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2507A - 유휴공간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유휴공간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2507A
KR20200122507A KR1020190045267A KR20190045267A KR20200122507A KR 20200122507 A KR20200122507 A KR 20200122507A KR 1020190045267 A KR1020190045267 A KR 1020190045267A KR 20190045267 A KR20190045267 A KR 20190045267A KR 20200122507 A KR20200122507 A KR 20200122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lade
power generation
hybrid power
sola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3561B1 (ko
Inventor
전질수
Original Assignee
전질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질수 filed Critical 전질수
Priority to KR1020190045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561B1/ko
Publication of KR20200122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1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cluding a supplementary source of electric power, e.g. hybrid diesel-PV energy systems
    • H02S10/12Hybrid wind-PV energ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02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the axis being horizon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03D3/061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e.g. aerofoil prof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03D3/062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007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the wind motor being combined with means for converting solar radiation into usefu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10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 F03D9/11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storing electrica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0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4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stationary objects or on stationary man-mad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30Wind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ind Motor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시설물인 가로등, 전신주, 도로표지판 등에 의해 생기는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친환경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 유휴공간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발전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축과 일체로 회전하되 풍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일방향으로 비틀린 삼각기둥 형태의 블레이드(20)와, 블레이드(20) 면에 부착된 태양광 패널(30)과, 기둥 구조물(1)에 수평상태로 블레이드(2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치대(40)와, 축(1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발전부(50) 및, 축(10)에 부착되어 태양광 패널(30)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인출하기 위한 슬립링(60)이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도로시설물인 가로등, 전신주, 도로표지판 또는 담장, 지붕 등에 의해 생기는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친환경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과 풍력에 의해 각각 발전이 이루어져 발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휴공간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발전장치{Hybrid power generator utilizing unused space}
본 발명은 태양광과 풍력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시설물인 가로등, 전신주, 도로표지판 등에 의해 생기는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친환경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 유휴공간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화석연료에 의한 환경오염이나 원자력 발전의 위험성으로 인하여 태양광이나 풍력 등 친환경 에너지를 활용한 전력 공급에 지속적인 연구와 막대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태양광 발전의 경우 대규모의 부지 확보를 위해 농지, 임야 같은 녹지를 훼손하면서 추진되고 있고, 풍력발전의 경우에도 자연경관의 훼손 및 생태환경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한편, 태양광이나 풍력 등 단일 발전에 의한 불규칙한 전력 생산을 극복하기 위하여 태양광 발전과 풍력 발전을 연계한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98180호(2018. 9. 12. 공고)는 '태양광 셀이 부착된 풍력 발전 모듈'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는 태양광 셀이 부착된 풍력 발전 모듈에 있어서,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 측면 설치되며,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양광 패널로 이루어진 회전부;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 햇빛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태양광 감지기와, 바람의 세기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풍속 감지기가 구비되는 감지부; 상기 태양광 감지기에 의해 햇빛이 제1값 이상 감지되고 상기 풍속 감지기에 의해 풍속이 제2값 미만이면 상기 모터를 회전시키며, 상기 태양광 감지기에 의해 햇빛이 제1값 미만이거나 상기 풍속 감지기에 의해 풍속이 제2값 이상이면 상기 모터 작동을 중지시키는 모터 회전 제어부 및; 투명한 재질로 상기 회전부의 일측을 보호하는 우산 형태를 갖도록 일측이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보호 덮개;를 포함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하이브리드 발전장치는 수직형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를 태양광 패널로 대체함으로써 풍력 및 태양광에 의한 동시 발전이 가능하고, 면적대비 더 높은 태양광 발전이 가능하다는 효과와 바람이 불지 않는 상황에서도 모터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하게 되어 회전부가 