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4810A - 정수기용 취수 코크 유닛 및 이를 갖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취수 코크 유닛 및 이를 갖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4810A
KR20200124810A KR1020190048074A KR20190048074A KR20200124810A KR 20200124810 A KR20200124810 A KR 20200124810A KR 1020190048074 A KR1020190048074 A KR 1020190048074A KR 20190048074 A KR20190048074 A KR 20190048074A KR 20200124810 A KR20200124810 A KR 20200124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outlet
guide
outlet module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7803B1 (ko
Inventor
송광석
이대석
라강윤
Original Assignee
(주)원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봉 filed Critical (주)원봉
Priority to KR1020190048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803B1/ko
Priority to CN202020631424.9U priority patent/CN212127601U/zh
Publication of KR20200124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1/0082Dispensing valves entirely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13Sterili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된 물을 토출하는 출수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정수기용 취수 코크 유닛 및 이를 갖는 정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취수 코크 유닛은, 정수기 본체에서 정수된 물을 토출할 수 있도록 정수기 본체에 결합되는 정수기용 취수 코크 유닛에 있어서, 출수 모듈과, 출수 모듈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정수기 본체에 결합되는 출수 모듈 가이드를 포함한다. 출수 모듈은, 정수된 물을 토출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개방되는 출수구를 갖는 출수관과, 출수관을 지지하는 가동체와, 정수기 본체에서 정수된 물을 출수관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출수관과 연결되는 가이드관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정수기용 취수 코크 유닛 및 이를 갖는 정수기{WATER COCK UNIT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수기용 취수 코크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기 본체에서 정수된 물을 토출하는 정수기용 취수 코크 유닛 및 이를 갖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물리적, 화학적 방법으로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구로,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이를 정수 필터를 통해 정수한 후 토출하여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정수기는 형태에 따라 수도관에 직접 연결되는 직결형과, 물을 용기에 담아서 필터를 통과하도록 하는 저장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정수기는 내부에 물을 가열하거나 냉각시킬 수 있는 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어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원수의 공급을 단속하는 급수 밸브가 설치된 급수부가 정수 필터와 연결되어 있다. 정수 필터는 원수에 혼입된 부유물을 포함하여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제거하고 냄새를 소취하며 수인성 질환을 유발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등의 필터링 과정을 수행한다. 정수 필터는 주로 세디먼트 필터, 프리 카본 필터, 중공사막 필터, 역삼투압 필터, 포스트 카본 필터 등이 사용되고 있다. 정수 필터를 통과한 정수는 연결 배관을 통해 저장조로 공급되고, 저장조에서 냉수조와 온수조로 분배된다. 냉수조와 온수조는 각각 취수 배관을 통해 취수 코크에 연결된다. 저장조에는 항상 정수가 저장되고, 취수 코크에 의해 냉수 또는 온수가 취수되면 저장조로부터 정수가 냉수조 또는 온수조로 보충 공급된다.
취수 코크는 냉수 코크 및 온수 코크로 분리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하나의 취수 코크로 냉수 및 온수가 토출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취수 코크는 레버의 회전으로 토출구가 개방되는 레버 방식,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토출구가 개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방식, 버튼의 조작에 따라 토출구가 개방되는 버튼 방식 등의 개폐 구조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취수 코크는 컵 등의 용기가 놓이는 용기 받침대로부터의 높이가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용기를 용기 받침대에 올려 놓고 취수를 하는 경우, 취수 코크에서 토출되는 물이 용기의 내부로 떨어지면서 용기 외부로 튀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그리고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용기의 경우, 용기가 취수 코크에 걸려 용기를 용기 받침대에 올려놓을 수 없고, 사용자가 용기를 잡은 상태로 기울여 취수를 해야하는 불편함이 따르기 쉽다.
