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5223A - Vehicle body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heigh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Vehicle body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heigh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5223A
KR20200125223A KR1020190049200A KR20190049200A KR20200125223A KR 20200125223 A KR20200125223 A KR 20200125223A KR 1020190049200 A KR1020190049200 A KR 1020190049200A KR 20190049200 A KR20190049200 A KR 20190049200A KR 20200125223 A KR20200125223 A KR 20200125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suspension
length
vehicle body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2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59190B1 (en
Inventor
심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90049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190B1/en
Publication of KR20200125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2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1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21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the mechanical spring being a coil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7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non-fluid unit, e.g.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2Electric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A vehicle body control device and a vehicle height control method are disclosed. The vehicle body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spension control unit that includes a coil spring and displaces a suspension connecting a wheel and a vehicle body upward or downward; and a coil spring length adjusting unit that is arranged to be expanded and contracted up and down on one side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oil spring, and adjusts the length of the coil spring extended or compressed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suspension through expansion and contraction.

Description

차체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고 제어 방법{VEHICLE BODY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HEIGH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Vehicle body control device and vehicle heigh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VEHICLE BODY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HEIGH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체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서스펜션의 상하 변위 및 차고를 조절하는 차체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ody control apparatus and a vehicle heigh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body control device for adjusting the vertical displacement and vehicle height of a vehicle suspension, and a vehicle heigh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근래에는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스태빌라이저 바의 비틀림 강성을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주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는 차량의 속도, 가속도, 높이 등의 정보에 근거하여 전자제어유닛에 의해 구동되는 액추에이터를 통하여 스태빌라이저 바의 움직임을 능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롤링 제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해준다.Recently, active roll stabilizers having an actuator that variably adjusts the torsional rigidity of the stabilizer bar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vehicle have been widely used. The active roll stabilizer actively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stabilizer bar through an actuator driven by the electronic control unit based on information such as speed, acceleration, and height of the vehicle, thereby enabling efficient vehicle rolling control.

이와 같은 능동형 롤링 제어에 있어서, 차량의 폭 방향을 가로지르며 배치되어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의 좌우 차륜을 연결하는 형태의 스태빌라이저 바를 사용하지 않고, 차량의 각 코너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소위 ABC(Active Body Control) 시스템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방식의 시스템은 차량의 주행 시 승차감을 획기적으로 개선시켜줄 수 있으며, 좌우가 독립되어 있으므로 그 작동에 따라 차량의 높이도 조절될 수 있다.In such active rolling control, the so-called ABC (Active Body) that independently controls each corner of the vehicle without using a stabilizer bar in the form of a stabilizer bar arranged across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connecting left and right wheels in the front or rear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is also used. This type of system can dramatically improve the ride comfort when the vehicle is running, and since the left and right are independent, the height of the vehicl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its operation.

한편, 상기 시스템은 차량의 각 코너의 능동 제어를 위한 구동력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차량의 각 코너에 전동식 액추에이터를 배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전동식 액추에이터를 사용할 경우 차량의 조절된 높이의 유지를 위해 액추에이터에 계속적으로 높은 전류가 공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에너지 효율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Meanwhile, the system requires a driving force for active control of each corner of the vehicle, and for this, it may be considered to arrange an electric actuator at each corner of the vehicle. However, when an electric actuator is used,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supply a high current to the actuator to maintain the adjusted height of the vehicl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erms of energy efficiency.

한국 등록특허 제1842298호 "완충부재가 구비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능동형 스태빌라이징 장치", 2018. 05. 14 공고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842298 "Active Stabilizing Device for Vehicles Including an Actuator with a Buffer", 2018. 05. 14 Announced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차량의 높이를 조절하고 조절된 높이를 유지함에 있어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차체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고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body control device that efficiently uses energy in adjusting the height of a vehicle and maintaining the adjusted height, and a vehicle heigh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차륜과 차체를 연결하는 서스펜션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변위시키는 서스펜션 제어부 및 상기 코일 스프링의 길이 방향 일측에 상하로 신축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서스펜션의 변위에 따라 인장 또는 압축된 코일 스프링의 길이를 그 신축을 통해 조절하는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차체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spension control unit that includes a coil spring and displaces a suspension connecting a wheel and a vehicle body upward or downward, and is arranged to be vertically expandable on one side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oil spring, and the displacement of the suspension Accordingly, there is provided a vehicle body control device including a coil spring length adjusting part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oil spring tensioned or compressed through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thereof.

