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2265A - Ar 기반의 골프 영상 제공 방법, 골프 영상 제공 장치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Ar 기반의 골프 영상 제공 방법, 골프 영상 제공 장치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2265A
KR20200122265A KR1020200082323A KR20200082323A KR20200122265A KR 20200122265 A KR20200122265 A KR 20200122265A KR 1020200082323 A KR1020200082323 A KR 1020200082323A KR 20200082323 A KR20200082323 A KR 20200082323A KR 20200122265 A KR20200122265 A KR 20200122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mage
golf
uni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호
Original Assignee
송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호 filed Critical 송영호
Priority to KR1020200082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2265A/ko
Publication of KR20200122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2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91Golf courses; Golf practising terrains having a plurality of driving areas, fairways, gre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28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AR 기반의 골프 영상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단말기에 있어서, 골프 영상 관리 서버 또는 카메라부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과 골프 코스의 전략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골프 영상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골프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 메모리 및 디스플레이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무선 통신부, 상기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디폴트 추천 방향을 나타내는 제 1 지시선 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제 1 지시선의 좌, 우, 상 또는 하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됨을 감지하고, 상기 이동이 특정 지점에서 특정 시간 멈추는 경우,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특정 지점을 연결하는 방향으로의 수정 추천 방향을 나타내는 제 2 지시선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AR 기반의 골프 영상 제공 방법, 골프 영상 제공 장치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A GOLF IMAGE BASED ON AN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골프 영상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AR 기반의 골프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이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골프가 대중 스포츠로 자리잡으면서 골프 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며, 친목도모 및 사교 또는 영업을 위하여 골프를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처럼, 골프 인구의 증가에 따라 골퍼들은 더욱 더 골프를 효과적으로 즐기기 위해서, 골프 경기를 하는 동안 자신이 샷한 공의 위치 등을 포함하는 골프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싶어하는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 국내/외 골프장에는 상시 골프 중계를 위한 시설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골퍼들이 각 홀의 페어웨이 또는 그린 지점에서 자신이 샷한 공의 위치, 해당 공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없다.
현재 골퍼들은 골프장의 각 홀에서 티샷을 어느 방향으로 해야하는지, 자신이 샷한 공이 어디에 위치하였는지, 다음 샷 또는 그린 지점까지의 거리는 얼마나 남았는지, 해당 홀의 그린 상태는 어떠한지 등에 대한 정보들을 캐디를 통해서만 안내 받고 있어, 골퍼가 원하는 정확한 정보를 얻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것들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골프장의 코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많은 (야디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들 나타나고 있으나,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은 기존의 지도 데이터 및 3D Map 데이터의 고정 정보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골퍼들이 원하는 실시간 영상을 제공하는 측면에서는 많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앞서 살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각 홀 별로 설치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골퍼들에게 실시간으로 골프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과 함께 골프 코스 전략을 위한 부가 정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AR 기반의 골프 영상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는 단말기에 있어서, 골프 영상 관리 서버 또는 카메라부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과 골프 코스의 전략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골프 영상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골프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 메모리 및 디스플레이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무선 통신부, 상기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디폴트 추천 방향을 나타내는 제 1 지시선 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제 1 지시선의 좌, 우, 상 또는 하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됨을 감지하고, 상기 이동이 특정 지점에서 특정 시간 멈추는 경우,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특정 지점을 연결하는 방향으로의 수정 추천 방향을 나타내는 제 2 지시선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점에서 상기 특정 지점까지의 목표 거리 또는 상기 목표 거리에 따른 추천 클럽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단말기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 의한 움직임 감지에 따라 상기 제 1 지시선과 상기 제 2 지시선이 일치되었음을 확인한 경우, 샷 또는 퍼팅을 위한 에이밍 또는 어드레스에 대한 최종 방향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종 방향으로 공이 지나가는 공의 탄도 또는 공의 경로에 대한 궤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각 홀 별로 설치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골퍼들에게 실시간으로 골프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공이 위치하는 지점에 가기 전에도 공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골프 코스 전략을 세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과 함께 골프 코스 전략을 위한 부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골퍼의 스코어를 좀 더 줄일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AR 기반의 영상과 함께 골프 코스 전략을 위한 부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골퍼의 스코어를 좀 더 줄일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골프 영상 제공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2a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골프 영상 관리 서버의 내부 블록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2b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2c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카메라부의 내부 블록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실시간 골프 영상 제공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촬영 영상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촬영 영상의 제어권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그린 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AR 기반 그린뷰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AR 기반 그린뷰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면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AR 기반의 그린뷰 서비스에서 공의 궤적 또는 경로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기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스마트 폰을 포함한 휴대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 TV, IPTV 등을 포함한 텔레비전, 골프장 카트 내 디스플레이 장치, 스마트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골프 거리 측정기, 보이스 캐디 등이 가능하다.
또한,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그린 뷰 서비스 개념(Green View Service Concept)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그린 뷰 서비스(green view service)는 골프장의 각 홀마다 1개 또는 2개의 카메라(부)를 설치하고,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촬영 영상(공의 위치, 공이 위치하는 지점의 주변 환경 등)과 이후 샷 또는 퍼팅에 대한 코스 전략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또는 골퍼)의 단말기로 제공해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하는 '그린 뷰 서비스'의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정의한 개념으로, 해당 용어에 본 발명의 사상 및 내용이 제한되지 않고, 골프 영상 촬영의 전송과 관련된 모든 서비스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그린 뷰 서비스의 명칭은 골프 영상 (실시간) 제공 서비스 등으로 표현 또는 호칭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보다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의미를 가지는 '골프 영상 제공 서비스'로 호칭하기로 한다.
골프 영상 제공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골프 영상 제공 시스템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골프 영상 제공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1a는 골프 영상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내며, 도 1b는 특정 홀에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골프 영상 제공 시스템이 적용된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 영상 제공 시스템(10)은 골프 영상 관리 서버(100), 단말기(200), 카메라부(설치 위치에 따라 제 1 카메라부 및 제 2 카메라부로 구분,3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또는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골프 영상 제공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도 2a,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여 골프 영상 관리 서버, 단말기 및 카메라부의 세부적인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a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골프 영상 관리 서버의 내부 블록도를 나타낸 도이다.