공개특허공보 제2014-0096589호 (2014. 08. 06.)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정수된 물을 토출하는 출수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정수기용 취수 코크 유닛 및 이를 갖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취수 코크 유닛은, 정수기 본체에서 정수된 물을 토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정수기 본체에 결합되는 정수기용 취수 코크 유닛에 있어서, 정수된 물을 토출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개방되는 출수구를 갖는 출수관과, 상기 출수관을 지지하는 가동체와, 상기 정수기 본체에서 정수된 물을 상기 출수관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출수관과 연결되는 가이드관을 구비하는 출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정수기 본체에 결합되는 출수 모듈 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출수 모듈과 상기 출수 모듈 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는 디텐트 돌기가 마련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디텐트 돌기가 걸릴 수 있는 복수의 디텐트 홈이 상기 출수 모듈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격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수 모듈 가이드는 상기 출수 모듈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월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디텐트 홈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월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디텐트 돌기는 상기 출수 모듈의 양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출수 모듈과 상기 출수 모듈 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는 디텐트 홈이 마련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디텐트 홈에 걸릴 수 있는 복수의 디텐트 돌기가 상기 출수 모듈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격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수 모듈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출수관을 감싸는 보호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수 모듈은, 상기 가이드관을 통과하는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체에 결합되는 연결체와, 상기 챔버로 살균광을 조사할 수 있는 살균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출수관은 상기 챔버에서 살균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출수 모듈은, 상기 가동체에 결합되어 상기 챔버의 상부를 덮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관은 복수 개가 상기 챔버로 물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살균 램프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 위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상기 살균 램프에서 발생하는 살균광을 상기 챔버로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가 마련되되, 상기 개구는 투광 커버로 덮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내측에 정수 필터가 설치되는 정수기 본체; 상기 정수 필터에서 정수된 물을 토출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개방되는 출수구를 갖는 출수관과, 상기 출수관을 지지하는 가동체와, 상기 정수 필터에서 정수된 물을 상기 출수관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출수관과 연결되는 가이드관을 구비하는 출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정수기 본체에 결합되는 출수 모듈 가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기 본체에서 정수된 물을 토출하기 위한 출수 모듈의 높이가 사용자 조작에 따라 다단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출수 모듈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취수 코크 유닛은 구성 부품이 필요에 따라 분리될 수 있는 조립식 결합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부품의 교체 등 유지 보수가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중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중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 모듈이 최대로 하강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 모듈이 최대로 상승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작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0)는 정수기 본체(110)와, 정수기 본체(110)에서 정수된 물을 토출하기 위한 취수 코크 유닛(130)을 포함한다.
정수기 본체(110)의 내측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물을 정수하기 위한 정수 필터(112)와, 정수 필터(112)에 의해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조(114)가 설치된다. 저장조(114)에 저장되는 물은 취수 코크 유닛(130)을 통해 외부로 출수된다.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정수 필터(112)에서 정수하여 저장조(114)에 저장하는 기술은 통상적인 것과 같으므로 정수 필터(112)와 저장조(114)의 구체적인 구성이나 연결 구조, 작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정수, 냉수, 온수 등 저장조(114)에 저장된 물이 취수 코크 유닛(130)을 통해 외부로 출수되는 것으로 이하 설명하나,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정수기 본체(110)는 별도의 저장조를 가지지 않으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정수 필터(112)를 통해 직수 타입으로 직접 정수, 온수 등이 외부로 출수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정수기 본체(110)의 상부 일측에는 조작부(116)가 설치된다. 조작부(116)에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버튼과, 표시 램프, 정보 표시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정수기 본체(110)의 외부 하측에는 취수 코크 유닛(130)를 통해 출수되는 물을 담기 위한 용기가 놓일 수 있는 용기 받침대(118)가 설치된다.
용기 받침대(118)의 상측에는 취수 코크 유닛(13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20)가 정수기 본체(110)에 고정 설치되고, 지지부재(120)에는 보호 커버(124)가 결합된다. 보호 커버(124)는 취수 코크 유닛(130)이 위치하는 지지부재(120)의 상부 공간을 덮는다. 지지부재(120)의 중간 부분에는 출입구(121)가 지지부재(12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지지부재(120)의 내면에는 복수의 지지부재 보스(122)가 구비된다. 이들 지지부재 보스(122)는 취수 코크 유닛(130)의 출수 모듈 가이드(170)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취수 코크 유닛(130)은 정수기 본체(110)에서 정수된 물을 토출하기 위한 출수 모듈(131)과, 출수 모듈(131)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출수 모듈 가이드(170)를 포함한다.
