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5659A - 측정 방법, 구성 측정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 Google Patents

측정 방법, 구성 측정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5659A
KR20200125659A KR1020207027491A KR20207027491A KR20200125659A KR 20200125659 A KR20200125659 A KR 20200125659A KR 1020207027491 A KR1020207027491 A KR 1020207027491A KR 20207027491 A KR20207027491 A KR 20207027491A KR 20200125659 A KR20200125659 A KR 20200125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measurement
information
trigger event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7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3626B1 (ko
Inventor
유민 위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25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58Transmission of hand-off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04W36/0088Scheduling 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7Determination of triggering parameters for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5Handover due to radio link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6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 H04W36/362Conditional hando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측정 방법, 구성 측정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조건부 트리거 방식을 이용하여 셀을 관리할 때,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시동하는 단계; 및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할 때,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측정 방법, 구성 측정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3월 16일 중국에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810218469.0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측정 방법, 구성 측정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LTE)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접속 재구성 정보를 통해 단말에 대해 측정 구성하고, 단말(User Equipment, UE)은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해당 셀과 이웃 셀의 채널에 대한 측정 평가 및 보고를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LTE 시스템이 구성 중에서의 측정에 대해 보고를 할 때, 구성의 내용은 측정 대상 구성 및 측정 보고 구성을 포함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기기는 측정 식별(measID)을 통하여 측정 보고 구성(reportConfigId)과 측정 대상(measObjectId)의 관련 관계 구성 정보를 건립하고, 해당 관련 관계 구성 정보를 UE로 송신한다. UE는 해당 관련 관계 구성 정보가 있다고 판단하면, 해당 관련 관계 구성 정보가 지정한 측정 대상의 측정을 개시한다.
엔알(New Radio, NR) 통신 시스템에서, 예컨대 셀의 추가, 수정, 삭제, 변경 등과 같은 조건부 트리거 방식으로 셀 관리를 하는 것이 도입되고, 도 1이 나타낸 바와 같이, 조건 스위칭 과정의 주요 단계는,
단계 1, 소스 노드(Source)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타겟 노드(Target1 및 Target2)에 스위칭 요청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2, 타겟 노드는 소스 노드에 스위칭 확인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3, 소스 노드는 조건 스위칭의 구성 정보를 단말에 송신한다.
단계 4, 단말은 타겟 셀이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평가하고, 조건을 만족하였다고 확정한 후에 상응하는 타겟 셀을 선택하여 스위칭한다.
단계 5, 단말은 타겟 셀을 선택한 후에 랜덤 액세스 과정을 개시한다.
단계 6, 단말은 타겟 노드에 스위칭 완료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7, 소스 노드는 기타 타겟 노드에 취소 조건 스위칭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8, 기타 타겟 노드는 소스 노드에 조건 스위칭 취소 확인 정보를 송신한다.
조건부 트리거 방식을 이용하여 셀 관리를 수행할 때, 단말은 조건부 트리거에 관련된 셀의 측정을 언제 개시 또는 중지하는지를 결정하지 못하고, 관련 셀에 대한 측정이 제때에 되지 않을 경우, 셀 관리 실패를 초래하며, 관련 셀에 대한 측정을 지속할 경우 또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증가시킨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조건부 트리거하는 관련 셀의 측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측정 방법, 구성 측정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측에 적용되는 측정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조건부 트리거 방식을 이용하여 셀을 관리할 때,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시동하는 단계 - 타겟 대상은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대상 중 적어도 일부임 -; 및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할 때,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의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하며,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조건부 트리거 방식을 이용하여 셀을 관리할 때,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시동하기 위한 시동 모듈 - 타겟 대상은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대상 중 적어도 일부임 -; 및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할 때,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의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기 위한 처리 모듈; 을 포함한다.
제3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고 또한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9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측정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4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제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측정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5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 측에 적용되는 구성 측정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타겟 대상을 지시하기 위한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6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또한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타겟 대상을 지시하기 위한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모듈; 을 포함한다.
제7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고 또한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상기 구성 측정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8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구성 측정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이로써,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단말은 조건부 트리거 방식을 이용하여 셀 관리를 수행할 때,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측정 구성 정보에서의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셀에 대한 측정을 시동하고, 또한 측정 구성 정보에서의 측정을 정지하는 트리거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트리거 이벤트 정보가 지시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할 때, 상기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며, 나아가 측정의 추가 시그널링 구성을 절약하고, 또한 단말의 전력 절약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되어야 할 도면들을 간단하게 소개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에서의 도면들은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인 것으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있어서,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이러한 도면들에 의해 기타 도면들을 더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조건부 트리거에 기초한 셀 스위칭의 흐름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 방법의 흐름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모듈 구조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측정 방법의 흐름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의 모듈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블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면에 도시하였지만, 본 개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될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반대로,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보다 철저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또한 본 개시의 범위를 해당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완전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본 출원의 명세서와 청구범위 중의 "제1", "제2" 등 용어는 유사한 객체를 구별하는데 사용되며 반드시 특정 순서 또는 선차적인 순서를 설명하는데 사용 될 필요는 없다. 이에 따라 사용되는 데이터는 적절한 경우, 여기서 설명된 본 출원의 실시예들이, 예컨대 도시 또는 설명된 것 이외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도록, 상호 교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리고, 용어 "포함하다", "가지다" 및 그들의 어떠한 변형도, 배타적 포함을 포괄하는데 의도가 있으며, 예컨대,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한 과정,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기기는 명시적으로 열거된 단계 또는 유닛에만 제한될 것이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은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기기에 고유한 기타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측에 적용되는 측정 방법을 제공하며, 도 2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은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1: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해당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는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타겟 대상을 포함하며, 해당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개별적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측정 구성 정보를 통해 구성될 수도 있으며, 즉 측정 구성 정보에는 해당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캐리되어 있다.
단계 22: 조건부 트리거 방식을 이용하여 셀을 관리할 때,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시동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네트워크 기기는 명시적 또는 암시적 통지의 방식을 통해, 단말에 통지하여, 조건부 트리거 방식을 이용하여 셀 관리를 수행하도록 하며, 예컨대, 네트워크 기기는 전용 시그널링(예컨대 RRC 시그널링 등)을 통하여 조건부 트리거 방식을 이용하여 셀을 관리하도록 단말에 통지한다. 타겟 대상은 타겟 셀 또는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포함한다. 타겟 대상은 상기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대상 중 적어도 일부이다. 즉,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는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측정 대상을 캐리할 수 있는 외에, 기타 측정과 관련된 측정 대상을 캐리할 수도 있다. 기타 측정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는 측정 식별(measID)을 통하여 측정 보고 구성(reportConfigId)과 측정 대상(measObjectId)의 관련 관계 구성 정보를 건립하고, 해당 관련 관계 구성 정보를 단말에 송신한다. 단말이 해당 관련 관계 구성 정보를 검출하면, 해당 관련 관계 구성 정보가 지시한 측정 대상의 측정을 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조건부 트리거 방식을 이용하여 셀을 관리할 때,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직접 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타겟 대상은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대상 중 적어도 일부이다. 특히, 타겟 대상은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셀 또는 주파수 포인트다.
단계 23: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할 때,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이다.
단말은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또는 트리거 조건이라 칭함)에 기초하여 측정을 정지 또는 계속할 수 있다.
