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1772A - 모니터링되는 환경에 관련된 결정 요인에 따라 전관 방송을 송출하는 기법 - Google Patents

모니터링되는 환경에 관련된 결정 요인에 따라 전관 방송을 송출하는 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1772A
KR20200121772A KR1020200133798A KR20200133798A KR20200121772A KR 20200121772 A KR20200121772 A KR 20200121772A KR 1020200133798 A KR1020200133798 A KR 1020200133798A KR 20200133798 A KR20200133798 A KR 20200133798A KR 20200121772 A KR20200121772 A KR 20200121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public address
transmit
sub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2333B1 (ko
Inventor
이우근
지상훈
이원호
조순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0046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69797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엠
Priority to KR1020200133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333B1/ko
Publication of KR20200121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04H20/88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전관 방송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방법은, 복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 각각으로부터, 전관 방송을 위해 모니터링되는 환경에서의 대응하는 관심 영역에 관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복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 각각에 대하여,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관심 영역에서 서브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와, 그러한 식별에 기반하여, 모니터링되는 환경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의 발생을 판정하는 단계와, 전관 방송을 송출하기 위한 출력 신호를 판정된 이벤트에 대응하도록 구성하되,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를 그러한 식별에 기반하여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니터링되는 환경에 관련된 결정 요인에 따라 전관 방송을 송출하는 기법{TECHNIQUES OF DELIVERY OF PUBLIC ADDRESS IN ACCORDANCE WITH DECISION FACTOR RELATED TO MONITORING ENVIRONMEN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관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더욱 구체적으로, 이벤트 검출 기반의 지능형 전관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관 방송(Public Address: PA) 시스템은 건물, 대중 교통 수단 내지 시설, 복합단지 등등과 같은 환경에 설치되어서, 넓은 구역에 걸쳐 사람들이 들을 수 있는 음량 내지 볼륨의 소리(예컨대, 안내 음성, 배경 음악 등등)를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PA 시스템은 그러한 환경에서 발생한 비상 상황(예컨대, 화재)을 알리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한국 등록특허 제10-0761983호에 개시된 비상 상황 감시 시스템은 비상 상황이 발생한 위치를 표시하면서 전관 방송 시스템을 통하여 비상 상황을 알리는 경보를 출력한다. 몇몇 PA 시스템은 그것이 설치된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각종 센서(예컨대, 연기, 불꽃 등등을 검출하여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센서)와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비상 상황과 같은 이벤트(event)를 더욱 잘 검출하기 위해 무작정 센서의 민감도를 높이는 것은 자칫 이벤트의 오검출율(false detection rate)을 높일 수 있다. 오검출이 자주 일어날수록 PA 시스템으로부터 송출되는 전관 방송이 청자들에 의해 무시되거나 청자들을 혼란스럽게 할 가능성은 증가할 것이다. 잦은 오검출과 그로 인한 잘못된 전관 방송 때문에 성가신 나머지, 센서를 PA 시스템으로부터 연결 해제하는 일도 꽤 목격되는데, 이는 실제로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정작 이를 알리는 전관 방송이 송출되지 못하게 할 것이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시도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벤트 검출에 기반하여 개선된 전관 방송을 수행하기 위한 기법이 본 문서에 개시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벤트 검출 기반 전관 방송 시스템이 제공된다. 위 시스템은 다음을 포함한다: 전관 방송을 위해 위 시스템이 설치된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복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이벤트 감지부(위 복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 각각은 위 모니터링되는 환경에서의 각자의 관심 영역을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데이터를 제공함); 위 복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 각각에 대하여, 위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위 각자의 관심 영역에서 서브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이벤트 수집부; 위 식별에 기반하여, 위 모니터링되는 환경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의 발생을 판정하는 이벤트 판정부; 및 위 전관 방송을 송출하기 위한 출력 신호를 위 판정된 이벤트에 대응하도록 구성하되, 위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를 위 식별에 기반하여 결정하는 이벤트 처리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관 방송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위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복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 각각으로부터, 전관 방송을 위해 모니터링되는 환경에서의 대응하는 관심 영역에 관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위 복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 각각에 대하여, 위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위 대응하는 관심 영역에서 서브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위 식별에 기반하여, 위 모니터링되는 환경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의 발생을 판정하는 단계; 및 위 전관 방송을 송출하기 위한 출력 신호를 위 판정된 이벤트에 대응하도록 구성하되, 위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를 위 식별에 기반하여 결정하는 단계.
전술된 개요는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로 후술되는 몇몇 양상을 단순화된 형태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개요는 청구된 주제(subject matter)의 중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식별하도록 의도되지 않고, 청구된 주제의 범위를 정하는 데 사용되도록 의도되지도 않는다. 나아가, 청구된 주제는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임의의 또는 모든 이점을 제공하는 구현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관 방송 시스템은 이벤트 검출 기반의 개선된 전관 방송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벤트가 잘못 검출되는 경우에도 잘못된 전관 방송이 송출될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관 방송의 송출 여부를 결정하는 데에 적합하다고 통계적으로 그리고/또는 체험적으로 여겨지는 요인이 그러한 결정에 반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관 방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관 방송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서브이벤트를 우선시하여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관 방송 시스템의 용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에 대한 한정이 아니라 예시로서 제공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망라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특정한 세부사항이 제공되는데, 몇몇 실시예는 이들 세부사항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없더라도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공지 기술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후술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한정적 의미로 고려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단수 형태의 표현은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이 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와 같은 용어는 어떤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함을 나타내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관 방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전관 방송 시스템(100)은 사용자 입력부(120), 이벤트 감지부(130), 이벤트 수집부(140), 이벤트 판정부(150), 이벤트 처리부(160), 데이터 저장부(170) 및 오디오 출력부(18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 유닛은 전관 방송의 송출을 위해 서로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communicatively coupled)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0)는 전관 방송을 위한 출력 신호가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speaker)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오디오 출력부(180)는 이벤트 처리부(160)와 서로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되어 이벤트 처리부(160)로부터 전관 방송을 위한 출력 신호 및/또는 다른 출력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처리부(160)는 오디오 출력부(180)와 직접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거나, (비록 도시되지 않았으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 유닛, 모듈 등등(가령, 전관 방송의 수신을 위한 장치)을 거쳐 오디오 출력부(180)와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각각의 커플링은 별개의 송신 매체에 대응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송신 매체는 유선 송신 매체(예를 들어, 송신 선로(transmission line), 전화선(telephone line), 꼬임쌍선(twisted pair line),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광섬유(optical fiber) 등등), 무선 송신 매체(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RF, 무선 통신을 위한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 등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이제, 예시적인 전관 방송 시스템(100)이 어떻게 동작하는지에 관한 설명이 주어진다.
