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4095A - 콘크리트에 철근을 고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에 철근을 고정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4095A
KR20200124095A KR1020190047534A KR20190047534A KR20200124095A KR 20200124095 A KR20200124095 A KR 20200124095A KR 1020190047534 A KR1020190047534 A KR 1020190047534A KR 20190047534 A KR20190047534 A KR 20190047534A KR 20200124095 A KR20200124095 A KR 20200124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insertion hole
bar insertion
circumferential surface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9184B1 (ko
Inventor
원종열
Original Assignee
원종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종열 filed Critical 원종열
Priority to KR1020190047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184B1/ko
Publication of KR20200124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66Enl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철근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고정장치는, 콘크리트 벽면에 형성된 철근 삽입공에 삽입되며, 외주면이 철근 삽입공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철근 삽입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링 형상의 테두리부와, 원반형 박판 부재로 형성되어 테두리부의 내주면 중앙에 위치하는 원반부, 및 원반부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액상 접착체가 주입되는 노즐이 삽입되는 접착제 주입홀을 포함하여, 철근이 원반부를 가압하면, 원반부가 파단되거나 접착제 주입홀이 확장되면서 테두리부 중앙으로 철근이 삽입될 수 있다.

Description

철근 고정장치 및 콘크리트에 철근을 고정하는 방법{Device for fixing steel rod and method for fixing steel rod in concrete}
본 발명은 철근 고정장치 및 콘크리트에 철근을 고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수직 증축을 용이하게 하는 철근 고정장치 및 콘크리트에 철근을 고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 시공된 건축물을 수직으로 증축하는 방법으로는, 기준이 되는 콘크리트층의 상방으로 증축(TOP공법)하는 방법과, 기준이 되는 콘크리트층의 하방으로 증축(DOWN공법)하는 방법이 있다. 콘크리트층의 상방으로 증축하는 경우, 콘크리트층의 상면에 철근 삽입공을 천공한 후 철근을 삽입하여 고정하며, 콘크리트층의 하방으로 증축하는 경우, 콘크리트층의 하면에 철근 삽입공을 천공한 후 철근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한편, 철근 삽입공에 삽입된 철근은 에폭시 등의 액상 접착제로 고정된다. 따라서, 철근 삽입공이 콘크리트층의 상면에 천공되는 경우, 액상 접착제가 철근 삽입공에 담긴 채로 유지되어 철근의 고정이 용이하나, 철근 삽입공이 콘크리트층의 하면에 천공되는 경우, 액상 접착제가 중력에 의해 철근 삽입공으로부터 흘러나와 철근/볼트의 인발력을 위해 필요한 에폭시의 충전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에, 철근 삽입공이 콘크리트층의 하면에 천공된 경우에도 철근의 고정이 용이한 철근 고정장치 및 철근 고정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9534호 (2018. 07. 1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축물의 수직 증축을 용이하게 하는 철근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건축물의 수직 증축을 용이하게 하는 콘크리트에 철근을 고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고정장치는, 콘크리트 벽면에 형성된 철근 삽입공에 삽입되며, 외주면이 상기 철근 삽입공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철근 삽입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링 형상의 테두리부와, 원반형 박판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부의 내주면 중앙에 위치하는 원반부, 및 상기 원반부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액상 접착체가 주입되는 노즐이 삽입되는 접착제 주입홀을 포함하여, 철근이 상기 원반부를 가압하면, 상기 원반부가 파단되거나 상기 접착제 주입홀이 확장되면서 상기 테두리부 중앙으로 상기 철근이 삽입된다.