여기서, 만약 단말이 조건부 트리거 방식(상응하는 셀의 추가, 수정, 삭제, 변경을 포함)에 따라 셀을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면,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에 상응하는 트리거 조건 구성을 송신할 것이고, 만약 해당 "트리거 조건 구성"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셀 또는 주파수 포인트에 대한 측정 결과의 평가를 포함한다면, 네트워크 기기는 해당 하나 또는 다수 개의 셀 또는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구성 정보를 구성 또는 프로토콜로 약정하며, 해당 측정 구성 정보는: 명시된 측정 대상 구성과 암시된 측정 대상 구성 중의 한 항 또는 복수 항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여기서, 명시된 측정 대상 구성 또는 암시된 측정 대상 구성에 대해, 대응하는 측정 보고 구성(예컨대, reportConfigId) 및/또는 측정 식별 구성(예컨대, measId)을 구성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는 이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측정할 필요가 없는 셀 식별 정보;
타겟 대상의 주파수 포인트 식별 정보 - 암시된 측정 대상 구성에 대해, 해당 주파수 포인트 식별은 트리거 조건 구성 중에 캐리되는 주파수 포인트 식별일 수 있음 -;
타겟 대상의 셀 식별 정보 - 암시된 측정 대상 구성에 대해, 해당 셀 식별은 트리거 조건 구성 중에 캐리되는 셀 식별일 수 있음 -;
측정 대상이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을 위해 사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 즉 측정 대상이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의 지시 정보에 사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이며, 단말은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 중의 제1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어느 대상이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에 사용되는지를 판단하고, 또한 상응하는 대상의 측정을 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1"일 때, 해당 측정 대상이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의 측정에 사용되는 것을 지시하고, 이때 해당 측정 대상의 측정 결과는 대응하는 측정 보고를 갖지 않을 수 있으며;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0"일 때, 해당 측정 대상이 기타 측정에 사용되는 것을 지시하고, 이때 해당 측정 대상의 측정 결과는 대응하는 측정 보고를 가짐;
타겟 대상에 대응하는 참조 신호 구성 정보, 예컨대 동기 신호 블록(Synchronous Signal Block,SSB) 또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CSI-RS) 의 위치 등임;
타겟 대상의 레이어-3 필터링 구성 정보, 예컨대 필터 계수(filter Coefficient) 등임;
타겟 대상의 측정 결과 타입 정보, 측정 결과 타입은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ymbol Received Power,RSRP), 참조 신호 수신 품질(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RSRQ), 신호 대 간섭 잡음비(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SIN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만, 이에만 한정되지 않음; 및
적어도 하나의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한 후 계속 측정할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 즉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트리거 조건)를 만족한 후, 계속 측정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 예컨대, 어느 주파수 포인트 또는 셀의 측정이 단말의 조건 스위칭 완료 후 해당 주파수 포인트 또는 셀을 계속 측정할지 여부를 지시한다,
여기서, 사전 설정된 이벤트는 사전 정의된 것이거나, 또는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 기기는 측정을 정지한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가 측정 구성 정보에 캐리되게 할 수 있다.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는 셀 스위칭 성공, 셀 스위칭 실패, 타겟 세컨더리 셀 그룹(Secondary Cell Group,SCG) 액세스 성공, 타겟 SCG 액세스 실패 및 무선 링크 실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5G 시스템에서, 단말은 마스터 셀 그룹(Master Cell Group,MCG) 및 SCG를 포함하는 이중 접속(Dual Connectivity,DC ) 구조를 사용하며, 해당 MCG는 네트워크 측의 마스터 노드(Master Node,MN)에 대응하고, SCG는 네트워크 측의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SN)에 대응한다. MCG는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PCell) 및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SCell)을 포함하고, SCG는 프라이머리 세컨더리 셀(Primary Secondary cell, PSCell) 및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SCell)을 포함하며, PCell 및 PSCell은 또한 SpCell로 통칭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단계 23은 하기의 방식으로 구현되지만, 이에 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방식 1,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할 때, 모든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한다.
즉 스위칭 성공 후,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모든 타겟 대상의 측정을 정지하고;
스위칭 실패 후,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모든 타겟 대상의 측정을 정지하며;
특정(어느 한) 목표 SCG 액세스 성공 후,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모든 타겟 대상의 측정을 정지하며;
특정(어느 한) 목표 SCG 액세스 실패 (예컨대, SCG failure) 후,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모든 타겟 대상의 측정을 정지하며;
무선 링크 실패 후에,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모든 타겟 대상의 측정을 정지한다.
방식 2,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가 셀 스위칭 성공 또는 타겟 SCG 액세스 성공을 포함할 때, 셀 스위칭 성공 또는 타겟 SCG 액세스가 성공 하였을 때, 타겟 대상 중 현재 서빙 셀 이외의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한다.
즉 스위칭 성공 후에, 서빙 셀 이외의,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모든 타겟 대상의 측정을 정지하거나;
또는,
특정(어느 한) 타겟 SCG 액세스 성공 후, 서빙 셀 이외의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모든 타겟 대상의 측정을 정지한다.
방식 3,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할 때,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할 때,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겅한다.
즉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 중의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예컨대, 일부 타겟 대상의 측정의 지시 정보를 정지 또는 계속하고,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한 후,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그런 타겟 대상의 측정을 정지 또는 계속한다. 예컨대, 특정된 사전 설정된 트리거 조건이 만족된 후, 제2 지시 정보(예컨대 계속 측정할지 여부의 지시 정보)가 지시한 측정을 계속하는 대상을 제외한,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모든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한다.
방식 4,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할 때,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하고, 또한 타겟 대상의 구성 과정을 완료했을 때,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겅한다.
즉,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 중의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예컨대, 어느 타겟 대상의 측정의 지시 정보를 정지 또는 계속하고,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하고 또한 타겟 대상의 구성 과정(예컨대 스위칭 성공)을 성공적으로 완료한 후, 해당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그러한 타겟 대상의 측정을 정지 또는 계속한다.
여기서, 방식 3과 방식 4에 있어서,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이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측정이 계속 필요한 제1 타겟 대상에 기초하여,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계속하는 것을 확정하고; 예컨대, 스위칭 성공 후, 만약 제2 지시 정보가 어느 셀의 측정을 계속할 것을 지시하면, 이러한 셀들의 측정을 계속한다. 또는, 특정의 모 SCG의 액세스를 성공한 후, 만약 제2 지시 정보가 어느 셀의 측정을 계속할 것을 지시하면, 이러한 셀들의 측정을 계속한다. 추가로, 단말이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계속할 때, 더 나아가 제1 타겟 대상을 제외한,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모든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한다.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측정이 계속 필요 없는 제2 타겟 대상에 기초하여, 제2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을 확정하고; 예컨대, 스위칭 성공 후, 만약 제2 지시 정보가 어느 셀의 측정을 정지(즉 계속하지 않음)할 것을 지시하면, 이러한 셀들의 측정을 정지한다. 또는, 어느 SCG 액세스 성공 후, 만약 제2 지시 정보가 어느 셀의 측정을 정지할 것을 지시하면, 이러한 셀들의 측정을 정지한다.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측정이 계속 필요한 제1 타겟 대상에 기초하여, 타겟 대상 중의 제1 타겟 대상 이외의 기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을 확정한다. 예컨대, 스위칭 성공 후, 제2 지시 정보(예컨대, 어느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계속함)가 지시한 제1 타겟 대상을 제외한,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조건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모든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한다. 또는, 특정의 모 타겟 SCG 액세스에 성공한 후에, 제2 지시 정보(예컨대, 어느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계속함)가 지시한 제1 타겟 대상을 제외한,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조건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모든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가 셀 스위칭 성공 또는 타겟 SCG 액세스 성공을 포함할 때, 제1 타겟 대상은 해당 서비스 셀을 포함한다.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계속하여 측정할 필요가 있는 제1 타겟 대상에 기초하여, 제1 타겟 대상의 측정을 계속하는 것을 확정하는 것을 예로 하여, 스위칭 성공 후, 만약 제2 지시 정보가 어느 한 서빙 셀의 측정을 계속할 것을 지시하면, 이러한 서빙 셀의 측정을 계속한다. 또는, 어느 SCG 액세스 성공 후, 만약 제2 지시 정보가 어느 서빙 셀의 측정을 계속할 것을 지시하면, 이러한 서빙 셀의 측정을 계속한다. 추가로, 단말이 서빙 셀에 대한 측정을 계속할 때, 더 나아가 해당 서빙 셀을 제외한,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조건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모든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 방법에 있어서, 단말은 조건부 트리거 방식을 이용하여 셀을 관리할 때,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한 측정 구성 정보에서의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셀에 대한 측정을 시동하고, 또한 측정 구성 정보에서의 측정을 정지하는 트리거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트리거 이벤트 정보에서 지시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할 때, 상기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고, 나아가 측정의 추가 시그널링 구성을 절약하고, 또한 단말의 전력 절약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부동한 시나리오에서의 측정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이에 대응하는 단말에 대해 진일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단말(300)은 상기 실시예 중의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의 수신을 구현할 수 있고; 조건부 트리거 방식으로 셀을 관리할 때,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시동하고;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할 때,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의 측정 방법의 세부사항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고, 또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해당 단말(300)은 구체적으로 이하 기능 모듈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310);
조건부 트리거 방식을 이용하여 셀을 관리할 때,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시동하기 위한 시동 모듈(320) - 타겟 대상은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대상 중 적어도 일부임 -; 및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할 때,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기 위한 처리 모듈(330); 을 포함한다.
