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5297A - 전분 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분 제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5297A
KR20200125297A KR1020190049373A KR20190049373A KR20200125297A KR 20200125297 A KR20200125297 A KR 20200125297A KR 1020190049373 A KR1020190049373 A KR 1020190049373A KR 20190049373 A KR20190049373 A KR 20190049373A KR 20200125297 A KR20200125297 A KR 20200125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grains
starch
grain sludge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7197B1 (ko
Inventor
조영국
Original Assignee
조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국 filed Critical 조영국
Priority to KR1020190049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197B1/ko
Publication of KR20200125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2Agglomeration or granulation with pulverisation of solid particles, e.g. in a free-falling curta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1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a roller co-operating with a stationary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분 제조 시스템은 곡물을 세척하는 세척 장치; 상기 세척 장치에서 세척된 곡물에 대해 박피 공정을 수행하는 박피 장치; 상기 박피 장치를 통과한 곡물을 냉각시키는 냉각 장치; 상기 냉각 장치에서 냉각된 곡물을 분쇄하여 곡물 슬러지를 형성하는 분쇄 장치; 상기 분쇄 장치에서 형성된 곡물 슬러지에 고압수를 분사하여 상기 곡물 슬러지에 포함된 전분유를 분리하는 분리 장치; 상기 분리 장치에서 분리된 전분유에서 전분을 추출하는 정제 장치; 및 상기 정제 장치에서 추출된 전분을 건조시키는 건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분 제조 시스템{System for Producing Starch}
본 발명은 전분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을 이용한 전분 제조 시스템은 감자, 고구마, 옥수수 등과 같이 녹말을 포함하는 곡물을 사용하여 전분을 제조한다. 이러한 전분 제조 시스템은 곡물의 외면에 부착된 흙, 모래 등의 오염물을 세척하는 세척 단계, 세척된 곡물 중 전분 제조에 적합한 곡물을 선별하는 선별 단계, 선별된 곡물을 분쇄기에 넣어 분쇄하는 분쇄 단계 및 분쇄된 곡물로부터 전분을 분리 정제하는 분리/정제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분쇄 단계에서 곡물이 분쇄되는 경우 곡물은 전분유를 포함하는 곡물 슬러지 형태로 변환될 수 있으며, 분리/정제 단계에서 전분유 속에 포함된 녹말성분이 추출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경우, 녹말성분이 제거된 곡물 슬러지는 상품성이 없어 폐기처리 되었으며, 이에 따라 곡물 슬러지를 폐기 처리하기 위한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 및 폐기 처리된 곡물 슬러지가 환경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전분 제조 시스템의 가동에 따른 부산물로 발생하는 곡물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전분 제조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분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곡물 슬러지를 활용하여 2차 생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전분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분 제조 시스템은 곡물을 세척하는 세척 장치; 상기 세척 장치에서 세척된 곡물에 대해 박피 공정을 수행하는 박피 장치; 상기 박피 장치를 통과한 곡물을 냉각시키는 냉각 장치; 상기 냉각 장치에서 냉각된 곡물을 분쇄하여 곡물 슬러지를 형성하는 분쇄 장치; 상기 분쇄 장치에서 형성된 곡물 슬러지에 고압수를 분사하여 상기 곡물 슬러지에 포함된 전분유를 분리하는 분리 장치; 상기 분리 장치에서 분리된 전분유에서 전분을 추출하는 정제 장치; 및 상기 정제 장치에서 추출된 전분을 건조시키는 건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분 제조 시스템에서 상기 박피 장치는, 곡물이 유입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호퍼를 통과한 곡물이 유입되는 스팀 케이스; 상기 스팀 케이스 내측에 스팀을 공급하고, 상기 스팀 케이스에 진동을 인가하는 스팀 및 진동 공급부; 상기 스팀 케이스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스팀 케이스를 회전시키거나 고정시키는 레버부; 및 상기 스팀 케이스의 상기 호퍼와 대향하지 않는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팀 케이스로부터 곡물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곡물의 껍질을 제거하는 브러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분 제조 시스템에서 상기 스팀 케이스에는 곡물이 상기 스팀 케이스의 내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가능한 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부는 