상기 골프 영상 관리 서버(100)는 무선 통신부(110), 메모리(또는 저장부,120), 제어부(130) 및 전원 공급부(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골프 영상 관리 서버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00)는 골프 영상 관리 서버와 단말기 사이 또는 골프 영상 관리 서버와 카메라부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 통신부(100)는 근거리 통신 모듈(104), 이동통신 모듈(102), 무선 인터넷 모듈(10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단말기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무선 통신부는 방송 수신 모듈(101), 위치정보 모듈(105)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05)은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골프 영상 관리 서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모듈을 말하며, 통신 인터페이스로 메시지를 전송 또는 요청 및 수신받은 메시지를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프로세서, 제어 모듈,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등으로 호칭 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하드웨어(hardware),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20)는 상기 제어부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는 단말기의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매체로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일반파일 및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골프장의 회원 정보, 골프 코스의 공간 데이터를 포함하는 지리 영상 정보, 골프 코스 공략 정보, 골퍼 별 스코어 정보, 또는 부가 정보 등을 포함하는 골프 관련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지리 영상 정보는 골프장의 각 홀에 대한 2차원 또는 3차원 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2차원 또는 3차원 맵 정보는 각 홀의 지형, 영상, 형태, 높이, 기울기, 거리, 시설물(벙커, 워터 해저드, OB 지역, 그린 등)에 대한 위치 및 고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원 또는 3차원 맵 정보는 골프장 내 각 홀을 다수의 그리드(grid)들로 구분하고, 구분된 각 그리드에서 네 모서리의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원 또는 3차원 맵 정보는 각 홀의 홀 컵의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일 예로, 각 홀에서 상기 그리드의 크기와 간격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그리드의 크기와 간격은 이용자가 원하는 정밀도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상기 각 홀이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짧은 간격의 그리드들로 구분될수록 상기 2차원 또는 3차원 맵 정보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다른 예로, 각 홀에서 상기 그리드의 크기와 간격은 서로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홀에서 그린의 그리드 크기와 간격은 상기 그린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의 그리드 크기와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그린을 보다 정밀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리 영상 정보는 좌표 정보를 가진 위성 사진 영상 또는 항공 사진 영상을 수치 지형도에 포함된 고도정보를 이용하여 보정한 후 그래픽 처리한 3차원 그래픽 영상으로서 조감하는 고도에 따라 보정된 거리 정보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공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90도 상공에서 바라본 정사영상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눈높이에 가깝게 15도, 20도, 25도 또는 30도 등의 다양한 고도위치에서 바라보는 지리영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되는 다양한 각도의 지리 영상에 맞추어 알맞게 고도 보정된 공간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리 영상 정보는 골프장의 잔디 특성 정보와 구조물에 대한 특성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잔디 특성 정보는 각 골프장의 페어웨이, 러프, 그린 등에서 공이 구르는 속도 등에 대한 정보이다.
상기 구조물의 특성 정보는 티그라운드, 절벽, 산등성이, 오르막, 내리막, 러프, 페어웨이 벙커, 그린 벙커 등의 위치에 대한 정보이다.
즉, 상기 구조물 특성 정보는 골퍼가 공략하지 말아야할 지역에 대한 정보이다.
상기 전원 공급부(140)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주는 모듈을 말한다.
도 2b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를 나타낸 도이다.
다음, 상기 단말기(200)는 무선 통신부(210), 입력부(220), 센싱부(230), 출력부(270), 메모리(260), 인터페이스부(250), 제어부(240) 및 전원 공급부(2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단말기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210)는 단말기와 골프 영상 관리 서버 사이 또는 단말기와 카메라부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부(210)는 근거리 통신 모듈(214), 이동통신 모듈(212), 무선 인터넷 모듈(2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스마트워치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무선 통신부는 방송 수신 모듈(211), 위치정보 모듈(215)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215)은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모듈을 말하며, 통신 인터페이스로 메시지를 전송 또는 요청 및 수신받은 메시지를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프로세서, 제어 모듈,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등으로 호칭 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하드웨어(hardware),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 또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것이다.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하여 카메라(221)와 마이크(2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23)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230)는 단말기의 개폐 상태,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단말기의 방위,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슬라이드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형태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는 근접 센서, 단말기 사용자의 심박수, 맥박, 호흡, 혈압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단말기 주변의 온도, 소음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7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271), 음향 출력 모듈(272), 알람부(273) 및 햅틱 모듈(27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단말기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어부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단말기의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매체로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일반파일 및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280)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주는 모듈을 말한다.
도 2c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카메라부의 내부 블록도를 나타낸 도이다.
다음, 상기 카메라부(300)는 카메라부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제 1 카메라부와 제 2 카메라부로 구분할 수 있다.
제 1 카메라부는 세컨샷 지점에 설치되며, 제 2 카메라부는 그린 지점에 설치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각 카메라부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카메라 설치부로 표현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카메라부를 설치할 수 있는 기둥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골프장의 각 홀마다 설치되어 있는 조명 시설 또는 야간 조명 시설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카메라는 폐회로(Closed Circuit:CC) 카메라(Camera)일 수 있으며, 간단히 CC CAM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300)는 촬영부(310), 통신부(320), 제어부(330) 및 디스플레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310)는 물체를 포착하고 이미지로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는 외부의 물체를 포착하기 위하여 렌즈, 플래쉬(Flash), 조리개 및 셔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는 렌즈에 의해 포착된 영상 등의 촬영된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는 상기 제어부(330) 등으로부터 촬영을 위한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렌즈에 포착된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렌즈에 포착된 영상 또는 촬영된 이미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이미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거나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유/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부는 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Wide Band), Wireless USB,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reless LAN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위한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카메라부와 골프 영상 관리 서버 사이,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단말기 사이, 또는 상기 카메라와 상기 무선 통신망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는 무선 통신 모듈(321) 및 근거리 통신 모듈(3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통신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무선의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유선의 근거리 통신으로는 USB(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인텔사의 썬더볼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위치정보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은 카메라부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실시간 골프 영상 제공 방법
다음으로,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골프장의 각 홀의 특정 지점에 설치된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특정 지점에서의 공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골프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실시간 골프 영상 제공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카메라부는 소정 시간 동안 특정 범위의 영상을 촬영한다(S310).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하는 영상은 상기 특정 범위 내 특정 위치에서의 골퍼의 샷에 대한 정보, 상기 골퍼의 샷을 통해 날아가는 골프공의 궤적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골프공이 떨어지는 지점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범위는 티샷 지점에서 세컨샷 지점까지에 해당하는 범위, 세컨샷 지점, 상기 세컨샷 지점에서 그린 지점까지에 해당하는 범위, 또는 그린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특정 범위는 카메라부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특정 범위는 특정 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세컨샷 지점 또는 그린 지점으로 한정될 수도 있다.
