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2524A -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제퇴기 탈거 방법 - Google Patents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제퇴기 탈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2524A
KR20200122524A KR1020190045315A KR20190045315A KR20200122524A KR 20200122524 A KR20200122524 A KR 20200122524A KR 1020190045315 A KR1020190045315 A KR 1020190045315A KR 20190045315 A KR20190045315 A KR 20190045315A KR 20200122524 A KR20200122524 A KR 20200122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line
machine
assembly
support
rota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8968B1 (ko
Inventor
임병업
박병화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육군참모총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육군참모총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육군참모총장)
Priority to KR1020190045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968B1/ko
Publication of KR20200122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5/00Gun mountings permitting recoil or return to battery, e.g. gun cradles; Barrel buffers or brakes
    • F41A25/26Assembling or dismounting recoil eleme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1/00Barrels; Gun tubes; Muzzle attachments; Barrel mounting means
    • F41A21/32Muzzle attachments or glands
    • F41A21/36Muzzle attachments or glands for recoil reduction ; Stabilisators; Compensators, e.g. for muzzle climb preven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제퇴기 탈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착된 화포 제퇴기(100)와 상호 결합하여 제퇴기(100)를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축 결합체(200), 회전축 결합체(200)를 타격하여 회전에 필요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타격기구(300)를 포함하는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제퇴기 탈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제퇴기 탈거 방법{Cannon Muzzle Brake Separation Tool and the Muzzle Brake S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포 제퇴기의 탈거 기구에 대한 것으로 화포의 기능유지를 위한 각종 정비 시 반드시 탈거해야 하는 구성인 제퇴기를 탈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탈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군에서 운용하는 장비 중 화포(견인/자주포)는 유사시(전시/적 도발 등) 즉각적인 대응 태세를 위하여 100% 가동률을 상시 유지해야 하며 가동률에 따라서 작전 성패가 가늠된다.
화포 제퇴기는 포 사격 시 발생하는 반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포신 끝에 설치한 장치로서 탄두를 추진하는 가스가 제퇴기의 조절판에 충돌하게 됨으로써 포신의 주퇴력을 감소시키는 장치이다. 무게는 약 100kg 이상이며 포구 제퇴기 또는 포구 제동기라고도 한다.
제퇴기는 화포 정비 시 포신 결합체 제거를 위하여 반드시 탈거해야 할 구성이다. 정상적인 상태의 제퇴기는 정비요원 4명이 지렛대를 활용하여 약 15분 이내에 탈거하는 것이 가능하며 여타 다른 제퇴기 제거 기구 또는 방법은 특별하게 정해진 것이 없거나 여타 다른 문제점들로 인하여 거의 실시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제퇴기 제거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화포를 외부에서 운용하기 때문에 습기나 기타 환경의 영향으로 금속 재질의 제퇴기의 녹 발생으로 인하여 회전부가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인 세척활동을 실시해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이러한 주기적 예방활동에는 한계가 존재하며 녹이 슨 경우라도 제퇴기 본연의 기능 자체에는 이상이 없어 화포 운용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중요성이 낮아 보이는 구성이므로 이러한 문제는 고질화 되어 있다.
유사 시, 훈련 시 또는 정비 시 포신결합체를 교환하여야 하는데 내부 부식으로 인하여 제퇴기가 고착된 경우 정해진 기준 시 이내에 포신결합체를 교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제퇴기의 고착화 여부가 포신결합체 교환 가부를 결정하는데 핵심이 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나 공장시설과 같은 경우 다양한 기구를 사용하여 교환이 가능하더라도 이러한 시설이 갖춰져 있지 않은 야전과 같은 경우 교환이 불가능 하다.
최근 견인화포 정비 입고 장비 대부분이 제퇴기가 고착된 상태로 입고 되고 있다. 도 19를 참고하면 고착상태가 과도한 제퇴기의 경우 정상적인 방법으로 탈거가 불가하여 굴삭기 등 중장비를 동원하여 탈거를 시도할 경우에도 과다한 시간이 소요됨을 알 수 있다. 또한 고착된 제퇴기로 인하여 ‘주포 포신/주퇴장치’에 소요되는 정비인시가 과도하다. 또한 도 20을 참고하면 안전저해요소 식별에 따른 위험성 평가 결과, 작업 허용 불가능 판정의 위험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착된 제퇴기를 중장비 또는 그에 준하는 힘으로 안정적으로 충격하여 탈거할 수 있고, 인원 및 장비에 대하여 안전저해요소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저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사용이 간편하여 간단한 교육만으로 누구나 사용이 가능한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 및 방법의 제공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기존 탈거 방법 대비 탈거 시간이 대폭 단축되며, 사용 후 저장 및 훈련 등 유사시 이동이 간편한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는 회전축(210), 회전력 전달판(220)을 포함하는 회전축 결합체(200)로써 화포 제퇴기(100)를 고정하고, 타격기구(300)로써 회전축(210)에 구비된 회전축 날개(211)를 특정 방향으로 타격하여 회전축 결합체(200)의 회전을 통하여 화포 제퇴기(100)를 회전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214) 및 회전축 결합부(221) 형태가 서로 결속 가능한 다각형 돌기 및 구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는 클램프(230), 회전축 핸들(240)을 더 포함하고, 클램프(230), 회전축 핸들(240)로써 회전축 결합체(200)와 제퇴기(100)에 압력을 제공하여 강하게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는 회전축 날개(211) 가장자리에 경사가 형성되어 다양한 각도에서 타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타격기구(300) 말단에 