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2752A - Compression tool for pipe connecting - Google Patents
Compression tool for pipe connect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22752A KR20200122752A KR1020190045850A KR20190045850A KR20200122752A KR 20200122752 A KR20200122752 A KR 20200122752A KR 1020190045850 A KR1020190045850 A KR 1020190045850A KR 20190045850 A KR20190045850 A KR 20190045850A KR 20200122752 A KR20200122752 A KR 202001227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support
- operation block
- blocks
- right oper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파이프를 압착하여 두 파이프 간이 체결되도록 하는 파이프 연결용 압착공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배관부속을 압착하는 지지블럭과 이와 이웃하는 조작블럭들의 체결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상기 지지블럭 및 조작블럭이 상호간 탄성으로 벌어짐을 막도록 고정함으로써 안정성을 높임과 더불어 상기 연결배관부속의 외면 전체 또는, 일부에 스크레치나 찍힘 등의 씹히는 현상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압착공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imping tool for connecting pipes to squeeze a pipe to be fastened between two pip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pport block for crimping a connection pipe part for connecting different pipes and a fastening of adjacent operation blocks A new shape that simplifies the structure and improves stability by fixing the support block and the operation block to prevent them from spreading elastically, and to reduce chewing, such as scratches or cuts, on the whole or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ipe part. It relates to a crimping tool for pipe connection according to.
일반적으로 파이프의 시공시 두 파이프 간의 연결은 별도의 연결배관부속을 이용하거나 혹은, 두 파이프를 서로 겹치도록 결합한 후 파이프 연결용 압착공구로써 서로 간의 겹침 부위를 압착하여 결합하고 있다.In general, when a pipe is constructed, a connection between two pipes is performed by using a separate connection piping part or by combining the two pipes so that they overlap each other, and then pressing the overlapping parts with each other with a crimping tool for pipe connection.
이와 같은 파이프 압착용 체결구는 가압공구에 파지되는 두 조작블럭과, 상기 두 조작블럭의 끝단에 각각 결합핀으로 결합되면서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와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0578450호, 등록특허 제10-0685802호, 등록특허 제10-0762293호, 등록특허 제10-1176001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5930호, 등록특허 제10-1034454호, 등록특허 제10-1169664호, 등록특허 제10-1475375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Such a pipe compression fastener includes two operation blocks gripped by the pressurization tool, and one or more support blocks that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while being coupled to the ends of the two operation blocks with a coupling pin, respectively. Registered Patent No. 10-0578450, Registered Patent No. 10-0685802, Registered Patent No. 10-0762293, Registered Patent No. 10-1176001, Published Utility Model No. 20-2012-005930, Registered Patent No. 10-1034454 , Registration Patent No. 10-1169664, Registration Patent No. 10-1475375 as disclosed.
이와 같이 전술된 종래의 파이프 연결용 압착공구의 경우는 가압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조작블럭 및 지지블럭으로 연결배관부속을 감싸며 가압함으로써 압착이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자의 연결배관부속 압착 작업시 상기 가압공구의 제거 혹은, 가압이 끝났을 경우 상기 연결배관부속을 가압하던 조작블럭 및 지지블럭이 상호간 순간 벌어짐에 따라 위험성이 따른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rimping tool for pipe connection, crimping is achieved by enclosing and pressing the connection pipe part with the operation block and the support block using a pressing tool. At this time, there is a risk as the operation block and the support block that pressurized the connection pipe part when the user removes the pressurizing tool or when the pressurization is finished, the operation block and the support block that pressurized the connection pipe part open at an instant.
특히, 상기와 같은 공구는 비교적 크고 무겁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배관부속을 감싸던 조작블럭 및 지지블럭의 순간 벌어짐은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으로 발생한다.In particular, since the above tool is relatively large and heavy, the instantaneous opening of the operation block and the support block surrounding the connection pipe part occurs as a problem that may lead to a major accident.
