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4918A - 애완견용 이동 대차 - Google Patents

애완견용 이동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4918A
KR20200124918A KR1020190048377A KR20190048377A KR20200124918A KR 20200124918 A KR20200124918 A KR 20200124918A KR 1020190048377 A KR1020190048377 A KR 1020190048377A KR 20190048377 A KR20190048377 A KR 20190048377A KR 20200124918 A KR20200124918 A KR 20200124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andle
dog
dog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5667B1 (ko
Inventor
김유진
Original Assignee
김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진 filed Critical 김유진
Priority to KR1020190048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667B1/ko
Publication of KR20200124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36Transport 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for animals; Fittings therefor
    • A01K1/029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especially adapted for carrying the animal on the body of a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6Devices for fastening animals, e.g. halters, toggles, neck-bars or chain fastenings
    • A01K1/0613Devices for immobilisation or restraint of animals, e.g. chu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6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 밖에서 애완견을 태우고 다닐 수 있는 이동 대차에 관한 것으로, 애완견용 이동 대차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제1케이스(10);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단 일측에 형성된 제2힌지공(21)에 상기 제1케이스(10) 상단 일측에 형성된 제1힌지공(11)과 힌지축(12)으로 힌지 결합되는 제2케이스(20); 상기 제1케이스(10) 정면 양측에 각각 고정 결합된 지지프레임(30); 한 쌍의 핸들프레임(31)이 상기 지지프레임(30)에 인출 또는 삽입되고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구비된 핸들(32); 상기 제1케이스(10) 저면 앞쪽 좌우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캐스터(18); 상기 제1케이스(10) 저면 뒤쪽 좌우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바퀴(16); 상기 제2케이스(20) 저면 뒤쪽 좌우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바퀴(24); 상기 힌지축(12)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케이스(10) 위를 개폐하는 제1덮개(15); 상기 힌지축(12)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2케이스(20) 위를 개폐하는 제2덮개(23); 상기 제1케이스(10) 정면에 구비된 손잡이(19);를 포함하고, 상기 제2케이스(20)를 힌지축(12)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켜 제1케이스(10) 위에 적층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애완견의 산책이나 외출 때에 애완견 전용의 이동 대차 위나 내부에 태워 다니거나 애완견의 목줄이나 가슴줄에 결합된 리드줄을 연결하여 다닐 수 있고, 외부에서 애완견에게 필요한 각종 용품이나 먹이를 싣고 다닐 수 있으며, 이동 대차가 접이식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 보관을 위한 공간 확보가 유리하고, 이동 대차 위에 애완견이 탑승할 때에 허리띠를 착용하여 안전을 도모하며, 애완견이 이동 대차로부터 일정 거리이상 이탈하는 것을 감지하여 애완견의 분실을 방지하고, 조명장치를 구비하여 야간에도 이동 대차를 운용할 수 있어 보호자와 애완견의 편의를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애완견용 이동 대차{Moving Carriage for Fet Dog}
본 발명은 집 밖에서 애완견을 태우고 다닐 수 있는 이동 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완견은 가정에서 기르는 개로 흔히 반려견이라고도 한다. 애완견을 오랫동안 사람과 더불어 살아왔다. 최근 애완견에 대한 인식변화와 핵가족화로 인하여 애완견을 기르는 가구가 많아지고 있다. 더욱이 애완견을 위한 사료, 간식, 놀이기구, 미용, 관련 용품 등의 시장이 점점 확대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보호자는 애완견의 운동이나 배변을 위하여 산책을 하거나 외출을 하는 동안 애완견에 목줄이나 가슴줄과 리드줄 등을 이용하여 동행하여야 한다.