구비된 오목한 홈(310)이 타격부를 형성하여 회전축 날개(211)를 효과적으로 타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는 지렛대(400)를 더 포함하고, 회전력 전달판(220)은 지렛대 삽입관(222)을 더 구비하며, 축대(213)의 연결부(214)는 지렛대 고리(215)를 더 구비하여, 제퇴기(100)에 지렛대(400)를 삽입 및 고정할 수 있으며, 제퇴기(100)에 회전력을 보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는 타격기구(300) 및 회전축 날개(211)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체를 더 구비하여, 탄성력을 제공하여 타격력을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는 도르래 결합체를 더 포함하고, 타격기구(300)를 무게추(301)로 하여, 중력을 이용하여 회전축 날개(211)를 타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는 가이드라인 결합체(600)를 더 포함하고, 고정 도르래 지지대(520)는 가이드라인 결속부(523)를 더 포함하고, 무게추(301)는 측면에 가이드라인 와이어 체결부(330)를 더 포함하여, 가이드라인으로써 무게추(301)의 타격 시 경로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축 날개(211)는 가이드라인 와이어(620)가 통과할 수 있는 와이어 클립(21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라인 지지대는 가이드라인 고리를 구비한 이동식 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이동식 프레임의 위치를 이동하여 가이드라인 와이어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포신 지지대(700)를 더 포함하여 타격기구(300)의 타격 시 포신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포신 지지대(700)의 하부 프레임(720)에 추가 프레임 및 스톱퍼를 더 포함하여 포신 지지대(70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거상 갈고리 결합체(800)를 더 포함하고, 거상 갈고리 결합체(800)는 제퇴기(100)를 감싸서 고정하는 제퇴기 고정링(810) 및 갈고리 지지대(820)를 포함하여, 탈거된 제퇴기(100)를 완전 탈거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화포 제퇴기(100) 탈거 방법은 화포 제퇴기(100)에 회전축 결합체(200)를 결합 및 설치하는 회전축 결합체 설치 단계(S200), 타격기구(300)로써 회전축 날개(211)를 타격하여 회전축 결합체(200) 및 이에 결합된 제퇴기(100)를 회전시키는 타격단계 및 회전된 제퇴기(100)를 포신에서 완전히 탈거시키며 제퇴기(100)를 제거하는 제퇴기 완전 탈거 및 제퇴기 제거 단계(S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타격기구(300)를 이동시켜 타격기구(300)의 경로를 타격점인 회전축 날개(211)를 타격하도록 조정하는 타격기구 경로 조정 단계(S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축 결합체(200)에 지렛대(400)를 결합시키는 지렛대 결합 단계(S300)를 더 포함하며, 지렛대 결합 단계(S300)는 지렛대(400)를 회전축 결합체(200)의 회전력 전달판(220)에 삽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제퇴기 완전 탈거 및 제퇴기 제거 단계(S900)는 지렛대(400)를 이용하여 제퇴기(100)를 회전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포신 지지대(700)를 포신 하부에 설치하는 포신 지지대 설치 단계(S100)를 포함하며, 포신 지지대 설치 단계(S100)는 포신 지지대(700) 운반 및 이동 과정 및 포신 받침부(710) 및 하부 지지대 결합 설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도르래 결합체(500)를 설치하는 고정 도르래 결합체 설치 단계(S400)를 더 포함하고, 고정 도르래 결합체 설치 단계(S400)는 고정 도르래 지지대 거상 및 도르래 와이어 결속 단계를 포함하며, 타격 단계(S700)는 고정 도르래를 이용한 무게추(301) 거상 및 자유낙하를 통한 회전축(210) 타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라인 결합체(600)를 설치하는 가이드라인 결합체 설치 단계(S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라인 결합체 설치 단계(S500)는 지면에 가이드라인 프레임(610)을 설치 및 고정 하는 과정 및 가이드라인 프레임(610)에 구비된 가이드라인 고리(611) 및 상기 고정 도르래 지지대(520)에 구비된 가이드라인 결속부(523) 상호를 가이드라인 와이어(620)로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라인 와이어(620)를 다른 위치의 가이드라인 고리(611)에 결속하여 가이드라인 경로를 조정하여 무게추(301)의 경로를 수정하는 가이드라인 경로 조정 단계(S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거상 갈고리 결합체(800)를 설치하는 거상 갈고리 결합체 결합 단계(S800)를 더 포함하고, 거상 갈고리 결합체 결합 단계(S800)는 제퇴기 고정링(810)을 개방하여 제퇴기(100)의 포신 측 말단을 원주 방향으로 감싸도록 한 뒤 제퇴기 고정링(810)을 폐쇄 및 잠금장치(812)로 고정하는 과정, 갈고리 지지대(820)의 전방 갈고리(822)를 제퇴기(100)의 화구 측 말단에 거치하여 갈고리에 구비된 롤러를 이용하여 무게중심을 맞추는 과정 및 갈고리 지지대(820)에 구비된 후방 갈고리(823)를 제퇴기 고정링(810) 상단에 구비된 상단 구멍(811)에 결합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제퇴기 완전 탈거 및 제퇴기 제거 단계(S900)는 설치가 완료된 거상 갈고리 결합체(800)를 갈고리 지지대(820) 상단에 구비된 지지대 상단 고리(821)를 이용하여 거상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착된 제퇴기(100)를 중장비, 과도한 인력 또는 시간을 들이지 않고도 안전하고 신속하게 탈거할 수 있다.
본원 발명 사용 전과 후의 고착된 제퇴기 탈거 시간 분석 결과 탈거에 필요한 정비인시가 크게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안전성의 경우 도 24의 결과를 참조하면 위험성 평가의 결과가 6등급의 매우 낮은 위험성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 핸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격기구(무게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렛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도르래 지지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라인 지지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라인 고정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신 지지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퇴기 고정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상 갈고리 지지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상 갈고리 결합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포 제퇴기 탈거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포 제퇴기 탈거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개선 전 고착된 제퇴기 탈거 시간 요약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개선 전 고착된 제퇴기 탈거 시 안전저해요소 식별에 따른 위험성 평가자료 도면이다.
도 21은 개선 후의 고착된 제퇴기 탈거 시간 요약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개선 전/후의 고착된 제퇴기 탈거에 소요되는 시간을 T-검정을 통하여 비교한 도면이다.
