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6148A - Welding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cylindrical containers - Google Patents

Welding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cylindrical contain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6148A
KR20200126148A KR1020190049752A KR20190049752A KR20200126148A KR 20200126148 A KR20200126148 A KR 20200126148A KR 1020190049752 A KR1020190049752 A KR 1020190049752A KR 20190049752 A KR20190049752 A KR 20190049752A KR 20200126148 A KR20200126148 A KR 20200126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metal plate
lane
fixed
fixed 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7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33693B1 (en
Inventor
김미애
Original Assignee
김미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애 filed Critical 김미애
Priority to KR1020190049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693B1/en
Publication of KR20200126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1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6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25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rectilinear seams
    • B23K9/0253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rectilinear seams for the longitudinal seam of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25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rectilinear seams
    • B23K9/0256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rectilinear seams for welding ribs on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28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curved planar seams
    • B23K9/0288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curved planar seams for welding of tubes to tub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ld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ylindrical container, the welding apparatus comprising: a table part in which a linear welding-lane is formed to have open upper and lower sides to allow a welding arc to pass therethrough, and both edges of a metal plate pre-processed to have a curvature through a bending process are provided to be able to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welding-lane to be fixed; and a welding part which is disposed on an upper part of the table part to be able to perform a linear transfer motion and allows the welding arc to pass through the welding-lane to continuously join both edges of the metal plate fixed to the table part.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quality of welding and minimize a disuse loss due to a failure.

Description

원통형 용기의 제조를 위한 용접장치 {WELDING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CYLINDRICAL CONTAINERS}Welding device for manufacturing cylindrical containers {WELDING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CYLINDRICAL CONTAINERS}

본 발명은 원통형 용기의 용접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통형 용기를 제조함에 있어서 모재의 맞대어지는 이음매 부분이 전용치구에 의해 안정적으로 밀착 고정되기 때문에 가접(假接)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용접기의 이송 제어를 통해 모재의 과용접이나 용융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용접을 시행함으로써 용접품질은 향상시키고 불량으로 인한 폐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원통형 용기의 제조를 위한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lding method of a cylindrical container and a welding device used therein. In manufacturing a cylindrical container, the joint part of the base material to be butted is stably and tightly fixed by a dedicated jig, so that the temporary welding process is omitted. The welding device for manufacturing a cylindrical container that can improve welding quality and minimize waste loss due to defects by performing automatic welding that can prevent over-welding or melting of the base metal through the transfer control of the welding machine. will be.

박판의 금속재로 제조된 원통형 용기의 경우 활용범위와 쓰임새가 상당히 범용적인 소재 중 하나로서, 각종 기계장치의 부품을 비롯하여 일상 생활에 접할 수 있는 여러 제품들에 적용되고 있다.In the case of a cylindrical container made of a thin plate of metal, the scope of use and use is one of the most common materials, and is applied to various products that can be encountered in everyday life, including parts of various mechanical devices.

특히 스테인리스 박판의 원통형 용기는 재질의 특성상 위생적이고 청결한 유지관리가 용이한 편이기에, 청소기와 같은 전자제품의 몸체뿐만 아니라 쓰레기통과 같은 여러 생활용품에 사용되고 있다.In particular, the cylindrical container made of a thin stainless steel plate is easy to maintain hygienic and clean due to the nature of the material, and is therefore used not only for the body of electronic products such as vacuum cleaners, but also for various household items such as trash cans.

이러한 원통형 용기는 벤딩, 용접, 스피닝 등의 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중 용접 공정의 경우 낮은 생산성과 원통형 용기의 형상적 특성으로 인해 수작업으로 실시됨이 일반적이다.Such a cylindrical container is generally manufactured through processes such as bending, welding, spinning, and the like, among which the welding process is generally performed manually due to low productivity and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cylindrical container.

이로 인해 작업자가 용접 중 발생되는 유해광선 및 오염물질에 노출되어 눈과 피부의 염증, 메스꺼움, 두통, 현기증, 열병을 호소하는 경우가 빈번했고, 폐암 등과 같은 산업재해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개선할 방안이 필요했다.As a result, workers frequently complained of eye and skin irritation, nausea, headache, dizziness, fever due to exposure to harmful rays and contaminants generated during welding, and may cause industrial accidents such as lung cancer. I needed a plan.

최근 앞서 언급한 문제들과 인건비 절감, 제품의 고품질화를 위해 용접 공정의 자동화 및 반자동화가 적극 추진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도 대부분의 원통형 용기의 제조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제품의 생산성 및 품질이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크게 좌우되고 있다.Recently, automation and semi-automation of the welding process has been actively promoted for the aforementioned problems, labor cost reduction, and product quality improvement.However, in Korea, most of the cylindrical containers are still manufactured by hand, so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the products It is greatly influenced by skill level.

특히 얇은 두께의 박판을 벤딩하여 용접하는 것은 매우 난해하여 용접 기술 수준이 높은 용접 기술자가 용접을 수행해야 했다.In particular, it is very difficult to bend and weld a thin plate, so a welding technician with a high level of welding technology had to perform the welding.

기존의 용접 공정의 경우 용접 도중에 발생될 수 있는 모재의 휨이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된 모재인 금속판(10)의 맞대어지는 이음매 부분에 가접(12, tack welding)을 우선적으로 시행한 후, 도 1의 (b)와 같이 용접선(14)을 따라 본 용접작업을 실시하고 있다.In the case of the existing welding process, in order to prevent bending or distortion of the base material that may occur during welding, temporary welding 12 to the butt joint of the metal plate 10, which is the bent base material, as shown in Fig. 1(a). , tack welding) is performed first, and then the main welding operation is performed along the welding line 14 as shown in FIG. 1(b).

또한 두께가 0.8mm 내지 1.5mm 이내의 두께를 갖는 박판은 용접선의 시작점과 끝점에서의 용접이 매우 어려운데, 용접기의 출력이나 용접 시간을 잘못 조절할 경우 이음매가 견고하지 못하거나 모재가 녹아내리는 등의 과용접이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very difficult to weld a thin plate with a thickness of 0.8mm to 1.5mm or less at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welding line.If the output or welding time of the welding machine is adjusted incorrectly, the joint is not strong or the base metal melts. Folding may occur.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현장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인 금속판(10) 양 끝단에 덧판(20)을 가접하고, 양 덧판(20)에 용접선(14)의 시작점(14s)과 끝점(14e)을 형성함으로써 용접기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여유를 확보함과 동시에 모재의 용융을 방지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field, as shown in FIG. 2, the overlay plate 20 is temporarily joined to both ends of the metal plate 10, which is a base material, and the start point 14s and the end point 14e of the welding line 14 on both overlay plates 20 By forming, it secures a margin to control the output of the welding machine and prevents melting of the base material.

그러나, 위와 같은 일련의 공정들은 용접 품질의 향상을 위한 것들 것 한편 용접의 마감품질을 저해하는 요소이며, 본용접을 마친 후 그라인딩 공정과 같은 후속 공정이 요구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용접 공정이 수작업으로 수행되고 있는 실제 현장에 있어서는 생산성을 크게 감소시키는 중요 요인 중 하나였다.However, the above series of processes are for improving the welding quality, while they are factors that hinder the finish quality of the welding, and most of the welding processes are performed manually because a subsequent process such as a grinding process is required after completing the main welding. It w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significantly reduced productivity in the actual field.