이벤트 감지부(130)는 전관 방송 시스템(100)이 설치된 환경(가령, 건물) 도처에 배치되어 전관 방송을 위해 그러한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복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 각각은 모니터링되는 환경에서의 각자의 관심 영역(가령, 건물 1층의 특정 회의실)을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예는 소리 센서(가령, 음성 인식 등등을 위한 마이크), 이미지 센서(가령, CCTV, 영상 카메라 등등), 화재 센서(가령, 연기 센서, 불꽃 센서 등등), 온도 센서(가령, 서모커플(thermocouple), 서미스터(thermistor) 등등) 및 기타 센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벤트 수집부(140)는 각 모니터링 디바이스로부터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에 기반하여 해당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관심 영역에서 서브이벤트(sub-event)가 발생하였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벤트 수집부(140)는 각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관심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식별하고 그러한 식별의 결과를 나타내는 메트릭 값(metric value)을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획득된 메트릭 값은 1비트에 의해 표현되는 이진 값(가령, 서브이벤트의 발생(즉, 서브이벤트 온(on))을 나타내는 "1" 또는 서브이벤트의 비발생(즉, 서브이벤트 오프(off))을 나타내는 "0")일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의 범위는 이 점에서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메트릭 값이 서브이벤트의 발생 여부의 식별의 결과로서 획득될 수 있다.
이벤트 판정부(150)는 복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전체 환경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이벤트 수집부(140)에 의한 전술된 식별에 기반하여 판정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벤트 판정부(150)는 모니터링되는 환경에서의 가능한 이벤트에 관련된 수치를 서브이벤트의 발생 여부의 식별에 기반하여 산출하고, 그 모니터링되는 환경에서 그러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산출된 수치에 기반하여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출된 수치는 이벤트의 발생의 우도(likelihood)를 나타낼 수 있다. 특정 구현에서, 이벤트 판정부(150)는 모니터링되는 환경에서의 이벤트를 인식하기 위해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기반의 이벤트 검출 기술(가령, 제3자(third party)에 의해 제공되는 신경망 기반 분류기와 같은 범용 이벤트 검출기)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데이터 저장부(170)에는 이벤트 발생 데이터를 포함하여 (가령, 대량의 정형, 반정형 및/또는 비정형의) 데이터세트가 저장될 수 있다. 이벤트 발생 데이터에는, 모니터링되는 환경에서 발생하였다고 판정된 이벤트가, 각 관심 영역에서 발생하였다고 식별된 서브이벤트와 연관하여, (예컨대, 통계적 수치로서) 반영될 수 있다. 특정 구현에서, 데이터 저장부(170)에 저장된 데이터세트는 빅 데이터(big data) 기술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벤트 판정부(150)는 모니터링되는 환경에서의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데이터세트 내에 이미 존재하는 이벤트 발생 데이터에 또한 기반하여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되는 환경에서의 가능한 이벤트와 어떤 서브이벤트의 관련도(가령, 해당 이벤트의 발생에서의 그 서브이벤트의 빈도)가 이벤트 발생 데이터로부터 가용할(available) 수 있고, 이벤트 판정부(150)는 그러한 수치를 사용하여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한편, 이벤트 판정부(150)는 판정된 이벤트를 서브이벤트의 발생 여부의 식별과 연관하여 이벤트 발생 데이터에 반영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세트를 갱신할 수 있다.
이벤트 처리부(160)는 전관 방송을 송출하기 위한 출력 신호를 이벤트 판정부(150)에 의해 판정된 이벤트에 대응하도록 구성하되, 각각의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관심 영역에서 서브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식별의 결과에 기반하여,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몇몇 실시예에서,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은, 모니터링되는 환경에서의 가능한 이벤트에 관련된 수치(전술된 바와 같이, 이벤트 판정부(150)에 의해 산출되고, 이벤트 발생의 우도를 나타낼 수 있음)에 또한 기반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를 출력 신호를 구성하는 것과는 부분적으로나마 별개인 방식으로 결정하는 것은, 이벤트의 발생의 판정이 그대로 전관 방송의 송출로 이어지는 것에 비해, 이벤트의 오검출에도 불구하고 잘못된 전관 방송의 송출의 가능성을 줄이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벤트 처리부(160)는 판정된 이벤트의 오디오 표현을 전관 방송을 송출하기 위한 출력 신호로서 제공할 수 있는바, 그러한 출력 신호는 판정된 이벤트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출력 신호는 이벤트 처리부(160)로부터 오디오 출력부(180)의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정된 이벤트의 오디오 표현은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가령, CD 플레이어에 삽입된 CD에 기록된 어떤 오디오 트랙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원격 마이크(Remote Microphone: RM) 상에서의 발화(speech)를 위한 사용자 입력, TTS(Text-To-Speech) 합성기에 문구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 등등)에 응답하여 제공되는 오디오 데이터(가령, 선택된 오디오 트랙의 데이터, RM에 입력된 소리로부터 생성된 오디오 데이터, TTS 합성기에 입력된 문구로부터 생성된 오디오 데이터 등등)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판정된 이벤트의 오디오 표현은 사전정의되거나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벤트 처리부(160)는 각각의 관심 영역에서의 가능한 서브이벤트에 대응하는 가중치 및 그러한 서브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메트릭 값을 사용하여 서브이벤트 가중 총합을 계산하고(가령, 서브이벤트 가중 총합을 T, 가능한 서브이벤트의 총 개수를 N, i번째 서브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메트릭 값을 mi, 그리고 i번째 서브이벤트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wi로 표기할 때,
Figure pat00001
),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를 계산된 서브이벤트 가중 총합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각각의 가중치는 데이터 저장부(170)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 내의 이벤트 발생 데이터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메트릭 값에 대해서는, 이벤트 수집부(140)에 관한 전술된 설명을 참조하시오.