도 23은 개선 후 고착된 제퇴기 탈거 시 안전저해요소 식별에 따른 위험성 평가자료 도면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1)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
도 1 내지 도 16은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의 각 구성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출원의 화포 제퇴기 탈거기구는 크게 화포 제퇴기(100)에 결합되어 제퇴기(100)를 회전시켜 탈거가 가능하게 하는 회전축 결합체(200) 및 회전축 결합체(200)를 타격하여 회전력을 공급하는 타격기구(300)를 포함한다. 또한 회전축 결합체(200)를 제퇴기(100)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지렛대 원리를 통하여 제퇴기(100)를 회전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지렛대(400), 타격기구(300)를 중력을 이용하여 상하운동 시켜 타격하도록 돕는 도르래 결합체(500), 타격기구(300)의 운동 경로를 일정하게 하여 정확하고 안정성 있는 타격을 돕는 가이드라인 결합체(600), 탄성력을 이용하여 타격을 돕는 탄성체 및 타격 시 포신(010)이 고정되게 하여 타격력이 그대로 제퇴기(100) 회전에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포신 지지대(700) 또는 회전이 완료된 제퇴기(100)를 완전 탈거 및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퇴기(100)를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거상 갈고리 결합체(8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은 회전축 결합체(200)의 각 구성에 대한 도면이며, 도 7은 타격기구(300), 구체적으로는 본 출원 발명의 일 실시예인 무게추(301)의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회전축 결합체(200) 및 타격기구(300)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 결합체(200)는 회전축(210) 및 회전력 전달판(220) 및 클램프(230), 회전축 핸들(240) 및 와셔(2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 회전축(210)을 나타낸 도면이다. 회전축(210)은 방사형으로 뻗어 나오는 회전축 날개(211)와 회전축 날개(211)의 중심으로부터 수직하는 일 방향으로 뻗어 나오는 회전축 축대(213) 및 회전축 축대(213)의 회전축 날개(211) 반대측 말단에 위치한, 회전력 전달판(220)에 결속할 수 있는 연결부(214)를 구비한다. 연결부(214)는 회전력 전달판(220)에 결속이 가능한 형태라면 실시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연결을 통하여 회전축(210)의 회전력이 회전력 전달판(220) 및 제퇴기(100)에 전달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14)는 다각형 또는 그와 유사한 형태의 돌기로서 회전력 전달판(220)에 형성된 회전축 결합부(221)에 삽입되어 결속되며, 회전력을 전달한다.
또한 회전축 축대(213) 또는 축대에 형성된 연결부(214)에 지렛대(400)를 삽입할 수 있는 지렛대 고리(2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지렛대 고리(215)는 동시에 상기 연결부(214)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회전축(210)의 재질은 타격기구(300)의 타격에도 손상이 되지 않을 수 있도록 강도 있는 금속이 적합하나 기타 적합한 공지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 날개(211)는 가장자리에 경사가 형성된 것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회전축(210)의 회전에 의한 회전축 날개(211)의 각도가 변하더라도 타격점에 타격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해당 경사의 각도는 반드시 45도일 필요는 없고, 회전축 날개(211) 타격에 적당한 각도라면 실시 가능하며, 45도가 적당하다. 또한 특정 각도가 아닌 곡선 형태로 구부러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210) 말단에 가이드라인 와이어(620)가 통과할 수 있는 와이어 클립(216)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는 타격기구(300)의 경로이탈을 방지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가이드라인 와이어(620)에 대하여는 추후 가이드라인 결합체(600)와 함께 설명한다.
도 3은 회전력 전달판(220)의 도면이다. 회전력 전달판(220)은 회전축(210)과 결합하여 회전축(210)의 회전력을 제퇴기(100)에 전달한다. 회전력 전달판(220)은 제퇴기(100) 측면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제퇴기(100)에 삽입되어 결합하고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형태라면 실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판(220)은 판형의 부재이며, 상기 회전축 연결부(214)를 결속할 수 있는 회전축 결합부(221)을 구비한다. 회전력 전달판(220)의 형태는 회전축 결합부(221)는 상기 연결부(214)와 유사한 형태 또는 결속 및 회전력 전달에 적합한 형상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태는 연결부(214)의 양 측면과 밀착할 수 있게 삽입할 수 있는 구멍으로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회전축(210)의 회전력이 회전력 전달판(220) 및 제퇴기(100)에 그대로 전달된다. 또한 회전력 전달판(220)은 지렛대(400)를 삽입할 수 있는 지렛대 삽입관(2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력 전달판(220)은 회전축(210)과 결합하여 제퇴기(100)를 고정하며, 회전축(210)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하여 회전력을 제퇴기(100)에 전달하여 제퇴기(100)가 회전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230)를 도시한 것이다. 클램프는 C형 클램프(C-clamp) 또는 평형 클램프(parallel clamp)와 유사한 형태가 적절하며 제퇴기(100)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패드(231) 및 걸림패드(231)와 평행하게 형성된 중심에 볼트 구멍(233)이 형성되며 누르는 압력으로 제퇴기(100)와 회전축 결합체(200)를 결합시키기 위한 누름판(232) 및 누름판(232)에 형성된 클램프 경첩(235)과 걸림패드(231) 사이를 연결하는 클램프 다리(234)로 구성된다. 이때 걸림패드(231)는 클램프 경첩(235)이 열리면서 각도가 변함에도 고정 효과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면 또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이며 기타 제퇴기(100)에 결합하는 데에 적합한 공지의 형태의 클램프를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회전축 핸들(240)의 도면이다. 회전축 핸들(240)은 볼트부(241) 및 상기 볼트부(241)와 수직으로 형성된 손잡이(242)를 구비하며, 볼트부(241)로써 회전축(210)과 결합하며 클램프(230)에 압력을 전달하며 손잡이(242)로써 나사결합을 위한 회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회전축 와셔(250)의 도면으로서, 회전축 와셔(250)는 평와셔가 적합하며 상기 클램프 누름판(232) 및 회전축 핸들(240) 사이에 위치하여 나사의 손상을 방지하고 나사 결합을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는 기타 적합한 공지의 와셔로 대체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회전축 결합체(200) 구성 일체 및 화포 제퇴기(100)의 결합관계는 다음과 같다.
회전축(210)을 제퇴기(100)의 화구 측 말단에 축대(213)를 화구와 동축으로 하여 삽입한다. 회전력 전달판(220)은 상기 제퇴기(100)의 포신 측 말단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제퇴기(100) 측면을 관통하는 구멍에 삽입된다. 이 때 회전축 축대(213)에 형성된 연결부(214)가 회전력 전달판(220)의 회전축 결합부(221)에 삽입되며 회전축(210)과 회전력 전달판(220)이 결합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렛대 삽입관(222) 및 지렛대 고리(215)를 구비한 경우 지렛대 삽입관에 수직으로 형성된 틈(223)에 지렛대 고리(215)를 삽입하여 지렛대 삽입관(222)과 지렛대 고리(215)에 동축으로 지렛대(400)를 삽입하여 회전축(210)과 회전력 전달판(220)의 결합을 견고히 하는 동시에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제퇴기(10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퇴기(100)와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클램프(230), 와셔(250) 및 회전축 핸들(240)을 함께 결합할 수 있다. 클램프(230)는 회전축 날개(211)와 회전축 핸들(240)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연결되며 구체적으로는 걸림패드(231)가 제퇴기(100) 화구 측에 걸린 상태로 고정되며 회전축 핸들(240)의 볼트부(241)를 와셔(250), 누름판(232)에 형성된 볼트 구멍(233) 및 회전축(210)의 나사 구멍(212)에 순차적으로 삽입하도록 위치시킨 후 볼트부(241)를 삽입 및 상기 나사 구멍(212)과 나사 결합을 통하여 결속시킨다. 이때 나사를 조임으로써 발생되는 압력이 누름판(232)에 전달되며 순차적으로 회전축(210)을 압박하며, 그 압력이 회전축 축대(213)를 통하여 회전력 전달판(220)까지 전달되므로 이를 통하여 회전축 결합체(200)가 제퇴기(100)에 단단히 결속된다. 이를 통하여 회전축 결합체(200)가 회전함에 따라 그 회전력을 제퇴기(100)에 적절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 결합체(200)와 제퇴기(100)의 결합은 기타 적당한 공지의 구성 또는 방법으로 대체할 수 있다.
