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2699A -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에서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에서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2699A
KR20200122699A KR1020190045721A KR20190045721A KR20200122699A KR 20200122699 A KR20200122699 A KR 20200122699A KR 1020190045721 A KR1020190045721 A KR 1020190045721A KR 20190045721 A KR20190045721 A KR 20190045721A KR 20200122699 A KR20200122699 A KR 20200122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present
server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5090B1 (ko
Inventor
박영신
장영주
Original Assignee
(주)굿게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굿게이트 filed Critical (주)굿게이트
Priority to KR1020190045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090B1/ko
Publication of KR20200122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67/3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31Protocols for games, networked simulations or virtual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에서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 디바이스에서 서버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객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추측 항법(Dead Reckoning)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특정 시점에 수신된 상기 객체의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특정 시점 이후 적어도 한 시점에서의 상기 객체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되는 상기 객체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객체가 표시되는 위치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에서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ETERMINING POSITION OF OBJECTS IN EACH DEVICES}
본 발명은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에서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네트워크 환경이 발달하면서, 복수의 디바이스가 서버에 접속하여 동시에 하나의 컨텐츠를 이용하는 형태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관한, 종래 기술의 일 예로서,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에 표시되는 객체의 위치를 동기화시키기 위해 각 디바이스가 서버로부터 객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이 소개된 바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을 비롯하여 지금까지 소개된 기술에 의하면, 네트워크 환경의 불안정, 서버의 과부화, 개발 환경의 제약 등을 이유로 디바이스가 서버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늦게 획득하는 경우, 정보의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 등에는 각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되는 객체의 위치가 불연속적으로 나타나거나 또는 각 디바이스마다 표시되는 객체의 위치 편차가 커지는 현상이 있는 실정이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42612호 (2007. 7. 19)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디바이스에서 서버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객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추측 항법(Dead Reckoning)을 이용하여, 위의 제1 디바이스에서 특정 시점에 수신된 객체의 위치 정보로부터 위의 특정 시점 이후 적어도 한 시점에서의 객체의 위치를 추정하고, 위의 추정되는 객체의 위치에 기초하여 위의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위의 객체가 표시되는 위치를 갱신함으로써,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에서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에서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 디바이스에서 서버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객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추측 항법(Dead Reckoning)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특정 시점에 수신된 상기 객체의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특정 시점 이후 적어도 한 시점에서의 상기 객체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되는 상기 객체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객체가 표시되는 위치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에서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제1 디바이스에서 서버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객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 추측 항법(Dead Reckoning)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특정 시점에 수신된 상기 객체의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특정 시점 이후 적어도 한 시점에서의 상기 객체의 위치를 추정하는 위치 추정부, 및 상기 추정되는 상기 객체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객체가 표시되는 위치를 갱신하는 위치 갱신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디바이스에서 서버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객체의 위치 정보를 늦게 획득하거나 또는 정보의 손실이 발생하는 등의 경우에도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에서 객체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제1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되는 객체를 버벅거림 또는 끊김이 없이 연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자연스러운 멀티 플레이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디바이스에서 서버 또는 다른 디바이스부터 객체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주기를, 제1 디바이스, 서버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개발 환경에 의하여 제공되는 동기화 주기보다 길게 함으로써 서버 또는 다른 디바이스의 연산 로드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위치 결정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의 실제 이동 경로와 추측 항법(Dead Reckoning)을 이용하여 추정된 객체의 추측 경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객체 위치 결정 시스템(200) 및 서버 또는 디바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00)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과 같은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통신망(100)은 공지의 인터넷 또는 월드 와이드 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다. 그러나, 통신망(100)은, 굳이 이에 국한될 필요 없이, 공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공지의 전화망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을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위치 결정 시스템(200)은 제1 디바이스에서 서버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객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추측 항법(Dead Reckoning)을 이용하여, 위의 제1 디바이스에서 특정 시점에 수신된 객체의 위치 정보로부터 위의 특정 시점 이후 적어도 한 시점에서의 객체의 위치를 추정하고, 위의 추정되는 객체의 위치에 기초하여 위의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위의 객체가 표시되는 위치를 갱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객체 위치 결정 시스템(200)의 구성과 기능에 관하여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또는 디바이스(300)는 객체 위치 결정 시스템(2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스마트 글래스,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서버 또는 디바이스(300)로서 채택될 수 있다.
특히, 서버 또는 디바이스(300)는, 객체 위치 결정 시스템(200)으로부터 게임 등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미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은 객체 위치 결정 시스템(200) 또는 공지의 웹 서버(미도시됨)로부터 다운로드된 것일 수 있다.