곡물이 상기 호퍼에 유입되는 경우 상기 스팀 케이스를 회전시켜 상기 도어를 상기 호퍼와 대향하게 배치시키고, 상기 스팀 케이스에 스팀 및 진동이 인가된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상기 스팀 케이스를 회전시켜 상기 도어를 상기 브러쉬부와 대향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분 제조 시스템에서 상기 냉각 장치는, 냉각수가 수용되고 상기 박피 장치를 통과한 곡물이 유입되는 냉각 수조; 상기 냉각 수조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 수조에 유입된 곡물에 수압을 인가하여 유입된 곡물을 상기 냉각 수조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수압 펌프; 및 상기 냉각 수조의 타측에 배치되어 유입된 곡물을 상기 냉각 수조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분 제조 시스템에서 상기 분쇄 장치는, 곡물이 유입되는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개구를 통해 유입된 곡물을 분쇄하여 곡물 슬러지를 형성하는 분쇄 롤러;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상기 분쇄 롤러를 향해 돌출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패널부; 및 상기 분쇄 롤러에 의해 형성된 곡물 슬러지가 집적되는 곡물 슬러지 집적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된 곡물은 상기 분쇄 롤러 및 상기 패널부 사이를 통과하며 분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분 제조 시스템에서 상기 패널부는, 상기 분쇄 롤러의 상측 외주면을 향해 돌출된 제1 패널 및 상기 분쇄 롤러의 중앙측 외주면을 향해 돌출된 제2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분 제조 시스템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상기 분쇄 롤러의 하측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돌출 구비되고, 내측에 복수 개의 공극이 형성된 메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분 제조 시스템에서 상기 분리 장치는, 상기 분리 장치의 외면을 형성하고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외부 하우징;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분쇄 롤러에 의해 형성된 곡물 슬러지가 안착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된 굴곡면을 포함하는 만곡 필터부; 및 상기 만곡 필터부에 안착된 곡물 슬러지에 고압수를 분사하는 고압수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압수 분사부가 고압수를 분사하는 경우, 상기 만곡 필터부에 안착된 곡물 슬러지에 포함된 전분유는 상기 만곡 필터부 외측으로 필터링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분 제조 시스템에서 상기 분리 장치는, 상기 만곡 필터부 하단에 연결된 곡물 슬러지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곡물 슬러지 저장부에는 전분유가 제거된 곡물 슬러지가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분 제조 시스템은 전분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곡물 슬러지를 활용하여 감자떡, 옹심이, 시루떡, 완자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분 제조 시스템은 곡물 슬러지 폐기 처리를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분 제조 시스템은 폐기 처리된 곡물 슬러지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분 제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분 제조 시스템에 구비되는 박피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분 제조 시스템에 구비되는 냉각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분 제조 시스템에 구비되는 선별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분 제조 시스템에 구비되는 분쇄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분 제조 시스템에 구비되는 메쉬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분 제조 시스템에 구비되는 분리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분 제조 시스템에 구비되는 분리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분 제조 시스템(10)은 감자, 고구마, 옥수수 등과 같이 전분을 포함하는 곡물(이하, '곡물'이라 함)을 사용하여 전분을 추출해내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전분 제조 시스템(10)은 예를 들어, 세척 장치(100), 박피 장치(200), 냉각 장치(300), 분쇄 장치(400), 분리 장치(500), 정제 장치(600) 및 건조 장치(7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분은 곡물이 전술한 세척 장치(100) 내지 건조 장치(70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생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분 제조 시스템(10)은 제어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세척 장치(100), 박피 장치(200), 냉각 장치(300), 분쇄 장치(400), 분리 장치(500), 정제 장치(600) 및 건조 장치(7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구동을 조작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80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세척 장치(100)는 곡물의 외면에 묻은 흙, 모래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세척 장치(100)는 물을 분사하거나 세척용 솔을 사용하여 곡물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세척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세척 장치(100)를 통과한 곡물은 컨베이어 벨트와 같은 별도의 이송로(미도시)를 거쳐 박피 장치(200)로 유입될 수 있다. 