도 7은 타격기구(300) 및 타격기구(300)의 본 출원에 따른 일 실시예인 무게추(301)에 관한 도면으로서, 타격기구(300)에 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타격기구(300)는 회전에 필요한 회전력을 타격에 의하여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해머, 타격구, 무게추 또는 기타 타격에 적당한 공지의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타격기구(300)는 회전축 날개(211)를 타격하며, 타격 방향은 상하좌우 적절한 방향 및 지점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타격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으로는 인력(人力), 중력, 전력, 자기력 또는 기타 적당한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격기구(300)는 무게추(301)가 될 수 있으며 무게추(301)는 중력을 이용하여 타격력을 전달하며 또한 기타 다른 공지의 구성을 이용하여 타격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무게추(301)의 상단에는 와이어를 결합할 수 있는 결속부(320)를 구비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타격기구의 타격부위는 말단에 오목한 홈(31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회전축 날개(211)를 타격할 경우 오목한 구조를 통하여 타격점 이탈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후술할 가이드라인 결합체(600)를 사용하는 경우 타격기구(300)는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라인 와이어 체결부(3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라인 체결부는 가이드라인이 관통할 수 있게 고리 내지는 관 형태가 적당하다.
추가로 타격기구(300)에 탄성체를 결합할 수 있다. 탄성체를 타격기구(300) 및 타격부 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 날개(211) 또는 가이드라인 지지대 등의 부재에 결합하여 타격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타격력을 높여 효과적으로 제퇴기(100)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타격기구(300)의 타격부에 결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타격시 탄성체의 변형을 통한 탄성력에 의하여 타격을 도울 수 있으며, 타격기구(300)의 원상복구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고, 효율적인 타격운동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지렛대(400)의 도면이다. 지렛대(400)는 회전력 전달판(220)의 지렛대 삽입관(222)에 삽입된다. 지레의 원리로써 회전력 전달판(220) 및 이에 결합된 제퇴기(100)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부가하도록 한다.
도 9는 고정 도르래 결합체(500)의 구성 일부인 고정 도르래 지지대(520)를 도시한 것이다. 고정 도르래 결합체(500)의 경우 제퇴기(100) 타격에 필요한 타격력을 중력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데에 이용된다. 고정 도르래 결합체(500)는 도르래 와이어(510) 및 고정 도르래 지지대(52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도르래는 고정 도르래를 사용하고, 타격기구(300)는 무게추(301)가 적당하다.
고정 도르래 지지대(520)는 상단에 호이스트 고정 고리(521)를 구비하며 하단에는 도르래 와이어 삽입부(522)를 구비한다. 또한 후술할 가이드라인을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가이드라인 결속부(5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도르래 지지대(520)는 상단에 구비된 호이스트 고정 고리(521)로써 공중에 고정되며 고정 도르래 지지대(520) 하단의 도르래 와이어 삽입부(522)에 도르래 와이어(510)를 삽입하여 도르래로써 작동한다. 이를 통하여 상기 무게추(301) 상단에 형성된 결속부(320)를 이용하여 와이어에 연결, 무게추(301)를 도르래에 매달아 무게추(301)를 들어 올리며 중력을 이용한 무게추(301)의 낙하운동을 통하여 회전축 날개(211)를 타격하고 이는 회전력으로 변환되어 상기 회전축 결합체(200)가 회전하게 되며 이는 상기 제퇴기(100)를 회전하도록 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각각 가이드라인 결합체(600)의 구성 일부인 가이드라인 프레임(610), 이동식 프레임(612) 및 가이드라인 고정대(630)를 도시한 것이다.
가이드라인 결합체(600)는 타격기구(300)가 타격운동을 하는 경우 타격기구(3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여 정확한 타격 및 타격기구(300) 이탈로 인한 안전성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가이드라인 결합체(600)는 가이드라인 지지대와 가이드라인 와이어(620)로 구성된다.
가이드라인 지지대는 가이드라인 고리(611)를 구비하며 지면에 배치되거나 기타 타격하기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라인 지지대에 결합된 이동식 프레임(6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식 프레임(612)은 가이드라인 지지대 외측을 감싸는 추가 프레임으로서 슬라이딩 방식 또는 기타 공지의 방식을 통하여 상하좌우 기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가이드라인 지지대 자체를 이동시키지 않고도 이동식 프레임(612)을 이동시켜 가이드라인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효율적인 실시가 가능하다.
가이드라인 결합체(600)의 실시는 다음과 같다. 가이드라인 지지대를 회전축 날개(211)의 타격에 적당한 위치에 위치시킨 뒤, 가이드라인 와이어(620)를 전술한 고정 도르래 지지대(520)에 구비된 가이드라인 결속부(523), 무게추(301)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라인 와이어 체결부(330) 및 가이드라인 고리(611)에 차례로 연결한다. 이때 가이드라인 결속부(523) 및 가이드라인 고리(611)에는 가이드라인 와이어(620)가 고정되며 무게추(301) 측면에 형성된 체결부에는 가이드라인 와이어(620)가 통과하면서 고정되지 않고 이탈만을 방지하는 형태로 체결된다. 이에 따라서 무게추(301)는 가이드라인 와이어(620)의 경로대로만 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는 무게추(301)의 경로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화포 제퇴기(100) 탈거의 안정성을 높이며 더불어 정확한 타격점으로 타격을 할 수 있도록 하므로 타격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추가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210)의 경우 회전축 날개(211)에 상기 와이어 클립(216)을 구비할 수 있고, 가이드라인 와이어(620)가 와이어 클립(216)을 관통하도록 하여 와이어의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타격기구(300)가 더 정확히 회전축 날개(211)를 타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포신 지지대(700) 또는 지면 등에 연결하여 가이드라인 지지대를 고정할 수 있는 브라켓 내지는 가이드라인 고정대(6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는 가이드라인 지지대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가이드라인 와이어(620)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 도르래 지지대(520)로써 들어 올려 가이드라인 와이어(620)를 팽팽하게 하여 가이드라인 작용을 원활하게 하는 경우 가이드라인 지지대가 함께 들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도 13은 포신 지지대(700)의 도면이다. 타격기구(300)가 회전축 결합체(200)를 타격하는 경우 회전축 결합체(200)와 상호 결합된 제퇴기(100)가 포신(010)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타격방향으로 포신의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타격력을 회전력으로 바꾸는 데에 방해가 되는 요소이므로 포신(010)을 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포신 지지대(700)는 포신(010)을 지지 또는 고정하여 불필요한 유동을 방지하며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타격에 따른 회전을 돕는다.