이때, 상기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는 상기 차체와 상기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il spring length adjustment un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vehicle body and the coil spring.

또한, 상기 서스펜션 제어부는 제 1 액추에이터가 생성한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는 상기 제 1 액추에이터와 별개로 마련되는 제 2 액추에이터가 생성한 구동력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spension control unit may be driven by a driving force generated by a first actuator, and the coil spring length adjusting unit may be driven by a driving force generated by a second actuator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irst actuator.

또한, 상기 서스펜션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변위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고, 상기 서스펜션의 상하 변위에 따라 인장 또는 압축된 코일 스프링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 2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전자제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n electronic control unit that operates the first actuator to displace the suspension upward or downward, and operates the second actuator to adjust the length of the coil spring tensioned or compressed according to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suspension. It may contain more.

또한,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서스펜션의 상하 변위에 따라 인장 또는 압축된 코일 스프링의 길이가 상기 변위 전의 길이와 동일하게 조절되도록 상기 제 2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control unit may operate the second actuator such that the length of the coil spring tensioned or compressed according to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suspension is adjusted to be equal to the length before the displacement.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서스펜션 제어부가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차륜과 차체를 연결하는 서스펜션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변위시키는 서스펜션 변위 단계 및 상기 코일 스프링의 길이 방향 일측에 상하로 신축 가능하게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가 신장 또는 단축됨으로써 상기 변위에 따라 인장 또는 압축된 코일 스프링의 길이를 조절하는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 단계를 포함하는 차고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spension control unit includes a coil spring, a suspension displacement step of displacing a suspension connecting the wheel and the vehicle body upward or downward, and the coil spring disposed so as to be stretchable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length direc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height control method including a coil spring length adjusting step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oil spring tensioned or compressed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by extending or shortening the coil spring length adjusting unit.

이때, 상기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 단계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는 상기 변위에 따라 인장 또는 압축된 코일 스프링의 길이를 상기 변위 전의 길이와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coil spring length adjusting step, the coil spring length adjusting unit may adjust the length of the coil spring tensioned or compressed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equal to the length before the displace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서스펜션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변위시키는 서스펜션 제어부가 일차적으로 차량의 높이를 조절하고, 코일 스프링의 길이 방향 일측에 상하로 신축 가능하게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를 통해 조절된 차량의 높이를 유지하므로, 조절된 차량의 높이 유지를 위해 서스펜션 제어부가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고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의 신장 또는 단축 시 소요되는 에너지도 최소화할 수 있어 차고 조절 및 유지에 있어 에너지 효율성이 향상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spension control unit for displacing the vehicle suspension upward or downward primarily adjusts the height of the vehicle, and the coil spring length adjustment unit is arranged to be expandable and contracted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oil spring. Because the height of the adjusted vehicle is maintained, the suspension control unit does not consume energy to maintain the adjusted vehicle height, and energy required when the coil spring length adjustment unit is elongated or shortened can be minimized. Efficiency is improved.