박피 장치(200)는 세척 장치(100)에서 세척을 마친 곡물의 껍질을 제거하는 박피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박피 장치(200)는 곡물에 스팀 및 진동을 인가하여 박피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호퍼(210), 스팀 케이스(220), 스팀 및 진동 공급부(230), 레버부(240) 및 브러쉬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호퍼(210)를 통해 세척 장치(100)를 통과한 곡물은 스팀 케이스(220)로 유입될 수 있다. 호퍼(210)는 예를 들어, 상하부가 개방된 깔때기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곡물은 호퍼(210)의 개방된 상부로 유입되어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스팀 케이스(220)는 호퍼(210)의 일측, 예를 들어, 호퍼(2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고온/고압을 견딜 수 있는 금속재로 구비될 수 있다. 스팀 케이스(220)에는 도어(221)가 구비될 수 있다. 도어(221)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곡물은 도어(221)를 통해 스팀 케이스(210)의 내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팀 및 진동 공급부(230)는 스팀 케이스(220)의 일측에 연결되어 스팀 케이스(220) 내측에 스팀을 공급하고, 스팀 케이스(220)에 진동을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팀 및 진동 공급부(230)는 증기 배관(231)을 통해 스팀 케이스(220)의 내측과 연통되어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스팀 케이스(220)에는 레버부(240)가 연결될 수 있다. 레버부(240)는 스팀 케이스(220)를 감싸는 스팀 케이스 하우징(222)의 내측면과 스팀 케이스(220)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스팀 케이스(220)를 회전시키거나 고정시킬 수 있다. 레버부(240)는 모터와 같은 별도의 구동원(241)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다만 레버부(240)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스팀 케이스(220)의 호퍼(210)와 대향하지 않는 일측, 예를 들어, 스팀 케이스(220)의 하부에는 브러쉬부(250)가 배치될 수 있다. 브러쉬부(250)는 외주면에 솔(251a)이 구비된 원기둥 형상의 복수 개의 박피 롤러(251)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박피 롤러(251)는 수평방향(x축) 양측으로 갈수록 중심축(251b)의 높이가 상승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 개의 롤러(251) 사이에는 곡물이 낙하되어 수용되는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박피 장치(200)에 의해 곡물의 껍질이 제거되는 과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세척 장치(100)를 통과한 곡물은 호퍼(21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레버부(240)는 스팀 케이스(220)를 회전시켜 스팀 케이스(220)의 도어(221)를 호퍼(210)와 대향하게 배치시킬 수 있으며, 이때 도어(221)는 개방상태일 수 있다. 이어서, 스팀 케이스(200) 내측으로 곡물이 모두 유입되면, 도어(221)는 밀폐될 수 있다. 도어(221)가 밀폐되면 스팀 및 진동 공급부(230)는 스팀 케이스(220)에 소정의 시간 동안 스팀 및 진동을 인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팀 케이스(220)에 수용된 곡물은 불려져 껍질제거가 용이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스팀 및 진동이 인가된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레버부(240)는 스팀 케이스(220)를 회전시켜 도어(221)를 브러쉬부(250)와 대향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도어(221)가 브러쉬부(250)와 대향하게 배치되면, 도어(221)는 재차 개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곡물은 브러쉬부(250)로 낙하할 수 있다. 곡물이 브러쉬부(250)로 낙하한 후, 박피 롤러(251)는 회전할 수 있으며, 솔(251a)에 의해 곡물의 껍질은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분 제조 시스템(10)은 이와 같이 곡물에 대한 박피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전분 생산 시 부산물로 발생하는 곡물 슬러지를 활용하여 감자떡, 옹심이, 시루떡, 완자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박피 공정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전분 제조 과정 중 부산물로 발생하는 곡물 슬러지에는 껍질이 포함되어 상품성이 매우 떨어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곡물 슬러지를 재활용하지 못하고 폐기시켜야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분 제조 시스템(10)은 곡물에 대해 박피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곡물 슬러지를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박피 장치(200)를 통과한 곡물은 브러쉬부(250)의 게이트(252, 도 3 참조)를 통과하여 냉각 장치(300)로 유입될 수 있다. 