포신 지지대(700)는 포신 받침부(710) 및 하부 프레임(720)으로 구성된다.
포신 받침부(710)는 포신(010)과 밀착하여 포신(010)을 직접 지지하는 구성이며, 하부 프레임(720)은 포신 받침부(710)를 하부에서 지지하여 지면에서 일정 높이 및 일정 위치에 지지 또는 고정하는 구성이다. 포신 받침부(710)와 하부 프레임(720)은 상호 간 나사 결합, 용접 결합 또는 공지 범위 내의 적합한 결합이 가능하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신 받침부(710)는 상단이 개방된 ‘ㄷ’ 형태의 부재로서 개방된 상단에 포신(010)이 위치하게 되어 포신(010)을 지지한다.
하부 프레임(720)은 삼각대 내지는 기타 공지된 형태의 받침대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지지대는 지지대 다리에 형성된 높이 조절부(730)를 통하여 높이를 조절하여 포신 높이에 맞는 포신 지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높이 조절부(730)는 하부 프레임(720)에 삽입된 연장 가능한 추가 프레임과 스톱퍼, 봉 또는 기타 공지의 방법으로 하부 프레임(720)의 길이를 연장 또는 축소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720)의 하단부에 상기 기술한 구성인 회전축 결합체(200), 타격기구(300), 고정 도르래 결합체(500) 및 가이드라인 결합체(600) 일체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740)를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포신 지지대(700) 하부에 도 1과 같이 가이드라인 프레임(610)을 장착한 상태로 제작이 가능하며 이 경우 운반 및 설치의 용이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720)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을 추가하여 회전축 결합체(200)의 구성 일체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740)를 구비할 수 있고, 하부 프레임(720) 중 일부 또는 전부에 거치 고리를 구비하여 고정 도르래 결합체(500) 구성 일체를 거치할 수 있다. 수평 프레임은 거치대 기능 이외에 하부 프레임(720)의 구조상 견고성을 기대할 수 있다. 이는 견고성 및 공간효율성을 최적으로 고려한 구조가 적당하며 공지 범위 내의 다른 구조도 가능하다. 추가로 포신 받침부(710)에 인양 슬링을 설치하여 모든 구성을 일체로서 운반 및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일시에 각 구성을 전개 및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도 14 내지 도 16은 각각 거상 갈고리 결합체(800)의 구성 일부인 제퇴기 고정링(810), 갈고리 지지대(820) 및 거상 갈고리 결합체(800)의 구성 일체를 장착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거상 갈고리 결합체(800)는 제퇴기(100)를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거상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퇴기 고정링(810) 및 갈고리 지지대(820)로 구성된다. 제퇴기 고정링(810)은 원형의 고리 형태가 적합하며 상부에 갈고리를 결합할 수 있는 상단 구멍(811)이 구비 되어 있으며, 좌우 일 측면에는 경첩(813)이 구비되어 있고 타 측면에는 잠금장치(812)가 구비되어 있어 고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갈고리 지지대(820)는 상단에 크레인 등의 거상 기구와 결합할 수 있는 지지대 상단 고리(821), 제퇴기(100) 화구 측 말단을 고정하며 갈고리 사이에 롤러가 구비되어 무게중심에 따른 제퇴기(100)의 고정 위치를 조정하기 용이한 전방 갈고리(822) 및 제퇴기 고정링(810)의 상단 구멍(811)과 결합하는 후방 갈고리(823)로 구성된다. 거상 갈고리 결합체(800)는 제퇴기 고정링(810)이 제퇴기(100)를 원주 방향으로 감싸며 고정하고, 전방 갈고리(822)로써 제퇴기(100) 화구 측 말단을 거치하며 후방 갈고리(823)로써 제퇴기 고정링(810)의 상단 구멍(811)을 거치하여 제퇴기(100)와 결합 및 고정된다.
(2) 화포 제퇴기 탈거 방법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를 이용한 제퇴기 탈거 방법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이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다음의 과정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공지의 범위 내에서 새로운 과정이 추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방법도이며, 도 18의 방법도는 본 발명의 화포 제퇴기 탈거 방법을 기본적 구성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7을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포신 지지대 설치 단계(S100)에 따라,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신 지지대(700)를 구비한 경우 크레인을 이용하여 포신 지지대(700)를 이동하고, 포신 하부가 포신 받침부(710)에 밀착하도록 위치시켜 포신 지지대(700)를 설치한다. 포신 지지대(700)의 위치는 포신 받침부(710) 및 제퇴기(100)의 거리가 가까운 것이 적당하다. 다만 제퇴기(100) 및 회전축 결합체(200)의 회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일정 거리 이상 유지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포신 지지대(700)는 포신 받침부(710)와 하부 프레임(720)을 일체로서 이동하여 포신 하부에 설치할 수 있으며, 하부 프레임(720)과 포신 받침부(710)를 순차적으로 설치하는 것 역시도 가능하다.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740)를 구비한 경우 회전축 결합체(200), 타격기구(300) 및 가이드라인 결합체(600) 구성 일체를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부(730)를 구비한 포신 지지대(700)의 경우 포신(010)의 높이에 따라서 포신 지지대(700)의 높이를 조절하여 포신(010)을 밀착하여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은 회전축 결합체 장착과정이다(S200). 먼저 회전력 전달판(220)을 제퇴기(100)의 포신 측 말단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하여 결합한다. 또한 회전축(210)을 축대 연결부(214)부터 제퇴기 화구방향과 동축으로 형성된 구멍에 지지대와 수직한 방향으로 삽입한다. 이후 클램프(230)를 제퇴기(100) 말단에 걸림패드(231)가 걸리게 고정한다. 이때 누름판(232)은 회전축 날개(211)와 평형을 이루도록 위치하게 된다. 이때 누름판(232)에 형성된 볼트 구멍(233)과 와셔(250)의 구멍이 일치하도록 위치시킨 뒤 회전축 핸들(240)의 볼트부(241)를 삽입한다. 회전축 핸들(240)의 볼트부(241)는 그대로 회전축 날개(211) 중심에 형성된 나사 구멍(212)에 삽입되어 나사결합으로 결속된다. 이때 결속에 따라서 핸들이 누름판(232) 및 회전축 날개(211)에 순차적으로 가하는 압력으로 인하여 회전축(210)이 회전력 전달판(220)에 밀착되며 제퇴기(100)를 전후로 미는 상호 압력에 따라 회전축 결합체(200)가 제퇴기(100)에 결합된다.