출수 모듈(131)은 출수 모듈 가이드(17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체(132)와, 가동체(132)에 결합되어 정수기 본체(110)에서 정수된 물을 배출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관 조립체(140)와, 가이드관 조립체(140)에 의해 가이드되는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관 조립체(140)에 결합되는 연결체(150)와, 가동체(132)에 결합되어 가이드관 조립체(140)를 가동체(132)에 고정시키는 고정체(157)와, 연결체(150)로 유입되는 물을 토출할 수 있도록 연결체(150)에 연결되는 출수관(163)을 포함한다.
가동체(132)는 가동체 바디(133)와, 한 쌍의 디텐트 돌기(135)와, 받침부(137)를 포함한다. 가동체 바디(133)의 일측에는 관통구(134)가 가동체 바디(133)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관통구(134)에는 연결체(150)가 삽입될 수 있다.
디텐트 돌기(135)는 가동체 바디(133)의 양측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136) 각각의 끝단에 가동체 바디(133)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지지대(136)는 가동체 바디(133)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며 외력을 받을 때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즉, 디텐트 돌기(135)가 가동체 바디(133)의 중심부 측으로 가압력을 받는 경우, 지지대(136)는 그 상부 끝단이 가동체 바디(133)의 중심부 측으로 이동하도록 휘어질 수 있다. 지지대(136)가 휘어질 때, 디텐트 돌기(135)는 가동체 바디(133)의 중심부 측으로 움직일 수 있다. 디텐트 돌기(135)는 출수 모듈(131)이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외력을 받을 때 출수 모듈 가이드(170)에 접촉한 상태에서 출수 모듈 가이드(170)에 대해 상대 이동하게 된다. 디텐트 돌기(135)가 움직일 때 출수 모듈 가이드(170)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디텐트 돌기(135)의 외면은 완만하게 굽은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받침부(137)는 가동체 바디(133)의 하측에 배치되어 연결체(150)를 떠받치는 역할을 한다. 가동체 바디(133)의 상부에는 복수의 가동체 보스(138)가 구비된다. 이들 가동체 보스(138)는 고정체(157)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가동체(132)는 출수 모듈 가이드(17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가동체(13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관 조립체(140)는 정수기 본체(110)에서 정수된 물을 출수관(163) 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출수관(163)과 물의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가이드관 조립체(140)는 한 쌍의 가이드관(141)(142)과, 이들 한 쌍의 가이드관(141)(142)을 지지하는 커버 플레이트(144)를 포함한다. 한 쌍의 가이드관(141)(142)은 각각 튜브나 관을 통해 저장조(114)와 연결될 수 있다. 저장조(114)는 정수기 본체(11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데 반해, 가이드관(141)(142)은 정수기(100)의 사용 중에 상하 이동하게 되므로, 저장조(114)와 가이드관(141)(142)을 연결하는 관이나 튜브는 탄성 변형 또는 굽힘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한 쌍의 가이드관(141)(142)은 각기 다른 온도의 물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가이드관은 냉수를 가이드하고 다른 하나의 가이드관은 온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 밖에, 어느 하나의 가이드관은 정수, 냉수, 온수 중 어느 한 종류의 물을 출수관(163) 측으로 가이드하고, 다른 하나의 가이드관은 다른 한 종류의 물을 출수관(163) 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조(114)는 정수, 냉수, 온수를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44)의 중간에는 개구(145)가 구비된다. 개구(145)는 커버 플레이트(144)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커버 플레이트(144)의 상측에 배치되는 살균 램프(158)에서 발생하는 살균광을 커버 플레이트(144)의 하측에 배치되는 연결체(150) 측으로 통과시킨다. 커버 플레이트(144)의 상부에는 투광 커버(146)가 배치되어 개구(145)를 덮는다. 투광 커버(146)는 살균 램프(158)의 살균광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커버 플레이트(144)의 하부에는 연결 보스(148)가 구비된다. 연결 보스(148)는 연결체(150)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연결 보스(148)는 가이드관(141)(142)을 따라 유동하는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커버 플레이트(144)에 구비되는 구멍 및 개구(145)의 주위를 둘러싸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커버 플레이트(144)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다.