냉각 장치(300)는 박피 공정 중 가열된 곡물을 냉각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냉각 장치(300)는 예를 들어, 냉각수(W)가 수용되고 박피 장치(200)를 통과한 곡물이 유입되는 냉각 수조(310), 냉각 수조(310)의 일측에 배치되고, 냉각 수조(310)에 유입된 곡물에 수압을 인가하여 곡물을 냉각 수조(310)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수압 펌프(320) 및 냉각 수조(310)의 타측에 배치되어 곡물을 냉각 수조(310)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벨트(330)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수(W)에 의해 곡물이 냉각되면 수압 펌프(320)가 구동하여 곡물에 직접적으로 수압을 인가하거나, 냉각수(W)에 수류를 발생시켜 곡물을 이송벨트(33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송벨트(330)가 구동되면 이송벨트(330)에 구비되는 후크(331)에 의해 곡물은 냉각 수조(310)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선별 장치(340)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선별 장치(340)는 제1 컨베이어벨트(341), 제2 컨베이어벨트(342) 및 제1 컨베이어벨트(341)의 일측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선별함(343)을 포함할 수 있다. 선별함(343)은 양측 단부가 개방되게 구비될 수 있다. 냉각 장치(300)를 통과한 곡물은 우선 제1 컨베이어벨트(341)로 공급되어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곡물은 별도로 분리되어 선별함(343)에 투입될 수 있으며, 선별함(34)에 투입된 곡물은 선별함(343)을 따라 이동하여 제2 컨베이어벨트(342)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컨베이어벨트(341)를 통해 곡물은 분쇄 장치(400)로 유입될 수 있으며,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지 않아 제2 컨베이어벨트(342)로 공급된 곡물은 별도의 저장장치(미도시)로 공급되어 재활용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냉각 장치(300) 및 선별 장치(340)를 통과한 곡물은 분쇄 장치(400)로 유입될 수 있다.
분쇄 장치(400)는 냉각 장치(300)에서 냉각된 곡물을 분쇄하여 곡물 슬러지를 형성할 수 있다. 분쇄 장치(400)는 예를 들어, 하우징(410), 분쇄 롤러(420), 패널부(430) 및 곡물 슬러지 집적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10)은 분쇄 장치(4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하우징(410)의 일측, 예를 들어, 하우징(410)의 상측에는 곡물이 유입되는 개구(410a)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410)의 내측에는 분쇄 롤러(42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분쇄 롤러(420)는 모터와 같은 별도의 구동원(420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분쇄 롤러(420)의 외주면에는 하우징(410) 내측으로 유입된 곡물을 분쇄하기 위한 복수 개의 분쇄 돌기(421)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곡물의 분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분쇄 돌기(421)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에는 요철 형상의 톱니부(421a)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410)의 내측면에는 패널부(430)가 구비될 수 있다. 패널부(430)는 분쇄 롤러(420)와 함께 곡물의 분쇄를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강철판,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금속재로 구비될 수 있다. 패널부(430)는 일측 단부가 하우징(410)의 내측면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분쇄 롤러(420)를 향해 돌출 구비될 수 있으며, 곡물은 패널부(430)와 분쇄 롤러(420)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며 분쇄될 수 있다.
이러한, 패널부(430)는 분쇄 롤러(42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부(430)는 분쇄 롤러(420)의 상측 외주면을 향해 돌출된 제1 패널(431) 및 분쇄 롤러(420)의 중앙측 외주면을 향해 돌출된 제2 패널(4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패널(431)의 단부와 분쇄 롤러(420)의 외주면까지의 거리(d1)는 제2 패널(432)의 단부와 분쇄 롤러(420)의 외주면까지의 거리(d2)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패널의 단부와 분쇄 롤러의 외주면까지의 거리는 각각의 패널의 단부와 분쇄 롤러 외주면까지의 최소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곡물은 제1 패널(431) 및 제2 패널(432)을 순차적으로 거치며 점진적으로 파쇄될 수 있다.