또한, 전술된 종래의 파이프 연결용 압착공구는 연결배관부속을 감싸며 상기 연결배관부속의 중심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각 블럭들 간의 사이로 상기 연결배관부속 및 파이프 외면이 씹히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과다한 씹힘 현상은 파이프의 부식 및 누수 등으로 이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rimping tool for pipe connection described above causes the connection pipe par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to be chewed between the blocks that surround the connection pipe part and pressuriz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connection pipe part, and excessive chewing. The phenomenon has a problem that leads to corrosion and leakage of pipes.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배관부속을 압착하는 지지블럭과 이와 이웃하는 조작블럭들의 체결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상기 지지블럭 및 조작블럭이 상호간 탄성으로 벌어짐을 막도록 고정함으로써 안정성을 높임과 더불어 상기 연결배관부속의 외면 전체 또는, 일부에 스크레치나 찍힘 등의 씹히는 현상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압착공구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various problem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ify the fastening structure of a support block for compressing connection pipe parts for connecting different pipes and neighboring operation blocks In addition, the support block and the operation block are fixed so as to prevent them from spreading elastically to each other, thereby increasing stability and reducing the chewing phenomenon such as scratches or dents on the entire or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ipe part. It is to provide a crimp tool for connec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용 압착공구는 연결배관부속을 감싸며, 내면에는 연결배관부속의 외면과 대응되는 원호 형상의 지지면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의 좌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내면에는 상기 지지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의 조작면이 형성되는 좌측조작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의 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내면에는 상기 지지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의 조작면이 형성되는 우측조작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면의 중심부가 상기 연결배관부속의 외면과 대응되는 원호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각 조작면의 중심부가 상기 연결배관부속의 외면과 대응되는 원호 형상으로 각각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crimping tool for pipe conn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surrounds the connection pipe part, and at least one support block having an arc-shaped support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nd the support block The left operation block is rotatably connected and installed on the left side, and an arc-shaped operation surface having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surfac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nd the support block is rotatably connected and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support block. Consisting of including a right operation block on which an arc-shaped operation surface having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is formed, the center of the support surface is formed to protrude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and each operation surface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nection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is formed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each.
여기서, 상기 지지면과 조작면의 양측 모서리와, 상기 지지면과 조작면에서 돌출 형성된 중심부의 양측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면취됨을 특징으로 한다.Here, both corners of the support surface and the operation surface, and both corners of the center protruding from the support surface and the operation surface are chamfered to be round.
또한, 상기 지지블럭 또는 상기 좌,우측조작블럭의 일단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블럭 상호간 또는 상기 지지블럭과 좌,우측조작블럭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블럭힌지와,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블럭 또는 상기 지지블럭과 좌,우측조작블럭이 상기 블럭힌지를 축으로 회전하여 서로 벌어지도록 강제하거나 혹은, 연결배관부속의 외면을 감싸도록 강제하는 강제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t one end of the support block or the left and right operation blocks, a block hinge configured to rotatably couple the one or more support blocks to each other or between the support block and the left and right operation blocks, and the at least one support block 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block and the left and right operation blocks are provided with a forcing means for forcing the block hinge to be rotated on an axis to open each other or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ipe part.