종래에 보호자는 애완견과 동행하는 동안 애완견이 잘 걷지 못하는 상태이거나 또는 타인이 애완견과 접촉하지 못하도록 일정 거리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애완견을 안고 다니거나 또는 유아용 유모차에 싣고 다닌다. 더욱이 애완견의 산책이나 외출 때에는 애완견의 배변에 따른 수거용 장갑이나 기구 및 일회용 비닐, 티슈 등의 용품이나 먹이 등을 가방에 넣고 다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애완견의 산책이나 외출 때에 직사광선이 강하게 비추거나 또는 강우나 강설 등으로부터 애완견을 보호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특허문헌1은 애완견 유모차를 애완견 집 및 애완견 바구니 또는 애완견 장난감으로 전환 사용하기 위해서 앞바퀴 지지대(16)와 뒷바퀴 지지대(29)를 꺾어 숨기는 방법으로 앞바퀴 지지대(16) 상단의 연결장치(17)에는 고정핀(22)이 삽입되는 앞바퀴 지지대 멈춤 구멍(17a)(17b)(17c)이 형성되고 뒷바퀴 지지대(29) 상단의 연결장치(28)에도 고정핀(22)이 삽입되는 뒷바퀴 지지대 멈춤 구멍(28a)(28b)(28c)이 형성되며, 프레임(23) 앞쪽에는 앞바퀴 지지대(16)를 연결하는 연결장치(20)가 뒤쪽에는 뒷바퀴 지지대(29)를 연결하는 연결장치(27)가 형성되며 이 연결장치(20)(27)에는 고정핀(22)과 고정핀을 당기는 손잡이(11) 및 고정핀을 밀어주는 스프링(40)으로 구성된 고정장치(21)로 연결장치(20)(27)에 고정 형성되며, 앞뒤바퀴 지지대(16)(29)의 연결장치(17)(28)와 프레임(23) 앞뒤의 연결장치(20)(27)는 연결장치 조립 볼트(18) 너트(19)로 조립되어 애완견 유모차의 앞바퀴 지지대(16)와 뒷바퀴지지대(29)가 소정의 각도에서 고정되어 지도록 하는 수단; 유모차 손잡이(38)를 유모차의 앞뒤로 꺾어 고정하는 방법으로 유모차 손잡이 중간 연결대(33) 하단의 연결장치(32)에는 고정핀(22)이 삽입되는 손잡이 꺾임 멈춤 구멍(32a)(32b)(32c)(32d)이 형성되며, 프레임(23)의 상단에는 중간 연결대(33)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 장치(31)가 형성되며 이 연결장치(31)에는 고정핀(22)과 고정핀을 당기는 손잡이(11) 및 고정핀을 밀어주는 스프링(40)으로 구성된 고정장치(21)로 연결장치(31)에 고정 형성되며, 프레임(23) 상단의 연결장치(31)와 중간 연결대(33) 하단의 연결장치(32)는 연결장치 조립 볼트(18) 너트(19)로 조립되어 애완견 유모차의 손잡이(38)가 소정의 각도에서 고정되어 지도록 하는 수단; 유모차의 손잡이(38)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유모차 손잡이 중간 연결대(33)에는 손잡이 높이 조절구멍(33a)(33b)(33c)이 상단에는 손잡이 조임 볼트(34)가 형성되며, 이 조임 볼트(34) 상단에는 여유 공간(34a)을 만들어 조임 너트(36)로 조였을 때 쉽게 조여지게 하며 유모차 손잡이 하단 부위에는 손잡이 높이 멈춤 핀(35)과 조임 너트(36)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멈춤 핀(35)은 손잡이 멈춤 핀(35)을 밀어주는 스프링(41)으로 구성되고 손잡이 멈춤 핀(35)이 손잡이 높이 조절 구멍(33a)(33b)(33c)에 삽입되게 하고 손잡이 조임 볼트(34) 너트(36)로 조여서 애완견 유모차의 손잡이(38)가 소정의 높이에서 고정되어 지도록 하는 수단; 유모차의 앞바퀴(8)가 좌우로 회전되는 것을 고정하는 방법으로 앞바퀴 지지대(16) 하단에는 고정핀(22)이 삽입되는 삽입구멍(16a)이 형성되고 바퀴 고정장치(12) 상단에는 고정핀(22)과 고정핀을 당기는 손잡이(11),고정핀을 밀어주는 스프링(40)으로 구성된 고정장치(10)가 형성되어 앞바퀴의 고정장치(12)에 고정 형성되며 상기 고정장치(10)에는 당김 손잡이(11)가 깊게 고정되는 홈(10a)과 얕게 고정되는 홈(10b)이 형성되며 앞바퀴의 고정장치(12)는 당김 손잡이(11)가 깊게 고정되는 홈(10a) 위치에서는 고정핀(22)이 삽입구멍(16a)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얕게 고정되는 홈(10b) 위치에서는 고정핀(22)이 삽입구멍(16a)에서 이탈되어 바퀴 고정장치(12)가 자유 회전하도록 하는 수단; 애완견 유모차의 덮개(43)에는 폴대(47)(48)를 조립하는 삽입구(44)와 덮개(43)의 끝단에는 폴대(47)(48)의 고리(47b)(48b)에 걸리는 네 개의 고리(45) 및 덮개(43)의 한쪽 면을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는 지퍼(46)로 형성되며 폴대는 두 개의 폴대(47)(48)가 조립되어 1조로 하는 2조의 폴대로 구성되어 덮개(43)에 조립되어 폴대의 양끝(47a)(48a)을 유모차 본체의 조립 폴대 조립 구멍(1a)에 삽입 조립하여 애완견 유모차의 덮개(차광막)를 탈부착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다기능 애완견 유모차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1428호(2011.12.07. 공고)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애완견을 안전하게 태울 수 있도록 하고, 애완견과 관련된 용품을 함께 싣고 다닐 수 있도록 하며,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대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애완견용 이동 대차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제1케이스;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단 일측에 형성된 제2힌지공에 상기 제1케이스 상단 일측에 형성된 제1힌지공과 힌지축으로 힌지 결합되는 제2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 정면 양측에 각각 고정 결합된 지지프레임; 한 쌍의 핸들프레임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인출 또는 삽입되고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구비된 핸들; 상기 제1케이스 저면 앞쪽 좌우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캐스터; 상기 제1케이스 저면 뒤쪽 좌우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바퀴; 상기 제2케이스 저면 뒤쪽 좌우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바퀴; 상기 힌지축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케이스 위를 개폐하는 제1덮개; 상기 힌지축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2케이스 위를 개폐하는 제2덮개; 상기 제1케이스 정면에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2케이스를 힌지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켜 제1케이스 위에 적층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애완견용 이동 대차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케이스 측면에 미닫이도어로 개폐할 수 있는 방충망이 설치된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케이스 배면에 야간 조명을 위한 조명부재가 설치되고,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 하부 표면에 야간 표시를 위한 