몇몇 실시예에서, 모니터링되는 환경 내의 소음에 대처하기 위해서, 이벤트 처리부(160)는 전관 방송을 송출하기 위한 출력 신호의 구성에서, 능동 소음 제어(Active Noise Control: ANC) 또는 자동 볼륨 제어(Automatic Volume Control: AVC)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 신호에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출력 신호(즉, ANC 및/또는 AVC로 제어된 출력 신호)가 오디오 출력부(180)의 적어도 하나에 스피커에 제공됨에 따라 전관 방송의 송출 시에 그 환경에 적합하게 소음이 제거되고/되거나 볼륨이 조절된 오디오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이벤트 감지부(130) 내의 복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고, 이벤트 수집부(140)는 해당 모니터링 디바이스로부터의 모니터링 데이터로부터 마이크에 의해 감지된 소음 성분을 측정할 수 있는바, 이벤트 처리부(160)는 측정된 소음 성분을 감안하여 ANC 및/또는 AVC가 적용된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전관 방송이 송출되더라도 그 모니터링 디바이스가 설치된 구역은 다른 구역과 달리 정숙성이 유지될 필요가 있고/있거나 다른 구역과는 상이한 레벨의 오디오로 전관 방송이 행해질 필요가 있는 경우에 유용할 것이다. ANC 및/또는 AVC가 적용된 출력 신호가 오디오 출력의 형태로, 예컨대, 마이크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관심 영역에서 재생되면서, 그 관심 영역에서의 소리가 모니터링될 수 있고, 그러한 모니터링의 결과가 이벤트 처리부(160)에 피드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관 방송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를 보여준다. 도 2에 도시된 프로세스(200)는 단지 예로서 제공될 뿐이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2의 프로세스(200)의 동작 중 일부가 생략되고/되거나 다른 동작이 추가되고/되거나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프로세스(200)는 예시적인 전관 방송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210)에서, 복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 각각으로부터, 전관 방송을 위해 모니터링되는 환경에서의 대응하는 관심 영역에 관한 모니터링 데이터가 제공된다,
동작(220)에서, 각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관심 영역에서 서브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가 각자의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식별된다.
동작(230)에서, 모니터링되는 환경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가 동작(220)에서의 식별에 기반하여 판정된다.
동작(240)에서, 전관 방송을 송출하기 위한 출력 신호가 동작(230)에서 판정된 이벤트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동작(250)에서,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 여부가 동작(220)에서의 식별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으로 결정된 경우, 프로세스(200)는 동작(260)으로 진행한다. 전관 방송을 송출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된 경우, 프로세스(200)는 동작(260)을 거른다.
동작(260)에서, 전관 방송을 송출하기 위한 출력 신호에 따른 오디오 출력이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해 제공된다.
이와 같이, 전관 방송을 송출하기로 결정된 경우, 전관 방송의 송출을 위해 그리고 판정된 이벤트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출력 신호(이 출력 신호에는 추가적으로 ANC 및/또는 AVC가 적용될 수 있음)에 따라 전관 방송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서브이벤트를 우선시하여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250)에서,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에 관한 최종적인 결정을 내리기 위해 추가적인 프로세스를 실행한다는 잠정적인 결정이 행해질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잠정적인 결정은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 여부를 추가적인 프로세스 없이 결정하기가 애매한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와 같은 잠정적인 결정이 내려진 경우에, 전관 방송의 관리자가 전관 방송의 송출을 승인하거나 불허하는 것을 기다리기로 결정될 수 있고, 이후 전관 방송의 송출의 승인도 불허도 완료되지 않은 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비로소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가 최종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나아가,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가령, 이벤트 처리부(160)에 의해 수행되는) 전술된 추가적인 프로세스에서, 복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 중에서 선택된 특정한 종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로부터의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임의의 또는 특정한 서브이벤트의 발생이 식별된 경우에는 전관 방송을 송출하기로 결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전관 방송을 송출하지 않기로 결정함으로써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에 관한 최종적인 결정이 행해질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은, 개개의 전관 방송 시스템(가령, 전관 방송 시스템(100))이 설치된 환경에서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에 핵심적인 것으로 인지되거나 파악되는 기준이 하나 이상 있을 수 있다는 고찰에 기반한다. 예를 들어, 그러한 환경과 관련하여 주어진 평균 온도, 날씨, 당일 요일, 현재 시각(time of day) 등등과 같은 결정 요인이 (가령, 사전구성되는 방식으로 또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한 사용자 입력으로써) 선별될 수 있고, 선별된 결정 요인의 주어진 상태에 있어서 가장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서브이벤트("최우선" 서브이벤트로도 지칭될 수 있음)의 온/오프에 따라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정 방식은 이벤트의 오검출율에 따른 잘못된 전관 방송이 송출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통계적으로 분석된 데이터 및/또는 체험적(heuristic) 지식을 (가령, 전관 방송 시스템이 설치된 개별 환경에 맞추어 필요에 따라 현장에서 바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도 3에 표 형태로 제시된 바와 같이, 요일과 시각, 그리고 평균 온도에 따라 특정한 종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가 선택될 수 있고(가령, 평균 온도가 15도 내지 30도인 상황에서의 평일 6시부터 18시에 대해서는 마이크가 선택될 수 있고, 평균 온도가 15도 내지 30도인 상황에서의 평일 다른 시간대에 대해서는 화재 센서가 선택될 수 있음), 그러한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관심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임의의 서브이벤트가 최우선 서브이벤트로 사전설정될 수 있으며, 최우선 서브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었는지에 따라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가 결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관 방송 시스템의 용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전관 방송 시스템(100)이 설치된 건물의 어떤 층의 레이아웃(layout)(4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아웃(400) 상에 제1 내지 제15 강의실(401 내지 415), 회의실(420), A 내지 D 비상구(431 내지 434) 및 복도(440)가 있다. 강의실(401 내지 415) 각각 및 회의실(420)에는 이벤트 감지부(130)의 화재 센서, 온도 센서, 스피커 및 마이크가 설치되어 있다. 복도(440) 도처에는 이벤트 감지부(130)의 CCTV와 스피커의 쌍이 설치되어 있다.