도 1은 차량의 좌우 차륜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제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제어 장치의 서스펜션 제어부를 통해 차량의 높이가 일차적으로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조절된 차량의 높이를 유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제어 장치의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가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고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vehicle body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wheels of a vehicl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ight of the vehicle is primarily adjusted through the suspension control unit of the vehicle bod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il spring length adjusting part of the vehicle bod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tended to maintain the adjusted height of the vehicle.
4 is a flowchart of a vehicle heigh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the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도 1에는 차량의 좌우 차륜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제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는 차량의 좌측 및 우측 차륜(W)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차량의 전륜일 수도 있고 후륜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제어 장치는 차량 전방의 좌우측 차륜 및 차량 후방의 좌우측 차륜과 각각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1 is a view showing a vehicle bod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wheels of a vehicle. 1 shows the left and right wheels W of the vehicle, which may be the front wheels or the rear wheels of the vehicle. That is, the vehicle bod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left and right wheels in front of the vehicle and left and right wheels in the rear of the vehicle, respectively.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제어 장치는 서스펜션 제어부(10),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30) 및 전자제어유닛(5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vehicle bod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spension control unit 10, a coil spring length adjustment unit 30, and an electronic control unit 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스펜션 제어부(10)는 차량의 서스펜션(100)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변위시켜 일차적으로 차량의 높이를 조절한다. 또한, 서스펜션 제어부(10)에 의한 차량의 높이 조절 후,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30)가 신장 또는 단축됨으로써 상기 변위에 따라 인장 또는 압축된 코일 스프링(150)의 길이가 상기 변위 전과 동일하게 조절되면 서스펜션 제어부(10)가 그 작동을 중지하여도 조절된 차량의 높이가 유지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primarily adjusts the height of the vehicle by displacing the vehicle suspension 100 upward or downward. In addition, afte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vehicle by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the coil spring length adjusting unit 30 is elongated or shortened, so that the length of the coil spring 150 tensioned or compressed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is adjusted to be the same as before the displacement. Then, even if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stops its operation, the adjusted height of the vehicle can be maintained.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제어 장치의 서스펜션 제어부(10),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30) 및 전자제어유닛(50)에 관해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the coil spring length adjustment unit 30, and the electronic control unit 50 of the vehicle bod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서스펜션 제어부(10)는 코일 스프링(150)을 포함하며 차륜과 차체를 연결하는 서스펜션(100)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변위시킨다. 서스펜션 제어부(10)는 차량의 각 차륜(W)의 서스펜션(100)에 대한 제어를 독립적으로 수행하도록 차량의 차체(V)에 설치된다. 서스펜션 제어부(10)는 서스펜션(100)에 연결되어 서스펜션(100)를 능동적으로 거동시켜 차량의 롤링(rolling), 피칭(pitching), 차체의 높이 등을 조절한다.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includes a coil spring 150 and displaces the suspension 100 connecting the wheel and the vehicle body upward or downward.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is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V to independently control the suspension 100 of each wheel W of the vehicle.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is connected to the suspension 100 to actively move the suspension 100 to adjust rolling, pitching, and height of the vehicle body.

이때, 서스펜션(100)은 서스펜션 암(110), 쇽업소버(130) 및 코일 스프링(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난 예에서, 서스펜션 암(110)은 로어 암(111) 또는 어퍼 암(113)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쇽업소버(130)와 코일 스프링(150)은 결합되어 스트럿을 형성하고 있다.At this time, the suspension 100 may include a suspension arm 110, a shock absorber 130, a coil spring 150, and the like.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the suspension arm 110 includes a lower arm 111 or an upper arm 113. Meanwhile, the shock absorber 130 and the coil spring 150 are coupled to form a strut.

그러나 도 1에 나타난 서스펜션 타입에 의해 본 발명의 적용 형태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나타난 예와 다르게, 서스펜션(100)에서 쇽업소버(130)와 코일 스프링(150)은 스트럿을 형성하지 않고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the application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uspension type shown in FIG. 1. Unlike the example shown in FIG. 1, in the suspension 100, the shock absorber 130 and the coil spring 150 may be independently disposed without forming a strut.

더욱 상세하게, 서스펜션 제어부(10)는 제 1 액추에이터(11), 레버암(13) 및 링크 부재(15)를 포함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may include a first actuator 11, a lever arm 13 and a link member 15.

제 1 액추에이터(11)는 링크 부재(15)의 움직임을 위한 구동력을 생성한다. 제 1 액추에이터(11)는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액추에이터(11)는 링크 부재(15)의 움직임을 위한 회전력을 출력하는 모터 및 출력을 증대시키는 감속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actuator 11 generates a driving force for the movement of the link member 15. The first actuator 11 may be made of a motor. In other words, the first actuator 11 may include a motor that outputs a rotational force for movement of the link member 15 and a reducer that increases the output.

레버암(13)은 제 1 액추에이터(11)와 연결되어 제 1 액추에이터(11)가 전달하는 구동력에 의해 거동한다. 더욱 상세하게, 레버암(13)은 제 1 액추에이터(11)와 연결되어 제 1 액추에이터(11)가 출력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며, 링크 부재(15)를 움직인다. 레버암(13)의 일측 단부는 제 1 액추에이터(11)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 단부는 링크 부재(15)에 연결될 수 있다.The lever arm 13 is connected to the first actuator 11 and operates by a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first actuator 11. In more detail, the lever arm 13 is connected to the first actuator 11 and rotates by a rotational force output from the first actuator 11 and moves the link member 15. One end of the lever arm 13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actuator 11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link member 15.