추가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렛대(400)를 사용하는 경우 지렛대 결합 단계(S300)를 추가할 수 있다(S300). 지렛대(400)를 회전력 전달판(220)에 형성된 지렛대 삽입관(222) 및 축대(213)에 형성된 지렛대 삽입구에 동시에 관통시켜 결합함으로써 회전축(210)과 회전력 전달판(22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회전축 결합체(200)의 결합이 완료된 경우 타격기구(300)를 이용하여 회전축 날개(211)를 타격하여 제퇴기(100)의 결속이 풀릴 때까지 타격을 반복한다(S700).
이하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격기구(300)를 무게추(301)로 하여 고정 도르래 결합체(500) 등을 사용할 때의 과정이다.
고정 도르래 결합체 설치과정 및 가이드라인 결합체 설치과정을 함께 설명한다(S400 및 S500). 고정 도르래 지지대(520)에 도르래 와이어(510)를 결속시킨 뒤, 크레인 또는 기중기 등의 거상 장치를 고정 도르래 지지대(520)에 구비된 호이스트 고정 고리(521)에 결합하여 고정 도르래 지지대(520)를 들어 올린다. 이때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라인 결합체(600) 사용 시 고정 도르래 지지대(520)에 구비된 가이드라인 결속부(523)에 가이드라인 와이어(620)를 함께 결속시킬 수 있다. 가이드라인 지지대를 지면에 설치하며 가이드라인 고정대(630)를 가이드라인 지지대에 결속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라인 지지대 및 고정대는 포신 지지대(700)에 함께 결속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어서 무게추(301)에 형성된 결속부(320) 및 가이드라인 와이어 체결부(330)를 이용하여 무게추(301)를 도르래 와이어(510) 및 가이드라인 와이어(620)와 결속시킨다. 이때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 날개(211)에 와이어 클립(216)을 구비한 경우 가이드라인 와이어(620)를 와이어 클립(216)에도 결속시킬 수 있다. 가이드라인 와이어(620)를 가이드라인 지지대에 형성된 가이드라인 고리(611)에 결속시킨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라인의 이동식 프레임(612)을 구비한 경우 가이드라인 와이어(620)에 맞는 위치에 가이드라인 고리(611)를 위치시킬 수 있으며 가이드라인 고리(611)를 수개 구비한 경우 가이드라인 와이어(620)를 적당한 위치에 맞는 고리에 결속시킬 수 있다. 가이드라인 와이어(620)가 상하로 결속된 뒤, 크레인 등 거상 장치를 이용하여 고정 도르래 지지대(520)를 거상시키면 가이드라인 와이어(620)에 형성되는 장력으로 인하여 가이드라인 와이어(620)가 팽팽하게 유지되며 무게추(301)의 상하운동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다음은 타격 단계(S700)로서,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의 장착이 모두 완료된 경우 도르래 와이어(510)를 당겨 무게추(301)를 상부를 들어 올린다. 이때 도르래 와이어(510)는 인력을 사용하여 당길 수 있으며 기타 전동기 등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당기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무게추(301)를 자유낙하 시켜 회전축 날개(211)를 타격하여 제퇴기(100)를 회전하도록 한다. 회전에 따른 회전축 날개(211)의 타격점 위치가 변동되는 경우 가이드라인 와이어(620)를 타격점에 맞추어 다른 가이드라인 고리(611)에 결속시켜 가이드라인 경로를 변경할 수 있으며 경로 변경은 이동식 프레임(612)을 이동시키는 것으로도 가능하다. 계속하여 타격 및 가이드라인 경로 변경 과정을 제퇴기(100)가 완전히 풀릴 때까지 반복한다. 마지막으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렛대(400)를 구비하는 경우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지렛대(400)를 들어 올려 제퇴기(100)를 회전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다음은 제퇴기(100)가 충분히 회전이 완료된 경우 제퇴기(100)를 완전 탈거 및 제거 단계이다(S800 및 S900).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상 갈고리 결합체(800)를 이용할 수 있으며,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제퇴기 고정링(810)의 잠금장치(812)를 개방하고 경첩(813)을 이용하여 제퇴기 고정링(810)을 개방한다. 개방한 제퇴기 고정링(810)을 제퇴기(100) 포신 측 말단 적당한 위치에 제퇴기(100)를 원주 방향으로 감싸도록 하여 위치시킨 뒤 제퇴기 고정링(810)을 폐쇄하고 잠금장치(812)를 닫아 고정한다. 갈고리 지지대(820)는 크레인 등 거상 기구에 지지대 상단 고리(821)로써 고정하여 적당한 높이에 거치 시킨다. 전방 갈고리(822)로써 제퇴기(100)의 화구 측 말단을 고정하며 무게중심에 맞게 롤러로써 위치를 조정한다. 후방 갈고리(823)는 제퇴기 고정링(810)의 상단 구멍(811)에 건 뒤 거상 갈고리 결합체(8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거상기구로써 들어 올린 뒤 제퇴기(100)를 원하는 위치로 운반하여 거상 갈고리 결합체(800) 및 제퇴기(100)를 해체한다.