또한, 상기 좌측조작블럭과 우측조작블럭의 선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좌측조작블럭과 우측조작블럭이 서로 접하도록 강제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xing mean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left and right operation block, respectively, forcing the left and right operation blocks to contact each other.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일단은 상기 좌측조작블럭에 접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우측조작블럭에 접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의 일단이 상기 좌측조작블럭 또는 우측조작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핀힌지와, 상기 고정핀의 다른 일단이 상기 우측조작블럭 또는 좌측조작블럭에 선택적으로 접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부착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one end in contact with the left operation block, the other end to the fixing pin in contact with the right operation block, and one end of the fixing pin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eft operation block or the right operation block. I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pin hinge, and an attachment end for fixing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in to selectively contact and fix the right operation block or the left operation block.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용 압착공구는 가압공구를 사용하여 지지블럭 및 좌,우측조작블럭이 연결배관부속에 균일한 압착력을 분포함으로써 상기 연결배관부속의 압착을 위한 작업이 가능함과 더불어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좌측조작블럭과 우측조작블럭이 서로 접하도록 유지시킴으로 가압이 해제되었을 경우에 상기 지지블럭 및 조작블럭이 상호간 순간 벌어짐을 막음으로 안전성의 효과를 가진다.In the crimping tool for pipe conn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block and the left and right operation blocks distribute uniform crimping force to the connection pipe part by using a pressing tool, so that the work for crimping the connection pipe part is possible. The left operation block and the right operation block are kept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rough a fixing means, thereby preventing the support block and the operation block from being opened instantaneously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또한, 본 발명의 압착공구는 각 블럭이 서로 다른 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배관부속의 외면을 가압하면서 연결배관부속 및 파이프가 압착될 때, 상기 연결배관부속 및 파이프 외면 전체 또는, 일부에 스크레치나 찍힘 등의 씹히는 현상을 줄여 압착 연결된 파이프의 부식 및 누수 등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crimping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each block pressurizes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connecting different pipes, and when the connection pipe part and the pipe are crimped, the connection pipe part and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pipe or part of the connection pipe part and the pipe are scratched or stamped.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corrosion and leakage of pipes connected by compression by reducing the chewing phenomenon of the back.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압착공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압착공구의 강제수단이 압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압착공구를 이용한 압착 조작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압착공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4에서 "I"의 부분 확대도1 is a plan view showing a crimping tool for pipe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rce means of the crimping tool for pipe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ressed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during a crimping operation using a crimping tool for pipe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rimping tool for pipe conn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I" in FIG. 4
이하,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용 압착공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rimping tool for pipe conn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압착공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압착공구의 강제수단이 압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압창공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I"의 부분 확대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a crimping tool for pipe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orce means of the crimping tool for pipe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ressed 4 is a plan view showing a pressure tack tool for pipe conn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I” in FIG. 4.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압착공구는 크게 하나 이상의 지지블럭(100)과 좌측조작블럭(200)과, 우측조작블럭(300)과, 블럭힌지와(150a, 150b)와, 강제수단(160a, 16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좌측조작블럭(200)과 우측조작블럭(300)이 서로 접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400)을 포함하여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crimping tool for pip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one or
즉, 본 발명은 각 블럭(100, 200, 300)들이 연결배관부속(10)을 감싸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수단(400)이 좌측조작블럭(200)과 우측조작블럭(200)의 서로 고정을 통해 상기 각 블럭(100, 200, 300)들의 벌어짐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each block (100, 200, 300)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connection pipe part (10), the fixing means (400) is fixed to each other of the left operation block (200) and the right operation block (200). Through this, each of the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or each configuration as follows.
먼저, 상기 지지블럭(100)은 가공하고자 하는 연결배관부속(10)의 외면을 가압하여 압착시키는 블럭을 이루는 구성이다.First, the
이와 같은 지지블럭(100)의 내면은 상기 연결배관부속(10)의 외면과 대응되는 원호 형상으로 지지면(110)이 형성되고, 이의 지지면(110)의 중심부는 상기 연결배관부속(10)의 외면과 대응되는 원호 형상으로 돌출(도 5에서 "h" 높이 만큼)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지지면(110)의 양측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면취를 갖는 지지블럭 지지블럭 면취부(120a, 120b)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는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inner surface of the