여기서,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는,
측정할 필요가 없는 셀 식별 정보;
타겟 대상의 주파수 포인트 식별 정보;
타겟 대상의 셀 식별 정보;
측정 대상이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을 위해 사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
타겟 대상에 대응하는 참조 신호 구성 정보;
타겟 대상의 레이어-3 필터링 구성 정보;
타겟 대상의 측정 결과 타입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한 후 계속하여 측정할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전 설정 트리거 이벤트는 사전 정의된 것이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를 위해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는: 셀 스위칭 성공, 셀 스위칭 실패, 타겟 세컨더리 셀 그룹(SCG) 액세스 성공, 타겟 SCG 액세스 실패 및 무선 링크 실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그중, 처리 모듈(330)은,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할 때, 모든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을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처리 모듈(330)은,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가 셀 스위칭 성공 또는 타겟 SCG 액세스 성공을 포함할 때, 셀 스위칭 성공 또는 타겟 SCG 액세스 성공 시, 타겟 대상 중 현재 서빙 셀 이외의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을 확정하기 위한 제2 확정 서브 모듈을 더 포함한다.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할 때, 처리 모듈(330)은,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할 때,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기 위한 제3 확정 서브 모듈; 및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하고, 또한 타겟 대상의 구성 과정이 완료될 때,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기 위한 제4 확정 서브 모듈; 중의 하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3 확정 서브 모듈 또는 제4 확정 서브 모듈은,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측정이 계속 필요한 제1 타겟 대상에 기초하여,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계속하는 것을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 유닛;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계속하여 측정할 필요가 없는 제2 타겟 대상에 기초하여, 제2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을 확정하기 위한 제2 확정 유닛; 및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측정이 계속 필요한 제1 타겟 대상에 기초하여, 타겟 대상 중 제1 타겟 대상 이외의 기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을 확정하기 위한 제3 확정 유닛; 중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가 셀 스위칭 성공 또는 타겟 SCG 액세스 성공을 포함할 때, 제1 타겟 대상은 해당 서빙 셀을 포함한다.
주목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단말은, 조건부 트리거 방식을 이용하여 셀을 관리할 때,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한 측정 구성 정보에서의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셀에 대한 측정을 시동하고, 또한 측정 구성 정보에서의 측정을 정지하는 트리거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트리거 이벤트 정보가 지시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할 때, 상기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의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며, 나아가 측정의 추가 시그널링 구성을 절약하고, 또한 단말의 전력 절약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더 잘 구현하기 위하여, 진일보로, 도 4는 본 개시의 각 실시예를 구현하는 단말의 하드웨어 구조 개략도이며, 해당 단말(40)은 무선 주파수 유닛(41), 네트워크 모듈(42), 오디오 출력 유닛(43), 입력 유닛(44), 센서(45), 표시 유닛(46), 사용자 입력 유닛(47), 인터페이스 유닛(48), 메모리(49), 프로세서(410), 및 전원(411) 등의 부품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도 4에 도시된 단말 구조는 단말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고, 단말은 도시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부품, 또는 일부 부품들을 조합하거나, 또는 부동한 부품 배열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팜탑 컴퓨터, 차량 탑재 단말, 착용 가능한 기기 및 보수계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무선 주파수 유닛(41)은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프로세서(410)는, 조건부 트리거 방식을 이용하여 셀을 관리할 때,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시동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타겟 대상은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대상 중의 적어도 일부이며;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할 때, 타겟 대상 중의 적어도 일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고;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단말은, 조건부 트리거 방식을 이용하여 셀을 관리할 때,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한 측정 구성 정보에서의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셀에 대한 측정을 시동하고, 또한 측정 구성 정보에서의 측정을 정지하는 트리거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트리거 이벤트 정보가 지시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할 때, 상기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에 댜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며, 나아가 측정의 추가 시그널링 구성을 절약하고, 또한 단말의 전력 절약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유닛은(41)은 정보의 송수신 또는 통화 과정 중 신호의 수신 및 송신을 위한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410)에 프로세싱을 맡기며; 또한,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4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무선 주파수 유닛(41) 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다른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은 네트워크 모듈(42) 을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서를 제공하며, 예컨대 사용자를 도와 전자 메일을 송수신, 페이지 브라우징, 및 액세스 스트리밍 등이다.
