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4495A - 유무선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블록체인에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유무선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블록체인에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4495A
KR20200124495A KR1020190047881A KR20190047881A KR20200124495A KR 20200124495 A KR20200124495 A KR 20200124495A KR 1020190047881 A KR1020190047881 A KR 1020190047881A KR 20190047881 A KR20190047881 A KR 20190047881A KR 20200124495 A KR20200124495 A KR 20200124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application server
user terminal
blockchain
trans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회근
조응태
Original Assignee
(주)체이니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체이니어스 filed Critical (주)체이니어스
Priority to KR1020190047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4495A/ko
Publication of KR20200124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4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32Metric aspects
    • H04L12/1435Metric aspects volume-bas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28Invoice generation, e.g. customization, lay-out, database processing, algorithms for calculating the bill or formatting invoices as WWW pages
    • H04L51/1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14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using selective forwar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개시된 기술은 유무선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블록체인에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데이터에 대한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트랜잭션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메시지에 대한 수수료의 결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송한 메시지 내용을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메시지 용량에 따른 수수료를 결제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무선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블록체인에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 {METHOD TO RECORDING INFORMATION ON THE BLOCK CHAIN USING MESSAGE SERVICE}
개시된 기술은 SMS나 MMS, RCS와 같은 유무선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송한 메시지의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메시지 전송에 따라 수수료를 결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SMS를 이용한 소액결제 방식으로 상품권을 사거나 기부금을 납부하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가 유니세프와 같은 복지기금의 광고를 보고 거기에 문자메시지를 보내면 한 건당 미리 정해진 금액만큼 기부가 되는 방식으로 각 사용자들에게 기부를 위한 연락처를 미디어를 통해 광고하면 사용자가 이를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여 소정의 금액을 결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전에 자신이 구매하거나 기부하려는 대상이 누구인지 인지한 상태에서 구매 대금이나 기부금의 금액이 얼마인지 확인한 다음에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개인정보 보호의 일환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진 전화번호를 이용하지 않고 #1234와 같은 특정한 번호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안전하게 상품을 구매하거나 기부금을 내는 것이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구매 대금을 수신하는 판매처나 기부금을 수신하는 복지재단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결제한 금액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예컨대,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 리스트를 구비하고, 각 사용자별로 기부금 납입 내역을 관리할 수 있다. 납입 내역에는 누가 언제 얼마의 금액을 납입하였는지에 대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구매 대금 또한 마찬가지로 누가 언제 어떤 상품을 얼마를 주고 구매하였는지에 대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비트코인을 비롯한 각종 암호화폐의 등장으로 이러한 구매 대금이나 기부금을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기술이 등장하였다. 한국 등록특허 10-1933134호(발명의 명칭 :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전기 요금 결제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를 참조하면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전기 요금을 결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메시지 정보를 장기간 저장하거나 간편하게 저장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개시된 기술은 유무선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송한 메시지의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메시지 전송에 따라 수수료를 자동계산하여 결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의 제 1 측면은 사용자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데이터에 대한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트랜잭션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메시지에 대한 수수료의 결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무선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블록체인에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 예들은 다음의 장점들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개시된 기술의 실시 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무선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블록체인에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은 다양한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통해 전송한 메시지의 정보를 블록체인 트랜잭션 생성을 통해 저장하여 사용자가 장기간 남기고자 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쉽게 기록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시지의 내용에 따라 수수료를 자동으로 계산하여 간편하게 메시지 전송 서비스의 이용 요금을 결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블록체인에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종래의 블록체인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메시지 정보 기록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록체인을 이용한 메시지 정보 기록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110~150)을 포함한다.
11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메시지를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단문 또는 소정의 길이의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ing system) 또는 RCS(Rich Communication Suite)중 하나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이러한 메시지 서비스 중 하나를 이용하여 서로 유무선으로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는 작성된 메시지를 SMS, MMS 또는 RCS로 전송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이고,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술한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WAS)일 수 있다.
120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송된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를 추출한다. 여기에서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는 상술한 종류의 유무선 메시지 서비스에서 지원되는 텍스트 및 이미지를 의미한다.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메시지에 포함된 텍스트와 이미지와 같은 데이터를 추출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할 준비를 할 수 있다. 물론 기타 다른 종류의 데이터도 얼마든지 추출할 수 있다.
130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메시지에서 추출한 데이터에 대한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한다. 데이터의 기록을 위해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사용자의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데이터에 대한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이를 네트워크에 전파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UTF-8 과 같은 문자 인코딩 방식으로 메시지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할 수 있다. 물론 이는 다양한 예시 중 하나이며 다른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140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트랜잭션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한다. 메시지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트랜잭션이 생성되면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가 해당 트랜잭션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접근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접근정보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생성한 트랜잭션에 접근하기 위한 경로 내지는 링크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트랜잭션에 대한 접근정보로 URL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다만 URL은 접근을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 더 포괄적인 링크나 다른 수단이 접근정보로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해 접근정보를 공유받으면 자신이 작성한 메시지의 정보가 트랜잭션에 저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타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트랜잭션에 대한 접근정보가 요청되면 접근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 단말기 뿐만 아니라 타 단말기에서도 트랜잭션에 저장된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일부 노드들을 이용하여 다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단말기에 접근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타 단말기의 사용자가 메시지 내용을 확인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당연하게도 특정 노드에서 트랜잭션에 저장된 데이터를 임의로 수정하거나 삭제하는 것은 블록체인 기술의 특성상 불가능하며,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가 유효한 기간 역시 사실상 무기한이라는 장점이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를 처리한 현황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메시지에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트랜잭션을 생성하는 단계,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하는 단계가 수행될 때마다 각 단계의 처리현황을 알리기 위해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이용하는 메시지 전송 서비스와 동일한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150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가 전송한 메시지에 따라 수수료의 결제를 요청한다.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메시지의 용량에 따라 자동으로 수수료를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메시지에 포함된 텍스트 및 이미지에 대한 용량을 파악하고 용량에 따라 단계적으로 수수료를 부과할 수 있다. 수수료 과금은 통신사나 메시지 서비스 대행업체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일정 용량을 기준값으로 하여 메시지의 용량이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기본 수수료를 적용하고 기준값을 넘어서면 기본 수수료에 추가 비용을 덧붙이는 방식으로 수수료를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기(210)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22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사용자 단말기(21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220)가 트랜잭션을 생성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전파되는 해당 트랜잭션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21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220)에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에 접근정보를 회신한다. 접근정보는 도 1을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TxID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210)로 회신된 접근정보를 이용하여 기 생성된 트랜잭션의 메시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서버(220)는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에서도 트랜잭션에 접근할 수 있도록 특정 연산자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비트코인 OP_RETURN 연산자를 이용하여 트랜잭션에 메시지 내용을 기록하고 특정 트랜잭션을 마치 증명서처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는 종래의 블록체인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비트코인 기반의 블록체인에서는 UTXO(Unspent Transaction Output)의 Locking Script에 포함되는 수신자의 Public Key Hash에 특정한 값을 기록하는 기술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생성된 UXTO도 계속해서 블록체인에 데이터로서 존재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데이터가 생성되면 블록체인 노드들의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에서는 OP_RETURN과 같은 연산자를 이용하여 노드들에 부하가 가지 않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메시지 정보를 저장한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블록체인에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메시지 전송 120 : 데이터 추출
130 : 트랜잭션 생성 및 전파 140 : 트랜잭션에 대한 접근정보 전송
150 : 메시지 용량에 따른 결제 요청 210 : 사용자 단말기
220 : 어플리케이션 서버