가이드관 조립체(140)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하나 이상의 가이드관을 구비하여 정수기 본체(110)에서 정수된 물을 연결체(150) 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연결체(150)는 가동체(132)에 결합되어 가이드관 조립체(140)와 출수관(163)을 물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한다. 연결체(150)는 연결 하우징(151)과, 연결 하우징(151)에 연결되는 연결관(154)을 포함한다. 연결 하우징(151)은 가동체(132)의 받침부(137)에 의해 떠받쳐지도록 연결 하우징(151)의 관통구(134)에 삽입된다. 연결 하우징(151)의 내측에는 가이드관(141)(142)을 통과하는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챔버(152)가 마련된다. 정수, 냉수, 온수 등 저장조(114)로부터 가이드관(141)(142)을 따라 배출 가이드되는 물은 챔버(152)를 거쳐 출수관(163)으로 유동하게 된다. 챔버(152)로 유입되는 물은 살균 램프(158)에 의해 살균 처리된다. 연결관(154)은 챔버(152)에서 살균 처리된 물을 출수관(163)으로 유동시킨다.
연결체(150)는 연결 하우징(151)이 가이드관 조립체(140)의 연결 보스(148)에 결합됨으로써 가이드관 조립체(140)에 고정된다. 즉, 연결 보스(148)가 연결 하우징(151)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가이드관 조립체(140)와 연결체(15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 보스(148)의 외주면에 수나산이 구비되고 연결 하우징(151)의 내주면에 암사산이 마련됨으로써 연결 보스(148)와 연결 하우징(151)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연결 보스(148)와 연결 하우징(151)의 사이에는 이들 사이의 틈새를 막기 위한 실링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연결체(150)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가이드관(141)(142)을 따라 유동하는 물을 수용하는 챔버(152)를 구비하고, 가이드관(141)(142)과 출수관(163)을 물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체(150)와 가이드관 조립체(140)의 결합 구조나, 연결체(150)와 출수관(163)의 결합 구조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고정체(157)는 가이드관 조립체(140)의 커버 플레이트(144) 위를 덮도록 가동체(132)에 결합되어 가이드관 조립체(140)를 가동체(132)에 고정시킨다. 고정체(157)는 복수의 고정부재(161)를 통해 가동체(132)에 고정된다. 즉, 고정부재(161)는 고정체(157)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고정체(157)에 결합되어 가동체(132)의 가동체 보스(138)에 고정됨으로써 고정체(157)를 가동체(132)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정체(157)가 가동체(132)에 고정됨으로써 가이드관 조립체(140)의 커버 플레이트(144)가 가동체(132)와 고정체(157) 사이에 개재되어 가동체(132)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고정체(157)는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고정부재(161)에 의한 고정 방식 이외에, 다앙한 다른 방식으로 가동체(132)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고정체(157)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고정체(157)에는 살균 램프(158)가 설치된다. 살균 램프(158)는 살균광을 발생하여 연결체(150)의 챔버(152)에 조사함으로써 챔버(152)로 유입되는 물을 살균할 수 있다. 살균 램프(158)에서 발생하는 살균광은 투광 커버(146)를 투과하여 개구(145)를 통해 챔버(152)로 조사될 수 있다. 또한, 고정체(157)에는 살균 램프(158)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단자(미도시)가 접속하는 커넥터(159)가 설치된다. 커넥터(159)는 전원 공급 단자와 간단한 탈착식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출수관(163)은 연결체(150)를 통과한 물을 토출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개방되는 출수구(164)를 갖는다. 출수관(163)은 연결체(150)의 연결관(154)에 연결되어 연결체(150)의 챔버(152)에서 살균된 물을 용기 받침대(118) 측으로 토출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출수관(163)의 끝단에는 너트부(165)가 구비되며, 출수관(163)은 너트부(165)가 연결관(154)의 끝단에 나사 결합되는 방식으로 연결관(154)과 결합될 수 있다. 출수관(163)은 지지부재(120)의 출입구(121)를 통해 지지부재(120)의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출수관(163)이 지지부재(120)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즉, 출수관(163)은 사용자가 하측으로 끌어 당길 때 지지부재(120)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증가하고, 사용자가 상측으로 밀어 올릴 때 지지부재(120)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감소하게 된다.