이제 화재(450)가 제5 강의실(405)에서 일어났고, 제6 강의실(406) 쪽으로 번지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자. 이벤트 수집부(140)는 제5 강의실(405) 내부의 화재 센서, 온도 센서 및 마이크로부터 각각 화재 감지, 온도 비정상, "불이야"라는 음성을 나타내는 각자의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6 강의실(406) 내부의 온도 센서로부터 온도 비정상을 나타내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수집부(140)는 복도(440) 중 제4 강의실(404), 제5 강의실(405) 및 제6 강의실(406)이 있는 구역에 해당하는 부분에 설치된 CCTV로부터 붉은색 빛과 연기의 영상을 나타내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고, 복도(440) 중 제7 강의실(407), 제8 강의실(408) 및 제9 강의실(409)이 있는 구역에 해당하는 부분에 설치된 CCTV로부터 연기의 영상을 나타내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수집부(140)는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서브이벤트(가령, 화재 감지, 온도 비정상, "불이야"라는 음성, 붉은색 빛의 영상, 연기의 영상)의 발생을 식별할 수 있다. 그러면, 이벤트 판정부(150)는 식별된 서브이벤트에 기반하여, 제5 강의실(405)에서 화재(450)가 발생하였다는 이벤트와, 제6 강의실(406) 방향으로 화재(450)가 확장되고 있다는 이벤트를 판정할 수 있다. 이벤트 처리부(160)는 판정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구성하는 한편, 전관 방송을 송출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이아웃(400) 상의 상이한 구역에 설치된 스피커들을 통하여 상이한 오디오 출력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강의실(401) 내지 제6 강의실(406) 및 그 주변의 복도(440) 부분에 설치된 스피커들을 통하여 "제5 강의실에 화재 발생. 가까운 A 비상구와 B 비상구로 신속히 대피하세요. 현재 A 비상구는 연기가 심하니 유의하세요."와 같은 오디오 출력이 방송될 수 있고, 제7 강의실(407) 내지 제9 강의실(409), 회의실(420) 및 그 주변의 복도(440) 부분에 설치된 스피커들을 통하여 "제5 강의실에 화재 발생. 가까운 B 비상구로 신속히 대피하세요."와 같은 오디오 출력이 방송될 수 있으며, 제10 강의실(410) 내지 제15 강의실(415) 및 그 주변의 복도(440) 부분에 설치된 스피커들을 통하여 "제5 강의실에 화재 발생. 가까운 C 비상구와 D 비상구로 신속히 대피하세요."와 같은 오디오 출력이 방송될 수 있다.
나아가, 화재(450)가 제6 강의실(406)에도 옮아간 상황을 고려하자.
이벤트 수집부(140)는 제6 강의실(406) 내부의 화재 센서로부터 화재 감지를 나타내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고, 복도(440) 중 제4 강의실(404), 제5 강의실(405) 및 제6 강의실(406)이 있는 구역에 해당하는 부분에 설치된 CCTV로부터 많은 몰려 있는 사람들의 영상을 나타내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여서, 그러한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서브이벤트의 발생을 식별할 수 있다. 이벤트 판정부(150)는 식별된 서브이벤트에 기반하여, 제6 강의실(406)에 화재(450)가 옮아 붙었다는 이벤트와, A 비상구(431)가 혼잡하다는 이벤트를 판정할 수 있다. 이벤트 처리부(160)는 판정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구성하고, 전관 방송을 송출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예컨대, 제4 강의실(404) 내지 제6 강의실(406) 및 그 주변의 복도(440) 부분에 설치된 스피커들을 통하여 제공되는 오디오 출력의 볼륨이 증가될 수 있고, 제1 강의실(401) 내지 제3 강의실(403) 및 그 주변의 복도(440) 부분에 설치된 스피커들을 통하여 "제5 강의실과 제6 강의실에 화재 발생. 가까운 B 비상구로 신속히 대피하세요. 현재 A 비상구는 사람이 많아 혼잡해서 위험합니다."와 같은 오디오 출력이 방송될 수 있으며, 제7 강의실(407) 내지 제9 강의실(409), 회의실(420) 및 그 주변의 복도(440) 부분에 설치된 스피커들을 통하여 "제5 강의실 및 제6 강의실에 화재 발생. 가까운 B 비상구로 신속히 대피하세요. B 비상구가 혼잡할 때에는 C 비상구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오디오 출력이 방송될 수 있고, 제10 강의실(410) 내지 제15 강의실(415) 및 그 주변의 복도(440) 부분에 설치된 스피커들을 통하여 "제5 강의실 및 제6 강의실에 화재 발생. 가까운 C 비상구와 D 비상구로 신속히 대피하세요."와 같은 오디오 출력이 방송될 수 있다.