상기 특정 범위는 카메라부가 촬영할 수 있는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부의 서비스 영역(service area)로 표현될 수도 있다.
상기 특정 위치는 티샷 지점, 세컨샷 지점, 써드샷 지점 또는 그린 주변 지점일 수 있다.
상기 소정 시간은 상기 카메라부가 영상 촬영을 시작하는 시점부터 영상 촬영을 종료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부는 아래 두 가지 방법을 통해 상기 특정 범위에서의 영상 촬영을 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두 가지 방법은 (1) 단말기로부터 영상 촬영 시작의 요청을 수신하는 방법(방법 1)과 (2) 단말기 또는 카트로부터 수신되는 GPS 신호를 이용하는 방법(방법 2)이다.
(방법 1)
먼저, 방법 1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특정 범위에서의 영상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특정 범위에 대한 영상 촬영의 시작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영상 촬영의 시작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또는 제어 메시지)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골프 영상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후술할 그린 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실시간 영상 메뉴에 대한 입력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는 골프 영상 관리 서버로 상기 영상 촬영의 시작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바로 카메라부로 해당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골프 영상 관리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촬영의 시작을 지시하는 신호(또는 정보 또는 메시지)를 상기 카메라부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카메라부는 (서버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부터 영상 촬영의 시작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특정 범위에 대한 영상 촬영을 시작한다.
만약 상기 카메라부가 앞의 팀을 위해 먼저 촬영 영상을 제공하고 있는 경우, 상기 카메라부는 (서버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 (바로) 요청된 촬영 영상을 제공할 수 없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한다.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카메라부가 영상 촬영을 요청하는 단말기로 촬영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단말기로 이를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바로 촬영 영상을 상기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방법 2)
다음으로, 카메라부가 단말기 또는 카트로부터 수신되는 GPS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 2에 대해 살펴본다.
방법 2는, 상기 카메라부가 단말기 또는 카트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GPS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이다.
방법 2의 수행을 위해, 영상 촬영 시작 결정 영역을 새롭게 정의한다.
상기 명칭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정의한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 및 내용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또는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촬영 시작 결정 영역은 카메라부의 영상 촬영의 시작을 트리거하는 지리적 의미의 지역을 나타낸다.
상기 영상 촬영 시작 결정 영역은 카메라부의 촬영 영상에 대해 단말기가 제어권을 가질 수 있는 영역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하는 특정 범위가 티샷 지점에서 세컨샷 지점인 경우, 상기 영상 촬영 시작 결정 영역은 각 홀의 티박스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특정 범위가 세컨샷 지점인 경우, 상기 영상 촬영 시작 결정 영역은 티샷 지점에서 세컨샷 지점 사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범위가 그린 지점인 경우, 상기 영상 촬영 시작 결정 영역은 상기 그린 지점에서 (페어웨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일 수 있다.
상기 영상 촬영 시작 결정 영역은 GPS 좌표 값으로 설정 또는 표시된다.
즉, 상기 카메라부는 단말기 또는 카트가 상기 영상 촬영 시작 결정 영역에 진입하였음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카트를 위한 특정 범위에 대한 영상 촬영을 시작한다.
또 다른 의미로, 상기 단말기 또는 카트가 상기 영상 촬영 시작 결정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카트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제공되는 촬영 영상을 수신할 수 있는 제어권 또는 최우선권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단말기 또는 카트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GPS 신호를 통해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카트가 상기 영상 촬영 시작 결정 영역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영상 촬영 시작 결정 영역에 진입한 경우, 상기 카메라부는 영상 촬영을 시작하고, 해당 촬영 영상에 대한 제어권을 해당 단말기 또는 카트에게 부여한다.
여기서, 카트가 촬영 영상에 대한 제어권을 가진다는 의미는 상기 카트와 관련된 단말기(들)이 상기 촬영 영상에 대한 제어권을 가진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카트와 관련된 단말기(들)은 카트의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해당 카트에 타고 있거나 등록된 골퍼들의 단말기(들)을 의미할 수 있다.
S310 단계 이후,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특정 범위의 촬영 영상을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골프 영상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S320).
이후, 상기 골프 영상 관리 서버는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수신하는 촬영 영상을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전송한다(S330).
여기서, 상기 골프 영상 관리 서버는 상기 수신되는 촬영 영상을 상기 단말기로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촬영 영상을 메모리에 저장하였다가 일정 주기로 또는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골프 영상 관리 서버가 와이파이(Wi-Fi) 망을 이용하여 상기 촬영 영상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경우, 상기 골프 영상 관리 서버는 Wi-Fi의 커버리지(coverage)를 고려하여 상기 Wi-Fi 망의 이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골프 영상 관리 서버는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Wi-Fi 망의 커버리지로 상기 촬영 영상의 전송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골프 영상 관리 서버는 상기 촬영 영상을 상기 Wi-Fi 망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만약 상기 골프 영상 관리 서버가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가 상기 Wi-Fi 망의 커버리지를 벗어난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골프 영상 관리 서버는 상기 Wi-Fi 망보다 커버리지가 넓은 무선 통신망(예: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촬영 영상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한다.
즉, 상기 골프 영상 관리 서버는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를 고려하여(또는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Wi-Fi 망의 이용 여부를 선택적으로(또는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기는 상기 골프 영상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촬영 영상을 상기 단말기의 출력부 더욱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S340).
상기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촬영 영상은 상기 특정 범위에서의 공의 위치와 관련된 공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의 위치 정보는 공이 위치한 지점이 러프 지역인지, 페어웨이 지역인지, 벙커 지역인지, OB 지역인지, 워터 헤저드 지역인지를 나타내는 정보, 공이 디봇 자국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공의 위치 지점에 낙엽 등 자연 장애물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공의 위치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 골퍼는 단말기를 통해 자신이 샷한 공의 위치를 공이 위치하는 지점에 도착하기 전에도 실시간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빨리, 그리고 효율적으로 골프 코스 전략을 세울 수 있어 스코어를 줄이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 영상은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상기 특정 범위에서의 지형, 형태, 높이, 기울기, 상기 특정 지점 주위의 시설물(벙커, 워터 해저드, OB 지역 등), 상기 특정 범위 또는 특정 지점에서의 잔디 특성 정보, 구조물에 대한 특성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잔디 특성 정보는 페어웨이, 러프 등에서 공이 구르는 속도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구조물에 대한 특성 정보는 절벽, 산등성이, 오르막, 내리막, 러프, 페어웨이 벙커, 그린 벙커 등의 위치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구조물에 대한 특성 정보는 골퍼가 세컨샷 지점에서 공략하지 말아야 할 지역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촬영 영상은 골프 코스 공략을 위한 부가 (서비스) 정보(또는 전략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촬영 영상과 상기 부가 정보를 합쳐서 골프 영상 콘텐츠로 표현할 수도 있다.