아울러 최근 우수한 용접기량을 보유한 용접 기술자가 점차 부족해지고 있는 현실이기에, 대량 생산이 필요한 공정 라인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생산 시간을 줄이고 비용을 감소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In addition, as welding technicians with excellent welding skills are becoming increasingly scarce in recent years,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o reduce production time and cost by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 process lines requiring mass produc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원통형 용기를 제조함에 있어서 모재의 맞대어지는 이음매 부분이 전용치구에 의해 안정적으로 밀착 고정되기 때문에 가접(假接)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용접기의 이송 제어를 통해 모재의 과용접이나 용융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용접을 시행함으로써 용접품질은 향상시키고 불량으로 인한 폐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원통형 용기의 제조를 위한 용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manufacturing a cylindrical container, since the butt joint part of the base material is stably tightly fixed by a dedicated jig, the temporary welding process can be omitted, and the base material is controlled by the transfer control of the welding machine. It is to provide a welding device for the manufacture of a cylindrical container that can improve welding quality and minimize waste loss due to defects by performing automatic welding that can prevent over-welding or melting.

한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 will be able to.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용기의 제조를 위한 용접장치는, 용접 아크가 통과될 수 있도록 상하가 개방된 선형(linear)의 웰딩레인(welding-lane)이 형성되고, 벤딩 공정을 통해 곡률을 갖도록 선가공된 금속판의 양측 모서리가 상기 웰딩레인에서 서로 맞닿아 고정될 수 있게 마련되는 테이블부; 및 상기 테이블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웰딩레인을 따라 선형의 이송 운동이 가능하게 마련되며, 용접 아크를 상기 웰딩레인을 통해 통과시켜 상기 테이블부에 고정된 상기 금속판의 양측 모서리를 연속적으로 접합하는 용접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weld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ylindrical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linear welding-lane with open top and bottom is formed so that a welding arc can pass, and a bending process A table portion provided so that both corners of the metal plate pre-processed to have a curvature through the welding lane are fixed to each other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welding part disposed above the table part to enable a linear transfer movement along the welding lane, and continuously joining both edges of the metal plate fixed to the table part by passing a welding arc through the welding lane. It may include.

여기서, 상기 테이블부는, 상기 웰딩레인을 기준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되 상기 테이블부의 아랫면에 미리 설정된 만큼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고정대; 및 상기 웰딩레인과 상기 고정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테이블부의 아랫면에 구비되며, 상기 웰딩레인의 너비 방향을 기준으로 좌, 우측 일부분을 가리도록 마련되어, 상기 웰딩레인의 너비보다 더 좁은 틈인 웰딩슬릿(welding-slit)을 상기 웰딩레인과 상기 고정대 사이에 형성하는 고정쉴드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쉴드는, 상기 고정대 상에 상기 금속판의 양측 모서리가 서로 맞닿도록 놓이면, 상기 금속판의 양측 모서리를 상기 고정대에 눌러 압박 고정할 수 있다.Here, the table unit may include: a fixture disposed on the same line with respect to the welding lane and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a lower surface of the table unit; And a welding slit that is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table portion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welding lane and the fixing table, and is provided to cover left and right portions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elding lane, and is a gap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welding lane ( welding-slit) is formed between the welding lane and the fixing table, and the fixing shield is placed on the fixing table so that both corners of the metal plate contact each other, and both corners of the metal plate are placed on the fixing table. Can be pressed and fixed.

이때, 상기 고정쉴드는, 상기 웰딩레인의 너비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일부분을 가리도록 상기 테이블부의 아랫면에 구비되어, 상기 웰딩레인의 좌측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고정쉴드; 및 상기 웰딩레인의 너비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 일부분을 가리도록 상기 테이블부의 아랫면에 구비되되, 상기 웰딩레인 상에 상기 웰딩슬릿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고정쉴드에 대향하여 간격을 두고 상기 웰딩레인의 우측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고정쉴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xed shield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fixed shields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table portion to cover a left portion of the welding lane in a width direction, and arranged in a line along a left length direction of the welding lane; And the welding lan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table portion to cover a right portion of the welding lan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elding lane, and at an interval opposite to the first fixed shield so that the welding slit may be formed on the welding lane.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fixed shields arranged in a row along the right length direction of.

그리고, 상기 고정쉴드는, 상기 고정대 상에 상기 금속판의 양측 모서리 중 어느 일측 모서리가 놓이면, 상기 제1 고정쉴드 또는 상기 제2 고정쉴드 중 어느 하나의 고정쉴드가 상기 금속판의 일측 모서리를 우선적으로 고정하고, 상기 금속판의 타측 모서리가 먼저 고정되어 있는 상기 금속판의 일측 모서리에 맞닿게 되면, 상기 제1 고정쉴드 또는 상기 제2 고정쉴드 중 남아있는 다른 하나의 고정쉴드가 상기 금속판의 타측 모서리를 순차적으로 고정하며, 상기 제1 고정쉴드 및 상기 제2 고정쉴드는, 상기 금속판의 길이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일괄적으로 상기 금속판의 모서리를 압박 고정하거나, 복수 개 중 일부분만이 상기 금속판의 모서리를 압박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And, in the fixed shield, if any one of the corners of both sides of the metal plate is placed on the fixing table, the fixed shield of either the first fixed shield or the second fixed shield preferentially fixes one edge of the metal plate. And, when the other edge of the metal plate comes into contact with one edge of the metal plate that is first fixed, the other fixed shield remaining among the first fixed shield or the second fixed shield sequentially touches the other edge of the metal plate. Fixed, the first fixed shield and the second fixed shield,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metal plate, a plurality of them collectively press and fix the edges of the metal plate, or only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pieces press and fix the edges of the metal plate It can be prepared to do.

한편, 상기 고정대는, 상기 고정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고정대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가 필요시 상기 고정대의 외부로 튀어나와 상기 웰딩슬릿의 틈 사이로 돌출될 수 있게 마련되는 센터링핀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the fixing rods are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rod, and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xing rod and then protrude out of the fixing rod when necessary and protrude through the gaps of the welding slit. It may include a provided centering pin.

아울러, 상기 용접부는, 상기 테이블부와 동일한 길이방향을 갖도록 상기 테이블부 상부에 마련되는 가이드레일; 모터 및 벨트를 통해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왕복 이송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웰딩레인에 고정된 상기 금속판에 대한 용접을 수행하는 용접기; 및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용접기의 이송 거리와 초기 위치로 복귀하기 위한 왕복 지점을 설정하는 리미트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lding part may include a guide rail provided on the table part to have the same longitudinal direction as the table part; A welding machine that is provided to be reciprocated on the guide rail through a motor and a belt, and performs welding on the metal plate fixed to the welding lane; And a limit sensor that is provided on the guide rail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position, and sets a transfer distance of the welding machine and a reciprocating point for returning to the initial position.

또한, 상기 용접기는, 용접을 위한 이송을 시작할 때, 상기 금속판의 양측 모서리가 맞닿아 있는 용접선의 시작 구간에서 본래 용접을 수행하는 본전류의 약 10% 내지 20%에 해당하는 예비전류로 미리 설정된 제1 시간만큼 정지상태를 유지하여 용접을 수행한 뒤, 상기 제1 시간이 경과하면 즉시 상기 본전류로 출력을 상승시키는 동시에 이송을 시작하고, 용접이 마무리되는 상기 용접선의 끝 구간에서는 상기 본전류의 출력을 약 10% 내지 20% 감소시켜 미리 설정된 제2 시간만큼 정지상태를 유지하며 용접을 마무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lding machine, when starting the transfer for welding, a pre-set with a preliminary current corresponding to about 10% to 20% of the main current performing the original welding in the start section of the welding line where both edges of the metal plate are in contact. After the welding is performed by maintaining a stopped state for a first time, when the first time elapses, the output is immediately raised to the main current and the transfer starts at the same time. In the end section of the welding line where welding is completed, the main current By reducing the output of about 10% to 20%, it is possible to finish the welding while maintaining the stationary state for a preset second time.