더하여, 하우징(410)의 내측면에는 메쉬부(433)가 구비될 수 있다. 메쉬부(433)는 예를 들어 하우징(410)의 내측면에서 분쇄 롤러(420)의 하측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돌출 구비될 수 있으며, 내측에는 복수 개의 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곡물은 최종적으로 메쉬부(433)의 공극을 통과하여 곡물 슬러지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메쉬부(433) 를 통과한 곡물의 평균 길이가 1~2mm가 되도록 공극의 길이(d3)는 1~2mm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쇄된 곡물의 평균 길이가 1~2mm 사이로 형성되는 경우 곡물 슬러지를 가공하였을 때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1 패널(431)과 제2 패널(432) 사이에는 제1 패널(431)에 의해 1차적으로 분쇄되는 곡물이 수용되는 제1 공간부(t1)가 형성될 수 잇고, 제2 패널(432)과 메쉬부(433) 사이에는 제2 패널(432)에 의해 분쇄되는 곡물이 수용되는 제2 공간부(t2)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410)의 일측, 예를 들어 하우징(410)의 하측에는 곡물 슬러지가 집적되는 곡물 슬러지 집적부(440)가 연결될 수 있다. 곡물 슬러지 집적부(440)는 하우징(410)과 함께 분쇄 장치(4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하우징(410)과 일체로 제작되거나 별도의 구조물로 제작되어 용접 방식, 스크류 체결방식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곡물 슬러지 집적부(440)의 내부 공간은 하우징(41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분쇄 롤러(420)에 의해 형성된 곡물 슬러지는 곡물 슬러지 집적부(440)에 집적될 수 잇다. 다시 말해, 메쉬부(433)의 공극 사이를 통과한 곡물은 슬러지 형태로 낙하하여 곡물 슬러지 집적부(440)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곡물 슬러지 집적부(440)에는 곡물 슬러지 배출을 위한 가압 펌프(441)가 구비될 수 있다. 가압 펌프(441)에 의해 곡물 슬러지는 분리 장치(500)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410)의 내측면에는 분쇄 롤러(420)와 접촉하여 분쇄 롤러(420) 회전 시 분쇄 롤러(420)에 접착된 곡물 슬러지를 곡물 슬러지 집적부(440)로 이탈시키는 솔부(411) 및 하우징(410)으로 공급된 곡물이 분쇄 롤러(420)와 패널부(430) 사이를 통과하지 않고 곡물 집적부(440)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림막(412)이 구비될 수 있다.
분쇄 장치(400)에 의해 곡물 슬러지가 형성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곡물이 하우징(410)의 개구(410a)를 통해 유입되면, 분쇄 롤러(420)가 구동될 수 있다. 분쇄 롤러(420)가 구동됨에 따라, 곡물은 분쇄 롤러(420)와 제1 패널(431) 사이를 통과하며 1차적으로 분쇄되어 제1 공간부(t1)로 유입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공간부(t1)에 유입된 곡물은 분쇄 롤러(420)와 제2 패널(432) 사이를 통과하며 2차적으로 분쇄되어 제2 공간부(t2)로 유입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곡물은 분쇄 롤러(420)에 의해 가압되어 메쉬부(433)의 공극 사이를 통과하며 분쇄되어 곡물 슬러지 형태로 전환된 후 곡물 슬러지 집적부(440)로 유입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분쇄 장치(400)에서 배출된 곡물 슬러지는 분리 장치(500)로 유입될 수 있다. 분리 장치(500)는 곡물 슬러지에 고압수를 분사하여 곡물 슬러지에 포함된 전분유를 분리하는 것으로서, 분리 장치(500)의 외관을 형성하고 일측에 개구(510a)가 형성된 외부 하우징(510), 외부 하우징(510)의 내측에 배치되고, 곡물 슬러지가 안착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된 굴곡면을 포함하는 만곡 필터부(520) 및 만곡 필터부(520)와 소정거리 이격되고 만곡 필터부(520)에 안착된 곡물 슬러지에 고압수를 분사하는 고압수 분사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압수 분사부(530)가 곡물 슬러지에 고압수를 분사하면, 만곡 필터부(520)에 안착된 곡물 슬러지에 포함된 전분유는 만곡 필터부(520) 외측으로 필터링 되어 전분유 저장부(540)로 이동하게 되며, 전분유가 제거된 곡물 슬러지는 만곡 필터부(520) 하단에 연결된 곡물 슬러지 저장부(550)에 수용될 수 있다. 전분유 저장부(540)의 전분유는 배관(541)을 통해 정제장치(600)로 이동할 수 있으며, 곡물 슬러지 저장부(550)에 수용된 곡물 슬러지는 감자떡, 옹심이, 시루떡, 완자 등을 생산할 수 있는 재료로 활용될 수 있다.