레버암(13)의 회전에 따라 링크 부재(15)가 움직이게 되고, 이에 따라 서스펜션(100)가 상하 방향으로 변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레버암(13)의 회전 거동 범위는 예를 들면, 5°의 범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레버암(13)의 회전 거동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제어 장치의 서스펜션 제어부(10)의 설치 형태, 환경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As the lever arm 13 rotates, the link member 15 moves, and accordingly, the suspension 100 is displa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al motion range of the lever arm 13 may be made in the range of 5°, for example. Of course, the range of the rotational behavior of the lever arm 13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type and environment of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of the vehicle body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링크 부재(15)는 일측은 차량의 서스펜션(100)에 연결되고 타측은 레버암(13)에 연결되어 레버암(13)의 회전에 따라 움직임으로써 서스펜션(100)를 능동적으로 조절한다. 링크 부재(15)의 움직임에 따라 서스펜션(100)는 상하로 변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롤링, 피칭, 높이 등이 제어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link member 15 is connected to the vehicle suspension 10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lever arm 13 and mov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ever arm 13 to actively adjust the suspension 100. As the link member 15 moves, the suspension 100 may be displaced up and down. Through this, as described above, rolling, pitching, and height of the vehicle can be controlled.

한편, 도 1에서, 링크 부재(15)는 서스펜션(100)의 스트럿에 연결되어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링크 부재(15)는 서스펜션(100)의 서스펜션 암(110) 등에 연결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FIG. 1, the link member 15 is connected to the strut of the suspension 1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link member 15 may be connected to the suspension arm 110 of the suspension 100 or the like.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30)는 코일 스프링(150)의 길이 방향 일측에 상하로 신축 가능하게 배치된다.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30)는 서스펜션(100)의 변위에 따라 인장 또는 압축된 코일 스프링(150)의 길이를 그 신축을 통해 조절한다.The coil spring length adjustment part 30 is arranged to be vertically expandable and contracted on one side of the coil spring 150 in the length direction. The coil spring length adjustment unit 30 adjusts the length of the coil spring 150, which is tensioned or compressed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suspension 100, through its expansion and contraction.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30)는 차체(V)와 코일 스프링(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150)은 자신의 탄성 및 차량의 하중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의 길이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서스펜션 제어부(100)에 의한 서스펜션(100)의 변위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30)가 신장 또는 단축될 경우 코일 스프링(150)은 그 길이를 유지하므로 결과적으로 차체(V)가 높아지거나 낮아지게 된다.The coil spring length adjustment unit 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vehicle body V and the coil spring 150. The coil spring 150 maintains a compressed state to a predetermined length determined by its elasticity and the load of the vehicle. Therefore, when the coil spring length adjustment unit 30 is elongated or shortened 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cement of the suspension 100 by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0 does not occur, the coil spring 150 maintains its length. ) Increases or decreases.

이와 달리, 서스펜션(100)이 변위함으로써 차체(V)의 높이가 높아지거나 낮아진 경우, 코일 스프링(150)은 신장되거나 압축된다. 이 상태에서 서스펜션 제어부(10)의 제 1 액추에이터(11)의 작동이 중단되면 코일 스프링(150)은 압축 또는 신장되어 차체(V)의 높이 변화 전 소정의 길이로 되돌아가며 이에 따라 차체(V)의 높이는 원래대로 돌아가게 된다.In contrast, when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V is increased or decreased due to the displacement of the suspension 100, the coil spring 150 is elongated or compressed. In this state, when the operation of the first actuator 11 of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is stopped, the coil spring 150 is compressed or elongated to return to a predetermined length before the height change of the vehicle body V. Accordingly, the vehicle body V Will return to its original heigh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30)는 일차적으로 서스펜션(100)의 변위 후 서스펜션(1000)의 상하 변위에 따라 인장 또는 압축된 코일 스프링(15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신장 또는 단축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spring length adjustment unit 30 is primarily to adjust the length of the coil spring 150 that is tensioned or compressed according to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suspension 1000 after displacement of the suspension 100 Elongated or shortened.

구체적으로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30)는 코일 스프링(150)의 길이가 차체(V)의 높이 변화 전의 길이와 동일하게 되도록 신장 또는 단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스펜션 제어부(10)의 제 1 액추에이터(11)의 작동이 중단되더라도 변화된 차체(V)의 높이가 유지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il spring length adjustment unit 30 may be elongated or shortened so that the length of the coil spring 150 is the same as the length before the height change of the vehicle body V. Accordingly,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first actuator 11 of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is stopped, the changed height of the vehicle body V may be maintained.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30)는 제 1 액추에이터(11)와 별개로 마련되는 제 2 액추에이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액추에이터는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il spring length adjustment unit 30 may be driven by a second actuator (not shown)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irst actuator 11. For example, the second actuator may be made of a motor.