나아가, 상기 용접기는, 상기 금속판의 두께가 0.6mm일 경우, 상기 본전류의 출력이 35A, 이송 속도가 0.2m/min, 이너트가스의 유량이 15L/min 내지 20L/min, 아크 길이가 2.4mm로 제어되고, 상기 금속판의 두께가 0.8mm일 경우, 상기 본전류의 출력이 50A 내지 55A, 이송 속도가 0.2m/min, 이너트가스의 유량이 15L/min 내지 20L/min, 아크 길이가 2.4mm로 제어될 수 있다.Further, the welding machine, when the thickness of the metal plate is 0.6mm, the output of the main current is 35A, the feed rate is 0.2m/min, the flow rate of the inner gas is 15L/min to 20L/min, the arc length is 2.4 It is controlled by mm, 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metal plate is 0.8mm, the output of the main current is 50A to 55A, the feed rate is 0.2m/min, the flow rate of the inner gas is 15L/min to 20L/min, and the arc length is It can be controlled by 2.4mm.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용기의 제조를 위한 용접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weld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ylindrical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모재의 맞대어지는 이음매 부분이 전용치구에 의해 안정적으로 밀착 고정되기 때문에 가접(假接)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First, since the butt joint part of the base material is stably tightly fixed by the exclusive jig, the temporary welding process can be omitted.

또한 용접기의 이송 제어를 통해 모재의 과용접이나 용융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기의 이송 거리 및 왕복 제어의 세팅이 용이하기 때문에 대량 생산의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over-welding or melting of the base material through the transfer control of the welding machine, and because it is easy to set the transfer distance and reciprocation control of the welding machine, the productivity of mass production can be greatly improved.

나아가, 모재의 두께에 따라 용접 조건을 다양하게 제어함으로써 불량을 최소화하고 보다 높은 용접 품질을 얻어낼 수 있다.Furthermore, by controlling the welding conditions variously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base material, defects can be minimized and higher welding quality can be obtained.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 내지 도 2는 종래 생산현장에서 시행되고 있는 원통형 용기의 용접 방법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용기의 제조를 위한 용접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테이블부에 금속판 모재가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쉴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7 내지 도 8은 고정쉴드 및 고정대를 이용한 금속판의 고정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센터링 핀을 이용한 금속판의 고정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부에 추가로 구성될 수 있는 서포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의 이송 및 출력 제어를 나타낸 것이다.
1 to 2 show the welding methods of a cylindrical container that is carried out in the conventional production site.
3 to 4 show a welding device for manufacturing a cylindrical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metal plate base material is fixed to the table part.
6 shows a configuration of a fixed shie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8 show a process of fixing a metal plate using a fixed shield and a fixing table.
9 to 11 show a process of fixing a metal plate using a centering pin.
12 shows a supporter that may be additionally configured on a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shows the transfer and output control of the wel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additional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is only an example to aid understanding of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us it is specified that the scope of the rights is not limited.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용기의 제조를 위한 용접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겠다.First, a configuration of a weld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ylindrical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박판 형태의 금속판에 대한 자동용접을 수행하여 원통형 용기로 제조하는 용접장치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제조를 위한 용접장치는 테이블부(100) 및 용접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3 to 4, the present invention is a weld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ylindrical container by performing automatic welding on a thin plate-shaped metal plate, and the weld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yl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table part 100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welding portion 200.

테이블부(100)는 용접 대상이자 모재인 금속판(10)이 용접을 위해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용접장치의 기초가 되는 베이스부(300) 상에 설치되며, 용접 아크가 통과될 수 있도록 상하가 개방된 선형(linear)의 웰딩레인(wl, welding-lane)이 형성될 수 있다.The table part 100 is a structure in which a metal plate 10, which is a welding target and a base material, is fixed for welding, and is installed on the base part 300, which is the basis of the welding device, and its top and bottom are opened so that the welding arc can pass. A linear welding-lane (wl) may be formed.

이러한 테이블부(100)에는 벤딩 공정을 통해 곡률을 갖도록 선가공된 금속판(10)이 고정될 수 있으며, 용접 시 원통형 용기의 이음매가 될 금속판(10)의 양측 모서리는 웰딩레인(wl)에서 서로 맞닿은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A metal plate 10 pre-processed to have a curvature through a bending process may be fixed to the table portion 100, and both edges of the metal plate 10 to be a joint of a cylindrical container during welding are It can be fixed in contact.

여기서 웰딩레인(wl)은 용접이 수행될 용접선에 대한 일종의 가이드라인이며, 후술할 용접부(200)의 용접기(210)는 테이블부(100)에 설정된 웰딩레인(wl)을 따라 구간 이동하며 자동용접을 수행하게 된다.Here, the welding lane (wl) is a kind of guideline for the welding line to be welded, and the welding machine 210 of the welding part 200 to be described later moves along the welding lane wl set in the table part 100 and automatically welds Will perform.

이때 모재인 금속판(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웰딩레인(wl)의 아래측, 즉 테이블부(100)의 아랫면에 접하도록 고정되고, 웰딩레인(wl)의 상측에서 발생한 용접 아크는 웰딩레인(wl)을 통과하여 금속판(10)의 양측 모서리가 맞닿은 이음매에 닿게 된다.At this time, the base metal plate 10 is fixed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welding lane wl, 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100, as shown in FIG. 4, and the welding arc gener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welding lane wl is Passing through the welding lane wl, both edges of the metal plate 10 come into contact with the abutting joint.

한편, 웰딩레인(wl)은 테이블부(100) 상에 아래로 움푹 들어간 일종의 고랑(furrow)을 형성할 수 있으며, 테이블부(100) 또한 이에 대응하여 수직단면이 웰딩레인(wl)을 중심으로 한 V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elding lane (wl) may form a type of furrow recessed down on the table portion (100), and the table portion (100) also corresponds to this, so that the vertical section is centered on the welding lane (wl). It can be configured in one V-shape.

이에 따라 용접선 부분 및 용융풀에 대한 이너트가스의 차폐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불활성 분위기를 조성하기 용이한 형상적 구조를 통해 용접 품질의 향상 또한 기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shielding of the inner gas to the welding line portion and the molten pool can be made more effectively, and an improvement in welding quality can be expected through a shape structure that facilitates creating an inert atmospher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부(100)는 금속판(10)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세부구성으로서 고정대(110) 및 고정쉴드(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able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xing table 110 and a fixing shield 120 as a detailed configuration for stably fixing the metal plate 10.

고정대(110)는 웰딩레인(wl)을 기준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되 테이블부(100)의 아랫면에 미리 설정된 만큼 간격을 두고 마련되며, 후술할 고정쉴드(120)와 함께 모재인 금속판(10)의 이음매가 될 양측 모서리 부분을 테이블부(100)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fixing table 110 is disposed on the same line with respect to the welding lane wl, but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10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metal plate 10 as a base material together with the fixing shield 120 to be described later It serves to stably fix both corner portions to be the joint of the table portion (100).

이때 고정대(110)와 테이블부(100)의 아랫면 사이의 간격은 모재인 금속판(10)이 진입할 수 있을 만큼의 간격이고, 모재인 금속판(10)이 0.8mm 내지 1.5mm, 심지어 0.6mm 이내의 박판인 것을 감안하여 좁은 틈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한 부분이다.At this time, the gap between the fixing table 1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part 100 is a gap that allows the base metal plate 10 to enter, and the base metal plate 10 is 0.8mm to 1.5mm, even within 0.6mm. Considering that it is a thin plate, it can be set as a narrow gap, and this is a part that can be changed as much as necessary.

그리고 고정대(110)는 선가공을 통해 벤딩된 금속판(10)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벤딩된 금속판(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수직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의 바(bar)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도 4와 같이 모재인 금속판(10)의 다양한 지름 및 곡률 반경에 대응하여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table 110 is configured in a circular or elliptical bar shape with a vertical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ent metal plate 10 so that the bent metal plate 10 can be fixed through pre-processing. As described above, stable fixing may be possible in correspondence with various diameters and radius of curvature of the base metal plate 10.