즉, 상기 지지블럭(100)의 지지면(110)은 상기 연결배관부속(10)의 외면과 대응되도록 상기 연결배관부속(10)의 외경과 같거나, 외경보다 작은 크기로 1차 가공이 이루어지고, 이후 상기 지지면(110)의 양측에는 1차 가공된 지지면(110)의 크기보다 더 큰 크기로 2차 가공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지지면(110)의 중심부가 양측부보다 상기 연결배관부속(10)을 향해서 돌출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That is, the
그리고, 상기 지지면(110)의 양측 모서리와, 전술된 1,2차 가공에서 발생하는 모서리를 라운드지게 면취 작업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chamfer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round the corners of both sides of the
또한, 상기 지지블럭(100)은 둘 이상으로 상호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다음으로, 상기 좌,우측조작블럭(200, 300)은 가압공구(도시는 생략됨)에 의해 상기 지지블럭(100)과 함께 연결배관부속(10)의 외면을 가압하여 압착하도록 연동되는 구성이다.Next, the left and
여기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조작블럭(200)은 상단이 상기 지지블럭(100) 좌측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우측조작블럭(300)은 상단이 상기 지지블럭(100) 우측에 연결 설치된다.Here, as shown in Fig. 1, the upper end of the
이와 함께, 상기 좌,우측조작블럭(200, 300)의 내면에는 상기 지지면(110)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의 조작면(210, 310)이 각각 형성되고, 이의 각 조작면(210, 310)의 중심부는 상기 연결배관부속(10)의 외면과 대응되는 원호 형상으로 각각 돌출(도 5에서 "h" 높이 만큼)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각 조작면(210, 310)의 양측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면취를 갖는 상,하측조작블럭 면취부(220a, 220b, 320a, 320b)가 각각 형성된다. 이는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In addition, an arc-
여기서, 이러한 좌,우측조작블럭(200, 300)도 상기 지지블럭(100)의 지지면(110)의 전술된 가공 방법과 같은 가공 작업을 통해 조작면(210, 310)이 상기 연결배관부속(10)을 향해서 돌출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Here, these left and
또한, 상기 좌,우측조작블럭(200, 300)의 하단에는 가압공구가 파지하는 부위로 제공되도록 파지턱(230, 330)이 각각 연장 형성되어 이루어진다.In addition, gripping
이와 같은 상기 파지턱(230, 330)을 통해 가압공구로 가압할 경우 상기 좌측조작블럭(200)과 우측조작블럭(300)이 서로 접함에 따라 상기 지지면(100)과 조작면(210, 310)이 원형을 이루면서 연결배관부속(10)의 외면을 에두르며 파지와 함께 가압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는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When pressing with a pressing tool through the gripping
또한, 상기 가압블럭(100) 또는 좌,우측조작블럭(200, 300)은 내경에서 외경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게 형성됨과 더불어 점차 넓어지는 각도는 120° 이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지지면(110) 또는 조작면(210, 310)이 상기 연결배관부속(10) 외면에 압착력이 강하게 제공되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다음으로, 상기 블럭힌지(150a, 150b)는 상기 각 블럭(100, 200, 300)이 상호간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공되는 구성으로써, 상기 각 블럭(100, 200, 300)간의 연결부위에 설치된다.Next, the block hinges (150a, 150b) are provided so that the respective blocks (100, 200, 300)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and are installed at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blocks (100, 200, 300) do.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블럭(100)의 좌측단에서 블럭힌지(150a)가 형성되어 상기 좌측조작블럭(200) 상단과 연결되고, 상기 우측조작블럭(300)의 상단에서 블럭힌지(150b)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블럭(100) 우측단과 연결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a
이때, 상기 각 블럭(100, 200, 300)은 연결된 상기 블럭힌지(150a, 150b) 각각의 축을 기준으로 서로 회전 가능하다.At this time, each of the
물론, 상기 지지블럭(100)이 둘 이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경우 상기 둘 이상의 지지블럭(100) 상호간의 결합은 블럭힌지(150a, 150b)로 추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Of course, when the
다음으로, 상기 강제수단(160a, 160b)은 각 블럭(100, 200, 300)을 서로 벌어지도록 강제하거나 혹은, 상기 연결배관부속(10)의 외면을 감싸도록 강제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블럭(100) 상호간 또는 상기 지지블럭(100)과 좌,우측조작블럭(200, 300) 간의 대향면에 설치된다.Next, the forcing means (160a, 160b) is provided to force each block (100, 200, 300) to open each other, or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10). It is installed between the
이와 같은 강제수단(160a, 160b)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블럭(100, 200, 300)간의 대향면 중 상기 블럭힌지(150a, 150b)의 외측에서 각각 형성된다.Such forcing means (160a, 160b) is the outer side of the block hinges (150a, 150b) among the facing surfaces between the blocks (100, 200, 300) as shown in Figs. 1 to 2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is formed from
특히, 상기 강제수단(160a, 160b)은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강제수단(160a)은 상기 좌측조작블럭(200)과 지지블럭(100)이 상기 블럭힌지(150a)를 기준(도 2에서 방향)으로 인장되고, 우측의 강제수단(160b)은 상기 우측조작블럭(300)과 지지블럭(100)이 상기 블럭힌지(150b)를 기준(도 2에서 방향)으로 인장됨으로 상기 좌,우측조작블럭(200, 300)의 두 파지턱(230, 330)은 서로 벌어지게 된다.In particular, the forcing means (160a, 160b) is preferably composed of a tension spring. Accordingly, as shown in FIG. 2, the forcing
여기서, 상기 두 파지턱(230, 330)이 외부의 힘에 의해서 서로 접하게 될 때, 상기 각 강제수단(160a, 160b)이 각각 벌어짐과 더불어 도 2에 도시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인장력이 제공된다.Here, when the two
또한, 상기 각 강제수단(160a, 160b)은 전술된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강제수단(160a, 160b)는 토션스프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forcing means (160a, 160b) is composed of the above-described tension spr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shown in Figure 4, each of the forcing means (160a, 160b) may be configured as a torsion spring. .