전술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30)는 서스펜션 제어부(10)에 의해 일차적으로 차체(V)의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코일 스프링(150)이 인장 또는 압축된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15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신장 또는 단축된다. 따라서 서스펜션 제어부(10)에 의한 일차적인 차체(V)의 높이 조절 없이 즉, 코일 스프링(150)이 인장 또는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30)가 신장 또는 단축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힘이 소요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oil spring length adjustment unit 30 is primarily adjusted by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V so that the coil spring 150 is in a tensioned or compressed state. It is elongated or shortened to control length. Therefore, compared with the case in which the coil spring length adjustment unit 30 is elongated or shortened without the primary height adjustment of the vehicle body V by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coil spring 150 is not tensioned or compressed. It requires relatively little power.

다시 말하면,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30)가 독자적으로 차고를 높이도록 구성된 경우와 달리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제 2 액추에이터에 요구되는 출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제 2 액추에이터를 소형화할 수 있다.In other words, unlike the case where the coil spring length adjustment unit 30 is independently configured to increase the vehicle he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utput required for the second actuator can be minimized, the second actuator can be miniaturized.

전자제어유닛(50)은 차체(V)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제 1 액추에이터(11) 및 제 2 액추에이터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제어유닛(50)은 서스펜션(100)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변위시키기 위해 제 1 액추에이터(11)를 작동시키고, 서스펜션(100)의 상하 변위에 따라 인장 또는 압축된 코일 스프링(15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제 2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킨다.The electronic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first actuator 11 and the second actuato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V.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control unit 50 operates the first actuator 11 to displace the suspension 100 upward or downward, and is tensioned or compressed according to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suspension 100. The second actuator is operat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coil spring 1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제어유닛(50)은 서스펜션(100)의 상하 변위에 따라 인장 또는 압축된 코일 스프링(150)의 길이가 상기 변위 전의 길이와 동일하게 조절되도록 제 2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control unit 50 operates the second actuator so that the length of the tensioned or compressed coil spring 150 is equal to the length before the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suspension 100 I can make it.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제어 장치가 차체(V)의 높이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V by the vehicle bod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제어 장치의 서스펜션 제어부를 통해 차량의 높이가 일차적으로 조절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2는 서스펜션 제어부(10)의 제 1 액추에이터(11)가 작동하여 레버암(13)이 회전하고, 링크 부재(15)가 서스펜션(100)을 상측으로 변위시켜 차체(V)가 높아진 상태를 보여준다.2 shows a state in which the height of the vehicle is primarily adjusted through the suspension control unit of the vehicle body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FIG. 2 shows that the first actuator 11 of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is operated so that the lever arm 13 rotates, and the link member 15 displaces the suspension 100 upwards, so that the vehicle body V Shows an elevated state.

서스펜션(100)의 변위 전에 코일 스프링(150)은 스프링의 탄성과 차체(V)의 하중에 의해 결정된 소정의 길이(h)를 갖고 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서스펜션 제어부(10)가 작동하여 서스펜션(100)이 변위하면 따라 코일 스프링(150)은 인장되고, 소정의 길이(h) 보다 늘어난 길이(h+d)를 갖게 된다.Before the displacement of the suspension 100, the coil spring 150 has a predetermined length h determined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and the load of the vehicle body V. As shown in FIG. 2, when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operates and the suspension 100 is displaced, the coil spring 150 is tensioned and has a length h+d that is longer than a predetermined length h.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절된 차고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서스펜션 제어부(10)의 제 1 액추에이터(11)가 계속적으로 작동해야 한다. 만약, 제 1 액추에이터(11)의 작동이 중단되면 코일 스프링(150)은 압축되어 차체(V)의 높이 변화 전의 길이(h)로 되돌아가며 이에 따라 차체(V)의 높이는 원래대로 돌아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150)의 길이는 코일 스프링(150)의 탄성 및 차량의 하중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의 길이(h)를 유지하기 때문이다.In this state, in order to maintain the adjusted vehicle height, the first actuator 11 of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must be continuously operated. If the operation of the first actuator 11 is stopped, the coil spring 150 is compressed to return to the length h before the height change of the vehicle body V, and 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V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This is because, as described above, the length of the coil spring 150 in the absence of external force maintains a predetermined length h determined by the elasticity of the coil spring 150 and the load of the vehicle.