회전함으로써 태양광 패널의 고른 발전이 가능하고 모터에 의한 회전력으로 풍력 발전 또한 가능하다는 효과 및 발전 모듈 상부를 덮는 투명 표면 덮개를 통해 비, 눈, 먼지, 충격으로 인한 태양광 패널의 파손과 오염을 막을 수 있어 발전 모듈의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하다는 효과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하이브리드 발전장치는 수직형 발전기로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가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날개 폭 만큼 토지를 점유한다는 점에서 설치 공간의 제약 뿐만 아니라 오히려 유효공간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종래 하이브리드 발전장치는 블레이드가 수직으로 배열됨에 따라 블레이드 간 상호 중첩으로 집광면적이 협소하다는 점에서 풍력에 의한 불규칙한 전력 생산을 태양광으로 극복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태양광과 풍력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발전장치에 있어서 도로시설물인 가로등, 전신주, 도로표지판이나 담장, 둑, 지붕 등에 의해 생기는 유휴공간을 활용함으로써 대규모의 부지 확보를 위해 자연경관이나 녹지 훼손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개발방식을 탈피하고 친환경적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 유휴공간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발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이나 풍력에 의한 불규칙한 전력 생산을 극복하기 위하여 태양광과 풍력에 의한 각각의 발전효율을 극대화한 유휴공간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발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축과 일체로 회전하되 풍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일방향으로 비틀린 삼각기둥 형태의 블레이드(20)와, 블레이드(20) 면에 부착된 태양광 패널(30)과, 기둥 구조물(1)에 수평상태로 블레이드(2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치대(40)와, 축(1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발전부(50) 및, 축(10)에 부착되어 태양광 패널(30)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인출하기 위한 슬립링(6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블레이드(20)의 삼각 면은 내측으로 오목하고 비틀림 각은 5~2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블레이드(20)는 장치대(40)를 매개로 하여 기둥 구조물(1)에 다단으로 설치되고, 기둥 구조물(1)로부터 연장 형성된 가드(2)에 의해 축(10) 외측단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블레이드(20)는 일측단에 플러그(21)가 마련되고 타측단에 소켓(22)이 마련되어 축을 매개로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의 블레이드(20)는 기둥 구조물(1) 사이에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축(10)이 삽입되는 축공(21)이 천공되고 일측단에는 플러그(21)가 마련되고 타측단에는 소켓(22)이 마련되어 태양광 패널(30)에서 발생한 전기를 장치대(40)로 보내고, 블레이드(2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둥 구조물(1) 사이에 가설된 현수선(3)의 행거(4)로부터 축(10)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시설물인 가로등, 전신주, 도로표지판이나 담장, 둑, 지붕 등에 의해 생기는 유휴공간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대규모의 부지 확보를 위해 자연경관이나 녹지 훼손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개발방식을 탈피할 수 있고, 친환경적인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과 풍력에 의해 각각 발전이 이루어져 발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휴공간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발전장치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휴공간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발전장치의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휴공간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발전장치의 블레이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휴공간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발전장치의 다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휴공간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발전장치의 블레이드 결합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휴공간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발전장치의 또 다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휴공간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발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축(10)과 일체로 회전하되 풍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일방향으로 비틀린 삼각기둥 형태의 블레이드(20)와, 블레이드(20) 면에 부착된 태양광 패널(30)과, 기둥 구조물(1)에 수평상태로 블레이드(2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축(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치대(40)와, 축(1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발전부(50) 및, 축(10)에 부착되어 태양광 패널(30)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인출하기 위한 슬립링(60)이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블레이드(20)는 풍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일방향으로 비틀린 삼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심에 축이 축설되어 축과 일체로 회전한다.
태양광 패널(30)은 블레이드(20) 면에 부착되고, 블레이드(20)가 회전하더라도 집광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블레이드(20) 3면에 모두 부착 설치된다.
따라서 블레이드(20)가 회전하다 멈추더라도 어느 한 면의 태양광 패널(30)이 태양과 마주보는 상태가 되어 태양광 발전이 이루어진다.
기둥 구조물(1)은 도로시설물인 가로등, 전신주, 도로표지판이거나 담장이나 지붕 위에 인위적으로 설치한 기둥일 수 있다.
기둥 구조물(1)에는 블레이드(20)를 수평상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블레이드 축(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치대(40)가 마련된다.
즉, 장치대(40)는 베어링을 매개로 축(10)을 지지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따라서 기둥 구조물(1)에 의해 생기는 유휴공간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발전부(50)는 축(1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으로, 기어를 매개로 축(1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기를 포함한다.