이와 같이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된 상기 각 강제수단(160a, 160b)은 블럭힌지(150a, 150b)를 중심으로 에두르며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양 끝단은 상기 지지블럭(100)과 좌,우측조작블럭(300)에 삽입 또는 걸림으로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진다.Each of the forcing means (160a, 160b) composed of a torsion spring is formed in a spiral shape around the block hinges (150a, 150b), and both ends of the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블럭(100) 기준에서 좌측 블럭힌지(150a)에 설치된 상기 강제수단(160a)의 어느 한 측 끝단은 상기 지지블럭(100)에 삽입 또는 걸림으로 설치되고 상기 강제수단(160a)의 다른 한 측 끝단은 상기 좌측조작블럭(200)에 삽입 또는 걸림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블럭(100) 기준에서 우측 블럭힌지(150b)에 설치된 상기 강제수단(160b)의 어느 한 측 끝단은 상기 지지블럭(100)에 삽입 또는 걸림으로 설치되고 상기 강제수단(160b)의 다른 한 측 끝단은 상기 우측조작블럭(300)에 삽입 또는 걸림으로 설치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4, one end of the forcing
한편, 상기 각 블럭(100, 200, 300)은 전술된 상기 각 블럭(100, 200, 30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됨이 가능하다. 이는 상기 각 강제수단(160a, 160b)이 인장스프링의 경우에는 상기 인장스프링의 양 끝단이 설치되도록 상기 지지블럭(100)과 좌,우측조작블럭(200, 300) 간의 대향면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야 하지만, 상기 각 강제수단(160a, 160b)이 토션스프링의 경우에는 상기 토션스프링의 양 끝단이 상기 각 블럭(100, 200, 300)에 삽입 또는 걸림으로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상기 지지블럭(100)과 좌,우측조작블럭(200, 300) 간의 대향면이 형성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Meanwhile, each of the
이로써, 상기 각 강제수단(160a, 160b)의 용도는 변경되지 않음과 더불어 상기 각 블럭(100, 200, 300)이 작게 형성되어 부피가 작음에 따라 무게가 가볍고 제작비용 절감과 더불어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use of each of the forcing means (160a, 160b) is not changed, and the blocks (100, 200, 300) are formed small, so that the weight is light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and in a narrow spac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operation is easy.
다음으로, 상기 고정수단(400)은 상기 좌측조작블럭(200)과 우측조작블럭(300)이 서로 접함을 고정되도록 제공되는 구성으로써 상기 좌측조작블럭(200)과 우측조작블럭(300)의 선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형성된다.Next, the fixing means 400 is a configuration provided to fix the contact of the
이와 같은 상기 고정수단(400)은 좌측조작블럭(200)과 우측조작블럭(300)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고정핀(410)과 상기 고정핀(410)의 한쪽 끝단에는 상기 고정핀(410)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핀힌지(420)가 구성되고 상기 고정핀(410)의 다른쪽 끝단이 접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부착단(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xing means 400 has a fixing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조작블럭(200) 하단의 선단부에 상기 핀힌지(420)가 설치되고, 상기 핀힌지(420)에 회전 가능하게 상기 고정핀(410)이 설치되고, 상기 우측조작블럭(300) 하단의 선단부에는 상기 부착단(430)이 삽입 또는 내장 설치되어 있다.In particula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에 따라, 상기 핀힌지(420)의 기준으로 상기 고정핀(410)이 회전(도 1에서 방향) 가능하고 회전되는 상기 핀힌지(410)의 끝단이 상기 부착단(430)에 접하여 고정된다.Accordingly, the fixing
한편, 상기 고정핀(410)은 금속재질이고 상기 부착단(430)은 자성을 가지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전술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Meanwhile, since the fixing
물론, 상기 핀힌지(420)와 부착단(430)의 설치 위치는 전술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는다.Of course,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압착공구를 이용한 연결배관부속의 압착 과정과 파이프의 연결 과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compressing a connection pipe part and a process of connecting a pipe using a compression tool for connecting a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우선,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강제수단(160a, 160b)의 인장을 통해 벌려진 좌,우측조작블럭(200, 300)의 사이로 서로 다른 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배관부속(10)이 삽입된다.First,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ure 2, a
이때, 상기 연결배관부속(10) 외면의 일부가 지지블럭(100)의 지지면(110)에 맞닿게 됨으로써 압착 작업의 준비가 된다.At this time,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그리고,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조작블럭(200, 300)의 하단에 구성된 두 파지턱(230, 330)을 가압공구(도시는 생략됨)의 조작에 의해 상기 두 강제수단(160a, 160b)이 벌어지게 되고, 상기 지지블럭(100) 및 좌,우측조작블럭(200, 300)은 서로 연결된 두 블럭힌지(150a, 150b)의 축을 기준으로 각각 회전함과 더불어 상기 연결배관부속(10) 외면에 지지면(110)과 각 조작면(210, 310) 순으로 점차 맞닿게 된다.And,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ure 3, the two gripping jaws (230, 330) configured at the bottom of the left and right operation blocks (200, 300) are forced by the operation of a pressing tool (not shown). The