상기 부가 정보는 티샷 지점에서 공이 위치하는 지점까지의 거리, 공이 위치하는 지점에서 페어웨이 내 워터 해저드 지점(또는 벙커)까지의 거리, 공 위치 지점부터 그린 또는 홀컵(또는 핀)까지의 거리 및 방향, 상기 남은 거리에 따른 (골퍼에 맞는) 골프채(아이언, 우드, 하이브리드(또는 유틸리티), 드라이버, 퍼터 등)의 추천 정보, 촬영 영상 내 어느 공이 자신의 공인지를 알려주는 공 위치 표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촬영 영상과 함께 가공되어 상기 단말기로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촬영 영상과 함께 가공되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골프 영상 관리 서버가 촬영 영상 내 다수의 공들을 골퍼 별로 구별 및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골프 영상 관리 서버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경우, 촬영 영상에 나타나는(또는 표시되는) 공의 순서대로 공에 번호(예:1번, 2번, 3번, 4번)를 부여하고, 이를 촬영 영상과 함께 단말기로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촬영 영상에 다수의 공들이 위치해 있는 경우에도 자신의 공을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만약 중간에 특정 골퍼의 공이 상기 촬영 영상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 상기 골프 영상 관리 서버는 상기 촬영 영상에 공이 나타나는 시간 간격을 고려하여 상기 촬영 영상 내 나타나는 공에 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영상에 3개의 공들이 표시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2번째 공과 3번째 공의 (영상 촬영 내) 표시 간격이 1번째 공과 2번째 공의 (영상 촬영 내) 표시 간격보다 더 긴 시간을 가지는 경우, 상기 골프 영상 관리 서버는 3번째 골퍼가 친 공이 상기 촬영 영상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골프 영상 관리 서버는 상기 촬영 영상에 표시된 공을 각각 1번째, 2번째, 4번째 골퍼가 친 공이라고 판단하고, 그에 해당하도록 공에 번호를 표시 또는 부여한 한 후, 상기 촬영 영상과 함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카메라부는 다음 두 가지 방법을 통해 특정 범위에서의 영상 촬영을 종료한다.
앞서 영상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과 유사하게, 영상 촬영을 종료하는 방법은 (1) 단말의 영상 촬영 종료의 요청에 의한 방법과 (2) 단말기 또는 카트로부터 수신되는 GPS 신호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단말의 영상 촬영 종료의 요청에 의해 영상 촬영을 종료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특정 범위에 대한 영상 촬영의 종료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영상 촬영의 종료를 요청하는 신호(또는 정보 또는 메시지)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골프 영상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골프 영상 관리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촬영의 종료를 지시하는 신호(또는 정보 또는 메시지)를 상기 카메라부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카메라부는 (서버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부터 영상 촬영의 종료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특정 범위에 대한 영상 촬영을 종료한다.
다음으로, GPS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 촬영을 종료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이 방법은 상기 카메라부가 단말기 또는 카트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GPS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촬영을 종료하는 방법이다.
해당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영상 촬영 종료 결정 영역을 새롭게 정의한다.
상기 명칭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정의한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 및 내용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또는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촬영 종료 결정 영역은 영상 촬영의 종료를 트리거하는 지리적 의미의 지역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영상 촬영 종료 결정 영역은 카메라부의 촬영 영상에 대해 단말기 또는 카트가 제어권을 잃어버리는 영역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상기 특정 범위가 세컨샷 지점인 경우, 상기 영상 촬영 종료 결정 영역은 세컨샷 지점으로부터 (그린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 또는 그린으로부터 (페어웨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일 수 있다.
상기 특정 범위가 그린 지점인 경우, 상기 영상 촬영 종료 결정 영역은 그린을 벗어나는 지점일 수 있다.
상기 영상 촬영 종료 결정 영역은 GPS 좌표 값으로 설정 또는 표시된다.
즉, 상기 카메라부는 단말기 또는 카트가 상기 영상 촬영 종료 결정 영역에 진입하였음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단말기 또는 카트를 위한 특정 범위에서의 영상 촬영을 종료한다.
또 다른 의미로, 상기 단말기 또는 카트가 상기 영상 촬영 종료 결정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카트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제공되는 촬영 영상을 수신할 수 있는 제어권 또는 최우선권을 잃게 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단말기 또는 카트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GPS 신호를 통해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카트가 상기 영상 촬영 종료 결정 영역에 진입하였음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부는 영상 촬영을 종료하고, 해당 촬영 영상에 대한 제어권을 해당 단말기 또는 카트로부터 회수한다.
여기서, 상기 카트가 촬영 영상에 대한 제어권을 잃는다는 의미는 상기 카트와 관련된 단말기(들)이 상기 촬영 영상에 대한 제어권을 잃는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카트와 관련된 단말기(들)은 상기 카트의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카트에 타고 있거나 등록된 골퍼들의 단말기(들)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촬영 영상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a 및 도 4b는 세컨샷 지점에 설치된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의 일례를 나타내며, 도 4c 및 도 4d는 그린 지점에 설치된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의 일례를 나타낸다.
특히, 도 4d는 그린 지점으로 날아온 골프공의 백스핀이 표시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촬영 영상은 티샷 지점으로부터 (세컷샷 지점에) 공이 위치하는 지점까지의 제 1 거리 및/또는 상기 공이 위치하는 지점으로부터 그린 지점까지의 남은 거리를 나타내는 제 2 거리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거리는 티샷 위치(화이트티, 옐로우티, 블루티, 블랙티, 레드티)에 따라 변동될 수 있는 변동 거리이며, 상기 제 2 거리는 변동되지 않는 고정 거리이다.