정제 장치(600)는 전분유 속에 포함된 전분을 추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어, 원심 분리기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전분유 속에 포함된 전분을 추출할 수 있는 장치에 해당하는한 정제 장치(600)는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정제 장치(600)에서 추출된 전분은 건조 장치(700)로 이동하여 건조될 수 있다. 건조 장치(600)는 자연 건조를 위한 테이블, 열풍을 분사하여 전분을 건조시키는 열풍 건조 장치 및 진공 드럼 탈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전분 제조 시스템 100: 세척 장치
200: 박피 장치 210: 호퍼
220: 스팀 케이스 230: 스팀 및 진동 공급부
240: 레버부 250: 브러쉬부
300: 냉각 장치 310: 냉각 수조
320: 수압 펌프 330: 이송벨트
340: 선별 장치 400: 분쇄 장치
410: 하우징 420: 분쇄 롤러
430: 패널부 440: 곡물 슬러지 집적부
500: 분리 장치 510: 외부 하우징
520: 만곡 필터부 530: 고압수 분사부
540: 전분유 저장부 550: 곡물 슬러지 저장부

Claims (9)

  1. 곡물을 세척하는 세척 장치;
    상기 세척 장치에서 세척된 곡물에 대해 박피 공정을 수행하는 박피 장치;
    상기 박피 장치를 통과한 곡물을 냉각시키는 냉각 장치;
    상기 냉각 장치에서 냉각된 곡물을 분쇄하여 곡물 슬러지를 형성하는 분쇄 장치;
    상기 분쇄 장치에서 형성된 곡물 슬러지에 고압수를 분사하여 상기 곡물 슬러지에 포함된 전분유를 분리하는 분리 장치;
    상기 분리 장치에서 분리된 전분유에서 전분을 추출하는 정제 장치; 및
    상기 정제 장치에서 추출된 전분을 건조시키는 건조 장치;를 포함하는 전분 제조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박피 장치는,
    곡물이 유입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호퍼를 통과한 곡물이 유입되는 스팀 케이스;
    상기 스팀 케이스 내측에 스팀을 공급하고, 상기 스팀 케이스에 진동을 인가하는 스팀 및 진동 공급부;
    상기 스팀 케이스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스팀 케이스를 회전시키거나 고정시키는 레버부; 및
    상기 스팀 케이스의 상기 호퍼와 대향하지 않는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팀 케이스로부터 곡물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곡물의 껍질을 제거하는 브러쉬부;를 포함하는 전분 제조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케이스에는 곡물이 상기 스팀 케이스의 내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가능한 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부는 곡물이 상기 호퍼에 유입되는 경우 상기 스팀 케이스를 회전시켜 상기 도어를 상기 호퍼와 대향하게 배치시키고, 상기 스팀 케이스에 스팀 및 진동이 인가된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상기 스팀 케이스를 회전시켜 상기 도어를 상기 브러쉬부와 대향하게 배치시키는 전분 제조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장치는,
    냉각수가 수용되고 상기 박피 장치를 통과한 곡물이 유입되는 냉각 수조;
    상기 냉각 수조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 수조에 유입된 곡물에 수압을 인가하여 유입된 곡물을 상기 냉각 수조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수압 펌프; 및
    상기 냉각 수조의 타측에 배치되어 유입된 곡물을 상기 냉각 수조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벨트;를 포함하는 전분 제조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장치는,
    곡물이 유입되는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개구를 통해 유입된 곡물을 분쇄하여 곡물 슬러지를 형성하는 분쇄 롤러;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상기 분쇄 롤러를 향해 돌출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패널부; 및
    상기 분쇄 롤러에 의해 형성된 곡물 슬러지가 집적되는 곡물 슬러지 집적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된 곡물은 상기 분쇄 롤러 및 상기 패널부 사이를 통과하며 분쇄되는 전분 제조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는,
    상기 분쇄 롤러의 상측 외주면을 향해 돌출된 제1 패널; 및
    상기 분쇄 롤러의 중앙측 외주면을 향해 돌출된 제2 패널; 을 포함하는 전분 제조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상기 분쇄 롤러의 하측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돌출 구비되고, 내측에 복수 개의 공극이 형성된 메쉬부를 더 포함하는 전분 제조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는,
    상기 분리 장치의 외면을 형성하고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외부 하우징;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분쇄 롤러에 의해 형성된 곡물 슬러지가 안착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된 굴곡면을 포함하는 만곡 필터부; 및
    상기 만곡 필터부에 안착된 곡물 슬러지에 고압수를 분사하는 고압수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압수 분사부가 고압수를 분사하는 경우, 상기 만곡 필터부에 안착된 곡물 슬러지에 포함된 전분유는 상기 만곡 필터부 외측으로 필터링 되는 전분 제조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는,
    상기 만곡 필터부 하단에 연결된 곡물 슬러지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곡물 슬러지 저장부에는 전분유가 제거된 곡물 슬러지가 수용되는 전분 제조 시스템.