이로써, 상기 가압공구의 계속된 가압으로 상기 연결배관부속(10)의 외면 전체가 상기 연결배관부속(10)의 중심 방향으로 고르게 가압되면서 압착되고, 상기 연결배관부속(10) 내부에 위치하는 파이프도 압착됨으로써 상기 연결배관부속(10)이 파이프와 결속되면서 서로 다른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이때, 상기 연결배관부속(10) 외면 전체 또는, 일부에 상기 각 블럭(100, 200, 300)간의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스크레치나 찍힘 등의 씹히는 현상이 과다하게 발생할 수 있으나, 중심부가 돌출 형성된 상기 각 지지면(110) 및 각 조작면(210, 310)의 양측에 마련된 공간과, 라운드지게 형성된 상기 각 면취부(120a, 120b, 220a, 220b, 320a, 320b) 사이에 상기 연결배관부속(10) 외면이 끼여서 씹히는 현상을 현저하게 떨어뜨릴 수 있음에 따라 압착 연결된 연결배관부속(10) 및 이에 결속되는 파이프의 부식 및 누수 등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각 블럭(100, 200, 300)들은 상기 연결배관부속(10)의 외면을 감싸고 좌측조작블럭(200)에 설치된 고정핀(410)의 회전 조작을 통해 상기 고정핀(410) 끝단을 우측조작블럭(300)의 부착단(430)에 접하여 고정시킴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blocks (100, 200, 300)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10) and rotates the fixing pin (410) installed on the left operation block (200) to close the end of the fixing pin (410). It can be fixed in contact with the
이에 따라, 상기 좌측조작블럭(200)과 우측조작블럭(300)은 서로 접함이 유지됨과 더불어 상기 각 블럭(100, 200, 300)들은 연결배관부속(10)을 감싸고 있는 형태 유지가 지속된다.Accordingly, the
이로써, 상기 가압공구가 제거되어 가압이 해제되었을 경우에 상기 각 블럭(100, 200, 300)들이 상호간 순간 벌어짐을 막음으로 안전성의 효과를 가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pressing tool is removed and the pressurization is released, the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above, and within the technical scope as described above,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10. 연결배관부속
100. 지지블럭
110. 지지면
120a, 120b. 지지블럭 면취부
150a, 150b. 블럭힌지
160a, 160b. 강제수단
200. 좌측조작블럭
210, 310. 조작면
220a, 320a. 상측조작블럭 면취부
220b, 320b. 하측조작블럭 면취부
230, 330. 파지턱
300. 우측조작블럭
400. 고정수단
410. 고정핀
420. 핀힌지
430. 부착단10. Connection piping parts
100. Support block
110. Support surface
120a, 120b. Support block chamfer
150a, 150b. Block hinge
160a, 160b. Forced means
200. Left operation block
210, 310. Operation surface
220a, 320a. Upper operation block chamfer
220b, 320b. Lower operation block chamfer
230, 330. Gripping jaw
300. Right operation block
400. Fixing means
410. Fixing pin
420. Pin Hinge
430. Attachment end
Claims (5)
상기 지지블럭(100)의 좌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내면에는 상기 지지면(110)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의 조작면(210)이 형성되는 좌측조작블럭(200)과;
상기 지지블럭(100)의 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내면에는 상기 지지면(110)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의 조작면(310)이 형성되는 우측조작블럭(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면(110)의 중심부가 상기 연결배관부속(10)의 외면과 대응되는 원호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각 조작면(210, 310)의 중심부가 상기 연결배관부속(10)의 외면과 대응되는 원호 형상으로 각각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압착공구.One or more support blocks 100 surrounding the connection pipe part 10 and having an arc-shaped support surface 110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1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A left operation block 200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eft side of the support block 100 and has an arc-shaped operation surface 210 having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surface 110 form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A right operation block 300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ight side of the support block 100 and has an arc-shaped operation surface 310 having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surface 11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Is achieved by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surface 110 is formed to protrude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10,
A crimping tool for pipe conn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portion of each of the operation surfaces 210 and 310 protrudes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10.