나아가, 고정대(110)의 경우 웰딩레인(wl)에 접하고 금속판(10)이 올려져 고정되는 부분에 덧판 형태의 보강커버(112)가 구비될 수 있다.Further, in the case of the fixing table 110, a reinforcing cover 112 in the form of a reinforcement plate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in which the metal plate 10 is fixed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welding lane wl.

이러한 보강커버(112) 또한 금속판(10)과 맞닿는 부분 면적이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모재인 금속판(10)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cover 112 may also be formed such that a partial area in contact with the metal plate 10 has a curvature so that the metal plate 10 as a base material is stably seated.

아울러 보강커버(112)는 지속되는 용접 작업으로 인해 고정대(110)가 마모되거나 열변형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착탈식으로 구성되어 손상 여부 또는 모재의 다양한 형상에 대응하여 교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cover 112 not only prevents the fixture 110 from being worn or damaged by thermal deformation due to continuous welding work, but also is configured as a detachable type and can be replaced in response to damage or various shapes of the base material. Can be prepared.

고정쉴드(120)는 웰딩레인(wl)과 고정대(11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테이블부(100)의 아랫면에 구비되며, 웰딩레인(wl)의 너비 방향을 기준으로 좌, 우측 일부분을 가리도록 마련되어, 웰딩레인(wl)의 너비보다 더 좁은 틈인 웰딩슬릿(ws, welding-slit)을 웰딩레인(wl)과 고정대(110) 사이에 형성할 수 있다.The fixed shield 12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unit 100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welding lane wl and the fixing table 110, and covers the left and right portions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elding lane wl. Provided, a welding-slit (ws), which is a gap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welding lane wl, may be formed between the welding lane wl and the fixing table 110.

그리고 고정쉴드(120)는 고정대(110) 상에 이음매가 될 금속판(10)의 양측 모서리가 서로 맞닿도록 놓이면, 금속판(10)의 모서리를 고정대(110)에 눌러 압박 고정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fixed shield 120 is placed on the fixing table 110 so that both sides of the metal plate 10 to be a joint contact with each other, the edge of the metal plate 10 is pressed against the fixing table 110 and fixed by pressing.

이때 고정쉴드(120)가 금속판(10)을 눌러 압박하는 가동(稼動)은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베이스부(300)에 설치된 스위치 또는 페달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xed shield 120 is movable by pressing the metal plate 1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t may be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a switch or a pedal installed in the base unit 300.

또한 고정쉴드(120)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22)에 의해 테이블부(100)에 연결됨으로써, 금속판(10)에 대한 압박을 해제할 시 탄성부재(122)의 탄성복원에 의해 금속판(10)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고 본래 위치로 자동 복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ed shield 120 is connected to the table portion 100 by an elastic member 122 such as a spring, so that when the pressure on the metal plate 10 is released, the metal plate 10 is elastically restored by the elastic member 122. ) Can be provided to release the lock and automatically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쉴드(120)는 고정대(110)와 함께 모재인 금속판(10)을 테이블부(1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웰딩레인(wl)에 형성되어 보다 세밀한 용접선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웰딩슬릿(ws)을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xed shield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not only serves to fix the metal plate 10 as the base material to the table unit 100 together with the fixing table 110, but also is formed on the welding lane wl.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welding slit (ws) that provides guidelines for fine welding lines.

이처럼 고정쉴드(120)에 의해 형성된 웰딩슬릿(ws)는 용접기(210, 도 3 참조)로부터 발생되는 아크가 설정된 용접선을 벗어난 범위로 방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용접이 수행될 용접선 외 부분의 모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결과적으로 용접 품질의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In this way, the welding slit (ws) formed by the fixed shield 120 prevents the arc generated from the welding machine (210, see FIG. 3) from radiating to a range outside the set welding line, so that the base material outside the welding line to be welded is It plays a role in preventing damage and consequently improving welding quality.

위와 같은 고정쉴드(120)의 경우 제1 고정쉴드(120a) 및 제2 고정쉴드(120b)로 구분될 수 있으며,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1 고정쉴드(120a) 및 제2 고정쉴드(120b)에 의해 웰딩슬릿(ws)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fixed shield 120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divided into a first fixed shield 120a and a second fixed shield 120b, and a first fixed shield 120a and a second fixed shield 120b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e welding slit (ws) may be formed by.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쉴드(120a)는 웰딩레인(wl)의 너비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일부분을 가리도록 테이블부(100)의 아랫면에 구비되며, 복수 개로 구성되어 웰딩레인(wl)의 좌측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 참조)More specifically, the first fixed shield 120a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unit 100 to cover a part of the left side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elding lane wl, an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e left side of the welding lane wl. It can be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length direction. (See Fig. 6)

그리고 제2 고정쉴드(120b)는 웰딩레인(wl)의 너비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 일부분을 가리도록 테이블부(100)의 아랫면에 구비되되, 웰딩레인(wl) 상에 웰딩슬릿(ws)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1 고정쉴드(120a)에 대향하여 간격을 두고 웰딩레인(wl)의 우측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며 제1 고정쉴드(120a)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And the second fixed shield (120b)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portion 100 so as to cover a part of the right side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elding lane (wl), a welding slit (ws) is formed on the welding lane (wl) It is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right length direction of the welding lane wl at intervals facing the first fixed shield 120a so that it may be configured as a plurality of the first fixed shields 120a.

위와 같은 제1 고정쉴드(120a) 및 제2 고정쉴드(120b)는 모재인 금속판(10)이 고정대(110)를 통해 고정될 때, 이음매를 형성할 금속판(10)의 양측 모서리를 각각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각각의 가동을 독립적, 순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페달을 베이스부(300)에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금속판(10)을 고정함에 있어서 보다 쉽고 안정적인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first fixed shield 120a and the second fixed shield 120b as described above are fixed through the metal plate 10 as a base material, the two sides of the metal plate 10 to form a joint are fixed. It performs a role,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by providing a pedal that can independently and sequentially control each operation in the base unit 300, the operator performs an easier and more stable operation in fixing the metal plate 10 Can be configured to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부(100)는 보다 안정적인 작업을 위하여, 모재인 금속판의 고정 시 금속판(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작업레버(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table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working lever 130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metal plate 10 when the metal plate as a base material is fixed for a more stable operation. have.

작업레버(130)는 금속판(10)이 고정을 위해 테이블부(100)와 고정대(110) 사이로 인입되는 방향이자 테이블부(100)의 길이방향에 따른 측단에 배치될 수 있다.The working lever 130 is a direction in which the metal plate 10 is inserted between the table unit 100 and the fixing table 110 for fixing and may be disposed at a side en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table unit 100.

이러한 작업레버(130)는 테이블부(100)에 힌지 결합되어 금속판(10)의 용접 작업 과정에서는 고정대(110)에 걸쳐 닫힘 상태를 유지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힌지 운동을 통해 닫힘 상태를 해제하여 용접 작업이 완료된 원통형 용기를 테이블부(100)로부터 제거하는 등, 필요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se working levers 130 are hinged to the table part 100 to maintain a closed state across the fixture 110 in the welding process of the metal plate 10, and if necessary, release the closed state through a hinge movement. It may be provided to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need, such as removing the cylindrical container on which the welding operation has been completed from the table portion 100.

용접부(200)는 전술한 테이블부(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웰딩레인(wl)을 따라 선형의 이송 운동이 가능하게 마련되며, 용접 아크를 웰딩레인(wl)을 통해 통과시켜 테이블부(100)에 고정된 금속판(10)의 양측 모서리를 연속적으로 접합하여 원통형 용기를 제조하게 된다.The welding part 200 is disposed above the table part 100 described above to enable a linear transfer motion along the welding lane wl, and the welding arc is passed through the welding lane wl to pass the table part 100 ), a cylindrical container is manufactured by continuously bonding both edges of the metal plate 10 fixed thereto.