출수관(163)에는 보호관(167)이 결합된다. 보호관(167)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출수관(163)을 감싸는 형태로 출수관(163)과 결합된다. 보호관(167)은 출수관(163)을 보호하면서 사용자 접촉에 의한 출수관(163)의 오염을 막아줄 수 있다. 사용자가 출수관(163)의 높이를 조절하려는 경우, 보호관(167)을 잡고 출수관(163)을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으로 출수관(163)을 직접 잡지 않고 출수관(163)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정수기(100) 사용 중 출수관(163)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정수기(100)의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출수 모듈(131)은 가동체(132)와, 가이드관 조립체(140)와, 연결체(150)와, 고정체(157)와, 출수관(163) 및 보호관(167)이 조립식으로 결합되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출수 모듈 가이드(170)로부터 어렵지 않게 분리되어 청소나 수리된 후 재장착될 수 있다. 또한, 부품의 교체 등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출수 모듈(131)을 구성하는 가동체(132)와, 가이드관 조립체(140)와, 연결체(150)와, 고정체(157)와, 출수관(163) 및 보호관(167) 각각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이들 구성 부품들 간의 결합 구조도 도시된 것 이외의 다양한 다른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출수 모듈 가이드(170)는 출수 모듈(131)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120)에 결합되어 정수기 본체(110)에 지지된다. 출수 모듈 가이드(170)는 출수 모듈(131)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172)과, 수용홈(172)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월(171)을 갖는다. 각각의 가이드 월(171)에는 복수의 디텐트 홈(173)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각각의 디텐트 홈(173)에는 출수 모듈(131)의 디텐트 돌기(135)가 삽입될 수 있다. 디텐트 돌기(135)는 가장 높이 위치하는 디텐트 홈(173)에서 가장 낮게 위치하는 디텐트 홈(173)까지 이동할 수 있다.
출수 모듈(131)과 출수 모듈 가이드(170)는 출수 모듈(131)이 출수 모듈 가이드(170)의 수용홈(172)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간단히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출수 모듈(131)은 유지 보수나 부품의 교체 등을 위해 필요에 따라 출수 모듈 가이드(170)로부터 어렵지 않게 분리될 수 있다.
출수 모듈 가이드(170)는 고정부재(175)를 통해 지지부재(1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고정부재(175)가 출수 모듈 가이드(17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지지부재(120)의 지지부재 보스(122)에 결합됨으로써 출수 모듈 가이드(170)가 지지부재(1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출수 모듈 가이드(170)와 지지부재(120)의 결합 방식은 고정부재(175)에 의한 결합 방식 이외의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취수 코크 유닛(130)은 출수 모듈(131)이 출수 모듈 가이드(170)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출수 모듈(131)의 높이, 즉 용기 받침대(118)로부터 출수관(163)까지의 높이가 다단 조절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가 출수 모듈(131)을 하측으로 끌어 당기면, 출수 모듈(131)에 구비되는 한 쌍의 디텐트 돌기(135)가 한 쌍의 가이드 월(171)에 각각 접한 상태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디텐트 돌기(135)가 가이드 월(171)에 구비되는 복수의 디텐트 홈(173) 중에서 가장 낮은 위치의 디텐트 홈(173)에 삽입될 때 출수 모듈(131)이 최대로 하강한 상태가 되며, 이때 출수관(163)의 끝단이 용기 받침대(118)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놓이게 된다.
반면,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가 출수 모듈(131)을 상측으로 밀어 올리면, 출수 모듈(131)에 구비되는 한 쌍의 디텐트 돌기(135)가 한 쌍의 가이드 월(171)에 각각 접한 상태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디텐트 돌기(135)가 가이드 월(171)에 구비되는 복수의 디텐트 홈(173) 중에서 가장 높은 위치의 디텐트 홈(173)에 삽입될 때 출수 모듈(131)이 최대로 상승한 상태가 되며, 이때 출수관(163)의 끝단이 용기 받침대(118)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0)는 정수기 본체(110)에서 정수된 물을 토출하기 위한 출수 모듈(131)의 높이가 사용자 조작에 따라 다단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출수 모듈(131)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증대된다.