슬립링(60)은 태양광 패널(3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축(10)에 부착되어 브러시(61)를 통해 태양광 패널(30)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블레이드(20)의 회전에 의한 풍력발전과 태양광 패널(30)에 의한 태양광 발전이 각각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블레이드(20)의 면은 각각 내측으로 오목하고 비틀림 각은 5~2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블레이드(20) 각 면이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풍력 작용시 쉽게 회전하도록 하고, 눈이나 비가 왔을 때도 이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블레이드(20)가 일방향으로 비틀린 삼각기둥 형태를 이루고, 이때 비틀림 각이 5~25°를 이룸으로써 풍력 작용시 면에 달리 힘이 작용하여 보다 쉽게 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블레이드(20)는 장치대(40)를 매개로 하여 기둥 구조물(1)에 다단으로 설치되고, 기둥 구조물(1)로부터 연장 형성된 가드(2)에 의해 축(10) 외측단이 지지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기둥 구조물(1)에 블레이드(20)를 여러 단으로 설치할 수 있어 동일한 면적의 유휴공간 내에서 보다 많은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즉, 블레이드(20)가 기둥 구조물(1)에 수평상태로 다단 설치됨으로써, 블레이드(20) 간 간섭이 없을 뿐만 아니라 유휴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축(10)이 짧거나 축(10)이 충분히 견고한 경우 가드(2)를 생략할 수 있으며, 가드(2)의 설치로 장치대(40)와 함께 블레이드(20)의 양단을 잡아주는 효과가 있어 블레이드(20)의 진동을 감쇄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블레이드(20)는 일측단에 플러그(21)가 마련되고 타측단에 소켓(22)이 마련되어 축을 매개로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소켓(22)과 플러그(21)는 암수형태로 구성되고, 플러그(21)가 소켓(22)에 끼워짐에 따라 양 블레이드(20)의 태양광 패널(3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일측 장치대(40)를 통해 전기를 인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20) 간 결속으로 축(10)과 함께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상기의 블레이드(20)는 기둥 구조물(1) 사이에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축(10)이 삽입되는 축공(23)이 천공되고 일측단에는 플러그(21)가 마련되고 타측단에는 소켓(22)이 마련되어 태양광 패널(30)에서 발생한 전기를 장치대(40)로 보내고, 블레이드(2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둥 구조물(1) 사이에 가설된 현수선(3)의 행거(4)로부터 축(10)이 지지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기둥 구조물(1)이 전신주인 경우 케이블이 지나는 공간은 모두 유휴공간이라 할 것이므로, 케이블 밑으로 블레이드(20)를 설치할 수 있어 유휴공간을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분한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풍력과 태양광에 의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선로를 통해 보낼 수도 있어 발전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있어 매우 효율적이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축(10)이 기둥 구조물(1)에 설치된 장치대(4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축(10)에는 블레이드(20)가 플러그(21)와 소켓(22)을 통해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블레이드(2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둥 구조물(1) 사이에 블레이드(20) 보다 높게 현수선(3)이 가설되고, 현수선(3)의 중간 부분에 행거(4)가 설치되어 축(10)을 지지하게 된다.
물론, 행거(4)에 의해 블레이드들(20)이 양쪽으로 분할됨에 따라 분할된 태양광 패널(30)에서 생산된 전기 에너지는 양측에 각 설치된 장치대(40)를 통해 인출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기둥 구조물
2 : 가드
3 : 현수선
4 : 행거
10: 축
20: 블레이드
21: 플러그
22: 소켓
23: 축공
30: 태양광 패널
40: 장치대
50: 발전부
60: 슬립링
61: 브러시

Claims (5)

  1. 축과 일체로 회전하되 풍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일방향으로 비틀린 삼각기둥 형태의 블레이드(20)와,
    상기 블레이드(20) 면에 부착된 태양광 패널(30)과,
    기둥 구조물(1)에 수평상태로 상기 블레이드(2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치대(40)와,
    상기 축(1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발전부(50) 및,