오디오 출력 유닛(43) 은 무선 주파수 유닛(41) 또는 네트워크 모듈(42)이 수신하거나 또는 메모리(4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스위칭하여 사운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유닛(43)은 단말(40)이수행되는 특정 기능에 관련된 오디오 출력 (예컨대, 호출 신호 수신 소리, 메시지 수신 소리 등) 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43)은 스피커, 버저 및 핸드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44)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입력 유닛(44)은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s Processing Unit, GPU, 441) 및 마이크(4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441)는 비디오 캡쳐 모드 또는 이미지 캡쳐 모드에서 이미지 캡쳐 장치(예컨대,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스틸 사진 또는 비디오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표시 유닛(46) 상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441)에 의한 처리를 거친 후의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49)(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또는 무선 주파수 유닛(41) 또는 네트워크 모듈(42)을 경유하여 송신된다. 마이크(442)는 소리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리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의 경우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유닛(41)을 경유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가능한 포맷으로 전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단말(40)은, 예컨대 광 센서, 운동 센서 및 기타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한 가지 센서(45)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환경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한다. 환경광 센서는 환경 광선의 명도에 따라 표시 패널(461)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고, 근접 센서는 이동 통신 단말(40)이 귓가로 이동했을 때, 표시 패널(461) 및/또는 백라이트를 턴 오프할 수 있다. 운동 센서의 일종으로서, 가속도계 센서는 각각의 방향에서의(통상적으로, 3 축) 가속도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고, 정지 시, 중력의 크기 및 방향을 검출할 수 있으며, 단말 자태(예컨대, 가로 및 세로 스크린 스위칭, 관련 게임, 자기력계 자세 교정), 진동 식별 관련 기능 (예컨대, 보수계, 태핑) 등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센서(45)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더 포함하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표시 유닛(46)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 유닛(46)은 표시 패널(4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의 형태로 표시 패널(4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47)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부호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산생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유닛(47)은 터치 패널(471) 및 기타 입력 기기(4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471)은, 터치 스크린으로 칭하기도 하며, 사용자가 터치 패널 상 또는 부근에서의 터치 조작(예컨대,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 등 임의의 적합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로 터치 패널(471) 상 또는 터치 패널(471) 부근에서의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471)은 터치 검출 장치 및 터치 제어기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검출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위를 검출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고, 신호를 터치 제어기로 송신하며; 터치 제어기는 터치 검출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접점 좌표로 전환시킨 후에 프로세서(410)로 보내고, 프로세서(410)가 보낸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한다. 또한, 저항식, 정전용량식, 적외선 및 표면탄성파 등 다양한 유형으로 터치 패널(471)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471)외에, 사용자 입력 유닛(47)은 기타 입력 기기(4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기기(472)는 물리 키보드, 기능키(예컨대, 음량 제어 키버튼, 전원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더 나아가, 터치 패널(471)은 표시 패널(461)을 커버할 수 있으며, 터치 패널(471)은 터치 패널(471) 상 또는 부근의 터치 조작을 검출한 후, 프로세서(410)에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확정하도록 하고, 그 후, 프로세서(410)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표시 패널(461) 상에 상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4에서 터치 패널(471)과 표시 패널(461)이 독립된 두 컴포넌트로서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고 있으나, 몇몇 실시예들에서, 터치 패널(471)과 표시 패널(461)을 집적하여 이동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바,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인터페이스 유닛(48)은 외부 장치가 단말(40)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컨대,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을 갖는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헤드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48)은 외부 장치로부터의 입력(예컨대,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이동 통신 단말(40)내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소자에 전송하기 위한 것 또는 이동 통신 단말(40)과 외부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4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49)는 주로 저장 프로그램 영역 및 저장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저장 프로그램 영역은 운영 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 데이터 영역은 휴대폰의 사용에 따라 작성된 데이터(예컨대,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4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고,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단말의 제어 중심이고, 각종 인터페이스 및 회선을 이용하여 전체 이동 단말의 각 부분을 연결시킨다. 메모리(49)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 또는 수행하고, 그리고 메모리(49)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단말의 각종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단말에 대해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한다. 프로세서(41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세서(41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모뎀 프로세서를 집적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 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술한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410)에 집적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단말(40)은 각각의 컴포넌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411)(예컨대,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원(4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410)와 로직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관리 및 전력 소비 관리 등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단말(40)은 도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를 더 제공하고, 프로세서(410), 메모리(49), 메모리(49)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세서(410)에서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4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측정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들을 구현하고,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면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단말은 무선 단말일 수 있고 유선 단말일 수도 있으며, 무선 단말은 음성 및/또는 기타 트래픽 데이터 접속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기를 가리킬 수 있으며, 무선 접속 기능을 갖는 핸드헬드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되는 기타 처리 기기일 수도 있다. 무선 단말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통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고, 무선 단말은 이동 전화(또는 "셀룰러" 전화로 칭함) 및 이동 단말을 구비한 컴퓨터와 같은 이동 단말일 수 있고, 예컨대, 휴대식, 포켓식, 핸드헬드식, 컴퓨터 내장 또는 차량 탑재용 장치일 수 있으며, 그들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한다. 예컨대, 개인 통신 서비스(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CS)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기,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 디지털 보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 기기이다. 무선 단말은 또한 시스템,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이동국(Mobile Station), 모바일(Mobile), 원격 스테이션(Remote Station), 원격 단말 (Remote Terminal),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사용자 디바이스(User Device or User Equipment)로 칭하고 여기서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측정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며, 또한 동일한 기술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면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예컨대 판독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일 수 있다.
이상 실시예는 본 개시의 측정 방법을 단말 측으로부터 설명하고, 이하 실시예는 도면을 결부하여 네트워크 기기 측의 측정 구성 방법에 대해 진일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기기 측에 적용되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측정 구성 방법은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51: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는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타겟 대상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타겟 대상은 타겟 셀 또는 타겟 주파수 포인트를 포함한다. 주목해야 할 것은,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는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측정 대상을 캐리할 수 있는 외에, 기타 측정과 관련된 측정 대상을 캐리할 수도 있다. 따라서, 타겟 대상은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대상 중의 적어도 일부이다.
조건부 트리거 방식을 이용하여 셀을 관리할 때, 단말은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직접 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는 적어도 이하 하나를 포함한다:
측정할 필요가 없는 셀 식별 정보;
타겟 대상의 주파수 포인트 식별 정보 - 암시된 측정 대상 구성에 있어서, 해당 주파수 포인트 식별은 조건부 트리거 구성중에 캐리되는 주파수 포인트 식별일 수 있음 -;
타겟 대상의 셀 식별 정보 - 암시된 측정 대상 구성에 있어서, 해당 셀 식별은 조건부 트리거 구성중에 캐리되는 셀 식별일 수 있음 -;
측정 대상이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을 위해 사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 즉, 측정 대상이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의 지시 정보에 사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이며, 단말은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 중의 제1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어느 대상이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에 사용되는지 판단하고, 또한 상응하는 대상에 대한 측정을 개시할 수 있으며;
타겟 대상에 대응하는 참조 신호 구성 정보, 예컨대 동기 신호 블록(Synchronous Bock, SSB) 또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Information, CSI-RS)의 위치 등임;
타겟 대상의 레이어-3 필터링 구성 정보, 예컨대 필터 계수 등임;
타겟 대상의 측정 결과 타입 정보, 측정 결과 타입은: RSRP, RSRQ, SIN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의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한 후 계속 측정할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 즉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트리거 조건)를 만족한 후, 계속 측정할지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측정 구성 방법은 단말을 위해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 정보는, 단말이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시키는 것을 지시할 때, 타겟 대상 중의 적어도 일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단말은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또는 트리거 조건이라 칭함)에 기초하여 측정을 정지하거나 계속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가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구성하는 것 외에, 사전 정의된 방식을 통해 해당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확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는 셀 스위칭 성공, 셀 스위칭 실패, 타겟 세컨더리 셀 그룹 (SCG) 액세스 성공, 타겟 SCG 액세스 실패 및 무선 링크 실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 정보가 단말이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시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경우, 모든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을 확정한다. 따라서,
단말은 스위칭 성공 후,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모든 타겟 대상의 측정을 정지하고;
단말은 스위칭 실패 후에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모든 타겟 대상의 측정을 정지하며;
단말은 특정된 목표 SCG 액세스를 성공한 후,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모든 타겟 대상의 측정을 정지하며;
단말은 특정된 목표 SCG 액세스 실패(예컨대, SCG failure) 후,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모든 타겟 대상의 측정을 정지하며;
단말은 무선 링크 실패 후,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모든 타겟 대상의 측정을 정지한다.
여기서,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가 셀 스위칭 성공 또는 타겟 SCG 액세스 성공을 포함할 때,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 정보는 단말이 셀에서의 스위칭 성공 또는 타겟 SCG 액세스 성공을 지시하기 위한 것일 때, 타겟 대상 중 현재 서빙 셀 이외의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을 확정한다. 따라서, 단말은 스위칭 성공 후, 서빙 셀 이외의,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모든 타겟 대상의 측정을 정지하거나; 또는, 특정된 타겟 SCG 액세스 성공 후, 서빙 셀 이외의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모든 타겟 대상의 측정을 정지한다.
여기서, 측정 대상 정보가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할 때,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 정보는 이하 중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단말은 트리거 이벤트 정보가 지시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할 때,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대상 중의 적어도 일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고; 따라서, 단말은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 후, 해당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그러한 타겟 대상의 측정을 정지하거나 또는 계속한다.
단말은 트리거 이벤트 정보가 지시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하고, 또한 타겟 대상의 구성 과정을 완료할 때,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대상 중의 적어도 일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한다. 따라서, 단말은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하고 또한 타겟 대상의 구성 과정(예컨대 스위칭 성공)을 성공적으로 완료한 후에, 해당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타겟 대상의 측정을 정지 또는 계속한다.