이때, 제 2 액추에이터가 작동하여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30)가 신장되어 코일 스프링(150)의 길이가 차체(V)의 높이 변화 전의 길이(h)와 동일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일 스프링(150)은 스프링의 탄성과 차체(V)의 하중에 의해 결정된 소정의 길이(h)를 회복한다. 그 결과 제 1 액추에이터(11)의 작동이 중단되더라도 코일 스프링(150)은 길이를 유지하며 차체(V)의 조절된 높이가 유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actuator is operated and the coil spring length adjustment unit 30 is extended as shown in FIG. 3 so that the length of the coil spring 150 is adjusted equal to the length h before the height change of the vehicle body V. I can. Accordingly, the coil spring 150 recovers a predetermined length h determined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and the load of the vehicle body V. As a result,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first actuator 11 is stopped, the coil spring 150 maintains the length and the adjusted height of the vehicle body V may be maintained.

이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경우 서스펜션 제어부(10)의 제 1 액추에이터(11)는 차고의 변화 후 유지를 위해 지속적으로 작동할 필요가 없다. 또한, 코일 스프링(150)이 인장 또는 압축된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30)의 신장 또는 단축이 이루어지므로 코일 스프링(150)이 인장 또는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30)가 신장 또는 단축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30)를 신장 또는 단축시키는 제 2 액추에이터의 구동에도 적은 에너지가 소요된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ctuator 11 of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does not need to be continuously operated for maintenance after a change in vehicle height. In addition, since the coil spring 150 is elongated or shortened in a state in which the coil spring 150 is tensioned or compressed, the coil spring length adjusting part 30 in a state in which the coil spring 150 is not tensioned or compressed.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length of the coil spring is extended or shortened, less energy is also required to drive the second actuator for extending or shortening the coil spring length adjusting unit 30.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스펜션 제어부(10)를 구동하는 제 1 액추에이터(11)의 에너지 소비량도 줄일 수 있으며,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30)를 구동하는 제 2 액추에이터의 출력 및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체 제어 및 차고 조절에 있어서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first actuator 11 driving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can be reduced, and the output and size of the second actuator driving the coil spring length adjustment unit 30 Can be minimized. This can improve energy efficiency in vehicle body control and vehicle height adjustment.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고 제어 방법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고 제어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Meanwhile, FIG. 4 is a flowchart of a vehicle heigh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heigh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the vehicle bod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고 제어 방법은 서스펜션 변위 단계(S10) 및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vehicle heigh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spension displacement step S10 and a coil spring length adjustment step S30.

서스펜션 변위 단계(S10)는 서스펜션 제어부(10)가 코일 스프링(150)을 포함하며 차륜(W)과 차체(V)를 연결하는 서스펜션(100)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변위시키는 단계이다. 서스펜션 변위 단계(S10)에서, 서스펜션 제어부(10)는 제 1 액추에이터(11)의 작동에 따라 서스펜션(100)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변위시킨다. 이때, 서스펜션 제어부(10)의 제 1 액추에이터(11)의 작동은 전자제어유닛 (50)의 제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spension displacement step S10 is a step in which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displaces the suspension 100 including the coil spring 150 and connecting the wheel W and the vehicle body V upward or downward. In the suspension displacement step S10,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displaces the suspension 100 upward or downwar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actuator 11.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the first actuator 11 of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may be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50.

서스펜션 변위 단계(S10)에서, 서스펜션(100)의 변위 전에 코일 스프링(150)은 코일 스프링(150)의 탄성과 차체(V)의 하중에 의해 결정된 소정의 길이(h)를 갖고 있는데, 서스펜션(100)의 변위에 따라 코일 스프링(150)은 소정의 길이(h)에서 인장되거나 압축된 길이를 가지게 된다.In the suspension displacement step (S10), before the displacement of the suspension 100, the coil spring 150 has a predetermined length h determined by the elasticity of the coil spring 150 and the load of the vehicle body V. The suspension (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100), the coil spring 150 has a length that is tensioned or compressed at a predetermined length h.