도 5는 예시적인 전관 방송 시스템(100)이 설치된 역사의 레이아웃(5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아웃(500) 상에 도면 우측에서 좌측으로 열차가 따라 이동하는 상행선(501), 도면 좌측에서 우측으로 열차가 따라 이동하는 하행선(502), 상행선 승강장(510)(이는 제1 내지 제4 상행선 승강장 구역(511 내지 514)로 구분됨), 하행선 승강장(520)(이는 제1 내지 제4 하행선 승강장 구역(521 내지 524)로 구분됨), 제1 휴게실(530) 및 제2 휴게실(540)이 있다. 각 승강장(510, 520)(가령,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승강장 구역(511, 512, 513, 514, 521, 522, 523, 524)) 내부에는 CCTV, 스피커 및 마이크가 설치되어 있다. 각 휴게실(530, 540) 내부에는 스피커와 마이크가 설치되어 있다. 각 승강장(510, 520)의 열차 진입측 말단에는 CCTV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수집부(140)는 하행선(502)을 따라 진입하려는 열차의 영상을 나타내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하행선 승강장(520) 끝의 CCTV로부터 수신하고, 제3 하행선 승강장 구역(523) 내에서 하행선(502) 가까이에 서 있는 한 사람의 영상을 나타내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해당 구역(523)에 설치된 CCTV로부터 수신하며, 해당 열차의 주행으로 인한 열차 소음이 포함된 소리를 나타내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승강장(510, 520) 및 휴게실(530, 540) 내부의 마이크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수집부(140)는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서브이벤트(가령, 부산행 열차가 하행선(502)에 진입할 참임, 열차의 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음, 승강장 구역(523) 내에서 사람 1명이 하행선(502) 가까이에 서 있음, 열차 소음이 임계치 이상임 등등)의 발생을 식별할 수 있다. 그러면, 이벤트 판정부(150)는 식별된 서브이벤트에 기반하여, 과도한 속도로 부산행 열차가 하행선(502)을 따라 들어오고 있다는 이벤트와, 제3 하행선 승강장 구역(523)에서 사람 1명이 안전선을 위반하여 서 있다는 이벤트와, 진입하려는 열차가 상당히 시끄러운 소음을 유발하고 있다는 이벤트를 판정할 수 있다. 이벤트 처리부(160)는 판정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구성하는 한편, 전관 방송을 송출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행선 승강장 구역(521), 제2 하행선 승강장 구역(522), 제4 하행선 승강장 구역(524) 및 휴게실(540)에 설치된 스피커들을 통하여 "부산행 K046번 열차가 들어오고 있습니다. 출발 시간은 오전 11시 10분입니다."와 같은 오디오 출력이 방송될 수 있되, 휴게실(540)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서는 ANC가 적용된 출력 신호(가령, ANC의 적용을 위한 소음 제거 신호와 같은 추가적인 신호가 중첩된(superimposed) 출력 신호)에 따른 오디오 출력이 제공되어서 휴게실(540) 내부의 정숙성이 유지될 수 있고, 제1 하행선 승강장 구역(521) 및 제2 하행선 승강장 구역(522)에 설치된 스피커들을 통해서는 AVC로써 자동으로 볼륨이 증가된 출력 신호에 따른 오디오 출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3 하행선 승강장 구역(523)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하여 "부산행 열차가 들어오고 있습니다. 안전선을 넘으신 손님께서는 안전선 뒤로 물러서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오디오 출력이 방송될 수 있다. 아울러, 예시적인 전관 방송 시스템(100)은 열차 내부의 전관 방송 시스템과 연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열차 내부의 스피커를 통해 "이번에 정차할 역은 대전역입니다. 열차가 급정거할 수 있으니, 자리에 앉으시거나 손잡이를 꼭 붙잡아 주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오디오 출력이 방송될 수 있다.
예시적인 전관 방송 시스템(100)은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컴퓨팅 장치로서 구현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6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610), 프로세서(610)와 커플링되어 프로세서(610)에 의해 판독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620) 및 다양한 주변기기(6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프로세서(610)는 컴퓨팅 장치(6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610)는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유닛(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프로세서 코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제어기,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무선 주파수 집적 회로(Radio-Frequency Integrated Circuit: RFIC), 다른 하드웨어 및 로직 회로, 또는 이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620)는 컴퓨터 실행가능(computer executable) 명령어 또는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형태로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620)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Access Memory: RAM), 휘발성(volatile) 메모리, 비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착탈가능(removable) 메모리, 비착탈가능(non-removable) 메모리, 하드 디스크, 플래시(flash) 메모리,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광 디스크 저장 매체, 다른 저장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또는 이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프로세서(610)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620)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고, 그러한 명령어는 프로세서(61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600)로 하여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가령 전술된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주변기기(630)는 다양한 입출력(Input/Output: I/O)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은 컴퓨팅 장치(600)가 다른 장치, 디바이스, 기기 등등과 통신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거나, 컴퓨팅 장치(600)로의 명령, 데이터 및/또는 정보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고/있거나 컴퓨팅 장치(600)로부터의 출력을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기기(630)는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 키보드, 키패드, 마이크, CD/DVD 플레이어, 하드웨어 TTS 합성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touch-sensitive display), 스피커, 프린터, 통신 인터페이스 카드, 직렬 포트(serial port),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포트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본 문서에 기술된 동작, 기법, 프로세스, 또는 이의 어떤 양상이나 부분이 체현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예컨대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그리고 ROM, RAM, 플래시 메모리, 솔리드 스테이트(solid-state) 메모리와 같은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 명령어,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등이 단독으로 또는 조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개시된 동작, 기법, 프로세스, 또는 이의 어떤 양상이나 부분을 구현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어떤 유형의 (가령, 컴파일형(compiled) 또는 해석형(interpreted)) 프로그래밍 언어, 예컨대, 어셈블리(assembly), 기계어(machine language), 프로시저형(procedural) 언어, 객체지향(object-oriented) 언어 등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하드웨어 구현과 조합될 수 있다. 용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팅 장치(예컨대, 컴퓨팅 장치(600))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어(실행 시에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개시된 기법을 수행하게 함)를 저장할 수 있고, 그러한 명령어에 의해 사용되거나 이와 연관된 데이터 구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예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그리고 ROM, RAM, 플래시 메모리, 솔리드 스테이트(solid-state) 메모리와 같은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와 관련된다.