예를 들어,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용기(10)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출수 모듈(131)을 하측으로 끌어 당겨 높이를 낮추고, 용기 받침대(118) 위에 놓인 용기(10)로 물을 취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출수 모듈(131)의 높이를 낮춘 상태에서 물을 출수하면 출수관(163)으로부터 용기(10)로 떨어지는 물이 용기(10)의 외부로 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용기(20)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출수 모듈(131)을 상측으로 밀어 올려 높이를 높임으로써 용기(20)를 출수관(163)과 간섭되지 않도록 용기 받침대(118) 위에 올려 놓을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용기(20)를 사용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용기를 잡은 상태로 기울일 필요없이 용기(20)를 용기 받침대(118) 위에 놓은 상태로 용기(20)에 취수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출수 모듈(131)에 한 쌍의 디텐트 돌기(135)가 구비되며, 출수 모듈 가이드(170)에 한 쌍의 디텐트 돌기(135)가 접촉할 수 있는 한 쌍의 가이드 월(171)이 구비되고 각각의 가이드 월(171)에 디텐트 돌기(135)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디텐트 홈(173)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디텐트 돌기(135)의 설치 개수나 위치, 가이드 월(171)의 설치 개수나 위치, 가이드 월(171)에 구비되는 디텐트 홈(173)의 개수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텐트 돌기가 출수 모듈 가이드(170)에 구비되고 디텐트 홈이 출수 모듈(131)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하나의 디텐트 돌기(135)에 대해 복수의 디텐트 홈(173)이 출수 모듈(131)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하나의 디텐트 홈(173)에 대해 복수의 디텐트 돌기(135)가 출수 모듈(131)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 밖에, 출수 모듈(131)이 출수 모듈 가이드(170)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는 도시된 것과 같이 디텐트 돌기(135)와 디텐트 홈(173)을 포함하는 구조 이외에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정수기 110 : 정수기 본체
116 : 조작부 118 : 용기 받침대
120 : 지지부재 121 : 출입구
124 : 보호 커버 130 : 취수 코크 유닛
131 : 출수 모듈 132 : 가동체
133 : 가동체 바디 135 : 디텐트 돌기
136 : 지지대 137 : 받침부
140 : 가이드관 조립체 141, 142 : 가이드관
144 : 커버 플레이트 145 : 개구
146 : 투광 커버 148 : 연결 보스
150 : 연결체 151 : 연결 하우징
152 : 챔버 154 : 연결관
157 : 고정체 158 : 살균 램프
159 : 커넥터 163 : 출수관
164 : 출수구 167 : 보호관
170 : 출수 모듈 가이드 171 : 가이드 월
172 : 수용홈 173 : 디텐트 홈

Claims (9)

  1. 정수기 본체에서 정수된 물을 토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정수기 본체에 결합되는 정수기용 취수 코크 유닛에 있어서,
    정수된 물을 토출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개방되는 출수구를 갖는 출수관과, 상기 출수관을 지지하는 가동체와, 상기 정수기 본체에서 정수된 물을 상기 출수관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출수관과 연결되는 가이드관을 구비하는 출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정수기 본체에 결합되는 출수 모듈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취수 코크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모듈과 상기 출수 모듈 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는 디텐트 돌기가 마련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디텐트 돌기가 걸릴 수 있는 복수의 디텐트 홈이 상기 출수 모듈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취수 코크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모듈 가이드는 상기 출수 모듈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월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디텐트 홈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월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디텐트 돌기는 상기 출수 모듈의 양측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취수 코크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모듈과 상기 출수 모듈 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는 디텐트 홈이 마련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디텐트 홈에 걸릴 수 있는 복수의 디텐트 돌기가 상기 출수 모듈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취수 코크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모듈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출수관을 감싸는 보호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취수 코크 유닛.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모듈은, 상기 가이드관을 통과하는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체에 결합되는 연결체와, 상기 챔버로 살균광을 조사할 수 있는 살균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출수관은 상기 챔버에서 살균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취수 코크 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모듈은, 상기 가동체에 결합되어 상기 챔버의 상부를 덮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관은 복수 개가 상기 챔버로 물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취수 코크 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램프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 위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상기 살균 램프에서 발생하는 살균광을 상기 챔버로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가 마련되되, 상기 개구는 투광 커버로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취수 코크 유닛.