본 실시예에 따른 용접부(200)의 경우 용접기(210), 가이드레일(220), 리미트센서(2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welding par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welding machine 210, a guide rail 220, and a limit sensor 270.

용접기(210)는 테이블부(100)의 웰딩레인(wl)에 고정된 금속판(10)에 대한 아크 용접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테이블부(100)와 동일한 길이방향을 갖도록 테이블부(100) 상부에 마련된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왕복 이송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welding machine 210 is a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arc welding on the metal plate 10 fixed to the welding lane wl of the table portion 10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table portion 100 so as to have the same longitudinal direction as the table portion 100 It may be provided to enable reciprocating transport along the guide rail 220 provided in.

이때 용접기(210)의 이송은 가이드레일(220)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에 배치되는 모터(240) 및 스프로킷(240), 그리고 모터(240)와 스프로킷(240) 사이에 연결되어 모터(240)의 회전운동을 선형운동으로 전환하는 벨트(250)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용접기(210)는 벨트(250)에 의해 이송되는 홀더에 고정됨으로써 선형의 이송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transfer of the welding machine 210 is connected between the motor 240 and the sprocket 240 disposed at both end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guide rail 220, and the motor 240 and the sprocket 240 to the motor 240 It can be achieved by the belt 250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linear motion, and the welding machine 210 is fixed to the holder carried by the belt 250 to perform a linear transfer motion.

그리고 용접부(200)는 용접기(210)의 이송 시 함께 이동하게 되는 각종 케이블의 안내 및 보호를 위한 구성으로서 케이블트레이(260)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Further, the welding part 200 may additionally include a cable tray 260 as a configuration for guiding and protecting various cables that move together when the welding machine 210 is transferred.

리미트센서(270)의 경우 가이드레일(220) 상에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용접기(210)의 이송 거리와 초기 위치로 복귀하기 위한 왕복 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limit sensor 270, a position can be adjusted on the guide rail 220, and a transfer distance of the welding machine 210 and a reciprocating point for returning to the initial position can be set.

이를 위해 리미트센서(270)는 용접기(210)의 이송의 시작점과 끝점(용접을 끝내고 초기 위치로 왕복하기 위한 반환점)을 설정할 수 있도록 둘 이상의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limit sensor 27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two or more so as to set a starting point and an ending point (return point for reciprocating to the initial position after welding ends) of the welding machine 210.

이러한 리미트센서(270)는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이송되는 용접기(21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근접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용접기(210)가 리미트센서(270)에 근접 또는 접촉하게 되면 용접기(210)의 이송을 중지 및 전환시키는 등의 제어력을 행사할 수 있다.This limit sensor 270 may be configured as a proximity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welder 210 that is transferred along the guide rail 220, and the welder 210 is brought into proximity or contact with the limit sensor 270. If so, it is possible to exercise control power such as stopping and switching the transfer of the welding machine 210.

아울러 리미트센서(270)는 용접기(210)의 이송 거리에 대한 제어와 더불어 용접기(210)의 작동 및 출력 제어의 수단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imit sensor 270 may be used as a means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and output of the welding machine 210 in addition to controlling the transfer distance of the welding machine 210.

예컨대 리미트센서(270)는 용접 시작 시 용접기(210)의 출력을 제어하거나, 또는 용접기(210)가 설정된 용접선의 끝점에 다다랐을 때 용접기(210)의 작동이 자동으로 중지하게끔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mit sensor 270 may control the output of the welding machine 210 at the beginning of welding, or control to automatically stop the operation of the welding machine 210 when the welding machine 210 reaches an end point of a set welding line.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용접부(200)는 리미트센서(270)를 통한 용접기(210)의 이송 거리 및 왕복 제어의 세팅이 용이하기 때문에 반복 작업 및 대량 생산에 매우 유리할 수 있다.As such, the welding par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very advantageous for repetitive work and mass production because it is easy to set the transfer distance and reciprocation control of the welding machine 210 through the limit sensor 270.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용기의 제조를 위한 용접장치를 이용한 금속판(10)의 고정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겠다.Next, a process of fixing the metal plate 10 using a welding device for manufacturing a cylindrical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1.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부(100)는 고정대(110) 및 고정쉴드(120)를 이용해 모재인 금속판(10)을 고정할 수 있으며, 앞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설명 중 언급했듯이 고정쉴드(120)는 금속판(10)의 보다 안정적이고 순차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각각 복수 개로 구성되는 제1 고정쉴드(120a)와 제2 고정쉴드(120b)를 포함하게 된다.As shown in Figure 6, the table porti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fix the metal plate 10 as the base material using the fixing table 110 and the fixed shield 120,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bove. As mentioned above, the fixed shield 120 includes a first fixed shield 120a and a second fixed shield 120b each composed of a plurality of metal plates 10 to enable more stable and sequential fixa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쉴드(120)는 고정대(110) 상에 금속판(10)의 양측 모서리 중 어느 일측 모서리(e1)가 놓이면, 제1 고정쉴드(120a) 또는 제2 고정쉴드(120b) 중 어느 하나의 고정쉴드(120)가 금속판의 일측 모서리(e1)를 우선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when any one edge e1 of the two sides of the metal plate 10 is placed on the fixing table 110, the fixed shield 120 is a first fixed shield 120a or a second fixed shield 120b. ) Of any one of the fixed shields 120 may preferentially fix one edge (e1) of the metal plate.

그리고 고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10)의 어느 일측 모서리(e1)가 고정된 상태에서, 금속판(10)의 타측 모서리(e2)가 먼저 고정되어 있는 금속판(10)의 일측 모서리(e1)에 맞닿게 되면, 제1 고정쉴드(120a) 또는 제2 고정쉴드(120b) 중 남아있는 다른 하나의 고정쉴드(120)가 금속판(10)의 타측 모서리(e2)를 순차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And as shown in Go 8, in a state in which one edge e1 of the metal plate 10 is fixed, one edge e1 of the metal plate 10 to which the other edge e2 of the metal plate 10 is fixed first When in contact with the first fixed shield 120a or the second fixed shield 120b, the remaining fixed shield 120 may sequentially fix the other edge e2 of the metal plate 10.

이때 제1 고정쉴드(120a) 및 제2 고정쉴드(120b)는 금속판(10)의 길이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일괄적으로 금속판(10)의 모서리를 압박 고정하거나, 복수 개 중 일부분만이 금속판(10)의 모서리를 압박 고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the first fixed shield 120a and the second fixed shield 120b collectively press and fix the edges of the metal plate 10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metal plate 10, or only part of the plurality of metal plates ( 10) can be fixed by pressing the corners.

위와 같은 일련의 고정 과정이 완료되면 용접부(200)의 용접기(210)는 웰딩레인(wl) 및 웰딩슬릿(ws)을 따라 이동하며, 서로 맞닿아 있는 금속판(10)의 양측 모서리를 접합함으로써 원통형 용기의 이음매를 형성하게 된다.When the above series of fixing processes are completed, the welding machine 210 of the welding part 200 moves along the welding lane wl and the welding slit ws, and joins both edges of the metal plate 10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make a cylindrical shape. It forms the seam of the container.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대(110)는 금속판(10)의 양측 모서리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휨이나 뒤틀림을 방지하고, 보다 정확한 이음매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센터링핀(114, 도 6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tabl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revents bending or twisting in the process of fixing both edges of the metal plate 10, and a centering pin 114 (see FIG. 6) as a configuration for forming a more accurate joint. It may contain more.