예 1은 전관 방송 시스템인데, 위 시스템은, 전관 방송을 위해 위 시스템이 설치된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복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이벤트 감지부(위 복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 각각은 위 모니터링되는 환경에서의 각자의 관심 영역을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데이터를 제공함)와, 위 복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 각각에 대하여, 위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위 각자의 관심 영역에서 서브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이벤트 수집부와, 위 식별에 기반하여, 위 모니터링되는 환경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의 발생을 판정하는 이벤트 판정부와, 위 전관 방송을 송출하기 위한 출력 신호를 위 판정된 이벤트에 대응하도록 구성하되, 위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를 위 식별에 기반하여 결정하는 이벤트 처리부를 포함한다.
예 2는 예 1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출력 신호를 구성하는 것은 위 판정된 이벤트의 오디오 표현을 위 출력 신호로서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 3은 예 1 및 예 2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모니터링되는 환경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의 발생을 판정하는 것은 위 모니터링되는 환경에서의 가능한 이벤트에 관련된 수치를 위 식별에 기반하여 산출하는 것과, 위 산출된 수치에 기반하여 위 가능한 이벤트가 위 모니터링되는 환경에서 발생하였는지를 판정하는 것을 포함하되, 위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은 위 산출된 수치에 또한 기반한다.
예 4는 예 1 내지 예 3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모니터링되는 환경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의 발생을 판정하는 판정하는 것은 데이터세트 내에 포함된 이벤트 발생 데이터에 또한 기반하되, 위 모니터링되는 환경에서 발생하였다고 이전에 판정된 이벤트가, 위 각자의 관심 영역에서 발생하였다고 이전에 식별된 서브이벤트와 연관하여, 위 이벤트 발생 데이터에 반영되어 있다.
예 5는 예 4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이벤트 판정부는 또한, 위 판정된 이벤트를 위 식별과 연관하여 위 이벤트 발생 데이터에 추가로 반영함으로써 위 데이터세트를 갱신한다.
예 6은 예 4 및 예 5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데이터세트 내의 위 이벤트 발생 데이터로부터 위 서브이벤트에 대응하는 가중치가 도출된다.
예 7은 예 1 내지 예 6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각자의 관심 영역에서 서브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것은 위 서브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메트릭 값(metric value)을 위 식별의 결과로서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고, 위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은 위 서브이벤트에 대응하는 가중치 및 위 메트릭 값을 사용하여 서브이벤트 가중 총합을 계산하는 것과, 위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를 위 서브이벤트 가중 총합에 기반하여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 8은 예 1 내지 예 7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은 위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에 관한 최종적인 결정을 내리기 위한 추가적인 프로세스를 실행한다는 잠정적인 결정을 위 식별에 기반하여 행하거나, 위 전관 방송을 송출한다는 결정을 위 추가적인 프로세스 없이 위 식별에 기반하여 행하거나, 위 전관 방송을 송출하지 않는다는 결정을 위 추가적인 프로세스 없이 위 식별에 기반하여 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 9는 예 8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추가적인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은 위 복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 중에서 선택된 특정한 종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로부터의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임의의 서브이벤트의 발생이 식별된 경우에는 위 전관 방송을 송출하기로 결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위 전관 방송을 송출하지 않기로 결정함으로써 위 최종적인 결정을 내리는 것을 포함한다.
예 10은 예 9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특정한 종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위 모니터링되는 환경과 관련된 결정 요인에 따라 선택된다.
예 11은 예 10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결정 요인은 위 모니터링되는 환경과 관련하여 주어진 온도, 날씨, 요일 및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 12는 예 8 내지 예 11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추가적인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은 위 최종적인 결정을 내리기 전에 위 전관 방송의 관리자가 위 전관 방송의 송출을 승인하거나 불허하는 것을 기다리기로 결정하고, 이후 위 승인 및 위 불허 중 어느 것도 완료되지 않고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위 최종적인 결정을 내리는 것을 포함한다.
예 13은 예 1 내지 예 12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복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마이크를 포함하고, 위 이벤트 수집부는 또한 위 마이크에 의해 감지된 소음 성분을 측정하고, 위 이벤트 처리부는 또한 위 측정된 소음 성분에 따라 능동 소음 제어(Active Noise Control: ANC) 또는 자동 볼륨 제어(Automatic Volume Control: AVC) 중 적어도 하나를 위 출력 신호에 적용한다.
예 14는 예 1 내지 예 13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시스템은, 위 출력 신호가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더 포함한다.
예 15는 전관 방송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인데, 위 방법은, 복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 각각으로부터, 전관 방송을 위해 모니터링되는 환경에서의 대응하는 관심 영역에 관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위 복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 각각에 대하여, 위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위 대응하는 관심 영역에서 서브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와, 위 식별에 기반하여, 위 모니터링되는 환경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의 발생을 판정하는 단계와, 위 전관 방송을 송출하기 위한 출력 신호를 위 판정된 이벤트에 대응하도록 구성하되, 위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를 위 식별에 기반하여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16은 예 15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출력 신호를 구성하는 것은 위 판정된 이벤트의 오디오 표현을 위 출력 신호로서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 17은 예 15 및 예 16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모니터링되는 환경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의 발생을 판정하는 단계는 위 모니터링되는 환경에서의 가능한 이벤트에 관련된 수치를 위 식별에 기반하여 산출하는 단계와, 위 산출된 수치에 기반하여 위 가능한 이벤트가 위 모니터링되는 환경에서 발생하였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위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위 산출된 수치에 또한 기반한다.
예 18은 예 15 내지 예 17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모니터링되는 환경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의 발생을 판정하는 단계는 데이터세트 내에 포함된 이벤트 발생 데이터에 또한 기반하되, 위 모니터링되는 환경에서 발생하였다고 이전에 판정된 이벤트가, 위 대응하는 관심 영역에서 발생하였다고 이전에 식별된 서브이벤트와 연관하여, 위 이벤트 발생 데이터에 반영되어 있다.