표시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의 각 상부 측면에 승강되는 난간이 설치되고, 제1케이스 또는 제2케이스 측면에 제1덮개 및 제2덮개 위에 탑승한 애완견을 고정 지지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허리띠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케이스 내부에 애완견의 외출 때에 배변을 포함한 각종 애완용품을 보관하는 물품보관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케이스 배면과 제2케이스 정면에 각각 자석 또는 벨크로테이프가 고정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케이스 위에 제2케이스가 회전되어 적층된 상태에서 제1케이스에 제2케이스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되, 고정부재는 바닥면에 판스프링이 일정 각도로 고정 결합된 수평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과 연통되는 수직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 결합공 상단에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는 해제버튼이 구비된 제1몸체부와, 일단부에 걸쇠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결합버튼이 구비된 로드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로드는 내측에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는 제2몸체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핸들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 내에서 승강하면서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를 포함하되, 조절부재는 지지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조절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핸들 중심 내측에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는 누름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핸들프레임 내측에 각각 고정 구성된 제3몸체부 내에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는 스토퍼가 구비되되, 상기 누름버튼 상부 내측으로 와이어가 통과하며, 와이어는 핸들프레임 내에 고정 결합된 복수의 가이드를 따라 연결된 후 스토퍼 배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애완견의 목줄이나 가슴줄에 설치되어 컨트롤러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송수신기(100); 상기 무선송수신기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무선송수신부에서 무선송수신기로부터 무선신호를 송수신하지 못하는 설정된 거리를 벗어날 때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와, 상기 알람부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온/오프부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제2케이스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애완견의 산책이나 외출 때에 애완견 전용의 이동 대차 위나 내부에 태워 다니거나 애완견의 목줄이나 가슴줄에 결합된 리드줄을 연결하여 다닐 수 있고, 외부에서 애완견에게 필요한 각종 용품이나 먹이를 싣고 다닐 수 있으며, 이동 대차가 접이식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 보관을 위한 공간 확보가 유리하고, 이동 대차 위에 애완견이 탑승할 때에 허리띠를 착용하여 안전을 도모하며, 애완견이 이동 대차로부터 일정 거리이상 이탈하는 것을 감지하여 애완견의 분실을 방지하고, 조명장치를 구비하여 야간에도 이동 대차를 운용할 수 있어 보호자와 애완견의 편의를 향상시킨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 애완견용 이동 대차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용 이동 대차의 난간의 작동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용 이동 대차의 케이스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용 이동 대차에 리드줄을 이용하여 애완견을 연결한 것을 타나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용 이동 대차의 각 케이스의 덮개를 개방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용 이동 대차에서 핸들프레임의 작동을 위한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용 이동 대차에서 제2케이스 내부에 물품보관부재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용 이동 대차에서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용 이동 대차를 휴대하기 위한 가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용 이동 대차에서 무선송수신기와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용 이동 대차에 관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본 발명은 애완견 전용으로 적용한 이동 대차로서, 애완견과 더불어 애완견에 필요한 각종 용품을 싣고 다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동 대차(1)는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로 구성된다.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가 전후로 결합된 상태에서 측면에서 보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이다. 즉,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측면에서 보면 제1케이스(10) 정면과 배면은 수직이고,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 하단을 수평이며,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 상단은 일정 각도로 경사진 형상이다. 더욱이 제1케이스(10) 위에 제2케이스(20) 표면이 적층된 때에는 대략 4각 형상이 된다.
제1케이스(10)는 내부에 애완견이 탈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것으로, 정면, 배면, 좌측면, 우측면과 저면이 일체 결합된다. 그리고 제1케이스(10) 배면 상단 양측에는 힌지축(12)이 결합되는 제1힌지공(11)이 형성된다. 또한, 제1케이스(10) 배면에는 벨크로테이프(22)나 자석이 부착된다. 그리고 제1케이스(10) 측면에는 통풍구에 해당되는 통공(13)이 형성되고, 통공(13)에는 방충망(14)이 설치된다. 또한, 방충망(14)은 미닫이도어(27)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제1케이스(10)의 통공(13) 내측 상단과 하단에는 미닫이도어(27)를 밀고 닫을 수 있도록 레일 등이 설치된다.