상기 철근 고정장치는, 상기 원반부에 상기 접착제 주입홀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절개된 적어도 하나의 절개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원반부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반부는 상기 액상 접착제가 채워지는 상면이 상기 테두리부와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부에 접착제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원반부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가 상기 원반부보다 경도가 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는 내주면의 직경이 상기 철근 삽입공에 삽입되는 상기 철근의 직경과 같거나 상기 철근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에 철근을 고정하는 방법은, 콘크리트 벽면에 삽입될 철근 또는 볼트부재보다 직경이 큰 철근 삽입공을 천공하는 (A) 단계와, 상기 철근 삽입공에, 외주면이 상기 철근 삽입공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철근 삽입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링 형상의 테두리부와, 원반형 박판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부의 내주면 중앙에 위치하는 원반부, 및 상기 원반부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접착제 주입홀을 포함하는 철근 고정장치를 삽입하여 상기 철근 삽입공 끝까지 밀어 넣는 (B) 단계와, 상기 접착제 주입홀에 노즐을 삽입하고 상기 원반부를 통하여 상기 철근 삽입공으로 액상 접착제를 주입하여 상기 철근 고정장치를 아래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C) 단계, 및 상기 액상 접착제가 일정량 주입되면, 상기 노즐을 제거하고, 상기 철근 또는 상기 볼트부재로 상기 원반부를 가압하여 상기 테두리부 중앙을 관통시켜 상기 철근 삽입공 끝까지 밀어 넣는 (D)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철근 고정장치가 상기 철근 삽입공 외부로 노출되기 전에 상기 액상 접착제의 주입을 멈출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에 철근을 고정하는 방법은,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테두리부가 상기 철근 삽입공 외부로 노출되면 상기 테두리부를 상기 철근 또는 상기 볼트부재로부터 제거하는 (E)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에 철근을 고정하는 방법은, 상기 (B) 단계 이전에, 상기 철근 삽입공 내주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B-1)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테두리부가 철근 삽입공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고 원반부에 관통 형성된 접착제 주입홀을 통해 액상 접착제가 주입되므로, 철근 삽입공이 콘크리트 벽면의 하면에 천공된 경우에도 액상 접착제가 흘러나오지 않아 철근의 고정이 용이하다. 특히, 철근이 원반부를 가압하면, 원반부가 파단되거나 접착제 주입홀이 확장되면서 테두리부 중앙으로 철근이 삽입되므로, 작업자가 적은 힘으로 철근을 지탱할 수 있으며, 철근이 철근 삽입공의 정중앙에 위치할 수 있어 시공된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철근 고정장치를 A-A 선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콘크리트에 철근을 고정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는 콘크리트에 철근을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고정장치 및 콘크리트에 철근을 고정하는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고정장치 및 콘크리트에 철근을 고정하는 방법은 테두리부가 철근 삽입공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고 원반부에 관통 형성된 접착제 주입홀을 통해 액상 접착제가 주입되므로, 철근 삽입공이 콘크리트 벽면의 하면에 천공된 경우에도 액상 접착제가 흘러나오지 않아 철근의 고정이 용이하다. 특히, 철근이 원반부를 가압하면, 원반부가 파단되거나 접착제 주입홀이 확장되면서 테두리부 중앙으로 철근이 삽입되므로, 작업자가 적은 힘으로 철근을 지탱할 수 있으며, 철근이 철근 삽입공의 정중앙에 위치할 수 있어 시공된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철근 고정장치(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철근 고정장치를 A-A 선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고정장치(1)는 테두리부(10)와, 원반부(20), 및 접착제 주입홀(30)을 포함한다.
테두리부(10)는 중앙이 관통된 링 형상의 부재로, 콘크리트 벽면(도 4의 A 참조)에 형성된 철근 삽입공(도 4의 H 참조)에 삽입된다. 이 때, 철근 삽입공(H)은 삽입될 철근(S)보다 직경이 크게 천공될 수 있다. 테두리부(10)는 철근 삽입공(H)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철근 삽입공(H)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철근 삽입공(H)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테두리부(10)는 후술할 액상 접착제(도 45의 E 참조)가 철근 삽입공(H) 내부로 주입됨에 따라 유압에 의해 철근 삽입공(H)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며, 철근 삽입공(H)의 폐쇄된 끝단부에서 외부와 연통된 끝단부를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테두리부(10)는 내주면의 직경이 철근 삽입공(H)에 삽입되는 철근(도 46의 S 참조)의 직경과 같거나 철근(S)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내주면에 원반부(20)가 결합된다.