또한,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은 다시 보기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거리는 미터(meter) 또는 야드(yard)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골퍼는 해당 거리가 미터 또는 야드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도록 미리 설정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되는 촬영 영상에서 직접 변경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촬영 영상 내 거리가 표시된 부분을 한 번 또는 두 번 터치(touch)함으로써, 미터를 야드로 또는 야드를 미터로 변경할 수 있고, 또는 후술할 그린 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설정 창에서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티샷 지점에서 (세컨샷 지점의) 공이 위치하는 지점까지의 거리는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위쪽 및/또는 아래쪽에 표시되거나, 위쪽(또는 아래쪽)에는 미터가, 아래쪽(또는 위쪽)에는 야드가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앞서 살핀 촬영 영상과 함께 전송되는 부가 정보를 통해 현재 공이 위치하는 지점에서 홀 컵까지의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촬영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또는 골퍼가 미리 골프채(또는 골프 클럽) 별(아이언, 우드, 하이브리드, 유틸리티, 드라이브)로 자신의 비거리를 입력해 놓은 경우, 상기 단말기는 현재 공이 위치하는 지점에서 다음 지점(써드샷 지점, 그린 지점, 홀 컵 지점 등)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는 사용자에 맞는 골프채를 추천하여 디스플레이 해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현재 골프장의 날씨, 바람 방향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 또는 골퍼가 세컨샷 지점 또는 써드샷 지점에서 샷을 할 때, 어떤 구질(페이드 또는 드로우) 또는 어떤 방향으로 해야하는지에 대한 정보도 디스플레이해줄 수 있다.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는 코스 전략 정보 또는 골프 관련 컨텐츠로 표현 또는 호칭될 수도 있다.
요약하면, 상기 부가 정보는 세컨샷 지점 또는 그린 지점에서 공이 위치한 주변의 환경 정보, 티샷으로부터 (세컨샷 지점에) 공이 위치하는 지점까지의 거리 정보(세컨샷 지점일 경우에만), 공이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다음샷 지점까지 또는 홀 컵까지의 거리, 해당 거리에 맞는 골프채(아이언, 우드, 하이브리드, 유틸리티, 드라이브)에 대한 추천 정보, 날씨, 바람 등에 기초한 다음샷 또는 홀 컵까지의 방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골퍼의 골프채 별 평균 거리, 경기 당 스코어 정보 등을 저장한 데이터와 현재 경기에서의 최종 타수 등을 비교하고, 이전 경기에 비해 현재 경기에서 좋아진 점, 나빠진 점 등을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해줄 수 있다.
특히, 현재 경기의 골프장을 이전에도 이용하여 이전 경기에서의 기록 또는 이전 경기에서의 각 홀에 대한 기록이 상기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진행되는 각 홀에서 골퍼가 실수했던 점, 이전에 비해 좋은 스코어를 가지기 위한 가이드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세컨샷 지점에 설치된 카메라부 및 그린 지점에 설치된 카메라부를 통해 골프 영상을 실시간으로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제 1 실시 예 및 제 2 실시 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제 1 실시 예: 세컨샷 지점에서 골프 영상 실시간 제공 방법
제 1 실시 예는 세컨샷 지점에 설치된 카메라부(이하, '제 1 카메라부'로 호칭하기로 한다.)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즉, 제 1 실시 예는 골퍼가 티박스에서 티샷 후 세컨샷 지점의 공의 위치, 세컨샷 지점에서의 코스 전략 등을 미리 알 수 있도록 제 1 카메라부가 단말기로 촬영 영상을 전송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세컨샷 지점은 티샷 이후 공이 위치할 수 있는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세컨샷 지점은 남성의 티샷 또는 여성의 티샷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제 1 카메라부는 특정 지역을 특정 시간 동안 촬영한다.
상기 특정 지역은 상기 제 1 카메라부가 촬영할 수 있는 범위의 영역을 나타내는 것으로, 서비스 영역(service area)로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지역은 세컨샷 지점의 주변 지역을 포함할 수 있고, OB(Out of Bounce) 지역 및 해저드(Hazzard) 지역은 상기 특정 지역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특정 시간은 상기 제 1 카메라부가 영상 촬영을 시작하는 시점에서 영상 촬영을 종료하는 시점까지의 (지속) 시간을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카메라부가 영상 촬영을 시작하는 시점을 '제 1 촬영 시작 시점', 제 1 카메라부가 영상 촬영을 종료하는 시점을 '제 1 촬영 종료 시점'으로 표현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촬영 시작 시점과 상기 제 1 촬영 종료 시점은 앞서 살핀 영상 촬영 시작 결정 영역 및 영상 촬영 종료 결정 영역과 관련된다.
상기 제 1 카메라부는 PAR 4홀 또는 PAR 5홀에 설치되고, PAR 3홀에는 설치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후, 상기 제 1 카메라부는 상기 촬영 영상을 무선 통신망을 통해 골프 영상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골프 영상 관리 서버는 상기 수신된 촬영 영상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골프 영상 관리 서버는 상기 촬영 영상을 상기 단말기로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도 있고, 상기 촬영 영상을 저장한 후, 일정 주기마다 또는 상기 단말기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단말기로 상기 촬영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기는 상기 골프 영상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촬영 영상을 사용자 또는 골퍼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단말기는 앞서 살핀 촬영 영상과 부가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2 실시 예: 그린에서 골프 영상 실시간 제공 방법
제 2 실시 예는 그린 지점에 설치된 카메라부(이하, '제 2 카메라부'로 호칭하기로 한다.)를 통해 그린에서의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즉, 제 2 실시 예는 골퍼가 세컨샷 또는 써드샷 이후의 그린 지점에서의 공의 위치, 그린에서의 퍼팅 전략 등을 미리 알 수 있도록 제 2 카메라부가 단말기로 촬영 영상을 전송하는 방법이다.
상기 세컷샷 또는 써드샷은 PAR 4 홀인지 또는 PAR 5홀인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카메라부는 그린(green) 지점을 일정 시간 동안 촬영한다.
상기 그린 지점은 상기 제 2 카메라부가 촬영할 수 있는 범위의 영역으로서, 그린 및/또는 에이프런(Apron)을 포함하는 지역일 수 있다.
상기 일정 시간은 제 2 카메라부가 영상 촬영을 시작하는 시점에서 영상 촬영을 종료 시점까지의 (지속) 시간을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2 카메라부가 영상 촬영을 시작하는 시점은 제 2 촬영 시작 시점, 영상 촬영을 종료하는 시점은 제 2 촬영 종료 시점으로 표현하기로 한다.