도 8에서, 제2케이스(20)는 내부에 애견용품을 보관하는 물품보관부재(25)가 설치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것으로, 정면, 배면, 좌측면, 우측면과 저면이 일체 결합된다. 물품보관부재(25)는 제2케이스(20) 내에 착탈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물품보관부재(25)는 해당 용품별로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구획되거나 뚜껑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물품보관부재(25)에는 애완견의 산책이나 외출 때에 배변활동에 따른 배설물의 뒤처리를 위한 일회용 배변봉지나 물티슈 또는 비닐장갑 등의 물품을 보관하거나, 또, 애완견의 배설물이 투입된 배변봉지를 밀폐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4 및 도 9에서, 제2케이스(20) 정면 상단에는 힌지축(12)이 결합되는 제2힌지공(21)이 형성된다. 제2힌지공(21)은 제1케이스(10)의 제1힌지공(11)과 일치하여 힌지축(12)으로 결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2케이스(20) 배면에는 야간 조명을 위하여 플래시 등의 조명부재(62)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케이스(10) 및 제2케이스(20) 하부 주변에는 야간 표시를 위한 엘이디 등의 표시부재(63)가 설치될 수 있다.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는 각각 면과 면이 만나는 부분에 골조가 되는 프레임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케이스(20)를 힌지축(12)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켜 제1케이스(10) 위에 적층시킬 수 있다. 이때, 제1케이스(10)의 배면에 벨크로테이프나 자석으로 고정 결합된 제2케이스(20)의 정면을 분리하여 힌지축(12)을 중심으로 들어 올려 회전시키면 제2케이스(20)의 표면이 제1케이스(10)의 표면 위에 올라가게 된다.
또한, 제1케이스(10) 위에 제2케이스(20)가 회전되어 적층된 상태에서, 제1케이스(10)에 제2케이스(2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50)가 설치된다. 더욱이 고정부재(50)는 바닥면에 판스프링(58)이 일정 각도로 고정 결합된 수평 삽입공(56)이 형성되고, 삽입공(56)과 연통되는 수직 결합공(57)이 형성되며, 수직 결합공(57) 상단에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는 해제버튼(59)이 구비된 제1몸체부(55)가 구성되고, 일단부에 걸쇠(54)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결합버튼(52)이 구비된 로드(53)가 관통 형성되고. 로드(53)는 내측에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는 제2몸체부(51)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케이스(10) 상단면과 제2케이스(20) 상단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제1케이스(10)의 제2몸체부(51)의 결합버튼(52)을 누르면 걸쇠(54)가 구비된 로드(53)가 대응하는 제2케이스(20)의 제1몸체부(55)의 수평 삽입공(56)을 통해 삽입된다. 이때, 수평 삽입공(56) 바닥에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판스프링(58)은 탄성으로 로드(53) 단부의 걸쇠(54)가 상부로 상승하도록 하여 걸쇠(54)가 수직 결합공(57)에 결합되도록 하여 제1케이스(10)의 제2몸체부(51)와 제2케이스(20)의 제1몸체부(55)는 결합상태가 된다. 또한, 결합된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를 분리하여 위하여 제2케이스(20)의 제1몸체부(55) 표면에 돌출된 해제버튼(59)을 누른다.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는 해제버튼(59)을 누르면 수직 결합공(57)에 결합된 걸쇠(54)가 눌러지면서 판스프링(58)이 눌러지게 되면 제2몸체부(51) 내에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된 로드(53)가 빠져나가게 되어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의 결합상태는 해제된다.
또한, 제1덮개(15)는 제1케이스(10) 위를 개폐하는 것으로, 제1덮개(15) 일측이 힌지축(12)에 힌지 결합된다. 제1덮개(15) 표면 일측에 개폐를 위한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제2덮개(23)는 제2케이스(20) 위를 개폐하는 것으로, 제2덮개(23) 일측이 힌지축(12)에 힌지 결합된다. 제2덮개(23) 표면 일측에 개폐를 위한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30)은 제1케이스(10) 정면 양측에 한 쌍으로 고정 결합된다. 지지프레임(30)은 중심에 통공이 형성된 봉의 형상으로, 지지프레임(30)에는 각각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조절공(38)이 관통 형성된다.