원반부(20)는 테두리부(10)와 재질이 다르게 형성된 원반형 박판 부재로, 테두리부(10)의 내주면 중앙에 위치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원반부(20)는 외주면의 직경이 테두리부(10)의 내주면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테두리부(10)의 내주면 중앙에 고정 결합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테두리부(10)와 원반부(20)를 구분하여 설명하나, 테두리부(10)와 원반부(20)는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영역이 구획된 것일 수 있다. 원반부(20)에는 접착제 주입홀(30)이 형성된다.
접착제 주입홀(30)은 액상 접착제(E)가 주입되는 노즐(N)이 삽입되는 구멍으로, 원반부(20)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원반부(20)에 노즐(N)의 크기에 대응하는 접착제 주입홀(30)이 관통 형성됨으로써, 액상 접착제(E)가 원반부(20)의 상면과 철근 삽입공(H) 사이로 용이하게 주입될 수 있으며, 철근 삽입공(H)이 콘크리트 벽면(A)의 하면에 형성된 경우 원반부(20)의 상면과 철근 삽입공(H) 사이로 주입된 액상 접착제(E)가 외부로 흘러 나오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원반부(20)는 액상 접착제(E)가 채워지는 상면이 테두리부(10)와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부에 접착제 수용부(20a)가 형성되므로, 노즐(N)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노즐(N)의 삽입이 용이하며, 철근 삽입공(H)의 폐쇄된 끝단부와 원반부(20) 사이에 더 많은 양의 액상 접착제(E)를 주입할 수 있어 철근(S)의 고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테두리부(10)는 원반부(20)보다 두께가 두껍고 경도가 큰 재질로 형성되어, 원반부(20)의 상면과 철근 삽입공(H) 사이에 액상 접착제(E)가 주입되더라도 전도되지 않고 철근 삽입공(H)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원반부(20)의 상면과 철근 삽입공(H) 사이로 액상 접착제(E)의 주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원반부(20)의 상면과 철근 삽입공(H) 사이에 액상 접착제(E)를 주입한 후 철근(S)으로 원반부(20)의 하면을 가압하면, 원반부(20)가 파단되거나 접착제 주입홀(30)이 확장되면서 테두리부(10) 중앙으로 철근(S)이 삽입될 수 있다. 원반부(20)는 접착제 주입홀(3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절개선(40)이 절개되므로, 철근(S)이 원반부(20)의 하면을 가압하면, 접착제 주입홀(30)과 절개선(40) 사이가 벌어지면서 원반부(20)가 파단되거나 접착제 주입홀(30)이 확장될 수 있다. 절개선(40)은 원반부(20)를 완전히 관통하는 미세한 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노치(notch)와 같이 만입된 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원반부(20)의 상면과 철근 삽입공(H) 사이에 액상 접착제(E)가 주입된 상태에서 철근(S)이 원반부(20)를 관통하여 테두리부(10) 중앙으로 삽입됨에 따라, 철근(S)의 일 측이 액상 접착제(E)에 의해 접착되어 철근 삽입공(H)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테두리부(10)는 내주면의 직경이 철근(S)의 직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므로, 철근(S)이 원반부(20)를 관통하여 테두리부(10) 중앙으로 삽입되면 콘크리트 벽면(A) 하부에 위치한 작업자가 철근(S)을 지탱하는 힘이 적게 들어 작업이 용이하며, 철근(S)이 철근 삽입공(H)의 정중앙에 위치할 수 있어 시공된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원반부(20)의 파단 또는 접착제 주입홀(30)의 확장이 용이하도록 테두리부(10)와 원반부(20)의 재질을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
도면 상에는 원반부(20)에 접착제 주입홀(30)을 중심으로 4개의 절개선(40)이 절개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절개선(40)의 개수 및 길이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콘크리트에 철근을 고정하는 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콘크리트에 철근을 고정하는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는 콘크리트에 철근을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에 철근을 고정하는 방법은, 콘크리트 벽면(A)에 철근 삽입공(H)을 천공하는 (A) 단계와, 철근 삽입공(H)에 철근 고정장치(1)를 삽입하여 철근 삽입공(H) 끝까지 밀어 넣는 단계 (B) 단계와, 철근 삽입공(H)으로 