  9. 내측에 정수 필터가 설치되는 정수기 본체;
    상기 정수 필터에서 정수된 물을 토출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개방되는 출수구를 갖는 출수관과, 상기 출수관을 지지하는 가동체와, 상기 정수 필터에서 정수된 물을 상기 출수관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출수관과 연결되는 가이드관을 구비하는 출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정수기 본체에 결합되는 출수 모듈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190048074A 2019-04-24 2019-04-24 정수기용 취수 코크 유닛 및 이를 갖는 정수기 KR102207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074A KR102207803B1 (ko) 2019-04-24 2019-04-24 정수기용 취수 코크 유닛 및 이를 갖는 정수기
CN202020631424.9U CN212127601U (zh) 2019-04-24 2020-04-23 净水器用取水水龙头单元及具备其的净水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074A KR102207803B1 (ko) 2019-04-24 2019-04-24 정수기용 취수 코크 유닛 및 이를 갖는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810A true KR20200124810A (ko) 2020-11-04
KR102207803B1 KR102207803B1 (ko) 2021-01-27

Family

ID=73571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074A KR102207803B1 (ko) 2019-04-24 2019-04-24 정수기용 취수 코크 유닛 및 이를 갖는 정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07803B1 (ko)
CN (1) CN21212760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6986B1 (ko) 2021-07-19 2023-08-16 (주)원봉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2898U (ja) * 1992-04-08 1993-11-09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の注ぎ口
KR20130112400A (ko) * 2012-04-04 2013-10-14 서은덕 정수기
KR20140096589A (ko) 2013-01-28 2014-08-06 주식회사 제일아쿠아 취수구 은폐형 정수기
KR20180088594A (ko) * 2017-01-26 2018-08-06 박한 정수기능을 구비한 즉석식품 조리장치
KR101902386B1 (ko) * 2017-03-22 2018-10-01 (주)원봉 직수형 정수기의 살균 출수 유닛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2898U (ja) * 1992-04-08 1993-11-09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の注ぎ口
KR20130112400A (ko) * 2012-04-04 2013-10-14 서은덕 정수기
KR20140096589A (ko) 2013-01-28 2014-08-06 주식회사 제일아쿠아 취수구 은폐형 정수기
KR20180088594A (ko) * 2017-01-26 2018-08-06 박한 정수기능을 구비한 즉석식품 조리장치
KR101902386B1 (ko) * 2017-03-22 2018-10-01 (주)원봉 직수형 정수기의 살균 출수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2127601U (zh) 2020-12-11
KR102207803B1 (ko)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1513B2 (ja) 光触媒滅菌器
US6469308B1 (en) Ultraviolet radiated water treatment tank
KR100671311B1 (ko) 광촉매 살균정화장치
KR101669911B1 (ko) 식수공급장치
KR101269438B1 (ko) 필터카트리지가 장착된 냉온 살균정수꼭지
KR101401137B1 (ko) 공기살균부를 구비한 냉온수기의 살균장치
KR102207803B1 (ko) 정수기용 취수 코크 유닛 및 이를 갖는 정수기
KR101106649B1 (ko)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정수기
KR20100136797A (ko) 냉온수기 또는 정수기용 취수 코크
JP6248160B2 (ja) 冷温水器
KR101621869B1 (ko)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WO2007086829A1 (en) Accessory for providing ultraviolet disinfection to a water dispenser
JP2014061946A (ja) 飲料水供給装置、当該飲料水供給装置に用いる供給部材および吸気装置
JP2011078967A (ja) 濾過体及び浄水器
US7767978B1 (en) Ultraviolet water treatment device
KR20090101334A (ko) 냉온 정수기
KR20220134156A (ko) 정수필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정수기
KR20170060637A (ko) 필터의 누수방지구조
KR101902386B1 (ko) 직수형 정수기의 살균 출수 유닛
CN209940527U (zh) 一种用于水龙头的消毒装置
KR20040073101A (ko) 정수기의 필터 연결 장치
CN212476194U (zh) 一种过流式杀菌器及杀菌装置
KR20240033985A (ko)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JP6470980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KR101358277B1 (ko) 슬림형 살균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