예 19는 예 18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방법은 위 판정된 이벤트를 위 식별과 연관하여 위 이벤트 발생 데이터에 추가로 반영함으로써 위 데이터세트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 20은 예 18 및 예 19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데이터세트 내의 위 이벤트 발생 데이터로부터 위 서브이벤트에 대응하는 가중치가 도출된다.
예 21은 예 15 내지 예 20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대응하는 관심 영역에서 서브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는 위 서브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메트릭 값(metric value)을 위 식별의 결과로서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위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위 서브이벤트에 대응하는 가중치 및 위 메트릭 값을 사용하여 서브이벤트 가중 총합을 계산하는 단계와, 위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를 위 서브이벤트 가중 총합에 기반하여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22는 예 15 내지 예 21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위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에 관한 최종적인 결정을 내리기 위한 추가적인 프로세스를 실행한다는 잠정적인 결정을 위 식별에 기반하여 행하거나, 위 전관 방송을 송출한다는 결정을 위 추가적인 프로세스 없이 위 식별에 기반하여 행하거나, 위 전관 방송을 송출하지 않는다는 결정을 위 추가적인 프로세스 없이 위 식별에 기반하여 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23은 예 22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추가적인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은 위 복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 중에서 선택된 특정한 종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로부터의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임의의 서브이벤트의 발생이 식별된 경우에는 위 전관 방송을 송출하기로 결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위 전관 방송을 송출하지 않기로 결정함으로써 위 최종적인 결정을 내리는 것을 포함한다.
예 24는 예 23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특정한 종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위 모니터링되는 환경과 관련된 결정 요인에 따라 선택된다.
예 25는 예 24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결정 요인은 위 모니터링되는 환경과 관련하여 주어진 온도, 날씨, 요일 및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 26은 예 22 내지 예 25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추가적인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은 위 최종적인 결정을 내리기 전에 위 전관 방송의 관리자가 위 전관 방송의 송출을 승인하거나 불허하는 것을 기다리기로 결정하고, 이후 위 승인 및 위 불허 중 어느 것도 완료되지 않고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위 최종적인 결정을 내리는 것을 포함한다.
예 27은 예 15 내지 예 26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복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마이크를 포함하고, 위 방법은, 위 마이크에 의해 감지된 소음 성분을 측정하는 단계와, 위 측정된 소음 성분에 따라 능동 소음 제어(Active Noise Control: ANC) 또는 자동 볼륨 제어(Automatic Volume Control: AVC) 중 적어도 하나를 위 출력 신호에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 28은 예 15 내지 예 27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방법은, 위 출력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 29는 컴퓨팅 장치인데, 위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가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되, 위 컴퓨팅 실행가능 명령어는 위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위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 15 내지 예 28 중 임의의 것의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예 30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인데, 위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위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 15 내지 예 28 중 임의의 것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가 저장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가 상세하게 기술되었으나, 이는 제한적이 아니고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개시된 실시예의 세부사항에 대해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변경이 행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주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전관 방송 시스템
130: 이벤트 감지부
140: 이벤트 수집부
150: 이벤트 판정부
160: 이벤트 처리부

Claims (16)

  1. 컴퓨팅 장치로서,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벤트 검출 기반의 전관 방송을 가능하게 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되, 상기 동작은,
    상기 전관 방송을 위해 모니터링되는 환경에서의 각자의 관심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복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된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각자의 관심 영역에서의 서브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식별하는 것과,
    상기 환경에서의 이벤트를 신경망 기반 분류기를 사용하여 검출하는 것과,
    상기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를 상기 식별에 기반하여 결정하되, 상기 결정을 행하기 전에 추가적인 프로세스를 실행한다는 잠정적인 결정이 행해진 경우에는 상기 환경과 관련하여 주어진 결정 요인에 따라 사전설정된 특정한 서브이벤트를 우선시하여 결정하는 것과,
    상기 전관 방송을 송출하기로 결정된 경우,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는 상기 판정된 이벤트의 오디오 표현인,
    컴퓨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서브이벤트는 상기 복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 중에서 상기 결정 요인에 따라 선택된 특정한 종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관심 영역에서의 가능한 서브이벤트인,
    컴퓨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 중에서 상기 결정 요인에 따라 선택된 특정한 종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관심 영역에 관한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한 서브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식별하는 것과, 상기 특정한 서브이벤트의 발생이 식별된 경우에는 상기 전관 방송을 송출하기로 결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전관 방송을 송출하지 않기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은 상기 전관 방송의 관리자가 상기 전관 방송의 송출을 승인하거나 불허하는 것을 기다리기로 결정하고, 이후 상기 승인 및 상기 불허 중 어느 것도 완료되지 않고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상기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를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요인은 상기 환경과 관련하여 주어진 온도, 날씨, 요일 및 시각 중 적어도 하나인,
    컴퓨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요인은 사전구성되는 방식으로 또는 사용자 입력으로써 주어지는,
    컴퓨팅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은 상기 마이크로부터의 모니터링 데이터로부터 상기 마이크에 의해 감지된 소음 성분을 측정하는 것과, 상기 측정된 소음 성분에 따라 능동 소음 제어(Active Noise Control: ANC) 또는 자동 볼륨 제어(Automatic Volume Control: AVC)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출력 신호에 적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9.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이벤트 검출 기반의 전관 방송을 가능하게 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포함하되, 상기 동작은,
    상기 전관 방송을 위해 모니터링되는 환경에서의 각자의 관심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복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된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각자의 관심 영역에서의 서브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식별하는 것과,