도 7에서, 핸들(32)은 이동 대차(1)를 밀거나 당기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핸들프레임(31)이 구비되고, 핸들프레임(31)은 지지프레임(30)에 인출 또는 삽입된다. 핸들프레임(31)은 지지프레임(30) 내에서 승강하면서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39)가 설치된다. 조절부재(39)의 누름버튼(33)은 핸들(32) 중심 내측에 스프링으로 탄성지지 되는 것으로, 누름버튼(33)의 일부는 핸들(32) 중심 아래로 돌출된다. 스토퍼(37)는 핸들프레임(31) 내측에 각각 구성된 제3몸체부(36) 내에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된다. 그리고 누름버튼(33)에서 스토퍼(37)까지 와이어(35)가 연결된다. 더욱이 와이어(35)는 누름버튼(33) 상부 내측을 관통하거나 누름버튼(33) 양측에 고정되고, 핸들프레임(31)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된 복수의 가이드(34)를 거쳐 스토퍼(37) 배면까지 연결된다. 따라서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는 누름버튼(33)을 핸들(32) 내측으로 누르면, 와이어(35)가 상승하면서 당겨지게 되고, 와이어(35)는 복수의 가이드(34)를 거쳐 제3몸체부(36)에서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는 스토퍼(37)를 핸들프레임(31)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스토퍼(37)가 핸들프레임(31)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핸들프레임(31)은 지지프레임(30) 내측에서 자유롭게 승강이 가능해지고,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서 해당하는 조절공(38)에 위치하면 눌렀던 누름버튼(33)을 해제시켜 스토퍼(37)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의 탄성으로 스토퍼(37) 단부가 조절공(38)에 삽입 돌출되어 고정되므로 핸들프레임(31)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 저면에는 바퀴가 설치된다. 즉, 제1케이스(10) 정면 앞쪽의 좌우측에는 한 쌍의 캐스터(18)가 설치된다. 또한, 제1케이스(10) 저면 뒤쪽의 좌우측에는 한 쌍의 제1바퀴(16)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2케이스(20) 저면 뒤쪽의 좌우측에는 한 쌍의 제2바퀴(24)가 설치된다. 따라서 제1케이스(10)에는 한 쌍의 캐스터(18)와 제1바퀴(16)가 설치되고, 제2케이스(20) 저면에는 제2바퀴(24)가 설치되며, 캐스터(18)는 바퀴가 회전되므로 방향 전환에 유리하다. 더욱이 캐스터(18)는 지지프레임(30)의 하단부 내측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하여 고정 설치된다. 또한, 캐스터(18) 및 제1바퀴(16) 및 제2바퀴(24)는 각각 결합 및 분리가 쉬운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좋다.
도 5에서, 리드줄(2)은 제1케이스(10) 저면에 구비된 손잡이(19)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리드줄(2)에는 애완견의 목줄이나 가슴줄이 연결된다. 리드줄(2)은 애완견이 이동 대차(1)에 탑승하지 않고 산책할 때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더욱이 애완견을 이동 대차(1)의 제1케이스(10) 내에 탑승하도록 하거나 또는 애완견을 이동 대차(1)의 제1덮개(15) 및 제2덮개(23) 위에 탑승하도록 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애완견에 착용된 목줄이나 가슴줄에 리드줄을 연결하지 않은 경우에 이동 대차(1)의 제1케이스(10) 내부나 제1덮개(15) 및 제2덮개(23) 위에서 지면으로 뛰어나가 설정된 일정 거리 이내에서 멀어지면 알람을 발생한다. 이러한 알람, 즉, 애완견이 이동 대차(1)로부터 일정 거리로 멀어져 보호자가 애완견을 잃어버리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 11에서, 애완견의 목줄이나 가슴줄에 무선송수신기(70)를 설치한다. 무선송수신기(70)는 이동 대차(1)의 제2케이스(20) 내에 설치된 컨트롤러(71)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더욱이 컨트롤러(71)의 무선송수신부(72)는 제어부(73)의 제어신호로 무선송수신기(70)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신호는 지그비(Zigbee)나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에서 사용하는 신호인 것이 좋다. 또한, 컨트롤러(71)에는 알람부(74)가 포함되고, 알람부(74)는 제어부(73)의 제어신호로 스피커를 통해 음향신호나 진동신호를 출력하거나 발광소자를 통해 시각적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71)에는 온/오프부(75)가 구비되어 알람부(74)의 작동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애완견의 목줄이나 가슴줄에 리드줄이 연결된 경우이거나 애완견이 이동 대차(1)를 이용하지 않을 때에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온/오프부(75)를 오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무선송수신기(70)에도 전원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무선송수신기(70)와 컨트롤러(71)에는 각각 작동을 위한 배터리가 내장된다.