상기 제 2 촬영 시작 시점과 상기 제 2 촬영 종료 시점은 앞서 살핀 영상 촬영 시작 결정 영역 및 영상 촬영 종료 결정 영역과 관련된다.
이후, 상기 제 2 카메라부는 상기 촬영 영상을 무선 통신망을 통해 골프 영상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골프 영상 관리 서버는 상기 수신된 촬영 영상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골프 영상 관리 서버는 상기 촬영 영상을 상기 단말기로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도 있고, 상기 촬영 영상을 저장한 후, 일정 주기마다 또는 상기 단말기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단말기로 상기 촬영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기는 상기 골프 영상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촬영 영상을 사용자 또는 골퍼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단말기는 앞서 살핀 촬영 영상과 부가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영상은 그린의 지형, 형태, 높이, 기울기, 그린의 잔디 특성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2차원 또는 3차원 맵(map)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그린 잔디의 종류는 벤트 그라스, 버뮤다 그라스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촬영 영상을 통해 골퍼는 자신의 공이 그린에 위치하였는지 등에 대한 정보, 공이 위치한 지점의 그린 환경을 해당 그린으로 이동하기 전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그린의 촬영 영상은 그린에 올라온 공이 백스핀이 걸렸는지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단말기가 디스플레이하는 촬영 영상은 그린에서의 공략을 위한 부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는 공이 위치한 지점에서 홀 컵까지의 거리 즉, 홀컵까지의 남은 거리, 홀 컵까지의 경사도/고도, 그린 잔디의 빠르기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 등일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촬영 영상과 함께 상기 단말기로 전송될 수도 있거나,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수신된 촬영 영상과 함께 상기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카메라부의 촬영 영상에 대한 제어권 또는 최우선권의 결정 방법에 대해 좀 더 살펴보기로 한다.
앞서 살핀 것처럼, 영상 촬영에 대한 제어권의 결정은 단말기 또는 카트로부터 수신되는 GPS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카메라부는 카트 또는 단말기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GPS 신호의 좌표 값이 일정 범위(영상 촬영 시작 결정 영역)에 있는 카트 또는 단말기에게 상기 영상 촬영에 대한 제어권 또는 최우선권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GPS 신호는 상기 GPS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의 위도, 경도, 고도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카메라부는 카트 또는 단말기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고, 거리, 방향 등을 고려하여 일정 영역 내에 있는 카트 또는 단말기에게 촬영 영상을 제공하게 된다.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촬영 영상의 제어권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린 지점에 설치된) 제 2 카메라부는 거리, 방향 등을 고려하여 1번 카트, 2번 카트, 3번 카트들 중 2번 카트에게 영상 촬영의 제어권(또는 최우선권)을 부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1번 카트는 해당 홀에서 홀 아웃하고, 다음 홀로 이동하는 카트를 나타내며, 2번 카트는 해당 홀의 티박스에서 티샷 후 다음샷 또는 퍼팅을 위해 이동하는 카트를 나타내며, 3번 카트는 이전 홀을 마치고 해당 홀로 진입하는 카트 또는 해당 홀에서 대기하고 있는 카트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2번 카트가 촬영 영상에 대한 제어권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1번 카트 및 상기 3번 카트(또는 이와 관련된 단말기들)은 골프 영상 관리 서버로부터 촬영 영상을 제공받지 못한다.
즉, 상기 서버는 상기 2번 카트에 대한 촬영 영상의 제어권 또는 최우선권이 종료된 경우, 상기 3번 카트(또는 이와 관련된 단말기들)에게 그린 지점에서의 촬영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1번 카트(또는 이와 관련된 단말기들)로의 그린 지점에서의 촬영 영상 전송이 종료한 경우, 상기 2번 카트(또는 이와 관련된 단말기들)로 그린 지점에서의 촬영 영상을 전송한다.
그린 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기능(또는 어플리케이션 메뉴)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그린 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단말에서 실행 또는 구현되는 그린 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기능들(또는 메뉴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그린 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시간 영상(streaming) 메뉴(601)는 제 1 카메라부 및 제 2 카메라부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단말기로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뉴이다.
즉, 사용자는 실시간 영상 메뉴를 통해 특정 범위에서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고, 이와 함께 부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간 영상 메뉴는 초 단위, 분 단위 등으로 영상 전/후를 탐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음, 공유하기(share) 메뉴(602)는 수신한 촬영 영상을 다른 사람(예:친구, 가족 등)과 공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뉴이다.
상기 수신된 촬영 영상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기 위해, 카카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의 SNS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 즐겨찾기(Bookmark) 메뉴(603)는 북마크 기능을 수행하는 메뉴이다.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영상 중 특정 영상, 특정 화면, 특정 콘텐츠 등에 북마크 표시를 한 경우, 추후 사용자는 상기 즐겨찾기 메뉴에 들어가서 북마크된 영상, 화면 또는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나의 기록보기(record) 메뉴(604)는 사용자의 스코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뉴이다.
상기 나의 기록보기 메뉴는 현재 골프 경기의 스코어뿐만 아니라 이전 경기에서의 스코어들을 모두 저장 및 관리한다.
즉, 사용자는 상기 나의 기록보기 메뉴를 통해 현재 경기에서의 스코어와 지난 경기들에서의 스코어를 비교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다음, 통계(report) 메뉴(605)는 각종 게임 기록에 대한 통계의 기능을 수행하는 메뉴이다.
예를 들어, 통계 메뉴는 PAR 3에서의 니어(near)/홀인원 기록, 특정 홀에서의 버디 기록, PAR 4 및 PAR 5에서의 이글, 알바트로스에 대한 기록, 그린에서의 백스핀 화면 등을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 다시보기(replay) 메뉴(606)는 저장된 경기 영상을 다시 볼 수 있도록 하는 메뉴이다.
이를 위해, 단말기는 홀에서 또는 특정 샷의 촬영 영상을 저장하고, 사용자로부터 해당 메뉴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 저장하기(save) 메뉴(607)는 사용자가 특정 영상 또는 화면 또는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이다.
상기 저장하기 메뉴는 모바일 단말기뿐만 아니라 데스크탑(PC)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다음, 스코어 기록(score card) 메뉴(608)는 현재 진행 중인 게임의 스코어를 실시간으로 기록할 수 있는 메뉴이다.