Claims (6)

  1. 사용자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데이터에 대한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트랜잭션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메시지에 대한 수수료의 결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무선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블록체인에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메시지의 용량 또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수수료를 계산하는 유무선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블록체인에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ing system) 및 RCS(Rich Communication Suite)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전송하는 유무선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블록체인에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아닌 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접근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타 단말기에 상기 접근정보를 전송하는 유무선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블록체인에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입력된 텍스트 및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블록체인에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를 처리한 현황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유무선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블록체인에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
KR1020190047881A 2019-04-24 2019-04-24 유무선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블록체인에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 KR202001244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881A KR20200124495A (ko) 2019-04-24 2019-04-24 유무선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블록체인에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881A KR20200124495A (ko) 2019-04-24 2019-04-24 유무선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블록체인에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495A true KR20200124495A (ko) 2020-11-03

Family

ID=73197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881A KR20200124495A (ko) 2019-04-24 2019-04-24 유무선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블록체인에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44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2242A1 (zh) * 2022-07-25 2024-02-01 天津理工大学 一种比特币交易自治消息提取及解析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2242A1 (zh) * 2022-07-25 2024-02-01 天津理工大学 一种比特币交易自治消息提取及解析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99955B (zh) 信息的记录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A2750851C (en)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tate online transactions
KR100787890B1 (ko) 인터넷 아이템의 선물 조르기를 이용한 모바일 환경의 무선결제 시스템 및 그 무선 결제 방법
US7848736B2 (en) Package billing for micro-transactions
US8660911B2 (en)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tate online transactions
CN110874742B (zh) 一种基于区块链和智能合约的支付方法及装置
CN102077229A (zh) 为移动计算设备提供通用金融交易网关的系统、方法和工具
JP4330911B2 (ja) ポイント連携システム
JP2007531076A (ja) 通信ネットワーク越しに送信されるコンテンツの享受の費用を請求する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JP6820265B2 (ja) サービス実施方法、支払い方法、及び装置
US201801524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ublicly verifiable authorization
CN104144400A (zh) 在线应用的计费方法与系统
KR20200124495A (ko) 유무선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블록체인에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
US20060116938A1 (en) Method for the electronic payment of a merchandise or service by using a mobile radio network, and arrangement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WO2019016954A1 (ja) 仮想通貨の支払代行装置、仮想通貨の支払代行方法および記録媒体
WO20190258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E SERVICES
KR20150118672A (ko) 모바일 기반의 결제 처리방법 및 장치
KR102070252B1 (ko) 블록체인 기반 결제 서비스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JP2023122856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0260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cash-like transactions
JP2008305147A (ja) データ課金システム及びデータ課金方法
JP2020027381A (ja) 仮想通貨管理装置、仮想通貨管理システム、仮想通貨管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058487B1 (ko)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원격 결제 시스템
KR101359454B1 (ko) 가맹점 광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ntovski et al. M-Commerce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