구체적으로,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 정보는 이하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단말은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계속하여 측정할 필요가 있는 제1 타겟 대상에 기초하여,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계속하는 것을 확정하고; 따라서, 단말은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계속하여 측정할 필요가 있는 제1 타겟 대상에 기초하여,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계속하는 것을 확정한다. 예컨대, 스위칭 성공 후, 만약 제2 지시 정보가 어느 셀의 측정을 계속할 것을 지시하면, 이러한 셀들의 측정을 계속한다. 또는, 어느 SCG 액세스 성공 후, 만약 제2 지시 정보가 어느 셀의 측정을 계속할 것을 지시하면, 이러한 셀들의 측정을 계속한다. 추가로, 단말이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계속할 때, 더 나아가 제1 지시 정보를 제외한,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조건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모든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한다.
단말은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계속하여 측정할 필요가 없는 제2 타겟 대상에 기초하여, 제2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을 확정하고; 이렇게, 단말은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계속하여 측정할 필요가 없는 제2 타겟 대상에 기초하여, 제2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을 확정함으로서; 예컨대, 스위칭 성공 후, 만약 제2 지시 정보가 어느 셀의 측정을 정지(즉 계속하지 않음)할 것을 지시하면, 이러한 셀들의 측정을 정지한다. 또는, 특정된 모 SCG 액세스 성공 후, 만약 제2 지시 정보가 어느 셀의 측정을 정지할 것을 지시하면, 이러한 셀들의 측정을 정지한다.
단말은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계속하여 측정할 필요가 있는 제1 타겟 대상에 기초하여, 타겟 대상 중의 제1 타겟 대상 이외의 기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을 확정한다. 따라서, 단말은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계속하여 측정할 필요가 있는 제1 타겟 대상에 기초하여, 타겟 대상 중의 제1 타겟 대상 이외의 기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을 확정한다. 예컨대, 스위칭 성공 후, 제2 지시 정보(예컨대, 어느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계속함)가 지시한 제1 타겟 대상을 제외한,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조건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모든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한다. 또는, 어느 목표 SCG 액세스 성공 후, 제2 지시 정보 (예컨대, 어느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계속함)가 지시한 제1 타겟 대상을 제외한,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조건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모든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전 설정된 트기거 이벤트가 셀 스위칭 성공 또는 목표 SCG 액세스 성공을 포함할 때, 제1 타겟 대상은 해당 서빙 셀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측정이 계속 필요한 제1 타겟 대상에 기초하여, 제1 타겟 대상의 측정을 계속하는 것을 확정하는 것을 예로 하여, 단말 스위칭 성공 후, 만약 제2 지시 정보가 어느 서빙 셀의 측정을 계속할 것을 지시하면, 해당 서빙 셀의 측정을 계속한다. 또는, 단말의 어느 SCG 액세스 성공 후, 만약 제2 지시 정보가 어느 서빙 셀의 측정을 계속할 것을 지시하면, 해당 서빙 셀의 측정을 계속한다. 추가로, 단말이 서빙 셀에 대한 측정을 계속할 때, 더 나아가 해당 서빙 셀을 제외한,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조건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모든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측정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을 위해 조건부 트리거 관리 셀에 기초한 측정 구성 정보를 구성함으로써, 단말이 조건부 트리거 방식을 이용하여 셀을 관리할 때,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한 측정 구성 정보에서의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셀에 대한 측정을 개시하고, 또한 측정 구성 정보에서의 측정을 정지하는 트리거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트리거 이벤트 정보가 지시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할 때, 상기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의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고, 나아가 측정의 추가 시그널링 구성을 절약하고, 또한 단말의 전력 절약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부동한 시나리오에서의 구성 측정 방법을 각각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이하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기기에 대해 진일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네트워크 기기(600)는 상기 실시예 중의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의 세부사항을 구현할 수 있고, 또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해당 네트워크 기기(600)는 구체적으로 이하 기능 모듈을 포함한다.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610)을 포함하며,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는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타겟 대상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는,
측정할 필요가 없는 셀 식별 정보;
타겟 대상의 주파수 포인트 식별 정보;
타겟 대상의 셀 식별 정보;
측정 대상이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을 위해 사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
타겟 대상에 대응하는 참조 신호 구성 정보;
타겟 대상의 레이어-3 필터링 구성 정보;
타겟 대상의 측정 결과 타입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한 후 계속 측정할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기기(600) 는,
단말을 위해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구성하기 위한 구성 모듈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 정보는, 단말이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시키는 것을 지시할 때,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의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는: 셀 스위칭 성공, 셀 스위칭 실패, 타겟 세컨더리 셀 그룹 (SCG) 액세스 성공, 타겟 SCG 액세스 실패 및 무선 링크 실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가 단말이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일 때, 모든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을 확정한다.
여기서,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가 셀 스위칭 성공 또는 타겟 SCG 액세스 성공을 포함할 때,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 정보는, 단말이 셀 스위칭 성공 또는 타겟 SCG 액세스 성공하는 것을 지시할 때, 타겟 대상 중 현재 서빙 셀 이외의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할 때,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는 이하 중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트리거 이벤트 정보가 지시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할 때,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며;
단말은 트리거 이벤트 정보가 지시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하고, 또한 타겟 대상의 구성 과정이 완료될 때,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는 것; 중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는 이하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계속하여 측정할 필요가 있는 제1 타겟 대상에 기초하여,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계속하는 것을 확정하는 것;
단말은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계속하여 측정할 필요가 없는 제2 타겟 대상에 기초하여, 제2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을 확정하는 것;
단말은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계속하여 측정할 필요가 없는 제1 타겟 대상에 기초하여, 타겟 대상 중 제1 타겟 대상 이외의 기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을 확정하는 것; 중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가 셀 스위칭 성공 또는 타겟 SCG 액세스 성공을 포함할 때, 제1 타겟 대상은 해당 서빙 셀을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의 각 모듈의 분할은 단지 하나의 논리 기능의 분할이고, 실제 구현에 따라서,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하나의 물리적 실체에 통합되고, 또는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이런 모듈은 전부 처리 요소에 의해 호출된 스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전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부분적인 모듈은 처리 요소에 의해 호출된 스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또는 부분 모듈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확정 모듈은 개별적으로 설치된 처리 요소이거나, 또는 상기 장치의 어느 한 칩에 집적되여 구현될 수도 있으며, 또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상기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처리 요소에 의해 호출되어 상기 확정 모듈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기타 모듈의 구현도 이와 유사하다. 또한, 이런 모듈들은 전부 또는 일부가 함께 통합될 수 있고, 독립적으로 구현 될 수도 있다. 상기 처리 요소는 신호 처리 능력을 가진 집적 회로일 수 있다. 구현 과정에 있어서, 상기 방법들의 매 단계 또는 이상 개별 모듈들은 프로세서 요소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을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예컨대, 이상 모듈들은 이상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집적회로일 수 있고, 예컨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특정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ASIC), 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현장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등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이상의 어느 한 모듈이 처리 요소들의 스케줄링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를 통해 실행될 때, 해당 처리 요소는 범용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예컨대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또는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할 수 있는 기타 프로세서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이런 모듈은 함께 통합되여 시스템 온 칩(System-On-a-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을 위해 조건부 트리거 관리 셀에 기초한 구성 측정 정보를 구성함으로써, 단말이 조건부 트리거 방식을 이용하여 셀을 관리할 때,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한 구성 측정 정보에서의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에 따라 타겟 셀에 대한 측정을 시동하고, 또한 구성 측정 정보에서의 측정을 정지하는 트리거 이벤트 정보에 따라, 트리거 이벤트 정보가 지시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할 때, 상기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의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고, 나아가 측정의 추가 시그널링 구성을 절약하고, 또한 단말의 전력 절약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더 잘 구현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는 또한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고 또한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상기 구성 측정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는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구성 측정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또한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도 7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 기기(700)는: 안테나(71), 무선 주파수 장치(72), 기저 대역 장치(73)를 포함한다. 안테나(71)는 무선 주파수 장치(72)와 연결된다. 업링크 방향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72)는 안테나(71)를 통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기저 대역 장치(73)로 송신하여 처리한다. 다운링크 방향에서, 기저 대역 장치(73)는 송신해야 할 정보를 처리하여 무선 주파수 장치(72)에 송신하고, 무선 주파수 장치(72)는 수신한 정보를 처리한 후에 안테나(71)를 통해 송신한다.