액상 접착제(E)를 주입하는 (C) 단계, 및 노즐(N)을 제거하고 철근(S) 또는 볼트부재(도시되지 않음)를 철근 삽입공(H) 끝까지 밀어 넣는 (D)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에 철근을 고정하는 방법은, (B) 단계 이전에, 철근 삽입공(H) 내주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B-1) 단계를 더 포함하고, (D) 단계 이후에, 테두리부(10)를 철근(S) 또는 볼트부재로부터 제거하는 (E)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드릴(drill)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면(A)에 삽입될 철근(S) 또는 볼트부재보다 직경이 큰 철근 삽입공(H)을 천공한다((A) 단계). 철근 삽입공(H)은 삽입될 철근(S) 또는 볼트부재의 길이, 중량 등에 대응하여 콘크리트 벽면(A)에 다양한 길이로 천공될 수 있다.
콘크리트 벽면(A)에 철근 삽입공(H)이 천공되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 삽입공(H)에, 외주면이 철근 삽입공(H)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철근 삽입공(H)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링 형상의 테두리부(10)와, 원반형 박판 부재로 형성되어 테두리부(10)의 내주면 중앙에 위치하는 원반부(20)와, 원반부(20)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접착제 주입홀(30)을 포함하는 철근 고정장치(1)를 삽입하여 철근 삽입공(H) 끝까지 밀어 넣는다((B) 단계). 필요에 따라, 철근 삽입공(H)에 철근 고정장치(1)를 삽입하기 전에, 철근 삽입공(H) 내주면을 청소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도 있다((B-1) 단계).
철근 고정장치(1)를 철근 삽입공(H) 끝까지 밀어 넣은 후에는, 도 5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 주입홀(30)에 노즐(N)을 삽입하고 원반부(20)를 통하여 철근 삽입공(H)으로 액상 접착제(E)를 주입하여 철근 고정장치(1)를 아래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C) 단계). 이 때, 액상 접착제(E)의 주입 시 기포의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노즐(N)을 철근 삽입공(H) 끝까지 밀어 넣어 액상 접착제(E)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액상 접착제(E)의 주입에 의한 유압에 의해 아래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철근 고정장치(1)가 철근 삽입공(H) 외부로 노출되기 전에 액상 접착제(E)의 주입을 멈출 수 있다. 철근 고정장치(1)가 철근 삽입공(H) 외부로 노출되기 전에 액상 접착제(E)의 주입을 멈춤으로써, 후술할 (D) 단계에서 철근(S)이 철근 고정장치(1)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동시에, 철근(S)이 철근 고정장치(1)를 관통하여 철근 삽입공(H) 내부로 삽입될 때 액상 접착제(E)가 넘쳐 철근 삽입공(H) 외부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액상 접착제(E)가 철근 삽입공(H) 외부로 새어 나오지 않게 되면, 새어 나온 액상 접착제(E)를 제거하는 추가 작업이 생략되어 작업 효율이 증대되고, 깔끔한 작업면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원반부(20)는 액상 접착제(E)가 채워지는 상면이 테두리부(10)와 단차지게 형성되어 접착제 수용부(20a)를 형성하므로, 더 많은 양의 액상 접착제(E)가 주입될 수 있으며, 테두리부(10)는 원반부(20)보다 두께가 두껍고 경도가 큰 재질로 형성되어 액상 접착제(E)가 주입되더라도 전도되지 않고 철근 삽입공(H)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액상 접착제(E)가 일정량 주입되면, 노즐(N)을 제거하고 도 4의 (c)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S) 또는 볼트부재로 원반부(20)를 가압하여 도 4의 (d)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부(10) 중앙을 관통시켜 철근 삽입공(H) 끝까지 밀어 넣는다((D) 단계). 원반부(20)는 접착제 주입홀(30)을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의 절개선(40)이 절개되므로, 철근(S) 또는 볼트부재가 원반부(20)의 하면을 가압하면, 접착제 주입홀(30)과 절개선(40) 사이가 벌어지면서 원반부(20)가 파단되거나 접착제 주입홀(30)이 확장될 수 있다. 액상 접착제(E)가 주입된 상태에서 철근(S)이 테두리부(10) 중앙을 관통하여 철근 삽입공(H) 끝까지 삽입됨에 따라, 철근(S)의 일 측이 액상 접착제(E)에 의해 접착되어 철근 삽입공(H)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단계를 거쳐, 철근(S)이 콘크리트 벽면(A)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철근(S)이 철근 삽입공(H)에 고정되면서 테두리부(10)가 철근 삽입공(H) 외부로 노출되면, 테두리부(10)를 철근(S) 또는 볼트부재로부터 제거할 수도 있다((E) 단계). 그러나, 테두리부(10)를 철근(S) 또는 볼트부재로부터 제거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테두리부(10)가 철근 삽입공(H)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 이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철근 고정장치