센터링핀(114)은 고정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고정대(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가 필요시 고정대(110)의 외부로 튀어나와 웰딩슬릿(ws)의 틈 사이로 돌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entering pins 114 are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ture 110, are accommodated in the fixture 110, and then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fixture 110 when necessary and a welding slit (ws ) May be provided to protrude through the gaps.

보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대(110) 상에 금속판(10)의 양측 모서리 중 어느 일측 모서리(e1)를 우선적으로 고정할 시, 작업자는 금속판(10)의 일측 모서리(e1)를 웰딩슬릿(ws) 내에 돌출되어 있는 센터링핀(114)에 접촉할 때까지 밀어 넣은 상태에서, 금속판(10)의 일측 모서리(e1)에 위치한 제1 고정쉴드(120a)를 가동함으로써 금속판(10)의 일측 모서리(e1)를 고정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 9, when preferentially fixing any one side edge (e1) of both sides of the metal plate 10 on the fixing table 110, the operator is one side edge (e1) of the metal plate 10 The metal plate 10 by moving the first fixed shield 120a located at one edge e1 of the metal plate 10 in a state that pushed in until it contacts the centering pin 114 protruding in the welding slit ws. ) Of one side edge (e1) can be fixed.

이때 웰딩슬릿(ws) 내에 고정된 금속판(10)의 일측 모서리(e1)는 웰딩슬릿(ws)에 맞춰 미리 정렬된 센터링핀(114)에 의해 별다른 조정작업 없이 웰딩슬릿(ws)의 중심선에 맞춰져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one edge (e1) of the metal plate 10 fixed in the welding slit (ws) is aligned with the center line of the welding slit (ws) without any special adjustment by the centering pin 114 that is pre-aligned with the welding slit (ws). Can be fixed.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쉴드(120a)에 의해 금속판(10)의 일측 모서리(e1)가 고정된 상태에서 센터링핀(114)은 하강하여 고정대(110)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10, the centering pin 114 descends and can be accommodated in the fixing table 110 while the one edge e1 of the metal plate 10 is fixed by the first fixed shield 120a. have.

여기서 작업자는 금속판(10)의 타측 모서리(e2)를 제2 고정쉴드(120b)와 고정대(110) 사이로 밀어 넣되, 금속판(10)의 타측 모서리(e2)가 먼저 고정되어 있는 일측 모서리(e1)에 완전히 맞닿아 멈출 때까지 밀어 넣음으로써 금속판(10)의 양측 모서리(e1, e2)가 웰딩슬릿(ws) 내에서 서로 맞닿아 정렬되게 할 수 있다.Here, the operator pushes the other side edge (e2) of the metal plate 10 between the second fixed shield (120b) and the fixture 110, but the other side edge (e2) of the metal plate 10 is fixed first (e1) By pushing in until it completely abuts against and stops, the both sides e1 and e2 of the metal plate 10 may be aligned with each other in the welding slit ws.

위와 같은 과정이 완료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제2 고정쉴드(120b)를 가동하여 금속판(10)의 타측 모서리(e2)를 마저 고정할 수 있다.When the above process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11, the operator can even fix the other side edge e2 of the metal plate 10 by actuating the second fixed shield 120b.

전술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작업자는 별도의 얼라인먼트 또는 얼라인 작업 없이 간단하게 원통형 용기의 이음매를 형성할 금속판(10)의 양측 모서리를 정렬된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으며, 금속판(10)의 맞대어지는 이음매 부분을 안정적으로 밀착 고정함으로써 가접(假接) 공정과 같은 추가적 공정을 요하지 않게 된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processes, the operator can simply fix both sides of the metal plate 10 to form the joint of the cylindrical container in an aligned state without separate alignment or alignment, and the metal plate 10 is butted. By stably attaching and fixing the joint part, an additional process such as a temporary welding process is not required.

이어서, 도 1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용기의 제조를 위한 용접장치에 모재인 금속판(10)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추가될 수 있는 보조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겠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12,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n auxiliary configuration that can be added for stable fixing of the metal plate 10 as a base material to the weld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ylindrical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300)에는 서포터(310)가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a supporter 310 may be additionally configured in the base uni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서포터(310)는 받침대(312) 및 지주대(314)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받침대(312)는 테이블부(100)에 고정된 금속판(10)의 하부를 받치도록 마련되되 벤딩 공정을 거친 금속판(10)의 형상에 대응하여 곡률을 갖는 호(弧)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지주대(314)는 모재인 금속판(10)의 다양한 크기에 맞춰 높이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upporter 310 may be composed of a pedestal 312 and a pillar 314, and the pedestal 312 is provided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metal plate 10 fixed to the table portion 100, but a metal plate subjected to a bending process 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n arc having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10), and the support stand 314 may be configured to be variable in height according to various sizes of the metal plate 10 as the base material. .

이와 같은 서포터(310)를 통해 작업자는 테이블부(100)에 금속판(10)의 양측 모서리를 순차적으로 고정할 때, 보다 안정적으로 금속판(10)을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기치 못한 실수로 인해 금속판(10)이 테이블부(100)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rough such a supporter 310, the operator can more stably fix the metal plate 10 when sequentially fixing both edges of the metal plate 10 to the table 100, as well as the metal plate due to an unexpected mistake. It is possible to prevent (10) from falling from the table portion (100).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용기의 제조를 위한 용접장치를 이용한 금속판(10)의 용접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겠다.Next, a welding process of the metal plate 10 using a welding device for manufacturing a cylindrical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용접부(200)는 테이블부(100)에 고정된 금속판(10)에 대한 용접을 수행함에 있어서 고유한 이송 제어 및 출력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3, the welding par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perform unique transfer control and output control when welding the metal plate 10 fixed to the table part 100.

보다 구체적으로, 용접부(200)의 용접기(210)는 용접을 위한 이송을 시작할 때, 금속판(10)의 양측 모서리가 맞닿아 있는 용접선의 시작 구간에서 본래 용접을 수행하는 본전류의 약 10% 내지 20%에 해당하는 예비전류로 미리 설정된 제1 시간만큼 정지상태를 유지하여 용접을 수행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welding machine 210 of the welding part 200 starts transferring for welding, about 10% to about 10% of the main current performing the original welding in the starting section of the welding line where both edges of the metal plate 10 abut. Welding can be performed by maintaining a stopped state for a predetermined first time period with a preliminary current corresponding to 20%.

여기서 본전류는 50A 내지 55A, 제1 시간은 약 3초 정도를 기본 설정 조건으로 하고, 이는 한정된 사항이 아닌 금속판(10)의 두께가 0.8mm인 경우에 따른 설정치의 일례이며, 본전류 및 제1 시간에 대한 설정 조건은 금속판(10)의 두께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사항이다.Here, the main current is 50A to 55A, and the first time is about 3 seconds as a basic setting condition, which is not a limitation, but is an example of the set value according to the case where the thickness of the metal plate 10 is 0.8mm. The setting conditions for 1 hour are items tha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metal plate 10.

그리고 제1 시간이 경과하면 즉시 본전류로 출력을 상승시키는 동시에 용접기(210)의 이송을 시작하며, 이때 예비전류에서 본전류로 출력이 상승되는 구간은 수직에 가까울 정도로 빠르게 전환됨으로써 슬로프를 생성하지 않는 논 슬로프(non-slope) 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And when the first time elapses, the output is immediately raised to the main current and the welding machine 210 starts to be transferred at the same time. At this time, the section in which the output from the preliminary current to the main current is increased is rapidly switched to close to the vertical, thereby generating a slope. It is possible to form a non-slope section.

용접이 마무리되는 용접선의 끝 구간이자 용접기(210)의 이송이 끝나는 구간에서는 본전류의 출력 상태인 용접기(210)의 출력을 약 10% 내지 20% 감소시켜 미리 설정된 제2 시간(금속판의 두께가 0.8mm인 경우 약 1~2초 내외)만큼 정지상태를 유지하며 용접을 마무리할 수 있다.In the end section of the welding line where welding is completed and the section where the transfer of the welding machine 210 ends, the output of the welding machine 210, which is the output state of the main current, is reduced by about 10% to 20%, and the second time (the thickness of the metal plate is In the case of 0.8mm, the welding can be finished by maintaining the stationary state for about 1~2 seconds).