상기 지지면(110)과 조작면(210, 310)의 양측 모서리와, 상기 지지면(110)과 조작면(210, 310)에서 돌출 형성된 중심부의 양측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면취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압착공구.The method of claim 1,
Pipe connection, characterized in that both corners of the support surface 110 and the operation surfaces 210 and 310 and both corners of the center protruding from the support surface 110 and the operation surfaces 210 and 310 are rounded Crimping tool.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블럭(100) 상호간 또는 상기 지지블럭(100)과 좌,우측조작블럭(200, 300)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블럭힌지(150a, 150b)와,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블럭(100) 또는 상기 지지블럭(100)과 좌,우측조작블럭(200, 300)이 상기 블럭힌지(150a, 150b)를 축으로 회전하여 서로 벌어지도록 강제하거나 혹은, 연결배관부속(10)의 외면을 감싸도록 강제하는 강제수단(160a, 160b)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압착공구.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one end of the support block (100) or the left and right operation blocks (200, 300),
Block hinges 150a and 150b for rotatably coupling the one or more support blocks 100 to each other or between the support blocks 100 and the left and right operation blocks 200 and 300, and the at least one support block ( 100) or the support block 100 and the left and right operation blocks 200 and 300 rotate the block hinges 150a and 150b around an axis to force them to open each other, or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ipe part 10 Compressing tool for pipe conn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forcing means (160a, 160b) forcing to wrap.
상기 좌측조작블럭(200)과 우측조작블럭(300)의 선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좌측조작블럭(200)과 우측조작블럭(300)이 서로 접하도록 강제하는 고정수단(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압착공구The method of claim 1,
Fixing means 400 provided at the front ends of the left operation block 200 and the right operation block 300, respectively, and forcing the left operation block 200 and the right operation block 300 to contact each other; further comprising Crimping tool for pipe connection, characterized in that
일단은 상기 좌측조작블럭(200)에 접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우측조작블럭(300)에 접하는 고정핀(410)과;
상기 고정핀(410)의 일단이 상기 좌측조작블럭(200) 또는 우측조작블럭(3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핀힌지(420)와;
상기 고정핀(410)의 다른 일단이 상기 우측조작블럭(300) 또는 좌측조작블럭(200)에 선택적으로 접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부착단(43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압착공구.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xing means (400),
A fixing pin 410 having one end in contact with the left operation block 200 and the other end in contact with the right operation block 300;
A pin hinge 420 that allows one end of the fixing pin 410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left operation block 200 or the right operation block 300;
For pipe conn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figuration comprising a;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in 410 is fixed in contact with the right operation block 300 or the left operation block 200 selectively Crimping too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5850A KR20200122752A (en) | 2019-04-19 | 2019-04-19 | Compression tool for pipe connect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5850A KR20200122752A (en) | 2019-04-19 | 2019-04-19 | Compression tool for pipe connect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2752A true KR20200122752A (en) | 2020-10-28 |
Family