이 상태에서, 조절된 차고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서스펜션 제어부(10)의 제 1 액추에이터(11)가 지속적으로 작동해야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경우 후술하는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 단계(S30)를 통해 제 1 액추에이터(11)의 작동이 중단되어도 조절된 차고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is state, in order to maintain the adjusted vehicle height, the first actuator 11 of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must be continuously operated. How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adjusted vehicle height even when the operation of the first actuator 11 is stopped through the coil spring length adjustment step (S30) to be described later.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 단계(S30)는 코일 스프링(150)의 길이 방향 일측에 상하로 신축 가능하게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30)가 신장 또는 단축되어 상기 변위에 따라 인장 또는 압축된 코일 스프링(150)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이다.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 단계(S30)에서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30)는 상기 변위에 따라 인장 또는 압축된 코일 스프링의 길이를 상기 변위 전의 길이와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30)의 제 2 액추에이터의 작동은 전자제어유닛 (50)의 제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coil spring length adjustment step (S30), a coil spring length adjustment part 30 arranged to be stretchable up and down on one side of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oil spring 150 is elongated or shortened to be tensioned or compressed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 This is the step of adjusting the length of 150). In the coil spring length adjusting step (S30), the coil spring length adjusting part 30 may adjust the length of the coil spring tensioned or compressed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equal to the length before the displacement.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the second actuator of the coil spring length adjustment unit 30 may be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30)는 제 2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신장 또는 단축되어 코일 스프링(150)의 길이를 차체(V)의 높이 변화 전의 길이(h)와 동일하게 조절한다. 이에 따라 코일 스프링(150)은 코일 스프링(150)의 탄성과 차체(V)의 하중에 의해 결정된 소정의 길이(h)를 회복한다. 그 결과 제 1 액추에이터(11)의 작동이 중단되더라도 코일 스프링(150)은 그 길이를 유지하며 차체(V)의 조절된 높이가 유지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spring length adjustment unit 30 is elongated or shorten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actuator so that the length of the coil spring 150 is equal to the length h before the height change of the vehicle body V Adjust it. Accordingly, the coil spring 150 recovers a predetermined length h determined by the elasticity of the coil spring 150 and the load of the vehicle body V. As a result,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first actuator 11 is stopped, the coil spring 150 maintains its length and the adjusted height of the vehicle body V may be maintai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 present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addition of components, Other embodiments may be easily proposed by changes, deletions, additions, etc., but it will be said that this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서스페션 제어부
11: 제 1 액추에이터 13: 레버암
15: 링크 부재
30: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
50: 전자제어유닛
100: 서스펜션
110: 서스펜션 암
130: 쇽업소버
150: 코일 스프링
10: suspension control
11: first actuator 13: lever arm
15: no link
30: coil spring length adjustment part
50: electronic control unit
100: suspension
110: suspension arm
130: shock absorber
150: coil spring