    상기 축(10)에 부착되어 상기 태양광 패널(30)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인출하기 위한 슬립링(6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20)의 삼각 면은 내측으로 오목하고 비틀림 각은 5~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20)는 상기 장치대(40)를 매개로 하여 상기 기둥 구조물(1)에 다단으로 설치되고, 상기 기둥 구조물(1)로부터 연장 형성된 가드(2)에 의해 상기 축(10) 외측단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20)는 일측단에 플러그(21)가 마련되고 타측단에 소켓(22)이 마련되어 상기 축을 매개로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20)는 상기 기둥 구조물(1) 사이에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상기 축(10)이 삽입되는 축공(23)이 천공되고 일측단에는 플러그(21)가 마련되고 타측단에는 소켓(22)이 마련되어 상기 태양광 패널(30)에서 발생한 전기를 상기 장치대(40)로 보내고,
    상기 블레이드(2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 구조물(1) 사이에 가설된 현수선(3)의 행거(4)로부터 상기 축(10)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KR1020190045267A 2019-04-18 2019-04-18 유휴공간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KR102233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267A KR102233561B1 (ko) 2019-04-18 2019-04-18 유휴공간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267A KR102233561B1 (ko) 2019-04-18 2019-04-18 유휴공간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507A true KR20200122507A (ko) 2020-10-28
KR102233561B1 KR102233561B1 (ko) 2021-03-29

Family

ID=73018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267A KR102233561B1 (ko) 2019-04-18 2019-04-18 유휴공간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5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314B1 (ko) * 2021-05-03 2022-04-27 (주)아이엔오기술 태양광 발전 장치
KR102392879B1 (ko) * 2021-04-13 2022-05-02 주식회사 카충 태양광 및 풍력 복합 발전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0950A (ko) * 2010-05-28 2011-12-06 금호전기주식회사 태양광과 풍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및 이를 포함한 조명시스템
KR101513490B1 (ko) * 2013-12-04 2015-04-20 (합)동양아이텍 차량풍을 이용한 풍력 발전장치
KR20190014754A (ko) * 2017-08-03 2019-02-13 김종필 태양광모듈이 적용된 하이브리드 풍력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0950A (ko) * 2010-05-28 2011-12-06 금호전기주식회사 태양광과 풍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및 이를 포함한 조명시스템
KR101513490B1 (ko) * 2013-12-04 2015-04-20 (합)동양아이텍 차량풍을 이용한 풍력 발전장치
KR20190014754A (ko) * 2017-08-03 2019-02-13 김종필 태양광모듈이 적용된 하이브리드 풍력발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879B1 (ko) * 2021-04-13 2022-05-02 주식회사 카충 태양광 및 풍력 복합 발전 시스템
KR102391314B1 (ko) * 2021-05-03 2022-04-27 (주)아이엔오기술 태양광 발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3561B1 (ko) 202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7104A (en) Hybrid energy recovery system
WO2018044115A1 (ko)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하는 스마트 폴
CN204100109U (zh) 一种太阳能路灯
KR102233561B1 (ko) 유휴공간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CN107654933A (zh) 一种角度方便调节的风光互补型路灯装置
WO2013100283A1 (ko) 원형 및 다면각 분할 태양광 및 풍력 융합 발전시스템
CN108544960A (zh) 一种便于移动的太阳能充电桩
JP4141935B2 (ja) 太陽光発電装置と風力発電装置を兼ね備えた建築物
CN102997160A (zh) 太阳能路灯
WO2013157696A1 (ko) 계통연계형 분산형 스마트 에너지 발전 공급 대량 시스템용 태양광 풍력 다방면 추적 융합발전시스템
CN105958908A (zh) 一种漂浮底座及水面浮动式光伏发电系统
CN201255349Y (zh) 风光互补跟踪式路灯
KR101010452B1 (ko) 태양 광 발전 탑
KR101148306B1 (ko) 가속수단이 구비된 풍력발전장치
CN104033831A (zh) 一种风光能互补发电路灯
KR101293711B1 (ko) 등주에 설치되는 발전장치
CN206902577U (zh) 带发电功能的道路遮光装置
CN201518420U (zh) 一种高速公路隔离带风光并网发电系统
KR20050090295A (ko) 병합발전 하우스와 시스템
CN201749643U (zh) 风光互补太阳伞led灯箱景观灯
CN205911809U (zh) 一种高速路用组合式风力发电机组
KR20150137160A (ko) 지주에 설치되는 풍력태양광에너지 발생장치
CN214009063U (zh) 一种路灯
CN203420830U (zh) 风光组合多级发电装置
CN218850682U (zh) 一种基于多太阳能电池板的高效发电太阳能路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