10: 테두리부 20: 원반부
20a: 접착제 수용부 30: 접착제 주입홀
40: 절개선
A: 콘크리트 벽면 E: 액상 접착제
H: 철근 삽입공 N: 노즐
S: 철근

Claims (10)

  1. 콘크리트 벽면에 형성된 철근 삽입공에 삽입되며, 외주면이 상기 철근 삽입공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철근 삽입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링 형상의 테두리부;
    원반형 박판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부의 내주면 중앙에 위치하는 원반부; 및
    상기 원반부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액상 접착체가 주입되는 노즐이 삽입되는 접착제 주입홀을 포함하여,
    철근이 상기 원반부를 가압하면, 상기 원반부가 파단되거나 상기 접착제 주입홀이 확장되면서 상기 테두리부 중앙으로 상기 철근이 삽입되는 철근 고정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반부에 상기 접착제 주입홀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절개된 적어도 하나의 절개선을 더 포함하는 철근 고정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원반부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철근 고정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원반부는 상기 액상 접착제가 채워지는 상면이 상기 테두리부와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부에 접착제 수용부가 형성되는 철근 고정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원반부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가 상기 원반부보다 경도가 큰 재질로 형성되는 철근 고정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내주면의 직경이 상기 철근 삽입공에 삽입되는 상기 철근의 직경과 같거나 상기 철근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철근 고정장치.
  7. 콘크리트 벽면에 삽입될 철근 또는 볼트부재보다 직경이 큰 철근 삽입공을 천공하는 (A) 단계;
    상기 철근 삽입공에, 외주면이 상기 철근 삽입공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철근 삽입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링 형상의 테두리부와, 원반형 박판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부의 내주면 중앙에 위치하는 원반부, 및 상기 원반부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접착제 주입홀을 포함하는 철근 고정장치를 삽입하여 상기 철근 삽입공 끝까지 밀어 넣는 (B) 단계;
    상기 접착제 주입홀에 노즐을 삽입하고 상기 원반부를 통하여 상기 철근 삽입공으로 액상 접착제를 주입하여 상기 철근 고정장치를 아래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C) 단계; 및
    상기 액상 접착제가 일정량 주입되면, 상기 노즐을 제거하고, 상기 철근 또는 상기 볼트부재로 상기 원반부를 가압하여 상기 테두리부 중앙을 관통시켜 상기 철근 삽입공 끝까지 밀어 넣는 (D)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에 철근을 고정하는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철근 고정장치가 상기 철근 삽입공 외부로 노출되기 전에 상기 액상 접착제의 주입을 멈추는 콘크리트에 철근을 고정하는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테두리부가 상기 철근 삽입공 외부로 노출되면 상기 테두리부를 상기 철근 또는 상기 볼트부재로부터 제거하는 (E)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에 철근을 고정하는 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전에,
    상기 철근 삽입공 내주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B-1)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에 철근을 고정하는 방법.