200 회전축 결합체
210 회전축
220 회전력 전달판
230 클램프
240 회전축 핸들
250 와셔
300 타격기구
301 무게추
320 결속부
330 가이드라인 와이어 체결부
400 지렛대
500 고정 도르래 결합체
510 도르래 와이어
520 고정 도르래 지지대
523 가이드라인 결속부
600 가이드라인 결합체
610 가이드라인 프레임
700 포신 지지대
740 거치대
800 거상 갈고리 결합체
810 제퇴기 고정링
820 갈고리 지지대
S200 회전축 결합체 설치 단계
S600 타격기구 경로 조정 단계(가이드라인 경로 조정 단계)
S700 타격 단계
S900 제퇴기 완전 탈거 및 제퇴기 제거 단계

Claims (22)

  1. 화포 제퇴기(100)에 결합하여 상기 제퇴기(100)를 회전시키는 회전축 결합체(200) 및 상기 회전축 결합체(200)에 타격에 의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타격기구(300)를 포함하는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결합체(200)는 회전축(210), 회전력 전달판(220)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210)은 제퇴기(100)에 동축으로 삽입되는 축대(213);
    상기 축대(213)에 형성된 연결부(214); 및
    상기 축대(213)에 형성된 회전축 날개(211)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력 전달판(220)은 회전축 결합부(221)를 포함하고, 상기 제퇴기(100)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214)가 상기 회전축 결합부(221)와 결속되어 상기 회전축(210)과 결합하며, 상기 회전축(210)과 함께 회전하여 회전력을 상기 제퇴기(100)에 전달하고,
    상기 타격기구(300)는 상기 회전축 날개(211)를 특정 방향으로 타격하여 상기 제퇴기(100)에 결합된 상기 회전축 결합체(200)를 회전시켜 상기 제퇴기(100)를 탈거시키는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14)는 단면이 상기 회전축 결합부(221)에 결속 가능한 형태의 다각형인 돌기이며,
    상기 회전력 전달판(220)은 판형 부재로서,
    상기 회전축 결합부(221)는 상기 연결부(214)로부터 회전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체결 가능한 형태의 구멍으로 형성된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결합체(200)는 클램프(230), 회전축 핸들(2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230)는 판형의 걸림판(231) 및 중심에 볼트 구멍(233)이 형성된 판형의 누름판(232)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판(231) 및 상기 누름판(232)은 경첩구조로써 상호 결합되며,
    상기 걸림판(231)은 상기 제퇴기(100) 둘레에 형성된 돌출부에 걸리며, 상기 누름판(232)은 상기 회전축 날개(211)에 상기 축대(213)의 삽입방향의 압력을 제공하고,
    상기 회전축 핸들(240)은 볼트부(241) 및 상기 볼트부(241)와 수직으로 형성된 손잡이(242)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부(241)는 상기 볼트 구멍(233) 및 상기 나사 구멍(212)에 동축으로,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나사결합으로써 상기 누름판(232)에 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회전축(210) 및 상기 회전력 전달판(220)에 압력을 전달하여 상기 회전축 결합체(200)가 상기 제퇴기(100)에 고정되게 하는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날개(211)는 가장자리에 경사가 형성되어 다양한 각도에서 타격이 가능한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기구(300)는 말단에 오목한 홈(310)이 구비 되어, 상기 오목한 홈(310)이 타격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회전축 날개(211)를 타격하는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지렛대(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력 전달판(220)은 제퇴기(100) 측면 방향으로 형성된 지렛대 삽입관(22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축대(213)는 말단에 형성된 상기 연결부(214)에 지렛대 고리(21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렛대 삽입관(222)은 상기 지렛대 삽입관(222)에 수직으로 형성된 틈(223)이 형성되어 상기 지렛대 고리(215)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지렛대 삽입관(222)과 상기 지렛대 고리(215)를 일치시켜 동축으로 지렛대(400)를 삽입하여 상기 회전력 전달판(220)과 상기 회전축(210)의 결합을 보충하고,
    상기 제퇴기(100) 회전력을 보충하는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기구(300) 및 상기 회전축 날개(211)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여,
    상기 타격기구(300)에 상기 회전축 날개(211)에 대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고정 도르래 결합체(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타격기구(300)는 무게추(301)이고,
    상기 고정 도르래 결합체(500)는 도르래 와이어(510) 및 고정 도르래 지지대(52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 도르래 지지대(520)는 상단에 구비된 호이스트 고정 고리(521)로써 공중에 고정되며 하부에 구비된 도르래 와이어 삽입부(522)에 도르래 와이어(510)를 삽입하여 작동하고,
    상기 무게추(301) 상단에 형성된 결속부(320)가 상기 도르래 와이어(510)와 결속되어 도르래 작동에 따른 상기 무게추(301)의 상하운동을 통하여 상기 회전축 날개(211)를 타격하여 상기 회전축(210)과 함께 상기 제퇴기(100)를 회전하도록 하는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가이드라인 결합체(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도르래 지지대(520)는 가이드라인 결속부(523)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게추(301)는 측면에 가이드라인 와이어 체결부(3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라인 결합체(600)는 가이드라인 고리(611)를 구비한 가이드라인 지지대 및 가이드라인 와이어(620)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라인 지지대는 지면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라인 와이어(620)는 상기 가이드라인 고리(611) 및 상기 가이드라인 결속부(523)로써 상하로 연결되며 그 사이 상기 가이드라인 와이어 체결부(330)로써 상기 무게추(301)에 연결되어 상기 무게추(301)의 경로이탈을 방지하는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날개(211)는 상기 가이드라인 와이어(620)가 통과할 수 있는 와이어 클립(216)을 더 포함하여,
    상기 무게추(301)의 경로이탈을 방지하는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라인 지지대는 이동식 프레임(61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식 프레임(612)은 상기 가이드라인 고리(611)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식 프레임(612)은 위치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가이드라인 와이어(6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
  12. 제1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신 지지대(7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신 지지대(700)는 포신 받침부(710) 및 하부 프레임(720)을 포함하여, 상기 포신 받침부(710)는 포신(010)을 지지하여 상기 타격기구(300)의 타격 시 포신(010)의 유동을 방지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720)은 지면에 고정되어 상기 포신 받침부(710)를 일정 높이에서 지지하는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720)은 내부에 추가 프레임 및 스톱퍼를 포함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
  14. 제1항에 있어서,
    거상 갈고리 결합체(8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상 갈고리 결합체(800)는 제퇴기 고정링(810) 및 갈고리 지지대(820)로 구성되며,
    상기 제퇴기 고정링(810)은 상기 제퇴기(100) 둘레를 감싸는 고리 형태로서, 상단에 갈고리를 거치할 수 있는 상단 구멍(811); 좌우 일 측면에 개폐 가능한 잠금장치(812) 및 좌우 타 측면에 경첩(813)을 포함하며,