한편, 제1케이스(10) 및 제2케이스(20)의 상부 측면 각각에 난간(40)이 설치된다. 난간(40)은 승강이 가능한 구조인 것이 좋고, 애완견이 제1케이스(10)의 제1덮개(15)와 제2케이스(20)의 제2덮개(23) 위에 탈 수 있도록 하는 동안 애완견이 이동 대차(1) 상단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난간(40)은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 측면에 설치된 복수의 지지부재(41)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복수의 지지봉(43)을 삽입하여 승강할 수 있는 구조이다. 지지부재(41)는 내측에 지지봉(43)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공(42)이 관통 형성되고, 지지봉(43) 측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홈에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는 고정돌기(44)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난간(40)은 지지봉(43)을 위로 당겨 올려 고정돌기(44)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애완견이 이동 대차(1) 밖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 난간(4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지지봉(43)을 아래로 밀어 내려 고정돌기(44)에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1케이스(10) 또는 제2케이스(20) 측면에 애완견의 허리를 묶을 수 있는 허리띠(60)를 설치할 수 있다. 허리띠(60) 단부에는 길이 조절과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61)가 구성된다. 허리띠(60)는 제1덮개(15) 및 제2덮개(23) 위에 탑승한 애완견의 몸통을 고정 지지하는 위한 것으로, 허리띠(60)는 이동 대차(1)의 운용 중에 애완견이 이동 대차(1)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10에서, 제1케이스(10) 위에 제2케이스(20)가 회전되어 적층된 상태를 감싸 넣을 수 있는 전용 가방(65)이 구성될 수 있다. 전용 가방(65)은 이동 대차(1)를 들고 이동하기 편리하도록 한 것이고, 실내에 보관의 편의성을 도모한 것이다. 더욱이 전용 가방(65)에 구비된 지퍼를 이용하여 이동 대차(1)의 삽입과 분리를 쉽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용 이동 대차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제1케이스(10)의 배면에 제2케이스(20)의 정면이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제1케이스(10)의 배면과 제2케이스(20)의 정면에는 벨크로테이프(22)나 자석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제2케이스(20)의 제2덮개(23)를 열어 물품보관부재(25)를 삽입한다. 물품보관부재(25)의 저면과 제2케이스(20) 바닥면에 벨크로테이프나 자석 등으로 탈착할 수 있을 것이다. 물품보관부재(25)에는 애완견의 산책이나 외출 때에 배변을 위한 용품이나 애완견용 옷이나 담요 또는 바닥재 또는 먹이나 간식 등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상단에 뚜껑(26)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케이스(10)의 제1덮개(15)를 열고 제1케이스(10) 내부에 태울 수 있다. 이때, 제1케이스(10)의 제1덮개(15)를 개방한 상태로 태울 수 있지만, 직사광선이나 비 또는 눈이나 바람을 막기 위하여 제1덮개(15)를 닫고 태울 수 있다. 제1덮개(15)로 제1케이스(10)를 닫은 상태에서는 제1덮개(15)나 제1케이스(10) 측면에 구비된 통공(13)을 통해 공기의 순환과 더불어 애완견이 내부에서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통공(13)에 방충망(14)이 설치되고, 미닫이도어(27)로 방충망(14)을 개폐할 수 있어 우천 때에 제1케이스(10)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보호자가 이동 대차(1)를 밀고 다니는 핸들(32)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핸들(32) 아래에 구비된 누름버튼(33)을 누르면,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는 누름버튼(33)이 와이어(35)를 당기게 되고, 와이어(35)는 복수의 가이드(34)를 거쳐 핸들프레임(31)의 제3몸체부(36) 내에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는 스토퍼(37)를 당긴다. 따라서 누름버튼(33)을 누른 상태에서 지지프레임(30)의 조절공(38)에 돌출 결합되어 고정되었던 스토퍼(37)는 핸들프레임(31) 내측으로 삽입되게 되므로 핸들프레임(31)은 지지프레임(30)을 따라 승강시킬 수 있다. 이후, 핸들(32)의 높낮이가 결정되어 누름버튼(33)을 해제하면 와이어(35)는 제3몸체부(36) 내에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는 스토퍼(37)가 돌출되어 해당하는 조절공(38)에 삽입 고정된다.