KR1020190047534A 2019-04-23 2019-04-23 콘크리트에 철근을 고정하는 방법 KR102229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534A KR102229184B1 (ko) 2019-04-23 2019-04-23 콘크리트에 철근을 고정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534A KR102229184B1 (ko) 2019-04-23 2019-04-23 콘크리트에 철근을 고정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095A true KR20200124095A (ko) 2020-11-02
KR102229184B1 KR102229184B1 (ko) 2021-03-18

Family

ID=73397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534A KR102229184B1 (ko) 2019-04-23 2019-04-23 콘크리트에 철근을 고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1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8399A (ja) * 1993-12-07 1995-06-20 Kajima Corp ロックボルト用定着材だれ落ち防止装置および方法
JP2001349196A (ja) * 2000-06-07 2001-12-21 Ohmoto Gumi Co Ltd ロックボルトの施工方法およびその補助具
KR101879534B1 (ko) 2017-03-22 2018-08-17 김인수 콘크리트 바닥면 연장 시 철근지지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8399A (ja) * 1993-12-07 1995-06-20 Kajima Corp ロックボルト用定着材だれ落ち防止装置および方法
JP2001349196A (ja) * 2000-06-07 2001-12-21 Ohmoto Gumi Co Ltd ロックボルトの施工方法およびその補助具
KR101879534B1 (ko) 2017-03-22 2018-08-17 김인수 콘크리트 바닥면 연장 시 철근지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9184B1 (ko) 202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6412B2 (ja) 場所打ち杭の杭頭処理方法
JP5161668B2 (ja) 充填材の充填方法および栓部材
JP7092288B2 (ja) 構造物の補強工法
JP5443184B2 (ja) モルタル層の剥離方法
KR102229184B1 (ko) 콘크리트에 철근을 고정하는 방법
JP5896978B2 (ja) ピンニング工法
JP6587578B2 (ja) コンクリート壁面のひび割れを補修する注入プラグ
JP5988922B2 (ja) 注入口付アンカーピン、これを用いたピンニング工法およびネットバリヤー工法
KR101014793B1 (ko) 암반 파쇄 장치
KR20140089680A (ko) 자체 확경이 가능한 말뚝 및 그 시공방법
KR100691890B1 (ko) 엄지말뚝 매립형 말뚝 유닛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주열식 흙막이 벽체의 시공방법
KR101808267B1 (ko) 소일 네일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소일 네일링 방법
CN108166488B (zh) 一种地基基础工程用的组合桩及其制备方法
KR101324365B1 (ko) 수중 콘크리트 타설 장치용 플랜지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콘크리트 타설 방법
KR20150131911A (ko) 자체 확경 말뚝 및 이의 시공 방법
IL34926A (en) Procedure and equipment for the sampling of soil and rock masses
KR20190016819A (ko) 콘크리트 말뚝 두부 정리용 균열발생장치, 균열발생장치가 구비된 콘크리트 말뚝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160004494A (ko) 도넛 함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굴착 방법
JP2008274746A (ja) 地下構造物の解体撤去工法
KR100991826B1 (ko) 타공용 드릴날
KR101534036B1 (ko) 복합형 앵커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WO2012138058A1 (ko) 몰드 케이스를 이용한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의 시공 방법
JP2016175018A (ja) 解体方法
KR20150131995A (ko) 선단 확장형 말뚝 및 이의 시공 방법
EP1147264B1 (fr) Dispositif de recepage pour des ouvrages en bet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