2019-03-28 서울교통공사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기계장비의 고장예측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656753A (zh) * 2018-12-03 2019-04-19 上海电科智能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轨道交通综合监控系统的冗余热备系统
CN109656753B (zh) * 2018-12-03 2023-02-28 上海电科智能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轨道交通综合监控系统的冗余热备系统
KR20200126470A (ko) * 2019-04-29 2020-11-09 주식회사 디에이피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
US20220153236A1 (en) * 2019-08-02 2022-05-19 Central South University Method and System for Protecting Operation of Train Under Air Pollution Environment
US11932209B2 (en) * 2019-08-02 2024-03-19 Central South University Method and system for protecting operation of train under air pollution environment
CN111076334A (zh) * 2019-11-26 2020-04-28 广东珠江建筑工程设计有限公司 一种地下室空气检测控制系统及其方法
KR20210083432A (ko) * 2019-12-26 2021-07-0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철 공기질 관리 장치 및 방법
CN112346351A (zh) * 2020-11-19 2021-02-09 四川九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bim的物联网设备一体化智能集控系统
CN112346351B (zh) * 2020-11-19 2021-09-28 四川九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bim的物联网设备一体化智能集控系统
KR102287538B1 (ko) * 2020-12-24 2021-08-09 주식회사 에스엠엔테크 미세먼지 유입차단 기능이 구비된 스크린도어
KR102538236B1 (ko) 2022-08-04 2023-06-05 주식회사 애니텍 지하철역 전용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3028A (ko) 지하철 모니터링 시스템
Völgyesi et al. Air quality monitoring with sensormap
KR101505022B1 (ko) 공기 오염 검출 모니터링 시스템
US11938784B2 (en) Health protection system for passengers on a train in a polluted indoor environment and method thereof
KR101333823B1 (ko) 교체형 센서모듈이 구비된 환경정보모니터링시스템
KR101814188B1 (ko) 교통수단을 이용한 공기질 지도 제공시스템
KR100734861B1 (ko) 실시간 악취 모니터링/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774253B2 (en) Reactive operations to air pollution
CN108956875B (zh) 一种基于物联网的实验室安全监测系统及方法
KR20140003760A (ko) 공기질 제어 시스템
KR20220036737A (ko)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통한 공기질 수준 예측방법
CN109030731A (zh) 一种实验室安全监测系统及其工作方法
JP7479444B2 (ja) メタンピーク検出
KR101475749B1 (ko) 오염공기 수집시스템, 오염공기 수집장치 및 그 방법
KR102313465B1 (ko) 멀티 센서 기반 모바일 대기 상태 상황인지 고지 시스템 및 방법
Zeiger et al. Demonstration abstract: participatory sensing enabled environmental monitoring in smart cities
KR100851520B1 (ko) 통계적 분석기법을 이용한 지하 공간의 대기 환경 예측장치 및 방법
Lee et al. Field measurement and estimation of ventilation flow rates by using train-induced flow rate through subway vent shafts
CN211122510U (zh) 污染判定标定车辆用标准气发生装置及污染判定标定车辆
Shen et al. Evaluation of a cost-effective roadside sensor platform for identifying high emitters
KR101988292B1 (ko) 지하철 역내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 및 그 방법
JP2001101561A (ja) 公害量推測装置及び公害量予測装置並びにこれを用いた道路交通管制装置
KR20110045196A (ko) 기록물 보존소의 실내환경 관리 및 오염물질 제어 시스템
CN108848171A (zh) 一种基于物联网的空气质量态势感知系统及方法
Nam et al. Ventilation control of subway station using USN environmental sensor monit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