상기 스코어 기록 메뉴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각 홀에서의 스코어 기록을 보여주는 기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상기 나의 기록 보기 메뉴와는 차이가 있다.
다만, 18홀의 경기가 종료된 경우, 상기 스코어 기록 메뉴에서 기록된 스코어 값은 상기 나의 기록 보기 메뉴로 저장될 수 있다.
다음, 야디지북(yardage book) 메뉴(609)는 골프장의 모든 코스 및 각 코스에서의 각 홀에 대한 영상을 보여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뉴이다.
다음, 설정(option) 메뉴(610)는 각종 환경 설정, 내 정보 수정 등에 대한 기능을 수행하는 메뉴이다.
상기 설정 메뉴를 통해, 사용자는 거리의 표시를 미터로 할지 또는 야드로 할지를 미리 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 메뉴를 통해, 사용자는 골프채 별로 자신의 거리를 미리 입력하여 앞서 살핀 남은 거리에 따른 골프채 추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를 이용한 골프 영상 제공 방법
이하, 앞서 살핀 내용을 기초로 AR을 이용한 골프 영상 제공 방법 즉, AR 기반의 그린뷰 서비스에 대해 도 7 내지 도9를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앞서 살핀 그린뷰 서비스 관련 내용은 후술할 AR 기반 그린뷰 서비스 내용들과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후술할 내용들을 보충하는데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AR 기반 골프 영상 제공 방법은 다음과 같은 절차로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단말은 사용자에 의한 그린뷰 서비스 관련 앱(이하 '그린뷰 앱'이라 함)의 실행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그린뷰 앱을 출력부(또는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또는 디스플레이)한다.
다음, 상기 단말은 출력된 그린뷰 앱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그린뷰 앱에 대한 사용자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AR 기반 그린뷰 서비스의 메인 화면을 출력부에 출력한다.
다음, 상기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코스 매니저 기능이 선택된 경우, AR 기반 그린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코스들(또는 골프장들)을 출력부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코스들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출력될 수도 있으나, GPS 기반, 기지국 기반, AP 기반 등으로 상기 단말의 위치에 해당하는 코스를 자동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코스들이 출력되는 경우, 각 코스에 대해 캐디가 있는 코스인지에 대해서도 함께 출력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캐디가 없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AR 기반 그린뷰 서비스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는 일례로서, 이에 제한되지 않고, 캐디가 있는 코스에서도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내용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음, 상기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특정 코스 및 상기 특정 코스에서의 특정 홀의 선택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단말은 특정 홀과 관련된 화면을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특정 홀과 관련된 화면은 상기 그린뷰 앱에서 기본적으로 설정되는 해당 홀에서의 디폴트 추천 방향(예: 디폴트 추천 티샷 방향, 디폴트 추천 세컨샷 방향, 디폴트 추천 퍼팅 방향 등), 이와 관련된 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디폴트 추천 방향 외에도 사용자에 의해 방향 조절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해당 홀에서의 장애물의 위치, 사용자의 샷 또는 퍼팅 구질,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채의 종류에 따라 상기 디폴트 추천 방향에 대한 조절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디폴트 추천 방향을 조절하는 사용자 방향 조정 방법에 대해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상기 단말은 디폴트 추천 방향을 표시하는 화살표(또는 지시선)에서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 시작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 입력이 지속되는 상태에서 상기 디폴트 추천 방향의 좌측, 우측, 상 또는 하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이동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이동이 특정 지점에서 특정 시간 동안 멈추는 경우, 상기 디폴트 추천 방향과 별개로 수정된 또는 이동된 추천 방향 즉, 수정 추천 방향 및 수정 추천 방향에 대해 기준점(예: 티샷 지점, 세컨샷 지점 등)으로부터 특정 지점까지의 거리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수정 추천 방향에 대한 거리 표시 없이 수정 추천 방향만 출력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AR 기반 그린뷰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은 디폴트 추천 방향을 나타내는 가운데 노란색 화살표와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의 이동에 따른 수정 추천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파란색, 검은색)를 함께 출력한다.
함께 출력되는 수정 추천 방향은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클럽의 비거리에 따른 안전한 지점까지의 거리도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함께 출력되는 거리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이 이동되었다가 해당 이동이 특정 시간 멈추는 지점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거리는 티샷 지점과 같은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이동이 일정 시간 멈추는 특정 지점까지의 거리를 나타낼 수 있다.
앞서 살핀 사용자 방향 조정 방법에 대해 사용자 관점에서 다시 정리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화면 보다 구체적으로, 디폴트 추천 방향에 해당하는 지시선을 터치하고, 자신이 이동하길 원하는 샷 방향과 거리를 설정하여 해당 지점까지 터치 입력을 조정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거리를 늘리거나 또는 줄이면서 사용자의 사전 설정 클럽 거리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클럽이 추천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화살표를 인위적으로 늘리거나 줄이면 단말은 이에 따라 안전한 지점까지의 거리 또는 비거리 기준으로 안착 지점까지의 거리를 자동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사용자 방향 조정이 필요한 이유는 디폴트 추천 방향 좌측에 벙커가 있어 안전한 플레이를 하고 싶은 경우, 우측으로 티샷 방향을 조정할 필요가 있으며, 우측으로 티샷 방향을 조절하였을 경우, 어느 정도의 거리를 보내야하는지를 사용자에게 정확히 제공하기 위함에 있다. 이와 같은 기능들이 필요한 이유는 캐디가 없는 코스 또는 골프장에서 더욱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다음, 상기 단말은 앞서 언급한 사용자 방향 조정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조정된 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에 의해 추가적으로 OK 버튼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도 8과 같은 전방 주시 화면을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모든 방향 설정과 거리 설정이 완료되고, 최종적으로 사용자로부터 "OK" 버튼에 대한 입력까지 수신하게 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출력부에 AR이 적용된 화면을 출력한다.
AR이 적용된 화면을 통해, 사용자는 별개로 생성된 화살표를 디폴트 추천 방향의 화살표와 일치하도록 단말을 움직인다.
여기서, 사용자가 OK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도 8과 같은 전방 주시 화면이 단말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본인이 설정한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8에서 녹색 화살표 지시선이 이에 해당한다.
도 8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AR 기반 그린뷰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면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은 실제 필드의 영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정된 수정 추천 방향이 AR로 구현된 도면이다. 즉, 필드의 영상 위에 AR이 구현된 가상의 화살표 지시선들(녹색: 조정된 티샷 방향, 노란색: 디폴트 추천 티샷 방향)이 표시되게 된다.