위와 같은 일련의 용접 제어를 통해 용접부(200)는 별도의 가접 공정 및 덧판 공정(도 2 참조) 없이 용접이 까다로운 용접선의 시작과 끝부분에 대한 용접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모재의 과용접이나 용융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rough a series of welding controls as described above, the welding part 200 can improve the welding quality for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welding line, which is difficult to weld, without a separate temporary welding process and an overplate process (see Fig. 2), and over-welding or melting of the base material. It can also be prevented.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용접부(200)는 모재인 금속판(10)의 두께에 따라 최적의 용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용접기(210)의 용접 조건을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welding par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control the welding conditions of the welding machine 210 to perform optimal welding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base metal plate 10.

예컨대 금속판(10)의 두께가 0.6mm일 경우, 용접기(210)의 본전류 출력은 35A, 이송 속도는 0.2m/min, 이너트가스의 유량은 15L/min 내지 20L/min, 아크 길이(금속판과 전극 사이의 간격)는 2.4mm로 제어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hickness of the metal plate 10 is 0.6mm, the main current output of the welding machine 210 is 35A, the feed rate is 0.2m/min, the flow rate of the inner gas is 15L/min to 20L/min, and the arc length (metal p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and electrodes) can be controlled to 2.4mm.

또한 금속판(10)의 두께가 0.8mm일 경우, 용접기(210)의 본전류 출력은 50A 내지 55A, 이송 속도는 0.2m/min, 이너트가스의 유량은 15L/min 내지 20L/min, 아크 길이는 2.4mm로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metal plate 10 is 0.8mm, the main current output of the welding machine 210 is 50A to 55A, the feed rate is 0.2m/min, the flow rate of the inner gas is 15L/min to 20L/min, the arc length Can be controlled by 2.4mm.

이러한 용접기(210)의 용접 조건은 우수한 용접 품질을 얻기 위한 반복 테스트를 통해 얻어낸 최적의 조건이며, 이를 통해 안정적인 비드의 형성하고 용입불량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The welding condition of the welding machine 210 is an optimum condition obtained through repeated tests to obtain excellent welding quality, thereby forming a stable bead and preventing a poor penetration phenomenon.

나아가, 위와 같은 용접 조건을 설정함에 있어서 용접기(210) 노즐의 직경을 통한 조건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Further, in setting the welding conditions as described above, condition control through the diameter of the nozzle of the welding machine 210 may be performed.

예를 들어 세라믹 노즐을 사용하되 노즐 직경에 따라 전극과 모재 간의 거리(아크 길이)를 제어할 수 있으며, 노즐의 직경 이하로 전극과 모재의 거리를 유지시킴으로써 이너트가스의 차폐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For example, a ceramic nozzle is used, but the distance (arc length)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base material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nozzle diameter, and the shielding of the inner gas is made more efficient by keeping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base material less than the diameter of the nozzle. You can also let it go.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용접부(200)는 모재의 두께에 따라 용접 조건을 다양하게 제어함으로써 불량을 최소화하고 보다 높은 용접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elding par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minimize defects and secure higher welding quality by variously controlling welding conditions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base material.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spirit or scope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is is obvious to them.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 금속판
100: 테이블부
110: 고정대
114: 센터링핀
120: 고정쉴드
200: 용접부
210: 용접기
220: 가이드레일
270: 리미트센서
300: 베이스부
10: metal plate
100: table part
110: fixture
114: centering pin
120: fixed shield
200: weld
210: welder
220: guide rail
270: limit sensor
300: base portion

Claims (8)