또한, 보호자가 애완견을 제1케이스(10) 및 제2케이스(20) 위에 탑승시킬 때에는 제1케이스(10)의 제1덮개(15)와 제2케이스(20)의 제2덮개(23)를 닫은 후에 탑승시키면 된다. 이때,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의 외측 상단부에 구비된 난간(40)을 올려 고정시키면 보호자가 이동 대차(1)를 이동시키는 동안 애완견이 이동 대차(1)에서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허리띠(60)를 애완견의 허리에 둘러 결합부재(61)로 결합시킴으로써 애완견이 이동 대차(1)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더욱이 애완견의 목줄이나 가슴줄에 연결된 리드줄(2)을 손잡이(19)에 연결하여 애완견을 산책시키는 동안 애완견이 이동 대차(1)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애완견의 목줄이나 가슴줄에 리드줄(2)을 연결하지 않은 경우로, 목줄이나 가슴줄에 무선송수신기(70)를 설치한다. 그리고 제2케이스(20) 내에 설치된 컨트롤러(71)의 온/오프부(75)를 작동시켜 애완견이 이동 대차(1)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벗어나게 되면 컨트롤러(71)의 알람부(74)가 시청각적인 알람신호를 발생하도록 한다. 즉, 애완견의 목줄이나 가슴줄에 설치된 무선송수신기(70)가 컨트롤러(71)의 무선송수신부(72)와 근거리통신을 지속적으로 하는 동안 무선송수신부(72)가 무선송수신기(70)와 통신이 두절되면 컨트롤러(71)의 제어부(73)는 알람부(74)를 작동시켜 알람신호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보호자는 애완견이 이동 대차(1)로부터 일정 거리를 벗어났음을 인지하여 애완견을 잃어버리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야간에 이동 대차(1)를 운용하는 경우에는 제2케이스(20) 배면에 설치된 조명부재(62)를 작동시켜 전방을 조명시킬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 외측면에 구비된 엘이디로 이루어진 표시부재(63)를 점등시켜 이동 대차(1) 주변을 밝힐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애완견이 이동 대차(1)를 이용하지 않을 때에는 제2케이스(20)를 힌지축(12)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제1케이스(10) 위에 적층시킨 후에 고정부재(50)로 고정시킴으로써 이동 대차(1)의 길이를 줄일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이동 대차 전용 가방에 이동 대차(1)를 넣고 손잡이(19)를 이용하여 들고 다닐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애완견의 산책이나 외출 때에 애완견을 태울 수 있고, 애완견에게 필요한 용품을 싣고 다닐 수 있어 애완견과 보호자의 편의성을 도모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이동 대차 2: 리드줄 10: 제1케이스 11: 제1힌지공 12: 힌지축 13: 통공 14: 방충망 15: 제1덮개 16: 제1바퀴 17: 힌지축 18: 캐스터 19: 손잡이 20: 제2케이스 21: 제2힌지공 22: 벨크로테이프 23: 제2덮개 24: 제2바퀴 25: 물품보관부재 26: 뚜껑 27: 미닫이도어 30: 지지프레임 31: 핸들프레임 32: 핸들 33: 누름버튼 34: 가이드 35: 와이어 36: 제3몸체부 37: 스토퍼 38: 조절공 39: 조절부재 40: 난간 41: 지지부재 42: 승강공 43: 지지봉 44: 고정돌기 50: 고정부재 51: 제2몸체부 52: 결합버튼 53: 로드 54: 걸쇠 55: 제1몸체부 56: 삽입공 57: 결합공 58: 판스프링 59: 해제버튼 60: 허리띠 61: 결합부재 62: 조명부재 63: 표시부재 65: 전용 가방 70: 무선송수신기 71: 컨트롤러 72: 무선송수신부 73: 제어부 74: 알람부 75: 온/오프부

Claims (9)

  1. 애완견용 이동 대차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제1케이스(10);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단 일측에 형성된 제2힌지공(21)에 상기 제1케이스(10) 상단 일측에 형성된 제1힌지공(11)과 힌지축(12)으로 힌지 결합되는 제2케이스(20);
    상기 제1케이스(10) 정면 양측에 각각 고정 결합된 지지프레임(30);
    한 쌍의 핸들프레임(31)이 상기 지지프레임(30)에 인출 또는 삽입되고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구비된 핸들(32);
    상기 제1케이스(10) 저면 앞쪽 좌우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캐스터(18);
    상기 제1케이스(10) 저면 뒤쪽 좌우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바퀴(16);
    상기 제2케이스(20) 저면 뒤쪽 좌우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바퀴(24);
    상기 힌지축(12)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케이스(10) 위를 개폐하는 제1덮개(15);
    상기 힌지축(12)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2케이스(20) 위를 개폐하는 제2덮개(23);
    상기 제1케이스(10) 정면에 구비된 손잡이(19);를 포함하고,
    상기 제2케이스(20)를 힌지축(12)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켜 제1케이스(10) 위에 적층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애완견용 이동 대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10) 측면에 미닫이도어(27)로 개폐할 수 있는 방충망(14)이 설치된 통공(13)이 형성된, 애완견용 이동 대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20) 배면에 야간 조명을 위한 조명부재(62)가 설치되고, 제1케이스(10) 및 제2케이스(20) 하부 표면에 야간 표시를 위한 표시부재(63)가 설치된, 애완견용 이동 대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10) 및 제2케이스(20)의 각 상부 측면에 승강되는 난간(40)이 설치되고, 제1케이스(10) 또는 제2케이스(20) 측면에 제1덮개(15) 및 제2덮개(23) 위에 탑승한 애완견을 고정 지지하는 결합부재(61)가 구비된 허리띠(60)가 설치된, 애완견용 이동 대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20) 내부에 애완견의 외출 때에 배변을 포함한 각종 애완용품을 보관하는 물품보관부재(25)가 더 구비된, 애완견용 이동 대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10) 배면과 제2케이스(20) 정면에 각각 자석 또는 벨크로테이프(22)가 고정 구비된, 애완견용 이동 대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10) 