    상기 갈고리 지지대(820)는 상단에 상기 거상 갈고리 결합체(800)를 거치할 수 있는 지지대 상단 고리(821); 갈고리 중심에 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제퇴기(100)의 화구 측 말단에 고정되는 전방 갈고리(822) 및 상기 상단 구멍(811)에 고정되는 후방 갈고리(823)를 포함하는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
  15. 화포 제퇴기(100)에 회전축 결합체(200)를 결합 및 설치하는 회전축 결합체 설치 단계(S200);
    타격기구(300)로써 회전축 날개(211)를 타격하여 상기 회전축 결합체(200) 및 이에 결합된 상기 제퇴기(100)를 회전시키는 타격단계 및
    회전된 제퇴기(100)를 포신(010)에서 완전히 탈거시키며 제퇴기(100)를 제거하는 제퇴기 완전 탈거 및 제퇴기 제거 단계(S900)를 포함하는 화포 제퇴기 탈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타격기구(300)를 이동시켜 상기 타격기구(300)의 경로를 타격점인 회전축 날개(211)를 타격하도록 조정하는 타격기구 경로 조정 단계(S600)를 더 포함하는 화포 제퇴기 탈거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결합체(200)에 지렛대(400)를 결합시키는 지렛대 결합 단계(S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렛대 결합 단계(S300)는 상기 지렛대(400)를 상기 회전축 결합체(200)의 회전력 전달판(220)에 삽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퇴기 완전 탈거 및 제퇴기 제거 단계(S900)는 지렛대(400)를 이용하여 제퇴기(100)를 회전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화포 제퇴기 탈거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포신 지지대(700)를 상기 포신 하부에 설치하는 포신 지지대 설치 단계(S100)를 포함하며,
    상기 포신 지지대 설치 단계(S100)는 포신 지지대(700) 운반 및 이동 과정 및 포신 받침부(710) 및 하부 지지대 결합 설치 과정을 포함하는 화포 제퇴기 탈거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고정 도르래 결합체(500)를 설치하는 고정 도르래 결합체 설치 단계(S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도르래 결합체 설치 단계(S400)는 고정 도르래 지지대 거상 및 도르래 와이어 결속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타격 단계(S700)는 고정 도르래를 이용한 무게추(301) 거상 및 자유낙하를 통한 회전축(210) 타격으로 이루어지는 화포 제퇴기 탈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가이드라인 결합체(600)를 설치하는 가이드라인 결합체 설치 단계(S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라인 결합체 설치 단계(S500)는 지면에 가이드라인 프레임(610)을 설치 및 고정 하는 과정 및
    상기 가이드라인 프레임(610)에 구비된 가이드라인 고리(611) 및 상기 고정 도르래 지지대(520)에 구비된 가이드라인 결속부(523) 상호를 가이드라인 와이어(620)로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화포 제퇴기 탈거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라인 와이어(620)를 다른 위치의 가이드라인 고리(611)에 결속하여 가이드라인 경로를 조정하여 상기 무게추(301)의 경로를 수정하는 가이드라인 경로 조정 단계(S600)를 더 포함하는 화포 제퇴기 탈거 방법.
  22. 제15항에 있어서,
    거상 갈고리 결합체(800)를 설치하는 거상 갈고리 결합체 결합 단계(S8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상 갈고리 결합체 결합 단계(S800)는 제퇴기 고정링(810)을 개방하여 상기 제퇴기(100)의 둘레를 감싸도록 한 뒤 제퇴기 고정링(810)을 폐쇄 및 잠금장치(812)로 고정하는 과정;
    갈고리 지지대(820)의 전방 갈고리(822)를 상기 제퇴기(100)의 화구 측 말단에 거치하여 갈고리에 구비된 롤러를 이용하여 무게중심을 맞추는 과정 및
    상기 갈고리 지지대(820)에 구비된 후방 갈고리(823)를 제퇴기 고정링(810) 상단에 구비된 상단 구멍(811)에 결합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퇴기 완전 탈거 및 제퇴기 제거 단계(S900)는 설치가 완료된 상기 거상 갈고리 결합체(800)를 상기 갈고리 지지대(820) 상단에 구비된 지지대 상단 고리(821)를 이용하여 거상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화포 제퇴기 탈거 방법.
KR1020190045315A 2019-04-18 2019-04-18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제퇴기 탈거 방법 KR102198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315A KR102198968B1 (ko) 2019-04-18 2019-04-18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제퇴기 탈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315A KR102198968B1 (ko) 2019-04-18 2019-04-18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제퇴기 탈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524A true KR20200122524A (ko) 2020-10-28
KR102198968B1 KR102198968B1 (ko) 2021-01-05

Family

ID=73018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315A KR102198968B1 (ko) 2019-04-18 2019-04-18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제퇴기 탈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9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104B1 (ko) * 1995-12-12 1998-10-15 우덕창 폐열 보일러 보강링의 탈거 공구
KR101314509B1 (ko) * 2011-09-02 2013-10-07 현대위아 주식회사 포구 제퇴기 조립 및 분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104B1 (ko) * 1995-12-12 1998-10-15 우덕창 폐열 보일러 보강링의 탈거 공구
KR101314509B1 (ko) * 2011-09-02 2013-10-07 현대위아 주식회사 포구 제퇴기 조립 및 분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968B1 (ko) 202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8186B1 (en) Method for pulling object
US8720896B2 (en) Portable archery target support
CN102917970A (zh) 用于抓钩装置的抓握组件和抓握部件
US5183316A (en) Mounting bracket for a working device
US8720895B2 (en) Portable archery target support
KR102198968B1 (ko) 화포 제퇴기 탈거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제퇴기 탈거 방법
CN105735737A (zh) 一种调整电杆及横担方向的正杆装置及正杆方法
US7537428B2 (en) Adjustably pivotable grapple with fixed heel
US7703215B1 (en) Flange alignment tool
CN108071115A (zh) 一种挖掘机械配套的双夹功能液压打桩锤
KR20130002673U (ko) 굴삭기용 집게발
WO2015190919A2 (en) Vibrating device and method for inserting a foundation element into the ground
US5918923A (en) Pipe laying attachment for hydraulic equipment
US20120192465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hovel-bucket door
US20050189129A1 (en) Driver cap
CA2997320A1 (en) Articulating system for driving helical piers and anchors
US6494436B1 (en) Wire tensioning tool
US5807019A (en) Magnetic gripper device
US5544402A (en) Axle Puller
US6231267B1 (en) Threaded plug device for attachment to a trench plate for removable attachment of a hoist ring
CN106076992A (zh) 输送管清理装置
CN212715084U (zh) 一种抱爪式打桩锤
CN217629888U (zh) 一种打桩机
CN109706985B (zh) 基桩高应变检测用锤击系统
US20180147710A1 (en) Air cann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