상술한 주파수 대역 처리 장치는 기저 대역 장치(73)에 위치할 수 있고, 이상 실시예 중 네트워트 기기가 수행하는 방법은 기저 대역 장치(73) 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기저 대역 장치(73)는 프로세서(74) 및 메모리(75)를 포함한다.
기저 대역 장치(73)는 예컨대 복수 개의 칩이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기저 대역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고 하면, 도 7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중 하나의 칩은 프로세서(74)이고, 메모리(75)내의 프로그램을 호출하기 위해 메모리(75)와 연결되여, 이상 방법 실시예에서 설명된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을 수행한다.
해당 기저 대역 장치(73)는 또한 예컨대 범용 공공 무선 인터페이스(common public radio interface,CPRI)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6)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6)는 무선 주파수 장치(72) 와 상호 정보 교환을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의 프로세서는 하나의 프로세서일 수 있고, 복수 개의 프로세싱 요소의 집합일 수도 있으며, 예컨대, 해당 프로세서는 CPU일 수도 있고, ASIC일 수도 있으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현장 프로그램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 FPGA 등과 같은 네트워크 기기의 실행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집적 회로일 수도 있다. 메모리 요소는 하나의 메모리일 수 있고, 또는 복수 개의 메모리 요소의 집합일 수 있다.
메모리(75)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고, 또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두가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그 중,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프로그램 가능 판독 메모리(Programmable ROM,PROM), 소거 프로그램 가능 판독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 소거 프로그램 가능 판독 메모리 (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고, 외부 고속 버퍼로서 사용된다. 예시적이나 제한적이지 않은 설명을 통하여, 예컨대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다이내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DRAM), 동기화 DRAM(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화 DRAM(Double Data Rate SDRAM,DDRSDRAM), 인핸스드 동기화 DRAM(Enhanced SDRAM, ESDRAM), 동기화 다이내믹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직접 메모리 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RAM)와 같은 많은 형태의 RAM들이 사용 가능하다. 본 개시에 기술된 메모리(75)는 이들 및 임의의 기타 적합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나 이에만 한정되는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는 또한 메모리(75)상에 저장되고 프로세서(74)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프로세서(74)는 메모리(75)내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도 6이 나타내는 각 모듈이 실행하는 방법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74)에 의해 호출될 때,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타겟 대상을 지시하기 위한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는,
측정할 필요가 없는 셀 식별 정보;
타겟 대상의 주파수 포인트 식별 정보;
타겟 대상의 셀 식별 정보;
측정 대상이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을 위해 사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
타겟 대상에 대응하는 참조 신호 구성 정보;
타겟 대상의 레이어-3 필터링 구성 정보;
타겟 대상의 측정 결과 타입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한 후, 계속하여 측정할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74)에 의해 호출될 때, 단말을 위해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구성하는 것을 위한 것일 수 있고, 여기서,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는 단말이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할 때,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는 셀 스위칭 성공, 셀 스위칭 실패, 타겟 세컨더리 셀 그룹 (SCG) 액세스 성공, 타겟 SCG 액세스 실패 및 무선 링크 실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는 단말이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하는 것을 지시할 때, 모든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가 셀 스위칭 성공 또는 타겟 SCG 액세스 성공을 포함할 때,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 정보는, 단말이 셀 스위칭 성공 또는 타겟 SCG 액세스 성공을 지시할 때, 타겟 대상 중 현재 서빙 셀 이외의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을 확정하기 위한 것인다.
여기서,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할 때,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 정보는 이하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트리거 이벤트 정보가 지시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할 때,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는 것;
단말은 트리거 이벤트 정보가 지시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하고, 또한 타겟 대상의 구성 과정이 완료될 때,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는 것; 중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 정보는 이하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계속하여 측정할 필요가 있는 제1 타겟 대상에 기초하여,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계속하는 것을 확정하는 것;
단말은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계속하여 측정할 필요가 없는 제2 타겟 대상에 기초하여,제2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을 확정하는 것;
단말은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계속하여 측정할 필요가 있는 제1 타겟 대상에 기초하여, 타겟 대상 중 제1 타겟 대상 이외의 기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을 확정하는 것; 중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가 셀 스위칭 성공 또는 타겟 SCG 액세스 성공을 포함할 때, 제1 타겟 대상은 해당 서빙 셀을 포함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기기는 글로벌 이동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GSM) 또는 코드 분할 다원(Code Division Multiple Access,CDMA)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BTS)뿐만 아니라 광대역 코드 분할 다원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WCDMA) 중의 기지국(NodeB, NB로 약칭)일 수 있고, LTE에서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 또는 중계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미래 5G 네트워크의 기지국 등일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을 위해 조건부 트리거 관리 셀에 기초한 측정 구성 정보를 구성함으로써, 단말이 조건부 트리거 방식을 이용하여 셀을 관리할 때,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한 구성 측정 정보에서의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셀에 대한 측정을 시동하고, 또한 구성 측정 정보에서의 측정을 정지하는 트리거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트리거 이벤트 정보가 지시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할 때, 상기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의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고, 나아가 측정의 추가 시그널링 구성을 절약하고, 또한 단말의 전력 절약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기재된 각종 예시들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들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능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수행되는지 여부는, 기술적 솔루션의 특정된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전문적 지식을 가진 자들은 기술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매개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은 본 개시의 범위를 넘어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기술의 편의성 및 간략화를 위해 상기 기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작업 과정은 전술한 실시예중의 대응 과정을 참조할수 있다는 것을 잘 이해할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 더 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기기 및 방법은 다른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은 응당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전술한 기기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예컨대, 상기 유닛들의 분할은 단지 하나의 논리 기능으로만 분할되는 것일 뿐이며, 실제 실현할 ‹š, 이외의 분할방식이 있을수 있고, 예컨대, 다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들이 결합되거나 또는 다른 시스템에 집적될 수 있고, 또는 일부 특징들이 무시되거나 또는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되거나 논의된 상호 사이의 커플링 또는 직접적인 커프링 또는 통신 접속은, 전자, 기계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는 인터페이스, 기기 또는 유닛에 의한 간접 커플링 또는 통신 접속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 컴포넌트로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서 표시된 컴포넌트는 물리 유닛이거나, 또는 물리 유닛이 아닐 수도 있고, 즉 한 장소에 위치될 수도 있고, 다수의 네트워크 요소에 분포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방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제 수요에 따라 그중의 일부 또는 전부의 유닛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의 각각의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고, 각각의 유닛은 분리되어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두개 이상의 유닛들이 하나의 유닛으로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개별 제품으로서 판매 또는 사용될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토대로, 본 개시에 따른 기술방안의 본질적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당해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컨대,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되고, 컴퓨터 기기 (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 더러 본 개시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수 수 있게 하기 위한 다수의 명령들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저장 매체는 U 디스크, 이동 하드 디스크, ROM,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의 각종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그 외, 본 개시의 기기 및 방법중에서, 각 컴포넌트 또는 단계는 분해될 수 있거나 및/또는 재결합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이러한 분해 및/또는 재결합은 본 개시의 등가 방안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일련의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는 자연적으로 설명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지만, 반드시 시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실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 단계는 병렬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해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개시의 방법 및 기기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 또는 전부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임의의 컴퓨팅 기기 (프로세서, 저장 매체 등을 포함함) 또는 컴퓨팅 기기의 네트워크에서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기술자가 본 개시의 명세서를 읽을 때 그들의 기본적인 프로그래밍 기능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또한 임의의 컴퓨팅 기기상에서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의 그룹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기기는 주지된 범용 기기일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또한 단지 상기 방법 또는 기기를 구현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즉, 이러한 프로그램 제품은 본 명세서에서 공개되어 있고, 이러한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도 본 발명을 구성한다. 상기 저장 매체는 임의의 공지된 저장 매체 또는 차후에 개발될 임의의 저장 매체일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장치 및 방법에서, 각 컴포넌트 또는 단계는 분해할 수 있거나 및/또는 재결합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이러한 분해 및/또는 재결합은 본 개시의 등가 방안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상기 일련의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는 자연적으로 설명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실행될 수 있지만, 반드시 시간 순서에 따라 실행될 필요는 없다. 일부 단계들은 병렬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방식이고,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여러가지 개선과 윤색을 진행할수 있으며, 이러한 개선 또는 윤색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30)