위에 제2케이스(20)가 회전되어 적층된 상태에서 제1케이스(10)에 제2케이스(2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50)를 더 포함하되, 고정부재(50)는 바닥면에 판스프링(58)이 일정 각도로 고정 결합된 수평 삽입공(56)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56)과 연통되는 수직 결합공(57)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 결합공(57) 상단에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는 해제버튼(59)이 구비된 제1몸체부(55)와, 일단부에 걸쇠(54)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결합버튼(52)이 구비된 로드(53)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로드(53)는 내측에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는 제2몸체부(51)로 이루어진, 애완견용 이동 대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프레임(31)은 상기 지지프레임(30) 내에서 승강하면서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39)를 포함하되, 조절부재(39)는
    지지프레임(30)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조절공(38)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핸들(32) 중심 내측에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는 누름버튼(33)이 구비되며,
    상기 핸들프레임(31) 내측에 각각 고정 구성된 제3몸체부(36) 내에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는 스토퍼(37)가 구비되되,
    상기 누름버튼(33) 상부 내측으로 와이어(35)가 통과하며, 와이어(35)는 핸들프레임(31) 내에 고정 결합된 복수의 가이드(34)를 따라 연결된 후 스토퍼(37) 배면에 연결된, 애완견용 이동 대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견의 목줄이나 가슴줄에 설치되어 컨트롤러(71)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송수신기(100);
    상기 무선송수신기(70)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송수신부(72)와, 상기 무선송수신부(72)에서 무선송수신기(70)로부터 무선신호를 송수신하지 못하는 설정된 거리를 벗어날 때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73)와, 상기 제어부(73)의 제어신호로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74)와, 상기 알람부(74)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온/오프부(75)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71)는 제2케이스(20) 내에 설치된, 애완견용 이동 대차.
KR1020190048377A 2019-04-25 2019-04-25 애완견용 이동 대차 KR102265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377A KR102265667B1 (ko) 2019-04-25 2019-04-25 애완견용 이동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377A KR102265667B1 (ko) 2019-04-25 2019-04-25 애완견용 이동 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918A true KR20200124918A (ko) 2020-11-04
KR102265667B1 KR102265667B1 (ko) 2021-06-15

Family

ID=73571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377A KR102265667B1 (ko) 2019-04-25 2019-04-25 애완견용 이동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6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1034A (ja) * 2005-12-12 2007-06-28 Yamahisa:Kk ペット用カート
KR101091428B1 (ko) 2010-08-24 2011-12-07 이정우 다기능 애완견 유모차
KR200489285Y1 (ko) * 2018-05-14 2019-05-28 김도훈 보행보조 기능을 갖는 애완동물용 캐리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1034A (ja) * 2005-12-12 2007-06-28 Yamahisa:Kk ペット用カート
KR101091428B1 (ko) 2010-08-24 2011-12-07 이정우 다기능 애완견 유모차
KR200489285Y1 (ko) * 2018-05-14 2019-05-28 김도훈 보행보조 기능을 갖는 애완동물용 캐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667B1 (ko) 202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0279B1 (en) Leash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1783846B1 (ko)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US20120049548A1 (en) Portable pet waste catch and transport system
KR101091428B1 (ko) 다기능 애완견 유모차
US20210228967A1 (en) Play apparatus
CN204655993U (zh) 一种儿童玩具电动车
KR200331594Y1 (ko)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KR20200124918A (ko) 애완견용 이동 대차
KR20030068099A (ko)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CN106983258B (zh) 一种行李箱及智能终端控制行李箱移动的方法
KR20130004622U (ko) 지게식 대형 홍보 인형
KR20170028709A (ko) 반려동물용 다용도 목줄
CN208436160U (zh) 一种全自动输液杆
CN208316977U (zh) 一种便携式户外运动音响
CN204763870U (zh) 可跨骑行李箱
CN214853482U (zh) 一种新型的携带宠物外出的胸包
KR102510913B1 (ko) 휴대형 애완견용 이동대차
CN207897757U (zh) 一种便携式鱼类转运装置
US20070101923A1 (en) Poochie-bells
KR200309850Y1 (ko) 애완동물용 가방
KR102549254B1 (ko) 휴대형 반려동물 가방
CN205696220U (zh) 一种肩挎式多功能拉杆箱
CN215081740U (zh) 一种妇产科婴儿辅助牵引装置
CN209284647U (zh) 一种吊篮
CN216886740U (zh) 一种可携带宠物的手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