ID=73018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5850A KR20200122752A (en) | 2019-04-19 | 2019-04-19 | Compression tool for pipe connect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22752A (en)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60205B1 (en) | 2002-06-01 | 2004-12-09 | 주식회사 서원기술 | a pipe press tool |
KR100578450B1 (en) | 2003-11-19 | 2006-05-15 | 최종석 | pipe pressing joint |
KR100685802B1 (en) | 2006-09-21 | 2007-02-22 | 주식회사 서원기술 | Pipe press tool |
KR100762293B1 (en) | 2007-03-30 | 2007-10-01 | 주식회사 다성테크 | Apparatus for press-connecting pipes |
KR101034454B1 (en) | 2010-07-29 | 2011-05-17 | 김광찬 | Apparatus for press-connecting pipes |
KR101169664B1 (en) | 2011-10-24 | 2012-08-03 | (주) 대진유압기계 | Pipe jointing tool |
KR20120005930U (en) | 2011-02-15 | 2012-08-23 | 박병옥 | Apparatus for press-connecting pipes |
KR101176001B1 (en) | 2010-02-23 | 2012-08-24 | 주식회사 다성테크 | Device for Pressing and Connecting Pipes |
KR101475375B1 (en) | 2014-06-13 | 2014-12-22 | (주) 신한메탈 | pressing sleeve devices for connecting opposite ends of two pipes |
-
2019
- 2019-04-19 KR KR1020190045850A patent/KR20200122752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60205B1 (en) | 2002-06-01 | 2004-12-09 | 주식회사 서원기술 | a pipe press tool |
KR100578450B1 (en) | 2003-11-19 | 2006-05-15 | 최종석 | pipe pressing joint |
KR100685802B1 (en) | 2006-09-21 | 2007-02-22 | 주식회사 서원기술 | Pipe press tool |
KR100762293B1 (en) | 2007-03-30 | 2007-10-01 | 주식회사 다성테크 | Apparatus for press-connecting pipes |
KR101176001B1 (en) | 2010-02-23 | 2012-08-24 | 주식회사 다성테크 | Device for Pressing and Connecting Pipes |
KR101034454B1 (en) | 2010-07-29 | 2011-05-17 | 김광찬 | Apparatus for press-connecting pipes |
KR20120005930U (en) | 2011-02-15 | 2012-08-23 | 박병옥 | Apparatus for press-connecting pipes |
KR101169664B1 (en) | 2011-10-24 | 2012-08-03 | (주) 대진유압기계 | Pipe jointing tool |
KR101475375B1 (en) | 2014-06-13 | 2014-12-22 | (주) 신한메탈 | pressing sleeve devices for connecting opposite ends of two pip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56982B2 (en) | Thimble with element retaining feature | |
US20070137439A1 (en) | Hose Clamp and Closing Tool | |
CN113227511A (en) | Reinforcing bar coupler | |
KR200486897Y1 (en) | Pipe press tool having a 3-segment structure | |
PL179662B1 (en) | Lever type clamping mechanism and clamp incorporating same | |
KR101568178B1 (en) | Compression Tool For Pipe Connecting | |
JPS63143774A (en) | Wire jointer | |
KR20200122752A (en) | Compression tool for pipe connecting | |
KR101176001B1 (en) | Device for Pressing and Connecting Pipes | |
KR200492515Y1 (en) | Connecting device for piping works | |
KR20120005930U (en) | Apparatus for press-connecting pipes | |
KR20120053691A (en) | Apparatus for press-connecting pipes | |
KR101101752B1 (en) | Apparatus for press-connecting pipes | |
KR101116044B1 (en) | Apparatus for press-connecting pipes | |
KR200492516Y1 (en) | Connecting device for piping works | |
KR200436811Y1 (en) | A pressing device for pipe joint | |
JP4130931B2 (en) | Cylindrical sleeve compression method and compressor for stranded wire | |
KR102027085B1 (en) | A rebar coupler | |
KR200491617Y1 (en) | Connecting device for piping works | |
KR100578450B1 (en) | pipe pressing joint | |
KR102551448B1 (en) | Crimping connector for piping | |
KR200492109Y1 (en) | Connecting device for piping works | |
CN217306921U (en) | Quick dismounting device of connector | |
KR200315763Y1 (en) | Hose connecting device | |
JP3326350B2 (en) | Puller for pulling clam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