객체 위치 결정 시스템의 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객체 위치 결정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과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위치 결정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위치 결정 시스템(200)은, 위치 정보 획득부(210), 위치 추정부(220), 위치 갱신부(230), 통신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 획득부(210), 위치 추정부(220), 위치 갱신부(230), 통신부(240) 및 제어부(25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외부의 시스템과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객체 위치 결정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객체 위치 결정 시스템(2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객체 위치 결정 시스템(200)에 관하여 위와 같이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고, 객체 위치 결정 시스템(200)의 구성요소 또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외부 시스템(미도시됨) 내에서 실현되거나 외부 시스템 내에 포함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의 실제 이동 경로와 추측 항법(Dead Reckoning)을 이용하여 추정된 객체의 추측 경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획득부(210)는, 제1 디바이스에서 서버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객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획득부(210)는, 독립적인 서버로부터 주기적(예를 들면, 1/n초당 1회)으로 수신되는 객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고, 호스트(Host)로서 서버 역할을 수행하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객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의 위치 정보에는 객체의 좌표, 방향, 속력 등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획득부(210)는, 제1 디바이스에서 서버 또는 다른 디바이스부터 객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주기를, 제1 디바이스, 서버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개발 환경에 의하여 제공되는 동기화 주기보다 긴 주기로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획득부(210)는, 제1 디바이스에서 서버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객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주기를, 제1 디바이스, 서버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개발 환경에 의하여 제공되는 동기화 주기(예를 들면, 1/n초당 1회)보다 긴 주기(즉, 1/m초당 1회, 여기서 m은 0 < m < n 을 만족하는 실수)로 획득함으로써 서버 또는 다른 디바이스의 연산 로드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획득부(210)는, 제1 디바이스에서 서버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객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주기를, 제1 디바이스, 서버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Unity(게임 엔진의 일종)에 의하여 제공되는 최단 동기화 주기인 1/29초당 1회보다 긴 주기(예를 들면, 1/10초당 1회)로 수신되는 객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서버 또는 다른 디바이스의 연산 로드를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추정부(220)는, 추측 항법(Dead Reckoning)을 이용하여, 제1 디바이스에서 특정 시점에 수신된 객체의 위치 정보로부터 그 특정 시점 이후 적어도 한 시점에서의 객체의 위치를 추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추정부(220)는, 위치 정보 획득부(210)에 의해 객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 제1 시점(410)부터 그 다음에 그 객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게 될 제2 시점(420)까지의 시간 동안에 제1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되는 그 객체의 위치를, 제1 시점(410)의 객체의 위치 정보로부터 추측 항법(Dead Reckoning)을 이용하여 추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정되는 객체의 위치에는 객체의 좌표, 방향, 속력 등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객체 위치 결정 시스템(200)에 의해 기설정된 동기화 주기가 1/n초당 1회인 경우에, 위치 정보 획득부(210)에 의해 객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 제1 시점(410)부터 그 다음에 그 객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게 될 제2 시점(420)까지의 시간에 해당하는 1/n초 동안에 제1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되는 그 객체의 위치를, 제1 시점(410)의 객체의 위치 정보로부터 추측 항법(Dead Reckoning)을 이용하여 추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갱신부(230)는, 위치 추정부(220)에 의해 추정되는 객체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에 의해 그 객체가 표시되는 위치를 갱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갱신부(230)는, 위치 정보 획득부(210)에 의해 객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 제1 시점(410)부터 그 다음에 그 객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게 될 제2 시점(420)까지의 시간 동안에 그 객체가 제1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되는 위치를, 위치 추정부(220)에 의해 추정되는 그 객체의 위치에 기초하여 갱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갱신부(230)는, 위치 정보 획득부(210)에 의해 객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 제1 시점(410)과 그 다음에 그 객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게 될 제2 시점(420)에 그 객체가 제1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되는 위치를, 각각 제1 시점(410)의 위치 정보와 제2 시점(42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갱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갱신부(230)는, 제1 디바이스에서 서버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객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소정의 주기마다 통일된 위치 정보로 그 객체의 위치를 갱신하게 되므로, 위치 추정부(220)에 의해 그 객체의 위치가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에서 다르게 추정되더라도 그 소정의 주기마다 그 객체의 위치가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에서 동기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갱신부(230)는, 제1 디바이스에서 서버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객체의 위치 정보 및 위치 추정부(220)에 의해 추정되는 그 객체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에 의해 그 객체가 표시되는 위치를 갱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갱신부(230)는, 제1 디바이스에서 서버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객체의 위치 정보와 위치 추정부(220)에 의해 추정되는 그 객체의 위치의 편차가 소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 위의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객체의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와 위의 추정되는 위치를 모두 참조하여 제1 디바이스에 의해 그 객체가 표시되는 위치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갱신부(230)는, 제1 디바이스에서 서버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객체의 위치 정보와 위치 추정부(220)에 의해 추정되는 그 객체의 위치의 편차가 소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 그 객체의 위치 정보에 포함되는 좌표와 그 객체의 추정되는 위치에 포함되는 좌표의 중간 값을 그 객체의 좌표로 설정하여 제1 디바이스에 의해 그 객체가 표시되는 위치를 갱신함으로써 그 객체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표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40)는 위치 정보 획득부(210), 위치 추정부(220), 위치 갱신부(230)로부터의/로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50)는 위치 정보 획득부(210), 위치 추정부(220), 위치 갱신부(230) 및 통신부(24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50)는 객체 위치 결정 시스템(200)의 외부로부터의/로의 데이터 흐름 또는 객체 위치 결정 시스템(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위치 정보 획득부(210), 위치 추정부(220), 위치 갱신부(230) 및 통신부(24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통신망
200: 객체 위치 결정 시스템
210: 위치 정보 획득부
220: 위치 추정부
230: 위치 갱신부
240: 통신부
250: 제어부
300: 서버 또는 디바이스
410: 제1 시점
420: 제2 시점

Claims (5)

  1.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에서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 디바이스에서 서버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객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추측 항법(Dead Reckoning)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특정 시점에 수신된 상기 객체의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특정 시점 이후 적어도 한 시점에서의 상기 객체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되는 상기 객체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객체가 표시되는 위치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단계에서, 상기 객체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는 주기는 상기 제1 디바이스, 상기 서버 또는 상기 다른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개발 환경에 의하여 제공되는 동기화 주기보다 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단계에서, 상기 객체가 표시되는 위치는 상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객체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추정되는 상기 객체의 위치에 기초하여 갱신되는
    방법.