    상기 환경에서의 이벤트를 신경망 기반 분류기를 사용하여 검출하는 것과,
    상기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를 상기 식별에 기반하여 결정하되, 상기 결정을 행하기 전에 추가적인 프로세스를 실행한다는 잠정적인 결정이 행해진 경우에는 상기 환경과 관련하여 주어진 결정 요인에 따라 사전설정된 특정한 서브이벤트를 우선시하여 결정하는 것과,
    상기 전관 방송을 송출하기로 결정된 경우,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컴퓨팅 판독가능 저장 매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는 상기 판정된 이벤트의 오디오 표현인,
    컴퓨팅 판독가능 저장 매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서브이벤트는 상기 복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 중에서 상기 결정 요인에 따라 선택된 특정한 종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관심 영역에서의 가능한 서브이벤트인,
    컴퓨팅 판독가능 저장 매체.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 중에서 상기 결정 요인에 따라 선택된 특정한 종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관심 영역에 관한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한 서브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식별하는 것과, 상기 특정한 서브이벤트의 발생이 식별된 경우에는 상기 전관 방송을 송출하기로 결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전관 방송을 송출하지 않기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컴퓨팅 판독가능 저장 매체.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은 상기 전관 방송의 관리자가 상기 전관 방송의 송출을 승인하거나 불허하는 것을 기다리기로 결정하고, 이후 상기 승인 및 상기 불허 중 어느 것도 완료되지 않고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상기 전관 방송을 송출할 것인지를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컴퓨팅 판독가능 저장 매체.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요인은 상기 환경과 관련하여 주어진 온도, 날씨, 요일 및 시각 중 적어도 하나인,
    컴퓨팅 판독가능 저장 매체.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요인은 사전구성되는 방식으로 또는 사용자 입력으로써 주어지는,
    컴퓨팅 판독가능 저장 매체.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은 상기 마이크로부터의 모니터링 데이터로부터 상기 마이크에 의해 감지된 소음 성분을 측정하는 것과, 상기 측정된 소음 성분에 따라 능동 소음 제어(Active Noise Control: ANC) 또는 자동 볼륨 제어(Automatic Volume Control: AVC)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출력 신호에 적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컴퓨팅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00133798A 2019-01-02 2020-10-15 모니터링되는 환경에 관련된 결정 요인에 따라 전관 방송을 송출하는 기법 KR102292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798A KR102292333B1 (ko) 2019-01-02 2020-10-15 모니터링되는 환경에 관련된 결정 요인에 따라 전관 방송을 송출하는 기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467A KR102169797B1 (ko) 2019-01-02 2019-01-02 이벤트 검출 기반 전관 방송 시스템
KR1020200133798A KR102292333B1 (ko) 2019-01-02 2020-10-15 모니터링되는 환경에 관련된 결정 요인에 따라 전관 방송을 송출하는 기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467A Division KR102169797B1 (ko) 2019-01-02 2019-01-02 이벤트 검출 기반 전관 방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772A true KR20200121772A (ko) 2020-10-26
KR102292333B1 KR102292333B1 (ko) 2021-08-24

Family

ID=73006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798A KR102292333B1 (ko) 2019-01-02 2020-10-15 모니터링되는 환경에 관련된 결정 요인에 따라 전관 방송을 송출하는 기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3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8470B1 (ko) * 2020-12-16 2021-08-10 (주)파브미디어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방송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102381225B1 (ko) * 2021-03-18 2022-04-01 주식회사 아이미디어솔루션 구역별 비상 전관 방송의 제어
KR102517110B1 (ko) * 2022-08-24 2023-04-03 주식회사 인터엠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에서의 노이즈 레벨 분석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5059A (ja) * 2007-06-21 2009-01-08 Hitachi Communication Technologies Ltd 放送端末及び音量制御方法
KR20160149406A (ko) * 2015-06-18 2016-12-28 (주)아신정보기술 재난 관리 장치 및 재난 관리 방법
KR20180099260A (ko) * 2017-02-28 2018-09-05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적외선 시그널링의 자동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기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5059A (ja) * 2007-06-21 2009-01-08 Hitachi Communication Technologies Ltd 放送端末及び音量制御方法
KR20160149406A (ko) * 2015-06-18 2016-12-28 (주)아신정보기술 재난 관리 장치 및 재난 관리 방법
KR20180099260A (ko) * 2017-02-28 2018-09-05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적외선 시그널링의 자동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기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8470B1 (ko) * 2020-12-16 2021-08-10 (주)파브미디어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방송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102381225B1 (ko) * 2021-03-18 2022-04-01 주식회사 아이미디어솔루션 구역별 비상 전관 방송의 제어
KR102517110B1 (ko) * 2022-08-24 2023-04-03 주식회사 인터엠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에서의 노이즈 레벨 분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333B1 (ko) 202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9375B2 (en) Hands-free home automation application
KR20200121772A (ko) 모니터링되는 환경에 관련된 결정 요인에 따라 전관 방송을 송출하는 기법
US11837075B2 (en) Processing alarm signals
US1017167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sound during an in-building emergency
US8981929B2 (en) Security system applications for locations to be secured
US10582167B2 (en) Triggering video surveillance using embedded voice, speech, or sound recognition
KR101893040B1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2005346254A (ja) 危機監視システム
US20190180735A1 (en) Ambient sound classification based message routing for local security and remote internet query systems
JP6483214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の迷子検出方法
KR20180057578A (ko) 이벤트에 대한 설정 및 처리 방법 및 장치
US1081097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169797B1 (ko) 이벤트 검출 기반 전관 방송 시스템
US11176788B2 (e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1890299B1 (ko) 통신망을 이용한 마을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15842B1 (ko) 재난대피 방송 방법 및 시스템
US10410491B2 (en) Method to generate a sound illusion profile to replicate a quantity of resources
KR102381225B1 (ko) 구역별 비상 전관 방송의 제어
EP2950287A1 (en) Security system applications for locations to be secured
KR102402722B1 (ko) 재실자 유형에 따른 화재대응 사전 안내 장치 및 방법
US20230368627A1 (en) Transmitting a security alert which indicates a location in a recipient's building
US20220084505A1 (en)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in close proximity to improve voice control of the devices
US11783850B1 (en) Acoustic event detection
CN113823115B (zh) 车位占用告警方法、管理设备及系统
KR102030802B1 (ko) 소방용 경보 점검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