녹색 화살표 지시선은 사용자가 좌우로 임의로 조정한 수정 티샷 방향에 해당하고, 노란색 지시선은 디폴트 추천 티샷 방향에 해당한다.
다음, 사용자는 도 8과 같이, AR이 구현된 화면에서 본인이 설정한 수정 추천 방향과 그린뷰 앱이 디폴트로 제공하는 디폴트 추천 방향을 일치하도록 단말을 좌, 우, 상 또는 하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상기 단말은 수정 티샷 방향과 디폴트 추천 방향이 일치되는 것을 감지하면, 사용자가 에이밍 또는 어드레스에 대한 최종 방향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최종 방향에서 사용자는 티샷을 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구질 또는 원하는 위치에 보다 잘 공을 보낼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모든 설정이 완료된 후 그린뷰 앱이 안내하는 최종 방향 또는 본인이 설정한 방향으로 에이밍, 어드레스를 하고 샷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홀 내에서 이동하면서 티샷한 공이 떨어진 지점을 상기 단말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살핀 내용은 티샷을 할 때 AR이 적용되는 예를 중심으로 하였으나, 해당 내용은 세컨샷, 어프로치, 퍼팅 등을 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AR 기반의 그린뷰 서비스에서 공의 궤적 또는 경로를 나타낸 도이다.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샷 또는 퍼팅을 한 후, 해당 공의 탄도 또는 공의 그린 위에서의 경로에 대한 궤적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AR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공의 탄도 또는 공의 경로에 대한 궤적은 샷 또는 퍼팅한 공의 속도, 위치, 활성화 되어 있는 카메라의 화소 등이 고려됨으로써, 해당 궤적이 출력되는 트래이서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공의 탄도 또는 공의 경로에 대한 궤적은 공의 스피드가 떨어질 수록 즉, 샷 또는 퍼팅한 지점으로부터 멀어질 경우 공이 출력되는 간격들이 점점 좁아지게 됨을 볼 수 있다.
AR 기반의 골프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
*이하, 앞서 살핀 내용을 기초로 AR 기반의 골프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사항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AR 기반의 골프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단말기는 골프 영상 관리 서버 또는 카메라부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과 골프 코스의 전략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골프 영상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골프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 메모리 및 디스플레이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무선 통신부, 상기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의 구성 요소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2(b)를 참고하기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디폴트 추천 방향을 나타내는 제 1 지시선 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제 1 지시선의 좌, 우, 상 또는 하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됨을 감지하고, 상기 이동이 특정 지점에서 특정 시간 멈추는 경우,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특정 지점을 연결하는 방향으로의 수정 추천 방향을 나타내는 제 2 지시선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은 도 7 및 도 8을 참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기준점에서 상기 특정 지점까지의 목표 거리 또는 상기 목표 거리에 따른 추천 클럽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에이밍 또는 어드레스에 대한 최종 방향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 의한 움직임 감지에 따라 상기 제 1 지시선과 상기 제 2 지시선이 일치되었음을 확인한 경우, 샷 또는 퍼팅을 위한 에이밍 또는 어드레스에 대한 최종 방향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의 제어부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최종 방향으로 공이 지나가는 공의 탄도 또는 공의 경로에 대한 궤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골프 영상 제공 시스템
100: 골프 영상 관리 서버
200: 단말기
300: 카메라부

Claims (1)

  1. 단말기에 있어서,
    골프 영상 관리 서버 또는 카메라부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과 골프 코스의 전략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골프 영상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골프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 메모리 및 디스플레이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무선 통신부, 상기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홀에서의 샷 또는 퍼팅을 위해 기본적으로 설정된 디폴트 추천 방향 및 골프공의 탄도 또는 궤도에 대한 골프공 경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200082323A 2020-07-03 2020-07-03 Ar 기반의 골프 영상 제공 방법, 골프 영상 제공 장치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KR202001222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323A KR20200122265A (ko) 2020-07-03 2020-07-03 Ar 기반의 골프 영상 제공 방법, 골프 영상 제공 장치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323A KR20200122265A (ko) 2020-07-03 2020-07-03 Ar 기반의 골프 영상 제공 방법, 골프 영상 제공 장치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628A Division KR102147601B1 (ko) 2019-04-17 2019-04-17 Ar 기반의 골프 영상 제공 방법, 골프 영상 제공 장치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265A true KR20200122265A (ko) 2020-10-27

Family

ID=73136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323A KR20200122265A (ko) 2020-07-03 2020-07-03 Ar 기반의 골프 영상 제공 방법, 골프 영상 제공 장치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226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124B1 (ko) * 2020-12-24 2021-07-23 주식회사 유라이크 사용자의 골프 스윙 영상 편집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102459410B1 (ko) * 2021-11-09 2022-10-25 김부경 골프장 디봇 처리용 자동 배토기
WO2022175930A3 (ko) * 2021-02-18 2023-01-12 하이지하 주식회사 퍼팅 순간의 역동감을 극대화하여 촬영하는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중계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124B1 (ko) * 2020-12-24 2021-07-23 주식회사 유라이크 사용자의 골프 스윙 영상 편집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WO2022175930A3 (ko) * 2021-02-18 2023-01-12 하이지하 주식회사 퍼팅 순간의 역동감을 극대화하여 촬영하는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중계시스템
KR102459410B1 (ko) * 2021-11-09 2022-10-25 김부경 골프장 디봇 처리용 자동 배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3367B1 (ko) 골프 영상 제공 방법, 골프 영상 제공 장치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KR20200122265A (ko) Ar 기반의 골프 영상 제공 방법, 골프 영상 제공 장치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US11601623B2 (en) Autonomous golf competition systems and methods
US9652859B2 (en) Method of measuring a property of a trajectory of a ball with a mobile computer device
JP2023169203A5 (ko)
US202202846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3d positional coordinates of a ball
US11729490B2 (en) Autonomous digital media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US20230289982A1 (en) Methods and systems to track a moving objects trajectory using a single camera
KR102050378B1 (ko) 직사 입체영상 획득에 의한 그린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102147601B1 (ko) Ar 기반의 골프 영상 제공 방법, 골프 영상 제공 장치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US10237465B2 (en) Camera, method, and system for filming golf game
US20230381625A1 (en) Autonomous digital media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JPWO2021248050A5 (ko)
CA3208026A1 (en) Autonomous digital media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