  4. 제1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5.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에서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제1 디바이스에서 서버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객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
    추측 항법(Dead Reckoning)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특정 시점에 수신된 상기 객체의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특정 시점 이후 적어도 한 시점에서의 상기 객체의 위치를 추정하는 위치 추정부, 및
    상기 추정되는 상기 객체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객체가 표시되는 위치를 갱신하는 위치 갱신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190045721A 2019-04-18 2019-04-18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에서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285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721A KR102285090B1 (ko) 2019-04-18 2019-04-18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에서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721A KR102285090B1 (ko) 2019-04-18 2019-04-18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에서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699A true KR20200122699A (ko) 2020-10-28
KR102285090B1 KR102285090B1 (ko) 2021-08-03

Family

ID=73018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721A KR102285090B1 (ko) 2019-04-18 2019-04-18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에서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09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612B1 (ko) 2005-08-19 2007-07-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추측 항법과 지피에스를 이용한 복합 항법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58946A (ko) * 2010-11-30 2012-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JP2013511727A (ja) * 2009-11-18 2013-04-04 ク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ワイヤレス信号を使用した位置判断
KR20130077417A (ko) * 2011-12-29 2013-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정보에 기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3160566A (ja) * 2012-02-02 2013-08-19 Yokosuka Telecom Research Park:Kk 測位装置及び測位プログラム
KR20160040867A (ko) * 2014-10-06 2016-04-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추측 항법과 gps를 이용한 복합 항법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612B1 (ko) 2005-08-19 2007-07-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추측 항법과 지피에스를 이용한 복합 항법 장치 및 그 방법
JP2013511727A (ja) * 2009-11-18 2013-04-04 ク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ワイヤレス信号を使用した位置判断
KR20120058946A (ko) * 2010-11-30 2012-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KR20130077417A (ko) * 2011-12-29 2013-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정보에 기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3160566A (ja) * 2012-02-02 2013-08-19 Yokosuka Telecom Research Park:Kk 測位装置及び測位プログラム
KR20160040867A (ko) * 2014-10-06 2016-04-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추측 항법과 gps를 이용한 복합 항법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5090B1 (ko) 202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0026B2 (en) Conditional modification of augmented reality object
US10474693B2 (en) Resolving conflicts within saved state data
US10127294B2 (en) Idempotency of application state data
WO2018028566A1 (zh) 虚拟对象的移动同步方法、客户端、服务器及存储介质
CN105008858A (zh) 用于室内定位的圈内用户架构
WO2018201935A1 (zh) 多化身位置同步系统、方法、装置及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9797738B2 (en) Navigating with a camera device
US20190137292A1 (en) Routing to locations with multiple entrances
WO2016047999A2 (ko) 방향 예측을 이용한 저 레이턴시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85090B1 (ko)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에서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11027495A (zh) 用于检测人体关键点的方法和装置
US8725799B2 (en) Server-side timing estimation of client-side actions
CN106802856B (zh) 游戏应用程序的性能测试方法、服务器和游戏应用客户端
CN112527943B (zh) 地图渲染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1158821B (zh) 一种任务处理的方法和装置
CN107844989B (zh) 一种vr体验中心的推荐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US20230074714A1 (en) Optimization of Resource Usage in Cross-Reality Sessions
JP2018143475A (ja) 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CN113786612A (zh) 一种环境装饰物的展示方法、装置和系统
CN116685380A (zh) 在多人在线视频游戏中对多个对象中的单独对象的改进瞄准
CN114210066A (zh) 应用于服务器的虚拟对象位置同步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020014715A (ja) 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及びビデオゲーム処理システム
US20140253571A1 (en) Mobile device with context specific transformation of data items to data im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