  1. 단말 측에 적용되는 측정 방법에 있어서,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조건부 트리거 방식을 이용하여 셀을 관리할 때, 상기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시동하는 단계 - 상기 타겟 대상은 상기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대상 중 적어도 일부임 -; 및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할 때, 상기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는,
    측정할 필요가 없는 셀 식별 정보;
    상기 타겟 대상의 주파수 포인트 식별 정보;
    상기 타겟 대상의 셀 식별 정보;
    측정 대상이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을 위해 사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
    상기 타겟 대상에 대응하는 참조 신호 구성 정보;
    상기 타겟 대상의 레이어-3 필터링 구성 정보;
    상기 타겟 대상의 측정 결과 타입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한 후, 계속하여 측정할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 트리거 이벤트는 사전 정의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것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는: 셀 스위칭 성공, 셀 스위칭 실패, 타겟 세컨더리 셀 그룹 (SCG) 액세스 성공, 타겟 SCG 액세스 실패 및 무선 링크 실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할 때, 상기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할 때, 모든 상기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을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가 셀 스위칭 성공 또는 타겟 SCG 액세스 성공을 포함할 때,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하면, 상기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셀 스위칭을 성공하거나 또는 타겟 SCG 액세스를 성공하였을 때, 상기 타겟 대상 중 현재 서빙 셀 이외의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는 것을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할 때,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할 때, 상기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할 때,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및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하고, 또한 타겟 대상의 구성 과정이 완료될 때,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계속하여 측정할 필요가 있는 제1 타겟 대상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계속하는 것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계속하여 측정할 필요가 없는 제2 타겟 대상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계속하여 측정할 필요가 있는 제1 타겟 대상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대상 중 상기 제1 타겟 대상 이외의 기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을 확정하는 단계;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방법.
  9. 단말에 있어서,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조건부 트리거 방식을 이용하여 셀을 관리할 때, 상기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시동하기 위한 시동 모듈 - 상기 타겟 대상은 상기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지시한 대상 중 적어도 일부임 - ; 및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할 때, 상기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기 위한 처리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는,
    측정할 필요가 없는 셀 식별 정보;
    상기 타겟 대상의 주파수 포인트 식별 정보;
    상기 타겟 대상의 셀 식별 정보;
    측정 대상이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을 위해 사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
    상기 타겟 대상에 대응하는 참조 신호 구성 정보;
    상기 타겟 대상의 레이어-3 필터링 구성 정보;
    상기 타겟 대상의 측정 결과 타입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한 후, 계속하여 측정할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는: 셀 스위칭 성공, 셀 스위칭 실패, 타겟 세컨더리 셀 그룹 (SCG) 액세스 성공, 타겟 SCG 액세스 실패 및 무선 링크 실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할 때, 모든 상기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을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가 셀 스위칭 성공 또는 타겟 SCG 액세스 성공을 포함할 때, 셀 스위칭 성공 또는 타겟 SCG 액세스 성공 시, 상기 타겟 대상 중 현재 서빙 셀 이외의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을 확정하기 위한 제2 확정 서브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할 때, 상기 처리 모듈은,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할 때,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기 위한 제3 확정 서브 모듈; 및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하고, 또한 타겟 대상의 구성 과정이 완료될 때,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기 위한 제4 확정 서브 모듈; 중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확정 서브 모듈 또는 제4 확정 서브 모듈은,
    상기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계속하여 측정할 필요가 있는 제1 타겟 대상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계속하는 것을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 유닛;
    상기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계속하여 측정할 필요가 없는 제2 타겟 대상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을 확정하기 위한 제2 확정 유닛; 및
    상기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계속하여 측정할 필요가 있는 제1 타겟 대상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대상 중 제1 타겟 대상 이외의 기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을 확정하기 위한 제3 확정 유닛;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단말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고 또한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8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측정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7. 네트워크 기기 측에 적용되는 구성 측정 방법에 있어서,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타겟 대상을 지시하기 위한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측정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는,
    측정할 필요가 없는 셀 식별 정보;
    상기 타겟 대상의 주파수 포인트 식별 정보;
    상기 타겟 대상의 셀 식별 정보;
    측정 대상이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을 위해 사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
    상기 타겟 대상에 대응하는 참조 신호 구성 정보;
    상기 타겟 대상의 레이어-3 필터링 구성 정보;
    상기 타겟 대상의 측정 결과 타입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한 후, 계속하여 측정할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측정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단말을 위해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구성하는 단계 - 상기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 정보는 단말이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할 때, 상기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측정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는: 셀 스위칭 성공, 셀 스위칭 실패, 타겟 세컨더리 셀 그룹 (SCG) 액세스 성공, 타겟 SCG 액세스 실패 및 무선 링크 실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측정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 정보는, 단말이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시키는 것을 지시할 때, 모든 상기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을 확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측정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가 셀 스위칭 성공 또는 타겟 SCG 액세스 성공을 포함할 때, 상기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 정보는, 단말이 셀 스위칭을 성공하였거나 또는 타겟 SCG 액세스 성공하였을 때, 상기 타겟 대상 중 현재 서빙 셀 이외의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을 확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측정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가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할 때, 상기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 정보는,
    단말이 트리거 이벤트 정보가 지시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할 때,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및
    단말이 트리거 이벤트 정보가 지시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하고, 또한 타겟 대상의 구성 과정이 완료될 때,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중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측정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 정보는,
    단말은 상기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계속하여 측정할 필요가 있는 제1 타겟 대상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계속하는 것을 확정하는 것;
    단말은 상기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계속하여 측정할 필요가 없는 제2 타겟 대상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타겟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을 확정하는 것; 및
    단말은 상기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계속하여 측정할 필요가 있는 제1 타겟 대상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대상 중 제1 타겟 대상 이외의 기타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하는 것을 확정하는 것; 중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측정 방법.