Claims (7)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차륜과 차체를 연결하는 서스펜션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변위시키는 서스펜션 제어부 및
상기 코일 스프링의 길이 방향 일측에 상하로 신축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서스펜션의 변위에 따라 인장 또는 압축된 코일 스프링의 길이를 그 신축을 통해 조절하는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차체 제어 장치.
A suspension control unit that includes a coil spring and displaces the suspension connecting the wheel and the vehicle body upward or downward; and
A vehicle body control device comprising a coil spring length adjusting unit arranged to be stretchable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coil spring in the length direction, and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oil spring tensioned or compressed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suspension through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는 상기 차체와 상기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는 차체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il spring length adjustment unit is a vehicle body control device disposed between the vehicle body and the coil spr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제어부는 제 1 액추에이터가 생성한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는 상기 제 1 액추에이터와 별개로 마련되는 제 2 액추에이터가 생성한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차체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uspension control unit is driven by a driving force generated by a first actuator, and the coil spring length adjustment unit is driven by a driving force generated by a second actuator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irst actuato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변위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고, 상기 서스펜션의 상하 변위에 따라 인장 또는 압축된 코일 스프링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 2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전자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차체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electronic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n electronic control unit that operates the first actuator to displace the suspension upward or downward, and operates the second actuator to adjust the length of the coil spring tensioned or compressed according to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suspension. Body control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서스펜션의 상하 변위에 따라 인장 또는 압축된 코일 스프링의 길이가 상기 변위 전의 길이와 동일하게 조절되도록 상기 제 2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차체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electronic control unit operates the second actuator so that the length of the coil spring tensioned or compressed according to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suspension is adjusted to be the same as the length before the displacement.
서스펜션 제어부가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차륜과 차체를 연결하는 서스펜션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변위시키는 서스펜션 변위 단계 및
상기 코일 스프링의 길이 방향 일측에 상하로 신축 가능하게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가 신장 또는 단축됨으로써 상기 변위에 따라 인장 또는 압축된 코일 스프링의 길이를 조절하는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 단계를 포함하는 차고 제어 방법.
A suspension displacement step in which the suspension control unit includes a coil spring and displaces the suspension connecting the wheel and the vehicle body upward or downward, and
A height control method comprising a coil spring length adjusting step of adjusting the length of a coil spring tensioned or compressed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by extending or shortening a coil spring length adjusting unit arranged to be stretchable up and down on one side of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oil spring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 단계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 길이 조절부는 상기 변위에 따라 인장 또는 압축된 코일 스프링의 길이를 상기 변위 전의 길이와 동일하게 조절하는 차고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In the coil spring length adjusting step, the coil spring length adjusting unit adjusts the length of the coil spring tensioned or compressed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equal to the length before the displacement.
KR1020190049200A 2019-04-26 2019-04-26 Vehicle body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heigh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26591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200A KR102659190B1 (en) 2019-04-26 2019-04-26 Vehicle body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heigh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200A KR102659190B1 (en) 2019-04-26 2019-04-26 Vehicle body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heigh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223A true KR20200125223A (en) 2020-11-04
KR102659190B1 KR102659190B1 (en) 2024-04-19

Family

ID=73571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200A KR102659190B1 (en) 2019-04-26 2019-04-26 Vehicle body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heigh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19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9889A (en) * 2004-01-16 2005-07-28 Honda Motor Co Ltd Vehicle height adjustment device
KR20100048155A (en) * 2008-10-30 2010-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height of vehicle
JP2010179728A (en) * 2009-02-04 2010-08-19 Aisin Seiki Co Ltd Vehicle height adjusting device
JP2011148340A (en) * 2010-01-19 2011-08-04 Bridgestone Corp Vehicle height adjusting device
KR101842298B1 (en) 2013-07-26 2018-05-14 주식회사 만도 Active roll stabilizing apparatus for vehicle having actuator having cushion memb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9889A (en) * 2004-01-16 2005-07-28 Honda Motor Co Ltd Vehicle height adjustment device
KR20100048155A (en) * 2008-10-30 2010-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height of vehicle
JP2010179728A (en) * 2009-02-04 2010-08-19 Aisin Seiki Co Ltd Vehicle height adjusting device
JP2011148340A (en) * 2010-01-19 2011-08-04 Bridgestone Corp Vehicle height adjusting device
KR101842298B1 (en) 2013-07-26 2018-05-14 주식회사 만도 Active roll stabilizing apparatus for vehicle having actuator having cushion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9190B1 (en) 2024-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09027B (en) Apparatus for suspension damping including negative stiffness
US8041479B2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JP2007203933A (en) Suspension device
KR20020027466A (en) Electromagnetic damper vehicle suspension
KR20190138493A (en) Active geometry control suspension
KR100680389B1 (en) Wheel alignment and vehicle height adjusting apparatus
JP3785598B2 (en) Car rear wheel suspension
KR102659190B1 (en) Vehicle body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heigh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JP2001310736A (en) Electromagnetic suspension controller
JP2010254132A (en) Roll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KR20070014782A (en) An apparatus for adjusting caster angle for mcpherson strut type suspension
KR20160069842A (en) Apparatus and system for adjusting spring constant of transverse leaf spring in suspension of vehicle
JP2009234472A (en) Electromagnetic suspension unit and electromagnetic suspension device
KR101744803B1 (en) Active roll control system
JP4142551B2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JPH0585140A (en)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JP2009143472A (e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JP2006117210A (en) Vehicle suspension device
KR20080055076A (en) Variable stabilizer of vehicles
KR102542943B1 (en) Variable roll stiffness device of vehicle
JPH10217735A (en) Suspension for vehicle
KR101283605B1 (en) Active roll control system
JP2011131611A (en) Electromagnetic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CN109130758B (en) Suspension system bidirectional energy feedback control system and method
JP2005170276A (en) Toe angle controller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