KR1020190049373A 2019-04-26 2019-04-26 전분 제조 시스템 KR102207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373A KR102207197B1 (ko) 2019-04-26 2019-04-26 전분 제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373A KR102207197B1 (ko) 2019-04-26 2019-04-26 전분 제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297A true KR20200125297A (ko) 2020-11-04
KR102207197B1 KR102207197B1 (ko) 2021-01-22

Family

ID=73571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373A KR102207197B1 (ko) 2019-04-26 2019-04-26 전분 제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1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167A (ko) * 2001-09-07 2001-11-09 주식회사 강산푸드스터프 도토리로부터 전분 분리방법
KR20140007603A (ko) * 2012-07-09 2014-01-20 주식회사 현진기업 구근작물에 아미노산을 첨가시킨 식품의 제조장치와 방법 및 그 식품
KR20160009308A (ko) * 2014-07-16 2016-01-26 전영춘 회수율을 극대화한 도토리 전분 추출 방법
KR101792739B1 (ko) * 2016-11-18 2017-11-0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축복의열매 고구마 말랭이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167A (ko) * 2001-09-07 2001-11-09 주식회사 강산푸드스터프 도토리로부터 전분 분리방법
KR20140007603A (ko) * 2012-07-09 2014-01-20 주식회사 현진기업 구근작물에 아미노산을 첨가시킨 식품의 제조장치와 방법 및 그 식품
KR20160009308A (ko) * 2014-07-16 2016-01-26 전영춘 회수율을 극대화한 도토리 전분 추출 방법
KR101792739B1 (ko) * 2016-11-18 2017-11-0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축복의열매 고구마 말랭이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7197B1 (ko) 2021-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288521U (zh) 一种颜料生产粉碎筛分机
RU274792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еления пластика от целлюлозы из бывших в употреблении абсорбирующих гигиен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KR10135888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일체형 파쇄, 고액 분리 및 압축 탈수 장치
US20130119575A1 (en) Plastic Waste Recycling Apparatus and System
KR20150010061A (ko) 폐비닐을 이용한 펠렛 제조장치
CN206703350U (zh) 一种废旧塑料制品自动粉碎装置
KR20100007089A (ko) 야채 쓰레기 처리장치
CN110420719A (zh) 一种鱼糜生产废弃物回收装置
KR102470729B1 (ko)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 처리장치
KR101097999B1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사료 제조장치
CN107670806B (zh) 用于废旧墨盒的处理设备
CN113649131B (zh) 一种自动化饲料粉碎混合装置
CN206509325U (zh) 移动式餐厨垃圾处理设备
KR102207197B1 (ko) 전분 제조 시스템
KR102236915B1 (ko) 전분 제조 시스템에 구비되는 곡물 분쇄 장치
KR20130034472A (ko) 싱크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H03175008A (ja) 廃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再生処理装置ならびにその方法
KR20130109641A (ko) 냉각용 필러의 재활용을 위한 파쇄장치
CN212167364U (zh) 一种生物质颗粒生产线
CN105772192A (zh) 物料粉碎回收机构
CN218107798U (zh) 一种畜牧养殖用富硒饲料精处理装置
CN209156093U (zh) 新型食品加工用粉碎机
KR20160000474U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KR20130109642A (ko) 냉각용 필러의 재활용을 위한 파쇄장치
CN210935178U (zh) 一种糙米粉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