  25. 네트워크 기기에 있어서,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과 관련된 타겟 대상을 지시하기 위한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의 구성 정보는,
    측정할 필요가 없는 셀 식별 정보;
    상기 타겟 대상의 주파수 포인트 식별 정보;
    상기 타겟 대상의 셀 식별 정보;
    측정 대상이 조건부 트리거 방식 관리 셀을 위해 사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
    상기 타겟 대상에 대응하는 참조 신호 구성 정보;
    상기 타겟 대상의 레이어-3 필터링 구성 정보;
    상기 타겟 대상의 측정 결과 타입 정보;
    적어도 하나의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한 후, 계속하여 측정할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7. 제26항에 있어서,
    단말을 위해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구성하기 위한 구성 모듈 - 상기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 정보는, 단말이 트리거 이벤트를 만족할 때, 상기 타겟 대상 중 적어도 일부의 대상에 대한 측정을 정지할지 여부를 확정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는,
    셀 스위칭 성공, 셀 스위칭 실패, 타겟 세컨더리 셀 그룹 (SCG) 액세스 성공, 타겟 SCG 액세스 실패 및 무선 링크 실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9. 네트워크 기기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고 또한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제17항 내지 제24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구성 측정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30.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8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상기 측정 방법을 구현하거나, 또는 제17 항 내지 제24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상기 구성 측정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07027491A 2018-03-16 2019-02-21 측정 방법, 구성 측정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KR102403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218469.0 2018-03-16
CN201810218469.0A CN110278574B (zh) 2018-03-16 2018-03-16 测量方法、测量配置方法、终端及网络设备
PCT/CN2019/075676 WO2019174446A1 (zh) 2018-03-16 2019-02-21 测量方法、测量配置方法、终端及网络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659A true KR20200125659A (ko) 2020-11-04
KR102403626B1 KR102403626B1 (ko) 2022-05-30

Family

ID=67907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7491A KR102403626B1 (ko) 2018-03-16 2019-02-21 측정 방법, 구성 측정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03514B2 (ko)
EP (1) EP3767991A4 (ko)
JP (1) JP7071547B2 (ko)
KR (1) KR102403626B1 (ko)
CN (2) CN110278574B (ko)
WO (1) WO20191744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759B1 (ko) * 2021-08-05 2022-09-21 주식회사 블랙핀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컨더리 기지국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3480B2 (en) * 2019-05-07 2022-06-14 Ofinno, Llc Conditional radio resource management measurements
US20220386207A1 (en) * 2019-10-03 2022-12-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ndling of Stored Conditional Configu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12788676B (zh) * 2019-11-07 2022-07-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小区管理方法、小区管理配置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CN114616862A (zh) * 2019-11-08 2022-06-10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及系统
US11218925B2 (en) * 2020-06-03 2022-01-04 Nokia Technologies Oy Data forwarding for inter-radio access technology wireless networks
CN114079962A (zh) * 2020-08-12 2022-02-22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次要小区群组失效处理方法与使用所述方法的用户设备
CN116076101A (zh) * 2021-08-31 2023-05-0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参考信号测量方法、装置、用户设备、网络侧设备及存储介质
WO2024092815A1 (zh) * 2022-11-04 2024-05-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6422A (ko) * 2009-02-03 2011-09-28 지티이 코포레이션 측정실현방법 및 시스템
KR20130008468A (ko) * 2011-07-12 2013-01-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말의 이동성 관리 방법
WO2013177778A1 (en) * 2012-05-31 2013-12-05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utonomous cell change by ue in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63733B (zh) * 2009-02-03 2017-10-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测量实现方法及系统
CN101867968A (zh) * 2009-04-15 2010-10-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优化的上报测量报告方法
CN101931981B (zh) * 2009-06-18 2013-08-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最小化路测日志测量方法及装置
CN101998482B (zh) * 2009-08-14 2015-04-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测量上报的方法和系统
CN102104897B (zh) * 2009-12-17 2014-04-0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禁止测量上报的方法和设备
CN102238612B (zh) * 2010-04-21 2015-08-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最好小区上报处理方法及终端
CN102083097B (zh) * 2010-04-30 2013-11-0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多载波系统的测量配置方法及其装置
CN102869025A (zh) * 2011-07-06 2013-01-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测量处理方法及系统
CN103167622B (zh) * 2011-12-15 2016-04-06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调度授权方法与装置、网络设备
US20130229931A1 (en) 2012-03-02 2013-09-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s of managing terminal performed in base station and terminal
CN103384398B (zh) * 2012-05-04 2017-05-31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切换控制方法与系统、用户终端、网络设备
TR201906324T4 (tr) * 2013-01-18 2019-05-21 Ericsson Telefon Ab L M Bir mobil ağın uyarlanması.
CN105493551A (zh) * 2013-05-17 2016-04-13 华为技术有限公司 小区测量方法和终端
WO2015026286A1 (en) * 2013-08-23 2015-02-2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adio access node, wireless device and methods for handling mobility of the wireless device in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CN103491570B (zh) * 2013-09-12 2016-08-3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进行测量上报的方法和设备
US9451521B2 (en) * 2013-11-18 2016-09-20 At&T Mobility Ii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handovers in a wireless network based on speed group assignments
US20160316405A1 (en) * 2014-01-30 2016-10-27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Dynamic adjustments of measurement conditions along with additional trigger methods for reporting
ES2769237T3 (es) * 2014-01-30 2020-06-25 Nec Corp Terminal máquina a máquina (M2M), estación base, método y medio legible por ordenador
CN104853432A (zh) * 2014-02-18 2015-08-1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Wlan接入点的位置确定方法及用户设备、网络侧设备
CN103945408A (zh) * 2014-03-14 2014-07-2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无线链路监测方法和设备
WO2015166893A1 (ja) * 2014-04-28 2015-11-05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CN105101253B (zh) * 2014-05-09 2020-04-24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在双连接系统中使用的方法、主基站和用户设备
WO2015177039A1 (en) * 2014-05-23 2015-11-26 Koninklijke Philips N.V. A lighting device
US10694392B2 (en) * 2014-11-06 2020-06-23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method
EP3354058B1 (en) * 2015-09-24 2022-02-16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of ue autonomous measurement related actions upon implicit trigg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6422A (ko) * 2009-02-03 2011-09-28 지티이 코포레이션 측정실현방법 및 시스템
KR20130008468A (ko) * 2011-07-12 2013-01-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말의 이동성 관리 방법
WO2013177778A1 (en) * 2012-05-31 2013-12-05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utonomous cell change by ue in network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802814* *
3GPP TSG-RAN WG2 Meeting #101, R2-1802814, 2018.02.16.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759B1 (ko) * 2021-08-05 2022-09-21 주식회사 블랙핀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컨더리 기지국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US11832135B2 (en) 2021-08-05 2023-11-28 Blackpi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ondary base station change i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20166A (ja) 2021-08-12
WO2019174446A1 (zh) 2019-09-19
JP7071547B2 (ja) 2022-05-19
CN110278574A (zh) 2019-09-24
EP3767991A1 (en) 2021-01-20
US20210014746A1 (en) 2021-01-14
CN110278574B (zh) 2021-06-04
US11503514B2 (en) 2022-11-15
KR102403626B1 (ko) 2022-05-30
CN113286318B (zh) 2023-12-22
CN113286318A (zh) 2021-08-20
EP3767991A4 (en) 2021-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3626B1 (ko) 측정 방법, 구성 측정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US11297522B2 (en) Measurement gap indication method, measurement gap receiving method, user equipment and network device
KR102495173B1 (ko)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 송신 방법, 단말 및 기지국
JP7288910B2 (ja) バックホール経路切替方法、無線リレー、ネットワーク側ノード及び端末
JP7074884B2 (ja) ビーム失敗検出方法、情報配置方法、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JP7090180B2 (ja) 疑似コロケーション設定方法、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CN113115324B (zh) 一种波束失败恢复请求发送、接收方法、装置及系统
WO2019192472A1 (zh) 信道传输方法、终端及网络设备
US20210105644A1 (en) Method for determining radio link state and terminal
CN110351756B (zh) 波束失败恢复方法、终端、网络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EP4017101A1 (en) Status information reporting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CN110011766B (zh) 波束失败检测方法、终端及网络设备
WO2019062529A1 (zh) 小区测量值上报方法、小区测量值接收方法和设备
CN112929921B (zh) 波束失败恢复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1263393B (zh) 无线链路监测方法、终端及网络设备
US2021037777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US202203122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sidelink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and communications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