용접 아크가 통과될 수 있도록 상하가 개방된 선형(linear)의 웰딩레인(welding-lane)이 형성되고, 벤딩 공정을 통해 곡률을 갖도록 선가공된 금속판의 양측 모서리가 상기 웰딩레인에서 서로 맞닿아 고정될 수 있게 마련되는 테이블부; 및
상기 테이블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웰딩레인을 따라 선형의 이송 운동이 가능하게 마련되며, 용접 아크를 상기 웰딩레인을 통해 통과시켜 상기 테이블부에 고정된 상기 금속판의 양측 모서리를 연속적으로 접합하는 용접부를 포함하는
원통형 용기의 제조를 위한 용접장치.
A linear welding-lane with open top and bottom is formed so that the welding arc can pass, and both edges of the pre-processed metal plate to have a curvature through a bending process abut and fix each other in the welding lane. A table portion provided to be able to be; And
A welding part disposed on the table part to enable a linear transfer motion along the welding lane, and continuously joining both edges of the metal plate fixed to the table part by passing a welding arc through the welding lane Included
Welding device for manufacturing cylindrical contain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부는,
상기 웰딩레인을 기준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되 상기 테이블부의 아랫면에 미리 설정된 만큼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고정대; 및
상기 웰딩레인과 상기 고정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테이블부의 아랫면에 구비되며, 상기 웰딩레인의 너비 방향을 기준으로 좌, 우측 일부분을 가리도록 마련되어, 상기 웰딩레인의 너비보다 더 좁은 틈인 웰딩슬릿(welding-slit)을 상기 웰딩레인과 상기 고정대 사이에 형성하는 고정쉴드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쉴드는,
상기 고정대 상에 상기 금속판의 양측 모서리가 서로 맞닿도록 놓이면, 상기 금속판의 양측 모서리를 상기 고정대에 눌러 압박 고정하는
원통형 용기의 제조를 위한 용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able part,
A fixing table disposed on the same line with respect to the welding lane and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tabl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welding slit that is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table portion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welding lane and the fixing table, and provided to cover left and right portions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elding lane, and is a gap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welding lane. -slit) comprises a fixed shield formed between the welding lane and the fixing table,
The fixed shield,
When both corners of the metal plate are placed on the fixing table so as to contact each other, pressing and fixing both edges of the metal plate against the fixing table
Welding device for manufacturing cylindrical container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쉴드는,
상기 웰딩레인의 너비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일부분을 가리도록 상기 테이블부의 아랫면에 구비되어, 상기 웰딩레인의 좌측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고정쉴드; 및
상기 웰딩레인의 너비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 일부분을 가리도록 상기 테이블부의 아랫면에 구비되되, 상기 웰딩레인 상에 상기 웰딩슬릿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고정쉴드에 대향하여 간격을 두고 상기 웰딩레인의 우측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고정쉴드를 포함하는
원통형 용기의 제조를 위한 용접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ixed shield,
A plurality of first fixed shields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table portion to cover a left portion of the welding lane in a width direction of the welding lane, and arranged in a row along a left length direction of the welding lane; And
It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part so as to cover a right part of the welding lane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elding lane, and the welding lane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ixed shield so that the welding slit may be formed on the welding lane.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fixed shields arranged in a row along the right longitudinal direction
Welding device for manufacturing cylindrical containe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쉴드는,
상기 고정대 상에 상기 금속판의 양측 모서리 중 어느 일측 모서리가 놓이면, 상기 제1 고정쉴드 또는 상기 제2 고정쉴드 중 어느 하나의 고정쉴드가 상기 금속판의 일측 모서리를 우선적으로 고정하고,
상기 금속판의 타측 모서리가 먼저 고정되어 있는 상기 금속판의 일측 모서리에 맞닿게 되면, 상기 제1 고정쉴드 또는 상기 제2 고정쉴드 중 남아있는 다른 하나의 고정쉴드가 상기 금속판의 타측 모서리를 순차적으로 고정하며,
상기 제1 고정쉴드 및 상기 제2 고정쉴드는,
상기 금속판의 길이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일괄적으로 상기 금속판의 모서리를 압박 고정하거나, 복수 개 중 일부분만이 상기 금속판의 모서리를 압박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원통형 용기의 제조를 위한 용접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fixed shield,
When any one of the corners of the metal plate is placed on the fixing table, the fixed shield of either the first fixed shield or the second fixed shield preferentially fixes one edge of the metal plate,
When the other edge of the metal plate comes into contact with one edge of the metal plate that is first fixed, the other fixed shield remaining among the first fixed shield or the second fixed shield sequentially fixes the other edge of the metal plate, and ,
The first fixed shield and the second fixed shield,
In correspondence with the length of the metal plate, a plurality of pieces are provided to collectively press and fix the edges of the metal plate, or only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pieces may be provided to press and fix the edges of the metal plate.
Welding device for manufacturing cylindrical container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상기 고정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고정대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가 필요시 상기 고정대의 외부로 튀어나와 상기 웰딩슬릿의 틈 사이로 돌출될 수 있게 마련되는 센터링핀을 포함하는
원통형 용기의 제조를 위한 용접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fixing bar,
A plurality of centering pins are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ture, are accommodated in the fixture, and then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fixture when necessary to protrude through the gap of the welding slit. doing
Welding device for manufacturing cylindrical contain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는,
상기 테이블부와 동일한 길이방향을 갖도록 상기 테이블부 상부에 마련되는 가이드레일;
모터 및 벨트를 통해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왕복 이송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웰딩레인에 고정된 상기 금속판에 대한 용접을 수행하는 용접기; 및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용접기의 이송 거리와 초기 위치로 복귀하기 위한 왕복 지점을 설정하는 리미트센서를 포함하는
원통형 용기의 제조를 위한 용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elding part,
A guide rail provided on the table portion so as to have the same longitudinal direction as the table portion;
A welding machine that is provided to be reciprocated on the guide rail through a motor and a belt, and performs welding on the metal plate fixed to the welding lane; And
It is provided on the guide rail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position, including a limit sensor for setting the transfer distance of the welding machine and a reciprocating point for returning to the initial position
Welding device for manufacturing cylindrical container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기는,
용접을 위한 이송을 시작할 때, 상기 금속판의 양측 모서리가 맞닿아 있는 용접선의 시작 구간에서 본래 용접을 수행하는 본전류의 약 10% 내지 20%에 해당하는 예비전류로 미리 설정된 제1 시간만큼 정지상태를 유지하여 용접을 수행한 뒤,
상기 제1 시간이 경과하면 즉시 상기 본전류로 출력을 상승시키는 동시에 이송을 시작하고,
용접이 마무리되는 상기 용접선의 끝 구간에서는 상기 본전류의 출력을 약 10% 내지 20% 감소시켜 미리 설정된 제2 시간만큼 정지상태를 유지하며 용접을 마무리하는
원통형 용기의 제조를 위한 용접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welding machine,
When the transfer for welding is started, a preliminary current corresponding to about 10% to 20% of the main current performing the original welding in the start section of the welding line where both corners of the metal plat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first time After performing the welding by maintaining,
When the first time elapses, the output is immediately increased with the main current and the transfer starts at the same time,
In the end section of the welding line where welding is completed, the output of the main current is reduced by about 10% to 20% to maintain a stationary state for a preset second time and finish welding.
Welding device for manufacturing cylindrical container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기는,
상기 금속판의 두께가 0.6mm일 경우, 상기 본전류의 출력이 35A, 이송 속도가 0.2m/min, 이너트가스의 유량이 15L/min 내지 20L/min, 아크 길이가 2.4mm로 제어되고,
상기 금속판의 두께가 0.8mm일 경우, 상기 본전류의 출력이 50A 내지 55A, 이송 속도가 0.2m/min, 이너트가스의 유량이 15L/min 내지 20L/min, 아크 길이가 2.4mm로 제어되는
원통형 용기의 제조를 위한 용접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welding machine,
When the thickness of the metal plate is 0.6mm, the output of the main current is 35A, the feed rate is 0.2m/min, the flow rate of the inner gas is 15L/min to 20L/min, and the arc length is controlled to 2.4mm,
When the thickness of the metal plate is 0.8mm, the output of the main current is 50A to 55A, the feed rate is 0.2m/min, the flow rate of the inner gas is 15L/min to 20L/min, and the arc length is controlled to 2.4mm.
Welding device for manufacturing cylindrical containers.
KR1020190049752A 2019-04-29 2019-04-29 Welding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cylindrical containers KR1022336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752A KR102233693B1 (en) 2019-04-29 2019-04-29 Welding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cylindrical contain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752A KR102233693B1 (en) 2019-04-29 2019-04-29 Welding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cylindrical contain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148A true KR20200126148A (en) 2020-11-06
KR102233693B1 KR102233693B1 (en) 2021-03-29

Family

ID=73571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752A KR102233693B1 (en) 2019-04-29 2019-04-29 Welding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cylindrical contain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69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50736A (en) * 2022-04-19 2022-08-05 上海寰宇物流科技有限公司 Welding system for splicing and quick welding of side plates of container
KR102648135B1 (en) * 2023-06-30 2024-03-15 주식회사 한백산업 Cylindrical container manufacturing system capable of curved surface finish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7267A (en) * 2008-12-15 2010-06-24 Akihisa Murata Horizontal type automatic welding equipment for workpiece and workpiece weld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12066294A (en) * 2010-09-27 2012-04-05 Akihisa Murata Horizontal type automatic weld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7267A (en) * 2008-12-15 2010-06-24 Akihisa Murata Horizontal type automatic welding equipment for workpiece and workpiece weld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12066294A (en) * 2010-09-27 2012-04-05 Akihisa Murata Horizontal type automatic welding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50736A (en) * 2022-04-19 2022-08-05 上海寰宇物流科技有限公司 Welding system for splicing and quick welding of side plates of container
CN114850736B (en) * 2022-04-19 2024-05-07 上海寰宇物流科技有限公司 Welding system for container side plate splicing and quick welding
KR102648135B1 (en) * 2023-06-30 2024-03-15 주식회사 한백산업 Cylindrical container manufacturing system capable of curved surface finis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3693B1 (en) 202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3693B1 (en) Welding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cylindrical containers
KR930002032A (en) High productivity laser welding assembly and method
US20150239067A1 (en) Method and tools for welding a vehicle component
KR102335329B1 (en) Laser welding device
CN112404684A (en) Automatic spot welding production line for clamping piece nuts
JP6547056B2 (en) Clamping device and welding device
KR20100085296A (en) The regenerative apparatus of welding wire
CN205629627U (en) Intelligent welding robot in duplex position and control system thereof
JP3272197B2 (en) Lap welding jig
CA1157107A (en) Method for positioning and securing components of a workpiece
RU2754545C2 (en) Advanced welding torch and method for submerged arc welding of each layer in one pass with limited welding volumes and high walls
KR930003341B1 (en) Device for positioning hair pin springs on plates more especially for fuel assembly grids
JP3618686B2 (en) Butt joining device for strip metal sheet
CN213672787U (en) Automatic spot welding production line for clamping piece nuts
CN211840712U (en) Straight seam welding machine
KR20120094579A (en) Apparatus for guiding welding carriage
JP5180898B2 (en) Butt work butt joining device
JPS6325009Y2 (en)
CN105665930A (en) Laser spot welding device used for lenses
MX2021014810A (en)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a weld along a length.
CN217551618U (en) Automatic welding machine for processing storage basket
US19783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 riveting
KR200364335Y1 (en) Finishing element for metal plate and finishing system therefor
JPS5861976A (en) Spot welding device for grid-like work
KR20240076295A (en) A clamping appratus for cylindrical weld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